2019년 11월 30일 토요일

Bis / Noriko Ogawa, Jean-Jacques Kantorow & Tapiola Sinfonietta - Saint-Saens Piano Concertos Nos. 1 & 2 (2000)



Track
01 Piano Concerto No. 2 in g, Op. 22: I. Andante sostenuto / 피아노 협주곡 2번
02 Piano Concerto No. 2 in g, Op. 22: II. Allegro scherzando
03 Piano Concerto No. 2 in g, Op. 22: III. Presto
04 Suite in D, Op. 49: I. Prelude / 모음곡 작품 49
05 Suite in D, Op. 49: II. Sarabande
06 Suite in D, Op. 49: III. Gavotte
07 Suite in D, Op. 49: IV. Romance
08 Suite in D, Op. 49: V. Final
09 Piano Concerto No. 1 in D, Op. 17: I. Andante - Allegro assai / 피아노 협주곡 1번
10 Piano Concerto No. 1 in D, Op. 17: II. Andante sostenuto quasi Adagio
11 Piano Concerto No. 1 in D, Op. 17: III. Allegro con fuoco

Noriko Ogawa, piano / 노리코 오가와, 피아노
Tapiola Sinfonietta / 타피올라 신포니에타
Jean-Jacques Kantorow, conduccor / 장-자크 캉토로프 지휘

It is an absurdity that Camille Saint-Saëns was once described as a Wagnerite. Absurd because he was a passionate opponent of German music, if at the same time understandable if we take into account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claim was made: in 1877 in Weimar, where Liszt had just arranged the première of Saint-Saëns' most significant opera, "Samson et Dalila", and where the idea of winning over one of the most important French composers for 'their cause' would have been most welcome. For a long time this opera was performed all over the world, but nowadays only isolated numbers are heard: especially popular is Delilah's famous aria, a sensual piece loved by all deep mezzo-sopranos, and also the "Bacchanale", a virtuoso orchestral piece full of orientalisms and exotic intervals. Apart from that, there are really only two works by Saint-Saëns that are still generally known today: "The Swan" (the 'hit' movement from the "Carnival of the Animals") and the evocative orchestral work "Danse macabre" (BIS-CD-555). Two of these four works are typical examples of full-blooded Romanticism, whilst the "Bacchanale" and "Danse macabre" are characterized by an exoticism that often tends to be underestimated as a feature of Saint-Saëns' music.

카미유 생상스가 한때 바그네리안(바그너 숭배자)이라고 불렸던 것은 터무니없다. 그는 독일 음악에 대한 열렬한 반대자였지만,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음악을 했는지 알고 있다면 부분적으로 이해할 만하다. - 1877년 바이마르에서 리스트는 생상스의 가장 중요한 오페라 <삼손과 델릴라> 초연을 주선했으며, 거기에서 ‘자신의 대의’를 위해 가장 중요한 프랑스 작곡가들 중 한 사람을 이겼다고 믿고 싶었을 것이다. 오랫동안 이 오페라는 전 세계에서 공연되었지만, 현재에는 극소수만 들린다. - 특히 인기 있는 것은 델릴라의 유명한 아리아로, 모든 심오한(드라마틱한) 메조소프라노가 사랑하는 관능적인 곡이며, 동양풍의 이국적인 선율로 가득한 비르투오소 관현악곡인 <바카날>(마시고 노래하는 축제 소동이나 분방한 쾌락을 표현하는 발레)이다. 그 외에도 오늘날 실제로 생상스의 작품들은 2곡만 알려져 있는데, <백조>(<동물의 사육제> 중 ‘히트’ 악장)와 그리움을 자아내는 <죽음의 무도>이다. 이 4개의 작품 중 2개는 순수한 낭만주의의 전형적인 예이며, <바카날>과 <죽음의 무도>는 생상스 음악의 특징으로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는 이국적 정취로 묘사된다.

An interest in exotic music was one of Saint-Saëns' trademarks, but on the other hand he was no champion of excessively outlandish musical styles. It is said that he jumped up after a few bars at the dress rehearsal of Stravinsky's "Rite of Spring" in Paris in 1913, exclaiming that he had never been so insulted in all his life. We may forgive him for harbouring no feelings of warmth towards this sensational work, because he was by then 78 years old. His position in terms of generation can be judged by the fact that both Schumann and Mendelssohn Bartholdy were still alive when he commenced his studies at the Paris Conservatoire in 1848. Saint-Saëns, born in 1835, was a typical child prodigy: at the age of 16 he won a first prize for organ playing; when he was 18 he was appointed organist and teacher of sacred music - among his more famous pupils was Gabriel Fauré. As a respected organ virtuoso he inaugurated several famous Parisian organs: Notre-Dame, Saint-Sulpice, Trinité and Trocadéro. His organ improvisations became so famous that great figures such as Franz Liszt, Clara Schumann, Pablo de Sarasate and Anton Rubinstein journeyed to hear him. As a composer he was a pupil of Jacques Halévy and Charles Gounod.

이국적인 음악에 대한 관심은 생상스의 트레이드마크 중 하나였지만, 반면에 지나치게 엉뚱한 음악 스타일의 챔피언은 아니었다. 그는 1913년 파리에서 열린 스트라빈스키 모음곡 <봄의 제전>의 드레스 리허설에서 몇 마디를 연주한 후 벌떡 일어서서 평생 모욕을 당하지 않았다고 외쳤다고 전해진다. (그는 자신의 인생에서 결코 기분을 상하게 한 느낌이 들지 않았다.) 그는 당시에 78세였으므로, 우리는 선풍적인 작품에 대해 따뜻함을 느끼지 않은(차가웠던) 그를 용서할 수 있다. 1848년에 그가 파리 음악원에서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 슈만과 멘델스존-바르톨디가 여전히 살아있었다는 사실에 의해 세대 측면에서 그의 입장을 판단할 수 있다. 1835년에 태어난 생상스는 전형적인 신동이었다. - 16세에는 오르간 연주 부문에서 1등상을 받았다. 18세 때에는 종교 음악을 연주하는 오르가니스트이자 교육자로 임명되었다. - 그의 유명한 제자들 중에는 가브리엘 포레가 있었다. 존경받는 오르간 비르투오소로서 그는 파리에 있는 몇몇 유명한 성당들에서 오르간에서 연주하기 시작했다. - 노트르담, 생쉴피스, 트리니테, 트로카데로. 그의 오르간 즉흥 연주가 매우 유명해져서 프란츠 리스트, 클라라 슈만, 파블로 데 사라사테, 안톤 루빈스타인 같은 위대한 인물들이 그를 들으러 파리로 여행했다. 작곡가로서 그는 자크 알레비와 샤를 구노의 제자였다.

Camille Saint-Saëns was, in the broadest sense, a traditionalist. It was not that he was fundamentally opposed to a certain degree of experimentation, but he openly supported traditional forms and expressive means. It is thus readily understandable that he composed a significant number of works for solo instrument and orchestra. Among these we find five piano concertos. One might casually assume that it would be natural for Saint-Saëns the piano virtuoso to write works of importance for this instrument, but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most of these are for piano and orchestra: he left hardly any music for solo piano, although his five piano concertos span almost forty years, from 1858 until 1896.

카미유 생상스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는 전통주의자였다. 그는 어느 정도의 실험에 완전히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형식들과 표현 수단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그러므로 그가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를 위해 상당히 많은 작품을 쓴 것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중에는 5개의 피아노 협주곡이 있다. (구습을 고집하는 사람은) 피아노 비르투오소 생상스가 이 악기를 위해 중요한 작품들을 쓰는 것이 자연스러웠을 거라고 무심코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 곡들의 대부분이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의 5개 피아노 협주곡들은 1858년에서 1896년까지 거의 40년에 걸쳐 있었지만, 솔로 피아노를 위한 음악은 거의 남기지 않았다.

Among his five works in this genre, the Concerto No.1 in D major for Piano and Orchestra, Op.17, is naturally the least individual. It was composed in 1858, when the composer was 23, and in terms of musical style and form is wholly classical. The most engaging movement is the finale, the splendour and ardour of which fully live up to the marking "con fuoco". The three-movement work begins with a brief slow introduction leading to a sonata-form "Allegro assai"; the second movement is an attractive "Andante sostenuto", improvisatory in character.

이 장르에 있는 5개의 작품들 중에서 피아노 협주곡 1번은 물론 개성이 덜하다. 작곡가가 불과 23세였던 1858년에 완성되었으며, 음악적 스타일과 형식면에서 매우 고전적이다. 가장 매력적인 악장은 3악장으로, “콘 푸오코”(정열적으로) 표시에 걸맞게 화려함과 열정이 넘친다. 3개의 악장 중에서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의 “알레그로 아사이”(매우 빠르게)로 이끄는 짧고 느린 서주로 시작한다. 2악장은 매력적인 “안단테 소스테누토”(느리게 충분히 음을 끌면서)로, 즉흥성을 띤다.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1 Mov. 1 - slow introduction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 느린 도입부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1 Mov. 1 - sonata-form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 소나타 형식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1 Mov. 2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1번 2악장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1 Mov. 3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1번 3악장

On 13th May 1868 Saint-Saëns himself was the piano soloist at a concert in the Salle Pleyel in Paris. The conductor was a famous guest from Russia, Anton Rubinstein, and the principal attraction of the programme was the first performance of Saint-Saëns' Concerto No.2 in G minor for Piano and Orchestra, Op.22. Ten years had passed since the First Concerto, and the composer - who had by then become well-known both at home and abroad - attracted an audience that was not only chic but also musically highly qualified: Franz Liszt, for example, was present. The piece had been written at breakneck pace after Saint-Saëns had discovered that Rubinstein was coming to Paris: it took him just seventeen days to complete the work. In its original form the concerto was written for pedal piano - a short-lived instrument with a pedal-board like an organ - but the composer soon reworked it for normal piano.

1868년 5월 3일, 파리 코르토 홀에서 콘서트가 열렸는데, 생상스 자신도 피아노 독주자로 참여했다. 러시아의 유명한 안톤 루빈스타인이 객원 지휘자였으며, 이 프로그램의 주된 매력은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의 세계 초연이었다. 1번 협주곡 이후 10년이 흘렀고, 이후 국내외에서 유명해진 작곡가는 세련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악적으로도 높은 지식을 갖춘 청중을 끌어들였다. - 홀에는 예를 들어 리스트가 있었다. 이 곡은 루빈스타인이 파리에 오고 있다는 사실을 생상스가 알고 난 후 급작스러운 속도로 작곡되었다. - 작품 완성에 17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 협주곡은 원래 페달 피아노(오르간 같은 페달 보드가 있는 수명이 짧은 악기)를 위해 작곡된 형식이었다. - 그러나 작곡가는 곧 일반 그랜드 피아노를 위해 고쳤다.

At the première the work was not an outstanding success, and only the middle movement was applauded with enthusiasm. Liszt, however, praised the piece, and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the concerto achieved widespread popularity. The applause earned by the middle movement is understandable: this sonata-form movement contains not only effective virtuoso writing but also, as a contrast, a beautiful subsidiary theme for violas and cellos. The first movement, which is more reminiscent of a toccata than of sonata form, begins and ends with a cadenza. The finale is infectious and elegant, like a tarantella, with the occasional hint of folk music.

초연에서 이 작품은 대단한 성공이 아니었으며, 2악장만이 열렬한 박수를 받았다. 그러나 리스트는 이 곡에 찬사를 보냈으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협주곡이 널리 퍼졌다. (매우 유명해졌다.) 이 소나타 형식의 악장에는 효과적인 비르투오소 작곡뿐만 아니라 비올라와 첼로의 아름다운 보조 테마도 포함되므로, 박수갈채가 2악장이었다는 것은 이해할 만하다. 소나타 형식이라기보다는 토카타를 연상시키는 1악장은 카덴차로 시작하여 카덴차로 끝난다. 3악장은 타란텔라처럼 매력 있고(독특하고) 우아하며 때로는 민속적이다.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2 Mov. 1 - Beginning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1악장 - 시작 부분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2 Mov. 1 - Ending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1악장 - 마무리 부분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2 Mov. 2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2악장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 2 Mov. 3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3악장

The Suite in D major, Op.49, can be regarded as a remnant of a now long defunct genre: music for harmonium. In 1784 the Bohemian organ-builder Franz Kirschnik moved to St. Petersburg, where he invented the harmonium - an instrument which subsequently underwent further development in various countries until about 1850. It enjoyed great popularity not least in France - but, as interest in music-making at home waned in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the harmonium fell increasingly into oblivion. As a curiosity it can be observed that the instrument occasionally found its way into large orchestras, for instance in Richard Strauss's "Salome". The fact that Saint-Saëns originally composed the Suite in D major for harmonium can thus be seen as conformity to the fashion of the time; as the instrument tended to be seen as a 'substitute orchestra', it was natural that he prepared, in 1869, an orchestral version for the Concerts Litolff held at the Paris Opera. Saint-Saëns made no secret of the fact that he had been inspired by the old French masters (except, perhaps, in the Romance): not only are a sarabande and a gavotte present, but he also uses a canon in the first movement - a rarity at the peak of the Romantic era. It may seem illogical, but the result of this filigree work was a problem-free work characterized by spontaneous charm.

모음곡 작품 49는 현재 오랫동안 죽은 장르의 잔재로 여겨질 수도 있다. - 하모늄(작은 오르간 같은 악기로 풍금)을 위한 음악이다. 1784년 보헤미안 오르간 제작자 프란츠 키르쉬니크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하모늄을 발명했다. - 이후 약 1850년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추가 개발을 겪은 악기이다. 프랑스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프랑스에서 인기가 높아졌다.) - 20세기 초반, 프랑스에서 음악 제작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하모늄은 점점 더 잊혀졌다. 호기심으로 우리는 이 악기는 때때로 대형 오케스트라, 예를 들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상스가 원래 하모늄을 위한 모음곡을 작곡했다는 사실은 당시의 유행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악기가 ‘대체 오케스트라’로 여기지는 것처럼, 1869년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열린 <콩세르 리톨프>의 오케스트라 버전을 준비한 것은 당연했다. 생상스는 자신이 옛 프랑스 거장으로부터 영감을 받았다는 사실에 대해 (아마도 4악장 로망스 제외) 숨기지 않았다. - 2악장 사라방드와 3악장 가보트에서 나타날 뿐만 아니라 1악장에서도 카논을 사용하는데, 낭만파 시대의 절정에서 드문 것이었다. 비논리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이 선조 세공을 한 작품의 결과는 자연스러운 매력이 특징인 문제없는 작품이었다.

Julius Wender 2000 / 율리우스 벤더 글

When Noriko Ogawa was awarded third prize in the 1987 Leeds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the scholarships she had won and support she had inspired over the years were amply rewarded. Since then, she has achieved considerable renown in Europe, America and, of course, in her native Japan where she is a national celebrity. In 1988, Noriko Ogawa was awarded the Muramatsu Prize for her outstanding contribution to the musical life of Japan. In Britain she remains much in demand, appearing at major arts festivals, performing regularly with the major orchestras and making regular radio and television broadcasts. Noriko Ogawa's recent releases on the BIS label have consolidated her major profile in Japan.

1987년 리즈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노리코 오가와가 3위에 입상했을 때, 그녀가 오랫동안 받은 장학금과 지원이 전적으로 보상받았다. 이후 그녀는 유럽, 아메리카, 물론 전국적으로 유명한 조국 일본에서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 1988년에는 일본의 음악 생활에 대한 뛰어난 공헌으로 무라마쓰 상을 받았다. 영국에서는 주요 예술제들에 출연하고 주요 오케스트라들과 정기적으로 협연하며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에 정기적으로 출연하는 등 수요가 많다. 노리코 오가와가 최근에 비스에서 발매한 음반들은 일본에서의 명성을 강화했다.

Following her success at Leeds, Noriko Ogawa has gained a devoted following in the UK, and she now spends over half the year in Europe. She records regularly for the BBC as a recitalist and soloist, gives chamber recitals - in particular with the Korean violinist Dong-Suk Kang - and appears regularly with major orchestras such as the Philharmonia Orchestra, San Diego Symphony Orchestra,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BBC Philharmonic Orchestra, St. Petersburg Symphony Orchestra,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Hallé Orchestra, Singapore Symphony Orchestra, NHK Symphony Orchestra, Tokyo Philharmonic Orchestra and New Japan Philharmonic Orchestra. Amongst the leading conductors with whom she has worked are Hans Vonk, Leonard Slatkin, Osmo Vänskä, Tadaaki Otaka, Gennady Rozhdestvensky, Yan Pascal Tortelier, Kasper de Roo and Günter Herbig.

노리코 오가와는 리즈에서 성공한 후 영국에서 열렬한 추종자를 얻었으며 이제는 유럽에서 반 년 이상을 보낸다. BBC에서 리사이틀 연주자 및 오케스트라 독주자로서 정기적으로 녹음하고 실내악 리사이틀을 가지며 - 특히 한국인 바이올리니스트 강동석과 함께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샌디에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예테보리 심포니 오케스트라, BBC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 오케스트라,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할레 오케스트라, 싱가포르 심포니 오케스트라, NHK 심포니 오케스트라,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신일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과 같은 오케스트라들과 정기적으로 협연한다. 그녀와 함께 일했던 주요 지휘자들로는 한스 퐁크, 레너드 슬래트킨, 오스모 밴스캐, 다다아키 오타카,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얀 파스칼 토르틀리에, 카스페르 데 로, 귄터 헤르비히 등이 있다.

Since 1997 Miss Ogawa has been an exclusive recording artist for BIS label. Her recordings include works by Japanese composers (including Toru Takemitsu), Rachmaninov's Second and Third Piano Concertos with the Malmö Symphony Orchestra (which was selected by "The Times" as one of the best releases of 1997) and Mussorgsky's "Pictures from an Exhibition" which was selected as the Critics' Choice 1998 by BBC Music Magazine. In March 1999, Noriko Ogawa was awarded the Japanese Agency of Culture's Ministry of Education Award.

1997년부터 노리코 오가와는 비스 레이블 전속 레코딩 아티스트이다. 그녀의 녹음으로는 (도루 다케미쓰를 포함한) 일본 작곡가들, (<더 타임스>에서 1997년 베스트 음반 중 하나로 선정된) 말뫼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2~3번, BBC 뮤직 매거진에서 1998 비평가들의 선택으로 선정된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이 있다. 1999년 3월에는 일본 문화성 교육부상을 받았다.

The Tapiola Sinfonietta was founded in 1988 and, right from the outset, aimed to distance itself from other Finnish municipal orchestras in terms both of repertoire and of sonority. The orchestra's string section currently numbers 27 players, in addition to which there are double woodwind and two horns.

타피올라 신포니에타는 1988년에 창설되었으며 애초에 레퍼토리와 반향에 있어 다른 핀란드 시립 오케스트라들과 관여하지 않는 것이 목표였다. 오케스트라 현악 세션에는 27명의 단원들이 있으며, 목관악기의 더블 섹션(플루트 2대, 오보에 2대, 클라리넷 2대, 바순 2대) 및 2명의 호른 주자가 더해져 완성된다.

When the orchestra was established, Finland had already many decades of experience in training musicians to the highest level. The new chamber orchestra could draw its members from among the finest newly-qualified musicians, and the end product was a youthful, malleable ensemble which approached orchestral music-making from the standpoint of chamber music.

오케스트라가 설립되었을 때, 핀란드는 이미 음악가들을 최고 수준으로 훈련시키는 데 수십 년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이미 수십 년 동안 핀란드에서 최고 수준의 음악 교육을 받았다.) 새로운 실내악단은 최고의 신입 음악가들로부터 구성원들을 끌어들일 수 있었으며, 최종 상품은 실내악의 관점에서 오케스트라 음악 제작에 접근한, 젊고 본격적인 앙상블이었다. (새로운 실내악단은 최근에 졸업한 최고의 음악가들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실내악의 관점에서 오케스트라 음악에 접근하는 젊고, 성공할 수 있는 앙상블이 등장했다.)

Previous artistic directors of the Tapiola Sinfonietta have been Jorma Panula, Juhani Lamminmäki and Osmo Vänskä. In 1993 the orchestra appointed the French violinist/conductor Jean-Jacques Kantorow as artistic director, and under his direction the orchestra has achieved the highest international standard. Kantorow is renowned for his intensive rehearsal work; he refines details and sonority to perfection. This painstaking preparation is reflected in lively, virtuoso music-making in concert.

타피올라 신포니에타의 이전 예술 감독으로는 요르마 파눌라, 유하니 람민매키, 오스모 밴스캐가 있다. 1993년에 이 오케스트라는 프랑스 바이올리니스트 겸 지휘자인 장-자크 캉토로프를 예술 감독으로 임명했으며, 그의 지휘하에 오케스트라는 국제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캉토로프는 집중적인 리허설 작업으로 유명한데, 그는 디테일과 완벽한 반향을 다듬는다. 이 놀라운 준비는 콘서트에서 생생한 비르투오소 음악 제작에 반영된다. (캉토로프는 집중적인 연구로 유명한데, 세부사항과 소리를 완벽하게 처리한다. 신중한 준비는 콘서트에서 생생한 비르투오소 음악을 만들어낸다.)

Further testimony to the individual players' abilitie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y often appear as soloists at the Tapiola Sinfonietta's concerts.

타피올라 신포니에타의 콘서트들에서 종종 각 단원들의 능력에 대한 증거를 찾을 수 있다. (타피올라 신포니에타 주자들이 종종 훈련된 콘서트에서 독주자로서 연주한다는 사실은 그들의 기술 수준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준다.)

Although the Tapiola Sinfonietta corresponds in size to an orchestra of the Viennese Classical period, the orchestra has an extensive repertoire ranging from the Baroque to contemporary music. On its numerous BIS recordings the Tapiola Sinfonietta has emerged as a peerless champion of music from the twentieth century.

타피올라 신포니에타의 규모는 비엔나 고전 시대의 오케스트라에 해당하지만, 바로크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다룬다. 수많은 비스 음반에서 타피올라 신포니에타는 20세기부터 음악의 비길 데 없는 챔피언으로 부상했다. (주로 비스 음반에 많이 녹음된 타피올라 신포니에타는 우리 세기의 음악에 대한 뛰어난 해석자로 분명히 나타난다.)

Jean-Jacques Kantorow was born in Nice, France, but is of Russian extraction. He studied the violin at the conservatoires of Nice and (from the age of 13) Paris, where his teachers included René Benedetti and where, a year later, he won the first prize for violin playing.

장-자크 캉토로프는 프랑스 니스에서 태어났지만, 러시아 혈통이다. 그는 니스 음악원과 (13세부터) 파리 음악원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고, 그의 파리 음악원 스승들 중에는 르네 베네데티가 있으며, 1년 후 파리 음악원에서 바이올린 연주 부문 1등상을 받았다.

Between 1962 and 1968 he won some ten international prizes including first prizes at the Carl Flesch Competition (London), the Geneva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the Paganini Competition (Genoa). He made his Carnegie Hall début at the age of 19. Jean-Jacques Kantorow has performed as a soloist on all continents and played chamber music with Gidon Kremer, Krystian Zimerman, Paul Tortelier and others. He regularly conducts chamber orchestras in England, The Netherlands and Scandinavia. From 1985 until 1994 he was artistic director and chief conductor of the Orchestre de Chambre d'Auvergne. He is presently artistic director of the Ensemble Orchestral de Paris and, since 1993, of the Tapiola Sinlonietta in Finland. He has also been awarded the French national music award 'Les victoires de la musique classique'. This is Jean-Jacques Kantorow's eighth BIS recording.

1962~1968년에는 1962 런던 카를 플레쉬 콩쿠르 1위, 1964 제노바 파가니니 국제바이올린콩쿠르 1위, 1965 제네바 국제음악콩쿠르 1위 등 10여 개의 국제 대회에서 입상했다. 19세에는 카네기 홀에 데뷔했다. 장-자크 캉토로프는 모든 대륙에서 독주자로서 연주했으며 기돈 크레머(바이올린), 크리스티안 지메르만(피아노), 폴 토르틀리에(첼로) 등과 실내악 협연을 가졌다. 그는 잉글랜드, 네덜란드, 스칸디나비아에서 정기적으로 실내악단들을 지휘한다. 1985~1994년에는 오베르뉴 실내 오케스트라의 예술 감독 겸 수석 지휘자였다. 현재 파리 오케스트라 앙상블, 1993년부터 핀란드 타피올라 신포니에타의 예술 감독이다. 프랑스 음악인들이 뽑아 수여하는 “고전음악의 승리”상도 받았다. 이 음반은 장-자크 캉토로프의 8번째 비스 녹음이다.

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