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8월 19일 수요일
Medalists & Jury (4) Hamamatsu Academy Competition 1996-2017
https://blog.naver.com/snowseol/220961771666
https://blog.naver.com/snowseol/221395893623
https://blog.naver.com/snowseol/221686740783
하마마쓰 콩쿠르를 정리한 이유는 이 대회와 성격이 비슷한 몇몇 대회들을 소개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글이 너무 넘치므로 쇼팽 콩쿠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와의 연관성은 여기에서 소개하기로. 3년마다 열리는 하마마쓰 국제피아노콩쿠르 말고 해마다 열리던 하마마쓰 국제피아노아카데미 콩쿠르란 게 있는데 일종의 페스티벌 콩쿠르였다. 2016년 이 대회를 관할했던 히로코 나카무라의 작고로 인해 2017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는데 하마마쓰 콩쿠르에 앞서 이 대회에 먼저 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메이저 국제 대회만 나가다시피 했던 조성진도 이 대회에 나갔다. 2009년 하마마쓰 콩쿠르 보고서에 의하면 2009 하마마쓰 아카데미 콩쿠르 우승자가 참가했다면서 기대를 갖는 대목이 있었다. 아래에 열거한 대회들의 입상자들은 나름대로 판단하여 추린 것으로 모두 다 소개하는 게 아니다.
Hamamatsu International Piano Academy Competition [Selection]
01회 1996
1위 Seiko Tsukamoto (Japan) / 세이코 츠카모토 (일본)
유망주 상 (Most Promising Artists) Yu Kosuge (Japan) / 유 고스게 (일본)
02회 1997
공동 1위 Yu Kosuge (Japan) / 유 고스게 (일본)
공동 2위 Yuma Osaki (Japan) / 유마 오사키 (일본)
공동 4위 Yurie Miura (Japan) / 유리에 미우라 (일본)
공동 4위 Hironao Suzuki (Japan) / 히로나오 스즈키 (일본)
03회 1998
공동 1위 Shinya Kiyozuka (Japan) / 신야 기요즈카 (일본)
공동 1위 Yu Kosuge (Japan) / 유 고스게 (일본)
유 고스게는 카네기홀 데뷔 음반도 냈는데 재도전하여 우승했음에도 3번이나 참가했다. 신야 기요즈카는 2005 쇼팽 콩쿠르 1차에서 탈락했던 참가자인데 일본에서 피아노 음반을 몇 장 냈고 배우로도 활동한다.
05회 2000
1위 Ayako Uehara (Japan, Grand Prix) / 아야코 우에하라 (일본, 그랑프리)
공동 3위 Yoko Kikuchi, Hironao Suzuki (Japan) / 요코 기쿠치, 히로나오 스즈키 (일본)
아야코 우에하라는 2000 하마마쓰 콩쿠르에 참가하여 임동혁과 공동 2위에 입상했다. 2000 부조니 콩쿠르에서 임동혁은 1, 2차 예선을 각각 2위와 1위로 통과했으나 유럽계 심사위원들의 석연치 않은 결정으로 결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하지만 당시 현지 언론들은 심사 결과에 의혹을 제기했으며, 콩쿠르 조직위는 결국 2001년에 심사위원을 전원 교체해 작년 심사의 부당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하기도 했다. 임동혁 대신에 결선에 올라 구설수에 올랐던 일본 연주자 요코 기쿠치는 5위에 그쳤다. 그 5위를 임동혁과 나눠가졌다.
06회 2001
1위 Sergei Salov (Ukraine) / 세르게이 살로프 (우크라이나)
2위 Etsuko Hirose (Japan) / 에츠코 히로세 (일본)
3위 Sunghoon Simon Hwang (Korea) / 황성훈
4위 Kiai Nara (Japan) / 기아이 나라 (일본)
기아이 나라는 2000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장려상을 받았다.
07회 2002
1위 Ka Ling Colleen Lee (Hong Kong) / 카링 콜린 리 (홍콩)
6위 Alice Sara Ott (Germany, Most Promising Artists) / 알리스 사라 오트 (독일, 유망주 상)
08회 2003
2위 Sergei Salov (Ukraine) / 세르게이 살로프 (우크라이나)
5위 Rina Sudo (Japan) / 리나 수도 (일본)
세르게이 살로프는 2001년 대회에 이어서 또 나와서 우승한 다음에 2003 하마마쓰 콩쿠르에 나와서 3위, 리나 수도는 쇼헤이 세키모토와 공동 4위에 입상했다.
09회 2004
1위 Igor Levit (Germany) / 이고르 레빗 (독일)
공동 3위 Michail Lifits (Uzbekistan) / 미하일 리피츠 (우즈베키스탄)
공동 3위 Alice Sara Ott (Germany) / 알리스 사라 오트 (독일)
4위 Tatiana Kolesova (Russia) / 타티아나 콜레소바 (러시아)
알리스 사라 오트는 재도전하여 공동 3위에 올랐다. 나중에 베를린 필과 데뷔하였다.
10회 2005
1위 Yeol Eum Son (Korea) / 손열음
2위 Dmytro Onishchenko (Ukraine) / 드미트로 오니쉬첸코 (우크라이나)
공동 4위 Hisako Kawamura (Japan) / 히사코 가와무라 (일본)
공동 4위 Tomoki Kitamura (Japan) / 도모키 기타무라 (일본)
5위 Yuhi Ozaki (Japan) / 유히 오자키 (일본)
6위 Tae-Hyung Kim (Korea) / 김태형
드미트로 오니쉬첸코는 2006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1차 탈락했다. 2009년에는 재도전하여 2차에 진출했다. 2012년에도 나왔으나 역시 2차에서 탈락했다. 도모키 기타무라와 김태형은 2006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공동 3위에 입상했다.
11회 2006
1위 Sasha Grynyuk (Russia) / 사샤 그리니우크 (러시아)
2위 Alexej Gorlatch (Ukraine) / 알렉세이 고를라치 (우크라이나)
3위 Tae-Hyung Kim (Korea) / 김태형
6위 Mona Asuka Ott (Germany) / 모나 아스카 오트 (독일)
사샤 그리니우크는 2006 하마마쓰 콩쿠르 2차에서 탈락하였으나 알렉세이 고를라치는 우승했다. 모나 아스카 오트는 알리스 사라 오트의 여동생.
12회 2007
1위 Chen Jie (China) / 첸 지에 (중국)
2위 Yuhi Ozaki (Japan) / 유히 오자키 (일본)
유히 오자키는 2009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장려상을 받았다.
13회 2008
2위 Claire Huangci (USA) / 클레어 후앙치 (미국)
4위 Daiki Kato (Japan) / 다이키 가토 (일본)
클레어 후앙치는 2006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장려상을 받고 나서 여기에 나왔다.
14회 2009
1위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2위 Ryoma Takagi (Japan) / 료마 다카기 (일본)
공동 3위 및 유망주 상 Jan Lisiecki (Canada) / 얀 리시에츠키 (캐나다)
공동 3위 및 유망주 상 Misora Ozaki (Japan) / 미소라 오자키 (일본)
디플로마 Tami Lin (Canada) / 타미 린 (캐나다)
조성진은 히로코 나카무라의 추천으로 이 대회에 참가했다. 여기에서 나중에 DG 소속 아티스트가 되는 리시에츠키와의 만남이 있었다. 타미 린은 조성진이 우승했던 2009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13세로 가장 어린 참가자였다.
16회 2012
공동 1위 Beatrice Rana (Italy) / 베아트리체 라나 (이탈리아)
공동 1위 Tomoharu Ushida (Japan) / 도모하루 우시다 (일본)
도모하루 우시다는 이 대회에서 최연소 입상자가 되었다. 2018 하마마쓰 콩쿠르에 참가하여 준우승.
17회 2013
1위 Daiki Kato (Japan) / 다이키 가토 (일본)
2위 Su Yeon Kim (Korea) / 김수연
4위 Yukine Kuroki (Japan) / 유키네 구로키 (일본)
유망주 상 Umi Garrett (USA) / 우미 가렛 (미국)
다이키 가토는 2009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3차까지 갔으나 2012년 1차, 2015년 2차에서 탈락했다. 우미 가렛은 2020 마이애미 쇼팽 콩쿠르에 나와서 공동 4위에 입상했으나 2021 쇼팽 콩쿠르 예선 진출자 명단에 없었다.
18회 2014
1위 Mackenzie Melemed (USA) / 맥켄지 멜러메드 (미국)
19회 2015
1위 Ryoma Takagi (Japan) / 료마 다카기 (일본)
3위 Krzysztof Książek (Poland) / 크시쉬토프 크시옹제크 (폴란드)
20회 2016
1위 Mao Fujita (Japan) / 마오 후지타 (일본)
2위 Yasuko Furumi (Japan) / 야스코 후루미 (일본)
3위 Misora Ozaki (Japan) / 미소라 오자키 (일본)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정치적인 변수가 있기 때문에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우승했다고 해서 꼭 상위 입상하는 건 아니다. 하마마쓰 콩쿠르는 쇼팽 차이코프스키, 리즈, 루빈스타인,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자들을 배출했지만, 아직까지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자가 나오지 않았다. 3대 콩쿠르 중에서 배제한 이유 중의 하나.
Tchaikovsky - Hamamatsu
1991 하마마쓰 3위 Xu Zhong (China) / 슈종 (중국) → 1994 차이코프스키 공동 4위
1990 차이코프스키 결선 Sergei Tarasov (Russia) / 세르게이 타라소프 (러시아) → 1997 하마마쓰 3위 → 1998 차이코프스키 4위
1997 하마마쓰 6위 Prederick Kempf (Great Britain) / 프레데릭 켐프 (영국) → 1998 차이코프스키 3위
1997 하마마쓰 2차 Denis Matsuev (Russia) / 데니스 마추예프 (러시아) → 1998 차이코프스키 1위
2000 하마마쓰 공동 2위 Ayako Uehara (Japan) / 아야코 우에하라 (일본) → 2000 차이코프스키 1위
2000 하마마쓰 공동 2위 Dong Hyek Lim (Korea) / 임동혁 → 2007 차이코프스키 공동 4위
2000 하마마쓰 공동 5위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 2007 차이코프스키 공동 6위
2003 하마마쓰 3위 Sergei Salov (Ukraine) / 세르게이 살로프 (우크라이나) → 2007 차이코프스키 2차
2002 차이코프스키 공동 5위 Dmitry Onishchenko (Ukraine) / 드미트리 오니쉬첸코 (우크라이나) → 2006 하마마쓰 1차 → 2009 하마마쓰 2차 → 2012 하마마쓰 2차 → 2015 차이코프스키 1차
2006 하마마쓰 2위 Sergey Kuznetsov (Russia) / 세르게이 쿠즈네초프 (러시아) → 2007 차이코프스키 2차
2006 하마마쓰 3차 Dinara Klinton (Ukraine) / 디나라 클린톤 (우크라이나) → 2007 차이코프스키 1차 → 2009 하마마쓰 1차 → 2011 차이코프스키 1차 → 2015 차이코프스키 1차
2009 하마마쓰 1위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 2011 차이코프스키 3위
2009 하마마쓰 2차 Sara Daneshpour (USA) / 사라 대니쉬포어 (미국) → 2011 차이코프스키 2차 → 2019 차이코프스키 2차
2012 하마마쓰 1위 Ilya Rashkovsky (Russia)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러시아) → 2015 차이코프스키 2차
2006 하마마쓰 1차 Stanislav Khristenko (Russia) / 스타니슬라프 흐리스텐코 (러시아) → 2011 차이코프스키 1차 → 2012 하마마쓰 2차
2015 차이코프스키 오디션 Alexander Gadjiev (Italy)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 → 2015 하마마쓰 1위 → 2019 차이코프스키 2차
2015 하마마쓰 공동 3위 Alexei Melnikov (Russia) / 알렉세이 멜니코프) → 2019 차이코프스키 공동 3위
2011, 2015, 2019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하마마쓰 우승자들이 연속으로 나왔다. 하지만 조성진만 입상하고 나머지는 2차에서 탈락했다. 이렇게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3번 데였다.
Chopin → Hamamatsu
1990 쇼팽 공동 4위 Margarita Shevchenko (Russia) / 마르가리타 셰브첸코 (러시아) → 1994 하마마쓰 장려상
1995 쇼팽 4위 Rem Urasin (러시아) → 1997 하마마쓰 4위
1997 하마마쓰 5위 Yuma Osaki (Japan) / 유마 오사키 (일본) → 2005 쇼팽 결선 → 2010 쇼팽 2차
1995 쇼팽 1차 Olaf John Laneri (Italy) / 올라프 존 라네리 (이탈리아) → 1997 하마마쓰 장려상
1995 쇼팽 3차 Andrew Armstrong (USA) / 앤드류 암스트롱 (미국) → 1997 하마마쓰 장려상
1995 쇼팽 2차 Olga Kern (Russia) / 올가 케른 (러시아) → 2000 하마마쓰 3위
2000 쇼팽 2차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 2000 하마마쓰 5위 → 2005 쇼팽 1차
2000 쇼팽 3위 Alexander Kobrin (Russia) / 알렉산더 코브린 (러시아) → 2003 하마마쓰 1위 없는 공동 2위
2005 쇼팽 2차 Alexej Gorlatch (Ukraine) / 알렉세이 고를라치 (우크라이나) → 2006 하마마쓰 1위
2005 쇼팽 2차 Sławomir Wilk (Poland) / 스와보미르 빌크 (폴란드) → 2006 하마마쓰 2차
2000 쇼팽 1차 Jun Asai (USA) / 준 아사이 (미국) → 2006 하마마쓰 2차 → 2010 쇼팽 예선
2000 쇼팽 1차 Ching-Yun Hu (Taiwan) / 칭윤 후 (대만) → 2005 쇼팽 1차 → 2006 하마마쓰 2차 → 2010 쇼팽 2차
2005 쇼팽 1차 Wenyu Shen (China) / 쉔웬유 (중국) → 2006 하마마쓰 2차
2005 쇼팽 2차 Soo-Jung Ann (Korea) / 안수정 → 2009 하마마쓰 6위 → 2010 쇼팽 1차 → 2015 쇼팽 2차
2005 쇼팽 2차 Krzysztof Trzaskowski (Poland) / 크시쉬토프 트자스코프스키 (폴란드) → 2006 하마마쓰 2차
2010 쇼팽 2차 Ilya Rashkovsky (Russia)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러시아) → 2012 하마마쓰 1위
2005 쇼팽 2차 Takashi Sato (Japan) / 다카시 사토 (일본) → 2012 하마마쓰 3위
2005 쇼팽 1차 Hélene Tysman (France) / 엘렌 티스망 (프랑스) → 2009 하마마쓰 1차 → 2010 쇼팽 결선
2010 쇼팽 1차 Kaoru Jitsukawa (Japan) / 가오루 지스카와 (일본) → 2012 하마마쓰 3차
2010 쇼팽 2차 Hans Hyung-Min Suh (Korea) / 서형민 → 2012 하마마쓰 3차
2010 쇼팽 2차 Airi Katada (Japan) / 아이리 가타다 (일본) → 2012 하마마쓰 2차 → 2015 쇼팽 예선 → 2018 하마마쓰 1차
2010 쇼팽 1차 Aljoša Jurinić (Croatia) / 알리오샤 유리니치 (크로아티아) → 2015 쇼팽 결선 → 2018 하마마쓰 2차
쇼팽 콩쿠르에 먼저 나오고 나서 하마마쓰 콩쿠르에 나오는 경우가 과거에는 있었지만 현재는 드물다. 이럴 땐 성적이 좀 다르다. 쇼팽 콩쿠르 2차에서 미끄러진 뒤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1위나 3위에 오른 사례가 각각 2명. 하지만 하마마쓰 콩쿠르에 먼저 나오고 나서 쇼팽 콩쿠르에 나오면 어떤 성적이 나올지 가늠할 수 있다.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딴 건 몰라도 쇼팽 콩쿠르에 대해서 보는 눈은 정확하다. 그래서 탈락자들에 대한 경험치로 아주 잘 활용하고 있다.
Hamamatsu → Chopin
2000 하마마쓰 공동 2위 Dong Hyek Lim (Korea) / 임동혁 → 2005 쇼팽 공동 3위
2003 하마마쓰 1위 없는 공동 2위 Rafał Blechacz (Poland) / 라파우 블레하치 (폴란드)
2003 하마마쓰 공동 4위 Shohei Sekimoto (Japan) / 쇼헤이 세키모토 (일본) → 2005 쇼팽 공동 4위
2003 하마마쓰 공동 4위 Rina Sudo (Japan) / 리나 수도 (일본) → 2010 쇼팽 2차 → 2015 쇼팽 2차
2006 하마마쓰 장려상 Claire Huangci (USA) / 클레어 후앙치 (미국) → 2010 쇼팽 3차
2006 하마마쓰 장려상 Dinara Nadzhafova (Ukraine) / 디나라 나자포바 (우크라이나) → 2009 하마마쓰 1차 → 2015 쇼팽 3차
2006 하마마쓰 1차 Da Sol Kim (Korea) / 김다솔 → 2010 쇼팽 2차
2009 하마마쓰 1위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 2015 쇼팽 1위
2009 하마마쓰 4위 François Dumont (France) / 프랑수아 뒤몽 (프랑스) → 2010 쇼팽 5위
2009 하마마쓰 2차 Antoine de Grolée (France) / 앙투안 드 그롤레 (프랑스) → 2010 쇼팽 1차
2009 하마마쓰 2차 Tamila Salimdjanova (Uzbekistan) / 타밀라 살림자노바 (우즈베키스탄) → 2015 쇼팽 1차
2009 하마마쓰 1차 Alexia Mouza (Greece/Venezuela) / 알렉시아 무자 (그리스/베네수엘라) → 2015 쇼팽 2차 → 2015 하마마쓰 공동 3위
2012 하마마쓰 2위 Nozomi Nakagiri (Japan) / 노조미 나카기리 (일본) → 2015 쇼팽 1차
2012 하마마쓰 3차 Roman Martynov (Russia) / 로만 마르티노프 (러시아) → 2015 쇼팽 1차
2012 하마마쓰 장려상 Ashley Fripp (Great Britain) / 애슐리 프립 (영국) → 2015 쇼팽 1차 → 2015 하마마쓰 1차
2012 하마마쓰 2차 Alexei Tartakovski (USA) / 알렉세이 타르타코프스키 (미국) → 2015 쇼팽 3차 → 2015 하마마쓰 1차 기권 → 2018 하마마쓰 1차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최상위가 아닌 이상 쇼팽 콩쿠르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 순위는 그보다 한 계단 아래라고 보면 된다. 하마마쓰 콩쿠르 4위까지만 쇼팽 콩쿠르 입상이 가능하고 그 밑으로는 전부 탈락이다.
18회 쇼팽 콩쿠르 참가자
Kai-Min Chang (Taiwan) / 카이민 창 (대만)
2018 하마마쓰 1차
Han Chen (Taiwan) / 한 첸 (대만)
2015 하마마쓰 1차
Airi Katada (Japan) / 아이리 가타다 (일본)
2010 쇼팽 2차
2012 하마마쓰 2차
2015 쇼팽 예선
2018 하마마쓰 1차
Alexander Gadjiev (Italy/Slovenia)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슬로베니아)
2015 하마마쓰 1위
Ana Gogava (Georgia) / 아나 고가바 (조지아)
2018 하마마쓰 1차
Jun Ho Kim (Korea) / 김준호
2018 하마마쓰 1차
Hyuk Lee (Korea) / 이혁
2018 하마마쓰 3위
Momoko Mizutani (Japan) / 모모코 미즈타니 (일본)
2006 하마마쓰 2차
2009 하마마쓰 1차
Mayaka Nakagawa (Japan) / 마야카 나카가와 (일본)
2015 쇼팽 2차
2018 하마마쓰 1차
Kazuya Saito (Japan) / 가즈야 사이토 (일본)
2012, 2015, 2018 하마마쓰 1차
Mitsuyuki Marcel Tadokoro (France) / 미쓰유키 마르셀 다도코로 (프랑스)
2018 하마마쓰 2차
Tomoharu Ushida (일본)
Biguo Xing (China) / 비구오 싱 (중국)
2018 하마마쓰 1차
Andrei Zenin (Russia) / 안드레이 제닌 (러시아)
2018 하마마쓰 3차
마치 18회 쇼팽 콩쿠르에서 알렉산더 가지예프 1위, 도모하루 우시다 3위, 이혁 4위가 될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결선 전에 탈락할 수도 있다. 가지예프의 종착역은 내가 볼 때 쇼팽 콩쿠르가 아닌데... 그 전에 입상해서 다른 길로 빠질 가능성도 생각.
한편 하마마쓰 콩쿠르와 비슷한 성격의 대회가 지금은 사라진 하마마쓰 아카데미 콩쿠르 말고 이미 유럽에 있다. 초창기에는 우승하면 멈추기도 했지만 지금은 큰 대회로 가기 전에 거쳐 가는 대회라고 보면 된다.
Concours internationaux d'execution musicale de Genève [Selection]
제네바 국제음악콩쿠르는 1939년 제네바 음악원의 원장이며 작곡가인 앙리 가뉴방에 의하여 발족한 국제적인 음악 연주 콩쿠르이다. 매년 8월 말부터 9월에 걸쳐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되며 지금까지 우수한 음악가를 많이 배출하고 있다. 대부분의 음악 콩쿠르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생기거나 활발해졌는데, 제네바 음악 콩쿠르 역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5년부터 본격적인 국제적인 활동을 해오고 있다. 매년 1회 개최되며 분야는 4종목 정도의 콩쿠르를 실시한다. 피아노 · 성악 · 현악 등을 주로 하나 일정하지 않고 연도에 따라 종목이 다르다. 이 콩쿠르는 피아노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클라리넷, 오보에 등 다양한 악기군과 더불어 성악과 지휘, 앙상블까지 폭넓은 분야에 걸쳐 열리고 있다. 특히 아르투로 미켈란젤리가 19세의 나이로 이 콩쿠르에서 우승할 때 심사위원이던 알프레도 코르토(1877~1962)는 ‘새로운 리스트의 탄생’이라며 격찬했다.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16세 때인 1957년에 3주 간격으로 부조니 콩쿠르와 제네바 콩쿠르에서 연속 우승하면서 스타덤에 올랐다.
01회 1939
1위 Arturo Benedetti-Michelangeli (Italy) / 아르투로 베네데티-미켈란젤리 (이탈리아)
03회 1941
공동 2위 Georg Solti (Hungary) / 게오르크 솔티 (헝가리)
04회 1942
1위 Georg Solti (Hungary) / 게오르크 솔티 (헝가리)
08회 1946
1위 Friedrich Gulda (Austria) / 프리드리히 굴다 (오스트리아)
09회 1947
공동 2위 Sergio Fiorentino (Italy) / 세르지오 피오렌티노 (이탈리아)
10회 1948
1위 없는 공동 2위 Béla Siki (Hungary) / 벨라 시키 (헝가리)
1위 없는 공동 2위 Maria Tipo (Italy) / 마리아 티포 (이탈리아)
11회 1949
공동 1위 Maria Tipo (Italy) / 마리아 티포 (이탈리아)
공동 2위 Ronald Smith (UK) / 로널드 스미스 (영국)
12회 1950
1위 없는 공동 2위 Sergio Perticaroli (Italy) / 세르지오 페르티카롤리 (이탈리아) - 1952 부조니 1위
13회 1951
1위 없는 공동 2위 Alexander Jenner (Austria) / 알렉산더 예너 (오스트리아)
1위 없는 공동 2위 Ronald Smith (UK) / 로널드 스미스 (영국)
14회 1952
1위 없는 공동 2위 Ingrid Haebler (Austria) / 잉그리드 해블러 (오스트리아)
1위 없는 공동 2위 Alexander Jenner (Austria) / 알렉산더 예너 (오스트리아)
15회 1953
공동 2위 Ingrid Haebler (Austria) / 잉그리드 해블러 (오스트리아)
16회 1954
1위 Bernard Ringeissen (France) / 베르나르 링게상 (프랑스) - 1955 쇼팽 4위, 1955 롱-티보 1위 없는 공동 2위, 1962 리우데자네이루 1위
공동 2위 Hans Graf (Austria) / 한스 그라프 (오스트리아)
공동 2위 Cécile Ousset (France) / 세실 우세 (프랑스) - 1954 비오티 공동 2위, 1955 비오티 1위, 1956 퀸엘리자베스 4위, 1959 부조니 1위 없는 공동 2위, 1962 클라이번 4위
17회 1955
1위 없는 공동 2위
Malcolm Frager (USA) / 맬컴 프레이저 (미국) - 1960 퀸엘리자베스 1위
Gabriel Tacchino (France) / 가브리엘 타키노 (프랑스)
19회 1957
공동 1위 Martha Argerich (Argentina) /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헨티나) - 1965 쇼팽 1위
공동 1위 Dominique Merlet (France) / 도미니크 메를레 (프랑스)
공동 2위 Maurizio Pollini (Italy) /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
20회 1958
만장일치 1위 없는 공동 2위 Maurizio Pollini (Italy) /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 - 1960 쇼팽 1위
만장일치 1위 없는 공동 2위 Ronald Turini (Canada) / 로널드 투리니 (캐나다) - 1960 퀸엘리자베스 2위
21회 1959
공동 2위 Michael Ponti (USA) / 마이클 폰티 (미국)
25회 1963
1위 없는 공동 2위 Alberto Colombo (Italy) / 알베르토 콜롬보 (이탈리아)
30회 1968
1위 없는 공동 2위 Jean-Claude Pennetier (France) / 장-클로드 펜티에 (프랑스)
31회 1969
만장일치 2위 Christian Zacharias (Germany) / 크리스티안 차하리아스 (독일) - 1973 클라이번 2위, 라벨 1위
33회 1971
1위 없는 2위 David Lively (USA) / 데이비드 라이블리 (미국) - 1971 롱-티보 5위, 1972 퀸엘리자베스 4위, 1974 차이코프스키 공동 6위, 디노 치아니 1위
34회 1972
1위 없는 공동 2위 Martino Tirimo (UK) / 마르티노 티리모 (영국)
38회 1976
1위 Tatiana Shebanova (Russia) / 타티아나 셰바노바 (러시아) - 1980 쇼팽 2위
공동 2위 Pierre-Laurent Aimard (France) / 피에르-로랑 애마르 (프랑스)
42회 1980
1위 없는 공동 2위 Francesco Nicolosi (Italy) / 프란체스코 니콜로지 (이탈리아)
44회 1982
2위 Daniel Blumenthal (USA) / 다니엘 블루멘탈 (미국)
46회 1984
1위 없는 2위 Hideyo Harada (Japan) / 히데요 하라다 (일본)
48회 1986
1, 2위 없는 공동 3위
Aleksandar Madžar (Serbia) / 알렉산다르 마자르 (세르비아) - 1989 부조니 1위 없는 2위, 1996 리즈 3위, 1997 밀라노 움베르토 미켈리 1위
Ikuyo Nakamichi (Japan) / 이쿠요 나카미치 (일본) - 1987 퀸엘리자베스 5위
50회 1988
1, 2위 없는 공동 3위
Kaya Han (Korea) / 한가야
Makoto Ueno (Japan) / 마코토 우에노 (일본)
52회 1990
1위 Nelson Goerner (Argentina) / 넬손 괴르너 (아르헨티나) - 1995 쇼팽 7등
58회 1996
공동 3위
Cédric Tiberghien (France) / 세드릭 티베르기엥 (프랑스) - 1998 롱-티보 1위
Yong-Kyu Lee (Korea) / 이용규
63회 2002
3위 Yuma Osaki (Japan) / 유마 오사키 (일본) - 2003 리즈 3위, 2005 쇼팽 결선, 2006 모로코 2위
66회 2005
1위 없는 2위 Louis Schwizgebel-Wang (Switzerland) / 루이 슈비츠게벨-왕 (스위스) - 2007 뉴욕 신예연주가 공동 1위, 2012 리즈 2위
67회 2006
1위 없는 공동 2위 Yulianna Avdeeva (Russi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러시아) - 2007 파데레프스키 2위, 2010 쇼팽 1위
69회 2008
1위 없는 공동 2위 Hannes Minnaar (The Netherlands) / 안네스 미나르 (네덜란드) - 2010 퀸엘리자베스 3위, 2011 리옹 실내악 콩쿠르 1위, 2013 ARD 콩쿠르 피아노 트리오 부문 1위 없는 공동 2위
3위 Da Sol Kim (Korea) / 김다솔 - 2010 퀸엘리자베스 6위, 2011 ARD 3위, 2012 게자 안다 2위, 2012 바트 키싱엔 공동 1위, 2015 뉴욕 신예연주가 공동 1위, 2017 클라이번 심사위원 재량상, 2019 하얼빈 3위
71회 2010
1위 Mami Hagiwara (Japan) / 마미 하기와라 (일본)
공동 2위 Hyo-Joo Lee (Korea) / 이효주
세미파이널리스트 (Top 8) Jae-Yeon Won (Korea) / 원재연 - 2012 롱-티보 5위, 2017 부조니 2위
73회 2012
1위 Lorenzo Soulès (France) / 로렌조 술레 (프랑스)
폴 스트라이트 특별상 Jeung-Buem Sohn (Korea) / 손정범 - 2013 윤이상 3위, 2014 서울 4위, 2017 ARD 1위, 2019 저먼 국제피아노어워드 1위
75회 2014
1위 Ji-Yeong Mun (Korea) / 문지영 - 2015 부조니 1위
3위 Honggi Kim (Korea) / 김홍기 - 2018 하엔 1위
79회 2018
공동 1위
Théo Fouchenneret (France) / 테오 푸쉐네레 (프랑스)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 2019 차이코프스키 공동 2위
세미파이널리스트 (Top 8) Konstantin Emelyanov (Russia) / 콘스탄틴 에멜리아노프 (러시아) - 2019 차이코프스키 공동 3위
게오르크 솔티는 지휘자로 유명한 사람이고 미켈란젤리와 굴다는 아르헤리치의 스승이다. 제네바 콩쿠르는 쇼팽 콩쿠르 우승자를 3명 배출했다.
Concorso Internazionale di Musica Viotti [Selection]
비오티 콩쿠르는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였던 Gian (Giovanni) Battista Viotti(1755–1824)의 이름을 따서 만든 대회로, 이탈리아 베르첼리에서 2년마다 열린다. 바이올리니스트 Joseph Robbone에 의해서 1950년에 창설되어 1957년에 국제 콩쿠르에 등록되었다. 개최 분야는 피아노, 성악, 바이올린, 실내악, 오보에, 기타, 무용, 작곡 등이다. 피아노 부문 참가 연령은 30세 이하.
피아노 부문 말고 다른 부문의 입상자 명단은 확보하지 못했다. Luigi Alva, Claudio Abbado, Luciano Pavarotti, Mirella Freni, Nicola Martinucci, Salvatore Accardo, Renato Bruson, Piero Cappuccilli, Raina Kabaivanska, 조수미 등을 배출하였다.
03회 1952
공동 3위 Alexander Jenner (Austria) / 알렉산더 예너 (오스트리아)
공동 3위 Andrzej Wasowski (Poland) / 안제이 바소프스키 (폴란드)
04회 1953
공동 1위 Joaquín Achúcarro (Spain) / 호아킨 아추카로 (스페인)
공동 1위 Gabriel Tacchino (France) / 가브리엘 타키노 (프랑스)
05회 1954
그랑프리 Daniel Barenboim (Argentina/Israel) / 다니엘 바렌보임 (아르헨티나/이스라엘)
공동 2위 Cécile Ousset (France) / 세실 우세 (프랑스)
06회 1955
1위 Cécile Ousset (France) / 세실 우세 (프랑스) - 1956 퀸엘리자베스 4위, 1959 부조니 1위 없는 공동 2위, 1962 클라이번 4위
2위 Alberto Colombo (Italy) / 알베르토 콜롬보 (이탈리아) - 1957 부조니 5위
파이널리스트 (Top 8) Claudio Abbado (Italy) / 클라우디오 아바도 (이탈리아)
10회 1959
1위 없는 공동 2위 John Perry (USA) / 존 페리 (미국)
14회 1963
공동 2위 Dag Achatz (Sweden) / 다그 아하츠 (스웨덴)
15회 1964
1위 François-Joël Thiollier (USA) / 프랑수아-조엘 티올리에 (미국) - 1965 에토레 포촐리 1위, 1966 차이코프스키 공동 6위, 1967 롱-티보 7위, 1968 퀸엘리자베스 6위
공동 2위 Rafael Orozco Flores (Spain) / 라파엘 오로스코 플로레스 (스페인) - 1964 하엔 1위, 1966 리즈 1위
17회 1966
공동 1위 Klaus Hellwig (Germany) / 클라우스 헬비히 (독일)
18회 1967
1위 Jacques Rouvier (France) / 자크 루비에 (프랑스)
공동 2위 Catherine Collard (France) / 카트린 콜라르 (프랑스)
23회 1972
공동 2위 Olivier Gardon (France) / 올리비에 가르동 (프랑스)
공동 3위 Ramzi Yassa (Egypt) / 람지 야사 (이집트)
24회 1973
1위 없는 공동 2위 Pascal Devoyon (France) / 파스칼 드바이옹 (프랑스) - 1974 부조니 2위, 1975 리즈 공동 3위, 1978 차이코프스키 공동 2위
25회 1974
1위 없는 공동 2위 Pierre-Laurent Aimard (프랑스)
26회 1975
공동 1위 Arnulf von Arnim (Germany) / 아르눌프 폰 아르님 (독일) - 1977 마리아 카날스 1위, 1978 부조니 3위
공동 2위 Boris Bloch (Ukraine/USA) / 보리스 블로흐 (우크라이나/미국) - 1975 하엔 1위, 1975 에토레 포촐리 공동 1위, 1976 뉴욕 신예연주가 공동 1위, 1978 부조니 1위
28회 1977
공동 1위 Ewa Pobłocka (Poland) / 에바 포브워츠카 (폴란드) - 1980 쇼팽 공동 5위
공동 1위 Erik Berchot (France) / 에릭 베르쇼 (프랑스) - 1978 마리아 카날스 2위, 1979 롱-티보 4위, 1980 쇼팽 공동 6위, 1985 뉴욕 신예연주가 공동 1위
29회 1978
공동 1위 Pavel Gililov (Ukraine/Austria/Germany) / 파벨 길릴로프 (우크라이나/오스트리아/독일)
공동 1위 Angela Hewitt (캐나다) - 1979 로베르 카사드쉬(현재 클리블랜드) 3위, 1980 디노 치아니 1위 없는 공동 2위, 1985 토론토 글렌 굴드 기념 바흐 콩쿠르 1위
공동 2위 Jean-Yves Thibaudet (France) / 장-이브 티보데 (프랑스) - 1979 로베르 카사드쉬(현재 클리블랜드) 2위, 1980 일본 국제음악콩쿠르 1위 없는 2위, 1981 뉴욕 신예연주가 공동 1위
31회 1980
공동 2위 Claudius Tanski (Germany) / 클라우디우스 탄스키 (독일)
32회 1981
2위 Rita Kinka (Serbia) / 리타 킹카 (세르비아) - 1985 시드니 8위, 1991 퀸엘리자베스 11위, 1996 오를레앙 20세기 피아노 음악 콩쿠르 3위
33회 1982
1위 없는 2위 Thomas Duis (Germany) / 토마스 뒤스 (독일) - 1985 시드니 3위, 1986 텔아비브 루빈스타인 1위 없는 2위, 1986 지나 박하우어 2위, 1987 ARD 3위
34회 1983
2위 없는 공동 3위 Olivier Cazal (France) / 올리비에 카잘 (프랑스)
35회 1984
1위 Oleg Volkov (Russia) / 올렉 볼코프 (러시아) - 1989 일본 국제음악콩쿠르 3위, 1990 윌리엄 카펠 3위
실내악 부문 (Chamber Ensemble) 1위 Vladimir Ovchinnikov (Russia) /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러시아) - 1987 리즈 1위
36회 1985
1위 Mi-Joo Lee (Korea) 이미주 - 1986 일본 국제음악콩쿠르 4위, 1987 엘리자베스 6위
38회 1987
3위 Hie-Yon Choi (Korea) / 최희연 - 1990 부조니 4위, 1992 윌리엄 카펠 2위, 1993 에피날 3위, 1997 클라라 하스킬 결선, 1998 마리아 칼라스 그랑프리 1위
40회 1989
1위 Igor Kamenz (Russia/Germany) / 이고르 카멘츠 (러시아/독일) - 1989 부조니 4위, 1991 비안나 다 모타 1위 없는 공동 2위, 1991 부조니 1위 없는 공동 2위, 1993 브레멘 유럽피아노콩쿠르 1위 없는 공동 2위, 1996 부다페스트 리스트 2위, 1996 부조니 공동 5위, 1998 하엔 2위
공동 3위 Roberto Corlianò (Italy) / 로베르토 코를리아노 (이탈리아) - 1994 미주리 서던 2위, 1997 마우로 파올로 모노폴리 1위 없는 공동 2위, 2000 루치아노 간테 2위, 2000 칸투 고전파 부문 3위, 2001 마우로 파올로 모노폴리 공동 1위, 2001 아르칸젤로 스페란차 1위, 2001 칼라브리아 1위, 2001 로마 쇼팽 1위, 2002 칸투 낭만파 부문 공동 1위, 2002 마르살라 3위, 2003 술모나 1위
공동 3위 Giampaolo Stuani (Italy) / 잠파올로 스투아니 (이탈리아) - 1990 아르칸젤로 스페란차 1위, 1990 리나 살라 갈로 1위, 1990 부조니 5위, 1991 칼타니세타 벨리니 공동 1위, 1991 하마마쓰 공동 5위, 1992 남아공 우니사 6위, 1993 에피날 2위, 1993 디노 치아니 3위, 1993 나폴리 카셀라 1위, 1993 부조니 6위, 1994 지나 박하우어 6위, 1995 글래스고 스코티시 1위, 1995 클리블랜드 4위, 1996 윌리엄 카펠 3위, 2004 푀르차흐 브람스 1위
42회 1991
2위 Luca Ballerini (Italy) - 1994 게자 안다 3위
43회 1992
3위 Maria Clementi (Italy) / 마리아 클레멘티 (이탈리아) - 1998 칸투 협주곡 콩쿠르 고전파 부문 공동 1위
44회 1993
그랑프리 Vadim Rudenko (Russia) / 바딤 루덴코 (러시아) - 1994 차이코프스키 공동 3위, 1998 차이코프스키 2위
45회 1994
공동 3위 Cristiano Burato (Italy) / 크리스티아노 부라토 (이탈리아) - 1995 칼리아리 엔니오 포리노 1위
46회 1995
1위 없는 2위 Alexandar Serdar (Serbia) / 알렉산다르 세르다르 (세르비아)
공동 3위 Cristiano Burato (Italy) / 크리스티아노 부라토 (이탈리아) - 1996 하엔 1위, 1996 시드니 4위, 1996 디노 치아니 만장일치 그랑프리, 1997 런던 2위, 2000 리즈 4위
공동 3위 Etsuko Hirose (Japan) / 에츠코 히로세 (일본) - 1997 ARD 공동 3위, 1999 아르헤리치 공동 1위, 2001 하마마쓰 아카데미 2위
47회 1996
1위 Eun-Joo Chung (Korea) / 정은주 - 2001 도르트문트 슈베르트 2위, 2002 신시내티 금메달
2위 Olga Kern (Russia/USA) / 올가 케른 (러시아/미국) - 1996 남아공 우니사 4위, 1999 중국 국제피아노콩쿠르 4위, 1999 디노 치아니 3위, 1999 피네롤로 1위, 2000 칸투 그랑프리, 2000 하마마쓰 3위, 2001 모로코 1위, 2001 클라이번 공동 1위
50회 1999
1위 Ayako Kimura (Japan) / 아야코 기무라 (일본) - 2000 부조니 1~2위 없는 공동 3위, 2001 글래스고 스코티시 3위, 2001 롱-티보 5위,
2위 Alessandra Maria Ammara (Italy) / 알레산드라 마리아 아마라 (이탈리아) - 1999 하엔 2위, 2000 호넨스 3위, 2002 마리아 칼라스 그랑프리 3위
3위 Davide Franceschetti (Italy) / 다비데 프란체스케티 (이탈리아) - 2000 리즈 2위
51회 2000
1위 없는 공동 2위 Davide Cabassi (Italy) / 다비데 카바시 (이탈리아) - 2002 칸투 고전파 부문 3위, 2002 루치아노 간테 공동 2위, 2003 루치아노 간테 결선, 2005 클라이번 결선
공동 3위 Dong Min Lim (Korea) / 임동민 - 2001 부조니 3위, 2002 차이코프스키 4위 없는 공동 5위, 2004 프라하의 봄 2위, 2005 쇼팽 2위 없는 공동 3위
공동 3위 Jeanne Ji-Yeoun You (Korea) / 유지연 - 2001 푀르차흐 브람스 2위
52회 2001
1위 Hisako Kawamura (Japan) / 히사코 가와무라 (일본) - 2001 상하이 5위, 2002 피아노 캠퍼스 2위, 2002 알레산드로 카사그란데 1위, 2003 게자 안다 3위, 2005 하마마쓰 아카데미 공동 4위, ARD 공동 2위, 2007 퀸엘리자베스 입상, 2007 클라라 하스킬 1위
53회 2002
최연소 1위 Yeol Eum Son (Korea) / 손열음 - 2005 하마마쓰 아카데미 1위, 2005 텔아비브 루빈스타인 3위, 2005 쇼팽 결선, 2008 바트 키싱엔 올림피아드 1위, 2009 클라이번 2위, 2011 차이코프스키 2위
2위 Ekaterina Mechetina (Russia) / 에카테리나 메체티나 (러시아) - 2003 피네롤로 1위, 2004 신시내티 금메달
54회 2003
1위 Hyo-Sun Lim (Korea) / 임효선 - 2004 힐턴 헤드 특별상, 2005 비엔나 베토벤 6위, 2006 LA 한국국제음악재단 1위, 2005 본 텔레콤 베토벤 실내악 특별상, 2006 하마마쓰 모차르트 상, 2007 퀸엘리자베스 5위, 2008 서울 공동 4위, 2011 프랑스 일자흐 실내악 콩쿠르 피아노 트리오 부문 1위, 2012 바이마르 요제프 요아힘 실내악 콩쿠르 피아노 트리오 부문 1위, 2012 비엔나 하이든 실내악 콩쿠르 피아노 트리오 부문 1위
55회 2004
1위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 2007 차이코프스키 6위, 2016 아르칸젤로 스페란차 1위, 2016 발세시아 공동 1위, 2016 루치아노 루치아니 1위, 2017 그로세토 스크리아빈 1위, 2017 장 프랑세 1위, 2017 라 팔마 도로 공동 2위, 2017 안토니오 나폴리타노 공동 2위, 2017 그라나다 마리아 헤레로 3위, 2018 비고 공동 3위, 2018 올레지오 1위, 2020 아딜리아 알리예바 2위
58회 2007
1위 Martina Filjak (Croatia) / 마르티나 필리아크 (크로아티아) - 2008 마리아 카날스 1위, 2008 남아공 우니사 5위, 2009 클리블랜드 1위, 2009 에판 아카데미 1위
62회 2011
1위 Alexey Lebedev (Russia) / 알렉세이 레베데프 (러시아) - 콩쿠르 마감
3위 Artyom Yasynskiy (Ukraine) / 아르템 야진스키 (우크라이나) - 2013 센다이 3위, 2014 지나 박하우어 3위, 2015 신시내티 금메달, 2015 호넨스 결선, 2016 맨해튼 온라인 1위, 2017 트롬쇠 탑 오브 더 월드 3위
64회 2013
1위 Jonathan Fournel (France) / 조나탕 푸르넬 (프랑스) - 2014 글래스고 스코티시 1위
2위 없는 공동 3위 Alexander Panfilov (Russia) / 알렉산더 판필로프 (러시아) - 2014 로마 아카데미 어워드 1위, 2014 제임스 모트람 1위, 2015 헤이스팅스 1위, 2016 하엔 1위, 2016 리나 살라 갈로 1위, 2018 하얼빈 2위, 2018 에네스쿠 3위, 2019 트롬쇠 탑 오브 더 월드 1위, 2019 모스크바 피아노 오픈 2위
2위 없는 공동 3위 Alexey Sychev (Russia) / 알렉세이 시체프 (러시아) - 2014 알레산드로 카사그란데 3위, 2014 발 티도네 벵갈리 3위, 2014 칠레 비냐델마르 닥터 루이스 시갈 1위, 2015 하엔 2위, 2015 바이마르 리스트 1위, 2016 베를린 온라인 은메달, 2017 베를린 데뷔 2위, 2018 마리아 카날스 3위, 2018 더블린 3위, 2019 아르헨티나 투쿠만 1위, 2019 마리오 찬피 상 파르마 리스트 공동 1위
66회 2015
1위 Ilya Maximov (Russia) / 일리야 막시모프 (러시아)
68회 2017
1위 Konstantin Emelyanov (Russia) / 콘스탄틴 에멜리아노프 (러시아) - 2017 쑤저우 진지 호 4위, 2019 차이코프스키 공동 3위
공동 2위 Shiori Kuwahara (Japan) / 시오리 구와하라 (일본) - 2019 부조니 2위
공동 2위 Ching Toa Aristo Sham (Hong Kong) / 아리스토 칭토아 삼 (홍콩) - 2017 생프리스트 2위, 2018 더블린 4위, 2018 지나 박하우어 2위, 2019 알레산드로 카사그란데 1위, 2019 아르헨티나 투쿠만 2위
70회 2019
1위 Ziyu Liu (China) / 지유 류 (중국)
2위 Hans Hyung-Min Suh (Korea) / 서형민
비오티 콩쿠르는 리즈, 부조니, 클리블랜드, 클라이번, 클라라 하스킬 콩쿠르 등의 우승자를 배출하였다.
제네바 콩쿠르나 비오티 콩쿠르나 꼭 미래의 큰 대회 우승자를 발굴한다기보다는 앞으로 잘 될 재목을 뽑는 취지에 가깝다. 4부는 이틀 걸렸다. 과거의 입상자들을 보면 나중에 잘 나가는 연주자들을 꽤 배출하였다. 그건 내가 그런 사람들을 판단해서 추려서 그렇게 보이는 것도 있다. (한국과 일본은 꼭 주요하지 않더라도 최초 우승자인 경우에는 이름과 함께 이후의 입상 경력을 찾아서 넣었다.)
5부는 없다. 이만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