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24일 금요일

DG / Anne-Sophie Mutter & Friends - Schubert Trout Quintet (Live) 2017




https://www.youtube.com/watch?v=dtAAq7PDzQg&list=PLMm9m6dhCpc5SyTSyUKz_UPRMuudbH7j5

https://www.youtube.com/watch?v=e66dp7tBBls&t=5s

https://www.youtube.com/watch?v=rPiT5n1PjIw


바이올린의 여제 안네-조피 무터와 젊은 클래식 연주자들이 함께한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 송어]

2011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우승자 다닐 트리포노프 & 한국인 비올리스트 이화윤 참여!


“흉내 낼 수조차 없는 연주” - 시카고 트리뷴


“무결점의 아름다움” - BBC 뮤직 매거진


2016년에 데뷔 40주년을 맞은 바이올린의 여제 안네-조피 무터의 새 앨범. 이번 앨범은 슈베르트의 실내악을 담은 앨범으로 슈베르트의 작품 중 가장 인기 있는 작품들인 피아노 오중주 D.667 ‘송어’, 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노투르노’ D.897,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가곡 편곡 ‘세레나데’와 ‘아베마리아’가 담겼다. 특별히, 이번 앨범에는 2011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우승자 피아니스트 다닐 트리포노프가 함께 참여했으며 무터 재단 출신의 젊은 아티스트들이 함께 참여했다. 독일 첼리스트 막시밀리안 호르눙, 베이시스트 로만 팟콜로 그리고 한국인 비올리스트인 이화윤이 함께했다.


Anne-Sophie Mutter, violin

Daniil Trifonov, piano

Hwayoon Lee, viola

Maximilian Hornung, cello

Roman Patkoló, double bass



Track

01 Piano Quintet in A, Op. 114 (D. 667) 'The Trout': 1. Allegro vivace / 피아노 퀸텟 <송어>

02 Piano Quintet in A, Op. 114 (D. 667) 'The Trout': 2. Andante

03 Piano Quintet in A, Op. 114 (D. 667) 'The Trout': 3. Scherzo (Presto)

04 Piano Quintet in A, Op. 114 (D. 667) 'The Trout': 4. Thema. Andantino - Variazioni I-V

05 Piano Quintet in A, Op. 114 (D. 667) 'The Trout': 5. Finale (Allegro giusto)

06 Piano Trio in Eb, Op. 148 (D. 897) 'Notturno' / 피아노 트리오 <노투르노>

07 Schwanengesang, D. 957 No. 4 Standchen in d (arr. for violin & piano by Mischa Elman) / 백조의 노래 중 세레나데 (미샤 엘만 편곡)

08 Ellens Gesang III, Op. 52 No. 6 (D. 839): Ave Maria in Bb (arr. for violin & piano by August Wilhelmj & Jascha Heifetz) / 엘렌의 세 번째 노래 중 아베마리아 (아우구스트 빌헬미 및 야샤 하이페츠 편곡)



Anne-Sophie Mutter: I was actually stalking Daniil for a few years, particularly when he did his four Rachmaninoff concerti with the Paganini Variations. It was a more or less spontaneous idea. “The Trout” is one of the great pieces in the repertoire, and Schubert sadly has written very little for violin. “The Trout” also gave a possibility not only to work with Daniil, but also to include a few of my wonderful colleagues who have gone through the tutoring of my Foundation. Maximilian Hornung, a fantastic German cellist. Also Roman Patkoló, the bass player. And then we have Hwayoon Lee, viola player from Korea. It’s great to have many viewpoints, many different cultural roots coming together, in this collaboration.


Anne-Sophie Mutter: Ich wollte schon seit ein paar Jahren etwas mit Daniil machen, vor allem seit seinen Konzerten mit Rachmaninows »Paganini-Variationen«. Eigentlich war es eine spontane Idee. Das »Forellen-Quintett« ist eines der großartigsten Werke aller Zeiten. Lieder hat Schubert nur sehr wenige Stücke für Geige geschrieben. Das »Forellen-Quintett« bot nicht nur die Chance, mit Daniil zu arbeiten, sondern auch mit einigen wunderbaren Kollegen, die das Förderprogramm meiner Stiftung absolviert haben. Maximilian Hornung, ein fabelhafter deutsche Cellist. Roman Patkoló am Kontrabass. Und Hwayoon Lee, eine Bratschistin aus Korea. Es ist sehr schön, wenn viele verschiedene Blickwinkel, viele verschiedene Kulturtrditionen in einem Projekt zusammenkommen.


안네-조피 무터 : 저는 사실 다닐을 몇 년 동안 쫓아다니면서 괴롭히고 있었는데, 특히 그가 4개의 라흐마니노프 협주곡과 파가니니 변주곡을 연주할 때 그랬어요. 다소 즉흥적인 생각이었죠. <송어>는 레퍼토리에서 가장 위대한 곡 중 하나이며, 슈베르트는 슬프게도 바이올린을 위한 곡을 거의 쓰지 않았어요. <송어>는 또한 다닐과 함께 일할 가능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 재단의 개인 지도를 거친 훌륭한 동료 몇 명도 포함할 수 있었어요. 굉장한 독일 첼리스트 막시밀리안 호르눙. 베이스 연주자인 로만 랏콜로도 있어요. 그리고 한국의 비올라 연주자 이화윤이 있죠. 이 공동 작업에는 다양한 관점, 다양한 문화적 뿌리가 함께 하는 것이 좋아요. (저는 특히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변주곡과 함께 그의 협주곡 연주 이후로 몇 년 동안 다닐과 함께 뭔가 하고 싶었어요. 사실 뜬금없는 생각이었죠. <송어 퀸텟>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슈베르트는 바이올린을 위한 곡을 몇 개만 작곡했죠. <송어 퀸텟>은 다닐과 함께 일할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제 재단의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완료한 훌륭한 동료들과도 함께 할 기회를 제공했어요. 독일의 천재 첼리스트 막시밀리안 호르눙. 더블베이스의 로만 랏콜로. 그리고 한국의 비올리스트 이화윤. 다양한 관점, 다양한 문화적 전통이 하나의 프로젝트에 합쳐지는 것은 매우 좋은 일입니다.)


Daniil Trifonov: To me the music of Schubert has bee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s in classical music. When I first learned that Anne-Sophie wanted to record this music, I was incredibly happy.


Daniil Trifonov: Schuberts Werke waren für mich schon immer einer der wichtigsten Beiträge zur Geschichte der klassischen Musik. Als ich hörte, dass Anne-Sophie diese Musik aufnehmen wollte, war ich überglücklich.


다닐 트리포노프 : 제게 슈베르트의 음악은 클래식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입니다. 안네-조피가 이 음악을 녹음하길 원한다는 것을 처음 알았을 때, 엄청나게 기뻤어요. (제게 슈베르트의 작품은 항상 클래식 음악의 역사에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였습니다. 안네-조피가 이 음악을 녹음하고 싶다는 말을 들었을 때, 전 정말 기뻤어요.)


Anne-Sophie Mutter: I hope you still are! From my perspective as a violinist it always seems that it’s particularly difficult to find a symbiotic level of sound/space between the piano and the violin. I’ve always enjoyed chamber music, but I do enjoy it more and more. Because it’s much more intimate and much more spontaneous. When we played “The Trout” a few times it was always different – that’s great fun. But with an orchestra, it’s not that easy to be that fast...


Anne-Sophie Mutter: Ich hoffe, das bist du immer noch! Aus meiner Perspektive als Geigerin erscheint es immer besonders schwierig, die richtige symbiose zu finden im Zusammenklang von Klavier und Geige. Ich hatte immer ein Faible für Kammermusik, aber sie macht mir immer mehr Spaß. Sie ist viel intimer und spontaner. Jedes Mal, wenn wir das »Forellen-Quintett« gespielt haben, kam etwas anderes heraus. Wenn ein Orchester dabei ist, kann man nicht so schnell reagieren.


안네-조피 무터 : 여전히 당신이 그랬으면 좋겠어요!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제 관점에서는 피아노와 바이올린 사이의 공생적인 수준의 소리/공간을 찾는 것이 특히 어려운 것 같아요. 저는 항상 실내악을 좋아했지만, 점점 더 즐겨요. 훨씬 더 친밀하고 훨씬 더 자연스럽기 때문이죠. 우리가 <송어>를 몇 번 연주했을 때 항상 달랐어요. - 정말 재미있어요. 하지만 오케스트라에서는 그렇게 빨리빨리 하기가 쉽지 않죠... (바이올리니스트인 입장에서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조화에서 올바른 공생을 찾기가 항상 특히 어려운 것 같아요. 실내악에 대해 항상 약한 부분이 있었지만, 점점 더 좋아합니다. 훨씬 더 친밀하고 즉흥적입니다. <송어 퀸텟>을 연주할 때마다 다른 것이 나왔어요. 오케스트라가 있으면 그렇게 빨리 반응할 수 없거든요.)


Daniil Trifonov: Yes, perhaps, because in chamber music, there is much more a level of intimacy and transparency. And that allows for so many more solutions.


Daniil Trifonov: Ja, und Kammermusik ist immer sehr viel intimer und durchhörbarer. Dadurch hat man viel mehr Möglichkeiten.


다닐 트리포노프 : 네, 아마도 실내악에는 친밀감과 투명성이 훨씬 더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훨씬 더 많은 해결을 가능하게 하죠. (예, 실내악은 항상 훨씬 더 친밀하고 잘 들리죠. 이것은 당신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합니다.)


Anne-Sophie Mutter: “The Trout”, every time we played it – for the recording, for the rehearsals, for the concerts – there were so many details. And it’s wonderful to be able to do that even after discussing everything – the discussion hasn’t ended, because about the same subject, a few hours later, you’ve come to totally different solutions. But only with musicians who are free to make music.


Anne-Sophie Mutter: Jedes Mal, wenn wir das »Forellen-Quintett« gespielt haben, bei der Aufnahme, den Proben und Konzerten, entdeckten wir ständig neue Details. Selbst wenn alles schon geklärt scheint und wir über alles gesprochen haben – man kommt nie ans Ende, denn ein paar Stunden später findet man für dasselbe Problem eine ganz andere Lösung. Aber dazu braucht es Musiker, die wirklich Musik machen können.


안네-조피 무터 : 우리가 연주했을 때마다 <송어>에는 – 녹음을 위해, 예행연습을 위해, 콘서트를 위해 – 너무 많은 디테일이 있었어요. 그리고 모든 것을 논의한 후에도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멋지죠. - 같은 주제에 대해 몇 시간 후에 완전히 다른 해결책을 찾았기 때문에 토론이 끝나지 않았어요. 하지만 음악가만이 음악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죠. (녹음, 리허설, 콘서트 중에 <송어 퀸텟>을 연주할 때마다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디테일을 발견했어요. 모든 것이 정리된 것처럼 보이고 모든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더라도 – 몇 시간 후에 같은 문제에 대해 완전히 다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으므로 끝이 없죠.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진정으로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음악가가 필요해요.)


Daniil Trifonov: But I think also with more performing and more playing together, more possibilities open up; every time, something different happens. And that expands a certain awareness of what’s possible. Then you become more comfortable with the interpretation which reveals itself in the moment.


Daniil Trifonov: Und je öfter man ein Stück aufführt und zusammen spielt, desto mehr Möglichkeiten tun sich auf; jedes Mal passiert etwas anderes. Dadurch wird einem erst bewusst, was alles möglich ist. Und man lernt, offen zu sein für die interpretation, die im jeweiligen Moment entsteht.


다닐 트리포노프 : 하지만 더 많이 공연하고 더 많은 연주를 함께 하면 더 많은 가능성이 열린다고 생각하는데, 매번 다른 일이 일어나죠. 그리고 그것은 가능한 것에 대한 특정 인식을 확장합니다. 그러면 당신은 그 순간에 자신을 드러내는 해석에 더 편안해집니다. (그리고 더 자주 작품을 연주하고 함께 연주할수록 더 많은 가능성이 열립니다. - 매번 다른 일이 일어날 때마다. 그제야 무엇이 가능한지 깨닫게 되죠. 그리고 당신은 그 순간에 일어나는 해석에 마음을 여는 법을 배웁니다.)


Anne-Sophie Mutter: Chamber music is the most private... if you look at the late string quartets of Beethoven: The greatest pieces in music history have been written for either piano solo or for a chamber group. And the private music is the one which is the most emotional. Emotions don’t run in pale grey.


Anne-Sophie Mutter: Kammermusik ist die intimste Form der Musik. Nehmen Sie nur die späten Streichquartette von Beethoven: Die bedeutendsten Werke der Musikgeschichte wurden entweder für Soloklavier geschrieben oder für ein kammermusikensemble. Und je intimer die Musik, desto emotionaler ist sie. Gefühle gibt es nicht in Hellgrau.


안네-조피 무터 : 실내악은 가장 은밀한데... 베토벤의 후기 현악 4중주들을 보면 그렇거든요.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곡들은 피아노 독주나 실내악 그룹을 위해 작곡되었어요. 그리고 은밀한 음악이 가장 감성적입니다. 감정은 창백한 잿빛으로 흐르지 않거든요. (실내악은 가장 친밀한 형태의 음악입니다. 베토벤의 후기 현악 4중주들을 보면, 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은 피아노 독주나 실내악 앙상블을 위해 작곡되었습니다. 그리고 음악이 친밀할수록 더 감정적입니다. 엷은 회색에는 감정이 없거든요.)



Spontaneity and quick reflexes / 즉흥성 및 반응성

“Chamber music is at once the most personal and the most emotional music of all”, says Anne-Sophie Mutter. “Take the late Beethoven quartets or Schubert’s chamber music from his final years – the trios or the C major Fantasy. The greatest works of music history were written for chamber ensemble. But that’s not the only reason I’ve always loved chamber music, and love it more and more. No other music has such intimacy, allows so much spontaneity and requires such quick reflexes.” Daniil Trifonov agrees: “It demands and permits an unlimited range of hues from the pianist – gentleness and sharp attacks, the avoidance of timbral clashes, blending in with the strings. And every solution you find opens up new perspectives.”


안네-조피 무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실내악은 가장 은밀하면서도 동시에 가장 감성적인 음악입니다. 베토벤의 후기 콰르텟이나 슈베르트 말년의 실내악, 트리오 또는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C장조 환상곡을 들어보세요.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들은 실내악을 위해 쓰였죠. 그러나 그것이 제가 항상 실내악을 사랑하고 점점 더 좋아하는 유일한 이유는 아닙니다. 그런 친밀감이 있는 음악도 없고(다른 어떤 형태의 음악도 그렇게 친밀하지 않고), 그렇게 많은 즉흥성을 허용하면서도 그렇게 빠른 반응성을 요구하는 음악도 없거든요.” 다닐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피아니스트에게 실내악은 무한한 색상을 요구하고 허용합니다. - 부드러운 터치와 예리한 공격, 너무 큰 소리를 피하고, 현악기들과 조화를 이루죠. 그리고 발견된 각각의 해결책은 새로운 관점들을 열어줍니다.”


Schubert’s “Trout” Quintet, with its unusual scoring and easy-going levity, is one of his most beautiful creations in the realm of chamber music. Of course, one must be careful not to mindlessly link Schubert’s life and the music he wrote at the time. But the “Trout” Quintet cries out for such links. Though he only completed it in Vienna in autumn 1819, it is the fruit of an obviously carefree holiday that he took in Steyr that summer at the age of 22, together with one of his closest friends, the baritone Johann Michael Vogl, who was born in Steyr. Schubert’s letters wax ecstatic about the magically beautiful landscape and eight charming young ladies (“nearly all of them pretty”) in his immediate surroundings. His domestic concerts at the home of the enthusiastic amateur cellist Sylvester Paumgartner, in a circle of close friends, brought him attention and recognition. Finally, it was Paumgartner who commissioned him to write a quintet with the same scoring as Johann Nepomuk Hummel’s Piano Quintet op. 87, namely, with a double bass instead of a second violin. His patron also expressed the wish that it include his favourite song, Die Forelle (“The Trout”). Schubert fulfilled this request by inserting a set of variations, marked Andantino, as the fourth movement. This accounts for the quintet’s unusual five-movement design as well as its nickname.


슈베르트의 <송어> 퀸텟은 독특한 악보와 가벼운 무게감으로, 실내악 분야에서 그의(그가 우리에게 남긴) 가장 아름다운 작품 중 하나이다. 물론 슈베르트의 생애와 당시에 쓴 음악을 무심코 연결하지 않는 게 좋다. 그러나 <송어> 퀸텟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필요하다. 이 곡은 1819년 가을 비엔나에서 겨우 완성되었지만, 그해 여름 22세의 청년이 슈타이어에서 절친한 친구 중 한 명인 바리톤 가수 요한 미하엘 포글(슈타이어 태생)과 함께 보낸 완전히 평온한 휴가의 결실이다. 슈베르트의 편지들은 마법처럼(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풍경과 그의 바로 주변에 있는 8명의 매력적인(사랑스러운) 젊은 여성이 “거의 모두 예쁘다”라고 언급한다. 그는 열정적인 아마추어 첼리스트 질베스터 파움가르트너의 집에서 친한 친구들과 함께 연주회를 가지면서 주목과 인정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요한 네포무크 훔멜의 피아노 퀸텟 같은 악보, 즉 제2바이올린 대신 더블베이스를 사용하는 퀸텟을 작곡하도록 의뢰한 사람은 파움가르트너였다. (그리고 마침내 파움가르트너는 요한 네포무크 훔멜의 피아노 퀸텟, 즉 제2바이올린 없이 더블베이스가 있는 퀸텟을 작곡하도록 그에게 의뢰했다.) 그의 후원자는 또한 그가 가장 좋아하는 노래 <송어>를 포함하고 싶다고 말했다. 슈베르트는 4악장에 “안단티노”라고 표시된 일련의 변주곡을 삽입함으로써 이 요구를 충족시켰다. 이것은 퀸텟의 특이한 5악장 구성과 그 별명을 설명한다.


Despite a few gloomy moments of minore, nothing in Schubert’s chamber music radiates so much brightness and carefree melody, or exudes such immediate charm, as the “Trout” Quintet. To Anne-Sophie Mutter, this trout “cannot have died centuries ago. It’s as fast as an arrow, vibrant and alive. Schubert expressly omits that part of the song where the trout meets its end.” Daniil Trifonov, too, sees an incredible amount of energy in this work. Yet for all its cheerfulness, it also has moments of agitation verging on violent outbursts: “There are so many accents on the page, so many sforzandi and extreme dynamic marks. The most frequent expression mark is fortepiano. And often the sound brightens into a blinding glare.” To Trifonov, Schubert’s works as a whole are among the most significant in the literature of music: “They’re so pure, so simple in structure, so forthright in expression. Even if things get much more extreme in the late piano sonatas, here Schubert is already thinking in long phrases, in seemingly endless lines of development that must be made to cohere.”


약간의 우울한(흐린) 단조의 순간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슈베르트의 다른 어떤 실내악 작품도 <송어> 퀸텟 만큼이나 그렇게 밝고 평온하고 경쾌한 선율로 가득 차 있는 직접적인 매력을 발산하지 못한다. 안네-조피 무터에게 이 송어는 다음과 같다. “수 세기 전에 죽지 않았을 것입니다. 화살처럼 빠르고 활기차며 살아 있습니다. 슈베르트는 노래에서 송어가 죽는 부분을 명시적으로 생략했죠.” 다닐 트리포노프 역시 이 작품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본다. 하지만 근심이나 심지어 격렬한 분출의 순간에도 쾌활함을 넘어선다. “음들에 악센트, 스포르찬도(그 음을 특히 세게), 극단적인 다이내믹 표시들이 너무 많아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현 기호는 포르테피아노(세게 바로 여리게)입니다. 그러고 나서 소리가 날카로울 정도로 밝아지는 경우가 많아요.” 트리포노프에게 슈베르트의 작품들은 대체로 음악 문헌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매우 순수하고, 구조가 매우 단순하며, 표현이 매우 솔직합니다. 이것은 후기 피아노 소나타들에서 훨씬 더 분명하지만, 여기에서도 슈베르트는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는 끝없는 발전부(전개부) 선율들에서 이미 긴 프레이즈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This aspect also applies to the Notturno D 897. It was written in 1827 at the same time as the late piano trios, perhaps as a rejected slow movement for the Trio in B flat major D 898. Schubert scholars have not dealt kindly with it. Alfred Einstein, for example, found it “singularly empty”, which would be perfectly apt if it were not derogatory. It is precisely this atmosphere that impresses Daniil Trifonov: “In many respects, the way Schubert experimented with sounds in the ultrahigh piano register was an acoustical adventure in an age that had barely discovered this progressive use of the pedal. He specifically writes con pedale, and it is not only in its arpeggios that the entire work somewhat foreshadows Impressionism.” Anne-Sophie Mutter also notices the sometimes extreme realms of sound and boldness of timbre: “That’s precisely why we decided to dispense with vibrato when the theme recurs at the end with harp arpeggios in the piano. It imparts tranquillity to the entire piece, as if one were gazing across the measureless sea.”


이 측면은 <노투르노>에도 적용된다. 이 곡은 후기 피아노 트리오와 같은 시기에 1827년에 작곡되었으며, 아마도 피아노 트리오 1번에서 (쓰려다가 나중에) 버려진 느린 2악장일 것이다. 슈베르트 학자들은 이 곡을 친절히 다루지 않았다. 예를 들어 알프레드 아인슈타인은 그것이 경멸적이지 않다면 완벽하게 적절했을 “이상한 공허함”을 발견했다. (그가 이런 식으로 가치 판단을 내리길 원하지 않았다면, 반드시 틀린 것은 아닐 것이다.) 다닐 트리포노프에게 깊은 인상을 주는 것은 바로 이 분위기이다. “여러 면에서 슈베르트가 극히 높은 피아노 성부에서 소리를 실험한 방식은 페달의 진보적인 사용에 거의 익숙하지 않았던 시대의 음향적 모험이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페달 사용이 아직 그렇게 발전되지 않았기 때문에 슈베르트가 피아노의 고음역을 활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면에서 모험심이 있습니다.) 그는 구체적으로 ‘콘 페달레’(페달을 사용하여 연주)를 쓰고, 전체 작품이 인상주의를 어느 정도 예고하는(가리키는) 것은 아르페지오를 통해서만이 아닙니다.” 안네-조피 무터도 때때로 극단적인 영역의 소리와 대담한 음색에 주목한다. “바로 이것이 피아노의 하프 아르페지오로 주제가 마지막으로 반복될 때 우리가 비브라토(연주에서 목소리나 악기의 소리에 떨림을 주어 그 소리를 풍부하게 만드는 기교)를 생략(포기)하기로 한 (결정적) 이유입니다. 마치 끝없는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모든 것이 고요해집니다.”


The two Schubert arrangements by Jascha Heifetz and Mischa Elman have been lightly “re-arranged” by Anne-Sophie Mutter and Daniil Trifonov. Heifetz added Ave Maria to his repertoire in 1917 and played it no fewer than 211 times by 1950. Anne-Sophie Mutter considers it “a fine arrangement that I’ve included among my encore numbers for years”. Indeed, she believes altogether that these little pieces should not be held in low esteem: “It’s a literature all of its own with a quite special style. The lovely arrangement of Ständchen, for example, lends wonderful expression to the isolation, darkness and melancholy that weigh upon this song – even if Daniil, Franz Liszt and I have given the arrangers a bit of a help to make the original stand out a bit better.”


야샤 하이페츠와 미샤 엘만의 2개의 슈베르트 편곡은 안네-조피 무터와 다닐 트리포노프에 의해 가볍게 “재편곡”되었다. 하이페츠는 1917년에 <아베마리아>를 자신의 레퍼토리에 추가했으며 1950년까지 211번 이상 연주했다. 안네-조피 무터는 이 곡을 “몇 년 동안 내 앙코르곡에 포함한 훌륭한 편곡”으로 여긴다. 실제로 그녀는 이러한 소품들이 낮은 평가를 받아서는 안 된다고 전적으로 믿는다. “매우 독특한 스타일을 지닌 문헌인데요. 예를 들어 ‘세레나데’의 사랑스러운(아름다운) 편곡은 이 노래에 드리워진 외로움, 어둠, 우울함을 훌륭하게 표현(우울한 분위기를 완벽하게 전달)합니다. - 다닐, 프란츠 리스트, 그리고 제가 편곡자들에게 약간의 도움을 주어 원곡을 좀 더 돋보일(빛날) 수 있도록 해도요.”


Oswald Beaujean / 오스발트 보장 글



인터뷰 번역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는데, 영어만 보면 번역이 안 되는 부분이 생길지도 몰라서 독일어도 받아쓰기했더니 혹시나가 역시나였다. 영어로 다닐을 몇 년 동안 스토킹했다고 말한 대목에서 어떻게 좋게 말을 돌려서 의역해야 할지 고민했다. 독일어 번역은 괄호를 사용해서 넣었는데 영어보다 매끄럽다. 아무래도 무터가 영어를 어느 정도 한다고 해도 모국어로 하는 게 가장 의미가 와 닿기도 하니까. 내지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서로 절충하여 번역했다.

댓글 2개:

  1. https://rutracker.org/forum/viewtopic.php?t=5500669

    https://rutracker.org/forum/viewtopic.php?t=5518573

    답글삭제
  2. https://drive.google.com/drive/u/4/folders/1wpfdQBgpLO2L-FFwchXvfngzHkuX1Yxh

    You have to download until 31 January 2022.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