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6월 15일 금요일

Brilliant Classics / Legendary Russian Pianists CD13-15 Sviatoslav Richter



CD13 Sviatoslav Richter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01 Beethoven Sonata No. 27 in e, Op. 90: I. Mit Lebhaftigkeit und durchaus mit Empfindung und Ausdruck / 베토벤 소나타 27번
02 Beethoven Sonata No. 27 in e, Op. 90: II. Nicht zu geschwind und sehr singbar vorzutragen
03 Beethoven Sonata No. 30 in E, Op. 109: I. Vivace ma non troppo - Adagio espressivo - Tempo I / 베토벤 소나타 30번
04 Beethoven Sonata No. 30 in E, Op. 109: II. Prestissimo
05 Beethoven Sonata No. 30 in E, Op. 109: III. Andante molto cantabile ed espressivo
06 Beethoven Sonata No. 31 in Ab, Op. 110: I. Moderato cantabile molto espressivo / 베토벤 소나타 31번
07 Beethoven Sonata No. 31 in Ab, Op. 110: II. Allegro molto
08 Beethoven Sonata No. 31 in Ab, Op. 110: III. Adagio ma non troppo - Arioso dolente
09 Beethoven Sonata No. 31 in Ab, Op. 110: IV. Fuga. Allegro ma non troppo - L'istesso tempo di arioso
10 Beethoven Sonata No. 32 in c, Op. 111: I. Maestoso - Allegro con brio ed appassionato / 베토벤 소나타 32번
11 Beethoven Sonata No. 32 in c, Op. 111: II. Arietta. Adagio molto semplice e cantabile



CD14 Sviatoslav Richter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01 Beethoven Sonata No. 3 in C, Op. 2 No. 3: I. Allegro con brio / 베토벤 소나타 3번
02 Beethoven Sonata No. 3 in C, Op. 2 No. 3: II. Adagio
03 Beethoven Sonata No. 3 in C, Op. 2 No. 3: III. Scherzo. Allegro
04 Beethoven Sonata No. 3 in C, Op. 2 No. 3: IV. Allegro assai
05 Beethoven Sonata No. 28 in A, Op. 101: I. Etwas lebhaft, und mit der innigsten Empfindung (Allegretto ma non troppo) / 베토벤 소나타 28번
06 Beethoven Sonata No. 28 in A, Op. 101: II. Lebhaft. Marschmassig (Vivace alla marcia)
07 "Beethoven Sonata No. 28 in A, Op. 101: III. Langsam und sehnsuchtsvoll (Adagio, ma non troppo, con affetto)
08 Beethoven Sonata No. 28 in A, Op. 101: IV. Geschwind, doch nicht zu sehr, und mit Entschlossenheit (Allegro)
09 Liszt Sonata in b, S. 178 / 리스트 소나타



CD15 Sviatoslav Richter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01 Schubert Sonata No. 21 in Bb, D. 960: I. Molto moderato / 슈베르트 소나타 21번
02 Schubert Sonata No. 21 in Bb, D. 960: II. Andante sostenuto
03 Schubert Sonata No. 21 in Bb, D. 960: III. Scherzo. Allegro vivace con delicatezza
04 Schubert Sonata No. 21 in Bb, D. 960: IV. Allegro ma non troppo
05 Schubert Sonata No. 9 in B, D. 575: I. Allegro ma non troppo / 슈베르트 소나타 9번
06 Schubert Sonata No. 9 in B, D. 575: II. Andante
07 Schubert Sonata No. 9 in B, D. 575: III. Scherzo. Allegretto
08 Schubert Sonata No. 9 in B, D. 575: IV. Allegro giusto

Sviatoslav Richter (1915-97)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Principal Teacher: Heinrich Neuhaus / 하인리히 네이가우스 사사

Prizes:
1945 - All-Union Competition in Moscow, joint 1st with Victor Merzhanov / 모스크바 제3회 전소련 콩쿠르에서 빅토르 메르자노프와 공동 1위
1961 - Grammy Award / 그래미상
1968 - Robert Schumann Prize / 로베르트 슈만 상
1986 - Leonie Sonning Award / 레오니 소닝 음악상

'Whether from weakness or laziness [I] have no talent for thinking. I know only how to reflect: I am a mirror [...] Logic does not exist for me. I float on the waves of art and life and never really know how to distinguish what belongs to the one or the other or what is common to both. Life unfolds for me like a theatre presenting a sequence of somewhat unreal sentiments; while the things of art are real to me and go straight to my heart' (May 1994).

‘약점인지 게으름인지 [나는] 생각할 재능이 없다. 나는 단지 반영하는 방법만 안다. - 나는 거울이다. [...] 논리가 내게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예술과 인생의 물결에 휩싸여 하나에 속한 거나 다른 것에 속한 거나 둘 다 공통적인 것을 구별하는 방법을 실제로 모른다. 인생은 다소 비현실적인 감정의 연속을 연극처럼 내게 펼친다. 반면 예술적인 것들이 내게 진짜이며 내 마음으로 곧장 간다(1994년 5월).’

The most universally influential Russian pianist of the 20th century, Richter 'was born a dual national in a country that didn't admit to such things'. His pianist-composer father (a 'commoner'), though born in the Ukraine (then Little Russia) was 'a German, not just because of his family origins but as a result of his education'. His mother (from the landowning classes) was Russian, but of mixed Polish, German, Swedish and Tartar ancestry. With an early passion for painting, writing plays and opera (he also composed), Richter grew up in Zhitomir and Odessa.

20세기의 가장 보편적으로 영향력 있는 러시아 피아니스트인 리히터는 ‘그런 것을 인정하지 않은 나라에서 이중 국민으로 태어났다.’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그의 아버지(‘평민’)는 우크라이나(작은 러시아)에서 태어났지만, ‘가족의 기원 때문이 아니라 그의 교육의 결과로 독일인’이었다. 그의 어머니(토지 소유 계급 출신)는 러시아인이었지만, 폴란드, 독일, 스웨덴, 타타르 조상이 혼재했다. 일찍이 그림, 연극과 (그가 작곡하기도 했던) 오페라 대본 쓰기에 열정이 있었던 리히터는 지토미르와 오데사에서 성장했다.

Largely self-taught until going to Heinrich Neuhaus in Moscow in 1937, his early experience was chiefly as an accompanist and "repetiteur" in Odessa. His official recital debut, in the Small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ry on 26 November 1940 presented his credentials, including the first performance of Prokofiev's Sixth Sonata,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a close and fruitful friendship. During the Second World War Richter lost his father, played to soldiers on the Eastern Front and began broadcasting.

1937년에 모스크바의 하인리히 네이가우스에게 갈 때까지 주로 독학했던 그의 초기 경험은 오데사에서 주로 반주자이자 “(오페라 하우스 전속) 가수의 연습 코치”였다. 1940년 11월 26일 모스크바 음악원 소강당에서 가졌던 그의 공식 리사이틀 데뷔는 친근하고 우호적인 우정의 시작을 나타낸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6번의 첫 연주를 포함하여 그의 자격을 보여주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아버지를 잃은 리히터는 동부 전선에서 군인들에게 연주를 들려주었으며 방송을 시작했다.

Following his All-Union win, his profile within the Soviet Establishment went from strength to strength, despite never being a member of the Party and professing a disregard for politics. In 1949 he was awarded a Stalin Prize, and, with David Oistrakh and others, played at Stalin's 70th birthday celebrations in the Kremlin. The following year he played for the Party Central Committee and at a concert to mark the 80th anniversary of Lenin's birth. In March 1953 he took part in Stalin's funeral, together with Tatiana Nikolayeva, David Oistrakh, Alexander Gauk and Alexander Melik-Pashayev. A Lenin Prize and People's Artist of the USSR title (for 'outstanding services rendered to Russian art and for his skill in execution') followed in 1961.

전소련 콩쿠르 우승에 따라 소련 내의 그의 프로필은 당의 일원이 아니며 정치에 대해 등한시한다고 고백했음에도 승승장구했다. 1949년에는 스탈린상을 받았으며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외 다른 연주자들과 크렘린에서 스탈린의 70세 생일을 기념하여 연주했다. 이듬해에는 당 중앙위원회와 레닌 탄생 80주년 기념 콘서트에서 연주했다. 1953년 3월에는 타티아나 니콜라예바,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알렉산더 가우크, 알렉산더 멜리크-파샤예프와 함께 스탈린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1961년에는 레닌 상을 받았으며 (‘러시아 예술에 대한 뛰어난 공헌과 연주 솜씨로’) 소련 인민예술가가 되었다.

His visits abroad were initially confined to the Iron Curtain (beginning with Czechoslovakia in 1950). With the Nikita Khrushchev Thaw, following the advance guard of Emil Gilels, David Oistrakh, Mstislav Rostropovich and Vladimir Ashkenazy, 1960 - the year he challenged the authorities by paying homage to Mikhail Bulgakov and Boris Pasternak - marked the West' discovery of him; first in Sweden, then in America (including five recitals in eleven days at Carnegie Hall).

그의 해외 방문은 처음에는 철의 장막(1950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시작)에 국한되었다. 니키타 흐루시초프의 통치 시기(해빙기)와 더불어 에밀 길렐스,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의 선봉이 1960년에 뒤따랐는데, 그가 극작가 미하일 불가코프와 소설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에게 경의를 표하며 당국에 도전했던 해로, ‘서방’에 진출하여 처음에는 스웨덴, 다음으로 (카네기홀에서 11일 동안 5번의 리사이틀을 가졌던) 미국이었다.

London's turn came shortly afterwards, with three recitals at the Royal Festival Hall and two nights of Chopin, Dvorak and Liszt concertos conducted by Kirill Kondrashin at the Royal Albert Hall. One felt in the presence of history in the making. Only Neville Cardus dissented. 'The programme named him the "pianist of the century" but omitted to mention which century. Frankly I found him rather an old-fashioned player, rather small in style and tone. He gave me the impression of a performer who has not lived in the world's stream of music; his playing seemed to me provincial [...] the audience applauded frantically. Sweet are the uses of publicity' ("Guardian", 10 July 1961).

런던 차례가 곧 이어졌는데, 로열 페스티벌에서 3회 리사이틀을 가졌으며, 로열 앨버트 홀에서 키릴 콘드라신의 지휘로 쇼팽, 드보르작, 리스트 협주곡들로 이틀 밤을 협연했다. 제작에서 역사의 존재가 느껴졌다. 네빌 카더스만 반대했다. ‘그 프로그램은 그를 “세기의 피아니스트”로 불렀지만, 어떤 세기를 언급했는지 생략되었다. 솔직히 나는 스타일과 음색이 다소 작고 구식인 연주자를 찾았다. 그는 내게 세계 음악의 흐름 속에 살고 있지 않은 연주자라는 인상을 주었다. - 그의 연주는 내게 지방의 [...] 미친 듯이 박수갈채하는 청중인 것 같았다. 달콤한 것들은 홍보용이다(1961년 7월 10일 <가디언>).’

Richter's attachments to Western Europe and Japan (where he undertook his first tour in 1970) endured. Together with Mstislav Rostropovich he visited Benjamin Britten and Peter Pears at the 1964 Aldeburgh Festival, returning the following year to partner Dietrich Fischer-Dieskau. In 1964 he masterminded the Grange de Meslay Festival, near Tours in France: and in 1981 the 'December Nights' Festival at the Pushkin Museum of Fine Arts, a provocative alloy of music, painting, poetry and drama.

서유럽과 (1970년에 첫 투어를 가졌던) 일본에 대한 리히터의 애착은 오래갔다. 첼리스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와 함께 그는 1964 올드버러 페스티벌에서 작곡가 벤저민 브리튼과 테너 피터 피어스를 방문했는데, 이듬해에는 파트너이자 바리톤인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와 재방문했다. 1964년에는 프랑스 투르 시 근처의 그랑주 드 메슬레 페스티벌, 1971년에는 음악, 회화, 시, 드라마의 만남을 자극하는 푸시킨 미술관에서 <12월의 밤> 페스티벌을 계획했다.

'My repertory runs to around 80 different programmes, not counting chamber works,' he told Bruno Monsaingeon in 1998, and Richter's musical appetite was famously omnivorous: over 55 years he gave more than 27,000 performances of 833 works at around 3,600 concerts in a thousand different places. Though he disliked the process, he recorded nearly 50 composers, including Bartok, Berg, Gershwin, Stravinsky and Webern. His surviving discography is staggering.

1998년 브뤼노 몽생종의 다큐멘터리에서 ‘내 레퍼토리는 실내악 작품을 포함하지 않는 약 80가지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고 말했으며, 리히터의 음악적 취향은 두루 관심을 갖기로 유명한데, 천 개의 다양한 공연장들에서 진행된 약 3,600회의 콘서트에서 833개의 작품들을 27,000번 이상 연주했다. 그는 이 과정을 싫어했지만 버르토크, 베르크, 거슈윈, 스트라빈스키, 베베른 등 약 50명의 작곡가들을 녹음했다. 그의 살아남은 디스코그래피는 엄청나다.

His teacher Heinrich Neuhaus noted that 'his singular ability to grasp the whole and at the same time miss none of the smallest details of a composition suggests a comparison with an eagle who from his great height can see as far as the horizon and yet single out the tiniest detail of the landscape. We have before us an imposing mountain range, but against it we can see the lark, taking wing into the sky.'

그의 스승 하인리히 네이가우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전체를 파악하는 동시에 작품의 가장 작은 디테일을 아무것도 놓치지 않는 그의 독창적인 능력은 자신의 위대한 고지에서부터 수평선까지 볼 수 있음에도 풍경의 가장 작은 디테일을 뽑아내는 독수리와의 비교를 제시한다. 우리 앞에는 인상적인 산맥이 있지만, 그 반대편에서 우리는 하늘로 멀리 날아가는 종달새를 볼 수 있다.’

'Richter is a kind of biofield in which one feels absolutely different. His influence is never experienced as an overwhelming power, but rather as some guiding force' (Andrei Gavrilov). 'Richter is an inspired poet of music and in that is his mesmerizing poser [...] Listening to Richter I caught myself all the time thinking that I was witnessing an exceptional phenomenon of the 20th century' (Rosina Lhevinne).

‘리히터는 절대적으로 다르다고 느껴지는 에너지를 가진 사람이다. 그의 영향력은 압도적인 힘으로 경험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도력으로 경험된다(안드레이 가브릴로프).’ ‘리히터는 음악에 영감을 받은 시인이며 최면을 걸듯 마음을 사로잡는 포즈를 취하는 사람이므로 [...] 리히터를 들으면서 나는 20세기의 예외적인 현상을 목격했다는 생각에 줄곧 사로잡혔다(로지나 레빈).’

Beethoven Sonata No. 3 in C, Op. 2 No. 3 (1794-95) / 베토벤 소나타 3번
Grand Mogul "bravura", dedicated to Haydn, with "solo/tutti" suggestions and a major cadenza by way of first-movement coda.

무굴 황제 같은 “고도의 예술적 기교”를 지닌 작품은 하이든에게 “솔로/투티” 제안과 1악장 코다의 방식에 의한 장조 카덴차와 함께 헌정되었다.

Beethoven Sonata No. 27 in e, Op. 90 (1814) / 베토벤 소나타 27번
'Rhythms and motifs undergo metamorphoses producing patterns which differ externally but are inwardly related. Like the nymph who is turned into a laurel tree or a reed, the divine soul lives on within the new form' (Edwin Fischer). The German movement-headings delineate character and expression rather than tempo.

‘리듬과 모티프는 외부적으로는 다르지만 내부적으로 관련된 패턴을 만들어내는 변화를 겪는다. 월계수나 갈대로 변한 님프처럼, 신성한 영혼이 새로운 형태로 살아간다(에트빈 피셔).’ 독일식 악장 주제는 템포보다는 성격과 표현을 묘사한다.

Beethoven Sonata No. 28 in A, Op. 101 (1815-17) / 베토벤 소나타 28번
A "Sonata quasi una fantasia" 'for mature souls'. Edwin Fischer thought it tougher interpretively than the final trilogy. This was one of the works Richter auditioned for Neuhaus. 'Horribly difficult [...] and even riskier than the "Hammerklavier", though such a claim will seem heretical to many people.'

‘성숙한 영혼들을 위한’ <환상곡풍 소나타>. 에트빈 피셔는 마지막 삼부작(소나타 30, 31, 32번)보다 해석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했다. 이 곡은 리히터가 네이가우스의 오디션에서 연주했던 작품들 중의 하나였다. ‘끔찍하게도 어려운 [...] 그리고 심지어 그런 주장은 많은 사람들에게 이단적으로 보일 것이지만, <함머클라비어> 소나타보다 더 위험하다.’

Beethoven Sonata No. 30 in E, Op. 109 (1820) / 베토벤 소나타 30번
Strands of sonata, variation, fugue, slow Viennes "landler" and scherzo, touched by fantasy and the fantastical, shot through with 'the charm and luminosity of an old sweetheart met again after twenty years' (Edwin Fischer).

환상곡과 환상적인 것에 감명 받은 소나타, 변주곡, 푸가, 느린 비엔나풍의 “랜틀러”(남부 독일 및 오스트리아 고지의 3박자의 느린 민속춤), 스케르초의 가닥은 ‘20년 만에 다시 만난 오래된 연인의 매력과 광휘’로 가득 찼다(에트빈 피셔).

Beethoven Sonata No. 31 in Ab, Op. 110 (1821) / 베토벤 소나타 31번
An intricate forging of classical rigour and modern fantasia, recitative/aria and baroque fugue. 'A work in every respect wholly excellent, extremely melodious throughout, and rich in harmonic beauties,' admired the critics. 'With the Op. 110 Sonata ["the only work I've ever played without really wanting to"] Neuhaus taught me to obtain a singing tone, the tone that I'd always dreamed of.'

고전적인 엄격함과 현대적 환상곡의 복잡한 구성, 레치타티보/아리아와 바로크 푸가. ‘모든 면에서 전적으로 탁월하고 극도로 선율적이며 화성적인 아름다움이 넘치는 작품’이라고 비평가들이 감탄했다. ‘소나타 31번[“내가 정말 원하지 않으면서도 연주한 유일한 작품”]으로 네이가우스는 내가 항상 꿈꿔왔던 노래하는 음색을 얻도록 가르쳤다.’

Beethoven Sonata No. 32 in c, Op. 111 (1821-22) / 베토벤 소나타 32번
The work, decreed Thomas Mann ("Doktor Faustus"), that 'brought' the (classical) sonata as a form to an 'end' - 'it had fulfilled its destiny, reached its goal, beyond which there was no going'.

‘종말’의 형식으로 (고전) 소나타를 ‘가져온’ 토마스 만의 소설 <파우스트 박사>에 나오는 작품으로, ‘이 곡은 운명을 성취하여 가지 않았던 목표를 달성했다.’

Liszt Sonata in b (1851-53) / 리스트 소나타
'The essential point about this piece, [Neuhaus] taught me, was the silences, the sound of the silences.'

‘[네이가우스가] 내게 가르쳐준 이 곡의 핵심은 침묵, 침묵의 소리였다.’

Schubert Sonata No. 9 in B, D. 575 (1817) / 슈베르트 소나타 9번
This restless work was published posthumously.

이 불안한 작품은 사후에 출판되었다.

Schubert Sonata No. 21 in Bb, D. 960 (1828) / 슈베르트 소나타 21번
A spacious "Molto moderato", a tripartite "Andante sostenuto" in C sharp minor/major, a mercurial scherzo, a refrain-finale. 540 bars of big-limbed music - but closing, as Schumann said, 'so lightly, cheerfully, courageously, as though [...] ready to begin again the next day'. Richter was indelibly identified with this work (he programmed it on 42 occasions, beginning in 1949) - and especially for his profound tempo and exposition repeat in the first movement, almost suspending time.

널따란 1악장 “몰토 모데라토”, 3부로 된 올림C단조/장조의 2악장 “안단테 소스테누토”, 활달한 3악장 스케르초, 4악장 후렴-피날레. 540마디의 손발이 큰 음악이지만 슈만이 ‘다음 날 다시 시작할 준비가 된 것처럼 [...] 가볍고 즐겁고 용기 있게’ 마무리한다. 리히터는 (1949년에 시작하여 42회에 걸쳐 프로그램에 넣었던) 이 작품을 영원히 지지하며, 특히 1악장에서의 엄청난 템포와 제시부는 1악장에서 대개 시간이 많이 걸린다.

댓글 1개:

  1. https://cloud.mail.ru/public/3bzF/bzUJsGjXH

    https://cloud.mail.ru/public/Cvpd/UEz2G5ShQ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