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31일 일요일

DVD / Andras Schiff Plays Bach French Suites 2010



https://www.youtube.com/watch?v=aTnN5rPpdwE
https://www.youtube.com/watch?v=FU0jr1obOao
https://www.youtube.com/watch?v=Q4t1TVxL9sg
https://www.youtube.com/watch?v=Z1fZ54Ho1nw
https://www.youtube.com/watch?v=f_U0lm6HZMk
https://www.youtube.com/watch?v=kkNPezHTWzU
https://www.youtube.com/watch?v=hFD-weffFpo
https://www.youtube.com/watch?v=ghTitIMtTCM
https://www.youtube.com/watch?v=0SclAUqaj2Q

안드라스 쉬프가 연주하는 바흐 프랑스 모음곡
보너스 영상 : 바흐 스페셜리스트 안드라스 쉬프가 해설하는 바흐 (34분)
EuroArts 직수입 디스크 (오스트리아 SONY DADC 제작) + 한글 번역 내지

헝가리 태생의 유명한 피아니스트 안드라스 쉬프는 2010년 라이프치히 페스티벌에 참가해서 스타인웨이 그랜드피아노로 ‘프랑스 모음곡’과 ‘프랑스풍의 서곡’, ‘이탈리아 협주곡’을 연주했다. 쉬프는 쳄발로 연주에 통달한 사람처럼 학구적인 기량을 발휘하며, 바흐에 관한 자신의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사려 깊고 호소력 있는 연주를 확연하게 보여준다.

본 디스크에는 라이프치히 성 토마스 교회에서 촬영한 쉬프와의 인터뷰가 34분 분량의 추가 영상으로 수록되어 있다. 쉬프는 인터뷰에서 바흐의 라이프치히 시대의 생애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 (내지 발췌)

Program
French Suite No. 1 in d, BWV 812 / 프랑스 모음곡 1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Menuet I/II / 미뉴에트
V.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2 in c, BWV 813 / 프랑스 모음곡 2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Air / 아리아
V. Menuet I/II (in BWV 813a) / 미뉴에트
VI.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3 in b, BWV 814 / 프랑스 모음곡 3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Air / 아리아
V.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4 in Eb, BWV 815 / 프랑스 모음곡 4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Menuet / 미뉴에트
VI. Air / 아리아
VII.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5 in G, BWV 816 / 프랑스 모음곡 5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Bourrée / 부레
VI. Loure / 루르
VII.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6 in E, BWV 817 / 프랑스 모음곡 6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Polonaise (Menuet polonais) / 폴로네즈
VI. Bourrée / 부레
VII. Gigue / 지그
VIII. Menuet (Petit Menuet) / 미뉴에트

Overture in the French style in b, BWV 831 / 프랑스풍의 서곡
I. Overture / 서곡
II. Courante / 쿠랑트
III. Gavotte / 가보트
IV. Passepied / 파스피에
V. Sarabande / 사라방드
VI. Bourée I/II / 부레
VII. Gigue / 지그
VIII. Echo / 에코

Encore
Italian Concerto in F, BWV 971 / 이탈리아 협주곡
I. (Allegro)
II. Andante
III. Presto

Special Features / 보너스 영상
- Andras Schiff Explains Bach / 안드라스 쉬프가 해설하는 바흐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자막)

2010년 6월 11일 라이프치히 라이브 레코딩

We know incredibly little about Bach and maybe that's a good thing. I find that the biographical details we know about Beethoven or Schubert for example don't alway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Bach's works exist independently of his life. But what we do know is incredibly interesting and exciting. People try to imagine what he was like as a man but I don't really feel this works. I can't imagine how anyone could work so concentratedly with such a large family and with so many children. There's never any peace and quiet. Bach had a home, but he always worked elsewhere. There's no doubt that he had a study or something similar at St. Thomas's or St. Nicholas's, something like a miniature abbey, where he could work in peace. One thing is certain: whatever we do we need peace and quiet for music. Bach simply couldn't exist today with this constant bustle and noise. The other thing I really don't understand is the sheer quantity of music. People have calculated that if someone were to copy out all Bach's works, purely mechanically, it would take several decades. He wrote an incredible amount of music! Each Sunday he had to write a new cantata in Leipzig as well as music for various feast days and other occasions. These are large-scale works and he had to compose them, prepare the score and write out the parts. In this he may have been helped by Anna Magdalena and by pupils or assistants. Even so, it was a huge amount of work. It's wonderful that we still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manuscripts. There's no more beautiful musical calligraphy than Bach's. I understand his music best of all when I study these manuscripts because you can see these wonderful waves, like flowing water. He never writes a straight line but only waves. And so you can imagine how this music flows along. And you rarely find any corrections in these manuscripts. Of course, they're fair copies but you really get the impression that this music flowed from his mind.

우리는 바흐에 대해 거의 모르는데 그게 좋은 거예요. 예를 들어 베토벤이나 슈베르트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전기적인 내용이 항상 더 나은 이해에 기여하는 것은 아닙니다. 바흐의 작품들은 그의 삶과 별개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놀랍도록 흥미롭지요.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상상해보려고 하지만, 실제로 저는 그렇게 느끼지 않습니다. 저는 그런 대가족 속에서 많은 아이들과 함께 어떻게 그렇게 집중적으로 일할 수 있었는지 상상할 수 없습니다. 평화와 조용함이 절대로 없죠. 바흐는 집이 있었지만, 항상 다른 곳에서 일했죠. 그가 성 토마스나 성 니콜라스 같이 그가 조용히 일할 수 있었던 소형 수도원에서 뭔가를 연구하거나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죠. 한 가지는 확실한데,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음악을 위해서는 평화와 조용함이 필요합니다. 오늘날이라면 이 끊임없는 소란과 소음으로 인해 바흐가 그야말로 존재할 수 없었겠죠. 제가 정말로 이해할 수 없는 다른 것은 엄청난 양의 음악입니다. 사람들은 바흐의 모든 작품을 순전히 기계적으로 복사한다면,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고 계산했는데요. 그가 엄청난 양의 음악을 쓴 거죠! 매주 일요일에는 라이프치히에서 새로운 칸타타뿐만 아니라 다양한 축제 일정 및 기타 행사를 위해 음악을 써야 했죠. 이것들은 대규모 작품이며, 작곡을 하고, 악보를 준비하며, 각 성부를 써야 했죠. 이것에서 그는 안나 막달레나, 제자들이나 조수들의 도움을 받았음에 틀림없죠. 그렇더라도 엄청난 작업이었거든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원고가 아직도 있다는 것이 대단해요. 바흐의 작품보다 더 아름다운 음악적인 필적은 없거든요. 저는 이 원고들을 연구할 때 그의 음악을 가장 잘 이해하는데, 흐르는 물과 같은 멋진 파도를 볼 수 있기 때문이죠. 그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도 씁니다. 그래서 이 음악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상상할 수 있죠. 그리고 이 원고에서는 어떤 수정도 거의 없습니다. 물론, 공정한 사본이지만, 이 음악이 그의 마음에서 흘렀다는 인상을 실제로 받게 됩니다.

Like all children, I played Bach from the very beginning. Many children don't like this. I always liked it, I loved it from the very beginning. This became very important when I was about thirteen or fourteen and I was introduced to the great harpsichordist George Malcolm in London. He added greatly to my understanding of Bach. I never studied formally with him, it was more of a friendly relationship. Of course, he was decades older than me but he taught me a lot, I learnt a lot from him: things about Bach, about the Baroque style, the way music written for the harpsichord or clavichord can be adapted to a modern concert grand. This instrument I'm playing on now didn't exist in Bach's day. I owe this to George Malcolm. I then know that for em Bach is the greatest and most important composer. He's remained so and will always remain so. It's almost a ritual: every day when I get up - and if there's a piano available - I have to play Bach for an hour, that's how my day begins. I've never enjoyed playing piano exercises - studies and scales. I've always found this very mechanical, terribly boring and a bit undignified. A bit like chopping wood. Of course, young students have to do this. You have to have the scales in your hands and the fingering for the different scales. But I don't think you need this later. I discovered that Bach's music gives me all I need.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of course, musically and emotionally, but also purely physically. As I said earlier: there's this volatility and playfulness. There are lots of these elements in the French Suites but you find these from the outset, even in the Inventions. To be able to start a day like this cleanses the soul. It's also very satisfying from an intellectual point of view. You're always playing polyphony - music in several parts - in which all the voices are independent and of equal value. It's like a society in which everyone is equally important.

모든 아이들처럼, 저는 바흐를 일찍 연주했는데요. 많은 아이들은 이것을 좋아하지 않죠. 저는 항상 좋아했는데요, 일찍이 정말 좋아했죠. 이것은 제가 13세나 14세 때 런던에서 위대한 하프시코드 연주자 조지 맬컴에게 소개되었을 때 매우 중요해졌죠. 그는 제가 바흐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많이 주셨죠. 저는 그와 함께 정식으로 공부한 적이 없었지만, 보다 우호적인 관계였죠. 물론 그는 저보다 수십 살 더 많았지만, 많이 가르쳐 주었으므로, 그에게서 많은 것을 배웠죠. - 바흐에 대한 것들, 바로크 스타일에 대한 것들, 하프시코드나 클라비코드를 위해 쓰인 음악이 현대 콘서트그랜드피아노에 적용되는 방식. 지금 제가 연주하고 있는 이 악기는 바흐 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조지 맬컴 덕분에 저는 그러고 나서 바흐가 가장 위대하면서 가장 중요한 작곡가라는 것을 알죠. 그는 여전히 그렇게 남아있으며 항상 그렇게 남아있을 것입니다. 거의 의식인데, 저는 매일 일어나서 - 그리고 이용 가능한 피아노가 있다면 - 한 시간 동안 바흐를 연주해야 하는데, 그것이 제 하루가 시작되는 방식이죠. 저는 피아노 연습, 연습곡과 스케일을 즐긴 적이 없었는데요. 항상 이것을 정말 기계적으로, 지독하게 지루하면서 조금은 품위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죠. 다소 나무를 자르는 것 같죠. 물론 어린 학생들은 이것을 해야만 하죠. 손에 스케일이 배어야 하며 다른 스케일에 대한 운지법을 익혀야 하죠. 하지만 저는 이것이 나중에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바흐의 음악이 제가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거든요. 정신적으로나 영적으로, 물론 음악적이면서 감정적일 뿐만 아니라 순전히 육체적으로요. 앞서 말했듯이, 이 변동성과 장난기가 있습니다. 프랑스 모음곡들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많이 있지만, 인벤션에서도 처음부터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루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영혼이 깨끗해지죠. 지적 관점에서 볼 때에도 매우 만족스러워요. 여러 성부의 음악인 폴리포니(다성음악)을 항상 연주하고 있는데, 모든 성부들이 독립적이며 동등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것은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와 같습니다.

I didn't play the French Suites when I was a child, perhaps only a few movements from the Notenbüchlein from Anna Magdalena Bach. This is a very affectionate collection of shorter pieces, dance numbers, but also arias and chorales that Bach wrote for his beloved wife. Bach wasn't only the greatest composer of all time, that's perfectly clear to me. He was also a distinguished teacher. His work as a teacher shouldn't be underestimated. He had a lot of children. They were all very musical. In a family like that this really goes without saying. He also wrote didactic pieces for his children. When you reach the end of this Notenbüchlein for Anna Magdalena Bach there are Two- an Three-Part Inventions. These lead on to the Well-Tempered Clavier and then to the Clavier-Übung and finally to the Musical Offering and the Art of Fugue. In short, there's a straight line that leads to these final works, an evolution you have to go through. I don't understand today's young pianists who play the Goldberg Variations when they're only twelve or thirteen. This is wonderful work but they've played practically nothing else by Bach. You can't start at the top. The French Suites... Let's try to define what this means. They're "French" because this genre comes from France. The French clavecinistes, above all Lully, Couperin and Rameau, who were a little older than Bach - Rameau was in fact the same age - they all used this suite form. What is a suite? It's a collection of pieces. Imagine a bouquet of flowers, for example, a bouquet made up of various flowers, roses, carnations and all manner of other flowers, but all of the same colour. In music this colour is the equivalent of the key or tonality. In other words, all the movements are in the same key. There are various dance movements, not only ones that are French in origin. Each suite includes an allemande. As its name indicates, this is a German dance. Then there's the courante, a French dance. Then comes the solemn sarabande, which is at the heart of the suite, a festive, ceremonial dance from Spain. For a time this dance was banned in Spain because it was felt to be too erotic. Then come other "galanteries", as Bach calls them: minuets, passepieds and gavottes, all of them in pairs. First there's Menuetto 1, then Menuetto 2 and then da capo - Menueto 1 is repeated from the beginning. And every suite ends with a gigue. This is a Scottish or Irish sailor's dance, very lively. In terms of their origin or character some dances are slow and flowing, others very lively. As I say, the sarabande is solemn and festive.

저는 어렸을 때 프랑스 모음곡들을 연주하지 않았는데, 어쩌면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수첩>에 나오는 몇몇 악장들을 연주했겠죠. 이것은 짤막한 곡들과 춤곡뿐만 아니라 바흐가 자신의 사랑하는 아내를 위해 쓴 아리아와 코랄의 매우 애정 어린 모음곡입니다. 바흐는 모든 시대의 가장 위대한 작곡가일 뿐만 아니라 제게 더할 나위 없이 분명해요. 그는 뛰어난 교육자이기도 했는데요. 교육자로서의 그의 일이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에게는 많은 자식들이 있었는데요. 그들 모두 정말 음악적이었죠. 그런 가정에서 이것은 정말 (아주 분명하므로) 말할 필요도 없죠. 그는 아이들을 위해 교훈적인 곡들도 썼는데요.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수첩>의 끝에 보면 2성부 및 3성부 인벤션이 있어요. 이것들은 평균율, 다음으로 클라비어 연습곡, 그리고 마침내 음악의 헌정, 푸가의 기법으로 이어지죠. 즉, 최종 작품들로 이어지는 직선, 통과해야 할 발전이 있어야 합니다. 저는 불과 12세나 13세일 때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연주하는 오늘날의 젊은 피아니스트들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멋진 작품이지만 그들은 바흐의 그 밖의 곡들을 아무것도 연습해본 적이 없죠. 맨 위에서 시작할 수는 없습니다. 프랑스 모음곡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의해봅시다. 이 장르는 프랑스에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이 모음곡들은 “프렌치”입니다. 프랑스 클라브생 연주자들, 특히 륄리, 쿠프랭, 라모는 바흐보다 나이가 조금 많았는데 - 라모는 바흐와 같은 나이 - 그들 모두 이 모음곡 형식을 썼죠. 모음곡이란 무엇일까요? 곡들의 모음입니다. 꽃다발, 예를 들어 다양한 꽃들, 장미, 카네이션, 온갖 종류의 다른 꽃들로 구성되었지만, 모두 같은 색으로 구성된 꽃다발을 상상해보세요. 음악에서 이 색은 음정이나 조성과 동일합니다. 즉, 모든 악장들이 동일한 조성에 있습니다. 프랑스에서 유래된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곡 악장들이 있습니다. 각 모음곡에는 알르망드가 있죠.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것은 독일 무곡입니다. 그러고 나서 쿠랑트가 나오는데, 프랑스 무곡입니다. 그런 다음 모음곡의 중심에는 엄숙한 사라방드가 나오는데, 스페인 중심부에 있는 축제 의식의 무곡이죠. 한동안 이 춤은 스페인에서 금지되었는데, 너무나 에로틱하게 느껴졌기 때문이죠. 이어서 바흐가 다음과 같이 부르는 임의의 종속 악장인 “갈랑트리”가 나옵니다. - 미뉴에트, 파스피에, 가보트 모두 한 쌍으로 되어있죠. 먼저 미뉴에트 1, 다음으로 미뉴에트 2, 그러고 나서 다 카포가 나온 다음 미뉴에트 1이 처음부터 반복됩니다. 그리고 모든 모음곡은 지그로 끝납니다. 지그는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 선원의 무곡으로, 매우 활기차죠. 이 무곡들의 기원이나 성격 면에서 말하자면, 어떤 무곡은 느리게 흐르는 반면, 어떤 무곡은 매우 활기차죠. 제가 말했듯이, 사라방드는 엄숙한 축제입니다.

The result is a wonderful series of dances. This is playful music in the best sense. Let's not forget that in every language we talk about "playing" an instrument: "On joue le clavecin. We play an instrument." Only the Italians say "suonare", in other words, they "create a sound". But this playful element, when we play an instrument, must always be present. It's this that's so great about Bach: he has the wisdom that comes with old age. He'd already turned forty when he wrote these Suites. In Bach's day this was a ripe old age. Such an old master, endowed with a certain wisdom, looks back, as it were, on his own childhood and writes playful pieces for his own children too but on the highest level. There's nothing cheap here. It's also an introduction to the style of composition, a kind of teaching manual - how to compose and how to play the instrument. What kind of instruments did Bach have? Above all the clavichord, which was his favourite instrument, and then the clavicembalo with two manuals. I'm fairly certain that the French Suites are clavichord music. They're very intimate, very introvert. And the clavichord was ideal for the living room. We simply can't appreciate this in a larger room today. It really is something very private, just for the performer and three of four listeners at the most. On the clavichord he could create a slight vibration, a trembling effect caused when the finger moves vertically over a key. It produces a vibrato effect. That's why the clavichord is a much more sensitive instrument than the harpsichord, which is much more brilliant and hence more suited to a concerto, at that time too. But I think of the French Suites as domestic music. Why are these six French Suites? It was a custom at this time. If a composer had written a collection of pieces, it was the custom or, rather, the fashion. It made sense to publish them in groups of six and Bach did so frequently. There are six Brandenburg Concertos, six English Suites, six Partita, six Suites for unaccompanied violin, six Cello Suites and so on. Bach's contemporaries did the same, even the Italians, Vivaldi, Corelli and the others. But Bach was unique as a composer to the extent that he never left Germany. This is very important.

그 결과는 놀라운 무곡 시리즈입니다. 이것은 가장 좋은 의미에서 장난기 있는 음악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모든 언어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것”에 대해 잊지 마세요. - “우리는 클라브생을 연주합니다. 우리는 악기를 연주합니다.” 이탈리아인들만 “수오나레”라고 말하는데, 즉, 그들은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가 악기를 연주할 때, 이 장난기 있는 요소는 항상 존재해야 합니다. 바흐에 대해서는 이 점이 정말 좋아요. - 그에게는 노년의 지혜가 있거든요. 그가 이 모음곡들을 썼을 때는 이미 40세가 되었죠. 바흐의 시대에 이건 원숙한 노년기였죠. 그런 지혜로운 옛 거장은, 이를테면, 그 자신의 어린 시절을 되돌아보면서 그 자신의 아이들을 위한 장난기 있는 곡들을 최고 수준으로 씁니다. 여기에 저렴한 것은 없습니다. 작곡 스타일, 일종의 교습 설명서 - 작곡법 및 악기 연주법에 대한 입문서이기도 하죠. 바흐는 어떤 악기들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무엇보다도 그가 가장 좋아하는 악기인 클라브생, 다음으로 2개의 매뉴얼이 있는 클라비쳄발로입니다. 저는 프랑스 모음곡들이 클라비코드 음악이라는 것을 상당히 확신합니다. 매우 친밀하고 매우 내향적이거든요. 그리고 클라비코드는 거실에 적합했거든요. 우리는 오늘날 더 큰 방에서 그저 이것을 고마워하지 않을 수 없죠. 실제로 매우 사적인 것이었고, 단지 연주자를 위한 것이었으며, 대부분 서너 명만 들었죠. 클라비코드에서 그는 약간의 진동을 만들 수 있었는데, 손가락이 건반 위로 수직으로 움직일 때 떨리는 현상이죠. 비브라토 효과를 냅니다. 그래서 클라비코드는 하프시코드보다 훨씬 민감한 악기입니다. 이 악기는 훨씬 더 훌륭한데 이때에도 협주곡에 더욱 적합하죠. 하지만 저는 프랑스 모음곡들이 국내용 음악이라고 생각해요. 왜 프랑스 모음곡은 6개일까요? 이때는 관습이었거든요. 작곡가가 곡들의 모음을 썼다면, 관습이거나 오히려 유행이었죠. 6개를 묶어서 발표하는 것이 통했는데 바흐는 자주 그렇게 했거든요. 6개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6개의 영국 모음곡, 6개의 파르티타, 6개의 무반주 바이올린 모음곡, 6개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등이 있죠. 바흐의 동시대인들, 심지어는 이탈리아인들인 비발디, 코렐리 등도 마찬가지였죠. 그러나 바흐는 결코 독일을 떠난 적이 없는 작곡가로서 독특했죠. 이건 매우 중요합니다.

Leipzig, where we are now, was the last stage in his life but he also had other appointments and positions where he worked, all of them fairly close to here - in Saxony and Thuringia, in Arnstadt, Weimar and Köthen. Leipzig was perhaps the most important of them. But for instrumental music Köthen too was very important. These keyboard compositions, the French and English Suites, were mostly written in Köthen. And so there are six French Suites: the first three are in minor keys and the last three are in major keys. This is odd. I don't really know why this is so. When Bach wrote them he certainly never imagined that a madman like me would come along and play them all at once. That was never his intention. Even so, I find today that this music by Bach has a wonderful universal message. It creates a sense of community with its listeners. No other composer does this, in my opinion. I act as an interpreter between Bach and his listeners and I try to convey this message. And when it works, a wonderful sense of community is created between us.

우리가 현재 있는 라이프치히는 그의 인생의 마지막 무대였지만, 그는 그가 일했던 곳들에서도 다른 임명과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모두 여기와 상당히 가까운 곳들이었죠. - 작센과 튀링겐, 아른슈타트, 바이마르, 쾨텐. 그중에서도 라이프치히가 아마도 가장 중요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악 음악에 대해서는 쾨텐도 매우 중요했죠. 이 건반 작품들, 프랑스 모음곡들과 영국 모음곡들 대부분 쾨텐에서 작곡되었거든요. 그리하여 6개의 프랑스 모음곡들이 있는데, 앞의 3개는 단조, 뒤의 3개는 장조입니다. 이건 이상한데요. 이것이 왜 그런지는 정말로 모릅니다. 바흐가 이 곡들을 썼을 때 그는 저 같은 미치광이가 모든 곡을 한꺼번에 다루리라고는 결코 상상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건 결코 그의 의도가 아니었으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바흐의 이 음악이 훌륭한 보편적 메시지를 가지고 있음을 오늘날 발견합니다. 이 곡은 청취자들과 공동체 의식을 형성합니다. 제 생각에 다른 작곡가는 이렇게 하지 않았죠. 저는 바흐와 그의 청취자들 사이에서 해석자로 행동하며 이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효과가 있을 때, 우리 사이에는 훌륭한 공동체 의식이 형성됩니다.

How does this message aries? This is very important. Even when we're sitting in a church, as we are now, in a very plain and simple church: this is secular music, it's not sacred music. Even so, Bach was a believer, you can hear this in every bar he wrote. This isn't the music of an atheist. And even when he writes such dancelike, playful and secular music his faith still shines through. Conversely, his Masses, Passions and cantatas, which are beyond question sacred works, contain these same dancelike elements. With Bach the sacred and the secular coexist harmoniously. I think this implies a unique message that young people are happy to accept even today. Rhythmically, too. This is very rhythmic music and with today's associations of jazz and other kinds of music... I think this is why young people like listening to Bach. Perhaps they're less fond of Mozart and Beethoven. But they should like them, too.

이 메시지는 어떻게 울릴까요? 이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교회, 지금처럼 매우 평범하고 소박한 교회에 앉아있을 때조차도 이것은 세속적인 음악이지 신성한 음악이 아닙니다. 그렇기는 하지만, 바흐는 신자였으므로, 그가 쓴 모든 마디에서 이것을 들을 수 있죠. 이것은 무신론자의 음악이 아닙니다. 그가 무곡 같은, 활기차고 세속적인 음악을 쓸 때조차 그의 믿음은 여전히 빛납니다. 반대로, 신성한 작품에 의문의 여지가 없는 그의 미사곡, 수난곡, 칸타타에는 이런 동일한 무곡 같은 요소가 있습니다. 바흐와 함께 신성한 것과 세속적인 것이 조화롭게 공존하죠. 저는 이것이 젊은 사람들이 오늘날에도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독특한 메시지를 의미한다고 생각해요. 리드미컬한 것도요. 이것은 매우 리드미컬한 음악이며 오늘날의 재즈 및 다른 종류의 음악과 함께 하죠... 저는 이것이 젊은이들이 바흐 듣는 것을 좋아하는 이유라고 생각해요. 아마도 그들은 모차르트와 베토벤을 별로 좋아하지 않을 것 같네요. 그러나 그들은 모차르트와 베토벤도 좋아해야 합니다.

It's something of a mystery how Bach achieved this. Take Handel, for example, his great contemporary. They were both born in 1685. He was a man of the world, a cosmopolitan. He travelled a lot and he spent the best part of his life in England, where he was incredibly successful. Even at this date, then, there were musicians who travelled abroad and who became cosmopolitan. Bach was something of a hermit. In spite of this, he was hugely cultured and took an interest in everything. Even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read and study music and Bach had access to these scores. He spent his whole life studying them and copying them out. He went blind, working in poor light, by candlelight or torchlight, writing out countless scores, his own as well as other composers'. He transcribed works by Italian composers - Vivaldi, Marcello, Geminiani - Italian concertos. His wonderful Italian Concerto in the Italian style is a tribute to these Italian composers. Bach knew everything that was being written at this time in France, Italy and England, even though he never went there. It's a miracle.

바흐가 이걸 어떻게 달성했는지는 수수께끼 같아요. 헨델을 예로 들면, 그의 위대한 동시대인입니다. 둘 다 1685년에 태어났죠. 그는 세계인, 코스모폴리탄이었습니다. 그는 여행을 많이 했으며 잉글랜드에서 인생의 최고의 시기를 보냈는데, 잉글랜드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죠. 이 당시에도 해외를 여행하면서 국제화된 음악가들이 있었습니다. 바흐는 은둔자였죠. 이것에도 불구하고, 그는 엄청나게 세련되었으며,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죠. 그 당시에도 악보를 읽고 공부할 수 있었으며 바흐는 이러한 악보들에 접근할 수 있었거든요. 그는 평생을 이런 악보들을 연구하고 복사하는 데에 보냈죠. 그는 어두운 등불, 촛불이나 횃불 속에서 일하고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작곡가들의 악보들을 셀 수 없이 써내면서 앞이 안 보이게 되었습니다. 그는 이탈리아 작곡가 비발디, 마르첼로, 제미니아니의 작품들인 이탈리아 협주곡들을 편곡했죠. 그의 훌륭한 이탈리아풍의 <이탈리아 협주곡>은 이런 이탈리아 작곡가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바흐는 가본 적이 없는 프랑스, 이탈리아, 잉글랜드에서 이 당시에 쓰인 모든 것을 알고 있었죠. 그건 기적입니다.

I think that western music reached its peak with Bach. It's not the same with the other arts. In painting it was a couple of centuries earlier, let's say the Florentine Renaissance. Bach was in fact forgotten by the 19th century. By then people were no longer interested in early music. This is remarkable but understandable when we think that there was then a knowledgeable and sympathetic audience for contemporary music. People only wanted to hear the latest works, and works of early music were museum pieces. People knew about them but in Beethoven's day no one wanted to hear Bach's music in the concert hall. It was inconceivable. Mendelssohn was the one... Even if he'd done nothing else, he'd have been assured of immortality for this reason alone. In 1829 he was only nineteen and he gave what was effectively the première of the St Matthew Passion or at least the first modern performance. It's believed that the St Matthew Passion had already been heard in Bach's day. But the work then disappeared and was forgotten until Mendelssohn revived it in Berlin. With that, the Bach Renaissance began, and - thank God - it has never ended.

서양 음악은 바흐와 함께 절정에 이른 것 같아요. 다른 예술 분야와는 비교가 안 되죠. 회화에서는 수세기 전이었던, 피렌체의 르네상스를 생각해봅시다. 바흐는 사실 19세기에 잊혔는데요. 그때까지는 사람들이 더 이상 고음악에 관심이 없었죠. 이것은 현대 음악에 대해 지식 있고 공감하는 청중이 이후에 있었다고 우리가 생각할 때, 현저하지만 이해할 수 있죠. 사람들은 최신 작품들만 듣고 싶어 했으며, 고음악 작품들은 더 이상 쓸모없는 것이었죠. 사람들은 고음악 작품들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베토벤 시절에는 아무도 바흐의 음악을 콘서트홀에서 듣고 싶지 않아 했죠. 상상도 할 수 없었죠. 멘델스존은 그 중 하나였죠... 비록 그가 아무것도 하지 않았더라도, 혼자서 이런 이유로 불멸을 확신했을 것입니다. 1829년에 그는 불과 19세였으며 마테 수난곡이나 적어도 첫 현대 작품 연주의 초연을 효과적으로 가졌죠. 바흐 시절에 이미 들렸던 것은 마테 수난곡이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고 나서 이 작품은 사라졌으며 멘델스존이 베를린에서 그것을 되살리기 전까지 잊혔죠. 그것으로 바흐 르네상스가 시작되었으며 - 정말 다행인데 - 끝나지 않았습니다.

A French Overture is a genre, a musical form that composers wrote at the time of Louis XIV, above all Lully. It's pomp and circumstance music for orchestra with brass instruments, horns, trumpets, timpani. It was very festive music for the court of the French kings. Bach takes this orchestral music and adapts it for a single instrument, a two-manual clavicembalo. I've adapted it a second time to play it on a modern concert grand. It's a very, very lavish orchestral work. It's a bravura solution on Bach's part: you can really hear where the whole orchestra is playing and where it's only smaller groups. Here, for example, I seem to hear flutes, this is a solo passage...

프랑스 서곡은 작곡가가 루이 14세, 특히 륄리 시절에 쓴 장르, 음악 형식입니다. 관악기들, 호른, 트럼펫, 팀파니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위한 위풍당당한 음악이죠. 프랑스 왕들의 궁정에서 매우 축제적인 음악이었죠. 바흐는 이 오케스트라 음악을 취하여 하나의 악기인 2개의 매뉴얼이 있는 클라비쳄발로에 적용합니다. 저는 현대 콘서트그랜드피아노로 두 번 적용했죠. 매우, 매우 호화로운 관현악 작품입니다. 바흐의 파트에서 고도의 예술적 기교를 해결하는 것으로, 오케스트라 전체가 연주되는 곳과 소규모 그룹이 있는 곳을 실제로 들을 수 있죠. 여기를 예로 들면, 저는 플루트를 듣는 것 같은데, 이것은 솔로 패시지입니다...

And here the whole orchestra enters again. In other words, tutti passages keep alternating with solo passages.

그리고 여기 전체 오케스트라가 다시 들어갑니다. 다시 말해, 투티 패시지들은 솔로 패시지들과 번갈아가며 유지됩니다.

A French Overture is an opening movement in two sections. First you have very festive music with dotted rhythms. Here this sounds like this:

프랑스 서곡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먼저 점음표 리듬으로 축제 음악이 나옵니다. 여기는 이렇게 들립니다.

This double dotting... is the music's basic rhythm. Then comes a quick section...

이 점음표는... 이 음악의 기본 리듬입니다. 그러고 나서 빠른 섹션이 나옵니다...

It's very fugal, like a kind of fugato. Bach was the greatest contrapuntalist and polyphonist of his age and he combines these elements of the French style with all his own polyphonic mastery. And after this Allegro section the festive dotted section returns...

정말 푸가 같은, 일종의 푸가토 같아요. 바흐는 자신의 시대에서 가장 위대한, 대위법에 능한 작곡가이자 다성음악 작곡가였으며 그는 이런 프랑스풍의 요소들을 그 자신의 다성음악적인 성숙함과 결합하죠. 그리고 이 알레그로(빠르게) 섹션이 나온 후 축제의 점음표 섹션이 되돌아옵니다...

This is an example of A-B-A form, a variant of A-B-A form. This monumental opening movement is followed by the galanteries, the dance movements, and this links this work with the French Suites. But everything here is much grander, and there are several dance movements, again with a solemn sarabande in central position...

이것은 A-B-A 형식, 변형된 A-B-A 형식의 예입니다. 이 기념비적인 1악장에 이어 갈랑트리, 무곡 악장들이 뒤따르며, 이것은 이 작품을 프랑스 모음곡과 연결하죠. 그러나 여기 있는 모든 것이 훨씬 더 웅장하며, 다시 중간에 있는 엄숙한 사라방드와 함께 몇 가지 무곡 악장들이 있습니다.

And then come Bourrée 1 and 2 and the gigue. The difference is that the Overture doesn't end with a gigue. Instead the work ends with some very remarkable music. The final movement is headed "Echo" and, as far as I know, this is unique in Bach's output: it's found only here. It's also very witty. As the title suggests, there are melodies and fragments of these melodies are repeated very quietly, like an echo:

그리고 부레 1과 2, 지그가 나옵니다. 차이점은 서곡이 지그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죠. 대신에 이 작품은 매우 주목할 만한 음악으로 끝납니다. 마지막 악장은 “에코”라고 불리며, 제가 아는 한, 이것은 바흐가 내놓은 결과물에서 독특한데, 여기에서만 발견되죠. 매우 재치 있기도 하고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멜로디들과 이 멜로디들의 단편은 매우 조용하게 메아리처럼 반복됩니다.

There's a loud passage... and it's repeated like an echo. It's music that mimics nature, and that's very rare with Bach. Otherwise we find these natural elements only with Beethoven and Schubert and much later. And there's something else that needs to be mentioned: this French Overture is B minor, a very dark key. Even so, it's a secular, very worldly composition. Whenever I hear a piece in B minor I naturally think of the B minor Mass...

시끄러운 패시지가 있는데... 마치 메아리처럼 반복됩니다. 자연을 모방한 음악이므로, 바흐에게는 드물죠.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베토벤, 슈베르트만으로 그리고 훨씬 나중에 이 자연적인 요소들만 발견하죠. 그리고 언급해야 할 다른 것이 있는데, 이 프랑스 모음곡은 매우 어두운 조성인 b단조입니다. 그렇기는 하지만, 세속적인, 매우 속된 작품이죠. 저는 b단조인 곡을 들을 때마다 자연스럽게 b단조의 미사곡을 생각합니다...

With Bach, every key is symbolic and B minor is somehow associated with death. All the pieces in B minor - a fugue in the Well-Tempered Clavier, for example...

바흐와 함께, 모든 조성은 상징적이며, b단조는 어떻게든 죽음과 관련이 있습니다. b단조의 모든 곡들 - 바흐 평균율에 있는 푸가를 예로 들면...

They're very chromatic and very anguished. And elements of this are also found in the French Overture. It all hangs together.

매우 반음계적으로 매우 고뇌에 차 있죠. 그리고 이것의 요소들은 프랑스 서곡에서도 발견됩니다. 모두 일치하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