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Tchaikovsky_Competition
쇼팽 콩쿠르만 정리하면 내가 동급으로 보기도 하는 차이코프스키 콩쿠르가 섭섭해 할지도 몰라서 이어나가게 된 포스팅. 정보가 별로 없어서 안 하려고도 했는데 아는 것에 한해서 뒷이야기를 꺼내보기로 했다. 여기에서는 떨어졌어도 다른 대회로 가서 잘 된 사람들을 생각해주는 차원에서. 물론 나는 쇼팽 콩쿠르든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든 꼭 입상자 타이틀이 있어야 한다고 보는 견해는 아니다. 전부터 3대 콩쿠르의 순위를 말한 적이 있었다.
Chopin >= Tchaikovsky > Queen Elisabeth
일단 주기로 보면 쇼팽이 5년, 차이코프스키가 4년, 퀸엘리자베스가 4년(한때 3년 주기)이다. 대강 들여다보면 쇼팽이 차이코프스키보다 위일 것 같지만 공부를 깊게 해보면 그건 생각하기 나름이다. 러시아 참가자들이 안 되면 도전하고 또 도전하는 걸 보면서 이들의 심장이 폴란드보다 더 뜨겁다는 걸 느꼈다. 두 대회가 동급인 또 다른 이유는 우승하면 확실히 멈추니까. 반면에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말고도 리즈, 루빈스타인, 클라이번 콩쿠르는 우승 이후 다른 대회에 또 나간 사례가 하나라도 있다.
제1회 1958
Laureates: 9
2nd Round: 20 (14 + 6)
1st Round: 27
Laureates [Selection]
1위 Van Cliburn (USA) / 밴 클라이번 (미국)
공동 2위 Lev Vlasenko (USSR/Jewish) / 레프 블라센코 (러시아/유태계)
공동 2위 Liu Shih-kun (China) / 류시쿤 (중국)
3위 Naum Shtarkman (USSR) / 나움 슈타르크만 (러시아)
7위 Toyoaki Matsuura (Japan) / 도요아키 마쓰우라 (일본)
8위 Daniel Pollack (USA) / 다니엘 폴락 (미국)
Round 2 (Top 20) [Selection]
Anton Dikov (Bulgaria) / 안톤 디코프 (불가리아)
Jerome Lowenthal (USA) / 제롬 로웬탈 (미국)
Varela Cid (Portugal) / 바렐라 시드 (포르투갈)
Alexey Skavronsky (USSR) / 알렉세이 스카브론스키 (러시아)
Round 1 (Top 27) [Selection]
Gu Shengying (China) / 구쉥잉 (중국)
1라운드에 27명이 참가했고 14명이 2라운드에 통과했는데 국제 대회 우승자라는 조건으로 1라운드를 면제받은 참가자 6명이 추가되었다. 결선에는 9명이 진출하여 8위까지 입상했다.
제2회 1962
Laureates: 9
Finalists: 12
2nd Round: ?
1st Round: ?
Laureates
공동 1위 Vladimir Ashkenazy (USSR)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
공동 1위 John Ogdon (Great Britain) / 존 오그던 (영국)
공동 2위 Susan Starr (USA) / 수전 스타 (미국)
공동 2위 Yin Chengzong (China) / 인쳉종 (중국)
3위 Eliso Virsaladze (USSR) / 엘리소 비르살라제 (조지아)
4위 Marina Mdivani (USSR) / 마리나 므디바니 (조지아)
5위 Valery Kamyshov (USSR) / 발레리 카미쇼프 (러시아)
공동 6위 Christine Billau (France) / 크리스틴 비요 (프랑스)
공동 6위 Alexey Nasedkin (USSR) / 알렉세이 나세드킨 (러시아)
Diploma (Top 12)
Dmitry Sakharov (USSR) / 드미트리 사하로프 (러시아)
Jean-Bernard Pommier (France) / 장-베르나르 포미에 (프랑스)
Roy Bogas (USA) / 로이 보가스 (미국)
결선에 12명이 진출하여 9명이 6위까지 입상했고 나머지 3명은 파이널리스트 디플로마를 받았다.
제3회 1966
Laureates: 12
2nd Round: ?
1st Round: ?
Laureates [Selection]
만장일치 역대 최연소 1위 Grigory Sokolov (USSR) / 그리고리 소콜로프 (러시아)
2위 Misha Dichter (USA) / 미샤 디히터 (미국)
3위 Viktor Eresko (USSR) / 빅토르 에레스코 (러시아)
공동 5위 Edward Auer (USA) / 에드워드 아우어 (미국)
공동 5위 James Dick (USA) / 제임스 딕 (미국)
공동 6위 François-Joël Thiollier (France) / 프랑수아-조엘 티올리에 (프랑스/미국)
공동 6위 Peter Rösel (GDR) / 페터 뢰젤 (독일)
7위 Andre de Groot (Belgium) / 앙드레 데 그로트 (벨기에)
공동 8위 Bruno Rigutto (Italy) / 브루노 리구토 (이탈리아)
결선에 12명이 진출하여 전원이 8위까지 입상했다.
제4회 1970
Laureates: 7
2nd Round: ?
1st Round: ?
Laureates
공동 1위 Vladimir Krainev (USSR/Jewish) /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 (러시아/유태계)
공동 1위 John Lill (Great Britain) / 존 릴 (잉글랜드)
2위 Horacio Gutiérrez (USA) / 호라시오 구티에레스 (쿠바/미국)
공동 3위 Arthur Moreira-Lima (Brazil) / 아르투르 모레이라 리마 (브라질)
공동 3위 Viktoriya Postnikova (USSR) / 빅토리아 포스트니코바 (러시아)
4위 Arkady Sevidov (USSR) / 아르카디 세비도프 (러시아)
5위 James Tocco (USA) / 제임스 토코 (미국)
7명이 5위까지 입상했다.
제5회 1974
Laureates: 9
2nd Round: ?
1st Round: ?
Laureates
1위 Andrei Gavrilov (USSR) / 안드레이 가브릴로프 (러시아)
공동 2위 Stanislav Igolinsky (USSR) / 스타니슬라프 이골린스키 (러시아)
공동 2위 Myung-Whun Chung (USA) / 정명훈 (미국)
3위 Youri Egorov (USSR) / 유리 에고로프 (러시아)
공동 4위 Eteri Andjaparidze (USSR) / 에테리 안디아파리제 (조지아)
공동 4위 András Schiff (Hungary) / 안드라스 쉬프 (헝가리)
5위 Dmitri Alexeev (USSR) / 드미트리 알렉세예프 (러시아)
공동 6위 David Lively (USA) / 데이비드 라이블리 (미국)
공동 6위 Brigitte Engerer (France) / 브리지트 앙제레 (프랑스)
9명이 6위까지 입상했다.
제6회 1978
Laureates: 9
2nd Round: ?
1st Round: ?
Laureates [Selection]
1위 Mikhail Pletnev (USSR) / 미하일 플레트네프 (러시아)
공동 2위 Pascal Devoyon (France) / 파스칼 드바이옹 (프랑스)
공동 2위 André Laplante (Canada) / 앙드레 라플랑트 (캐나다)
공동 3위 Nikolay Demidenko (USSR) / 니콜라이 데미덴코 (러시아)
공동 4위 Terence Judd (Great Britain) / 테렌스 주드 (잉글랜드)
5위 Christian Blackshaw (Great Britain) / 크리스티안 블랙쇼 (잉글랜드)
6위 Naum Grubert (USSR) / 나움 그루베르트 (라트비아)
9명이 6위까지 입상했다.
제7회 1982
Laureates: 10
Finalists: 13
2nd Round: 24
1st Round: 104
Laureates [Selection]
1위 없는 공동 2위 Peter Donohoe (Great Britain) / 피터 도노호 (잉글랜드)
1위 없는 공동 2위 Vladimir Ovchinnikov (USSR) /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러시아)
3위 Michie Koyama (Japan) / 미치에 고야마 (일본)
공동 4위 Kalle Randalu (USSR) / 칼레 란달루 (에스토니아)
5위 Maria Rowena Arrieta (Philippines) / 마리아 로웨나 아리에타 (필리핀)
공동 6위 Michael Houstoun (New Zealand) / 마이클 휴스턴 (뉴질랜드)
공동 7위 James Barbagallo (USA) / 제임스 바바갈로 (미국)
공동 7위 Emma Takhmizyan (Bulgaria) / 엠마 타흐미지안 (불가리아)
1라운드에 104명, 2라운드에 24명, 결선에 13명이 진출하였으며 10명이 7위까지 입상했다. 1차에서 도노호의 룸메이트였던 배리 더글러스는 1차에서 탈락했다. 도노호는 준결선에서 공동 12위로 결선 진출이 간당간당했는데 운 좋게도 심사위원이 13명 모두 나가게 하자는 제안으로 결선에 올랐다. 처음으로 우승자가 나오지 않았던 대회. 모스크바 군중이 음악원 바깥에서 도노호를 외치는데 도노호에게는 잊지 못할 추억일 것. 도노호의 일기장을 통해 당시의 에피소드를 엿볼 수 있었다.
제8회 1986
Laureates: 12
2nd Round: 39
1st Round: ?
Laureates [Selection]
1위 Barry Douglas (Great Britain) / 배리 더글러스 (북아일랜드)
2위 Natalia Trull (USSR) / 나탈리아 트룰 (러시아)
3위 Irina Plotnikova (USSR) / 이리나 플로트니코바 (러시아)
공동 4위 Roger Muraro (France) / 로저 무라로 (프랑스)
공동 5위 Igor Ardašev (Czechoslovakia) / 이고르 아르다셰프 (체코)
공동 6위 Victor Rodriguez (Cuba) / 빅토르 로드리게스 (쿠바)
공동 6위 David Buechner (USA) / 데이비드 뷔흐너 (미국)
7위 Kong Xiangdong (China) / 콩샹둥 (중국)
Semifinalist (Top 39) [Selection]
Anton Batagov (USSR) / 안톤 바타고프 (러시아)
Andrei Pisarev (USSR) / 안드레이 피사레프 (러시아)
Alexander Shtarkman (USSR) / 알렉산더 슈타르크만 (러시아)
Alexei Sultanov (USSR) / 알렉세이 술타노프 (러시아)
Oleg Volkov (USSR) / 올렉 볼코프 (러시아)
Norman Krieger (USA) / 노먼 크리거 (미국)
Johan Schmidt (Belgium) / 요한 슈미트 (벨기에)
Ludmil Angelov (Bulgaria) / 루드밀 앙겔로프 (불가리아)
Juhani Lagerspetz (Finland) / 유하니 라게르스페츠 (핀란드)
Helene Grimaud (France) / 엘렌 그리모 (프랑스)
Bernd Glemser (West Germany) / 베른트 글렘저 (독일)
Markus Becker (West Germany) / 마르쿠스 베커 (독일)
Victor Sangiorgio (Italy) / 빅토르 산조르지오 (이탈리아)
Noriko Ogawa (Japan) / 노리코 오가와 (일본)
Rita Kinka (Yugoslavia) / 리타 킹카 (세르비아)
Aleksandar Serdar (Yugoslavia) / 알렉산다르 세르다르 (세르비아)
39명이 준결선에 진출했고 12명이 8위까지 입상했다. 4년 전에 1차에서 탈락했던 배리 더글러스가 재도전하여 우승한 대회.
제9회 1990
Laureates: 7
Finalists: 12
2nd Round: ?
1st Round: ?
Laureates
1위 Boris Berezovsky (USSR)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러시아)
2위 Vladimir Mischuk (USSR) / 블라디미르 미슈크 (러시아) - 차이코프스키 최우수 연주로 로지나 레빈 특별상
공동 3위 Kevin Kenner (USA) / 케빈 케너 (미국)
공동 3위 Johan Schmidt (Belgium) / 요한 슈미트 (벨기에)
공동 3위 Anton Mordasov (USSR) / 안톤 모르다소프 (러시아)
공동 4위 Rolf Plagge (FRG) /롤프 플라게 (독일)
공동 4위 Stephen Nelson Prutsman (USA) / 스티븐 넬슨 프루츠먼 (미국)
Special Diploma (Top 12)
Enrico Pace (Italy) / 엔리코 파체 (이탈리아)
Pietro de Maria (Italy) / 피에트로 데 마리아 (이탈리아)
Sergei Tarasov (Soviet Union) / 세르게이 타라소프 (러시아)
Olivier Cazal (France) / 올리비에 카잘 (프랑스)
Edith Chen [Gwhyneth Chen] (Taiwan) / 이디스 첸 (대만)
12명이 결선에 진출하여 7명이 4위까지 입상하고 나머지 5명은 파이널리스트 디플로마를 받았다. 소련 시절에 열렸던 마지막 대회.
제10회 1994
Laureates: 6
Finalists: 8
2nd Round: 28
1st Round: 67
Laureates
1위 없는 2위 Nikolay Lugansky (Russia) / 니콜라이 루간스키 (러시아)
공동 3위 Vadim Rudenko (Russia) / 바딤 루덴코 (러시아)
공동 3위 Hae-Sun Paik (Korea) / 백혜선 (대한민국)
공동 4위 Alexander Gindin (Russia) / 알렉산더 긴딘 (러시아)
공동 4위 Xu Zhong (China) / 슈종 (중국)
5위 Alexander Shtarkman (Russia) / 알렉산더 슈타르크만 (러시아)
Finalist (Top 8)
Robert Markham (England) / 로버트 마컴 (잉글랜드)
Hiroshi Arimori (Japan) / 히로시 아리모리 (일본)
Round II (Top 28) [Selection]
Giovanni Bellucci (Italy) / 지오반니 벨루치 (이탈리아)
Markus Groh (Germany) / 마르쿠스 그로 (독일)
Igor Kamenz (Germany) / 이고르 카멘츠 (독일)
Round I (Top 67) [Selection]
Rufus Choi (USA) / 루퍼스 최 (미국)
Ruei-Bin Chen (Austria) / 루에이빈 첸 (오스트리아)
Andrei Ponochevny (Belarus) / 안드레이 포노체프스키 (벨로루시)
Luca Rasca (Italy) / 루카 라스카 (이탈리아)
Lev Vinocour (Russia) / 레프 비노쿠르 (러시아)
Konstantin Scherbakov (Russia) / 콘스탄틴 셰르바코프 (러시아)
Olivier Cazal (France) / 올리비에 카잘 (프랑스)
Niklas Sivelov (Sweden) / 니클라스 시벨로프 (스웨덴)
Joo-Young Kim (Korea) / 김주영 (대한민국)
Jae-Hyuck Cho (Korea) / 조재혁 (대한민국)
Momo Kodama (Japan) / 모모 고다마 (일본)
67명이 1라운드에 진출했고 28명이 준결선, 8명이 결선에 올랐으며 6명이 입상했다. 준결선 참가자들은 다 아는 게 아니다. 1라운드 명단에 혹시 2라운드 진출자가 있을 수도 있다.
제11회 1998
Laureates: 6
Finalists: 8
2nd Round: 33
1st Round: 95
Laureates
1위 Denis Matsuev (Russia) / 데니스 마추예프 (러시아)
2위 Vadim Rudenko (Russia) / 바딤 루덴코 (러시아)
3위 Freddy Kempf (Great Britain) / 프레디 켐프 (영국)
4위 Sergey Tarasov (Russia) / 세르게이 타라소프 (러시아)
5위 Maxim Philippov (Russia) / 막심 필리포프 (러시아)
6위 Oleg Polyansky (Ukraine) / 올렉 폴리안스키 (우크라이나)
Finalists (Top 8)
Victoria Korchinskaya-Kogan (Russia) / 빅토르 코르친스카야-코간 (러시아)
Mika Sato (Japan) / 미카 사토 (일본)
Round II (Top 33) [Selection]
Evgeny Brakhman (Russia) / 에프게니 브라흐만 (러시아)
Etsuko Hirose (Japan) / 에츠코 히로세 (일본)
Jae-Hyuck Cho (Republic of Korea) / 조재혁 (대한민국)
Alexei Sultanov (Russia, Award of Moscow Society "For Artism") / 알렉세이 술타노프 (러시아, 모스크바 협회 아티즘 상)
Dong Min Lim (Republic of Korea, Jury Special Prize) / 임동민 (대한민국, 심사위원 특별상)
Hiroshi Arimori (Japan) / 히로시 아리모리 (일본)
Ayako Uehara (Japan) / 아야코 우에하라 (일본)
Rufus Choi (USA) / 루퍼스 최 (미국)
Mee-Hyun Ahn (Republic of Korea) / 안미현 (대한민국)
Round I (Top 95) [Selection]
Nicolas Bringuier (France) / 니콜라스 브랑기에 (프랑스)
Nami Ejiri (Japan) / 나미 에지리 (일본)
Minsoo Sohn (Republic of Korea) / 손민수 (대한민국)
Kiai Nara (Japan) / 기아이 나라 (일본)
Won Kim (Republic of Korea) / 김원 (대한민국)
Jong Hwa Park (Republic of Korea) / 박종화 (대한민국)
Simon Trpčeski (Macedonia) / 시몬 트르프체프키 (마케도니아)
Serhiy Salov (Ukraine) / 세르게이 살로프 (우크라이나)
95명이 1라운드에 진출했고 준결선에 33명, 결선에 8명이 올랐으며 6명이 입상했다. 일명 도렌스키 콩쿠르였던 대회로 1, 2, 4, 6위가 도렌스키의 제자였다. 술타노프와는 악연인 부심사위원장 세르게이 도렌스키가 휘어잡았다. 도렌스키는 술타노프의 제거로 욕먹었고 술타노프는 이렇게 집에서는 끝내 인정받지 못했다.
제12회 2002
Laureates: 6
Finalists: 8
2nd Round: 28
1st Round: 55
Laureates
1위 Ayako Uehara (Japan) / 아야코 우에하라 (일본)
2위 Alexey Nabiulin (Russia) / 알렉세이 나비울린 (러시아)
공동 3위 Jin Ju (China) / 진 주 (중국)
공동 3위 Andrey Ponochevny (Belarus) / 안드레이 포노체프니 (벨로루시)
4위 없는 공동 5위 Dmitry Onishchenko (Ukraine) / 드미트리 오니쉬첸코 (우크라이나)
4위 없는 공동 5위 Dong-Min Lim (Korea) / 임동민 (대한민국)
Finalist (Top 8)
Pavel Dombrovsky (Russia) / 파벨 돔브로프스키 (러시아)
Dmitry Teterin (Russia) / 드미트리 테테린 (러시아)
Round 2 (Top 28) [Selection]
Rusudan Mazmanishvili (Georgia) / 루수단 마즈마니쉬빌리 (조지아)
Alexei Volodin (Russia) / 알렉세이 볼로딘 (러시아)
Xiaohan Wang (China) / 샤오한 왕 (중국)
Jong Hwa Park (Republic of Korea) / 박종화 (대한민국)
Rufus Choi (USA) / 루퍼스 최 (미국)
Won Kim (Republic of Korea) / 김원 (대한민국)
Vladimir Sverdlov (Russia) / 블라디미르 스베르들로프 (러시아)
Ekaterina Mechetina (Russia) / 에카테리나 메체티나 (러시아)
Round I (Top 55) [Selection]
Sofya Gulyak (Russia) / 소피아 굴리악 (러시아)
Sergey Saratovsky (Russia) / 세르게이 사라토프스키 (러시아)
Vyacheslav Gryaznov (Russia) / 비아체슬라프 그랴즈노프 (러시아)
55명이 1라운드에 진출했고 28명이 준결선, 8명이 결선에 올라 6명이 입상했다. 두 번째로 재도전자가 우승한 대회.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쇼팽 콩쿠르와는 달리 입상해도 또 도전하고 결선에 갈 기회를 또 줄 수 있다.
제13회 2007
Laureates: 6
Finalists: 6
2nd Round: 20
1st Round: 46
Laureates
1위 없는 2위 Miroslav Kultyshev (Russia) / 미로슬라프 쿨티셰프 (러시아)
3위 Alexander Lubyantsev (Russia) / 알렉산더 루비안체프 (러시아)
공동 4위 Sergey Sobolev (Russia) / 세르게이 소볼레프 (러시아)
공동 4위 Dong-Hyek Lim (Korea) / 임동혁 (대한민국)
5위 Benjamin Moser (Germany) / 베냐민 모저 (독일)
6위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Round 2 (Top 20) [Selection]
Andrey Korobejnikov (Russia)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러시아)
Sergey Kuznetsov (Russia) / 세르게이 쿠즈네초프 (러시아)
Tatyana Kolesova (Russia) / 타티아나 콜레소바 (러시아)
Kim Sung Hoon (Republic of Korea) / 김성훈 (대한민국)
Tatyana Chernichka (Russia) / 타티아나 체르니치카 (러시아)
Irina Zahharenkova (Estonia) / 이리나 자하렌코바 (에스토니아)
Serhiy Salov (Ukraine) / 세르게이 살로프 (우크라이나)
Round 1 (Top 46) [Selection]
Ingolf Wunder (Austria) / 잉골프 분더 (오스트리아)
Dinara Nadjafova (Ukraine) [Dinara Klinton] / 디나라 나자포바 (우크라이나) [디나라 클린톤]
John Chen (New Zealand) / 존 첸 (뉴질랜드)
Pavel Kolesnikov (Russia) / 파벨 콜레스니코프 (러시아)
Maria Mazo (Russia) / 마리아 마조 (러시아)
Sunghoon Hwang (Republic of Korea) / 황성훈 (대한민국)
Alexander Mutuzkin (Russia) / 알렉산더 무투즈킨 (러시아)
Minsoo Sohn (Republic of Korea) / 손민수 (대한민국)
Jinsang Lee (Republic of Korea) / 이진상 (대한민국)
46명이 1라운드에 진출했고 20명이 준결선, 6명이 결선에 올라 6명이 입상했다. 세 번째로 우승자가 나오지 않았던 대회.
제14회 2011
Laureates: 5
Finalists: 5
2nd Round Phase 2: 8
2nd Round Phase 2: 12
1st Round: 29 (3명 기권)
Laureates
1위 및 그랑프리 Daniil Trifonov (러시아)
2위 Yeol Eum Son (Korea) / 손열음 (대한민국)
3위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대한민국)
4위 Alexander Romanovsky (Ukraine) / 알렉산더 로마노프스키 (우크라이나)
5위 Alexei Chernov (Russia) / 알렉세이 체르노프 (러시아)
Round 2 Phase 2 (Top 8)
Sara Daneshpour (USA) / 사라 대니쉬포어 (미국)
Filipp Kopachevsky (Russia) / 필리프 코파체프스키 (러시아)
Alexander Lubyantsev (Russia) / 알렉산더 루비안체프 (러시아)
Round 2 Phase 1 (Top 12)
Alexander Sinchuk (Russia) / 알렉산더 신추크 (러시아)
Eduard Kunz (Russia) / 에두아르드 쿤츠 (러시아)
François-Xavier Poizat (Switzerland) / 프랑수아-자비에 푸아자 (스위스)
Pavel Kolesnikov (Russia) / 파벨 콜레스니코프 (러시아)
Round 1 (Top 29) [Selection]
Evgeny Brakhman (Russia) / 에프게니 브라흐만 (러시아)
Yulia Chaplina (Russia) / 율리아 차플리나 (러시아)
Yunjie Chen (China) / 윤지에 첸 (중국)
Boris Giltburg (Israel) / 보리스 길트부르크 (이스라엘)
Ching-Yun Hu (Taiwan) / 칭윤 후 (대만)
Shinnosuke Inugai (Japan) / 신노스케 이누가이 (일본)
Stanislav Khristenko (Russia) / 스타니슬라프 흐리스텐코 (러시아)
Dinara Klinton (Russia) / 디나라 클린톤 (러시아)
Jong-Hai Park (South Korea) / 박종해 (대한민국)
1라운드에 29명, 준결선 1차에 12명, 2차에 8명, 결선에 5명이 진출하여 5위까지 입상했다. 결선으로 가는 문이 가장 좁았던 대회. 준결선 결과 발표가 끝나고 결선에 오르지 못한 루비안체프에게 관중이 열렬한 박수를 보냈다. 주최 측에서 위로해주려고 비평가상을 준 것 같다. 루비안체프는 이후 2015년 대회까지 삼수했으나 오디션에서 탈락했다. 준결선에 모차르트 협주곡 라운드가 생겼는데 다닐 트리포노프와 손열음이 특별상을 공동으로 받았다.
제15회 2015
Laureates: 6
Finalists: 6
2nd Round: 12
1st Round: 36 (35 + 1)
Audition: 61
Laureates
만장일치 최고령 1위 및 금메달 Dmitry Masleev (Russia, Special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the concerto with chamber orchestra in the second round) / 드미트리 마슬레예프 (러시아, 2라운드 모차르트 협주곡 최우수 연주 특별상)
공동 2위 및 은메달 Lucas Geniušas (Russia/Lithuania) / 루카스 게뉴사스 (러시아/리투아니아)
공동 2위 및 은메달 George Li (USA) / 조지 리 (미국)
공동 3위 및 동메달 Daniel Kharitonov (Russia) / 다니엘 하리토노프 (러시아)
공동 3위 및 동메달 Sergei Redkin (Russia) / 세르게이 레드킨 (러시아)
4위 Lucas Debargue (France, The prize of Moscow Music Critics Association) / 뤼카 드바르그 (프랑스, 모스크바 음악비평가협회 특별상)
Round 2 (Top 12)
Maria Mazo (Germany) / 마리아 마조 (독일)
Reed Tetzloff (USA) / 리드 테츨로프 (미국)
Ilya Rashkovsky (Russia, Special prize for the best two competitors of the second round) / 일리야 라쉬코프 (러시아, 2라운드 최우수 참가자 특별상)
Julia Kociuban (Poland) / 율리아 코치우반 (폴란드)
Mikhail Turpanov (Russia, Special prize for the best two competitors of the second round) / 미하일 투르파노프 (러시아, 2라운드 최우수 참가자 특별상)
Nikolay Medvedev (Russia) / 니콜라이 메드베데프 (러시아) - 1라운드 직행
Round 1 (Top 36) [Selection]
Yuri Favorin (Russia) / 유리 파보린 (러시아)
Andrey Gugnin (Russia) / 안드레이 구그닌 (러시아)
Alexander Ullman (Great Britain) / 알렉산더 울만 (영국)
Emanuel Rimoldi (Italy) / 에마누엘 리몰디 (이탈리아)
Jeung-Beum Sohn (South Korea) / 손정범 (대한민국)
Moye Chen (China) / 모예 첸 (중국)
Sangyoung Kim (South Korea) / 김상영 (대한민국)
Dmitri Onishchenko (Russia) / 드미트리 오니셴코 (러시아)
Andrey Korobeynikov (Russia)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러시아)
Dinara Klinton (Russia) / 디나라 클린톤 (러시아)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Andrejs Osokins (Latvia) / 안드레이스 오소킨스 (라트비아)
Audition (Top 61) [Selection]
Chi Ho Han (Korea) / 한지호 (대한민국)
Joo Hyeon Park (Korea) / 박주현 (박주현)
Alexander Lubyantsev (Russia) / 알렉산더 루비안체프 (러시아)
Nikolai Khozyainov (Russia) / 니콜라이 코자이노프 (러시아)
Tatiana Kolesova (Russia) / 타티아나 콜레소바 (러시아)
Alexander Gadjiev (Italy)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
Nikolai Saratovsky (Russia) / 니콜라이 사라토프스키 (러시아)
Francois-Xavier Poizat / 프랑수아-자비에 푸아자 (스위스)
Lindsay Garritson (USA) / 린제이 개릿슨 (미국)
Nikita Mndoyants (Russia) / 니키타 믄도얀츠 (러시아)
Jong Hai Park (Korea) / 박종해 (대한민국)
Artem Yasinsky (Ukraine) / 아르템 야진스키 (우크라이나)
David Fung (Australia) / 데이비드 펑 (오스트레일리아)
Yutong Sun (China) / 위통 순 (중국)
61명이 오디션에 참가하여 35명이 1라운드에 진출했고 1명이 러시아 국내 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1라운드에 직행했으며 준결선에 12명, 결선에 6명이 진출하여 4위까지 입상했다. 수준이 높았다고 하는 대회.
제16회 2019
Laureates: 7
Finalists: 7
2nd Round: 14
1st Round: 25 (24 + 1)
Laureates
1위 및 금메달 Alexandre Kantorow (France/Jewish, Grand Prix) / 알렉상드르 캉토로프 (프랑스/유태계, 그랑프리)
공동 2위 및 은메달 Mao Fujita (Japan) / 마오 후지타 (일본)
공동 2위 및 은메달 Dmitriy Shishkin (Japan) / 드미트리 시쉬킨 (일본)
공동 3위 및 동메달 Kenneth Broberg (USA) / 케네스 브로버그 (미국)
공동 3위 및 동메달 Konstantin Emelyanov (Russia) / 콘스탄틴 에멜리아노프 (러시아)
공동 3위 및 동메달 Alexey Melnikov (Russia) / 알렉세이 멜니코프 (러시아)
4위 Tianxu An (China, Special Prize for Courage and Restraint) / 티앤슈 안 (중국, 용기와 끈기에 대한 특별상)
Round 2 (Top 14)
Andrei Gugnin (Russia) / 안드레이 구그닌 (러시아)
Philipp Kopachevsky (Russia, Jury Discretionary Award) / 필리프 코파체프스키 (러시아, 2라운드 최우수 참가자 특별상)
Arseny Tarasevich-Nikolaev (Russia) / 아르세니 타라세비치-니콜라예프 (러시아)
Anna Geniushene (Russia) / 안나 게뉴셰네 (러시아)
Alexander Gadjiev (Italy/Slovenia)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슬로베니아)
Sara Daneshpour (USA) / 사라 대니쉬포어 (미국)
Dohyun Kim (Republic of Korea, Jury Discretionary Award) / 김도현 (대한민국, 2라운드 최우수 참가자 특별상)
Round I (Top 25)
Alim Beisembayev (Kazakhstan) / 알림 베이셈바예프 (카자흐스탄)
Albert Cano-Smit (Spain) / 알베르트 카노-스미트 (스페인)
George Harliono (UK) / 조지 할리오노 (영국)
Xiaoyu Liu (Canada) / 샤오위 류 (캐나다)
Alexander Malofeev (Russia) / 알렉산더 말로페예프 (러시아)
Arsenii Mun (Russia) / 아르세니 문 (러시아)
Yuchong Wu (China) / 위충 우 (중국)
Ming Xie (China) / 밍 시에 (중국)
Tony Yike Yang (Canada) / 토니 이케 양 (캐나다)
Anton Yashkin (Russia) / 안톤 야쉬킨 (러시아)
Artem Yasynskyy (Ukraine) / 아르템 야진스키 (우크라이나)
DVD 심사로 1라운드에 24명이 진출했고 1명이 러시아 국내 대회 우승자 자격으로 1라운드에 직행했으며 준결선에 14명, 결선에 7명이 진출하여 4위까지 입상했다. 재정난 때문인지는 몰라도 이 대회에서 모차르트 협주곡 라운드와 오디션이 없어졌다. 1라운드로 가는 문이 가장 좁았던 대회. 러시아 유학파인 이혁이랑 도모하루 우시다도 분명히 원서 썼을 텐데 자기네 학교에서 열리는 대회에 나오지 못한 거다... 김종윤이랑 프랑수아-자비에 푸아자는 대놓고 유튜브에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응시 동영상이 있다. 중국산 피아노가 나왔는데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는 다양한 정치적 흥정이 있다. 그런 것의 일부가 아닌가 싶다. 그래서 결선에도 중국을 한 명 올려줬고... 결선에서 연주곡의 순서가 바뀌는 바람에 손해를 볼 뻔했는데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재연주의 기회를 줬으나 티앤슈 안이 거부했다. 어떻게 보면 순위에서 이득을 본 것도 있다. 메달권에 가까운 4위까지 올려줬으니까.
Before & After Tchaikovsky Competition
쇼팽 콩쿠르와 마찬가지로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도 여기 나오기 전에 참가자들이 어떤 대회에서 입상했는지 알아봤다. 다만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이전과 이후로 나누려고 해도 겹치는 이름들이 있어서 한데 묶었다. 쇼팽 콩쿠르와 마찬가지로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미끄러졌어도 나중에 잘된 사람들이 있다.
Nutcracker Competition Winner
2003 - Daniil Trifonov (Russia)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2004 -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2008 - Alim Beisembayev (Kazakhstan) / 알림 베이셈바예프 (카자흐스탄)
2010 - Daniel Kharitonov (Russia) / 다니엘 하리토노프 (러시아)
호두까기 인형 어린이 콩쿠르에서 트리포노프는 그랑프리도 받았고, 베이셈바예프는 4번 도전하여 만장일치로 우승했으며, 하리토노프는 2006년 세미파이널리스트였다가 재도전하여 우승했다.
Tchaikovsky Junior Competition Winner
2004 - Yulia Chaplina (Russia) / 율리아 차플리나 (러시아)
2014 - Alexander Malofeev (Russia) / 알렉산더 말로페예프 (러시아)
사샤는 2019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러시아가 대놓고 우승자로 밀었던 애였는데 오히려 망쳤다. 다닐 이후 스타에 목마른 러시아가 조급했다. 21세가 되는 2023년에도 가만 두지 않을 듯. 차근차근 성장시키고 연주 여행 잘 다니게 놔두지... 러시안에게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숙명이다. 그밖에 아야코 우에하라, 알렉산더 나비울린, 손열음, 예수아, 이혁도 이 대회 출신이다. 이 대회에서 시니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우승으로 이어진 사람은 하나도 없다. 그네신 학교 출신인 사샤는 이후 모스크바 음악원으로 옮겨갔고 거기에서 도렌스키의 제자가 되었는데 올해 2월에 그분이 작고하셨다. 도렌스키의 제자란 건 마추예프의 백이 있다는 거나 마찬가지.
Ettlingen Junior Competition
1992A - Ayako Uehara (Japan) / 아야코 우에하라 (일본)
1998B - Boris Giltburg (Israel) / 보리스 길트부르크 (이스라엘)
2000B - Yeol Eum Son (Korea) / 손열음 (대한민국)
길트부르크는 1996년 A그룹 2위였다가 B그룹에 재도전하여 우승했다. 손열음은 연령상 A그룹에 나와도 되는데 B그룹으로 나와서 우승했다. 현재까지 에틀링겐 청소년 콩쿠르 B그룹에서 역대 최연소 우승이다.
Chopin Junior Competition
1992
공동 1위 Etsuko Hirose (Japan) / 에츠코 히로세 (일본)
2위 Ekaterina Metchetina (Russia) / 에카테리나 메체티나 (러시아)
1996
공동 1위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공동 1위 Dong Min Lim (Korea) / 임동민 (대한민국)
2위 Dong-Hyek Lim (Korea) / 임동혁 (대한민국)
2000
4위 Timur Shcherbakov (Russia) / 치무르 셰르바코프 (러시아)
2004
공동 2위 Lukas Geniusas (Russia) / 루카스 게뉴사스 (러시아)
2006
1위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3위 Daniil Trifonov (Russia)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2008
1위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대한민국)
2위 Nikolay Khozyainov (Russia) / 니콜라이 호지아이노프 (러시아)
2014
[Junior Group]
파이널리스트 (Top 5) Tony Yike Yang (Canada) / 토니 이케 양 (캐나다)
쇼팽 청소년 콩쿠르 출신 중에서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우승으로 이어진 사람은 다닐 트리포노프가 유일하다.
Arthur Rubinstein Junior Competition Winner
1996 - 4위 Maria Mazo (Russia) / 마리아 마조 (러시아)
2002 - 3위 Tsimur Scherbakov (Belarus) / 치무르 셰르바코프 (벨로루시)
2017 - 1위 Arsenii Mun (Russia) / 아르세니 문 (러시아)
루빈스타인 기념 청소년 콩쿠르에서는 열거할 이름이 별로 없다.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입상자가 없다.
Long-Thibaud Competition Winner
1959 - Toyoaki Matsuura (Japan) / 도요아키 마쓰우라 (일본)
1961 - Marina Mdivani (USSR) / 마리나 므디바니 (조지아)
1963 - Victor Eresko (USSR) / 빅토르 에레스코 (러시아)
1967 - Edward Auer (USA) / 에드워드 아우어 (미국)
2001 - Dong Hyek Lim (Korea) / 임동혁 (대한민국)
마쓰우라는 1958년 모스크바에서 7위에 입상했다가 파리로 가서 우승했다. 롱-티보 콩쿠르는 일본에서 인기가 많다고 하더라고. 2019년에는 12년 만에 우승자가 나왔는데 일본이 나란히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다. 므디바니는 파리에서 먼저 우승한 다음 1962년 모스크바로 가서 4위에 입상했다. 에레스코도 파리에서 먼저 우승한 다음 1996년 모스크바에서 3위에 입상했다. 에드워드 아우어는 1966년 모스크바에서 5위에 입상한 다음 파리로 가서 우승했다. 임동혁은 파리에서 먼저 우승한 다음 3대 콩쿠르에 나가서 모두 입상했으나 2003년에는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3위 수상을 거부했다. 2005 쇼팽 콩쿠르 공동 3위, 2007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공동 4위로 마감했다.
Queen Elisabeth Competition Winner
1956 - Vladimir Ashkenazy (Russia/Jewish)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유태계)
1983 - Pierre-Alain Volondat (France) / 피에르-알랭 볼롱다 (프랑스)
1995 - Markus Groh (Germany) / 마르쿠스 그로 (독일)
2013 - Boris Giltburg (Israel) / 보리스 길트부르크 (이스라엘)
아쉬케나지가 소련의 압력으로 이미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자임에도 1962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나갔는데 볼롱다도 1986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나갔다. 아쉬케나지는 존 오그던과의 공동 우승으로 마감했지만 볼롱다는 1차에서 탈락했다. 이후 21세기에는 안나 비니츠카야도 저먼 국제피아노어워드를 나갔지만 6명 안에 들었어도 1명만 뽑는 대회라 입상하지 못했다. 이래서 3대 콩쿠르 중에서 꼴찌! 다만 바이올린 부문은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보다 낫다. 내가 볼 때 러시안 입장에서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3위 이내면 바라볼 데가 쇼팽 콩쿠르 말고는 없다. 퀸엘리자베스 콩쿠르에 나가면 눈을 낮추는 게 된다. 가서 우승할 거면 몰라도. 그런데 2015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입상자들 중에서 세르게이 레드킨이 여기에 나왔다. 나머지 5명은 콩쿠르 참가를 멈춘 상태. 코로나19 때문에 취소되긴 했지만, 참가자 명단에서 레드킨을 보는 순간 어쩔 수 없는 우승 후보가 되었다. 1994년 모스크바에서 세미파이널리스트였던 마르쿠스 그로는 1995년 브뤼셀로 가서 우승했다. 길트부르크는 이스라엘 최초로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동안 유태계 우승자들은 있었지만 이스라엘 국적은 아니었다.
ARD Competition Winner
1973 - James Tocco (USA) / 제임스 토코 (미국)
1985 - Kalle Randalu (USSR) / 칼레 란달루 (에스토니아)
2017 - Jeung-Beum Sohn (Korea) / 손정범 (대한민국)
제임스 토코는 1970 차이코프스키 4위, 1972 퀸엘리자베스 8위를 거쳐 ARD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1982년 공동 4위였던 란달루도 ARD 콩쿠르 우승자로 마감했다. 2015년 1차에서 미끄러졌던 손정범은 우리나라 최초로 ARD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으나 2019 저먼 국제피아노어워드에도 도전하여 우승했다.
Leeds Competition Winner
1975 - Dmitri Alexeev (USSR) / 드미트리 알렉세예프 (러시아)
1986 - Vladimir Ovchinnikov (USSR) / 블라디미르 옵치니코프 (러시아)
2009 - Sofya Gulyak (Russia) / 소피아 굴리악 (러시아)
알렉세예프는 1969 롱-티보 2위, 1970 에네스쿠 1위, 1974 차이코프스키 공동 5위였다가 1975 리즈 콩쿠르 우승으로 마감했다. 옵치니코프는 1980 몬트리올 공동 2위, 1982 차이코프스키 1위 없는 공동 2위, 1984 비오티 1위를 거쳐 1987 리즈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리즈에서 4위에 입상했던 연주자는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소피아 굴리악은 2008 루빈스타인 콩쿠르 1차에서도 탈락했으나 결국 리즈 콩쿠르에서 여성 최초로 우승했다.
Sydney Competition Winner
1977 - Irina Plotnikova (USSR) / 이리나 플로트니코바 (러시아)
1992 - Xiang-Dong Kong (China) / 콩샹둥 (중국)
1996 - Sergey Tarasov (Russia) / 세르게이 타라소프 (러시아)
2004 - John Chen (New Zealand) / 존 첸 (뉴질랜드)
2016 - Andrey Gugnin (Russia) / 안드레이 구그닌 (러시아)
시드니 콩쿠르는 우승한다고 멈추는 대회가 아니다. 미국이나 유럽도 아니고 오세아니아에서 열리는 대회니까. 구그닌이 더 이상 콩쿠르에 참가하지 않는다는 중대한 결정을 내렸다고 러시아어 인터뷰에서 봤는데 그럼 그렇지 러시안이라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미련이 있으니 재도전했으나 준결선에서 탈락했다.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32세까지 참가할 수 있지만 정작 30대에게는 결선에 오를 기회를 별로 주지 않는다. 이웃님이 말씀하시길 구그닌이 요즘에 잘 나간다고. 레코딩 아티스트로 음반을 몇 장 냈다.
Cleveland Competition Winner
1987 - Thierry Huillet (France) / 티에리 위에 (프랑스)
2007 - Alexander Ghindin (러시아)
2013 - Stanislav Khristenko (Russia) / 스타니슬라프 흐리스텐코 (러시아)
2016 - Nikita Mndoyants (Russia) / 니키타 믄도얀츠 (러시아)
티에리 위에는 1986년 세미파이널리스트였다가 클리블랜드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나 1994년에 재도전했다. 긴딘은 클리블랜드에서 우승한 이후에도 두 번 더 다른 대회에서 입상했다. 클리블랜드에서 2005년 3위였다가 8년 만에 재도전한 흐리스텐코는 결국 우승했다. 2015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오디션에 탈락하여 1차에 나오지 못했던 믄도얀츠는 여기에서 우승하여 콩쿠르 경력을 마감했다.
Van Cliburn Competition Winner
1989 - Alexei Sultanov (Russia) / 알렉세이 술타노프 (러시아)
술타노프는 1986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나왔으나 준결선에서 탈락하여 소콜로프 이후 16세의 입상이 무산되었고 1989년에는 클라이번 콩쿠르에 나와서 우승했다. 클라이번 콩쿠르에 참가를 결심한 이유는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정치적 흥정이 있는데 반해 클라이번 콩쿠르는 공정하게 심사해서. 하지만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으로 1년에 45회 연주하다가 새로운 대회가 열리면서 연주 기회가 떨어진 술타노프는 1995 쇼팽 콩쿠르 1위 없는 공동 2위에 입상한 다음 1998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재도전했으나 또 다시 결선에 오르지 못했고 1999년에는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1차에서 탈락했다.
Monte-Carlo Competition Winner
1993 - Natalia Trull (Russia) / 나탈리아 트룰 (러시아)
1994 - Ludmil Angelov (Bulgaria) / 루드밀 앙겔로프 (불가리아)
1995 - Irina Plotnikova (USSR) / 이리나 플로트니코바 (러시아)
1996 - Giovanni Bellucci (Italy) / 지오반니 벨루치 (이탈리아)
2006 - Vladimir Sverdlov (Russia) / 블라디비르 스베르들로프 (러시아)
2009 - Sergei Tarasov (Russia) / 세르게이 타라소프 (러시아)
2012 - Miroslav Kultyshev (Russia) / 미로슬라프 쿨티셰프 (러시아)
2018 - Alexander Gadjiev (Italy/Slovenia)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슬로베니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1990년 파이널리스트였다가 1998년 재도전하여 4위에 입상한 타라소프는 몬테카를로 콩쿠르에서 2003년 파이널리스트였다가 재도전하여 우승했다. 스베르들로프는 아쉬케나지의 조카. 가지예프는 2015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오디션에서 탈락했다가 같은 해에 열린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우승했고 3년 후에 몬테카를로 콩쿠르에도 우승했다. 이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미련이 있었는지 2019년에 재도전했으나 2차에서 탈락했다.
Géza Anda Competition Winner
1994 - Pietro de Maria (Italy) / 피에트로 데 마리아 (이탈리아)
2003 - Alexei Volodin (Russia) / 알렉세이 볼로딘 (러시아)
2009 - Jinsang Lee (Republic of Korea) / 이진상 (대한민국)
1990년 파이널리스트였던 피에트로 데 마리아는 1990 디노 치아니 콩쿠르 우승을 거쳐 게자 안다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이후 1997 함부르크 멘델스존 콩쿠르에서도 우승했다. 볼로딘은 2002년에 세미파이널리스트였다가 취리히로 가서 마무리했다. 2007년 1차에서 탈락한 이진상은 우리나라 최초로 게자 안다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Busoni Competition Winner
1995 - Alexander Shtarkman (USSR) / 알렉산더 슈타르크만 (러시아)
2001 - Alexander Romanovsky (Ukraine) / 알렉산더 로마노프스키 (우크라이나)
1994년 모스크바에서 5위였던 알렉산더 슈타르크만은 이듬해에 볼차노에서 만장일치 우승으로 마무리했다. 부조니 콩쿠르에서 우승했던 로마노프스키는 2002 산탄데르와 2003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세미파이널리스트를 거쳐 2011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4위로 마감했다. 부조니 콩쿠르에서 우승하면 콩쿠르 참가를 멈춰도 되는데 사람에 따라서는 다른 대회에 또 나가기도 한다.
Honens Competition Winner
2006 - Minsoo Sohn (Republic of Korea) / 손민수 (대한민국)
2012 - Pavel Kolesnikov (Russia) / 파벨 콜레스니코프 (러시아)
1998년 1차에서 탈락한 손민수는 캘거리의 호넨스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나 2007년에도 재도전했고 역시 1차에서 탈락했다. 2007년 1차에서 탈락하고 2011년에 2차에서 탈락한 콜레스니코프는 호넨스 콩쿠르 우승으로 마감했다.
Hamamatsu Competition Winner
2009 -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대한민국)
2012 - Ilya Rashkovsky (Russia)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러시아)
2015 - Alexander Gadjiev (Italy/Slovenia)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슬로베니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변수가 있고 하마마쓰 콩쿠르 우승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우승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마추예프도 알고 보면 1997년 대회 2차에서 미끄러진 경우. 그때 6위였던 프레디 켐프는 모스크바에서 3위로 마감했다. 하마마쓰 콩쿠르가 쇼팽 콩쿠르에 대해서는 정확한데 최상위가 아니면 우승하기 힘들다. 조성진만 모스크바에서 3위였고 이후의 우승자들은 2차에서 탈락했다.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5위부터는 쇼팽 콩쿠르에서 결선은 몰라도 입상을 바라보긴 힘들다. 하마마쓰에서 받은 순위와 같거나 한 계단 아래. 그래서 가지예프에 대해서는 발상을 전환했다. 하마마쓰 1위도 마찬가지로 한 계단 아래인 2위를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로...
Arthur Rubinstein Master Competition Winner
2011 - Daniil Trifonov (Russia)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다닐 트리포노프와 보리스 길트부르크는 루빈스타인 마스터 콩쿠르가 끝나고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 곧바로 참가했다. 다닐은 우승으로 이어진 반면 길트부르크는 1차에서 탈락했다.
Geneva Competition Winner
2018 -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2015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1차에서 미끄러진 시쉬킨은 2015 쇼팽 콩쿠르 6위, 2016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입상을 거쳐 2018 제네바 콩쿠르에서 공동 우승했으며 2019년에 재도전하여 공동 2위로 마감했다.
Chopin Competition Winner
2015 -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대한민국)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입상이 쇼팽 콩쿠르 우승으로 이어진 사례는 조성진이 유일하다. 여기에서 3위였던 케빈 케너는 바르샤바에서 1위 없는 2위, 미치에 고야마는 4위에 입상했다.
내가 볼 때 폴란드와 러시아가 아닌 다른 나라들은 쇼팽 콩쿠르 우승자를 또 다시 가지기가 힘들다. 우리나라에서 조성진 같은 인기를 얻기는 힘들고 그거에 준하기라도 하려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피아노 부문 우승이어야 한다. 퀸엘리자베스 콩쿠르로는 피아노 부문이라도 화제로 삼기에 약하다. 그런데 아야코 우에하라가 인기가 그다지 없는 걸 보면... 조성진과 쌍두마차 비스무리라도 가져가려면 피아노 부문 우승을 넘어선 그랑프리여야 한다. 그러면 캉토로프 근처라도 갈 수 있을 듯. 그래야 조성진에게 쏠린 인기를 좀 분배하지... 게르기에프든 누구든 상트페테르부르크 입상자 갈라 콘서트에서 차이코프스키 흉상을 우리나라 피아니스트에게 주는 장면이 방송을 타야 한다. 그러면 조성진은 몰라도 손열음, 김선욱, 임동혁이라도 넘어설 수 있다. 조성진처럼 준수한 외모라면 인기가 더 올라갈 수도 있다. 하지만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국적이 러시아가 아니면 우승하기 힘든 게 현실. 그것보다 더한 건 유태계의 벽. 실력이 엇비슷하다 싶으면 유태계를 우승으로 밀 테니까.
여기까지 콩쿠르 라운드(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3라운드, 쇼팽 콩쿠르는 2~4라운드)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보고 몇몇 참가자들을 발췌했다. 쇼팽 콩쿠르는 2010년부터 참가 인원이 굳어진데 반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대회마다 다르다. 하마마쓰 콩쿠르의 뒷이야기에 대해서는 오래 전에 이미 했다. 그럼 이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