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2년 3월 11일 금요일

Pavel Kolesnikov - Live at Wigmore Hall (26 October 2020)


파벨 콜레스니코프 - 2020년 10월 26일 위그모어 홀 콘서트

Scriabin 4 Pieces, Op. 51 No. 4 Danse languide / 스크리아빈 4개의 소품 작품 51-4 <나른한 춤>


Liszt Études d’exé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8 Wilde Jagd /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18번 <사냥>


Liszt: La cloche sonne, S. 238 / 리스트 <종소리가 울린다>


Scriabin 4 Pieces, Op. 51 No. 3 Poëme ailé / 스크리아빈 4개의 소품 작품 51-3 <가벼운 시>


Liszt Études d’exé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6 Vision /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6번 <환영>


Schubert 6 Moments Musicaux, D. 780 / 슈베르트 6개의 악흥의 순간

No. 1 in C: Moderato

No. 2 in Ab: Andantino

No. 3 in f: Allegro moderato

No. 4 in c#: Moderato

No. 5 in f: Allegro vivace

No. 6 in Ab: Allegretto


Scriabin Sonata No. 2 in g#, Op. 19 "Sonata-Fantasy" / 스크리아빈 소나타 2번 <환상 소나타>

I. Andante

II. Allegro vivace


Beethoven Sonata No. 17 in d, Op. 31 No. 2 “Tempest” / 베토벤 소나타 17번 <템페스트>

I. Largo - Allegro

II. Adagio

III. Allegretto


Chopin Prelude in Db, Op. 28 No. 15 "Raindrop" (encore) / 쇼팽 전주곡 15번 <빗방울>


보고 나서 지웠으므로 가지고 있지 않다.

Pavel Kolesnikov & Samson Tsoy - Live at Wigmore Hall (5 June 2020)


2020년 6월 5일 위그모어 홀 듀오 콘서트

Pavel Kolesnikov / 파벨 콜레스니코프

Samson Tsoy / 삼손 최


Program

Brahms Liebeslieder-Walzer, Op. 52 / 브람스 <사랑의 노래 왈츠> 발췌

No. 16 Ein dunkeler Schacht ist Liebe / 사랑은 캄캄한 구덩이죠

No. 17 Nicht wandle, mein Licht / 저 밖에 가지 마오, 내 빛이여

No. 18 Es bebet das Gesträuche / 떨기 덤불 흔들리니

... Samson Tsoy / 삼손 최

... Pavel Kolesnikov / 파벨 콜레스니코프


Neue Liebeslieder Waltzes Op. 65 / 브람스 <새로운 사랑의 노래 왈츠> 발췌

No. 1 Verzicht, o Herz auf Rettung / 오 마음이여 단념하라, 구원의 희망을

No. 2 Finstere Schatten der Nacht / 밤의 어두운 그림자

No. 3 An jeder Hand die Finger / 양손 모두 반지가 끼워진 손가락들

No. 4 Ihr schwarzen Augen / 그대 검은 눈동자

... Samson Tsoy / 삼손 최

... Pavel Kolesnikov / 파벨 콜레스니코프


Schubert Impromptu in Ab, Op. 142 (D. 935) No. 2 / 슈베르트 즉흥곡 작품 142-2

... Samson Tsoy / 삼손 최


Beethoven 8 Variations on a Theme by Count Waldstein, WoO 67 / 베토벤 4개의 손을 위한 발트슈타인 백작 주제에 의한 8개의 변주곡

... Pavel Kolesnikov / 파벨 콜레스니코프

... Samson Tsoy / 삼손 최


Schubert 36 Original Dances, D. 365 No. 32 Deutscher Tanz in F / 슈베르트 36개의 독일 춤곡 중 32번

Schubert 12 Deutsche Ländler. D. 790 No. 6 Ländler in g# / 슈베르트 12개의 독일 랜틀러 중 6번

Schubert 36 Original Dances, D. 365 No. 30 Waltz in A / 슈베르트 36개의 독일 춤곡 중 30번

Schubert 16 Deutsche & 2 Ecossaises, D. 783 No. 15 in Ab / 슈베르트 16개의 독일 춤곡과 2개의 에코세즈 중 15번

Schubert 38 Waltzes, Landler & Ecossaises, D. 145 No. 12 Waltz in E / 슈베르트 38개의 왈츠, 랜틀러, 에코세즈 중 12번 왈츠

Schubert 12 Deutsche Ländler, D. 790 No. 12 Ländler in E / 슈베르트 12개의 독일 랜틀러 중 12번

... Pavel Kolesnikov / 파벨 콜레스니코프


Schubert Fantasie in f, D. 940 / 슈베르트 4개의 손을 위한 환상곡

... Samson Tsoy / 삼손 최

... Pavel Kolesnikov / 파벨 콜레스니코프


Encore

Ravel Suite "Ma mère l'Oye" for piano 4 hands: V. Le jardin féerique. Lent et grave / 라벨 4개의 손을 위한 <어미 거위> 모음곡 중 5번 요정의 정원

... Samson Tsoy / 삼손 최

... Pavel Kolesnikov / 파벨 콜레스니코프


보고 나서 지웠으므로 가지고 있지 않다.

Eldar Nebolsin - Live in Madrid (25 November 2015)


https://www.youtube.com/watch?v=BCdAJ41TI8I


엘다르 네볼신 - 2015년 11월 25일 마드리드 리사이틀

Fundación Juan March / 후안 마르크 재단


Program

Mozart Adagio in b, KV 540 / 모차르트 아다지오


Beethoven Sonata No. 23 in f, Op. 57 "Appassionata" / 베토벤 소나타 23번 <열정>

I. Allegro assai

II. Andante con moto

III. Allegro ma non troppo - Presto


Schubert Impromptu in Ab, D. 935 (Op. 142) No. 2 / 슈베르트 즉흥곡 작품 142-2


Weber Momento capriccioso, Op. 12 / 베버 <모멘토 카프리치오소>


Mendelssohn Lieder ohne Worte, Op. 67 No. 1 in G: Andante / 멘델스존 무언가 작품 67-1


Schumann Fantasy in C, Op. 17 / 슈만 환상곡

I. Durchaus phantastisch und leidenschaftlich vorzutragen

II. Mässig. Durchaus energisch

III. Langsam getragen. Durchweg leise zu halten


Chopin Scherzo No. 3 in c#, Op. 39 / 쇼팽 스케르초 3번


Chopin Prelude in Ab, Op. 28 No. 17: Allegretto / 쇼팽 전주곡 17번


Chopin Etude in a, Op. 25 No. 11 "Winter Wind": Lento - Allegro con brio / 쇼팽 연습곡 작품 25-11 <겨울바람>


유튜브에서 전체를 볼 수 있다. 엘다르 네볼신은 그동안 음반으로 이름을 알고 있었던 연주자였다. 하지만 동영상으로 접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컨디션이 다소 안 좋았는지 열정 소나타에서 확연한 미스터치가 많다.

2022년 3월 6일 일요일

Bruce Xiaoyu Liu - Fryderyk Chopin 212th Birthday Concert in Warsaw (1 March 2022)


https://www.youtube.com/watch?v=UnF-wbvRG68


브루스 샤오위 류 - 2022년 3월 1일 19시 쇼팽 탄생 212주년 기념 콘서트

Warsaw Philharmonic Concert Hall / 바르샤바 필하모닉 콘서트홀

Concert is dedicated to victims of the war in Ukraine / 우크라이나 전쟁 희생자들에 대한 헌정 연주회


Program

Nocturne No. 7 in c#, Op. 27 No. 1 / 녹턴 7번


Rondo à la mazur in F, Op. 5 / 마주르 풍의 론도


Ballade No. 2 in F, Op. 38 / 발라드 2번


Ballade No. 3 in Ab, Op. 47 / 발라드 3번


Intermission


Sonata No. 2 in b flat, Op. 35 / 소나타 2번

I. Grave - Doppio movimento

II. Scherzo

III. Marche funèbre. Lento

IV. Finale. Presto


Andante Spianato and Grande Polonaise in Eb, Op. 22 /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


Encores

Nocturne No. 20 in c#, Op. posth. / 녹턴 20번

Ecossaise No. 1 in D, Op. 72 No. 3 / 에코세즈 1번

Ecossaise No. 2 in G, Op. 72 No. 4 / 에코세즈 2번

Ecossaise No. 3 in Db, Op. 72 No. 5 / 에코세즈 3번

Waltz No. 19 in a, Op. posth. / 왈츠 19번



혹시 링크가 사라질지도 몰라서 3월 2일 새벽 3시에 생방송으로 봤다. 표지에는 우크라이나의 국기 색깔을 넣은 리본이 그려져 있다. 녹턴은 마치 현재 러시아와 전쟁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것처럼 들린다. 우크라이나에서 이웃 나라 폴란드로 대거 피난 가고 있는 상황. 행복해야 할 쇼팽 탄생 212주년이 전쟁의 공포 속에 묻히고 있다. 하지만 브루스 샤오위 류가 그 속에서 꽃을 피워내고 있다. 마주르 풍의 론도는 지난 대회에서 나한테 자극을 줬던 곡. 발라드 2번에서는 현재 상황과 맞물려서 평화로웠던 한때를 거쳐 전쟁에 이른다. 연주자의 맘이 무거울 것 같다. 이마에서 땀이 흘러내린다. 무대의 조명도 어둡다. 코로나19라는 암울한 상황 속에서 나한테 작년에 소중한 추억을 선사했던 곳. 발라드 3번에서는 전쟁통에 갈팡질팡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소나타 2번에서는 1악장의 첫 음이 전쟁의 시작을 알린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벨라루스에서 회담했으나 별 진전이 없거니와 2악장에서도 전쟁은 멈출 줄 모른다. 그러고 보니 소나타 2번은 모든 악장의 첫 음이 낮은 성부에 있다. 1악장부터 4악장까지 어두운 분위기가 지배한다. 3악장에서는 죽음의 그림자가 서서히 다가온다. 폐허가 된 전쟁터에서 장송 행진곡이 울려 퍼진다. 3악장이 끝나갈 때 눈물이 핑 돌았다. 전쟁이 어서 끝나야 하는데... 4악장의 마지막 음은 폭탄 떨어지는 소리가 아닌, 우크라이나의 승리를 알리는 축포이길... 안단테 스피아나토는 그저 평화롭게 흘러간다. 폴로네즈에서는 모든 것을 건반에 쏟아낸다. 모든 연주가 끝나자 전원이 기립박수. 녹턴 20번은 전쟁의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의 의미가 담긴 선곡. 이렇게 즐거워야 할 쇼팽 탄생 기념 콘서트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모 콘서트가 되었다. 녹턴이 끝나자 전원 기립박수. 이렇게 끝날 것 같았으나 에코세즈로 발랄하게 분위기를 전환했다. 에코세즈 3번에서는 악보에 없는 음을 덧붙여서 확실히 마무리. 이렇게 모든 연주가 끝난 줄 알았으나 앙코르가 하나 더 남았다. 왈츠에서는 지난날의 아픔을 담담하게 돌아보는 걸까? 이번에도 기립박수. 새벽에 보느라 힘들었지만 2시간 동안 위안을 얻었다.

Mao Fujita Plays Mozart Piano Sonatas - Live at Verbier Festival 2021


마오 후지타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 2021 베르비에 페스티벌

Verbier Church / 베르비에 교회


July 19 / 7월 19일 11시 - I

Mozart Sonata No. 3 in Bb, K. 281 / 모차르트 소나타 3번

I. Allegro

II. Andante amoroso

III. Rondeau. Allegro


Mozart Sonata No. 4 in Eb, K. 282 / 모차르트 소나타 4번

I. Adagio

II. Menuetto I-II

III. Allegro


Mozart Sonata No. 5 in G, K. 283 / 모차르트 소나타 5번

I. Allegro

II. Andante

III. Presto


Mozart Sonata No. 14 in c, K. 457 / 모차르트 소나타 14번

I. Allegro

II. Adagio

III. Molto allegro


Mozart Sonata No. 10 in C, K. 330 / 모차르트 소나타 10번

I. Allegro moderato

II. Andante cantabile

III. Allegretto


Richard Strauss Sonata in b, Op. 5: II. Adagio cantabile (encore)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소나타 2악장


July 20 / 7월 20일 16시 - II

Mozart Sonata No. 7 in C, K. 309 / 모차르트 소나타 7번

I. Allegro con spirito

II. Andante un poco adagio

III. Rondeau. Allegretto grazioso


Mozart Sonata No. 13 in Bb, K. 333 / 모차르트 소나타 13번

I. Allegro

II. Andante cantabile

III. Allegretto


Mozart Sonata No. 1 in C, K. 279 / 모차르트 소나타 1번

I. Allegro

II. Andante

III. Allegro


Mozart Sonata No. 12 in F, K. 332 / 모차르트 소나타 12번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o assai


Richard Strauss Sonata in b, Op. 5: III. Scherzo. Presto – Trio un poco piú Lento (encore)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소나타 3악장


July 23 / 7월 23일 11시 - III

Mozart Sonata No. 11 in A, K. 331 / 모차르트 소나타 11번

I. Andante grazioso

II. Menuetto and Trio

III. Rondo alla turca. Allegretto


Mozart Sonata No. 2 in F, K. 280 / 모차르트 소나타 2번

I. Allegro assai

II. Adagio

III. Presto


Mozart Sonata No. 15 in F, K. 533 / 모차르트 소나타 15번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o. Allegretto


Paderewski Nocturne in Bb, Op. 16, No. 4 (encore) / 파데레프스키 녹턴


July 28 / 7월 28일 16시 - IV

Mozart Sonata No. 16 in C, K. 545 / 모차르트 소나타 16번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o. Allegretto


Mozart Sonata No. 6 in D, K. 284 "Dürnitz" / 모차르트 소나타 6번 <뒤르니츠>

I. Allegro

II. Rondeau en polonaise

III. Tema con variazione


Mozart Sonata No. 8 in a, K. 310 / 모차르트 소나타 8번

I. Allegro maestoso

II. Andante cantabile con espressione

III. Presto


Chopin Nocturne No. 14 in f#, Op. 48 No. 2 (encore) / 쇼팽 녹턴 14번


July 30 / 7월 30일 16시 - V

Mozart Sonata No. 9 in D, K. 311 / 모차르트 소나타 9번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o assai


Mozart Sonata No. 17 in Bb, K. 570 / 모차르트 소나타 17번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etto


Mozart Sonata No. 18 in D, K. 576 / 모차르트 소나타 18번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etto


Mozart/Liszt: Ave verum corpus (encore) / 모차르트 <주님의 성체> (리스트 편곡)


작년에 메디치 사이트에서 다 받아두었는데 나중에 5개 중 3개가 지워졌다. 이외에도 사라진 것들이 몇 개 있더라고. 거기서 무한정 볼 수 있는 게 아니다. 삭제 기한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꽤 된다. intoclassics 사이트에서도 받을 수 있는데 일부 버퍼링이 있다.

Mao Fujita & Josef Špaček - Live at Verbier Festival (17 July 2021)


https://www.medici.tv/en/concerts/gabor-takacs-nagy-conducts-mozart-and-beethoven-josef-spacek-and-mao-fujita/


2021년 7월 17일 20시 15분 베르비에 페스티벌

Mao Fujita, piano / 마오 후지타, 피아노

Josef Špaček, violin / 요제프 슈파체크, 바이올린

Verbier Festival Chamber Orchestra / 베르비에 페스티벌 실내악단

Gábor Takács-Nagy, conductor / 가보르 타카치-나지 지휘

Salle des Combins / 콩뱅 홀


Program

Mozart Piano Concerto No. 20 in d, K. 466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I. Allegro

II. Romanze

III. Allegro assai


Mozart Piano Sonata No. 3 in Bb, K. 281: III. Rondeau. Allegro (encore)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3번 3악장


Mozart Violin Concerto No. 3 in G, K. 216 /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3번

I. Allegro

II. Adagio

III. Rondeau


Ysaÿe Sonata for Solo Violin No. 5 in G, Op. 27 "Mathieu Crickboom": II. Danse rustique (encore) / 이자이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마티유 크릭붐> 2악장


Beethoven Symphony No. 8 in F, Op. 93 / 베토벤 교향곡 8번

I. Allegro vivace e con brio

II. Allegretto scherzando

III. Tempo di Menuetto

IV. Allegro vivace


원래는 보고 나서 지우려고 했으나 카덴차가 독특해서 소장하게 되었다.

Seong-Jin Cho, Yannick Nézet-Séguin &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Live at Carnegie Hall (25 February 2022)


https://www.wqxr.org/story/vienna-philharmonic-orchestra/

https://www.youtube.com/watch?v=v9ha01OAohc

https://www.youtube.com/watch?v=66RUML2sGMs&t=9s


2022년 2월 25일 20시 카네기홀 콘서트

Seong-Jin Cho, piano (replaced Denis Matsuev) / 조성진, 피아노 (데니스 마추예프 대체)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Yannick Nézet-Séguin, conductor (replaced Valery Gergiev) / 야니크 네제-세갱 지휘 (발레리 게르기에프 대체)

3월 1일 20시 WQXR Radio 녹음 중계


Program

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 2 in c, Op. 18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I. Moderato

II. Adagio sostenuto

III. Allegro scherzando


Tchaikovsky: The Seasons, Op. 37a No. 10 October. Autumn Song (encore) / 차이코프스키 <사계> 중 10월 <가을 노래>


Rachmaninoff Symphony No. 2 in e, Op. 27 /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I. Largo - Allegro moderato

II. Allegro molto

III. Adagio

IV. Allegro vivace



한국 시간으로 3월 2일 아침 10시에 중계. 연주자들의 궁극적인 꿈은 A급 오케스트라인 베를린 필, 빈 필과 협연하는 것! 프로그램이 변경되지 않아서 라흐마니노프를 그대로 연주하게 되었는데 2019년에 연주한 이후 2020년에 연주하려던 흔적이 보였으나 무산되어 이후 연주한 흔적이 없었다. 마추예프가 푸틴 지지자인 건 해당 연주자를 공부해봐서 알고 있었다. 보통 연주자나 지휘자 한쪽이 바뀌는 경우는 더러 있는데 둘이 세트로 바뀌는 건 흔치 않은 경우인 것 같다. 유튜브 음원을 떴는데 나중에 다시 듣기가 떴다. 하지만 JDownloader2 프로그램으로는 먹히지 않아서 GetFLV 프로그램에서 음원을 추출하여 편집했다. GetFLV 프로그램은 동영상 받는 쪽으로 유용한데 녹음도 될지도 몰라서 시도해보니 되더라고. 남들이 유튜브로 올리는 것 말고 원본을 뜨려면 이런저런 다운로드 프로그램들을 익혀야 한다.

2022년 3월 5일 토요일

Google Drive / 2022. 03. Franz Schubert 225


[Manhattan Online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맨해튼 온라인 국제음악콩쿠르는 해마다 열리는 대회로 참가연령은 35세 이하이다.


제1회 2016

그랑프리 Kotaro Fukuma (Japan, CD Release) / 고타로 후쿠마 (일본, 음반 발매)

01 Kotaro Fukuma - Bach Piano Transcriptions 2021

고타로 후쿠마 - 바흐 피아노 편곡집


02 Kotaro Fukuma - Beethoven Piano Sonatas Nos. 17, 24 & 32 (2020)

고타로 후쿠마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7, 24, 32번


03 Kotaro Fukuma - Chopin Autour des Ballades 2015

고타로 후쿠마 - 쇼팽 발라드 외


04 Kotaro Fukuma - Chopin Legacy 2017

고타로 후쿠마 - 쇼팽 유산


05 Kotaro Fukuma - France Romance 2019

고타로 후쿠마 - 프랑스 로망스


Kotaro Fukuma & Tugan Sokhiev - Live in Toulouse (2 July 2016)

고타로 후쿠마, 툴루즈 카피톨 국립 오케스트라, 투간 소히예프 지휘 - 2016년 7월 2일 툴루즈 알로그랭 콘서트 동영상


1위 Artem Yasynsky (Ukraine) / 아르템 야진스키 (우크라이나)

Artem Yasynskyy - Hofmann Piano Works 2015

아르템 야진스키 - 호프만 피아노 작품집


Eteri Andjaparidz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

에테리 안디아파리제 - 스카를라티 소나타 1집


Michael Lewin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

마이클 르윈 - 스카를라티 소나타 2집


Jeno Jand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3

예뇌 얀도 - 스카를라티 소나타 3집


Beatrice Long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4

베아트리스 롱 - 스카를라티 소나타 4집


Benjamin Frith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5

벤저민 프리스 - 스카를라티 소나타 5집


Evgeny Zarafiants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6

에프게니 자라피안츠 - 스카를라티 소나타 6집


Konstantin Scherbakov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7

콘스탄틴 셰르바코프 - 스카를라티 소나타 7집


Soyeon Le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8

이소연 - 스카를라티 소나타 8집


Francesco Nicolosi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9

프란체스코 니콜로시 - 스카를라티 소나타 9집


Ka Ling Colleen Le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0

카 링 콜린 리 - 스카를라티 소나타 10집


Gottlieb Wallisch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1

고틀리프 발리쉬 - 스카를라티 소나타 11집


Gerda Struhal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2

게르다 슈트루할 - 스카를라티 소나타 12집


Chu-Fang Huang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3

추팡 황 - 스카를라티 소나타 13집


Duanduan Ha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4

두안두안 하오 - 스카를라티 소나타 14집


Orion Weiss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5

오리온 웨이스 - 스카를라티 소나타 15집


Duanduan Ha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6

두안두안 하오 - 스카를라티 소나타 16집


mp3 음원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고마우신 네덜란드인 덕분에 고음질로 바꿨다.


Sean Kennard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7

숀 케나드 - 스카를라티 소나타 17집


마찬가지로 mp3 음원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고마우신 네덜란드인 덕분에 고음질로 바꿨다.


Sergio Monteir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8

세르지우 몬테이루 - 스카를라티 소나타 18집


Goran Filipec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9

고란 필리페치 - 스카를라티 소나타 19집


Artem Yasynskyy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0

아르템 야진스키 - 스카를라티 소나타 20집


Soyeon Kate Le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1

이소연 - 스카를라티 소나타 21집


Eylam Keshet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2

에일람 케셰트 - 스카를라티 소나타 22집


Sergio Monteir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3

세르지우 몬테이루 - 스카를라티 소나타 23집


Alon Goldstein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4

알론 골드스타인 - 스카를라티 소나타 24집


Pascal Pascaleff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5

파스칼 파스칼레프 - 스카를라티 소나타 25집


Bruno Vlahek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6

브루노 블라헤크 - 스카를라티 소나타 26집


1위 Ismaël Margain (France) / 이스마엘 마르갱 (프랑스)

Guillaume Bellom & Ismael Margain - Mozart Piano 4-Hands 2014

기욤 벨롱과 이스마엘 마르갱이 연주하는 모차르트 4개의 손을 위한 피아노곡들


Guillaume Bellom & Ismael Margain Play Brahms, Schumann, Rachmaninov & Chostakovitch - A Deux Pianos (Live at Deauville) 2017

기욤 벨롱과 이스마엘 마르갱이 연주하는 브람스, 슈만, 라흐마니노프, 쇼스타코비치 - 도빌 피아노 듀오 라이브


Ismael Margain & Guillaume Bellom Play Schubert 2013

이스마엘 마르갱과 기욤 벨롱이 연주하는 슈베르트


1위 Vestards Shimkus (Latvia) / 베스타르드 심쿠스 (라트비아)

01 Vestard Shimkus - A Chopin Recital 2018

베스타르드 심쿠스 - 쇼팽 리사이틀


02 Vestard Shimkus - America 1 (2021)

베스타르드 심쿠스 - 아메리카 1


03 Vestard Shimkus - Interview with Beethoven 2012

베스타르드 심쿠스 - 베토벤과의 인터뷰


04 Vestard Shimkus - Preludes & Fugues (A Concert in Paris) 2020

베스타르드 심쿠스가 연주하는 전주곡과 푸가 - 파리 콘서트


05 Vestard Shimkus - Scriabin Piano Works 2019

베스타르드 심쿠스 - 스크리아빈 피아노 작품집


06 Vestard Shimkus Plays Peteris Vasks - The Seasons 2010

베스타르드 심쿠스가 연주하는 페테리스 바스크스의 사계


07 Vestard Shimkus Plays Rachmaninoff 2014

베스타르드 심쿠스가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1위 Alexander Ullman (UK) / 알렉산더 울만 (영국)

lexander Ullman Plays Tchaikovsky, Stravinsky & Prokofiev - The Nutcracker, Petrushka, Cinderella & The Firebird 2019

알렉산더 울만 -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 및 불새,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신데렐라>


Various Artists - Ruhr Piano Festival Debuts Live Recordings 2019

루르 피아노 페스티벌 데뷔 라이브 레코딩 3CD

Elisabeth Brauß / 엘리자베트 브라우스

Giuseppe Guarrera / 주제페 구아레라

Tiffany Poon / 티파니 푼

Alexander Ullman / 알렉산더 울만

Till Hoffmann / 틸 호프만

Nicolas Namoradze / 니콜라스 나모라제

Lauren Zhang / 로렌 장


제2회 2017

그랑프리 Alexei Melnikov (Russia) / 알렉세이 멜니코프 (러시아)

Alexei Melnikov - Beethoven, Chopin & Liszt Piano Works 2018

알렉세이 멜니코프 - 베토벤, 쇼팽, 리스트 피아노 작품집


금상 (Gold Prize) Ismaël Margain (France) / 이스마엘 마르갱 (프랑스)

위에 있으므로 생략


은상 (Silver Prize) Florian Mitrea (Romania) / 플로리안 미트레아 (루마니아)

Florian Mitrea - Following the River-Music along the Danube 2018

플로리안 미트레아 - 강을 따라서


제3회 2018 Category 1: Recitals at Carnegie Hall

금상 (Gold Prize with high distinction) Georgijs Osokins (Latvia) /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라트비아)

Georgijs Osokins - Chopin Late Works 2016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 쇼팽 후기 작품집


Georgijs Osokins Plays Rachmaninov - Chopin Variations & Song Transcriptions 2019

게오르기스 오소킨스가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 쇼팽 변주곡 및 가곡 편곡집


Georgijs, Sergejs & Andrejs Osokins - The 3 Osokins in Latvian Piano Music 2018

게오르기스, 세르게이스, 안드레이스 오소킨스 3부자가 연주하는 라트비아 피아노 음악


Gidon Kremer, Giedre Dirvanauskaite & Georgijs Osokins - Beethoven & Chopin Piano Trios 2020

기돈 크레머, 기에드레 디르바나우스카이테,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 카를 라이네케의 베토벤 3중주 협주곡의 피아노 트리오 편곡 및 쇼팽 피아노 트리오


금상 (Gold Prize) Florian Mitrea (Romania) / 플로리안 미트레아 (루마니아)

위에 있으므로 생략


제4회 2019 Category 1: Carnegie Hall

Professional Category 은메달 Maria Narodytska (Ukraine) / 마리아 나로디츠카 (우크라이나)

Maria Narodytska Plays Brahms - Aevea Piano Prize 2019 (Live at Sala Maffeiana)

마리아 나로디츠카가 연주하는 브람스 - 2019 아에베아 피아노 상 (마페이아나 홀 라이브)


Virtuoso Category 1위 Zhu Wang (China) / 주 왕 (중국)

Randall Goosby & Zhu Wang - Roots 2021

랜들 구스비, 주 왕 - 뿌리


제5회 2020

Professional Category 1위 Dmytro Choni (Ukraine) / 드미트로 초니 (우크라이나)

Dmytro Choni - 2018 Paloma O'Shea Santander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Winner

드미트로 초니 - 2018 팔로마 오셰아 산탄데르 국제피아노콩쿠르 우승자


Professional Category 은메달 (Silver Medal) Fabio Romano (Italy) / 파비오 로마노 (이탈리아)

Fabio Romano - Beethoven-Diabelli Variations - Aevea Piano Prize 2019 (Live at Sala Maffeiana)

파비오 로마노가 연주하는 베토벤의 디아벨리 변주곡 - 아에베아 피아노 상 2019 (마페이아나 홀 라이브)


Virtuoso Category 금메달 (Gold Medal with distinction) Dmitry Sin (Russia) / 드미트리 신 (러시아)

Queen Elisabeth Competition - Piano 2021

202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피아노 부문 입상자들 4CD 및 동영상

CD1-2 Hugh Wolff & Belgian National Orchestra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휴 울프 지휘

CD3 Frank Braley & Orchestre Royal de Chambre de Wallonie / 왈로니아 왕립 실내악단, 프랑크 브랄레 지휘

1위 Jonathan Fournel / 조나탕 푸르넬

2위 Sergei Redkin / 세르게이 레드킨

3위 Keigo Mukawa / 게이고 무카와

4위 Tomoki Sakata / 도모키 사카타

5위 Vitaly Starikov / 비탈리 스타리코프

6위 Dmitry Sin / 드미트리 신


Jonathan Fournel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1st Round (May 7)

Jonathan Fournel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2nd Round (May 15) Concerto

Jonathan Fournel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2nd Round (May 15) Recital

Jonathan Fournel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 Round (May 29)

조나탕 푸르넬 - 202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동영상


Sergei Redkin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1st Round (May 5)

Sergei Redkin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2nd Round (May 13) Concerto

Sergei Redkin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2nd Round (May 13) Recital

Sergei Redkin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 Round (May 27)

세르게이 레드킨 - 202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동영상


Keigo Mukawa, Sergei Redkin & Jonathan Fournel - 202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Closing Concert (June 9)

게이고 무카와, 세르게이 레드킨, 조나탕 푸르넬 - 2021년 6월 9일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폐막 콘서트 동영상

Brussels Philharmonic / 브뤼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Stéphane Denève, conductor / 스테판 드네브 지휘


[Berliner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베를린 국제음악콩쿠르는 해마다 열리는 온라인 대회로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관악기, 성악, 실내악 부문이 있다.


제1회 2017

금메달 (Gold Medal) Moye Chen (China) / 모예 첸 (중국)

Moye Chen - Four Worlds 2018

모예 첸이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그레인저, 호로비츠 - 4개의 세계


금메달 (Gold Medal) Gábor Farkas (Hungary) / 가보르 파르카스 (헝가리)

Gabor Farkas - Chopin Ballades & Impromptus 2019

가보르 파르카스 - 쇼팽 발라드와 즉흥곡


금메달 (Gold Medal) Ilya Rashkovsky (Russia)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러시아)

Ilya Rachkovsky - Tchaikovsky Piano Music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음악


Ilya Rashkovskiy Plays Moussorgski, Tchaikovski & Rachmaninov 2016

일리야 라쉬코프스키가 연주하는 무소르그스키, 차이코프스키, 라흐마니노프


Anna Im & Ilya Rashkovskiy - Amabile 2021

안나 임(임도경)과 일리야 라쉬코프스키가 연주하는 그리그, 차이코프스키, 파가니니, 클라라 슈만, 브람스 - 아마빌레


Jungran Lee & Ilya Rashkovskiy Play Saint-Saens, Faure, Debussy & Poulenc - Rendez-vous a Paris 2020

이정란과 일리야 라쉬코프스키가 연주하는 생상스, 포레, 드뷔시, 풀랑크 - 랑데부 인 파리


Ilya Rashkovskiy - 2007 Queen Elisabeth Competition Demi-Finale

Ilya Rashkovskiy - 2007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 2007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준결선 및 결선 녹음 mp3


Daniil Trifonov, Katia Skanavi, Ilya Rashkovsky & Denis Kozhukhin Play Prokofiev (23 April 2016)

다닐 트리포노프, 카티아 스카나비,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데니스 코주힌 - 2016년 4월 23일 프로코피에프 리사이틀 동영상


은메달 (Silver Medal) Yuri Favorin (Russia) / 유리 파보린 (러시아)

Yury Favorin - Alkan Piano Works 2017

유리 파보린 - 알캉 피아노 작품집


Anthology of Piano Music by Russian & Soviet Composers

러시아와 소비에트 작곡가들의 피아노 음악의 역사를 담는 앤솔로지 시리즈 1집

CD1 유리 파보린, 니키타 믄도얀츠,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티혼 흐레니코프 2세

CD2 루카 오크로스츠바리제, 나탈리아 루치키나, 아시야 코레파노바, 미하일 투르파노프

CD3 티혼 흐레니코프 2세, 페오도르 아미로프, 유리 파보린, 니키타 믄도얀츠

CD4 알렉세이 그로츠, 미하일 투르파노프, 바실리 살니코프, 니키타 믄도얀츠, 세르게이 쿠즈네초프

CD5 에카테리나 메체티나, 비아체슬라프 그리아즈노프, 니키타 믄도얀츠

CD6 니키타 믄도얀츠, 타티아나 도로호바, 이리나 보그다노바, 아시야 코레파노바, 미하일 투르파노프

CD7 이리나 보그다노바, 니키타 믄도얀츠, 에카테리나 메체티나, 페오도르 아미로프, 루카스 게뉴샤스, 유리 파보린


은메달 (Silver Medal) Ismaël Margain (France) / 이스마엘 마르갱 (프랑스)

위에 있으므로 생략


은메달 (Silver Medal) Georgijs Osokins (Latvia) /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라트비아)

위에 있으므로 생략


은메달 (Silver Medal) Alexey Sychev (Russia) / 알렉세이 시체프 (러시아)

Alexey Sychev Plays Liszt 2019

알렉세이 시체프가 연주하는 리스트


제2회 2018

금메달 (Gold Medal) Yevgeny Yontov (Israel) / 예프게니 욘토프 (이스라엘)

Yevgeny Yontov - Schubert Piano Variations 2017

예프게니 욘토프 - 슈베르트 피아노 변주곡


금메달 (Gold Medal) Gabor Farkas (Hungary) / 가보르 파르카스 (헝가리)

위에 있으므로 생략


금메달 (Gold Medal) Andrei Korobeinikov (Russia)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러시아)

01 Andrei Korobeinikov - Live in Bremen (January 15, 2014)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 2014년 1월 15일 브레멘 실황 녹음


02 Andrei Korobeinikov - Scriabin Complete Etudes 2014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 스크리아빈 연습곡 전곡


03 Andrei Korobeinikov - Scriabin Sonatas & Poems 2008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 스크리아빈 소나타 및 시곡


04 Andrei Korobeinikov - Shostakovich Piano Concertos & 24 Preludes 2011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24개 전주곡

Mikhail Gaiduk, trumpet / 미하일 가이두크, 트럼펫

Lahti Symphony Orchestra / 라티 심포니 오케스트라

Okko Kamu, conductor / 오코 카무 지휘


Andrei Korobeinikov - Live in Moscow (14 September 2007)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 2007년 9월 14일 모스크바 음악원 실황 녹음 mp3


30e Festival International de piano - La Roque d'Antheron 2010

제30회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Brigitte Engerer / 브리지트 앙제레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Nicholas Angelich / 니콜라스 안젤리치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Jean-Frede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Claire Desert / 클레르 데세르

Shani Diluka / 샤니 딜루카

Zhu Xiao-Mei / 주 샤오메이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Emmanuel Strosser / 에마뉘엘 스트로세

Jean-Claude Pennetier / 장-클로드 페네티에

Luis Fernando Perez /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31e Festival International de piano - La Roque d'Antheron 2011

제31회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Brigitte Engerer / 브리지트 앙제레

Nicholas Angelich / 니콜라스 안젤리치

Adam Laloum / 아당 랄룸

Shani Diluka / 샤니 딜루카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Jean-Claude Pennetier / 장-클로드 페네티에

Philippe Giusiano / 필리프 주시아노

Etsuko Hirose / 에츠코 히로세

Emmanuel Strosser / 에마뉘엘 스트로세

Claire Desert / 클레르 데세르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Zhu Xiao-Mei / 주 샤오메이

Luis Fernando Perez /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Gaspard Dehaene / 가스파르 데하네

Jean-Frede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Various Artists - 35eme Festival International de Piano de La Roque d'Antheron 2015

제35회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Remi Geniet / 레미 주니에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Claire-Marie Le Guay / 클레르-마리 르 게

Matan Porat / 마탄 포라트

Duo Jatekok, Nairi Badal & Adelai Panaget / 듀오 야테코크 (나이리 바달과 아델라이 파나게트)

Etsuko Hirose / 에츠코 히로세

Yulianna Avdeev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Jean-Frede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Claire Desert & Emmanuel Strosser / 클레르 데세르와 엠마뉘엘 스트로세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Marie-Catherine Girod / 마리-카트린 지로

Jean-Claude Pennetier / 장-클로드 페네티에

Nicholas Angelich / 니콜라스 안젤리치

Florent Boffard / 플로랑 보파르

Herve Billaut / 에르베 비요

Lidija & Sanja Bizjak / 리디야와 사냐 비자크 자매

David Kadouch / 다비드 카두쉬

Adam Laloum / 아당 랄룸

Abdel Rahman El Bacha / 압델 라흐만 엘 바샤

Shani Diluka / 샤니 딜루카


Various Artists - 36eme Festival International de Piano de La Roque d'Antheron 2016

제36회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Zhu Xiao-Mei / 주 샤오메이

Remi Geniet / 레미 주니에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Yulianna Avdeev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Shani Diluka / 샤니 딜루카

Claire Desert & Emmanuel Strosser / 클레르 데세르와 엠마누엘 스트로세

Etsuko Hirose / 에츠코 히로세

Nicholas Angelich / 니콜라스 안젤리치

Abdel Rahman El Bacha / 압델 라흐만 엘 바샤

Adam Laloum / 아당 랄룸

Jonas Vitaud / 조나스 비토

Duo Jatekok, Adelai Panaget & Nairi Badal / 듀오 야테코크 (아들라이 파나게트와 나이리 바달)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Jean-Claude Pennetier / 장-클로드 페네티에

Herve Billaut / 에르베 비요

Claire-Marie Le Guay / 클레르-마리 르 게

Marie-Catherine Girod / 마리-카트린 지로

Luis Fernando Perez /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Matan Porat / 마탄 포라트

David Kadouch / 다비드 카두쉬

Jean-Frede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Florent Boffard / 플로랑 보파르


Various Artists - 37eme Festival International de Piano de La Roque d'Antheron 2017

제37회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Adam Laloum / 아당 랄룸

Claire Desert & Emmanuel Strosser / 클레르 데세르와 엠마누엘 스트로세

Jonas Vitaud / 조나스 비토

Remi Geniet / 레미 주니에

Matan Porat / 마탄 포라트

Marie-Catherine Girod / 마리-카트린 지로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Luis Fernando Perez /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Shani Diluka & Les Chanteurs d'Oiseaux / 샤니 딜루카와 새들

Philippe Giusiano / 필리프 주시아노

Jean-Claude Pennetier / 장-클로드 페네티에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Jean-Frede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Nicholas Angelich / 니콜라스 안젤리치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Marie-Ange Nguci / 마리-앙쥬 누구시

Yulianna Avdeev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Nathalia Milstein / 나탈리아 밀스타인


Various Artists - 38eme Festival International de Piano de La Roque d'Antheron 2018

제38회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Claire Desert / 클레르 데세르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Yulianna Avdeev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Remi Geniet / 레미 주니에

Emmanuel Strosser / 엠마누엘 스트로세

Shani Diluka / 샤니 딜루카

Abdel Rahman El Bacha / 압델 라흐만 엘 바샤

Adam Laloum / 아당 랄룸

Marie-Ange Nguci / 마리-앙쥬 누구시

Jean-Claude Pennetier / 장-클로드 페네티에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Luis Fernando Perez /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Etsuko Hirose / 에츠코 히로세

Tanguy de Williencourt / 탕기 드 빌리앙쿠르

Jonas Vitaud / 조나스 비토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David Kadouch / 다비드 카두쉬

Matan Porat / 마탄 포라트

Marie-Catherine Girod / 마리-카트린 지로


Various Artists - 39eme Festival International de Piano de La Roque d'Antheron 2019

제39회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Claire-Marie Le Guay / 클레르-마리 르 게

Shani Diluka / 샤니 딜루카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David Kadouch / 다비드 카두쉬

Abdel Rahman El Bacha / 압델 라흐만 엘 바샤

Claire Desert / 클레르 데세르

Emmanuel Strosser / 엠마누엘 스트로세

Yulianna Avdeev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Adam Laloum / 아당 랄룸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Nathanael Gouin / 나타나엘 구앵

Matan Porat / 마탄 포라트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Jean-Frede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Jonas Vitaud / 조나스 비토

Marie-Ange Nguci / 마리-앙쥬 누구시

Jean-Claude Pennetier / 장-클로드 페네티에

Lukas Geniusas / 루카스 게뉴샤스


La Folle Journee 2016 - La Nature

라 폴 주르네 음악제 2016 - 자연과 음악 2CD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Brigitte Engerer / 브리지트 앙제레

Shani Diluka / 샤니 딜루카

Jonas Vitaud / 조나스 비토

Philippe Giusiano / 필리프 주시아노

Nicholas Angelich / 니콜라스 안젤리치

Abdel Rahman El Bacha / 압델 라흐만 엘 바샤

Claire-Marie Le Guay / 클레르-마리 르 게

David Kadouch / 다비드 카두쉬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Matan Porat / 마탄 포라트

Luis Fernando Perez /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La Folle Journee 2018 - Vers un nouveau monde

라 폴 주르네 음악제 2018 - 새로운 세상으로 2CD mp3

Jean-Frédé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Claire-Marie Le Guay / 클레르-마리 르 게

Boris Berezovsky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Anne Queffelec / 안느 케펠레크

Andrei Korobeinikov /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Iddo Bar-Shai / 이도 바르샤이

Luis Fernando Perez / 루이스 페르난도 페레스

Abdel Rahman El Bacha / 압델 라흐만 엘 바샤

Brigitte Engerer / 브리지트 앙제레

David Kadouch / 다비드 카두쉬

Matan Porat / 마탄 포라트

Yulianna Avdeev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Johannes Moser & Andrei Korobeinikov - Rachmaninov & Prokofiev Works for Cello & Piano 2016

요하네스 모저, 안드레이 코로베이니코프 - 라흐마니노프, 프로코피에프 첼로 작품집


제3회 2019 Professional Category

금메달 (Gold Medal with High Distinction) Andrey Gugnin (Russia, Manhattan Concert Artists Award) / 안드레이 구그닌 (러시아, 맨해튼 콘서트 아티스트 상)

Andrey Gugnin - Homage to Godowsky 2020

안드레이 구그닌 - 고도프스키를 예찬하며


Andrey Gugnin - Shostakovich 24 Preludes, Piano Sonatas Nos. 1 & 2 (2019)

안드레이 구그닌 - 쇼스타코비치 24개 전주곡, 소나타 1~2번


Andrey Gugnin, Vadym Kholodenko & Lukas Geniusas - Dedication to Vera Gornostayeva (Live) 2019

안드레이 구그닌, 바딤 홀로덴코, 루카스 게뉴사스 - 베라 고르노스타예바에 대한 헌정


Lukas Geniusas, Andrey Gugnin, Nikita Mndoyants, Ksenia Bashmet, Yuri Favorin & Andrey Yaroshinsky - Zaderatsky 24 Preludes & Fugues 2016

루카스 게뉴샤스, 안드레이 구그닌, 니키타 믄도얀츠, 크세니아 바쉬메트, 유리 파보린, 안드레이 야로신스키 - 자데라츠키 24개 프렐류드와 푸가 2CD


은메달 (Silver Medal) Maria Naroditska (Ukraine) / 마리아 나로디츠카 (우크라이나)

위에 있으므로 생략


[Jean Françaix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장 프랑세 국제피아노콩쿠르는 1912년 출생한 프랑스 작곡가 장 프랑세가 사망한 해인 1997년에 창설되어 방브(Vanves)에서 매년 열리는 그의 이름을 딴 음악 콩쿠르이다. 피아노 부문은 매년 열리고, 비올라, 클라리넷, 플루트, 첼로, 바이올린, 오보에, 바순 등 다른 부문은 매년 바뀌었으나, 2008년부터는 피아노 부문만 열린다. 참가연령은 38세 이하.


제5회 2002

1위 Jean-Frédéric Neuburger (France)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프랑스)

Jean-Frederic Neuburger Plays Chopin 27 Etudes 2004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가 연주하는 쇼팽 연습곡 전집


Jean-Frederic Neuburger Plays Czerny, Liszt & Heller Etudes 2006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가 연주하는 체르니, 리스트, 헬러 연습곡 2CD


Jean-Frederic Neuburger & Quatuor Modigliani Play Brahms 2011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와 모딜리아니 콰르텟이 연주하는 브람스 피아노 퀸텟 및 2개의 노래

Andrea Hill, mezzo-soprano / 안드레아 힐, 메조소프라노


Jean-Frederic Neuburger - Piano Recital (8 August 2003)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 2003년 8월 8일 리사이틀 mp3


Jean-Frederic Neuburger - Live at Verbier Festival 2008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가 연주하는 베토벤과 쇼팽 - 2008 베르비에 페스티벌


Pianos of the Future - La Roque d'Antheron 2004

미래의 피아노 - 2004 라 로크 당테롱 국제피아노페스티벌 동영상

Lise de la Salle / 리즈 드 라 사유

Bertrand Chamayou / 베르트랑 샤메유

Severin von Eckardstein / 제베린 폰 에카르트슈타인

Iddo Bar-Shaï / 이도 바르샤이

Jean-Frédéric Neuburger / 장-프레데릭 노이부르거


2위 Simon Zaoui (France) / 시몽 자우이 (프랑스)

Simon Zaoui - Beethoven, un nouveau manifeste 2020

시몽 자우이 - 베토벤, 새로운 선언문


제6회 2003

Finalist (Top 6) Hyun Jung Lim (Korea) / 임현정

Hyun-Jung Lim - Beethoven Complete Piano Sonatas 2011

임현정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 8CD


Hyun Jung Lim Plays Ravel & Scriabin 2014

임현정이 연주하는 라벨과 스크리아빈


제7회 2004

공동 1위 Evelina Borbei (Russia) / 에벨리나 보르베이 (러시아)

Evelina Borbei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Demi-Finale

에벨리나 보르베이 - 1999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준결선 녹음 mp3


제8회 2005

1위 없는 공동 2위 Hyun Jung Lim (Korea) / 임현정

위에 있으므로 생략


Finalist (Top 7) Simon Callaghan (UK) / 사이먼 캘라한 (영국)

Midori Komachi & Simon Callaghan Play Delius, Debussy, Ravel & Grieg - Colours of the Heart 2018

미도리 고마치와 사이먼 캘라한이 연주하는 딜리어스, 드뷔시, 라벨, 그리그 - 마음의 색깔


제9회 2006

2위 Julia Miloslavskaya (Russia) / 율리아 밀로슬라프스카야 (러시아)

Mischa Cheung & Yulia Miloslavskaya, Sergey Simakov & Giraud Ensemble Chamber Orchestra - Gulda, Prokofiev & Poulenc Works 2019

미샤 청과 율리아 밀로슬라프스카야 피아노 듀오, 지로 앙상블 챔버 오케스트라, 세르게이 시마코프 지휘 - 굴다 <나를 위한 협주곡>, 프로코피에프 교향곡 1번 <클래시컬>, 풀랑크 2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제10회 2007

1위 François Dumont (France) / 프랑수아 뒤몽 (프랑스)

01 Francois Dumont - Bach Keyboard Suites, Vol. 1 (2015)

프랑수아 뒤몽 - 바흐 건반 모음곡 1집


02 Francois Dumont - Chopin 21 Nocturnes 2018

프랑수아 뒤몽 - 쇼팽 녹턴 전집 2CD


03 Francois Dumont - Faure Complete Nocturnes 2020

프랑수아 뒤몽 - 포레 녹턴 전집


04 Francois Dumont -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 & Other Piano Works 2019

프랑수아 뒤몽 -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 외


Francois Dumont - 2007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프랑수아 뒤몽 - 2007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Isabel Villanueva & Francois Dumont - Bohemes 2017

이사벨 비야누에바, 프랑수아 뒤몽 - 보엠


Trio Elegiaque (Philippe Aiche, Virginie Constant & Francois Dumont) - Schubert Notturno (Piano Trios) 2018

트리오 엘레지아크(필리프 애슈, 비르지니 콩스탕, 프랑수아 뒤몽) -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2CD


제12회 2009

1위 Evgeny Starodubtsev (Russia) / 에프게니 스타로둡체프 (러시아)

Evgeny Starodubtsev - Chopin 4 Scherzos & Minor Works 2020

에프게니 스타로둡체프 - 쇼팽 스케르초 전곡 및 마이너 작품들


제15회 2012

Finalist (Top 5) Clément Lefebvre France) / 클레망 르페브르 (프랑스)

Clement Lefebvre - Rameau & Couperin Piano Works 2018

클레망 르페브르 - 라모와 쿠프랭 클라브생 작품집


Clement Lefebvre - Ravel Piano Works 2021

클레망 르페브르 - 라벨 피아노 작품집


제18회 2015

공동 3위 Aurelia Vişovan (Romania) / 아우렐리아 비쇼반 (루마니아)

Aurelia Visovan, Anna Besson, Cecilia Bernadini & Marcus van den Munckhof Play Mozart, Hummel & Beethoven 2020

아우렐리아 비쇼반(포르테피아노), 안나 베송(플루트), 체칠리아 베르나디니(바이올린), 마르쿠스 판 덴 문크호프(첼로)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훔멜, 베토벤


Lina Tur Bonet & Aurelia Visovan - Beethoven Sonata Lunatica (Violin Sonatas Nos. 9 & 10) 2020

리나 투르 보네트, 아우렐리아 비쇼반 -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9~10번


Various Artists - Harpsifly, A Story of Gordon Murray & His Instruments 2021

하프시플라이 - 고든 머리와 그의 악기 이야기

Dubee Sohn / 손두비

Erich Traxler / 에리히 트락슬러

Paulina Zmuda / 파울리나 즈무다

Stefan Gottfried / 슈테판 고트프리트

Aurelia Visovan / 아우렐리아 비쇼반


제19회 2016

1위 없는 2위 Dmytro Choni (Ukraine) / 드미트로 초니 (우크라이나)

위에 있으므로 생략


제20회 2017

1위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Feodor Amirov Plays Scriabin Piano Sonatas & Etudes - Aevea Piano Prize 2020 (Live at Sala Maffeiana)

페오도르 아미로프가 연주하는 스크리아빈 피아노 소나타 및 연습곡 - 아에베아 피아노 상 2020 (마페이아나 홀 라이브)


장 프랑세 탄생 110주년을 맞았는데 원래 예정에 없었다가 남은 용량을 활용하여 들어갔다.


[Schubert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Dortmund]

도르트문트 슈베르트 국제피아노콩쿠르는 1987년에 제정되어 열리는 대회로 참가연령은 32세 이하이다.


제1회 1987

1위 Michael Endres (Germany) / 미하엘 엔드레스 (독일)

01 Michael Endres - Ravel Piano Works 2003

미하엘 엔드레스 - 라벨 피아노 작품집 2CD


02 Michael Endres - Schubert Piano Sonatas & Dances 2012

미하엘 엔드레스 -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와 춤곡 10CD


03 Michael Endres - Schubert Piano Works 2017

미하엘 엔드레스 - 슈베르트 피아노 작품집


04 Michael Endres - Weber Piano Works 2012

미하엘 엔드레스 - 베버 피아노 작품집 2CD


제3회 1991

공동 1위 Hideyo Harada (Japan) / 히데요 하라다 (일본)

Hideyo Harada Plays Schumann

히데요 하라다가 연주하는 슈만


Hideyo Harada Plays Tchaikovsky & Rachmaninov

히데요 하라다가 연주하는 차이코프스키와 라흐마니노프


제9회 2003

공동 1위 Amir Katz (Israel) / 아미르 카츠 (이스라엘)

01 Amir Katz - Chopin 24 Etudes 2017

아미르 카츠 - 쇼팽 24개 연습곡


02 Amir Katz - Chopin Nocturnes 2010

아미르 카츠 - 쇼팽 녹턴 전집 2CD


03 Amir Katz - Hommage a Liszt 2020

아미르 카츠 - 리스트에게 바치는 오마주 2CD


04 Amir Katz - Schubert 8 Impromptus 2015

아미르 카츠 - 슈베르트 즉흥곡 전집


Pavol Breslik & Amir Katz - Schubert Winterreise (Live) 2019

파볼 브레슬리크, 아미르 카츠 - 슈베르트 연가곡 <겨울 나그네> 라이브


4위 Sonja Fräki (Finland) / 소냐 프래키 (핀란드)

Sonja Fraki - Schubert & Liszt Piano Works 2013

소냐 프래키 - 슈베르트와 리스트 피아노 작품집


제10회 2005

3위 Philip Kopatchevsky (Russia) / 필리프 코파체프스키 (러시아)

Philipp Kopachevsky - Scriabin 24 Preludes, Sonata No. 10 & Liszt Late Works 2016

필리프 코파체프스키 - 스크리아빈 24개 전주곡, 소나타 10번, 리스트 후기 작품집


Philipp Kopachevsky Plays Liszt, Schubert & Janacek 2014

필리프 코파체프스키가 연주하는 리스트, 슈베르트, 야나체크


Philipp Kopachevsky - Brahms Sonata No. 3 & Klavierstucke 2018

필리프 코파체프스키 - 브람스 소나타 3번, 피아노 소품 mp3


제12회 2011

1위 Vadym Kholodenko (Ukraine) / 바딤 홀로덴코 (우크라이나)

01 Vadym Kholodenko - 14th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Gold Medalist 2013

바딤 홀로덴코 - 2013 밴 클라이번 국제피아노콩쿠르 금메달리스트


02 Vadym Kholodenko - Liszt Transcendental Etudes 2020

바딤 홀로덴코 -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03 Vadym Kholodenko - Prokofiev Piano Concertos Nos. 1, 3 & 4 (2019)

바딤 홀로덴코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1, 3, 4번

Fort Worth Symphony Orchestra / 포트워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Miguel Harth-Bedoya, conductor / 미겔 하르트-베도야 지휘


04 Vadym Kholodenko - Prokofiev Piano Concertos Nos. 2 & 5 (2016)

바딤 홀로덴코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 5번

Fort Worth Symphony Orchestra / 포트워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Miguel Harth-Bedoya, conductor / 미겔 하르트-베도야 지휘


05 Vadym Kholodenko - Prokofiev Piano Sonata No. 6 & Visions fugitives 2020

바딤 홀로덴코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6번, 사물 그 자체, 4개의 소품, 덧없는 환영


06 Vadym Kholodenko Plays Scriabin 2018

바딤 홀로덴코가 연주하는 스크리아빈


Vadiym Kholodenko - 2007 Queen Elisabeth Competition Demi-Finale

바딤 홀로덴코 - 2007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준결선 실황 녹음 mp3


Vadim Kholodenko & Alexey Kurbatov at the Mariinsky Theater Concert Hall (13 December 2018) Part 1

Vadim Kholodenko & Alexey Kurbatov at the Mariinsky Theater Concert Hall (13 December 2018) Part 2

바딤 홀로덴코, 알렉세이 쿠르바토프 - 2018년 12월 13일 마린스키 극장 콘서트홀 실황 동영상


Vadym Kholodenko & Anatoly Levin at the Moscow Conservatory (October 2009)

바딤 홀로덴코, 모스크바 음악원 심포니 오케스트라, 아나톨리 레빈 지휘 - 2009년 10월 모스크바 음악원 실황 동영상


Vadym Kholodenko, Leonard Slatkin, Fort Worth Symphony Orchestra - 2013 Van Cliburn Competition Final

바딤 홀로덴코, 포트워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레너드 슬래트킨 지휘 - 2013 밴 클라이번 콩쿠르 결선 실황 동영상


Andrey Gugnin, Vadym Kholodenko & Lukas Geniusas - Dedication to Vera Gornostayeva (Live) 2019

안드레이 구그닌, 바딤 홀로덴코, 루카스 게뉴사스 - 베라 고르노스타예바에 대한 헌정


2위 Chi Ho Han (Korea) / 한지호

Chi Ho Han - Chopin & Schumann Piano Works 2017

한지호 - 쇼팽 전주곡, 슈만 크라이슬레리아나


제13회 2016

1위 Vladimir Lavrynenko (Ukraine) / 블라디미르 라브리넨코 (우크라이나)

Volodymyr Lavrynenko - Schubert Piano Sonata No. 21 & 3 Klavierstucke 2018

볼로디미르 라브리넨코 -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21번 및 3개의 피아노 소품


Volodymyr Lavrynenko Plays Ravel & Debussy 2017

볼로디미르 라브리넨코가 연주하는 라벨과 드뷔시

Argovia Philharmonic / 아르고비아 필하모닉

Rune Bergmann, conductor / 루네 베르그만 지휘


3위 Emrecan Yavuz (Turkey) / 엠레잔 야부즈 (터키)

Emre Yavuz - Rachmaninoff Piano Sonata No. 2 & 10 Preludes 2020

엠레 야부즈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소나타 2번 및 10개의 전주곡


특별상 Honggi Kim (Korea) / 김홍기

Honggi Kim - 2018 Jaen Prize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Winner

김홍기 - 2018 하엔 국제피아노콩쿠르 우승 기념 음반


​Hong Gi Kim & Mi Yeon Lee - Korean Young Musicians, Vol. 10 (2015)

김홍기, 이미연 - 한국의 클래식, 내일의 주역들 10집


제14회 2021

Semifinalist (Top 9) Ashley Fripp (UK) / 애슐리 프립 (영국)

Ashley Fripp - Bach, Ades & Chopin Piano Works 2018

애슐리 프립 - 바흐 영국 모음곡 2번, 토마스 아데 오페라 <그 여자의 얼굴에 화장을 하라>에 의한 연주회용 패러프레이즈, 쇼팽 자장가, 뱃노래,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


Semifinalist (Top 9) Mihai Ritivoiu (Romania) / 미하이 리티보이우 (루마니아)

Mihai Ritivoiu Plays Franck, Enescu & Liszt - Transcendence 2018

미하이 리티보이우가 연주하는 프랑크, 에네스쿠, 리스트 – 초절기교


코로나19 때문에 몇몇 대회들이 온라인으로 진행되기도 하는데, 2020년 이전부터 열리는 온라인 콩쿠르들도 있다. 남은 용량에는 슈베르트 탄생 225주년을 기념해서 관련 대회를 하나 골랐다. 3월부터 시작하려던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입상자들은 4월로 연기되었다. 남은 용량에는 오랜만에 <자연의 소리> mp3 음원을 넣었다.


I will change files on 1-10 April 2022.

2022년 2월 13일 일요일

DG / Daniil Trifonov Plays Bach - The Art of Life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ztdlzh2WQbA&list=OLAK5uy_l_sXUk3E-34zHb55yoxYA4Fn6gXKj7a5I

https://www.youtube.com/watch?v=LrEKm3m5tmw

https://www.youtube.com/watch?v=bLRHf_j1dLI

https://www.youtube.com/watch?v=lDAqyl6C-Do

https://www.youtube.com/watch?v=wEJruV9SPao


바흐 푸가의 기법,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 수첩 외

섬세한 터치와 함께 초절기교를 선보이며 평단의 절찬과 대중적 인기를 한 번에 끌어모으고 있는 다닐 트리포노프가 바흐를 연주한다! 우선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소나타,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의 폴로네즈,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의 론도,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의 변주곡과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 수첩>, 그리고 브람스 편곡의 "샤콘느 D단조"를 통해 바흐 일가가 이루어낸 위대한 음악 유산을 전체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무엇보다 바흐의 미완성 <푸가의 기법>을 트리포노프가 새롭게 마지막 푸가를 완성한 연주를 놓쳐서는 안 되며,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으로 위대한 거목 바흐, 그 뒤를 이은 수많은 나무와 숲, 그리고 그 밑에 앉은 트리포노프의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오푸스 클래식 어워드 2021 올해의 연주자

다닐 트리포노프가 연주하는 바흐


"이 앨범은 사랑에 대한 헌사입니다." - 다닐 트리포노프


다닐 트리포노프는 이번 앨범에서 바흐의 가족, 사랑, 상실, 신앙을 통해 ‘인간 바흐’의 삶을 조명한다. 앨범은 바흐가 남긴 위대한 유산, 그의 아들들이 작곡한 곡들로 시작한다.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소나타,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의 폴로네즈,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의 론도,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의 변주를 수록했다.


이어지는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 수첩’은 바흐가 두 번째 아내에게 바치는 소품 모음집으로, 가족을 향한 바흐의 깊은 사랑을 조명한다. 한편 함께 수록된 ‘샤콘느 D단조’ 브람스 편곡 버전을 통해 첫 번째 부인의 죽음 이후 바흐가 느꼈던 애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앨범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푸가의 기법’에 대해 트리포노프는 “바흐가 쌓아온 개인적, 영적, 과학적, 인문학적 지식을 고스란히 음악으로 담아낸 지극히 귀중한 보물”이라고 설명하며 섬세한 연주로 보여준다. 미완성인 이 작품에 직접 작곡한 마지막 푸가를 추가하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푸가를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트리포노프는 마이라 헤스가 편곡한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을 담아 앨범을 끝맺는다.



CD1

01 Johann Christian Bach Sonata No. 5 in A, Op. 17/5: I. Allegro /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소나타 5번

02 Johann Christian Bach Sonata No. 5 in A, Op. 17/5: II. Presto

03 Wilhelm Friedemann Bach Polonaise No. 8 in e, Fk 12/8 /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폴로네즈 8번

04 Carl Philipp Emanuel Bach Clavier-Sonaten und freye Fantasien nebst einigen Rondos fur Kenner und Liebhaber, Vol. 5: IV. Rondo in c, Wq 59/4 (H. 283) /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론도

05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Thema (Allegretto) /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 <아, 어머니 당신께 말씀드릴게요>에 의한 변주곡

06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

07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2

08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3

09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4 Minore

10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5 Maggiore

11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6 Tempo di minuetto

12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7

13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8 Schwabisch (non allegro)

14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9 Minore (tranquillo)

15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0 Maggiore (Tempo I)

16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1

17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2 Alla Siciliano

18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3

19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4

20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5 (piu andante)

21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6 (Tempo I)

22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7 Minore

23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8 Maggiore (allegro)

24 Johann Sebastian Bach Musette in D, BWV Anh. 126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뮈제트

25 Johann Sebastian Bach Aria 'Gedenke doch, mein Geist, zurucke', BWV 509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기억하라, 나의 영혼이여, 돌아가라>

26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a, BWV Anh. 120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a단조

27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F, BWV Anh. 113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F장조

28 Johann Sebastian Bach Polonaise in F, BWV Anh. 117b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폴로네즈 F장조

29 Johann Sebastian Bach (Polonaise) in d, BWV Anh. 128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폴로네즈) d단조

30 Johann Sebastian Bach Choral 'Gib dich zufrieden und sei stille', BWV 511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코랄 <자족하고 신 안에서 잠잠하라>

31 Christian Petzold Minuet in G, BWV Anh. 114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크리스티안 페촐트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G장조

32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G, BWV Anh. 116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G장조

33 Carl Philipp Emanuel Bach Polonaise in g, BWV Anh. 125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폴로네즈 g단조

34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c, BWV Anh. 121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c단조

35 Gottfried Heinrich Stolzel: Bist du bei mir (Formerly Attrib. J.S. Bach as BWV 508,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슈퇼첼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당신이 내 곁에 계신다면>

36 Brahms 5 Studies, Anh. 1a/1: V. Chaconne for the Left Hand (after Violin Partita No. 2 in d, BWV 1004 by J.S. Bach) / 브람스 왼손을 위한 샤콘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2번 5악장 편곡)

37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푸가의 기법>

38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2

39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3

40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4

41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5


CD2

01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6 [per Diminutionem] in Stylo Francese

02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7 per Augmentationem et Diminutionem

03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8

04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9 alla Duodecima

05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0 alla Decima

06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1

07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2] [rectus]

08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2 inversus

09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3] [rectus]

10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3] inversus

11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in Hypodiatessaron] per Augmentationem in Contrario Motu

12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in Hypodiapason (Canon alla Ottava)

13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alla Decima in Contrapunto alla Terza

14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alla Duodecima in Contrapunto alla Quinta

15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4] (Fuga a 3 Soggetti) [fragment, completed by Daniil Trifonov] / (다닐 트리포노프 완성)

16 Johann Sebastian Bach/Myra Hess: Jesu, Joy of Man's Desiring (Chorale from the Cantata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BWV 147)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 (마이라 헤스 편곡)



Bach – a Life in Polyphony / 바흐 – 다성음악의 삶

Daniil Trifonov’s new album, “Bach: The Art of Life”, explores the scientific, emotional and spiritual dimensions of Johann Sebastian Bach’s cosmos. Centred around Bach’s late, mystical masterpiece, “The Art of Fugue”, Trifonov’s project investigates the man behind the myth – a genius of humility and humour, whose family, loves, losses, and devotion inspired what Daniil Trifonov calls “some of humanity’s most emotionally rich and fascinatingly sophisticated expressions in music”.


다닐 트리포노프의 새로운 앨범 <바흐 : 삶의 예술>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세계에 대한 과학적, 정서적, 영적 차원을 탐구한다. 바흐 후기의 신비로운 걸작 <푸가의 예술>에 초점을 맞추는 트리포노프의 프로젝트는 신화 뒤에 숨은 사람들을 조사한다. 가족, 사랑(연애), 상실, 헌신(믿음)에 영감을 받은 겸손과 유머의 천재는 다닐 트리포노프가 “음악에서 인류의 가장 감동적이고 매력적인 작품 중 일부”라고 부르는 것에 영감을 주었다.


“Bach is of course a legend, an icon, a musical brand,” says Trifonov. “History sets him, like many geniuses, on a pedestal – untouchable and unmoving, like a sculpture.” He continues: “We know Bach was a pious man, and that he worked very hard. Yet we also know that Bach was a family man, and that he fell in love (more than once); his music tells us he had a sense of humour, a sense of melancholy, and a sense of pride. He knew how to have fun. There are many indications of a real, personal biography to a composer whose creativity was fired by a passionate soul.” The repertoire selected for this album is arranged to enrich that human appreciation.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흐는 물론 전설이자 우상이자 음악 브랜드입니다. 많은 천재처럼 역사는 그를 받침대로 끌어올렸는데, 그는 조각품처럼 만질 수 없고 움직일 수 없는 곳에 서 있죠.” 그는 계속한다. “우리는 바흐가 경건한 사람이었으며 매우 열심히 일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바흐가 가장이었으며, 그가 (한 번 이상) 사랑에 빠졌다는 것도 알고 있는데, 그의 음악은 그의 유머 감각, 우울함, 자부심을 보여줍니다. 그는 즐기는 방법을 알고 있었죠. 정열적인 영혼으로 창조성을 발휘한 작곡가에 대한 실제로 개인적인 전기에 대한 언급이 많이 있어요.” 이 앨범에 수록된 레퍼토리는 바흐의 인간적인 면이 강조되도록 의도적으로 짜였다.


“At the same time,” Trifonov explains, “in Bach’s pre-Enlightenment era composing music was not considered an expression of individual imagination, it was rather an act of devotion – of revelation.” The dominant philosophy of Bach’s age indeed regarded music as equivalent to mathematics and science as a means of uncovering the laws of nature, or, in the language of the day, revealing God’s plan of the universe – “Complex structural relationships in music,” says Trifonov, “in particular those expressed through polyphony, were seen as a miracle of the universe, and a means to help us understand it.”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동시에 바흐의 계몽 시대 이전의 작곡은 개인적인 상상의 표현이 아니라 오히려 헌신의 표시, 즉 계시로 이해되었어요.” 바흐 시대의 지배적인 철학은 참으로 음악을 수학과 과학에 해당하는 자연법칙을 밝히는 수단으로, 또는 당시의 언어로 우주에 대한 신의 계획을 계시하는 수단으로 간주했다. (현대의 견해에 따르면 당시의 음악은 수학과 과학과 대등한 수준으로, 그것들은 자연법칙을 이해하거나 당시의 언어로 신의 계획을 계시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 “음악에서 복잡한 구조적 관계, 특히 다성음악을 통해 표현되는 관계는 우주의 기적이자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 여겨졌죠.” 트리포노프가 말한다.


Similar to Johannes Kepler’s celestial physics and Isaac Newton’s calculus, Bach musical polyphony was for Bach and his German Baroque contemporaries the tool of logic by which to construct, in Trifonov’s words, “a sonic image of God’s natural laws, in all their complexity. Music’s purpose was in that sense the same as that of religion: to explain and exalt the mysterious, divine order of nature.”


요하네스 케플러의 천체 물리학 및 아이작 뉴턴의 미적분학과 유사하게, 바흐의 다성음악은 바흐와 그의 독일 바로크 동시대인들에게 있어서, 트리포노프의 말에 따르면 “모든 복잡성 속에서, 신의 자연법칙의 음향적 이미지”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논리적 도구였다. “그런 의미에서 음악은 종교와 같은 목적을 지니고 있는데, 신비하고 신성한 자연의 질서를 설명하고 찬양하기 위해서요.”


Because of Bach’s incomparable intellectual mastery of western music’s formal and harmonic possibilities, his art offers the most comprehensive synthesis of this purpose. As Trifonov puts it, “Bach’s music combines compelling logical depictions of the mechanics of nature with an intensity of human emotion unique for his age.” The result provides a glimpse of a flesh-and-blood Bach, a timeless study in the Art of Life.


서양 음악의 형식적, 화성적 가능성에 대한 바흐의 비할 데 없는 지적인 장악 덕분에, 그의 예술은 이러한 목적을 가장 포괄적으로 종합한다. 트리포노프가 말하듯이 “바흐의 음악은 자연의 역학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리적 묘사와 그의 시대에 독특했던 인간의 강렬한 감정을 결합합니다.” 그 결과 <삶의 예술>에 대한 시대를 초월한 연구를 제공하는, 평범한 인간 바흐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Trifonov’s album locates Bach firmly in the midst of his sprawling family. The youngest of eight children, Johann Sebastian was born in 1685 into a musical dynasty in Eisenach, a prosperous, medieval German town on the Hörsel river between the Thuringian forests and the Hainich mountains. For Bach, the sense of growing up in a bustling home, full of music and musicians, was natural. After marrying Maria Barbara Bach (1684–1720) in 1707, Johann Sebastian continued this tradition, fathering seven children with Maria Barbara, and, following her untimely death in 1720, another thirteen with his second wife, Anna Magdalena (born Wilcke, 1701–1760). “We think of Bach as a deeply serious, Protestant man dedicated only to his music,” says Trifonov, “but Bach was also clearly a devoted husband and father. The Bach home was certainly a boisterous place, full of love and laughter.”


트리포노프의 앨범에서 바흐는 그의 대가족에 확고하게 뿌리를 두고 있다. 8형제 중 막내인 요한 제바스티안은 1685년 튀링겐 숲과 하이니히 산맥 사이의 회르젤 강변에 있는 번영한(부유한) 중세 독일 마을인 아이제나흐의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바흐가 음악과 음악가로 가득한 활기찬 가정에서 자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1707년에 마리아 바르바라 바흐(1684~1720)와 결혼한 후 요한 제바스티안은 이 전통을 이어받아 그녀와 함께 7명의 자녀를 두었고, 1720년 그녀가 사망하자 두 번째 부인인 안나 막달레나(빌케 출생, 1701~1760)와 함께 또 다른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는 바흐를 자신의 음악에만 전념하는 매우 진지한 개신교 신자라고 생각하지만, 바흐는 분명히 헌신적인 남편이자 아버지이기도 했죠. 바흐의 집은 확실히 사랑과 웃음이 가득한 떠들썩한 곳이었어요.”


Thirty-four years separated the births of Johann Sebastian’s eldest child, Catharina Dorothea (1708–1774) and his youngest, Regina Susanna (1742–1809). With father Bach working prodigiously as organist, Kapellmeister and composer in the ducal courts of Weimar and Köthen, and later as cantor at the Thomas kirche in Leipzig, the eldest children helped their parents raise the youngest. Both the boys and the girls received musical instruction, and the album that Johann Sebastian compiled to that end, the so-called “Anna Magdalena Bach Notebook” is a deeply personal album of musical vignettes that, like a scrapbook, brings together family favourites, tokens of affection, inside jokes, and pieces evidently from the children’s studies.


요한 제바스티안의 장녀 카타리나 도로테아(1708~1774)와 막내 레기나 주잔나(1742~1809) 사이에는 34년의 세월이 있다. 아버지 바흐와 함께 바이마르와 쾨텐의 공국 궁정에서 오르간 연주자, 악장, 작곡가로 훌륭하게 일했으며, 나중에는 라이프치히의 토마스 교회에서 성가대의 선창가로 일했으므로, 큰아이들은 부모님이 어린아이들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했다. 소년과 소녀 모두 음악적 지도를 받았고, 이를 위해 요한 제바스티안이 편찬한, 이른바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은 스크랩북처럼 가족이 좋아하는 음악, 애정의 표시, 내면의 농담, 분명히 아이들의 수업에서 나온 곡들이 하나의 앨범처럼 뭉쳐서 구성되어 있다.


Anna Magdalena was herself an accomplished singer and keyboard player and had a significant hand in the musical education of the Bach children. There has been musicological speculation that some anonymous pieces in the “Anna Magdalena Bach Notebook” (not all the works are by Johann Sebastian) could have actually been by Anna Magdalena herself. “The fact of the matter is,” as Trifonov says, “that between them, Johann Sebastian and Anna Magdalena must have been phenomenal teachers and have nurtured the family musical tradition. Together, they influenced more than a century of music to come: 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Mozart. Carl Philipp Emanuel Bach’s (1714–1788) musical language, in conscious opposition to the style of his father, jumps directly to the world of Beethoven. In his tender vulnerability, Wilhelm Friedemann Bach (1710–1784) is a precursor to Chopin. And lastly, the music of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1732–1795) bears infectious playfulness that we can hear later in the music of Rossini.”


안나 막달레나는 그녀 자신이 뛰어난 가수이자 건반악기 연주자였으며 바흐 아이들의 음악 교육에 중요한 역할(지대한 공헌)을 했다.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모든 작품이 요한 제바스티안의 작품은 아님)에 있는 익명의 일부 곡들이 실제로 안나 막달레나 자신의 작품일 수 있다는 음악학적 추측(가정)이 있었다. 트리포노프가 말하듯이 “사실상 요한 제바스티안과 안나 막달레나는 훌륭한 교육자였으며 가족의 음악적 전통을 키웠음이 틀림없어요. 그들은 함께 한 세기가 넘는 음악에 영향을 미쳤는데,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1735~1782)는 모차르트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1714~1788)의 음악적 언어는 그의 아버지 스타일에 의식적(의도적)으로 반대되는 방식으로 우리를 베토벤의 세계로 직접 안내합니다.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1710~1784)는 그의 섬세한 취약성에서 쇼팽의 선구자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1732~1795)의 음악은 우리가 훗날 로시니의 음악에서 들을 수 있는 전염성 있는 장난기를 담고 있죠.”


In recognition of Anna Magdalena’s unmistakable imprint on Johann Sebastian’s life and legacy, Trifonov includes in this album the playful variations on “Ah, vous dirai-je, maman” by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placed between characteristic compositions by the aforementioned sons and extracts from the “Anna Magdalena Notebook”. “Interestingly,” observes Trifonov, “the aria ‘Bist du bei mir’ (No. 25 in the ‘Notebook’) was composed by Gottfried Heinrich Stölzel. Johann Sebastian and Anna Magdalena’s first son was named Gottfried Heinrich. It is possible to speculate that this piece was their love song, making its inclusion in the Notebook (and the heart of this album) particularly poignant.”


안나 막달레나가 요한 제바스티안의 삶과 유산에 미친 영향을 인정하여, 트리포노프는 이 앨범에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의 <아, 어머니 당신께 말씀드릴게요>에 의한 장난스러운 변주곡을, 앞서 언급한 아들들의 특징적인 작품들과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의 발췌곡들 사이에 넣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관찰한다. “흥미롭게도 아리아 ‘당신이 내 곁에 계신다면’(‘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25번)은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슈퇼첼이 작곡했는데요. 요한 제바스티안과 안나 막달레나의 첫째 아들의 이름이 고트프리트 하인리히였죠. 이 곡이 그들의 사랑 노래였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는데,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그리고 이 앨범의 핵심)에 수록되어 특히 감동적입니다.”


Anna Magdalena was not Bach’s only love. Little is known about Bach’s first wife (and second cousin), Maria Barbara, or the life they shared. The cause of her premature death is not recorded. Yet we know Johann Sebastian was away at the time and that his grief upon learning of her passing was immense. Bach’s Chaconne (from the D minor Partita for solo violin), which Trifonov describes as “one of the most powerful, sorrowful and tragic pieces ever written”, was composed very shortly after Maria Barbara’s death, and is credibly thought to be a widower’s brooding lament.


안나 막달레나는 바흐의 유일한 사랑이 아니었다. 바흐의 첫 번째 아내(그리고 육촌)인 마리아 바르바라나 그들이 함께 살았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녀의 조기 사망 원인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요한 제바스티안이 그 당시에 자리를 비웠고(여행 중이었고) 그녀의 죽음을 알게 된 그의 슬픔이 엄청났다는 것을 알고 있다. 트리포노프가 “지금까지 쓰인 가장 강렬하고 슬프며 비극적인 곡 중 하나”라고 묘사한 바흐의 샤콘느(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 2번 d단조)는 마리아 바르바라가 죽은 직후에 작곡되었으며 깊이 슬퍼하는 남편의 한탄으로 설득력 있게 묘사된다.


Against this anguished personal backdrop, the Chaconne provides an illustration of “the confluence of Bach’s inner and outer worlds”, as Trifonov calls it, “a moment of profound personal introspection expressed in a language of divine veneration and penetrating logical rigour. In other words, a polyphonic prayer.”


이 고통스러운 개인적 배경에서 샤콘느는 “바흐의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의 합류점(내부 세계와 외부 세계가 함께 성장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트리포노프가 부르듯이 “신의 숭배와 설득력 있는 논리적 엄밀함의 언어로 표현된 심오한 개인적인 성찰의 순간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다성부의 기도입니다.”


Such confluence and spiritual meditation also form the basis for Bach’s late masterpiece, “The Art of Fugue”. “For Bach,” Trifonov states, “polyphony was the most powerful tool to both describe and express nature. And Bach’s favourite form of polyphony was the fugue.” Written in sequence during the last decade of the composer’s life, ‘The Art of Fugue’ “represents the seminal musical expression of Bach’s personal, spiritual, scientific and humanistic knowledge”.


이러한 합류(세계의 동반성장)와 영적 명상은 바흐의 후기 걸작 <푸가의 예술>의 기초이기도 하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흐에게 다성음악은 자연을 묘사하고 표현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효과적인 수단)였어요. 그리고 바흐가 가장 좋아하는(선호한) 다성음악 형식은 푸가였죠. 작곡가의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순서대로 작곡된 ‘푸가의 예술’은 바흐가 쌓아온 개인적, 영적, 과학적, 인문학적 지식을 고스란히 음악으로 담아낸 지극히 귀중한 보물입니다.”


An extended set of fourteen fugues of increasing polyphonic complexity, and four related canons, all in a single key based on the same four-bar theme, “The Art of Fugue” is a masterful study that reaches into the furthest dimensions of polyphony within the strictest possible formal parameters. “As with many of Bach’s greatest works,” Trifonov explains, “the piece can be understood as both architecture and allegory, on both physical and metaphysical planes – appreciable in this life and the next.”


다성부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14개의 푸가와 4개의 관련된 카논으로 구성된 확장된 모음집인 <푸가의 예술>은 모든 곡이 동일한 4마디 주제를 기반으로 하는 단일 조성이므로, 가장 엄격한 형식의 가능한 한도 내에서 다성음악의 모든 차원에 도달하는 거장다운 연구를 형성한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바흐의 많은 위대한 작품과 마찬가지로 이 곡은 형이상학적 수준뿐 아니라 물리적 수준에서도 구조적으로나 비유적으로나 이해될 수 있는데, 내세와 마찬가지로 이 세상에서도 중요합니다.”


“The Art of Fugue” is partly an exploration of the application of various sophisticated mathematical principles and other scientific concepts to techniques of musical development. “As a description of time through space,” Trifonov argues, “the vision and insight is extraordinary. The canons can be seen as a masterful artistic illustration of quantum entanglement; the mirror fugues are a musical description of matter-anti-matter theory, the diminished fugues as an analogy of gravitational time bending, and so on.”


<푸가의 예술>은 부분적으로 복잡한 수학적 원리와 기타 과학적 개념을 대위법 기법에 적용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공간을 통한 시간의 묘사로서 비전과 통찰력이 비범해요. 카논은 양자 얽힘에 대한 뛰어난 예시로 볼 수 있는데, 물질-반물질 이론에 대한 음악적 묘사인 반사(거울) 푸가, 중력의 시간 확장과 유사한 반음 줄인 푸가 등이 있죠.”


“At the same time,” maintains Trifonov, “Bach understood that purely polyphonic music can lack a certain emotional magnetism. And it is not”, he continues, “simply abstract. ‘The Art of Fugue’ was written to be played and heard. For an interpreter, the music is of such emotional power and indescribable beauty, that one is compelled to imagine each piece in sequence as a response to its predecessor.” As a cohesive narrative, the cycle can be an expression of theological exegesis. According to Trifonov, “The first seven fugues recall the seven days of Creation. Then on the eighth (day/fugue) Bach introduces a new theme – with a tritone, which was of course a symbol of the Devil. The ninth fugue is the most angry and conflicted one, telling the story of the banishing from Eden.” Another theory suggests the first twelve fugues as portraits of the twelve Apostles, with Jesus and perhaps Mary, or even God himself completing the set.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동시에 바흐는 순수한 다성음악에는 감정적 호소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했어요.” 그는 계속한다. “그리고 그건 단순히 추상적이지 않아요. ‘푸가의 예술’은 연주하고 듣기 위해 작곡되었는데요. 해석자에게 이 음악은 감정의 힘과 형언할 수 없는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어서 이전 것에 대한 반응으로 각각의 곡을 순서대로 상상할 수밖에 없죠.” 응집력 있는 묘사(서술)로서 이 전곡은 신학적 주석의 표현이 될 수 있다. 트리포노프에 따르면 “첫 7개의 푸가는 창조의 7일을 회상(의미)합니다. 그런 다음 8번째(날/푸가)에서 바흐는 새로운 주제를 소개하죠. – 물론 악마의 상징인 3온음으로요. 9번째 푸가는 가장 멀고도 갈등적인 곡으로, 에덴에서 추방된 이야기를 담고 있죠.” 또 다른 이론에 따르면, 처음 12개의 푸가는 열두 사도를 묘사하며 예수와 아마도 마리아, 또는 신 자신이 이 시리즈를 완성한다.


The cycle can also be interpreted in a broader sense of spiritual devotion. “After listening to the work at home and in concert for more than two years,” Trifonov says, “my wife suggested another narrative: each fugue can be a different person entering a church, each a complex psychological emotional portrait of that person and their individual motivation for being drawn to prayer.” One fugue after another offers a window into the pilgrim’s soul. “Especially in slow, soft fugues,” he continues, “we can hear how vulnerable, sensitive, nostalgic and even wounded these humans are. There is fear and insecurity about one’s forgiveness in front of God. Seen in this way, ‘The Art of Fugue’ is a deeply psychological work.”


이 전곡은 또한 더 넓은 의미의 영적 헌신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2년 넘게 집과 콘서트에서 작품을 들은 후, 아내가 또 다른 이야기를 제안했는데, 따라서 모든 푸가는 교회에 들어가는 사람을 나타내며, 각각 그 사람의 복잡한 심리의 정서적 초상화와 기도하고 싶은 개인적인 이유를 그리죠.” 따라서 각각의 푸가는 순례자의 영혼을 들여다볼 수 있는 새로운 창을 제공한다. 그는 계속한다. “특히 느리고 부드러운 푸가들에서 우리는 이 사람들이 얼마나 취약하고 민감하며 향수를 불러일으키거나 심지어 상처를 입기까지 하는지 들을 수 있습니다. 그들에게는 신 앞에서의 용서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있죠. 이런 의미에서 ‘푸가의 예술’은 심오한 심리적 작품입니다.”


Through whichever prism one interprets the first thirteen fugues and their corresponding canons, there is no mistaking the act of breathtaking audacity and gripping humanity embedded in the culminating fourteenth fugue. There, this most perfectly scientific manifestation of sacred iconography and devotional narrative coalesces in autobiographical form – with the composer self-consciously transforming the theme into an inscription of his own name. The final revelation of Bach’s polyphonic mastery is B – A – C – H (B flat – A – C – B natural), deliberately and repeatedly intoned in the final fugue, one that Bach left unfinished at his death.


어떤 프리즘을 사용하여 첫 13개의 푸가와 이에 관련된 카논을 해석하든지, 절정을 이루는 14번째 푸가의 숨 막힐 듯한 대담함과 감동적인 인간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인상적이다. 여기에서 신성한 도해법과 경건한 이야기의 가장 완벽하게 과학적인 표현이 자전적 형식으로 합쳐진다. – 작곡가는 자신의 이름을 자신 있게 새겨서 주제를 바꾼다. 바흐의 다성부 장악에 대한 마지막 계시는 B – A – C – H(B플랫 – A – C - B내추럴)이며, 바흐가 죽을 때 미완성으로 남겨둔 마지막 푸가에서 의도적으로 반복하여 불린다.


Is Bach, at the end of “The Art of Fugue”, at the end of his life, the final pilgrim to enter the church, approaching the altar to plead for his eternal soul? Or are each of the preceding fugal variations manifestations of different aspects of the composer’s own nature, in all its human complexity? Is it Bach’s pious confession or an act of defiance? Is the fugue’s unfinished nature indicative of Bach succumbing to mortal frailty, a commentary on our imperfect nature as a species, or the composer, as in the Garden of Eden, recoiling upon recognizing his own naked image? The mystery magnifies the work’s fascination.


바흐는 <푸가의 예술>의 끝자락, 삶의 마지막에 교회에 입성하는 마지막 순례자이며, 자신의 영원한 영혼을 위해 제단에 다가가는 것일까? 아니면 이전의 각각의 푸가 변주는 모든 인간의 복잡성 속에서 작곡가 자신의 본성의 다양한 측면을 나타내는 것일까? 바흐의 경건한 고백인가 아니면 반항의 행동인가? 푸가의 미완성인 성격은 바흐가 인간의 불완전한 본성에 대한 흔적인 필멸의 나약함에 굴복하고 있음(바흐의 나약함과 임박한 죽음)을 나타내는 것인가 아니면 에덴동산에서처럼 작곡가가 자신의 벌거벗은 이미지를 인식하고 움츠러드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가? 신비로움이 작품의 매력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그 비밀은 이 작품에서 흘러나오는 매력을 높인다.)


Trifonov completes Bach’s last fugue applying the same logic and mechanical dexterity to the thematic material Bach prescribes throughout the cycle, then offers “Jesu, Joy of Man’s Desiring” as an epilogue, dissolving worldly polyphonic structures with a cathartic chorale depicting Bach’s eternal deliverance on wings of love.


트리포노프는 이 전곡에 걸쳐 바흐가 규정하는 것과 같은 논리와 장인 정신으로 주제의 소재를 처리하여 바흐의 마지막 푸가를 완성하고 나서 에필로그로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을 연주하는데, 사랑의 날개 위에서 바흐의 영원한 구원을 묘사하는 카타르시스의 코랄(정화의 합창)로 세속적인 다성부의 구조를 녹인다.


Indeed, Trifonov concludes, “This album is, in many ways, about love: the romantic love between husband and wife; familial love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love for the Creator.” At the conclusion of “The Art of Fugue”, at the climax of this infinitely sophisticated composition and emotional journey, at the destination of this album, those loves are united in an outpouring of boundless passion. With the B – A – C – H motif (which is subtly prefigured in the eleventh fugue), Bach breaks free of the self-effacing Platonic shackles of his age and, if not for the first time, then in the most bold and bare form, locates the artist himself as the thematic subject of his art.


실제로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 “이 앨범은 여러 면에서 사랑에 관해 이야기하는데, 남편과 아내 사이의 낭만적인 사랑, 부모와 자녀 사이의 가족적인 사랑, 그리고 창조주에 대한 사랑입니다.” <푸가의 예술>의 끝자락에서, 이 정교한 작품과 감성적 여정의 절정에서, 이 앨범의 목적지에서, 그 사랑들이 하나로 뭉쳐 무한한 열정이 솟구친다. B – A – C – H 모티프(11번째 푸가에서 미묘하게 미리 형상화)를 통해 바흐는 자기 시대의 정신적인 사랑의 족쇄를 풀고, 처음이 아니더라도, 그런 다음 가장 대담하면서도 벌거벗은(가장 과감하게 그리고 가장 직접적인) 형식으로 예술가 자신을 그의 예술의 주제와 관련된 대상으로 놓는다.


In so doing, Johann Sebastian carves his mark on the tree-trunk of humanity, not just in his own name, but that of all the Bachs – immortalized in the Art of Life.


그렇게 함으로써 요한 제바스티안은 인류의 나무줄기에 자신의 이름뿐만 아니라 바흐의 모든 작품에 “삶의 예술”에 의한 불후의 명성을 새겼다.


Oscar Alan / 오스카 앨런 글







Daniil Trifonov Plays Bach - The Art of Life [Encore Edition] 2022

Daniil Trifonov - Canon (Counter-Retrograde, based on Bach's 'The Art of Fugue') [bonus track] / 다닐 트리포노프 - 카논


영어와 독어를 절충하여 번역했다. 뮤직비디오에서는 파치올리 피아노로 연주하는데 나머지 다른 맛보기 동영상에서는 스타인웨이 피아노로 연주한다. <기억하라, 나의 영혼이여, 돌아가라>라는 제목은 정확한 뜻을 찾지 못해서 내가 번역한 것이다. 앙코르 에디션을 받게 되어 음반을 하나 더 가지게 되었는데, 이전에 작성했던 포스팅을 지우고 다시 만들었다. 디지털 음원으로 보너스 트랙이 하나 더 있다.

2022년 2월 6일 일요일

Seong-Jin Cho & Lahav Shani - Live in Dortmund (5 December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Eab-Fn2TVxk


12월 5일 16시 도르트문트 콘서트

Seong-Jin Cho, piano / 조성진, 피아노

Rotterdam Philharmonic Orchestra / 로테르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Lahav Shani, conductor / 라하브 샤니 지휘

Konzerthaus Dortmund (replaced Yuja Wang) /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 (유자 왕 대체)


Program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 1 in b flat, Op. 23 /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I. Allegro non troppo e molto maestoso - Allegro con spirito

II. Andantino semplice - Allegro vivace assai - Prestissimo

III. Allegro con fuoco


Tchaikovsky: The Seasons, Op. 37a No. 10 October. Autumn Song (encore) / 차이코프스키 사계 중 10월 <가을 노래>


Intermission


Rachmaninov Symphonic Dances, Op. 45 / 라흐마니노프 <교향적 무곡>

I. (Non) Allegro

II. Andante con moto (Tempo di valse)

III. Lento assai - Allegro vivace



유튜브에서도 볼 수 있다.

Google Drive / 2025. 08. Paganini Violin Competition Winners 1

https://www.premiopaganini.it/ https://en.wikipedia.org/wiki/Paganini_Competition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Premio Paganini”] 파가니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