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4년 8월 23일 금요일

Google Drive / 2024. 08. Geneva Competition Winners 3


1947년 공동 2위 Sergio Fiorentino (Italy) / 세르조 피오렌티노 (이탈리아)

01 Sergio Fiorentino - Chopin Mazurkas 1958

세르조 피오렌티노 - 쇼팽 마주르카 발췌


02 Sergio Fiorentino - Chopin Nocturnes 1974

세르조 피오렌티노 - 쇼팽 녹턴 2CD


03 Sergio Fiorentino - Early Live & Unissued Takes 2022

세르조 피오렌티노 - 초기 실황 및 미발매 녹음

BBC Scottish Symphony Orchestra / BBC 스코티시 심포니 오케스트라

Ian Whyte, conductor / 이언 와이트 지휘


1947 제네바 콩쿠르 녹음이 실려 있는 음반. 에든버러 실황의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4번 1악장에서 버퍼링이 있다.


04 Sergio Fiorentino - Liszt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2002

세르조 피오렌티노 - 리스트 12개 초절기교 연습곡


05 Sergio Fiorentino - Live at Alice Tully Hall in New York (6 April 1997)

세르조 피오렌티노 - 1997년 뉴욕 앨리스 툴리 홀 라이브 녹음


06 Sergio Fiorentino - Live in Germany 1993

세르조 피오렌티노 - 독일 라이브 2CD


07 Sergio Fiorentino - Rachmaninoff Complete Solo Piano Works (Live) 2018

세르조 피오렌티노가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라이브 6CD

CD1 환상적 소품, 살롱 소품, 악흥의 순간

CD2 전주곡

CD3 소품, 녹턴, 단편, 동양적 스케치, 폴카 외 편곡집

CD4 회화적 연습곡

CD5 피아노 소나타 1번, 피아노 소나타 2번 개정판, 피아노 협주곡 1번

Orchestra Sinfonica di Roma della RAI / RAI 로마 교향악단

Carlo Franci, conductor / 카를로 프란치 지휘

CD6 쇼팽 주제에 의한 변주곡, 코렐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보칼리제 편곡

Orchestra dell'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 오케스트라

Vladimir Fedoseyev, conductor / 블라디미르 페도세예프 지휘


08 Sergio Fiorentino - The Early Recordings, Vol. 1 The Contemplative Liszt 1998

세르조 피오렌티노 - 초기 녹음 1집 관조적 리스트


09 Sergio Fiorentino - The Early Recordings, Vol. 2 The Virtuoso Liszt 2000

세르조 피오렌티노 - 초기 녹음 2집 비르투오소 리스트


10 Sergio Fiorentino - The Early Recordings, Vol. 3 Liszt Annees de Pelerinage 2000

세르조 피오렌티노 - 초기 녹음 3집 리스트 <순례의 연보>


11 Sergio Fiorentino - The Early Recordings, Vol. 4 Liszt & Chopin 2002

세르조 피오렌티노 - 초기 녹음 4집 리스트 및 쇼팽


12 Sergio Fiorentino - The Early Recordings, Vol. 5 Rachmaninov 24 Preludes 2006

세르조 피오렌티노 - 초기 녹음 5집 라흐마니노프 2개 전주곡


13 Sergio Fiorentino - The Early Recordings, Vol. 6 Schumann 2008

세르조 피오렌티노 - 초기 녹음 6집 슈만


14 Sergio Fiorentino - Unreleased Broadcasts 1962-1987

세르조 피오렌티노 - 미발매 방송 녹음 2CD


15 Sergio Fiorentino Edition, Vol. 1 The Berlin Recordings 2011

세르조 피오렌티노 에디션 1집 베를린 레코딩 10CD


16 Sergio Fiorentino Edition, Vol. 2 The Complete Liszt Recordings 2013

세르조 피오렌티노 에디션 2집 리스트 레코딩 전집 6CD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Hamburg Pro Musica / 함부르크 프로 무지카

Erich Riede, conductor / 에리히 리데 지휘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2번 및 베버 <화려한 폴로네즈>

Guildford Philharmonic Orchestra / 길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Vernon Handley, conductor / 버논 핸들리 지휘


17 Sergio Fiorentino Edition, Vol. 3 Rachmaninov Preludes, Piano Sonatas & Transcriptions 2014

세르조 피오렌티노 에디션 3집 라흐마니노프 전주곡, 피아노 소나타, 편곡집 2CD


18 Sergio Fiorentino Plays Chopin & Liszt 2002

세르조 피오렌티노가 연주하는 쇼팽과 리스트


19 Sergio Fiorentino Plays Chopin Etudes 1962

세르조 피오렌티노가 연주하는 쇼팽 연습곡


20 Sergio Fiorentino, George Hurst & Hamburg Pro Musica -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 1 (Saga 1959 LP)

세르조 피오렌티노, 함부르크 프로 무지카, 조지 허스트 지휘 -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LP


Sergio Fiorentino, George Hurst & The Hamburg Pro Musica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세르조 피오렌티노, 함부르크 프로 무지카, 조지 허스트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및 32개의 자작 변주곡 mp3


1948년 1위 없는 공동 2위 Béla Siki (Hungary) / 벨라 시키 (헝가리)

Dinu Lipatti - Les Inedits

디누 리파티 - 미발표 모음집 2CD


CD1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Orchestre de la Suisse Romande /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Ernest Ansermet, conductor /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지휘

에네스쿠, 브람스, 바흐, 스카를라티, 쇼팽, 슈만, 리스트 독주곡

포레, 라벨, 림스키코르사코프 첼로 소품

Antonio Janiero, cello / 안토니오 야니에로, 첼로

버르토크 피아노 협주곡 3번 2악장

Sudwestfunk-Sinfonieorchester / 바덴바덴 남서독일 방송 교향악단

Paul Sacher, conductor / 파울 자허 지휘


CD2 리파티 <고전풍의 콘체르티노>

conductor & orchestra not identified / 지휘자 및 오케스트라 미상

리파티 <루마니아 춤곡>, 2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교향곡,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집시의 노래>

Orchestre de la Suisse Romande /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Ernest Ansermet, conductor /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지휘

Bela Siki, piano / 벨라 시키, 피아노


Geza Anda - Testament Edition 1995 & 1996

게자 안다 - 테스타먼트 에디션 8CD


CD1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전주곡

Philharmonia Orchestra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2 버르토크 <어린이를 위하여>


CD3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12개 연습곡 작품 25, 발라드 1번

Philharmonia Orchestra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4 리스트 피아노 소나타, 메피스토 왈츠 1번, 탄식, 라 캄파넬라(부조니 편곡), 버르토크 소나티나, 들리브 <느린 왈츠>(도흐나니 편곡)


CD5 브람스 피아노 소나타 3번,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3개의 인터메조 작품 117


CD6 슈만 사육제, 교향적 변주곡, 크라이슬레리아나


CD7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7번, 14번 <월광>, 28번


CD8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헝가리 환상곡

Philharmonia Orchestra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Otto Ackermann, conductor / 오토 아커만 지휘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Bela Siki, piano / 벨라 시키, 피아노

Philharmonia Orchestra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Igor Markevitch, conductor / 이고르 마르케비치 지휘


1948년 1위 없는 공동 2위 Maria Tipo (Italy) / 마리아 티포 (이탈리아, 만장일치)

01 Maria Tipo - Chopin 4 Ballades 1989

마리아 티포 - 쇼팽 발라드 전곡


02 Maria Tipo - Chopin Nocturnes 1994

마리아 티포 - 쇼팽 녹턴 2CD


03 Maria Tipo - Scarlatti 18 Sonatas 1988

마리아 티포 - 스카를라티 소나타


04 Maria Tipo - Schumann Etudes symphoniques, Kinderszenen & Blumenstuck 1988

마리아 티포 - 슈만 교향적 연습곡, 어린이의 정경, 꽃의 곡


05 Maria Tipo Plays Bach 2006

마리아 티포가 연주하는 바흐 5CD


06 Maria Tipo Plays Mozart & Scarlatti 2007

마리아 티포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협주곡 및 스카를라티 소나타 2CD

Vienna Symphony Orchestra / 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Jonel Perlea, conductor / 요넬 페를레아 지휘


CD1은 2019년에 나온 음원인데 스카를라티와 같이 수록된 모차르트가 없어서 같이 하나로 묶었다.


07 Maria Tipo Plays Mozart, Beethoven & Chopin 1979

마리아 티포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08 Maria Tipo, Hans Graf & London Symphony Orchestra - Beethoven Piano Concertos Nos. 1 & 4 (1990)

마리아 티포,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한스 그라프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 및 4번


09 Maria Tipo, Riccardo Chailly &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Mozart Piano Concerti Nos. 20 & 21 (1983)

마리아 티포,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카르도 샤일리 지휘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및 21번


1949년 공동 1위 Maria Tipo (Italy) / 마리아 티포 (이탈리아)

위에 있으므로 생략


1949년 공동 2위 Ronald Smith (England) / 로널드 스미스 (잉글랜드)

01 Ronald Smith - Alkan Grande Sonate & Etudes 1992

로널드 스미스 - 알캉 그랜드 소나타 및 연습곡


02 Ronald Smith - Alkan Piano Works 2003

로널드 스미스 - 알캉 피아노 작품집 2CD


03 Ronald Smith - Chopin Piano Works 1999

로널드 스미스 - 쇼팽 피아노 작품집


04 Ronald Smith - The Amazing Mr. Smith 1983

로널드 스미스가 연주하는 베토벤/리스트 교향곡 7번 및 바흐/부조니 샤콘느 - 놀라운 미스터 스미스


05 Ronald Smith Plays Beethoven Sonata No. 32 & Schubert Wanderer Fantasia 1974

로널드 스미스가 연주하는 베토벤 소나타 32번 및 슈베르트 방랑자 환상곡


Ronald Smith Plays Alkan 2003

로널드 스미스가 연주하는 알캉 2CD mp3


Chopin Complete Works - 200th Anniversary Edition 2010

쇼팽 200주년 기념 전집 16CD

CD1 쇼팽 피아노 협주곡 전곡

CD2 폴란드 민요에 의한 환상곡, 크라코비아크 풍의 론도

Garrick Ohlsson, piano / 개릭 올슨, 피아노

Polish Radio National Symphony Orchestra / 폴란드 라디오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Jerzy Maksymiuk, conductor / 예지 막시미우크 지휘

모차르트 오페라 <돈 조반니> 중 <우리 서로 손을 잡고>에 의한 변주곡,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

Alexis Weissenberg, piano / 알렉시스 바이젠베르크, 피아노

Orchestre de la Societe des Concerts du Conservatoire / 파리 음악원 오케스트라

Stanislaw Skrowaczewski, conductor / 스타니스와프 스크로바체프스키 지휘

CD3-4 마주르카 전곡

Ronald Smith, piano / 로널드 스미스, 피아노

CD5-6 전주곡 및 녹턴 전곡

CD7-8 폴로네즈 전곡, 환상곡, 뱃노래

Garrick Ohlsson, piano / 개릭 올슨, 피아노

헤롤드와 할레비의 오페라 <류드비크> 중 소프라노용 합창인 론도 파보리 <나는 성의(聖衣)를 팔지요>에 의한 화려한 변주곡, 볼레로, 탈나텔라, 3개의 에코세즈

Ronald Smith, piano / 로널드 스미스, 피아노

CD9-10 왈츠 전곡, 즉흥곡 전곡

Agustin Anievas, piano / 어거스틴 아니에바스, 피아노

24개 연습곡

Andrei Gavrilov, piano / 안드레이 가브릴로프, 피아노

3개의 새로운 연습곡

Danielle Laval, piano / 다니엘 라발, 피아노

칸타빌레, 콩트르당스

Tzimon Barto, piano / 치몬 바르토, 피아노

자장가

Daniel Barenboim, piano / 다니엘 바렌보임, 피아노

CD11-12 피아노 소나타 2~3번, 스케르초 전곡, 발라드 전곡

Cecile Ousset, piano / 세실 우세, 피아노

CD13 피아노 소나타 1번

Leif Ove Andsnes, piano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피아노

독일 민요 <스위스 목동>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벨리니 오페라 <청교도>의 행진곡 주제에 의한 헥사메론 변주곡

Paolo Bordoni, piano / 파올로 보르도니, 피아노

변주곡 <파가니니의 추억>

Daniel Barenboim, piano / 다니엘 바렌보임, 피아노

론도 작품 1, 마주르 풍의 론도, 서주와 론도 작품 16

Danielle Laval, piano / 다니엘 라발, 피아노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론도

Danielle Laval, piano / 다니엘 라발, 피아노

Teresa Llacuna, piano / 테레사 야쿠나, 피아노

CD14 연주회용 알레그로

Claudio Arrau, piano / 클라우디오 아라우, 피아노

17개의 폴란드 가곡

Eugenia Zareska, mezzo-soprano / 에우게니아 자레스카, 메조소프라노

Giorgio Favaretto, piano / 조르지오 파바레토, 피아노

마법, 둠카(꿈)

Lukas Jakobski, bass / 루카스 야콥스키, 베이스

Simon Lepper, piano / 사이먼 레퍼, 피아노

CD15 첼로 소나타, 서주와 화려한 폴로네즈

Natalie Clein, cello / 나탈리 클레인, 첼로

Charles Owen, piano / 찰스 오언, 피아노

마이어베어의 오페라 <악마 로베르>의 주제에 의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협주적 대2중주곡

CD16 피아노 트리오

Vilde Frang, violin / 빌데 프랑, 바이올린

Andreas Brantelid, cello / 안드레아스 브란텔리드, 첼로

Marianna Shirinyan, piano / 마리아나 시리냔, 피아노

4개의 손을 위한 무어 주제에 의한 서주, 주제, 변주

Anna Tilbrook, piano / 애나 틸브룩, 피아노

Benjamin Grosvenor, piano / 벤저민 그로스베너, 피아노

장송 행진곡, 알레그레토, 라르고, 봄, 왈츠 18번, 푸가, 단편, 2개의 부레, 갤럽 후작

Benjamin Grosvenor, piano / 벤저민 그로스베너, 피아노


1950년 1위 없는 공동 2위 Sergio Perticaroli (Italy) / 세르조 페르티카롤리 (이탈리아)

Sergio Perticaroli - Tchaikovsky Grand Sonata, Prokofiev Sonatas Nos. 1 & 9 (2000)

세르조 페르티카롤리 차이코프스키 그랜드 소나타,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1번 및 9번 mp3


1951년 1위 없는 공동 2위 Alexander Jenner (Austria) / 알렉산더 예너 (오스트리아)

Alexander Jenner, Dean Dixon & Wiener Volksopernorchester - Brahms Piano Concerto No. 2 (2023)

알렉산더 예너, 빈 폴크스오퍼 오케스트라, 딘 딕슨 지휘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


1951년 1위 없는 공동 2위 Ronald Smith (England) / 로널드 스미스 (잉글랜드)

위에 있으므로 생략


1952년 1위 없는 공동 2위 Ingrid Haebler (Austria) / 잉그리드 해블러 (오스트리아, 만장일치)

01 Ingrid Haebler - Chopin Waltzes (Mono Version) 1962-2013

잉그리드 해블러 - 쇼팽 왈츠 (모노 버전 녹음)


02 Ingrid Haebler - Mozart Complete Works for Piano 1997

잉그리드 모차르트 - 피아노 작품 전집 10CD

... Ludwig Hoffmann, piano / 루트비히 호프만, 피아노


03 Ingrid Haebler - Schubert 4 Impromptus & Piano Sonata No. 18 'Fantasie' 2023

잉그리드 해블러 - 슈베르트 4개의 즉흥곡 및 피아노 소나타 18번 <환상>


04 Ingrid Haebler - The Philips Legacy 2022

잉그리드 해블러 - 필립스 전집 58CD


CD1-2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프랑스 모음곡


CD3, 6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키보드 소나타


CD4-5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키보드와 플루트(바이올린)를 위한 소나타

... Kurt Redel, flute / 쿠르트 레델, 플루트


CD7-10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키보드 협주곡

... Capella Academica Wien / 빈 아카데미 카펠라

... Eduard Melkus, conductor / 에두아르드 멜쿠스 지휘


CD11-18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변주곡, 아다지오, 미뉴에트, 알레그로, 전주곡과 푸가, 카프리치오, 환상곡, 론도, 작은 지그


CD19-20 모차르트 피아노 듀오

... Ludwig Hoffmann, piano / 루트비히 호프만, 피아노


CD21-24 모차르트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및 변주곡

... Henryk Szeryng, violin / 헨리크 셰링, 바이올린


CD25 모차르트 피아노 콰르텟 1번 및 2번

... Michel Schwalbe, violin / 미셸 슈발베, 바이올린

... Giusto Cappone, viola / 주스토 카포네, 비올라

... Ottomar Borwitzky, cello / 오토마르 보르비츠키, 첼로


CD26 베토벤 피아노와 관악기 콰르텟을 위한 퀸텟 및 모차르트 피아노, 오보에, 클라리넷, 호른, 바순을 위한 퀸텟

... Georg Meerwein, oboe / 게오르크 메르바인, 오보에

... Karl Dörr, clarinet / 카를 되르, 클라리넷

... Helman Jung, bassoon / 헬만 융, 바순

... Claus Klein, horn / 클라우스 클라인, 호른


CD27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2번

... Nederlands Kamerorkest / 네덜란드 실내악단

... Szymon Goldberg, conductor / 시몬 골드베르크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8번

... Wiener Symphoniker / 빈 교향악단

... Christoph von Dohnányi, conductor / 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9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Colin Davis, conductor / 콜린 데이비스 지휘


CD28 모차르트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론도 K. 386

... Nederlands Kamerorkest / 네덜란드 실내악단

... Szymon Goldberg, conductor / 시몬 골드베르크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6번 <대관식>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Colin Davis, conductor / 콜린 데이비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

... Wiener Symphoniker / 빈 교향악단

... Christoph von Dohnányi, conductor / 크리스토프 폰 도흐나니 지휘


CD29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 2, 3, 4번

... Capella Academica Wien / 빈 아카데미 카펠라

... Eduard Melkus, conductor / 에두아르드 멜쿠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6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CD30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5번 및 8번 <뤼초프>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모차르트 3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로드론>

... Ludwig Hoffmann, piano / 루트비히 호프만, 피아노

... Sas Bunge, piano / 자스 붕에, 피아노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31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9번 <죄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모차르트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10번

... Ludwig Hoffmann, piano / 루트비히 호프만, 피아노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론도 K. 382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32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1, 13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Colin Davis, conductor / 콜린 데이비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2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CD33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4, 15, 16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Colin Davis, conductor / 콜린 데이비스 지휘


CD34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7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8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Colin Davis, conductor / 콜린 데이비스 지휘


CD35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9, 21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36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2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Colin Davis, conductor / 콜린 데이비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론도 K. 386 (알프레드 아인슈타인 편집)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37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4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Colin Davis, conductor / 콜린 데이비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5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38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6번 <대관식>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39-40 하이든 키보드 소나타, 안단테와 변주곡, 피아노 협주곡 11번

... Nederlands Kamerorkest / 네덜란드 실내악단

... Szymon Goldberg, conductor / 시몬 골드베르크 지휘


CD41-44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 Henryk Szeryng, violin / 헨리크 셰링, 바이올린


CD45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2번 및 4번

... New Philharmonia Orchestra /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46-53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악흥의 순간, 16개의 독일 춤곡, 즉흥곡, 4개의 손을 위한 작품들

... Ludwig Hoffmann, piano / 루트비히 호프만, 피아노


CD54 슈베르트 바이올린 소나티나 및 소나타 <듀오>

... Henryk Szeryng, violin / 헨리크 셰링, 바이올린


CD55 슈베르트 피아노 퀸텟 <송어>

... Arthur Grumiaux, violin / 아르튀르 그뤼미오, 바이올린

... Georges Janzer, viola / 조르주 얀저, 비올라

... Eva Czako, cello / 에바 차코, 첼로

... Jacques Cazauran, double bass / 자크 카조랑, 더블베이스


CD56 쇼팽 왈츠


CD57 슈만 나비, 어린이의 정경, 피아노 협주곡 및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

... Concertgebouworkest / 암스테르담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

... Eliahu Inbal, conductor / 엘리아후 인발 지휘


CD58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2번 및 13번


1952년 1위 없는 공동 2위 Alexander Jenner (Austria) / 알렉산더 예너 (오스트리아)

위에 있으므로 생략


1952년 1위 없는 공동 2위 Kiyoko Tanaka (Japan) / 기요코 다나카 (일본, 만장일치)

The Art of Kiyoko Tanaka - Debussy Recital 1997

기요코 다나카의 예술 - 드뷔시 리사이틀


1953년 공동 2위 Ingrid Haebler (Austria) / 잉그리드 해블러 (오스트리아)

위에 있으므로 생략


1954년 1위 Bernard Ringeissen (France) / 베르나르 링게상 (프랑스)

Bernard Ringeissen - 5th International Fryderyk Chopin Piano Competition 1955 (LP Rip)

베르나르 링게상 - 1955년 제5회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 LP


1954년 공동 2위 Hans Graf (Austria) / 한스 그라프 (오스트리아, 만장일치)

Eric Heidsieck, Hans Graf & Mozarteum Orchester Salzburg - Mozart Piano Concertos, Vol. 1 Nos. 24 & 26 (1992)

Eric Heidsieck, Hans Graf & Mozarteum Orchester Salzburg - Mozart Piano Concertos, Vol. 2 Nos. 20 & 27 (1992)

Eric Heidsieck, Hans Graf & Mozarteum Orchester Salzburg - Mozart Piano Concertos, Vol. 3 Nos. 22 & 23 (1993)

Eric Heidsieck, Hans Graf & Mozarteum Orchester Salzburg - Mozart Piano Concertos, Vol. 4 Nos. 19 & 21 (1993)

Eric Heidsieck, Hans Graf & Mozarteum Orchester Salzburg - Mozart Piano Concertos, Vol. 5 Nos. 12 & 25 (1994)

Eric Heidsieck, Hans Graf & Mozarteum Orchester Salzburg - Mozart Piano Concertos, Vol. 6 Nos. 9 & 18 (1994)

에릭 하이드시에크,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 한스 그라프 지휘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6CD


Huseyin Sermet, Hans Graf &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 Live in Seoul (26 July 2012)

휘세인 세르메트, 서울시향, 한스 그라프 - 2012년 7월 26일 서울 실황 녹음


Jae-Hyuck Cho, Hans Graf & Russian National Orchestra - Rachmaninov Piano Concertos Nos. 2 & 3 (2021)

조재혁, 러시안 내셔널 오케스트라, 한스 그라프 지휘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및 3번


Orli Shaham, Hans Graf & Milwaukee Symphony Orchestra - Live in Milwaukee, Wisconsin (30 January 2016)

오를리 샤함, 밀워키 심포니 오케스트라, 한스 그라프 지휘 - 2016년 1월 30일 위스콘신 주 밀워키 실황 녹음


1954년 공동 2위 Cécile Ousset (France) / 세실 우세 (프랑스, 만장일치)

01 Cecile Ousset - Chopin Sonatas, Scherzi & Ballades 2004

세실 우세 - 쇼팽 소나타, 스케르초, 발라드 2CD


02 Cecile Ousset - Debussy Preludes, Pour le piano, L'Isle joyeuse, Images, Suite bergamasque & Arabesques 1999

세실 우세 - 드뷔시 전주곡, 피아노를 위하여, 기쁨의 섬, 영상,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아라베스크 2CD


03 Cecile Ousset - Grieg & Schumann Piano Concertos 1986

세실 우세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Neville Marriner, conductor / 네빌 마리너 지휘

슈만 피아노 협주곡

... The London Philharmonic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Kurt Masur, conductor / 쿠르트 마주어 지휘


04 Cecile Ousset - Mozart Piano Sonatas 2007

세실 우세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05 Cecile Ousset -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 & Ravel Gaspard de la nuit 1987

세실 우세 -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 및 라벨 <밤의 가스파르>


06 Cecile Ousset - Prokofiev Piano Concerto No. 3 & Poulenc Piano Concerto 2004

세실 우세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3번 및 풀랑크 피아노 협주곡

... Bournemouth Symphony Orchestra / 본머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 Rudolf Barshai, conductor / 루돌프 바르샤이 지휘


07 Cecile Ousset -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2 &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1984

세실 우세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및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 City of Birmingham Symphony Orchestra / 버밍엄 시립교향악단

... Simon Rattle, conductor / 사이먼 래틀 지휘


08 Cecile Ousset - Ravel Valses nobles et sentimentales, Le tombeau de Couperin, Miroirs & Concertos 2022

세실 우세 - 라벨 <우아하고 감상적인 왈츠>, 쿠프랭의 무덤, 거울, 피아노 협주곡 2CD

... City of Birmingham Symphony Orchestra / 버밍엄 시립교향악단

... Simon Rattle, conductor / 사이먼 래틀 지휘


09 Cecile Ousset - Saint-Saens Piano Concerto No. 2 & Liszt Piano Concerto No. 1 (1987)

세실 우세 -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및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 City of Birmingham Symphony Orchestra / 버밍엄 시립교향악단

... Simon Rattle, conductor / 사이먼 래틀 지휘


10 Cecile Ousset - The Decca France Recordings 2019

세실 우세 - 프랑스 피아노의 예술 7CD

CD1 드뷔시, 사티, 생상스, 샤브리에

CD2 라흐마니노프 <악흥의 순간> 및 프로코피에프 10개의 소품

CD3 슈만 사육제 및 브람스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CD4-7 베토벤 변주곡


11 Cecile Ousset Plays Faure, Debussy, Ravel, Chabrier, Saint-Saens & Satie - French Piano Music 1987

세실 우세가 연주하는 포레, 드뷔시, 라벨, 샤브리에, 생상스 사티 - 프랑스 피아노 음악


12 Cecile Ousset Plays Liszt 1985

세실 우세가 연주하는 리스트


13 Cecile Ousset Plays Ravel 2002

세실 우세가 연주하는 리스트


14 Cecile Ousset, Gunther Herbig & The Philharmonia -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 Sonata No. 2 (1990)

세실 우세,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귄터 헤르비히 지휘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및 소나타 2번


15 Cecile Ousset, Kurt Masur & Gewandhausorchester Leipzig - Brahms Piano Concerto No. 2 (2007)

세실 우세,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쿠르트 마주어 지휘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


16 Cecile Ousset, Kurt Masur & The London Philharmonic -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 1 & Schumann Piano Concerto 1991

세실 우세,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쿠르트 마주어 지휘 -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및 슈만 피아노 협주곡


17 Cecile Ousset, Neville Marriner & London Symphony Orchestra - Grieg Piano Concerto & Mendelssohn Piano Concerto No. 1 (1985)

세실 우세,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네빌 마리너 지휘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및 멘델스존 피아노 협주곡 1번


18 Cecile Ousset, Simon Rattle & City of Birmingham Symphony Orchestra - Ravel Piano Concertos 1991

세실 우세, 버밍엄 시립교향악단, 사이먼 래틀 지휘 - 라벨 피아노 협주곡 및 쿠프랭의 무덤


75 Years Ysaye & Queen Elisabeth Piano Competition 2013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75주년 기념 음반 피아노 부문 5CD


CD1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 1 /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Valery Afanassiev (Russia, 1st prize 1972) / 발레리 아파나시에프 (러시아, 1972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Rene Defossez, conductor / 르네 데포세즈 지휘


Liszt Piano Concerto No. 1 /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Vladimir Ashkenazy (Russia, 1st prize 1956)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 1956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Liszt Piano Concerto No. 2 /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2번

Pierre-Alain Volondat (France, 1st prize 1983) / 피에르-알랭 볼롱다 (프랑스, 1983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eorges Octors, conductor / 조르쥬 옥토르 지휘


CD2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2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Wolfgang Manz (Germany, 2nd prize 1983) / 볼프강 만츠 (독일, 1983년 2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eorges Octors, conductor / 조르쥬 옥토르 지휘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Andrei Nikolsky (Russia, 1st prize 1987) / 안드레이 니콜스키 (러시아, 1987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eorges Octors, conductor / 조르쥬 옥토르 지휘


CD3

Beethoven Piano Concerto No. 4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Frank Braley (France, 1st prize 1991) / 프랑크 브랄레 (프랑스, 1991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Ronald Zollman, conductor / 로날드 졸만 지휘


Brahms Piano Concerto No. 1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Leon Fleisher (USA, 1st prize 1952) / 레온 플라이셔 (미국, 1952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CD4

Brahms Piano Concerto No. 2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

Denis kozhukhin (Russia, 1st prize 2010) / 데니스 코주힌 (러시아, 2010년 1위)

Royal Flemish Philharmonie / 로열 플레미시 필하모닉

Edo de Waart, conductor / 에도 데 바르트 지휘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번

Anna Vinnitskaya (Russia, 1st prize 2007) / 안나 비니츠카야 (러시아, 2007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ilbert Varga, conductor / 길버트 바르가 지휘


CD5

Prokofiev Piano Concerto No. 1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1번

Malcolm Frager (USA, 1st prize 1960) / 맬컴 프레이저 (미국, 1960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Chopin Piano Concerto No. 1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Jeffrey Swann (USA, 2nd prize 1972) / 제프리 스완 (미국, 1972년 2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Rene Defossez, conductor / 르네 데포세즈 지휘


Chopin Piano Concerto No. 2 /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

Cecile Ousset (France, 4th prize 1956) / 세실 우세 (프랑스, 1956년 4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1955년 1위 없는 공동 2위 Malcolm Frager (USA) / 맬컴 프레이저 (미국)

01 Malcolm Frager - MacDowell & Company 1998

맬컴 프레이저 - 맥도웰과 일행


02 Malcolm Frager -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 Haydn Piano Sonata No. 35 (LP rip)

맬컴 프레이저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번 및 하이든 피아노 소나타 35번 LP

Paris Conservatoire Orchestra / 파리 음악원 오케스트라

René Leibowitz, conductor / 르네 라이보비츠 지휘


03 Malcolm Frager Plays Chopin 1979

맬컴 프레이저가 연주하는 쇼팽


04 Malcolm Frager Plays Schumann (piano Peter Rosenberger, Vienna 1845)

맬컴 프레이저가 연주하는 슈만


05 Malcolm Frager, Arthur Fiedler & Boston Pops Orchestra - Live at Beethovenhalle in Bonn (16 April 1971)

맬컴 프레이저,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 아서 피들러 지휘 - 1971년 4월 16일 본 베토벤할레 녹음


06 Malcolm Frager, Gary Bertini & Philharmonisches Staatsorchester Hamburg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3 (LP Rip)

맬컴 프레이저, 함부르크 국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가리 베르티니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 LP


Erich Gruenberg Plays Beethoven Violin Concerto & Malcolm Frager Plays Schumann Piano Concerto 1991

에리히 그륀베르크 -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New Philharmonia Orchestra /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맬컴 프레이저 - 슈만 피아노 협주곡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Jascha Horenstein, conductor / 야샤 호렌스타인 지휘


Malcolm Frager & Rudolf Kempe - Staatskapelle Dresden Edition, Vol. 28 (2009)

맬컴 프레이저,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루돌프 켐페 지휘 -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에디션 28집


Malcolm Frager - 1960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맬컴 프레이저 - 1960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1955년 1위 없는 공동 2위 Gabriel Tacchino (프랑스)

01 Gabriel Tacchino - Poulenc Piano Melodies 2017

가브리엘 타키노 - 풀랑크 피아노 멜로디


02 Gabriel Tacchino - Poulenc Piano Works

가브리엘 타키노 - 풀랑크 피아노 작품집


03 Gabriel Tacchino Plays Chopin 1989

가브리엘 타키노가 연주하는 쇼팽


04 Gabriel Tacchino Plays Erik Satie 1989

가브리엘 타키노가 연주하는 에릭 사티


Gabriel Tacchino - Prokofiev Piano Works (Pierre Verany)

가브리엘 타키노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작품집 mp3


Poulenc - Pastourelle-Toccata (Tacchino)

가브리엘 타키노 - 풀랑크 전원 & 토카타 동영상


Gabriel Tacchino - A Memory 2024

가브리엘 타키노 – 회상


Gabriel Tacchino - Saint-Saens Complete Music for Piano & Orchestra 1993

가브리엘 타키노 - 생상스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전곡 3CD

Orchestra of Radio Luxembourg / 룩셈부르크 라디오 오케스트라

Louis de Froment, conductor / 루이 드 프로망 지휘

Ruggiero Ricci, violin / 루지에로 리치, 바이올린

Susanna Mildonian, harp / 수잔나 밀도니안, 하프

Georges Mallach, cello / 조르주 말라흐, 첼로

Jean-Pierre Kemmer, organ / 장피에르 켐머, 오르간

Francis Orval, horn / 프란시스 오르발, 호른


Gabriel Tacchino, Ruggiero Ricci & Laszlo Varga - Prokofiev Concertos 1991

가브리엘 타키노, 루지에로 리치, 라즐로 바르가 프로코피에프 협주곡 전집 3CD

Orchestra of Radio Luxembourg / 룩셈부르크 라디오 오케스트라

Louis de Froment, conductor / 루이 드 프로망 지휘


Jacques Fevrier & Gabriel Tacchino Play Ravel

자크 루비에와 가브리엘 타키노가 연주하는 라벨 2CD


Michel Beroff, Jean-Philippe Collard, Michel Dalberto, Bruno Rigutto & Gabriel Tacchino - Bach Keyboard Concertos

미셸 베로프, 장-필리프 콜라르, 미셸 달베르토, 브루노 리구토, 가브리엘 타키노 - 바흐 키보드 협주곡 3CD

Ensemble Orchestral de Paris / 파리 앙상블 오케스트라

Jean-Pierre Wallez, conductor / 장-피에르 왈레즈 지휘


Aldo Ciccolini - Complete EMI Recordings 1950-1991

알도 치콜리니 - EMI 전집 56CD

CD1 모차르트, 스카를라티

CD2 모차르트, 스카를라티

CD3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 댕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

... Orchestre de la Societe des Concerts du Conservatoire / 파리 음악원 오케스트라

... Andre Cluytens, conductor / 앙드레 클뤼탕 지휘

CD4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둠카,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스트라빈스키 탱고

... Orchestre National de la Radiodiffusion Francaise /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 Constantin Silvestri, conductor / 콘스탄틴 실베스트리

CD5 보로딘, 아렌스키, 카발레프스키, 라흐마니노프, 사티

CD6 쇼팽, 리스트

CD7-8 리스트

CD9 알베니스, 그라나도스, 몸푸, 파야 <스페인 정원의 밤>

... Orchestre National de la Radiodiffusion Francaise /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 Ernesto Halffter, conductor / 에르네스토 알프테르 지휘

CD10 바흐, 쿠프랭, 라모, 스카를라티

CD11 스카를라티, 로시니

CD12 쇼팽, 그리그

CD13 그리그, 무소르그스키

CD14-16 리스트

CD17 리스트, 슈만, 멘델스존

CD18 그라나도스, 알베니스

CD19 알베니스, 그라나도스, 파야

CD20 샤브리에, 프랑크 교향시 <귀신>

... Orchestre National de Belgique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 Andre Cluytens, conductor / 앙드레 클뤼탕 지휘

CD21 드뷔시, 생상스

CD22-24 사티

CD25 사티, 세브락

CD26-27 세브락

CD28 슈만, 브람스

CD29 브람스

CD30 브람스, 슈베르트, 쇼팽

CD31 슈베르트

CD32 프랑크 프렐류드와 코랄과 푸가, 프렐류드와 아리아와 푸가, 프렐류드와 푸가와 변주곡, 교향적 변주곡

... Orchestre Philharmonique de Liege / 리에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Paul Strauss, conductor / 폴 스트라우스 지휘

CD33 프랑크 교향시 <귀신>

... Orchestre Philharmonique de Liege / 리에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Paul Strauss, conductor / 폴 스트라우스 지휘

댕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

... Orchestre de Paris / 파리 오케스트라

... Serge Baudo, conductor / 세르주 보도 지휘

알렉시스 드 카스티용 피아노 협주곡

... Orchestre Philharmonique de Monte-Carlo / 몬테카를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Georges Pretre, conductor / 조르주 프레트르 지휘

CD34 마스네 피아노 협주곡 외

... Orchestre National de l'Opera de Monte-Carlo / 몬테카를로 오페라 국립 오케스트라

... Sylvain Cambreling, conductor / 실뱅 캉브를랭 지휘

CD35 마스네

CD36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1, 2, 4번

... Orchestre de Paris / 파리 오케스트라

... Serge Baudo, conductor / 세르주 보도 지휘

CD37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3, 5번

... Orchestre de Paris / 파리 오케스트라

... Serge Baudo, conductor / 세르주 보도 지휘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 Alexis Weissenberg, piano / 알렉시스 바이센베르크, 피아노

... Orchestre de la Societe des Concerts du Conservatoire / 파리 음악원 오케스트라

... Georges Pretre, conductor / 조르주 프레트르 지휘

CD38 드뷔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환상곡, 라벨 왼손을 위한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외

... Orchestre de Paris / 파리 오케스트라

... Jean Martinon, conductor / 장 마르티농 지휘

CD39 모차르트, 베토벤

CD40-41 리스트

CD42-46 사티 독주곡 및 4개의 손을 위한 곡들

... Gabriel Tacchino, piano / 가브리엘 타키토, 피아노

CD47-51 드뷔시

CD52 모차르트 피아노, 클라리넷, 비올라를 위한 3중주

... Henri Druart, clarinet / 앙리 드뤼아르, 클라리넷

... Roger Lepauw, alto / 로헤르 레파우, 비올라

쇼팽과 라흐마니노프의 첼로 소나타

... Paul Tortelier, cello / 폴 토르틀리에, 첼로

CD53 드뷔시 가곡 발췌

... Janine Micheau, soprano / 자닌 미쇼, 소프라노

라벨 가곡 발췌

... Jean-Christophe Benoit, baryton / 장-크리스토프 베누아, 바리톤

CD54 라벨 <스테판 말라르메의 3개의 시에 붙인 노래>

... Jean-Christophe Benoit, baryton / 장-크리스토프 베누아, 바리톤

... Solistes de l'Orchestre de Paris / 파리 오케스트라 단원들

... Jean-Pierre Jacquillat, conductor / 장-피에르 자키야 지휘

포레, 풀랑크, 드뷔시, 레이날도 한의 가곡들

... Nicolai Gedda, tenor / 니콜라이 게다, 테너

드뷔시 가곡 발췌

... Mady Mesple, soprano / 마디 메스플레, 소프라노

CD55 사티 가곡 발췌

... Mady Mesple, soprano / 마디 메스플레, 소프라노

... Gabriel Bacquier, baryton / 가브리엘 바키에, 바리톤

... Nicolai Gedda, tenor / 니콜라이 게다, 테너

CD56 알베니스 피아노 협주곡 1번, 파야 <스페인 정원의 밤>

...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Enrique Batiz, conductor / 엔리케 바티스 지휘


1956년 만장일치 공동 2위 Danièle Dechenne (France) / 다니엘 드셴 (프랑스)

Danielle Dechenne - The Best of Chopin 1988

다니엘 드셴 - 쇼팽 베스트


Ingrid Haebler holding a Dutch tulip named after her with a mini Mozart standing beside her in 1966 / 1966년 모차르트를 모방한 소년과 함께한 잉그리드 해블러가 그녀의 이름을 딴 네덜란드 튤립을 쥐고 있다.


I will change files on 1-10 September 2024.

2024년 7월 20일 토요일

Google Drive / 2024. 07. Geneva Competition Winners 2


1941년 공동 2위 Georg Solti (Hungary) / 게오르크 솔티 (헝가리)

Sir Georg Solti - Famous Overtures 1999

게오르크 솔티 경 - 유명 서곡 모음 2CD

Wiener Philharmoniker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Orchestra of the Royal Opera House, Covent Garden / 코번트 가든 로열 오페라 하우스 오케스트라

Chicago Symphony Orchestra /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Sir Georg Solti Conducts Verdi Requiem

빈 국립 오페라 합창단,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게오르크 솔티 경 지휘 - 베르디 레퀴엠 2CD


Sir Georg Solti, Charles Dutoit & Willi Boskowsky Conduct Overtures

주페 서곡 발췌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게오르크 솔티 경 지휘

주페 서곡 발췌 -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샤를 뒤투아 지휘

레즈니체크, 오토 니콜라이,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서곡 발췌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빌리 보스코프스키 지휘


Sir Georg Solti, Konzertvereinigung, Wiener Staatsopernchor & Wiener Philharmoniker - Mozart Requiem 1991

빈 국립 오페라 합창단,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게오르크 솔티 경 지휘 - 모차르트 레퀴엠


Andras Schiff, Daniel Barenboim, Sir Georg Solti & English Chamber Orchestra - Mozart Piano Concertos 2006

안드라스 쉬프, 다니엘 바렌보임, 게오르크 솔티 경, 잉글리시 챔버 오케스트라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Murray Perahia & Sir Georg Solti Play Bartok & Brahms

머레이 페라이어와 게오르크 솔티 경이 연주하는 버르토크와 브람스


Sir Georg Solti & London Symphony Orchestra - Beethoven-Immortal Beloved OST 1994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게오르크 솔티 경 지휘 - 영화 <불멸의 연인> OST


Vladimir Ashkenazy & Sir Georg Solti -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게오르크 솔티 경 지휘 -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


Vladimir Ashkenazy, Sir Georg Solti & Chicago Symphony Orchestra - Beethoven Piano Concertos 1995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게오르크 솔티 경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CD


Liszt - Mephisto valzer (Solti)

게오르크 솔티가 지휘하는 리스트 <메피스토 왈츠> 1번 동영상


1942년 1위 Georg Solti (Hungary) / 게오르크 솔티 (헝가리)

위에 있으므로 생략


1943~1945년 제네바 콩쿠르 피아노 부문에 대한 정보는 나한테 없다.


1946년 1위 Friedrich Gulda (Austria) / 프리드리히 굴다 (오스트리아)

01 Albert Golowin (Friedrich Gulda) - Donau So Blue 1970 (2014)

알버트 골로윈 (프리드리히 굴다) - 도나우 소 블루


02 Friedrich Gulda - 2 Solo Recitals 1959 (2021)

프리드리히 굴다 - 1959년 1월 29일 브루흐잘 리사이틀 및 1959년 6월 3일 슈베칭엔 리사이틀 3CD


03 Friedrich Gulda - All That Jazz, Vol. 145 From Vienna to Birdland 2022

프리드리히 굴다 - 재즈의 모든 것 145집 <비엔나에서 버드랜드까지>


04 Friedrich Gulda - Beethoven 32 Klaviersonaten, Eroica-Variationen, Diabelli-Variationen & Sechs Bagatellen 2016

프리드리히 굴다 - 베토벤 32개 피아노 소나타, 에로이카 변주곡, 디아벨리 변주곡, 7개의 바가텔 9CD (오르페오)


05 Friedrich Gulda - Beethoven Complete Piano Sonatas & Concertos

프리드리히 굴다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및 피아노 협주곡 전집 12CD (데카)

Wiener Philharmoniker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Horst Stein, conductor / 호르스트 슈타인 지휘


06 Friedrich Gulda - Beethoven Complete Piano Sonatas 1968

프리드리히 굴다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 (아마데오)


07 Friedrich Gulda - Beethoven Diabelli-Variationen 1970

프리드리히 굴다 - 베토벤 <디아벨리 변주곡> 1970


08 Friedrich Gulda - Beethoven Piano Sonata No. 32 & Gulda Wintermeditation 1985

프리드리히 굴다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2번 및 굴다 <겨울 명상>


09 Friedrich Gulda - Beethoven's Diabelli-Variationen 1988

프리드리히 굴다 - 베토벤 <디아벨리 변주곡> 1988


10 Friedrich Gulda - Essentiel 2020

프리드리히 굴다 - 에센셜


11 Friedrich Gulda - From Vienna with Jazz 1964 (LP Rip)

프리드리히 굴다 - 재즈와 함께 비엔나에서 LP


12 Friedrich Gulda - Genius & Rebel 2010

천재와 혁신의 프리드리히 굴다 10CD


13 Friedrich Gulda - Gulda Non-Stop 2014

프리드리히 굴다 - 굴다 논스톱


mp3 파일로 가지고 있다가 고음질로 구매했다.


14 Friedrich Gulda - Live in Vienna 1966

프리드리히 굴다 - 1996년 12월 프리드리히 굴다 20주년 기념 비엔나 음악회


15 Friedrich Gulda - Midlife Harvest 2005

프리드리히 굴다 - 중년의 수확 5CD


16 Friedrich Gulda - Mozart & Gulda Piano Works (Live) 2017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모차르트와 굴다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Leopold Hager, conductor / 레오폴트 하거 지휘


17 Friedrich Gulda - Mozart Tapes, Vol. 1 (2006)

프리드리히 굴다 - 모차르트 테이프 1집 3CD


18 Friedrich Gulda - Mozart Tapes, Vol. 2 (2007)

프리드리히 굴다 - 모차르트 테이프 2집 2CD


19 Friedrich Gulda - Mozart, Beethoven, Haydn & Strauss Piano Concertos (Live) 2020

프리드리히 굴다 - 모차르트, 베토벤, 하이든, 슈트라우스 피아노 협주곡 3CD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4번

Radio-Sinfonieorchester Stuttgart / 슈투트가르트 방송 교향악단

Joseph Keilberth, conductor / 요제프 카일베르트 지휘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하이든 피아노 협주곡 11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부를레스케>

Radio-Sinfonieorchester Stuttgart / 슈투트가르트 방송 교향악단

Hans Muller-Kray, conductor / 한스 뮐러-크라이 지휘

드뷔시 불꽃 (앙코르)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4, 23번

Sudwestfunk-Orchester Baden-Baden / 바덴바덴과 프라이부르크 남서독일 방송 교향악단

Hans Rosbaud, conductor / 한스 로스바우트 지휘


20 Friedrich Gulda - Piano Recital 2020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하이든, 모차르트, 슈베르트, 베토벤 - 피아노 리사이틀


21 Friedrich Gulda - Recital Montpellier 1993 (2004)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드뷔시, 베토벤, 모차르트, 굴다, 슈만, 슈베르트, 쇼팽, 브람스 - 1993년 7월 31일 몽펠리에 리사이틀 2CD


22 Friedrich Gulda - Schubert & Chopin Piano Works 2020

프리드리히 굴다 – 슈베르트 및 쇼팽 피아노 작품집


23 Friedrich Gulda - The Complete Gulda Mozart Tapes 2009

프리드리히 굴다 - 굴다 모차르트 테이프 전집 6CD


24 Friedrich Gulda - The Early RIAS Recordings 2009

프리드리히 굴다 - 초기 리아스 녹음 4CD

CD1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0번 및 30번, 15개의 전주곡과 푸가(에로이카 변주곡), 자작 주제에 의한 32개의 변주곡

CD2 드뷔시 모음곡 <피아노를 위하여>, 그라나다의 황혼, 영상 발췌,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및 라벨 <밤의 가스파르>

CD3 쇼팽 24개 전주곡, 녹턴 13번, 뱃노래 및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7번

CD4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4번 및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8번

RIAS-Symphonie-Orchester / 리아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Igor Markevitch, conductor / 이고르 마르케비치 지휘


25 Friedrich Gulda - The Mozart Tapes, Concertos & Sonatas 2015

프리드리히 굴다 - 모차르트 테이프, 협주곡, 소나타 10CD

피아노 협주곡 20, 21, 25, 27번

Wiener Philharmoniker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Claudio Abbado, conductor / 클라우디오 아바도 지휘

피아노 협주곡 25, 26번, 피아노 소나타 17번

New Symphony Orchestra of London / 런던 뉴 심포니 오케스트라

Anthony Collins, conductor / 앤서니 콜린스 지휘

피아노 협주곡 14번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Anthony Collins, conductor / 앤서니 콜린스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7번

Orchestra / 오케스트라 미상

Paul Angerer, conductor / 파울 앙거러 지휘


26 Friedrich Gulda - The Stuttgart Solo Recitals 1966-1979 (Live)

프리드리히 굴다 - 슈투트가르트 리사이틀 7CD


CD2의 8번 트랙이 40초에서 버퍼링이 생긴다.


27 Friedrich Gulda & Georg Solti - Live in Paris (13 December 1956)

프리드리히 굴다, 게오르크 솔티 지휘 - 1956년 12월 13일 파리 실황 녹음

Orchestre national de la Radiodiffusion francaise / 프랑스 방송 국립 교향악단


28 Friedrich Gulda & Karl Bohm - Mozart Piano Concerto No. 9 & Brahms Symphony No. 1

프리드리히 굴다, 카를 뵘 지휘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9번 <죄놈>, 브람스 교향곡 1번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29 Friedrich Gulda & Klaus Weiss Play Gulda - It's All One 1970

프리드리히 굴다(피아노)와 클라우스 바이스(드럼)가 연주하는 굴다 재즈곡들


30 Friedrich Gulda & Munchner Philharmoniker - Concerto for Myself 1989 (Live Recording)

프리드리히 굴다,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스스로를 위한 협주곡 실황 녹음


31 Friedrich Gulda & Munchner Philharmoniker - Mozart Concertos Nos. 20 & 26 (1986)

프리드리히 굴다,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및 26번 CD + DVD


32 Friedrich Gulda & NDR Symphony Orchestra - Mozart Piano Concertos Nos. 23 & 20

프리드리히 굴다, 북독일 방송 엘프필하모니 관현악단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 및 20번


33 Friedrich Gulda, Albert Heath (drums) & Jimmie Rowser (bass) - Gulda Jazz 1962 [Japan Press, Reissue 1969] (LP Rip)

프리드리히 굴다 (피아노), 앨버트 히스 (드럼), 지미 로우저 (베이스) - 굴다 재즈 1962 LP


34 Friedrich Gulda at Birdland 2015

버드랜드의 프리드리히 굴다


35 Friedrich Gulda in Tokyo 1967

프리드리히 굴다 - 도쿄 리사이틀 1967


36 Friedrich Gulda Plays Bach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바흐


37 Friedrich Gulda Plays Bach - Das wohltemperierte Klavier 2007

프리드리히 굴다 - 바흐 평균율 4CD


38 Friedrich Gulda Plays Bach - Das wohltemperierte Klavier 2015

프리드리히 굴다 - 바흐 평균율 리마스터링 4CD


처음에 받았을 때 전주곡과 푸가가 합쳐져 있어서 따로 분리했다. 2007년 음반의 재생 시간을 참고했는데 차이가 있어서 알맞게 조절했다.


39 Friedrich Gulda Plays Bach on Clavichord - The Mono Tapes 2018

프리드리히 굴다 - 클라비코드로 연주하는 바흐 모노 테이프


40 Friedrich Gulda Plays Bach, Beethoven, Mozart, Chopin, Debussy & Prokofiev - FabFour Edition 2011

프리드리히 굴다 - 파브포 에디션 4CD

CD1 바흐, 모차르트, 쇼팽, 드뷔시, 프로코피에프

CD2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5, 26번

New Symphony Orchestra / 뉴 심포니 오케스트라

Anthony Collins, conductor / 앤서니 콜린스 지휘

CD3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3번

Kolner Rundfunksinfonieorchester / 쾰른 방송 교향악단

Mario Rossi, conductor / 마리오 로시 지휘

CD4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8, 9, 10번


41 Friedrich Gulda Plays Bach, Haydn & Beethoven - Schwetzinger Piano Recital 1959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바흐, 하이든, 베토벤 - 1959 슈베칭어 피아노 리사이틀 실황 녹음


42 Friedrich Gulda Plays Bach, Mozart, Schubert & Chopin 1983 (LP Rip)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바흐, 모차르트, 슈베르트, 쇼팽 2LP


43 Friedrich Gulda Plays Chopin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쇼팽 2CD


44 Friedrich Gulda Plays Chopin & Beethoven 2021 - The Stuttgart Studio Recordings 1953 & 1958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쇼팽과 베토벤 - 슈투트가르트 스튜디오 녹음 2CD


45 Friedrich Gulda Plays Haydn, Mozart, Schubert & Beethoven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하이든, 모차르트, 슈베르트, 베토벤


46 Friedrich Gulda Plays Mozart Sonatas & Fantasia 1990

프리드리히 굴다 - 모차르트 소나타와 환상곡


47 Friedrich Gulda Plays Mozart, Beethoven & Schubert - Die grossen Klaviersonaten 1968-1972

프리드리히 굴다 -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소나타 4CD


48 Friedrich Gulda (piano), Fritz Pauer (electric piano) & Klaus Weiss (drums) - Fata Morgana [Live at the Domicile] 1971 (LP Rip)

프리드리히 굴다(피아노), 프리츠 파우어(전자피아노), 클라우스 바이스(드럼) - 파타 모르가나 LP


49 Friedrich Gulda, Andre Cluytens & Orchestra RTSI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4 & Franck Symphony 2019

프리드리히 굴다, RTSI 오케스트라, 앙드레 클뤼탕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프랑크 교향곡


50 Friedrich Gulda, Hans Swarowsky & Orchester des Volksoper Wien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Sonatas Nos. 8 & 27

프리드리히 굴다, 빈 오페라 극장 오케스트라, 한스 스바로프스키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소나타 8번 <비창>, 27번


51 Friedrich Gulda, Hans Swarowsky & Orchestra of the Vienna State Opera - Mozart Piano Concertos Nos. 21 & 27

프리드리히 굴다, 빈 오페라 극장 오케스트라, 한스 스바로프스키 지휘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 및 27번


52 Friedrich Gulda, Karl Bohm & Wiener Philharmoniker - Live at Salzburg Festival 1957 (2008)

프리드리히 굴다, 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카를 뵘 지휘 -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1957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부를레스케>, 베토벤 교향곡 7번)


53 Friedrich Gulda, Nikolaus Harnoncourt &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Mozart Piano Concertos Nos. 23 & 26

프리드리히 굴다, 로열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 및 26번


54 Friedrich Gulda, Radio-Orchester Stuttgart & Sudfunk-Tanzorchester - Gulda Works (Live) 2021

프리드리히 굴다, 슈투트가르트 방송교향악단 및 무용악단 - 굴다 작품집 라이브


55 Ineffable - The Unique Jazz Piano of Friedrich Gulda 1965 (2015)

프리드리히 굴다의 유니크 재즈 피아노


Friedrich Gulda - Mozart for the People 2003 DVD

프리드리히 굴다 - 사람들을 위한 모차르트 DVD


Friedrich Gulda Plays Beethoven & Bach - Live at the Beethovenfest Bonn 1970 DVD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베토벤과 바흐 - 1970 본 베토벤페스트 실황 DVD


Friedrich Gulda Quintet - Live in Hamburg 1969 DVD

프리드리히 굴다 퀸텟 - 1969 함부르크 실황 DVD


Friedrich Gulda, George Szell &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Beethoven & Bach DVD

프리드리히 굴다,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조지 셸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및 바흐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 DVD


DVD를 받았더니 불량인 관계로 지우고 유튜브에서 구했다.


Friedrich Gulda, Herbie Hancock & Joe Zawinul - Live in Salzburg (24 July 1989) DVD

프리드리히 굴다, 허비 행콕, 조 자비눌 - 1989년 7월 24일 잘츠부르크 실황 DVD


Chick Corea & Friedrich Gulda - The Meeting (Live) 1983

칙 코리아와 프리드리히 굴다의 만남 - 1982년 6월 27일 뮌헨 라이브


Friedrich Gulda & Chick Corea - Mozart Double Concerto 1984

프리드리히 굴다, 칙 코리아 - 모차르트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굴다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환상곡, 칙 코리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핑퐁

Concertgebouw Orchestra, Amsterdam / 암스테르담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

Nikolaus Harnoncourt, conductor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


Friedrich Gulda & Joe Zawinul - Music for 2 Pianos 1988

프리드리히 굴다와 조 자비눌이 연주하는 브람스, 굴다, 자비눌 -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음악


Limpe Fuchs, Friedrich Gulda & Paul Fuchs - It's Up to You (Live) 2022 (LP Rip)

림페 푸흐스, 프리드리히 굴다, 파울 푸흐스 - 마음대로 하세요 라이브 4LP


Friedrich Gulda und sein Eurojazz Orchester (feat. Jay Jay Johnson & Joe Zawinul) 1966

프리드리히 굴다와 그의 유로재즈 오케스트라의 1966년 콘서트 mp3


[DivX - CLASSICA] F.Gulda - Recital (byMarcel)

프리드리히 굴다 리사이틀 동영상


Friedrich Gulda - Bach Air - Munich Piano Summer Live 1982 (Congress Hall in Munich)

프리드리히 굴다 - 1982년 뮌헨의회센터 뮌헨 피아노 서머 동영상 (바흐 아리아)


Friedrich Gulda plays Mozart 1995

프리드리히 굴다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동영상


Decca Sound - The Piano Edition 2017

데카 사운드 - 피아노 에디션 55CD


CD1 Martha Argerich & Julius Katchen

[보너스] 슈만 피아노 협주곡 - 마르타 아르헤리치

Gewandhausorchester /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Riccardo Chailly, conductor / 리카르도 샤일리 지휘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 줄리어스 카첸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Ataulfo Argenta, conductor / 아타울포 아르헨타 지휘


CD2 Vladimir Ashkenazy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

Wiener Philharmoniker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Bernard Haitink, conductor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지휘

[보너스]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3번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Andre Previn, conductor / 앙드레 프레빈 지휘


CD3 Vladimir Ashkenazy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쇼팽 연습곡 전집


CD4 Vladimir Ashkenazy & Andre Previn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보너스]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교향적 무곡


CD5-6 Wilhelm Backhaus / 빌헬름 박하우스

1954년 3월 30일 카네기홀 리사이틀


CD7 Jorge Bolet / 호르헤 볼레트

고도프스키의 쇼팽 편곡


CD8 Jorge Bolet / 호르헤 볼레트

리스트의 슈베르트 가곡 편곡


CD9 Shura Cherkassky / 슈라 체르카스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Yuri Temirkanov, conductor / 유리 테미르카노프 지휘

안톤 루빈스타인 피아노 협주곡 4번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Vladimir Ashkenazy, conductor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지휘


CD10 Shura Cherkassky / 슈라 체르카스키의 처음이자 마지막 데카 녹음


CD11 Clifford Curzon & Benjamin Britten

베토벤 <에로이카 변주곡>, 슈베르트 <악흥의 순간> - 클리포드 커즌

[보너스] 벤저민 브리튼 2대의 피아노를 위한 곡들


CD12 Clifford Curzon / 클리포드 커즌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 27번

English Chamber Orchestra / 잉글리시 챔버 오케스트라

Benjamin Britten, conductor / 벤저민 브리튼 지휘


CD13 Clifford Curzon / 클리포드 커즌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 24번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Istvan Kertesz, conductor / 이스트반 케르테스 지휘


CD14 Ivan Davis / 이반 데이비스

고트샬크 피아노 음악

[보너스]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Pascal Roge & Cristina Ortiz, pianos / 파스칼 로제와 크리스티나 오르티스, 피아노 듀오

Robin McGee, double bass / 로빈 맥기, 더블베이스

Antony Pay, clarinet / 안토니 페이, 클라리넷

Sebastian Bell, flute / 세바스티안 벨, 플루트

Christopher van Kampen, cello / 크리스토퍼 판 캄펜, 첼로

The London Sinfonietta / 런던 신포니에타

Charles Dutoit, conductor / 샤를 뒤투아 지휘


CD15 Bracha Eden & Alexander Tamir / 브라차 에덴과 알렉산더 타미르

2대의 피아노 앙코르


CD16 Alan Feinberg / 앨런 페인버그

아메리칸 비르투오소


CD17 Nelson Freire / 넬손 프레이레

브라질레이루 - 빌라로부스와 친구들


CD18 Benjamin Grosvenor / 벤저민 그로스베너


쇼팽, 리스트, 라벨


CD19 Friedrich Gulda / 프리드리히 굴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2번

Wiener Philharmoniker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Horst Stein, conductor / 호르스트 슈타인 지휘


CD20 Friedrich Gulda / 프리드리히 굴다


초기 녹음 - 바흐, 베토벤, 쇼팽, 프로코피에프, 드뷔시, 모차르트


CD21 Peter Jablonski / 피터 야블론스키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Philharmonia Orchestra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Peter Maag, conductor / 페터 마크 지휘

[보너스] 루토스와프스키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Vladimir Ashkenazy, conductor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지휘


CD22 Jean-Rodolphe Kars / 장-로돌프 카르스

드뷔시 전주곡


CD23 Julius Katchen & Jean-Pierre Marty

브람스 4개의 손을 위한 21개의 헝가리 무곡 - 줄리어스 카첸과 장-피에르 마르티

[보너스] 브람스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 줄리어스 카첸


CD24 Julius Katchen / 줄리어스 카첸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랩소디>, 도흐나니 <동요 주제에 의한 변주곡>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Adrian Boult, conductor / 아드리언 볼트 지휘

[보너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Sir Georg Solti, conductor / 게오르크 솔티 경 지휘


CD25 Peter Katin / 피터 카틴

멘델스존 피아노 협주곡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Anthony Collins, conductor / 앤서니 콜린스 지휘

[보너스] 멘델스존 <화려한 카프리치오> 및 <화려한 론도>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Jean Martinon, conductor / 장 마르티농 지휘


CD26 Wilhelm Kempff / 빌헬름 켐프

바흐 리사이틀


CD27 Wilhelm Kempff / 빌헬름 켐프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16번

[보너스]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21번


CD28 Alicia de Larrocha / 알리시아 데 라로차

알베니스 이베리아


CD29 Alicia de Larrocha / 알리시아 데 라로차

리스트 피아노 소나타, 슈만 환상곡, 파야 <스페인 정원의 밤>

L'Orchestre de la Suisse Romande /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Sergiu Comissiona, conductor / 세르지우 코미시오나 지휘


CD30 Alicia de Larrocha / 알리시아 데 라로차

라벨 피아노 협주곡, 왼손을 위한 협주곡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Lawrence Foster, conductor / 로렌스 포스터 지휘

포레 환상곡

[보너스]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Rafael Fruhbeck de Burgos, conductor / 라파엘 프뤼베크 데 부르고스 지휘


CD31 Robert Levin / 로버트 레빈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9번 <죄놈>, 12번, 11번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 고음악 아카데미

Christopher Hogwood, conductor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지휘


CD32 Dinu Lipatti & Eileen Joyce

슈만 피아노 협주곡 - 디누 리파티

L'Orchestre de la Suisse Romande /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Ernest Ansermet, conductor /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지휘

[보너스]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 에일린 조이스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Grzegorz Fitelberg, conductor / 그제고즈 피텔베르크 지휘


CD33 Valentina Lisitsa / 발렌티나 리시차

리스트 피아노 작품집


CD34 Kathleen Long & Clara Haskil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4번 - 캐슬린 롱

Concertgebouw Orchestra /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

Eduard van Beinum, conductor / 에두아르트 판 베이눔 지휘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 클라라 하스킬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Carlo Zecchi, conductor / 카를로 체키 지휘

[보너스] 슈만 <숲의 정경> - 클라라 하스킬


CD35 Radu Lupu / 라두 루푸

Israel Philharmonic Orchestra /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Zubin Mehta, conductor / 주빈 메타 지휘

[보너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Lawrence Foster, conductor / 로렌스 포스터 지휘


CD36 Radu Lupu / 라두 루푸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 8번 <비창>, 21번 <발트슈타인>

[보너스] 베토벤 <자작 주제에 의한 32개의 변주곡>


CD37 Radu Lupu / 라두 루푸

브람스 피아노 작품집


CD38 Moura Lympany / 모우라 림파니

하차투리안 피아노 협주곡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Anatole Fistoulari, conductor / 아나톨 피스툴라리 지휘

[보너스]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Jean Martinon, conductor / 장 마르티농 지휘


CD39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2번, 갈루피 소나타 5번, 스카를라티 소나타 발췌

[보너스]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5번

Wiener Philharmoniker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Leonard Bernstein, piano & conductor / 레너드 번스타인, 피아노 겸 지휘


CD40 Olli Mustonen / 올리 무스토넨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편곡

Deutsche Kammerphilharmonie / 도이치 캄머필하모니 브레멘

Jukka-Pekka Saraste, conductor / 유카-페카 사라스테 지휘

바흐 하프시코드 협주곡 3번

Deutsche Kammerphilharmonie / 도이치 캄머필하모니 브레멘

[보너스] 쇼스타코비치 24개의 전주곡


CD41-42 John Ogdon & Sviatoslav Richter

메시앙 <아기 예수를 바라보는 20개의 시선> - 존 오그던

[보너스] 브리튼 피아노 협주곡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English Chamber Orchestra / 잉글리시 챔버 오케스트라

Benjamin Britten, conductor / 벤저민 브리튼 지휘


CD43-44 Kun-Woo Paik / 백건우

쇼팽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전집

Warsaw Philharmonic Orchestra / 바르샤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Antoni Wit, conductor / 안토니 비트 지휘


CD45 Jorge Luis Prats / 호르세 루이스 프라츠

사라고사 리사이틀


CD46 Pascal Roge / 파스칼 로제

버르토크 피아노 협주곡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Walter Weller, conductor / 발터 벨러 지휘


CD47 Pascal Roge / 파스칼 로제

포레 피아노 작품집


CD48 Pascal Roge / 파스칼 로제

사티 피아노 작품집


CD49 Arthur Rubinstein & Pascal Roge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Israel Philharmonic Orchestra /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Zubin Mehta, conductor / 주빈 메타 지휘

[보너스] 버르토크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랩소디 - 파스칼 로제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Walter Weller, conductor / 발터 벨러 지휘


CD50 Andras Schiff / 안드라스 쉬프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CD51 Andras Schiff & George Malcolm / 안드라스 쉬프와 조지 맬컴

모차르트 4개의 손을 위한 피아노 음악


CD52 Andras Schiff / 안드라스 쉬프

스카를라티 키보드 소나타 발췌


CD53 Jean-Yves Thibaudet / 장-이브 티보데

쇼팽 피아노 작품집


CD54 Jean-Yves Thibaudet / 장-이브 티보데

빌 에반스와의 대화

[보너스] 마이클 니먼 - 피아노 OST 발췌


CD55 Jean-Yves Thibaudet / 장-이브 티보데

거슈윈을 추모하며

Baltimore Symphony Orchestra / 볼티모어 심포니 오케스트라

Marin Alsop, conductor / 마린 올솝 지휘


Jeno Jando & Ilona Prunyi - Schubert Piano Works for 4 Hands, Vol. 1

Jeno Jando & Zsuzsa Kollar - Schubert Piano Works for 4 Hands, Vol. 2

Jeno Jando & Zsuzsa Kollar - Schubert Piano Works for 4 Hands, Vol. 3

Rico Gulda & Christopher Hinterhuber - Schubert Piano Works for 4 Hands, Vol. 4

Allan Schiller & John Humphreys - Schubert Piano Works for 4 Hands, Vol. 5

John Humphreys & Robert Markham - Schubert Piano Works for 4 Hands, Vol. 6

예뇌 얀도, 일로나 프루니, 주자 콜라르, 리코 굴다, 크리스토퍼 힌터후버, 앨런 쉴러, 존 험프리스, 로버트 마컴 - 낙소스 슈베르트 4개의 손을 위한 작품집


Adam Kosmieja - Tribute to Gulda 2021

아담 코시미에야가 연주하는 프리드리히 굴다와 베토벤 - 굴다 헌정


Joanna Madroszkiewicz & Paul Gulda - Chopin Transcriptions for Violin & Piano 2005

요나나 마드로슈키에비치, 파울 굴다 - 쇼팽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집


Martin David Jones - Gulda Piano Works

마틴 데이비드 존스 - 굴다 피아노 작품집


Mischa Cheung & Yulia Miloslavskaya, Sergey Simakov & Giraud Ensemble Chamber Orchestra - Gulda, Prokofiev & Poulenc Works 2019


미샤 청과 율리아 밀로슬라프스카야 피아노 듀오, 지로 앙상블 챔버 오케스트라, 세르게이 시마코프 지휘 - 굴다 <나를 위한 협주곡>, 프로코피에프 교향곡 1번 <클래시컬>, 풀랑크 2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Sasha Grynyuk - Glenn Gould & Friedrich Gulda Piano Works 2012

사샤 그리니우크 - 글렌 굴드 및 프리드리히 굴다 피아노 작품집


버드랜드가 무슨 뜻인지 찾아보니 재즈 클럽의 이름이었다. 굴다의 첫째 아들 파울, 둘째 아들 리코 외에 굴다의 작품들이 수록된 다른 연주자들의 음반들도 넣었다. 게으르기도 하고 굴다의 음반들을 더 구해서 정리하다가 공유가 한참 늦어졌다.


1946년 공동 2위 Annie d'Arco (France) / 아니 다르코 (프랑스)

Annie d'Arco - Chabrier Piano Works 2015

아니 다르코 샤브리에 피아노 작품집 2CD


Annie d'Arco Plays Franck 2015

아니 다르코가 연주하는 프랑크


Annie d'Arco, Andre Navarra & Erika Kilcher - Chopin 14 Waltzes & Cello Sonata 2012

아니 다르코, 앙드레 나바라, 에리카 클리셰 - 쇼팽 14개 왈츠 및 첼로 소나타


Various - Women at the Piano

피아노 앞의 여인들 5CD


1집 Monique de la Bruchollerie / 모니크 드 라 브뤼숄르리

Guiomar Novaes / 기오마르 노바에스

Iris Loveridge / 아이리스 러브리지

Marie Novello / 마리 노벨로

Gaby Casadesus / 가비 카사드쉬

Sari Biro / 사리 비로

Myra Hess / 마이라 헤스

Jeanne Behrend / 잔느 베헨드

Reah Sadowsky / 레아 사도우스키

Ray Lev / 레이 레브

Maryla Jonas / 마릴라 요나스

Aline Isabelle van Barentzen / 알린 이사벨 판 바렌첸

Harriet Cohen / 해리어트 코헨

Eileen Joyce / 에일린 조이스

Marguerite Long / 마르그리트 롱

Ruth Slenczynska / 루스 슬렌친스카

Hilde Somer / 힐데 조머

Emma Boynet / 엠마 부아네

Jeanne-Marie Darré / 잔느-마리 다레

Lucette Descaves / 뤼세트 데스카브

Una Mabel Bourne / 우나 메이블 본

Moura Lympany / 모라 림파니


2집 Ania Dorfmann / 아니아 도르프만

Marie-Aimée Warrot (Varro) / 마리-애메 바로

Blanche Selva / 블랑슈 셀바

Ginette Doyen / 지네트 돠엥

Johanne Amalie Stockmarr / 요한네 아말리에 스톡마르

Olga Samaroff / 올가 사마로프

France Marguerite Ellegaard / 프랑스 마르그리트 엘레가드

Claudette Sorel / 클로데트 소렐

Madeleine de Valmalète / 마들렌 드 발말레테

Muriel Kerr / 뮤리엘 커

Yolanda Mérő / 욜란다 메뢰

Kathleen Long / 캐슬린 롱

Lubka Kolessa / 루브카 콜레사

Elsie Hall / 엘시 홀

Raie Da Costa / 라이에 다 코스타

Galina Werschenska / 갈리나 베르셴스카

Irene Scharrer / 아이린 샤러

Ellen Ballon / 엘렌 발론

Lili Kraus / 릴리 클라우스

Leah Effenbach / 레아 에펜바흐


3집 Annarosa Taddei / 안나로사 타데이

Annie d'Arco / 아니 다르코

Rosalyn Tureck / 로잘린 투렉

Ethel Leginska / 에델 레긴스카

Isabelle Yalkovsky (Byman) / 이사벨 얄코프스키 바이먼

Maro Ajemian / 마로 아예미안

Gisele Kuhn / 지젤 쿤

Ida Krehm / 아이다 크렘

Yvonne Loriod / 이본느 로리오

Phyllis Sellick / 필리스 셀릭

Elly Ney / 엘리 나이

Halina Czerny-Stefańska /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Clara Haskil / 클라라 하스킬

Felicja Blumental / 펠리차 블루멘탈

Frieda Valenzi / 프리다 발렌치

Amparo Iturbi / 암파로 이투르비

Helen Schnabel / 헬렌 슈타벨

Vera Franceschi / 베라 프란체스키

Nadia Reisenberg / 나디아 라이젠베르크

Livia Rev / 리비아 레프


4집 Constance Keene / 콘스탄스 킨

Reine Gianoli / 렌 지아놀리

Gina Bachauer / 지나 박하우어

Rosa Tamarkina / 로자 타마르키나

Liza Fuchsova / 리자 푸흐소바

Lilly Dymont / 릴리 디몬트

Marcelle Meyer / 마르셀 메이에

Magda Tagliaferro / 마그다 탈리아페로

Marie-Thérèse Fourneau / 마리-테레즈 푸르노

Lottie Morel / 로티 모렐

Yvonne Lefébure / 이본느 르페뷔르

Winifred Christie / 위니프레드 크리스티

Bärbel Andreae / 배르벨 안드레아에

Edith Farnadi / 에디트 파르나디


5집 Johana Harris / 조하나 해리스

Emma Contestabile / 엠마 콘테스타빌레

Denise Lassimonne / 데니즈 라시몬

Dorothea Winand-Mendelssohn / 도로테아 비난트-멘델스존

Tatyana Nikolayeva / 타티아나 니콜라예바

Etelka Freund / 에텔카 프로인트

Felicitas Karrer / 펠리치타스 카러

Eva Wollman / 에바 볼만

Lucien Petitjean / 루시엔 프티장

Denise Herbrecht / 데니제 헤르브레히트

Jean Melville / 장 멜빌

Carmen-Marie-Lucie Guilbert / 카르멘-마리-루시 길베르

Madeleine Grovlez / 마들렌 그로블레즈

Ida-Marie-Louise Périn / 이다-마리-루이즈 페랭

Cornelia Rider-Possart / 코르넬리아 라이더-포사르

Grete Scherzer / 그레테 쉐르처

Annette Haas-Hamburger / 아네트 하스-함부르거

Lenore Engdahl / 레노어 엥달


I will change files on 1-10 August 2024.

2024년 7월 19일 금요일

“They Shocked The World” - 1966 North Korea Football Team


https://www.youtube.com/watch?v=8n4lXNoIXQE

https://www.youtube.com/watch?v=ddGqILpCHkg


The story of one football team’s journey to the 1966 World Cup


1966 월드컵을 향한 어느 축구팀의 여정에 관한 이야기


And one of the biggest upsets in World Cup and sports history


월드컵과 스포츠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


Novice Productions Presents: A short film made by Tyler Maag 2010


노비스 프로덕션 제작, 타일러 마그 감독의 단편 영화


The Shocked the World


그들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Starring:

7 Pak Doo-Ik

11 Han Bong-Zin

8 Pak Seung-Zin

6 Im Song Hwi

5 Lim Jung Sun

15 Yang Song Guk

1 Ri Chan Myong


7번 박두익, 11번 한봉진, 8번 박승진, 6번 림승휘, 5번 림중선, 15번 양성국, 1번 리찬명 출연


July 12th, 1966


1966년 7월 12일 조별리그 1차전


USSR vs North Korea


소련 대 북한


Final Score: USSR 3 North Korea 0


소련 3 : 0 북한


The result came as no surprise to many, but with this match came a more confident North Korean team.


많은 사람에게 그리 놀라운 결과는 아니었지만, 이번 경기를 통해 북한 팀은 더욱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They were to face Chile only three days later where they had to at leat earn a draw.


그들은 불과 3일 후에 칠레와 맞붙게 되었는데, 최소한 무승부를 내야 했다.


July 15th, 1966


1966년 7월 15일 조별리그 2차전


With less than five minutes to play the North Koreans had to score to avoid elimination.


경기가 5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은 탈락을 피하려면 골을 넣어야만 했다.


Pak Seung-Zin had scored the tournament saving goal with no time to spare.


박승진은 절체절명의 시간대에 토너먼트의 불씨를 살리는 귀중한 동점골을 터트렸다.


Final Score: Chile 1 North Korea 1


칠레 1 : 1 북한


North Korea kept their hopes alive. Italy was their next and final opponent in the group stage. A draw wouldn’t be enough, they had to win.


북한은 희망을 잃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조별리그에서 그들의 다음이자 마지막 상대였다. 무승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그들은 반드시 이겨야 했다.


July 19, 1966


1966년 7월 19일 조별리그 3차전


Italy were forced to play with ten men due to an inury.


이탈리아는 (주장 자코모 불가렐리가 박승진에게 태클을 걸었다가 도리어) 부상으로 인해 (당시에는 선수 교체 규정이 없었으므로) 10명의 선수가 경기를 뛸 수밖에 없었다.


With halftime fastly approaching and still notted at zero, Pak Doo-Ik scored the biggest goal in North Korean football history at the forty first minute mark.


하프타임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으나 여전히 0점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박두익은 전반 41분에 북한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업적을 달성한 골을 터뜨렸다.


At the end of the first half North Korea led 1-0 to Italy


전반 종료, 북한은 이탈리아에 1-0으로 앞섰다.


Second half


후반


떠나갈 듯한 함성! 맙소사, 이겼습니다! 북한이 이탈리아를 꺾다니 이게 웬일입니까! 대단합니다! 북한이 8강에 올랐습니다! 관중들의 기립박수! 다들 기쁨의 눈물을 글썽입니다!


A true miracle unfortunetly often forgotten. The North Korean team had shocked the world.


불운하게도 종종 잊히는 진정한 기적. 북한팀은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Unfortunetly, on July 23rd, the date of the quarter finals, North Korea lost 5-3. After leading 3-0 early, Portugal made a stunning comeback from the single efforts of Eusebio, who scored four straight goals to make it 4-3 and a final goal was put in to make it 5-3.


안타깝게도 8강전이 열린 7월 23일, 북한은 5-3으로 패했다. 북한이 초반 3-0으로 앞선 후, 포르투갈은 에우제비우의 활약에 힘입어 놀라운 역전승을 거뒀는데, 4연속 골을 터뜨리며 4-3으로 역전했으며 쐐기골을 넣어 5-3이 됐다.


북한 팬이 엄청나게 늘었군요. 세상에! 골인! 경기 시작 1분 만에 첫 골! 박승진의 득점포! 아우구스토... 잘 막았습니다! 어려운 볼을 가볍게 막아냈군요. 그는 165cm밖에 안 돼요. 북한 팀은 작지만 날렵하고 점프력이 뛰어나죠. 골키퍼의 판단 미스. 다시 골인! 관중들이 환호를 보냅니다! ‘한 골 더!’를 외치는 관중들! 두익! 성국! 골인이냐, 골인이냐! 3대0! 망연자실해진 포르투갈 팀! 3대0! 이번 월드컵에서 가장 놀라운 기록입니다. 입장이 바뀌어 버렸군요. 북한 팀이 더 스타 같아요. 넷째 골을 원하는 관중!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에우제비우 돌파합니다. 에우제비우의 슛, 3대1! 북한이 국제 경험이 좀 더 많았더라면 리드를 뺏기지 않는 데 주력할 텐데요.


[경험 많은 팀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더 바짝 긴장하며 최대한 시간을 끌었을 텐데 북한은 점점 흐트러졌죠. 허둥대다 반칙을 범하고 페널티킥을 주며 에우제비우의 페이스에 말려들고 있었어요.]


에우제비우!


북한 3:2 포르투갈


북한이 수비만 강화하면 4강도 가능합니다. 에우제비우! 역시 포르투갈의 구세주 에우제비우입니다. 따라붙는 북한! 이 페널티킥이 성공하면 역전됩니다. 에우제비우 혼자 4점을 따냅니다! 골문을 잘 막아온 찬명! 토레스의 찬스! 골인. 최선을 다한 북한 팀에게 뜨거운 갈채가 쏟아집니다. 무척 실망한 모습입니다만 다들 기대 이상으로 정말 잘 싸웠습니다.


It wasn’t the storybook ending to the tournament for North Korea but they had reason to be proud. In their first World Cup they beat the odds.


북한을 위한 토너먼트로(북한의 승리로) 끝나는 동화책은 아니었지만, 그들은 자랑스러워할 이유가 있었다. 그들은 첫 월드컵에서 불리함을 극복했다.


England went on to win their first World Cup title, but we learned something that day, the day of July 19th, 1966. We learned that no matter how many people doubt you, look past you, or don’t give you a shot at glory, you can infact create history.


잉글랜드는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우리는 그날, 1966년 7월 19일에 뭔가를 배웠다. 우리는 아무리 많은 사람이 당신을 의심하거나 지나쳐버리거나 영광을 얻을 기회를 주지 않더라도, 당신은 실제로 역사를 만들 수 있다.


The End


1966년 북한의 월드컵 첫 참가에 대해서 이런저런 동영상들을 찾다가 하나 나와서 자막을 정리해봤다. 조별리그 1차전인 소련과의 경기에서 선수들이 입장하는 장면에서는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가 나와서 비장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관중석의 모습을 비출 때는 사람들의 환희가 느껴진다. 2002년 제작된 <천리마축구단>(The Game of Their Lives) 다큐멘터리를 몇 년 전에 보고 나서 다시 봤는데, 이탈리아전이 끝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조금 나왔다. 평균 신장 165cm의 짜리몽땅 북한 선수들이 키가 큰 이탈리아 선수들을 상대로, 그것도 월드컵 최초 2연패에 빛나는 유럽 최강을 꺾은 것이다. 해설위원의 언급은 천리마축구단(일생일대의 승부) 자막을 가져왔다. 영국 해설은 에우제비우를 유세비오라고 발음한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박문성 왈, 아시아에서 월드컵 8강의 역사는 코리아의 것이라고 했다. 아무리 아시안컵에서 한국을 제치고 우승한들,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은 월드컵 8강을 넘보지 못했다.

2024년 6월 12일 수요일

Google Drive / 2024. 06. Geneva Competition Winners 1


제네바 국제음악콩쿠르(Concours internationaux d'execution musicale de Genève)는 1939년 제네바 음악원의 원장이며 작곡가인 앙리 가뉴방에 의하여 발족한 대회로, 매년 8월 말부터 9월에 걸쳐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되며 지금까지 우수한 음악가를 많이 배출하고 있다. 대부분의 음악 콩쿠르가 2차 세계 대전 후에 생기거나 활발해졌는데, 제네바 콩쿠르 역시 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5년부터 본격적인 국제적인 활동을 해오고 있다. 매년 1회 개최되며 분야는 4종목 정도의 콩쿠르를 실시한다. 피아노 · 성악 · 현악 등을 주로 하나 일정하지 않고 연도에 따라 종목이 다르다. 이 콩쿠르는 피아노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클라리넷, 오보에 등 다양한 악기군과 더불어 성악과 지휘, 앙상블까지 폭넓은 분야에 걸쳐 열리고 있다.


[Alfred Cortot]

01 Alfred Cortot - Chopin 24 Preludes & Sonata No. 2 (The Munich Recitals 1955-1956)

알프레드 코르토가 연주하는 쇼팽 24개 전주곡 및 소나타 2번 - 뮌헨 리사이틀 1955~1956


02 Alfred Cortot - The Anniversary Edition (Box Set)

알프레드 코르토 전집 한정반 40CD

CD1 알베니스, 드뷔시, 쇼팽, 리스트, 생상스, 쇼팽/리스트, 베르디/리스트, 라벨, 포레, 스크리아빈, 멘델스존

CD2 알베니스, 쇼팽, 쇼팽/리스트, 리스트, 베르디/리스트, 라벨, 생상스, 드뷔시

CD3 슈만 피아노 협주곡, 사육제, 포레/코르토, 브람스/코르토, 슈베르트/코르토, 쇼팽, 리스트

... Albert Hall Orchestra / 앨버트 홀 오케스트라

... Landon Ronald, conductor / 랜던 로널드 지휘

CD4 쇼팽, 알베니스, 헨델, 리스트, 베르디/리스트

CD5 베버, 슈만 피아노 협주곡, 포레 교향적 변주곡, 드뷔시

... Albert Hall Orchestra / 앨버트 홀 오케스트라

... Landon Ronald, conductor / 랜던 로널드 지휘

CD6 쇼팽 및 프랑크

CD7 슈만 및 리스트

CD8 알베니스, 리스트, 쇼팽, 생상스

CD9 드뷔시, 라벨, 프랑크

CD10~13 쇼팽

... Philharmonia Orchestra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 John Barbiolli, conductor / 존 바리롤리 지휘 

CD14 슈만 피아노 협주곡 및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

... Albert Hall Orchestra / 앨버트 홀 오케스트라

... Landon Ronald, conductor / 랜던 로널드 지휘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4번

... L'Orchestre de la Societe des Concerts du Conservatoire de Paris /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

... Charles Munch, conductor / 샤를 뮌슈 지휘

CD15 슈만

CD16 슈만, 슈베르트, 슈베르트/코르토, 리스트, 바흐, 비발디/바흐/코르토, 퍼셀/아치볼드 마틴 헨더슨

CD17 멘델스존, 쇼팽/리스트, 베버, 라벨 왼손을 위한 협주곡

... L'Orchestre de la Societe des Concerts du Conservatoire de Paris /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

... Charles Munch, conductor / 샤를 뮌슈 지휘

CD18~19 쇼팽

CD20 슈만, 드뷔시, 프랑크, 쇼팽

CD21 쇼팽, 슈만, 브람스/코르토, 슈베르트/코르토, 바흐, 퍼셀/아치볼드 마틴 헨더슨/코르토

CD22 드뷔시 및 쇼팽

CD23 쇼팽, 멘델스존, 슈베르트

CD24 쇼팽

CD25 쇼팽, 드뷔시, 리스트, 멘델스존, 생상스, 슈베르트/코르토, 슈베르트, 바흐/코르토, 브람스/코르토

CD26 드뷔시 및 슈만

CD27 슈만, 쇼팽, 슈베르트

CD28 쇼팽

CD29 하이든 피아노 트리오 39번, 베토벤 피아노 트리오 7번 <대공>, 뮐러의 징슈필 <프라하의 자매들> 중 <나는 재단사 카카두> 주제에 의한 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10개의 변주곡 및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모차르트의 징슈필 <마술피리> 중 <사랑을 느끼는 남자들은> 주제에 의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7개의 변주곡

... Jacques Thibaud, violin / 자크 티보, 바이올린

... Pablo Casals, cello / 파블로 카잘스, 첼로

CD30 슈베르트 피아노 트리오 1번 및 멘델스존 피아노 트리오 1번

... Jacques Thibaud, violin / 자크 티보, 바이올린

... Pablo Casals, cello / 파블로 카잘스, 첼로

CD31 슈만 피아노 트리오 및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9번 <크로이처 소나타>

... Jacques Thibaud, violin / 자크 티보, 바이올린

... Pablo Casals, cello / 파블로 카잘스, 첼로

CD32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및 피아노 퀸텟

... Jacques Thibaud, violin / 자크 티보, 바이올린

... International String Quartet / 인터내셔널 스트링 콰르텟

CD33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포레 바이올린 소나타 1번, 뱃노래, 드뷔시 바이올린 소나타, 전주곡 1권 12번 <음유시인>

... Jacques Thibaud, violin / 자크 티보, 바이올린

CD34 브람스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주 협주곡

... Jacques Thibaud, violin / 자크 티보, 바이올린

... Pablo Casals, cello / 파블로 카잘스, 첼로

... Orquestra Pau Casals, Barcelona / 바르셀로나 파우 카잘스 오케스트라

... Alfred Cortot, conductor / 알프레드 코르토 지휘

쇼송 피아노, 바이올린, 스트링 콰르텟을 위한 콩세르

... Jacques Thibaud, violin / 자크 티보, 바이올린

... Louis Isnard, violin / 루이 이스나르, 바이올린

... Vladimir Voulfman, violin / 블라디미르 불프만, 바이올린

... Georges Blanpain, viola / 조르주 블랑팽, 비올라

... Maurice Eisenberg, cello / 모리스 아이젠베르크, 첼로

CD35 쿠프랭/코르토 <연극 스타일의 여덟 번째 연주회> 및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1~3번

... Orchestre de l'Ecole Normale de Musique de Paris / 파리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 오케스트라

... Alfred Cortot, conductor / 알프레드 코르토 지휘

CD36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6번

... Orchestre de l'Ecole Normale de Musique de Paris / 파리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 오케스트라

... Alfred Cortot, conductor / 알프레드 코르토 지휘

CD37 슈만 연가곡 <시인의 사랑>

... Charles Panzera, baritone / 샤를 판제라, 바리톤

드뷔시 모음곡 <화려한 잔치> 1~2집, 빌리티스의 3개의 노래, 연인의 산책, 서정 산문, 프랑수아 비용의 3개의 발라드

... Maggie Teyte, soprano / 매기 테이트, 소프라노

CD38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및 14번 <월광>

CD39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 및 27번

CD40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 및 26번 <고별>


03 Alfred Cortot in Japan 1952

알프레드 코르토가 연주하는 쇼팽, 슈베르트, 멘델스존, 브람스, 생상스, 드뷔시, 리스트 - 1952년 도쿄 녹음 2CD


Alfred Cortot - Masters of the Piano Roll, Vol. 7

알프레드 코르토 - 피아노 롤의 거장 7집 mp3


Alfred Cortot Plays Weber & Mendelssohn [1926-1937 Biddulph] (LP Rip)

알프레드 코르토가 연주하는 베버와 멘델스존 LP mp3


미켈란젤리가 19세의 나이로 제네바 콩쿠르에서 우승할 때 심사위원이었던 알프레드 코르토(1877~1962)는 ‘새로운 리스트의 탄생’이라며 격찬했다.


1939년 1위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Italy)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이탈리아)

01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Aura Music Collection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아우라 뮤직 컬렉션 8CD


CD1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5번 및 피아노 콰르텟 2번

Zurcher Kammerorchester / 취리히 실내악단

Edmond de Stoutz, conductor / 에드몽 드 스투츠 지휘

Jean-Pierre Wallez, violin / 장-피에르 왈레즈, 바이올린

Claude-Henry Joubert, viola / 클로드-앙리 주베르, 비올라

Franky Dariel, cello / 프랑키 다리엘, 첼로

CD2 쇼팽

CD3 슈만 사육제, 빈의 사육제

CD4 베토벤 소나타 11, 12, 32번

CD5 브람스 발라드 4곡,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CD6 드뷔시 어린이 세계, 영상 1, 2집, 전주곡 1집

CD7 바흐/부조니 샤콘느, 바흐 이탈리아 협주곡, 스카를라티 소나타들, 갈루피 소나타들

CD8 쇼팽


02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Beethoven & Haydn Piano Concertos 2001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및 하이든 피아노 협주곡 11번

Orchestra Sinfonica di Roma della RAI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베토벤 - Massimo Freccia, conductor / 마시모 프레치아 지휘

하이든 - Mario Rossi, conductor / 마리오 로시 지휘


03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Claves, 2008)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Orchestre National de l'ORTF /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Jean Martinon, conductor / 장 마르티농 지휘


04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Beethoven, Ravel & Schumann Piano Concerto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베토벤, 라벨, 슈만 피아노 협주곡들 2CD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슈만 피아노 협주곡 - Sveriges Radios Symfoniorkester / 스웨덴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라벨 피아노 협주곡 - London Symphony / 런던 심포니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 - Munchner Philharmoniker /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Sergiu Celibidache, conductor /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지휘


05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Chopin Recital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쇼팽 리사이틀


06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Collectors Edition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콜렉터스 에디션 8CD

CD1-2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3, 15, 20, 25번

NDR-Sinfonieorchester / 북독일 방송교향악단

Cord Garben, conductor / 코드 가벤 지휘

CD3-4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 3, 5번 및 소나타 4번

Wiener Symphoniker / 비엔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지휘

CD5 슈베르트, 쇼팽

CD6 슈만 사육제, 빈의 사육제, 브람스 발라드

CD7 드뷔시 전주곡 1권, 어린이 세계

CD8 드뷔시 전주곡 2권, 영상 1, 2집


07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Hommage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오마주 (다른 그 어느 레이블에서도 연주되지 않았던 미켈란젤리의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연주가 소개된 전집 음반) 15CD


CD01 Citta del Vaticano, Sala Nervi (April 29, 1977) / 1977년 4월 29일 바티칸 시 네르비 홀 - 드뷔시 전주곡 1집


CD02 Citta del Vaticano, Sala Nervi (June 13, 1987) / 1987년 6월 13일 바티칸 시 네르비 홀 - 베토벤 소나타 3번, 드뷔시 영상 1, 2집


CD03 Citta del Vaticano, Sala Nervi (June 13, 1987) & Torino (December 1962)

1987년 6월 13일 바티칸 시 네르비 홀 - 쇼팽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 라벨 밤의 가스파르

1962년 12월 토리노 – 쇼팽


CD04 Bregenz (January 15, 1988) / 1988년 1월 15일 브레겐츠 - 스카를라티 소나타들, 바흐/부조니 샤콘느, 브람스 파가니니 변주곡, 쇼팽


CD05 Bregenz (January 15, 1988), Brescia (June 23, 1967) & Tokyo (April 4, 1965)

1988년 1월 15일 브레겐츠 - 베토벤 소나타 32번

1967년 6월 23일 브레시아 - 쇼팽 마주르카들, 발라드 1번

1965년 4월 4일 도쿄 -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Yomiuri Symphony Orchestra / 요미우리 심포니 오케스트라

Jindrich Rohan, conductor / 진드리히 로한 지휘


CD06 New York (November 21, 1948), Los Angeles (January 16, 1949) & Milano (February 9, 1942)

1948년 11월 21일 뉴욕 - 슈만 피아노 협주곡

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Dimitri Mitropoulos, conductor /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지휘

1949년 1월 16일 로스앤젤레스 -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

Los Angeles Philharmonic Orchestra /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Alfred Wallenstein, conductor / 알프레드 왈렌스타인 지휘

1942년 2월 9일 밀라노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Orchestra del Teatro alla Scala di Milano / 밀라노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

Alceo Galliera, conductor /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CD07 Buenos Aires, Teatro Colon (July 21, 1949) / 1949년 7월 21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콜론 극장 - 베토벤 소나타 3번, 쇼팽, 그리그, 갈루피


CD08 Helsinky, Arts Center (May 22, 1969) / 1969년 5월 22일 헬싱키 예술센터 - 스카를라티 소나타들, 슈만 빈의 사육제, 드뷔시 영상 1, 2집


CD09 Lugano, Auditorium RSI (April 7, 1981) / 1981년 4월 7일 루가노 RSI 강당 - 슈베르트 소나타, 브람스 발라드


CD10 Lugano, Teatro Apollo (April 5, 1974) & Mediterranean Sea, Croisiere Paquet 'Renaissance' (September 19, 1972)

1974년 4월 5일 루가노 아폴로 극장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5번

Zurcher Kammerorchester / 취리히 실내악단

Edmond de Stoutz, conductor / 에드몽 드 스투츠 지휘

1972년 9월 19일 지중해 크루즈 패키지 ‘르네상스’ - 모차르트 피아노 콰르텟 2번

Jean-Pierre Wallez, violin / 장-피에르 왈레즈, 바이올린

Claude-Henry Joubert, viola / 클로드-앙리 주베르, 비올라

Franky Dariel, cello / 프랑키 다리엘, 첼로


CD11 Geneva (July 8, 1939), Milano 1939, Milano 1941, Geneva (June 7, 1941), Geneva (November 11, 1942)

1939년 7월 8일 제네바 -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939년 밀라노 - 그리그, 그라나도스

1941년 밀라노 - 갈루피, 쇼팽

1941년 6월 7일 제네바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1악장, 드뷔시, 마레스코티

1942년 11월 11일 제네바 - 비발디 협주곡 3악장,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1악장

Radio Suisse Romande Orchestra / 라디오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Ernest Ansermet, conductor /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지휘


CD12 Stuttgart (October 27, 1982) / 1982년 10월 27일 슈투트가르트 - 드뷔시 전주곡 2집, 리스트


CD13 Bregenz (March 3, 1985) / 1985년 3월 3일 브레겐츠 - 쇼팽


CD14 Citta del Vaticano, Sala Nervi (April 29, 1977) / 1977년 4월 29일 바티칸 시 네르비 홀 - 브람스 발라드, 쇼팽 소나타 2번


CD15 London, Barbican Centre (May 10, 1990) / 1990년 5월 10일 런던 바비칸 센터 - 베토벤 소나타 32번, 쇼팽


08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Il pianoforte di Chopin Teatro Metastasio Prato (28 June 1967)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1967년 6월 28일 메타스타시오 프라토 극장 쇼팽 리사이틀


09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Le Registrazioni in Vaticano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바티칸궁 라이브 레코딩 4CD

CD1 드뷔시 영상 1, 2집, 라벨 밤의 가스파르

CD2 쇼팽 화려한 대 폴로네즈, 드뷔시 전주곡 1집

CD3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소나타 3번

Orchestra Sinfonica di Roma della RAI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Massimo Freccia, conductor / 마시모 프레치아 지휘

CD4 슈만 피아노 협주곡, 리스트 <죽음의 무도>

Orchestra Sinfonica di Roma della Rai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Gianandrea Gavazzeni, conductor / 지아난드레아 가바체니 지휘


10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Liszt Piano Concerto No. 1, Totentanz & Grieg Piano Concerto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죽음의 무도,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Orchestra Sinfonica di Roma della RAI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리스트 - Rafael Kubelik, conductor / 라파엘 쿠벨리크 지휘

그리그 - Mario Rossi, conductor / 마리오 로시 지휘


11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Live Concert in Arezzo 1952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1952년 아레초 리사이틀 - 베토벤 소나타 3번, 쇼팽 소나타 2번, 브람스 파가니니 변주곡


12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Mozart Piano Concertos Nos. 13, 15, 20 & 23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3, 15, 20, 23번 2CD

Orchestra Sinfonica di Roma della RAI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13, 20, 23번 -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지휘

15번 - Mario Rossi, conductor / 마리오 로시 지휘


13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Piano Masterwork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피아노 명곡선 1920-1995 4CD

CD1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밀라노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서정 소곡집들

CD2 슈만 피아노 협주곡(밀라노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 안토니오 페드로티 지휘),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지휘)

CD3 스카를라티 소나타 발췌, 바흐 이탈리아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3번

CD4 바흐/부조니 샤콘느, 브람스 파가니니 변주곡, 쇼팽


14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RAI Original Recordings 1963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1963년 RAI 오리지널 레코딩

1963년 3월 21일 나폴리 RAI 강당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5번

Alessandro Scarlatti Orchestra, Naples / 나폴리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오케스트라

Franco Caracciolo, conductor / 프랑코 카라치올로 지휘

1963년 6월 27일 로마 포로 이탈리코 강당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Rai Rome Symphony Orchestra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Mario Rossi, conductor / 마리오 로시 지휘


15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Ravel, Schumann, Beethoven & Grieg Piano Concerto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라벨, 슈만, 베토벤,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들 2CD

CD1 라벨 피아노 협주곡, 슈만 피아노 협주곡

Munchner Philharmoniker /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CD2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서정 소곡집

베토벤 - Orchestre National de France /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그리그 - SWR-RSO Stuttgart / 슈투트가르트 남서독일 방송 교향악단

Sergiu Celibidache, conductor /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지휘


16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Schumann & Liszt Piano Concertos 2001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슈만 피아노 협주곡

Orchestra Sinfonica di Roma della Rai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Gianandrea Gavazzeni, conductor / 지아난드레아 가바체니 지휘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Orchestra Sinfonica di Torino della Rai / RAI 토리노 심포니 오케스트라

Rafael Kubelik, conductor / 라파엘 쿠벨리크 지휘


17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Schumann, Mozart & Liszt Piano Concerto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슈만 피아노 협주곡,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슈만 - 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모차르트, 리스트 - Orchestra del Maggio Musicale Fiorentino / 피렌체 5월 음악제 오케스트라

Dimitri Mitropoulos, conductor /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지휘


18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The Complete EMI Recording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EMI 전집 6CD


CD1 바흐/부조니 샤콘느, 스카를라티 소나타들, 갈루피 소나타, 베토벤 소나타 3번, 쇼팽


CD2 브람스 파가니니 변주곡, 그리그 서정 소곡집들, 알베니스, 드뷔시, 그라나도스, 몸푸, 마레스코티


CD3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3, 15, 23번

13, 23번 - Alessandro Scarlatti Orchestra, Naples / 나폴리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오케스트라

Franco Caracciolo, conductor / 프랑코 카라치올로 지휘

15번 - Orchestra Sinfonia da Camera dell'Ente / 엔테 카메라 신포니아 오케스트라

Ettore Gracis, conductor / 에토레 그라치스 지휘


CD4 라벨 피아노 협주곡,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4번

Philharmonia Orchestra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Ettore Gracis, conductor / 에토레 그라치스 지휘


CD5 하이든 피아노 협주곡 11, 4번

Zuricher Kammerorchester / 취리히 실내악단

Edmond de Stoutz, conductor / 에드몽 드 스투츠 지휘


CD6 슈만 사육제, 어린이 앨범


19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The Fabulous 1956 Concert in Lugano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1956 루가노 콘서트

Orchestra della Radiotelevisione della Svizzera Italiana / 스위스-이탈리아 라디오-텔레비전 오케스트라

Hermann Scherchen, conductor / 헤르만 쉐르헨 지휘


20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The Unpublished EMI Live Recording in London 1957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1957년 EMI 미공개 런던 실황 녹음 2CD

CD1 슈만 빈의 사육제, 사육제

CD2 드뷔시 영상 발췌, 쇼팽, 몸푸, 리허설과 사운드 체크


21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in Warsaw 1955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1955년 바르샤바 리사이틀 2CD

CD1 스카를라티 소나타들, 바흐/부조니 샤콘느, 베토벤 소나타 3번, 브람스 파가니니 변주곡

CD2 슈만 피아노 협주곡, 슈만 빈의 사육제, 쇼팽 왈츠 17번, 드뷔시 <라모를 예찬하며>

Warsaw Philharmonic Orchestra / 바르샤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Witold Rowicki, conductor / 비톨트 로비츠키 지휘


22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Beethoven, Debussy & Ravel (BBC Legend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베토벤 소나타 12번, 4번, 드뷔시 <라모를 예찬하며>, 라벨 <밤의 가스파르>


23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Beethoven, Schumann & Galuppi - Live in Tokyo (20 October 1973)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베토벤, 슈만, 갈루피 - 1973년 10월 20일 도쿄 라이브


24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Chopin, Liszt, Bach, Scarlatti & Albeniz 2010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쇼팽, 리스트, 바흐, 스카를라티, 알베니스


25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Debussy - The Last Recital in Hamburg (7 May 1993)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드뷔시 - 1993년 5월 7일 함부르크에서의 마지막 리사이틀 2CD


26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Grieg & Debussy (BBC Legend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드뷔시 전주곡 1집

New Philharmonia Orchestra / 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Rafael Fruhbeck de Burgos, conductor / 라파엘 프루베크 데 부르고스 지휘


27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Grieg, Bach, Tomeoni, Scarlatti & Chopin 1942-1943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그리그, 바흐, 토메오니, 스카를라티, 쇼팽


28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Mozart & Beethoven Piano Concertos - Live in Tokyo (13 March 1965)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 1965년 3월 13일 도쿄 라이브

Yomiuri Nippon Symphony Orchestra / 요미우리 닛폰 심포니 오케스트라

Jindrich Rohan, conductor / 인드르지흐 로한 지휘


29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Ravel & Debussy 2012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라벨과 드뷔시

Philharmonia Orchestra, London / 런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Etorre Gracis, conductor / 에토레 그라치스 지휘


30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Scarlatti, Beethoven, Clementi & Chopin (BBC Legends)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스카를라티 소나타들, 베토벤 소나타 32번, 클레멘티 소나타, 쇼팽 소나타 2번)


31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Scarlatti, Mozart & Ravel 1952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스카를라티 소나타 발췌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13번

Orchestra della RAI di Torino / 토리노 RAI 오케스트라

Mario Rossi, conductor / 마리오 로시 지휘

라벨 피아노 협주곡

Orchestra Stabile dell'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 오케스트라

Igor Markevitch, conductor / 이고르 마르케비치 지휘


32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Schumann, Chopin & Ravel - Live in Tokyo (29 October 1973)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슈만, 쇼팽, 라벨 - 1973년 10월 29일 도쿄 라이브 2CD


33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Sergiu Celibidache & ORTF Orchestra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LP Rip)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프랑스 국립 관현악단,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LP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Hall of Fame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명예의 전당 5CD mp3

CD1 스카를라티 소나타들, 비발디 협주곡 3악장(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지휘), 바흐 이탈리아 협주곡, 바흐/부조니 샤콘느, 갈루피 프레스토

CD2 토메오니 알레그로, 베토벤 소나타 3번,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에르네스트 앙세르메 지휘)

CD3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밀라노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 알체오 갈리에라 지휘), 서정 소곡집들

CD4 슈만 피아노 협주곡(밀라노 스칼라 극장 오케스트라, 안토니오 페드로티 지휘), 브람스 파가니니 변주곡

CD5 쇼팽, 드뷔시, 알베니스, 그라나도스, 몸푸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Evgueni Mravinski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 Symphony No. 4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에프게니 므라빈스키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교향곡 4번

협주곡 - Orchestre Symphonique de Prague / 프라하 심포니 오케스트라

Vaclav Smetacek, conductor / 바츨라프 스메타체크 지휘

교향곡 - Orchestre Philharmonique de Leningrad /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Mario Rossi -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 Respighi Fontane di Roma 1960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마리오 로시 지휘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레스피기 <로마의 분수>

Orchestra Sinfonica della RAI di Roma / RAI 로마 심포니 오케스트라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Maurizio Pollini - Beethoven Piano Concertos (Live)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2CD


CD1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소나타 11번

Orchestre National de France /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Sergiu Celibidache, conductor /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지휘


CD2 마우리치오 폴리니 - 피아노 협주곡 3~4번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Claudio Abbado, conductor / 클라우디오 아바도 지휘


일본의 해적판 음반 Live Classic Best 100에 수록된 것 중 하나이다.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Maurizio Pollini, Rudolf Serkin, Wilhelm Backhaus & Alfred Brendel - Beethoven Piano Sonatas (Live)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마우리치오 폴리니, 루돌프 제르킨, 빌헬름 박하우스, 알프레드 브렌델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CD


역시 일본의 해적판 음반 Live Classic Best 100에 수록된 것 중 하나이다.


Maurizio Pollini &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Schumann & Beethoven Piano Concertos 1974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슈만 피아노 협주곡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Herbert von Karajan, conductor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지휘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Belgrade Philharmonic Orchestra / 베오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Zivojin Zdravkovic, conductor / 지보인 즈드라브코비치 지휘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Beethoven, Galuppi & Scarlatti Sonatas DVD 2006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베토벤, 갈루피 스카를라티 소나타 DVD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Beethoven, Schubert & Brahms - Live in Lugano DVD 1981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베토벤, 슈베르트, 브람스 - 1981 루가노 라이브 DVD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Chopin DVD 2006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쇼팽 DVD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Debussy DVD 2006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드뷔시 DVD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lays Debussy, Chopin & Scarlatti DVD 2007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드뷔시, 쇼팽, 스카를라티 DVD


Sviatoslav Richter &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Two Titans of the Keyboard DVD 2002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건반 위의 두 거인 DVD


The Golden Age of the Piano

피아노의 황금시대 DVD


The Golden Age of the Piano 1993 DVD

피아노의 황금시대 DVD (한글 자막)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Chopin Recital, Torino 1962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Debussy - 2 Preludi, Children's Corner, Images I e II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Debussy Preludes, Book 1 (Studio Hamburg 1978)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 Ravel Concerto with Sergiu Celibidache

Michelangeli - Beethoven, Schubert & Brahms (Lugano, 1981)

Scarlatti - Sonata in si minore K. 449 (Michelangeli)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동영상 모음


1940년 대회에 대한 정보는 나한테 없다.


I will change files on 1-10 July 2024.

2024년 5월 16일 목요일

DVD / Claudio Arrau & Brahms - The Two Romantics 2011



https://www.youtube.com/watch?v=6qMtdlFnVno

https://www.bilibili.com/video/BV1yA411i7vb/


클라우디오 아라우 에디션 2

These memorable performances of two monumental Romantic works by the young Johannes Brahms were given by the elderly – but young at heart – pianist Claudio Arrau in a concert in Santiago. This event, which marked his triumphant and emotional return to his native Chile in 1984 after an absence of seventeen years, was hailed as ‘miraculous’. The recording of this supercharged occasion is supplemented here with fascinating material that explores the background to Brahms’s remarkable Piano Sonata No. 3 and Piano Concerto No. 1. It is a unique testament to Arrau’s romantically intimate association with these two most enigmatically personal statements of Brahms.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거장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젊은 요하네스 브람스의 낭만적인 두 곡을 연주한 인상 깊은 공연이다. 17년간의 공백을 깨고 조국 칠레로의 성공적인 귀환을 알리는 감동적인 연주를 선보인 거장에게, 사람들은 “기적적이다”라는 표현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날 공연에서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브람스의 피아노 소나타 3번과 피아노 콘체르토 1번을 연주했다. 이 실황 공연은 브람스의 지극히 개인적인 표현이 녹아있는 작품을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낭만적으로 해석한 명연이라 할 수 있다. 이 공연은 1984년 5월, 산티아고의 시립 극장에서 실황 녹화되었다.


■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Signature Performance Series, Vol. 2

- 1984년 조국 칠레로 금의환향한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환영 콘서트!


Claudio Arrau: Brahms Piano Sonata No. 3; Piano Concerto No. 1

‘All Brahms and water, m’boy! was how Charles Villiers Stanford famously described the youthful efforts of his composition student, John Ireland, at the Royal Collage of Music in the 1890s. Some thirty years later at Harvard, the young Elliott Carter ‘had to write choral pieces in the style of Brahms or Mendelssohn, which was distressing because in the end you realised how good Brahms is, and how bad you are.’


‘모든 브람스와 물, 소년!’은 찰스 빌리어스 스탠퍼드가 1890년대 왕립음악대학교 작곡과 학생 존 아일랜드의 젊은 시절의 노력에 대한 유명한 묘사이다. 약 30년 후 하버드에서 젊은 엘리엇 카터는 ‘브람스나 멘델스존 스타일로 합창곡을 써야 했는데, 결국 브람스가 얼마나 좋은지, 얼마나 나쁜지 깨달았기 때문에 괴로웠다.’


Both these recollections illustrate just how beholden the English-speaking academic institutions of the time were to the music of Brahms. Ireland and Carter soon threw off their Brahmsian shackles, but many lesser figures continued to wear their Brahmsian heart on their musical sleeve. Such an unashamedly musically divided by the so-called ‘War of the Romantics’. This aesthetic achism dated back to the late 1850s, when loyal supporters of Liszt and Brahms sought to drive artistic wedges between the two composers.


이 두 가지 기억은 당시 영어권 학술 기관이 브람스의 음악을 얼마나 신봉했는지를 보여준다. 아일랜드와 카터는 곧 브람스적인 족쇄를 벗어버렸지만, 많은 하급 인물들은 계속해서 브람스적인 마음을 음악의 소매에 걸고 있었다. 소위 ‘낭만주의 전쟁’으로 부끄럽지 않게 음악적으로 나눠진 것이다. 이러한 미학적 차이는 리스트와 브람스의 충성스러운 지지자들이 두 작곡가 사이에 예술적 쐐기를 박으려고 했던 185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These skirmishes were still raging in central Europe when the future pianist Claudio Arrau was born in 1903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in Chile. At the age of nine he blithely entered the fray by going to Germany to study with Martin Krause, a pupil of Liszt. In Berlin, he also fell under the spell of the conductor Whilhelm Furtwängler, who was very much on the Brahms wing of this musical divide. The broadest and most simplistic interpretation of this ‘war’ is that the followers of Liszt were musical modernists, while the followers of Brahms were musical conservatives, a view that was later tested to its limits when Schoenberg attempted to prove, a little disingenuously perhaps, that ‘Brahms, the classicist, the academician, was a great innovator in the realm of musical language, that, in fact, he was a great progressive.’


미래의 피아니스트인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1903년 지구 반대편 칠레에서 태어났을 때 이러한 충돌은 중부 유럽에서 여전히 격렬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9세 때 그는 리스트의 제자인 마르틴 크라우제와 함께 공부하기 위해 독일로 가서 유쾌하게 싸움에 뛰어들었다. 베를린에서 그는 또한 이 음악적 분열의 브람스 편에 있는 지휘자 빌헬름 푸르트뱅글러의 매력에 빠졌다. 이 ‘전쟁’에 대한 가장 광범위하면서도 가장 단순한 해석은 리스트의 추종자들은 음악적 모더니스트인 반면 브람스의 추종자들은 음악적 보수주의자였다는 것으로, 이 견해는 나중에 쇤베르크가 약간 부정직하게 증명하려고 시도했을 때 한계에 부딪혔는데, ‘고전주의자이자 학자인 브람스는 음악 언어의 영역에서 위대한 혁신가였으며, 사실 그는 위대한 진보주의자였다.’


Furtwängler took a rather different line, remarking that there is littl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Brahms’s harmony in the 1890s and Schubert’s in the 1820s. He elaborated this observation by stating that Brahms was one of the first composers to perceive the functional continuity of music over the centuries. In his view Brahms was ‘the first great musician for whom historical meaning and meaning as an artistic personality no longer coincide: that this was so, was not his fault, but rather that of his epoch.’


푸르트뱅글러는 다소 다른 노선을 취하여 1890년대 브람스의 화성과 1820년대 슈베르트의 화성 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브람스가 수 세기에 걸쳐 음악의 기능적 연속성을 인식한 최초의 작곡가 중 한 명이라고 말함으로써 이러한 관찰을 정교하게 설명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브람스는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인격으로서의 의미가 더 이상 일치하지 않는 최초의 위대한 음악가였는데, 이것이 사실이었다는 것은 그의 잘못이 아니라 오히려 그의 시대의 잘못이었다.’


So, from very early on, the Young Arrau was influenced both by the modernists (in the shape of Krause) and the conservatives (in the shape of Furtwängler). He idolised Krause, who had taken him under his wing, yet there is no record of their ever working together on a single piece of Brahms. This did not, however, prevent Arrau from ultimately acquiring a special reputation for his Brahms interpretations, which were praised as warmly as his Liszt performances.


따라서 아주 초기부터 어린 아라우는 (크라우제의 형태에서) 모더니스트와 (푸르트뱅글러의 형태에서) 보수주의자 모두의 영향을 받았다. 아라우는 그를 자신의 편으로 받아들였던 크라우제를 우상으로 삼았지만, 브람스의 독주곡을 함께 작업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이것이 아라우가 궁극적으로 리스트 연주만큼 뜨거운 찬사를 받았던 브람스 해석으로 특별한 명성을 얻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Arrau always used to say that the meaning of music can only be divined, because notes and chords cannot deal with colour and expression in the same way as words and paint can. He developed this idea further, impressing on his students that ‘an interpreter must give his blood to the work he is interpreting.’ Neville Cardus, fabled musical sage of the “Manchester Guardian”, regarded Arrau as the complete pianist, who through his art led us ‘to the secret chambers of the creative imagination.’


아라우는 항상 음악의 의미는 오직 신성할 수 있을 뿐이라고 말하곤 했는데, 왜냐하면 음과 화음은 단어나 그림과 같은 방식으로 색채와 표현을 다룰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이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켜 ‘해석자는 자신이 해석하는 작품에 피를 흘려야 한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강조했다. <맨체스터 가디언>의 전설적인 음악 평론가인 네빌 카더스는 아라우를 자신의 예술을 통해 우리를 ‘창조적 상상력의 비밀스러운 방들로’ 인도한 완전한 피아니스트로 여겼다.


Cardus shared Arrau’s admiration for Furtwängler, and his retrospective observations on the conductor’s apparoach to preparing a performance could equally well apply to Arrau’s: ‘The score... was the ground plan, the blueprint, from which imagination, guided by great knowledge, got to work.’


카더스는 푸르트뱅글러에 대한 아라우의 존경심을 공유했으며, 공연 준비를 하는 지휘자의 접근 방식에 대한 그의 회고적 관찰은 아라우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었다. ‘악보는... 훌륭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상상력이 발휘되는 기본 계획이자 청사진이었다.’


Because of Krause’s antipathy towards Brahms, this composer did not play a major role during Arrau’s formative years. One of the first Brahms works that did eventually feature in the young pianist’s concerts after his teacher’s death was the Paganini Variations, which Liszt had laconically declared to be ‘better than mine, but I wrote mine first.’


브람스에 대한 크라우제의 반감으로 인해 이 작곡가는 아라우의 형성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선생님이 돌아가신 후 결국 젊은 피아니스트의 콘서트에 등장하게 된 최초의 브람스 작품 중 하나는 <파가니니 변주곡>이었다. 리스트는 간결하게 ‘내 것보다 낫지만 내 것을 먼저 썼다’고 단언했다.


Brahms’s piano sonatas are a musical distillation of the yearning of tortured youth. In later life Arrau acknowledged this view when he avowed that the slow movement of the Sonata No. 3 ‘is the most beautiful love music after Tristan. And the most erotic – if you really let go, without any embrrassment. And if you play it slowly enough.’


브람스의 피아노 소나타는 고통받는 젊은이들의 갈망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나중에 아라우는 소나타 3번의 느린 악장이 ‘트리스탄 다음으로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음악이다. 그리고 가장 에로틱한 것은, 어떤 당황함도 없이 정말로 놓아버린다면 말이지. 그리고 충분히 천천히 연주한다면.’이라고 단언하면서 이러한 견해를 인정했다.


Brahms was still only twenty when he completed his Piano Sonata No. 3 in 1853. With its first-movement allusions to Beethoven’s Fifth Symphony, this was the last work that Brahms presented to Schumann for his critical comments. It is dedicated to Countess Ida von Hohenthal, in whose Leipzig household Brahms’s brother Fritz briefly worked as a music teacher. The second movement is prefaced with a verse by Otto Inkermann under the pseudonym of C.O. Sternau:


브람스가 1853년 피아노 소나타 3번을 완성했을 때 그의 나이는 겨우 20세였다. 베토벤 교향곡 5번에 대한 1악장 암시가 포함된 이 곡은 브람스가 슈만에게 비평을 위해 제시한 마지막 작품이었다. 이 작품은 브람스의 남동생 프리츠가 잠시 음악 교사로 일했던 라이프치히 가문의 이다 폰 호헨탈 백작 부인에게 헌정되었다. 2악장은 C.O. 슈테르나우라는 가명으로 오토 잉케르만이 쓴 시로 시작된다.


Through evening’s shade, the pale moon gleams

while, rapt in love’s ecstatic dreams,

two hearts are fondly beating.


황혼이 깃들고 달그림자 빛난다.

거기에 두 사람의 마음 사랑으로 맺어져

서로 다정하게 다가와서 포옹한다.


After a scherzo and trio that pay homage to Mendelssohn, and an intermezzo entitled ‘Rückblick’ (‘Remembrance’), the sonata ends with a rondo that quotes the motto F-A-E (‘Frei aber einsam’ or Free but lonely’) of Brahms’s friend Joseph Joachim.


멘델스존에게 경의를 표하는 3악장 스케르초와 트리오, ‘회상’이라는 제목의 4악장 간주 이후 소나타는 브람스의 친구 요제프 요아힘의 F-A-E(자유로우나 고독한)라는 모토를 인용하는 5악장 론도로 끝난다.


The Piano Concerto No. 1, composed over a number of years, was critically savaged as ‘unorthodox, banal and horrid’ after its first performance in 1859. Brahms had originally intended the material to form the basis of a symphony, but he recast it as a concerto because he felt he had yet to master the handling of orchestral colour required for a symphony.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the concerto’s dramatic opening movement is a musical reflection on Schumann’s attempted suicide in 1854 or a more prosaic act of musical homage to such monumental D minor works as the Ninth Symphony and Piano Concerto No. 20 by Brahms’s revered predecessors Beethoven and Mozart respectively. One noteworthy aspect of the orchestration is Brahms’s prominent writing for the horn, which was to remain one of his favourite instruments.


수년에 걸쳐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1번은 1859년 초연 이후 ‘비정통적이고 진부하며 끔찍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브람스는 원래 이 곡을 교향곡의 기초로 삼으려고 했으나 아직 교향곡에 필요한 관현악의 색채를 다루는 데 능숙하지 않다고 느꼈기 때문에 협주곡으로 다시 제작했다. 협주곡의 극적인 오프닝 악장이 1854년 슈만의 자살 시도에 대한 음악적 반성인지, 아니면 브람스의 존경받는 전임자 베토벤의 9번 교향곡과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0번 같은 기념비적인 D단조 작품에 대한 음악적 경의를 표하는 좀 더 평범한 행위인지는 알 수 없다. 오케스트레이션에서 주목할만한 측면 중 하나는 브람스가 가장 좋아하는 악기 중 하나로 남아 있는 호른에 대한 자신의 탁월한 작곡이다.


In performing both these massive Romantic works, Claudio Arrau rises to the occasion and presents their thrilling technical difficulties to maximum effect, while imbuing them with his own characteristic pathos and insight.


이 두 가지 거대한 낭만주의 작품을 연주하면서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그 상황에 부응하여 그 스릴 넘치는 기술적 어려움을 최대 효과로 제시하는 동시에 그 자신만의 특유의 파토스(연민을 자아내는 힘)와 통찰력을 불어넣었다.


Anthony Short / 앤서니 쇼트 글


1. ‘This is the interior’ - Opening credit


Wir befinden uns im berühmten Teatro Minicipal in Santiago de Chile. Man kann die elektrisierte Spannung im Saal fast mit Händen greifen. Claudio Arrau, der berühmteste Musiker Chiles, ist nach 17 Jahren im Ausland in seine Heimat zurückgekehrt. Ich bin Martin Bookspan und begrüße Sie zu diesem feierlichen Anlass. Ganz Chile heißt Claudio Arrau einträchtig wllkommen, da er 1984 heimgekehrt ist. Arrau wurde 1903 in der chilenischen Stadt Chillán geboren. In seinen Konzerten während dieser Reise hat Maestro Arrau Werke gespielt, die in seiner langen, brillanten Karriere von besonderer Bedeutung waren: Werke von Beethoven, Chopin, Liszt, Schubert, Debussy und Brahms. In diesem Konzert spielt Claudio Arrau zwei der monumentalsten Werke von Johannes Brahms: die Sonate Nr. 3 in f-Moll und das Klavierkonzert Nr. 1 in d-Moll. Juan Pablo Izquierdo dirigiert das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Nous voici à l’intérieur du célèbre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u Chili. L’électricité dans l’air est presque palpable tant le public est excité. Claudio Arrau, le plus distingué de tous les musiciens chiliens, est de retour dans sa patrie après une absence de 17 ans. Je suis Martin Bookspan. Je vous invite à partager le retour extraordinaire de l’enfant du pays : tout le Chili s’est uni pour accueillir Claudio Arrau lors de son retour chez lui en 1984. Arrau est né à Chillán, au Chili, en 1903. Lors des concerts donnés pendant son séjour, maestro Arrau a joué des œuvres ayant occupé une place centrale dans sa longue et brillante carrière : des œuvres de Beethoven, Chopin, Liszt, Schubert, Debussy et Brahms. Nous l’entendons ici jouer deux des plus monumentales uvres de Johannes Brahms : la Sonate n° 3 en fa mineur, et le Concerto pour piano n° 1 en ré mineur avec l’Orchestre philharmonique de Santiago dirigé par Juan Pablo Izquierdo.


Este es el interior del famoso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e Chile. Resulta casi posible tocar la emoción eléctrica en este auditorio. Claudio Arrau, el más distinguido ciudadano musical de Chile, ha regresado a su país después de una ausencia de 17 años. Martin Bookspan les da la bienvenida a este regreso extraordinario del nativo que ha visto cómo todo Chile se unía para saludar a Claudio Arrau en su regreso a casa en 1984. Arrau nació en Chillán, Chile, en 1903. En sus conciertos durante este viaje, el maestro Arrau ha tocado música que ha ocupado un lugar esencial en su dilatada y brillante carrera: música de Beethoven, Chopin, Liszt, Schubert, Debussy y Brahms. En este programa, Claudio Arrau tocará dos de las obras más monumentales de todo el catálogo de Johannes Brahms: la Sonata núm. 3 en Fa menor y el Concierto para piano núm. 1 en Re menor con la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dirigida por Juan Pablo Izquierdo.


우리는 칠레 산티아고의 유명한 시립 극장에 있습니다. 홀의 짜릿한 긴장감을 거의 느낄 수 있는데요. 칠레의 가장 유명한 음악가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17년간의 해외 생활을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저는 마틴 북스팬입니다. 이 엄숙한 행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984년 귀국한 클라우디오 아라우를 칠레 전체가 따뜻하게 환영합니다. 아라우는 1903년 칠레의 치얀에서 태어났습니다. 이번 여행 중 콘서트에서 마에스트로 아라우는 그의 길고 화려한 경력에서 특히 중요한 베토벤, 쇼팽, 리스트, 슈베르트, 드뷔시, 브람스의 작품들을 연주했습니다. 이번 콘서트에서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요하네스 브람스의 가장 기념비적인 작품 두 곡, 피아노 소나타 3번과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합니다.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가 산티아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


2. ‘Maestro Arrau once confessed to me’


Maestro Claudio Arrau hat mir einmal gestanden, müsse er sich selbst mit einem einzigen Wort beschreiben, wäre es das Wort »romantisch«. Vielleicht erklärt das, warum er sich den Werken von Brahms so besonders verbunden fühlt. Denn abgesehen von ihren romantischen Qualitäten offenbaren uns Brahms’ Werke auch das Gefühlsleben ihres Schöpfers. Wir erfahren wielleicht nie, wie innig Brahms’ Beziehung zu Clara Schumann war, doch alles deutet darauf hin, dass sie romantisch verbunden waren. In welche emotionalen Konflikte muss dies Brahms gestürzt haben! Clara war schließlich die Frau seines Freundes und Vorbilds, der Komponisten Robert Schumann. Über Brahms’ Klaviersonate in f-Moll schrieb Claudio Arrau: »Je besser man dieses großartige Werk kennt, desto erstaunlicher wirkt es. Estaunlich vor allem aufgrund seiner Originalität und aufgrund seiner kreativen Wucht, Leidenschaft und Lebendigkeit. Und umso erstaunlicher, wenn man bedenkt, dass Brahms es komponierte, als er kaum 20 Jahre alt war.« Hier haben wir eine weitere Parallele zu Claudio Arraus Leben: Als er 20 Jahre alt war, hatte er bereits unzählige Zuhörer in fast allen musikalischen Hauptstädten Europas begeistert, nachdem die chilenische Regierung den Siebenjährigen zum Studium nach Berlin geschickt hatte. Weiterhin sagt Claudio Arrau über Brahms’ Klaviersonate Nr. 3, sie sei wahrhaft symphonisch in Form und Gestalt. Die Form sei so ungewöhnlich und ohne eine Spur von Künstlichkeit und die Perspektive so neu, dass sie sich damit deutlich von Brahms’ anderen Werken abhebe. Spekulationen zufolge soll Brahms diese Sonate unter Robert Schumanns wachsamen Augen vollendet haben. Als der junge Brahms sie Schumann vorspielte, rief jener Clara herbei, sie solle schnell kommen, um etwas Niedagewesenes zu hören. Dieses Werk, so Claudio Arrau, ist herausragend in Geist und Form. Vom rhapsodischen ersten Satz, dem Allegro maestoso, über das erhabene langsame Andante espressivo mit seinem Motto, das auf einem Gedicht von Sternau basiert – »Der Abend dämmert, das Mondlicht scheint« –, über den dritten Satz, das Scherzo, das in ein verklärtes Intermezzo übergeht, bis hin zum Finale, einem echten fünften Satz, offenbart Brahms in diesem Werk rückhaltlos die Abgründe seines Herzens. Ein früher Brahms-Biograph schreibt, das Intermezzo beruhe auf einem zweiten Gedicht von Sternau, in dem der Geliebte tränenreich und voller Trauer auf die zauberhafte Zeit zurückblickt, als er seine Geliebte die ganze Nacht inmitten von Frühlingsrosen inden Armen hielt. Höchstwahrscheinlich war Brahms von diesen Gefühlen sehr ergriffen, da er so viel für Clara Schumann empfand. Und darum, so meint Maestro Arrau, ist diese Sonate ebenso ein Denkmal für Leben und Liebe wie für die Kunst. Nun fällt erwartungsvolle Stille über das Publikum hier im Teatro Municipal in Santiago de Chile. Alles wartet darauf, dass Maestro Claudio Arrau die Bühne betritt, nun da er 1984 zum ersten Mal seit 17 Jahren wieder in Chile ist. Und hier ist er, Claudio Arrau! Als erstes der beiden monumentalen Werke von Brahms, die auf dem Programm stehen, spielt Claudio Arrau die Sonate Nr. 3 in f-Moll, op. 5.


Maestro Claudio Arrau m’a un jour avoué que s’il devait se décrire en un mot, ce mot serait « romantique ». Sans doute cela explique-t-il l’affinité qui le lie à la musique de Brahms. Car, outre ses qualités romantiques intrinsèques, la musique de Brahms offre un reflet de la vie affective du créateur. Nous ne connaîtrons jamais l’intensité de sa relation avec Clara Schumann, mais tout semble suggérer qu’il était profondément épris. Quelles émotions conflictuelles cela dut lui inspirer ! Après tout, Clara était la femme de son ami et défenseur, le compositeur Robert Schumann. À propos de la Sonate pour piano en fa mineur de Brahms, Claudio Arrau a écrit : « Plus on connaît cette magnifique sonate, plus elle semble stupéfiante. Stupéfiante, avant tout, par son originalité, plus par sa force créatrice, sa passion et sa vie organique. Et plus stupéfiante encore quand on songe que Brahms avait à peine 20 ans quand il l’a écrite. » Ce qui suggère une autre analogie avec la vie de Claudio Arrau : à 20 ans, il avait déjà conquis le public de la plupart des capitales musicales européennes, après avoir été envoyé par le gouvernement chilien, à l’âge de 7 ans, poursuivre ses études à Berlin. Continuant sa description de la troisième sonate pour piano de Brahms, Claudio Arrau souligne son envergure et sa conception vraiment symphoniques. De fait, la forme est si inhabituelle, si dépourvue d’académisme, et d’une vision globale si nouvelle que cette œuvre occupe une place à part dans le corpus brahmsien. On a dit parfois que Brahms avait achevé cette sonate sous les yeux vigilants de Robert Schumann. Quand le jeune Brahms la joua devant Schumann, celui-ci cria à Clara de venir vite entendre « une musique comme tu n’en as encore jamais entendu ». Pour Claudio Arrau, elle est gigantesque par sa conception et son contenu. Que sa soit dans le premier mouvement rhapsodique, Allegro maestoso, le sublime mouvement lent Andante espressivo dont l’épigraphe est tirée d’un poème de Sternau : « Le soir tombe, le clair de lune brille », le troisième mouvement Scherzo menant à l’Intermezzo transfiguré, ou le Finale, qui constitue en fait le cinquième mouvement, c’est une œuvre où Brahms révèle sans réserve les profondeurs de son cœur. Un des premiers biographes de Brahms dit que l’Intermezzo repose sur un second poème de Sternau, où un amant, en larmes sur la tombe de son bonheur, repense à la période enchantée où il enlaçait sa bien-aimée sous les roses printanières, du couchant à l’aurore. Il est plus que probable que Brahms a été séduit par ces idées en raison de ses sentiments pour Clara Schumann. Et c’est pourquoi, conclut maestro Arrau, cette sonate rend sûrement autant hommage à la vie et à l’amour qu’à l’art. Le public observe à présent un silence plein d’expectative ici, au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u Chili, alors que maestro Claudio Arrau s’apprête à entrer sur scène, revenant au Chili en 1984 pour la première fois depuis 17 ans. Et le voici, Claudio Arrau ! La première des deux œuvres monumentales de Brahms au programme de Claudio Arrau ce soir sera la Sonata n° 3 en fa mineur, opus 5.


El maestro Arrau me confesó en cierta ocasión que, si le pidieran utilizar una palabra para describirse a sí mismo, esa palabra sería «romántico». Y quizás eso explica por qué siente una afinidad tan estrecha por la música de Brahms. Porque, aparte de sus intrínsecos elementos románticos, la música de Brahms refleja algo de la vida emocional de su creador. Quizá nunca sepamos cuán profunda fue la relación de Brahms con Clara Schumann, pero todas las pruebas apuntan a una profunda relación romántica. ¡Qué emociones encontradas debió de provocar eso en Brahms! Clara era, al fin y al cabo, la mujer de su amigo y valedor, el compositor Robert Schumann. Claudio Arrau ha escrito lo siguiente sobre la Sonata en Fa menor de Brahms: «Cuanto más logras conocer esta gran sonata, más asombrosa parece. Asombrosa, en primer lugar, por su originalidad, y luego por su fuerza creativa, posión y vida orgánica. Luego incluso más asombrosa cuando se piensa que fue escrita cuando Brahms no tenía siquiera veinte años». Y aquí encontramos una nueva analogía con la vida de Claudio Arrau: cuando él tenía veinte años, ya había conquistado a los públicos de la mayoría de los principales centros musicales de Europa, tras ser enviado, a la edad de siete años, por el gobierno de Chile a continuar sus estudios en Berlín. Prosiguiendo con su descripción de la Tercera Sonata para piano de Brahms, Claudio Arrau afirma que es verdaderamente sinfónica en su diseño y dimensiones. La forma es ciertamente muy infrecuente, sin rastro de academicismo, y toda la visión resulta tan nueva que continúa siendo una obra aparte dentro del corpus de Brahms. Se especuló con la idea de que Brahms hubiera completado la sonata bajo los ojos vigilantes de Robert Schumann. Cuando el joven Brahms la tocó par Schumann, éste llamó a Clara para que fuera enseguida a poder oír «algo que no has oído jamás antes». Es gigantesca tanto en su espíritu como en su sustancia, dice Claudio Arrau. Desde el rapsódico primer movimiento, Allegro maestoso, pasando por el sublime movimiento lento, Andante espressivo, con su lema basado en un poema de Sternau –«La tarde oscurece, brilla la luz de la luna»– hasta el tercero, un Scherzo, que da paso al transfigurado Intermezzo y al Finale –en realidad un quinto movimiento–, se trata de una obra en la que Brahms reveló sin cortapisas las profundidades mismas de su corazón. Uno de los primeros biógrafos de Brahms dice que el Intermezzo se basaba en un segundo poema de Sternau, en el que el amante rememora desde la tumba entre lágrimas su felicidad en el tiempo encantado en que abrazaba a su amada bajo las rosas de la primavera deesde el ocaso hasta el amanecer. Es más que probable que esos sentimientos apelaran a Brahms debido a sus propios sentimientos hacia Clara Schumann. Y por ese motivo, esta sonata, concluye el maestro Arrau, es seguramente tanto un monumento a la vida y el amor como al arte. Ahora un susurro expectante se instala entre el público congregado aquí en el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e Chile, ya que todos esperan la entrada en escena del maestro Claudio Arrau, que regresa a Chile en 1984 por primera vez en 17 años. ¡Y aquí está, Claudio Arrau! La primera de las dos obras monumentales de Brahms que integran este programa que tocará Claudio Arrau es la Sonata núm. 3 en Fa menor, Op. 5.


마에스트로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자신을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낭만파’라고 제게 고백한 적이 있습니다. 아마도 이것이 그가 브람스의 음악에 그토록 친밀감을 느끼는 이유일 것입니다. 브람스의 작품은 본질적인 낭만적 특성 외에도 창작자의 감정적인 삶을 반영하기 때문이죠. 우리는 브람스와 클라라 슈만 사이의 관계가 얼마나 가까웠는지 결코 알 수 없지만, 모든 것이 그들이 깊은 사랑에 빠졌음을 암시하는 것 같습니다. 브람스에게 얼마나 복합적인 감정이 일어났겠습니까! 결국 클라라는 그의 친구이자 후원자였던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의 아내였죠.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브람스 피아노 소나타 3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이 위대한 작품을 알면 알수록 더욱 놀라운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독창성이 뛰어나고, 창조력, 열정과 생동감(유기적인 생명력)이 더욱 놀랍습니다. 그리고 브람스가 겨우 20세에 이 곡을 작곡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더욱 놀랍습니다.” 여기에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삶과 또 다른 유사점이 있습니다. 그는 20세에 이미 대부분의 유럽 음악 수도에서 청중을 사로잡았으며, 7세에는 칠레 정부에 의해 베를린으로 유학을 떠났죠. 브람스 피아노 소나타 3번에 대한 설명을 계속하면서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이 소나타가 설계와 규모 면에서 진정한 교향곡이라고 말합니다. 형태가 매우 독특하고 인위적인 흔적이 전혀 없으며, 관점이 너무 새로워서 브람스의 다른 작품들과 확연히 구별되죠. 추측에 따르면 브람스는 로베르트 슈만의 세심한 감독하에 이 소나타를 완성했다고 하는데요. 젊은 브람스가 슈만 앞에서 이 곡을 연주하자 슈만은 클라라에게 “이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음악을 들으라”고 소리쳤죠. 클라우디오 아라우에 따르면 이 작품은 정신과 형식이 탁월하다고 합니다. 랩소디 같은 1악장 알레그로 마에스토소(빠르고 장엄하게)부터 슈테르나우의 시 “황혼이 깃들고 달그림자 빛난다”를 바탕으로 한 모토를 지닌 숭고하고 느린 2악장 안단테 에스프레시보(감정을 가지고 느리게), 3악장 스케르초, 4악장 인테르메초, 진정한 5악장 피날레까지 브람스는 이 작품에서 자신의 마음속 깊은 곳을 아낌없이 드러냅니다. 브람스의 초기 전기 작가는 인테르메초가 슈테르나우의 두 번째 시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썼습니다. 이 시에서 연인은 황혼부터 새벽까지 봄의 장미 아래서 사랑하는 사람을 포옹했던 황홀한 시간을 무덤에서 눈물을 흘리며 회상합니다. 브람스는 클라라 슈만에 대해 너무나 많은 감정을 느꼈기 때문에 이러한 감정에 호소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거장 아라우는 이 소나타가 예술만큼이나 삶과 사랑에 대한 기념비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이제 여기 칠레 산티아고 시립 극장에 모인 청중들 사이에서 기대에 찬 속삭임이 들립니다. 1984년 17년 만에 처음으로 칠레로 돌아온 거장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무대에 오르는 것을 모든 사람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 클라우디오 아라우입니다! 오늘 저녁 프로그램에 포함된 브람스의 기념비적인 두 작품 중 첫 번째로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소나타 3번을 연주합니다.


3. Brahms Piano Sonata No. 3 in f, Op. 5: I. Allegro maestoso

4. Brahms Piano Sonata No. 3 in f, Op. 5: II. Andante

5. Brahms Piano Sonata No. 3 in f, Op. 5: III. Scherzo - Trio

6. Brahms Piano Sonata No. 3 in f, Op. 5: IV. Intermezzo

7. Brahms Piano Sonata No. 3 in f, Op. 5: V. Finale


8. ‘From the Teatro Municipal in Santiago’


Aus dem Teatro Municipal in Santiago de Chile hörten Sie die Klaviersonate Nr. 3 in f-Moll, op. 5 von Johannes Brahms, gespielt von Chilenen Claudio Arrau, der 1984 nach 17 Jahren im Ausland wieder in seine Heimat zurückgekehrt ist. Wie Sie sehen, ist der Saal brechend voll, es wurden sogar noch Stühle auf der Bühne aufgestellt. Die Zuhörer auf der Bühne erheben sich zu Ehren von Claudio Arrau. Und nun hat sich das gesamte Publikum erhoben. Hören Sie den Applaus für Claudio Arrau, der immer wieder herbeigerufen wird von seinen Landsleuten im Publikum, von denen einige vermutlich nie zuvor Gelegenheit hatten, ihn live zu hören. Nun verbeugt sich Maestro Arrau vor den Zuhören auf der Bühne. Das Publikum hier im Teatro Municipal will Arrau nicht gehen lassen. Hier verbeugt er sich ein weiteres Mal. Im zweiten Teil dieses bemerkenswerten Programms anlässlich der triumphalen Rückkehr Claudio Arraus nach Chile wird Maestro Arrau Brahms’ Klavierkonzert Nr. 1 in d-Moll spielen. Juan Pablo Izquierdo eirigiert das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Depuis le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u Chili, vous venez d’entendre la Sonate pour piano n° 3 en fa mineur, opus 5, de Johannes Brahms, interprétée par le Chilien Claudio Arrau, de retour dans sa patrie en 1984 après une absence de 17 ans. Vous aurez remarqué que la salle est comble ; il a même fallu installer des gradisn sur l’estrade. Le public sur scéne est debout en hommage à Claudio Arrau. À présent, c’est tout le public qui se lève. Écoutez cette ovation ! Claudio Arrau est rappelé encore et encore par ses compatriotes, qui, pour certains, n’avaient probablement jamais encore eu l’occasion de l’entendre en direct. Maestro Arrau s’incline à présent devant le public installé sur scène. Le public du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refuse de laisser Claudio Arrau partir. Il salue de nouveau. Dans la seconde partie de ce remarquable programme marquant le retour triomphal de Claudio Arrau au Chili, maestro Arrau jouera le Concerto pour piano n° 1 en ré mineur de Brahms, avec Juan Pablo Izquierdo à la tête de l’Orchestre philharmonique de Santiago.


Desde el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e Chile, esta ha sido la Sonata para piano núm. 3 en Fa menor, Op. 5, de Johannes Brahms, interpretada por el chileno Claudio Arrau, que regresa en 1984 a su país tras una ausencia de 17 años. Como pueden ver, el auditorio está a rebosar, incluidas muchas personas para las que se han colocado asientos en el escenario. Las personas en el escenario se han levantado como homenaje a Claudio Arrau. Lo cierto es que ahora todo el público se ha puesto en pie. Escuchen esta ovación mientras Claudio Arrau es llamado una y otra vez por un público integrado por compatriotas, algunos de los cuales probablemente no han tenido nunca antes la oportunidad de oírlo en vivo. Y ahora el maestro Arrau saluda al público que se sienta en el escenario. Este público del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no dejará irse a Claudio Arrau. Aquí lo vemos saludando de nuevo. En la segunda parte de este programa extraordinario que marca el regreso triunfal a Chile de Claudio Arrau, el maestro Arrau tocará el Concierto para piano núm. 1 en Re menor de Brahms con Juan Pablo Izquierdo al frente de la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칠레 산티아고 시립 극장에서 칠레 출신인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해외에서 17년을 보낸 뒤 1984년 고국으로 돌아와서 연주한 브람스 피아노 소나타 3번을 들었습니다. 보시다시피 홀은 꽉 차 있고 무대 위에는 관람석도 설치되어 있는데요. 무대 위의 관객들이 클라우디오 아라우에게 경의를 표하며 서 있습니다. (무대 위의 사람들은 클라우디오 아라우를 기리기 위해 일어섰습니다.) 그리고 이제 청중 전체가 일어섭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에 대한 박수를 들어보세요! 청중석에 있는 그의 동포들에 의해 계속해서 기억되고 있는데, 그들 중 일부는 아마도 이전에 그의 연주를 라이브로 들을 기회가 없었을 것입니다. 이제 거장 아라우가 무대 위의 관객들에게 인사합니다. 여기 시립 극장의 청중은 아라우를 놓아주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그가 다시 인사합니다. 거장 아라우는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칠레 복귀를 기념하는 이 놀라운(특별한) 프로그램의 두 번째로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할 예정입니다.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가 산티아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


9. ‘This is Martin Bookspan once again’


Hier ist wieder Martin Bookspan. Ich begrüße Sie zum zweiten Teil dieses historischen Heimkehrer-Konzerts, bei dem Claudio Arrau Werke von Johannes Brahms spielt. In den Proben konnten die vielen, meist jungen Orchestermusiker von Maestro Arraus lebenslanger Erfahrung mit den Werken von Brahms profitieren. Brahms’ Klavierkonzert Nr. 1, das er heute Abend hier spielen wird, ist eine Spezialität von Claudio Arrau, und er hat es bereits mit allen großen Orchestern weltweit gespielt. Auch als ich mein erstes Konzert von Claudio Arrau besuchte, spielte er Brahms’ Klavierkonzert Nr. 1; das war 1942 in Boston. Dieses Konzert ist mir immer in Erinnerung geblieben. Obwohl Arrau 1923 einige Konzerte in den USA gegeben hatte, hatte er in den fast 20 Jahren seit damals bis 1942 fast ausschileßlich in Europa konzertiert. So war Claudio Arrau in den USA in Grunde ein unbekannter Pianist, was seine Konzerte in diesem Land 1941/42 umso aufregender machte, denn wir entdeckten damals einen der größten Pianisten unserer Zeit. Wunderbarerweise war meine erste Begegnung mit Claudio Arraus Klavierkunst eben dieses Klavierkonzert Nr. 1 von Brahms, denn dieses kolossale Werk war immer eines meiner Lieblingsstücke. Schon in seiner Jugend war Brahms eub großer Verehrer der Werke von Schumann. 1853, als er 20 Jahre alt war, traf Brahms Schumann endlich persönlich. Der ältere Komponist war so beeindruckt von Brahms, dass er ihm einen Artikel in der »Neue Zeitschrift für Musik« widmete und ihn als junges Genie höchster Ausdruckskraft pries. Claudio Arrau berichtet, dieses hohe Lob von Schumann sei beinah eine Last für Brahms gewesen, der selbst unzufrieden mit sich war, insbesondere was das Komponieren von Orchestermusik betraf. Arrau erzählte, im Angesicht Schumanns geistigen Zusammenbruchs 1854, seines Todes 1856 und Brahms’ ambivalenten emotionalen Verhältnisses zu Schumanns Frau Clara stellte Brahms so hohe Erwartungen an sich, dass er Schwierigkeiten hatte, ein Orchesterwerk zu schreiben. Bald nach seiner ersten Begegnung mit den Schumanns versuchte sich Brahms an einem Orchesterstück, doch es gelang ihm nicht. Nach dem Versuch, einige Elemente in eine Sonate für zwei Klaviere umzuarbeiten, gab Brahms auch dieses Projekt auf. Seine endgültige Form erhielt das Werk als Konzert für Klavier und Orchester, doch das geschah erst 1858. Damals war Schumann bereits seit zwei Jahren tot, und Brahms war im reifen Alter von 25 Jahren. Dieses Konzert ist Brahms’ erstes ernstzunehmendes Orchesterwerk. Claudio Arrau zufolge schüttet uns Brhms in dieser Musik sein Herz aus, doch das finstere Orchestertutti zu Beginn mus dem Publikum der Urauffürung im Vergleich zu dem Glanz der Konzerte von Liszt oder Schumann unangenehm aufgefallen sein. Anfangs hatte das Werk keinen großen Erfolg. Die zweite Aufführung in Leipzig wurde ausgebuht, und Breitkopf & Härtel wollte das Werk nicht drucken. Der erste Satz reflektiert die Gefühle des Komponisten nach Robert Schumanns tragischem Tod und, so steht zu vermuten, ebenso seine Liebe zu Clara. Im langsamen Satz wies Brahms auf eine außermusikalische Assoziation hin, indem er über das Manuskript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 schrieb. Schumann wurde in seinen Kreisen auch »Mein Herr Domine« genannt. Auch hier bietet sich die Schlussfolgerung an, der junge Mann habe seinem Mentor ein Denkmal setzen wollen. Außerdem schrieb Brahms an Clara: »Auch male ich an einem sanften Porträt von Dir, das dann Adagio werden soll.« Auch hier sollten wir wohl dem Hörer die Entscheidung überlassen, welche Bedeutung er dem zugestehen möchte, angeisichts der religiösen Stimmung, die den Satz überwiegend beherrscht. Arrau entdeckt in diesem langsamen Satz ein ganz ähnliches Gefühl wie in langsamen Satz von Beethovens »Kaiserkonzert«. Der letzte Satz, so führt Arrau fort, sei nach all dem Gefühl in den ersten Teilen des Werks zwar stürmisch, doch weniger intensiv. Die beliebten ungarischen Assoziationen, die zeitweise aufkommen, spiegeln das Zigeunerelement wieder, wie es in vielen Brahms-Weken erscheint. Eine Cadenza quasi Fantasia leitet zur Più animato-Coda über, die das turbulente Werk zu Ende bringt. Hier sind wir hinter der Bühne des Teatro Municipal in Santiago de Chile, und Claudio Arrau wird gleich das Klavierkonzert Nr. 1 von Brahms spielen. Als er die Bühne betritt, erheben sich die Orchestermusiker, um ihn zu begrüßen. Dieses historische Konzert im Rahmen von Claudio Arraus Rückkehr nach Chile 1984 nach 17 Jahren im Ausland geht nun weiter, und Maestro Arrau spielt das Klavierkonzert Nr. 1 in d-Moll, op. 15 von Johannes Brahms. Begleitet wird Claudio Arrau von den Musikern des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es dirigiert Juan Pablo Izquierdo.


Ici Martin Bookspan. Nous allons entendre la seconde partie de ce programme historique où Claudio Arrau, de retour dans son pays, joue Brahms. En répétition, les membres, souvent jeunes, de la Philharmonie de Santiago ont pu bénéficier de l’expérience du maestro Arrau dans la musique de Brahms. Le Premier Concerto pour piano de Brahms, qu’il interprète ce soir, est une œuvre dont il est spécialiste et qu’il a jouée dans le monde entier avec tous les grands orchestres. La première fois où j’ai assisté à un concert de Claudio Arrau, il jouait le Premier Concerto pour piano de Brahms ; c’était à Boston en 1942. Le souvenir de cette interprétation ne m’a plus quitté. Arrau avait donné quelques concets aux États-Unis en 1923, mais pendant les 20 années suivantes, jusqu’en 1942, il s’est produit presque exclusivement en Europe. C’était un pianiste presque inconnu aux États-Unis, et sa saison 1941-1942 dans ce pays a été d’autant plus remarquable que nous découvrions l’un des pianistes suprêmes de notre temps. Je trouve particulièrement opportun que ma première expérience de l’art d’Arrau ait été le Premier Concerto pour piano de Brahms, car cette œuvre colossale a toujours fait partie de mes préférées. Dès l’adolescence, Brahms considérait la musique de Schumann avec un profond respect. Finalement, en 1853, à 20 ans, il fit la connaissance de Schumann. Ce dernier fut si impressionné par Brahms qu’il écrivit un article célèbre dans sa revue, la « Neue Zeitschrift für Musik », sur ce jeune génie qui exprimait l’idéal le plus sublime de son temps. Claudio Arrau affirme que cet éloge de la part de Schumann finit par devenir pesant pour Brahms, qui ne se sentait pas encore à la hauteur, surtout en matière de composition pour orchestre. Selon Arrau, compte tenu de la dépression nerveuse de Schumann en 1854, de sa mort en 1856, de la relation affective ambivalente de Brahms avec Clara, la femme de Schumann, Brahms attendait tant de lui-même que l’écriture d’une œuvre orchestrale lui fut très difficile. Peu après sa première rencontre avec les Schumann, Brahms s’essaya à une œuvre orchestrale, mais il ne fit rien de bon. Il songea à en réutiliser des éléments dans une sonate pour deux pianos, avant d’abandonner ce projet. Cette musique trouva sa forme finale dans un concerto pour piano et orchestre, mais pas avant 1858. Schumann était mort depuis deux ans, et Brahms avait atteint l’âge vénérable de 25 ans. Ce concerto est la première œuvre substantielle de Brahms pour orchestre. Même si cette musique est expansive, selon Claudio Arrau, Brahms débute par un tutti orchestral sombrement instrumenté qui ne dut guère plaire aux premiers auditeurs habitués au début brillant des concetos de Liszt ou Schumann. De fait, l’œuvre n’eut pas beaucoup de succès au départ ; sa deuxième audition à Leipzig fut sifflée et huée, et les éditions Breitkopf & Härtel refusèrent de la publier. Le premier mouvement refléte les sentiments du compositeur face au sort tragique de Robert Schumann, et certains estiment qu’il est tout aussi clairement lié à son amour pour Clara. Dans le mouvement lent, Brahms suggéra des associations extramusicales en notant sur le manuscrit ; «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 » Parmi ses connaissances, Schumann était surnommé « Mein Herr Domine ». Il est donc sans doute raisonnable de penser que le jeune homme évoquait ainsi la mémoire de son mentor. Brahms écrivit aussi à Clara : « Je peins en ce moment un joli portrait de vous. C’est l’Adagio. » Mais sans doute faut-il là aussi laisser l’auditeur décider de l’interprétatins qu’il veut donner à ce propos, compte tenu du caractère souvent quasi religieux de ce mouvement. Arrau trouve dans ce mouvement lent un sentiment très comparable à celui du mouvement lent du Concerto « L’Empereur » de Beethoven. Le dernier mouvement, explique ensuite maestro Arrau, après le début de l’œuvre plein d’émotion, reste orageux sans être aussi intense. Les couleurs hongroises que l’on observe par moments reflètent l’élément tsigane cher à Brahms, et présent dans de nombreuses partitions. Une Cadenza quasi Fantasia annonce la coda Più animato qui termine cette œuvre turbulente. Nous sommes à présent dans les coulisses du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u Chili, et Claudio Arrau se prépare à interpréter le Premier Conceto pour piano de Brahms. Alors qu’il entre en scène, tous les musiciens de l’orchetre se lèvent pour l’accueillir. Ce concert historique, donné lors du retour de Claudio Arrau au Chili en 1984 après 17 ans d’absence, se poursuit par son interprétation du Concerto pour piano n° 1 en ré mineur, opus 15, de Johannes Brahms. Claudio Arrau joue avec les musiciens de l’Orcheste philharmonique de Santiago dirigé par Juan Pablo Izquierdo.


Les habla de nuevo Martin Bookspan en la segunda parte de este histórico programa de regreso a casa, en el que Claudio Arrau interpreta música de Brahms. En el ensayo, los miembros de la orquesta, muchos de los cuales con jóvenes, pudieron beneficiarse de toda una vida de relación de Arrau con la música de Brahms. El Primer Concierto para piano de Brahms, que interpretará esta tarde, ha sido una especialidad de Claudio Arrau, que lo ha tocado por todo el mundo con todas las grandes orquestas. La primera vez que asistí a un concierto de Claudio Arrau fue con el Primer Concierto para piano de Brahms, y fue en Boston en 1942. El recuerdo de aquella interpretación me ha acompañado desde entonces. Aunque Arrau había tocado algunos conciertos en Estados Unidos en 1923, los casi veinte años transcurridos entre entonces y 1942 vieron cómo ofrecía conciertos casi exclusivamente en Europa. A efectos prácticos, Claudio Arrau era un artista desconocido en Estados Unidos, lo que hizo que su temporada 1941/42 en este país fuese mucho más extraordinaria, ya que estábamos descubriendo a uno de los pianistas supremos de nuestro tiempo. Y qué adecuado que mi primera experiencia con el arte de Claudio Arrau fuera justamente con el Primer Concierto para piano de Brahms, ya que esta obra colosal ha sido siempre especialmente predilecta para mí. Cuando Brahms era aún un adolescente, sentía una profunda veneración por la música de Schumann. Finalmente, en 1853, cuando tenía veinte, Brahms conoció a Schumann. Éste quedó tan impresionado con Brahms que escribió un famoso artículo en su revista «Neue Zeitschrift für Musik» ensalzándolo como un joven genio con la expresión ideal más elevada de su tiempo. Claudio Arrau afirma que este gran elogio de Schumann pasó a ser como una carga para Brahms, que aún se sentía algo incompetente, especialmente a la hora de escribir para orquesta. Arrau ha dicho que sobre el telón de fondo del desplome mental de Schumann en 1854 y su muerte en 1856, así como la ambivalente relación emocional de Brahms con Clara, la mujer de Schumann, las expectativas que Brahms tenía de sí mismo hicieron que le resultara muy difícil dar forma a una obra orquestal. Poco después de su primer encuentro con los Schumann, Brahms quiso componer una obra orquestal, pero no acabó de quedar satisfecho. Tras probar a elaborar parte del material en forma de sonata para dos pianos, Brahms abandonó ese proyecto. La música adoptó su forma definitiva como un concierto para piano y orquesta, pero esto no sucedió hasta 1858. Por entonces, Schumann llevaba ya dos años muerto y Brahms tenía la edad madura de veinticinco. El concierto es la primera obra sustancial de Brahms para orquesta. Aunque la música muestra sus sentimientos, según Claudio Arrau, Brahms inicia la obra con un tutti orquestal sombríamente instrumentado que debió de compararse desfavorablemente con la brillantez inicial de los conciertos de Liszt o Schumann entre sus primeros oyentes. Lo cierto es que, de entrada, no conoció un gran éxito y la segunda interpretación en Leipzig fue silbada y abucheada, y Breitkopf & Härtel rehusó publicarlo. El primer movimiento refleja la reacción emocional de su compositor ante la tragedia de Robert Schumann y se ha defendido que está relacionado no menos claramente con su amor por Clara. En el movimiento lento, Brahms facilitó posibles asociaciones no musicales al escribir en el manuscrito: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 Schumann era conocido en su círculo como «Mein Herr Domine». Una vez más, resulta quizá razonable pensar que se trataba de un homenaje del joven a su mentor. Brahms escribió también a Clara: «Estoy pintando un precioso retrato para ti. Es el Adagio». Y una vez más deberíamos dejar quizás al oyente decidir cuánta importancia quiere conceder a esto en el contexto del sentimiento casi religioso de gran parte del movimiento. Arrau encuentra en este movimiento lento un sentimiento muy parecido al del movimiento lento del Concierto Emperador de Beethoven. El último movimiento, continúa el maestro Arrau, tras la emoción de las partes precedentes de la obra, aunque tempestuoso, no es tan intenso. El oasional dejo húngaro que resulta evidente de vez en cuando refleja ese elemento zíngaro predilecto que aparece en tantas obras de Brahms. Una Cadenza quasi Fantasia presagia la coda Più animato que conduce la turbulenta obra hacia su final. Estamos ahora entre bastidores en el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e Chile mientras Claudio Arrau se prepara salir a tocar este concierto de Brahms. Y mientras entra en el escenario, todos los músicos de la orquesta se levantan para saludarlo. Este histórico concierto, uno de los hitos del regreso a Chile de Arrau en 1984 tras 17 años de ausencia, continúa ahora con la interpretación del maestro Arrau del Concierto para piano núm. 1 en Re menor, Op. 15, de Johannes Brahms. Colaboran con Claudio Arrau los músicos de la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dirigida por Juan Pablo Izquierdo.


다시 마틴 북스팬입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요하네스 브람스의 작품을 연주하는 역사적인 귀환 콘서트 2부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우리는 고국으로 돌아온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브람스를 연기하는 이 역사 프로그램의 두 번째 부분을 듣게 될 것입니다.) 리허설 동안 대부분 젊은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거장 아라우의 브람스 작품에 대한 평생 경험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 밤 이곳에서 연주할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은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특기이자 전 세계 주요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한 곡입니다. 제가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첫 연주회에 참석했을 때에도 그는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하고 있었는데, 1942년 보스턴에서였죠. 저는 이 콘서트를 항상 기억할 것입니다. (그 공연에 대한 기억은 그 이후로 계속 저를 따라다녔습니다.) 아라우는 1923년 미국에서 몇 차례 콘서트를 열었지만, 그때부터 1942년까지 거의 20년 동안 거의 전적으로 유럽에서만 연주했죠. 그는 미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피아니스트였으며, 이 나라에서 그의 1941/42년 시즌은 우리가 우리 시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을 발견했기 때문에 더욱 주목할 만했습니다. 기적적으로,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피아노 예술을 제가 처음 접한 것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이었는데, 이 거대한 작품은 항상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였기 때문이죠. 브람스는 이미 젊었을 때 슈만의 작품을 매우 좋아했는데요. (아직 10대일 때 브람스는 슈만의 음악을 깊은 존경심을 가지고 보았습니다.) 1853년, 스무 살이 되던 해, 브람스는 마침내 슈만을 직접 만났습니다. 나이든 작곡가는 브람스에게 큰 감명을 받아 <음악신보>에서 브람스에게 글을 헌정하고 그를 최고의 표현력을 지닌 젊은 천재로 칭찬했습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슈만의 이러한 높은 평가가 특히 관현악 작곡에 있어서 자신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던 브람스에게는 거의 부담이 되었다고 보고합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슈만의 이러한 찬사가 결국 특히 관현악 작곡 측면에서 아직도 그것에 만족하지 못한 브람스에게 무거운 짐이 되었다고 단언합니다.) 아라우에 따르면 1854년 슈만의 정신적 붕괴, 1856년 그의 죽음, 브람스와 슈만의 아내 클라라와의 양면적인 감정적 관계 속에서 브람스는 자신에 대한 기대가 너무 높아 관현악 작품을 쓰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합니다. 슈만과의 첫 만남 직후 브람스는 관현악곡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는데요.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로 일부 요소를 재작업하려고 시도한 후 브람스는 이 프로젝트도 포기했죠. 이 작품은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으로 최종 형태를 갖추었지만 1858년이 되어서야 완성되었는데요. 당시 슈만은 이미 세상을 떠난 지 2년이 되었고, 브람스는 25세의 노년에 이르렀죠. 이 협주곡은 브람스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첫 번째 실질적인 작품입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에 따르면, 브람스는 이 음악에서 자신의 마음을 우리에게 쏟아붓지만, 시작 부분의 어두운 관현악 투티는 리스트나 슈만 협주곡의 화려함에 비해 초연 관객에게 불쾌감을 주었음이 틀림없는데요. (클라우디오 아라우에 따르면 이 음악이 광범위하더라도 브람스는 어두운 악기로 구성된 관현악 투티로 시작하는데, 이는 리스트나 슈만의 협주곡의 찬란한 시작에 익숙한 최초의 청취자들을 기쁘게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이 작품이 그다지 성공적이지 않았죠. 라이프치히의 두 번째 공연은 야유와 비난을 받았고 브라이트코프 & 헤르텔 출판사는 작품 인쇄(출판)를 거부했죠. 1악장은 로베르트 슈만의 비극적인 죽음 이후 작곡가의 감정과 클라라에 대한 그의 사랑을 반영합니다. (1악장은 로베르트 슈만의 비극적인 운명에 대한 작곡가의 감정을 반영하며,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클라라에 대한 그의 사랑과 명확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믿습니다.) 느린 2악장에서 브람스는 원고에 대해 “주의 이름으로 인하여 오는 자에게 축복 있으라!”라고 써서 음악적이지 않은 연관성을 지적했는데요. 슈만은 그의 지인들 사이에서 “나의 주님”이라고도 불렸죠. 그러므로 그 청년이 그의 멘토에 대한 기억을 불러일으켰다고 생각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합리적입니다. (다시 한번, 그것이 젊은이가 그의 멘토에게 바친 헌사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마도 합리적일 것입니다.) 브람스는 또한 클라라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썼습니다. “저는 지금 당신의 아름다운 초상화를 그리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아다지오(2악장)입니다.” 여기서도 악장을 지배하는 종교적 분위기를 고려할 때, 여기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지 결정하는 것은 청취자에게 맡겨야 할 것입니다. 아라우는 이 느린 2악장에서 베토벤 <황제 협주곡>의 느린 2악장과 매우 ​​유사한 느낌을 발견합니다. 아라우는 계속해서 마지막 3악장에서 작품의 첫 부분이 감동으로 가득 차 있지만, 여전히 폭풍우가 남아 있다고 설명합니다. 다시 한번, 그것이 젊은이가 그의 멘토에게 바친 헌사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마도 합리적일 것입니다. 때때로 나타나는 인기 있는 헝가리의 색채는 많은 브람스 작품에 나타나는 집시 요소를 반영합니다. 환상곡 풍의 카덴차는 피우 아니마토(더욱 생기있게) 코다로 이어지면서 격동적인 작품을 마무리합니다. 우리는 지금 칠레 산티아고 시립 극장 백스테이지에 있으며,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하려고 합니다. 그가 무대에 들어서자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일어나 그를 맞이합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해외에서 17년을 보낸 후 1984년 칠레로 돌아온 이 역사적인 콘서트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으며, 거장 아라우는 요하네스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합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가 지휘하는 산티아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단원들과 협연합니다.


10. Brahms Piano Concerto No. 1 in d, Op. 15: I. Maestoso

11. Brahms Piano Concerto No. 1 in d, Op. 15: II. Adagio

12. Brahms Piano Concerto No. 1 in d, Op. 15: III. Rondo. Allegro

... Claudio Arrau, piano / 클라우디오 아라우, 피아노

... Santiago Philharmonic Orchestra / 산티아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Juan Pablo Izquierdo, conductor /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 지휘


13. ‘And the audience here’


Das Publikum hier im Teatro Municipal in Santiago explodiert geradezu nach dieser Darbietung von Claudio Arrau des Klavierkonzerts Nr. 1 in d-Moll von Johannes Brahms mit Juan Pablo Izquierdo am Pult des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Dieses Konzert, eines der Ereignisse ihm Rahmen der Rückkehr 1984 in seine Heimat Chile nach 17 Jahren im Ausland, war ganz offensichtlich eine tiefe emotionale Erfahrung für Maestro Arrau und ebenso für seine Landsleute. Wir sehen ihn hier, wie er hinter der Bühne einige Freunde und Kollegen begrüßt, bevor er für eine weitere Verbeugung auf die Bühne zurückkehrt. Der Applaus und die Rufe lassen nicht nach, und hier ist Claudio Arrau noch einmal auf der Bühne, diesmal zusammen mit dem Dirigenten Juan Pablo Izquierdo. Und der Applaus hält weiter an für Claudio Arraus Darbietung von Brahms’ Klavierkonzert in d-Moll. Noch einmal ruft ihn das Publikum hinaus auf die Bühne, die Zuhörer explodieren geradezu vor Begeisterung. Claudio Arrau ist sehr bescheiden, doch diese Liebesbekundung seiner chilenischen Landsleute hat ihn offenbar zutiefst berührt. Und hier sehen wir ihn noch einmal mit dem Dirigenten Juan Pablo Izquierdo, der die Orchestermusiker nun bittet, sich ebenfalls zu erheben. Claudio Arrau erscheint für eine weitere Verbeugung, und diesmal bedankt er sich auch beim Orchester für dessen Beitrag. Hier sehen wir noch einmal den Dirigenten Juan Pablo Izquierdo, der hinter der Bühne mit Maestro Arrau über das Konzert gesprochen hat.


Le public du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applaudit à tout rompre après l’interprétation par Claudio Arrau du Concerto pour piano n° 1 en ré mineur de Johannes Brahms, avec Juan Pablo Izquierdo à la tête de l’Orchestre philharmonique de Santiago. Ce concert, l’un des événements marquants de son retour au Chili en 1984, après 17 ans d’absence, a manifestement été une expérience très émouvante pour maestro Arrau et pour ses compariotes. On le voit accueillir des amis et des confrès en coulisses, avant de retourner sur scène pour saluer. Les applaudissements et les bravos se poursuivent, et de nouveau Claudio Arrau retourne sur scène, cette fois avec le chef, Juan Pablo Izquierdo. Les applaudissements qui saluent l’interprétation par Claudio Arrau du Concerto pour piano en ré mineur de Brahms se prolongent. Il est rappelé sur scène une fois encore, et le public laisse éclater son enthousiasme. Claudio Arrau est un homme modeste, mais il est évident que l’affection que lui portent les Chilens le touche profondément. Le voici qui revient de nouveau avec le chef Juan Pablo Izquierdo, qui invite les instrumentistes de la Philharmonie de Santiago à se lever. Claudio Arrau revient pour saluer et se retourne pour remercier les musiciens de l’orchestre pour ce concert. Et voici de nouveau le chef Juan Pablo Izquierdo qui s’est entretenu en coulisses avec maestro Arrau à propos du concert.


Y el público aquí un el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estalla en una ovación tras esta interpretación a cargo de Claudio Arrau del Concierto para piano núm. 1 en Re menor de Johannes Brahms con Juan Pablo Izquierdo al frente de la Orquesta Filarmónica de Santiago. Este concierto, uno de los acontecimientos que jalonan su regreso en 1984 a Chile, su patria, tras una ausencia de 17 años, ha sido evidentemente una experiencia profundamente emocional para Claudio Arrau al igual que para sus compatriotas. Pueden verlo saludando a algunos de sus amigos y colegas entre bastidores antes de que regrese al proscenio a saludar. Prosiguen los aplausos y los vítores, y aquí está ahora Claudio Arrau, regresando al proscenio, en esta ocasión con el director Juan Pablo Izquierdo. Prosiguen los aplausos para esta interpretación de Claudio Arrau del Concierto para piano en Re menor de Brahms. Y cuando el pianista vuelve a ser requerido para acudir al proscenio, el público simplemente explota de entusiasmo. Claudio Arrau es una persona humilde, pero esta demostración de cariño de sus compatriotas chilenos le ha emocionado evidentemente de forma muy profunda. Y aquí lo vemos regresar una vez más con el director Juan Pablo Izquierdo, que pide a los músicos de la Filarmónica de Santiago que también se levanten. Y cuando Claudio Arrau sale una vez más para volver a saludar, se da la vuelta y agradece a los músicos de la orquesta su interpretación. Aquí tenemos otra vez a nuestro director, Juan Pablo Izquierdo, que hablaba con el maestro Arrau entre bastidores sobre su interpretación.


이곳 산티아고 시립 극장에 모인 청중들은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요하네스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가 지휘한 산티아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후 청중들은 열광적인 박수를 보냈습니다. 1984년 그가 17년 만에 고국인 칠레로 돌아온 것을 기념하는 행사 중 하나인 이번 콘서트는 클라우디오 아라우뿐만 아니라 그의 동포들에게도 깊은 감동의 경험이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그가 또 다른 인사를 위해 무대로 돌아오기 전 무대 뒤에서 친구들과 동료들에게 인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박수와 함성이 멈추지 않았고 이번에는 지휘자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와 함께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다시 한번 무대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연주를 환영하는 박수 소리가 이어집니다. 그는 다시 한번 무대에 오르고, 관객들은 열광을 터뜨립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는 겸손한 사람이지만 칠레인들이 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애정은 그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음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그가 산티아고 필하모닉 단원들에게도 일어서라고 요청하는 지휘자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와 함께 다시 한번 돌아오는 것을 봅니다. 그리고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다시 한번 인사하러 나왔을 때 그는 돌아서서 오케스트라 단원들의 연주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무대 뒤에서 거장 아라우와 콘서트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던 지휘자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를 다시 봅니다. (그리고 지휘자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가 무대 뒤에서 거장 아라우와 콘서트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Juan Pablo Izquierdo: Er sagt, er sei sehr müde, und ich soll Ihnen ausrichten, er sei auch sehr glücklich. Er bat mich, Ihnen das zu sagen. Auch das Orchester ist sehr froh, Maestro. Es war eine wundervolle Erfahrung für uns. Hier ist heute Abend etwas Besonderes geschehen.


Juan Pablo Izquierdo : Il me dit qu’il est très fatigué, et souhaite que je vous dise qu’il est aussi très heureux. Il m’a demandé de parler pour lui. Tout l’orchestre est vraiment heureux, maestro. Ce concert a été une expérience merveilleuse pour nous. Il s’est vraiment passé quelque chose ce soir.


Juan Pablo Izquierdo: Me dice que está muy cansado después del concierto y quiere que les diga que está también muy contento. Me ha pedido que hable en su nombre. Estamos muy felices, maestro, en nombre de la orquesta. Esto ha sido para nosotros realmente una experiencia maravillosa. Algo ha pasado aquí. Es muy importante.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 : 그는 콘서트가 끝난 후 매우 피곤하다고 말하며 자신도 매우 행복하다는 말을 전해달라고 합니다. 그는 제게 자신을 대신해 말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지휘자님, 우리는 오케스트라를 대표하여 매우 기쁩니다. 이번 콘서트는 우리에게 정말 멋진 경험이었습니다. 오늘 저녁 이곳에서는 특별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Claudio Arrau: Juan Pablo, es war eine großartige Erfahrung für mich, mit Ihnen zu spielen. Sie sind ein wahrer Freund.


Claudio Arrau : Juan Pablo, j’ai vraiment vécu un grand moment en jouant avec vous. Vous êtes un véritable ami.


Claudio Arrau: Juan Pablo, para mí ha sido una gran experiencia tocar con ustedes. Es usted un verdadero amigo.


클라우디오 아라우 : 후안 파블로, 당신과 협연한 것은 제게 정말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당신은 진정한 친구입니다.


Juan Pablo Izquierdo: Ich bitte Sie, Maestro! Es ist eine Ehre, mit Ihnen zu spielen.


Juan Pablo Izquierdo : Je vous demande pardon, maestro. C’est un honneur de jouer avec vous.


Juan Pablo Izquierdo: Maestro, por favor. Es un honor tocar con usted.


후안 파블로 이스키에르도 : 부탁드립니다, 마에스트로! 당신과 협연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Nein, das Publikum hier im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in Chile will noch nicht nach Hause gehen. Sie vollen Claudio Arrau wenigstens noch ein Mal sehen. Und hier ist er noch einmal, mit Tränen in den Augen, Tränen der Freude und Erfüllung. Ein absolut außergewöhnliches und unvergessliches Ereignis hat hier im Teatro Municipal in Santiago de Chile stattgefunden, als Claudio Arrau zum ersten Mal nach 17 Jahren im Ausland von einem begeisterten Publikum empfangen wurde, das unermüdlich seiner Liebe und Bewunderung für seinen Landsmann und berühmtesten musikalischen Botschafter in der Welt Ausdruck verleiht. Liebe mag das vorherrschende Gefühl bei diesem ganzen Besuch sein: die Liebe der Chilenen zu Claudio Arrau und Claudio Arraus Liebe für sie sowie seine Liebe zu der Musik, die er hier gespielt hat. Ich bin Martin Bookspan.


Non, le public du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u Chili n’est pas encore prêt à rentrer chez lui. Il veut que Claudio Arrau revienne encore une fois. Et le voici, les yeux embués de larmes, des larmes de joie et de satisfaction. Un événement absolument extraordinaire et inoubliable a eu lieu ici, au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u Chili, où le retour dans son pays de Claudio Arrau, pour la première fois en 17 ans, a été salué par un public en adoration, exprimant sans relâche son affection et son admiration pour ce compatriote, son ambassadeur musical le plus éminent dans le reste du monde. L’affection sera sans doute le sentiment le plus durable de cette visite : l’affection des Chilens pour Claudio Arrau, l’affection de Claudio Arrau pour eux en retour, et son amour pour la musique qu’il a jouée ici. C’était Martin Bookspan.


No, este público del Teatro Municipal de Santiago de Chile aún no está dispuesto a irse a casa. Quieren var a Claudio Arrau salir al menos una vez más. Y aquí lo tenemos de nuevo, con lágrimas en sus ojos, lágrimas de alegría y satisfacción. Un acontecimiento absolutamente extraordinario e inolvidable se ha producido aquí en Santiago de Chile, en el Teatro Municipal, cuando Claudio Arrau ha sido recibido en su país por primera vez en 17 años por un público que lo adora y se muestra incansable al expresar su amor y admiración por su compatriota y su más distinguido embajador musical en el mundo. El amor es muy posiblemente la emoción más perdurable de toda esta visita: el amor de los chilenos por Claudio Arrau y el amor correspondido de Claudio Arrau  por ellos junto con su amor por la música que ha estado tocando aquí. Les ha hablado Martin Bookspan.


아니요, 여기 칠레 산티아고 시립 극장에 모인 청중들은 아직 집에 갈 생각이 없습니다. 그들은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다시 한번 돌아오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여기 그의 눈에는 눈물과 기쁨과 만족의 눈물이 가득 담겨 있습니다. 이곳 칠레 산티아고 시립 극장에서 정말 특별하고 잊을 수 없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17년 만에 처음으로 자신의 조국인 이곳으로 돌아와 사랑하는 대중의 환영을 받으며 끊임없이 애정과 존경을 표했는데, 이 동포에게는 전 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음악 대사입니다. 애정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이번 방문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는 감정일 것입니다. 클라우디오 아라우에 대한 칠레인들의 사랑, 그들에 대한 클라우디오 아라우의 사랑, 그리고 그가 이곳에서 연주한 음악에 대한 그의 사랑이 담겨 있습니다. 저는 마틴 북스팬입니다.


14. Credits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동원하여 번역했다. 영어 자막은 유감스럽게도 작동되지 않았다.

Google Drive / 2025. 08. Paganini Violin Competition Winners 1

https://www.premiopaganini.it/ https://en.wikipedia.org/wiki/Paganini_Competition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Premio Paganini”] 파가니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