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0년 3월 29일 일요일

DVD / Evgeni Koroliov - Bach Goldberg Variations (Live in Leipzig 2008)




▶ 골드베르크는 굴드와 투렉이면 충분하다고요? 코롤리오프를 한 번 들어보시죠.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에프게니 코롤리오프는 바흐 건반 작품의 새로운 스페셜리스트로 유럽 일대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 연주자다. 그는 1957년 모스크바에서 있었던 글렌 굴드의 리사이틀을 직접 목격한 이후 열렬한 바흐 마니아로 거듭났다. 이후 마리아 유디나,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와 같은 자국의 전설적인 피아니스트들의 바흐 연주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6-70년대에는 라이프치히 바흐 콩쿠르, 밴 클라이번 콩쿠르, 클라라 하스킬 콩쿠르 등의 국제적인 경연 대회들에서 수상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음악계에 알리기 시작하였다. 고전 및 낭만 레퍼토리에서도 뛰어난 연주를 들려주지만, 그의 정수는 바흐 연주에서 발견된다. 대위법에 대한 탁월한 연주 스킬과 작품 내면의 감동을 충실히 전달해주는 뛰어난 연출력은 음반과 실연 양쪽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영상물은 2008년 6월 20일, 라이프치히 바흐 페스티벌 기간 중에 있었던 그의 리사이틀을 담은 것으로, 그는 이 리사이틀에서 바흐 건반 작품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는 ‘골드베르크 변주곡’ 전곡을 연주하였다. 코롤리오프가 만들어내는 크리스털과 같은 소노리티와 견고한 폴리포니가 확연히 부각되는 연주로, 굴드와 투렉의 역사적인 명연들을 충분히 계승할 만하다. 연주자의 잔잔한 표정 변화와 현란한 손의 움직임을 다양한 각도에서 포착해낸 마하엘 바이어의 카메라 연출도 훌륭하다. 16:9의 화면비와 PCM Stereo, Dolby 5.1채널, DTS 5.1채널의 사운드 포맷을 제공한다.

Track
01 Opening
02 Aria
03 Variatio 1 a 1 Clav.
04 Variatio 2 a 1 Clav.
05 Variatio 3 a 1 Clav. Canone all'Unisuono
06 Variatio 4 a 1 Clav.
07 Variatio 5 a 1 ovvero 2 Clav.
08 Variatio 6 a 1 Clav. Canone alla Seconda
09 Variatio 7 a 1 ovvero 2 Clav. al tempo di Giga
10 Variatio 8 a 2 Clav.
11 Variatio 9 a 1 Clav. Canone alla Terza
12 Variatio 10 a 1 Clav. Fughetta
13 Variatio 11 a 2 Clav.
14 Variatio 12 Canone alla Quarta
15 Variatio 13 a 2 Clav.
16 Variatio 14 a 2 Clav.
17 Variatio 15 a 1 Clav. Canone alla Quinta in moto contrario. Andante
18 Variatio 16 a 1 Clav. Ouverture
19 Variatio 17 a 2 Clav.
20 Variatio 18 a 1 Clav. Canone alla Sesta
21 Variatio 19 a 1 Clav.
22 Variatio 20 a 2 Clav.
23 Variatio 21 Canone alla Settima
24 Variatio 22 a 1 Clav. Alla breve
25 Variatio 23 a 2 Clav.
26 Variatio 24 a 1 Clav. Canone all'Ottava
27 Variatio 25 a 2 Clav. Adagio
28 Variatio 26 a 2 Clav.
29 Variatio 27 a 2 Clav. Canone alla Nona
30 Variatio 28 a 2 Clav.
31 Variatio 29 a 1 ovvero 2 Clav.
32 Variatio 30 a 1 Clav. Quodlibet
33 Aria da capo
34 Credits

Evgeni Koroliov, piano
Recorded live at the Gewandhaus zu Leipzig, 20 June 2008

"Koroliov, for a long time a name familiar only to insiders among pianists, produced an almost flawless reading notable for its crystalline sonorities and strict polyphony, offering his listeners an impressive demonstration of the reason why he is now considered one of the finest interpreters of Bach. His playing has a wide dynamic range to it and is yet profoundly inward. He gives the music a sense of poetry without romanticizing it, his greatest achievement being his ability to ensure that Bach always sounds entirely natural on a modern piano, as if there could be no other way of playing it." -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코롤리오프는 오랫동안 피아니스트들 사이에서 친숙한 이름으로, 수정같이 맑은 공명과 엄격한 폴리포니(다성음악)로 유명한 거의 완벽한 해석을 했으며, 청취자들에게 자신이 오늘날 바흐 최고의 해석자들 중의 한 명으로 여겨지는 이유를 인상적으로 입증했다. 그의 연주는 폭넓은 다이내믹 범위를 지닌 동시에 내면이 심오하다. 그는 음악에 실제보다 더 낭만적으로 만들지 않으면서도 시적인 감각을 부여하며, 그의 가장 큰 성과는 바흐가 현대 피아노에서 다른 연주 방식이 없는 것처럼 항상 완전히 자연스럽게 들리게 하는 능력이다.”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Evgeni Koroliov was born in Moscow in 1949 and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leading international pianists of our age. Eschewing all airs and graces, he convinces his listeners of the validity of his interpretations through his intellectual approach to the works in his repertory, placing his manifold pianistic and interpretative gifts in the service of those works. He feels a particular affinity with the music of Bach and has often performed the Thomaskantor's great keyboard works, including "The Art of the Fugue", which he has also recorded. György Ligeti has said of this recording: "If I could take only one work to the proverbial desert island, it would be Koroliov's Bach, because, even though dying of hunger and thrist, I would still continue to listen to this recording until I breathed my last." Recital tours have taken Evgeni Koroliov to all the leading centres of music in Europe, including Salzburg Festival, and also as far afield as Japan. Commenting on his reading of the "Goldberg Variations", the "Salzburger Nachrichten" wrote that "The breathtaking intensity of his performance stemmed from a delightful humility in the face of art and from an entirely natural virtuosity."

에프게니 코롤리오프는 1949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오늘날 우리 시대의 주요 국제 피아니스트들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으스대는 태도를 피하면서 자신의 레퍼토리에 있는 작품들에 대한 지적인 접근을 통해 자신의 해석에 대한 타당성을 청취자들에게 설득시키며, 작품들에서 원하는 피아노 연주와 해석에 대한 재능을 기부한다. 그는 바흐의 음악에 특히 친근감을 느끼며, 종종 그가 녹음하기도 했던 <푸가의 예술>을 포함하여 토마스칸토르(성 토마스 성당의 성가대 지휘자)의 훌륭한 건반 작품들을 종종 연주했다. 죄르지 리게티는 이 녹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만약 무인도에 떨어질 때 단 한 가지 음반은 가져갈 수 있다면, 나는 코롤리오프의 바흐를 선택할 것이다. 왜냐 하면, 배고픔과 목마름의 고통마저 저버리고 내 마지막 숨을 내뱉을 때까지 그의 음악과 함께 하고 싶기 때문이다.” 에프게니 코롤리오프는 리투아니아 투어 이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을 비롯한 유럽 음악의 모든 중심지와 멀리 떨어진 일본에서도 연주했다. 그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해석에 대해 “잘츠부르거 나흐리히텐”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그의 숨 막히게 아름다운 연주는 예술을 마주하는 유쾌한 겸손과 전적으로 자연스러운 기교에서 비롯되었다.”

Escaping from the chaos of human emotions
The work begins with an open octave. Two voices then break free from it, slowly and solemnly, their solemnity suggesting a sarabande. The bass provides a solid foundation, while the song-like melody encircles it, playfully dissolving and yet remaining caught up in the calmly regular tread of the bass line. The notes multiply, dazzling arabesques breaking free from the long note-values, the measured metre forming a bulwark against the temptation to die away once again in the gentlest of whispers. In Evgeni Koroliov's hands, the melody flashes forth from sounds that swell and fade away with great restraint. Or else the pianist conceals the melodic line within them, revealing far deeper layers even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What we hear is no mere aria demanding to be ornamented. Thirty variations later we have traversed an entire musical universe whose extent even now remains unclear. The aria is heard again, this time with no repeat, as if it were not of this world. By the end it is no more than an echo and a distant memory, perhaps an attempt to arrest time itself by linking beginning and ending together.

이 작품은 열린 옥타브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2개의 성부가 옥타브에서 천천히 그리고 엄숙하게 벗어나며, 그 엄숙함은 사라방드를 암시한다. 베이스는 탄탄한 기초를 제공하며, 노래 같은 멜로디가 베이스를 둘러싸는 반면, 베이스 라인의 고요하게 규칙적인 걸음걸이에 장난스럽게 녹으면서도 계속 따라간다. 음들은 늘어나서 긴 박자에서 벗어나는 아라베스크를 눈부시게 하며, 안정된 음보(音步)는 가장 온화한 속삭임 속에서 다시 한 번 사라져버리고 싶은 유혹에 대한 방어벽을 형성한다. 에프게니 코롤리오프의 손에서, 멜로디는 큰 구속으로 부풀어 오르고 사라지는 소리들로부터 멀리 비친다. 아니면 피아니스트는 그 안에 멜로디 라인을 숨기며, 작품의 시작 부분에서도 훨씬 더 깊은 층들을 드러낸다. 우리가 듣는 것은 장식음을 요구하는 단순한 아리아가 아니다. 30개의 변주곡이 나온 후 우리는 오늘날에도 불분명한 전체 음악 우주를 횡단했다. 이 세상의 것이 아닌 것처럼, 아리아는 이번에 도돌이표 없이 다시 들린다. 결국 그것은 메아리와 먼 기억에 지나지 않는데, 어쩌면 시작과 끝을 연결하여 시간 자체를 멈추려는 시도일 것이다.

Could music like this really have been written to enable an insomniac count to while away the hours of darkness? Scholars have long raised doubts about the authenticity of this anecdote, which was recorded by Johann Nikolaus Forkel - organist, writer on music and an ardent champion of Johann Sebastian Bach - in the monograph on the composer that he published more than fifty years after the Thomaskantor's death. According to Forkel, the "Goldberg Variations" were written at the request of the Russian ambassador at the Dresden court, Count Hermann Carl von Keyserlingk. The work takes its name from the young keyboard virtuoso who is supposed to have played it to the count during his sleepless nights. In fact, there is no documentary evidence to authenticate this tale. The autograph score contains no dedication to either Kayserlingk or Goldberg. And Bach himself described the work simply as an "Aria with divers variations for a 2-manual clavicembalo", published it in 1741 as Part IV of his "Clavier-Übung". By this date the fourteen-year-old Johann Gottlieb Goldberg had already been Bach's pupil for a number of years.

이 같은 음악이 실제로 어둠의 시간을 보내는 동안 불면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작곡될 수 있었을까? 학자들은 오르가니스트이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음악에 대한 저자이며 열렬한 옹호자인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이 토마스칸토르가 사망한지 50년이 넘어 출판한 작곡가에 대한 논문에서 기록한 이 일화의 진위에 대해 오랫동안 의문을 제기했다. 포르켈에 따르면,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드레스덴 궁정 주재 러시아 대사인 헤르만 카를 폰 카이제를링크 백작의 요청에 따라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백작이 잠 못 이루는 밤 동안 연주하기 위해 지원된 젊은 건반 거장의 이름을 따 왔다. 실제로 이 이야기를 증명할 수 있는 기록적인 증거는 없다. 자필 악보에는 카이제를링크나 골드베르크의 서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바흐 자신은 이 작품을 그저 <2단 건반 클라비쳄발로를 위한 아리아와 변주곡들>이라고 설명했으며, 1741년에 <클라비어 연습곡> 제4부로 출판했다. 이 날짜까지 14세의 요한 고틀리프 골드베르크는 이미 몇 년 동안 바흐의 제자였다.

Evgeni Koroliov was not much older than Goldberg when he discovered Bach's music for himself. When an interviewer asked him to name the musicians who had influenced him the most, he mentioned Glenn Gould, whom he heard in Moscow in 1957, the legendary Maria Yudina and Sviatoslav Richter. Common to all three, he went on, was their ability to bring out the polyphonic textures in Bach's contrapuntal works. If listeners are unable to hear all the voices, he claimed, then he had a bad conscience. And when he plays, one understands how this clarity produces vitality and atmospheric density, lightness and tension.

에프게니 코롤리오프가 바흐의 음악을 스스로 발견했을 때에는 골드베르크보다 나이가 많지 않았다. 인터뷰 진행자가 그에게 가장 영향을 미친 음악가들의 이름을 말해달라고 질문했을 때 그는 1957년에 들었던 글렌 굴드, 전설적인 마리아 유디나와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를 언급했다. 세 사람 모두에게 공통적인 것은 바흐의 대위법적 작품에서 폴리포닉 텍스처(화음)를 이끌어내는 능력이었다. 그는 청취자들이 모든 성부를 들을 수 없다면 양심의 가책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가 연주할 때, 이 선명도가 어떻게 활력과 대기 밀도, 가벼움과 긴장을 만들어내는지 이해한다.

What kind of a composer is it who can successfully reveal the rich tapestry of life through the language of restraint? In creating this great set of variations, Bach, as so often, subjected himself to strict rules designed to challenge his whole mastery and fire his musical imagination. The aria is followed by thirty variations held together by a common bass theme and forming a cyclical, self-contained unity by virtue of their systematic arrangement: every third variation is a canon, a form that may be said to hold an identical copy of itself on a short leash, functioning as an easily identifiable signpost and producing nine groups of three canons of very differing character. And while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voices increases by a whole tone with each canon, the other variations explore increasingly wide-ranging musical areas. Each variation creates its own expressive language, while more and more new forms and sounds unfold over the now familiar bass line. But as if this were not enough, Bach goes further and sometimes hides the bass line: in the third variation, for example, he uses the trick of having the canon at the unison performed by only one hand, while in the sixth variation - the canon at the second - it is hidden between the semiquaver figures. In the seventh, finally, it becomes a fully independent voice to which the theme is entrusted as often as it is to the treble. Is it a gigue - the performance marking "al tempo di Giga" is found in one of the manuscript sources - or a siciliana, the reference to the gigue being absent from the other manuscript?

구속의 언어를 통해 삶의 풍부한 태피스트리(여러 가지 색실로 그림을 짜 넣은 직물 또는 그런 직물을 제작하는 기술)를 성공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작곡가는 어떤 사람일까? 이 위대한 변주곡을 만들면서, 종종 그렇듯이, 바흐는 자신의 모든 지배에 도전하고 음악적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엄격한 규칙을 겪었다. 아리아 다음에는 일반적인 베이스 주제로 유지된 30개의 변주곡이 이어지며 체계적인 편곡 덕분에 주기적이면서 독립된 통일성을 형성하는데, 모든 제3변주는 짧은 줄에 동일한 사본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좋을 형식인 카논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정표 역할을 하며 매우 다른 성격의 3개의 카논으로 구성된 9개의 그룹을 생성한다. 그리고 2개의 성부 사이의 음정이 각각 카논을 지닌 온음계로 증가하지만, 다른 변주곡들은 점점 더 광범위한 음악 영역을 탐색한다. 각 변주는 고유한 표현 언어를 생성하는 동시에 점점 더 많은 새로운 형식과 소리가 현재 익숙한 베이스 라인 위에 펼쳐진다. 그러나 이것이 충분치 않은 것처럼, 바흐는 더 나아가서 때로는 베이스 라인을 숨기는데, 예를 들면 그는 제3변주에서 한 손으로만 연주되는 유니즌에서 카논을 지니는 속임수를 사용하지만, 카논이 두 번째로 나오는 제6변주에서는 카논이 16분음표 진행에 숨겨져 있다. 마침내 제7변주에서 카논은 주제가 가장 높은 성부에 있을 때마다 맡겨진 것에 대해 완전히 독립적인 성부가 된다. 그것은 원고 출처들 중의 하나에서 발견되는 “지그의 빠르기로” 연주 표시인 지그(16세기 영국의 활발한 무곡)인가 아니면 다른 원고에 빠져있는 지그에 대한 언급인 시칠리아나(17~18세기 무렵의 시칠리아 섬의 민속 춤곡)인가?

Koroliov opts for the tempo of a gigue, bringing elegance and lightness of touch to the intervals, trills and pearl-like four-note slides. The result no longer suggests a dance-like character or a playful balancing act imposing no meaning on the listener. In the interplay between tension and strain, between accelerando and decelerando and between intensity and density, Koroliov creates a dramaturgy that brings out the inner order of the work regardless of any numerical relationships. He reaches its dramatic climax in the twenty-fifth variation not by aiming directly for it but as the result of a journey involving constantly shifting insights. By now the aria has acquired its most sublimated and abstract form: the middle voice and bass move in plaintive intervals of a second, while the melody is drawn out as far as possible, with dissonances in the final bar before the repeat of the second section and a plunging descent into the abyss.

코롤리오프는 음정, 트릴, 진주 같은 미끄러지는 4개의 음에 우아하면서도 가벼운 터치를 제공하는 지그의 빠르기를 선택한다. 그 결과 더 이상 청취자에게 춤 같은 성격이나 무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장난스러운 균형을 제안하지 않는다. 긴장과 부담 사이, 가속도와 감속도 사이, 강도와 밀도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수치 관계에 상관없이 작품의 내부 질서를 이끌어내는 연출을 만든다. 그는 목표를 향하는 것이 아닌 끊임없이 달라지는 통찰력과 관련된 여정의 결과로 제25변주에서 극적인 절정에 도달한다. 이제 아리아는 가장 승화된 추상적인 형식이 느껴지는데, 중간 성부와 베이스가 두 번째의 구슬픈 음정 이내에서 움직이는 반면, 멜로디는 두 번째 섹션이 반복되기 전 마지막 마디에서 불협화음을 지닌 채 심연으로 급강하하면서 가능한 범위까지 늘어난다.

Should we watch someone while he or she is playing? Koroliov hesitated when he was asked to record the "Goldberg Variations" on DVD. Calm and unpretentious as he is, he knows that he is responsible for the work and tolerates nothing that comes between him and the music or between the music and the audience - not even a score resting upright on the music stand. No doubt he has long since forgotten the camera.

연주하는 동안 우리는 누군가를 봐야 할까? 코롤리오프는 DVD에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녹화하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주저했다. 침착하고 잘난 체하지 않듯이, 그는 이 작품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자신과 음악 사이 또는 음악과 청중 사이에 오는 것을 용인하지 않는다. - 보면대에 똑바로 놓여있는 악보조차도 아니다. 그가 오랫동안 카메라를 잊은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의심의 여지없이 그는 오랫동안 카메라를 잊었다.)

His glimpse into the profundities of the adagio is followed by a sarabande whose melody is hidden within a mass of arabesques and wide-ranging intervals, so that it is little short of a miracle that the pianist is able to ensure that his listeners can hear it. Then comes the final canon, but on this occasion the bass does not accompany the two voices of the canon: the tenth canon is replaced by a quodlibet in which the bass of the aria is combined with two songs with which Bach had been familiar all his life: "Ich bin so lange nicht bei dir gewest, rück her, rück her" and "Kraut und Rüben haben mich vertrieben". Koroliov plays this variations as if it were entirely self-evident that a tremendous work like Bach's "Clavier-Übung" should end with a popular song and with awestruck humour and Mozartian wisdom, both of which have escaped from the chaos of human emotions.

아다지오(느리게)의 깊이에 대한 그의 일견은, 피아니스트가 자신의 청취자들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적에 가까울 정도로, 멜로디가 많은 아라베스크와 광범위한 음정들로 숨겨진 사라방드로 이어진다. 이후 마지막 카논이 나오지만, 이 경우 베이스는 카논의 2개 성부를 반주하지 않는데, 10번째 카논은 아리아의 베이스가 바흐의 평생 동안 친숙한 2개의 노래(너무 오래 그대와 떨어져 있었네, 돌아오오, 돌아오오 / 양배추와 순무가 나를 쫓아내네)와 결합된 쿼들리벳(메들리)으로 대체된다. 코롤리오프는 바흐의 <클라비어 연습곡> 같은 엄청난 작품이 유명한 노래로, 인간의 감정의 혼돈에서 벗어난 놀라운 유머와 모차르트의 지혜로 끝나야 한다는 것이 전적으로 자명한 것처럼 이 변주곡을 연주한다.

Johanna Andrea Wolter / 요한나 안드레아 볼터 글
Translation: Stewart Spencer / 스튜어트 스펜서 번역

리게티가 말한 것의 정확한 해석을 찾기 위해 검색해보니 리게티는 평소에 과장되거나 호평을 쉽게 주지 않기로 유명하다는 얘기가 있었다. 이 DVD를 구하게 된 이유는 코롤리오프의 음반들을 정리하다가 골드베르크 녹음을 접했는데 표지가 세로로 긴 것이 의아해서. 녹음은 어디에서 구해졌는지 모르는데 누군가가 음원으로 추출한 것이다.

DVD / Arthur Rubinstein - The Legendary Moscow Recital 2008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전설적인 모스크바 리사이틀 DVD
▶ 러시아 국영 텔레비전 자료보관실에 있던 희귀자료
루빈스타인이 1964년 10월 1일 모스크바 음악원의 연주 홀에서 많은 청중 앞에서 연주했던 때의 영상물이다. 근엄하게 꼭 다문 입, 감정의 변화를 읽을 수 있는 표정을 거의 보여주지 않지만, 그의 공연은 언제나 카리스마로 가득하다. 그런데 그의 기록은, 음반이나 영상물이나,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 점을 감안하면 이 영상물은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러시아 국영 텔레비전 자료보관실에서 거의 50년간 잠자고 있던 희귀자료이며, 그간 공개된 적이 없는 영상이다. ‘영웅’을 포함한 폴로네즈 두 곡 외에 즉흥곡, 녹턴, 뱃노래, 연습곡, 왈츠, 그리고 소나타 2번 등 주로 쇼팽의 음악이 담겼고, 슈만의 환상소곡집, 드뷔시, 빌라로부스의 곡도 연주한다.

The Legendary Moscow Recital, 1 October 1964

Chopin
Polonaise in F sharp minor, Op. 44
Impromptu in G flat major, Op. 51
Nocturne in D flat major, Op. 27 No. 2
Piano Sonata No. 2 in B flat minor, Op. 35
Barcarolle in F sharp major, Op. 60
Etude in A flat major, Op. 25 No. 1
Etude in G flat major, Op. 10 No. 5
Etude in E minor, Op. 25 No. 5
Etude in C sharp minor, Op. 10 No. 4
Waltz in A minor, Op. 34 No. 2
Polonaise in A flat major, Op. 53 "Heroic"

Schumann
Des Abends, from Fantasiestucke, Op. 12

Chopin
Waltz in A flat major, Op. 34 No. 1

Debussy
Ondine, from Preludes Book II

Villa-Lobos
O Polichinello, from Prole do bebe No. 1

Extras

Chopin
Excerpt from the Etude in E minor, Op. 25 No. 5
Excerpt from the Etude in C minor, Op. 25 No. 12
Canada, 1928

2020년 3월 14일 토요일

2020 Chopin Competition Preselection 164 + 9


지난 3월 9일 월요일에 기자회견이 있었다. 결국 허탕 쳤지만 몇 가지를 캡처했다. 유튜브 채팅을 보니 누군가가 참가자 명단이 뜬 링크를 알려줬다. 2005년 대회의 배경음악은 전주곡 5번, 2010년은 발라드 4번 엔딩, 2015년은 반음계 에튀드 2번 엔딩, 2020년은 협주곡 1번 3악장 엔딩이다.


그래프를 보니 초대 대회에서는 22명이었는데 다음 대회에서 바로 200명으로 늘어났다. 2025년에는 600명 넘게 쓰려나? 550명은 기본이 될 듯.


본선 정원은 지난 대회와 같다. 1라운드는 정확히 80명이 아니다. 예선에 있어도 아예 안 나올 사람들이 있고 1차에 들어도 기권할 사람들이 있다. 2005년에는 80명이 모두 참가했다.


4대륙 33개국이 신청했는데 아시아가 반 이상이다.


시대가 그렇다 보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심사위원 18명 중 13명은 쇼팽 콩쿠르 입상자이다.
마르타 아르헤리치 - 1위 및 마주르카 특별상
사 첸 - 4위 및 폴로네즈 특별상 공동 수상
심사위원장 카타르지나 포포바 지드론 - 세미파이널리스트
아키코 에비 - 공동 5위
필리프 주시아노 - 1위 없는 공동 2위
아담 하라셰비치 - 1위
크시쉬토프 야브원스키 - 3위
케빈 케너 - 1위 없는 2위 및 폴로네즈 특별상 공동 수상
야누쉬 올레이니차크 - 6위
표트르 팔레치니 - 3위
에바 포브워츠카 - 공동 5위 및 마주르카 특별상 공동 수상
보이체흐 시비타와 - 세미파이널리스트 및 폴로네즈 특별상 공동 수상
디나 요페 - 2위


지난 대회에서 조성진이 받은 우승 상금 3만 유로는 이제 준우승 상금으로 내려갔다. 파데레프스키 콩쿠르 우승 상금이 3만 유로인데다가 시세 반영해서 올릴 수밖에.


우승자 투어를 세계 지도로 보여줬는데 우리나라에도 온다. 사실 내가 협연이랑 리사이틀을 둘 다 예매한 이유는 차크무르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하지만 그게 네링이 될 수도... 전부터 네링이 우리나라에 온다면 보러 가려고 했다. 하지만 코로나19 문제만 해결된다면 폴란드로 가서 보게 된다.

개인적으로 탈락자를 보는 기준
26~30세. 처음 나간 경우에는 26세 입상자가 한 명 나올 수도 있다.

아무리 아시아 참가자들이 많다지만 도쿄 아시아 쇼팽 콩쿠르, 대구 아시아 태평양 콩쿠르 등 아시아에서 열리는 쇼팽 콩쿠르 입상은 크게 알아주지 않는 경력이다. 내가 누누이 레슨 시간에 들었던 얘기를 언급했다.

“아시아에서 열리는 쇼팽 콩쿠르 입상자들을 누가 알아주냐?!”

독일 다름슈타트 쇼팽 콩쿠르. 나도 왜 그런지 모르겠는데 바르샤바로 와서 입상으로 이어진 사람이 하나도 없다.

입상 경력이 너무나도 빈약한 경우. 아무리 쇼팽만 보는 대회라고 해도 입상 경력을 봐서 빈약하면 대부분 늦어도 2라운드에서 탈락이다. 이건 2010 쇼팽 콩쿠르 참가자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깨달은 것이다.

결선에서 2번을 연주할 예정인 사람들. 2번 협주곡이 결선에서 연주되는 경우는 많아야 두 번. 따라서 역으로 생각하면 대부분 탈락자란 소리다. 심지어는 10년 전처럼 입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삼수생인 경우 어떻게든 결선에 오르지 못하고 탈락할 것. 대부분 예선 - 1차 - 2차의 순환 고리를 못 벗어난다.

이미 파이널리스트였던 경우. 어떻게든 2라운드에서 탈락할 것. 결선에 또 오를 기회를 줄 수 없는 게 5년마다 열리는 이 대회의 사정이다.

※ 세미파이널리스트에 대한 경험치는 나한테 없다시피 하다. 하지만 결선까지 오를 기회를 못 줄 것으로 생각해야 될 것 같다. 삼수생과 마찬가지로 2차를 넘기 힘들 것으로 생각하려고 한다. 20세기의 사례를 들자면 1980년 15명 안에 들었던 케빈 케너는 1990년 1위 없는 2위, 1990년 11명 안에 들었던 필리프 주시아노는 1995년 1위 없는 공동 2위가 되었다. 둘 다 세미파이널리스트였다.

Pianists qualified for the Chopin Competition Preliminary Round
001 Leonora Armellini - Italy / 레오노라 아르멜리니 - 이탈리아 28세 - 2010 쇼콩 3차
002 Alim Beisembayev - Kazakhstan / 알림 베이셈바예프 - 카자흐스탄 22세
003 Tymoteusz Bies - Poland / 티모테우쉬 비에스 - 폴란드 25세 - 2015 쇼콩 1차
004 Anfisa Bobylova - Ukraine / 안피사 보빌로바 - 우크라이나 28세
005 Jorge Emilio Gonzalez Buajasan - Cuba / 호르헤 에밀리오 곤살레스 부아하산 - 쿠바 26세
006 J J Jun Li Bui - Canada / 준 리 부이 - 캐나다 16세 - 2019 베이징 쇼콩 5위
007 Łukasz Piotr Byrdy - Poland / 우카쉬 표트르 비르디 - 폴란드 26세 - 2015 쇼콩 2차, 2016 베이징 쇼콩 3위
008 Michelle Candotti - Italy / 미쉘 칸도티 - 이탈리아 24세 - 2015 쇼콩 2차
009 Luigi Carroccia - Italy / 루이지 카로치아 - 이탈리아 29세 - 2015 쇼콩 3차
010 Kai-Min Chang - Taiwan / 카이민 창 - 대만 19세 - 2018 하콩 1차
011 Han Chen - Taiwan / 한 첸 - 대만 28세 - 2015 하콩 1차
012 Junhui Chen - China / 준후이 첸 - 중국 26세
013 Xue Hong Chen - China / 슈에홍 첸 - 중국 21세 - 2015 쇼콩 예선
014 Zixi Chen - China / 지시 첸 - 중국 18세 - 2018 대구 쇼콩 1위
015 Hyoung Lok Choi - Korea / 최형록 - 대한민국 26세 - 2015 대구 쇼콩 3위
016 Martina Consonni - Italy / 마르티나 콘소니 - 이탈리아 23세
017 Diana Rachel Cooper - France / 디아나 레이첼 쿠퍼 - 프랑스 23세
018 Federico Gad Crema - Italy / 페데리코 가드 크레마 - 이탈리아 21세
019 Aleksandra Hortensja Dąbek - Poland / 알렉산드라 호르텐샤 동베크 - 폴란드 24세 - 2015 쇼콩 예선
020 Stephanie Draughon - USA / 스테파니 드로혼 - 미국 18세
021 Hsin-yu Duan - Taiwan / 신위 두안 - 대만 30세
022 Mateusz Duda - Poland / 마테우쉬 두다 - 폴란드 24세
023 Alberto Ferro - Italy / 알베르토 페로 - 이탈리아 24세
024 Jonathan Fournel - France / 조나탕 푸르넬 - 프랑스 27세
025 Yasuko Furumi - Japan / 야스코 후루미 - 일본 22세 - 2015 쇼콩 1차
026 Alexander Gadjiev - Italy/Slovenia / 알렉산더 가지예프 - 이탈리아/슬로베니아 25세 - 2015 하콩 1위
027 Martín García García - Spain / 마르틴 가르시아 가르시아 - 스페인 23세
028 Jean-Paul Gasparian - France / 장-폴 가스파리앙 - 프랑스 25세
029 Eva Gevorgyan - Russia / 에바 게보르기안 - 러시아 16세
030 Ana Gogava - Georgia / 아나 고가바 - 조지아 28세 - 2018 하콩 1차
031 Katarzyna Gołofit - Poland / 카타르지나 고워피트 - 폴란드 28세 - 2015 쇼콩 1차 기권, 2017 다름슈타트 쇼콩 2위
032 Joanna Goranko - Poland / 요안나 고란코 - 폴란드 19세 - 2017 다름슈타트 쇼콩 파이널리스트 및 특별상
033 Ziyao Chelsea Guo - USA / 지야오 첼시 구오 - 미국 19세
034 Eric Guo - Canada / 에릭 구오 - 캐나다 18세 - 2019 캐나다 쇼콩 주니어 2위
035 Katharina Hack - Germany / 카타리나 하크 - 독일 26세
036 Chi Ho Han - Korea / 한지호 28세 - 2010 쇼콩 예선, 2015 쇼콩 3차
037 Saaya Hara - Japan / 사아야 하라 - 일본 21세
038 Yukino Hayashi - Japan / 유키노 하야시 - 일본 29세
039 Wataru Hisasue - Japan / 와타루 히사스에 - 일본 26세
040 Yifan Hou - China / 이판 허우 - 중국 16세
041 Wei-ting Hsieh - Taiwan / 웨이팅 셰 - 대만 24세
042 Yun-chih Hsu - Taiwan / 윈치 슈 - 대만 23세
043 Kaoruko Igarashi - Japan / 가오루코 이가라시 - 일본 26세
044 Hana Igawa - Japan / 하나 이가와 - 일본 27세
045 Riko Imai - Japan / 리코 이마이 - 일본 19세
046 Grigoris Ioannou - Greece / 그리고리스 이오안누 - 그리스 25세
047 Seika Ishida - Japan / 세이카 이시다 - 일본 23세
048 Junichi Ito - Japan / 준이치 이토 - 일본 29세
049 Andrei Ivanou - Belarus / 안드레이 이바노프 - 벨로루시 30세
050 Asaki Iwai - Japan / 아사키 이와이 - 일본 20세 - 도쿄 쇼콩 입상
051 San Jittakarn - Thailand / 산 지타카른 - 타이 28세
052 Joo-Yeon Ka - Korea / 가주연 24세 - 2015 쇼콩 1차, 2018 대구 쇼콩 세미파이널리스트
053 Yukino Kaihara - Japan / 유키노 가이하라 - 일본 28세
054 Hyelee Kang (1) - Korea / 강혜리 27세
055 Hyelee Kang (2) - Korea / 강혜리 25세
056 Elizabeth Karaulova - Russia / 엘리자베트 카라울로바 - 러시아 23세
057 Airi Katada - Japan / 아이리 가타다 - 일본 28세 - 2010 쇼콩 2차, 2012 하콩 2차, 2015 쇼콩 예선, 2018 하콩 1차
058 Eylam Keshet - Israel / 에일람 케셰트 - 이스라엘 28세
059 Konstantin Khachikyan - Russia / 콘스탄틴 하치키안 - 러시아 25세
060 Nikolay Khozyainov - Russia / 니콜라이 호지아이노프 - 러시아 28세 - 2010 쇼콩 파이널리스트
061 Honggi Kim - Korea / 김홍기 29세 - 2015 쇼콩 1차
062 Hyelim Kim - Korea / 김혜림 23세
063 Jun Ho Kim - Korea / 김준호 25세 - 2018 대구 쇼콩 시니어 3위, 2018 하콩 1차
064 Su Yeon Kim - Korea / 김수연 26세 - 2005 도쿄 쇼콩 1위, 2015 쇼콩 3차
065 Yurika Kimura - Japan / 유리카 기무라 - 일본 27세 - 2012 도쿄 쇼콩 공동 2위, 2015 쇼콩 1차
066 Carmen Jessica Knoll - USA / 카르멘 제시카 놀 - 미국 23세 - 2012 대구 쇼콩 주니어 1위, 2015 쇼콩 예선 기권
067 Aimi Kobayashi - Japan / 아이미 고바야시 - 일본 25세 - 2004 도쿄 쇼콩 1위, 2009 대구 쇼콩 주니어 공동 1위, 2011 도쿄 쇼콩 1위, 2015 쇼콩 파이널리스트
068 Qi Kong - China / 치 콩 - 중국 26세 - 2015 쇼콩 2차
069 Pavle Krstic - Bulgaria / 파블레 크르스티치 - 불가리아 22세
070 Mateusz Krzyżowski - Poland / 마테우쉬 크지조프스키 - 폴란드 21세
071 Yukine Kuroki - Japan / 유키네 구로키 - 일본 21세 - 2018 도쿄 쇼콩 프로페셔널 1위, 2020 도쿄 쇼콩 통과
072 Jakub Kuszlik - Poland / 야쿠브 쿠쉴리크 - 폴란드 23세
073 Shushi Kyomasu - Japan / 슈시 교마스 - 일본 24세
074 Hyuk Lee - Korea / 이혁 20세 - 2018 하콩 3위
075 Jaeyoon Lee - Korea / 이재윤 23세 - 2015 쇼콩 예선
076 Shuan Hern Lee - Australia / 수앤 헌 리 - 호주 18세
077 Ning Yuen Li - Hong Kong / 닝 유엔 리 - 홍콩 26세 - 2015 쇼콩 1차 기권
078 Xiaoxuan Li - China / 샤오슈앤 리 - 중국 18세
079 Xinjie Li - China / 신지에 리 - 중국 16세
080 Daumants Liepinš - Latvia / 다우만츠 리에핀시 - 라트비아 25세
081 Hao Wei Lin - Taiwan / 하오웨이 린 - 대만 16세
082 Bruce Xiaoyu Liu - Canada / 브루스 샤오위 류 - 캐나다 23세
083 Ziyu Liu - China / 지유 류 - 중국 22세
084 Julia Łozowska - Poland / 율리아 워조프스카 - 폴란드 19세
085 Ignas Maknickas - Lithuania/USA / 이그나스 마크니카스 - 리투아니아/미국 21세
086 Xuanyi Mao - China / 슈앤이 마오 - 중국 24세
087 Tomasz Marut - Poland / 토마쉬 마루트 - 폴란드 24세
088 Yupeng Mei - China / 위펑 메이 - 중국 26세
089 Asaka Miyoshi - Japan / 아사카 미요시 - 일본 26세
090 Momoko Mizutani - Japan / 모모코 미즈타니 - 일본 29세 - 2006 하콩 2차, 2009 하콩 1차
091 Arsenii Mun - Russia / 아르세니 문 - 러시아 21세
092 Mayaka Nakagawa - Japan / 마야카 나카가와 - 일본 26세 - 2015 쇼콩 2차, 2018 하콩 1차
093 Yui Nakamura - Japan / 유이 나카무라 - 일본 24세 - 2015 도쿄 쇼콩 파이널리스트, 2015 쇼콩 예선, 2017 도쿄 쇼콩 프로페셔널 공동 1위
094 Viet Trung Nguyen - Vietnam/Poland / 비에트 쭝 응우옌 - 베트남/폴란드 24세 - 2018 대구 쇼콩 세미파이널리스트
095 Mariko Nogami - Japan / 마리코 노가미 - 일본 29세 - 2010 쇼콩 1차, 2015 쇼콩 1차
096 Arisa Onoda - Japan / 아리사 오노다 - 일본 24세 - 2015 쇼콩 2차
097 Georgijs Osokins - Latvia /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 라트비아 25세 - 2015 쇼콩 파이널리스트
098 Parker Van Ostrand - USA / 파커 반 오스트란드 - 미국 17세 - 2020 마이애미 쇼콩 3위
099 Anke Pan - Germany / 앙케 판 - 독일 27세 - 2010 쇼콩 1차
100 Eryk Parchański - Poland / 에리크 파르한스키 - 폴란드 18세
101 Jinhyung Park - Korea / 박진형 24세 - 2015 쇼콩 2차
102 Yeonmin Park - Korea / 박연민 29세 - 2017 다름슈타트 쇼콩 3위
103 Jiana Peng - China / 지아나 펑 - 중국 24세
104 Leonardo Pierdomenico - Italy / 레오나르도 피에르도메니코 - 이탈리아 27세
105 Zuzanna Pietrzak - Poland / 주잔나 피에트자크 - 폴란드 23세 - 2015 쇼콩 1차
106 Agnė Radzevičiutė - Lithuania/Canada / 아그네 라제비치우테 - 리투아니아/캐나다 28세 - 2019 캐나다 쇼콩 시니어 공동 3위
107 Hao Rao - China / 하오 라오 - 중국 16세
108 Yangyang Ruan - China / 양양 루앤 - 중국 21세
109 Kazuya Saito - Japan / 가즈야 사이토 - 일본 30세 - 2012, 2015, 2018 하콩 1차
110 Cristian Ioan Sandrin - Romania / 크리스티안 요안 산드린 - 루마니아 27세 - 2015 쇼콩 1차
111 Sohgo Sawada - Japan / 소고 사와다 - 일본 21세
112 Aristo Sham - Hong Kong / 아리스토 삼 - 홍콩 24세 - 2015 쇼콩 1차 기권
113 Meng-sheng Shen - Taiwan / 멍쉥 쉔 - 대만 29세 - 2010 쇼콩 1차
114 Kotaro Shigemori - Japan / 고타로 시게모리 - 일본 20세 - 2018 도쿄 쇼콩 프로페셔널 2위
115 Changyong Shin - Korea / 신창용 26세
116 Miyu Shindo - Japan / 미유 신도 - 일본 18세 - 2020 도쿄 쇼콩 입상
117 Mana Shoji - Japan / 마나 쇼지 - 일본 23세
118 Talon Smith - USA / 탈론 스미스 - 미국 18세 - 2020 마이애미 쇼콩 5위 없는 6위
119 Kyohei Sorita - Japan / 교헤이 소리타 - 일본 26세
120 Vitaly Starikov - Russia / 비탈리 스타리코프 - 러시아 25세
121 Szuyu Su - Taiwan / 쓰위 수 - 대만 22세 - 2015 쇼콩 예선
122 Hayato Sumino - Japan / 하야토 스미노 - 일본 25세
123 Aleksandra Świgut - Poland / 알렉산드라 시비구트 - 폴란드 28세
124 Mitsuyuki Marcel Tadokoro - France / 미쓰유키 마르셀 다도코로 - 프랑스 27세 - 2018 하콩 2차
125 Rikono Takeda - Japan / 리코노 다케다 - 일본 26세 - 2008 도쿄 쇼콩 2위, 2015 쇼콩 1차
126 Shunshun Tie - China / 순순 티에 - 중국 20세 - 2016 베이징 쇼콩 주니어 공동 1위
127 Mateusz Tomasz Tomica - Poland / 마테우쉬 토마쉬 토미차 - 폴란드 23세
128 Sarah Tuan - USA / 사라 투앤 - 미국 18세
129 Mónika Ruth Vida - Hungary / 모니카 루트 비다 - 헝가리 24세
130 Bocheng Wang - China / 보청 왕 - 중국 23세
131 Chanel Wang - USA / 샤넬 왕 - 미국 20세
132 Chao Wang - China / 차오 왕 - 중국 30세 - 2015 쇼콩 2차
133 Liya Wang - China / 리야 왕 - 중국 20세
134 Yijia Wang - China / 이지아 왕 - 중국 25세
135 Zhu Wang - China / 주 왕 - 중국 25세 - 2015 도쿄 쇼콩 참가, 2015 쇼콩 1차
136 Zitong Wang - China / 지통 왕 - 중국 21세
137 Zijian Wei - China / 지지앤 웨이 - 중국 22세
138 Jacek Wendler - Poland / 야체크 벤들레르 - 폴란드 25세
139 Marcin Wieczorek - Poland / 마르친 비에초레크 - 폴란드 24세 - 2015 쇼콩 예선
140 Andrzej Wiercinski - Poland / 안제이 비에르친스키 - 폴란드 24세 - 2013 다름슈타트 쇼콩 파이널리스트, 2015 쇼콩 2차
141 Sze Yuen Wong - Hong Kong / 쎄 위엔 웡 - 홍콩 23세 - 2017 도쿄 쇼콩 프로페셔널 공동 1위
142 Victoria Yilin Wong - Canada / 빅토리아 이린 웡 - 캐나다 23세 - 2014 캐나다 쇼콩 3위, 2015 쇼콩 예선
143 Maciej Wota - Poland / 마체이 보타 - 폴란드 27세
144 Maiqi Wu - China / 마이치 우 - 중국 17세
145 Yuchong Wu - China / 위충 우 - 중국 24세 - 2015 쇼콩 1차
146 Stephan Lingfei Xie - China/Canada / 스테판 링페이 시에 - 중국/캐나다 19세 - 2019 캐나다 쇼콩 1위
147 Biguo Xing - China / 비구오 싱 - 중국 21세 - 2018 하콩 1차
148 Guo Xu - China / 구오 슈 - 중국 25세
149 Zi Xu - China / 지 슈 - 중국 25세 - 2015 쇼콩 3차, 2018 대구 쇼콩 시니어 공동 2위
150 Miki Yamagata - Japan / 미키 야마가타 - 일본 18세 - 도쿄 쇼콩 입상
151 Yuanfan Yang - UK / 위앤판 양 - 영국 23세 - 2015 쇼콩 예선
152 Anastasia Yasko - Russia / 아나스타샤 야스코 - 러시아 29세
153 Suah Ye - Korea / 예수아 20세
154 Shih-hsien Yeh - Taiwan / 시시엔 예 - 대만 28세
155 Yi Yi - China / 이 이 - 중국 30세
156 Hao Zi Yoh - Malaysia / 하오지 요 - 말레이시아 25세
157 Se-Hyeong Yoo - Korea / 유세형 30세
158 Jessica Yuma - Canada / 제시카 유마 - 캐나다 17세 - 2019 캐나다 쇼콩 3위
159 Andrei Zenin - Russia / 안드레이 제닌 - 러시아 25세 - 2018 하콩 세미파이널리스트
160 Boao Zhang - China / 보아오 장 - 중국 16세
161 Kaiwen Zhao - China / 카이웬 자오 - 중국 20세
162 Yilan Zhao - China / 이란 자오 - 중국 25세
163 Ziji Zhao - China / 지지 자오 - 중국 21세
164 Tianyu Zhou - China / 톈유 저우 - 중국 26세

First pianists qualified to the 18th Chopin Competition
1. Piotr Alexewicz ‒ Poland (1st prize, OKP Warsaw 2020) / 표트르 알렉세비치 - 폴란드 (바르샤바 2020 쇼팽 전국피아노콩쿠르 1위)
2. Avery Gagliano ‒ U.S.A. (1st prize, Miami 2020) / 에이버리 갈리아노 - 미국 (마이애미 2020 쇼팽 전국피아노콩쿠르 1위)
3. Adam Kałduński ‒ Poland (1st prize, Beijing 2019 and 2nd prize OKP Warsaw 2020) / 아담 카우둔스키 - 폴란드 (베이징 2019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바르샤바 2020 쇼팽 전국피아노콩쿠르 공동 2위)
4. Szymon Nehring ‒ Poland (1st prize, Tel Aviv 2017) / 시몬 네링 - 폴란드 (텔아비브 2017 루빈스타인 국제피아노마스터콩쿠르 1위)
5. Evren Ozel ‒ U.S.A. (2nd prize, Miami 2020) / 에브렌 외젤 - 미국 (마이애미 2020 쇼팽 전국피아노콩쿠르 1위)
6. Kamil Pacholec ‒ Poland (2nd prize, Bydgoszcz 2019) / 카밀 파홀레츠 - 폴란드 (비드고슈치 2019 파데레프스키 국제피아노콩쿠르 2위)
7. Piotr Pawlak ‒ Poland (1st prize, Darmstadt 2017 and 2nd prize, OKP Warsaw 2020) / 표트르 파블라크 - 폴란드 (다름슈타트 2017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바르샤바 2020 쇼팽 전국피아노콩쿠르 공동 2위)
8. Yutong Sun ‒ China (2nd prize, Santander 2018) / 위통 순 - 중국 (산탄데르 2018 팔로마 오셰아 국제피아노콩쿠르 2위)
9. Tomoharu Ushida ‒ Japan (2nd prize, Hamamatsu 2018) / 도모하루 우시다 - 일본 (2018 하마마쓰 국제피아노콩쿠르 2위)

원서 낸 참가자들의 명단을 확보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봤다. (실제로 2010년 대회에 대한 자료는 있다.) 다니엘 슈, 이베트 죈죄시, 선율 등이 분명히 원서 냈는데 떨어진 거다... 준비를 거의 하지 못했다는 다니엘 하리토노프는 아예 안 썼을 것 같다. 나온다면 어쩔 수 없이 편들려고 했던 차크무르는 10월에 연주 일정이 있다. 작년 4월부터 쇼팽 협주곡 1번을 몇 번 연주하는 걸 알게 되었고 직행 티켓을 활용하려는 것처럼 보였지만 결국 직행자 명단에 없다.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3위 입상자인 하리토노프 입장에서는 바라볼 데가 쇼팽 콩쿠르 말고 없는 게 현실. 하지만 안 나왔는데 현명하게 결정을 내린 것 같다. 콩쿠르 몇 번 나가다가 어딘가에서 적절히 멈출 줄 아는 것도 내가 볼 때 지혜다. 여기저기 열심히 나와서 서른 넘도록 콩쿠르 생활하여 많이 입상했는데 나한테 음반이 한 장도 없는 사람들이 수두룩한 게 현실. 나는 음반 수집가이다 보니 연주자들을 그런 식으로 알아나가는 편. 푸히히히히~

예선에서는 가지예프, 본선 직행자까지 포함하면 네링으로 우승 후보가 좁혀졌다. 연주를 보고 판단한 게 아니고 입상 경력만 본 것이다. 이 둘 말고 나머지는 크게 볼 일이 없었다. 가지예프나 네링이나 둘 다 내 블로그에서 별로 인기가 없다고 하더라도 나는 꿋꿋이 챙기고 있었다. 어차피 내 블로그는 외국 연주자들 위주이고 내가 그렇게 꾸리길 원하니 상관없다.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는 2019년에 이미 레코딩 아티스트인 사람이 우승하면서 내 경험치가 깨졌다. 이제 쇼팽 콩쿠르만 남았는데 둘 다 이미 음반을 냈다. 가지예프는 하마마쓰 1위이긴 한데 결선에서 2번 협주곡을 연주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스무 살이 넘어서 익힌 곡인 것 같다. 네링은 충분히 쇼팽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있고 협주곡을 둘 다 연주하여 음반을 냈다.

Alexander Gadjiev (Italy/Slovenia)
2002 - Concorso Internazionale Città di Minerbio in Italy 1st prize / 이탈리아 미네르비오 국제 콩쿠르 1위
2003 - Concorso Nazionale Castiglion Fiorentino in Italy 1st prize / 이탈리아 카스틸리온 피오렌티노 전국 콩쿠르 1위
2004 - Concorso Internazionale Ravenna in Italy 1st prize / 이탈리아 라벤나 국제 콩쿠르 1위
2006 - Concorso Regionale di Postumia (Postojna) in Slovenia 1st prize / 슬로베니아 포스토이나 지역피아노콩쿠르 1위
2006 - Concorso Regionale di Capodistria (Kopar) in Slovenia 1st prize / 슬로베니아 코페르 지역피아노콩쿠르 1위
2007 - National Competition in Ljubljana, Slovenia 1st prize for 100 points /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지역 콩쿠르에서 100점으로 1위
2009 - 19th Concorso Internazionale per Pianoforte e Orchestra "Città di Cantù" in Italy [Romantic Concertos] Semifinalist (Top 16) / 이탈리아 제19회 칸투 국제피아노협주곡콩쿠르 [낭만파 협주곡 부문] 세미파이널리스트 (5월)
2010 - National Competition in Velenje, Slovenia 1st prize / 슬로베니아 벨레네 전국 콩쿠르 1위
2012 - 1st FVG (Friuli Venezia Giulia)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Sacile, Italy 3rd prize / 이탈리아 사칠레 제1회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국제피아노콩쿠르 3위 (5월)
2012 - 9th State Competition of Music Students in Trieste (Premio Nazionale delle Arti) in Italy 1st prize with an unanimous decision of the jury /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지역 제9회 학생 음악 콩쿠르 심사위원 만장일치 1위 (6월)
2013 - 30th Concorso Pianistico Nazionale "Premio Venezia" at Teatro La Fenice in Italy 1st prize / 이탈리아 라 페니체 극장 제30회 베네치아 전국피아노콩쿠르 최연소 1위 (11월)
2014 - 16th Gina Bachauer International Artists Piano Competition in Salt Lake City in Utah (USA) Semifinalist (Top 12) / 미국 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티 제16회 지나 박하우어 아티스트 국제피아노콩쿠르 세미파이널리스트 (6월)
2014 - Piano Academy Eppan - Prize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in Italy Finalist (Top 6) / 이탈리아 에판 피아노 아카데미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프라이즈 파이널리스트 (10월)
2014 - Concorso di Pianoforte e Musica da Camera "Coop Premia la Musica - Premio Antonio Bertolini" in Milano, Italy 2nd prize ex-aequo with Gregor Desman (Slovenia) and Galina Chistyakova (Russia) / 이탈리아 밀라노 “쿠프 프레미아 라 무지카 - 프레미오 안토니오 베르톨리니” 무지카 다 카메라 피아노 콩쿠르 - 그레고르 데스만(슬로베니아) 및 갈리나 치스티아코바(러시아)와 공동 2위 (12월)
2015 - 9th Hamamatsu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Japan 1st prize, Audience Prize and "The Mayor of Sapporo" Award / 일본 제9회 하마마쓰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청중상 및 삿포로 시장상 (12월)
2017 - Tabor Foundation Piano Award at the 2017 Verbier Festival and Academy / 베르비에 페스티벌 겸 아카데미 2017 타보르 재단 피아노 어워드 (8월)
2018 - 24th Steinway Förderpreis Berlin, Germany 1st prize / 독일 제24회 베를린 스타인웨이 콩쿠르 1위
2018 - Monte Carlo Piano Masters Competition in Monaco 1st prize / 모나코 몬테카를로 월드피아노마스터콩쿠르 1위 (10월)
2018 - 16th Animato Grand Prix in Paris, France 2nd prize / 프랑스 파리 제16회 아니마토 그랑프리 국제피아노콩쿠르 2위 (11월)
2019 - 2nd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Saint-Priest in France 2nd prize / 프랑스 제2회 생프리스트 국제피아노콩쿠르 2위 (4월)
2019 - 16th Tchaikovsky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in Moscow, Russia Semifinalist (Top 14) / 러시아 모스크바 제16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 세미파이널리스트 (6월)

Szymon Nehring (Poland)
2005 - 11th Miłosz Mag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Paris, France Award for the best Polish participant / 프랑스 파리 제11회 미워쉬 마긴 국제피아노콩쿠르 최우수 폴란드 참가자상
2005 - Steinway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Hamburg, Germany (age group A) 1st prize / 함부르크 스타인웨이 국제피아노콩쿠르 A그룹 1위 (11월)
2006 - 18th J.S. Bach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Gorzow, Poland 2nd prize (in the age group) 2nd prize / 폴란드 고주프비엘코폴스키 제18회 바흐 국제피아노콩쿠르 해당 연령 그룹 1위 (3월)
2006 - 5th International Festival of Young Pianists in Głubczyce, Poland [Junior Group] 2nd prize ex-aequo with Nano Beraia (Georgia) and Jakub Szotkovsky (Czech Republic) and Special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Lutosławski / 폴란드 그웁치체 제5회 국제 청소년 피아니스트 페스티벌 [주니어 그룹] 나노 베라이아(조지아) 및 야쿠브 쇼트코프스키(체코)와 공동 2위 및 루토스와프스키 작품 최우수 연주 특별상 (5월)
2007 - 15th International Chopin Festival in Sochaczew, Mazovia (Poland) Distinction / 폴란드 마조프셰 주 소하체프 제15회 국제 쇼팽 페스티벌 파이널리스트
2007 - Robert Schumann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Young Pianists in Suwałki, Poland 2nd prize and Special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Robert Schumann / 폴란드 수바우키 “로베르트 슈만”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2위 및 슈만 작품 최우수 연주 특별상 (4월)
2007 - 7th Juliusz Zarębski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in Łomianki, Poland 3rd prize / 폴란드 워미안키 제7회 율리우쉬 자렝브스키 국제음악콩쿠르 3위 (6월)
2008 - 5th National Chopin Piano Festival "Youngsters Interpret Chopin" in Konin, Poland Distinction / 폴란드 코닌 제5회 전국 쇼팽 청소년 피아노 페스티벌 파이널리스트
2008 - 4th Chop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for Children in Jelenia Góra, Poland 2nd prize (1st was not awarded) and Special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iano concerto with orchestra / 폴란드 옐레니아 구라 제4회 쇼팽 어린이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없는 2위 및 협주곡 최우수 연주 특별상 (11월)
2008 - 15th 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Konin, Poland 2nd prize / 폴란드 코닌 제15회 전국피아노콩쿠르 2위
2008 - 7th Regional Ear Training Competition for students of music schools in Poland 1st prize / 폴란드 제7회 음악학교 학생들을 위한 지역 청음 콩쿠르 1위
2009 - Chopin Society VI Piano Competition for Students Level Schools of Music (EPTA) in Berlin, Germany prize-winner / 독일 베를린 유럽피아노교사협회 주최 음악학교 학생들을 위한 쇼팽 협회 제6회 피아노 콩쿠르 입상
2009 - 6th EPTA Piano Competition of Music School Students in Kraków, Poland [Group I] 2nd prize (1st was not awarded) / 폴란드 크라쿠프 제6회 유럽피아노교사협회 (음악학교 학생들을 위한) 피아노 콩쿠르 1그룹 1위 없는 2위 (4월)
2009 - 3rd Moszkowski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Per Aspera ad Astra" in Kielce, Poland 2nd prize / 폴란드 키엘체 제3회 모슈코프스키 “페르 아스페라 아드 아스트라” (시련을 거쳐 성공하리라) 국제피아노콩쿠르 2위
2010 - 10th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Chopin for the Youth" in Antonin, Poland Finalist (Top 6) / 폴란드 안토닌 제10회 쇼팽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파이널리스트 (2월)
2010 - 3rd Ferenczy Gyorgy memorial Chopin +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Budapest, Hungary 1st prize ex-aequo with Aude-Liesse Michel (France) and Elizaveta Nazaruk (Russia), Special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iece by an Hungarian composer / 헝가리 부다페스트 제3회 페렌치 죄르지 기념 쇼팽 플러스 국제피아노콩쿠르 - 오드-리에세 미셸(프랑스) 및 엘리자베타 나자루크(러시아)와 공동 1위 및 헝가리 작곡가 작품 최우수 연주 특별상 (3월)
2010 - 6th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for Young Musicians in Enschede, the Netherlands [Category A] (age 10-16) Finalist (Top 10) / 네덜란드 제6회 엔스헤데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A그룹 (10~16세) 파이널리스트 (10월)
2011 - 1st PianoRAMA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Young Pianists in Arhus, Denmark [Category A] (age 11-16) Finalist (Top 10) / 덴마크 오르후스 제1회 피아노라마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A그룹 (11~16세) 파이널리스트 (3월)
2011 - Regional Ear Training Competition Ear Training for students of music schools of 2nd degree in Poland 3rd prize / 폴란드 (음악학교 학생들을 위한) 지역 청음 콩쿠르 3위
2011 - 8th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Young Pianists "A Step towards Mastery" in St Petersburg, Russia [Category B] (age 12-15) 3rd prize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제8회 거장을 향한 걸음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B그룹 (12~15세 부문) 3위 (6월)
2012 - Baltic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Young Pianists dedicated to the Work of Fryderyk Chopin in Narva, Estonia (age 15-18) 1st prize and EMCY Prize / 에스토니아 나르바 “쇼팽 작품 헌정” 발틱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15~18세 부문) 1위 및 세계청소년음악콩쿠르 유럽협회상 (2월)
2012 - 7th EPTA Piano Competition of Music School Students in Kraków, Poland [Group II] Finalist (Top 4) / 폴란드 크라쿠프 제7회 유럽피아노교사협회 (음악학교 학생들을 위한) 피아노 콩쿠르 2그룹 파이널리스트 (3월)
2012 - National Students Auditions for the Students of Musical High Schools of 2nd degree (IV–VI class) in Poland 3rd prize and "Director of the Centre for Artistic Education" Prize / 폴란드 전국 음악고교생 음악 오디션 (4~6급) 3위 및 예술교육센터 감독 특별상
2013 - 10th Żychlin Festival "Youngsters Interpret Chopin" in Poland 2nd prize and Mazurka Prize / 폴란드 제10회 지흘린 청소년 쇼팽 페스티벌 2위 및 마주르카 특별상
2013 - MMB (Morningside Music Bridge) at Mount Royal University Concerto Competition Finalist in Calgary, Canada Finalist (Top 7) / 캐나다 캘거리 마운트 로열 대학교 “모닝사이드 뮤직 브리지” 협주곡 콩쿠르 파이널리스트 (7월)
2014 - International Competition "Academy Award" in Rome, Italy 2nd prize and Special Prize / 이탈리아 로마 “아카데미 어워드” 국제 콩쿠르 2위 및 특별상 (6월)
2014 - 3rd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memory of Halina Czerny-Stefańska" in Poznań, Poland 1st prize and 6 Special Prizes (a distinction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Chopin nocturne) / 폴란드 포즈난 제3회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기념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및 (쇼팽 녹턴 최우수 연주 포함) 6개 특별상 (9월)
2014 - 10th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Young Pianists "Arthur Rubinstein in Memoriam" in Bydgoszcz, Poland 1st prize and a distinction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work by Chopin / 폴란드 비드고슈치 제10회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기념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및 쇼팽 작품 최우수 연주 특별상 (11월)
2015 - 4th Top of the World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Tromsø, Norway Semifinalist (Top 12) / 노르웨이 트롬쇠 제4회 탑 오브 더 월드 국제피아노콩쿠르 세미파이널리스트 (6월)
2015 - 17th Chop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Warsaw, Poland Finalist (Top 10), Audience Award and Cracow Philharmonic Award for the best Polish participant / 폴란드 바르샤바 제17회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 파이널리스트, 청중상 및 (최우수 폴란드 참가자로서) 크라쿠프 필하모닉 어워드 (10월)
2015 - Santander Orchestra Award (The award has included a tour of 5 concerts in the most representative concert halls in Poland: Luslawice, Katowice, Wroclaw, Warsaw and Szczecin.) / (루스와비체, 카토비체, 브로츠와프, 바르샤바, 슈체친에 있는 폴란드의 가장 대표적인 콘서트홀들에서 가지는 5회의 콘서트 투어를 포함하는) 산탄데르 오케스트라 어워드 (12월)
2016 - Supersonic Pizzicato Award (for Debut CD) / (데뷔 음반으로) 슈퍼소닉 피치카토 어워드 (3월)
2016 - Fryderyk Award from the Polish Phonographic Academy (in the category of Classical Music - Album of the Year - Solo Recital) for debut CD / (데뷔 음반으로) 폴란드 음반 아카데미 [클래식 음악 부문] 올해의 앨범 솔로 리사이틀 부문 “프리데리크” 상 (4월)
2016 - Joker Prize of the magazine "Crescendo" for Debut CD / (데뷔 음반으로) 크레셴도 매거진에서 수여하는 조커 상 (7월)
2016 - Supersonic Pizzicato Award (for Chopin Piano Concertos CD) / (쇼팽 피아노 협주곡 음반으로) 슈퍼소닉 피치카토 어워드 (12월)
2017 - Joker Prize of the magazine "Crescendo" for Chopin Piano Concertos CD / (쇼팽 피아노 협주곡 음반으로) 크레셴도 매거진에서 수여하는 조커 상 (4월)
2017 - 15th Arthur Rubinstein International Piano Master Competition in Tel Aviv, Israel 1st prize, The Arthur Rubinstein Award, Competition Gold Medal, Special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Chopin Piece, Advanced Studies Prize $3,000 ($1,000 a year, for 3 consecutive years For the outstanding pianist, up to 22 years of age), Junior Jury Prize, Audience Favorite Prize in the Periphery in Or Yehuda and Audience Favorite Prize in the Periphery in Jezreel Valley / 이스라엘 텔아비브 제15회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국제피아노마스터콩쿠르 1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어워드, 콩쿠르 금메달, 쇼팽 작품 최우수 연주 특별상, 22세 이하의 가장 뛰어난 피아니스트에게 헤다 프라이스만 재단에서 3년 동안 1년에 1천 달러씩 계속 수여하는 장학금 2천 달러, 청소년 심사위원상, 오르예후다 시 청중 인기상 및 예즈렐 밸리 청중 인기상 (5월)
2018 - Harvard Musical Association's Arthur W. Foote Award in USA / 미국 하버드 음악 협회 아서 윌리엄 푸트 어워드 (2월)
2018 - Prize for an outstanding Polish musician by the International Classical Music Awards Association in Katowice, Poland / 폴란드 카토비체 국제 클래식 음악상 협회 뛰어난 폴란드 연주자상 (4월)
2019 - Fryderyk Award in Katowice, Poland / 폴란드 카토비체 프리데리크 어워드 (3월)

폴란드 참가자들 중에서 굳이 입상 경력을 따지자면 야쿠브 쿠쉴리크나 표트르 파블라크를 결선에 올려줄 것 같은데... 네링이 참가한다는 사실을 알기 전에 예선에 나온 폴란드 참가자들만 봤을 때 어쩐지 누구 하나 못 올라갈 것처럼 보였다. 폴란드가 네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었나? 10년 전의 상황을 보면 이미 파이널리스트였던 3명이 참가했는데 봐가지고 2라운드에서 떨어뜨렸다. 그래서 고바야시든 누구든 또 나오지 않길 바랐다. 결선까지 준비한 연주를 다 보여준 걸로 족했던 네링 같은 마음이길 바랐건만 정작 직행 티켓 거머쥔 네링이 때는 이때다 하고 나왔다. 흑흑... 네링이 2차에서 떨어진다는 게 되게 이상한 그림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나는 결국 발상을 전환했다. 2005년처럼 폴란드를 결선에 2명 올려줄 수도 있다는 것. 폴리시가 결선에 1명만 있다면 그건 입상이 아닌, 홈 어드밴티지로 결선에 못 오를 수도 있는 것을 투표로 구제해서 올려주는 그림이었던 것 같다. 네링만 쏙 올려주면 다른 폴란드 참가자들 입장에선 억울할 수도 있다. 그래서 네링을 또 올려주면서 다른 폴란드 참가자를 끼워 넣는 시나리오를 생각할 수밖에.

루빈스타인 콩쿠르가 우승한다고 멈추는 대회가 아니란 건 알고 있었다. 네링은 우승 이후 다른 콩쿠르에 참가하는 다섯 번째 우승자이다.

Igor Tchetuev (Ukraine) / 이고르 체투예프 (우크라이나)
1998 - 9th Arthur Rubinstein International Piano Master Competition in Tel Aviv, Israel 1st prize, Arthur Rubinstein Award, Gold Medal, Marquesa Olga de Cadaval Prize - $10,000 awarded by the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Portugal), Kawai Prize - grand piano (RX-3) presented by Kawai Company of Japan "Audience Favourite" Prize sponsored by "Yediot Acharonot" (daily press) / 이스라엘 텔아비브 제9회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국제피아노마스터콩쿠르 1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상, 금메달, 포르투갈의 칼루스테 굴벤키안 재단이 수여하는 "마르케사 올가 데 카다발" 상 및 1만 달러, 일본 가와이 회사에서 수여하는 가와이 상(그랜드 피아노 RX-3), 일간지 "예디옷 아하로놋"이 후원하는 청중 인기상
2003 - 14th Leeds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England 4th prize / 잉글랜드 제14회 리즈 국제피아노콩쿠르 4위

Kirill Gerstein (Russia) / 키릴 게르슈타인 (러시아)
2001 - 10th Arthur Rubinstein International Piano Master Competition in Tel Aviv, Israel 1st prize, The Arthur Rubinstein Award, Gold Medal and Kawai Prize - grand piano (RX-3) offered by Kawai Company of Japan / 이스라엘 텔아비브 제10회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국제피아노마스터콩쿠르 1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상, 금메달 및 (일본 가와이 회사에서 제공하는 가와이 특별상으로) 그랜드 피아노 RX-3 (4월)
2003 - 1st Kissinger Klavierolymp in Bad Kissingen, Germany 3rd prize / 독일 제1회 바트 키싱엔 피아노 올림피아드 3위 (10월)

Daniil Trifonov (Russia)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2011 - 13th Arthur Rubinstein International Piano Master Competition in Tel Aviv, Israel 1st prize, The Arthur Rubinstein Award, Competition Gold Medal, Prize for the Best Performer of Chamber Music, "Pnina Salzman" Prize for the Best Performer of a Chopin piece and "Audience Favorite" Prize / 이스라엘 텔아비브 제13회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국제피아노마스터콩쿠르 1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상, 콩쿠르 금메달, 실내악 최우수 연주 특별상, 쇼팽 작품 최우수 연주자에게 수여하는 프니나 살츠만 특별상 및 청중 인기상 (5월)
2011 - 14th Tchaikovsky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Moscow, Russia 1st prize, Gold Medal, Grand Prix, Audience Choice Award and the Award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Mozart Concerto ex-aequo with Yeol-Eum Son (Korea) / 러시아 모스크바 제14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 피아노 부문 1위, 금메달, 그랑프리, 청중상 및 손열음과 모차르트 협주곡 최우수 연주 특별상 공동 수상 (7월)

Antoni Baryshevsky (Ukraine) / 안토니 바리셰프스키 (우크라이나)
2014 - 14th Arthur Rubinstein International Piano Master Competition in Tel Aviv, Israel 1st prize, Arthur Rubinstein Award, Competition Gold Medal and Prize for the Best Performer of the Israeli Composition / 이스라엘 텔아비브 제14회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국제피아노마스터콩쿠르 1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상, 콩쿠르 금메달 및 이스라엘 작품 최우수 연주 특별상 (5월)
2020 - 22nd Scriab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Grosseto, Italy 1st prize / 이탈리아 그로세토 제22회 스크리아빈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2월)

그동안 쇼팽 콩쿠르에서는 재수생에게 우승이 주어지지 않았다. 네링이 우승한다면 내가 쌓아둔 경험치 다 갈아엎는다. 차크무르의 불참 때문에 그동안의 노하우를 싹 다 날렸지만 그동안 콩쿠르를 지켜보면서 쌓은 내 노력이기도 하다. 나만 알 수도 있는 것을 평소에 조금씩 알려줬던 것.

5년 전 예선에서 우승 후보를 찾았다는 것에 들떠 네링 응원하는 것에 대해 “남의 블로그에 가서 뭐라고 댓글을 달지는 않으면서 자기 블로그에서 포스팅으로 시비 거는 방식”으로 조성진 골수팬한테 트집잡힌 적이 있었는데 그럼에도 나는 끝까지 네링 편을 들어줬다. 하지만 우승은커녕 입상조차 하지 못해서 쥐구멍에 들어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네링이 5년 후 재도전할 것을 생각해서 블로그를 그만 두려던 것을 5년 연장한 것도 있었다. 루빈스타인 콩쿠르에서 우승하고 나서 이제 프로 연주자로 도약하여 연주 여행 잘 다니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재도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결과적으로 나는 네링이 쇼팽 콩쿠르에 또 나오길 기다린 꼴이 되었다. 나한테 가장 기억에 남는 대회를 질문한다면 2010년이다. 하지만 가장 열심히 응원했던 사람은 2015년의 네링이었다. 안티맨 때문에 조성진 팬들과 블로그 이웃이 되어 얘기하게 되면 나는 조성진의 팬이 아니며 네링을 응원했다고 고백했다. 물론 저 사람이 우리나라 응원 안 하네 어쩌네 하는 사람들은 내 블로그를 무시하라고 누누이 얘기하게 되었다. 맘에도 없으면서 괜히 우리나라라고 편들면 병나니깐 마찬가지로 내 블로그 와서 끙끙 앓지 말라고 미리미리 힌트를 줘야지 별 수 없다.

네링이 우승하면 당시의 엄청 무안했던 심정이 만회되려나? 내가 볼 때 지난 대회보다 참가자만 더 늘었을 뿐 수준이 더 낮다. 다닐 트리포노프나 조성진처럼 깨끗한 입상 경력 지닌 사람이 없다고 봐야 한다. 윤디 리가 우승하고 나서 임동혁이 우승하지 못했듯이 조성진이 우승하고 나서 아시아 참가자한테 연속으로 우승을 내줄 리가 없다. 어떻게 보면 네링이 우승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차크무르의 불참으로 인해 참가번호 1~10번에서 우승이 나온다는 내 최후의 경험치에 대한 집착은 줄어들었다. 그래도 결선에서 누가 가장 앞선 번호가 되는지는 지켜볼 것.

한편 이번 대회에는 2018 하마마쓰 콩쿠르 입상자 2명이 예상대로 참가했다. 하마마쓰에서 받은 순위보다 한 계단 낮은 순위를 받는다고 치면 도모하루 우시다는 3위, 이혁은 4위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꼭 그렇게 되는 건 아니고 결선 전에 어딘가에서 탈락할 수도 있다. 둘 다 1~2위 바라보기는 굉장히 힘들다. 나는 얼마든지 10년 전처럼 아시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참가자들이 전부 탈락하고 결선에 유럽만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다. 중국이나 일본이나 인원이 많다고 입상하기 유리한 조건은 아니다. 내가 이렇게 말하는 게 보기 거슬리면 내 블로그에 오지 않으면 된다.

2020년 3월 1일 일요일

Francesco Piemontesi - Live at Wigmore Hall in London (3 November 2019)



프란체스코 피에몬테지 리사이틀 - 2009년 11월 3일 런던 위그모어 홀

Program
Schubert Impromptus, Op. 90 (D. 899) / 슈베르트 즉흥곡 작품 90
No. 1 in c
No. 2 in Eb
No. 3 in Gb
No. 4 in Ab

Schubert Sonata in D, D. 850 / 슈베르트 소나타 17번
I. Allegro vivace
II. Con moto
III. Scherzo. Allegro vivace
IV. Rondo. Allegro moderato

Encore
Schubert Impromptu in Ab, Op. 142 (D. 935) No. 2 / 슈베르트 즉흥곡 작품 142-2

유튜브에서도 전체를 볼 수 있다.

Google Drive / 2024. 11. Geneva Competition Winners 6

1957년 공동 2위 Maurizio Pollini (Italy) /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 01 Maurizio Pollini - Beethoven Complete Piano Sonatas 마우리치오 폴리니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 8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