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18년 5월 19일 토요일

Label / Brilliant Classics


https://www.brilliantclassics.com/
https://en.wikipedia.org/wiki/Brilliant_Classics

Brilliant Classics is a classical music label based in the Dutch town of Leeuwarden. It is renowned for releasing super-budget-priced editions on CD of the complete works of J.S. Bach, Mozart, Beethoven and many other composers. The label also specializes in new recordings of early music, chamber, organ and piano music.

브릴리언트 클래식스는 네덜란드 레이우아르던 마을에 기반을 둔 클래식 음반사이다.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등 많은 작곡가들의 전집을 대단히 저렴한 가격으로 에디션 음반을 발매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고음악, 실내악, 오르간 음악, 피아노 음악의 새로운 녹음들도 전문으로 한다.

Mission
Since its inception, Brilliant Classics has sought to bring art music to the widest possible public by releasing all its recordings at budget and super-budget price. The distribution strategy of selling through supermarkets and drugstores (see History below) introduced classical music to a mass market when most other labels were selling to a specialized audience. One of its best-known sets is the complete works of J.S. Bach on 155CDs: this has sold more than 500,000 units. Though CD is still the primary medium for Brilliant Classics, all its new releases are available as downloads, and many are available on streaming services.

설립 이래, 브릴리언트 클래식스는 염가와 초염가 가격으로 모든 녹음을 발매함으로써 가능하면 가장 폭넓은 대중에게 예술 음악을 제공하고자 했다. 슈퍼마켓과 약국(아래 역사 참조)을 통한 판매 전략은 대부분의 다른 음반사들이 전문 청중에게 판매하고 있을 때 클래식 음악을 대중 시장에 도입했다. 그 가장 유명한 세트 중 하나는 155장의 CD로 발매된 바흐 전집인데, 이것은 50만 장 이상이 팔렸다. CD는 여전히 브릴리언트 클래식스의 주요 매체이지만, 새로운 발매 음반들 모두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많은 것들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History
The label was founded in 1995, and its artistic director since then has been Pieter van Winkel, a pianist and record producer. Brilliant Classics releases were initially sold exclusively by the retail outlets of Kruidvat, a chain of drugstores in the Netherlands and Belgium. The retail price of each release was very low, encouraging mass consumption in a different business model to the release, distribution and marketing network then prevalent in the classical music world. The success of this venture led to international distribution in other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the UK, where Brilliant Classics releases were sold in the Superdrug chain of stores, and Aldi and Rossmann supermarkets in Germany. In 2007 Brilliant Classics became part of Foreign Media Music, one of the Foreign Media Group (FMG) of companies based in Leeuwarden. In September 2010 the label was sold to a Dutch investment company, Triacta B.V., who performed a 'corporate carve-out' before selling the company on to Edel AG, a German entertainment group with a long presence in the core classical market through its ownership of Berlin Classics. Berlin Classics continues as a division of Edel as well as licensing content to Brilliant Classics. The label is now distributed across Europe and in North America, Australia and Far East.

이 레이블은 1995년에 설립되었으며 이후 예술 감독은 피아니스트이자 레코드 프로듀서인 피터 반 빈켈이 되었다. 브릴리언트 클래식스는 처음에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약국 체인 크루이밧의 소매점에서만 독점 판매되었다. 각 음반의 소매가격은 매우 낮았으며, 클래식 음악계에서 유행하는 발매, 배포, 마케팅 네트워크와는 다른 비즈니스 모델에서 대중 소비를 장려했다. 이 (사업상의) 모험의 성공으로 브릴리언트 클래식스 음반들이 영국의 수퍼드러그 계열의 매장과 독일의 알디 슈퍼마켓과 로스만 슈퍼마켓 등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국제 유통이 이루어졌다. 2007년에는 브릴리언트 클래식스는 레이우아르던에 본사를 둔 포레인 미디어 그룹(FMG) 중 하나인 포레인 미디어 뮤직의 일부가 되었다. 2010년 9월에는 베를린 클래식스의 소유권을 거쳐 핵심 클래식 시장에서 오래 존재하는 독일 엔터테인먼트 그룹인 에델 AG에 회사를 팔기 전에 ‘기업 개척’을 수행했던 네덜란드 투자 회사인 트리악타 B.V.에 팔렸다. 베를린 클래식스는 브릴리언트 클래식스에 대한 라이선스 콘텐츠뿐만 아니라 에델의 분업으로 계속된다. 이 음반사는 현재 유럽과 북아메리카, 호주, 동아시아 지역에 배포된다.

Release Policy
Since 2000, Brilliant Classics has issued more than a hundred releases per year, including on average more than six new recordings each month. The repertoire for new recordings is chosen on the basis of interest for the classical collector, interested in newly available or otherwise unavailable music in genres such as Renaissance and Baroque vocal music, Classical-era chamber music, composers from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nd Minimalist piano music.

2000년 이래로 브릴리언트 클래식스는 매월 평균 6회 이상의 새로운 녹음을 포함하여 연간 100회 이상 발표했다. 새로운 녹음을 위한 레퍼토리는 클래식 컬렉터에 대한 관심을 토대로 선택되며, 르네상스 및 바로크 성악, 고전주의 실내악, 20세기 초의 작곡가와 미니멀리즘 피아노 음악 등 새롭게 이용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은 음악에 관심이 있다.

2018년 5월 18일 금요일

Telos Music / Igor Shukow Edition, Vol. 4 - Bach, Mozart & Shostakovich Piano Concertos (Live Recording) 2014



주코프 에디션 4
Igor Shukow, piano & conductor / 이고르 주코프, 피아노 및 지휘
New Moscow Chamber Orchestra / 뉴 모스크바 실내 오케스트라

Track
01 Bach Concerto for harpsichord, strings & continuo No. 3 in D, BWV 1054 - I. (Allegro) / 바흐 하프시코드 협주곡 3번 BWV 1054
02 Bach Concerto for harpsichord, strings & continuo No. 3 in D, BWV 1054 - II. Adagio e piano sempre
03 Bach Concerto for harpsichord, strings & continuo No. 3 in D, BWV 1054 - III. Allegro
04 Mozart Piano Concerto No. 23 in A, K. 488 - I. Allegro /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3번
05 Mozart Piano Concerto No. 23 in A, K. 488 - II. Adagio
06 Mozart Piano Concerto No. 23 in A, K. 488 - III. Allegro assai
07 Shostakovich Concerto No. 1 for piano, trumpet & strings in c, Op. 35 - I. Allegro moderato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1번
08 Shostakovich Concerto No. 1 for piano, trumpet & strings in c, Op. 35 - II. Lento
09 Shostakovich Concerto No. 1 for piano, trumpet & strings in c, Op. 35 - III. Moderato
10 Shostakovich Concerto No. 1 for piano, trumpet & strings in c, Op. 35 - IV. Allegro con brio

'Herr Bach is a master of music of such eminence that we can certainly challenge all foreign composers with him. It is no wonder then that he can offer us a work in this form which earns the envy of our own great composers, while others attempt to emulate him but in vain.'

‘헤어(남자의 독일어 경칭) 바흐는 우리가 확실히 그와 함께 모든 외국 작곡가들에게 도전할 수 있는 그런 저명한 음악의 거장이다. 그가 우리의 위대한 작곡가들의 부러움을 사는 이런 형식의 작품을 우리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인 반면, 다른 작곡가들이 그를 모방하려 하지만 헛된 것이다.’

With these words in the weekly magazine "Der Critische Musikus" of Hamburg, Johann Adolph Scheibe forced himself to praise the music of Johann Sebastian Bach.

요한 아돌프 샤이베는 함부르크의 주간지 <데어 크리티쉐 무지쿠스>에서 이러한 말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음악에 찬사를 보냈다.

This was a pleasing exception to his usual judgement: he would customarily accuse his countryman of exaggerated artificiality, florid style, and striking absence of a sense of ease. His chauvinism regarding music is wholly inappropriate, for the muse of German music would have been poorly served were it not for those 'foreign composers'. Scheibe's praise quoted above was for Bach's Concerto for clavier in F major (BWV 1057). This work comes out of the Romantic tradition originating south of the Alps. So do many musical forms - sonata, sinfonia, and of course concerto - which we are happy, if not right, to attribute to 'our' Viennese School. Michael Praetorius had already admired 'the new concerto style of the Italians' and had suggestively adopted the name for this form from the Italian 'concertare'. Such musical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mong different instrumental groups developed along a path going from the Venetian polychoral work of Giovanni Gabrileli, through the concerto grosso of Arcangelo Corelli, to the solo concerto of Giuseppe Torelli. And Johann Sebastian Bach let himself be inspired by that 'Italian gusto' and transcribed during his Weimar years quite a few of Antonio Vivaldi's violin concertos. Vivaldi, who was known as il prete rosso (the red-haired priest) used the musical structure called ritornello, with its alternation of tutti and modulated virtuoso solo passages. This served as a model for Bach, the 'Luther of Music', for his own violin concertos.

이것은 그의 평소의 판단에서 즐거운 예외였는데, 그는 과장된 인위적인 것, 거친 스타일, 편안한 감각의 현저한 부재를 관습적으로 비난했을 것이다. 음악에 대한 그의 쇼비니즘(우월주의)은 전적으로 합당하지 않은데, 독일 음악의 뮤즈는 그런 ‘외국 작곡가들’이 아니었다면 형편없는 취급을 받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샤이베의 찬사는 바흐의 클라비어 협주곡 6번 F장조(BWV 1057)에 대한 것이었다. 이 작품은 알프스 남부에서 시작된 낭만주의 전통에서 나온 것이다. 소나타, 신포니아, 물론 협주곡 등 많은 음악 형식도 마찬가지인데, ‘우리의’ 비엔나 스쿨에 속하는 것이 옳지 않을지라도 행복하다. 미하엘 프레토리우스(독일의 작곡가)는 이미 ‘새로운 이탈리아 풍의 협주곡 스타일’에 감탄했으며 이탈리아의 ‘콘체르타레’(경쟁하다, 협력하다)에서 유래한 이 형식에 대한 이름(콘체르토)을 암시적으로 채택했다. 조반니 가브리엘리의 베네치아 풍의 다성 합창곡부터 아르칸젤로 코렐리의 콘체르토 그로소(합주 협주곡)를 거쳐 주제페 토렐리의 솔로 콘체르토(독주 협주곡)에 이르기까지의 길을 따라가는 다양한 기악 그룹들 사이의 음악적 경쟁과 협력이 발전했다. 그리고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이탈리아 풍‘에 영감을 받아 바이마르 시절 동안 안토니오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들 중 상당수를 편곡했다. “빨간 머리의 신부"로 알려진 비발디는 투티의 교체, 조바꿈된 비르투오소 솔로 패시지들과 함께 리토르넬로(독주와 총주가 서로 번갈아가며 곡을 진행시키는 기법)라고 불리는 음악 구조를 사용했다. 이것은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에 대한 ’음악의 루터‘ 바흐를 위한 모델로 쓰였다.

During Bach's time in Leipzig, he performed frequently in the Collegium Musicum and therefore needed representative works for keyboard. His own violin concertos were among the works he used, in order to adapt them for the desired instrumentation. Thus out of the Violin Concertos in A minor (BWV 1041) and E major (BWV 1042) emerged the Clavier Concertos in G minor (BWV 1058) and D major (BWV 1054) respectively. The aforementioned F major Concerto, praised by Scheibe, can be traced to the fourth Brandenburg Concerto. In the well-known D minor Concerto (BWV 1052), Bach used material from a concerto for violin which Bach had already used in two of his cantatas. Of the seven concertos for clavier of Bach that are believed to have been composed between the years 1730 and 1733, all are adaptations of earlier works, either his own or by others. This was a very common practice then; the idea that a person of genius must pursue originality at all costs was still alien to those times. In his transcriptions for the keyboard part, Bach gave to the right hand what was played on the solo instrument (violin, oboe, etc.) in the original concerto. The left hand performed for the most part the traditional role of the basso continuo: either doubling the bass line of the violoncellos or expanding it into chords. This can be seen in the figured bass of the "Adagio" in the D major Concerto. By 'clavier' of course was meant in Bach's time the harpsichord which, rather than the delicate-sounding clavichord, was the preferred keyboard instrument for concerts. The clavier was thus now somewhere between its earlier modest role as an accompanying instrument for the general bass line, and the exposed position of a solo instrument that it would find in later times. The result was not so much a brilliant contest as a gentle approach to a dialogue which, at least in Goethe, awakened a sensation 'as if the eternal harmony were communing with itself.'

바흐는 라이프치히 시절 동안 콜레기움 무지쿰에서 자주 연주했으며 따라서 건반을 위한 대표적인 작품들이 필요했다. 자작 바이올린 협주곡들은 그가 원하는 악기 연주에 맞추기 위해 사용했던 작품들 중에 있었다. 따라서 바이올린 협주곡 1번 a단조(BWV 1041)와 2번 E장조(BWV 1042)는 각각 클라비어 협주곡 7번 g단조(BWV 1058)와 3번 D장조(BWV 1054)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6번 F장조 협주곡은 샤이베가 찬사를 보낸 것으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에서 기인한다. 잘 알려진 1번 d단조 협주곡(BWV 1052)에서 바흐는 그가 이미 그가 작곡한 칸타타 중 두 곡에서 사용했던 바이올린 협주곡의 소재를 사용했다. 1730~1733년에 작곡된 것으로 여겨지는 바흐의 7개 클라비어 협주곡 중, 모두가 초기 작품들의 편곡이며, 자신의 작품 아니면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이다. 이것은 당시에 매우 일반적인 관행이었는데, 천재성을 가진 사람이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독창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은 여전히 그런 시대들에 맞지 않았다. 건반 파트를 위한 편곡들에서 바흐는 원래의 협주곡에서 독주 악기(바이올린, 오보에 등)로 연주된 것을 오른손으로 옮겼다. 왼손은 대부분 바소 콘티누오(=통주저음 : 저음을 고정시키고 위에서 화성으로 반주하는 오르간 연주법)의 전통적인 역할을 수행했는데, 첼로의 베이스 선율을 두 배로 높이거나 화음들로 확대했다. 이것은 3번 D장조 협주곡 2악장 아다지오(느리게)의 통주저음에서 볼 수 있다. 물론 바흐의 시대에는 ‘클라비어’가 섬세한 음색을 가진 클라비코드보다는 연주회용으로 선호하는 하프시코드로 여겨졌다. 따라서 이 클라비어는 이제 일반적인 베이스 선율을 위한 반주 악기로서의 초기의 겸손한 역할과 후기에 발견할 수 있는 독주 악기로 노출된 위치 사이의 어딘가에 있었다. 그 결과는 적어도 괴테가 말했던, ‘마치 영원한 화성이 스스로 대화하듯’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대화에 대한 부드러운 접근처럼 뛰어난 경쟁이 아니었다.

Goethe, 'the prince of poets', used to compare his own genius to that of Raphael or Mozart: 'My works cannot become popular. [...] And when properly perceived, is that not so with all extraordinary things? So is Mozart popular? [...] And how do most people in the world behave towards intellectual lives that represent great overflowing sources? They nibble a bit, and are happy to pick up something now and then that offers them a superior diet for a while.' But Mozart was actually 'popular' at leas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780s - a short time indeed. He became a free person in 1781 after his break, preceded by Count Arco's infamous kick, with Archbishop Colloredo of Salzburg. This was however at a time which knew musicians only as appointees of the court and not as freelance artists. Nevertheless, Mozart's beginning as a self-employed musician was full of promise. The father Leopold had hit upon Vienna as the heart of central Europe's music world; and here Wolfgang, who in the meantime had grown out of his Wunderkind years, soon became a renowned celebrity. The Viennese Court gave Mozart commissions and was present at his opera premieres. The nobility invited him to their salons. His subscription concerts were very well attended and financially most successful, as Leopold noted with satisfaction during a visit to Vienna in 1785. Permanent features of these public 'academies', in addition to the arias, chamber and symphonic works which they offered, were his piano concertos composed from 1782 on. Mozart presented himself as the virtuoso in these concertos.

‘시인의 왕자’ 괴테는 그의 천재성을 라파엘(가브리엘, 미하엘과 더불어 3대 천사로 탁월한 상상력의 소유자)이나 모차르트와 비교하는 데에 사용했다. - ‘내 작품들은 인기가 없다. [...] 그리고 적절하게 감지될 때, 모든 특별한 것들이 그렇지 않았나? 그럼 모차르트가 인기 있나? [...] 그리고 세계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넘쳐흐르는 근원을 나타내는 지적인 인생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나? 그들은 조금씩 먹고 이제 어떤 것을 집는 것이 행복하며 이제 잠시 동안 수준 높은 식사를 제공한다.’ 그러나 모차르트는 적어도 1780년대 상반기 동안 실제로 인기가 있었는데, 정말 잠깐이었다. 그는 잘츠부르크의 대주교 히에로니무스 그라프 폰 콜로레도(잘츠부르크의 영주이자 정치와 종교를 지배할 수 있는 최고의 권력을 가진 대주교. 모차르트의 음악을 듣고 새로운 세상을 깨닫지만 그는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모차르트의 천재성을 인정하려 하지 않고 자신의 소유물로 만들고 싶어 한다.)의 명령에 의해 악명 높은 카를 요제프 그라프 아르코 백작(콜로레도 대주교의 오른팔로 그의 명령에 따라 볼프강 모차르트를 감시한다. 신분 차이를 이용해서 모차르트를 직접적으로 억압한다.)에게 엉덩이를 걷어차여 쫓겨난 후 1781년에 자유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한때 자유 계약(프리랜서) 아티스트가 아닌 궁정의 임명자로만 알려져 있었다. 그럼에도 모차르트의 독자적으로 연주 활동을 하는 음악가로서의 시작은 가능성에 가득 차 있었다. 아버지인 레오폴트는 비엔나를 유럽 음악의 중심으로 꼽았으며, 여기서 분더킨트(신동) 시기 동안 성장했던 아들 볼프강은 곧 유명 인사가 되었다. 비엔나 궁정은 모차르트에게 작품을 위촉했으며 그는 자신의 오페라 초연에 참석했다. 귀족은 그를 그들의 살롱에 초대했다. 그의 (티켓을 미리 파는) 예약제 콘서트는 레오폴트가 1785년에 비엔나를 방문하는 동안 매우 만족하여 기록했던 것처럼 출석이 아주 좋았으며 재정적으로 가장 성공적이었다. 이 대중의 영속적인 기능인 ‘아카데미’는 이들이 제공했던 아리아, 실내악, 교향악 작품들과 함께 1782년부터 계속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들이었다. 모차르트는 이 협주곡들의 거장으로 자신을 소개했다.

One of the favourites of the public then as now was the bright and lively A major Concerto KV 488. It was composed for an academy held during Lent 1786, at the same time that Mozart was working on his first da Ponte opera "The Marriage of Figaro". In this concerto, the orchestra foregoes kettledrums and tympani. The traditional oboes are replaced by clarinets, which had slowly begun to be accepted as orchestral instruments. The transparency of the part-writing corresponds to the clarity of the structure. The two lighthearted and playful themes from the "Allegro", first introduced by the orchestra, are taken over as is usual by the piano in figured form. The orchestra introduces, after the exposition, a third theme which is more staid. The piano concentrates almost exclusively on this theme during the development section. This is but one example of the manifold variants which Mozart allows the sonata form to give to the piano concertos. The cadence (from Mozart's own hand), reached after the reprise with the traditional six-four chord, engages itself with none of the above three themes; rather, it is free discourse, improvised modulation. The "Adagio", in the sombre parallel key of F sharp minor, leaves an agreeable sense of melancholy, a gallant style, far behind. It conveys rather, in spite of a bright middle section for woodwinds, a deep sadness. The feeling is not of distracted despair, but more of a mild resignation which seems to cast its gaze towards the hereafter. The opening notes of the "Finale" bring one back to a bright, festive earth. Although a minor key-related sense of overcast recalls the mood of the "Adagio", it is soon overcome with great vigour and an opulent variety of themes. What Mozart had planned in 1782 for his piano concertos appears here to have been realized perfectly:

그때나 지금이나 대중이 선호하는 것들 중의 하나는 밝고 활기찬 23번 A장조 협주곡이었다. 이 곡은 1786년 사순절 동안 개최된 아카데미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동시에 모차르트는 그의 첫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로렌초 다 폰테의 대본)에 애쓰고 있었다. 이 협주곡에서 오케스트라는 케틀드럼과 팀파니를 앞선다. 전통적인 오보에는 오케스트라 악기로 서서히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클라리넷으로 대체된다. 각 성부 진행의 안배는 분명한 구조와 일치한다. 오케스트라가 먼저 나오는 1악장 알레그로(빠르게)에서 2개의 경쾌하고 활발한 주제들은 구성 형식에서 피아노로 흔히 나오는 것처럼 넘어간다. 오케스트라는 제시부가 나온 후 보다 침착한 제3주제를 도입한다. 피아노는 발전부에서 이 주제에만 거의 집중한다. 이것은 모차르트가 피아노 협주곡에 소나타 형식을 허용하는 여러 가지 변형들 중 하나일 뿐이다. (모차르트의 손에서) 종지는 전형적인 4-6 화음(3화음의 제5음이 베이스에 있는 화음, 즉 3화음의 둘째자리바꿈을 말한다. 이것은 베이스로부터 4도와 6도의 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말한다.)으로 반복 부분에 손을 뻗치는데, 세 가지 주제 중 아무것도 다루지 않는다. - 오히려 자유로운 화법, 즉흥적인 조바꿈이다. (A장조와 단3도 간격의 나란한조인) 침울한 올림f단조의 2악장 아다지오(느리게)는 씩씩한 스타일과는 멀리 떨어진 우울함에 선뜻 동의하는 느낌을 남긴다. 목관악기의 밝은 중간부가 있음에도 오히려 깊은 슬픔을 전달한다. 이 느낌은 괴로운 절망이 아니라 앞으로 나아갈 시선을 돌리는 것 같은 차라리 가벼운 체념이다. 3악장 피날레의 첫머리에 나오는 음들은 화려한 축제의 땅으로 모인다. 단조와 관련된 흐린 느낌은 2악장 아다지오의 분위기를 회상하지만, 곧 커다란 활력과 풍부하면서도 다양한 주제들로 극복된다. 모차르트가 1782년에 피아노 협주곡에 대해 계획한 것이 여기서 완벽하게 실현된 것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The concertos are a cross between being too heavy and too light - they are very brilliant - pleasant to the ears - naturally, not sinking into an absence of expression - here and there - also could be that the expert alone gets satisfaction - but still - the amateur must be satisfied with them, without knowing why.'

‘협주곡은 너무 무겁고 너무 가벼운 것 사이의 십자가이다. - 협주곡은 매우 훌륭하다. - 귀에 즐겁다. - 자연스럽게도 표현의 부재에 빠져들지도 않는다. - 여기저기서도 - 전문가만이 만족할지도 모른다. - 그러나 여전히 - 아마추어는 이유를 모른 채 협주곡에 만족해야 한다.’

He was not always able to keep to this 'recipe for success'. Every now and then came forcefully out of his music something sombre, passionate, depressive, which shook the social milieu of the 18th century. Cramer's "Musikmagazin" disapprovingly diagnosed, in the composer's 'propensity to seriousness and the unusual'. The demonically growling D minor Concerto KV 466, which became so popular in the 19th century, only irritated its public. The C minor Concerto KV 491, composed in the same year as the cheerful A major Concerto, finally shocked the public. There were no more subscribers after 1787, and a stillness descended around Mozart. The thought just did not occur to anyone of inviting him to the coronation of Leopold II in Frankfurt in 1790. The public had - exactly in the sense that Goethe meant it - nibbled enough of Mozart's 'superior provender', and now would rather consume the easily digestible stuff from Clementi, Kozeluch, and Dittersdorf.

그가 항상 이 ‘성공을 위한 레시피’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때로는 그의 음악에서 18세기의 사회적 환경을 뒤흔들어 놓았던 침울하고 정열적이면서도 우울한 뭔가가 격렬하게 나왔다. 크라머의 <음악 잡지>는 작곡가의 ‘진지함과 색다름에 대한 경향’에서 못마땅하다는 듯이 진단했다. 19세기에 대단한 인기를 얻은, 악마처럼 으르렁거리는 20번 d단조 협주곡은 대중을 오히려 짜증나게 했다. 쾌활한 23번 A장조 협주곡과 같은 해에 작곡된 24번 c단조 협주곡은 결국 대중에게 충격을 주었다. 1787년 이후에는 더 이상 후원자가 없었으며, 모차르트 주변에는 정적이 뒤따랐다. 어느 누구도 1790년 프랑크푸르트의 레오폴트 2세 대관식에 그를 초대할 생각이 없었다. 대중은 - 괴테가 의미했던 바로 그 느낌에서 - 모차르트의 ‘뛰어난 음식물’을 충분히 먹었으며 이제 클레멘티, 코젤루흐, 디터스도르프로부터 쉽게 소화할 수 있는 것을 소비하는 것이 차라리 나을 것 같다.

Entertainment was obviously a main concern of the young Shostakovich. He allowed himself a sly wink using the neoclassical irony of so-called 'serious music': 'If the public, during a performance of my works, smiles or indeed laughs out aloud, that would be a great satisfaction for me.' His opus 35, originally titled 'Concerto for piano accompanied by string orchestra and trumpet', thoroughly offered this satisfaction posthumously. This was not alone due to its lighthearted high-spirited intonation; already in the beginning, the mischievous inanities of the two soloists leave no doubt about the intended musical parody. A broad, rhapsodic theme then follows, introduced by the piano and the orchestra. Effusively cadenced phrases from the strings seem now to prepare a secondary theme. But instead, we are offered a rather trivial three-note motive of classical character. This is mimicked by the trumpet with fanfare-like intonation. The instrument gets involved cheekily time and again in the exposition and the recapitulation sections, with a total absence of the traditional heroic intonation of this 'royal brass'. The second movement which follows attacca is a Lento in slow waltz rhythm displaying the elegiac mood of a notturno. It is a contrast to the witty brilliance of the preceding and succeeding movements, through its lyricism and the expressive cantilenas heard from the piano, muted strings, and muted trumpet.

엔터테인먼트는 분명히 젊은 쇼스타코비치의 주요 관심사였다. 그는 소위 ‘진지한 음악’이라는 신고전주의 풍의 아이러니를 사용하여 자신을 교활한 윙크로 만들었다. - ‘대중이 내 작품들을 연주하는 동안 미소 짓거나 실제로 큰소리로 웃으면 내게 큰 만족이 될 것이다.’ 그의 작품 35는 원래 ‘현악 오케스트라가 반주하는 피아노와 트럼펫을 위한 협주곡’이라는 제목으로 사후에 이 만족감을 충분히 제공했다. 이것은 가볍고 활기찬 인토네이션[노래나 연주를 정확한 음높이나 음조(音調)로 하는 것] 때문만은 아니었는데, 이미 첫머리에서 두 독주자들(피아노와 트럼펫)의 장난스러운 공허함은 의심의 여지없이 의도된 음악적 패러디에 대한 것을 남긴다. 이어서 폭넓은 랩소디 풍의 주제가 나오는데,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로 시작한다. 현악기에서 넘쳐흐르는 종지의 프레이즈는 이제 두 번째 주제를 준비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대신 우리는 고전적인 성격에 대해 다소 시시한 3개의 음으로 된 모티브를 제공받는다. 이것은 팡파르 같은 인토네이션으로 트럼펫에 의해 모방된다. 이 악기(트럼펫)는 이 ‘로열 브라스’의 전통적으로 영웅적인 인토네이션이 전혀 없는 채로 제시부와 재현부에서 몇 번이고 건방지게 낀다. 아타카(악장의 마지막 또는 박자가 변하는 곳에서 다음 악장 또는 부분으로 중단 없이 계속 연주하라는 뜻)에 이어서 나오는 2악장은 느린 왈츠 리듬으로 슬픈 분위기의 녹턴을 나타낸다. 피아노에서 들려오는 칸틸레나(성악이나 기악에 사용되는 서정적인 선율, 또는 그러한 주법) 표현, (약음기를 써서) 소리를 줄인 현악기, 소리를 줄인 트럼펫을 통해 선행 악장(1악장)과 후속 악장(2악장)의 재치 있는 탁월함이 대조를 이룬다.

It is almost too much to call the "Moderato" which follows, again attacca, a movement. In any case this, with a toccata-like part for piano and a short emotional passage for strings, leads in less than thirty measures to the last movement. We experience in the concluding "Allegro con brio" the piano and the trumpet as equal solo partners. They converse mockingly with each other, and joyfully strike up more than once the most banal popular hits. The trumpet reaches back rather disrespectfully to 'Papa Haydn', and makes its own solo out of the opening theme from his Piano Sonata in D major (Hob. XVI:37). And now the piano also takes aim at a classic and does a brilliant cadence over Beethoven's famous "Rondo a capriccio in G major (opus 129), with the facetious title "Die Wut uber den verlorenen Groschen" (loosely: Fury over a lost penny). An oddly intensified stretto with high-spirited fanfares on trumpet and breath-taking glissandi on piano lead to an abrupt end to the work.

다시 한 번 아타카가 나온 다음에 3악장이 나오는데 대개 모데라토(보통 빠르기로)로 부른다. 어쨌든 이것은 피아노를 위한 토카타 같은 부분과 현악기를 위한 짧은 감정적인 패시지로 마지막 4악장까지 30개가 안 되는 마디들을 이끈다. 우리는 마지막 4악장 알레그로 콘 브리오(빠르고 활기차게)에서 동등한 독주 파트너로서의 피아노와 트럼펫을 경험한다. 그들은 서로 조소하듯이 대화를 나누며, 가장 진부한 히트곡들을 한 번 이상 즐겁게 연주하기 시작한다. 트럼펫은 차라리 ‘파파 하이든’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돌이켜 보며, 하이든 피아노 소나타 50번 D장조(Hob. XVI:37) 첫머리의 주제에서 이끌어낸 독창적인 솔로를 만든다. 그리고 이제 피아노 솔로도 클래식(고전파)을 목표로 하여 <잃어버린 동전에 대한 분노>라는 우스꽝스런 제목을 가진 베토벤의 유명한 <론도 아 카프리치오> G장조(작품 129)를 재단장하여 화려한 종지를 연주한다. 트럼펫에서의 활기찬 팡파르로 별나게 극대화된 스트레토(푸가에서, 주제의 제시가 밀접하게 서로 겹쳐 있는 일; 하나의 성부의 끝과 다음 성부의 처음이 서로 겹쳐 있는 형식)와 피아노에서의 숨이 멎는 듯한 글리산도(높이가 다른 두 음 사이를 급속한 음계에 의해 미끄러지듯이 연주하는 방법)로 인해 이 작품은 갑작스럽게 끝난다.

The Leningrad premiere of the concerto in October 1933, with the composer himself at the piano, earned great applause from the public and praise from the critics. The optimistic attitude of the music, in particular, corresponded to the prevailing political guidelines for things cultural, though these still required that all signs of bourgeois decadence were to be wiped out. The Soviet composer's attention was to be 'directed towards the successful and progressive principles of reality, and towards all that is heroic, radiant and magnificent'. This was a guideline against which the young and successful Shostakovich was himself soon to collide. Three years after the premiere of the piano concerto, a devastating article appeared in "Pravda" about his opera "Lady Macbeth of Mzensk". This led to a severe crisis in his career, his work, and his personal development; so began his decades-long struggle with the Soviet regime.

1933년 10월에 작곡가 자신이 피아노를 담당했던 레닌그라드 초연은 대중의 박수갈채와 함께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특히 음악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는 문화적 사상에 대한 정치적 지침에 부합했지만, 여전히 부르주아 퇴폐의 모든 징후가 사라지도록 요구했다. 소비에트 작곡가들의 관심은 ‘현실의 성공적이고 진보적인 원칙을 지향하며 영웅적이면서도 빛나는 장엄한 모든 것을 향한 방향으로’ 이끌었다. 이것은 성공한 젊은이 쇼스타코비치가 곧 충돌할 것이라는 지침이었다. 이 피아노 협주곡을 초연한지 3년 후, 러시아 일간지 <프라우다>에서 그의 오페라 <므젠스크의 맥베스 부인>에 대해 엄청나게 충격적인 기사가 나왔다. 이것은 그의 경력, 그의 작품, 그의 개인적인 발전에서 가혹한 위기로 이어지면서 소비에트 정권과의 수십 년 간의 투쟁이 시작되었다.

Igor Shukow was born in 1936 in Gorki, a city known today as Nizhni-Novgorod. He has however lived in Moscow since his early childhood. He studied piano in the Moscow conservatory with Emil Gilels, and also with the legendary Heinrich Neuhaus. In 1957, he won a prize in the Marguerite Long Piano Competition in Paris. He has since then been much sought after as a soloist by orchestras around the world. Many critics, as well as music lovers consider him one of the great pianists of his generation. They find his amity above all else for Russian works for piano to be exemplary. He was the first to record the complete set of Alexander Scriabin's piano sonatas. These recording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international attention, and are regarded as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poser.

이고르 주코프는 오늘날 니즈니노브고로드로 알려진 도시 고르키에서 1936년에 태어났다. 그러나 그는 어린 시절을 모스크바에서 보냈다.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에밀 길렐스에게서 피아노를 배웠으며, 전설적인 하인리히 네이가우스도 사사했다. 1957년에는 파리에서 열린 제7회 롱-티보 국제음악콩쿠르에서 준우승했다. 이후 그는 전 세계의 오케스트라들로부터 독주자로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많은 비평가들뿐만 아니라 음악 애호가들도 그와 동세대의 위대한 피아니스트들 중의 한 명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러시아의 피아노 작품들이 모범적이라는 것에 대해서 친근감을 느낀다. 그는 스크리아빈 피아노 소나타 전곡을 최초로 녹음했다. 이 녹음들은 상당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작곡가에 대한 해석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간주된다.

Igor Shukow has also made a name as a conductor. He founded the New Moscow Chamber Orchestra in 1983 and conducted it until 1994. He disbanded the orchestra that year in order to devote himself to the piano with renewed vigour. The pianist, whose repertoire ranges from Jean Philippe Rameau to Alban Berg, made a splendid comeback at the Herkulessaal in Munich. In the "Suddeutsche Zeitung", the recital was hailed as a 'miracle' (Klaus Bennert). Since then, Shukow has appeared as guest pianist at musical events in many well-known locations.

이고르 주코프는 지휘자로서도 유명해졌다. 그는 1983년에 뉴 모스크바 실내 오케스트라를 창단하여 1994년까지 지휘했다. 그는 그 해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어 피아노에 몰두하기 위해 오케스트라를 해산시켰다. 장 필리프 라모에서 알반 베르크에 이르는 레퍼토리를 가진 주코프는 뮌헨의 헤라클레스 홀에서 화려하게 복귀했다. <쥐트도이체 차이퉁>에서 이 리사이틀은 ‘기적’(클라우스 벤네르트)으로 표현되었다. 이후 주코프는 잘 알려진 여러 장소에서 음악 행사의 게스트 피아니스트로 출연해왔다.

If you need this album, you can ask me.

2018년 5월 17일 목요일

Melodiya / Igor Zhukov - Scriabin Complete Sonatas 1971



"This remarkable, intense and compact corpus of music is superbly brought off by the Russian virtuoso in a recording from 1971." - Sunday Times (13 February 2011) ★★★★☆

“러시아의 거장은 1971년에 녹음한 이 놀랍도록 강렬하면서도 치밀한 음악 전집을 훌륭하게 해냈다.” - 2011년 2월 13일 선데이 타임스 ★★★★☆

러시아의 명 피아니스트 이고르 주코프가 35세 때인 1971년 멜로디아 레이블에서 녹음한 스크리아빈 전집 앨범. 네이가우스에게 사사받은 주코프는 타고난 냉철한 품성과 네이가우스적인 낭만적인 성향이 이상적 조화를 이루고 있다. 스크리아빈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를 최초로 시도한 피아니스트로, 본 녹음 이후 28년이 지난 63세에 Telos 레이블에서 또 한 번의 전곡 레코딩에 도전하였다. 하지만 짧지 않은 시차를 지닌 이 두 개의 연주는 전혀 다른 감각과 템포의 연주로 큰 차이를 보인다. 인상적인 다이내미즘을 보여주는 날카로운 피아니즘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멜로디야 레코딩.

CD1
01 Sonata No. 1 in f, Op. 6 - 1. Allegro con fuoco
02 Sonata No. 1 in f, Op. 6 - 2. Andante
03 Sonata No. 1 in f, Op. 6 - 3. Presto
04 Sonata No. 1 in f, Op. 6 - 4. Funebre
05 Sonata No. 2 in g#, Op. 19 'Sonata-Fantaisie' - 1. Andante
06 Sonata No. 2 in g#, Op. 19 'Sonata-Fantaisie' - 2. Presto
07 Sonata No. 3 in F#, Op. 23 - 1. Drammatico
08 Sonata No. 3 in F#, Op. 23 - 2. Allegretto
09 Sonata No. 3 in F#, Op. 23 - 3. Andante
10 Sonata No. 3 in F#, Op. 23 - 4. Presto con fuoco
11 Sonata No. 4 in F#, Op. 30 - 1. Andante
12 Sonata No. 4 in F#, Op. 30 - 2. Prestissimo volando
13 Sonata No. 5 in F#, Op. 53

CD2
01 Sonata No. 6, Op. 62
02 Sonata No. 7, Op. 64
03 Sonata No. 8, Op. 66
04 Sonata No. 9, Op. 68
05 Sonata No. 10, Op. 70

Igor Zhukov is a Soviet and Russian pianist and conductor. He was born in Gorky in 1936. The musician's bright talent was already apparent when he was a young student of a music school and then a college. Zhukov continued his music education in the Moscow Conservatory where his talent was influenced by two outstanding pianists - Heinrich Neuhaus and Emil Gilels. Alexander Scriabin's musical legacy ranks high among Zhukov's concert repertoire.

이고르 주코프는 소련과 러시아의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이다. 그는 1936년 고르키에서 태어났다. 음악가의 빛나는 재능은 음악학교에서의 어린 학생이었을 때와 이후 대학에서 이미 드러났다. 주코프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음악 교육을 계속했으며, 그의 재능은 두 명의 뛰어난 피아니스트인 하인리히 네이가우스와 에밀 길렐스의 영향을 받았다.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의 음악적 유산은 주코프의 콘서트 레퍼토리 중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

From his first concert performance, the pianist turned to the works of this distinguished master receiving great critical acclaim: "Scriabin's music possesses its performing secret thanks to which its reproduction as congenial as it is done by the author becomes a most difficult problem. Igor Zhukov achieves the main point - he creates a mighty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mplication of rendition inseparable from Scriabin's poetry and dramatism. At the price of refusal from outward virtuosity, he fathoms a secret world of Scriabin's impulses and gentle rhythmic improvisation."

첫 콘서트 연주에서 이 피아니스트는 저명한 거장의 작품들에 의지하는데 극찬을 받았다. - “스크리아빈의 음악은 저자가 하는 것만큼 마음이 맞는 재현이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되는 것 때문에 그 연주 비밀을 가지고 있다. 이고르 주코프는 핵심적인 것을 해내는데, 그는 스크리아빈의 우아함과 극적인 성격으로부터 불가분의 연주에 대해 굉장히 감정적이고 심리적인 암시를 만든다. 외부의 기교로부터 거절의 대가로, 그는 스크리아빈의 충동과 부드러운 리듬의 즉흥 연주의 비밀 세계를 간파한다.”

Ten sonatas by Alexander Scriabin (1872 - 1915) included in this Melodiya release are milestones on the way of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composer's piano works. Scriabin was a superb pianist, and many peculiar features of his performing manner such as nervous excitement, flexible nuances, subtle variability of tempo and rhythm, and the finest gradation of sound found their immediate reflection in his works.

이 멜로디야 레이블에서 발매된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의 10개의 소나타(1872~1915)는 작곡가의 피아노 작품들의 발전과 진화에 대한 방식에서 획기적인 사건이다. 스크리아빈은 훌륭한 피아니스트였으며 신경질적인 흥분, 유려한 뉘앙스, 변동이 심한 미묘한 템포와 리듬, 최상의 음색 등 그의 연주 방식의 많은 특징이 그의 작품들에 즉시 반영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The first three sonatas were composed in the 1890's, the years of maturing and artistic formation. This period in Scriabin's music was signified with strongly pronounced romantic tendencies and certain nearness to Chopin's and partly Schumann's and Liszt's traditions.

첫 3개의 소나타는 1890년대에 작곡되었는데, 성숙함과 예술적인 구성의 시기였다. 스크리아빈의 음악에서 이 시기는 강하게 두드러진 낭만적인 경향, 쇼팽과 어느 정도 가깝다는 것, 부분적으로는 슈만과 리스트의 전통을 나타냈다.

His adolescent Sonata No. 1 in F minor, Op. 6 (1893) was conceived as a tragic piece. It reflects Scriabin's emotional experience with misfortune that overtook him. "At the age of 20 with a developed hand disease. The most important event in my life. The fate sends... An insurmountable obstacle according to the doctors... Grumbling at the fate and God. Composing the first sonata with a funeral march," the composer wrote in a rough notebook.

그의 청춘의 소나타 1번(1893)은 비극적인 곡으로 여겨졌다. 그를 덮친 불행에 대한 스크리아빈의 감정적인 경험을 반영한다. “20세에 손에 있는 병이 진전된 상태였다.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운명은 보낸다... 의사들에 따르면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 운명과 신에 대한 불평. 장송곡이 있는 첫 번째 소나타를 작곡하고 있다”고 작곡가는 적막한마음의 세계인 수첩에 적었다.

The four movements of the sonata unveil various shades of emotional states gradually thickening towards the end. The first movement "Allegro con fuoco" has some light to it, but any further development of the themes fails to lead to a triumph of positive forces. Moderated intonations of the funeral march to come sound like a gloomy omen at the end of the movement penetrating into a slow second movement. The deeply concentrated music of "Andante" is full of restrained sorrow and heavy reflection. The third movement, a swift "Presto", shoots past in a burst of inspiration. The last movement "Funebre" is a tragic epilogue. An expressive "talking" melody, a heartfelt and mournful monologue, sounds on the background of a measured tread of deep basses of the funeral march.

소나타 1번의 네 악장은 감정적인 상태의 다양한 음영을 밝혀서 점차적으로 끝까지 진하게 한다. 1악장 알레그로 콘 푸오코(격렬하게 빨리)는 약간의 빛이 있지만, 주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더 이상 긍정적인 힘을 얻지 못한다. 장송 행진곡에서 보통 빠르기의 인토네이션[노래나 연주를 정확한 음높이나 음조(音調)로 하는 것]은 억눌린 느린 2악장으로 침투하는 1악장의 끝에서 우울한 징조처럼 들린다. 깊이 집중된 2악장 안단테(느리게)는 억눌린 슬픔과 무거운 반성으로 가득 차 있다. 재빠른 3악장 프레스토(매우 빠르게)는 터져 나오는 영감을 스쳐 지나간다. 마지막 4악장 “장송곡”은 비극적인 에필로그이다. 표현이 풍부한 “말하는” 멜로디와 진심어린 애도의 독백은 장송 행진곡의 깊은 저음의 보조를 배경으로 울린다.

Sonata No. 2 in G sharp minor, Op. 19 (1892 - 1897) was also titled "Sonata-Fantasy" by the composer. According to the author, it was inspired by images of the sea. Nevertheless, the music of the sonata is far from direct sound graphics. Scriabin conveys a romantic feeling of a perpetually changing element rather than draws a picture. The sonata includes two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Andante" is consistent in its slow motion. Scriabin said it was an impression of "a dark, troubled deep sea" and "caressing moonlight." The second movement "Presto" being "a wide-open, stormy sea" is full of agitation and perturbation.

소나타 2번(1892~1897)은 작곡가에 의해 <환상 소나타>라고도 불린다. 저자에 따르면, 바다의 이미지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이 소나타의 음악은 직접적인 생생한 소리와는 거리가 멀다. 스크리아빈은 그림을 그린다기보다는 끊임없이 변하는 요소의 낭만적인 느낌을 전달한다. 이 소나타에는 2개의 악장이 있다. 1악장 안단테(느리게)는 일관되게 속도가 느리다. 스크리아빈은 이것이 “어둡고 불안한 깊은 바다”와 “어루만지는 달빛”에 대한 인상이라고 말했다. 2악장 프레스토(매우 빠르게)는 “훤히 트인, 풍랑이 거센 바다”로 불안과 동요로 가득 차 있다.

Sonata No. 3 in F sharp minor, Op. 23 (1897) concludes Scriabin's early period. The concept of the piece is unveiled in the author's programme that has a generalized title "States of the Soul" and explains the content of each of the four movements of the cycle: I - Allegro drammatico. The soul, free and wild, thrown into the whirlpool of suffering and strife. II - Allegretto. The soul finds apparent momentary and illusory respite; tired from suffering the soul wants to forget, wants to sing and flourish, in spite of everything... But the light rhythm, the fragrant harmonies are just a cover through which gleams the restless and languishing soul. III - Andante. The soul gave itself up to the flow drifting in a sea of feelings, tender and sorrowful: love, sorrow, vague desires, inexplicable thoughts, illusions of a delicate dream... IV - Presto. In the storm of emancipated elements, the soul fights in the ecstasies of struggle. From the depth of being, rises the fearsome voice of creative man whose victorious song resounds triumphantly! But too weak yet to reach the acme, he plunges, temporarily defeated, into the abyss of nonbeing.

소나타 3번(1897)은 스크리아빈의 초기를 마무리한다. 이 곡의 주제는 “영혼의 상태”라는 일반화된 제목을 가진 저자의 프로그램에서 밝혀지며 전체 4개의 악장의 각각의 내용을 설명한다. - 1악장 알레그로 드라마티코(빠르게 극적으로). 자유롭고 길들여지지 않은 영혼이 고통과 분쟁의 소용돌이에 던져진다. 2악장 알레그레토(조금 빠르게). 영혼은 눈에 보이는 일시적이고 환상에 불과한 휴식을 찾는데, 모든 것이 있음에도 영혼이 잊고 싶어 하는 고난에 지쳐서 노래하고 번성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가벼운 리듬, 향긋한 화성들에는 불안한 쇠약해지는 영혼을 빛나게 하는 것이 깔려 있다. 3악장 안단테(느리게). 영혼은 부드럽고 슬픈 감정의 바다를 떠돌아다니는 흐름에 그 자신을 포기한다. - 사랑, 슬픔, 어렴풋한 욕망, 설명할 수 없는 생각들, 부서지기 쉬운 꿈에 대한 환상들... 4악장 프레스토(매우 빠르게). 우레 같은 자유로운 요소들에서, 영혼은 황홀한 몸부림과 싸운다. 존재의 깊이에서 승리의 노래가 위풍당당하게 울려 퍼지는 창조적인 남자의 무시무시한 목소리가 상승한다! 그러나 너무 약해서 절정에 이르지 못하는 그는 잠시 패배하여 무언가의 심연으로 빠져든다.

It is virtually the first sketch of a philosophical concept that constitutes the basis of most of Scriabin's compositions of the next period. The composer aspires to express philosophic ideas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creativity psychology in music. Viewing the art as a nearly magical force, considering the creative artist somewhat of a chosen and invited prophet of this force, Scriabin undertook the task of portraying the very process of creation in music from vague languor and conception of an unclear dream, through active aspiration and struggle to complete freedom, proud self-affirmation and intoxicating ecstasy.

그것은 사실상 다음 시기의 스크리아빈의 작품 대부분을 구성하는 철학적 개념의 첫 스케치이다. 작곡가는 음악에서의 철학에 창의력의 문제와 관련된 철학적 사상을 표현하고자 한다. 예술을 거의 마법의 힘으로 보면서, 이 힘으로 선택되어 초청된 예언자를 다소 창조적인 예술가로 고려한 결과, 스크리아빈은 능동적인 포부와 완전한 자유에 대한 투쟁, 자부심과 도취시키는 황홀경을 통해 불분명한 꿈의 어렴풋한 나른함과 구상으로부터 음악에 매우 창조적인 과정을 묘사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The realization of this idea required new expressive means. Scriabin turns to orchestra. Three of his symphony follow, the third of which, "The Divine Poem", reflected the most important tendencies of the period to the greatest extent. The work on the symphony included a large body of piano compositions among which Sonata No. 4 in F sharp major, Op. 30 (1903) takes a central place. This inspired piece was created "in a burst of inspiration" within a record-breaking period of two days. The sonata consists of two movements closely connected and having no interval between them. The first movement "Andante" is contemplation of a remote ideal, while the second one "Prestissimo volando" is a sweeping flight to the ideal and achieving it. As compared with the preceding compositions, the musical language of the fourth sonata is notably more complicated. It becomes more refined, sophisticated and at the same time it gains exceptional pictorial brightness.

이 아이디어의 실현에는 새로운 표현 수단이 필요했다. 스크리아빈은 오케스트라로 돌렸다. 그의 다음 3개의 교향곡 중 3번은 <신성한 시>로, 이 시기의 가장 중요한 경향들을 최대한 반영했다. 교향곡에서 이 작품은 소나타 4번이 주축을 이루는 피아노 작품들 사이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탁월한 작품은 이틀간의 전례가 없는 기간 내에 “터져 나오는 영감으로” 만들어졌다. 이 소나타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2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악장과 악장 사이에 간격이 없다. 1악장 안단테(느리게)는 외딴 이상을 생각하는 반면, 2악장 프레스티시모 볼란도(날아오르듯, 아주 빠르게)는 이상에 도달하여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드넓은 비행이다. 앞의 작품들에 비해 4번 소나타의 음악적 언어는 특히 더 복잡하다. 더 세련되고 정교해짐과 동시에 빛나는 탁월한 그림을 얻는다.

The composer included an epigraph to his Sonata No. 5, Op. 53 (1907) taken from his "Poem of Ecstasy": "I summon you to life, hidden longings! You, drowned in the dark depths of the creative spirit, you fearful embryos of life, I bring you daring!" An image-bearing development in the sonata passes from a dreamy and languishing opening theme to a swift "Presto" with its flying main movement and subtle side one, and then to a scintillating and enthusiastically exhaulted culmination in the ending. At the same time, the motion or inviting and imperative exclamations, abrupt tempo variations, and sudden dynamic contrasts.

작곡가는 자신의 교향곡 4번 <법열의 시>에서 꺼낸 소나타 5번에 비문을 포함했다. - “나는 너를 생명으로 부르나니, 오, 비밀의 힘이여! 어두운 심연에 묻혀 창조의 영이여, 부끄러운 삶의 그림자, 내가 너에게 용기를 주노라!” 이 소나타에서 이미지가 들어간 발전부는 꿈꾸면서도 못내 그리워하는 첫머리의 주제부터 주된 악장과 미묘한 면모를 가진 재빠른 프레스토(빠르게)까지 거치고 나서 마지막에 재기 넘치면서 크게 기뻐 날뛰는 절정에 이른다. 동시에 움직임이나 매력적이면서도 본질적인 감탄사들, 급격한 템포 변화, 갑작스러운 다이내믹이 대조를 이룬다.

The last five sonatas were composed almost concurrently during 1911 to 1913. They unveil some of the most important ideas, images, musical and stylistic features of Scriabin's late period. The language and figurative structure of the sonatas are distinguished with great complexity and certain scrambling as though Scriabin attempts to penetrate into the area of subconsciousness and convey unusual states of mind. Symbolic images of unconscious languishing, inviting dreaming, winged flight, volitional imperative impulses, ecstatic dancing, and radiance are presented here in abundance. The way they supercede each other speaks of a general tendency to gradually build up emotional tension from beginning to end.

마지막 5개의 소나타는 1911~2013년 거의 동시에 작곡되었다. 이 소나타들은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 영상, 스크리아빈 후기 음악과 양식의 특징을 밝힌다. 이 소나타들의 언어와 비유적인 구조는 마치 스크리아빈이 무의식의 영역에 침투하여 독특한 상태를 전달하려는 것처럼 대단히 복잡하며 특정 자리를 놓고 싸우는 것으로 구분된다. 무의식적으로 못내 그리워하는 것, 황홀하게 하는 꿈, 날개 달린 비행, 자유 의지를 명령하는 충동, 황홀한 춤, 빛의 상징적인 의미들이 여기서 풍부하게 나타난다. 이 소나타들이 서로 대신하는 방식은 처음부터 끝까지 감정적인 긴장을 점차적으로 형성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증명한다.

So, two figurative spheres are juxtaposed in the main movement in the very beginning of Sonata No. 6, Op. 62 (1911 - 1912). A stirringly tense melody confronts with mysterious and gloomy sounds from which short motifs shoot up like splashes. Scriabin defined its nature with a whole series of remarks: "with restrained ardour", "mysterious whiff", "caressing wave". A crystal-clear and delicate side movement ("a dream taking shape") comes into being from the intonations of this theme followed by pictures of flying and whirling in the concluding movement. As these themes develop to be interrupted with numerous "mysterious calls" and menacing exclamations they lead to the concluding culmination where there is, according to Scriabin, "sudden horror meddling into a reckless dance."

그래서 2개의 비유적인 영역이 소나타 6번(1911~1912) 첫머리의 메인 악장에 나란히 있다. 긴장감이 일어나는 멜로디는 짧은 모티프가 물보라처럼 치솟는 것으로부터 신비하면서도 우울한 소리와 대결한다. 스크리아빈은 일련의 말로 자연을 “절제된 열정”, “신비한 향기”, “어루만지는 파도”로 정의했다. 수정처럼 맑고 섬세한 악장의 전반부(“꿈꾸는 형상”)는 이 주제의 인토네이션[노래나 연주를 정확한 음높이나 음조(音調)로 하는 것]에서 나타난 다음, 악장을 마무리하는 후반부에서 날아다니고 휘몰아치는 그림으로 이어진다. 스크리아빈에 의하면, 이 주제들은 여러 “신비한 외침”과 위협적인 감탄사로 중단되는 것으로 발전하는 것처럼 “난폭한 춤에 개입하는 갑작스런 공포”가 있는 최후의 정점을 이끌어낸다.

Sonata No. 7, Op. 64 (1911 - 1912) was especially favoured by Scriabin. He thought it was as close to the mysterial concept as possible, played it frequently, endowed it with a sacred magical sense and subtitled it "White Mass". The plot of the Seventh Sonata is about confrontation of intonations and themes characteristic of Scriabin. Two planes confront in the main movement. The first one with tense and inviting exclamations as a symbol of daring and active expression. The other one embodies passiveness, a picture of "mysterious element of the universe" expressed with intricate polyphonic chords. Depending on the way they are states they sound moderated, or gloomy, or like powerful chiming. A light melody of the side movement enters as a bright contrast. "With celestial delight", "very clear, with deep tenderness" as Scriabin describes it. This is an echo of an ideal world that a winged, sparkling concluding theme is inspired with.

스크리아빈은 소나타 7번(1911~1912)을 특히 선호했다. 그는 가능한 한 신비스러운 개념에 가깝다고 생각하여 자주 연주했으며 신성한 마력이 있는 감각을 부여하여 <백미사>라는 부제를 달았다. 7번 소나타의 플롯은 스크리아빈의 특징인 인토네이션[노래나 연주를 정확한 음높이나 음조(音調)로 하는 것]과 주제의 대결에 관한 것이다. 두 대의 비행기가 메인 악장에서 대면한다. 처음에는 대담하고 적극적인 표현의 상징으로 긴장감과 황홀하게 하는 감탄사들을 불러일으킨다. 다른 것은 수동성을 구체화한 것으로, 복잡한 다성 화음으로 표현된 “우주의 신비한 요소”를 나타낸 그림이다. 상태에 따라 보통의 빠르기이거나 우울하거나 강력한 종소리처럼 들린다. 악장의 전반부에서 가벼운 멜로디가 빛나는 대조로 들어간다. 스크리아빈이 묘사하는 것처럼 “천상의 즐거움으로”, “깊은 부드러움으로 매우 분명하게”. 이것은 날개 달린 반짝이는 최후의 주제가 영감을 받은 이상적인 세계의 메아리이다.

Sonata No. 8, Op. 66 (1912 - 1913) was finished later than the ninth and tenth. What differs it from the preceding sixth and seventh sonatas is a comparatively calm development. It has no those sharp contrasts, sudden intrusions, menacing calls, and ecstatically tense culminations. Indeed, the sonata has themes of resolute energy and aloof dreaminess, the trill melting in the high register, and an impetuous dance in the end. But here these images do not possess the same degree of programme concreteness and symbolism as they do in the other sonatas. It is noteworthy that the composer almost completely of each theme. As if the concept of the sonata was transferred from the sphere of programme composing to a more generalized, actual music plane. The layout of the piece is well thought out and internally integral.

소나타 8번(1912~2013)은 9번과 10번 소나타보다 (완성이) 늦게 끝났다. 이전의 6, 7번 소나타와 다른 점은 상대적으로 고요한 발전부이다. 그 날카로운 대조, 갑작스런 침입, 위협적인 외침, 격렬하면서도 긴장되는 절정이 없다. 사실 이 소나타에는 단호한 에너지와 냉담한 것 같은 꿈, 고음역에서 사라지는 트릴, 끝에는 격렬한 춤이 있다. 그러나 여기서 이런 이미지들은 다른 소나타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같은 수준의 프로그램의 구체성과 상징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작곡가가 각 주제마다 거의 완벽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마치 소나타의 개념이 프로그램 구성 영역에서 보다 일반화되고 실제적인 음악의 차원으로 옮겨진 것처럼 말이다. 이 곡의 배치는 잘 고찰되었으며 내부적으로 필수적이다.

In terms of depth and power of expression, Sonata No. 9, Op. 68 (1912 - 1913) is one of Scriabin's most remarkable compositions. Among the other sonatas, it stands out as the one with solemn colouring. The composer nicknamed it "Black Mass" and among his other compositions considered it the most complete embodiment of evil, a "satanic" element, as he put it, in music. A collected and focused dramatic concept of the sonata wa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wo opposing and purposeful figurative spheres - images of evil and "dormant shrine", as Scriabin described it, "with devilment surrounding it".

표현의 깊이와 힘의 관점에서, 소나타 9번(1912~1913)은 스크리아빈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다른 소나타들 중에서도 이 곡은 엄숙한 색채가 돋보인다. 작곡가는 <흑미사>란 별명을 붙였으며, 그의 다른 작품들 중에서도 그가 음악에 넣었듯이 가장 완벽한 악마의 전형, 즉 “악마적인” 요소로 여긴다. 이 소나타의 침착하게 집중된 극적인 개념은 2개의 상반되는 발전부와 목적이 있는 비유적인 영역들을 기반으로 했는데, 스크리아빈이 묘사했듯이, 악의 이미지이자 “그것을 둘러싼 못된 장난으로 잠재적인 성지와 같은 곳”이었다.

Sonata No. 10, Op. 70 (1912 - 1913) is one of Scriabin's most joyous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composer, he strived for rendering a happy feeling of being and unity with nature. So, for instance, Scriabin said about the slow introduction: "This is a forest, sounds and moods of the forests." At the same time, the picture of nature and pantheistical motifs in the Tenth Sonata are refracted through the prism of Scriabin's philosophical ideas, his concept of all things physical and material dissolving into the spiritual world. It all is reflected in a gallery of symbolic images characteristic of Scriabin's late works: languor (intro), joyful inspiration (main theme "Allegro"), determination (side movement).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onatas, the Tenth tends to simplicity and a clearer style. Although the music language of the sonata remains complicated enough, Scriabin achieves a surprisingly transparent sound thanks to more economical expressive means.

소나타 10번(1912~1913)은 스크리아빈의 가장 즐거운 작품들 중의 하나이다. 작곡가에 따르면, 그는 존재하는 것, 자연과의 일치에 대한 행복한 느낌을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스크리아빈은 예를 들어 느린 도입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이것은 수풀인데, 숲의 소리와 분위기이다.” 동시에 10번 소나타에서 자연에 대한 그림과 범신론적인 모티프들은 스크리아빈의 철학적 사상의 프리즘, 영적인 세계로 녹아드는 물리적인 모든 것들과 소재에 대한 개념을 통해 비춰진다. 모두 스크리아빈의 후기 작품들의 특징인 나른함(도입부), 즐거운 영감(메인 테마는 “알레그로”의 빠르기), 결정(악장의 한 측면) 등 상징적인 이미지 갤러리에 반영된다. 이전의 소나타들과 비교할 때, 10번은 단순하면서도 보다 선명한 스타일을 선호한다. 이 소나타의 음악 언어가 여전히 복잡하지만, 스크리아빈은 딱 필요한 만큼만 쓰는 표현 수단 덕분에 놀랍도록 투명한 사운드를 구현한다.

If you need this album, you can ask me.

2018년 5월 14일 월요일

DVD / Martha Argerich, Nicholas Angelich and Myung-Whun Chung at the Théâtre antique d'Orange (10 July 2015)



https://www.youtube.com/watch?v=VP3IXecvs0Q
https://www.youtube.com/watch?v=IlwLLhroMxw

2015년 7월 10일 오랑쥬 고대극장 콘서트
Martha Argerich, 1st piano / 마르타 아르헤리치, 제1피아노
Nicholas Angelich, 2nd piano / 니콜라스 안젤리치, 제2피아노
Christophe Henry, orgue / 크리스토프 헨리, 오르간
Orchestre Philhamonique de Radio France /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Myung-Whun Chung, direction / 정명훈 지휘

Program
Berlioz: "Carnaval Romain" Ouverture, Op. 9 / 베를리오즈 <로마의 카니발> 서곡
Poulenc: Concerto pour deux pianos et orchestre en re mineur, FP 61 / 풀랑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Rachmaninov: Romance for Piano 6 Hands (avec Myung-Whun Chung) / 라흐마니노프 6개의 손을 위한 로망스 (정명훈 협연)
Saint-Saens Symphonie No. 3 avec orgue en ut mineur, Op. 78 / 생상스 교향곡 3번 <오르간>
Bizet: "Carmen" Act 1 Ouverture / 비제 오페라 <카르멘> 1막 서곡

전에 비제의 관현악 음반을 몇 장 모아봤는데 정명훈 선생님의 해석이 가장 맘에 들었다.

2018년 5월 13일 일요일

Kakao Friends Characters


https://www.kakaofriends.com/en/etc/charInfo
https://en.wikipedia.org/wiki/Kakao_Friends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C%B9%B4%EC%98%A4%ED%94%84%EB%A0%8C%EC%A6%88
https://monicaheilmanart.com/inspiration/kakao-friends-emojis/
http://www.nognoginthecity.com/2014/01/12/meet-kakao-friends-kakaotalk/
https://kimchiteaching.wordpress.com/2014/05/02/kakaofriends/
http://www.the24hourmommy.com/2014/01/meet-kakao-friends-on-kakaotalk.html
https://www.youtube.com/watch?v=g4-ecNSENb0
https://www.youtube.com/watch?v=WNPg1t3zh1U

소개팅녀에게 / To a girl
0:20 어제 잘 들어가셨어요? / Did you go well yesterday?
0:22 또 볼 수 있을까요? / We will see again?
1:26 죄송해요... / Sorry...
1:27 제 스타일이 아니세요. / You are not my style.




무지 / Muzi
호기심 많은 장난꾸러기 무지는 사실 토끼옷을 입은 단무지라는 설정을 지니고 있다. 작가 호조(HOZO)는 카카오톡의 상징색인 노란색과 갈색 중 노란색을 대표할 캐릭터를 생각하다가 단무지를 떠올렸다고 말했다.

Curious and playful, Muzi is actually a piece of takuan (also known as Danmuji in Korean) in rabbit clothes. HOZO stated that he thought of a takuan while thinking about a character that could represent the colors yellow and brown, which are the corporate colors of KakaoTalk.

호기심 많은 장난꾸러기 무지! 토끼옷을 입고 있지만 정체는 단무지. 토끼옷을 벗으면 부끄러움을 많이 탑니다.

Muzi had you fooled. He's not a bunny, but in fact, a yellow radish in costume!

The playful, childlike creature looks like a rabbit, but is actually a Korean yellow radish in disguise! Charm comes easy to Muzi, as long as it has its rabbit costume in place.

콘 / Con
작은 악어처럼 생긴 콘은 무지를 키워낸 존재이다. 작가 호조(HOZO)는 콘은 비밀이 많은 캐릭터로 항상 옆모습만 보여준다고 밝혔다. 콘은 악어 종류의 하나인 '크로코다일'과 작다는 의미의 '콩알'을 조합해 붙인 이름이다.

Con, who looks like a small crocodile, is the one who raised Muzi. HOZO stated that Con is a character with a lot of secrets, always showing only the side of his face. The name Con is a combination of Crocodile and the korean word 콩알(pronounced as kongal), which means 'small'.

단무지를 키워 무지를 만든 말없는 정체불명의 악어 콘! 이제는 복숭아를 키우고 싶어 어피치를 찾아다닙니다.

Con is Muzi's constant companion, a mysterious crocodile with secret powers.

Con, who vaguely resembles a tiny crocodile, is the most mysterious Kakao Friends. It's rumored that Con magically brought Muzi to life, which explains why the two are always together.




어피치 / Apeach
유전자 변형으로 자웅동주가 된 것을 알고 복숭아나무에서 탈출하였다는 설정을 지닌 어피치는 개구쟁이 성격을 지닌 캐릭터로 연령대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사춘기를 겪고 있는 캐릭터이다.

Apeach has the setting of escaping from a peach tree after learning that he became monoecious due to a genetic modification. He is a playful character, and also an adolescent character in his late teens to early twenties.

유전자 변이로 자웅동주가 된 것을 알고 복숭아나무에서 탈출한 악동 복숭아 어피치. 섹시한 뒤태로 사람들을 매혹시키지만 성격이 매우 급하고 과격합니다.

A genetically modified peach hunting for adventure, Apeach is a bold fruit, unafraid to show off his sexy back.

Apeach is a genetically modified peach that left the orchard to seek adventure. This playful and wild creature is not afraid to show off its backside, which many remind you of something other than a peach.




제이지 / Jay-G
제이지는 땅속나라 요원으로 토끼 간을 찾기 위해 파견된 두더지 캐릭터이다. 토끼 간을 구하기 위해 무지의 뒤를 쫓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름은 미국의 힙합 뮤지션인 제이지를 동경해 스스로 JAY-G로 개명했다는 설정을 지니고 있다.

Jay-G is a mole character who was sent to find a rabbit's liver as an agent from the underground country. So, he chases after Muzi for his (or her) liver. He apparently renamed himself Jay-G, after looking up to the American hip-hop artist, Jay-Z.

땅속나라 고향에 대한 향수병이 있는 비밀요원 제이지! 사명의식이 투철하고, 냉철해보이고 싶으나 어리바리합니다. 겉모습과 달리 알고 보면 외로움을 많이 타는 여린 감수성의 소유자입니다. 힙합가수 Jay-Z의 열혈팬입니다.

A secret agent and hip-hop wannabe with a heart of gold, Jay-G always keeps his suits pressed and his blond 'fro looking tidy.

Jay-G the mole emerged from his underground home to pursue a career as a secret agent! He's meticulous about his style: tuxedos, sunglasses and a well-groomed head of hair. He's passionate about hip-hop, particularly his celebrity namesake, Jay-Z.

His perpetually cool look tries to hide the fact that he's truly a sensitive mole who needs a lot of love and attention.




프로도 / Frodo
부자집 도시개 프로도는 잡종이라 태생에 대한 콤플렉스가 많다는 설정을 지니고 있다. 회사 측은 프로도라는 이름은 처음에 회사 내의 한 직원의 호칭에서 따 왔으며, 디즈니의 강아지 캐릭터 플루토와 발음이 비슷하며 세계 어디에서나 부르기 쉬운 이름이라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Frodo is a rich-born dog from the city. He has a complex that he is a mixed-blooded dog. He usually wears a red dog collar or a tie. Frodo is officially a couple with Neo, the cat character, and shows affection.

부잣집 도시개 프로도. 잡종이라 태생에 대한 콤플렉스가 많습니다.

Frodo's a wealthy city dog, coffee enthusiast, and Neo's one true love.

Frodo is an ambitious city dog from a wealthy family. Frodo is always on his toes thanks to Neo, his high-maintenance girlfriend. Together Frodo and Neo are the Kakao Friends' power couple.


네오 / Neo
새침하고 사나운 고양이 네오는 특유의 단발머리가 가발이라는 점과 강아지 캐릭터 프로도와 연인 사이라는 설정을 지니고 있다. 네오는 검은 고양이 네로에서 착안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회사 측은 네오가 쇼핑을 사랑하는 카카오 프렌즈를 대표하는 패셔니스트라고 밝혔다.

Neo is a cat character with a bob cut wig and she is the lover of Frodo. The company stated that Neo is the representative fashionista of the Kakao friends characters who love shopping.

새침하고 사나운 고양이 네오. 나 이외에는 중요한 게 없습니다. 자신감의 근원은 단발머리 가발에서 나옵니다.

Neo's a wig-sporting material girl, but Frodo holds the key to her cold heart.

A classy cat with bent for narcissism, Neo is the most fashion-conscious Kakao Friends. She's never fully dressed without her pearls and, most importantly, her signature bobbed wig. Outside of shopping, her beloved boyfriend Frodo is her #1 priority.




튜브 / Tube
튜브는 겁 많은 소심한 오리 캐릭터로 극도의 공포를 느끼면 미친 오리로 변신한다는 설정을 지니고 있다. 튜브라는 이름은 입이 튜브처럼 생겨서 붙여졌다. 어피치한테 괴롭힘을 당한다.

Tube is a cowardly, weak-minded duck. He has the complex for his small feet so he wears flippers. If he feels extreme fear or anger, he spits fire out of his mouth and turns into a crazy green duck.

겁 많고 마음약한 오리 튜브. 극도의 공포를 느끼면 미친 오리로 변신합니다. 작은 발이 콤플렉스여서 큰 오리발을 착용합니다. 미운오리새끼가 먼 친척입니다.

You won't like Tube when he's angry! His angry, green alter ego comes out when he's upset. But at heart, he's a sensitive fowl who hides his shamefully small feet in webbed slippers.

Tube is fearful and emotional duck distantly related to the Ugly Duckling. Tube wears prosthetic flippers to hide naturally tiny feet - a sensitive issue for the duck. You might not like Tube when he's angry. If upset or frightened, Tube transforms into the green and hulking Angry Tube: an alter ego known to breathe fire and destroy furniture.




라이언 / Ryan
2016년 1월 22일에 새롭게 발표된 캐릭터 라이언. 갈기가 없는 게 콤플렉스인 수사자. 큰 덩치와 무뚝뚝한 표정으로 오해를 많이 사지만 사실 누구보다 여리고 섬세한 감성을 가지고 있는, 카카오 프렌즈의 믿음직스러운 조언자. 아프리카 둥둥섬 왕위 계승자였으나, 자유로운 삶을 동경해 탈출. 꼬리가 길면 잡히기 때문에 꼬리가 짧다. 다른 카카오 프렌즈는 라이언의 지혜와 가르침 없이는 없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The character named Ryan was newly announced on January 22, 2016. At first glance, he looks like a bear but he is a lion that doesn't have a mane. Ryan was a successor to the throne of the Doong Doong Island in Africa, but he escaped for a free life. A lot of people misunderstand him because of his expressionless face, but he’s the trustworthy mentor who has delicate emotions.

Ryan, the newest member of the Kakao Friends, is a male lion born without a mane. The broad and burly lion has the heart of a lamb, which is a part of why the Kakao Friends quickly adopted him as their loyal leader. Ryan was prepared to ascend to the throne as the ruler of Doong Doong Island, but he decided island royalty wasn't for him. The other Kakao Friends claim they would be lost without Ryan's wisdom and guidance.


툭하면 헐크 모드인 악마오리 팬질하다가 여기까지 오게 된 듯... 카카오톡 캐릭터 소개는 영어 공부를 하는 차원에서 정리해본 것이다. 내가 외국 분한테 매력적인 초록색 악마오리를 사랑한다고 했더니 하양오리랑 초록오리가 같은 존재라는 것을 계속 이해하지 못하셨다. 그러다가 초록오리가 하양오리의 또 다른 자아라는 것을 이내 깨달으셨다. 그러면서 나처럼 악마오리의 팬이 되셨다. ㅋㅋㅋㅋㅋ 영어 설명을 보니 초록오리로 변신하면 불을 내뿜고 가구를 파괴한다고 나와 있다. 내가 동영상에 있는 카카오톡 메시지가 무슨 내용인지 번역해드린 적도 있었다. 어쩌다 보니 내가 쓰는 글들은 내용이 무엇이든지 툭하면 악마오리로 마무리하곤 한다.

Alain Planès Plays Debussy - Live in Paris (9, 10 & 11 March 2018)



알랭 플라네가 연주하는 드뷔시
Auditorium de la Maison de la Radio à Paris (9, 10 & 11 March 2018) / 2018년 3월 9, 10, 11일 파리 메종 드 라 라디오 강당

Part 1 - 9일 20시
Suite bergamasque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I. Prélude / 프렐류드
II. Menuet / 미뉴에트
III. Clair de lune / 달빛
IV. Passepied /파스피에

Danse bohémienne / 보헤미아의 춤

Deux Arabesques / 2개의 아라베스크
No. 1 Andantino con moto
No. 2 Allegretto scherzando

Rêverie / 꿈

Balade slave / 슬라브 풍의 발라드

Mazurka / 마주르카

Danse (Tarantelle Styrienne) / 스티리아의 타란텔라 춤

Images oubliées / 잊힌 영상
I. Lent, doux et mélancolique / 느리게
II. Souvenir du Louvre [Sarabande] / 루브르의 추억
III, Quelques aspects de Nous n'irons plus au bois parce qu’il fait un temps insupportable [Très vite] / “날씨가 나빠서 숲에는 안 갈 거야”에 의한 몇 가지 아이디어

Pour le piano / 피아노를 위하여
I. Prélude / 프렐류드
II. Sarabande / 사라방드
III. Toccata / 토카타

Estampes / 판화
I. Pagodes" / 탑
II. La soirée dans Grenade / 그라나다의 황혼
III. Jardins sous la pluie / 빗속의 정원

Six Épigraphes antiques: V. Pour l'égyptienne (encore) / 6개의 고대 비문 중 5번 <이집트 여인을 위하여> (앙코르)

Part 2 - 10일 18시
Nocturne en ré bémol / 녹턴

Valse romantique / 낭만적인 왈츠

Debussy Images, Livre I / 드뷔시 영상 1집
I. Reflects dans l'eau / 물에 비치는 그림자
II. Hommage a Rameau / 라모를 찬양하며
III. Mouvement / 움직임

Debussy Images, Livre II / 드뷔시 영상 2집
I. Clothes a travers les feuilles / 잎새를 흐르는 종
II. Et la descend sur le temple qui fut / 달은 황폐한 절에 걸려
III. Poissons d'or / 금빛 고기

D'un cahier d'esquisses / 스케치북에서

Masques / 가면

L'Isle joyeuse / 기쁨의 섬

Préludes, Livre I / 프렐류드 1집
No. 1 Danseuses de Delphes / 델피의 무희들
No. 2 Voiles / 돛
No. 3 Le vent dans la plaine / 들을 지나는 바람
No. 4 «Les sons et les parfums tournent dans l'air du soir» / 소리와 향기가 저녁 대기 속에 감돈다
No. 5 Les collines d'Anacapri / 아나카프리의 언덕
No. 6 Des pas sur la neige / 눈 위의 발자국
No. 7 Ce qu'a vu le vent d'ouest / 서풍이 본 것
No. 8 La fille aux cheveux de lin / 아마빛 머리의 처녀
No. 9 La sérénade interrompue / 끊어진 세레나데
No. 10 La cathédrale engloutie / 가라앉은 성당
No. 11 La danse de Puck / 퓌크의 춤
No. 12 Minstrels / 음유시인

Le sommeil de Lear (encore) / 리어 왕 (앙코르)

Part 3 - 11일 11시
Berceuse héroïque / 영웅의 자장가

Pièce pour l'œuvre du vêtement blessé / 부상자의 옷을 위한 곡

Élégie / 비가

Les soirs illuminés par l'ardeur du charbon / 빨갛게 달아오른 석탄에 빛나는 저녁 

Six Épigraphes antiques / 6개의 고대 비문
I. Pour invoquer Pan, dieu du vent d'été / 여름 바람의 신, ‘판’에의 기도
II. Pour un tombeau sans nom / 무명의 무덤을 위하여
III. Pour que la nuit soit propice / 행복한 밤을 위하여
IV. Pour la danseuse aux crotales / 크로탈레에 춤추는 댄서를 위하여
V. Pour l'égyptienne / 이집트 여인을 위하여
VI. Pour remercier la pluie au matin / 아침 비에 감사하며

La Boîte à joujoux / 장난감 상자
Prélude / 프렐류드
I. Le Magasin de jouets / 장난감 가게
II. Le Champ de bataille / 전장
III. La Bergerie à vendre / 파는 양 우리
IV. Après fortune faite / 출세한 후
Épilogue / 에필로그

Études, Livre I / 에튀드 1집
No. 1 pour les cinq doigts d'après Monsieur Czerny / <다섯 손가락>을 위하여 체르니를 본떠서
No. 2 2 pour les tierces / 3도를 위하여
No. 3 pour les quartes / 4도를 위하여
No. 4 pour les sixtes / 6도를 위하여
No. 5 pour les octaves / 옥타브를 위하여
No. 6 pour les huit doigts / 8개의 손가락을 위하여

Rêverie (encore) / 꿈 (앙코르)

Part 4 - 11일 17시
Morceau de concours / 경연대회 작품

Hommage à Haydn / 하이든을 예찬하며

Le Petit Nègre / 귀여운 흑인

La plus que lente / 렌토보다 느리게

Children's Corner / 어린이 차지
I. Doctor Gradus ad Parnassum /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 박사
II. Jimbo's Lullaby / 코끼리의 자장가
III. Serenade for the Doll / 인형을 위한 세레나데
IV. The Snow is Dancing / 눈송이가 춤추고 있다
V. The Little Shepherd / 어린 양치기
VI. Golliwogg's Cake-walk /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Études, Livre II / 에튀드 2집
No. 7 pour les degrés chromatiques / 반음계를 위하여
No. 8 pour les agréments / 꾸밈음을 위하여
No. 9 pour les notes répétées / 반복음을 위하여
No. 10 pour les sonorités opposées / 대비음을 위하여
No. 11 pour les arpèges composés / 아르페지오를 위하여
No. 12 pour les accords / 화음을 위하여

Préludes, Livre II / 프렐류드 2집
No. 1 Brouillards / 안개
No. 2 Feuilles mortes / 고엽
No. 3 La puerta del Vino / 비노의 문
No. 4 Les fées sont d'exquises danseuses / 요정의 무희
No. 5 Bruyère / 히스가 무성한 황무지
No. 6 General Lavine-eccentric / 괴짜 라빈 장군
No. 7 La terrasse des audiences du clair de lune / 달빛 쏟아지는 테라스
No. 8 Ondine / 물의 요정
No. 9 Hommage à S.Pickwick Esq.P.P.M.P.C. / 피크위크 경을 예찬하며
No. 10 Canope / 카노프
No. 11 Les tierces alternées / 교대하는 3도
No. 12 Feux d'artifice / 불꽃

Arabesque No. 1 (encore) / 아라베스크 1번 (앙코르)


유튜브에서도 전체를 감상할 수 있다. 다 받으면 4기가 이상이다. <잊힌 영상>을 감상하다가 제목을 찾아봤는데, 2번 두 번째 곡은 <피아노를 위하여>의 사라방드로 전용되었고, 세 번째 곡은 <판화>의 세 번째 곡인 <빗속의 정원>으로 전용되었는데, 원곡은 프랑스의 동요이며 관현악을 위한 영상의 제3곡 <봄의 론도>에도 역시 이 선율이 사용되고 있다는 정보를 알게 되었다.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데 <피아노를 위하여> 중 첫 번째 곡 프렐류드에서 초반에 갈피를 잡지 못하면서 삐끗하게 시작하였다. 막바지에서도 미스터치가 있었다. 연주 시간이 30분 이상인 <장난감 상자>에서는 그림을 사이사이에 보여주는데 <귀여운 흑인>이랑 유사한 선율이 나오기도 한다. <축혼 행진곡> 선율도 나온다.

<장난감 상자의 구성>
전주곡(Prélude) Le Sommeil de la boîte, 2/2박자의 보통 빠르기로 pp로 소녀 인형의 선율이 등장함. 피아노로 조용히 연주되고 난뒤 2/4박자로 바뀜. 이후 병사의 선율이 군악대 형식처럼 진행됨.
제1장 Le Magasin de jouets, 3/4박자의 보통 빠르기로 시작함. 소녀 인형이 눈을 뜨고 불을 밝히면 주위가 밝아짐. 포르티시모로 이어지면서 차츰 주변의 인형들도 깨어남. 폴리시넬의 선율 등 여러 춤곡 선율들이 등장함.
제2장 Le Champ de bataille, 4/4박자로 조용히 시작함. 병사 인형과 폴리시넬의 다툼을 묘사함. 이후 4/4박자로 다시 조용하게 진행함.
제3장 La Bergerie à vendre, "파는 양 우리"라는 표지가 붙은 황폐한 풍경을 묘사함. 6/8박자로 시작함.
제4장 Après fortune faite, 발레의 장면이 바뀌면서 20년 후의 모습이 진행함.
후주곡(Épilogue) 2/2박자의 조용한 트레몰로로 시작함. 나무로 만든, 병사를 추모하는 장면으로 곡은 끝남. 표제음악적으로 구성된 곡은 3개의 인형이 주역으로 등장함. 폴리시넬, 소녀 인형, 병사 인형이 중심적인 인형임.

내가 드뷔시 전집 목록을 확인해본 결과 <새로 발견된 에튀드>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곡들을 연주했다. 앙코르곡 역시 드뷔시인데 리사이틀 하나가 끝날 때마다 하나씩 선사했다. 가장 마지막 리사이틀에서는 <불꽃>에서 지친 기색이 역력해 보였다. 터치가 힘이 없어 보였다. 그럼에도 앙코르곡까지 소화했다.

2018년 5월 9일 수요일

Lazar Berman - Live in Budapest 1956



라자르 베르만 - 1956년 10월 부다페스트 실황
1956년 10월, 아직 서방 세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젊은 베르만이 부다페스트에서 가진 ‘악마적인’ 라이브 실황을 담고 있는 음반. 베르만의 뜨거운 카리스마와 육중한 힘을 이보다 더 잘 보여준 음반은 없을 것이다. 첫 타건음 하나만 들어도 범상치 않은 그의 에너지에 감전되고 음악이 진행되면서 솟구쳐 오르는 저 거대한 음악적 몰입에 압도당하며, 음악이 끝난 뒤에는 악마에게 영혼을 팔린 듯 왜소해져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Liner Note by Lazar Berman / 라자르 베르만의 글
The original recording of this CD was made long ago, in 1956. I was invited to play and record for Hungaroton following the Franz Liszt Competition. I remember those tense days in October very well, although I should add that 'tension' meant work for me. I was either giving concerts, or I was practising, the whole time. I had no time to meet people. While making the recording for Qualiton, I could not have imagined that within a few days, those studios were to be the location of the first shots and fatal confrontations between revolutionaries and the building's intelligence service guards. On the evening of 23rd October I had a concert, after which my return to the Hotel Beke was accompanied by shots from the Radio building. I had completed the recordings a few days before, but one week of strain and excitement lay ahead.
 
이 CD의 원본 녹음은 오래전인 1956년에 만들어졌다. 나는 프란츠 리스트 콩쿠르에 이어 훙가로톤 레이블에서 연주하여 녹음하는 것에 초청 받았다. 나는 10월에 매우 긴장되었던 며칠을 매우 잘 기억한다. 그러나 그 ‘긴장감’은 나를 위한 일이라는 것을 덧붙여야 한다. 나는 내내 연주회를 가지든지 연습을 하고 있었다. 나는 사람들을 만날 시간이 없었다. 쿠알리톤(훙가로톤 레이블의 이전 이름)의 녹음 작업을 하는 동안 며칠 만에 그 스튜디오가 혁명가들과 건물의 정보 요원들 간의 치명적인 대결이 될 것이라고 상상할 수 없었다. 10월 23일 저녁에 나는 콘서트를 가졌으며, 그 후 베케 호텔로 돌아오는 길에는 라디오 빌딩에서 찍은 사진이 동반되었다. 나는 며칠 전에 녹음을 마쳤지만, 일주일 동안 긴장과 흥분이 있었다.
 
Following the Liszt Competition, I was well known in Budapest, as was my name. My photograph was displayed in a photography shop at the Octagon, along with those of the other participants. I was never hurt, fortunately. On the contrary, I was sometimes asked for my autograph. Gradually the city became quiet and shooting practically stopped. With the help of friends, I was able to leave Budapest on 30th. I left for Bulgaria, and went on from there to Moscow. It never even entered my mind that morning, walking through the deserted streets to the Bulgarian embassy, that within a few days, the Russian tanks would invade the city, bringing death and destruction.
 
리스트 콩쿠르에 입상하면서 나는 부다페스트에서 잘 알려져 있었으며 내 이름도 마찬가지였다. 내 사진은 옥타곤의 사진관에 다른 참가자들의 사진과 함께 전시되었다. 나는 다행히도 다치지는 않았다. 도리어 나는 때때로 사인을 요청받았다. 점차적으로 도시는 조용해지고 총격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친구들의 도움으로 나는 30일에 부다페스트를 떠날 수 있었다. 나는 불가리아로 떠났고 거기에서 모스크바로 갔다. 황량한 거리를 거쳐 불가리아 대사관으로 가면서 그날 아침조차 내 머리에 들어오지도 않았는데, 며칠 안에 러시아 탱크가 도시를 침공하여 죽음과 파괴를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The works on the present CD were a part of my repertoire in those days. Liszt's Hungarian Rhapsody No. 9 and Prokofiev's Piano Concerto No. 1 meant a great deal to me. My performance of the Liszt earned me the special award for best rhapsody player. I regard this as the best of Liszt's Hungarian Rhapsodies, but also the most difficult, from a technical point of view. I frequently performed Prokofiev's first concerto at that time. It is one of his most popular works, full of youthful ecstasy and joy for life. It is also particularly succinct in form. The conductor was a very kind man, an excellent musician, Andras Korodi. We made recordings quickly, with no problems. The other work on this CD have disappeared from my repertoire bit by bit, while other took their place. Now only Funerailles remains on my programme. I have played this work of art on many occasions, in many countries, always in commemoration of those killed by Soviet soldiers in Hungary or elsewhere. Each time, I related to the audience in whose memory I was playing. Now that the danger of my countrymen attacking other people is somewhat reduced, I increasingly reflect upon friends and colleagues who have left us, when playing Funerailles.
 
그 당시에는 현재 CD의 작품이 내 레퍼토리의 일부였다. 리스트의 헝가리 랩소디 9번과 프로코피에프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은 내게 큰 영광이었다. 리스트 연주로 최우수 랩소디 연주자 특별상을 받았다. 나는 랩소디 9번을 리스트 헝가리 랩소디 중에서 최고로 여기지만, 기술적인 관점에서도 가장 어렵다. 나는 그 당시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자주 연주했다. 이 곡은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들 중의 하나이며, 인생에 대한 젊은이의 희열과 기쁨으로 가득하다. 특히 형태도 간결하다. 지휘자는 매우 친절한 사람으로, 탁월한 음악가인 안드라스 코로디였다. 우리는 문제없이 신속하게 녹음했다. 이 CD의 다른 작품들은 조금씩 내 레퍼토리에서 사라진 반면, 다른 작품들이 생겨났다. 이제 장송곡만 내 프로그램에 남아있다. 나는 헝가리나 다른 곳에서 소련 군인들에 의해 살해된 사람들을 항상 추모하면서 많은 나라들에서 이 예술 작품을 여러 차례 연주했다. 매번 나는 내가 연주한 기억속의 청중과 관련이 있었다. 이제는 다른 사람들을 공격하는 내국인에 대한 위험이 다소 줄어들었기 때문에 장송곡을 연주할 때 우리를 떠난 친구들과 동료들을 점점 더 반영한다.

Track
01 Liszt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No. 11 'Harmonies du Soir' /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10번 <밤의 선율>
02 Liszt Funerailles / 리스트 장송곡
03 Liszt Hungarian Rhapsody No. 9 / 리스트 헝가리 랩소디 9번
04 Liszt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No. 8 'Wilde Jagd' /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8번 <사냥>
05 Liszt Rhapsodie espagnole / 리스트 스페인 랩소디
06 Prokofiev Toccata in d, Op. 11 / 프로코피에프 토카타
07 Prokofiev Piano Concerto No. 1 in Db, Op. 10 - I. Allegro brioso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1번
08 Prokofiev Piano Concerto No. 1 in Db, Op. 10 - II. Andante assai
09 Prokofiev Piano Concerto No. 1 in Db, Op. 10 - III. Allegro scherzando
Hungarian State Orchestra / 헝가리 국립 오케스트라
Andras Korodi, conductor / 안드라스 코로디 지휘


3번과 4번 트랙은 mp3 파일로 남아있다. 오래전에 토렌트에 올라왔던 자료인데 결국은 미완성으로~

Label / Hungaroton


Hungaroton was the one and only record and music publisher company in Hungary for about 40 years.

훙가로톤은 헝가리에서 약 40년 동안 유일한 음반사이자 음악 출판사였다.

Hungaroton was founded in 1951, when its only competitors in the Hungarian music market were record labels like Melodiya, Supraphon and Eterna (de) from other socialist countries. Previously called Qualiton, its name was changed to Hungaroton in the mid-1960s, though the Qualiton brand remained as a label for operetta and gipsy music releases. Also new popular music, rock and jazz labels (Pepita, Bravó, and Krém) were founded.

훙가로톤이 1951년에 설립될 당시, 헝가리 음악 시장에서 유일한 경쟁사들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의 멜로디야(소련), 수프라폰(체코), 에테르나(독일) 같은 음반사였다. 이전에 쿠알리톤이라고 불렸던 이름은 오페레타와 집시 음악 발매를 위한 레이블로 남았던 쿠알리톤 브랜드였지만, 1960년대에 훙가로톤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새로운 팝음악, 록, 재즈 레이블(페피타, 브라보, 크렘)이 창설되었다.

In the early 1990s the massive import of foreign records caused a serious decrease in Hungaroton's sales. Although the original company went into liquidation, new and smaller companies arose on the ruins of Hungaroton. The Hungaroton Gong and Hungaroton Classic companies went private in 1995, and were reunited in 1998 under the name Hungaroton Records Publisher Ltd.

1990년대 초에 외국 음반들의 대량 수입으로 훙가로톤의 매출은 크게 감소했다. 본사가 청산되었지만 훙가로톤의 폐허에서 새로운 작은 회사들이 생겼다. 훙가로톤 공과 훙가로톤 클래식 회사는 1995년에 개인 회사가 되었으며, 1998년에 “훙가로톤 레코즈 퍼블리셔 리미티드”라는 이름으로 재결합되었다.

Nowadays it publishes approximately 150 new records per year, half of it classical and half of it popular music.

요즘은 연간 약 150개의 새로운 음반들을 발매하며, 그중 절반은 클래식이고 나머지 절반은 대중음악이다.


음반을 소개할 때 해당 음반사에서 공부하지 않았으면 자료를 찾아서 정리하는데 위키페디아에 있는 정보만 번역한 것이다. 솔직히 매번 귀찮기는 한데 개인적으로 음반사들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메이저 음반사는 어떻고 마이너 음반사는 어떻고 하는 특징을 대강 알고는 있다.

2018년 5월 6일 일요일

DVD / Alfred Brendel Plays & Introduces Schubert's Late Piano Works 4-5



https://www.youtube.com/watch?v=T0ymoKeYV3Q

DVD 4
<소나타 19번 c단조>에 이르러 우리는 피아노 작곡가로서 슈베르트가 성취한 위업의 절정을 이루는 동시에 그가 서른한 살의 나이로 죽기 직전의 몇 주로 되돌아가게 하는 소나타 삼부작에 도달하게 된다. 진정한 위대성의 영역에 속하는 이들 세 소나타는 서로 너무나도 판이하다. <소나타 19번 c단조>는 셋 가운데 가장 짧고 간결하면서 단연 극적이다. 또한 이 곡은 슈베르트가 쓴 것 가운데 가장 어두운 부류에 속하는, 무시무시한 비극적 힘을 지닌 작품이기도 하다. 이 비극은 곡 전반에 걸쳐 있는 폭풍 속에서 몇 번이고 등장하는, 외견상의 휴식에 불과한 부드러우면서도 신랄한 순간에 의해 완화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증폭된다. 이 곡에서 투쟁은 베토벤의 <소나타 c단조>에서만큼이나 처절한 양상을 띠면서도, 베토벤의 의도가 승리 혹은 초월로 끝마치려는 것임에 반해 여기서는 운명의 손길이 슈베르트의 편에 있지 않으며 따라서 굴복할 수밖에 없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타란텔라 풍의 4악장 피날레는 죽음의 무도를 연상케 하며, 종결부 화음은 관에 가하는 마지막 못질과도 같다. 그러나 이는 그저 하나의 극이 끝난 것에 불과하다. 작곡가 슈베르트는 이후로도 두 개의 소나타와 위대한 <현악5중주 C장조>에서 건재함을 과시하게 된다.

비록 슈베르트의 소나타는 19세기의 대부분에 걸쳐 어둠 속에 묻혀 있었으나(최후의 세 편은 작곡가가 죽은 지 11년 뒤인 1839년까지도 출판되지 않았다.), 더 짧은 소품 혹은 적어도 즉흥곡이나 6개의 <악흥의 순간> 등 연작으로 묶여 출판된 소품은 상당한 대중적 인기를 누렸다. <악흥의 순간>은 실제로는 연작으로 작곡된 것이 아니라 1823년에서 1828년에 걸쳐 띄엄띄엄 작곡되었다. 그러나 조성(과 성격) 구성에서 미루어 보면, 이들은 한 묶음으로 했을 때 더 효과적이라는 계산으로 묶인 것이다. “1번”은 일종의 목가로 오스트리아의 전통적인 요들이며, “2번”은 고민에 찬 폭발을 수반하는 매우 통렬한 고백이다. “3번”은 <로자문데>를 회고하는 간결한 곡으로, 어쩌면 슈베르트가 쓴 모든 피아노 소품 가운데 가장 친숙하게 들릴 수도 있다. 강력한 추진력과 대위법적인 경향을 보여주는 “4번”은 바흐에 대한 슈베르트의 사랑을 반영하며, “5번”은 두터운 구름 사이로 여기저기서 번개가 번뜩이는 폭풍우처럼 휘몰아친다. 마지막 “6번”은 일종의 무언가이자 부드러우면서도 대단히 사무치는 느낌을 주는 춤곡이다. 유토피아적이지도 않고 천국적인 느낌도 없으나, 그럼에도 이 곡은 듣는 이에게 천상의 평화 같은 느낌을 안겨준다.

<피아노 소품 D. 946>은 아마도 1828년에 전곡이 작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곡은 슈베르트가 쓴 것 가운데서도 매우 아름답고 감동적이며 매혹적인 악상을 담고 있음에도 작곡가의 위대한 작품 가운데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실제로 이 곡은 1868년에 브람스가 편집할 때까지 출판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었다. 비록 세 곡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 작품은 대단히 다양한 분위기를 보여주며 슈베르트의 피아노곡 가운데 가장 황홀한 한 순간을 제공한다.

Sonata in C minor, D. 958 / 소나타 19번
I. Allegro
II. Adagio
III. Menuetto & Trio
IV. Allegro

The sonatas in C minor, A major, and B flat major were written in September 1828, only weeks before Schubert's death. That we should regard these three works as a single entity is clear from the autograph, which describes them as Schubert's first, second and third sonatas. Schubert planned to dedicate them to Johann Nepomuk Hummel, the leading piano player of the period, but nothing came of this plan. It was not until ten years later that these works were published by Diabelli, who dedicated them to Robert Schumann, as Hummel had died the previous year. In the event Schumann reacted far les enthusiastically to these sonatas than to the earlier ones in G major, A minor Op. 42 and D major. He claimed these final sonatas were much more simplistic in their invention and that certain universal musical ideas were spun out at inordinate length where Schubert normally added new threads from phrase to phrase. We could agree with Schumann if he meant that these final sonatas reveal a greater concentration of the musical material and of the building bricks and motifs, in short, if simplicity were to be interpreted as unity. But Schumann also speaks of a voluntary abandonment of brilliant novelty, where Schubert had earlier set himself such lofty demands. This comment is as unfathomable to us today as the sentence: "It is as if there could be no ending, no embarrassment about what comes next. Always musical and tuneful, it ripples along from page to page, interrupted here and there by single more abrupt impulses, which quickly subside." Schumann evidently glanced at these pieces only cursorily. I can compare this group of three sonatas only with Beethoven's last three sonatas or with Mozart's last three symphonies. In each case we're dealing with works which, apart from the fact that they date from the same period, belong together and are interrelated. In the case of Beethoven's Opp. 109, 110 and 111, this emerges not only from their stylistic unity but also from the fact that they share certain basic musical cells. Schubert's last three sonatas are similarly interrelated by dint of building blocks of this kind. By the steps 7-1...

소나타 19번 c단조, 20번 A장조, 그리고 21번 B플랫 장조는 슈베르트가 죽기 몇 주 전인 1828년 9월에 작곡되었습니다. 이 3개의 작품을 하나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은, 악보에는 이들 작품이 슈베르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세 번째 소나타로 기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슈베르트는 당대 피아노의 거장인 훔멜에게 그 소나타들을 헌정하기로 계획했습니다. 그러나 이 계획이 실현되지는 않았습니다. 작품이 완성되기 이전에 훔멜의 죽음으로 인해 슈만에게 그 소나타들을 헌정했고 디아벨리에 의해 10년 뒤에야 이 작품들은 출판되어졌습니다. 그러나 슈만은 이들 소나타에 16번 a단조 Op. 42나 17번 D장조, 18번 G장조로 된 다른 초기작보다 덜 열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는 이 마지막 소나타들이 극단적으로 단순화되었으며 슈베르트가 여기저기에 새로운 선율들을 덧붙임으로써 누구에게나 뻔한 악상이 터무니없는 길이로 늘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슈만의 말이, 이들 마지막 소나타가 동기나 소재를 다루는데 더 큰 집중력을 보여준다는 뜻이라면 다시 말해, 단순함이 통일성으로 해석된다면 우린 슈만의 견해에 동의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슈만은 슈베르트가 이전에는 엄청난 수준으로 스스로에게 요구했던 화려한 신기함을 자발적으로 포기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 말은 다음의 문장만큼이나 심오하게 들립니다. “마치 끝도 없고 다음에 올 것에 대해 아무런 거북함도 없는 듯하다. 항상 음악적이고 선율적이며 끊임없이 너울거리며 번져나간다. 갑작스런 충격이 여기저기서 이 물결을 방해하곤 하지만 이내 가라앉고 만다.” 슈만은 분명히 이 작품들을 단지 피상적으로 보았습니다. 이 세 소나타 그룹은 오직 베토벤의 마지막 세 소나타나 모차르트의 마지막 세 교향곡과만 비교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에서, 이들 작품은 같은 시기에 작곡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한데 묶여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베토벤의 소나타 30번 작품 109, 31번 작품 110, 32번 작품 111의 경우엔 이 점이 형식적 통일성뿐만 아니라 특정한 기본 음악 요소를 공유한다는 데서도 드러납니다. 슈베르트의 마지막 세 소나타는 이런 종류의 기초 원칙에 의해 상호 관련되어져 있습니다. 7도-1도 음정이나...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nd 6-5...

...6도-5도 음정...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n the major and minor...

...장조와 단조...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or combined as a passing note.

...혹은 경과음으로서 결합된 경우나,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nd finally also by repeated notes not only within the themes but also in the form of long pedal points. Most of the themes are based, moreover, on the first six notes of the scale. In thirds...

마지막으로 주제 내에서뿐만 아니라 각 페달 포인트의 형식으로 반복되는 음에 의해서입니다. 게다가 이 주제의 대부분은 그 음계의 첫 여섯 음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3도 음정이나...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or spread out over six notes.

여섯 음 위로 펼쳐진 형태로...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How does one write several motivically related works at the same time without giving the impression that the listener is hearing only repeats? By sufficiently concealing the common material. In Liszt's symphonic poems, for example, the points in common are all too evident. The notes of entire themes clearly remain the same in spite of all the changes to their musical character. Beethoven's or Schubert's motivic links create a more indirect impression. These cells are small enough to be able to appear in the most varied combinations and transpositions. Schubert's C minor Sonata is curiously austere in its sonorities. This makes it more difficult for some listeners to access the work while endearing it to others. It's perhaps the one sonata by Schubert that suffers most from a comparison with Beethoven. The key of C minor, the character of grim resolve, an A flat major Adagio as a slow movement instead of an andante and a rondo-finale with aspects of sonata form - all these seem to be typically Beethovenian characteristics. True, Beethoven wrote a whole series of important works in C minor but Mozart had stolen a march on him with C minor Sonata and C minor Keyboard Concerto. Even before this, Haydn had set an example with his C minor Sonata. Perhaps it was an act of unprecedented boldness on the part of a young composer to risk writing another C minor Sonata so soon after Beethoven's Op. 111. But not even Beethoven's closest admirers recognized the unique and ultimate significance of his Op. 111 and Schubert's C minor Sonata harks back, rather, to the early and middle-period Beethoven. As a result, the affinity between the beginning of the sonata and the theme of Beethoven's C minor Variations has often been noted. But it seems to me that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themes are less instructive than the features that keep them apart. The opening bars of the Beethoven theme arouse expectations that are fully met in the following bars thanks to a foreshortening technique.

어떻게 듣는 이에게 반복만 계속된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면서 동기적으로 연관된 몇 개의 작품을 쓸 수 있을까요? 이는 공통되는 소재를 충분히 숨김으로써 가능해집니다. 예컨대 리스트의 교향시에서는 공통 요소가 너무나 분명합니다. 전체 주제의 음들은 분명히 똑같이 남아있습니다. 음악적 성격은 변할지라도 말입니다. 베토벤이나 슈베르트의 동기 연결은 좀 더 직접적인 인상을 만들어냅니다. 이들 동기의 조각들은 극도로 다채로운 결합과 변형 속에서도 모습을 보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습니다. 슈베르트 소나타 19번 c단조는 신기할 정도로 간결한 울림을 지닙니다. 이 점은 몇몇 사람들이 이 작품에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합니다. 이 때문에 이 곡을 사랑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마도 이 곡은 슈베르트가 쓴 것 가운데 베토벤과 가장 많이 비교된 소나타 중 하나일 겁니다. 굳은 결의의 성격을 지닌 c단조라는 조성, 안단테 대신에 느린 2악장에 온 A플랫 장조의 아다지오, 그리고 소나타 형식의 요소를 지닌 4악장 론도-피날레, 이 모든 것은 전형적인 베토벤의 특징인 것처럼 보입니다. 사실 베토벤은 c단조로 된 일련의 중요한 작품을 썼지만 모차르트는 c단조 소나타와 c단조 피아노 협주곡으로 베토벤을 앞질렀습니다. 그 이전에는 하이든이 c단조 소나타의 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마도 베토벤의 소나타 32번 작품 111 이후로 또 다른 c단조 소나타를 쓰는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젊은 작곡가 입장에서는 전례 없는 대담한 행동이었을 겁니다. 그러나 심지어 베토벤의 열렬한 찬양자들조차도 그의 소나타 32번 작품 111이 지닌 독특하고 궁극적인 중요성을 인식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리고 슈베르트의 소나타 19번 c단조는 오히려 초기나 중기의 베토벤을 따랐습니다. 그 결과로서, 소나타의 첫머리와 베토벤의 c단조 변주곡의 주제 사이에 유사성이 종종 지적되곤 했습니다. 그러나 제가 보기에는 이 두 주제의 유사성은 이들을 갈라놓는 특징들보다는 덜 중요한 것 같습니다. 베토벤은 주제의 처음 몇 마디는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게 했고 이 기대감은 단축 기술 덕분에 이어지는 마디들에서 충분히 만족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Schubert rouses similar expectations with his opening theme only to disappoint them in his sixth bar.

슈베르트도 첫머리 주제에서 비슷한 기대를 불러일으킵니다. 단지 여섯 번째 마디에서 그 기대를 실망시키기 위해서입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nd so it goes on... When related to Beethoven's theme, without our disappointed expectations, Schubert's theme should sound like this:

그리고 이런 과정이 계속됩니다. 기대와 실망으로 이어지는 일 없이 베토벤의 주제와 관련될 때 슈베르트의 주제는 이렇게 들려야 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When related to Schubert's own later development of the material his theme should sound like this:

악상이 슈베르트만의 방식으로 다뤄지는 후반부 발전에서는 이 주제는 이렇게 들려야 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foreshortening should really succeed or whether its failure affects the whole character of the movement. The subsequent course of the movement merely confirms the sense of despair conveyed by its opening. The structure of the themes can be justified retrospectively. In terms of its character, it can be read less as a heroic maestoso than as an expression of panic. The main figure in the tragedy is pursued into a blind alley and looks in vain for a way out. Where Beethoven conveys a comparable panic, in the "Pathetique", for example, he by no means avoids the consequence of his foreshortenings.

문제는 이러한 단축이 정말 계속되어야 하는지 아닌지, 아니면 그 실패가 악장 전체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닌지 하는 것입니다. 그 악장의 연속되는 과정은 단지 그 도입부에 의해 전달된 절망감을 확인합니다. 그 테마들의 구조는 소급해서 정당화되어집니다. 성격적인 면에서 보면 그것은 영웅적인 장엄함보다 갑작스런 공황의 표현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비극의 주인공은 막다른 골목으로 치닫게 되고 탈출구를 헛되이 찾습니다. 예를 들어 베토벤은 슈베르트에 필적하는 공포를 전달하는 소나타 8번 <비창>에서 단축이 가져오는 귀결을 결코 회피하지 않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Even at moments of extreme chaos Beethoven offers a consoling sense of order. Schubert deprives us of this certainty. What happens in Schubert's music is so directly at odds with its musical form that it occasionally goes to the very brink of disintegration. The panic of the opening movement is further intensified in the finale. Whether or not this movement is felt to express a sense of dancelike ritual or a demonic psychological hunt, it remains a picture of hopeless constraint in which relaxation is merely apparent. As a result the B major theme at the centre of the movement seems like a Fata Morgana, unreal, intangible and unattainable.

심지어 극심한 혼란의 순간에도 베토벤은 질서의 위안감을 제공합니다. 슈베르트는 우리에게서 이 확신을 앗아갑니다. 슈베르트의 음악에서 일어나는 것은 가끔 붕괴 직전까지 가는 음악 형식만큼이나 뻔할 정도로 이상해보입니다. 1악장의 돌연한 공포는 피날레에서 더욱 강렬해집니다. 1악장이 춤이 곁들여진 의식이나 악마적인 심리 사냥을 표현하는 것처럼 느껴지건 아니건 그것의 휴식은 단지 겉으로 드러날 뿐인 절망적인 억압의 그림으로 남아있습니다. 그 결과 악장 중간에 등장하는 B장조 주제는 신기루처럼 비현실적이고 막연하며 성취할 수 없는 듯이 보입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is figure in particular...

특히 이 특징은...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expresses the intangibility of the passage. It runs through one's hands like water. Schubert's well-known fondness for chromatically neighbouring keys finds particularly bold expression in this movement. There's probably no precedent for the fact that the second subject-groups in a C minor piece are in C sharp minor and B major. Even the solemn calm of the Adagio is permeated by something of the delirium of the outer movements. The episodes in this movement shake the piece's tonal foundations, feverishly and chromatically. The final return of the theme with its pizzicato accompaniment in the bass shows particularly clearly how powerfully the sound world of the String Quintet of 1828 left its mark on the last three sonatas.

그 악구의 막연함을 표현합니다. 그것은 물처럼 손 사이로 흘러버립니다. 반음으로 인접한 조성에 대한 슈베르트의 유명한 선호는 이 악장에서 특히 대담하게 표현되었습니다. C장조 작품에서 두 번째 주제 그룹이 c#단조와 B장조라는 사실은 전례가 없습니다. 심지어 2악장 아다지오의 엄숙한 고요함에도 앞뒤 악장이 지닌 모종의 흥분이 배어있습니다. 이 악장의 에피소드들은 이 작품을 이루는 음의 기초를 열에 들뜬 듯이, 그리고 반음계적으로 뒤흔듭니다. 베이스 성부의 피치카토 반주가 딸린 형태로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이 주제는, 1828년 작인 현악5중주의 음향 세계가 마지막 세 소나타에 얼마나 강력하게 영향을 미쳤는지 분명히 보여줍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coda reveals great shrewdness in exploring the degrees of the chromatic scale. Schubert struck a new note in this Adagio. His death ensure that this movement remained unique.

코다는 반음계 음정들을 탐구하는 데서 위대한 통찰력을 드러냅니다. 슈베르트는 이 아다지오(2악장)에서 새로운 음을 만들어냈습니다. 그의 죽음은 이 악장이 유일무이한 것으로 남게 했습니다.

Moments musicaux, D. 780 / 악흥의 한때
No. 1 in C major: Moderato
No. 2 in A flat major: Andantino
No. 3 in F minor: Allegro moderato
No. 4 in C sharp minor: Moderato
No. 5 in F minor: Allegro vivace
No. 6 in A flat major: Allegretto

The shorter piano pieces, the Moments musicaux, the Impromptus and perhaps some of the dances were long regarded as Schubert's principal achievement as a piano composer. For those pianists who played piano duets, there were also the Marches, Rondos, Variations, Polonaises and the "Divertissement a la Hongroise". The F minor Fantasy and the "Wanderer" Fantasy occupied a place apart. Listeners mistrusted the sonatas. They belonged to an old-fashioned genre and none of them could hold a candle to Beethoven. Not until 1827 did Schubert publish those famous sets of shorter works for piano two hands, the Moments musicaux and the Impromptus. Perhaps he was responding to market demands, for sonatas were of greater interest to him. The dances are Schubert's aphorisms. He was not always equally careful as an aphorist and the order to the landler, waltzes and German Dances was presumably left to chance. Schubert's finest, most elaborate landler are in the trios of his scherzos, in his sonatas, his chamber works and his symphonies. When compared to many of his dances the Moments musicaux are works of positively loving perfection, sharply individualized and lovingly arranged, concentrated character pieces like some of Beethoven's Bagatelles, with which they also share their sense of concentration. The first Moment musical is an Alpine nature piece, a mountain piece. It could be called "The Yodeller and his Echo".

피아노 소품들, <악흥의 한때>, <즉흥곡>, 아마도 몇몇 춤곡들은 오랫동안 피아노 작곡가로서의 슈베르트의 주요 성과로 간주되었을 것입니다. 피아노 듀오 작품들을 연주한 피아니스트들의 경우에는 행진곡, 론도, 변주곡, 폴로네즈, 4개의 손을 위한 <헝가리풍의 디베르티스망>도 있었습니다. 4개의 손을 위한 환상곡 f단조와 <방랑자 환상곡>도 하나의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청취자들은 소나타를 믿지 않았습니다. 소나타는 구식 장르에 속했으며 소나타 중의 아무 것도 베토벤만 못했습니다. 슈베르트가 1827년에 피아노 독주를 위한 유명한 피아노 소품들, 악흥의 한때, 즉흥곡을 출판할 때까지 아니었습니다. 어쩌면 그는 소나타가 그에게 보다 흥미로웠기 때문에 시장의 요구에 응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춤곡은 슈베르트의 금언입니다. 그는 금언 작가로서 항상 똑같이 조심스럽지 않았으며 랜틀러, 왈츠, 독일 춤곡에 대한 주문은 아마도 운에 맡겨졌을 것입니다. 슈베르트의 가장 훌륭하고 고상한 랜틀러는 그의 스케르초, 소나타, 실내악, 교향곡에 있습니다. 그의 많은 춤곡들과 비교할 때 <악흥의 한때>는 긍정적으로 사랑스러운 완벽함을 가진 작품들로, 예리하게 개별화되었으며, 역시 집중된 감각을 공유하는 베토벤의 바가텔처럼 집중된 성격 소품들입니다. <악흥의 한때> 1번은 알프스의 자연 조각, 산 조각인데, <요들 가수와 그의 메아리>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Whereas I see this piece's main movement more as a depiction of nature the middle section in G major strikes me as an expression of joyful gratitude to nature, a feeling that both Schubert and Beethoven are known to have expressed in words.

저는 이 곡의 주요 악장을 자연의 묘사로 더 많이 보는 반면, G장조의 중간부는 슈베르트와 베토벤이 말로 표현한 것으로 알려진 느낌인 자연에 대한 즐거운 고마움에 대한 인상으로 제게 충격을 줍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Between times we gaze down into the ravines in D major.

때때로 우리는 D장조의 협곡을 내려다봅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n the second Moment musical the narrator alternates with the singer the narrator begins.

<악흥의 한때> 2번에서는 내레이터가 가수와 번갈아가며 내레이터가 시작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singer later continues.

가수는 나중에 계속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n this piece, too, we find a distinctive feature of Schubert's piano writing. Octave doublings are temporarily resolved into part-writing.

이 곡에서도 슈베르트의 피아노곡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옥타브 더블링이 일시적으로 각 성부의 작곡으로 해결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Here the colour of the chord of the diminished seventh is emphasized by removing the octave doubling. Schubert's notation was very old-fashioned in this piece, as can be seen from the suspensions. Or, rather, one appears not to notice this, as they are always incorrectly played as short appoggiaturas, instead of on the beat. One normally hears this:

여기서 감7화음의 색상은 옥타브 더블링을 제거함으로써 강조됩니다. 이 걸림음에서 볼 수 있듯이 슈베르트의 표기는 이 곡에서 매우 구식입니다. 더 정확히는, 이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걸림음이 항상 박자에 맞는 대신에 짧은 아포자투라(앞꾸밈음)으로 잘못 연주되기 때문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이 듣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But it should sound like this:

그러나 다음과 같이 들려야 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Short passing notes rob the appoggiaturas of their expressive force and rhythmic sense. Their rhythm would not be any different from the semiquavers of the theme. In the well-known third piece, narrative and song are joined by gesture - dance. This piece was written in 1823 and appeared a year later in an "Album musical" published by Sauer & Leibersdorf under the nonsensical title "Air russe". I regard this piece as a polka. In the fourth Moment musical, in C sharp minor, the polka is joined by a kind of Bachian prelude. The prelude is in the right hand, the polka in the left.

짧게 지나가는 음들은 표현력과 리듬 감각의 아포자투라(앞꾸밈음)를 빼앗습니다. 아포자투라의 리듬은 주제의 16분음표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잘 알려진 <악흥의 한때> 3번에서 묘사와 노래는 몸짓인 춤으로 연결됩니다. 이 곡은 1823년에 작곡되었으며 1년 후 무의미한 제목 <러시아의 노래>로 “자우어 & 라이베르스도르프”에서 <음악 앨범>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저는 이 곡을 폴카로 여깁니다. <악흥의 한때> 4번 c#단조에서 폴카는 일종의 바흐 프렐류드로 연결됩니다. 프렐류드는 오른손에, 폴카는 왼손에 있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middle section in D flat major is a dream polka. The main stresses are displaced or concealed, as they were later to be with Schumann.

D플랫 장조의 중간부는 꿈의 폴카입니다. 주요 악센트는 나중에 슈만과 함께 있을 때처럼 옮겨지거나 숨겨집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main stresses do not fall on the long notes, which were accented by Schubert. According to the time signature they are on the notes that we hear as the upbeat.

주요 악센트는 슈베르트가 강조했던 긴 음표로 돌려지지 않습니다. 박자 기호에 따르면 악센트는 우리가 여린박으로 듣는 음표에 있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fifth piece similarly reminds me of Schumann as it's almost entirely monothematic, as though possessed by an idee fixe, a showpiece of furious, almost comical obstinacy. Its sense of disquiet stems from its constantly shifting periodic structure. The sixth piece, in A flat major, is a menuetto in terms of its form rather than its character. It's characterized not by graceful balance but by its declamatory language.

<악흥의 한때> 5번은 거의 코믹한 집요한 끈기를 가진 맹렬한 대표작으로 강박관념에 의해 소유된 것처럼 거의 단조롭기 때문에 슈만과 유사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알려줍니다. 그 불안감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주기적 구조에서 생겨납니다. <악흥의 한때> 6번 A플랫 장조는 그 성격보다는 형식에 관해서 미뉴에트입니다. 이 곡은 균형이 잘 잡혀 있는 것이 아니라 열변을 토하는 언어로 묘사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lfred Einstein said the piece could be the menuetto of an unwritten sonata. It was published in 1825, in the second edition of the "Album musical" mentioned earlier, with the even more nonsensical title "Plaintes d'un Troubadour". Its middle section...

알프레드 아인슈타인은 이 곡이 슈베르트가 작곡하지 않았던 소나타의 미뉴에트 악장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곡은 앞서 언급한 <음악 앨범> 두 번째 판에서 더 무의미한 제목 <음유시인의 불만>으로 1825년에 출판되었습니다. 그 중간부는...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recalls a piece written by the Czech composer Wenzel Tomasek in 1815. A minor composer of lyrical piano works, he anticipated the Romantics. Transposed to D flat major, it sounds like this:

...체코 작곡가 벤젤 토마셰크가 1815년에 쓴 곡을 떠오르게 합니다. 서정적인 피아노 작품들의 비중이 낮은 작곡가인 그는 낭만주의를 예상했습니다. D플랫 장조로 편곡하면 다음과 같이 들립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re's something very moving about the way in which the repeat of the menuetto - although literal - The idea that there appears to be a third mode in addition to major and minor is demonstrated by the ending, with its open octave.

문자 그대로지만 미뉴에트의 반복에 대해 매우 가슴 뭉클하게 하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장조와 단조 외에 제3의 조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악상은 미결의 옥타브로 곡이 끝나는 것에 의해 입증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ree Piano Pieces, D. 946 / 3개의 피아노 소품
No. 1 in E flat minor: Allegro assai
No. 2 in E flat major: Allegretto
No. 3 in C major: Allegro

In 1963 I was invited to play at a charity concert at an embassy. Pope John XXIII died on the day before the concert and the state of national mourning meant the next day's events were cancelled. The ambassador rang me up and explained that in spite of this he had decided that the concert should go ahead. The pope, he said, would approve as the concert was meant to help those in need. As for the programme, he had only one request. Mozart and Beethoven were fine by him but the name of Schubert might suggest a certain frivolity on account of "Lilac Time". I've told you this story in order to show you that our grandparents' prejudices are still alive and kicking today. The worldwide success of "Lilac Time" made Schubert an object of kitsch. One of Schubert's pieces that Herr Berte plundered for his operetta was the second of the three posthumous Klavierstucke. These works date from 1828, the year in which Schubert died. They are dated "May 1828", but it was not until forty years later that they were published by Brahms. Like the last three sonatas, they were published posthumously - after the composer's death - even though most of Schubert's other works to which publishers gave posthumous opus numbers didn't appear in print in Schubert's lifetime. I share Paul Badura-Skoda's view that the autograph of these three pieces is not a fair copy - unlike that of the Impromptus, say - but an early and relatively cursory draft. Clearly Schubert failed to revise it. Some of the bridge passages are so impressively bare one would think that they were by late Liszt. In the third piece Schubert moves from C major to D flat major without any attempt to mediate between them.

1963년에 저는 대사관의 자선 연주회에 초청받았습니다. 교황 요한 23세가 연주회 전날에 사망하여 국가적인 애도가 있었는데, 이는 다음날의 행사가 취소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대사님이 제게 전화를 걸어서 이와 같은 상황임에도 연주회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하셨습니다. 교황은 이날 연주회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찬성했을 것입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그는 단 한 가지만 요청했습니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은 괜찮았지만 슈베르트의 이름은 <라일락 핀 시절> 때문에 어떤 경솔한 것을 나타냈을지도 모릅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우리 조부모님의 편견이 아직 살아있고 오늘날 저항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이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라일락 핀 시절>의 세계적인 성공은 슈베르트를 키치(싸구려 예술)의 대상으로 만들었습니다. 베르테 씨가 그의 오페레타(<라일락 핀 시절>)에 표절한 슈베르트의 곡들 중 하나는 3개의 유작 피아노 소품들 중에서 2번입니다. 이 작품은 슈베르트가 죽은 해인 1828년에 작곡되었습니다. “1828년 5월”로 기록되었지만, 브람스가 출판한지 40년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3개의 후기 소나타처럼 이 곡들은 작곡가의 사후에 유작으로 출판되었습니다. - 유작 작품 번호를 주었던 출판사들에게 슈베르트의 다른 대부분의 작품들은 슈베르트의 평생 동안 인쇄되어 나오지 않았지만요. 저는 이 3개의 소품의 자필 악보가 - 말하자면 즉흥곡과 달리 - (고친 데가 없는) 깨끗한 원고(정서본)가 아니라 일찍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초안이라는 파울 바두라-스코다의 견해를 공유합니다. 분명히 슈베르트는 그것을 개정하지 못했습니다. 두 주제를 잇는 간주 악절(間奏樂節)의 일부는 매우 인상적이라는 것이 드러났으므로 후기 리스트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피아노 소품 3번에서 슈베르트는 조성들 사이에 중재하려는 시도도 없이 C장조에서 D플랫 장조로 옮깁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first of these piano pieces was written down in five sections, in the form A-B-A-C-A, but Schubert himself struck out the second episode - the C section. He was right to do so. First, this episode is weaker in terms of its invention; second, the first subject-group, A, is too long to be repeated in its entirety; third, the A-B-A form fits symmetrically into the three Klavierstucke: two ternary forms frame a central piece in five sections. In spite of this, the discarded episode appears in most editions, generally without a footnote, as if it were still part of the piece. On one of my recordings it's described in the liner notes even though I don't play it. We really must allow Schubert the right to cut whatever he didn't like. People initially neglected these and other works by Schubert, but then suddenly they cannot get enough of him and clutch desperately at discarded or unfinished works, as if there weren't already enough finished works. The extant version of these three piano pieces strikes me as a series of inspired sketches that are clear enough for us to feel obliged and able to play them as long as we add the missing tempo marking over the middle section of the third piece, for example. This piece, I should add, combines Bohemia's two national dances, the polka and the sousedska. In the polka we hear sounds that could come from "The Bartered Bride".

이 피아노 소품 중 1번은 A-B-A-C-A 형식의 5개 섹션으로 작곡되었지만, 슈베르트 자신은 두 번째 에피소드인 C섹션을 지웠습니다. 그가 그렇게 한 것은 옳았습니다. 첫째, 이 에피소드는 그 창조의 관점에서 보다 약합니다. 둘째, 첫 번째 주제 그룹인 A는 너무 길어서 전체적으로 반복될 수 없습니다. 셋째, A-B-A 형식은 3개의 피아노 소품에 대칭적으로 맞는데, 2개의 세도막 형식은 다섯 섹션에서 곡의 중간을 구성합니다. 이와 같음에도 불구하고 버려진 에피소드는 아직도 곡의 일부인 것처럼 일반적으로 부차적인 존재 없이 대부분의 판에 나타나는데, 제가 연주하지 않더라도 제 녹음들 중의 하나에 있는 라이너 노트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정말로 슈베르트가 자신이 싫어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잘라낼 권리를 허용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처음에 슈베르트가 쓴 3개의 피아노 소품들과 다른 작품들을 소홀히 했다가도, 이미 충분히 완성된 작품들이 없는 것처럼 폐기되거나 완성되지 않은 작품들에 눈을 떼거나 절망적으로 붙잡을 수 없습니다. 제게 일련의 영감 받은 스케치로 충격을 주는 남아있는 이 3개의 피아노 소품은 예를 들어 3개의 피아노 소품 3번의 중간부에 빠진 템포 표시를 추가하기만 하면 우리에게 고맙게 느끼기에 분명히 충분하며 이 곡들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제가 추가해야 하는 이 곡은 보헤미아의 두 가지 국가적인 무용인 폴카와 소세카(이웃사람들의 춤)를 결합합니다. 폴카에서 우리는 스메타나의 오페라 <팔려간 신부>에서 나올 수 있었던 소리를 듣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nd the sousedska transports us to the world of Dvorak's "Slavonic Dances".

그리고 소세카는 우리를 드보르작의 <슬라브 무곡>의 세계로 안내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YENRsbze3KE
https://www.youtube.com/watch?v=TKy0Lyl4g-s

DVD 5
A장조라는 조성은 전통적으로 밝은 햇살이나 듣기 좋은 가락, 따뜻함, 풍부한 짜임새, (야하지는 않은) 색채감, 기운을 돋우면서도 그리 심하지는 않은 장난기, 무르익은 풍요로움 등과 관련되어 있다(영국에서는 안개와도 관련이 있지만 말이다.). 슈베르트가 쓴 마지막 소나타는 이 모든 요소를 아우르고 있다. 인상적이며 거의 호전적으로까지 들리는 첫머리는 엄격한 울림과 딱딱하고 공격적인 리듬, 작살처럼 내리꽂히는 하강 도약 등이 지배하고 있어 이런 요소를 거의 찾을 수 없으나, 팡파르가 아직 듣는 이의 귀에서 채 사라지기도 전에 거의 무게감 없이 떨어지는 (그럼에도 무성하게 우거져 있는) 나뭇잎처럼 셋잇단음표의 부드러운 소나기가 온 몸을 적시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예기치 못한 풍요로운 대비가 이 악장, 나아가 이 소나타를 이룬다. 상호 인용과 미묘한 변화로 점철된 이 곡은 지금까지 작곡된 모든 소나타의 세계에서도 가장 정밀하게 (그리고 가장 까다롭게) 구성된 작품에 속한다. 전통적인 고전파 양식을 폭넓게 수용(이 점에서 그는 자신이 존경했던 베토벤보다 훨씬 더 보수적이었다.)했으면서도, 슈베르트는 거의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발전이라는 놀라운 체험을 선사한다(이는 작곡가 자신에게도 무시할 수 없는 도전이었을 것이다.). 위대한 소나타라면 대부분 그렇듯이, 이 작품의 핵심도 느린 악장에 있다. 이 경우는 그렇게 느리지만은 않지만 말이다. 이보다 더 가슴을 쥐어짜는 슬픈 악장은 그 뒤로 작곡된 적이 없다. 잉그리드 버그만(스웨덴 출신의 영화배우)은 이렇게 말했다. “행복은 좋은 건강과 나쁜 추억에서 비롯된다.” 슈베르트 역시 끔찍했던 추억을 지니고 있었다. 우리 모두가 그렇듯이 그도 결국 회복되었지만, 이후로도 그(그리고 우리 모두)의 눈앞에는 심연이 펼쳐져 있는 것이다. 즐겁고 경쾌한 스케르초(3악장)와 서정적이고 대담하며 여유로운 피날레(4악장)는 안단티노(2악장)에서의 체험에 어느 정도, 그러나 심하지는 않을 만큼 영향을 받고 있다.

위대한 <소나타 21번 B플랫 장조>가 슈베르트 소나타의 대미를 장식한다. 이 작품은 언뜻 보기에 대단히 광대하면서도 극도로 단순하다. 작곡가는 이 곡의 어느 대목에서도 서두르지 않는다. 어디서도 악상이 서로 부대끼는 일이 없다. 모든 대목에서 슈베르트는 모든 것을 (영적인 면에서건, 감정적, 음악적, 혹은 표현 면에서건) 그 정수에 이르기까지 다듬는 것처럼 보인다. 비록 그가 쓴 다른 어떤 곡만큼이나 순수하게 슈베르트적이기는 하나, 이 곡은 어떻게 보면 광활한 폭과 경제성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서사시적인 규모로 확장된 모차르트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이는 모순이 아니다. 슈베르트의 어법 가운데 일부는 광활함으로 특징지어진다. 풍요로움과 초시간성이야말로 이 걸작의 전체적인 정신과 구조 그리고 미적 관심의 핵심을 이룬다. 그리고 작곡가는 탁월한 판단력으로 광대한 두 악장(그러나 1악장만큼 광대하지는 않다.) 사이에 낀 스케르초 악장을 간결하게 처리했다. 만약에 이 3악장마저도 길었다면 분명히 전체적인 짜임새가 망가졌을 것이다. 피날레는 두 번의 폭발(악상의 반복 때문에 두 번째는 효과가 덜하다.)을 거친 뒤 당당하고 낙관적인 코다로 마무리된다.

Sonata in A major, D. 959 / 소나타 20번
I. Allegro
II. Andantino
III. Scherzo. Allegro vivace
IV. Rondo. Allegretto

Schubert discovered feverishness in music. In the second movement of the grandiose A major Sonata, which, like the Sonatas in C minor and B flat, he wrote just before his death, we find the most astonishing example of this musical fever. It's not explosions of anger, storms and hail that break over the listener, as in Beethoven's early rondos. In Schubert's case, it's not the sky that clouds over, but the conscious mind. Visions of terror take us to the very brink of madness. They remind me of the fact that the painter Goya died in the same year as Schubert. The music doesn't reproduce chaos here but it is seemingly allowed to be chaotic in the middle section of the Andante to the extent that music's links to functional harmony made this possible. This degree of anarchy is something probably not surpassed until Schoenberg in the third of his Op. 11 piano pieces. Precisely because the first two movements of his A major Sonata are so bizarre and rhapsodical I'd like briefly to explore with you the world of musical analysis. However different this sonata of Schubert's is from Beethoven's, it nonetheless shares with it the fact that all its movements are linked together by the same motivic building blocks. Even the "Wanderer" Fantasy had aspired to a motivic link between its movements. In Schubert's last three sonatas this link is less apparent but, as a result, it's all the more logical and consequential. As with Beethoven, the themes of all the movement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whereas in the "Wanderer" Fantasy the second subject-groups were all devised to be independent of the main themes. People often speak of the inner unity of a sonata or symphony and of the non-exchangeability of its movements but they rarely notice that the musical material of a masterpiece can provide proof of this unity. In the A major Sonata there are two pairs of adjacent notes: F sharp-E or F-E or, alternatively, G sharp-A, around which the themes are structured.

슈베르트는 음악에서 열정을 발견했습니다. 19번 c단조 소나타나 21번 B플랫 소나타와 마찬가지로 슈베르트가 죽기 전에 썼던 웅대한 20번 A장조 소나타의 2악장에서 이 음악적 열정의 가장 놀라운 예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베토벤의 초기 론도에서처럼 듣는 이에게 퍼부어지는 폭풍우나 우박, 분노의 표출은 아닙니다. 슈베르트의 경우엔 그것은 짙은 구름이 드리워진 하늘이 아니고 자각하고 있는 의심입니다. 공포에 대한 환상은 우리를 광기 바로 직전까지 이르게 합니다. 그 환상들은 화가 고야가 슈베르트와 같은 해에 죽었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 음악은 여기서 혼란을 주지는 않지만 2악장 안단테의 중간부에서 기능 화성이 허용하는 범위까지는 외관상으로 혼란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혼란은 쇤베르크가 쓴 피아노 소품 Op. 11의 세 번째 곡 이전에는 다시 찾아볼 수 없습니다. 슈베르트가 쓴 20번 A장조 소나타의 첫 번째 두 악장은 너무나 기괴하고 자유분방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여러분과 함께 음악적 분석의 세계를 잠시 탐험해보고 싶습니다. 그러나 슈베르트의 이 소나타는 베토벤과는 다르지만 그럼에도 이 소나타의 전 악장이 같은 기초 악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심지어 <방랑자 환상곡>에서도 각 악장 사이를 잇는 연결고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슈베르트의 마지막 3개의 소나타에서 이 연결고리는 덜 분명합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더 논리적이고 필연적입니다. 베토벤의 경우에는 모든 악장의 주제가 같은 성격을 보여줍니다. 반면 <방랑자 환상곡>에서는 부 주제 그룹이 주 주제로부터 독립된 존재로 다루어집니다. 소나타나 교향곡은 내적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각 악장은 서로 바뀔 수 없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진정한 걸작은 음악 소재만으로도 이러한 통일성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A장조 소나타 20번에서 주제부 주변에 F#-E 혹은 F-E 아니면 G#-A 등의 음이 서로 인접해 한 쌍을 이루고 있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t can also be their inversions:

또한 음이 반대로 배열된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Or:

또는...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Let me play you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movement.

제가 첫 악장의 시작 부분을 연주해 보겠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ree times this opening contains the interval E-F sharp or F sharp-E.

이 대목에서는 E-F# 혹은 F#-E가 세 번 등장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t the end of this progression comes the interval A-G sharp.

이 연주의 마지막에는 A-G#가 나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Let me play you the second subject as it appears in the recapitulation, in other words, in A major.

이제 제2주제가 재현부에서 A장조로 등장하는 대목을 연주하겠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n this theme the melodic line first includes both intervals of a second. A-G sharp and F sharp-E. Later we again have F sharp-E.

이 주제에서 멜로디 라인은 맨 처음에 두 개의 2도 음정을 보여줍니다. A-G#와 F#-E, 나중에 다시 F#-E가 나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While the middle voice remains entirely on the interval A-G sharp.

반면 중간 성부는 오직 A-G#만 연주합니다.

Not only the themes circle around these same few notes, so, too, do their transpositions and even the transitional figures that seem to be carelessly scattered around. The musical idea that follows the opening theme, for example, quotes both intervals of a second at once.

단지 그 테마들에만 이 똑같은 몇 개의 음들이 반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들의 전위형에서도 볼 수 있고 무심코 흐트려 놓은 듯한 경과구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예컨대 첫머리 주제를 잇는 악상에서는 앞서 말한 2도 음정 두 개가 함께 등장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G sharp-A and E-F at once. The introductory passages of the second subject-group likewise make little sense without these two basic motifs.

G#-A와 E-F 음정 말이지요. 두 번째 주제 그룹의 도입부 소절은 이 두 개의 기본 동기 없이는 의미가 통하지 않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Let me play this again, this time stressing these intervals.

이것을 제가 다시 연주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이 음정들을 강조하면서.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t many points in this sonata Schubert uses a particularly exciting device, for the first time, I think. He brings both intervals of a second together and in that way he creates harmonically ambivalent situations: we are, as it were, in two keys at once. Let me play you a passage from the opening movement.

이 소나타의 여러 대목에서, 제가 보기에 슈베르트는 흥미로운 방법들을 처음으로 구사합니다. 두 개의 2도 음정을 결합함으로써 모순된 상황을 조화롭게 만듭니다. 마치 두 조성이 한 번에 울리는 듯합니다. 제가 여러분들에게 1악장 중 한 소절을 연주해드리겠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nd another passage from the development section where it emerges with particular clarity.

그리고 특별한 명쾌함이 드러나는 전개부의 또 다른 소절도 연주해드리겠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Superimposed, as it were.

마치 겹쳐진 것처럼 들리지요.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Why do we concern ourselves with technical details of this kind instead of simply allowing ourselves to be impressed by them? Many people will say that we can hear these things only if we know they are there. I would say to you that a knowledge of these things doesn't diminish their emotional impact but sometimes puts it on the right lines. Conversely, we also gain criteria that help us answer a question that has always concerned me: Wherein lies the difference between a masterpiece and works by lesser composers? The phenomenon of Schubert in particular has fuelled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composer is a kind of passive tool who is overwhelmed by ideas from some higher world. Franz Liszt summed this up very well. He addresses Schubert directly: "You almost cause us to forget the greatness of your mastery, because of the magic of your mind." There's another way in which Beethoven's name is linked to this sonata. The splendid finale of this work was modelled on the rondo from Beethoven's Sonata Op. 31 No. 1. As both Charles Rosen and Edward Cohen have notes, Schubert used not only Beethoven's formal ground plan in his own piece, many other individual features were also taken over. But its atmosphere is so different, its emotional range is so much greater and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s between its sections are so drastically altered that we can barely divine the mystery of the result. I think it unlikely that anyone listening to Schubert's rondo would be reminded of Beethoven's style if they didn't already know the Op. 31 No. 1 rondo.

우리는 왜 이런 종류의 기술적 세부사항에 감명 받지 않고 단지 관심만 가지는 것일까요? 많은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우리가 그 세부사항들을 알 때만 이것을 들을 수 있다고 저는 여러분에게 말하고 싶습니다. 이들 세부사항에 관한 지식은 이들의 감정적 영향력을 줄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제가 항상 품어온 의문, 즉 시시한 작곡가의 작품과 대가의 걸작 사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우리가 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척도를 얻습니다. 특히 슈베르트라는 인물은 작곡가란 다른 세계에서 온 착상에 압도당한 수동적인 도구와도 같은 존재라는 오해를 부채질해왔습니다. 프란츠 리스트는 이 사실을 매우 잘 말해주었습니다. 그는 슈베르트와 대화하는 것처럼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습니다. “당신의 마음에 깃든 마법 때문에 우리는 당신의 재능을 거의 잊게 됩니다.” 베토벤의 이름과 이 소나타가 연관이 있다는 또 다른 설도 있습니다. 이 작품의 훌륭한 피날레는 베토벤 소나타 16번 Op.31 No. 1의 3악장 론도를 모델로 하고 있었습니다. 찰스 로젠과 에드워드 코헨이 언급해왔듯이 슈베르트는 자신의 작품에 베토벤의 기초적인 형식만을 쓰지는 않았습니다. 많은 다른 개인의 특징들도 또한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그것의 분위기는 너무나 다르고 그것의 감정적 범위는 훨씬 폭넓습니다. 그리고 각 부분 사이의 비례 관계가 너무도 과감히 바뀌어 우리가 그 미지의 결과를 거의 추측할 수 없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만약 이전에 베토벤 소나타 16번 Op.31 No. 1의 3악장 론도를 몰랐다면 슈베르트의 론도를 듣는 이는 베토벤의 형식을 생각할 수 없었을 겁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nstead, the listener would describe it as a particularly pure example of Schubert's instrumental lyricism. Conversely, anyone hearing Beethoven's rondo who didn't know Schubert's rondo or their dates of composition would consider this movement the most Schubertian that Beethoven ever wrote.

대신, 그 청중은 그것을 슈베르트의 기악 작품이 지닌 서정성의 순수한 예로 묘사할 겁니다. 반대로, 베토벤의 론도를 슈베르트의 론도나 그 작곡 시기를 모른 채 듣는 이는 이 악장을 베토벤이 쓴 것 가운데 가장 슈베르트적인 것이라고 생각할 겁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By 1828 Schubert must have felt sufficiently secure to learn from Beethoven without abandoning his own identity.

1828년에 슈베르트는 자신의 정체성을 버리지 않은 채 베토벤에게 충분히 배웠음이 틀림없습니다.

Sonata in B flat major, D. 960 / 소나타 21번
I. Molto moderato
II. Andante sostenuto
III. [Scherzo] Allegro vivace con delicatezza
IV. Allegro ma non troppo

The B flat Sonata was completed less than two months before Schubert's death. In 1828 Schubert wrote not only his last three sonatas but F minor Fantasy for piano duet, the song of "Schwanengesang", the Mass in E flat major and the three posthumously published Klavierstucke. And he at least revised the C major Symphony. These are merely the main works. This tremendous workload must have further weakened his already frail constitution. At least the first two movements of the B flat major Sonata sound like a leave-taking but with open, clear-sighted, dry eyes. Even so, it would be irresponsible to assume that Schubert, already sick with typhoid fever, suspected he was to die prematurely. Schubert's music had long been familiar with death. His late style is not a late style like that of "Die Zauberflote". If the B flat major Sonata puts us in mind of late works by other composers this is almost certainly accidental. Beethoven's last work, the rondo-finale that he wrote for the B flat major Quartet Op. 130 and that was meant to replace the "Grosse Fuge" resembles the finale of Schubert's B flat major Sonata. Both movements seem to start in a foreign key; both transport us back to earth. And in the case of Mozart's last keyboard concerto, also in B flat, not only the sense of calm, a certain resignation and its songlike qualities look forward to Schubert. Schubert himself could have had the idea of modulating from B flat major to the remote key of B minor, as he does at the start of the development section.

21번 B플랫 소나타는 슈베르트가 죽기 두 달 전에 완성되었습니다. 1828년 슈베르트는 그의 마지막 세 소나타뿐 아니라 현악6중주, 피아노2중주를 위한 f단조 환상곡, 연가곡 <백조의 노래>, E플랫 장조의 미사곡, 또한 유작으로 출판된 <3개의 소품>을 썼습니다. 그리고 그는 C장조 교향곡 9번 <그레이트>를 개정했습니다. 이것은 단지 주요 작품들만입니다. 이 엄청난 작업량은 이미 그의 연약한 체력을 악화시켰음에 틀림없습니다. 적어도 B플랫 장조 소나타 21번의 첫 번째 두 악장은 눈물을 흘리지 않고 두 눈을 뜬 채 작별인사를 고하는 듯이 들립니다. 그렇더라도 이미 장티푸스로 인해 열에 시달리고 있던 슈베르트가 자신이 너무 일찍 죽는다고 생각했으리라 추정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일 것입니다. 슈베르트의 음악은 죽음과 오랫동안 친숙해왔습니다. 그의 후기 형식은 모차르트의 <마술피리>와 같은 것이 아닙니다. 만약 B플랫 장조 소나타 21번이 다른 작곡가들의 후기 작품들을 연상시킨다면 이것은 거의 확실한 우연입니다. 베토벤의 마지막 작품들로 B플랫 현악4중주 13번 Op. 130의 일부분으로 작곡되었으며, 그리고 “대푸가”(베토벤 현악4중주 6악장)를 대체하는 론도 피날레(슈베르트 소나타 21번 4악장)는 슈베르트의 B플랫 소나타 21번과 닮아있습니다. 두 악장 모두 이질적인 조성으로 시작하는 듯 보입니다. 두 악장은 우리를 현실로 되돌려 보냅니다. 그리고 역시 B플랫 장조로 되어 있는 모차르트의 마지막 피아노 협주곡은 평온함과 일종의 체념 그리고 노래하는 듯한 성격으로 슈베르트를 예견케 합니다. 슈베르트는 B플랫 장조부터 b단조라는 먼 조성에 이르기까지 조옮김하려는 생각을 가졌을 것입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n the opening movement of the B flat major Sonata Schubert achieves a magnificent harmonic projection of a very different kind. Just before the end of the development section, he quotes the main theme in the tonic, B flat major, and yet we see it as belonging to the world of D minor, as though from an extreme distance.

전개부의 시작에서 그랬듯이 B플랫 장조 소나타 21번 도입부 악장에서 슈베르트는 매우 다른 종류의 장엄한 조화의 계획을 성취합니다. 그는 전개부가 끝나기 직전에 주 주제를 기본 조성인 B플랫 장조로 등장시킵니다. 그러나 그것은 지극히 먼 d단조의 세계에 속한 것처럼 여겨집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When the opening theme returns a few lines later in its basic form our standpoint has changed completely. The theme is once again very close to us in its hymn-like delicacy.

도입부 테마가 몇 줄을 그것의 기본 형태로 나중에 되돌아갈 때 우리의 관점은 완벽하게 변하게 됩니다. 그 테마는 다시 찬송가 같은 고상함으로 매우 가깝게 다가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n understanding of this theme is decisive for our understanding of this movement. Unlike the composer Dieter Schnebel, I don't regard this trill as a disruptive foreign body. Nor, unlike August Halm, do I see it as a movable feast in comparison to the immovability of the theme. I see it as a third dimension that is part and parcel of the theme into whose depths we peer.

이 주제를 이해하는 것은 이 악장을 이해하려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작곡가 디터 슈네벨과는 달리 저는 이 트릴을 파괴적인 외부 물체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또한 아우구스트 할름과 달리 저는 그것을 주제의 고정적인 성격과 비교해 이동 축제일로 보지도 않습니다. 저는 이 트릴이 주제의 일부이자 주제와 동등한 것으로 3차원적인 깊이를 지녔다고 봅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During the rest the sound dies away into infinity. It's not continuity that is interrupted here. Rather, a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music and silence. The minor-key clouding of the trill also seems to me to be adumbrated in the solemn melancholy of the opening. It's a dark reflex of the G-F in the fourth bar and the following bars.

나머지 부분에서 음은 무한을 향해 사라집니다. 이는 연속성을 방해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음악과 침묵 사이의 관계를 확립합니다. 엄숙한 슬픔을 보여주는 제시부에서 트릴을 흐리는 단조 조성이 윤곽을 드러냅니다. 그것은 네 번째 마디와 다음 마디들에서 G-F 음정의 어두운 반영입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ll three of the 1828 sonatas share this interval as their main motif,

1828년에 작곡된 세 개의 소나타 모두 그것들의 주요 동기로서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s a major sixth,

장6도 음정으로서,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as a minor sixth,

단6도 음정으로서,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or as a three-note auxiliary.

또는 세 음표로 된 보조음으로서 이 음정을 공유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In the B flat major Sonata the interval of F-G flat-F in the bass dominates the whole exposition.

B플랫 장조 소나타 21번에서 베이스 성부의 F-G플랫-F 음정은 전 제시부를 지배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opening theme immediately reappears in G flat major.

그 제1주제는 G플랫 장조로 바로 다시 나타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first second-subject group later appears in F sharp minor.

첫 번째 제2주제 그룹은 나중에 f#단조로 나타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development section begins on the fifth of F sharp, in C sharp minor.

전개부는 c#단조에서 F#의 5도 음정으로 시작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second movement, too, is in C sharp minor. This is the most beautiful of all elegies for the piano. The Scherzo similarly vacillates. C sharp and F sharp can be heard here as D flat and G flat major.

2악장 역시 c#단조입니다. 이것은 피아노를 위한 모든 애가(엘레지)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것입니다. 3악장 스케르초는 유사하게 변동됩니다. C#과 F#는 D플랫과 G플랫 장조로 들릴 수 있습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finale begins on the major sixth, G, which is comically stressed throughout the whole rondo, like an accent in the horns. The G flat is of significance here only as an auxiliary note.

장6도 음정인 G음으로 시작하는 마지막 4악장은 호른에서의 강세처럼 론도 전체에 걸쳐 코믹하게 강세가 주어져 있습니다. G플랫은 여기서 단지 보조음으로서만 중요합니다.

(Brendel plays. / 브렌델이 연주한다.)

The minor sixth is finally vanquished before we reach the final stretta. The piece ends on a happy and almost carefree note. I find less sigh-filled weariness in this movement than humour and playful strength. In this respect, too, the movement is related to Beethoven's last work. Schubert then wrote the song "The Shepherd on the Rock" before he died. In its stylized grace it reveals nothing of Schubert the expressionist. Grillparzer's epitaph "The art of music here entombed a rich possession but even fairer hopes" is not true. No doubt Schubert's inexhaustible musical imagination concealed many more surprises. but whether he would have been able to create anything more beautiful than the B flat major Sonata is bound to remain an open question.

단6도 음정은 마침내 우리가 마지막 스트레타에 도달하기도 전에 극복됩니다. 그 소품은 즐겁고 대부분 태평스런 음표로 끝을 맺습니다. 저는 이 악장이 유머와 쾌활한 힘보다는 연약함으로 차 있음을 발견합니다. 이런 면에서 이 악장은 베토벤의 마지막 작품과 관련이 있습니다. 슈베르트는 그 후 그가 죽기 전에 <반석 위의 목자>라는 노래를 썼습니다. 이 곡의 양식화된 우아함은 표현주의자 슈베르트를 암시하는 그 어떤 것도 나타내지 않습니다. 그릴파르처가 슈베르트를 위해 쓴 묘비명 “음악은 여기 풍부한 업적과 더불어 훨씬 더 큰 희망을 얻었다”라는 말은 사실이 아닙니다. 슈베르트의 지칠 줄 모르는 음악적 상상력은 많은 놀라움을 감추게 했던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그가 B플랫 장조 소나타 21번보다 더욱 아름다운 어떤 것을 작곡할 수 있었느냐 하는 문제는 미결의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Recording: Radio Bremen. June 1976, June 1977 & December 1977. First Release on DVD. / 라디오 브레멘에서 녹화. 1976년 6월, 1977년 6월, 1977년 12월. DVD로 첫 발매.


여기까지 동영상을 보면서 타이핑을 하여 자막을 해석했는데 과연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고 지루한 작업이었다. 클래식 음악에 대해서 나름대로 공부하는 방식인데 매번 쉽지 않다.

Google Drive / 2024. 04.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dilia Alieva”

프랑스의 아딜리아 알리예바 국제피아노콩쿠르는 아제르바이잔 피아니스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대회이다. 2014년까지 가야르에서 열리다가 2016년부터 안마스에서 열린다. 제3회 2002 Gaillard 비르투오시티 특별상 Ekaterina Avde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