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2년 12월 31일 토요일

Label / Pro Piano Records


https://www.youtube.com/channel/UCyfMQk7eJ5YxidmJXQbhVgQ/playlists


프로 피아노 레코드는 1993년 창설된 음반사로 뉴욕에 기반을 두고 있다.


Esther Budiardjo / 에스더 부디아르조

Chitose Okashiro / 치토세 오카시로

Vladimir Viardo / 블라디미르 비아르도

Sergei Babayan / 세르게이 바바얀

Ju-Ying Song / 주잉 송

Vardo Rumessen / 바르도 루메센

Katia Skanavi / 카티아 스카나비

Miwa Onodera / 미와 오노데라

Sara Davis Buechner / 사라 데이비스 뷔흐너

Laure Favre-Kahn / 로르 파브르-칸

Yukiko Kamei, violin / 유키코 가메이, 바이올린

Katia Skanavi / 카티아 스카나비

Michel Block / 미셸 블록

Ghyneth Chen / 귀네스 첸

Per Tengstrand / 페르 텡스트란드

Adam Aleksander / 아담 알렉산데르

Anton Kuerti / 안톤 쿠에르티

Chizuko Amaike / 치즈코 아마이케

Edward Aldwell / 에드워드 앨드웰

Jerome Lowenthal / 제롬 로웬탈

Oxana Yablonskaya / 옥사나 야블론스카야

2022년 12월 29일 목요일

Claire Huangci & Alexei Volodin - Live at the Elbphilharmonie Hamburg (20 August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vFE7JNHi1Vo


2020년 8월 20일 함부르크 엘프필하모니 콘서트

Claire Huangci / 클레어 후앙치

Alexei Volodin / 알렉세이 볼로딘


Program

Mozart Sonata for 2 pianos in D, KV 375a / 모차르트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I. Allegro con spirito

II. Andante

III. Allegro molto

... Alexei Volodin, 1st piano / 알렉세이 볼로딘, 제1피아노

... Claire Huangci, 2nd piano / 클레어 후앙치, 제2피아노


Rachmaninov Suite No. 1 (Fantasia) for 2 pianos in g, Op. 5 /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1번 <판타지아>

I. Barcarolle. Allegretto / 뱃노래

II. Oh Night, Oh Love. Adagio sostenuto / 사랑의 밤

III. Tears. Largo di molto / 눈물

IV. Easter. Allegro maestoso / 러시아의 부활절

... Claire Huangci, 1st piano / 클레어 후앙치, 제1피아노

... Alexei Volodin, 2nd piano / 알렉세이 볼로딘, 제2피아노


Intermission


Rachmaninov Suite No. 2 for 2 pianos in c, Op. 17 /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2번

I. Introduction. Alla marcia / 서주

II. Waltz. Presto / 왈츠

III. Romance. Andantino / 로망스

IV. Tarantella. Presto / 타란텔라

... Claire Huangci, 1st piano / 클레어 후앙치, 제1피아노

... Alexei Volodin, 2nd piano / 알렉세이 볼로딘, 제2피아노


Ravel: La Valse - Poème chorégraphique / 라벨 <라 발스>

... Alexei Volodin, 1st piano / 알렉세이 볼로딘, 제1피아노

... Claire Huangci, 2nd piano / 클레어 후앙치, 제2피아노


유튜브에서도 전체를 볼 수 있다. 볼로딘은 종이로 된 아날로그 악보를 보고 후앙치는 디지털로 된 아이패드를 본다. 기존에 받았던 동영상에 버퍼링이 있어서 결국 유튜브에서 받았다.

Denis Kozhukhin - Live at Tsinandali Festival (21 September 2019)


https://www.youtube.com/watch?v=ZmD0rC-tV9E


데니스 코주힌 - 2019년 9월 21일 치난달리 페스티벌

Chamber Music Hall in Tsinandali / 치난달리 챔버 뮤직 홀


Program

Mendelssohn-Bartholdy Songs Without Words / 멘델스존 무언가 발췌

Book 1, Op. 19 No. 1 in E: Andante con moto

Book 1, Op. 19 No. 3 in A: Molto allegro e vivace

Book 2, Op. 30 No. 6 'Venetianisches Gondellied' (Venetian Boat Song) in f#: Allegretto tranquillo / 베네치아의 뱃노래

Book 3, Op. 38 No. 6 'Duetto' in Ab: Andante con moto / 듀엣

Book 5, Op. 62 No. 3 'Trauermarsch' (Funeral March) in e: Andante maestoso / 장송 행진곡

Book 6, Op. 67 No. 2 in f#: Allegro leggiero

Book 6, Op. 67 No. 4 'Spinnerlied' (Spinning Song) in C: Presto / 실 잣는 노래

Book 8, Op. 102 No. 3 in C: Presto


Grieg Lyric Pieces / 그리그 서정소곡집 발췌

Book 1, Op. 12 No. 1 Arietta / 아리에타

Book 1, Op. 12 No. 2 Vals (Waltz) / 왈츠

Book 1, Op. 12 No. 4 Alfedans (Elves' Dance) / 요정의 춤

Book 2, Op. 38 No. 4 Halling (Norwegian Dance) / 노르웨이 춤곡

Book 3, Op. 43 No. 1 Sommerfugl (Butterfly) / 나비

Book 3, Op. 43 No. 4 Liten fugl (Little Bird) / 작은 새

Book 3, Op. 43 No. 6 Til våren (To Spring) / 봄에게

Book 5, Op. 54 No. 5 Scherzo / 스케르초

Book 5, Op. 54 No. 4 Notturno / 녹턴

Book 5, Op. 54 No. 3 Trolltog (March of the Dwarfs) / 난쟁이들의 행진


Gershwin Rhapsody in Blue /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Encores

Gluck/Sgambati Meodie from "Orfeo ed Euridice" / 글루크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케> 중 멜로디 (스감바티 편곡)

Bach/Busoni Chorale Prélude No. 5 "Ich ruf' zu dir, Herr Jesu Christ", BWV 639 / 바흐 코랄 전주곡 5번 <나는 당신을 부릅니다, 예수 크리스트여> (부조니 편곡)

Bach/Siloti Prelude in b, BWV 855a / 바흐 전주곡 (질로티 편곡)


유튜브에서도 전체를 볼 수 있다. 코주힌의 연주가 딱히 내 취향이 아니라서 그런지 다른 연주자들의 해석과는 많이 다르게 느껴진다.

2022년 12월 8일 목요일

Mercury / Frederick Fennell & Eastman-Rochester 'Pops' Orchestra - The Music of Leroy Anderson 2005




Track

01 Belle of the Ball / 무도회의 여왕

02 Horse & Buggy / 말과 마차

03 The Waltzing Cat / 왈츠를 추는 고양이

04 Blue Tango / 우울한 탱고

05 Summer Skies / 여름날의 하늘

06 Song of the Bells / 종의 노래

07 The Typewriter / 타자기

08 The Syncopated Clock / 고장 난 시계

09 The Girl in Satin / 공단옷 입은 소녀

10 China Doll / 중국 인형

11 Saraband / 사라방드

12 Fiddle-Faddle / 실없는 짓거리

13 Sleigh Ride / 썰매 타기

14 Serenata / 세레나타

15 Promenade / 산책

16 Chicken Reel / 비틀비틀 병아리걸음

17 The Phantom Regiment / 도깨비 연대

18 Jazz Legato / 재즈 레가토

19 Jazz Pizzicato / 재즈 피치카토

20 Plink, Plank, Plunk! / 플링크, 플랭크, 플렁크!

21 The Bluebells of Scotland / 스코틀랜드의 푸른 종

22 The First Day of Spring / 봄의 첫날

23 Song of Jupiter / 주피터의 노래


Frederick Fennell conducts Music of Leroy Anderson

That Leroy Anderson (1908-1975) made his unique musical bed and lay in it so conspicuously well affords defensible proof, once more, for the logic that light symphonic music is in its own way as sought after and personal an expression of the taste of the times that engender it as are the elegant musical counterpanes embroidered for those same times by more earnest composers. To express accurately this always-changing taste is praiseworthy; to do so with true stylistic clarity and forthrightness is better and rarer.


르로이 앤더슨(1908~1975)이 자신의 독특한 음악적 침대를 만들고 그 위에 눈에 띄게 잘 눕혔다는 것은 변호할 수 있는 증거를 다시 한번 제공하는데, 가벼운 교향악은 그 자체로 추구하는 바이며, 더 진지한 작곡가들이 같은 시대를 위해 수놓은 우아한 음악적 침대보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낳는 시대의 취향을 개성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논리 때문이다. 시시각각 변하는 이 취향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칭찬할 만한데, 진정한 양식의 분명함과 솔직함으로 그렇게 하는 것이 더 좋으면서도 드물다.


There are many evidences of the individuality of Anderson’s work: his apparently effortless way with melodies and syncopated rhythms, for instance; his imaginative use of percussion instruments and his broadly humorous experiments with sound effects; the remarkable ease of his music forms; and, less positively, the indifferent success of his many imitators, whose last thought, probably, is sincere flattery, and whose first thought, certainly, is the garnering of a share of Anderson’s wide and loyal following. This following was loyal since the first of his pieces began to be played, and it grew increasingly wide with every new publication. The reasons for such good-humored appreciation are as many as the kinds of listeners who enjoy him. Children like the wryly explicit portrait of a cat’s monstrously vocal encounter with the neighborhood dogs; the trained musical ear may prefer the subtler incongruity of a stately saraband’s being interrupted at intervals by an impudently jazzy rhythmic figure. The shower singer is provided with an easily remembered melody; the parade enthusiast recognizes a good brisk tempo when he hears one. The sentimental soul recalls with pleasure the days of horse and buggy; while the office worker is soothed by the efficient sound of a typewriter as an obbligato “musical” instrument. The tango dancer has his tango; the waltzer, his waltz ... there is something personal for everyone.


앤더슨이 쓴 작품의 개성에 대한 많은 증거가 있다. 예를 들면 멜로디와 당김음 리듬을 사용하는 그의 겉보기에 수월해 보이는 방식, 타악기의 상상력 넘치는 사용과 음향 효과에 대한 폭넓은 유머러스한 실험, 그의 음악 형식들의 놀라운 편안함, 그리고 덜 긍정적으로, 그의 많은 모방자의 무관심한 성공은 아마도 그들의 마지막 생각은 진심 어린 아첨이며 앤더슨의 첫 번째 생각은 확실히 그의 광범위하고 충성스러운 추종자들의 몫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추종자는 그의 작품 중 첫 곡이 연주되기 시작했을 때부터 충성스러웠으며, 새로운 출판물이 나올 때마다 그 폭이 점점 넓어졌다. 좋은 유머로 감상하는 이유는 그를 즐기는 청취자의 종류만큼이나 많다. 아이들은 고양이가 이웃 개들과 괴물같이 소리 내는 모습을 쓴 듯한 노골적인 초상화를 좋아하는데, 훈련된 음악적 귀는 위엄 있는 사라방드의 더 미묘한 부조화가 뻔뻔스럽게 재즈 같은 리드미컬한 형태에 의해 중단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샤워 가수는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멜로디로 제공되는데, 행진을 좋아하는 사람은 좋은 빠른 템포를 들을 때 이를 알아차린다. 감상적인 영혼은 말과 마차의 시대를 즐겁게 회상하는 반면, 사무직 직원은 의무적인 “음악적” 도구로 타자기의 효율적인 소리에 마음이 진정된다. 탱고 무용수는 자신의 탱고를 가지고 있는데, 왈츠 무용수, 그의 왈츠 ... 모든 사람에게는 개인적인 것이 있다.


The twenty-three of Anderson’s amiable and inventive pieces on this SACD exhibit the pervading stylistic tendencies of the composer, and at the same time they point up the canny ingeniousness which enables each work to maintain an independence of its own.


이 SACD에 수록된 앤더슨의 다정하면서도 독창적인 23개의 곡은 작곡가에게 스며든 양식의 경향을 보여줌과 동시에 각 작품이 고유한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발한 독창성을 강조한다.


“Belle of the Ball” is a brilliant fast waltz which re-creates the atmosphere of the Viennese grand ballroom. The sophisticated lilt of the main theme is complemented by a closely related section accented by the tinkling sound of bells, and both motifs are ebulliently combined in the abandon of a breathless coda.


<무도회의 여왕>은 비엔나 그랜드 볼룸의 분위기를 재현한 화려한 빠른 왈츠이다. 메인 테마의 세련된 리듬은 종소리로 강조된 밀접하게 관련된 섹션으로 보완되며, 두 모티프는 숨 막히는 코다의 포기에서 활기차게 결합된다.


In “Horse and Buggy” we are shown an elaborate vignette of the courting vehicle so popular at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After a short introduction, the dawdling horse is aroused to a trot with a single crack of the whip, and its tuneful careering is punctuated with the brisk clip-clop of hooves until a romantic view distracts its driver and his lady and affords the horse a chance to resume its leisurely gait, while the French horn plays a theme reminiscent, possibly, of Rachmaninoff. After a genteelly abbreviated interlude, another whip crack starts the obedient horse on its homeward route, and a mild whinny announces, at the conclusion, that the destination has been reached.


<말과 마차>에서 우리는 세기 초에 매우 인기가 있었던 결혼할 것 같은 차량의 정교한 삽화로 증명된다. 짧은 도입부 이후, 멍하니 있는 말은 채찍을 한 번 톡톡 치면 속력을 내고, 낭만적인 전망이 마부와 부인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말이 여유롭게 걸음을 재개할 기회를 줄 때까지 말발굽의 따가닥따가닥 소리와 함께 경쾌한 경력을 마무리하며, 반면에 프렌치 호른은 어쩌면 라흐마니노프를 연상시키는 주제를 연주한다. 부드럽게 축약된 간주 이후, 또 다른 채찍 소리가 순종적인 말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시작하게 하고, 부드럽게 히힝 우는 소리가 마지막에 목적지 도착을 알린다.


Another domesticated associate of mankind, this time a rather giddy feline, is the subject of “The Waltzing Cat”. Lifting its incredible voice in repellent song, the cat capers through an entrancing dance – now slow, now fast – full of impressive “ritardandos” and fetching pauses which allow him to keep an eye out for unwanted canine spectators. Just as the waltz reaches its climactic moment, there is indeed heard the clamor of dogs in full cry; and the cat, outnumbered and outraged, pierces the air with an ominous snarl and departs, “prestissimo”.


이번에는 다소 현기증이 나는 고양이와 같이 길들여진 또 다른 인류 집단으로 <왈츠를 추는 고양이>의 주제이다. 혐오스러운 노래로 놀라운 목소리를 내면서 고양이는 황홀한 춤을 추면서 뛰어다니는데 – 이제 천천히, 이제 빠르게 – 인상적인 “리타르단도”(점점 느리게)로 가득 차 있으며 원치 않는 개 무리를 주시할 수 있도록 잠시 멈추게 한다. 왈츠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개들이 짖는 소리가 들리며, 수적인 열세에 몰려 화가 난 고양이는 불길한 으르렁 소리를 내고 적막을 깨면서 “프레스티시모”(아주 빠르게)로 벗어난다.


“Blue Tango” is a characteristic example of Anderson’s use of classic dance forms in a manner which is immediately and unmistakably his own. This setting is richly orchestrated and luxuriantly melodic; the addition of a silvery rhythmical counterpoint gives a final sheen.


<우울한 탱고>는 앤더슨이 즉시 그리고 틀림없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고전 무용 형식을 사용하는 특징적인 예이다. 이 설정은 풍부한 관현악 편성으로 풍성한 선율인데, 낭랑한 리드미컬한 대위법을 추가하면 마침내 빛난다.


“Summer Skies” is a kind of modern pastorale. Glistening strings unite in a suave triplet-meter theme which is lent additional charm by chromatic ornaments in the woodwinds. Anderson’s willingness to let his melody take its own course without obvious attempts to elaborate meaninglessly is well illustrated here, and the piece ends with the quiet flow of its beginning.


<여름날의 하늘>은 일종의 현대 목가이다. 반짝이는 현악기들은 목관악기의 반음계 장식으로 추가적인 매력을 더해주는 부드러운 3박자 주제로 결합된다. 무의미하게 정교화하려는 명백한 시도 없이 자신의 멜로디가 저절로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려는 앤더슨의 의지가 여기에 잘 나타나 있으며, 이 곡은 시작의 조용한 흐름으로 끝난다.


The “Song of the Bells”, another whirling, infectious fast waltz, is highlighted by the sonorous addition of orchestral bells and chime. In the first appearance of the chief theme, in fact, the chimes play the solo part, supported by violins. Soon the woodwinds assume the melody, to be followed by a kind of duet between chimes and bells, surely a unique experiment and just as surely an effective one. Following another exposition of the main theme, a brilliant and vividly hued coda brings the dance to an end.


또 하나의 빙빙 도는 전염성 있는 빠른 왈츠인 <종의 노래>는 오케스트라의 종과 차임이 더해져 더욱 돋보인다. 메인 테마의 첫 등장에서 실제로 차임은 바이올린들에 의해 지원되는 독주 파트를 연주한다. 곧 목관악기가 멜로디를 가정하고 차임과 종 사이에서 일종의 듀엣이 뒤따를 것으로 여겨지는데, 확실히 독특한 실험이며 확실히 효과적인 것이다. 메인 테마의 또 다른 제시부에 이어 현란하고 생동감 넘치는 코다가 춤을 끝맺는다.


A typewriter was actually used in the recording of “The Typewriter”, and Frederick Fennell himself addressed both hands to the keyboard, a bobbing head to the orchestra, and his subconscious to the score, which he had memorized – with special attention to his “solo” passages. At the end of the session, Dr. Fennell was exhausted but satisfied, and the typewriter was returned to its original desk, as good as ever in spite of the probability of more carriage returns in one afternoon than in the course of its entire history as a non-musical office machine.


타자기는 실제로 <타자기>의 녹음에 사용되었으며, 프레더릭 페넬 자신은 양손을 건반에 놓고, 오케스트라에 고개를 까딱거리며, “독주” 소절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그가 외운 악보에 대한 잠재의식에 몰두했다. 세션이 끝날 무렵, 페넬 박사는 지쳤으나 만족스러웠고, 타자기는 원래 책상으로 돌아왔는데, 음악이 아닌 사무용 기계로서의 전체 역사 과정에서보다는 어느 날 오후에 더 많은 복귀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그 어느 때보다 좋다.


The timepiece pictured in “The Syncopated Clock” seems almost to develop a tentative but winning personality as he strives to emulate the elementary syncopation of the obviously more learned violin. Just as he gets it right at last, his preceptor wanders off, and the music is dominated by the more niggardly psyche of a common alarm clock. Soon the violin returns and student’s rhythmic attempts begin afresh. He has no sooner succeeded once more in matching the syncopation of the strings than, it is sad to report, his mainspring flies into pieces, and time – for him – stops forever.


<고장 난 시계>에 묘사된 시계는 확실히 더 많이 배운 바이올린의 기본 당김음을 모방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잠정적이지만 성공적인 개성을 거의 발전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그가 마침내 제대로 이해했을 때, 그의 교사는 방황하며, 음악은 일반적인 알람 시계의 더 인색한 정신에 의해 지배된다. 곧 바이올린이 돌아오고 학생의 리드미컬한 시도가 새롭게 시작된다. 그가 다시 한번 현악기들의 당김음을 맞추는 데에 성공하자마자 안타깝게도 그의 큰 태엽이 산산조각이 나고 시간은 – 그를 위해 – 영원히 멈춘다.


Castanets, Latin rhythms, and a seductive manner distinguish “The Girl in Satin” as she executes a warm-blooded tango. The mood, growing more and more “appassionato”, is reflected in the increasing richness of the orchestral sweep. Once again, the composer shows his adroitness in the managing of two themes conjointly, and the coda displays an unobtrusive but skillful handling of dissonance to great atmospheric effect.


캐스터네츠, 라틴 리듬, 매혹적인 매너는 그녀가 따뜻한 피가 흐르는 탱고를 추듯이 <공단옷 입은 소녀>를 구별 짓는다. 점점 더 “아파시오나토”(열정적으로)로 커지는 분위기는 점점 더 풍부해지는 오케스트라가 휩쓰는 것에 반영된다. 다시 한번, 작곡가는 2개의 주제를 동시에 관리하는 데에 능숙함을 보여주며, 코다는 큰 분위기 효과에 대해 눈에 띄지 않으나 능숙하게 불협화음을 처리한다.


The theme of the “China Doll” is of special interest. It appears first in a rather plaintive fashion, played by the solo oboe; next the violins and flutes combine with the oboe to give it more assertion; then the entire woodwind choir takes up, this time forcing it into a jaunty syncopation of the original statement. Finally the solo oboe plays it once more, and the accompanying “wa-wa”’s reminds us that bedtime for tired little girls and their playthings has come.


<중국 인형>의 주제는 특히 흥미롭다. 오보에 독주가 연주하는 다소 애처로운 방식으로 처음에 나타나고, 다음으로 바이올린과 플루트가 오보에와 결합하여 더 많은 주장을 하며, 그런 다음 목관악기 전체의 합창단이 이어지며, 이번에는 원래 상태의 경쾌한 당김음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오보에 독주가 다시 한번 연주하며, “와우와우 페달” 반주는 우리에게 피곤한 소녀들과 장난감이 잘 시간이 왔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One of the most cleverly written works of this explorative composer is the “Saraband” that follows. The sedate tempo, the elegant ornaments, the traditional form of the antique saraband are all here in a dignified array. To them has been added the piquancy of impish counterpoints, frankly jazzy interpolations, and unctuous orchestral colorings. The result – much better entertainment than mere parody – is well-achieved satire.


이 탐구적인 작곡가의 가장 영리하게 쓰인 작품 중 하나는 뒤따르는 <사라방드>이다. 차분한 템포, 우아한 장식음, 고대 사라방드의 전통적인 형식이 모두 여기에 위엄 있게 배치되어 있다. 그것들에 장난스러운 대위법, 솔직히 재즈적인 삽입, 유려하지 않은 오케스트라 색채의 묘미가 더해졌다. 그 결과 단순한 패러디보다 훨씬 더 나은 오락물로 잘 만들어진 풍자가 탄생했다.


“Fiddle-Faddle” is modeled on the classical bravura display piece for solo violin, the “moto perpetuo”, and utilizes such devices customary to that genre piece as the rapid and constant tempo, the alternation repetition of short virtuosic sections. Since this is a freely paraphrased example, however, such an innovation as a fragmented “tap dance accompaniment” diversion is not only admitted but admired briefly before the violins enter again in fanciful roulades above the original melodic pattern. This melody attenuates into staccato mutterings before a swaggering recapitulation brings the piece to a brilliant conclusion.


<실없는 짓거리>는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고전적인 고도의 예술적 기교의 곡인 “무궁동”을 모델로 하며 빠르고 지속적인 템포, 짧은 기교가 나오는 섹션의 교대 반복과 같은 장르의 곡에 관례적인 장치를 활용한다. 그러나 이것은 자유롭게 다른 것으로 바꾸어 표현한 예이기 때문에 조각난 "탭 댄스 반주" 전환과 같은 혁신이 허용될 뿐만 아니라 바이올린이 원래의 멜로디 패턴 위에 공상적인 룰라드(장식음으로서 삽입된 신속한 연속음)로 다시 들어가기 전에 잠시 감탄한다. 이 멜로디는 중얼거리는 스타카토로 약해지고 으스대는 재현부는 곡을 화려하게 마무리한다.


Next come the whirling measures of Anderson’s very popular “Sleigh Ride”, conveying a vivid picture of a crisp winter day on a snowy country road, complete with trotting horse, whip, and sleigh bells.


다음으로 앤더슨의 매우 인기 있는 <썰매 타기>의 빙그르르 도는 마디들이 나오며, 달리는 말, 채찍, 썰매의 종들로 완성되어 눈 덮인 시골길에서 상쾌한 겨울날의 생생한 그림을 전달한다.


To the accompaniment of castanets comes the throbbing rhythm of a Spanish dance. It develops into a very pretty and lyrical middle section which undoubtedly inspired the title of “Serenata”.


캐스터네츠의 반주에 스페인 춤의 고동치는 리듬이 따라온다. 의심할 여지 없이 <세레나타>라는 제목에 영감을 준 매우 예쁘고 서정적인 중간 섹션으로 발전한다.


“Promenade” contrasts a brisk walking theme, first heard on solo trumpet, with a flowing middle theme carried by the strings. The piece was written in 1944, while Capt. Anderson was stationed at the Pentagon. He conducted its first performance that year at an “Army Night” concert given in Boston.


<산책>은 트럼펫 독주에서 처음 들리는 활기차게 걷는 주제와 현악기가 전달하는 거침없이 이어지는 중간 주제와 대조된다. 이 곡은 앤더슨 대위가 펜타곤에 주둔하고 있을 때 쓰였다. 그는 그해 보스턴에서 열린 <육군의 밤> 콘서트에서 첫 공연을 지휘했다.


“Chicken Reel” is a perfect example of Anderson’s special gifts. Painting a merry “turkey-in-the-straw” picture of a farm, it makes especially effective use of both syncopation and augmentation (the doubling of the value of the notes). It also contains one of the composer’s signature devices, the incorporation of a non-musical sound. In this case, it’s the cock-a-doodle-doo at the end, performed here by no less a virtuoso than Gervase de Peyer, first clarinetist of the London Symphony Orchestra.


<비틀비틀 병아리걸음>은 앤더슨의 특별한 재능의 완벽한 예이다. 농장의 유쾌한 <짚 속의 칠면조> 그림을 그리면 당김음과 확대(음표의 길이를 두 배로 늘리는 것)를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작곡가의 특징을 나타내는 장치 중 하나인 비음악적 소리도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제1클라리넷 주자인 저베이스 드 파이어 못지않은 거장이 여기에서 연주하는 마지막 부분의 꼬끼오(수탉 울음소리)이다.


Although Anderson insists that Kipling had nothing to do with it, “The Phantom Regiment” certainly does its bit to conjure up the ghostly spirit of colonial England. The stately work is touchingly evocative of all the regiments that ever set foot into the valley of death; though the upper lip is kept musically stiff, there is a wisp of wistfulness in the melody that gives it a rare emotional quality.


앤더슨은 키플링이 <도깨비 연대>와 아무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것은 확실히 식민지 영국의 유령 같은 정신을 불러일으키려고 한다. 장엄한 작품은 죽음의 계곡에 발을 디딘 모든 연대를 감동적으로 연상시키는데, 윗입술은 음악적으로 뻣뻣하게 유지되지만, 멜로디에는 드문 감정적 특성을 제공하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다.


“Jazz Legato” and “Jazz Pizzicato” are companion pieces that have the distinction of being the first of Anderson’s compositions to be written and recorded. Already highly regarded as an arranger, he wrote “Jazz Pizzicato” in 1937 as an encore piece for the Boston “Pops” Orchestra. It turned out to be an immediate success. When it was to be recorded two years later, however, its brief length proved to be a bit too skimpy for one side of the then-common 78-rpm record, and the composer was forced to create a “Jazz Legato” of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to fill out the space. These contrasting but companionable works have been almost inseparable ever since.


<재즈 레가토>와 <재즈 피치카토>는 앤더슨이 작곡하고 녹음한 첫 번째라는 특징을 지닌 동반자 곡들이다. 이미 편곡가로 높은 평가를 받는 그는 1937년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의 앙코르곡으로 <재즈 피치카토>를 썼다. 그것은 즉각적인 성공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2년 후 녹음되었을 때 그 짧은 길이는 당시 일반적이었던 78rpm 레코드의 한 면에 비해 너무 빈약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작곡가는 공간을 채우기 위해 대략 같은 길이의 <재즈 레가토>를 만들어야 했다. 이 대조적이지만 친근한 작품들은 그 이후로 거의 분리할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Plink Plank Plunk” is, like “Jazz Pizzicato”, played by the string section plucking the strings rather than by using the bow. The perky number, which was written in 1951, has been one of the composer’s most frequently performed works ever since.


<플링크, 플랭크, 플렁크!>는 <재즈 피치카토>와 마찬가지로 활을 사용하지 않고 현을 뜯는 현악 세션에서 연주된다. 1951년에 작곡된 활기찬 넘버는 그 이후로 작곡가가 가장 자주 연주하는 작품 중 하나이다.

“The Bluebells of Scotland” is part of Anderson’s “Scottish Suite”. The familiar air takes on new freshness as a result of the composer’s remarkable use of tonal color, sense of humor (the bells and chimes to suggest the flower), and arranging skill (the canon form is employed with striking effectiveness).


<스코틀랜드의 푸른 종>은 앤더슨의 <스코틀랜드 모음곡> 중 3악장이다. 친숙한 노래는 작곡가의 뛰어난 음색 사용, 유머 감각(꽃을 암시하는 종과 차임), 편곡 솜씨(놀라운 솜씨로 카논 형식 사용)의 결과로 새로운 신선함을 얻는다.


The happy expectation of the joys of spring is captured perfectly in “The First Day of Spring”. Be that as it may, however, the melody was created “before” it was given the title, which had originally been intended for a waltz. But the lush strings and the pastoral oboe gave the unnamed piece an even more springlike sound, and the switched title proved to be even more appropriate.


봄의 기쁨에 대한 행복한 기대는 <봄의 첫날>에 완벽하게 담겨 있다. 하지만 그 멜로디는 원래 왈츠를 위한 제목이 붙기 “전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멋진 현악기들과 목가적인 오보에가 이름 없는 곡에 훨씬 더 봄 같은 소리를 선사했으며, 바뀐 제목이 훨씬 더 적절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The “Song of Jupiter” received its first recording in this collection. Anderson considered Jupiter’s aria, “Where’er you walk,” from Handel’s opera “Semele”, to be one of the composer’s most beautiful but least familiar creations. His inspired arrangement of this affecting piece features a trumpet solo first heard “singing” the aria.


<주피터의 노래>는 이 컬렉션에서 처음 녹음된 것이다. 앤더슨은 헨델의 오페라 <세멜레>에 나오는 주피터의 아리아 <그대가 걷는 곳마다>를 작곡가의 가장 아름답지만 가장 친숙하지 않은 작품 중 하나로 간주했다. 이 영향을 주는 곡에 대해 그의 영감을 받은 편곡은 아리아를 “노래하는” 처음 듣는 트럼펫 독주를 특징으로 한다.


To these compositions Leroy Anderson brought innate musical fecundity and a carefully trained craftsmanship that was a product of his years at Harvard University, from which he was graduated with honors in 1929. Not only his proximity to this institution – he was born in Cambridge, Massachusetts – dictated his choice of schools; at Harvard he was able to study with such eminent men as Walter Piston, Walter Spalding, and Edward Ballantine. Even with this impressive background, Anderson spent another four years in preparation for a career in languages before he finally decided to make music the source of his livelihood. Up until the end of his career, he w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nd knowledgeable practitioners in the happy art of writing truly “popular” music.


르로이 앤더슨은 이러한 작품들에 타고난 음악적 다산성과 신중하게 훈련된 장인 정신을 가져왔는데, 이것은 1929년에 우등으로 졸업한 하버드 대학교에서 보낸 그의 세월의 산물이었다. 이 기관과의 근접성만이 –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에서 출생하여 – 그의 학교 선택에 영향을 미쳤는데, 하버드에서 그는 월터 피스턴, 월터 스팰딩, 에드워드 밸런타인 같은 저명한 사람들과 함께 공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상적인 배경에도 불구하고 앤더슨은 음악을 생계의 원천으로 삼으려고 하기 전에 언어 분야에서 경력을 쌓기 위해 4년을 더 보냈다. 그의 경력이 끝날 때까지 그는 진정으로 “대중적인” 음악을 쓰는 행복한 예술 분야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지식이 풍부한 현역 중 한 명이었다.


Adapted from notes by Clair W. Van Ausdall, Alfred E. Simon (tracks 13 and 14), and Stanley Green (15-23)


클레어 W. 판 아우스달과 알프레드 E. 사이먼 (13~14번 트랙) 및 스탠리 그린(15~23번 트랙) 글


About Frederick Fennell

Long recognized as a pre-eminent conductor of the finest wind and percussion music, Frederick Fennell was no stranger to the symphonic “pops” repertory. For years he was an annual guest conductor of the Boston “Pops,” where his performances were characterized, in the words of a newspaper reviewer, “by a rare combination of wit, vivaciousness, and musical sensitivity.”


최고의 관악기와 타악기 음악 공연의 저명한 지휘자로 오랫동안 인정받은 프레더릭 페넬은 교향악 “팝스” 레퍼토리에 익숙했다. 수년 동안 그는 보스턴 “팝스”의 연례 객원 지휘자였는데, 신문 평론가의 말에 따르면 그의 공연은 “재치, 발랄함, 음악적 감수성의 보기 드문 조합”으로 특징지어졌다.


In 1952 Frederick Fennell organized the Eastman Symphonic Wind Ensemble in Rochester, New York, and until his departure in 1962 he unceasingly dedicated himself to the exploration of musical works originally scored for winds and brasses, and to the stimulating of interest on the part of contemporary composers in writing works for his particular instrumentation.


1952년 프레더릭 페넬은 뉴욕 로체스터에서 이스트만 심포닉 윈드 앙상블을 조직했으며, 1962년 떠날 때까지 원래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를 위해 작곡된 음악 작품들을 탐구하고 특정 기악 편성에 대한 작품들을 쓰는 것에 대한 동시대 연주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끊임없이 헌신했다.


Less than a year after its establishment, the Eastman Symphonic Wind Ensemble made its first appearance on Mercury Living Presence recordings, and the ensemble produced a series of discs that have won critical acclaim everywhere. In such recordings as Holst’s Suites and Sousa’s Marches, Dr. Fennell demonstrated that his musical tastes are refreshingly broad. Yet another facet of this conductor’s versatile talent was revealed in this full symphony-orchestra recording of music by Leroy Anderson.


설립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이스트만 심포닉 윈드 앙상블은 머큐리 LP 녹음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 앙상블은 모든 곳에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은 일련의 디스크를 제작했다. 홀스트의 모음곡 및 수자의 행진곡 같은 녹음에서 페넬 박사는 그의 음악적 취향이 신선할 정도로 광범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지휘자의 다재다능한 재능의 또 다른 측면은 르로이 앤더슨이 작곡한 전체 심포니-오케스트라 음악 녹음에서 드러났다.


About This Recording

The “élan” of Anderon’s orchestrations, and his frequent use of unusual sound effects, make these pieces especially effective and exciting when they are recorded stereophonically with Mercury’s Living Presence lifelike imaging and full dynamic range. In the several waltzes, for instance, the melodic line is often given to the violins in their beautifully shining upper register; in some of the quicker pieces the brightness and crispness of the entire woodwind section is called for. Most of the sound effects – wind whistles, woodblocks representing clocks, and the like – originate in the percussion section, rear stage right, but the typewriter, in the piece named after it, was placed on a stand directly to the right of the conductor’s podium in order that it might successfully dominate the music in spirit and sound. Thus, the exciting dimensions of depth and direction are shown most impressively on this disc.


앤더슨의 관현악 편곡의 “엘랑”(약동)과 특이한 음향 효과의 빈번한 사용은 이러한 곡을 머큐리 LP의 생생한 영상화 및 전체 다이내믹 범위로 입체적인 음향의 녹음에서 특히 효과적이고 흥미진진하게 만든다. 예를 들면 여러 왈츠에서 멜로디 라인은 종종 아름답게 빛나는 고음역에서 바이올린에 주어지는데, 더 빠른 곡 중 일부에서는 전체 목관악기 섹션의 밝기와 상쾌함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음향 효과(바람 새는 소리, 시계를 나타내는 우드블록 등)는 무대 뒤 오른쪽의 타악기 부분에서 유래했지만, 그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곡에서 타자기는 정신과 소리로 음악을 성공적으로 지배할 수 있도록 지휘자 연단의 바로 오른쪽 스탠드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깊이와 방향의 흥미로운 차원이 이 디스크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표시된다.

2022년 12월 7일 수요일

Mercury / Frederick Fennell & Eastman Wind Ensemble - Sousa 24 Favorite Marches 2004




Track

01 Sound Off / 보조를 맞추라!

02 Nobles of the Mystic Shrine / 신비한 신전의 귀족

03 Sabre & Spurs / 검과 박차

04 The Picadore / 기마 투우사

05 Our Flirtation / 우리의 관심 (우리의 연애 장난)

06 The High School Cadets / 고등학교 사관후보생

07 The Invincible Eagle / 무적의 독수리

08 Bullets & Bayonets / 총탄과 총검

09 The Liberty Bell / 자유의 종

10 Riders for the Flag / 깃발을 위한 기수

11 Solid Men to the Front / 튼튼한 남자는 앞으로 (멋진 병사여 앞으로!)

12 The Gallant Seventh / 용감한 일곱 번째

13 The Rifle Regiment / 소총 연대

14 The Pride of the Wolverines / 울버린의 명예

15 Golden Jubilee / 황금 희년 (50주년)

16 The Gridiron Club / 미식축구 클럽

17 New Mexico / 뉴멕시코

18 Sesqui-Centennial Exposition / 150년 박람회

19 The Black Horse Troop / 흑마 기병 중대

20 The Kansas Wildcats / 캔자스 살쾡이

21 Manhattan Beach / 맨해튼 해변

22 Ancient & Honorable Artillery Company / 오래되고 명예로운 포병 중대

23 The National Game / 내셔널 게임 (야구)

24 The Glory of the Yankee Navy / 미국 해군의 영광


John Philip Sousa: Sound Off! Sousa on Review / 존 필립 수자 : 보조를 맞추라! 수자 온 리뷰

In addition to writing over a hundred marches, John Philip Sousa (1854-1932) also wrote an autobiography 365 pages long. Entitled “March Along” and published in 1928, it is a rambling and reflective account of his fascinating life, somewhat frustrating to the reader who is anxious above all to get to the point: Sousa does not get down to the facts of writing marches until page 358! But then he is unquestionably precise in his observations:


존 필립 수자(1854-1932)는 100개가 넘는 행진곡을 쓴 것 외에 365쪽 분량의 자서전을 썼다. 1928년에 출판된 <함께 행진을>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그의 매력적인 삶에 대해 장황하고 두서없는 사색적인 기록으로, 무엇보다도 요점에 도달하기를 갈망하는 독자에게는 다소 실망스러운데, 수자는 358쪽까지 행진곡을 쓰는 것에 대한 사실에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나 그는 다음과 같은 자신의 관찰에서 의심할 여지 없이 정확하다.


Marches, of course, are well known to have a peculiar appeal to me. Although during my busy life I have written ten operas and a hundred other things – cantatas, symphonic poems, suites, waltzes, songs, dances and the like – marches are, in a sense, my musical children…. The march speaks to a fundamental rhythm in the human organization and is answered. A march stimulates every center of vitality, wakens the imagination…. I can speak with confidence because I have seen men profoundly moved by a few measures of a really inspired march. But a march must be good. It must be as free from padding as a marble statue. Every line must be carved with unerring skill. Once padded, it ceases to be a march. There is no form of musical composition where the harmonic structure must be more clean-cut. The whole process is an exacting one. There must be a melody which appeals to the musical and unmusical alike. There must be no confusion in counterpoints. The composer must, to be sure, follow accepted harmonization; but that is not enough. He must be gifted with the ability to pick and choose here and there, to throw off the domination of any one tendency. If he is a so-called purist in music, that tendency will rule his marches and will limit their appeal. How are marches written? I suppose every composer has a somewhat similar experience in his writing. With me the thought comes, sometimes slowly, sometimes with ease and rapidity. The idea gathers force in my brain and takes form not only melodically but harmonically at the same time. It must be complete before I commit it to paper. Then I instrument it according to the effects it requires…. I do not, of course, manufacture my themes deliberately; the process isn’t direct or arbitrary enough for that. It is not a nonchalant morning’s work.


행진곡은 물론 내게 독특한 매력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비록 바쁜 인생에서 10편의 오페라와 100편의 다른 것을 썼지만 – 칸타타, 교향시, 모음곡, 왈츠, 노래, 춤곡 등과 같은 – 행진곡은 어떤 의미에서 나의 음악적 아이들이다…. 행진곡은 인간 조직의 근본적인 리듬에 대해 말하고 응답한다. 행진곡은 활력의 모든 중심을 자극하고, 상상력을 일깨운다…. 나는 진정으로 영감을 받은 행진곡의 몇 마디에 깊이 감동한 사람들을 보았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행진곡은 좋아야 한다. 대리석 조각상처럼 군더더기가 없어야 한다. 모든 선은 틀림없는 솜씨로 새겨져야 한다. 일단 불필요하게 장황해지면 행진곡이 멈춘다. 화성 구조가 이보다 더 깔끔해야 하는 작곡 형식은 없다. 모든 과정이 까다롭다. 음악적이든 비음악적이든 모두에게 호소력 있는 멜로디가 있어야 한다. 대위법에 혼동이 없어야 한다. 작곡가는 확실히 허용된 화음을 따라야 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진 않다. 그는 여기저기 까다롭게 고르면서도 어느 한 경향의 지배를 버릴 수 있는 능력을 타고나야 한다. 그가 음악에서 소위 순수주의자라면, 그 경향이 그의 행진곡을 지배하고 그것의 호소력을 제한할 것이다. 행진곡은 어떻게 작곡될까? 나는 모든 작곡가가 자신의 작곡에서 어느 정도 비슷한 경험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생각은 때로는 천천히, 때로는 쉽고 빠르게 다가온다. 그 아이디어는 내 머리에서 힘을 모아 선율적으로뿐만 아니라 동시에 화성적으로 형태를 취한다. 내가 종이에 그것을 행하기 전에 완성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필요한 효과에 따라 악기를 사용한다…. 물론 나는 의도적으로 주제들을 만들지 않는데, 그 과정은 직접적이거나 자의적이지 않다. 아무렇지 않은 아침의 일이 아니다.


The twenty-four marches presented here span forty-nine years of Sousa’s creative activity: 1880 (“Our Flirtation”) to 1928 (“Golden Jubilee”). The years between were filled with such wide-ranging activities, so many concerts, so many marches, so much traveling, that it is not too surprising to discover that Sousa failed to leave behind even the most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mposition of many of his most famous creations. His autobiography includes no reference to several of these marches. There is, of course, no official documentation of the majority of his manuscripts, and thus, save for those marches to which he made specific reference in his autobiography or for which a dedication was printed on the solo cornet part, all comment is but the purest conjecture.


여기에 제시된 24개의 행진곡은 1880년(우리의 관심)에서 1928년(50주년)까지의 49년 동안 수자의 창작 활동에 걸쳐 있다. 그 사이의 몇 년은 매우 광범위한 활동, 수많은 연주회, 수많은 행진곡, 수많은 여행으로 가득 차서 수자가 그의 많은 유명한 창작곡들의 구성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조차 남기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의 자서전에는 이러한 행진곡 중 몇 가지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지 않는다. 물론 그의 필사본 대부분에 대한 공식 문서는 없으며, 따라서 그가 자서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한 행진곡이나 독주 코넷(작은 트럼펫같이 생긴 금관 악기) 파트에 헌정이 인쇄된 행진곡을 제외하고, 모든 언급은 가장 순수한 추측에 불과하다.


[Since Dr. Fennell penned these notes, a biography of Sousa by Paul Bierley was published: “John Philip Sousa: American Phenomenon” (New York: Appleton, Century, Crofts, 1973) – in Fennell’s words, “the most comprehensive overview of Sousa the conductor….” That same year, Bierley’s “John Philip Sousa: A Descriptive Catalog of His Works” was published by th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973). It was updated in 1984, published under the title “The Works of John Philip Sousa” (Columbus, Ohio: Integrity Press). – Ed.]


[페넬 박사가 이 메모를 작성한 이후 폴 비얼리의 수자 전기가 출판되었는데, <존 필립 수자 : 미국의 현상>(뉴욕 애플톤, 센추리, 크로프츠, 1973)은 페넬의 말에 따르면, “지휘자 수자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 개요이다….” 같은 해에 비얼리의 <존 필립 수자 : 그의 작품에 대한 설명 카탈로그>가 일리노이 대학교 출판부(어바나, 1973)에서 출판되었다. 1984년에는 갱신되어 <존 필립 수자의 작품들>(오하이오 주 콜럼버스 시 인테그리티 출판부)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Any Sousa anthology is certain to include a host of marches that are totally unfamiliar both to the public and to performing musicians. Why at least half of those recorded here do not share the fame of “Washington Post” or “King Cotton” is a question that only the public and the performer could answer. Of the two, Sousa preferred to serve the former, for he never claimed to be anything other than an entertainer of the public. The title “March King” was conferred upon him when he was leader of the Marine Band, by an anonymous writer for what he referred to as “some obscure brass-band journal, published in England….” He wore the crown and raiment of that office with rare devotion, being more stimulated by its responsibilities than enervated by its privileges. Following his own belief that “subsidy is the death of art,” Sousa, as “king,” did not freeze his creative assets in a “royal bank” and retreat behind the security of palace walls where, in the ancient practice of monarchs, he could rule the future from the past. Sousa was a different kind of “king,” for he continued to produce his marches, never fearing, for instance, that his next would fail simply because it had been his fate to write the “Stars and Stripes Forever!”


어떤 수자 선집에는 대중과 연주자 모두에게 완전히 생소한 행진곡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 녹음된 것 중 적어도 절반이 <워싱턴 포스트>나 <목화 왕>의 명성을 공유하지 않는 이유는 대중과 연주자만이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다. 둘 중 수자는 대중의 연예인 이외의 다른 것을 주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자를 섬기는 것을 선호했다. “행진곡의 왕”이라는 칭호는 그가 미군 해병대 군악대장이었을 때 “영국에서 출판된 어떤 모호한 취주악단 저널”이라고 언급했던 것 때문에 익명의 작가에 의해 주어졌다. 그는 그 직책의 면류관과 의복을 드물게 헌신적으로 입었고, 특권 때문에 지쳐 있기보다는 책임 때문에 더 자극을 받았다. “보조금은 예술의 죽음”이라는 자신의 신념에 따라 “왕”인 수자는 자신의 창조적 자산을 “왕실 은행”에 동결하지 않았으며, 고대 군주의 관행에서 과거로부터 미래를 지배할 수 있는 성벽의 보안 뒤로 물러났다. 수자는 계속해서 행진곡들을 만들었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왕”이었는데, 예를 들어 <성조기여 영원하라!>를 쓰는 것이 그저 그의 운명이었으므로 그의 다음 작품은 실패할 것이라는 사실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Sound Off” (1893) is the first of Sousa’s lesser-known marches in this album and, like “Liberty Bell” and “Picadore”, it was written during the first years with his own band. The familiar bugle call “Sound Off” was well-known to Sousa from his recent service as leader of the Marine Band. In spite of its title, it is not a regimental march in the spirit or fashion of “Sabre and Spurs”, and any musical quotation of the three-note bugle call to “Sound Off” does not appear until the trio. The march has an unorthodox introduction and first strain in the key of C Minor, and the bass drum after-beats in the first strain are Sousa’s, not mine. But like the chanting of the drill sergeant and the crunching of boots, “Sound Off” swings along in a compelling and infectious manner.


<보조를 맞추라>(1893)는 이 앨범에서 수자의 덜 알려진 행진곡의 첫 번째 곡이며 <자유의 종> 및 <기마 투우사>처럼 처음 몇 년 동안 자신의 밴드용으로 작곡되었다. 익숙한 나팔 소리인 <보조를 맞추라>는 최근 미군 해병대 군악대장으로 복무한 수자에게 잘 알려져 있었다. 그 제목에도 불구하고 <검과 박차>의 정신이나 유행에 따른 연대 행진이 아니며, <보조를 맞추라>에 대한 3음 나팔 소리의 음악적 인용은 트리오 전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이 행진곡은 C단조의 독특한 도입부와 첫 번째 변형이 있으며, 첫 번째 변형의 베이스 드럼 애프터 비트(4/4박자의 경우 제2박과 제4박에 악센트를 두는 것으로, 주로 재즈에서 많이 사용)는 내 것이 아니라 수자의 것이다. 그러나 교관의 외침과 장화를 두드리는 소리처럼 <보조를 맞추라>는 설득력과 전염성이 있는 방식으로 휘두른다.


“Nobles of the Mystic Shrine” (1923) is unique among Sousa’s marches: it has a part for the harp! It also calls for triangle and tambourine as part of the percussion texture. The addition of these instruments to the normal complement of reeds, brasses, and percussion found in his scoring was intended to provide those touches of color that are such an integral part of the “Turkish Music” so intimately associated with public appearances of Shrine marching units. Cymbals, triangles, and tambourines were some of the many fascinations the Crusaders beheld in their contacts with life in the Holy Land when they sought to wrest it from the Turks (1096-1271). The Noblemen of Europe were indeed so fascinated by the tromperies of the Turkish and Saracen forces that they brought them back to Europe and adapted them to their own ceremonial life. One of the most unusual of these noisemakers is the Turkish Crescent, known also as a Schellenbaum (bell tree), Pavillion, or Jingling Johnnie; it was first used to signal the passage of a person of high station. This arrangement of bells was mounted on a long staff and carried with great dignity by an imposing personality who, through the years, developed a technique of brandishing it about in a most skillful manner. As it was whirled about, everything but the round silver ball flew off – leaving the shaft topped by the ball, thus providing us with today’s drum major baton. The use of a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Crescent in Sousa’s march “Nobles of the Mystic Shrine” seemed most appropriate. It can be heard in the noisy outbursts of the first strain (so typically “Turkish,” in which Sousa, who was a Shriner, sought to capture the spirit of his title), in the last strain of the trio, and in the final decay of sound as the march comes to its conclusion.


<신비한 신전의 귀족>(1923)은 수자의 행진곡 중에서 독특한데, 하프를 위한 부분이 있다! 타악기 조화의 일부로 트라이앵글과 탬버린도 필요하다. 그의 관현악보 작성에서 볼 수 있는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의 일반적인 보완에 이러한 악기들을 추가한 것은 신전 행진 부대의 공개적인 모습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튀르키예 음악”의 필수적인 부분인 색채의 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심벌즈, 트라이앵글, 탬버린은 십자군이 튀르크로부터 성지를 빼앗으려 할 때(1096~1271) 성지에서의 삶과의 접촉에서 본 많은 매력 중 일부였다. 유럽의 귀족들은 실제로 튀르키예군과 사라센군의 속임수에 넘어가 그들을 다시 유럽으로 데려와 자신들의 의식 생활에 맞췄다. 이러한 뿔피리 중에서 가장 특이한 것 중 하나는 셸렌바움(벨 트리), 파빌리온, 징링 조니라고도 알려진 튀르키예 크레센트(전통적으로 국제적으로 군악대가 사용하는 초승달 모양의 타악기)인데,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의 통과를 알리는 신호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들의 배열은 긴 지팡이에 장착되었으며 수년에 걸쳐 가장 능숙하게 휘두르는 기술을 개발한 위풍당당한 성격에 의해 위엄 있게 운반되었다. 빙글빙글 돌면서 둥근 은색 공을 제외한 모든 것이 날아가서 손잡이 위에 공이 놓이게 하여 오늘날 고적대장의 지휘봉을 제공했다. 수자의 행진곡 <신비한 신전의 귀족>에서는 현대식으로 재현된 크레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해 보였다. 그것은 [수자가 그의 직함의 정신을 포착하려고 노력했던 (프리메이슨의 외부적인 단체로, 친목 · 보건 활동 · 자선 사업 따위를 목적으로 하는) 우애 결사 회원인 수자라는, 따라서 전형적으로 “튀르키예의”] 첫 번째 변형의 시끄러운 분출에서, 트리오의 마지막 변형에서, 행진곡이 끝나갈 때 소리의 마지막 쇠퇴에서 들을 수 있다.


The traditional “esprit de corps” among those who were “Riders for the Flag” (1926) marked with honor the service of cavalry units of the United States Army, from the Revolution until their replacement in the recent past by armored units. Sousa was a devoted rider himself, and two of the marches recorded here were written for his fellow horsemen. “Sabre and Spurs” (1927) became the “March of the American Cavalry.” Both these classic marches are written after the rhythm of galloping horses and both employ the sounds of the traditional cavalry bugle as the basic musical materials in the trio. In addition to its effectiveness as a cavalry march, “Riders for the Flag” has always struck me as typical of the two-step dance-march of Sousa’s earliest successes, such as “Washington Post”.


<깃발을 위한 기수>(1926)였던 사람 중 전통적인 “소속감”(단결심)은 혁명부터 최근에 기갑 부대로 대체될 때까지 미국 육군의 기병 부대에 대한 영예로 표시된다. 수자는 헌신적인 기수였으며, 여기에 기록된 행진곡 중 2개는 동료 기병들을 위해 작곡되었다. <검과 박차>(1927)는 “미국 기병대의 행진곡”이 되었다. 이 두 가지 고전 행진곡은 모두 질주하는 말들의 리듬에 따라 작곡되었으며 둘 다 트리오에서 기본 음악 소재로 전통적인 기병 나팔 소리를 사용한다. 기병 행진곡으로서의 효율성 외에도 <깃발을 위한 기수>는 수자가 초기에 성공했던 <워싱턴 포스트> 같은 투스텝(사교댄스의 일종 또는 그 춤곡) 행진곡풍 춤곡의 전형으로 항상 나를 사로잡았다.


In his youth, Sousa had “a very hazy idea of the value of money” and “no adequate idea of the value of my compositions.” His sense of values was indeed so hazy and inadequate as to allow him to sell “‘Semper Fidelis’, ‘The Picadore’, ‘The Crusader’, ‘Washington Post’, ‘High School Cadets’, and several others, under a contract to Harry Coleman, the music publisher in Philadelphia, for thirty-five dollars apiece, and I was also to furnish three arrangements, one for piano, one for orchestra, and one for band!” But as was the case with Antonín Dvořák and his second set of Slavonic Dances, Sousa’s next brace of marches cost his publisher most of the bonanza reaped from the first. “High School Cadetes” (1892) was written for a company of cadet students in Washington. “The Picadore” (1889), also from the first of Coleman’s publications, is exemplary of the warmth and charm in Sousa’s early style.


젊었을 때 수자는 “돈의 가치에 대해 매우 약한 개념”이 있었으며, “내 작품들의 가치에 대한 적절한 개념”도 없었다. 그의 가치관은 참으로 너무 흐릿하고 부적절하여 “‘영원한 충성’, ‘기마 투우사’, ‘십자군’, ‘워싱턴 포스트’, ‘고등학교 사관후보생’ 및 기타 여러 곡을 필라델피아의 음악 출판업자인 해리 콜먼과 계약하여 개당 35달러에 팔도록 했으며, 나는 피아노 편곡 하나, 오케스트라 편곡 하나, 밴드 편곡 하나 이렇게 3개도 제공해야 했다!” 그러나 안토닌 드보르자크와 그의 <슬라브 무곡> 2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자의 다음 행진곡들에 대한 준비는 첫 번째에서 거둔 대박의 대부분을 자신의 출판업자에게서 잃게 했다. <고등학교 사관후보생>(1892)은 워싱턴에 있는 생도 학생 단체를 위해 작곡되었다. 역시 콜먼의 첫 번째 출판물인 <기마 투우사>(1889)는 수자 초기 스타일의 따뜻함과 매력을 잘 보여준다.


As a young musician, Sousa played the violin in various theaters in Washington and Philadelphia. He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operetta, which flourished everywhere and to which his particular talents as a composer and orchestrator seemed ideally suited. After a series of routine jobs as an arranger of “opera fantasies” and following a long association with Philadelphia productions of “Pirates of Penzance” as an orchestral player and “Pinafore” as a conductor, Sousa received an offer to write the music for a new musical comedy, “Our Flirtation” (1880). He had recently married Jennie Bellis, a member of his “Pinafore” company, and when that show closed he took his “bride, a couple quires of music paper, and a large capacity for work, to Cape May and straightway wrote the piece.” The march recorded here is all that survives of the score, but “Our Flirtation” probably held a warm place in his memory, for he was in the midst of his tour west with that company when he received word that he was wanted in Washington to lead the Marine Band – a summons that was to change his entire life. “Our Flirtation” [Sousa confusingly limited the flirtations to a single event in the march. – Ed.] is different from any of his marches thus for known to me. In it I perceive the unmistakable spirit of the Strausses of Vienna, uniting “Waltz King” and “March King”. Sousa’s later operettas, “El Capitan”, “The Charlatan”, and “The Bride Elect” were great successes in their time, but it is the marches from them that have survived.


젊은 음악가로서 수자는 워싱턴과 필라델피아의 여러 극장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했다. 그는 특히 오페레타에 관심이 많았는데, 이는 어디에서나 번창했으며 작곡가이자 관현악 작곡가라는 그의 특별한 재능이 이상적으로 적합해 보였다. “오페라 환상곡”의 편곡자로서 일련의 판에 박힌 일을 하고 이어서 오케스트라 단원으로서 오페라 <펜잔스의 해적>, 지휘자로서 오페라 <피나포어>의 필라델피아 제작자들과 오랜 관계를 맺은 후 수자는 새로운 희가극 <우리의 연애 장난>(1880)을 위한 음악을 써달라는 제안을 받았다. 그는 최근에 <피나포어> 단체의 일원인 제니 벨리스와 결혼했으며, 쇼가 끝났을 때 그의 “신부, 악보 몇 장, 대용량의 작품을 (뉴저지 주의) 케이프메이로 데려가서 곧바로 이 곡을 썼다.” 여기에 녹음된 행진곡은 악보에 남아있는 모든 것이지만, 그가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소집이었던 미군 해병대 군악대를 워싱턴에서 이끌고 싶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그 단체와 함께 서부 여행을 하던 중이었으므로, <우리의 연애 장난>은 아마도 그의 기억에 따뜻한 자리를 차지했을 것이다. [수자가 행진곡에서 연애 장난을 하나의 사건으로 혼란스럽게 제한했던] <우리의 연애 장난>은 그렇게 내게 알려진 그의 행진곡들과는 다르다. 그것에서 나는 “왈츠의 왕”과 “행진곡의 왕”을 결합한 비엔나 슈트라우스 집안의 틀림없는 정신을 감지한다. 수자가 나중에 쓴 오페레타인 <엘 카피탄>, <허풍꾼>, <신부>는 당대에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남아있는 것들은 여기에 나오는 행진곡이다.


“Invincible Eagle” dates from 1901 and was written during Sousa’s first tour with the Marine Band. They played for the month of June at the Pan-American Exposition in Buffalo, and Sousa wrote this march commemorating that Exposition. The spirit of 1918 provided Sousa with his march and title, “Solid Men to the Front”. Virtuosity of a special kind is demanded from the low brass section in the first two strains, and its trio is a model of the college fight songs that came with the rise of football. Another march from the period of World War I was “Bullets and Bayonets”, which Sousa wrote in 1919 for “the Officers and Men of the U.S. Infantry.”


<무적의 독수리>는 1901년에 시작되었으며 수자가 미군 해병대 군악대와 함께한 첫 번째 여행 중에 작곡되었다. 그들은 뉴욕 버팔로에서 열린 범미 박람회에서 6월 한 달 동안 연주했으며, 수자는 그 박람회를 기념하기 위해 이 행진곡을 썼다. 1918년의 정신은 수자에게 행진곡과 제목 <튼튼한 남자는 앞으로>(멋진 병사여 앞으로!)를 제공했다. 첫 2개의 변형에 나오는 저음 금관악기 섹션에서는 특별한 종류의 기교가 요구되며, 그 트리오는 미식축구의 부상과 함께 제공된 대학교 대항전 노래의 모델이다. 1차 세계대전 기간의 또 다른 행진곡은 수자가 1919년에 “미군 보병의 장교들과 병사들”을 위해 쓴 <총탄과 총검>이었다.


Sousa seems always to have been able to provide the appropriate title to his marches, and he rarely wrote about the manner of choice or the order in which they came to him. Concerning “The Liberty Bell”, however, he wrote: “During the Trocadero engagement [Chicago, 1893] I brought out ‘The Liberty Bell’. I had finished the march, but had not determined what its title should be, when on entering the Auditorium one day I chanced to see a spectacle there, called ‘America’. I was impressed by the very artistic scenic drop which depicted the Liberty Bell. At the end of the performance I went into the lobby of the Auditorium Hotel to inquire for my mail. A letter from my wife informed me that our little boy, Philip, had paraded that day in Philadelphia with his kindergarten class in honor of the Liberty Bell. The two incidents decided me. I called my new march ‘The Liberty Bell’….”


수자는 항상 그의 행진곡들에 적절한 제목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선택 방식이나 행진곡이 그에게 떠오른 순서에 대해 거의 쓰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자유의 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트로카데로 교전[시카고, 1893] 동안 나는 ‘자유의 종’을 발표했다. 나는 행진곡을 끝냈지만, 제목이 무엇인지 결정하지 못했는데, 어느 날 오디토리엄 호텔에 들어갔을 때 그곳에서 ‘아메리카’라는 광경을 보게 되었다. 나는 자유의 종을 묘사한 매우 예술적인 무대 장치가 내려가는 것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공연이 끝나자 오디토리엄 호텔 로비로 가서 내 우편을 문의했다. 아내가 보낸 편지에서 우리의 어린 아들 필립이 자유의 종을 기리기 위해 그날 필라델피아에서 유치원 수업으로 돌아다녔다고 알려왔다. 두 사건이 나를 결정했다. 나는 나의 새로운 행진곡을 ‘자유의 종’이라고 불렀다….”


Sousa’s 101st march was “The Gallant Seventh”, and he “brought it out” at a gala concert at the old New York Hippodrome on November 5, 1922, celebrating the thirtieth season of “Sousa’s Band.” The Seventh Regiment of New York has long been known for its gallantry in the service of our country. On the occasion of the first performance of “The Gallant Seventh”, Sousa augmented his band by that of the Seventh Regiment. Listening to this marvelous example of the Sousa style one cannot fail to comprehend him at the height of his mastery of marches.


수자의 101번째 행진곡은 <용감한 일곱 번째>였으며, 그는 “수자 밴드”의 30번째 시즌을 축하하는 1922년 11월 5일 구 뉴욕 히포드롬에서 열린 갈라 콘서트에서 “발표”했다. 뉴욕의 제7기병연대는 오랫동안 조국에 대한 용맹함으로 알려져 왔다. <용감한 일곱 번째>의 첫 공연을 계기로 수자는 제7기병연대 군악대로 그의 밴드를 보강했다. 수자 스타일의 이 놀라운 예를 들으면 행진에 대한 장악력의 절정에 있는 그를 이해하지 않을 수 없다.


“The Rifle Regiment” (1886) was written for the 3rd Infantry, and it is one of the many he sold to publisher Harry Coleman for thirty-five dollars a title. It is one of his finest regimental marches and contains unusual structural features, such as an extended introduction that is repeated and a break-strain that is similarly lengthy and equally unique.


<소총 연대>(1886)는 제3보병연대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그가 출판업자 해리 콜먼에게 개당 35달러로 판매한 많은 것 중 하나이다. 그의 가장 훌륭한 연대 행진곡 중 하나이며 반복되는 연장된 도입부, 유사하게 길고 똑같이 독특한 변형이 깨진 것과 같은 특이한 구조적 특징을 포함한다.


One of Sousa’s most unusual marches is the one he wrote in 1928 for the Governor and the people of New Mexico. Sousa’s skein was running out, but he had a few more good ones yet to give when he wrote those final marches. “New Mexico March” is one in which Sousa departs considerably from his customary observance of traditional march forms. Rarely did he attempt to color his marches with props or borrowed tunes, feeling, perhaps, that an appropriate title on a good, solid march was all he needed to provide. But when he decided to shed his traditions, he went all the way. “New Mexico” begins like many of his marches, after which he launches into a musical history of New Mexico, embracing with appropriate effects the music of the Indian, the cavalry, the Spanish, the Mexican, and concluding with a happy fusion of these diverse elements.


수자의 가장 특이한 행진곡 중 하나는 1928년에 뉴멕시코 주지사와 주민들을 위해 쓴 것이다. 수자의 실타래는 바닥났지만, 마지막 행진곡들을 썼을 때 아직 줄 수 있는 좋은 것들이 몇 개 더 있었다. <뉴멕시코 행진곡>은 수자가 전통적인 행진곡 형식에 대한 자신의 관습적 준수에서 상당히 벗어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행진곡들을 소품들이나 빌린 곡들, 어쩌면 훌륭하고 견고한 행진곡에 대한 적절한 제목이 그가 제공해야 할 전부라는 느낌으로 색칠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전통을 버리기로 했을 때 모든 방식을 사용했다. <뉴멕시코>는 그의 많은 행진곡처럼 시작되고, 그 후 그는 뉴멕시코의 음악사를 시작하여 인디언, 기병, 스페인, 멕시코의 음악을 적절한 효과로 수용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의 행복한 융합으로 끝맺는다.


The Ancient and Honorable Artillery Company of Boston was honored in 1924 by one of Sousa’s traditionally solid regimental marches, one in which he included their appropriate song “Auld Lang Syne” as the complete trio.


보스턴의 오래되고 명예로운 포병 중대는 1924년 수자의 전통적으로 견고한 연대 행진곡 중 하나로 영예를 얻었으며, 여기에는 적절한 노래 <작별>이 완전한 트리오로 포함되었다.


In 1925 he wrote one of his best marches, “The Black Horse Troop”. This is a regimental march of classic content and proportions, one which serves as a model for all that are similar to it. Sousa wrote it for a famous band of Cleveland horsemen, Troop A, a magnificent mounted unit of the most beautiful black animals man ever rode. I saw them ride many times in my youth, including their performance at the concert of Sousa’s band to which my father took me when he played the march for the first time. Sousa was a devoted horseman and owned a beautiful black Arabian steed called Aladdin, which mount threw him, wrenching his right shoulder, causing him thenceforwards to adopt that conducting style in which he swung his arm from the elbow rather than the shoulder. Much more than Sousa’s talent for writing marches is present in “The Black Horse Troop”; his love for horses must surely have helped to make this one of his finest creations.


1925년에 그는 자신의 최고 행진곡 중 하나인 <흑마 기병 중대>를 썼다. 이것은 고전적인 내용과 균형을 갖춘 연대 행진곡으로, 이와 유사한 모든 것의 모델 역할을 한다. 수자는 인간이 탔던 가장 아름다운 검은 동물들의 장엄한 기마 부대인 클리블랜드 제1중대의 유명한 군악대를 위해 이 곡을 썼다. 나는 그가 처음으로 행진곡을 연주했을 때 아버지가 나를 데려간 수자 밴드의 콘서트에서 그들의 공연을 포함하여 그들이 말에 타는 것을 여러 번 보았다. 수자는 헌신적인 기병이었으며 알라딘이라는 아름다운 아라비아 흑마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말이 그를 던지고 그의 오른쪽 어깨를 비틀어 그 이후로 어깨가 아닌 팔꿈치에서 팔을 휘두르는 지휘 스타일을 채택했다. 행진곡을 쓰는 수자의 재능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이 <흑마 기병 중대>에 있는데, 말에 대한 그의 사랑은 이것을 그의 가장 훌륭한 창작물 중 하나로 만드는 데 분명히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When Sousa was leader of the Marine Band (1880-1892) he presided over the music for the meetings of the Gridiron Club. Later, as his fame grew, it was he who listened while others played, and for his colleagues in this famous Washington fellowship he wrote his march “The Gridiron Club” (1926). That same season he brought out another of his superior marches, “The Pride of the Wolverines”, written for Mayor John W. Smith and the people of Detroit.


수자가 미군 해병대 군악대장(1880~1892)이었을 때 그는 미식축구 클럽의 회의를 위한 음악을 주재했다. 나중에 그의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른 사람들이 연주하는 동안 듣는 사람이 되었으며, 이 유명한 워싱턴 협회에서 동료들을 위해 행진곡 <미식축구 클럽>(1926)을 썼다. 같은 시즌에 그는 디트로이트의 존 W. 스미스 시장과 주민들을 위해 쓴 그의 뛰어난 행진곡 중 하나인 <울버린의 명예>를 발표했다.


In his careful salutations to important people, places, and things, Sousa wrote a march for that hallowed American institution, baseball. He dedicated it to its most famous commissioner, Judge Kenesaw Mountain Landis, and called it “The National Game” (1925).


중요한 사람, 장소, 사물에 대한 조심스러운 인사말로 수자는 그 신성한 미국의 국민 스포츠인 야구를 위한 행진곡을 썼다. 그는 이 곡을 가장 유명한 위원인 케네소 마운틴 랜디스 판사에게 헌정했으며, <내셔널 게임>(1925)이라고 불렀다.


“The Glory of the Yankee Navy” (1910) may have been part of an operetta on the subject, “The Yankee Girl”; Sousa spent his boyhood in and around the Navy Yard section of Washington, and while he served in the Marine Corps before he became a Lt. Commander in the Navy, he seems to have had a long-held and deep affection for the Yankee navy.


<미국 해군의 영광>(1910)은 “양키 소녀”라는 주제에 대한 오페레타의 일부였을 것이다. 수자는 어린 시절을 워싱턴의 네이비 야드 구역과 그 주변에서 보냈으며, 해군 중령이 되기 전에 해병대에서 복무하는 동안 미국 해군에 대한 오랜 깊은 애정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Sesqui-Centennial Exposition” was written to observe the 150th Anniversary of the Republic of the United States, a much-celebrated occasion and one to which Sousa contributed his most appropriate service.


<150년 박람회>는 매우 축하받는 행사이자 수자가 그의 가장 적절한 복무에 기여하기 위한 것인 미합중국 건국 150주년을 기념하여 작곡되었다.


“The Kansas Wildcats” honors that State, its University, and all that goes with this famous plains country. Sousa is alleged to have produced the march for a visit to the State in the early 1920s.


<캔자스 살쾡이>는 그 주, 그 대학, 그리고 이 유명한 평원 지역과 관련된 모든 것을 기린다. 수자는 1920년대 초에 미국 방문을 위한 행진곡을 만들었다고 한다.


Another of his earliest march efforts was one he wrote for the President of the Long Island Railroad, Austin Corbin, who happened to be the owner of Manhattan Beach, a famous seaside resort to which Sousa often brought his band in the initial seasons of his travels. The march he wrote for “Manhattan Beach” dates from the year of this first visit, 1893; it is the briefest of Sousa’s marches and one that, to me, seems to invite a bright and moving tempo.


그의 초기 행진곡 활동의 또 다른 하나는 롱아일랜드 철도 회사의 회장인 오스틴 코빈을 위해 쓴 것이었다. 그는 수자가 여행의 초기 시즌에 종종 밴드를 데려온 유명한 해변 휴양지인 맨해튼 비치의 소유주였다. 그가 <맨해튼 비치>를 위해 쓴 행진곡은 이 첫 번째 방문인 189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곡은 수자의 행진곡 중에서 가장 짧으며, 내게 밝고 감동적인 템포를 초대하는 것 같다.


Bye the time Sousa had reached the fiftieth year of his career as a conductor he had conducted in all of the great and humble places of the world; for both the great and the humble people he met, he often left the token of his highest esteem, a march with their name on it. “Golden Jubilee” was his own salute to himself, observing fifty years of conducting that began in the theater pits of Philadelphia and took him around the world and into the hearts of all who ever saw him lead his famous band. Composers do not usually write pieces for themselves – but then, John Philip Sousa was not the usual composer.


수자가 지휘자로서 경력 50년이 되었을 때 그는 세상의 모든 위대하면서도 변변치 않은 곳에서 지휘했는데, 그가 만난 위대하고 겸손한 사람들에게 종종 가장 높은 존경의 표시로 그들의 이름이 적힌 행진곡을 남겼다. <황금 희년>은 필라델피아의 극장 무대들에서 시작하여 그를 전 세계와 그가 유명한 밴드를 이끄는 것을 본 모든 사람의 마음으로 데려간 50년간의 지휘를 관찰하면서 자신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이었다. 작곡가들은 대개 자신을 위한 곡들을 쓰지 않지만, 존 필립 수자는 흔한 작곡가가 아니었다.


All the marches recorded on this disc were played by the full instrumentation of the Eastman Wind Ensemble from the published editions. Sousa’s Marine Band of 1891 contained 49 players (26 reeds, 20 brasses, 3 percussion). The Eastman Wind Ensemble personnel lists 52 players: 25 reeds, 19 brasses, 6 percussion, harp, and string contrabass.


이 디스크에 녹음된 모든 행진곡은 출판된 에디션들에서 이스트만 관악기 앙상블의 전체 기악 편성으로 연주되었다. 1891년 수자의 미군 해병대 군악대에는 49명의 단원(26개의 목관악기, 20개의 금관악기, 3개의 타악기)이 있었다. 이스트만 관악기 앙상블에는 52명의 단원이 있었는데 25개의 목관악기, 19개의 금관악기, 6개의 타악기, 하프, 현악기 콘트라베이스가 있다.


Note by Frederick Fennell / 프레더릭 페넬 글


Quotations from Sousa’s autobiography, “Marching Along” (Boston: Hale, Cushman & Flint, 1927)


수자의 자서전 <함께 행진을>(보스턴 <헤일, 커시먼, 플린트> 출판사, 1927)에서 인용

Label / Mercury Records


https://en.wikipedia.org/wiki/Mercury_Records


Mercury Records is an American record label owned by Universal Music Group. It had significant success as an independent operation in the 1940s and 1950s. Smash Records and Fontana Records were sub labels of Mercury. In the United States, it is operated through Republic Records; in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as Mercury Tokyo in the latter country), it is distributed by EMI Records.


머큐리 레코드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소유한 미국의 음반사이다.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독자적인 운영으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스매시 레코드 및 폰타나 레코드는 머큐리의 하위 레이블이었다. 미국에서는 리퍼블릭 레코드를 통해 운영되는데, 영국과 일본(후자의 국가에서는 머큐리 도쿄로)에서는 EMI 레코드에 의해 배포된다.


(중략)


Mercury Records was started in Chicago in 1945 and over several decades, saw great success. The success of Mercury has been attributed to the use of alternative marketing techniques to promote records. The conventional method of record promotion used by major labels such as RCA Victor, Decca Records, and Capitol Records was dependent on radio airplay, but Mercury Records founder Irving Green decided to promote new records using jukeboxes instead. By lowering promotion costs, Mercury was able to compete with the more established record labels, and thus became an established record label itself.


머큐리 레코드는 1945년 시카고에서 시작되어 수십 년 동안 큰 성공을 거두었다. 머큐리의 성공은 음반들을 홍보하기 위한 대체 마케팅 기법의 사용에 기인한다. RCA 빅터, 데카 레코드, 카피톨 레코드 같은 메이저 음반사들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음반 홍보 수단은 라디오 방송에 의존했지만, 머큐리 레코드의 설립자인 어빙 그린은 대신 주크박스를 사용하여 신보들을 홍보하기로 했다. 판촉 비용을 낮춤으로써 머큐리는 더 잘 알려진 음반사들과 경쟁할 수 있었고, 따라서 그 자체로 인지도가 있는 음반사가 되었다.


(후략)




위키페디아에 설명이 더 있다.

Google Drive / 2022. 12. Queen Elisabeth Competition Laureates 6


1989 Violin

1위 Vadim Repin (USSR) / 바딤 레핀 (러시아)

Vadim Repin - Complete Warner Recordings 2006

바딤 레핀 - 워너 녹음 전집 10CD


CD1 요정의 춤

Alexander Markovich, piano / 알렉산더 마르코비치, 피아노


CD2 루브르 리사이틀

드뷔시 바이올린 소나타, 라벨 바이올린 소나타 2악장

Boris Berezovsky, piano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피아노

슈베르트 그랜드 듀오

Ralf Gothoni, piano / 랄프 고토니, 피아노

프로코피에프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Anton Barachovsky, violin / 안톤 바라호프스키, 바이올린

디니쿠 <화성의 호라>

Roby Lakatos & His Ensemble / 로비 라카토쉬와 그의 앙상블


CD3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바이올린 소나타, 스트라빈스키 디메르티멘토(사무엘 두쉬킨 편곡), 버르토크 <루마니아 춤곡>(졸탄 세케이 편곡)

CD4 프로코피에프 바이올린 소나타 1번 및 2번, 5개의 멜로디

CD5 라벨 바이올린 소나타, 메트너 바이올린 소나타 3번 <영웅>

Boris Berezovsky, piano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피아노


CD6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트리오,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2번

Dmitry Yablonsky, cello / 드미트리 야블론스키, 첼로

Boris Berezovsky, piano /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피아노


CD7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3, 2, 5번

Wiener Kammerorchester / 비엔나 실내악단

Yehudi Menuhin, conductor / 예후디 메뉴인 지휘


CD8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Emmanuel Krivine, conductor / 에마뉘엘 크리빈 지휘


CD9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협주곡 1번, 프로코피에프 바이올린 협주곡 2번

Halle Orchestra / 할레 오케스트라

Kent Nagano, conductor / 켄트 나가노 지휘


CD10 랄로 <스페인 교향곡>, 쇼송 시곡, 라벨 치간느

London Symphony Orchestra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Kent Nagano, conductor / 켄트 나가노 지휘


02 Vadim Repin & Irina Vinogradova - Live in Moscow 1986

바딤 레핀, 이리나 비노그라도바 - 1986년 6월 11일 모스크바 음악원 대강당 제8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 오프닝 콘서트


03 Vadim Repin & Nikolai Lugansky - Janacek, Grieg & Franck Violin Sonata 2010

바딤 레핀, 니콜라이 루간스키 - 야나체크, 그리그,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04 Vadim Repin, Dmitry Yablonsky & Boris Berezovsky - Tchaikovsky & Shostakovich Piano Trios 1997

바딤 레핀, 드미트리 야블론스키,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 차이코프스키 및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05 Vadim Repin, Martha Argerich & Riccardo Muti - Beethoven Violin Concerto & Kreutzer Sonata 2007

바딤 레핀, 마르타 아르헤리치, 리카르도 무티 -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및 크로이처 소나타 2CD

Wiener Philharmoniker /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Vadim Repin, Mariss Jansons & Berliner Philharmoniker - Live at the Waldbuhne 2002 DVD

바딤 레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마리스 얀손스 - 2002 발트뷔네 콘서트 DVD


Vadim Repin & Clara Jumi Kang at the Tchaikovsky Concert Hall in Moscow (19 March 2018)

바딤 레핀, 클라라 주미 강 - 2018년 3월 19일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콘서트홀 동영상

Chamber Orchestra "Sejong Soloists" / 세종 솔로이스트 실내악단



2위 Akiko Suwanai (Japan) / 아키코 스와나이 (일본)

01 Akiko Suwanai - Mendelssohn & Tchaikovsky Violin Concerto 2001

아키코 스와나이 - 멘델스존,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Czech Philharmonic Orchestra /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Vladimir Ashkenazy, conductor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지휘


02 Akiko Suwanai & Enrico Pace - Franck & R. Strauss Violin Sonatas 2016

아키코 스와나이, 엔리코 파체 - 프랑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바이올린 소나타


03 Akiko Suwanai, Charles Dutoit & Philharmonia Orchestra - Poeme 2004

아키코 스와나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샤를 뒤투아 지휘 - 시곡


04 Akiko Suwanai, Ivan Fischer & Budapest Festival Orchestra - Dvorak & Sarasate Violin Works 2001

아키코 스와나이,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이반 피셔 지휘 - 드보르작, 사라사테 바이올린 작품집


Akiko Suwanai & Vasily Petrenko at Tchaikovsky Concert Hall in Moscow (9 July 2018)

아키코 스와나이, 바실리 페트렌코 지휘 - 2018년 7월 9일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콘서트홀 동영상

Svetlanov Symphony Orchestra /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오케스트라






1991 Piano

1위 Frank Braley (France) / 프랑크 브랄레 (프랑스)

Frank Braley - Beethoven Piano Sonatas Nos. 14, 23 & 31

프랑크 브랄레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 23, 31번


Frank Braley Plays Richard Strauss

프랑크 브랄레가 연주하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Frank Braley Plays Gershwin

프랑크 브랄레가 연주하는 거슈윈 mp3


Eric Le Sage & Frank Braley - Poulenc Chamber Music 2016

에릭 르 사주, 프랑크 브랄레 - 풀랑크 실내악

Orchestre Philharmonique de Liege / 리에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Stephane Deneve, conductor / 스테판 드네브 지휘

Juliette Hurel, flute / 줄리에트 위렐, 플루트


Frank Braley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4 en sol majeur op. 58 de Beethoven

Frank Braley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L'impose

Frank Braley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n°12 en fa majeur KV 332 de Mozart

프랑크 브랄레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75 Years Ysaye & Queen Elisabeth Piano Competition 2013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75주년 기념 음반 피아노 부문 5CD


CD1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 1 /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Valery Afanassiev (Russia, 1st prize 1972) / 발레리 아파나시에프 (러시아, 1972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Rene Defossez, conductor / 르네 데포세즈 지휘


Liszt Piano Concerto No. 1 /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1번

Vladimir Ashkenazy (Russia, 1st prize 1956)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 1956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Liszt Piano Concerto No. 2 /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2번

Pierre-Alain Volondat (France, 1st prize 1983) / 피에르-알랭 볼롱다 (프랑스, 1983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eorges Octors, conductor / 조르쥬 옥토르 지휘


CD2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2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Wolfgang Manz (Germany, 2nd prize 1983) / 볼프강 만츠 (독일, 1983년 2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eorges Octors, conductor / 조르쥬 옥토르 지휘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Andrei Nikolsky (Russia, 1st prize 1987) / 안드레이 니콜스키 (러시아, 1987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eorges Octors, conductor / 조르쥬 옥토르 지휘


CD3

Beethoven Piano Concerto No. 4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Frank Braley (France, 1st prize 1991) / 프랑크 브랄레 (프랑스, 1991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Ronald Zollman, conductor / 로날드 졸만 지휘


Brahms Piano Concerto No. 1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Leon Fleisher (USA, 1st prize 1952) / 레온 플라이셔 (미국, 1952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CD4

Brahms Piano Concerto No. 2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

Denis kozhukhin (Russia, 1st prize 2010) / 데니스 코주힌 (러시아, 2010년 1위)

Royal Flemish Philharmonie / 로열 플레미시 필하모닉

Edo de Waart, conductor / 에도 데 바르트 지휘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번

Anna Vinnitskaya (Russia, 1st prize 2007) / 안나 비니츠카야 (러시아, 2007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Gilbert Varga, conductor / 길버트 바르가 지휘


CD5

Prokofiev Piano Concerto No. 1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1번

Malcolm Frager (USA, 1st prize 1960) / 맬컴 프레이저 (미국, 1960년 1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Chopin Piano Concerto No. 1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Jeffrey Swann (USA, 2nd prize 1972) / 제프리 스완 (미국, 1972년 2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Rene Defossez, conductor / 르네 데포세즈 지휘


Chopin Piano Concerto No. 2 /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

Cecile Ousset (France, 4th prize 1956) / 세실 우세 (프랑스, 1956년 4위)

National Orchestra of Belgium /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Franz Andre, conductor / 프란츠 앙드레 지휘



2위 Stephen Prutsman (Brovtsman) (USA) / 스티븐 프루츠먼 (미국)

Stephen Prutsman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3 en ut majeur Opus 26 de Prokofiev

Stephen Prutsman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L'impose

Stephen Prutsman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en la majeur KV533-494 de Mozart

스티븐 프루츠먼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3위 Brian Ganz (USA) / 브라이언 간츠 (미국)

Brian Ganz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3 en ut majeur op. 26 de Prokofiev

Brian Ganz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L'impose

Brian Ganz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en si bemol majeur KV 333 de W.A. Mozart

브라이언 간츠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4위 Hae-Sun Paik (Korea) / 백혜선

HaeSun Paik Plays Mendelssohn, Mozart, Schumann & Ravel - Debut 1998

백혜선이 연주하는 멘델스존, 모차르트, 슈만, 라벨 - 데뷔


외국 분이 립해주신 음반이다.


Haesun Paik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en si bemol mineur Opus 23 de Tchaikovski

Haesun Paik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L'impose

Haesun Paik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en fa majeur KV 533 de W.A. Mozart

백혜선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5위 Alexander Melnikov (USSR/Jewish) / 알렉산더 멜니코프 (러시아/유대계)

01 Alexander Melnikov - Four pianos, Four Pieces 2018

알렉산더 멜니코프가 연주하는 슈베르트, 쇼팽, 리스트, 스트라빈스키 - 4개의 피아노 솔로곡을 위한 4종류의 피아노


02 Alexander Melnikov - Prokofiev Piano Sonatas, Vol. 1 (2016)

알렉산더 멜니코프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2, 6, 8번


03 Alexander Melnikov - Prokofiev Piano Sonatas, Vol. 2 (2019)

알렉산더 멜니코프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4, 7, 9번


04 Alexander Melnikov - Prokofiev Piano Sonatas, Vol. 3 (2022)

알렉산더 멜니코프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1, 3, 5번 및 덧없는 환영


05 Alexander Melnikov - Rachmaninov 9 Etudes-tableaux, 6 Poemes & Corelli Variations

알렉산더 멜니코프 - 라흐마니노프 9개의 회화적 연습곡, 6개의 시곡, 코렐리 변주곡


06 Alexander Melnikov - Schumann Piano Concerto & Piano Trio No. 2 (2015)

알렉산더 멜니코프 - 슈만 피아노 협주곡, 피아노 트리오 2번

Isabelle Faust, violin / 이자벨 파우스트, 바이올린

Jean-Guihen Queyras, cello / 장-기엔 케라스, 첼로


07 Alexander Melnikov - Scriabine Piano Works

알렉산더 멜니코프 - 스크리아빈 피아노 작품집


08 Alexander Melnikov - Shostakovich 24 Preludes & Fugues

알렉산더 멜니코프 - 쇼스타코비치 24개 전주곡과 푸가 3CD


09 Alexander Melnikov - Shostakovich Piano Concertos 2012

알렉산더 멜니코프 -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Mahler Chamber Orchestra /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

Teodor Currentzis, conductor / 테오도르 쿠렌치스 지휘

Jeroen Berwaerts, trumpet / 예로엔 베르바어츠, 트럼펫


10 Alexander Melnikov Plays Brahms 2011

알렉산더 멜니코프 - 브람스 소나타 2번, 스케르초, 소나타 1번


Alexander Melnikov & Jerusalem Quartet - Schumann Piano Quintet & Quartet 2012

알렉산더 멜니코프, 예루살렘 콰르텟 - 슈만 피아노 퀸텟 및 콰르텟


Alexander Melnikov & Olga Pashchenko - Debussy Preludes du 2e Livre & La Mer 2018

알렉산더 멜니코프, 올가 파셴코 - 드뷔시 전주곡 2권, 4개의 손을 위한 교향시 바다 편곡


Alexander Melnikov, Ivor Bolton & Sinfonieorchester Basel - Brahms Piano Concerto No. 1, Tragic Overture & Cherubini Eliza 2021

알렉산더 멜니코프, 바젤 심포니 오케스트라, 아이버 볼튼 지휘 -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비극적 서곡 및 케루비니 서곡 <엘리차>


Andreas Staier & Alexander Melnikov - Schubert Piano Duets 2017

안드레아스 슈타이어, 알렉산더 멜니코프 - 슈베르트 4개의 손을 위한 작품들


Isabelle Faust, Alexander Melnikov & Salagon Quartet - Franck Violin Sonata & Chausson Concert 2017

이자벨 파우스트, 알렉산더 멜니코프, 살라곤 콰르텟 -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 쇼송 콩세르


Alexander Melnikov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L'impose

Alexander Melnikov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Mozart Sonate No. 14 en ut mineur, KV 457

Alexander Melnikov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Rachmaninov Rhapsodie sur un theme de Paganini, Op. 43

알렉산더 멜니코프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6위 Igor Ardašev (Czech Republic) 이고르 아르다셰프 (체코)

Igor Ardasev - Song of Love

이고르 아르다셰프 - 사랑의 노래


Igor & Renata Ardasev Play Smetana - Ma vlast (My Country) Arrangement for Piano 4 Hands 2003

이고르 아르다셰프와 레나타 아르다셰보바 부부가 연주하는 스메타나 <나의 조국> - 4개의 손을 위한 피아노 버전


Renata & Igor Ardasev - Dvorak Slavonic Dances

레나타와 이고르 아르다셰프 부부 - 드보르작 4개의 손을 위한 슬라브 무곡


Igor Ardasev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en si bemol mineur Opus 23 de Tchaikovski

Igor Ardasev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l'impose

Igor Ardasev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en si bemol majeur KV 333 de W.A. Mozart

이고르 아르다셰프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7위 Chiharu Sakai (Japan) / 치하루 사카이 (일본)

Chiharu Sakai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치하루 사카이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8위 Vadim Rudenko (USSR) / 바딤 루덴코 (러시아)

Vadim Roudenko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바딤 루덴코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Vadim Rudenko, Denis Lotoyev & Tchaikovsky Symphony Orchestra - Rachmaninov & Janacek (26 March 2014)

바딤 루덴코, 차이코프스키 심포니 오케스트라, 데니스 로토예프 지휘 - 2014년 3월 26일 라흐마니노프와 야나체크 동영상


Vadim Rudenko, Pavel Kogan & Moscow State Academic Symphony Orchestra - Gershwin Rhapsody in Blue 2014

바딤 루덴코, 모스크바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파벨 코간 지휘 -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동영상


Vladimir_Rudenko_-_Tchaikovsky-Pletenev_-_Nutcracker_Suite

바딤 루덴코 -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플레트네프 편곡) 동영상


Nikolay Lugansky & Vadim Rudenko Play Rachmaninov, Ravel & Poulenc

니콜라이 루간스키, 바딤 루덴코 - 라흐마니노프, 라벨, 풀랑크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듀오


Nikolai Lugansky & Vadim Rudenko at the Tchaikovsky Concert Hall in Moscow (15 June 2018)

니콜라이 루간스키, 바딤 루덴코 피아노 듀오 - 2018년 6월 15일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콘서트홀 동영상



9위 Jan Simon (Czech Republic) / 얀 시몬 (체코)

Jan Simon, Vladimir Valek & Prague Radio Symphony Orchestra - Tomasek Piano Concertos 2006

얀 시몬, 프라하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블라디미르 발레크 지휘 - 토마셰크 피아노 협주곡


Jan Simon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Concerto n°1 en si bemol mineur Opus 23 de Tchaikovski

Jan Simon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Sonate en si bemol majeur KV 333 de W.A. Mozart

Jan Simon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얀 시몬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10위 Sergei Babayan (USSR) / 세르게이 바바얀 (아르메니아)

01 Sergei Babayan - Rachmaninoff Preludes, Etudes-Tableaux & Moments musicaux 2020

세르게이 바바얀 - 라흐마니노프 전주곡, 회화적 연습곡, 악흥의 순간


02 Sergei Babayan - Scarlatti Sonatas 1995

세르게이 바바얀 - 스카를라티 소나타 1995


03 Sergei Babayan - Scarlatti Sonatas 2011

세르게이 바바얀 - 스카를라티 소나타 2011


Martha Argerich & Sergei Babayan - Prokofiev for Two 2018

마르타 아르헤리치, 세르게이 바바얀 - 프로코피에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바바얀의 편곡


Sergei Babayan - Ravel, Liszt & Prokofiev

세르게이 바바얀이 연주하는 라벨, 리스트, 프로코피에프 mp3


Sergey Babayan - Messiaen, Vine, Respighi, Ligeti

세르게이 바바얀이 연주하는 메시앙, 바인, 레스피기, 리게티 mp3


Sergei Babayan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세르게이 바바얀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 Live at Verbier Festival 2015

다닐 트리포노프 - 쇼팽 회상 2CD

Mahler Chamber Orchestra /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

Mikhail Pletnev, conductor / 미하일 플레트네프 지휘

Sergei Babayan, piano / 세르게이 바바얀, 피아노

Daniil Trifonov & Mikhail Pletnev - A New Chopin / 새로운 쇼팽 동영상

Daniil Trifonov & Mikhail Pletnev at the Konzerthaus Dortmund (30 April 2017) / 2017년 4월 30일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 실황 동영상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 Live at Verbier Festival 2015

다닐 트리포노프, 세르게이 바바얀 - 베르비에 페스티벌 2015 동영상



11위 Rita Kinka (Yugoslavia) / 리타 킹카 (세르비아)

Rita Kinka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리타 킹카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12위 Jan Michiels (Belgium) / 얀 미힐스 (벨기에)

01 Jan Michiels - Dvorak Piano Works 2003 (Bosendorfer 1884)

얀 미힐스 - 뵈젠도르퍼 피아노로 연주하는 드보르작 피아노 작품집


02 Jan Michiels Performs Ligeti-Gamelan 2001

얀 미힐스가 연주하는 리게티와 가믈란

The Gamelan Orchestra Gong Kebyar / 공 케비아르 가믈란 오케스트라

I Made Bandem, conductor / 이 마데 반뎀 지휘


03 Jan Michiels Plays Chopin, Ligeti, Debussy & Kurtag - Preludes, Interludes, Postludes 2022

얀 미힐스가 연주하는 쇼팽, 리게티, 드뷔시, 쿠르탁 - 전주, 간주, 후주 2CD


04 Jan Michiels Plays Liszt, Schumann, Brahms & Schonberg - The War of the Romantics 2016

얀 미힐스가 연주하는 리스트, 슈만, 브람스, 쇤베르크 - 낭만파의 전쟁


Jan Michiels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얀 미힐스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실황 녹음 mp3


Luc Devos & Jan Michiels - Schubert 6 Polonaises & Divertissement a la Hongroise 1997

뤼크 데보스, 얀 미힐스 - 슈베르트 4개의 손을 위한 6개의 폴로네즈 및 헝가리풍의 디베르티스망


Jan Michiels - 1991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얀 미힐스 - 1991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Semifinalist (Top 24) Ruei-Bin Chen (Taiwan) / 루에이빈 첸 (대만)

Ruei-Bin Chen Plays Chopin, Liszt, Debussy & Stravinsky 1988 (LP Rip)

루에이빈 첸이 연주하는 쇼팽, 리스트, 드뷔시, 스트라빈스키 LP


Semifinalist (Top 24) Markus Becker (Germany) / 마르쿠스 베커 (독일)

01 Markus Becker - Dussek Sonatas 2006

마르쿠스 베커 - 두섹 소나타 2006


02 Markus Becker - Dussek Sonatas 2008

마르쿠스 베커 - 두섹 소나타 2008


03 Markus Becker - Haydn Sonatas 2016

마르쿠스 베커 - 하이든 소나타


04 Markus Becker - Haydn Piano Works II 2021

마르쿠스 베커 - 하이든 소나타 2집


05 Markus Becker - Reger Complete Works for Piano 2016

마르쿠스 베커 레거 피아노 작품 전집 12CD


mp3 파일로 가지고 있었는데 네덜란드 분이 고음질로 주셨다.


06 Markus Becker Plays Bach Piano Transcriptions, Vol. 7 – Reger

마르쿠스 베커가 연주하는 피아노 편곡 7집 레거


Alban Gerhardt & Markus Becker - Rostropovich Encores 2017

알반 게르하르트, 마르쿠스 베커 - 로스트로포비치 첼로 앙코르


Semifinalist (Top 24) Igor Kamenz (USSR/Germany) / 이고르 카멘츠 (러시아/독일)

Igor Kamenz Plays Liszt 2002

이고르 카멘츠가 연주하는 리스트


Igor Kamenz Plays Liszt, Rachmaninov, Weber, Strauss, Schubert & Tausig 1999

이고르 카멘츠가 연주하는 리스트, 라흐마니노프, 베버, 슈트라우스, 슈베르트, 타우지히


Semifinalist (Top 24) Béatrice Rauchs (Luxembourg) / 베아트리스 라우크스 (룩셈부르크)

Beatrice Rauchs - Fanny Mendelssohn Piano Music 1997

베아트리체 라우크스 - 파니 멘델스존 피아노 음악


Beatrice Rauchs Plays Fanny Mendelssohn 1996

베아트리체 라우크스가 연주하는 파니 멘델스존


Semifinalist (Top 24) Beatrice Long (USA) / 베아트리스 롱 (미국)

Beatrice Long - Scriabin Complete Mazurkas

베아트리스 롱 - 스크리아빈 마주르카 전집 mp3


Eteri Andjaparidz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

에테리 안디아파리제 - 스카를라티 소나타 1집


Michael Lewin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

마이클 르윈 - 스카를라티 소나타 2집


Jeno Jand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3

예뇌 얀도 - 스카를라티 소나타 3집


Beatrice Long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4

베아트리스 롱 - 스카를라티 소나타 4집


Benjamin Frith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5

벤저민 프리스 - 스카를라티 소나타 5집


Evgeny Zarafiants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6

에프게니 자라피안츠 - 스카를라티 소나타 6집


Konstantin Scherbakov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7

콘스탄틴 셰르바코프 - 스카를라티 소나타 7집


Soyeon Le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8

이소연 - 스카를라티 소나타 8집


Francesco Nicolosi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9

프란체스코 니콜로지 - 스카를라티 소나타 9집


Ka Ling Colleen Le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0

카 링 콜린 리 - 스카를라티 소나타 10집


Gottlieb Wallisch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1

고틀리프 발리쉬 - 스카를라티 소나타 11집


Gerda Struhal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2

게르다 슈트루할 - 스카를라티 소나타 12집


Chu-Fang Huang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3

추팡 황 - 스카를라티 소나타 13집


Duanduan Ha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4

두안두안 하오 - 스카를라티 소나타 14집


Orion Weiss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5

오리온 웨이스 - 스카를라티 소나타 15집


Duanduan Ha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6

두안두안 하오 - 스카를라티 소나타 16집


Sean Kennard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7

숀 케나드 - 스카를라티 소나타 17집


Sergio Monteir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8

세르지우 몬테이루 - 스카를라티 소나타 18집


Goran Filipec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19

고란 필리페치 - 스카를라티 소나타 19집


Artem Yasynskyy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0

아르템 야진스키 - 스카를라티 소나타 20집


Soyeon Kate Lee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1

이소연 - 스카를라티 소나타 21집


Eylam Keshet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2

에일람 케셰트 - 스카를라티 소나타 22집


Sergio Monteiro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3

세르지우 몬테이루 - 스카를라티 소나타 23집


Alon Goldstein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4

알론 골드스타인 - 스카를라티 소나타 24집


Pascal Pascaleff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5

파스칼 파스칼레프 - 스카를라티 소나타 25집


Bruno Vlahek - Scarlatti Complete Keyboard Sonatas, Vol. 26

브루노 블라헤크 - 스카를라티 소나타 26집



1993 Violin

11위 Rachel Barton Pine (USA) / 레이첼 바튼 파인 (미국)

01 Rachel Barton & Thomas Labe - Liszt Works for Violin & Piano 1997

레이첼 바튼 파인 - 리스트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작품집


02 Rachel Barton Pine - Bel Canto Paganini 2017

레이첼 바튼 파인 - 벨칸토 파가니니 2CD


03 Rachel Barton Pine - Capricho Latino 2011

레이첼 바튼 파인 - 카프리초 라티노


04 Rachel Barton Pine - Dvorak & Khachaturian Violin Concertos 2019

레이첼 바튼 파인 - 드보르자크 및 하차투리안 바이올린 협주곡

Royal Scottish National Orchestra / 로열 스코티시 내셔널 오케스트라

Teddy Abrams, conductor / 테디 아브람스 지휘


05 Rachel Barton Pine - Instrument of the Devil 1998

레이첼 바튼 파인 - 악마의 악기

Patrick Sinozich, piano / 패트릭 시노지치, 피아노

David Schrader, harpsichord / 데이비드 슈레이더, 하프시코드

John Mark Rozendaal, cello / 존 마크 로젠달, 첼로

John Bruce Yeh, clarinet / 존 브루스 예, 클라리넷


06 Rachel Barton Pine - Mendelssohn & Schumann Violin Concertos 2013

레이첼 바튼 파인 - 멘델스존 및 슈만 바이올린 협주곡

Gottinger Symphonie Orchester / 괴팅겐 심포니 오케스트라

Christoph-Mathias Mueller, conductor / 크리스토프-마티아스 뮐러 지휘


07 Rachel Barton Pine & Matthew Hagle - Violin Lullabies 2013

레이첼 바튼 파인, 매튜 헤이글 - 바이올린 자장가 모음집


08 Rachel Barton Pine Matthew Hagle - Blues Dialogues (Music by Black Composers) 2018

레이첼 바튼 파인, 매튜 헤이글 - 미국 아프리카계 작곡가들의 바이올린 음악




1995 Piano

1위 Markus Groh (Germany) / 마르쿠스 그로 (독일)

Markus Groh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2 de Liszt

Markus Groh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마르쿠스 그로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2위 Laura Mikkola (Finland) / 라우라 미콜라 (핀란드)

01 Laura Mikkola - David Matthews Music for Piano 2013

라우라 미콜라 - 데이비드 매튜스 피아노 음악


02 Laura Mikkola - Einar Englund Complete Music for Solo Piano 2017

라우라 미콜라 - 에이나르 엥글룬 피아노 독주곡 전집


03 Laura Mikkola - Einojuhani Rautavaara Works for Piano 1999

라우라 미콜라 - 에이노유하니 라우타바라 피아노 작품집


04 Laura Mikkola - Svein Hundsnes Clavinatas Nos. 1-7, Piano Sonata No. 1 & Downtoned Beats 2020

라우라 미콜라 - 스베인 훈스네스 카바티나 1~7번, 피아노 소나타 1번, 다운톤 비트


05 Laura Mikkola - Svein Hundsnes Piano Sonata No. 2, Winter Dances & Shades of Light 2021

라우라 미콜라 - 스베인 훈스네스 피아노 소나타 2번, 겨울 춤곡, 빛의 색조


Laura Mikkola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2 de Prokofiev

Laura Mikkola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Laura Mikkola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라우라 미콜라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3위 Giovanni Bellucci (Italy) / 조반니 벨루치 (이탈리아)

Giovanni Bellucci - Alkan Concerti da Camera & Solo Music 2017

조반니 벨루치 - 알캉 실내 협주곡 및 독주 작품집

Orchestra di Padova e del Veneto / 오케스트라 디 파도바 에 델 베네토

Roberto Fores-Veses, conductor / 로베르토 포레스-베제스 지휘


Giovanni Bellucci Plays Liszt

조반니 벨루치가 연주하는 리스트 mp3


Giovanni Bellucci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de Tchaikovsky

Giovanni Bellucci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Giovanni Bellucci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조반니 벨루치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조반니 벨루치는 1991년 세미파이널리스트였다가 1995년 재도전하여 입상했다.



4위 Yuliya Gorenman (USA) / 율리야 고렌만 (미국)

Yuliya Gorenman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3 de Prokofiev

Yuliya Gorenman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Yuliya Gorenman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율리야 고렌만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5위 Jong-Hwa Park (Korea) / 박종화 (최연소 입상, 최우수 연주자상)

Jonghwa Park - NUNAYA 2015

박종화 - 누나야


Jonghwa Park Plays Mussorgsky-Horowitz & Rachmaninov - Heroes 2012

박종화가 연주하는 무소르그스키-호로비츠 및 라흐마니노프 - 영웅


Jong Hwa Park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박종화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6위 Victor Liadov (Russia) / 빅토르 리아도프 (러시아)

Victor Liadov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de Tchaikovsky

Victor Liadov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Victor Liadov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빅토르 리아도프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Finalist (Top 12) Victor Chestopal (Russia) / 빅토르 체스토팔 (러시아)

Victor Chestopal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de Tchaikovsky

Victor Chestopal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Victor Chestopal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빅토르 체스토팔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Finalist (Top 12) Daniil Kopylov (Russia) / 다닐 코필로프 (러시아)

Daniil Kopylov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2 de Liszt

Daniil Kopylov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Daniil Kopylov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다닐 코필로프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Finalist (Top 12) Corrado Rollero (Italy) / 코라도 롤레로 (이탈리아)

Corrado Rollero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2 de Brahms

Corrado Rollero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Corrado Rollero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코라도 롤레로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Finalist (Top 12) Eriko Sano (Japan) / 에리코 사노 (일본)

Eriko Sano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에리코 사노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녹음 mp3



Finalist (Top 12) Per Tengstrand (Sweden) / 페르 텡스트란드 (스웨덴)

Per Tengstrand, Levon Chilingirian & Camerata Roman - Mozart Piano Concertos 8 & 9 (2001)

페르 텡스트란드, 카메라타 로만, 레본 칠링기리안 지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8번 및 9번


Per Tengstrand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de Chopin

Per Tengstrand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Per Tengstrand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페르 텡스트란드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Finalist (Top 12) Seiko Tsukamoto (Japan) / 세이코 츠카모토 (일본)

Seiko Tsukamoto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John Weeks – Requiescat

Seiko Tsukamoto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Rhapsodie sur un theme de Paganini, de Rachmaninov

Seiko Tsukamoto - 1995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세이코 츠카모토 -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및 녹음 mp3


Semifinalist (Top 23) Evelina Borbei (Russia) / 에벨리나 보르베이 (러시아)

Evelina Borbei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Demi-Finale

에벨리나 보르베이 - 1999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준결선 녹음 mp3


Semifinalist (Top 23) Hideki Nagano (Japan) / 히데키 나가노 (일본)

Hideki Nagan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Demi-Finale

Hideki Nagan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3 en ut majeur de Prokofiev

Hideki Nagan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n.10 en ut majeur de Mozart

Hideki Nagan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Tears of Ludovico de Pulkkis

Hideki Nagan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히데키 나가노 - 1999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준결선 및 결선 녹음 mp3


Semifinalist (Top 23) Wojciech Świtała (Poland) / 보이체흐 시비타와 (폴란드)

Wojciech Switala - Chopin 24 Preludes & Andante spianato et Grande Polonaise

보이체흐 시비타와 - 쇼팽 24개 전주곡 및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


Wojciech Switala - Chopin Ballades, Nocturnes & Scherzo [Pleyel 1848]

보이체흐 시비타와 - 쇼팽 발라드, 녹턴, 스케르초


Semifinalist (Top 23) Richard Raymond (Canada) / 리처드 레이먼드 (캐나다)

Richard Raymond - 1992 Montreal First Prize

리처드 레이먼드 - 1992 몬트리올 콩쿠르 우승 기념 음반 mp3


Richard Raymond Plays Liszt

리처드 레이먼드가 연주하는 리스트 mp3


Semifinalist (Top 23) Lucille Chung (Canada) / 루실 정 (캐나다)

Lucille Chung - Ligeti Piano Works 2001

루실 정 - 리게티 피아노 작품집


Lucille Chung Plays Liszt 2018

루실 정 - 리스트 피아노 작품집


Alessio Bax & Lucille Chung - Stravinsky, Brahms & Piazzolla Music for Piano Duo

알레시오 박스, 루실 정 - 스트라빈스키, 브람스, 피아졸라 피아노 듀오 음악


Lucille Chung & Alessio Bax - Ligeti Works for 1 & 2 Pianos 2003

루실 정, 알레시오 박스 - 리게티 작품집


Lucille Chung & Alessio Bax - Poulenc Works for Piano Solo & Duo 2016

루실 정, 알레시오 박스 - 풀랑크 작품집


1995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피아노 부문부터 7~12위가 없어졌는데, 6위에 들지 못한 나머지 6명의 파이널리스트도 입상자라고 불린다.



1997 Violin

1위 Nikolaj Znaider (Denmark) / 니콜라이 즈나이더 (덴마크)

Nikolaj Znaider - Prokofiev, Glazunov & Tchaikovsky Works for Violin & Orchestra

니콜라이 즈나이더 - 프로코피에프, 글라주노프,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집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Mariss Jansons, conductor / 마리스 얀손스 지휘



1999 Piano

1위 Vitaly Samoshko (Ukraine) / 비탈리 사모쉬코 (우크라이나)

Vitaly Samoshk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 Demi-Finale

Vitaly Samoshk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 Finale

Vitaly Samoshk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en la mineur de Schubert

Vitaly Samoshko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Tears of Ludovico de Pulkkis

비탈리 사모쉬코 - 1999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준결선 및 결선 녹음 mp3



2위 Alexander Ghindin (Russia) / 알렉산더 긴딘 (러시아)

01 Alexander Ghindin - Scriabin Piano Sonatas Nos. 1, 4 & 8 (2011)

알렉산더 긴딘 - 스크리아빈 피아노 소나타 1, 4, 8번


02 Alexander Ghindin - Stravinsky Petrouchka, Rachmaninoff Morceaux de fantaisie & Tchaikovsky Grande sonate 2012

알렉산더 긴딘 -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에 의한 3개의 악장>, 라흐마니노프 <악흥의 순간>, 차이코프스키 그랜드 소나타


03 Alexander Ghindin - Tchaikovsky Seasons 1997

알렉산더 긴딘 - 차이코프스키 사계


04 Alexander Ghindin, Vladimir Ashkenazy & Helsinki Philharmonic Orchestra - Rachmaninov Piano Concertos Nos. 1 & 4 (Original Versions)

알렉산더 긴딘,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지휘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 4번 (오리지널 버전)


05 Alexander Gindin - Prokofiev Works for Piano & Transcriptions 2008

알렉산더 긴딘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작품 및 편곡


Alexander Ghindin & Nikolai Petrov - Rachmaninoff Suites & Symphonic Dances for 2 Pianos 2013

알렉산더 긴딘, 니콜라이 페트로프 -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및 교향적 무곡


Alexander Ghindin, Michael Ponti & Robert Groslot Play Rachmaninoff

알렉산더 긴딘, 마이클 폰티, 로베르 그로슬로가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Nikolai Petrov & Alexander Ghindin - Bach, Mozart & Stravinsky Music for 2 Pianos 2007

니콜라이 페트로프, 알렉산더 긴딘 - 바흐, 모차르트, 스트라빈스키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음악


Alexander Ghindi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Demi-Finale

Alexander Ghindi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de Tchaikovsky

Alexander Ghindi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en la mineur de Schubert

Alexander Ghindi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Tears of Ludovico

Alexander Ghindi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알렉산더 긴딘 - 1999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준결선 및 결선 녹음 mp3


Alexander Ghindin & Boris Berezovsky - Live in Moscow (17 January 2010)

알렉산더 긴딘,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 2010년 1월 17일 모스크바 듀오 리사이틀 동영상


Alexander Ghindin & Boris Berezovsky at the Grand Hall of Zaryadye Concert Hall in Moscow (9 November 2019)

알렉산더 긴딘,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 2019년 11월 9일 모스크바 자리야드예 콘서트홀 대강당 듀오 리사이틀 동영상


Alexander Ghindin & Hermitage Ensemble at the Tchaikovsky Concert Hall in Moscow (17 March 2017)

알렉산더 긴딘, 에르미타주 앙상블 - 2017년 3월 17일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콘서트홀 듀오 리사이틀 동영상


Alexander Ghindin & Pavel Sorokin at the Tchaikovsky Concert Hall in Moscow (11 January 2016)

알렉산더 긴딘, 파벨 소로킨 지휘 - 2016년 1월 11일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콘서트홀 동영상

Moscow State Symphony Orchestra (MSSO) / 모스크바 스테이트 심포니 오케스트라


Boris Berezovsky & Alexander Ghindin at the Mariinsky Theater Concert Hall in St. Petersburg (4 July 2014) Part 1

Boris Berezovsky & Alexander Ghindin at the Mariinsky Theater Concert Hall in St. Petersburg (4 July 2014) Part 2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알렉산더 긴딘 - 2014년 7월 4일 마린스키 극장 듀오 리사이틀 동영상



3위 Ning An (USA) / 닝 안 (미국)

Ning A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Demi-Finale

Ning A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Concerto n.1 en mi mineur de Chopin

Ning A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Sonate en ut majeur de Haydn

Ning A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 Tears of Ludovico de Pulkkis

Ning An - 1999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nale

닝 안 - 1999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결선 동영상, 준결선 및 결선 녹음 mp3



Frederick Fennell & Eastman Wind Ensemble - Sousa 24 Favorite Marches 2004

프레더릭 페넬, 이스트만 윈드 앙상블 - 수자 24개 행진곡 모음


Frederick Fennell & Eastman-Rochester 'Pops' Orchestra - The Music of Leroy Anderson 2005

프레더릭 페넬, 이스트만-로체스터 팝스 오케스트라 - 르로이 앤더슨의 음악


Andrei Nikolsky - Prokofiev Piano Sonatas Nos. 5, 7 & 8 (1995)

안드레이 니콜스키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5, 7, 8번 mp3


Andrei Nikolsky - Rachmaninov Piano Works 1991

안드레이 니콜스키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작품집


남은 공간에는 지휘자 프레더릭 페넬과 1987년 대회 우승자를 넣었다. 교통사고로 40대에 사망해서 안타까운 피아니스트. 음반 표지 뒤에 있는 설명처럼 빛나는 녹음이 그의 이른 죽음을 슬프게 만든다. 쇼팽과 라흐마니노프 연주가 좋다는 평이 있다.


I will change files on 1-10 January 2023.

Google Drive / 2024. 04.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dilia Alieva”

프랑스의 아딜리아 알리예바 국제피아노콩쿠르는 아제르바이잔 피아니스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대회이다. 2014년까지 가야르에서 열리다가 2016년부터 안마스에서 열린다. 제3회 2002 Gaillard 비르투오시티 특별상 Ekaterina Avde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