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18년 4월 29일 일요일

Canadian Pianist - Viviana Sofronitsky


https://en.wikipedia.org/wiki/Viviana_Sofronitsky
https://ru.wikipedia.org/wiki/Софроницкая,_Вивиана_Владимировна
http://www.sofronitsky.com/en/
https://www.facebook.com/viviana.sofronitsky
https://www.allmusic.com/artist/viviana-sofronitsky-mn0001660400
http://www.respublika.cz/kultura/meropriyatiya/62164-roskoshnye-royali-naravne-s-avtomobilyami-porsche

Profile
Viviana Sofronitsky [Viviana Vladimirovna Sofronitskaya] (Russian: Вивиа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Софроницкая) is a Russian-born Canadian classical pianist. She was born in Moscow in 1960, her father was the noted Soviet-Russian pianist Vladimir Sofronitsky. She has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her father Vladimir Sofronitsky, a distinguished Russian pianist.

비비아나 소프로니츠키(비비아나 블라디미로프나 소프로니츠카야)는 러시아에서 출생한 캐나다의 클래식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 모스크바에서 출생했고, 그녀의 아버지는 유명한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이다. 그녀는 뛰어난 러시아 피아니스트였던 아버지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의 발자취를 따랐다.

She studied at the Central School of Music until 1979. She studied at the Moscow Conservatory as a pianist (Margarita Fedorova's class) and organist (class Natalia Gureeva-Vedernikova) from Semtepber 1979 to June 1989. After graduate school worked as a soloist-organist of the Belarusian Philharmonic in Polotsk. In Soviet Union, she worked as organist and harpsichordist in the ensemble of ancient music "Madrigal" led by Alexei Lubimov and the ensemble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directed by Alexei Lubimov and Tatiana Grindenko. At the same time she gave solo concerts in Moscow, Leningrad, Kiev, Minsk, Sverdlovsk, and so on.

모스크바 음악원 부속 중앙음악학교에서 음악 공부 및 1979년 졸업.
1979년 9월~1989년 6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피아노(마르가리타 페도로바 사사)와 오르간(나탈리아 구레예바-베데르니코바 사사) 공부 및 박사 학위.
졸업 후 폴로츠크에서 벨로루시 필하모닉에서 솔로이스트 겸 오르가니스트로 일했다.
소련에서 고음악 앙상블 “마드리갈”(알렉세이 루비모프 감독)과 고음악 아카데미(알렉세이 루비모프 및 타티아나 그린덴코 감독)에서 오르간 및 하프시코드 연주자로 일했다.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키예프, 민스크, 스베르들로프스크 등지에서 독주회.

In 1989, Sofronitsky moved to the United States, where she worked at the Oberlin College Conservatory of Music in Ohio. In 1990, she moved to Canada, where she pursued an active career in performance and recording in Toronto, partnered with various members of the Tafelmusik Baroque Orchestra. She was a founder and the first Artistic Director of the Academy Concert Series in Toronto. Sofronitsky has been a Canadian citizen since 1994.

1989년 도미하여 오하이오 주 오벌린 음악원에서 작업.
1990년 캐나다로 이주하여 타펠무지크 바로크 오케스트라의 여러 단원들과 함께 협연하면서 토론토에서 연주 및 녹음 활동.
토론토에서 아카데미 콘서트 시리즈의 창단자이자 초대 예술 감독.
1994년부터 캐나다 시민권자.

In 1999 she received historical performance degrees in harpsichord, fortepiano and early music teaching from the Royal Conservatory in The Hague.

1999년 헤이그 왕립 음악원에서 하프시코드, 포르테피아노, 고음악 교수법으로 시대악기 연주 학위 취득.

Since 2001 she has lived in the Czech Republic, married to fortepiano builder (a manufacturer of fortepiano replicas that Sofronitsky collects and plays) Paul McNulty, performing and recording on his highly prized instruments an expanded repertoire from C.P.E. Bach to Liszt. She is a creative director from 30 August 2001 in Prague. She moved to Divišov since September 2001.

2001년부터 체코에 거주.
그녀가 수집하고 연주하는 포르테피아노 모형 제작자 폴 맥널티와 결혼했는데, 카를 필립 에마누엘 바흐부터 리스트까지 확장된 레퍼토리를 그의 높이 평가된 악기로 연주 및 녹음.
2001년 8월 30일부터 프라하에서 광고 제작 감독.
2001년 9월 디비쇼프로 이주.

Viviana Sofronitsky and Paul McNulty in their workshop / 작업장에서의 비비아나 소프로니츠키와 폴 맥널티 부부.

Viviana is a constant participant of international music festivals: "Utrecht Oude Muziek Festival" and "Muziek Netwerk" (Netherlands), "Leipzig Bach Festival", "Klang & Raum Music Festival" Irsee (Germany), "Festival van Vlaanderen", (Belgium), Musica Antiqua Bruges, (Belgium), "Berliner Tage für Alte Music", (Germany), Bratislava Hammerklavier Festival (Slovakia), "Chopin Festival" (Poland), Tage Alter Musik Osnabruck (Germany), "Midis-Minimes" (Belgium), "Oslo Chamber Music Festival" (Norway), "Vendsyssel Festival" (Denmark), "Piano Folia Festival", Le Touquet (France), Printemps des Arts, Nantes (France)

여러 국제 음악제에 꾸준히 참가.
네덜란드 - 위트레흐트 우데 무지크 페스티발, 무지크 네트베르크
독일 - 라이프치히 바흐 페스티발, 이르제 <클랑 운트 라움 음악제>, 베를리너 타게 퓌르 알테 무지크, 타게 알터 무지크 오스나브루크
벨기에 - 플랑드르 페스티발, 무지카 안티쿠아 브뤼허, 미디스-미니메스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 함머클라비어 페스티발
폴란드 - 쇼팽 페스티벌
노르웨이 - 옹슬로 실내악 페스티벌
덴마크 - 벤시셀 페스티발
프랑스 - 피아노 폴리아 페스티발, 르 투케, 낭트 <예술의 봄>

Viviana has toured and performed all over the world with unique instruments, made her husband, Paul McNulty, on samples Stein 1788, 1792 by Walter, Graf 1819, Pleyel 1830. She performs on a two-manual harpsichord by Yves Beaupré, a Viennese fortepiano by F. Teller, and copies of fortepianos by Stein, Walter, Graf, Pleyel, and Boisselot. Her collection of top-quality new pianos includes Mozart's and Beethoven's favorites Walter and Stein, Schubert's Graf, Chopin's Pleyel and Liszt's Boisselot.

남편 폴 맥널티가 제작한 독특한 악기들(발터에 의한 슈타인 1788, 1792, 그라프 1819, 플레이엘 1840)로 전 세계 연주 여행.
이브 보프레에 의해 손수 제작된 2대의 하프시코드, F. 텔러가 제작한 비엔나 포르테피아노, 슈타인, 발터, 그라프, 플레이엘, 부아슬로에 의한 포르테피아노 복제품으로 연주.
그녀의 새로운 고품질 피아노 수집품들은 모차르트와 베토벤이 선호했던 발터와 슈타인, 슈베르트의 그라프, 쇼팽의 플레이엘, 리스트의 부아슬로를 포함한다.

Viviana Sofronitsky explores the rich, complete world of sound available to classic and romantic composers with their then-new pianos! Viviana performs with two, three, four or five pianos on stage, allowing the audience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music performed on instruments as strong and colourful as they were at the time when they inspired young classical and romantic composers to write their masterpieces. The pianos used in the performance are newly built "clones" of the favourite instruments of great composers, produced by the world's most prolific modern fortepiano maker, Paul McNulty. Her recent London Wigmore Hall performance with 5 pianos on stage was acclaimed a "revelation".

그들의 새로운 피아노로 고전파와 낭만파 작곡가들의 소리를 낼 수 있는 풍부하고 완성된 세계를 탐험한다! 비비아나는 그들이 그들의 걸작을 쓰기 위해 젊은 고전파와 낭만파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을 때 강하고 화려한 만큼 악기들로 연주되는 음악에서 청중들을 몰두하게 하면서 무대에서 2, 3, 4 또는 5대의 피아노로 연주한다. 연주에 사용되는 피아노들은 세계에서 현대 포르테피아노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제작자 폴 맥널티에 의한, 위대한 작곡가들이 선호했던 악기들의 새롭게 제작된 “복제품들”이다. 런던 위그모어 홀 무대에서 5대의 피아노와 함께 했던 연주는 “뜻밖의 일”로 환호 받았다.

She was devoted to articles in journals Audiophile Audition, to review MusicWeb International, and others. Viviana Sofronitsky gives masterclasses, lectures and she is a member of jury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has featured often in European and American broadcasts. (She stands on the radio to Germany, France, Belgium, Denmark,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오디오필 오디션>에 기사를 쓰고 <뮤직웹 인터내셔널>에 리뷰를 쓰는 일 등에 열성적이다.
마스터클래스와 강연을 가지며 국제 콩쿠르들에서 심사위원 역임.
종종 유럽과 미국(독일, 프랑스, 벨기에, 덴마크, 미국, 캐나다)의 방송국들에서 연주.

Viviana Sofronitsky has recorded with "AVI", "ETCetera", "Centaur", "Suoni e colori", "Globe", "Pro Musica Camerata" (11CD of complete Mozart concertos) and "Passacaille" labels.

AVI, ET체테라, 켄타우르, 수오니 에 콜로리, 글로브, 프로 무지카 카메라타(모차르트 협주곡 전곡), 파사카유 레이블에서 음반 발매.

She performed at leading concert halls including Wigmore Hall in London and Triphony Sumida Hall in Japan and others.

런던 위그모어 홀, 일본 트리포니 스미다 홀 등을 포함한 주요 콘서트홀들에서 연주.

Awards
1999 - Bach Tage Berlin Competition in Germany 1st prize and a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 독일 베를린 바흐의 날들 콩쿠르 1위 및 최우수 연주 특별상
1999 - Musica Antiqua Competition at the Festival van Vlaanderen in Brugge, Belgium / 벨기에 브뤼허 플랑드르 페스티벌 무지카 안티쿠아 콩쿠르 1위

Her Favorite Phrases / 좋아하는 문구들
"I think that instruments from every period have effects and colors that cannot be reproduced on today's pianos - that compositions were always conceived with the instruments of their time in mind and only on those can they achieve their full effect; played on today's instrument they sound at a disadvantage (unvorteilhaft)." Anton Rubinstein 1892.

“나는 모든 시대악기가 오늘날의 피아노들이 복제할 수 없는 효과들과 색깔들이 있다고 생각한다. - 그 작품들은 항상 마음속에 그들의 시대악기와 함께 상상되고, 불리한 점에서 그들이 소리 내는 오늘날의 악기에서 연주되는 그것들의 가득 찬 효과에서만 달성될 수 있다.” - 1892년 안톤 루빈스타인.

I think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Anton Rubinstein, like Brahms and Liszt, knew all kinds of piano right from his youth - Arthur Rubinstein would not have been able to make such a statement, having played nothing but Steinways and Bechsteins his whole life. (Malcolm Bilson)

나는 브람스와 리스트처럼 안톤 루빈스타인이 젊었을 때 모든 종류의 피아노를 바로 알았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안톤 루빈스타인은 그의 삶 전체에서 스타인웨이와 베흐슈타인만 연주하면서 그러한 상태를 만들 수 없었을 것이다. (맬컴 빌슨)





비비아나 소프로니츠키는 프라하에서 포르쉐 자동차 모델이기도 했다.

2018년 4월 27일 금요일

Russian Pianist - Vladimir Sofronitsky


https://en.wikipedia.org/wiki/Vladimir_Sofronitsky
https://ru.wikipedia.org/wiki/%D0%A1%D0%BE%D1%84%D1%80%D0%BE%D0%BD%D0%B8%D1%86%D0%BA%D0%B8%D0%B9,_%D0%92%D0%BB%D0%B0%D0%B4%D0%B8%D0%BC%D0%B8%D1%80_%D0%92%D0%BB%D0%B0%D0%B4%D0%B8%D0%BC%D0%B8%D1%80%D0%BE%D0%B2%D0%B8%D1%87
https://vk.com/pages?oid=-38222429&p=%D0%A1%D0%BE%D1%84%D1%80%D0%BE%D0%BD%D0%B8%D1%86%D0%BA%D0%B8%D0%B9_%D0%92%D0%BB%D0%B0%D0%B4%D0%B8%D0%BC%D0%B8%D1%80_%D0%92%D0%BB%D0%B0%D0%B4%D0%B8%D0%BC%D0%B8%D1%80%D0%BE%D0%B2%D0%B8%D1%87
http://mosconcert.com/calendar/851.html
http://www.allmusic.com/artist/vladimir-sofronitsky-mn0001725151
http://www.sofronitsky.ru/en/
http://www.naxos.com/person/Vladimir_Sofronitsky/43886.htm
http://www.bach-cantatas.com/Bio/Sofronitsky-Vladimir.htm
http://www.mosconsv.ru/ru/person.aspx?id=130953
http://pianist.web2020.co.kr/bbs/articles/408

Biography
Vladimir Vladimirovich Sofronitsky (or Sofronitzky, 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Софрони́цкий, Vladimir Sofronitskij) was born on 8 May [O.S. April 25] 1901 in St. Petersburg. His father Vladimir N. Sofronitsky (1869-1942) was a professor of mathematics and physics of the Smolny Institute for Noble Maidens. His mother was a great-niece of the famous portrait painter Vladimir Borovikovsky (1875-1935) and granddaughter of the poet L. I. Borovikovsky and daughter of a lawyer and poet A. Borovikovsky. Sofronitsky and his twin sister Vera were the youngest of six children.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소프로니츠키는 1901년 5월 8일(러시아 구력으로는 4월 25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블라디미르 N. 소프로니츠키(1869~1942)는 스몰니 노블 메이든스 기관의 수학과 물리학 교수였다. 어머니는 유명한 초상화가 블라디미르 보로비코프스키(1875~1935)의 조카딸이자 시인 L. I. 보로비코프스키의 손녀였으며 변호사이자 시인이었던 A. 보로비코프스키의 딸이었다. 소프로니츠키와 그의 쌍둥이 누이 베라는 6남매 중에서 가장 어렸다.

In 1903, his family moved to Warsaw, where he started piano lessons with Anna Lebedeva-Getcevich (a student of Nikolai Rubinstein) from 1908. Nine-year-old Vladimir made his debut in Warsaw at one of the concerts showcasing Lebedeva-Getsevich's pupils in 1910. As a youth, Sofronitsky was noticed by the director of the St. Petersburg Conservatory, Alexander Glazunov, who sent him to study with Polish pianist Aleksander Michałowski.

1903년 그의 가족은 바르샤바로 이주했고, 1908년부터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제자인) 안나 레베데바-게체비치와 함께 피아노 레슨을 시작했다. 9세의 블라디미르는 1910년 바르샤바에서 레베데바-게체비치의 제자 연주회 중 하나로 데뷔했다. 어릴 때 소프로니츠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장 알렉산더 글라주노프에 의해 주목받았고, 글라주노프는 소프로니츠키를 폴란드 피아니스트 알렉산데르 미하워프스키에게 보냈다.

When Sofronitsky's family returned to St Petersburg in September 1913 he continued to study with Michałowski by commuting to Warsaw every month until the outbreak of World War I. He then studied for a year with Leonid Shchedrin before entering the Petrograd (now St. Petersburg) Conservatory in 1915.

소프로니츠키의 가족이 1913년 9월에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왔을 때 그는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때까지 매달 바르샤바에서 미하워프스키에게 계속 배웠다. 그는 이후 페트로그라드(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기 전인 1915년에 레오니드 셰드린에게 1년 동안 배웠다.

Vladimir Sofronitsky in 1914 / 1914년의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From 1916 to 1921, Sofronitsky studied in the Petrograd (now St. Petersburg) Conservatory under Leonid Nikolayev, where Dmitri Shostakovich, Maria Yudina, and Elena Scriabina, the eldest daughter of the deceased Alexander Scriabin, were among his classmates. Maria Yudina would report that he was already playing with remarkable interpretive insight and virtuosic skills. Sofronitsky also took classes in composition at the conservatory from Maximilian Steinberg, a pupil of Rimsky-Korsakov. He was best known as an interpreter of the Russian composer Alexander Scriabin, whose daughter he married. He met Elena Alexandrovna Skryabina (1900-1990), the eldest daughter of the composer Alexander Scriabin in 1917 and married her in 1920. While he had already divulged a sympathy for the piano music of the recently deceased mystic composer - as attested by Yudina - he now had a greater intellectual and emotional connection to Scriabin's works through his wife and through the Scriabin in-laws. Sofronitsky was also acclaimed as an outstanding pianist by the composer Alexander Glazunov and the musicologist and critic Alexander Ossovsky. His performances were highly esteemed by Heinrich Neuhaus, Vladimir Horowitz and Egon Petri, as well as by former classmates Maria Yudina and Dmitry Shostakovich. His other pupils at the Conservatory at this time included Vladimir Horowitz and Simon Barere, with whom Sofronitsky played two-piano recitals.

1916~1921년 소프로니츠키는 페트로그라드(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레오니드 니콜라예프를 사사했다. 페트로그라드 음악원에서 그의 급우들 중에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마리아 유디나, 엘레나 스크리아비나(고인이 된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의 장녀)가 있었다. 마리아 유디나는 그가 이미 놀라운 연주의 통찰력과 거장적인 기교로 연주하고 있었다고 보고하곤 했다. 소프로니츠키는 음악원에서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제자였던) 막시밀리안 스타인베르크로부터 작곡 수업을 듣기도 했다. 그는 러시아 작곡가 스크리아빈의 해석자이자 스크리아빈의 딸과 결혼한 것으로 유명했다. 그는 1917년에 스크리아빈의 맏딸 엘레나 알렉산드로프나 스크리아비나(1900~1990)를 만났고 1920년에 결혼했다. 그가 이미 최근에 고인이 된 신비주의 작곡가의 피아노 음악에 대한 동정을 언급한 동안 - 유디나에 의한 증언으로서 - 그는 현재 스크리아빈의 딸과 장인 스크리아빈을 통하여 스크리아빈의 작품들에 대해서 더 지적이고 감정적인 관계를 가졌다. 소프로니츠키는 작곡가 알렉산더 글라주노프와 음악학자 겸 비평가인 알렉산더 오소프스키에 의해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찬사 받았다. 그의 연주들은 이전의 급우들이었던 마리아 유디나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뿐만 아니라 겐리흐 네이가우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에곤 페트리에 의해 높이 평가받았다. 당시에 소프로니츠키와 같은 음악원을 다녔던 다른 사람들로는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와 (소프로니츠키와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리사이틀을 가졌던) 시몬 바레레가 있었다.

Although he had played in public in Warsaw as a child, Sofronitsky began his adult concert career in 1919 (He gave the first solo concert in St. Petersburg Music School No. 6 on 26 May 1919.) whilst still a student and the following year married class-mate Elena Scriabina, the daughter of Alexander Scriabin. A son was born a year later, to whom Glazunov became godfather. In the year of his marriage, Sofronitsky gave his first recital solely of the music of Alexander Scriabin to commemorate the fifth anniversary of the composer's death and played his Piano Concerto at his graduation concert. In 1922 Sofronitsky played the piano part in a performance of Scriabin's Prometheus conducted by Nikolai Malko. He gave the first solo concert in the Great Hall of the Petrograd Philharmonic on 24 May 1922.

그는 어린 시절 바르샤바에서 대중 앞에서 연주했지만 1919년에 성인으로서의 연주 경력을 시작했다. (1919년 5월 26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제6음악학교에서 첫 독주회를 가졌다.) 1920년에는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의 딸인 학교 동기 엘레나 스크리아비나와 결혼했다. 1921년에는 아들이 태어났고, 글라주노프가 아들의 대부가 되었다. 결혼 생활 동안 소프로니츠키는 작곡가 타계 5주기를 추모하기 위해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의 음악으로만 리사이틀에서 연주했고 졸업 연주회에서 스크리아빈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했다. 1922년 소프로니츠키는 니콜라이 말코의 지휘로 스크리아빈의 <프로메테우스>의 피아노 파트를 연주했다. 1022년 5월 24일에는 페트로그라드 필하모닉 대강당에서 첫 독주회를 가졌다.

Vladimir Sofronitsky in 1928, painted by Emil Wiesel /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1928년 에밀 비젤 그림.

Sofronitsky graduated from the conservatory in 1921, giving, among other works in his recital, a performance of the Liszt Sonata in B minor, which much of the faculty and student body found both thrilling and thought-provoking. Throughout most of the 1920s, Sofronitsky built up a brilliant career as a concert pianist in Russia. His first tour abroad came on 8 March 1928 and after playing in Paris, he decided to stay on. In the end, he remained two years, then returned to his Leningrad. Sofronitsky joined the faculty at the Leningrad Conservatory in 1936 and remained there until the Nazis' infamous siege of the city. In June 1938 he received the scientific degree of Doctor of Music. He escaped by plane to Moscow in 1942 and immediately began teaching at the conservatory there. He gave many performances at the Scriabin Museum in Moscow, especially during the latter part of his career. He gradually developed alcohol and drug addictions, and in his last years his pianistic skills declined noticeably.

소프로니츠키는 그의 졸업 연주회에서 리스트 소나타 외에 다른 작품들을 연주하면서 1921년 음악원을 졸업했는데, 교수진과 학생 대다수는 모두 황홀해했고 진지하게 생각했다. 1920년대에 걸쳐 소프로니츠키는 러시아에서 콘서트 피아니스트로서 화려한 경력을 착수했다. 그의 첫 해외 투어는 1928년 3월 8일부터였고, 이후에도 파리에서 연주하면서 머물기로 결정했다. 결국 그는 2년 동안 머물렀고, 이후 레닌그라드로 돌아왔다. 소프로니츠키는 1936년 레닌그라드 음악원 교수가 되었고 나치의 악명 높은 도시 공격이 발생할 때까지 거기에 남았다. 1938년 6월에 그는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42년에 비행기로 모스크바로 탈출했고 거기에 있는 음악원에서 곧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는 모스크바의 스크리아빈 박물관에서, 특히 그의 경력의 후반부 동안 많은 연주를 가졌다. 그는 점점 알코올과 약물 중독이 되었고, 말년에 그의 피아니스틱한 기교들은 눈에 띄게 쇠퇴했다.

During the 1920s Sofronitsky gave a large number of concerts in Russia, and in 1928 he and his wife visited Warsaw on their way to Paris where they spent two years, becoming friendly with Sergei Prokofiev and Nikolai Medtner. In Warsaw, Sofronitsky gave a concert and met with his teacher Aleksander Michałowski, then moved to Paris, attending concerts of Rachmaninov, Feodor Chaliapin, Ignacy Jan Paderewski, Walter Gieseking and others.

1920년대 동안 소프로니츠키는 러시아에서 많은 콘서트를 가졌고, 1928년 그와 그의 아내는 파리로 가는 도중에 바르샤바를 방문했다. 그들은 파리에서 2년 동안 보냈고,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와 니콜라이 메트너와 가까워졌다. 바르샤바에서 소프로니츠키는 콘서트를 가졌고 그의 스승 알렉산데르 미하워프스키를 만났고 파리로 이동했는데, 파리에서 가졌던 콘서트에는 라흐마니노프, 오페라 가수 표도르 샬리아핀, 이그나치 얀 파데레프스키, 피아니스트 발터 기제킹 등이 참석했다.

Sofronitsky returned to Leningrad on 27 January 1930 but had by now separated from his wife. The following years were spent broadening his already wide repertoire considerably. Sofronitsky's name would forever be linked with Scriabin, but he was now playing the Viennese classics, Baroque music, works by Schumann and music of the composers he had met in France. He only appeared in the West on one occasion, when he was suddenly put on an airplane and sent by Stalin to play at the Potsdam conference in 1945.

소프로니츠키는 1930년 1월 27일 레닌그라드로 돌아왔지만 그의 아내와 떨어졌다. 1931년에는 그의 이미 폭넓은 레퍼토리를 상당히 넓히는 데에 소비했다. 소프로니츠키의 이름은 스크리아빈과 함께 영원히 연결될 것이었지만, 그는 비엔나 클래식, 바로크 음악, 슈만의 작품들, 프랑스에서 그가 만났던 작곡가들의 음악을 연주하고 있었다. 그가 서방에 유일하게 등장한 적이 딱 한 번 있었는데, 1945년 포츠담 회담에서의 연주를 위해 스탈린에 의해 급히 비행기에 태워 보내졌다.

Vladimir Sofronitsky at the piano, painted by Pyotr Konchalovsky 1932 / 피아노 앞의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1932년 표트르 콘찰로프스키 그림.

In the 1937–1938 season Sofronitsky gave a series of twelve recitals encompassing the history of keyboard music from Buxtehude to Shostakovich. Nothing had been heard like it in Russia since the great days of Anton Rubinstein's famous Historic Recitals.  In 1939 he became a Professor at the Leningrad Conservatory. At the beginning of the Second World War he was trapped in Leningrad in autumn 1941, where on 12 December 1941 he played a concert at the hall of the Pushkin Theater at -3C, wearing gloves with the fingers cut off: "But how I played!" He recalled. In April 1942 he was evacuated via the "Air Bridge" from starving Leningrad, and brought to Moscow where he lived with his estranged wife and children.

1937~1938 시즌에 소프로니츠키는 북스테후데부터 쇼스타코비치까지 건반 음악사를 망라하는 12회의 리사이틀 시리즈를 가졌다. 안톤 루빈스타인의 유명한 <역사적인 리사이틀>의 중요한 날들 이후로 러시아에서 그와 같은 연주는 없었다. 1939년 그는 레닌그라드 음악원 교수가 되었다. 2차 세계대전이 시작했을 때 1941년 가을에 그는 레닌그라드에 갇혔고, 1941년 12월 12일 손가락이 잘린 장갑을 끼고 영하 3도의 날씨에 푸쉬킨 극장에서 콘서트를 가졌다. - “그러나 나는 연주했다!”고 그는 회상했다. 1942년 4월 그는 굶주리는 레닌그라드로부터 <에어 브리지>를 경유하여 대피했고 모스크바에 도착했으며, 그의 별거 중이었던 아내와 아이들과 함께 살았다.

In November 1942 he became a professor at the Moscow conservatory, where he met and later married his student, Valentina Duschinova (Sofronitsky). He played concerts mostly in Moscow, and, after the war, in Leningrad, becoming widely regarded as the best pianist in Russia. In 1949 he gave five recitals of Chopin's works on consecutive nights in the Great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ry to mark the centenary year of the Polish composer's death. In 1953, to mark the 125th centenary of Schubert's death, Sofronitsky gave a recital devoted to the Viennese composer's works. Sofronitsky was a highly inspired performer, and each of his performances was regarded as a unique event. His performances at the time were called the fans of his art differently: "musical hypnosis", "poetic nirvana", "spiritual liturgy." He hated recordings and regarded them as "my corpses", nevertheless his live recordings give a sense of his astonishing musical power.

1942년 11월,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가 되었고 나중에 결혼하게 되는 그의 제자 발렌티나 두쉬노바 (소프로니츠키)를 만났다. 그는 모스크바에서 대부분 콘서트를 가졌고, 전쟁 이후 레닌그라드에서 러시아 최고의 피아니스트로 널리 알려졌다. 1949년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 대강당에서 폴란드 작곡가 타계 100주기를 기념하기 위해 모스크바 음악원 대강당에서 연이어 5회의 쇼팽 리사이틀을 가졌다. 1953년에는 슈베르트 타계 125주기를 기념하기 위해 비엔나 작곡가의 작품으로 헌정된 리사이틀을 가졌다. 소프로니츠키는 매우 탁월한 연주자였고, 그의 연주들은 각각 독특한 이벤트로 간주되었다. 당시 그의 연주들은 그의 팬들로부터 “음악적인 최면 상태”, “시적인 해탈”, “성스러운 예배식” 등 다양하게 불렸다. 그는 녹음을 싫어했고 그것들을 “나의 시체들”로 여겼지만, 그럼에도 그의 실황 녹음들은 그의 깜짝 놀랄 만한 음악적인 힘의 감각을 느끼게 한다.

A solitary figure, Vladimir Sofronitsky hated teaching at the Moscow Conservatory and rarely became close to his associates. He lived in a private world of music and avoided intrigues. Simple and sensitive as a child, he spent a secluded life among his closest friends. Audiences at his concerts would often perceive some kind of revelation or magic in his performances, particularly in the music of Scriabin. He was undoubtedly one of the greatest of Russian pianists, and it was only his inability to perform in the West and his death at a comparatively early age that prevented his name gaining the recognition it deserved. Despite his attitude of non-participation - and thus only for his music performances - he was awarded the highest decoration in Russia: The Order of Lenin on 28 December 1946.

고독한 인물 소프로니츠키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가르치는 것을 싫어했고 그의 동료들과 거의 가깝지 않게 되었다. 소프로니츠키는 개인적인 음악 세계에 빠져 살았고 관심을 피했다. 그는 그의 가까운 친구들 사이에서 남들과 거의 접촉을 하지 않는 단순하고 예민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의 콘서트에서 청중들은 종종 그의 연주, 특히 스크리아빈의 음악에서 발현 또는 마법의 일종을 목격했다. 그는 의심의 여지없이 러시아의 위대한 피아니스트들 중의 한 명이고, 서방에서 연주하는 것이 불가능했을 뿐이며, 마땅히 인정받는 것을 방해한 것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사망한 것이었다. 그의 무관심한 태도에도 불구하고 - 그렇게 그의 음악 연주들에 대해서 유일했지만 - 그는 1946년 12월 28일 러시아에서 최고 훈장인 레닌 훈장을 받았다.

Sofronitsky led an active concert life until his last years. His last year of concert activity was 1960. His final performance took place on January 9, 1961, in the Small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ry. He died from cancer on 29 August 1961. He was buried at the Novodevichy cemetery (plot number 8) in Moscow on 31 August 1961. He had children from his first marriage - Alexander (born in 1921) and Roxana (born in 1937), the second - Viviana (born in 1960).

소프로니츠키는 그의 말년까지 활발한 연주 인생을 보냈다. 그의 마지막 연주 활동은 1960년이었다. 그의 마지막 연주는 1961년 1월 9일로, 모스크바 음악원 소강당에서였다. 그는 1961년 8월 26일 모스크바에서 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1961년 8월 31일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묘지 8번 자리에 묻혔다. 유족으로는 첫 번째 아내에게서 태어난 알렉산더(1921년생)과 록사나(1937년생), 두 번째 아내에게서 태어난 비비아나(1960년생)가 있었다.

His daughter (through his second wife) is the Canadian classical pianist Viviana Sofronitsky. / (두 번째 아내 사이에서 태어난) 그의 딸은 캐나다의 클래식 피아니스트 비비아나 소프로니츠키이다.

Sofronitsky's health had deteriorated as a result of a heart condition and the privations he had experienced during World War II. In 1954 he gave his last performance in Leningrad and the following year his last in the Great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ry. During the last few years of his life Sofronitsky gave concerts in the more intimate surroundings of the Scriabin Museum and Small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ry. During 1957 he was too ill to perform, but was back on stage the following year; however 1959 saw him bed-ridden again and cancer was diagnosed. Knowing that time was short for him, Sofronitsky played nine recitals in ten weeks from October to December 1959. It is often reported that in his final years Sofronitsky became addicted to drugs and alcohol, but little or no evidence has been supplied to support this. He was only sixty when he died.

소프로니츠키의 건강은 2차 세계대전 동안 경험했던 심장 질환과 궁핍함으로 인해 악화되었다. 1954년 레닌그라드에서 그의 마지막으로 연주했고 1955년 모스크바 음악원 대강당에서 마지막으로 연주했다. 인생의 말년에 소프로니츠키는 스크리아빈 박물관과 모스크바 음악원 소강당의 더 친숙한 환경에서 콘서트를 가졌다. 1957년 동안 그는 너무 아파서 연주할 수 없었지만, 1958년 무대로 복귀했다. - 그러나 1959년 다시 침대에 몸져누웠고 암이 진단되었다. 그 시기가 그에게 짧다는 것을 알면서, 소프로니츠키는 1959년 10월~12월에 10주 동안 9회의 리사이틀을 가졌다. 소프로니츠키가 말년에 약물과 알코올 중독이 되었다고 종종 보고되었지만, 이것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 증거가 적거나 없다. 그는 불과 60세에 사망했다.

Sofronitsky made a fair number of recordings in the last two decades of his life, but a relatively small number overall compared with the titanic efforts of his younger countrymen Sviatoslav Richter and Emil Gilels. Drawn principally to Romantic repertoire, Sofronitsky recorded a large number of Scriabin works and also compositions by Beethoven, Schubert, Chopin, Schumann, Liszt, Lyadov, Rachmaninoff, Medtner, Prokofiev, and others.

소프로니츠키는 그의 인생의 마지막 20년 동안 상당수의 녹음을 남겼지만, 그보다 더 어린, 같은 나라 사람들인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와 에밀 길렐스의 엄청난 성과들과 비교해서 전체적으로 소수이다. 낭만파 레퍼토리가 주를 이루는 그는 스크리아빈의 작품들을 많이 녹음했고 베토벤, 슈베르트, 쇼팽, 슈만, 리스트, 리아도프, 라흐마니노프, 메트너, 프로코피에프 등의 작품들도 녹음했다.

Repertoire
Having met Scriabin's daughter only after her father's death, Sofronitsky never met the composer. Nevertheless, his wife vouched that the pianist was the most authentic interpreter of her late father's works. The other composer with whom Sofronitsky had the greatest affinity is Frédéric Chopin. He once told an interviewer: "A love for Chopin has followed me through the course of my entire life." Beyond Chopin and Scriabin, Sofronitsky had a wide repertoire spanning major composers from Johann Sebastian Bach to Nikolai Medtner and reaching as far as the works of Boris Goltz (1913–1942), with a focus on 19th-century Romantic composers and early 20th-century Russians.

스크리아빈의 사후에 스크리아빈의 딸과 만남을 가졌지만, 소프로니츠키는 작곡가를 결코 만난 적이 없었다. 그럼에도, 그의 아내는 이 피아니스트가 그녀의 작고한 아버지의 작품들의 가장 믿음직한 해석자라고 인정했다. 소프로니츠키가 가장 좋아했던 다른 작곡가는 쇼팽이다. 그는 인터뷰 진행자에게 한 번 말한 적이 있었다. “쇼팽에 대한 사랑은 제 전체 인생의 과정을 통하여 저를 따라왔습니다.” 쇼팽과 스크리아빈을 넘어, 소프로니츠키는 19세기 낭만파 작곡가들과 20세기 초 러시아 작곡가들에 대한 집중과 함께, 보리스 골츠(1913~1942)의 작품들만큼 먼 것에 도달하면서 바흐부터 메트너까지 주요 작곡가들의 레퍼토리까지 뻗어있었다.

Recognition and recordings / 인정과 녹음들
Sofronitsky was held in the highest esteem by his colleagues, including Sviatoslav Richter, Emil Gilels and Heinrich Neuhaus. He was a friend of Prokofiev and Shostakovich,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upon many Russian musicians, from Vladimir Horowitz to Evgeny Kissin.

소프로니츠키는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에밀 길렐스, 겐리흐 네이가우스를 포함한 그의 동료들로부터 높이 평가받았다. 그는 프로코피에프와 쇼스타코비치의 친구였고, 블라디미르 호로비츠부터 에프게니 키신까지 많은 러시아 음악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Although little known in the West, never having toured or recorded there, Sofronitsky was held in the highest regard in his native land. Sviatoslav Richter and Emil Gilels looked up to Sofronitsky as their master, and famously, when Sofronitsky once drunkenly proclaimed that Richter was a genius, in return Richter toasted him and proclaimed him a god. Upon hearing of Sofronitsky's death, Gilels was reputed to have said that "the greatest pianist in the world has died."

투어나 녹음을 가지지 않았던 서방에 덜 알려져 있었지만, 소프로니츠키는 그의 조국에서는 높이 여겨졌다.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와 에밀 길렐스는 소프로니츠키를 그들의 참된 스승으로 추앙했고, 유명한 일화로 소프로니츠키가 취해서 리히터가 천재라고 외쳤더니 답례로 리히터가 그에게 건배를 했고, 그를 신이라고 추앙했다. 소프로니츠키의 부고에 대한 소식을 듣고, 길렐스는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가 사망했다”고 평가했다.

Sofronitsky's recordings have not been issued systematically in the West. One noteworthy release, in BMG's "Russian Piano School" series, contains a complete concert, including a mercurial and highly praised account of Schumann's Piano Sonata No. 1, Op. 11. His issue in Philips' Great Pian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features Chopin mazurkas and waltzes on the first CD and some of his legendary Scriabin on the second, including the 2nd (first movement), 3rd, 4th, and 9th sonatas and a performance of Vers la flamme. Denon Classics' (Japan) Vladimir Sofronitsky Edition is a series of 15 CDs, ten of which remain in print. Other Sofronitsky recordings have been issued by such labels as Arkadia, Arlecchino, Chant du Monde, Multisonic, Urania, and, most notably, Vista Vera, which has released seventeen volumes of Sofronitsky recordings as of April, 2010.

소프로니츠키의 녹음들은 서방에서는 체계적으로 출반되지 않았다. 주목할 만한 발매 음반인, BMG 레이블의 <러시안 피아노 스쿨> 시리즈는 변덕스럽고 극찬 받은 슈만 피아노 소나타 1번 연주를 포함하여 모든 콘서트를 수록한다. 그의 필립스 레이블 <20세기의 위대한 피아니스트들> 시리즈는 첫 CD에서 쇼팽 마주르카와 왈츠, 두 번째 CD에서는 그의 전설적인 스크리아빈 소나타 2번 1악장, 3번 소나타, 4번 소나타, 9번 소나타, <불꽃을 향하여>를 포함한다. 일본 데논 클래식스 레이블의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에디션은 15장 시리즈이고 인쇄된 것이 10부가 남아 있다. 다른 녹음들은 아르카디아, 아를레키노, 샹 뒤 몽드, 멀티소닉, 우라니아, 비스타 베라(2010년 4월 17개의 볼륨 발매) 레이블에서 나왔다.

He was awarded a Stalin Prize of the first class for a concert and performing activities on 19 March 1943 and proclaimed an Honoured Artist of the RSFSR in 1942.

콘서트와 연주 활동으로 1943년 3월 19일 스탈린 1급 훈장 수상 및 1942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공훈예술가.

Vladimir Sofronitsky was among the greatest Russian pian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while he had become a somewhat less prominent figure following his death, he must be still considered in the company of Richter, Gilels, and Yudina. In his time, Sofronitsky became widely recognized as the leading interpreter of and authority on the music of Scriabin in Eastern Europe. He was also highly praised for his interpretations of the piano works of Robert Schumann and he was a highly respected teacher.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는 20세기의 위대한 러시아 피아니스트들 중의 한 명이다. 반면에 그는 사후에 덜 저명한 인물이 되었지만, 그는 여전히 리히터, 길렐스, 유디나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소프로니츠키가 살아있을 당시에 동유럽에서 스크리아빈 음악의 뛰어난 해석자이자 권위자로 널리 인정받았다. 그는 슈만 작품 연주로도 극찬 받았고 높이 존경받는 교육자였다.

Sofronitsky made a fair number of recordings in the last two decades of his life, but a relatively paltry number compared with the efforts of Richter and Gilels. Not surprisingly, Sofronitsky recorded a large number of Scriabin works and also compositions by Chopin, Rachmaninov, Schumann, Prokofiev, and others. His recorded performances from the 1940s are generally more representative than those from the last decade.

소프로니츠키는 그의 인생 후반 20년 동안 상당수의 녹음들을 남겼지만, 리히터와 길렐스의 성과와 비교해서 얼마 안 된다. 놀랄 것도 없이, 소프로니츠키는 스크리아빈의 많은 작품들을 녹음했고 쇼팽, 라흐마니노프, 슈만, 프로코피에프 등의 작품들도 녹음했다. 그의 1940년대 연주 녹음들은 일반적으로 마지막 10년의 녹음들보다 더 대표적이다.

In his time Sofronitsky was considered to be the greatest pianist in Russia, a "living legend". Every Sofronitsky recital was a spiritual event for the public. He was a true poet of the piano, full of improvisatory spirit and inspiration. He had an all-encompassing technique and his playing embodied a wide range of colors and textures, but these things could be said about many first rate pianists. When at his best Sofronitsky's music making seemed to transcend the bounds of normal expression and enter a new realm in which his every emotion would project from within the music and onto his audience. It is this indefinable spirituality of his playing that sets him apart.

소프로니츠키가 살아있을 때 러시아에서 위대한 피아니스트, “살아있는 전설”로 여겨졌다. 소프로니츠키의 모든 리사이틀은 대중에게 성스러운 이벤트였다. 그는 즉흥적인 영혼과 영감으로 가득 찬 피아노의 진정한 시인이었다. 그는 모두를 아우르는 테크닉을 가졌고 그의 연주는 폭넓은 색깔들과 구조들을 표현했지만, 이러한 것들은 많은 일류 피아니스트들에 대해서 말해질 수 있었다. 소프로니츠키가 음악 만들기에 최선을 다할 때는 정상적인 표현의 선을 초월하고 그의 음악과 그의 청중으로부터 구상하는 그의 모든 감정에 있는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것 같았다. 이것은 그를 돋보이게 만드는 그의 연주의 정의하기 힘든 정신적인 것이다.

Sofronistky made his first commercial recordings in June 1937, but most of his recordings from the 1950s and 1960s come from live performances. As he never performed or recorded outside Russia after his tour in France in 1929, Vladimir Sofronitsky's art remained unknown to the Western public until recent years, when some of his recordings started to appear. Unfortunately, his recordings have not been issued systematically in the West.

소프로니츠키는 1937년 6월 첫 상업 녹음을 했지만, 1950년대와 1960년대 녹음의 대부분은 실황이다. 1929년 프랑스 투어 이후 그가 러시아 외부에서 연주하거나 녹음한 적이 없었던 것처럼,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의 예술은 그의 녹음 중 일부가 나타날 때까지 서방의 대중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다. 불행하게도 그의 녹음들은 서방에서 체계적으로 출반되지 않았다.

Interesting facts / 흥미로운 사실들
Sofronitsky was also known as the author of palindromes - phrases-shifters that can be read the same way at the end and the beginning. Some of his findings: "Do not send Chopin", "A Leaf - force", "Hill", thin it, but the spirit of lih", "David, go to hell!", "He's in hell for a long time", "Lesch on the shelf bug found", "he sang about Kiel great", "Argentina beckons Negro", "great is Anna like a lion", "But the invisible angel, frost pattern went to the temple, and Wondrous is he", "great Oborin, he was shy and Leo", and many others.

소프로니츠키는 또한 회문(回文: madam이나 nurses run처럼 앞에서부터 읽으나 뒤에서부터 읽으나 동일한 단어나 구)의 저자로도 유명했다. (러시아어를 번역한 것이라서 예는 생략)


2000년 7월 27일 (목) KBS FM 이미선의 가정음악 - 음악원고 <전설 속의 피아니스트 1>
스크리아빈의 연주의 최고 권위자를 들라면 그 누구보다도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를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는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알렉산더 골덴바이저나 겐리크 네이가우스. 그리고 얼마 전 타계한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와 에밀 길렐스의 사이를 잇는 중간세대의 피아니스트로, 마리아 유디나, 그리고 사무일 파인베르그(Feinberg)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피아니스트였지요.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는 주로 활동했던 시기가 러시아에서는 가장 탄압이 심했던 스탈린 체제하였기 때문에 서방세계에는 비교적 덜 알려진 피아니스트이지만 그의 음악이 지닌 가치는 이런 모든 제약을 넘어설 만큼 훌륭한 것이었습니다.

1901년 5월 8일 러시아의 상트 페쩨르부르그에서 물리학자인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소프로니츠키는 그의 가족이 1903년 폴란드 바르샤바로 이주하는 바람에 최초의 피아노 교육을 폴란드의 피아니스트 레베데바-게체비치에게서 받게 됩니다. 이때부터 소프로니츠키는 상트 페쩨르부르그 음악원의 교장을 지내고 있던 작곡가 글라주노프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는데, 글라주노프는 그를 곧 폴란드의 명 피아니스트이자 쇼팽의 해석가로 유명한 알렉산더 미하일로프스키에게 보내어 그에게서 피아노 수업을 받게 하지요. 1913년 다시 상트 페쩨르부르그로 이사한 소프로니츠키는 레오니드 니콜라예프와 막시밀리안 스타인베르그 문하에서 수업을 마치게 됩니다.

1920년에 스크리아빈의 서거 5주년을 기념해서 스크리아빈의 작품만으로 최초의 리사이틀을 개최했고, 졸업 연주 때에도 스크리아빈의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했고, 또 독주 피아노 파트가 난해하기로 유명한 스크리아빈의 “불의 시(프로메테우스)”를 니콜라이 말코의 지휘로 협연하여 잊지 못할 연주를 들려주었던 것도 바로 그 시절이었습니다. 1921년 소프로니츠키는 마리아 유디나와 공동으로 안톤 루빈슈타인 상을 수상하며 졸업을 하는데, 당시 모스크바에서 그는 이미 널리 알려진 피아니스트가 되어 버렸지요.

“참된 예술은 일곱 겹으로 된 갑옷으로 억제된, 붉게 끓어오르는 용암과도 같은 것이다”라는 그의 표현처럼, 그의 연주는 낭만적이고 음악적 영감이 풍부하면서도 또 빈틈이 없고 정확하지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쓸데없는 과장이나 진부함이 전혀 없어 정확하면서도 자연스럽습니다.

2000년 7월 28일 (금) KBS FM 이미선의 가정음악 음악원고 <전설 속의 피아니스트 2>
러시아 전역을 돌며 정열적인 연주회를 개최하고 글라주노프, 라흐마니노프, 샬리아핀, 코르토, 네이가우스, 니콜라이 메트너, 프로코피에프와 교분을 쌓기 시작한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는 1930년 상트 페쩨르부르그로 돌아옵니다.

상트 페쩨르부르그로 돌아온 소프로니츠키는 독일과 빈의 거장들의 작품은 물론이고, 이탈리아의 바로크 작곡가인 스카를라티로부터, 프랑스의 현대 작곡가인 프란시스 풀랑크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작품들을 그의 연주 레퍼토리로 삼게 됩니다. 1937년부터 1938년 사이 그가 개최했던 열 두 번의 전설적인 연주회에서는 북스테후데에서부터 쇼스타코비치에 이르는 넓은 레퍼토리를 포함하고 있었지요.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소프로니츠키는 상트 페쩨르부르그 음악원에서 교편을 잡고 연주활동도 활발히 하게 됩니다. 하지만 1941년 상트 페쩨르부르그가 독일군에게 포위되면서 그의 연주활동은 크게 위축됩니다. 그는 그 시절의 연주회를 이렇게 회상하지요.

“푸쉬킨 극장의 연주회장은 실내온도가 영하 3도까지 떨어져 있었고, 모든 청중은 두꺼운 털코트를 입고도 덜덜 떨고 있었습니다. 나는 손이 얼어붙어 장갑을 끼고 연주해야만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중들은 얼마나 연주에 도취해 있었는지, 그리고 나도 훌륭히 연주를 할 수 있었지요.”

1942년 요양차 모스크바로 거처를 옮긴 소프로니츠키는 모스크바 음악원의 교수로 정착하게 되고, 1946년 레닌 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그리고 1954년부터는 대도시의 큰 공연장을 피해 시골의 작은 공간에서 소수의 청중과의 만남을 위해 모스크바를 떠나 러시아 전역을 여행하게 되지요.

1959년 몇 달 간 몸져누웠으나 다시 레코딩 작업과 연주에 몰두한 소프로니츠키는 1960년 12월 5일 모스크바 음악원 소강당에서, 1961년 1월 7일에는 스크리아빈 탄생 89주년을 맞아 스크리아빈 박물관에서 연주회를 개최합니다. 그러나 1월 9일 모스크바 음악원에서의 연주를 끝으로 다시는 청중 앞에 서지 못했고 1961년 8월 29일 약물 과다 복용으로 60세의 생애를 마감합니다.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는 골덴바이저나 네이가우스와는 달리 활동을 소련 당국으로부터 심하게 규제되고 검열받았습니다. 당대 소비에트 최고의 피아니스트였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여행은 극히 제한적으로만 허용되었구요, 그리고 그것은 후기로 갈수록 점점 더 심해져서 그의 존재는 서구 음악계에서 완전히 잊히고 말았습니다. 다행히 최근에 와서 그의 음반이 CD로 복각되고 그의 연주의 가치가 높이 인정되면서 수많은 그의 음반들이 전 세계에 소개되고 있지요.

KBS FM 당신의 밤과 음악 - 허원숙의 <피아니스트 플러스> 코너 2007년 7월 7일 원고...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1)  “피아노의 신”
이 시간에 많은 천재 피아니스트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은 천재를 넘어서 피아노의 신이라는 찬사를 받은 피아니스트의 이야기를 해드리겠습니다.

러시아의 피아니스트라면 골덴바이저, 네이가우스의 세대와 그 후의 에밀 길렐스,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 세대가 있는데 그 사이를 잇는 중간세대에 속한 피아니스트입니다.

리히터와 길렐스는 이 사람을 그들의 master, 참된 스승이라고 추앙했고요, 리히터는 특히나 이 분을 신(神)이라고까지 말했습니다.

바로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인데요.

소프로니츠키라면 우선, 스크리아빈의 최고의 해석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호로비츠도 스크리아빈의 연주가 탁월하지만, 특히나 소프로니츠키에게는 호로비츠에게서는 찾기 힘든 어둡고 부서질 것 같은 섬세한 우수가 담겨있지요.

그렇게 되기까지, 소프로니츠키는 어린 시절부터 스크리아빈의 추종자였었고, 1920년에는 스크리아빈의 서거 5주년 기념으로 스크리아빈의 곡만으로 그의 첫 독주회를 꾸밀 만큼 스크리아빈을 사랑한 피아니스트였는데, 또한 스크리아빈의 맏딸 엘레나 스크리아비나와 결혼을 해서 명실상부한 스크리아빈의 사위가 되었습니다.

장인의 사위 사랑이 대단했겠구나 하고 생각하시겠지만, 스크리아빈은 소프로니츠키가 14살이었을 때 이미 저 제상으로 떠났으니까 장인과 사위의 직접적인 대면은 없었던 거죠.

소프로니츠키라면 아주 낯선 피아니스트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소프로니츠키가 활동했던 시기가 러시아에서는 가장 탄압이 심했던 스탈린시대였기 때문이었죠. 그런 시대에 연주가로서 활동을 하다보니 거의 러시아 안에만 갇혀서 활동을 해서 서방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생애를 마쳤는데, 이 분이 다시 조명을 받기 시작한 것은 그의 훌륭한 연주를 담은 실황 음반이 서방으로 전해지면서 시작되어서 비로소 사후에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소프로니츠키는 1901년 5월 8일 러시아의 상트 페쩨르부르그에서 태어났는데요, 아버지는 물리학 선생님이셨고, 어머니는 유명한 초상화가인 블라디미르 보로비코프스키의 손녀였다고 합니다. 러시아에서 태어났는데 2살 때 가족이 바르샤바로 이주하는 바람에 바르샤바의 유명한 피아노 교사인 레베데바-게체비치에게서 최초의 피아노 수업을 받았습니다.

어린 소프로니츠키의 재능은 당시 상트 페쩨르부르그 음악원의 교장이면서 작곡가였던 글라주노프의 눈에 띄어서 글라주노프는 소프로니츠키에게 아주 좋은 선생님을 소개했는데, 그 분이 바로 당시 폴란드의 명 피아니스트이자 쇼팽의 해석가로 유명한 알렉산더 미카일로프스키이죠. 9살 때부터 미카일로프스키에게 피아노 수업을 받은 소프로니츠키가 후에 쇼팽의 탁월한 해석가가 된 것은 두말 할 나위가 없겠죠?

하지만 1913년에 가족들이 다시 상트 페쩨르부르그로 이주해서 소프로니츠키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중의 2년간을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셰드린에게 배운 후에 1916년 상트 페쩨르부르그 음악원에서 명교사 니콜라예프 문하에서 수업을 마치게 됩니다. 당시의 니콜라예프의 클래스에는 얼마 전에 소개해 드린 마리아 유디나도 있었고요, 또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도 같이 있었는데, 선생님의 소프로니츠키에 대한 사랑이 각별해서 쇼스타코비치의 증언이라는 책에 보면, 질투 나는 장면도 있었다고 해요.

예를 들어서 마리아 유디나와 같은 때 졸업 연주회를 했는데, 둘이 다 똑같이 리스트의 소나타 B 단조를 연주했대요. 소프로니츠키가 등장할 때가 되었는데 니콜라예프 선생님이 무대에 등장해서는, 오늘 소프로니츠키가 몸이 안 좋아서 이해해 달라고 하면서 연주회가 시작되었는데, 아무렇지도 않게 너무 잘했다는 거예요. 섭섭한 쇼스타코비치는 “나는 지난 번에 목에 기부스하고도 연주했는데, 이렇게 하는 법이 어디 있냐”면서, 아프면 연주를 하지 말던지, 아니면 연주할 거면 아프다 말을 하지 말든지, 동정점수를 받으려는 거냐 뭐냐... 그런 식으로 푸념을 늘어놓는 구절이 있어요. 어쨌든 니콜라예프는 이 애제자 소프로니츠키를 블라디미르의 애칭인 보보쉬카라고 부르면서 각별히 아껴주었다고 하죠.

아무튼 1921년 마리아 유디나와 공동으로 안톤 루빈슈타인 상을 수상하며 음악원을 졸업하고는 곧 연주 활동을 시작했는데, 연주 활동을 시작하자마자 인기가 거침없이 폭발해서 이미 모스크바에서 널리 알려진 피아니스트가 되었다고 합니다.

소프로니츠키의 스크리아빈 연주는 비록 스크리아빈에게는 직접적인 평가를 받지 못했지만, 1922년 스크리아빈 소나타 3번을 연주하는 것을 본 스크리아빈의 미망인으로부터 최고의 해석이라는 찬사와 인정을 받음으로 더 빛을 발했는데요, 그 이후에 소프로니츠키는 러시아 전역을 돌면서 정열적인 연주회를 개최했고, 그 이후로는 1928년에 잠시 폴란드에 갔다가 파리에서 약 2년간 머무르면서 많은 연주회를 열어 대성공을 거두고, 글라주노프와 다시 재회하고 라흐마니노프, 샬리아핀 같은 거장의 연주를 듣고 감명을 받고, 알프레드 코르토나 겐리크 네이가우스, 니콜라이 메트너,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같은 작곡가들과 깊은 교분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는데 그 이후로는 러시아에만 머물면서 평생을 러시아 안에서만 활동하는 피아니스트가 되었지요. 사실 요즘은 인터넷이나 음반 산업이 발달해서 좀 덜 하긴 하지만, 콘서트 피아니스트라는 직업은 모바일, 기동성이 생명인데요, 이렇게 세계적인 인물이 한 나라, 그것도 폐쇄적인 나라에 갇혀서 평생을 지냈다는 것은 엄청난 손실이 아닐 수 없습니다.

KBS FM 당신의 밤과 음악 - 허원숙의 <피아니스트 플러스> 코너 2007년 7월 14일 원고...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2)  “장갑 끼고, 군복입고...”
1930년 파리에서 돌아온 소프로니츠키는 본격적으로 연주활동을 시작했는데요, 그 레퍼토리가 바로크 작곡가 북스데후데에서부터 시작해서,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낭만 작곡가 전부, 프랑스의 풀랑크 그리고 스크리아빈, 쇼스타코비치와 프로코피에프의 곡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시대의 작품을 총망라한 것이었죠. 이런 프로그램을 두고 백과사전적인 연주회 프로그램이라고 말하는데, 당시 이런 레퍼토리를 가진 연주자는 안톤 루빈슈타인이 유일했다고 합니다.

소프로니츠키는 1939년에 상트 페쩨르부르그 음악원에 자리를 잡고, 교육과 연주활동을 병행했는데요, 2차 대전이 일어나면서 1941년에 레닌그라드가 독일군에 포위되면서 상황이 힘들게 되면서 연주활동도 많이 위축이 되어버렸어요.

1941년 12월 12일에 있었던 연주회를 회상하던 소프로니츠키의 말을 들어보면, 연주회가 있었던 푸쉬킨 극장의 연주회장은 실내 온도가 영하 3도였다고 해요. 청중들은 두꺼운 털코트를 입고도 떨면서 연주회장에 앉아있었는데, 소프로니츠키는 피아노를 쳐야하는데 손가락이 얼어붙어서, 손가락 끝을 잘라낸 장갑을 끼고서 연주를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해요. 하지만 놀랍게도 그 연주회는 정말 황홀했고 또 훌륭한 연주회가 되었다고 합니다.

전쟁의 나쁜 상황에서 레닌그라드에서는 굶어죽는 사람이 속출했고요, 소프로니츠키는 몸이 극도로 약해져서 요양차 모스크바로 거처를 옮겼는데, 1943년부터는 모스크바 음악원에 교수로 임명되어서 음악활동을 계속할 수 있게 되지요.

하지만 아무리 활동을 할 수 있다고 해도, 당시의 러시아는 정말 참담하기 이를 데가 없었지요, 쇼스타코비치의 증언이라는 책을 보면, 예술가라는 사람들은 정치가들이 자기들의 필요에 의해서 평생을 이용당하는 사람들이라고 쓰여 있고요, 또 자신이 마음속에 감춰둔 속내를 이야기하기 위해서 얼마나 큰 용기가 필요했는지가 잘 나와 있는데, 사실 그 책도 쇼스타코비치가 자신의 사후에 출판하기를 원해서 책의 원고를 스위스 은행 금고에 몰래 감춰두었다가 출판했다는 것을 보면, 얼마나 당시 상황이 힘들었는지 알 수 있죠. 소프로니츠키도 바로 이 시대의 사람이었는데요.

1945년 스탈린은 소프로니츠키에게 명령을 합니다. 포츠담 회의에 참석해서 연주를 하고 오라는 것이었죠. 거역할 수 없는 스탈린의 명령을 받은 소프로니츠키는 군복을 입고 포츠담에 가야만 했구요, 당연히 군인 복장으로 연주를 해야만 했지요. 그리고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와서는 그 일에 대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고 해요.

사무엘 파인베르그, 마리아 유디나와 더불어 스탈린 시대의 러시아를 대표하는 명피아니스트 소프로니츠키는 1946년 레닌상을 수상했고요, 1954년부터는 대도시의 큰 연주회장을 벗어나서 시골의 작은 공간에서 소수의 청중들을 위해서 연주회를 개최하면서 러시아 전역을 여행하기 시작했고요, 그 때부터 숨지기 직전까지 인기가 절정이었는데요.

이렇게 연주가로서의 삶을 산 소프로니츠키의 인생은 정말 행복했을까...

소프로니츠키는 어떤 돌출행동을 할 지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마리아 유디나와 닮았다고들 말을 하죠. 알코올, 마약, 복잡한 남녀관계, 또 그 밖에도 성가신 일들이 그의 삶에 다 들어있었고요, 그러다보니까 어떤 때에는 공연 전에 코냑 한 병을 다 마시고 나가떨어지기도 했다고 해요. 연주회는? 물론, 취소되었죠.

이렇게 무절제한 순간도 있었지만, 소프로니츠키는 겐리흐 네이가우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에곤 페트리,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 같은 사람들에게 진심으로 존경을 받는 피아니스트였어요. 리히터와 길렐스는 소프로니츠키를 그들의 master라고 추앙했고요, 리히터는 피아노의 신이라고까지 말을 했죠. 그리고 또 소프로니츠키의 제자였던 라자르 베르만은 “소프로니츠키 선생님은 진정함의 극치로서, 나를 음악의 혼에 가까이 다가서게 한 사람”이라는 말을 했고요.

“참된 예술은 일곱 겹의 갑옷으로 억제된, 붉게 끓어오르는 용암과도 같은 것이다”라는 그의 표현처럼, 소프로니츠키의 연주는 낭만적이고 영감에 가득 차 있는 피아니스트이지만, 정확하고 빈틈이 없고, 쓸 데 없이 과장을 하거나 진부한 표현도 없고 자연스럽지요. 그래서 그의 연주를 듣다보면 연주회장이 아니라, 속세를 떠나 제사장이 신탁을 받는 집회에 참석한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고 해요. 그만큼 은밀하고 신비스럽고 섬세하죠.

(저는 개인적으로 처음 소프로니츠키의 연주를 접한 때가 1992년이었는데, 리스트 소나타 실황 음반을 듣고 너무 무서워서 방구석에서 울면서 덜덜 떨었던 기억이 있어요. 시간제약으로 방송은 못 하지만 기회 되면 꼭 들어보세요)

소프로츠키는 즉흥성이 강한 피아니스트답게  “레코딩은 나의 시체이다”라고 말하면서 스튜디오 녹음을 혐오하고 실황을 고집한 피아니스트였죠. 하지만 스튜디오 녹음도 있기는 합니다.

이렇게 활발한 활동을 하던 소프로니츠키는 1959년 초에 몇 달 간을 몸져누웠다가 그 해 가을부터는 주위의 경고를 무시하고 다시 레코딩 작업을 계속했고 또 콘서트홀로 돌아와 1960년 12월 5일 모스크바 음악원 소강당에서 연주회를 개최합니다.

그리고 1961년 1월 9일 스크리아빈 탄생 89주년을 맞아 스크리아빈 박물관에서 연주회를 개최하는데요, 바로 이 연주를 끝으로 다시는 청중 앞에 서지 못했고 그 해 8월 29일 60세를 일기로 타계합니다. 사인은 암이었고요.

소프로니츠키의 사망 소식을 듣고 에밀 길렐스는 “이 세상의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가 죽었다”고 슬퍼했다고 합니다.


소프로니츠키의 프로필에 쓸 자료들을 모으다가 허원숙 선생님의 사이트를 알게 되었는데, 이분의 사이트 게시판에 나와 있는 글들을 읽는 게 더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다. 소프로니츠키의 연주는 음침하다고들 하는데, 그게 스크리아빈과 묘하게 어울리는 것 같다. 그 음침한 사운드를 한때 좋아했던 기억이 나기도 한다. 소프로니츠키의 음반들을 정리하는 데에 3일 이상 걸렸는데, 음반 정보들을 찾다가 소프로니츠키가 콩쿠르를 나간 경력이 없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2018년 4월 26일 목요일

Melodiya / Yekaterina Ervy-Novitskaya - Russian Piano School, Vol. 20



예나 지금이나 청중들은 “천재”라는 단어에 약하다. 아니 이런 단어가 아니라 “비길 데 없는 재능”이나 “신이 내려준 선물”이란 말들에 움직이게 된다는 것이 더욱 정확할지도 모르겠다. 이렇듯 천재는 나타났고, 만들어지고, 사라져간다. 확실히 10대 초반의 나이에(심지어는 그 이전에) 성인보다도 더 성숙한 음악성을 나타내고 이미 완성된 음악가로 대접받는 그 어린 신동들은 조물주가 내려준 기적 중의 하나를 체험하는 듯한 감동을 우리에게 전해주어 야릇한 기쁨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달리 생각해볼 때, 천재란 호칭은 정작 본인에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일 수밖에 없다. 성인이 되었을 때 천재 출신의 음악가란 경력은 그 자신에게 전혀 중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부담이 되는 것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우연의 일치일지는 모르나, 신동 혹은 천재란 타이틀과 함께 음악가로서의 생활을 시작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성인이 되어 타인들의 기대치에 미달하거나, 자가당착에 빠져 실패하고 마는 사람들을 우리는 목격하게 된다. 예카테리나 에르비-노비츠카야 역시 “천재 소녀 피아니스트”라는 호칭과 함께 나타났던 음악가이다. 앞서 말한 사실들과는 다르지만, 현재의 에르비-노비츠카야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교육자로서 활동하며, 외부로의 연주 활동을 거의 중단한 상태이다. 그녀가 어떤 계기에서 연주를 포기했는지는 정확히 알 길이 없지만, 그녀 역시 어느 누구 못지않은 천재성을 발휘했었다는 사실을 떠올릴 때 개운치 못한 뒷맛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예카테리나 에르비-노비츠카야는 1951년 모스크바 근교의 한 소도시에서 태어났다. 인텔리였으며 음악에 조예가 깊었던 어머니의 뜻으로 4살 때부터 피아노 레슨을 시작했고 6세 때에 모스크바 음악원 부속 중앙음악학교에 들어가 명교수 레프 오보린을 사사했다. 조숙한 천재성을 보인 카티아(예카테리나의 애칭) 노비츠카야는 10살 때 첫 독주회를 열었는데, 그때부터 어린 소녀는 모스크바 시민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게 되었다. 그 후 1968년 벨기에에서 열린 퀸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최초의 여성 우승자가 된 노비츠카야는 모스크바 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러시아인들은 그녀를 “나샤(러시아어로 ‘우리의’) 카티아 노비츠카야”라고 불렀는데 이는 러시아식으로 무척 소중하고 사랑받는 존재를 가리킬 때 쓰는 표현이다. 당시 그녀의 천재성에 놀란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은 “머지않아 모두 이 아이에 대한 얘기로 떠들썩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활발한 연주 활동과 함께 10대의 나이에 이미 거장(마에스트로)의 칭호를 받던 노비츠카야는 정말 모든 것을 얻은 것처럼 보였다. 적어도 그녀가 갑자기 모든 것을 포기하고 브뤼셀로 이주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1974년 그녀의 기량이 절정에 달했을 당시 룩셈부르크의 한 언론은 다음과 같이 평했다. “우아하고, 사색적인 동시에 어린아이와도 같이 천진난만하게 보이는 이 피아니스트는 프로그램마다 그 음악이 갖고 있는 에센스를 우리에게 전해 준다. 그녀의 연주는 단순함, 자연스러움, 그리고 테크닉적인 어려움을 전혀 느끼지 못하게 하는 편안함 그것들 자체이다. 그녀의 터치는 생기 있고 직선적이지만 동시에 윤이 나고 다이내믹하다. 모든 것이 생각을 통해 분석되고 걸러진 듯하다... 카티아 노비츠카야는 ‘어떻게’ 연주하는 것을 아는 것만이 아니고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바로 이 점이 그녀가 어떻게 프로그램 하나하나마다 모두 고르게 작곡가들과의 인격적인 만남을 성공시키는가에 대한 답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결코 요령이나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며 연주자의 고유한 퍼스낼리티의 문제이다. 그녀는 항상 자기비판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것이다.”

카티아는 정말로 놀라운 피아니스트였다. 그러나, 한때 “리히터와 같은 반열에 오를 대가 중 한 사람”(겐리흐 네이가우스)으로 평가받던 에르비-노비츠카야는 가정을 갖고, 러시아를 떠나서 벨기에에 정착한 이후부터는 애석하게도 소규모의 비정규적인 콘서트에서만 연주했을 뿐이었다. 이유야 어찌됐든, 한 번 연주 일선에서 물러선 연주가가 다시 컴백하기란 무척 어려운 일인데, 최근 이런 그녀가 침묵을 깨고 모스크바에서 연주회를 열었다는 소식이 들린다. 과연 러시아의 올드 팬들이 그녀를 기억해 줄 것인가? 아무쪼록 성공리에 연주가 끝나 전 세계 음악인들에게 다시 “우리의 카티아 노비츠카야”로 돌아올 수 있기를 바란다.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는 에르비-노비츠카야가 스크리아빈과 함께 가장 즐겨 연주하던 작곡가였다. 과연 그녀의 날카롭고 생기 있는 터치와 리듬감은 이 건강한 작곡가의 작품에 안성맞춤이다. “사르카즘”(풍자, 비꼼, 빈정댐)은 프로코피에프의 초기 작품 중에서도 특이한 존재이다. 당황스러우리만큼 느닷없는 다성적 요소, 과감한 무조, (마치 버르토크를 연상시킨다.) 불쾌하고 음산한 분위기 등이 그의 초기 피아노 작품의 특징이지만, 이 작품은 그런 요소가 더욱 두드러지며, 제목 그대로 빈정대는 듯한 기분으로 가득 차 있다. 거기에다 예측할 수 없는 루바토 등이 곁들여진다. 노비츠카야는 이 실험적인 요소로 가득한 곡을 지극히 개성적으로, 약간만 더 나서면 인공적이 될 정도로 아슬아슬하게 자의적인 모습으로, 그러나 매력 있게 풀어놓고 있다. 소나타 제5번은 프로코피에프의 제2기 즉 망명 시기에 쓰인 것으로, 당시 그는 프랑스에 머무르면서 프랑스 6인조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전해지는데 과연 이 소나타에도 그런 점이 느껴진다. 비교적 작은 스케일과 단정한 울림, 간결한 구성 등에서 그러하다. 부분적으로 재즈의 냄새마저 풍겨 나오는 2악장에서, 노비츠카야가 들려주는 유머러스한 뉘앙스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덧없는 환영 작품 22는 앞서 언급한 “사르카즘”의 연장선상에 서 있는 곡으로, 작곡가가 느끼는 순간순간의 심상, 감회 등을 짤막한 20개의 소품으로 옮겨 담은 것이다. 거기에는 어떤 심원한 감정 같은 것은 없고, 단지 스쳐가는 환상 같은 것의 스케치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 같다. 매우 다양한 성격의 피스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스꽝스러움(제5곡, 제7곡), 멜랑콜릭함(제12곡, 제16곡), 율동적(제4곡, 제14곡, 제15곡), 인상파적(제7곡, 제17곡) 등 여러 기분들이 교차한다. 요컨대 프로코피에프다운 함축된 “음시”라고 할 수 있겠는데, 피아니스트의 연주 역시 작곡가와 같은 환영을 보는 듯 정곡을 찌른 해석이다. 특히 나른하고 허탈하며 지친 듯한 표정을 보이는 부분에서는, 녹음 당시 19세에 불과하던 어린 소녀의 연주임을 상기하고 다시 한 번 감탄하게 된다.

프로코피에프의 모든 작품을 통틀어 가장 파퓰러한 곡의 하나인 발레 음악 “로미오와 줄리엣”은 이 앨범에서와 같이 피아노곡으로도 자주 연주되는데, 워낙 피아노적인 이디엄에 능했던 프로코피에프인 만큼 솔로 연주로도 무리가 없이 잘 짜여있다. 셰익스피어의 고색창연한 비극을 20세기의 음악 어법을 통해 건강하고 생기가 흐르는 무용음악으로 바꾸어놓은 작가의 번뜩이는 영감은 여기서 유감없이 발휘되며, 세월이 바뀌고 표현 양식이 바뀌었어도 원작의 감동은 퇴색되는 법 없이 항상 우리에게 서늘하고 신선하게 와 닿는다. 노비츠카야의 연주는 여기서 무척 피아니스틱하다. 이런 편곡 연주에서 볼 수 있는, 섣불리 오케스트라의 음색을 흉내 내지 않는 자세여서 우선 호감이 간다. 거기에 강렬한 터치와 빛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일종의 스포티한 감동까지 가져다준다. 금방이라도 춤추는 발레리나들이 뛰어나올 듯한 흥겨운 극장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전해주는 노비츠카야의 놀라운 재주를 체험하며, 다시 한 번 그녀의 재기를 기대해보는 마음이다.

★ 필자 : 김주영 (피아니스트)
서울 출생. 서울 음대 기악과 졸업. 러시아 모스크바 음악원 아스피란트(박사) 과정 졸업.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사무엘 파인베르크의 제자인 지나이다 이그나체바 교수를 사사. 유학 중 모스크바 프로코피에프 콩쿠르, 파리 인터내셔널 그랜드 콩쿠르 등에서 입상.

Track
01 Prokofiev Sarcasms, Op. 17 No. 1 Tempestoso / 프로코피에프 5개의 <풍자>
02 Prokofiev Sarcasms, Op. 17 No. 2 Allegro rubato
03 Prokofiev Sarcasms, Op. 17 No. 3 Allegro precipitato
04 Prokofiev Sarcasms, Op. 17 No. 4 Smanioso
05 Prokofiev Sarcasms, Op. 17 No. 5 Precipitosissimo - Andantino
06 Prokofiev Sonata No. 5 in C, Op. 38/135: 1. Allegro tranquillo /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5번
07 Prokofiev Sonata No. 5 in C, Op. 38/135: 2. Andantino
08 Prokofiev Sonata No. 5 in C, Op. 38/135: 3. Un poco allegretto
09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 Lentamente / 프로코피에프 <덧없는 환영>
10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2 Andante
11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3 Allegretto
12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4 Aminato
13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5 Molto giocoso
14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6 Con eleganza
15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7 Pittoresco (Arpa)
16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8 Commodo
17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9 Allegretto tranquillo
18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0 Ridicolosamente
19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1 Con vivacita
20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2 Assai moderato
21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3 Allegretto
22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4 Feroce
23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5 Inquieto
24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6 Dolente
25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7 Poetico
26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8 Con una dolce lentezza
27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19 Presto agitatissima e molto accentuato
28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 20 Lento irrealmente
29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1 Folk dance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1곡 <민속춤>
30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2 Scene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2곡 <장면>
31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3 Minuet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3곡 <미뉴에트>
32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4 The young Juliet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4곡 <젊은 줄리엣>
33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5 Masks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5곡 <무도회>
34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6 The Montagues & the Capulets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6곡 <몬타규 가와 캐퓰렛 가>
35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7 Friar Lawrence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7곡 <로렌스 수사>
36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8 Mercutio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8곡 <머쿠쇼>
37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9 Dance of the maids of the lilies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9곡 <백합을 손에 든 아가씨들의 춤>
38 Prokofiev 10 Pieces for piano after ballet, Op. 64 'Romeo & Juliet' No. 10 Romeo & Juliet before parting / 프로코피에프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10곡 <헤어지기 이전의 로미오와 줄리엣> (줄리엣에게 작별을 고하는 로미오)

Moscow's Katya: Yekaterina Georgiyevna Ervy-Novitskaya (born 1951) / 모스크바의 카티아 - 예카테리나 게오르기예프나 에르비-노비츠카야
Although born in the Russian province, in the village of Vishnyaki near Moscow, on 24 October 1951, the future pianist Yekaterina Novitskaya grew up in the pleasant atmosphere of an intellectual and cultured household such as is normally only to be found in a large city. Her father was a professor of history at Moscow University. Her mother too had studied history but had also enjoyed a musical education and was thus able to give her daughter her first piano lessons at the tender age of four. In 1957 she entered the Central School of Music at the Moscow Conservatory where a pupil of Igumnov became her first professional teacher.

1951년 10월 24일 모스크바 근교의 비쉬니아키 마을에서 태어났지만, 미래의 피아니스트 예카테리나 에르비-노비츠카야는 일반적으로 대도시에서만 볼 수 있는 지적이고 교양 있는 가정의 쾌적한 분위기에서 자랐다. 그녀의 아버지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역사학 교수였다. 그녀의 어머니도 역사를 공부했지만 음악 교육도 즐겼으므로 애정 어린 4세에 딸에게 첫 피아노 레슨을 받게 할 수 있었다. 1957년 그녀는 첫 전문 선생님이 되었던 이굼노프의 제자(오보린)가 있는 모스크바 음악원 부속 중앙음악학교에 들어갔다.

Oborin as Mentor / 멘토로서의 오보린
Lev Oborin soon took an interest in the talented young pianist and prepared her to enter the Conservatory. At the age of ten she gave her first public piano recital and immediately won the hearts of the Muscovites who, from this day on, lovingly called her "Katya Novitskaya". On the programme was Rachmaninov, Shostakovich, Kabalevsky, and the almost obligatory Bach, Cantor of St. Thomas' in Leipzig. The highly intelligent girl matriculated as an external pupil at the age of 15 and was even awarded a silver medal! At last she could enter the Moscow Conservatory. After graduating in 1973 she became a post-graduating in 1973 she became a post-graduate assistant to Oborin, "her" professor, and two years later was officially given the position of his assistant and lecturer at the Conservatory.

레프 오보린은 곧 재능 있는 어린 피아니스트에게 관심을 가졌고 그녀에게 음악원에 입학할 준비를 시켰다. 10세에 그녀는 첫 공개 독주회를 열었는데, 그때부터 어린 소녀는 “카티아 노비츠카야”로 사랑스럽게 불리면서 모스크바 시민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라흐마니노프, 쇼스타코비치, 카발레프스키, 거의 의무적인 라이프치히의 성 토마스 교회 성가대장 바흐로 구성되었다. 이 매우 총명한 소녀는 15세에 (학외의) 특별 학위 심사를 받는 학생으로 대학생이 되었고 은메달까지도 받았다! 마침내 그녀는 모스크바 음악원에 들어갈 수 있었다. 1973년에 졸업한 후 1973년에 석사가 되었는데, “그녀의” 교수인 오보린의 대학원 조교가 되었으며, 2년 후 공식적으로 음악원에서 그의 조교직과 강사직을 맡았다.

Initial Success in Brussels and Moscow / 브뤼셀과 모스크바에서의 초기 성공
Such sober facts and figures do not, however, disclose the exciting and unique events which took place. As a student in her fourth term Katya Novitskaya made her international breakthrough in 1968 at the legendary Concours Musical Reine Elisabeth held in Brussels. The unexpected actually came true and the 17-years-old Russian was awarded first prize and became the first female ever to win a prize in Brussels. In his presentation of the young artist, Artur Rubinstein prophesied confidently: "Soon everyone will be talking of her". Back home in Moscow she had long been the public's darling, particularly with the younger generation who lovingly talked of "our Katya Novitskaya".

그러나 그런 냉정한 사실과 수치는 다음에 일어난 흥미진진하고 독특한 사건을 드러내지 않는다. 네 번째 학기인 학생으로서 카티아 노비츠카야는 1968년 브뤼셀에서 열린 전설적인 퀸엘리자베스 국제음악콩쿠르에서 국제적인 돌파구를 만들었다. 예기치 못한 사실이 실제로 실현되었고 17세 러시아인이 1등상을 수상했으며 브뤼셀에서 최초로 우승한 여성이 되었다. 당시 그녀의 천재성에 놀란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은 자신 있게 예언했다. - “머지않아 모두 이 아이에 대한 얘기로 떠들썩할 것이다.” 모스크바로 돌아온 그녀는 특히 “우리의 카티아 노비츠카야”라고 사랑스럽게 말했던 더 젊은 세대와 함께, 청중의 사랑을 오랫동안 받았다.

Secrets of a Career / 경력의 비밀들
In 1974 a reviewer writing in the newspaper "Luxemburger Worte" endeavoured to pinpoint the secret of her early success and found the following appropriate word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her playing: "Gently, thoughtfully, and almost in a childlike manner this young pianist presents the very essence of the music. Her performance is full of simplicity and is completely natural, technical obstacles are overcome with apparent ease. Her touch is direct and unusually vivid, polished and dynamic. Everything has been well thought through and analysed... Katya Novitskaya does not only give thought to 'how' she should play but also to 'what' she should play. This is the sole explanation for the fact that she has found a highly personal and incomparable tone for each and every one of the composers on her programme. It is not a question of technique but more one of perception and never flagging self-criticism." And the critic went on to assure his readers that "one could perceive more in just one single piece than is usually heard in a whole concert".

1974년 “룩셈부르거 보르테” 신문에 글을 올린 비평가는 그녀의 초기 성공의 비밀을 정확히 보여주고 그녀의 연주에 대한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 적절한 말들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 “우아하고, 사색적인 동시에 어린아이와도 같이 천진난만하게 보이는 이 피아니스트는 프로그램마다 그 음악이 갖고 있는 에센스를 우리에게 전해 준다. 그녀의 연주는 단순함, 자연스러움, 그리고 테크닉적인 어려움을 전혀 느끼지 못하게 하는 편안함 그것들 자체이다. 그녀의 터치는 생기 있고 직선적이지만 동시에 윤이 나고 다이내믹하다. 모든 것이 생각을 통해 분석되고 걸러진 듯하다... 카티아 노비츠카야는 ‘어떻게’ 연주하는 것을 아는 것만이 아니고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바로 이 점이 그녀가 어떻게 프로그램 하나하나마다 모두 고르게 작곡가들과의 인격적인 만남을 성공시키는가에 대한 답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결코 요령이나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며 연주자의 고유한 퍼스낼리티의 문제이다. 그녀는 항상 자기비판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비평가는 그의 독자들을 “보통 전체 콘서트에서 들리는 것보다 단 하나의 곡으로 더 많이 인지할 수 있다”고 확신시켰다.

Prokofiev and Nothing but Prokofiev / 프로코피에프와 프로코피에프 외의 작곡가
This recording presents the pianist as an all-round interpreter of Prokofiev. The composer was also on the programme of her path-setting concert in Brussels in 1968, and the Suite from "Romeo and Juliet" was one of the works which led the Luxemburg journalist to write his song of praise. Prokofiev is Katya Novitskaya's "favourite composer" next to Scriabin. And with good reason, - for he unites deep feeling (although this may lie hidden beneath the surface) with strict, even inexorable calculation. Emotion is balanced by rationalism to an equal extent and they demand both a passionate heart and a cool mind.

이 녹음은 피아니스트를 프로코피에프의 만능 해석자로 소개한다. 이 작곡가는 1968년 브뤼셀에서 가졌던 그녀의 경로 설정 콘서트 프로그램에도 있으며, <로미오와 줄리엣> 모음곡은 룩셈부르크 저널리스트가 그의 찬미가를 쓰는 것으로 이끌었던 작품들 중의 하나이다. 프로코피에프는 카티아 노비츠카야가 스크리아빈과 함께 가장 즐겨 연주하던 작곡가였다. 그리고 좋은 이유가 있는데, - 그가 엄격한, 심지어는 거침없는 계산으로 (이것은 표면 아래에 숨겨져 있을 수도 있지만) 깊은 느낌을 결합하기 때문이다. 감정은 합리주의와 동등할 정도로 균형을 이루며 이 곡들은 열정적인 심장과 냉정한 마음을 모두 요구한다.

Short and Mocking / 짤막한 조롱하는 곡
This rebellious young Russian was determined to shock his contemporaries. His "Sarcasms" furthered a European tradition which began with the Wolf's Glen Scene in Weber's "Freischütz", and continued with Berlioz's "Symphonie fantastique" (Finale) and the highly varied "demonic" music of Franz Liszt (who was himself said to possess an aura of devilment, particularly in old age), leading up to Scriabin's "Black Mass" (with its host of evil forces). The tragic and sinister had always held a deeper fascination for the arts than pure goodness...

이 반항적인 젊은 러시아인은 그의 동시대인들에게 충격을 주기로 결심했다. 그의 <사르카즘>(풍자)은 베버의 오페라 <마탄의 사수>에 나오는 “늑대의 협곡 장면”으로 시작했던 유럽의 전통을 키웠고,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피날레)과 (그 자신이 노년기에 특히 악마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던) 프란츠 리스트의 매우 다양한 “악마적인” 음악과 함께 계속했는데, (다수의 사악한 세력들과 함께) 스크리아빈의 소나타 9번 <흑미사>에 가까이 간다. 비극적이고 사악한 것은 항상 순수한 선량함보다 예술에 대한 더 깊은 매력을 갖고 있었다.

Snapshots / 짤막한 묘사들
Prokofiev's "Visions fugitives" are even more concise than his "Sarcasms", being a sort of psychological snapshot in late-Impressionist - or better said: pointillistic - style. (One might call these pieces the musical counterpart to Charles Baudelaire's symbolistic "Poemes en prose".) Prokofiev fully intended the pieces to be highly varied and contrasting in mood and indeed they range from jocular, elegant, picturesque, and easy-going to ridiculous, vehement, restless, pained, and poetic. The composer even defined the tempo marking of "lento" (slow) in two different ways to make it more precise: "Con una dolce lentezza" (with a sweet slowness) and "Lento irrealmente" (unrealistically slow).

프로코피에프의 <덧없는 환영>은 그의 <사르카즘>보다 훨씬 더 간결한데, 후기 인상파 화가들의 심리에 대한 짤막한 묘사의 일종이다. - 또는 더 낳게 말하자면 - 점묘주의 스타일이다. (이 곡들 중의 하나는 샤를 보들레르의 상징주의적인 <시적인 산문>에 대응한다고 부를 것이다.) 프로코피에프는 충분히 곡들을 매우 다양하고 대조적인 분위기로 만들었으며 실제로 이 곡들은 범위가 유머러스하고, 우아하고, 그림 같고, 느긋한 것에서 우스꽝스럽고, 불안하고, 짜증스럽고, 시적인 것에 이른다. 작곡가는 “렌토”(느리게)의 템포 표시를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두 개의 다른 방식으로 정의했다. - 제18곡 “콘 우나 돌체 렌테차”(완만하게, 우아하게)와 제20곡 “렌토 이레알멘테”(느리고 환상적으로).

Modern Ballet on an Old but ever New Subject / 오래되었지만 새롭기도 한 대상에서의 모던 발레
During his early Russian and middle West European periods, Prokofiev was not in the least interested as to who actually listened to his music, whether anyone understood it, or whether it affected the emotions of the listener. But this changed rapidly when he returned to his native country.

초기 러시아 시기와 중기 서유럽 시기 동안 프로코피에프는 그의 음악을 실제로 누가 들었는지, 누군가가 그것을 이해했는지, 또는 청취자의 감정에 영향을 줬는지에 대해 조금도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그가 조국으로 돌아왔을 때 이것은 급격히 변했다.

It would be a mistake, however, to believe that Prokofiev's late Neo-Classicism was a concession to the Soviet powers. This is proved by the very tone of the music: Porkofiev's Neo-Classicism is far more austere than that of Stravinsky or Poulenc for example. He strives to compose something lasting, great, not merely a work but a composition which will move the hearts of all those who hear it, especially that of the common man. But he certainly does not make things easy: Prokofiev never sought popularity and he was certainly no conformist who composed to please a party "aesthete" such as Andrei Zhdanov. His musical interpretation of Shakespeare's two lovers from Verona can rightly join the ranks of Tchaikovsky's symphonic ballets. But first the composer must win over the performer to accept his modern tonal world, must patiently convince him or her of the necessity of his dissonances (which express enmity and mental agony) and the harsh rhythms (depicting the fighting between the Montagues and the Capulets)...

그러나 프로코피에프의 신고전주의가 소비에트 세력에 대한 양보였다고 믿는 것은 실수임이 틀림없다. 이것은 음악의 굉장한 음색에 의해 증명된다. - 프로코피에프의 신고전주의는 예를 들어 스트라빈스키나 풀랑크의 그것보다 훨씬 더 엄격하다. 그는 단지 작품이 아니라 그것을 듣는 모든 사람들, 특히 일반적인 사람의 것을 감동시킬 지속되는 것, 위대한 작품을 작곡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그는 분명히 쉬운 것들을 만들지 않는다. - 프로코피에프는 인기를 얻지 못했고 그는 분명히 러시아 정치인 안드레이 즈다노프 같은 “탐미주의자” 정당을 기쁘게 하기 위해 작곡한 순응주의자가 아니었다. 그의 셰익스피어의 희곡에 나오는 베로나 출신의 두 연인(로미오와 줄리엣)에 대한 음악적 해석은 차이코프스키의 교향적 발레단에 바로 합류할 수 있다. 그러나 먼저 작곡가는 그의 현대 음조 세계를 받아들이려면 연주자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어야 하고, 특히 연주자에게 그의 불협화음(적대감과 정신적 고통을 표현함)과 거친 리듬(몬타규 가와 캐퓰렛 가 사이의 싸움을 묘사함)의 필요성을 인내심 있게 납득시켜야 한다...

Sonata-Form Throughout / 인생을 통한 소나타 형식
Initially the composer began in a fairly civilized manner with "old forms and conventions", and these he gladly employed in later works too - even in his epoch-making sonata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Mozart, Beethoven and Scriabin, Prokofiev is yet another composer of a wealth of sonatas - a genre which occupied him throughout his life.

처음에는 작곡가가 “옛 형식과 전통”으로 상당히 문명화된 방식으로 시작했고, 그의 후기 작품들에서도 기꺼이 사용했다. - 심지어 그의 획기적인 소나타들에서도 그렇다. 모차르트, 베토벤, 스크리아빈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프로코피에프는 그의 생애에 걸쳐 점유한 장르인 풍부한 소나타들의 또 다른 작곡가이다.

In his final piano sonatas Prokofiev mirrored the events which took plac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But before this time he had spent approximately two pleasant years in Ettal, a village in the Bavarian Alps, where he was able to put to paper the impressions he had gathered while in Paris. During this time he composed his Fifth Piano Sonata, which, not surprisingly, was strongly influenced by contemporary French music. Prokofiev, who had preserved a boyish touch in his character and enjoyed slipping into the role of "enfant terrible" or disguising himself in one manner of another, was particularly appreciative of Francis Poulenc with his fresh and impudent manner of composing and who revelled in copying past styles. The outer movements of the Fifth Sonata are full of the spirit of "Les Six", displaying Romanic clarity, piquant harmonies and gentle movement. The middle movement, Andantino, is odd and ambiguous: when trying to pinpoint its character, the opinions of Prokofiev's contemporaries waivered between "agony" and "jazz".

그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들에서 프로코피에프는 2차 세계대전 동안 일어난 사건들을 반영했다. 그러나 이전에 그는 바이에른 알프스의 한 마을인 에탈에서 약 2년 동안 즐거운 해를 보냈다. 그곳에서 파리에 있는 동안 모았던 인상들을 기록할 수 있었다. 이 시기에 그는 다섯 번째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는데, 당연히 현대 프랑스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자신의 성격에 소년 같은 터치를 유지하고 “앙팡테리블”(무서운 아이라는 뜻으로, 장 콕토의 소설 제목에서 비롯된 말로 깜찍하고 엉뚱한 짓을 잘하는 조숙한 아이들) 역할로 빠져들거나 또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위장하는 것을 즐기는 프로코피에프는 신선하고 뻔뻔스러운 작곡 방식을 지니면서 과거 스타일 복제에 열중했던 프란시스 풀랑크에게 특히 고마워했다. 제5번 소나타의 외부 악장들은 라틴 계통의 명료성, 톡 쏘는 듯한 화성들, 부드러운 악장을 드러내는 <프랑스 6인조>(루이 뒤레, 다리우스 미요, 아르튀르 오네게, 조르주 오리크, 제르맨 타유페르, 프란시스 풀랑크)의 영감으로 가득 차 있다. 중간의 2악장 안단티노(조금 느리게)는 특이하고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 이 곡의 성격을 정확하게 집어내려고 할 때, 프로코피에프와 동시대인 사람들의 의견은 “고뇌”와 “재즈” 사이에서 포기했다.

Life's Turning-Point / 인생의 터닝 포인트
To conclude this introduction let us return once more to the artist herself. The twists and turns of fate which accompany an apparently smooth career are often of greatest interest in a musician's biography. And although a turn of fate can result in a deep fall, it certainly enhances a musician's character, adds to his or her personal experiences and constitutes a further step in the development of his or her art (one only need think of Ashkenazy!). Back in 1968 Katya Novitskaya astonished the world of music with her historic concert in Brussels. And she had achieved almost everything - concert trips abroad, recognition (and thus security) in Moscow and world fame. She was praised by maestros: "She is a great artist - like Sviatoslav Richter" (Heinrich Neuhaus); "To hear her is great fortune indeed" (David Oistrakh). And she perfected her art with a number of maestros - Artur Rubinstein, Wilhelm Kempff and Konstantin Igumnov (through whom she joined the ranks of the Liszt School).

이 소개를 끝내려면 다시 한 번 아티스트 그녀 자신에게 돌아가자. 외관상으로는 매끄러운 경력을 동반하는 운명의 우여곡절은 종종 음악가의 일대기에서 가장 큰 관심거리이다. 그리고 운명의 전환은 깊은 가을을 가져올 수 있지만 확실히 음악가의 성격을 향상시키고 개인적인 경험을 더하며 자신의 예술 발전에 있어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아쉬케나지만 생각하면 된다!) 1968년으로 돌아가 보면, 카티아 노비츠카야는 브뤼셀에서 열린 역사적인 콘서트로 음악 세계를 놀라게 했다. 그리고 그녀는 거의 모든 것을 달성했다 - 해외 콘서트 여행, 모스크바에서의 인정(과 그러므로 보안)과 세계적인 명성. 그녀는 거장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 “리히터와 같은 반열에 오를 대가 중 한 사람”(겐리흐 네이가우스) - “그녀의 연주를 듣는 것은 정말 행운이다(다비드 오이스트라흐).” 그리고 그녀는 많은 거장들과 그녀의 예술을 완벽히 했다.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빌헬름 켐프, (그녀가 리스트 악파의 대열에 합류했던 사람을 통한) 콘스탄틴 이굼노프.

Off on a New Path / 새로운 길로
But suddenly she gave up all this, left Moscow, moved to Brussels, started a family, taught and only after quite some time did she give the occasional concert. Sir Yehudi Menuhin said almost angrily, "She ought to be giving concerts and not lessons!". That, however, is more easily said than done. Once contact with the media and the public has been lost, a comeback is extremely hard work. And it is in this situation that the pianist finds herself today. After 20 years absenteeism from the concert platform she will appear in Moscow once again in October 1995, followed by concerts in several Russian cities. Will her fans of old recognize her?

그러나 갑자기 그녀는 이 모든 것을 포기하고 모스크바를 떠나 브뤼셀로 이주하여 가정을 갖고 교육자가 되었으며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가끔 콘서트를 열었을 뿐이었다. 예후디 메뉴인 경이 거의 화가 나서 “레슨을 하지 말고 콘서트를 가져야 한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러나 그것은 보다 쉽게 말한 것이다. 언론과 대중과의 접촉이 없어지면 복귀는 매우 힘든 일이다. 그리고 피아니스트가 오늘날 그녀 자신을 발견하게 된 것은 바로 이 상황이다. 콘서트 무대에서의 20년간의 공백 이후 그녀는 1995년 10월 모스크바에 다시 한 번 등장하고 이어서 러시아의 여러 도시들에서 콘서트를 연다. 과연 러시아의 올드 팬들이 그녀를 기억해 줄 것인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839&cid=59000&categoryId=5900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71190&cid=51211&categoryId=51211

러시아 피아노 스쿨의 모든 독일어 부클릿을 쓴 사람은 크리스토프 뤼거 박사(Prof. Dr. Christoph Rueger)인데, 프랑스어로 번역된 부클릿도 일부 있지만 영어 번역 부클릿은 다 가지고 있다. 여기까지 러시아 피아노 스쿨 음반을 소개했는데, 한글 속지를 가지고 있지 않은 세 명만 정리하면 나머지는 한글을 영어랑 그대로 쓰면 될 줄 알았다. 하지만 아니라는 것을 이내 깨닫게 되었다. 물론 번역하면서 잘못된 정보들을 수정해나갔다. 이번에는 한글 정보를 전보다 더 많이 활용할 수 있었다. 이 음반들에 있는 20명 말고도 다른 러시아 스쿨 음반들도 있다.

Melodiya / Edvard Syomin - Russian Piano School, Vol. 19



모든 예술 분야가 다 그렇겠지만, 음악계 역시 새로운 인물, 새로운 작품,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고 기다린다. 모든 유행이 너무나도 빨리 진행되고 있는 요즘 음악시장도 예외는 아니어서 청중들의 눈과 귀는 새로운 “스타”의 탄생에 항상 쏠려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에드바르드 시요민은 멜로디야사가 재발굴(이런 표현이 가장 적당할 것 같다.)해낸 인물로서 거기에는 별다른 특이성이나 돌연한 계기도 없었다고 보인다. 게다가 우리나이로 계산해도 쉰 살이 넘은 나이에다 아직 유명해지지도 않았다. 소위 “중고신인”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러시아는 워낙 예외적 사건이 많은 곳이므로 한 번쯤 주의 깊게 이 “새로운” 피아니스트를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로컬한 피아니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던 라자르 베르만도 카라얀과의 협연 이후 마흔이 넘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지 않았던가.

에드바르드 시요민은 1945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엔지니어의 집안에서 태어나 음악적인 환경에서 자라지 못했으나, 8살 때부터 나탈리아 모이세예바에게 피아노를 배웠고 14세 때 그네신 아카데미에 들어가 이굼노프의 제자인 올렉 보쉬냐코비치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후에 타티아나 니콜라예바를 사사하여 “수준 높은 기교적, 음악적 완성도와 함께 자유로운 자기표현의 능력을 터득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렇게 착실하게 음악학도로서의 길을 걸어가던 시요민은 장래가 촉망되던 젊은 피아니스트였으나 곧이어 커다란 난관을 만나게 된다. 바로 그가 참가하려던 영국의 리즈 콩쿠르에서 연주하지 못하게 된 것이었다. 당시 입상이 확실시되었던 그는 집안상의 문제로 출국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알려졌는데 그 이유는 확실치 않다. 정치적 박해였을까? 아무튼 그 이후로도 소련 정부는 시요민이 러시아 외에 다른 나라에서 활동하는 것을 금지해버렸고, 심지어는 생계가 곤란한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런 그를 구해준 것은 멜로디야(구소련의 국영 레코드 회사)였다. 그들은 시요민의 생계를 보장해주었고 그의 녹음이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함에도 그가 계속해서 피아니스트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왔다. 이 앨범은 그의 여러 가지 녹음 중의 베스트를 취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아주 독창적인 레퍼토리의 구성이다. 어찌된 일인지 1969년부터 1976년까지의 시요민의 녹음이 모두 폐기되어 버려서 그의 초기의 연주를 들을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버라이어티가 풍부한 프로그램들이며 음질 상으로도 우수하여 무척 흥미롭다. 어떤 피아니스트의 음반을 한 장만 듣고 그 연주를 평한다는 것은 무척 위험한 일이겠지만 막상 접해본 시요민은 예상보다 훨씬 더 매력적이다. 잘 훈련된 손과 팔목을 갖고 일사천리로 쳐나가는 테크닉은 말할 것도 없으며 불행한 과거를 갖고 있었던 피아니스트라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맑고 밝은 톤 칼라를 구사하고 있다. 또 이른바 “살아있는 녹음”이라고 느껴지는 즉흥성과 정곡을 찌르는 탄력 있는 해석과 리듬감이 너무나도 잘 어우러져 있어, 지명도가 없고 낯선 곡들을 연주할 때도 난해하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시요민이 준비한 프로그램을 하나씩 살펴보자.

생전에 “피아니스트의 피아니스트”라는 최고의 호칭으로 불리며 시대를 풍미했던 폴란드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레오폴트 고도프스키는 듣는 이를 아연하게 할 만한 테크닉과 힘을 소유했던 명연주가로 남아있지만, 자작곡의 연주와 함께 많은 선배작곡가들의 작품을 피아니스틱하게 어레인지하는 편곡자로서도 최고였다. 장 필립 라모의 작품 세 곡은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품들인데 고도프스키는 리듬의 분할과 복화음의 겹치는 활용 등으로 연주 효과를 내기에 알맞게 자유로운 편곡을 꾀하고 있다. 특히 3번 트랙인 “탕부랭”이 유명하며 그 가락은 우리에게 동요로 만들어져 친숙하다. 고도프스키의 시공을 초월한 편곡이 신선하며 시요민의 연주 역시 라모와 고도프스키 사이에 서서 중용을 지키는 솜씨를 보여준다.

쇼팽이 택한 파가니니의 멜로디 가장조는 흥겹고 축제 풍의 가벼운 것이다. 쇼팽의 초기 작품답게 특유의 어두운 그림자는 찾아볼 수 없고 기본 반주형을 그대로 지켜나가는 소규모의 곡이지만, 반음계 진행이나 세밀한 아고긱(악보를 연주하거나 노래할 때 템포에 미묘한 변화를 줘서 다양한 느낌을 표현하는 방법)에서, 역시 쇼팽의 눈을 통해서 본 파가니니의 변형된 모습이라고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자장가”는 이 음반에서 유일하게 스탠더드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시요민은 더없이 맑고 깨끗한 음색으로 시종일관 연주하여 호감을 준다. 게다가 단순한 왼손 반주에서 보이는 뉘앙스의 변화는 정말 놀라우며, 그의 공명감각도 쇼팽의 작품에서 요구되는 바로 그것이다.

시요민이 찾아낸 요절한 작곡가 알렉세이 스탄친스키는 1909년 11세의 나이부터 그레차니노프, 타네예프 등과 작곡을 공부했으며 이굼노프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스탄친스키는 26년이라는 짧은 생애 동안 러시아 민속음악의 연구에 힘을 기울였다고 알려졌으며, 대위법의 대가이기도 했다. 확실히 그의 프렐류드 작품에서 느껴지는 어둡고 무거운 울림은 러시아의 넓고 깊은 대지에서 빨아들인 듯하며, 동시대 러시아 작곡가들의 서구 지향적인 성향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스크리아빈이나 라흐마니노프와 마찬가지로 니콜라이 메트너 역시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졸업 시 금메달을 획득한 훌륭한 피아니스트였고 40년 이상 전 유럽을 돌면서 연주 활동을 펼쳤으며 후에는 영국 런던에서 정착했다. 스크리아빈이 피아노 포엠을 창조했고 라흐마니노프가 “음의 그림-연습곡”을 만드는 동안 메트너는 좀 더 고전적이고 러시아적인 향수가 감도는 “스카즈카”(옛 이야기)라는 장르에 힘을 쏟았다. 그가 남긴 스카즈카는 30곡 가량이 있는데 시요민이 선택한 두 곡은 작품 20으로,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메트너의 피아노곡 중 특히 유명하며 초기 작품인 만큼 선배인 라흐마니노프의 영향이 강하게 느껴진다.

올렉 에이게스는 음악가들을 여럿 배출한 음악 명문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다른 러시아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던 그는 대가인 에곤 페트리에게 피아노를 배운 특이한 경력을 갖고 있다. 그의 네 번째 소나타는 1930년대 말경 쓰였으며,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토카타의 요소를 차용하여 소나타의 주제를 발전시키는 데에 사용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푸가 형식도 부분적으로 쓰이는 듯 복잡한 구성을 보이는데 시요민은 마치 고전파 작곡가의 소나타를 연주하듯이 쉽고 명쾌하게 요리해내고 있다.

알베니스의 두 개의 작품은, 이 작곡가의 다른 작품들이 그렇듯이 스페인적인 이디엄에 가득 차고 상당히 수준 높은 명인기를 요구하는 것들이다. 또한 라틴 음악에서 요구되는 리듬감과 탄력은 타고난 소질이 없이는 터득하기가 무척 어려운데, 시요민은 이 작곡가를 오래 탐구해온 피아니스트답게 노련한 솜씨를 보여준다.

부조니의 “카르멘 판타지아”는 오랜 세월을 두고 많은 작곡가들에게 매력적인 소재로 쓰인 이 비제의 오페라 편곡 중 매우 독창적이며 특이한 작품이다. 거침없이 펼쳐지는 카르멘의 분방함과 퇴폐적인 아름다움, 그리고 뜻하지 않은 비극적 결말. “창백한 카르멘”이랄까? 이탈리아 작곡가 치고는 드물게 염세적이고 사색적인 성향을 갖고 있었던 부조니를 다시금 생각나게 하는 걸작이다. 시요민의 테크닉이 빛을 발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마지막 곡은 요한 슈트라우스-고도프스키의 “예술가의 생애”이다. 그 기교적 어려움으로, 교향악적 스케일의 방대함으로 인해 이 곡을 제대로 쳐낼 수 있는 피아니스트는 흔치 않은데, 시요민은 마치 “손끝으로” 연주하듯이 간단하게 곡에서 요구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넘어 보인다. 게다가 단순히 많이 연주해서 능숙해진 것뿐만이 아닌,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그야말로 “직접적인 흥분”이 담긴 즉흥적 표정의 고도프스키를 그려내는데 성공하고 있다. 이른바 19세기 말의 비르투오소들의 모습이 그대로 살아있는 멋진 연주라고 하겠다.

★ 필자 : 김주영 (피아니스트)
서울 출생. 서울 음대 기악과 졸업. 러시아 모스크바 음악원 아스피란트(박사) 과정 졸업.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사무엘 파인베르크의 제자인 지나이다 이그나체바 교수를 사사. 유학 중 모스크바 프로코피에프 콩쿠르, 파리 인터내셔널 그랜드 콩쿠르 등에서 입상.

Track
01 Rameau/Godowsky: Renaissance No. 3 Menuet in a (Allegretto grazioso) / 라모 르네상스 3번 <미뉴에트> (고도프스키 편곡)
02 Rameau/Godowsky: Renaissance No. 1 Sarabande in E (Largo, ma non troppo) / 라모 르네상스 1번 <사라방드> (고도프스키 편곡)
03 Rameau/Godowsky: Renaissance No. 6 Tambourin in e (Allegro) / 라모 르네상스 6번 <탕부랭> (고도프스키 편곡)
04 Chopin Variation in A (Souvenir de Paganini, B. 37) / 쇼팽 변주곡 <파가니니의 추억>
05 Chopin Berceuse in Db, Op. 57 / 쇼팽 자장가
06 Stanchinsky 3 Preludes No. 1 in c# (Lento) / 스탄친스키 3개의 프렐류드
07 Stanchinsky 3 Preludes No. 2 in D (Con moto)
08 Stanchinsky 3 Preludes No. 3 in e flat (Adagio)
09 Stanchinsky 5 Preludes No. 1 in c (Andante) / 스탄친스키 5개의 프렐류드
10 Stanchinsky 5 Preludes No. 2 in Ab/f (Lento espressivo)
11 Stanchinsky 5 Preludes No. 3 in b flat (Presto)
12 Stanchinsky 5 Preludes No. 4 in b (Animato)
13 Stanchinsky 5 Preludes No. 5 in c (Largo)
14 Medtner Fairy-Tales Op. 20 No. 1 in b flat / 메트너 <요정 이야기> 작품 20-1
15 Medtner Fairy-Tales Op. 20 No. 2 in b/ 메트너 <요정 이야기> 작품 20-2
16 Oleg Eiges Sonata-Toccata No. 4 in f#/E, Op. 15: 1. Garve / 올렉 에이게스 <토카타 풍의 소나타> 4번
17 Oleg Eiges Sonata-Toccata No. 4 in f#/E, Op. 15: 2. L'istesso tempo
18 Oleg Eiges Sonata-Toccata No. 4 in f#/E, Op. 15: 3. Allegro moderato
19 Albeniz 'Navarra' - Buravura fantasia (completed by Severac): Allegro non troppo / 알베니스 나바라 (세브락 완성)
20 Albeniz/Godowsky: Tango in D, Op. 165 No. 2 from Suite 'Espana' / 알베니스 탱고 (고도프스키 편곡)
21 Busoni Chamber Fantasia on Bizat's Opera 'Carmen': Allegro deciso / 부조니 <카르멘 판타지아>
22 Godowsky Kunstlerleben: Symphonic Metamorphoses on Johann Strauss' Waltz of the same name / 요한 슈트라우스 <예술가의 생애> (고도프스키 편곡)

A Dark Hose: Edvard Dmitriyevich Syomin (born 1945) / 다크호스 - 에드바르드 드미트리예비치 시요민

As yet barely known in the West, Edvard Syomin was born in Moscow on 6 February 1945, some three months before Hitler's final capitulation. His father was an engineer involved in planning and building the city's Underground, which Myaskovsky had earlier hymned in rhapsodical verses. He came from an unmusical family, and it was not until he was eight years old that he finally came to music, a discovery that he owed to his own initiative. His first teacher was Natalya Mikhailovna Moiseyeva, a pupil of Karl Avgustovich Kipp, who taught at the Moscow Conservatory and who, in turn, had studied under Paul Pabst.

서방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에드바르드 시요민은 1945년 2월 6일 모스크바에서 히틀러가 최종 항복을 하기 세 달 전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미야스코프스키가 일찍이 거창한 열정으로 찬양했던 도시의 “지하”를 계획하고 건설하는 것과 관련된 엔지니어였다. 그는 비음악적인 가정 출신이며, 8세에 그의 결단력 때문에 발견했던 음악에 마침내 나섰다. 그의 첫 스승은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가르치고 이어서 파벨 파브스트를 사사했던 카를 아브구스토비치 키프의 제자인 나탈리아 미하일로프나 모이세예바였다.

A Difficult Start in Life / 인생에서의 힘든 시작
Syomin was fourteen when he entered the Gnesin Institute (now the Russian Music Academy). On graduating, he started work as a research assistant with Oleg Dragomirovich Boshnyakovich, who had studied with Igumnov and Neuhaus, later seeking the advice of Tatiana Nikolayeva, who subsequently spoke of his "profound musical culture, virtuosity and freedom of self-expression". Such were his abilities that Syomin deserved to become far better known both at home and abroad, but adverse circumstances, including, not least, the prevailing regime, prevented him from making a career for himself as quickly as he might otherwise have done. If he had been able to take part in the Leeds International Pianoforte Competition, for example, he would undoubtedly have won a prize, but a family tragedy prevented him from participating. It was a doubly unfortunate episode in Syomin's life, since the authorities then took it as an excuse to prevent him from leaving the Soviet Union ever again.

시요민이 그네신 음악학교(현재 러시아 음악원)에 들어갔을 때에는 14세였다. 졸업하면서 그는 이굼노프와 네이가우스의 제자였던 올렉 드라고미로비치 보쉬냐코비치의 연구 조교로 일하기 시작했고, 나중에 타티아나 니콜라예바를 사사하여 “수준 높은 기교적, 음악적 완성도와 함께 자유로운 자기표현의 능력을 터득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시요민은 국내외에서 훨씬 더 잘 알려질 수 있는 능력이 있었지만, 적어도 지배적인 체제를 포함한 불리한 환경으로 인해 그가 그렇지 않다면 했을 것이 틀림없는 만큼 빨리 경력을 쌓을 수 없었다. 예를 들어, 그가 리즈 국제피아노콩쿠르에 참가했다면 의심의 여지없이 입상할 수 있었지만, 집안상의 문제로 참가할 수 없었다. 시요민의 인생에서 갑절로 불행했던 에피소드였는데, 당국이 소련을 다시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실로 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Survival Thanks to a Melodiya Recording / 멜로디야사로 인한 생존
For the majority of pianists, such an enforced break would have meant the end of their careers, but Syomin was curiously fortunate in the midst of his misfortunes: the recording company Melodiya signed him up and guaranteed his livelihood, ensuring that, in spite of his lack of official engagements and corresponding publicity, he none the less kept his hand in as a pianist. Between 1969 and 1998 he made numerous recordings for the company thanks, not least, to the encouragement of the composer Konstantin Kalinenko and the editor-in-charge of Moscow Radio, Nikolai Myasovedov. Among these recordings were many piano works that were rarely, if ever, performed in Russia. We are particularly fortunate that a recording of Chopin's "Berceuse" has survived from 1969, but Syomin's other recordings from this period have all been destroyed. From the period after 1976 there are surviving recordings of works by Liadov, Stanchinsky and Medtner, as well as others of western composers from Rameau and Strauss to Busoni and Albeniz, (The Rameau and Strauss pieces exist only in arrangements by Leopold Godowsky.)

대다수의 피아니스트들에게 그러한 강요된 휴식은 그들의 직업이 끝났음을 의미했을 것이나, 그는 불행한 가운데 이상하게도 운이 좋았다. - 멜로디야 레이블은 그와 계약하고 생계를 보장해주었으며, 공식 계약과 홍보가 부족함에도 그가 계속해서 피아니스트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왔다. 1969년부터 1998년까지 그는 특히 작곡가 콘스탄틴 칼리넨코와 모스크바 라디오 담당 편집인 니콜라이 미야소베도프의 격려 덕분에 많은 음반을 발매했다. 이 녹음들 중에는 러시아에서조차 거의 연주되지 않은 피아노 작품들이 많이 있었다. 우리는 특히 쇼팽의 <뱃노래>가 1969년에 생존한 것에 대해서 다행이지만, 이 시기 시요민의 다른 녹음들은 모두 폐기되었다. 1976년 이후부터 리아도프, 스탄친스키, 메트너의 남아있는 작품들은 물론 라모와 슈트라우스부터 부조니와 알베니스까지 서구 작곡가들을 녹음한 다른 것들이 남아있다. (라모와 슈트라우스의 곡들은 레오폴트 고도프스키에 의한 편곡들로만 존재한다.)

Although the Soviet cultural authorities were able to prevent the sale of LPs, they were powerless to stop them from being broadcast on the radio. Significantly, it was an organisation with links with the West, "Spain-USSR", that sponsored the pressing of a double LP of which we shall have more to say in due course.

소비에트 문화 당국은 LP 판매를 막을 수 있었지만 라디오 방송에서 녹음을 중단시키는 것은 힘들었다. 의미심장하게도, 그것은 우리가 당연히 더 말할 것이 있는, 두 장의 LP를 제작하는 것을 후원한 서방, “스페인-소련”과 관련이 있는 조직이었다.

Small Rooms and Great Models / 작은 홀들과 위대한 모델들
Syomin still has to spend most of him time teaching, since the halls in which his admirers can hear him are small and the receipts correspondingly meagre. Leading concert agencies have no time for him. He is still regarded as a rank outsider, except by those in the know. His close circle of supporters is especially fond of his highly personal readings of Prokofiev's Seventh Sonata, Liszt's "Rhapsodie espagnole", Schubert's "Wandererfantasie" and Chopin's nocturnes, with their world of sophisticated tone-painting. The works by Busoni, Albeniz and Godowsky that he plays are not in the repertory of any other Russian pianist.

시요민은 여전히 그의 시간을 가르치는 데에 보내야 하는데, 그의 추종자들이 그를 들을 수 있는 홀들이 작고 변변찮은 수입 때문이다. 주요한 콘서트 기획자들이 그를 싫어한다. 그는 여전히 지인들을 제외하고는 완전 문외한으로 여겨진다. 그와 가까운 지지자들은 세련된 음화(音畵 : 표제 음악에서 가사나 이야기를 음악적으로 묘사하는 일)의 세계를 가진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제7번, 리스트 <스페인 랩소디>, 슈베르트 <방랑자 환상곡>, 쇼팽의 녹턴들을 매우 개성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가 연주하는 부조니, 알베니스, 고도프스키의 작품들은 (러시아 피아노 스쿨 음반에 나오는) 다른 러시아 피아니스트들의 레퍼토리에 없다.

With his profoundly poetical touch, this astonishing chamber pianist, who has made a virtue of a necessity, also has his household gods: he swears by Anton Rubinstein, Sergei Rachmaninov, Josef Hofmann, Vladimir Horowitz and Emil Gilels - an impressive list of models.

그의 깊은 시적인 터치로, 이 놀라운 홀의 피아니스트는 부득이하게 해야 하는 일을 자신에게 도움이 되게 했으며 그의 가정의 수호신도 가지고 있다. - 그는 안톤 루빈스타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유제프 호프만,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에밀 길렐스를 깊이 신뢰한다. - 인상적인 모델들의 명단이다.

An Indefatigable Arranger: Leopold Godowsky / 지칠 줄 모르는 편곡자 - 레오폴트 고도프스키
Of all the composers included in the present recording, pride of place must go to Leopold Godowsky: an outstanding virtuoso of Polish birth, he is entirely worthy of taking his place in the ranks of impassioned arrangers of other composers' music, a tradition that extends from Liszt to Busoni and beyond and that has its orchestral counterpart in conductors such as Stokowski, who adapted keyboard music for the orchestra. The cosmopolitan Godowsky was born in Vilna (now Vilnius), studied in Berlin and Paris (where his mentors included Saint-Saens) and taught in the United States, Vienna and Berlin. He settled in the United States in 1914 but remained a peripatetic, captivating audiences throughout the world with his playing and with his unique adaptations of great works. Our pasticcio comprises three more or less free transcriptions by Godowsky: the Rameau is a piano arrangement of music originally scored for the harpsichord; the Albeniz is a virtuoso elaboration of what was originally a piano piece; and the work by Johann Strauss is brilliant Lisztian paraphrase, the exuberant sonorities of which suggest symphonic textures on the part of a pianist-composer whose style is almost improvisatory.

현재 녹음에 포함된 모든 작곡가들 중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중요한) 자리는 레오폴트 고도프스키에게 가야 한다. 폴란드 출신의 뛰어난 비르투오소인 그는 다른 작곡가들의 음악에 대한 인상적인 편곡자들 중에서 그의 자리를 차지할 가치가 있는데, 리스트부터 부조니와 그 이후까지 확장되는 전통은 건반 음악을 오케스트라를 위해 편곡했던 스토코프스키 같은 지휘자들의 관현악적인 대응에 해당된다. 코스모폴리탄(세계인)인 고도프스키는 빌나(현재 빌뉴스)에서 태어나 베를린과 파리(그의 멘토로는 생상스를 포함)에서 공부했으며 미국, 비엔나, 베를린에서 가르쳤다. 그는 1914년 미국에 정착했으나, 연주와 위대한 작품들에 대한 자신만의 독특한 적용을 통해 전 세계의 청중들을 사로잡는 순회자로 남았다. 우리의 파스티치오(합성작품, 여기서는 편곡한 작품)는 고도프스키에 의한 3개 이상 또는 더 적은 자유로운 편곡들로 구성된다. - 라모의 작품은 원래 하프시코드를 위해 작곡된 음악의 피아노 편곡이다. - 알베니스의 작품은 원래 피아노곡이었던 것의 거장적인 완성이다. - 그리고 요한 슈트라우스의 작품은 화려한 리스티안(리스트적인) 패러프레이즈로, 거의 즉흥적인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의 일부에서 교향적인 텍스처를 제안하는 활기 넘치는 듣기 좋은 곡이다.

Chopin Seen through Paganini's Eyes / 파가니니의 시각을 통해 보이는 쇼팽
There follows another, substantially earlier paraphrase of a piece by the inventor of the cult of the star performer, the devil's violinist himself, Nicolo Paganini. That Franz Liszt fell under the spell of the Genoan violinist and was inspired to become the "Paganini of the piano" is sufficiently well known. Less familiar is the fact that Chopin - like Syomin, a withdrawn and aristocratic figure who preferred the intimate salon to the echoing concert hall - was likewise drawn to Paganini: his A major Variations were written in 1829 in the wake of the violinist's visit to Warsaw.

거기에 또 다른, 스타 연주자의 유행의 창안자로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인 니콜로 파가니니에 의한 곡에 대한 매우 초기 작품인 패러프레이즈가 이어진다. 프란츠 리스트가 제노바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의 영향을 받아 “피아노계의 파가니니”가 되는 것에 대한 영감을 받았던 것은 충분히 잘 알려져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은 쇼팽도 - 울려 퍼지는 콘서트홀보다 친밀한 살롱을 선호했던 내성적이고 귀족적인 시요민처럼 - 마찬가지로 파가니니에 끌렸다는 것이다. - 그의 변주곡은 바이올리니스트가 바르샤바를 방문한 결과로 1829년에 쓰였다.

A Late Lullaby / 뒤늦은 자장가
Fourteen years later the proven master wrote his only berceuse. In D flat major, it proves how few structural elements a genuine composer needs: a single-bar ostinato in the left hand extends over no fewer than 72 bars, alternating between tonic and dominant and thereby fulfilling the aims of a lullaby, relaxing, calming and inducing a feeling of drowsiness. The right hand etches in the simple melody, which is heard sixteen times in total, but which sounds different each time as a result of more and more new figurations, thereby avoiding the aesthetic danger of monotony - after all, neither the pianist nor his public is meant to fall asleep.

14년 후 입증된 마스터는 그의 유일한 자장가를 썼다. 내림D장조에서 이 곡은 진정한 작곡가가 요구하는 구조적인 요소들이 얼마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 한 마디 단위의 왼손 오스티나토(고집스럽게 반복되는 음형)는 토닉(으뜸음인 Db음)과 도미넌트(딸림으로 으뜸음에서 완전 5도 위인 Ab음) 사이를 번갈아 나오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장가의 목표를 달성하고 휴식하고 진정시키고 졸린 느낌을 유발하면서 72마디까지 확장하지 않는다. 오른손은 전체적으로 16번 들리는 단순한 멜로디로 부각시키지만, 점점 더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번 다른 소리를 내며 따라서 단조로움의 심미적인 위험을 피한다. - 결국 피아니스트도 대중도 마찬가지로 잠들 수 있다.

Chopin Berceuse in Db, Op. 57 / 쇼팽 자장가에서 왼손의 오스티나토

A Promising Start but a Premature End / 조짐이 좋은 시작 그러나 예상보다 이른 종말
Among composers who died at a tragically early age - one inevitably thinks here of Schubert, Weber, Pergolesi and Mozart - few suffered a more grievous fate than Alexei Stanchinsky, who died in 1914, at the age of twenty-six, in circumstances that have never been fully explained. With its curious stylistic mixture of unusual components, his music speaks of the Russian countryside where he died and of a simple, rural life. He was eleven when he began studying composition in 1909 with Alexander Grechaninov and Sergei Taneyev, who, in turn, had studied with Tchaikovsky. His piano teachers were Konstantin Eiges (see below) and Konstantin Igumnov. He felt a strong attachment to the folk music and customs of his native Russia: of its folk music, he once said that he was "convinced that its beauty is reflected in me and in my works in a thoroughly uncanny way". At the same time, his works contain unmistakable echoes and reminiscences of Taneyev's strict counterpoint (Taneyev was regarded as an authority on fugue), Grieg's melancholy, Scriabin's harmonic refinements and the early Prokofiev's jaunty modernity.

비극적으로 일찍이 사망한 작곡가들 중에서 - 필자는 불가피하게 슈베르트, 베버, 페르골레지, 모차르트를 생각하는데 - 결코 완전히 설명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1914년 26세에 사망한 알렉세이 스탄친스키보다 더 통탄할 운명을 겪은 사람은 없다. 특이한 구성 요소들이 별난 양식으로 혼합된 그의 음악은 그가 사망했던, 단지 전원생활을 했던 러시아의 시골을 말한다. 그가 1909년에 작곡을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는 11세였는데 알렉산더 그레차니노프와 세르게이 타네예프를 사사했으며 이어서 차이코프키를 사사했다. 그의 피아노 스승은 콘스탄틴 에이게스(아래 참고)와 콘스탄틴 이굼노프였다. 그는 조국 러시아의 민속음악과 풍습에 대해 강한 애착을 느꼈다. - 러시아의 민속음악에 대해 그는 “그것의 아름다움은 나와 내 작품들 안에서 철저하게 초자연적인 방식으로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신했다”고 말했다. 동시에 그의 작품들은 타네예프의 엄격한 대위법(타네예프는 푸가의 권위자로 여겨졌다.), 그리그의 우울함, 스크리아빈의 세련된 화성, 초기 프로코피에프의 경쾌한 근대성의 틀림없는 메아리와 추억을 함유한다.

Triumph in Exile / 망명의 성공
Others were more fortunate, even if, as a result of political developments at home, they found their fortune and a lifetime's success abroad. Nikolai Medtner continues to be acclaimed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s the very epitome of romantic pianism. (He spent the last sixteen years of his life in London.) Like Scriabin and Rachmaninov, who were his elders by only a few years, Medtner was an outstanding pianist and was awarded the Moscow Conservatory's gold medal when he graduated in 1900. (Both he and his teacher, Vasily Safonov, should by rights have received a diamond medal.) He taught at the conservatory for several years and spent more than four decades giving concerts throughout the whole of Europe. A passionate admirer of Beethoven, Medtner avoided Romantic excesses in his dozen or so sonatas and in that way constitutes an understated counterpart to Scriabin, for example. Yet his work is profoundly Romantic in other ways, especially in its brooding introspection, a quality inherited from his parents, both of whom were of German extraction. While Scriabin was busy creating the piano poem and Rachmaninov the "etude-tableau", Medtner devoted himself, significantly, to a particularly nostalgic and poetic form, that of the "skazka" or fairy tale.

다른 이들은 더 운이 좋았는데, 러시아에서의 정치적인 발전의 결과로 인한 것이었지만, 그들은 해외에서 행운과 평생의 성공을 찾았다. 니콜라이 메트너는 낭만적인 피아니즘의 전형으로 영어권 세계에서 계속 찬사를 받는다. (그는 런던에서 인생의 마지막 16년을 보냈다.) 불과 몇 년 선배인 스크리아빈과 라흐마니노프와 마찬가지로, 메트너는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1900년에 모스크바 음악원 졸업 시 금메달을 받았다. (그와 그의 스승인 바실리 사포노프 모두 이상적으로는 다이아몬드 메달을 받아야 한다.) 그는 음악원에서 몇 년 동안 가르쳤으며 유럽 전역에서 40년 이상 콘서트를 가졌다. 베토벤의 열렬한 찬미자인 메트너는 10여 개의 소나타에서 지나치게 낭만파적인 것을 피했으며 그런 식으로, 예를 들어, 스크리아빈에 대한 절제된 부분을 구성한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다른 면, 특히 모두 독일 혈통인 그의 부모님에게서 유전된 성질에서 낭만파적인 것을 중시한다. 스크리아빈이 피아노 포엠을 창조했고 라흐마니노프가 “음의 그림-연습곡”을 만드는 동안 메트너는 좀 더 고전적이고 러시아적인 향수가 감도는 “스카즈카”(옛 이야기)라는 장르에 힘을 쏟았다.

Medtner wrote around thirty "skazki", the most popular of which are the two published as his Op. 20 in 1909. No. 1 in B flat minor (Allegro con espressione) begins lyrically but builds to a powerful and desperate climax marked triple "forte". Listeners unfamiliar with Medtner's style will suspect that it is Rachmaninov that they can hear. Certainly, the older composer recognised the essential affinity between him and his younger compatriot and took the piece into his repertory, playing it so often that it soon became its composer's best known work. Its ebullient, triple-time metre notwithstanding, No. 2 in B minor (Pesante, minaccioso) builds to a threatening climax. A number of Medtner's fairy tales have programmatical titles that help the listener to make the imaginative leap necessary to understand them. One such title is "Campanella: The Song or Fairy Tale of a Bell" (also known as "The Threatening Bell"). Similar bell-like effects were created by Rachmaninov in the first and last of his 24 Preludes and by Lyapunov in his concert study "Trezvon": in Medtner's case the listener can hear a beautiful cantilena recalling the world of Mother Russia in the instrument's middle register, while the accompaniment in both hands grows increasingly luxuriant and the pealing of a carillon of bells recalls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s subsidiary voices ("podgoloski") enter freely.

메트너는 30곡 가량의 “스카즈카”를 썼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1909년에 출판된 2개의 스카즈카 Op. 20이다. 1번(빠르고 감정을 풍부하게)은 서정적으로 시작하지만 “포르테”(세게)가 3개 붙은(포르티티시모) 강력하고 극단적인 클라이맥스가 된다. 메트너의 스타일에 익숙하지 않은 청취자들은 그들이 들을 수 있는 라흐마니노프라고 의심할 것이다. 확실히, 연상의 작곡가는 그와 그의 더 어린 동포 작곡가들 사이의 본질적인 친화력을 인식했고 이 곡을 그의 레퍼토리로 가져갔으며, 종종 연주되면서 곧 작곡가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이 되었다. 열광적인 3박자임에도, 2번(무겁게, 위협적으로)은 위협적인 클라이맥스가 된다. 메트너의 많은 “옛 이야기”에는 청취자들이 곡들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상상력이 도약하도록 도와준 계획에 따른 제목들이 있다. 그러한 제목 중 하나는 <캄파넬라 - 종의 노래 또는 종의 옛 이야기>이다. (<위협적인 종>으로도 알려져 있다). 유사한 종소리 효과는 라흐마니노프의 24개 프렐류드 중에서 첫 곡(Op. 3 No. 2 <모스크바의 종>)과 마지막 곡(Op. 32 No. 13), 리아푸노프의 연주회용 연습곡 Op. 11 No. 3 <트레즈본>(=카리용=편종 : 연주를 할 수 있도록 종을 늘어놓은 악기)에서 만들어졌다. - 메트너의 경우 청취자는 악기의 중간부에서 모국 러시아의 세계를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칸틸레나(서정적인 선율)를 들을 수 있는 반면, 양손의 반주는 점점 풍성해지고 편종의 소리는 부수적인 목소리들(메아리)이 자유롭게 들어오는 것처럼 러시아 정교회를 연상케 한다.

A Marginal but Rewarding Figure / 미미하지만 보람 있는 연주
For the non-Russian music lover, there are still gratifying discoveries to be made among some of the lesser known Russian composers. Oleg Konstantinovich Eiges was the son and pupil of a professor at the Moscow Conservatory, whom we have already met as one of Stanchinsky's teachers and who, in turn, had studied with Tchaikovsky's pupil, Sergei Taneyev. Eiges additionally studied the piano with Egon Petri, who numbered Busoni among his teachers. He wrote his Fourth Sonata at the end of the 1930s. A single-movement work, it combines sonata form with toccata-like elements and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n agitated introduction leads to the gloomy toccata theme, which builds in turn to an impetuous climax, before giving way to a lyrical second subject. Its often crystalline, filigree textures are suddenly rent by an implacable, irrefutable fugue subject, which is shortly joined by the toccata theme. A magnificent explosion of passion ensues. But the composer still has a further climax in store in the form of a powerful return of the lyrical cantilena. The work ends with the typically Russian sound of bells, beneath which the fugue subject loses its minatory harshness. As instantly understandable today as ever it was in the past, such a beautiful message retains its telling relevance.

비러시아 음악 애호가들을 위해, 덜 알려져 있는 러시아 작곡가들 중에는 여전히 만족스러운 발견이 있다. 올렉 콘스탄티노비치 에이게스는 우리가 이미 스탄친스키의 스승들 중의 한 명으로 만났던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의 아들이자 제자로, 이어서 차이코프스키의 제자인 세르게이 타네예프를 사사했다. 에이게스는 부조니의 제자였던 에곤 페트리와 함께 피아노도 공부했다. 그는 1930년대 말에 네 번째 소나타를 썼다. 단악장인 이 작품은 토카타의 요소를 차용하여 소나타의 주제를 발전시키는 데에 사용한 것인데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불안한 도입부는 서정적인 두 번째 주제로 넘어가기 전, 자극적인 클라이맥스에 이르는 우울한 토카타 주제로 이끈다. 수정같이 맑은, 줄 세공 같은 구조들은 곧 토카타 주제로 합류하는 인정사정없는, 반박할 수 없는 푸가 주제로 갑자기 쪼개진다. 열정의 웅장한 폭발은 계속된다. 그러나 작곡가는 아직도 서정적인 칸틸레나의 강력한 복귀의 형태로 닥쳐올 부가적인 클라이맥스를 가지고 있다. 이 작품은 전형적인 러시아의 종소리로 끝나는데, 그 아래에서 푸가 주제가 위협적인 거친 소리를 잃는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오늘날 즉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아름다운 메시지는 관련성을 말하는 것을 유지한다.

A Spanish Hit / 스페인의 히트곡
It was the Iberian peninsula that inspired Syomin's earliest recordings: as already noted, the organisation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Spain-USSR", made possible the release of a double album containing the whole of Issac Albeniz' piano cycle, "Iberia". (The set was soon sold out.) Albeniz led an eventful life: an infant prodigy, he stowed away on a ship bound for South America while only twelve, organised his own concert tours and later took lessons with d'Indy, Dukas and the elderly Liszt. Like his compatriot, Enrique Granados, he sought to write in an unambiguously Spanish idiom, while not eschewing Andalusian orientalisms. A world-famous success, his Tango from "Espana" has been the subject of every conceivable type of arrangement.

시요민의 초기 녹음에 영감을 준 것은 이베리아 반도였다. 이미 언급했듯이 국제 협력 조직인 “스페인-소련”은 이삭 알베니스의 피아노 모음곡 <이베리아> 전체를 포함하는 두 장의 앨범 발매를 가능하게 했다. (이 세트는 곧 매진되었다.) 알베니스는 다사다난한 인생을 살았다. - 신동이었던 그는 불과 12세에 남아메리카로 향하는 배를 몰래 탔고, 그의 콘서트 투어를 조직했으며 나중에 뱅상 댕디, 뒤카, 더 연장자인 리스트를 사사했다. 그의 동포 작곡가인 엔리케 그라나도스처럼, 그는 안달루시아의 동양풍을 피하지 않으면서 분명히 스페인적인 이디엄(언어)으로 쓰려고 노력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성공작인 그의 <에스파냐> 중 탱고는 모든 가능한 편곡 유형의 주제의 대상이었다.

Cultivated Passion: Bizet a la Busoni / 세련된 정열 - 부조니가 편곡한 비제
Like Franz Liszt, the German-Italian composer Ferruccio Busoni was fond of taking other composers' works and themes and subjecting them to his own creative reworkings: adaptations and fantasias make up almost half of all the pieces that he wrote for the piano. Among the works that he adapted in this way are Peter Cornelius' "Der Barbier von Bagdad", Karl Goldmark's "magic opera" "Merlin", Bach chorales and Mozart's "Don Giovanni" and "Le nozze di Figaro", together with a number of the last-named composer's concerto movements. "Carmen", too, inevitably came within Busoni's sights, and it was to Bizet's final masterpiece that he devoted the last of his Six sonatinas. The piece dates from 1920, the year in which Busoni finally returned to Berlin from his six-year self-imposed exile in Zurich in order to begin a series of masterclasses at the city's Academy of Arts. As a curious footnote to the history of music, it is perhaps worth mentioning that among his pupils here was Kurt Weill, whose forays into jazz and light music in the form of "The Threepenny Opera" left the high-minded Busoni in a state of what - to put it mildly - was not inconsiderable shock.

이탈리아계 독일 작곡가인 페루치오 부조니는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과 주제를 취하여 자신이 창의적으로 재작업하는 것을 좋아했다. - 편곡과 판타지아는 그가 피아노를 위해 쓴 모든 곡의 거의 절반 가량 된다. 그가 이런 방식으로 편곡한 작품들 중에는 페터 코르넬리우스의 오페라 <바그다드의 이발사>, 카를 골트마르크의 마법사를 다룬 오페라 <멀린>, 바흐 코랄,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와 <피가로의 결혼>, 모차르트의 많은 협주곡 악장들의 편곡이 있다. <카르멘> 역시 부조니의 시야에 불가피하게 들어왔으며, 부조니가 그의 6개 소나티나 중 마지막 곡을 헌정한 것은 비제의 마지막 걸작이었다. 이 곡은 1920년에 쓴 것으로, 부조니가 마침내 취리히에서 6년간 자진해서 한 망명으로부터 베를린으로 돌아와서 베를린 음대에서 일련의 마스터클래스를 시작한 해였다. 음악사에 대해 궁금한 보충 설명으로, 여기에 있는 그의 제자들 중에 <서푼짜리 오페라>의 형식에서 재즈와 가벼운 고전음악에 진출하여 고상한 부조니를 적잖은 충격이었던 가볍게 두는 상태로 남겨두었던 쿠르트 바일이 있다는 것을 언급할 가치가 있다.


http://m.blog.daum.net/johnkchung/118697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0575&cid=41773&categoryId=41775
https://www.youtube.com/watch?v=EQpRu-sjc40
https://www.youtube.com/watch?v=KOW9Xr6pRvM
https://www.youtube.com/watch?v=XS1U_9DHZK4
https://www.youtube.com/watch?v=EQL4Fz6JI8U
https://www.youtube.com/watch?v=MrW6vz9fQ70
https://www.youtube.com/watch?v=2PqRHnXabOs
https://www.youtube.com/watch?v=mbto5EgBCgQ
https://www.youtube.com/watch?v=6I1pB6ujJf8
https://www.youtube.com/watch?v=zVdcwORlJNs
https://www.youtube.com/watch?v=KEFAKTW6KVw
https://www.youtube.com/watch?v=S1t35UZ0diM
https://www.youtube.com/watch?v=JnMAZhd0x1w
https://www.youtube.com/watch?v=p7PAZZZHwgM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연주자들 중의 한 명인데, 아마존에서 찾아보니 2010년 이후에 알베니스 이베리아 모음곡 연주한 음반이 하나 더 나왔다. 에드바르드 시요민의 알베니스 음반을 검색하다가 이름의 다른 표기(Eduard Semin)을 알게 되었다. 라모의 탕부랭은 중학교 때 <우박은 춤춘다>라는 노래로 배웠다.

Google Drive / 2024. 04.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dilia Alieva”

프랑스의 아딜리아 알리예바 국제피아노콩쿠르는 아제르바이잔 피아니스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대회이다. 2014년까지 가야르에서 열리다가 2016년부터 안마스에서 열린다. 제3회 2002 Gaillard 비르투오시티 특별상 Ekaterina Avde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