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레이블이 Recording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Recording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6월 23일 월요일

Jean-Yves Thibaudet - NPR Music Tiny Desk Concert in Washington DC (21 March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jlv4wrfKl4Y


장-이브 티보데 - 2025년 3월 21일 워싱턴 DC NPR 뮤직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

Villa-Lobos: A prole do bebê No. 1 Bonecas - VII. O polichinelo / 빌라로부스 모음곡 <아기인형의 가족> 1번 <인형들> 중 7번 <땅딸이 꼽추인형>

Brahms Intermezzo in A, Op. 118 No. 2 / 브람스 간주곡 작품 118-2

Ravel Pavane pour une infante défunte / 라벨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내가 좋아하는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인 티보데가 어느덧 60이 넘었다. 내가 생각하는 티보데의 리즈 시절은 의외로 풋풋한 20대가 아니다. 30대에서 40대를 거쳐 50대로 나이 든 모습이다. 히히히! 아직도 귀걸이를 하고 있는데 왼쪽만~ 독일에서는 한쪽만 귀걸이를 하면 게이란 표시라고 들었다.

Lara St. John & Matt Herskowitz - NPR Music Tiny Desk Concert in Washington DC (9 May 2016)


https://www.youtube.com/watch?v=NvHPuggkDpU


라라 세인트존 & 매트 헤르스코비츠 - 2016년 5월 9일 워싱턴 DC NPR 뮤직 타이니 데스크 콘서트

Czardashian Rhapsody (arr. Martin Kennedy) / 차르다시 랩소디 (마틴 케네디 편곡)

Sari Siroun Yar (arr. Serouj Kradjian) / 사리 시룬 야르 (세루이 크라지안 편곡)

Oltenian Hora (arr. Lara St. John) / 올테니아 호라 (라라 세인트존 편곡)


차르다시 랩소디는 리스트 헝가리 랩소디 2번과 몬티 차르다시를 섞은 곡. 유튜브에서 보고 나서 지웠으므로 가지고 있지 않다. 라라 세인트존이 식사(Shiksa) 음반에 수록된 곡들을 들려줬는데 루마니아, 아르메니아, 유대인들의 민요에서 나온 선율들이다.

2025년 2월 12일 수요일

Inside a Rehearsal with Daniil Trifonov & Sergei Babayan (28 June 2024)


https://www.youtube.com/watch?v=LNUjvS90Zao&t=33s


Meet Daniil Trifonov and Sergei Babayan behind the scenes in rehearsal for a two-piano concert at Aspen Music Festival and School during its 75th Anniversary Season.


아스펜 음악제 75주년 기념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콘서트 리허설 속으로

Harris Concert Hall, Aspen, Colorado / 2024년 6월 28일 콜로라도주 아스펜 해리스 콘서트홀


Sergei Babayan: [That’s a “professorly” tempo. No, this doesn’t sound light or joyful. That’s very boring.]


세르게이 바바얀 : [그건 “교수님 같은” 템포야. 아니, 이건 가볍거나 즐거운 소리가 아니야. 매우 지루하지.]


Daniil Trifonov: [I haven’t had breakfast.]


다닐 트리포노프 : [아직 아침을 안 먹어서요.]


[Rachmaninoff Suite No. 2 for 2 Pianos, Op. 17: II. Valse]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2번 2악장 왈츠]


Daniil Trifonov: When I first arrived to study with Sergei, I tried to understand as much as I could but of course it always takes a little bit of time and that’s when, I would say, certain things became even more clear to me.


다닐 트리포노프 : 제가 처음 세르게이와 함께 공부하게 되었을 때, 가능한 한 많이 이해하려고 노력했지만 물론 항상 약간의 시간이 걸렸고, 그때야 ​​어떤 것들이 더욱 명확해졌다고 말씀드렸습니다.


Sergei Babayan: [This is my first solo moment, let me play.]


세르게이 바바얀 : [이건 내가 처음으로 연주하는 독주 파트니까, 내 연주가 드러나도록 할게.]


Daniil Trifonov: There always will be some ideas that come to fruition some years later, and not immediately. But I would say that when I first arrived I tried to understand as much as I could from the beginning.


다닐 트리포노프 : 몇 년 후에 실현되는 아이디어가 항상 있을 것이고, 즉시 실현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처음 도착했을 때 처음부터 가능한 한 많이 이해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하고 싶어요.


Sergei Babayan: I taught many very gifted pupils. Not one of them were so quick as he was. I told my wife, in two weeks he took more from me than some people who study for five years. So he’s right that he says he immediately begins to understand very quickly. When you teach, also, you realize how patient they were. Because you understand that these things cannot be done quickly. For instance I could not understand why my teacher was so obsessed with the Russian word “Prointonirovanniy zvuk”. A sound which is... intonation. “Intonated sound” if I tried to literally translate from Russian. So I did not understand, why is it that important? And now I know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세르게이 바바얀 : 저는 매우 재능 있는 학생들을 많이 가르쳤는데요. 그중 다닐보다 빨랐던 학생은 한 명도 없었어요. 아내에게 말했는데, 그는 2주 만에 5년 동안 공부한 몇몇 사람들보다 더 많은 것을 저에게서 배웠죠. 그래서 그는 즉시 매우 빨리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죠. 가르칠 때도 그들이 얼마나 많이 인내했는지 깨닫게 됩니다. 이런 것들은 빨리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니까요. 예를 들어 저는 제 스승님이 러시아 단어 “프로인토니로반니 즈부크”에 왜 그리도 집착했는지 이해하지 못했는데요. 인토네이션(노래나 연주 시 의도한 음정에 정확히 도달했는지 여부)인... 소리입니다. 러시아어에서 문자 그대로 번역하려고 시도한다면 “억양이 있는 소리”입니다. 그래서 그게 왜 그리도 중요한지 이해하지 못했어요. 그리고 이제는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압니다.


[Schumann/Babayan: Andante & Variations, Op. 46]


[슈만 <안단테와 변주곡> (바바얀 편곡)]


Daniil Trifonov: [This is like [Schumann] Kreisleriana.]


다닐 트리포노프 : [이 곡은 [슈만] 크라이슬레리아나 같아요.]


Sergei Babayan: [The bass notes sound a bit too heavy. I have tops, and you sound continue with tops too. In this tempo it is easier to play one connected, single line. It’s harder to play it slower. One more time.] Intonation, the way we speak to each other when we say something, we can say the same word with different intonation.


세르게이 바바얀 : [베이스 음이 좀 너무 무겁게 들려. 나는 고음부를 내고 있고, 너는 고음부를 계속 치는 것처럼 들려. 이 템포에서는 연결된 단선율을 연주하는 게 더 쉽거든. 더 느리게 연주하는 건 더 어려워. 한 번 더.] 인토네이션, 우리가 뭔가를 말할 때 서로에게 말하는 방식으로, 우리는 같은 단어를 다른 음정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Daniil Trifonov: How one sound goes to another, in a relationship between one to another, and...


다닐 트리포노프 : 하나의 소리가 다른 소리로 전달되는 방식, 소리와 소리 사이의 관계, 그리고...


Sergei Babayan: But also “intonation” means a certain light and warmth and sound...


세르게이 바바얀 : “인토네이션”도 특정한 빛, 따뜻함, 소리를 의미하지...


Daniil Trifonov: Yeah, but if it’s only one note, it wouldn’t be considered enough for “intonation”.


다닐 트리포노프 : 예, 하지만 음이 하나뿐이라면 “인토네이션”으로 간주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거예요.


Sergei Babayan: It could be.


세르게이 바바얀 : 그럴 리가.


Daniil Trifonov: But usually it’s part of a phrase.


다닐 트리포노프 : 하지만 대개 프레이즈의 일부죠.


Sergei Babayan: Yes, of course.


세르게이 바바얀 : 어, 맞아.


Daniil Trifonov: It will be more of a gesture, almost like a... expressive gesture.


다닐 트리포노프 : 마치... 표현을 나타내는 몸짓 같은, 더 많은 제스처가 될 거예요.


Sergei Babayan: In the same time, we could take separate sound and say that sound is with intonation, or without. [Fine?]


세르게이 바바얀 : 동시에, 우리는 별도의 소리를 취하고 그 소리는 인토네이션이 있거나 없다고 말할 수 있어. [좋아?]


Daniil Trifonov: [Yes.] (playing Schumann Kreisleriana)


다닐 트리포노프 : [네.] (슈만 크라이슬레리아나 연주)


Sergei Babayan: [I think the storytelling will be at the forefront if we don’t play it too slowly.] I think I found my teachers (e.g. Lev Naumov) because I fell in love with the way they express themselves, the language they used. There was no need to talk about technical things, because if someone says, “this is a singing ray in the fog” when you hear that sound your hands immediately becomes that fog in the left hand and that singing ray in the right hand. And some other teacher would say, “Play the left hand piano, and right hand a little bit more sound.” That’s very boring and that would not inspire me at all.


세르게이 바바얀 : [우리가 너무 느리게 연주하지 않는다면 스토리텔링이 중심에 있을 거야.] 제 스승님들(예를 들어 레프 나우모프)을 만난 이유는 그분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 사용했던 언어에 반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기술적인 것에 관해 말할 필요가 없었는데, 누군가가 “이것은 안개 속에서 노래하는 광선”이라고 말한다면, 그 소리를 들을 때 양손은 즉시 왼손의 안개와 오른손의 노래하는 광선이 되거든요. 그리고 다른 선생님은 “왼손은 피아노로(여리게) 연주하고 오른손은 조금 더 소리를 내라.”고 말씀하셨죠. 되게 지루하고 제게 전혀 영감을 주지 못할 것입니다.


Ben Laude: Daniil, do you remember this from your lesson days with Sergei?


벤 로드 : 다닐, 세르게이의 레슨을 받던 시절에 이런 일이 있었던 걸 기억하시나요?


Daniil Trifonov: Yes, of course, very much so.


다닐 트리포노프 : 네, 물론, 아주 많이요.


Ben Laude: Any particular images that he stuck in your mind?


벤 로드 : 그가 당신의 기억 속에 떠올린 특별한 이미지가 있나요?


Daniil Trifonov: Kind of outside of the actual direct implication of what you’re going to do, but still it’s very specific. Like, this melody should sound “wounded”. To play “wounded”. Chopin...


다닐 트리포노프 : 실제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직접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있지만, 그래도 매우 구체적인데요. 예를 들면, 이 멜로디는 “상처받은” 것처럼 들려야 하는데요. “상처받은” 것처럼 연주하려면. 쇼팽...


[Chopin Piano Concerto No. 1 in e, Op. 11: I. Allegro maestoso]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Sergei Babayan: With Daniil I felt, right away, Chopin. I felt that he breathes it. There are some things which I wanted him to deepen. Bach, J.S. Bach was there. You cannot instill Bach if it’s not there. It has to be there, natural. And then I thought, he should prepare for that competition and I gave him lots of Chopin because from the beginning when we get to know a student, it’s good material to teach many things. And then he himself calls me, he said one day, “Can I prepare for Chopin?” I said, “We have only one year, do you think you can?” But I did not know his speed. Now I know at the time that he could do, in one year, that entire repertoire was new, except we used a couple pieces from the old books. Scherzo No. 3, and...


세르게이 바바얀 : 저는 다닐의 연주에서 쇼팽을 바로 느꼈어요. 그가 쇼팽을 숨 쉬게 하는 것 같았어요. 그가 더 깊게 하길 바랐던 게 몇 가지 있는데요.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해당하죠. 거기에 없다면 바흐를 주입할 수 없거든요. 자연스럽게 있어야 합니다. 그러고 나서 다닐이 그 대회를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쇼팽의 작품들을 많이 접하도록 했는데, 처음부터 학생을 이해하게 되면 많은 것을 가르치기에 좋은 대상이 되거든요. 그러던 어느 날 그가 직접 제게 전화를 걸어 “제가 쇼팽을 준비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었어요. 저는 “1년밖에 없는데, 할 수 있을 것 같니?”라고 물었죠. 하지만 당시에는 그가 익히는 속도를(그가 얼마나 빨리 습득하는지) 몰랐죠. 지금은 우리가 오래된 악보들에서 몇 곡을 오랫동안 공부한 것을 제외하면, 그가 1년 만에 그 모든 레퍼토리를 새로 익힐 수 있다는 걸 알죠. 스케르초 3번, 그리고...


Daniil Trifonov: No, Scherzo No. 3 was new, and No. 4. I’d played 1 and 2, and I learned 3 and 4 for the competition.


다닐 트리포노프 : 아니, 스케르초 3번이 새로 배운 것이고, 4번이요. 1번과 2번을 연주했고 콩쿠르를 위해 3번과 4번을 배웠죠.


[Chopin Scherzo No. 4 in E, Op. 54]


[쇼팽 스케르초 4번]


Daniil Trifonov: The only things I think were... Etude No. 4. That was one I played before. And Andante spianato I played.


다닐 트리포노프 : 제가 생각하는 유일한 것들은... 에튀드 4번. 그건 제가 연주했던 거예요. 그리고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를 연주했죠.


Sergei Babayan: But you did not play Etude No. 4 for the competition, you played No. 8.


세르게이 바바얀 : 하지만 넌 콩쿠르에서 4번을 연주하지 않고 8번을 연주했지.


[Chopin Etude in F, Op. 10 No. 8]


[쇼팽 연습곡 8번]


Ben Laude: Would you say Daniil inhales new repertoire?


벤 로드 : 다닐이 새로운 레퍼토리를 흡수한다고 말할 수 있겠군요?


Sergei Babayan: I don’t know how it’s possible. Art of Fugue...


세르게이 바바얀 : 어떻게 가능한지 모르겠어요. 푸가의 기법...


Daniil Trifonov: That took a very long time...


다닐 트리포노프 : 정말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9 della Duodecima]


[바흐 <푸가의 기법> 중 콘트라풍투스 9]


Ben Laude: Can you compare Art of Fugue maybe to the Rachmaninoff Concertos in terms of memory...


벤 로드 : 기억하는 시간적 범위에서 <푸가의 기법>을 라흐마니노프 협주곡들과 비교할 수 있을까요?


Daniil Trifonov: No... the Art of Fugue was the most time-consuming thing I ever did, just also because its polyphony in general is very complex, and it’s not just... the entire time it’s polyphony, nonstop, and very complex, so in that sense I would say anything else that I’ve played by any other composer would be not even remotely as complicated. It’s also the amount of concentration for your brain...


다닐 트리포노프 : 아뇨... 푸가의 기법은 제가 해본 것 중 가장 많은 시간이 드는 작품이었어요. 폴리포니(다성음악)도 전반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그저... 내내 다성음악이고, 끊이지 않고, 매우 복잡해서, 그런 의미에서 다른 작곡가의 그 어떤 것도 이렇게 복잡하지 않다고 말하고 싶어요. 뇌의 집중을 많이 요구하기도...


Sergei Babayan: You don’t have preludes, it’s fugues. All the time, fugues. And plus, it’s all in D minor. I don’t know how... I would probably jump from one fugue to another, and it’s possible, yes?


세르게이 바바얀 : 전주곡은 없고 푸가뿐이야. 항상 푸가. 게다가 전부 d단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군... 아마도 한 푸가에서 다른 푸가로 넘어갈 거야, 그렇지?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


[바흐 <푸가의 기법> 중 콘트라풍투스 1]


Daniil Trifonov: There was... when I was playing at the beginning, there were actually a couple tricky places where it’s easy to go from one fugue to another.


다닐 트리포노프 : 처음 연주할 때는... 실제로 한 푸가에서 다른 푸가로 쉽게 넘어갈 수 있는 까다로운 부분이 몇 군데 있었죠.


Sergei Babayan: Because it’s all in D minor...


세르게이 바바얀 : 모두 d단조라서...


Daniil Trifonov: Sometimes some of the modulations, they are not too different, so it’s actually it’s good to know those dangerous places.


다닐 트리포노프 : 가끔 변조 중 일부는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실제로 위험한 부분들을 아는 게 좋아요.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2, finished by Trifonov]


[바흐 <푸가의 기법> 중 콘트라풍투스 14 (트리포노프 완성)]


Sergei Babayan: With Vera (Gornostayeva), she had this philosophy which was very important in Bach. I played one voice very expressively, and other ones not so... I didn’t pay attention. And she told me that, just like in Christianity every human being is equal in front of God. You are just important... because this has few notes, it’s more harmonic, but it’s polyphonically still so important every voice has to be personalized. And also with Mozart, too. Things she would show with the left hand. The way she would show it was so speaking. [Bass is a bit rough here, there’s too much of them.]


세르게이 바바얀 : 베라 고르노스타예바 스승님을 예로 들면, 그녀는 바흐에서 매우 중요했던 철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저는 한 성부를 매우 표현력 있게 연주했고, 다른 성부들은 그렇지 않아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거든요. 그리고 그녀는 기독교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든 인간은 신 앞에서 평등하다고 말씀하셨죠. 이건 중요한데... 음들이 적고, 보다 화성적이지만, 다성음악적으로는 여전히 매우 중요하므로 모든 성부가 개별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차르트도 마찬가지인데요. 그녀가 왼손으로 보여줄 것들이었죠. 그녀가 보여주는 방식은 매우 강렬했어요. [여기서 베이스는 약간 거칠고, 그런 게 너무 많아.]


[Mozart Sonata for 2 Pianos in D, K. 448: I. Allegro con spirito]


[모차르트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악장]


Sergei Babayan: You know, Russian school has this reputation of many like Rachmaninoff and Liszt... but it’s not true. I experienced the way they felt and understood Bach and Mozart. It is, for me, very special. I felt that they know no less than any of those who were born in Western countries. No less, for sure, if not more in some way.


세르게이 바바얀 : 아시다시피 러시안 스쿨은 라흐마니노프와 리스트처럼 많은 사람으로부터 명성을 얻고 있지만... 사실이 아닙니다. 저는 그들이 바흐와 모차르트를 느끼고 이해하는 방식을 경험했습니다. 제게는 매우 특별하죠. 저는 그들이 서방 국가들에서 출생한 사람들보다 역시 더 안다고 느꼈는데요. 역시, 어떤 면에서는 더 많이 알고 있더라고요.


Daniil Trifonov: [I play them shorter.]


다닐 트리포노프 : [저는 좀 더 짧게 연주해요.]


Sergei Babayan: [Why do we have to play the same way? Some might like it longer with more pedal.]


세르게이 바바얀 : [왜 우리가 똑같은 방식으로 연주해야 할까? 어떤 사람들은 페달을 더 많이 밟고 더 오래 연주하는 것을 좋아할 수도 있거든.]


Daniil Trifonov: When I listen to Mozart and play Mozart, one thing that strikes me particularly is how quickly he changes characters. Some of it also maybe comes from his operas is that there are so many characters and I think in his piano repertoire you also have at least several different characters that you need to be able to switch in an instant.


다닐 트리포노프 : 모차르트를 듣고 모차르트를 연주할 때,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그가 캐릭터를 얼마나 빨리 바꾸는지입니다. 그중 일부는 그의 오페라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는데, 캐릭터가 너무 많고 그의 피아노 레퍼토리에는 적어도 몇 개의 다른 캐릭터가 있어서 순식간에 바꿀 수 있어야 한다고 봐요.


Sergei Babayan: [You can get rid of the A A A in the left hand.] With Vera, she would not say “play lighter.” These kinds of words, it was not in her vocabulary.


세르게이 바바얀 : [너는 왼손의 A A A음(라라라)을 없앨 수 있어.] 베라와 함께했다면, “더 가볍게 연주해.”라고 말하지 않았을 거예요. 이런 종류의 단어는 그녀의 어휘에 없었거든요.


[Mozart Sonata for 2 Pianos in D, K. 448: III. Molto allegro]


[모차르트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3악장]


Ben Laude: If there ever was something physical, there was always an idea?


벤 로드 : 물리적인 것이 있다면, 항상 아이디어도 있지 않나요?


Sergei Babayan: No, even if it was physical. Let’s say it was a staccato, she would say, “imagine that you touch some hot burning coals...” White already. So hot that they’re white. They’re not red anymore. So that was a way to describe how to play staccato.


세르게이 바바얀 : 아뇨, 그게 물리적인 것이라도. 스타카토를 예로 들면, 그녀는 이렇게 말씀하시곤 했어요. “뜨겁게 타오르는 숯을 만진다고 상상하라...” 이미 하얗죠. 너무 뜨거워서 하얗죠. 더는 빨간색이 아니에요. 따라서 그게 스타카토 연주법을 설명하는 방식이었죠.


Daniil Trifonov: [It was good!]


다닐 트리포노프 : [좋았어요!]


Sergei Babayan: [Really? My fingers feel like cotton.]


세르게이 바바얀 : [정말? 내 손가락은 솜처럼 느껴지는데.]


Daniil Trifonov: It’s just in general using a lot of imaginative language that would be evoking something that is not exactly from music, but from something else.


다닐 트리포노프 : 음악에서 나온 게 아니라 그 밖의 다른 것에서 나온 무언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상상력이 풍부한 언어를 많이 사용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Rachmaninoff Suite No. 2 for 2 Pianos, Op. 5: I. Barcarolle]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1번 1악장 뱃노래]


Ben Laude: Do you feel like the kind of art that you’re trying to achieve has required an enormous amount of sacrifice in your life and if so, what? What has been sacrificed? What do you feel like you don’t get to do because you’ve dedicated your life to piano?


벤 로드 : 당신이 이루고자 하는 예술이 당신의 삶에서 엄청난 희생을 요구했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무엇을 희생했나요? 무엇이 희생되었나요? 피아노에 인생을 바쳤기 때문에 무엇을 취할 수 없다고 느끼시나요?


Sergei Babayan: I feel that sometimes, my life is passing by me. But I’m not complaining. Don’t think because it’s more interesting for me to spend time with a Schubert Sonata than with some people. I have to meet extraordinary people who compete with Schubert Sonatas or Bach Goldberg Variations, which I play so many times. Still, each time that I play, I prefer nights before to be focused, to be with that program, rather than have a good time or whatever.


세르게이 바바얀 : 가끔 제 인생이 저를 지나쳐 가는 것 같아요. 하지만 불평하는 건 아니에요. 슈베르트 소나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게 몇몇 사람들과 함께 보내는 것보다 더 흥미롭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저는 슈베르트 소나타나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씨름하는 뛰어난 사람들을 만나야 하는데, 그 곡들을 여러 번 연주해요. 그래도 연주할 때마다 그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는 연주 전날 밤을 더 좋아해요.


Daniil Trifonov: Of course if there is a lot of material that I need to practice before a new program I have to play for the first time, I might practice up to eight hours a day for about two weeks. But that’s of course when I really have to prepare something urgently, and it really needs a lot of work. But in other moments I try to do other things as well, like especially here in Aspen, so...


다닐 트리포노프 : 물론, 처음으로 연주해야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위해 연습해야 할 소재가 많으면 하루에 최대 8시간씩 2주 동안 연습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물론 정말 급하게 무언가를 준비해야 할 때이고, 정말 많은 작업이 필요할 때입니다. 하지만 다른 순간에는 특히 아스펜에서처럼 다른 것들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Ben Laude: Are you going hiking?


벤 로드 : 하이킹 가시나요?


Daniil Trifonov: Yeah I did a trail yesterday.


다닐 트리포노프 : 예, 어제 산책했어요.


Sergei Babayan: Of course it’s very important and also there are moments when we have to experience life itself and see things, so we don’t become dead inside. Daniil is right, when we learn a new program it’s one thing, and then when you already know a program very well, there are moments when you also have to life your life too.


세르게이 바바얀 : 물론 매우 중요하고 또한 우리가 삶 자체를 경험하고 사물을 보아야 하는 순간들이 있어요. 그래야 우리는 내면적으로 죽지 않을 수 있거든요. 다닐이 옳아요. 새로운 프로그램을 배우는 것은 하나의 일이지만, 이미 프로그램을 아주 잘 알고 있다면, 자신의 삶을 살아야 하는 순간들도 있거든요.


[Rachmaninoff Suite No. 2 for 2 Pianos, Op. 5: IV. Easter]


[라흐마니노프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1번 4악장 부활절]


Daniil Trifonov’s 2010 Chopin Competition Program

Stage I

Etude in F, Op. 10 No. 8 / 연습곡 작품 10-8

Etude in g#, Op. 25 No. 6 / 연습곡 작품 25-6

Nocturne No. 17 in B, Op. 62 No. 1 / 녹턴 17번

Scherzo No. 4 in E, Op. 54 / 스케르초 4번


Stage II

Waltz No. 1 in Eb, Op. 18 / 왈츠 1번

Barcarolle in F#, Op. 60 / 뱃노래

3 Mazurkas, Op. 56 / 3개의 마주르카 작품 56

No. 1 in B

No. 2 in C

No. 3 in c

Scherzo No. 3 in c#, Op. 39 / 스케르초 3번

Andante spianato & Grand Polonaise in Eb, Op. 22 /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즈


Stage III

Rondo à la Mazur in F, Op. 5 / 마주르 풍의 론도

Polonaise-Fantaisie in Ab, Op. 61 / 환상 폴로네즈

Impromptu No. 1 in Ab, Op. 29 / 즉흥곡 1번

Impromptu No. 2 in F#, Op. 36 / 즉흥곡 2번

Tarantella in Ab, Op. 43 / 타란텔라

Sonata No. 3 in b, Op. 58 / 소나타 3번

I. Allegro maestoso

II. Scherzo. Molto vivace

III. Largo

IV. Finale. Presto non tanto - Agitato


Final

Piano Concerto No. 1 in e, Op. 11 / 피아노 협주곡 1번

I. Allegro maestoso

II. Romance. Larghetto

III. Rondo. Vivace


유명한 바바얀 교수님한테 마스터클래스 레슨을 받는 것으로 생각하자는 마음에 유튜브 자막을 받아 적었다. 본래 한 번 보고 땡! 하려던 것이었다. 그랬더니 뜻밖에 2010 쇼팽 콩쿠르 준비 과정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고 트리포노프가 오랜만에 쇼팽을 몇 소절 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사실 다닐이 많은 레퍼토리를 보여주길 바라면서도 쇼팽은 언제 다시 칠까 갈망하기도 했다. 음반 공부를 해봤더니 인터뷰에서 작품을 의뢰하고 싶다면 어쩌면 쇼팽이라고 했다. 준비 기간이 그리 길진 않았던 모양이다. 사실 다닐도 알고 보면 2006 베이징 청소년 쇼팽 콩쿠르 3위 입상자 출신이기도 하다. 내가 다닐의 연주에서 좋아하는 것 중 하나는 야누스 같은 모습! 어쩔 땐 마냥 천사 같다가도 악마로 돌변하기도 하고... 푸힛! 자막을 보면서 버그는 바흐를 잘못 표기한 것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했다. 바흐를 벌레로 잘못 들었나? 결국 버그는 바흐로 정정했다. 쇼팽 이후에 바흐를 계속 언급하기도 했으니까. 쇼팽이 좋아했던 작곡가 중 한 명이 바흐이기도 해서 맥락상. 자막을 받아적으면서 난 어쩔 수 없는 러시안 피아노 스쿨의 팬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물론 2010년 대회를 지금도 추억한다는 것까지. 둘이 스승과 제자가 아닌, 전문 연주자로서 음악을 맞춰가는 과정을 기대했으나 바바얀의 눈에는 아직도 트리포노프가 어린 제자인가 보다. 리허설 와중에도 지적하고 레슨하는 모습이 엿보인다. 2024년 6월 29일 아스펜 음악제 동영상이 있을까 찾아봤더니 그건 없었다. 쇼팽 콩쿠르에서 뭘 쳤는지 서로 헷갈려 하니 아예 프로그램도 여기에 언급했다.

2025년 1월 24일 금요일

Dmitry Shishkin Plays Chopin - Live at Tchaikovsky Concert Hall in Moscow (10 November 2024)


https://www.youtube.com/watch?v=J2l5wyMBP-s


드미트리 쉬시킨 - 2024년 11월 10일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콘서트홀

Chopin 24 Preludes, Op. 28 / 쇼팽 24개 전주곡

No. 1 in C

No. 2 in a

No. 3 in G

No. 4 in e

No. 5 in D

No. 6 in b

No. 7 in A

No. 8 in e

No. 9 in E

No. 10 in c#

No. 11 in B

No. 12 in g#

No. 13 in F#

No. 14 in e flat

No. 15 in Db

No. 16 in b flat

No. 17 in Ab

No. 18 in f

No. 19 in Eb

No. 20 in c

No. 21 in Bb

No. 22 in g

No. 23 in F

No. 24 in d


Intermission


Chopin Piano Sonata No. 2 in b flat, Op. 35 / 쇼팽 피아노 소나타 2번

I. Grave - Doppio movimento

II. Scherzo. Più lento

III. Marche funèbre

IV. Finale. Presto


Chopin Scherzo No. 2 in b flat, Op. 31 / 쇼팽 스케르초 2번


Chopin Polonaise No. 6 in Ab, Op. 53 “Heroic” / 쇼팽 폴로네즈 6번 <영웅>


Chopin Mazurka in D, Op. 33 No. 2 (encore 1) / 쇼팽 마주르카 작품 33-2


Chopin Mazurka in a, Op. 17 No. 4 (encore 2) / 쇼팽 마주르카 작품 17-4


Chopin Fantaisie-Impromptu in c#, Op. 66 (encore 3) / 쇼팽 즉흥 환상곡


외국 분이 주셔서 공연장은 어딘지 알겠는데 언제 연주한 건지 몰라서 찾아보니 유튜브에서 나왔다. 전화벨 울리고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연주한다. 빗방울 전주곡을 연주할 때는 악보를 살짝 까먹은 건지 손가락이 꼬인 건지... 소나타 2번 3악장 장송 행진곡이 끝나갈 때도 벨소리가 요란하게 들리는데 3악장으로 넘어간다. 마지막 앙코르곡을 연주할 때는 워낙 유명한 곡이라서 그런지 청중들의 환호성이 터진다.

Yulianna Avdeeva, Andris Poga & hr-Sinfonieorchester - Live at Alte Oper Frankfurt (20 January 2023)


https://www.ardmediathek.de/video/hr-sinfonieorchester/prokofjew-2-klavierkonzert-yulianna-avdeeva-andris-poga/hr/Y3JpZDovL2hyLW9ubGluZS8xOTY1NDI

https://www.youtube.com/watch?v=0M3mM6cBxkQ

https://www.youtube.com/watch?v=dmUUAOiQKKU

https://www.youtube.com/watch?v=2XCUr0Hq8rY

https://www.youtube.com/watch?v=gbcxikpA3h4


2023년 1월 20일 프랑크푸르트 알테 오퍼 콘서트

Yulianna Avdeeva, piano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피아노

hr-Sinfonieorchester - Frankfurt Radio Symphony / 프랑크푸르트 방송교향악단

Andris Poga, conductor / 안드리스 포가 지휘


Program

Mussorgsky Night on the Bald Mountain / 무소르그스키 <민둥산의 하룻밤>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in g, Op. 16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번

I. Andantino - Allegretto

II. Scherzo. Vivace

III. Intermezzo. Allegro moderato

IV. Finale. Allegro tempestoso


J.S. Bach Partita No. 2 in c, BWV 826: IV. Sarabande (encore) / 바흐 파르티타 2번 중 사라방드


Intermission


Rachmaninoff Symphony No. 3 in a, Op. 44 /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3번

I. Lento - Allegro moderato

II. Adagio ma non troppo - Allegro vivace

III. Allegro - Allegro vivace - Allegro (Tempo I) - Allegretto - Allegro vivace


유튜브에서 전체를 볼 수 있다.

2024년 11월 1일 금요일

Maurizio Pollini - Live in Paris (25 June 2002)


https://www.youtube.com/watch?v=UGbeAOETaTE


마우리치오 폴리니 - 2002년 6월 25일 파리 리사이틀

Cité de la Musique / 시테 드 라 뮈지크


Program

Brahms 7 Fantasien, Op. 116 / 브람스 7개의 환상곡 작품 116

No. 1 Capriccio in d. Presto energico

No. 2 Intermezzo in a. Andante - Non troppo presto - Andante

No. 3 Capriccio in g. Allegro passionato - Un poco meno Allegro - Tempo I

No. 4 Intermezzo (Notturno) in E. Adagio

No. 5 Intermezzo in e. Andante (Allegretto) con grazia ed intimissimo sentimento

No. 6 Intermezzo in E. Andantino teneramente (Andantino grazioso)

No. 7 Capriccio in d. Allegro agitato


Webern Variations, Op. 27 / 베베른 변주곡

I. Sehr mäßig

II. Sehr schnell

III. Ruhig fließend


Stockhausen Klavierstück V / 슈톡하우젠 10개의 피아노 소품 중 5번


Stockhausen Klavierstück IX / 슈톡하우젠 10개의 피아노 소품 중 9번


Intermission


Beethoven Piano Sonata No. 24 in F#, Op. 78 “À Thérèse”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4번 <테레제>

I. Adagio cantabile - Allegro ma non troppo

II. Allegro vivace


Beethoven Piano Sonata No. 23 in f, Op. 57 “Appassionata”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

I. Allegro assai - Più allegro

II. Andante con moto -

III. Allegro ma non troppo - Presto


Encores

Beethoven 6 Bagatelles, Op. 126 / 베토벤 6개의 바가텔 작품 126 발췌

No. 3 in Eb. Andante (Cantabile e grazioso)

No. 4 in b. Presto


Schoenberg 6 kleine Klavierstücke, Op. 19 / 쇤베르크 6개의 작은 피아노 소품

I. Leicht, zart

II. Langsam

III. Sehr langsame

IV. Rasch, aber leicht

V. Etwas rasch

VI. Sehr langsam


Chopin 24 Préludes, Op. 28 No. 24 in d: Allegro appassionato / 쇼팽 전주곡 24번


유튜브에서도 전체를 볼 수 있다.

2024년 10월 11일 금요일

Martha Argerich & Maria João Pires - Live at Victoria Hall in Geneva (16 December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7fzYOtaJcxU


2021년 12월 16일 제네바 빅토리아 홀 콘서트

Maria João Pires, 1st piano / 마리아 주앙 피레스, 제1피아노

Martha Argerich, 2nd piano / 마르타 아르헤리치, 제2피아노

Orchestre de la Suisse Romande /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Daniel Harding, conductor / 다니엘 하딩 지휘


Program

Mozart Concerto for 2 Pianos & Orchestra No. 10 in Eb, KV 365/316a / 모차르트 2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eau. Allegro


Mozart Sonata for Piano 4 Hands in C, KV 521: II. Andante (encore) / 모차르트 4개의 손을 위한 피아노 소나타 2악장


Intermission


Mahler Symphony No. 1 in D “Der Titan” / 말러 교향곡 1번 <거인>

Part 1. Aus den Tagen der Jugend "Jugend, Frucht und Dornenstücke"

I. (I). Langsam. schleppend

II. Andante allegretto. ("Blumine")

III. (II). Kräftig, bewegt, doch nicht zu schnell

Part 2. Commedia umana

IV. (III). Feierlich und gemessen, ohne zu schleppen

V. (IV). Stürmisch bewegt



아르헤리치의 음원들을 정리하다가 나온 동영상. 유튜브에서도 전체를 볼 수 있다. 처음부터 35분까지 뱁믹스로 편집했다. 내가 가진 건 아르떼 콘서트 로고가 박혀 있다. 코로나19 때문에 관악기를 제외한 나머지 단원들과 관중들이 마스크를 끼고 있다.

2024년 7월 19일 금요일

“They Shocked The World” - 1966 North Korea Football Team


https://www.youtube.com/watch?v=8n4lXNoIXQE

https://www.youtube.com/watch?v=ddGqILpCHkg


The story of one football team’s journey to the 1966 World Cup


1966 월드컵을 향한 어느 축구팀의 여정에 관한 이야기


And one of the biggest upsets in World Cup and sports history


월드컵과 스포츠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


Novice Productions Presents: A short film made by Tyler Maag 2010


노비스 프로덕션 제작, 타일러 마그 감독의 단편 영화


The Shocked the World


그들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Starring:

7 Pak Doo-Ik

11 Han Bong-Zin

8 Pak Seung-Zin

6 Im Song Hwi

5 Lim Jung Sun

15 Yang Song Guk

1 Ri Chan Myong


7번 박두익, 11번 한봉진, 8번 박승진, 6번 림승휘, 5번 림중선, 15번 양성국, 1번 리찬명 출연


July 12th, 1966


1966년 7월 12일 조별리그 1차전


USSR vs North Korea


소련 대 북한


Final Score: USSR 3 North Korea 0


소련 3 : 0 북한


The result came as no surprise to many, but with this match came a more confident North Korean team.


많은 사람에게 그리 놀라운 결과는 아니었지만, 이번 경기를 통해 북한 팀은 더욱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They were to face Chile only three days later where they had to at leat earn a draw.


그들은 불과 3일 후에 칠레와 맞붙게 되었는데, 최소한 무승부를 내야 했다.


July 15th, 1966


1966년 7월 15일 조별리그 2차전


With less than five minutes to play the North Koreans had to score to avoid elimination.


경기가 5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은 탈락을 피하려면 골을 넣어야만 했다.


Pak Seung-Zin had scored the tournament saving goal with no time to spare.


박승진은 절체절명의 시간대에 토너먼트의 불씨를 살리는 귀중한 동점골을 터트렸다.


Final Score: Chile 1 North Korea 1


칠레 1 : 1 북한


North Korea kept their hopes alive. Italy was their next and final opponent in the group stage. A draw wouldn’t be enough, they had to win.


북한은 희망을 잃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조별리그에서 그들의 다음이자 마지막 상대였다. 무승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그들은 반드시 이겨야 했다.


July 19, 1966


1966년 7월 19일 조별리그 3차전


Italy were forced to play with ten men due to an inury.


이탈리아는 (주장 자코모 불가렐리가 박승진에게 태클을 걸었다가 도리어) 부상으로 인해 (당시에는 선수 교체 규정이 없었으므로) 10명의 선수가 경기를 뛸 수밖에 없었다.


With halftime fastly approaching and still notted at zero, Pak Doo-Ik scored the biggest goal in North Korean football history at the forty first minute mark.


하프타임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으나 여전히 0점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박두익은 전반 41분에 북한 축구 역사상 가장 큰 업적을 달성한 골을 터뜨렸다.


At the end of the first half North Korea led 1-0 to Italy


전반 종료, 북한은 이탈리아에 1-0으로 앞섰다.


Second half


후반


떠나갈 듯한 함성! 맙소사, 이겼습니다! 북한이 이탈리아를 꺾다니 이게 웬일입니까! 대단합니다! 북한이 8강에 올랐습니다! 관중들의 기립박수! 다들 기쁨의 눈물을 글썽입니다!


A true miracle unfortunetly often forgotten. The North Korean team had shocked the world.


불운하게도 종종 잊히는 진정한 기적. 북한팀은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Unfortunetly, on July 23rd, the date of the quarter finals, North Korea lost 5-3. After leading 3-0 early, Portugal made a stunning comeback from the single efforts of Eusebio, who scored four straight goals to make it 4-3 and a final goal was put in to make it 5-3.


안타깝게도 8강전이 열린 7월 23일, 북한은 5-3으로 패했다. 북한이 초반 3-0으로 앞선 후, 포르투갈은 에우제비우의 활약에 힘입어 놀라운 역전승을 거뒀는데, 4연속 골을 터뜨리며 4-3으로 역전했으며 쐐기골을 넣어 5-3이 됐다.


북한 팬이 엄청나게 늘었군요. 세상에! 골인! 경기 시작 1분 만에 첫 골! 박승진의 득점포! 아우구스토... 잘 막았습니다! 어려운 볼을 가볍게 막아냈군요. 그는 165cm밖에 안 돼요. 북한 팀은 작지만 날렵하고 점프력이 뛰어나죠. 골키퍼의 판단 미스. 다시 골인! 관중들이 환호를 보냅니다! ‘한 골 더!’를 외치는 관중들! 두익! 성국! 골인이냐, 골인이냐! 3대0! 망연자실해진 포르투갈 팀! 3대0! 이번 월드컵에서 가장 놀라운 기록입니다. 입장이 바뀌어 버렸군요. 북한 팀이 더 스타 같아요. 넷째 골을 원하는 관중!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에우제비우 돌파합니다. 에우제비우의 슛, 3대1! 북한이 국제 경험이 좀 더 많았더라면 리드를 뺏기지 않는 데 주력할 텐데요.


[경험 많은 팀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더 바짝 긴장하며 최대한 시간을 끌었을 텐데 북한은 점점 흐트러졌죠. 허둥대다 반칙을 범하고 페널티킥을 주며 에우제비우의 페이스에 말려들고 있었어요.]


에우제비우!


북한 3:2 포르투갈


북한이 수비만 강화하면 4강도 가능합니다. 에우제비우! 역시 포르투갈의 구세주 에우제비우입니다. 따라붙는 북한! 이 페널티킥이 성공하면 역전됩니다. 에우제비우 혼자 4점을 따냅니다! 골문을 잘 막아온 찬명! 토레스의 찬스! 골인. 최선을 다한 북한 팀에게 뜨거운 갈채가 쏟아집니다. 무척 실망한 모습입니다만 다들 기대 이상으로 정말 잘 싸웠습니다.


It wasn’t the storybook ending to the tournament for North Korea but they had reason to be proud. In their first World Cup they beat the odds.


북한을 위한 토너먼트로(북한의 승리로) 끝나는 동화책은 아니었지만, 그들은 자랑스러워할 이유가 있었다. 그들은 첫 월드컵에서 불리함을 극복했다.


England went on to win their first World Cup title, but we learned something that day, the day of July 19th, 1966. We learned that no matter how many people doubt you, look past you, or don’t give you a shot at glory, you can infact create history.


잉글랜드는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우리는 그날, 1966년 7월 19일에 뭔가를 배웠다. 우리는 아무리 많은 사람이 당신을 의심하거나 지나쳐버리거나 영광을 얻을 기회를 주지 않더라도, 당신은 실제로 역사를 만들 수 있다.


The End


1966년 북한의 월드컵 첫 참가에 대해서 이런저런 동영상들을 찾다가 하나 나와서 자막을 정리해봤다. 조별리그 1차전인 소련과의 경기에서 선수들이 입장하는 장면에서는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가 나와서 비장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관중석의 모습을 비출 때는 사람들의 환희가 느껴진다. 2002년 제작된 <천리마축구단>(The Game of Their Lives) 다큐멘터리를 몇 년 전에 보고 나서 다시 봤는데, 이탈리아전이 끝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조금 나왔다. 평균 신장 165cm의 짜리몽땅 북한 선수들이 키가 큰 이탈리아 선수들을 상대로, 그것도 월드컵 최초 2연패에 빛나는 유럽 최강을 꺾은 것이다. 해설위원의 언급은 천리마축구단(일생일대의 승부) 자막을 가져왔다. 영국 해설은 에우제비우를 유세비오라고 발음한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박문성 왈, 아시아에서 월드컵 8강의 역사는 코리아의 것이라고 했다. 아무리 아시안컵에서 한국을 제치고 우승한들,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은 월드컵 8강을 넘보지 못했다.

2023년 9월 7일 목요일

Nikolai Lugansky, Tugan Sokhiev & Berliner Philharmoniker - Live in Berlin (15 October 2016)


https://www.digitalconcerthall.com/en/concert/23444

https://www.digitalconcerthall.com/ko/concert/23444

https://www.youtube.com/watch?v=ml7nOcti1J8


Nikolai Lugansky in conversation with Christoph Igelbrink, a member of the orchestra’s cello section

In October 2016, the Russian pianist Nikolai Lugansky made his debut with the Berliner Philharmoniker performing Rachmaninov’s Paganini Variations and met with Christoph Igelbrink, a member of the orchestra’s cello section.


2016년 10월 러시아 피아니스트 니콜라이 루간스키는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랩소디>로 베를린 필하모닉에 데뷔했다. 이를 계기로 그는 필하모닉의 첼로 주자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를 만나 대화를 나누었다.


Christoph Igelbrink: Nikolai Lugansky, a very warm welcome, also in the name of orchestra. You’re making your debut with us today. What does it mean to play for the first time in Berlin? What was your reaction when you heard from your agent that you were to come to Berlin and play with the Berliner Philharmoniker?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니콜라이 루간스키, 베를린 필과의 협연을 환영합니다. 당신은 오늘 우리와 함께 데뷔합니다.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연주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에이전트로부터 베를린에 와서 베를린 필하모닉과 연주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어땠나요?


Nikolai Lugansky: I was delighted, of course. It was a year ago: my agent rang me to say that it would probably be in October 2016. I’m very happy, of course, to be here. I’ve already appeared a few times in Berlin, with the DS (Deutsche Symphonie-Orchester Berlin) and the RSB (Rundfunk-Sinfonieorchester Berlin), and a piano recital in the chamber room at the Konzerthaus. But to make one’s debut with the Berliner Philharmoniker naturally means a great deal for any pianist. An orchestra with such a tradition, such quality and such culture... I have to say that my expectations were naturally very high. And it has really been quite something.


니콜라이 루간스키 : 물론 기뻤죠. 1년 전에 제 에이전트가 전화를 걸어 아마 2016년 10월이 될 거라고 말했어요. 물론 여기에 있는 게 매우 기뻐요. 저는 이미 베를린 도이치 교향악단, 베를린 방송교향악단과 베를린에서 몇 번 협연했고 콘체르트하우스의 챔버룸에서는 피아노 독주회를 열었어요. 하지만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데뷔한다는 것은 피아니스트에게 큰 의미가 있죠. 이런 전통, 이런 자질, 이런 문화를 가진 오케스트라... 제 기대는 당연히 매우 높았죠. 그리고 정말 대단한 것이었어요.


Christoph Igelbrink: I hope we didn’t disappoint you.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우리가 당신을 실망시키지 않았기를 바랍니다.


Nikolai Lugansky: Quite the opposite. What amazes me is the speed at which you work. It’s rather different from, say, England and the USA. Initially it wasn’t quite what I expected but it gets better each time and that amazes me. Many orchestras reach a high standard very quickly but after that they don’t move on but remain where they are. Here things continue to improve musically, technically, in every sense. It’s been hugely enjoyable!


니콜라이 루간스키 : 정반대입니다. 저를 놀라게 하는 것은 당신이 일하는 속도입니다. 예를 들어 영국, 미국과는 다소 달라요. 처음에는 제가 기대했던 것과 달랐지만 점점 더 좋아지고 있어 놀라움을 금치 못합니다. 많은 오케스트라가 매우 빠르게 높은 수준에 도달하지만, 그 후에는 더 이상 나아가지 않고 제자리에 남아 있죠. 모든 면에서 음악적으로, 기술적으로 계속 개선되고 있어요. 엄청나게 즐거웠어요!


Christoph Igelbrink: The pleasure is ours. You play fantastically.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우리의 기쁨인 걸요. 당신은 환상적으로 연주합니다.


Nikolai Lugansky: Thank you.


니콜라이 루간스키 : 감사합니다.


Christoph Igelbrink: You won the 1994 Tchaikovsky Competition in Moscow and after that your career really took off. You perform all over the world. Approximately how many concerts do you give each season?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당신은 1994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1위 없는 2위에 입상했고 그 후 당신의 경력은 정말 도약했습니다. 당신은 전 세계에서 공연합니다. 각 시즌에 대략 몇 번의 콘서트를 제공하나요?


Nikolai Lugansky: Around 100 concerts a season. I keep saying that I should give fewer. It’s really a little too many. But that’s how it’s been these last four or five years: some 100 concerts. It’s not easy to say no. Some agents and concert managers make such an effort that it would be a shame to tell them: No, I don’t want to. And with many, like the Berliner Philharmoniker, there’s no question: You have to do it in every possible variant.


니콜라이 루간스키 : 한 시즌에 약 100회 연주합니다. 저는 더 적게 연주해야 한다고 계속 말하죠. 정말이지 다소 너무 많아요. 하지만 지난 4~5년 동안 약 100회 공연했죠. 거절하기 쉽지 않아요. 일부 에이전트와 콘서트 매니저는 “아뇨, 원하지 않아요.” 같이 말하는 것이 부끄러울 정도로 노력합니다. 그리고 베를린 필하모닉 같은 많은 오케스트라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데, 가능한 모든 변화 속에서 연주해야 합니다.


Christoph Igelbrink: What are the statistics? Do you give more concerts or more recitals?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통계가 어떤가요? 협연이나 독주를 더 많이 하나요?


Nikolai Lugansky: I think it varies from year to year but it’s about 60 per cent with orchestra and 40 per cent solo recitals. But I also play a lot of chamber music with some wonderful musicians such as Vadim Repin, Leonidas Kavakos, Mischa Maisky and Alexander Kniazev.


니콜라이 루간스키 : 해마다 다르지만 오케스트라가 60%, 독주회가 40% 정도입니다. 하지만 바딤 레핀, 레오니다스 카바코스, 미샤 마이스키, 알렉산더 크니아제프 같은 훌륭한 음악가들과 실내악도 많이 연주해요.


Christoph Igelbrink: You have a huge repertory but many people still see you as a Rachmaninov specialist. Does that disturb you or are you proud of it?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당신은 엄청난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있지만, 많은 사람이 여전히 당신을 라흐마니노프 스페셜리스트로 보고 있는데요. 그게 당신을 방해하나요, 아니면 자랑스럽나요?


Nikolai Lugansky: Probably more proud. It doesn’t disturb me. Of course, what people read in their programmes is only a small part of a musician’s life. When I was still very young in Russia, I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Viennese Classicism, with Mozart and Beethoven. I play a lot of Rachmaninov, I’ve loved his music for a long time and I’m always very happy and proud to play Rachmaninov. But I have more than 50 concertos in my repertory. I play them all: Beethoven, Schumann, Grieg, Chopin, Brahms – lots of different music.


니콜라이 루간스키 : 어쩌면 더 자랑스러울 것입니다. 그게 저를 방해하진 않아요. 물론 사람들이 프로그램에서 읽는 것은 음악가의 삶의 작은 부분에 불과합니다. 제가 러시아에서 아직 아주 어렸을 때, 저는 모차르트, 베토벤과 함께 빈 고전주의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어요. 저는 라흐마니노프를 많이 연주하고 오랫동안 그의 음악을 사랑해 왔으며 항상 라흐마니노프를 연주하는 것이 매우 행복하고 자랑스러워요. 하지만 제 레퍼토리에는 50개 이상의 협주곡이 있는데요. 베토벤, 슈만, 그리그, 쇼팽, 브람스 등 모두 다양하게 연주해요.


Christoph Igelbrink: For your debut with us you’ve chosen a piece by Rachmaninov: the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우리와의 데뷔를 위해 당신은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인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를 선택했습니다.


Nikolai Lugansky: Yes, it was the orchestra’s suggestion. And it was delighted to accept it. It’s a fantastic piece. Actually I don’t find it entirely typical of Rachmaninov. In my view Rachmaninov is perhaps one of the most Russian composers. Melodically speaking, he was influenced not just by Russian folk music but also by the sacred music of the 16th to 18th centuries. This influence runs much deeper than with Tchaikovsky and Rimsky-Korsakov. But in this piece this influence is rather less apparent. It’s really a brilliant concert piece. Rachmaninov was influenced here above all by American culture, not in a thematic sense, but in terms of American concert life. His previous concerto, his Fourth, is very tragic, nostalgic and very Russian. That’s why it isn’t so popular. I think that what he had in mind was to write something different from his Fourth or even his Third. It had to create an incredibly fantastic impression during the concert.


니콜라이 루간스키 : 네, 오케스트라의 제안이었어요. 그리고 기쁘게 받아들였죠. 환상적인 곡입니다. 사실 저는 이 곡이 라흐마니노프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데요. 제가 보기에 라흐마니노프는 아마도 가장 러시아적인 작곡가 중 한 명일 것입니다. 선율적으로 말하면, 그는 러시아 민속 음악뿐만 아니라 16~18세기의 종교음악에서도 영향을 받았죠. 이 영향은 차이코프스키와 림스키-코르사코프보다 훨씬 더 깊어요.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다소 덜 분명한데요. 정말 멋진 연주회용 곡입니다. 라흐마니노프는 주제적 의미가 아니라 미국 콘서트 생활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미국 문화의 영향을 받았는데요. 그의 이전 협주곡 4번은 매우 비극적이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매우 러시아적입니다. 그래서인지 인기가 없죠. 그는 자신의 협주곡 4번이나 심지어 3번과는 다른 것을 쓰는 것을 염두에 두었던 것 같아요. 콘서트 내내 환상적인 인상을 심어줘야 했죠.


Christoph Igelbrink: There’s an interesting story about the piece. He himself wrote that the virtuoso who is embodied by the theme – in this case Paganini – has sold his soul to the devil in order to become a perfect virtuoso. How did you approach the piece and what do you find so fascinating about it? It quotes a lot from the Dies irae, from the Latin Mass for the Dead which is also quoted in his symphonies, his Symphonic Dances and in his First Piano Sonata.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이 곡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는데요. 그는 주제에 의해 구현된 거장(이 경우 파가니니)이 완벽한 거장이 되기 위해 자신의 영혼을 악마에게 팔았다고 썼죠. 당신은 이 곡에 어떻게 접근했고 어떤 점이 그렇게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이 곡은 그의 교향곡, 교향적 무곡, 피아노 소나타 1번에서도 인용되는 망자를 위한 라틴 미사인 <진노의 날>(디에스 이레)에서 많은 것을 인용합니다.


Nikolai Lugansky: This legend about selling his soul: I don’t know if it originated with Rachmaninov. The Russian choreographer Mikhail Fokine wanted to turn it into a ballet and Rachmaninov immediately agreed and said yes. Perhaps that was the origin of the legend that Paganini sold his soul. For Rachmaninov the Dies irae was for a long time a very important symbol, actually a typical symbol of death. Even with the young Rachmaninov the idea of a “memento mori” was already fairly...


니콜라이 루간스키 : 그의 영혼을 파는 이 전설이 라흐마니노프에서 유래했는지는 모르겠어요. 러시아 안무가 미하일 포킨은 그것을 발레로 바꾸고 싶었고 라흐마니노프는 즉시 동의하여 승낙했죠. 어쩌면 그게 파가니니가 자신의 영혼을 팔았다는 전설의 기원이었을 거예요. 라흐마니노프에게 <진노의 날>은 오랫동안 매우 중요한 상징, 실제로는 전형적인 죽음의 상징이었죠. 심지어는 젊은 라흐마니노프와 함께 “메멘토 모리”(죽음의 상징)에 대한 아이디어는 이미 꽤...


Christoph Igelbrink: He often includes these bells, death knells, as it were.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그는 종종 이러한 종소리, 죽음의 종소리(종말을 알리는 전조)를 그대로 포함합니다.


Nikolai Lugansky: Something otherworldly and lyrical, very warm. In contrast the Dies irae has something inevitable about it, something that keeps on coming. Here you can almost say that there are variations on two themes: the theme from Paganini’s Caprice No. 24 and the Dies irae. At the end they come together, as is often the case with double variations. He himself once said in a letter that he was writing a piece that would become popular because of one variation. It’s the 18th variation, incredibly beautiful, lyrical music. It’s very rare, especially in the 20th century, for a composer to write something that’s an instant hit. You can smile or be sceptical, but it’s very rare. I think there are five or six pieces in the 20th century that were an immediate hit. And he was absolutely right: he really composed this music. Some things really burdened his soul: he had to express them, it was so painful. Here by contrast he really wrote a concert piece and it’s incredibly brilliantly done. And this 18th variation sounds just like an original theme by Rachmaninov.


니콜라이 루간스키 : 초자연적이고 서정적이며 매우 따뜻한 것입니다. 대조적으로 <진노의 날>은 그것에 대해 불가피한 것, 계속 오는 것을 가지고 있죠. 여기서 두 가지 주제(파가니니 카프리스 24번의 주제와 디에스 이레)에 대한 변주들이 있다고 거의 말할 수 있는데요. 마지막에는 두 가지 변주가 있는 경우가 종종 그렇듯이 함께 모입니다. 그 자신은 한 변주 때문에 인기를 끌 곡을 쓰고 있다고 편지에서 말한 적이 있습니다. 18번째 변주로, 놀랍도록 아름다운, 서정적인 음악입니다. 특히 20세기에 작곡가가 즉시 성공을 거두는 곡을 쓰는 것은 매우 드물거든요. 웃거나 회의적일 수도 있지만, 매우 드물어요. 20세기에 즉시 성공을 거둔 곡이 대여섯 곡 정도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는 절대적으로 옳았는데, 그는 정말로 이 음악을 작곡했어요. 그의 영혼을 정말 무겁게 했던 몇 가지가 있었는데, 그는 그것들을 표현해야 했고, 너무 고통스러웠죠. 여기서 대조적으로 그는 실제로 연주회용 곡을 썼는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하게 완성되었죠. 그리고 이 18번째 변주는 라흐마니노프의 오리지널 테마처럼 들립니다.


Christoph Igelbrink: It’s often been used, in film music, for example.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예를 들어 영화 음악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Nikolai Lugansky: Yes, it’s played in isolation. I heard quite a comical version for violin and piano. There are lots of arrangements of it. But it’s only a variation on Paganini’s theme: It’s the inversion... It sounds very simple but not everyone who uses a famous theme is as successful as Rachmaninov.


니콜라이 루간스키 : 네, 따로 재생되죠.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꽤 재밌는 버전을 들었는데요. 편곡이 많거든요. 그러나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변주일 뿐인데, 반전이죠... 매우 간단하게 들리지만, 유명한 주제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라흐마니노프만큼 성공한 건 아닙니다.


Christoph Igelbrink: Do you have any other favourites among Rachmaninov’s works? You naturally play everything by him.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라흐마니노프의 작품 중에서 좋아하는 다른 것들이 있나요? 당신은 자연스럽게 그의 모든 것을 연주합니다.


Nikolai Lugansky: I play almost all of his piano works, all the concertos, sonatas, variations...


니콜라이 루간스키 : 저는 그의 거의 모든 피아노 작품, 모든 협주곡, 소나타, 변주곡을 연주합니다...


Christoph Igelbrink: Most pianists used to find the Third Concerto unplayable, and you are said to have learnt it in three days. When your teacher Tatyana Nikolayeva placed it in front of you, you were able to play it to her after only three days.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피아니스트 대부분이 협주곡 3번을 연주할 수 없다고 여기곤 했는데, 당신은 3일 만에 익혔다고 합니다. 당신의 선생님 타티아나 니콜라예바가 이 곡을 당신 앞에 놓았을 때, 당신은 불과 3일 후에 그녀 앞에서 연주할 수 있었습니다.


Nikolai Lugansky: Yes, I was 18 at the time. At that age you’re so well-behaved that you want to achieve such things. Today it would perhaps be harder for me and perhaps also less interesting. But in that situation I was very, very proud to be able to play it from memory after only three days. For me and for many pianists the Third Concerto is of course our favourite or one of our favourites. But there’s “The Bells”, incredible music! “The Isle of the Dead”...


니콜라이 루간스키 : 네, 그때 저는 18세였죠. 그 나이에는 그런 것들을 이루고 싶을 정도로 되게 얌전하죠. 오늘날에는 어쩌면 제게 더 어려우면서도 덜 흥미로울 거예요. 하지만 그 상황에서 저는 단 3일 만에 암보하여 연주할 수 있다는 게 매우 매우 자랑스러웠죠. 저와 많은 피아니스트에게 협주곡 3번은 물론 우리가 가장 좋아하거나 좋아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놀라운 음악인 <종>이 있어요! <죽음의 섬>은...


Christoph Igelbrink: Responses to Rachmaninov have changed a lot, even here in Germany. In the past many of his works tended to excite mild derision. People knew the Prélude in C sharp minor and perhaps the Second Piano Concerto. Nowadays even our own orchestra plays a lot of Rachmaninov.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라흐마니노프에 대한 반응은 여기 독일에서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과거에 그의 많은 작품은 가벼운 조롱을 불러일으키는 경향이 있었거든요. 사람들은 전주곡 <모스크바의 종>과 아마도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알고 있죠. 요즘에는 우리 오케스트라도 라흐마니노프를 많이 연주합니다.


Nikolai Lugansky: I’m very pleased to hear that. Ten or fifteen years ago I too noticed this scepticism towards Rachmaninov. It’s changed a lot. “The Bell” and the Third Symphony are wonderful works.


니콜라이 루간스키 : 그 말을 들으니 매우 기쁩니다. 10년 전이나 15년 전에 저 역시 라흐마니노프에 대한 이러한 회의론에 주목했는데요. 많이 바뀌었어요. <종>과 교향곡 3번은 훌륭한 작품입니다.


Christoph Igelbrink: Or take the Symphonic Dances that we played not long ago.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또는 얼마 전에 우리가 연주했던 <교향적 무곡>을 살펴봅시다.


Nikolai Lugansky: It’s a very dark work.


니콜라이 루간스키 : 매우 어두운 작품이죠.


Christoph Igelbrink: Fantastic music.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환상적인 음악입니다.


Nikolai Lugansky: The Third Symphony is brighter and filled with nostalgia. I like Rachmaninov. One can talk a lot about him. I can understand the reservations about him in Germany. German musical culture can’t be compared to that in other countries. Here you can concentrate on German music and not feel short-changed. It’s completely different in England or the USA. English and American music is wonderful but you can’t compare it with German culture. These countries opened their borders to foreign cultures from an early date: to Spanish, French and Russian music. In Germany this came somewhat later. But I’m very pleased that things have now changed and that the Berliner Philharmoniker now play Rachmaninov so wonderfully.


니콜라이 루간스키 : 교향곡 3번은 더 밝고 향수로 가득 차 있습니다. 저는 라흐마니노프를 좋아해요. 그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죠. 독일에서 그에 대한 의구심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독일의 음악 문화는 다른 나라들의 음악 문화와 비교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 당신은 독일 음악에 집중할 수 있고 짧은 변화를 느끼지 않을 수도 있죠.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완전히 달라요. 영국과 미국의 음악은 훌륭하지만, 독일 문화와 비교할 수는 없는데요. 이 국가들은 일찍부터 외국 문화(스페인, 프랑스, 러시아 음악)에 국경을 개방했죠. 독일에서는 이것이 다소 나중에 나왔고요. 하지만 이제 상황이 바뀌었고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라흐마니노프를 아주 훌륭하게 연주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Christoph Igelbrink: As a pupil of Tatyana Nikolayeva you are part of the great Russian tradition from Anton Rubinstein via Rachmaninov, Horowitz, Gilels and Sviatoslav Richter to present-day musicians like Volodos and yourself. Do you regard this as a burden? Or are you proud to be part of this great tradition? Does it even inspire you?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타티아나 니콜라예바의 제자로서 당신은 안톤 루빈스타인에서 라흐마니노프, 호로비츠, 길렐스,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를 거쳐 볼로도스 같은 현대 음악가들에 이르기까지 위대한 러시아 전통의 일부입니다. 이것을 부담으로 여기시나요? 아니면 이 위대한 전통의 일부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시나요? 당신에게 영감을 주기도 하나요?


Nikolai Lugansky: It’s hard to say since I myself don’t really feel it all that strongly. The question as to the Russian school crops up whenever I’m abroad. In Russia no one talks or asks about it. But of course we can talk about it. I should add that my principal teacher, Tatyana Nikolayeva, was a pupil of Alexander Goldenweiser, a great pianist and teacher. He was arguably the oldest Russian musician who didn’t leave Russia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As a young man he was friendly with Rachmaninov. They often performed together, including the Second Suite for two pianos. They were the first to perform this piece together. For Goldenweiser this was a great honour. But Rachmaninov was one of the first Russian aristocrats to leave Russia in 1917. To a certain extent I am of course a product of the Russian school. If you were to ask what constitutes this Russian school, I could make some mystifying remark about the Russian soul and so on. But the main thing is that after the 1930s there was a professional musical education for children aged seven and older. Essentially this was a suggestion by Alexander Goldenweiser. There was not only to be the Moscow Conservatory but a central school of music where you’d previously studied for 11 years and where every subject was taught: languages, arithmetic, geography, history and everything related to music – it was simply incredible.


니콜라이 루간스키 : 저 자신이 그다지 강하게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말하기 어려워요. 러시안 스쿨에 관한 질문은 제가 해외에 있을 때마다 불쑥 들어오는데요. 러시아에서는 아무도 그것에 대해 말하거나 묻지 않거든요. 그러나 물론 우리는 그것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어요. 저의 전임 교사인 타티아나 니콜라예바는 위대한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인 알렉산더 골덴바이저의 제자였어요. 그는 틀림없이 10월 혁명(1917년 10월 25일 일어난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를 떠나지 않은 가장 나이 많은 러시아 음악가였죠. 젊었을 때 그는 라흐마니노프와 친했어요. 그들은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2번을 포함하여 자주 협연했죠. 그들은 이 곡을 처음으로 협연했는데요. 골덴바이저에게 이것은 큰 영광이었죠. 그러나 라흐마니노프는 1917년에 러시아를 떠난 최초의 러시아 귀족 중 한 명이었죠. 어느 정도 저는 물론 러시안 스쿨의 산물입니다. 이 러시안 스쿨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저는 러시아인의 영혼 등에 대해 어리둥절한 발언을 할 수도 있어요. 그러나 중요한 것은 1930년대 이후 7세 이상의 아이들을 위한 전문적인 음악 교육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알렉산더 골덴바이저의 제안이었어요. 모스크바 음악원뿐만 아니라 이전에 11년 동안 공부하고 언어, 산술, 지리, 역사, 음악과 관련된 모든 과목을 배웠던 중앙음악학교가 있었는데, 정말 대단했죠.


Christoph Igelbrink: A very broadly-based education.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매우 광범위한 교육이었군요.


Nikolai Lugansky: But you need only an extra hour each day. That’s much more convenient for families, and like everything in the USSR these lessons were free. Fortunately this system has been retained. With minor exceptions: foreigners have to pay.


니콜라이 루간스키 : 그러나 매일 한 시간만 더 있으면 됩니다. 그것은 가족에게 훨씬 더 편리하며, 소련의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수업들은 무료였죠. 다행히도 이 체계는 유지되었어요.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고요. 외국인들은 비용을 내야 하거든요.


Christoph Igelbrink: Which works did you learn as a child? Here we generally begin on the piano with sonatinas by Kuhlau. Or Clementi, Diabelli, Mozart...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어렸을 때 어떤 작품들을 배웠나요? 여기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쿨라우의 피아노 소나티나로 시작합니다. 또는 클레멘티, 디아벨리, 모차르트...


Nikolai Lugansky: It was the same with us. Naturally Bach’s two-part Inventions, then the three-part Sinfonias. Löschhorn, Clementi... It’s an entirely classical and very serious training. You start by playing a lot of Bach – or at least you try to. And, of course, you play Haydn, Mozart...


니콜라이 루간스키 : 우리도 마찬가지였어요. 당연히 바흐의 2성부 인벤션, 3성부 신포니아, 뢰쉬호른, 클레멘티... 완전히 고전적이면서도 매우 진지한 훈련이죠. 바흐를 많이 연주하거나 최소한 그렇게 하려고 하죠. 그리고 물론 하이든, 모차르트를 연주하죠...


Christoph Igelbrink: To which composer do you feel most drawn today apart from the great Russian musical tradition? Do you feel more at home with the Romantics like Schumann?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위대한 러시아 음악 전통을 제외하고 오늘날 가장 끌리는 작곡가는 누구인가요? 슈만과 같은 낭만주의자들과 함께하면 더 편안함을 느끼나요?


Nikolai Lugansky: I really can’t divide them up into “Romantic” or “Classical”. Every great genius creates a world of his own. My latest recording is devoted to a composer whose music I’d previously played very little: Franz Schubert. This too begs the question: is this Romantic or Classical? It’s just Schubert, his world. Of course there’s a connection to Mozart.


니콜라이 루간스키 : 저는 그들을 “고전주의자”와 “낭만주의자”로 나눌 수 없어요. 모든 위대한 천재는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합니다. 저의 최근 녹음은 제가 이전에 거의 연주하지 않았던 음악을 작곡한 프란츠 슈베르트에 바쳐진 것입니다. 이것 역시 질문을 던집니다. 이것은 낭만주의인가 아니면 고전주의인가? 그의 세계인 슈베르트뿐입니다. 물론 모차르트와 관련이 있죠.


Christoph Igelbrink: With Schubert the boundaries are a little vague.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슈베르트의 경우 경계가 약간 모호합니다.


Nikolai Lugansky: Yes, because there’s also a connection to Bruckner. Schubert’s music points far into the future. I wouldn’t care to speak of “Romantic” or “Classical” music here. There are a couple of composers to whom I feel particularly drawn. I’ve played a lot of music by some of them, Chopin for example. Until now I’ve played much less Schubert but I feel a great affinity with his music.


니콜라이 루간스키 : 네, 브루크너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죠. 슈베르트의 음악은 먼 미래를 가리키고 있어요. 여기서는 “낭만주의”나 “고전주의” 음악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지 않아요. 제가 특히 끌리는 작곡가가 몇 명 있는데요. 예를 들어 그들 중에서 쇼팽을 많이 연주했죠. 지금까지 저는 슈베르트를 훨씬 적게 연주했지만, 그의 음악에 큰 애착을 느낍니다.


Christoph Igelbrink: I’m most grateful to you for such an enlightening conversation. And I hope we’ll see you again soon.


크리스토프 이겔브링크 : 그런 이해에 매우 도움이 되는 대화에 관해 대단히 감사합니다. 그리고 곧 다시 만나기를 바랍니다.


Nikolai Lugansky: I hope so too. Thank you.


니콜라이 루간스키 : 저도 그러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0월 15일 베를린 필하모니 콘서트

Nikolai Lugansky, piano / 니콜라이 루간스키, 피아노

Berliner Philharmoniker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Tugan Sokhiev, conductor / 투간 소히에프 지휘


Russian music should be melancholy and voluminous – or at least that’s the cliché. Tugan Sokhiev, Music Director of the Bolshoi Theatre, provides proof of the contrary. Rimsky-Korsakov’s Scheherazade develops oriental magic and impressionist richness of colour, while a tongue in cheek charm repeatedly shines through in Rachmaninov’s Paganini Rhapsody, regardless of its tremendous virtuosity. Nikolai Lugansky debuts as piano soloist with the Berliner Philharmoniker.


러시아 음악이 멜랑콜리하고 묵직해야 한다는 건 상투적인 표현일 수 있다. 볼쇼이 극장의 음악 감독 투간 소히에프는 여기서 그 반대 증거를 제시한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셰헤라자데>가 동양적 마법과 인상주의적인 화려한 색채를 펼친다면,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랩소디>는 엄청난 기교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눈부실 정도의 매력으로 넘쳐난다. 피아노 협연은 필하모니에 데뷔하는 니콜라이 루간스키다.


Program

Franck: Le Chasseur maudit / 프랑크 <저주받은 사냥꾼>


Rachmaninov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in a, Op. 43 /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랩소디>

Introduction. Allegro vivace - Variation I (Precedente)

Tema. L'istesso tempo

Variation II. L'istesso tempo

Variation III. L'istesso tempo

Variation IV. Più vivo

Variation V. Tempo precedente

Variation VI. L'istesso tempo

Variation VII. Meno mosso, a tempo moderato

Variation VIII. Tempo I

Variation IX. L'istesso tempo

Variation X. L'istesso tempo

Variation XI. Moderato

Variation XII. Tempo di minuetto

Variation XIII. Allegro

Variation XIV. L'istesso tempo

Variation XV. Più vivo scherzando

Variation XVI. Allegretto

Variation XVII. Allegretto

Variation XVIII. Andante cantabile

Variation XIV. L'istesso tempo

Variation XX. Un poco più vivo

Variation XXI. Un poco più vivo

Variation XXII. Un poco più vivo (Alla breve)

Variation XXIII. L'istesso tempo

Variation XXIV. A tempo un poco meno mosso


Medtner Canzona Serenata, Op. 38 No. 6 (encore) / 메트너 <밤의 노래>


Intermission


Rimsky-Korsakov Scheherazade, symphonic suite, Op. 35 / 림스키-코르사코프 모음곡 <셰헤라자데>

I. The Sea and Sinbad's Ship / 바다와 신드바드의 배

II. The Kalendar Prince / 칼렌다르 왕자 이야기

III. The Young Prince and The Young Princess / 젊은 왕자와 공주

IV. Festival at Baghdad - The Sea - The Ship Breaks against a Cliff Surmounted by a Bronze Horseman / 바그다드의 축제 - 바다 - 난파당하는 배 (청동 기마병으로 가득한 절벽에 부딪힌 배)

2023년 8월 7일 월요일

Yeol Eum Son Plays Mozart - Live in Goyang (24 June 2023)


https://m.imbc.com/Vod/VodPlay?progCode=1002845100000100000&broadcastID=1002845100519100000&type=Vod


2023년 6월 24일 손열음의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

Aram Nuri Arts Center in Goyang /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Program

Mozart Piano Sonata No. 15 in F, K. 533/494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5번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o. Allegretto


Mozart Piano Sonata No. 16 in C, K. 545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6번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o. Allegretto


Intermission


Mozart Piano Sonata No. 17 in Bb, K. 570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7번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etto


Mozart Piano Sonata No. 18 in D, K. 576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8번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etto


Encores

Mozart Fantasy in d, K. 397 (385g) / 모차르트 환상곡 K. 397

Mozart/Fazil Say: Turkish March / 모차르트 <튀르키예 행진곡> (파즐 사이 편곡)

Mendelssohn/Liszt/Horowitz: Wedding March / 멘델스존/리스트/호로비츠 <결혼 행진곡>

Galuppi Sonata No. 5 in C: I. Andante / 갈루피 소나타 5번 1악장


MBC TV예술무대에 나왔는데 방송에는 모차르트 소나타 15번과 앙코르로 연주한 갈루피 소나타 5번이 빠져 있다.

Yeol Eum Son Plays Mozart - Live in Tongyeong (7 May 2023)


https://www.youtube.com/watch?v=yv7Fu59BVyY

https://www.youtube.com/watch?v=1FCWXPEIONo

https://www.youtube.com/watch?v=npdMQmwGDV4

https://www.youtube.com/watch?v=LnmgK-cWSss


2023년 5월 7일 손열음의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

Tongyeong Concert Hall /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Program

Mozart Piano Sonata No. 15 in F, K. 533/494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o. Allegretto


Mozart Piano Sonata No. 16 in C, K. 545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o. Allegretto


Intermission


Mozart Piano Sonata No. 17 in Bb, K. 570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etto


Mozart Piano Sonata No. 18 in D, K. 576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etto


Encore

Mozart Fantasy in d, K. 397 (385g) / 모차르트 환상곡 K. 397

Yeol Eum Son Plays Mozart - Live in Gimhae (25 June 2023)


https://www.youtube.com/watch?v=EIAfSpqHHps

https://www.youtube.com/watch?v=C-KMs991yUY

https://www.youtube.com/watch?v=_ogIPi8UsQ8&t=3s


2023년 6월 25일 손열음의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

The Gimhae Arts & Sports Center Maru Hall /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Program

Mozart Piano Sonata No. 12 in F, K. 332 (300k)

I. Allegro

II. Adagio

III. Allegro assai


Mozart Piano Sonata No. 11 in A, K. 331 (300i)

I. Tema con variazione. Andante grazioso

II. Menuetto

III. Alla turca. Allegretto


Intermission

Mozart Piano Sonata No. 13 in Bb, K. 333 (315c)

I. Allegro

II. Andante cantabile

III. Allegretto grazioso


Mozart Piano Sonata No. 14 in c, K. 457

I. Molto allegro

II. Adagio

III. Allegro assai


Encores

Mozart Piano Sonata No. 16 in C, K. 545: II. Andante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6번 2악장

Mozart Piano Sonata No. 16 in C, K. 545: I. Allegro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6번 1악장

Mozart Piano Sonata No. 11 in A, K. 331: III. Alla turca. Allegretto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1번 3악장 <튀르키예 행진곡>

Mozart Piano Sonata No. 14 in c, K. 457: III. Allegro assai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4번 3악장

Yeol Eum Son Plays Mozart - Live in Wonju (3 May 2023)


https://www.youtube.com/watch?v=MgFnm-9V6Yo

https://www.youtube.com/watch?v=VaSYvAmWj_o

https://www.youtube.com/watch?v=4PRfd7KOmXQ

https://www.youtube.com/watch?v=jmy4I1kwICs

https://www.youtube.com/watch?v=d7WkU2eCyXM


2023년 5월 3일 손열음의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

Chiak Art Center in Wonju / 원주 치악예술관 공연장


Program

Mozart Piano Sonata No. 7 in C, K. 309 (284b)

I. Allegro con spirito

II. Andante un poco adagio

III. Rondeau. Allegretto grazioso


Mozart Piano Sonata No. 8 in D, K. 311 (284c)

I. Allegro con spirito

II. Andante con espressione

III. Rondeau. Allegro


Intermission


Mozart Piano Sonata No. 10 in C, K. 330 (300h)

I. Allegro moderato

II. Andante cantabile

III. Allegretto


Mozart Piano Sonata No. 9 in A, K. 310 (300d)

I. Allegro maestoso

II. Andante cantabile

III. Presto


Encore

Mozart Rondo in a, K. 511 / 모차르트 론도 K. 511

Mozart Fantasy in d, K. 397 (385g) / 모차르트 환상곡 K. 397

Schumann/Liszt Widmung / 슈만 가곡 <헌정> (리스트 편곡)


손열음은 공연장 측에 조금 사고가 있어 무대로 나가기 전에 관객석 불이 켜져 버렸고, 관객들은 공연이 끝났다고 생각해서 바로 자리를 뜨는 상황이 되어, 들려주지 못한 앙코르곡들을 아쉬운 마음에 사인회 후에 교회로 달려가서 찍었다고 유튜브에 공지했다.

Yeol Eum Son Plays Mozart - Live in Gwangju (21 June 2023)


https://www.youtube.com/watch?v=jwW6Evhapz4

https://www.youtube.com/watch?v=b7qSnsqbWLM

https://www.youtube.com/watch?v=eo4O2wlEGFA

https://www.youtube.com/watch?v=_mrNwOqwtw8

https://www.youtube.com/watch?v=UvGdYEFO5i8

https://www.youtube.com/watch?v=Pvdzp98GBYI&t=2s


2023년 6월 21일 손열음의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

U-Square Cultural Centre Kumho Art Hall in Gwangju / 광주 유스퀘어문화관 금호아트홀


차이코프스키 콩쿠르(2011), BBC 프롬스(2019)와 같은 세계의 큰 무대부터 ‘아마데우스 전문가’로 불리는 마에스트로 故 네빌 마리너 경과의 음반 발매(2017)까지.


항상 모차르트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탐구력을 아낌없이 드러내 왔던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그 어느 때보다 독창적 해석과 남다른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전곡 연주를 시작한다.


모차르트는 전 생애에 걸쳐 총 18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으며, 연주 시간만 총 400분에 달한다. 손열음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은 NAIVE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는 그녀의 새로운 음반과 함께 하는 공연으로,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을 전국 각지 공연장에서 나누어 선보인다. 연주자 개인이 그동안 아껴 두었던 음악들을 관객에게 선보이는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Program

Mozart Piano Sonata No. 1 in C, K. 279 (189d)

I. Allegro

II. Andante

III. Allegro


Mozart Piano Sonata No. 2 in F, K. 280 (189e)

I. Allegro assai

II. Adagio

III. Presto


Mozart Piano Sonata No. 3 in Bb, K. 281 (189f)

I. Allegro

II. Andante amoroso

III. Rondeau. Allegro


Intermission


Mozart Piano Sonata No. 4 in Eb, K. 282 (189g)

I. Adagio

II. Menuetto I - Menuetto II

III. Allegro


Mozart Piano Sonata No. 5 in G, K. 283 (189h)

I. Allegro

II. Andante

III. Presto


Mozart Piano Sonata No. 6 in D, K. 284 (205b)

I. Allegro

II. Rondeau en Polonaise. Andante

III. Tema con variazione


Encores

Elgar: Salut d’Amour / 엘가 <사랑의 인사>

Mozart/Volodos: Turkish March / 모차르트 <튀르키예 행진곡> (볼로도스 편곡)


세련된 예술성과 동시에 한계 없는 테크닉으로 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유럽, 미주,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전 대륙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피아니스트 손열음. 2011년 제14회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에서 준우승 및 모차르트 협주곡 최고 연주상, 콩쿠르 위촉 작품 최고 연주상을 차지하며 전 세계의 뜨거운 주목을 받았고, 동시에 그녀가 지닌 독보적인 음악성 및 남다른 통찰력과 지성을 바탕으로 한 해석 역시 평단과 대중의 찬사를 받았다.


이후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이끄는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체코 필하모닉, 로테르담 필하모닉, 드미트리 키타옌코가 이끄는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쾰른 귀르체니히 오케스트라, 드레스덴 필하모닉 등과 협연하였고 이외에도 블라디미르 스피바코프, 로렌스 포스터, 미코 프랑크, 수잔나 맬키, 조나단 노트, 앤드류 맨즈, 파블로 곤살레스, 오메르 마이어 벨버 등의 지휘로 뉴욕 필하모닉, NHK 교향악단, 모스크바 비트루오지, 스베틀라노프 심포니(구 USSR 스테이트 심포니), 하노버 NDR 라디오 필하모니,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니,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시티 오브 버밍엄 오케스트라, BBC 필하모닉 등과 협연하였다.


대관령음악제의 예술감독으로 활약하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독보적인 감각과 기획력을 선보였고, 중앙북스의 <하노버에서 온 음악 편지>의 저자로서 진솔한 글솜씨를 호평받으며 이 시대 새로운 예술가의 모형을 보여주고 있다. 조회 수 2,000만을 넘긴 손열음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은 현재 유튜브에서 모차르트 작품 실황 연주 중 최고 조회 수를 기록하며 매일 새로운 역사를 쌓아가는 중이다.


유튜브에서 앙코르곡들을 제외한 소나타 전체를 볼 수 있다.

2023년 7월 18일 화요일

Yeol Eum Son, Pablo Urbina & Sinfonica de la RTVE - Live in Madrid (21 October 2022)


https://www.youtube.com/watch?v=_Pfmu7Qk6SU&t=1s


2022년 10월 21일 마드리드 콘서트

Yeol Eum Son, piano / 손열음, 피아노

Orquesta Sinfónica de Radio Televisión Española / 스페인 방송교향악단

Pablo Urbina, conductor / 파블로 우르비나 지휘

Teatro Monumental / 테아트로 모누멘탈


Program

Félix Ibarrondo: En dehors for txistu & orchestra / 휘파람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밖>


Ravel Piano Concerto for the left hand in D / 라벨 <왼손을 위한 협주곡>


Bach/Paul Wittgenstein: Prelude No. 1 in C, BWV 846 for the Left Hand (encore) / 바흐 평균율 1번 전주곡 (파울 비트겐슈타인 편곡)


Milhaud: La Creation du Monde, Op. 81a / 미요 <세계의 창조>


Gershwin: An American in Paris / 거슈윈 <파리의 미국인>



외국 분이 주셨던 녹음인데 유튜브에도 있다. 방영일이 11월 21일로 되어 있어서 공연 날짜를 잠시 오해했다. 앙코르도 왼손을 위한 곡으로 선사했는데 고도프스키의 편곡이 아니었다. 이것 역시 한동안 오해했으므로 정정했다. 프로그램과 앙코르를 연결지은 것인데 파울 비트겐슈타인은 1차 세계 대전에서 오른팔을 잃은 피아니스트이다. 그래서 몇몇 작곡가들이 그를 위해 왼손을 위한 곡들을 헌정했는데 그중 하나가 라벨의 협주곡이다.

2023년 5월 27일 토요일

Ilya Rashkovskiy, Hyo Joo Lee & Tamgu Lee - Live in Seoul (4 May 2023)


https://www.youtube.com/watch?v=ErclgziE6I0

https://tv.naver.com/v/35593889


2023년 5월 4일 11시 제154회 클래식품격콘서트 GREAT CONCERTO SERIES

Gangnam Symphony Orchestra / 강남 심포니 오케스트라

Tamgu Lee, conductor / 이탐구 지휘

Kwanglim Arts Center / 서울 광림아트센터 장천홀

장일범 해설


Program

Poulenc Concerto for 2 Pianos in d / 풀랑크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I. Allegro ma non troppo

II. Larghetto

III. Allegro molto

... Ilya Rashkovskiy, 1st piano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제1피아노

... Hyo Joo Lee, 2nd piano / 이효주, 제2피아노


Saint-Saëns: Le carnaval des animaux /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I. Introduction et marche royale du lion /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

II. Poules et coqs / 암탉과 수탉

III. Hémiones (animaux véloces) / 당나귀

IV. Tortues / 거북이

V. L'éléphant / 코끼리

VI. Kangourous / 캥거루

VII. Aquarium / 수족관

VIII. Personnages à longues oreilles / 귀가 긴 등장인물

IX. Le coucou au fond des bois / 숲 속의 뻐꾸기

X. Volière / 큰 새장

XI. Pianistes / 피아니스트

XII. Fossiles / 화석

XIII. Le cygne / 백조

XIV. Final / 피날레

... Hyo Joo Lee, 1st piano / 이효주, 제1피아노

... Ilya Rashkovskiy, 2nd piano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제2피아노


Encore

Debussy Petite Suite for piano 4 hands: I. En Bateau / 드뷔시 4개의 손을 위한 <작은 모음곡> 중 1번 <배를 타고>



유튜브와 네이버 TV에서 전체를 볼 수 있다. 좋아하는 연주자가 아닌, 프로그램이 맘에 드느냐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Ilya Rashkovskiy, Hyo Joo Lee & Jin Suh - Live in Gwacheon (15 April 2022)


https://www.youtube.com/watch?v=7y1FQmmRWZw&t=4s


2022년 4월 15일 19시 30분 과천시립교향악단 제65회 정기연주회 <해방 : 평화를 기원하며>

Ilya Rashkovskiy, 1st piano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제1피아노

Hyo Joo Lee, 2nd piano / 이효주, 제2피아노

Gwacheon Symphony Orchestra / 과천시립교향악단

Jin Suh, conductor / 서진 지휘

Gwacheon Citizens' Hall / 과천시민회관 대극장


Program

Byung Don Choe: Music for Orchestra / 최병돈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


Poulenc Concerto for 2 Pianos in d / 풀랑크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I. Allegro ma non troppo

II. Larghetto

III. Allegro molto


Sibelius Symphony No. 2 in D, Op. 43 / 시벨리우스 교향곡 2번

I. Allegretto

II. Tempo andante, ma rubato

III. Vivacissimo

IV. Finale. Allegro moderato



토마토 채널에 피아노곡이 올라와서 봤는데 나머지가 있나 찾아봤더니 없었고 어떤 공연인지 전체 프로그램을 찾아서 정리해봤다.

2023년 2월 22일 수요일

​LMP Live! The Four Seasons with Jennifer Pike - Live in Oxford (23 July 202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8007&cid=59001&categoryId=59008

http://www.kkacl.com/db/27842

https://en.wikisource.org/wiki/The_Four_Seasons_Sonnets

https://baroque.boston/vivaldi-four-seasons

https://www.youtube.com/watch?v=qm3GMiWQnJc

https://www.youtube.com/watch?v=sOHBEaLb4UY

https://www.facebook.com/watch/?v=287178172548318


2020년 7월 23일 옥스퍼드 콘서트

Jennifer Pike, violin / 제니퍼 파이크, 바이올린

London Mozart Players / 런던 모차르트 플레이어스

Simon Blendis, conductor / 사이먼 블렌디스 지휘

Mansfield College / 맨스필드 칼리지


Vivaldi 4 Seasons, Op. 8 / 비발디 사계

Concerto No. 1 “La Primavera” / 봄

I. Allegro / 1악장

Giunt' è la primavera, e festosetti

la salutari gl' augei con lieto canto,

e i fonti allo spirar de' Zeffiretti

con dolce mormorio scorrono intanto.


Vengon coprendo l'aer di nero ammanto

e lampi e tuoni ad annunziarla eletti;

indi tacendo questi gl' augelletti

tornan di nuovo al lor canoro incanto:


Spring has arrived, and joyfully

the birds greet her with glad song,

while at Zephyr's breath the streams

flow forth with a sweet murmur.


Her chosen heralds, thunder and lightning, 

come to envelope the air in a black cloak;

once they have fallen silent, the little birds 

return anew to their melodious incantation;


봄이 왔다.

새들은 즐거운 노래로 인사를 한다.

그때 시냇물은 살랑거리는 미풍에

상냥하고 중얼거리는 소리를 내면서 흘러가기 시작한다.


하늘은 어두워지고

천둥과 번개가 봄을 알린다.

폭풍우가 가라앉은 뒤,

새들은 다시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II. Largo / 2악장

e quindi sul fiorito ameno prato

al caro mormorio di fronde e piante

dorme 'l caprar col fido can a lato.


then on the pleasant, flower-bedecked meadow,

to the happy murmur of fronds and plants,

the goatherd sleeps next to his trusty dog.


여기 꽃들이 만발한 즐거운 목장에서는

나뭇잎들이 달콤하게 속삭이고

양치기는 충실한 개를 곁에 두고 잠들어 있다.


III. Allegro / 3악장

Di pastoral zampogna al suon festante

danzan ninfe e pastor nel tetto amato

di primavera all' apparir brillante.


To the festive sound of rustic bagpipes

nymphs and shepherds dance

beneath the beloved sky at the glorious appearance of spring.


님프들과 양치기들은

전원풍 무곡의 명랑한 백파이프 소리에 맞추어

눈부시게 단장한 봄에 단란한 지붕 아래서 춤추고 있다.


Concerto No. 2 “L’Estate” / 여름

I. Allegro non molto / 1악장

Sotto dura stagion dal sole accesa

langue l'uom, langue 'l gregge ed arde il pino;

scioglie il cucco la voce, e tosto intesa

canta la tortorella e 'l gardellino.


Zeffiro dolce spira, ma contesa

muove Borea improvviso al suo vicino;

e piange i pastorel perché sospesa

tema fiera borasca e 'l suo destino.


In a harsh season burned by the sun,

man and flock languish, and the pine tree is scorched;

the cuckoo unleashes its voice, and soon

we hear the songs of the turtle-dove and the goldfinch.


Sweet Zephyr blows, but Boreas suddenly

opens a dispute with his neighbor;

and the shepherd laments his fate,

for he fears a fierce squall is coming.


이 무더운 계절에는 타는 태양도 사람도 가축의 무리도 활기를 잃고 있다.

들조차 덥다.

뻐꾸기가 울기 시작했다.

산비둘기와 방울새가 노래한다.


산들바람이 상냥하게 분다.

그러나 갑작스런 북풍이 싸움을 걸어온다.

양치기는 갑자기 비를 두려워하며

불운에 떨며 눈물을 흘린다.


II. Adagio e piano / 2악장

Toglie alle membra lasse il suo riposo

il timore de' lampi e tuoni fieri

e de' mosche e mossoni il stuol furioso.


His weary limbs are robbed of rest

by his fear of fierce thunder and lightning

and by the furious swarm of flies and blowflies.


번개, 격렬한 천둥소리, 그리고 큰 파리와 작은 파리.

광란하는 파리 떼의 위협을 받은 그는

피로한 몸을 쉴 수도 없다.


III. Presto e forte Presto / 3악장

Ah che pur troppo i suoi timor son veri:

tuona e fulmina il ciel, e grandinoso

tronca il capo alle spiche e a' grani alteri.


Alas, his fears are only too real:

the sky fills with thunder and lightning, 

and hailstones hew off the heads of proud cornstalks.


아아, 그의 두려움을 얼마나 옳았던가.

하늘은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비치고

우박을 내리게 하여 익은 열매나 곡물을 모두 쓸어버린다.


Concert No. 3 “L’Autunno” / 가을

I. Allegro / 1악장

Celebra il villanel con balli e canti

del felice raccolto il bel piacere,

e del liquor di Bacco accesi, tanti

finiscono col sonno il lor godere.


The countryman celebrates with dance and song

the sweet pleasure of a good harvest,

and many, fired by the liquor of Bacchus,

end their enjoyment by falling asleep.


마을 사람들은 춤과 노래로

복된 수확의 즐거움을 축하한다.

바커스의 술 덕택으로 떠들어댄다.

그들의 즐거움은 잠으로 끝난다.


II. Adagio molto / 2악장

Fa ch' ogn' uno tralasci e balli e canti

l'aria, che temperata dà piacere,

e la stagion, ch' invita tanti e tanti

d'un dolcissimo sonno al bel godere.


Everyone is made to abandon singing and dancing

by the temperate air, which gives pleasure,

and by the season, which invites so many

to enjoy the sweetness of sleep.


일동이 춤을 그치고 노래도 그친 뒤에는

조용한 공기가 싱그럽다.

이 계절은 달콤한 잠으로

사람에게 큰 즐거움을 준다.


III. Allegro / 3악장

I cacciator alla nov' alba a caccia

con corni, schioppi e cani escono fuore;

fugge la belva e seguono la traccia;


già sbigottita e lassa al gran rumore

de' schioppi e cani, ferita minaccia

languida di fuggir, ma oppressa muore.


The huntsmen come out at the crack of dawn

with their horns, guns and hounds;

the quarry flees and they track it;


already terrified and tired out by the great noise

of the guns and hounds, the wounded beast

makes a feeble effort to flee but, dies in agony.


새벽에 사냥꾼들은

뿔피리와 총, 개를 데리고

사냥에 나선다.


짐승은 이미 겁을 먹고 총과 개들의 소리에

지칠 대로 지치고 상처를 입어 떨고 있다.

도망칠 힘조차 다하여 궁지에 몰리다가 끝내 죽는다.


Concerto No. 4 “L’Inverno” / 겨울

I. Allegro non molto / 1악장

Aggiacciato tremar tra nevi algenti

al severo spirar d'orrido vento;

correr battendo i piedi ogni momento;

e pel soverchio gel batter i denti;


To shiver, frozen, amid icy snow

in the bitter blast of a horrible wind;

to run, constantly stamping one's feet;

and feel one's teeth chatter on account of the excessive cold;


차가운 눈 속에서 얼어붙어 떨고,

격심하게 부는 무서운 바람에

쉴 새 없이 발을 구르고 달린다.

너무 심한 추위에 이가 덜덜 떨린다.


II. Largo / 2악장

passar al foco i di quieti e contenti

mentre la pioggia fuor bagna ben cento;


to spend restful, happy days at the fireside

while the rain outside drenches a good hundred;


불 곁에서 조용하고 만족스런 나날을 보내는 동안

밖에서는 비가 만물을 적신다.


III. Allegro / 3악장

camminar sopra 'l giaccio e a passo lento

per timor di cader girsene intenti;


gir forte, sdrucciolar, cader a terra;

di nuovo ir sopra 'l giaccio e correr forte

sin ch'il giaccio si rompe e si disserra;


sentir uscir dalle ferrate porte

Sirocco, Borea e tutti i venti in guerra:

quest'è 'l verno, ma tal che gioia apporte.


to walk on the ice, and with slow steps

to move about cautiously for fear of falling;


to go fast, to slip and fall down;

to go on the ice again and run fast

until the ice cracks and opens up;


to hear coming out of the iron gates

Sirocco, Boreas and all the winds at war;

that's winter; but of a kind gladdens one's heart.


얼음 위를 걷는다.

넘어지는 것이 두려워 느린 걸음으로 주의 깊게 발을 내딛는다.


난폭하게 걷다가 미끄러져 아래로 쓰러진다.

다시 얼음 위를 걸어,

격렬하게 달린다.


바람이 제멋대로 휘젓고 다니는 소리를 듣는다.

이것이 겨울이다.

그러나 이렇게 해서 겨울은 기쁨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밀린 음악 파일을 정리하다가 나온 동영상인데 유튜브에서도 전체를 볼 수 있다. 코로나19 때문에 연주자 전원이 마스크를 쓰고 연주한다. 프로그램만 간단히 정리하고 끝낼 수도 있었는데 동화책을 간단하게 읽어주는 것 같은 장면이 나와서 자막 추출 프로그램에서 복사한 다음 외국 분한테 부탁하여 다듬었다. 하지만 결국 똑같은 영문 번역을 기어이 찾아냈고 내 부족한 구글링을 사과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영문 번역이 제니퍼 파이크가 낭송하는 소네트와 살짝 달라도 거의 같아서 수정이 수월했다. 마지막 메시지는 홍보 문구라 넣지 않았다.

Google Drive / 2025. 08. Paganini Violin Competition Winners 1

https://www.premiopaganini.it/ https://en.wikipedia.org/wiki/Paganini_Competition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Premio Paganini”] 파가니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