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0년 11월 1일 일요일

Chopin Competition's Rounds & Participants 1927-2015 [Selection]


https://pl.wikipedia.org/wik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I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IV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V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V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V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VI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IX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I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IV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V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V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V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https://pl.wikipedia.org/wiki/XVIII_Mi%C4%99dzynarodowy_Konkurs_Pianistyczny_im._Fryderyka_Chopina


폴란드 위키페디아에 쇼팽 콩쿠르 참가자들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올라왔다. 그래서 새로 정리할까 하다가 지난 글들에 정보를 추가해서 넣었다. 알고 보니 20세기에도 결선에 올라간다고 입상하는 건 아니었다. 그건 대회마다 다르다. 전부터 알아보려고 했던 건 2010 쇼팽 콩쿠르 참가자들의 뒷이야기였다. 여기에선 미끄러졌지만 나중에 잘된 사람들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물론 그건 개인적인 느낌 + 나한테 음반이 있는지 여부이다.


제1회 1927

Prize-Winners: 4

Finalists: 8

Elimination: 26


Prize-Winners

1위 Lev Oborin (USSR/Jewish) / 레프 오보린 (러시아/유태계) - 협주곡 2번

2위 Stanisław Szpinalski (Poland) / 스타니스와프 슈피날스키 (폴란드) - 협주곡 2번

3위 Róża Etkin (Poland) / 루자 에트킨 (폴란드/유태계) - 협주곡 2번

4위 Grigory Ginzburg (Russia/Jewish) / 그리고리 긴즈부르크 (러시아/유태계) - 협주곡 1번


Finalist (Top 8)

Henryk Sztompka (Poland,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헨릭 쉬톰프카 (폴란드, 마주르카 특별상) - 협주곡 2번

Leopold Münzer (Poland) / 레오폴트 뮌제르 (폴란드) - 협주곡 1번

Edward Prażmowski (Poland) / 에드바르트 프라즈모프스키 (폴란드) - 협주곡 1번

Dmitry Shostakovich (USSR)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러시아) - 협주곡 1번


Elimination (Top 26) [Selection]

Maryla Jonasówna (Poland) / 마릴라 요나스 (폴란드)


초대 대회에는 예선에 26명이 참가했고 8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4명이 입상했다. 마주르카 특별상은 결선에 진출했으나 4위 안에 들지 못한 참가자가 가져갔다. 협주곡 1번은 4명, 2번은 4명이 연주했다.


제2회 1932

Prize-Winners: 14

Finalists: 15

Elimination: 67


Prize-Winners [Selection]

1위 Alexander Uninsky (USSR,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알렉산더 우닌스키 (러시아, 마주르카 특별상)

2위 Imré Ungár (Hungary) / 임레 웅가르 (헝가리)

5위 Lájos Kentner (Hungary/Jewish) / 러요쉬 켄트네르 (헝가리/유태계)

8위 Teodor Gutman (USSR/Jewish) / 테오도르 구트만 (러시아/유태계)

9위 Gyula Károlyi (Hungary) / 귀울라 카로이 (헝가리)

13위 Maryla Jonas (Poland) / 마릴라 요나스 (폴란드)


Elimination (Top 67) [Selection]

Alexander Jocheles (USSR) - Distinctions (Top 25) / 알렉산더 요헬레스 (러시아)

Aleksander Kagan (Poland) - Distinctions (Top 25) / 알렉산더 카간 (폴란드)

Vera Razumovskaya (USSR) - Distinctions (Top 25) / 베라 라주모프스카야 (러시아)

Pavel Serebryakov (USSR) - Distinctions (Top 25) / 파벨 세레브리아코프 (러시아)

Carlo Vidusso (Italy) - Distinctions (Top 25) / 카를로 비두소 (이탈리아)


예선에 67명이 참가했고 14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아깝게 예선에서 탈락한 1명까지 15명이 입상했다. 이때 결선에서 2개의 악장을 연속으로 치는 게 과제였다. 예를 들면 1~2악장, 2~3악장 이런 식으로. 지휘는 3명이 맡았다. 예선에서 상위 25명 안에 드는 명예 졸업장(참가증서)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러시안 피아노 스쿨에 등장하는 이름들이 눈에 띈다.


제3회 1937

Prize-Winners: 13

Finalists: 21

Elimination: 80


Prize-Winners [Selection]

1위 Yakov Zak (USSR/Jewish,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야코프 자크 (러시아/유태계, 마주르카 특별상)

2위 Roza Tamarkina (USSR/Jewish) / 로자 타마르키나 (러시아/유태계)

3위 Witold Małcużyński (Poland) / 비톨트 마우추진스키 (폴란드)

4위 Lance Dossor (UK) / 랜스 도서 (영국, 소나타 특별상)

7위 Monique de la Bruchollerie (France) / 모니크 드 라 브뤼숄르리 (프랑스)

8위 Jan Ekier (Poland) / 얀 에키에르 (폴란드)


Finalist (Top 21) [Selection]

Colette Gaveau (France) - Distinctions (Top 28) / 콜레트 가보 (프랑스)


Elimination (Top 80) [Selection]

Felicja Blumental (Poland) / 펠리치아 블루멘탈 (폴란드)

Władysław Kędra (Poland) / 브와디스와프 켄드라 (폴란드)


예선에 80명이 참가했고 21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13명이 입상했다. 결선 과제곡은 지난 대회와 같다. 지휘는 3명이 맡았다. 


제4회 1949

Prize-Winners: 13

Finalists: 18

Elimination: 54


Prize-Winners [Selection]

공동 1위 Bella Davidovich (USSR/Jewish) / 벨라 다비도비치 (러시아/유태계)

공동 1위 Halina Czerny-Stefańska (Poland,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폴란드) 26세

2위 Barbara Hesse-Bukowska (Poland) / 바르바라 헤세-부코프스카 (폴란드) 19세

3위 Waldemar Maciszewski (Poland) / 발데마르 마치셰프스키 (폴란드) 22세

4위 Yuri Muravlev (USSR) / 유리 무라블레프 (러시아)

5위 Władysław Kędra (Poland) / 브와디스와프 켄드라 (폴란드)

7위 Yevgeny Malinin (USSR) / 예프게니 말리닌 (러시아)

10위 Victor Merzhanov (USSR) / 빅토르 메르자노프 (러시아)


54명이 예선에 참가했고 3단계로 바뀌었다. 1차와 2차 명단은 별로 확보하지 못했다. 2차에는 다른 국제 대회 입상자 4명이 직행했다. 예선은 청중 없이 진행되었다. 1~12위를 수상했고 나머지 5명이 파이널리스트로 남았다. 결선에서 협주곡 1번 또는 2번을 연주했고 4명이 지휘를 맡았다.


제5회 1955

Prize-Winners: 10

Finalists: 21

Elimination: 77


Prize-Winners

1위 Adam Harasiewicz (Poland) / 아담 하라셰비치 (폴란드) - 협주곡 1번 / 69.94점

2위 Vladimir Ashkenazy (USSR/Jewish)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유태계) - 협주곡 2번 / 68.67점

3위 Fou Ts’ong (China,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후총 (중국, 마주르카 특별상) - 협주곡 1번 / 67.10점

4위 Bernard Ringeissen (France) / 베르나르 링게상 (프랑스) - 협주곡 2번 / 66.02점

5위 Naum Shtarkman (USSR) / 나움 슈타르크만 (러시아) - 협주곡 2번 / 64.55점

6위 Dmitry Paperno (USSR) / 드미트리 파페르노 (우크라이나) - 협주곡 2번 / 64.29점

7위 Lidia Grychtołówna (Poland) / 리디아 그리흐토워프나 (폴란드) - 협주곡 1번 / 63.54점

8위 Andrzej Czajkowski (Poland) / 안제이 차이코프스키 (폴란드) - 협주곡 2번 / 62.81점

9위 Dmitry Sakharov (USSR) / 드미트리 사하로프 (러시아) - 협주곡 2번 / 62.44점

10위 Kiyoko Tanaka (Japan) / 기요코 다나카 (일본) - 협주곡 1번 / 62.29점


Finalist (Top 21)

Emi Béhar (Bulgaria) - Distinctions (Top 20) - 협주곡 1번

Monique Duphil (France) - Distinctions (Top 20) / 모니크 뒤필 (프랑스) - 협주곡 1번

Péter Frankl (Hungary)​ - Distinctions (Top 20) 페터 프랑클 (헝가리) - 협주곡 1번

Stanislav Knor (Czechoslovakia) - Distinctions (Top 20) - 협주곡 1번

Edwin Kowalik (Poland) - Distinctions (Top 20) - 협주곡 1번

Nina Lelchuk (USSR) - Distinctions (Top 20) - 협주곡 2번

Miłosz Magin (Poland) - Distinctions (Top 20) / 미워쉬 마긴 (폴란드) - 협주곡 1번

Annerose Schmidt (GDR)​ - Distinctions (Top 20) / 안네로제 슈미트 (독일) - 협주곡 2번

Irina Sijalova (USSR) - Distinctions (Top 20) - 협주곡 2번

Tamás Vásáry (Hungary)​ - Distinctions (Top 20) / 타마스 바사리 (헝가리) - 협주곡 2번

György Banhalmi (Hungary) - 협주곡 2번


Semifinalist (Top 41) [Selection]

Tania Achot-Harutunian (Iran) / 타니아 아초트-하루투니안 (이란)


77명이 예선에 참가했고 41명이 준결선, 21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10명이 입상했다. 10명이 협주곡 1번, 11명이 협주곡 2번을 연주했으며 5명이 지휘를 맡았다. 입상자들의 총점이 공개되었다.


제6회 1960

Prize-Winners: 6

Finalists: 12

Semifinalists: 38

Elimination: 77


Prize-Winners

만장일치 1위 Maurizio Pollini (Italy, Award for the best foreign finalist) /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 최우수 해외 파이널리스트 특별상) - 협주곡 1번

2위 Irina Zaritskaya (USSR,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이리나 자리츠카야 (우크라이나, 마주르카 특별상 및 폴로네즈 특별상) - 협주곡 1번

3위 Tania Achot-Haroutounian (Iran) / 타니아 아초트-하루투니안 (이란) - 협주곡 2번

4위 Li Min-Chan (China) / 리밍창 (중국) - 협주곡 1번

5위 Zinaida Ignatieva (USSR) / 지나이다 이그나체바 (러시아) - 협주곡 2번

6위 Valery Kastelsky (USSR) / 발레리 카스텔스키 (러시아) - 협주곡 1번


Finalist (Top 12)

Michel Block (Mexico, The award for the most talented participant)​ / 미셸 블록 (멕시코,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수여하는 가장 뛰어난 재능 있는 참가자 특별상) - 협주곡 2번

Jerzy Godziszewski (Poland, Award for the youngest Polish laureate) 예지 고지셰프스키 (폴란드, 최연소 폴란드 입상자 특별상) - 협주곡 2번

Hitoshi Kobayashi (Japan) / 히토시 고바야시 (일본) - 협주곡 2번

Reiya Silvonen (Finland) / 레이야 실보넨 (핀란드) - 협주곡 2번

Alexander Slobodyanik (USSR)​ / 알렉산더 슬로보자니크 (우크라이나) - 협주곡 1번

Józef Stompel (Poland) / 유제프 스톰펠 (폴란드) - 협주곡 2번


Semifinalist (Top 38) [Selection]

Shengying Gu (China) / 쉥잉 구 (중국)


77명이 참가했고 38명이 준결선, 12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6명이 입상했다. 5명이 협주곡 1번, 7명이 협주곡 2번을 연주했으며 3명이 지휘를 맡았다.


제7회 1965

Prize-Winners: 6

Finalists: 6

Semifinalists: 12

Quaterfinalists: 36

Elimination: 77


Prize-Winners

1위 Martha Argerich (Argentina,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헨티나, 마주르카 특별상)

2위 Arthur Moreira Lima (Brazil, Maria Kowarska-Szwalbe Award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sonata) / 아르투르 모레이라 리마 (브라질, 소나타 최우수 연주로 마리아 코바르스카-슈발베 특별상)

3위 Marta Sosińska (Poland,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Anna Godlewska's award for the best Pole) / 마르타 소신스카 (폴란드, 폴로네즈 특별상 및 최우수 폴란드 참가자에게 수여하는 안나 고들레프스카 특별상)

4위 Hiroko Nakamura (Japan, Award for the youngest laureate) / 히로코 나카무라 (일본, 최연소 입상자 특별상)

5위 Edward Auer (USA) / 에드워드 아우어 (미국)

6위 Elżbieta Głąbówna (Poland) / 엘즈비에타 그웜부프나 (폴란드)


Semifinalist (Top 12) [Selection]

Tamara Koloss (USSR) / 타마라 콜로스 (러시아)

Viktoria Postnikova (USSR) / 빅토리아 포스트니코바 (러시아)

Blanca Uribe (Colombia) / 블랑카 우리베 (콜롬비아)

Lois Carole Pachucki (USA) / 로이스 캐롤 파후츠키 (미국)

Ewa Maria Żuk (Venezuela) / 에바 마리아 주크 (베네수엘라)


Round 2 (Top 36) [Selection]

Raul Ernesto Sosa (Argentina) / 라울 에르네스토 소사 (아르헨티나)

Ikuko Endo (Japan) / 이쿠코 엔도 (일본)


1라운드에 77명이 참가하여 2라운드 36명, 준결선 12명, 결선에 6명이 진출하였으며 6명이 입상했다.


제8회 1970

Prize-Winners: 6

Finalists: 12

Semifinalists: 24

Elimination: 80


Prize-Winners

1위 Garrick Ohlsson (USA,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개릭 올슨 (미국, 마주르카 특별상)

2위 Mitsuko Uchida (Japan) / 미츠코 우치다 (일본)

3위 Piotr Paleczny (Poland,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표트르 팔레치니 (폴란드, 폴로네즈 특별상)

4위 Eugen Indjic (USA) / 유진 인지치 (미국)

5위 Natalia Gavrilova (USSR) / 나탈리아 가브릴로바 (러시아)

6위 Janusz Olejniczak (Poland) / 야누스 올레이니차크 (폴란드)


Finalists (Top 12) [Selection]

Emanuel Ax (USA/Jewish)​ / 에마누엘 액스 (미국/유태계) - Distinction (Top 11)

Ikuko Endo (Japan) - 이쿠코 엔도 (일본) - Distinction (Top 11)

Ivan Klánský (Czechoslovakia) / 이반 클란스키 (체코) - Distinction (Top 11)


Semifinalist (Top 24) [Selection]

Christian Zacharias (Germany) / 크리스티안 차하리아스 (독일)

Jeffrey Swann (USA) / 제프리 스완 (미국)

Diane Walsh (USA) / 다이앤 월쉬 (미국)


1라운드에 80명이 참가했고 준결선에 24명, 결선에 12명이 진출하였으며 6명이 입상했다. 에마누엘 액스는 텔아비브에서 열린 초대 루빈스타인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제9회 1975

Prize-Winners: 6

Finalists: 7

Semifinalists: 14

Quarterfinalists: 34

Elimination: 84


Prize-Winners [Selection]

1위 Krystian Zimerman (Poland,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폴란드, 마주르카 특별상 및 폴로네즈 특별상)

2위 Dina Yoffe (USSR/Jewish) / 디나 요페 (라트비아/유태계)

4위 Pavel Gililov (USSR) / 파벨 길릴로프 (러시아)


Semifinalists (Top 14) [Selection]

Katarzyna Popowa-Zydroń (Poland) / 카타지나 포포바-지드론 (폴란드)


Round 2 (Top 34) [Selection]

Ian Hobson (UK) / 이언 홉슨 (영국)


예선에 84명이 참가했고 23명이 2라운드, 14명이 준결선, 7명이 결선에 진출했으며 6명이 입상했다. 2015년부터 서울대 교수이기도 한 이언 홉슨은 리즈 콩쿠르 4위였다가 재도전하여 우승했다.


제10회 1980

Prize-Winners: 7

Finalists: 7

Semifinalists: 15

Quarterfinalists: 42

Elimination: 149


Prize-Winners [Selection]

1위 Dang Thai Son (Vietnam,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Warsaw Philharmonic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concerto) / 당 타이 손 (베트남, 공동 마주르카 특별상, 공동 폴로네즈 특별상, 공동 협주곡 특별상)

2위 Tatiana Shebanova (USSR,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Warsaw Philharmonic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concerto) / 타티아나 셰바노바 (러시아, 공동 폴로네즈 특별상, 공동 협주곡 특별상)

4위 없는 공동 5위 Ewa Pobłocka (Poland,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에바 포브워츠카 (폴란드, 공동 마주르카 특별상)

4위 없는 공동 5위 Akiko Ebi (Japan) / 아키코 에비 (일본)


Semifinalists (Top 15) [Selection]

Bernard D'Ascoli (France) / 베르나르 다스콜리 (프랑스)

Angela Hewitt (Canada) / 안젤라 휴이트 (캐나다)

Hung-Kuan Chen (Taiwan) / 훙콴 첸 (대만)

Kevin Kenner (USA) / 케빈 케너 (미국)

Alexander Lonquich (FRG) / 알렉산더 론퀴히 (독일)

Ivo Pogorelich (Yugoslavia, Award for the most talented pianist and original interpreter) / 이보 포고렐리치 (크로아티아, 가장 재능 있는 피아니스트 겸 독창적인 해석자 특별상)


Round 2 (Top 42) [Selection]

Eliane Rodrigues (Brazil) / 엘리아네 호드리게스 (브라질)

Emma Tachmizjan (Bulgaria) / 엠마 타흐미지안 (불가리아)

Jean-Marc Luisada (France/Jewish) / 장-마르크 루이사다 (프랑스/유태계)

Douglas Finch (Canada) / 더글러스 핀치 (캐나다)

Jeffrey Kahane (USA) / 제프리 커헤인 (미국)


예선에 149명이 참가했고 2라운드에 42명, 준결선에 15명, 결선에 7명이 진출하였으며 7명이 입상(4위 없음)하였다. 준결선에서 탈락한 포고렐리치가 우승자 당 타이 손보다 유명해졌던 대회. 2라운드에서 탈락한 제프리 커헤인은 루빈스타인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제11회 1985

Prize-Winners: 6

Finalists: 6

Semifinalists: 15

Quarterfinalists: 41

Elimination: 124


Prize-Winners [Selection]

1위 Stanislav Bunin (USSR/Jewish,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Warsaw Philharmonic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concerto) / 스타니슬라프 부닌 (러시아/유태계, 폴로네즈 특별상 및 협주곡 특별상)

2위 Marc Laforêt (France,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마르크 라포레 (프랑스, 마주르카 특별상)

3위 Krzysztof Jabłoński (Poland) / 크시쉬토프 야브원스키 (폴란드)

4위 Michie Koyama (Japan) / 미치에 고아먀 (일본)

5위 Jean-Marc Luisada (France) / 장-마르크 루이사다 (프랑스)


Semifinalist (Top 15) [Selection]

Ludmil Angelov (Bulgaria) - Distinction (Top 10) / 루드밀 앙겔로프 (불가리아)

François Killian (France) - Distinction (Top 10) / 프랑수아 킬리앙 (프랑스)

Kemal Gekić (Yugoslavia) / 케말 게키치 (크로아티아)

Rolf Plagge (Germany) / 롤프 플라게 (독일)

Alexander Korsantia (Georgia) / 알렉산더 코르산티아 (조지아)


Stage 2 (Top 41) [Selection]

Edward Wolanin (Poland) / 에드바르트 볼라닌 (폴란드)

Roland Pöntinen (Sweden) / 롤란드 푄티넨 (스웨덴)


124명이 예선에 참가했고 41명이 2라운드에 진출했으며 15명이 준결선, 6명이 결선에 진출하여 6명이 입상했다. 알렉산더 코르산티아는 루빈스타인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제12회 1990

Prize-Winners: 7

Finalists: 7

Semifinalists: 15

Quarterfinalists: 40

Elimination: 110


Prize-Winners [Selection]

1위 없는 2위 Kevin Kenner (USA,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케빈 케너 (미국, 공동 폴로네즈 특별상)

3위 Yukio Yokoyama (Japan) / 유키오 요코야마 (일본)

공동 4위 Corrado Rollero (Italy) / 코라도 롤레로 (이탈리아)

공동 4위 Margarita Shevchenko (Russia) / 마르가리타 셰브첸코 (러시아)

공동 5위 Anna Malikova (Russia/Jewish) / 안나 말리코바 (우즈베키스탄/유태계)


Semifinalist (Top 15) [Selection]

Hiroshi Arimori (Japan) - Distinction (Top 11) / 히로시 아리모리 (일본)

Philippe Giusiano (France)​ - Distinction (Top 11) / 필리프 주시아노 (프랑스)

Kyoko Tabe (Japan)​ - Distinction (Top 11) / 교코 다베 (일본)

Rueibin Chen (Austria) / 루에이빈 첸 (오스트리아)

​Momo Kodama (Japan) / 모모 고다마 (일본)

Makoto Ueno (Japan) / 마코토 우에노 (일본)

Wojciech Świtała (Poland,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보이체흐 시비타와 (폴란드, 공동 폴로네즈 특별상)


Round 2 (Top 40) [Selection]

Fabio Bidini (Italy) / 파비오 비디니 (이탈리아)

Luca Rasca (Italy) / 루카 라스카 (이탈리아)

Dmitri Teterin (USSR) / 드미트리 테테린 (러시아)


110명이 예선에 참가했고 2라운드에 40명, 준결선에 15명, 결선에 7명이 진출했으며 7명이 입상했다. 처음으로 우승자가 나오지 않았다. 안나 말리코바는 나중에 ARD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제13회 1995

Prize-Winners: 6

Finalists: 6

Semifinalists: 15

Quarterfinalists: 40

Elimination: 130


Prize-Winners

1위 없는 공동 2위 Philippe Giusiano (France) / 필리프 주시아노 (프랑스) - 론도 / 협주곡 1번

Alexei Sultanov (Russia) / 알렉세이 술타노프 (러시아) - 환상곡 / 협주곡 2번

3위 Gabriela Montero (USA) / 가브리엘라 몬테로 (베네수엘라) - 변주곡 / 협주곡 1번

4위 Rem Urasin (Russia) / 렘 우라신 (러시아) - 변주곡 / 협주곡 2번

5위 Rika Miyatani (Japan) / 리카 미야타니 (일본) - 론도 / 협주곡 2번

6위 Magdalena Lisak (Poland) / 막달레나 리사크 (폴란드) - 환상곡 / 협주곡 2번


Semifinalist (Top 15) [Selection]

7th: Nelson Goerner (Argentina)​ - Distinction (Top 10) / 넬손 괴르너 (아르헨티나)

8th: Nami Ejiri (Japan) - Distinction (Top 10) / 나미 에지리 (일본)

9th: Andrey Ponochevny (Belarus)​ - Distinction (Top 10) / 안드레이 포노체프니 (벨로루시)

10th: Katia Skanavi (Russia) - Distinction (Top 10) / 카티아 스카나비 (러시아)

Maurizio Baglini (Italy) / 마우리치오 발리니 (이탈리아)

Roberto Cominati (Italy) / 로베르토 코미나티 (이탈리아)


Round 2 (Top 40) [Selection]

Massimiliano Ferrati (Italy) / 마시밀리아노 페라티 (이탈리아)

Ingrid Fliter (Argentina/Jewish) / 잉그리드 플리터 (아르헨티나/유태계)

Ilya Itin (Russia) / 일리야 이틴 (러시아)

Olga Pushetchnikova (Russia) / 올가 푸셰치니코바 (러시아)


Round 1 (Top 149) [Selection]

Racha Arodaky (France) / 라샤 아로다키 (프랑스)

Ruei-Bin Chen (Taiwan/Austria) / 루에이빈 첸 (대만/오스트리아)

Masako Ezaki (Japan) / 마사코 에자키 (일본)

Won Kim (Korea) / 김원 (대한민국)

Olaf John Laneri (Italy) / 올라프 존 라네리 (이탈리아)

Aleksandar Madžar (Yugoslavia) / 알렉산다르 마자르 (세르비아)

Janne Mertanen (Finland) / 얀 메르타넨 (핀란드)

Jon Nakamatsu (USA) / 존 나카마쓰 (미국)

Jong-Gyung Park (Korea) / 박종경 (대한민국)

Fumiko Shiraga (Germany) / 후미코 시라가 (독일)


130명이 예선에 참가했고 40명이 2라운드, 15명이 준결선, 6명이 결선에 진출하여 6명이 입상했다. 협주곡 외에 결선 프로그램에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이 추가되었는데 모차르트 <라 치 다렘 라 마노>에 의한 변주곡, 폴란드 민요에 의한 환상곡, 론도 크라코비아크 중에서 선택했다. 일리야 이틴은 리즈 콩쿠르 우승자, 올가 케른과 존 나카마쓰는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제14회 2000

Prize-Winners: 6

Finalists: 6

Semifinalists: 12

Quarterfinalists: 38

Elimination: 94


Prize-Winners

만장일치 역대 최연소 1위 Yundi Li (China, Fryderyk Chopin Society and City of Warsaw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윤디 리 (중국, 공동 폴로네즈 특별상) -​ Steinway / 협주곡 1번

2위 Ingrid Fliter (Argentina/Jewish) / 잉그리드 플리터 (아르헨티나/유태계) - Kawai / 협주곡 2번

3위 Alexander Kobrin (Russia/Jewish) / 알렉산더 코브린 (러시아/유태계) - Steinway / 협주곡 1번

4위 Sa Chen (China, Fryderyk Chopin Society and City of Warsaw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사 첸 (중국, 공동 폴로네즈 특별상) - Steinway / 협주곡 1번

5위 Alberto Nosè (Italy) / 알베르토 노제 (이탈리아) - Steinway / 협주곡 1번

6위 Mika Sato (Japan) / 미카 사토 (일본) - Yamaha / 협주곡 1번


Semifinalist (Top 12) [Selection]

Ning An (USA) / 닝 안 (미국)

Etsuko Hirose (France) / 에츠코 히로세 (일본)

Valentina Igoshina (Russia) / 발렌티나 이고시나 (러시아)

Mihaela Ursuleasa (Romania) / 미하엘라 우르술레아사 (루마니아)


Round 2 (Top 38) [Selection]

Giuseppe Albanese (Italy) / 주제페 알바네제 (이탈리아)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Nami Ejiri (Japan) / 나미 에지리 (일본)

Jin Ju (China) / 진 주 (중국)

Jeong-Won Kim (Korea) / 김정원 (대한민국)

Ka-Ling Colleen Lee (China) / 카링 콜린 리 (중국)

Yurie Miura (Japan) / 유리에 미우라 (일본)

Roberto Prosseda (Italy) / 로베르토 프로세다 (이탈리아)

Yorck Hardy Rittner (Germany) / 요르크 하르디 리트너 (독일)

Yung Wook Yoo (Korea) / 유영욱 (대한민국)


Round 1 (Top 94) [Selection]

Hisako Kawamura (Japan) / 히사코 가와무라 (일본)

Ching-Yun Hu (Taiwan) / 칭윤 후 (대만)

Lola Astanova (Uzbekistan) / 롤라 아스타노바 (우즈베키스탄)


94명이 예선에 참가했고 38명이 2라운드, 12명이 준결선, 6명이 결선에 진출하여 6명이 입상했다. 2005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알렉산더 코브린은 1위, 사 첸은 3위가 되었다. 알베르토 노제는 몬테카를로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롤라 아스타노바는 유튜브에서 핫한 연주자.


제15회 2005

Prize-Winners: 6

Finalists: 12

Semifinalists: 32

Elimination: 80


Prize-Winners

1위 Rafał Blechacz (Poland,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Warsaw Philharmonic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concerto) / 라파우 블레하치 (폴란드, 마주르카 특별상, 폴로네즈 특별상, 협주곡 특별상, 소나타 특별상, 청중상)

2위 없는 공동 3위 Dong Hyek Lim & Dong Min Lim (Korea) / 임동혁 및 임동민

공동 4위 Shohei Sekimoto & Takashi Yamamoto (Japan) / 쇼헤이 세키모토 및 다카시 야마모토 (일본)

5위 없는 6위 Ka Ling Colleen Lee (China, Hong Kong) / 카 링 콜린 리 (홍콩)


Finalist (Top 12) [Selection]

Rachel Naomi Kudo (USA) / 레이첼 나오미 구도 (미국)

Yeol Eum Son (Korea) / 손열음 (대한민국)


Semifinalist (Top 32) [Selection]

Soo-Jung Ann (Korea) / 안수정 (대한민국)

Nicolas Bringuier (France) / 니콜라스 브랑기에 (프랑스)

Alexei Gorlatch (Ukraine) / 알렉세이 고를라치 (우크라이나)

Hisako Kawamura (Japan) / 히사코 가와무라 (일본)

Ben Kim (USA) / 벤 킴 (미국)

Esther Park (USA) / 에스더 박 (미국)

Nobuyuki Tsujii (Japan) / 노부유키 쓰지이 (일본) - 비평가상

Ingolf Wunder (Austria) / 잉골프 분더 (오스트리아)


Round 1 (Top 80) [Selection]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Piotr Banasik (Poland) / 표트르 바나시크 (폴란드)

Ching-Yun Hu (Taiwan) / 칭윤 후 (대만)

Shinya Kiyozuka (Japan) / 신야 기요즈카 (일본)

Galina Tchistyakova (Russia) / 갈리나 치스티아코바 (러시아)

Helene Tysman (France) / 엘렌 티스망 (프랑스)

Hong-Chun Youn (Korea) / 윤홍천


80명 전원이 예선에 참가했으며 32명이 준결선, 6명이 결선에 진출하여 6명이 입상했다. 임동혁은 이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4위로 마감했다. 알렉세이 고를라치는 하마마쓰 콩쿠르 1위, 리즈 콩쿠르 2위, 최종 ARD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히사코 가와무라는 클라라 하스킬 우승자가 되었다. 벤 킴은 ARD 콩쿠르에서 우승하고 나서 2010 쇼팽 콩쿠르에 재도전했으나 예선에서 탈락했다. 노부유키 쓰지이는 클라이번 콩쿠르 공동 우승자가 되었다. 신야 기요즈카는 음반도 내고 일본에서 배우로도 활동한다.


제16회 2010

Laureates: 6

Finalists: 10

Semifinalists: 20

Quarterfinalists: 40

Elimination: 78 (3명 기권)


Laureates (Top 6)

1위 Yulianna Avdeeva (Russia/Jewish, Prize funded by Krystian Zimerman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sonat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러시아/유태계, 소나타 특별상)

공동 2위 Lukas Geniušas (Russia/Lithuania,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루카스 게뉴사스 (러시아/리투아니아, 폴로네즈 특별상)

공동 2위 Ingolf Wunder (Austria, Prize of the Vice-chancellor of the Fryderyk Chopin University of Music for the best performance of the Polonaise-Fantasy & Warsaw Philharmonic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a concerto) / 잉골프 분더 (오스트리아, 환상 폴로네즈 특별상, 협주곡 특별상, 청중상)

3위 Daniil Trifonov (Russia, Polish Radio Prize for the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마주르카 특별상)

4위 Evgeni Bozhanov (Bulgaria) / 에프게니 보자노프 (불가리아)

5위 François Dumont (France) / 프랑소와 뒤몽 (프랑스)


Finalist (Top 10)

Nikolay Khozyainov (Russia) / 니콜라이 호지아이노프 (러시아)

Miroslav Kultyshev (Russia) / 미로슬라프 쿨티셰프 (러시아)

Hélène Tysman (France) / 엘렌 티스망 (프랑스)

Paweł Wakarecy (Poland) / 파베우 바카레치 (폴란드)


Semifinalist (Top 20) [Selection]

Leonora Armellini (Italy) / 레오노라 아르멜리니 (이탈리아)

Rachel Wai-Ching Cheung (China) / 레이첼 와이칭 청 (중국)

Fei-Fei Dong (China) / 페이페이 동 (중국)

Jayson Gilham (Australia) / 제이슨 길햄 (오스트레일리아)

Claire Huangci (United States) / 클레어 후앙치 (미국)

Andrew Tyson (United States) / 앤드류 타이슨 (미국)


Round 2 (Top 40) [Selection]

Anna Fedorova (Ukraine) / 안나 페도로바 (우크라이나)

Ching-Yun Hu (Taiwan) / 칭윤 후 (대만)

Da-Sol Kim (South Korea) / 김다솔 (대한민국)

Ilya Rashkovsky (Russia)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러시아)

Hyung-Ming Suh (South Korea) / 서형민 (대한민국)


Round 1 (Top 78) [Selection]

Soo-Jung Ann (South Korea) / 안수정 (대한민국)

Aljoša Jurinić (Croatia) / 알리오샤 유리니치 (크로아티아)

Naomi Kudo (Japan/United State) / 나오미 구도 (일본/미국)

Esther Park (United States) / 에스더 박 (미국)

Louis Schwizgebel-Wang (Switzerland) / 루이 슈비츠게벨-왕 (스위스)

Eric Zuber (United States) / 에릭 주버 (미국)


Preliminary Round (Top 215) [Selection]

Jong Do An (Republic Korea/Austria) / 안종도 (대한민국/오스트리아)

Miyako Arishima (Japan) / 미야코 아리시마 (일본)

Mateusz Borowiak (Poland/Great Britain) / 마테우쉬 보로비아크 (폴란드/영국)

Yulia Chaplina (Russia) / 율리아 차플리나 (러시아)

Sean Chen (USA) / 숀 첸 (미국)

Yunjie Chen (China) / 윤지에 첸 (중국)

Alessandro Deljavan (Italy) / 알레산드로 델랴반 (이탈리아)

Lindsay Garritson (USA) / 린제이 개릿슨 (미국)

Ivett Győngyősi (Hungary) / 이베트 죈죄시 (헝가리)

Chi Ho Han (Republic of Korea) / 한지호 (대한민국)

Sean Kennard (USA) / 숀 케나드 (미국)

Stanislav Khristenko (Ukraine/Russia) / 스타니슬라프 흐리스텐코 (우크라이나/러시아)

Ben Kim (USA) / 벤 킴 (미국)

Henry Kramer (USA) / 헨리 크레이머 (미국)

Alexander Lubyantsev (Russia) / 알렉산더 루비안체프 (러시아)

Sun-A Park (USA) / 박선아 (미국)

Yekwon Sunwoo (Republic of Korea) / 선우예권 (대한민국)


DVD 접수자 354명 발췌

Sophie Pacini (Italy/Germany) / 소피 파치니 (이탈리아/독일)


2010년 대회부터는 예비 심사 참가자 명단까지 있어서 몇 명 추렸다. 1차에는 원래 81명이었으나 3명이 기권해서 78명이 참가했고 2차에는 40명, 3차에는 20명, 결선에는 10명이 올라 6명이 입상(6위 없음)했다.


미로슬라프 쿨티셰프는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1위 없는 2위, 클레어 후앙치는 마이애미 쇼팽 국내 콩쿠르 1위 자격으로 예선을 거치지 않고 1라운드로 직행했다. 직행자가 총 3명인데 다닐 트리포노프에 대해서는 직행한 이유를 모른다. 가장 유력한 건 2008 산마리노 콩쿠르 우승자 자격?


우리나라 사람들 대다수에게는 2015년이 가장 인상 깊겠지만 나한테는 2010년이 가장 기억에 남는 대회. 결선에서 가장 잘한 잉골프 분더가 우승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컸기에... 결선만 잘한다고 우승은 아니지만. 분더가 청중상도 받고 DG랑 계약해서 가장 잘 나갈 것처럼 보였으나... 이 대회가 배출한 최고 스타는 다닐! 분더는 콩쿠르 참가를 멈췄고 트리포노프는 루빈스타인 콩쿠르 우승에 이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그랑프리까지 석권했다. 보자노프랑 뒤몽도 음반을 몇 장 냈다. 쿨티셰프는 몬테카를로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거기에서 대결한 사람이 뒤몽. 레오노라 아르멜리니는 연주 여행을 많이 다니고 있고 레이첼 청은 클라이번 콩쿠르 결선에 올라 청중상을 받았다. 클레어 후앙치와 앤드류 타이슨은 각각 게자 안다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안나 페도로바는 콩쿠르 참가를 몇 번 더 하다가 레코딩 아티스트로 도약했다. 김다솔은 DG에서 음반을 내기도 했으나 클라이번 콩쿠르 결선 문턱에서 미끄러졌다. 이런저런 콩쿠르를 지켜보면서 참가 이유가 크게 궁금하진 않았는데 당시에 가장 궁금한 사람이 김다솔이었다.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3위만 해도 3년 동안 미국 공연만 100회 가져갈 수 있었다. 미국 투어를 돌면서 잘 되면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불러주는 수가 있는데... 인기에 따라서 100번 넘게 연주할 수도 있다. 연주 기회란 누구나 간절한데 김다솔의 입장에선 그게 결정적으로 아쉬웠을 것이다. 김다솔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찾아보니 핀란드, 독일, 한국 위주였다. 라쉬코프스키는 하마마쓰 콩쿠르 우승 이후 콩쿠르에 몇 번 더 나가다가 지금은 성신여대 교수. 루이 슈비츠게벨-왕은 리즈 콩쿠르에서 준우승했고 역시 레코딩 아티스트로 도약했다.


쇼팽 협회 음반은 입상자 6명 모두 2장씩 발매해줬고 나머지 파이널리스트 4명은 1장씩이다.


제17회 2015

Laureates: 6

Finalists: 10

Semifinalists: 20

Quarterfinalists: 43

Elimination: 78 (6명 기권)


Laureates (Top 6)

1위 및 금메달 Seong-Jin Cho (Korea, Fryderyk Chopin Society Prize for best performance of a polonaise) / 조성진 (대한민국, 폴로네즈 특별상)

2위 및 은메달 Charles Richard-Hamelin (Canada, Krystian Zimerman Prize for best performance of a sonata) / 샤를 리샤르-아믈랭 (캐나다, 소나타 특별상)

3위 및 동메달 Kate Liu (USA, Polish Radio Prize for best performance of mazurkas) / 케이트 류 (미국, 마주르카 특별상)

4위 Eric Lu (USA) / 에릭 루 (미국)

5위 Yike Tony Yang (Canada) / 이케 (토니) 양 (캐나다)

6위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Finalist (Top 10)

Aljoša Jurinić (Croatia) / 알리오사 유리니치 (크로아티아)

Aimi Kobayashi (Japan) / 아이미 고바야시 (일본)

Szymon Nehring (Poland, Audience Award) / 시몬 네링 (폴란드, 청중상)

Georgijs Osokins (Latvia) /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라트비아)


Semifinalist (Top 20) [Selection]

Galina Chistiakova (Russia) / 갈리나 치스티아코바 (러시아)

Chi-Ho Han (Korea) / 한지호 (대한민국)

Dinara Klinton (Ukraine) / 디나라 클린톤 (우크라이나)


Round 2 (Top 43) [Selection]

Soo Jung Ann (Korea) / 안수정 (대한민국)

Miyako Arishima (Japan) / 미야코 아리시마 (일본)

Michelle Candotti (Italy) / 미쉘 칸도티 (이탈리아)

Ivett Gyӧngyӧsi (Hungary) / 이베트 죈죄시 (헝가리)

Rachel Naomi Kudo (United States) / 레이첼 나오미 구도 (미국)

Alexia Mouza (Greece/Venezuela) / 알렉시아 무자 (그리스/베네수엘라)

Michał Szymanowski (Poland) / 미하우 시마노프스키 (폴란드)

Arseny Tarasevich-Nikolaev (Russia) / 아르세니 타라세비치-니콜라예프 (러시아)

Alexander Ullman (United Kingdom) / 알렉산더 울만 (영국)

Cheng Zhang (China) / 청 장 (중국)


Round 1 (Top 78) [Selection]

Irina Chistiakova (Russia) / 이리나 치스티아코바 (러시아)

Ashley Fripp (United Kingdom) / 애슐리 프립 (영국)

Honggi Kim (Korea) / 김홍기 (대한민국)

Nozomi Nakagiri (Japan) / 노조미 나카기리 (일본)

Tiffany Poon (China) / 티파니 푼 (홍콩)


Preliminary Round (Top 154) [Selection]

Fei-fei Dong (China) / 페이페이 동 (중국)

Nathalia Milstein (France) / 나탈리아 밀스타인 (프랑스)

Ji-Yeong Mun (Korea) [withdraw] / 문지영 (대한민국) [기권]

Aristo Sham (Hong Kong) [withdraw] / 아리스토 삼 (홍콩) [기권]

Yekwon Sunwoo (Korea) / 선우예권 (대한민국)

George Li (United States) [withdraw] / 조지 리 (미국) [기권]


1차에는 원래 84명이었으나 6명이 기권해서 78명이 참가했고 2차에는 43명, 3차에는 20명, 결선에는 10명이 올라 6명이 입상했다. 쇼팽 협회 음반은 4위까지 2장씩 발매해줬고 나머지 6명은 1장씩이다.


2015년 참가자들 중에서 누가 가장 잘 된 것 같은지에 대한 생각은 왔다갔다 거린다. 네링이 루빈스타인 콩쿠르에서 우승할 때만 해도 조성진 다음으로 잘 된 것 같았는데 에릭 루가 리즈 콩쿠르에서 우승하고 보니 네링보다 에릭 루가 더 위다. 베를린 필 협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조성진이 1위. 샤를 리샤르-아믈랭은 유감인 게 음반 낸 것만 보면 조성진 다음일 것처럼 보이지만 연주 흔적을 보면 캐나다가 40~50% 차지! 국적이 미국이면 미국에서만 연주한다고 해도 뭐라고 별로 안 그럴 거였다. 잘 모를 때는 조성진보다 더 많이 연주할 수도 있지 이렇게 생각했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그렇게 준우승자는 자꾸만 내가 생각하는 순위에서 뒤로 밀리고 있다. 에릭 루를 조성진 다음으로 치는 이유는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 영국 시장까지 아우를 수 있어서다. 케이트 류는 어깨 부상 때문에 미국에서 열리는 국내 대회에서 하차했다. 시간이 흘러 연주 활동을 재개하긴 했다. 시쉬킨은 제네바 콩쿠르 우승,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준우승으로 행복하게 마감했다. 내가 볼 때 파이널리스트 10명 중에서 꼴찌는 토니 양이다. 게오르기스 오소킨스는 파이널리스트로 남아서 그렇지 이후에 음반을 몇 장 냈다. 아이미 고바야시는 쇼팽 콩쿠르 전에 이미 EMI 레이블에서 냈고 이후에는 다른 음반사에서 냈다. 혹시나 해서 아마존에서 토니 양의 음반이 있는지 찾아봤더니 역시나 쇼팽 콩쿠르 입상 기념 음반 말고 없다. 이웃님들이 말씀하시길 토니 양 보고 SNS 좀 그만 하고 연습하라고... 네링까지 쇼팽 콩쿠르에서 미끄러지고 나서 루빈스타인 콩쿠르 우승자가 된 경우는 4명이다. 알렉산더 울만은 위트레흐트 리스트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안수정과 레이첼 나오미 구도는 삼수생인데 작은 대회는 몰라도 큰 대회는 재수해서 안 되면 정말 안 되는 거다. 일본 만화책 <피아노의 숲>을 보면 삼수해서 결선에 오르는 기적을 발휘한 미국 참가자가 나오는데 입상은 못했다는 설정이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한편 2010년에 이어 2015년에도 예선에서 탈락한 선우예권은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조지 리는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준우승, 문지영은 부조니 콩쿠르 우승 이후 본선을 앞두고 기권했다.


제18회 2021

Prize-Winners: 6

Finalists: 10

Semifinalists: 20

Quarterfinalists: 40

Elimination: 80명 안팎


Participants [Selection]

Leonora Armellini (Italy) / 레오노라 아르멜리니 (이탈리아)

Michelle Candotti (Italy) / 미쉘 칸도티 (이탈리아)

Alberto Ferro (Italy) / 알베르토 페로 (이탈리아)

Jonathan Fournel (France) / 조나탕 푸르넬 (프랑스)

Alexander Gadjiev (Italy/Slovenia)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슬로베니아)

Jean-Paul Gasparian (France) / 장-폴 가스파리앙 (프랑스)

Eva Gevorgyan (Russia) / 에바 게보르기안 (러시아)

Chi Ho Han (Korea) / 한지호 (대한민국)

Nikolay Khozyainov (Russia) / 니콜라이 호지아이노프 (러시아)

Honggi Kim (Korea) / 김홍기 (대한민국)

Aimi Kobayashi (Japan) / 아이미 고바야시 (일본)

Hyuk Lee (Korea) / 이혁 (대한민국)

Bruce Xiaoyu Liu (Canada) / 브루스 샤오위 류 (캐나다)

Ziyu Liu (China) / 지유 류 (중국)

Arsenii Mun (Russia) / 아르세니 문 (러시아)

Georgijs Osokins (Latvia) /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라트비아)

Leonardo Pierdomenico (Italy) / 레오나르도 피에르도메니코 (이탈리아)

Aristo Sham (Hong Kong) / 아리스토 삼 (홍콩)

Changyong Shin (Korea) / 신창용 (대한민국)

Szymon Nehring (Poland) / 시몬 네링 (폴란드)

Tomoharu Ushida (Japan) / 도모하루 우시다 (일본)


2010년부터 1라운드 80명, 2라운드 40명, 3라운드 20명, 결선 10명 체계로 바뀌었다. 18회 대회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때문에 2021년으로 연기되었다. 그래서 참가자들 중에서 판단하여 추렸다. 물론 이건 세월이 지나봐야 안다. 쇼팽 콩쿠르는 20세기나 21세기나 결선에 오른 사람에게 또 다시 결선에 오를 기회를 주지 않았다. 이번에 재도전하는 네링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 참가 이유가 가장 궁금한 사람이 네링.


18회 대회에서 국가별 에이스를 대강 살펴보면 폴란드는 시몬 네링, 이탈리아는 알렉산더 가지예프, 우리나라는 이혁, 중국은 지유 류, 일본은 도모하루 우시다? 어디까지나 입상 경력으로 판단한 것이지 연주로 판단한 게 아니다.


After Chopin Competition

쇼팽 콩쿠르 입상 여부를 떠나 나중에 잘된 사람들을 판단하여 열거했는데 그러면서 여기에서 미끄러졌어도 다른 큰 대회에서 우승한 참가자들을 알게 되어 반가웠다.


Queen Elisabeth Competition Winner

1956 - Vladimir Ashkenazy (Russia/Jewish)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유태계)


Long-Thibaud Competition Winner

1957 - Péter Frankl (Hungary)​ - Distinctions (Top 20) 페터 프랑클 (헝가리)

1967 - Edward Auer (USA) / 에드워드 아우어 (미국)


페터 프랑클은 파이널리스트였다가, 에드워드 아우어는 5위였다가 이후 롱-티보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Tchaikovsky Competition Winner

1962 - Vladimir Ashkenazy (Russia/Jewish) /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러시아/유태계)

2011 - Daniil Trifonov (Russia)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Arthur Rubinstein Competition Winner

1974 - Emanuel Ax (USA/Jewish) / 에마누엘 액스 (미국/유태계)

1983 - Jeffrey Kahane (USA) / 제프리 커헤인 (미국)

1995 - Alexander Korsantia (Georgia) / 알렉산더 코르산티아 (조지아)

2011 - Daniil Trifonov (Russia)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2017 - Szymon Nehring (Poland) / 시몬 네링 (폴란드)


Leeds Competition Winner

1981 - Ian Hobson (United Kingdom) / 이언 홉슨 (영국)

1996 - Ilya Itin (Russia) / 일리야 이틴 (러시아)

2018 - Eric Lu (USA) / 에릭 루 (미국)


Van Cliburn Competition Winner

1997 - Jon Nakamatsu (USA) / 존 나카마쓰 (미국)

2001 - Olga Pushetchnikova (Russia) [Olga Kern] / 올가 푸셰치니코바 (러시아) [올가 케른]

2005 - Alexander Kobrin (Russia/Jewish) / 알렉산더 코브린 (러시아/유태계)

2009 - Nobuyuki Tsujii (Japan) / 노부유키 쓰지이 (일본)

2017 - Yekwon Sunwoo (Republic of Korea) / 선우예권 (대한민국)


Géza Anda Competition Winner

1997 - Corrado Rollero (Italy) / 코라도 롤레로 (이탈리아)

2015 - Andrew Tyson (United States) / 앤드류 타이슨 (미국)

2018 - Claire Huangci (United States) / 클레어 후앙치 (미국)


ARD Competition Winner

1993 - Anna Malikova (Russia) / 안나 말리코바 (우즈베키스탄)

2006 - Ben Kim (USA) / 벤 킴 (미국)

2011 - Alexei Gorlatch (Ukraine) / 알렉세이 고를라치 (우크라이나)


Monte-Carlo Competition

1999 - Maurizio Baglini (Italy) / 마우리치오 발리니 (이탈리아)

2001 - Rem Urasin (Russia) / 렘 우라신 (러시아)

2012 - Miroslav Kultyshev (Russia) / 미로슬라프 쿨티셰프 (러시아)

2015 - Alberto Nosè (Italy) / 알베르토 노제 (이탈리아)


렘 우라신은 몬테카를로 콩쿠르 우승으로 멈춘 게 아니고 2004 시드니 콩쿠르에 참가하여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Geneva Competition Winner

2018 -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Hamamatsu Competition Winner

2006 - Alexei Gorlatch (Ukraine) / 알렉세이 고를라치 (우크라이나)

2012 - Ilya Rashkovsky (Russia)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러시아)


Before Chopin Competition

쇼팽 콩쿠르 이후의 이야기만 하다가 이전에는 어떤 큰 대회 우승자들이 나왔는지도 알아봤다. 안 해도 그만이지만. 성인 대회만 하려다가 청소년 대회도 알아봤다.


Tchaikovsky Junior Competition Winner

2004 - Yulia Chaplina (Russia) / 율리안 차플리나 (러시아)

2015 - Suah Ye (Korea) / 예수아 (대한민국)


2010 쇼팽 콩쿠르에서는 예선 탈락, 2011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는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성인이 되고 나서 크게 볼 일이 없어진 경우. 2021년 예선에 나온 예수아도 성인 대회에서 크게 볼 일이 없다. 이 대회 입상자로는 그 외에 손열음, 김수연, 이혁도 있다. 차이코프스키 주니어 콩쿠르는 3대 청소년 콩쿠르가 아니다.


Ettlingen Junior Competition Winner

1998A - Rina Sudo (Japan) / 리나 수도 (일본)

2000B - Yeol Eum Son (Korea) / 손열음 (대한민국)

2006A - Ching Toa Aristo Sham (Hong Kong) / 칭토아 아리스토 삼 (홍콩)

2008B - Zhi Chao Julian Jia (China) / 지차오 줄리안 지아 (중국)

2010A - Eric Lu (USA) / 에릭 루 (미국)

2012A - Annie Zhou (Canada) / 애니 저우 (캐나다)

2012B - Ji-Yeong Mun (Korea) / 문지영 (대한민국)


에틀링겐 콩쿠르는 나중에 잘된 연주자들을 꽤 배출했다. 물론 여기에서 장려상으로 남았어도 나중에 잘된 사람들도 있다.


Chopin Junior Competition Winner

1992

공동 1위 Rem Urasin (Russia) / 렘 우라신 (러시아)

Etsuko Hirose (Japan) / 에츠코 히로세 (일본)


1996

공동 1위 Feodor Amirov (Russia) / 페오도르 아미로프 (러시아)

공동 1위 Dong Min Lim (Korea) / 임동민 (대한민국)

2위 Dong-Hyek Lim (Korea) / 임동혁 (대한민국)

공동 3위 Lola Astanova (Uzbekistan) / 롤라 아스타노바 (우즈베키스탄)


2000

공동 1위 Galina Chistiakova (Russia) / 갈리나 치스티아코바 (러시아)

5위 Soo Jung Ann (Korea) / 안수정 (대한민국)


2004

1위 Sun Jia Yi (China) / 지아이 순 (중국)

공동 2위 Lukas Geniusas (Russia) / 루카스 게뉴사스 (러시아)

공동 2위 Anna Fedorova (Ukraine) / 안나 페도로바 (우크라이나)


2006

1위 Dmitry Shishkin (Russia) / 드미트리 시쉬킨 (러시아)

3위 Daniil Trifonov (Russia) /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


2008

1위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대한민국)

2위 Nikolay Khozyainov (Russia) / 니콜라이 호지아이노프 (러시아)


2012

공동 1위 Hyuk Lee (Korea) / 이혁 (대한민국)

공동 1위 Tiffany Poon (Hong Kong) / 티파니 푼 (홍콩)


2014

[Junior Group]

공동 1위 Eric Lu (USA) / 에릭 루 (미국)

공동 1위 Annie Zhou (Canada) / 애니 저우 (캐나다)

2위 없는 3위 Xuehong Chen (China) / 슈에홍 첸 (중국)

파이널리스트 (Top 5) Tony Yike Yang (Canada) / 토니 이케 양 (캐나다)


[Senior Group]

1위 없는 공동 2위 Georgijs Osokins (Latvia) /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라트비아)


2016

[Senior Category]

1위 Xue Hong Chen (China) / 슈에홍 첸 (중국)


2018

[Senior Category]

2위 Hyuk Lee (Korea) / 이혁 (대한민국)


러시아와 중국에서 열리는 쇼팽 주니어 콩쿠르는 입상자들을 꽤 배출했다. 하지만 우승으로 이어진 사람은 조성진이 유일하다. 이 대회에 대해서는 쇼팽과 관련이 있어도 그러려니 한다.


Arthur Rubinstein Junior Competition Winner

1993

1위 Valentina Igoshina (Russia) / 발렌티나 이고시나 (러시아)


2002

1위 Yulianna Avdeeva (Russia) /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러시아)

2위 Rafal Blechacz (Poland) / 라파우 블레하치 (폴란드)


2007

7회 2007

1위 Denis Zhdanov (Ukraine) / 데니스 즈다노프 (우크라이나)

2위 Marcin Koziak (Poland) / 마르친 코지아크 (폴란드)

4위 Irina Chistyakova (Russia) / 이리나 치스티아코바 (러시아)


2009

공동 1위 Anna Fedorova (Ukraine) / 안나 페도로바 (우크라이나)

공동 1위 Ji-Yeong Mun (Korea) / 문지영 (대한민국)


2011

4위 Krzysztof Ksiazek (Poland) / 크쉬시토프 크시옹제크 (폴란드)


2014

1위 Szymon Nehring (Poland) / 시몬 네링 (폴란드)

2위 Jakub Kuszlik (Poland) / 야쿠브 쿠쉴리크 (폴란드)


2017

1위 Arsenii Mun (Russia) / 아르세니 문 (러시아)


루빈스타인 기념 청소년 콩쿠르에서는 쇼팽 콩쿠르 우승자를 2명 배출했다.


Long-Thibaud Competition Winner

1983 - Stanislav Bunin (USSR/Jewish) / 스타니슬라프 부닌 (러시아/유태계)

2001 - Dong Hyek Lim (Korea) / 임동혁 (대한민국)


쇼팽 콩쿠르에서 부닌은 1위, 임동혁은 공동 3위가 되었다.


Arthur Rubinstein Master Competition Winner

2017 - Szymon Nehring (Poland) / 시몬 네링 (폴란드)


루빈스타인 마스터 콩쿠르에서 우승한 이후 다른 대회에 또 나온 경우가 네링까지 5명. 그런데 네링은 다른 큰 대회로 간 게 아닌, 이미 나갔던 쇼팽 콩쿠르로 리턴했다는 게 다르다.


Van Cliburn Competition Winner

Alexei Sultanov (Russia) / 알렉세이 술타노프 (러시아)


술타노프는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 이후 4년이 지나 1993년에 새로운 입상자들의 물결이 일자 1년에 45회 연주하던 걸 이어나가지 못했다. 그러면서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쇼팽 콩쿠르에 나왔으나 우승하지 못했다.


ARD Competition Winner

2006 - Ben Kim (USA) / 벤 킴 (미국)


벤 킴은 2005 쇼팽 콩쿠르 준결선에서 탈락한 후 ARD 콩쿠르에서 우승했고 2010 쇼팽 콩쿠르에 재도전했으나 예선에서 탈락했다.


Monte-Carlo Competition Winner

2012 - Miroslav Kultyshev (Russia) / 미로슬라프 쿨티셰프 (러시아)

2015 - Alberto Nosè (Italy) / 알베르토 노제 (이탈리아)


Geneva Competition Winner

1954 - Bernard Ringeissen (France) / 베르나르 링게상 (프랑스)

1957 - Martha Argerich (Argentina/Jewish) /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헨티나/유태계)

1976 - Tatiana Shebanova (USSR) / 타티아나 셰바노바 (러시아)

1990 - Nelson Goerner (Argentina)​ / 넬손 괴르너 (아르헨티나)


링게상은 쇼팽 콩쿠르 4위, 아르헤리치는 1위, 셰바노바는 2위, 괴르너는 아깝게 7등으로 준결선에서 탈락했다. 제네바 콩쿠르에서 1위 없는 2위에 입상했던 폴리니와 아브제예바는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Busoni Competition Winner

1957 - Martha Argerich (Argentina/Jewish) /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헨티나/유태계)

1966 - Garrick Ohlsson (USA) / 개릭 올슨 (미국)

1979 - Catherine Vickers (Canda) / 캐스린 비커스 (캐나다)

1993 - Roberto Cominati (Italy) / 로베르토 코미나티 (이탈리아)

1999 - Alexander Kobrin (Russia/Jewish) / 알렉산더 코브린 (러시아/유태계)


아르헤리치와 올슨은 쇼팽 콩쿠르 우승으로 이어졌고 비커스는 1980 쇼팽 콩쿠르에서 2라운드에 진출했으며 코미나티는 1995 쇼팽 콩쿠르에서 세미파이널리스트였다. 코브린은 쇼팽 콩쿠르에서 3위였다가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Hamamatsu Competition Winner

2009 - Seong-Jin Cho (Korea) / 조성진 (대한민국)

2015 - Alexander Gadjiev (Italy/Slovenia) / 알렉산더 가지예프 (이탈리아/슬로베니아)


하마마쓰 콩쿠르에서 우승한 조성진은 이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3위, 루빈스타인 콩쿠르 3위였다가 쇼팽 콩쿠르 우승으로 이어졌다. 2003년 대회에서 1위 없는 공동 2위를 코브린과 나눠가진 블레하치는 2005 쇼팽 콩쿠르 우승자가 되었다.


쇼팽 콩쿠르에서 조성진에 이어 또 다시 하마마쓰 콩쿠르 1위에게 우승을 내줄지가 의문인데 나는 가지예프보다는 네링 편이다. 처음에는 둘 다 챙기고 있었기 때문에 마음이 흔들렸지만 네링으로 굳어졌다. 네링에 대해서 편들기가 힘들다면 쇼팽 콩쿠르에서 이미 결선에 가봤으면 20세기고 21세기고 또 다시 오를 수 없었던 지난 사례들. 그리고 말아먹은 대회가 내가 아는 것만 10개인데다가 내가 싫어하는 이런저런 쇼팽 콩쿠르 참가 경력. 쇼팽만 연주하는 대회라고 해도 오히려 다른 쇼팽 관련 대회들을 배척하는 경향이 싹텄다. 그런데 가장 센 경력을 떡 하니 들고 왔다. 루빈스타인 콩쿠르 2위나 3위면 당연히 얼마든지 늦어도 2라운드에서 탈락할 거라고 생각했겠지... 가지예프가 하마마쓰 1위인 것보다 네링이 더 세다. 가지예프에 대해서 편들기 힘들다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어떻게든 3위를 만들지 못한 점. 쇼팽 콩쿠르와 차이코프스키 콩쿠르를 동급으로 보기도 하는데 둘 중의 하나가 안 되면 다른 하나를 우승하기 힘들다. 손열음과 잉골프 분더가 대표적인 사례. 물론 가지예프는 2015 부조니 콩쿠르에서도 입상하지 못했는데 알고 보니 폴리니도 거기에서 입상하지 못했다. 이건 가지예프한테 한 줄기 희망을 주는 걸 수도 있겠지만 2015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오디션에 탈락하여 1차에 가지 못했고 재도전한 2019년 대회에서도 2차에서 탈락했다. 둘 다 손열음과 잉골프 분더처럼 어떻게든 2위까지는 가능하다. 가지예프가 이탈리아 출신인데 이탈리아에는 이미 우승자가 있고 이중 국적으로는 큰 대회 우승이 힘들다. 네링한테 유리하다면 홈 어드밴티지! 네링이 이번에 우승하겠다는 의견도 있었는데 참가자들을 살펴본 결과 18회 대회가 21세기에서 가장 떨어진다. 2005년에는 블레하치, 2010년에는 다닐 트리포노프, 2015년에는 조성진이 나중에 빛난 사례. 내가 볼 때 참가자들의 입상 경력이 지난 3개 대회보다 더 떨어진다. 2005년에는 임동혁, 임동민, 손열음이 있었다. 2010년에는 나중에 잘 된 참가자들이 쏟아져 나왔다. 2015년에는 입상 경력이 가장 화려한 사람이 조성진이었고 에릭 루, 시쉬킨, 네링이 나중에 잘 되었다. 2021년 대회는 어떻게 보면 이전보다 입상하기 쉬울 수도 있는 절호의 기회다.


2020년에 쇼팽 콩쿠르가 열리면 가서 누굴 응원한다기보다는 맘 편하게 축제처럼 즐기자고 생각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닥치면서 2021년으로 연기되었고 1라운드 직행 티켓을 쥐고 있었던 네링이 재도전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내가 쌓아온 경험치에 차질이 생겼다. 스스로가 무너뜨려야 되는 입장이 되었다. 2015년에 네링 응원했다가 우승은커녕 입상조차 하지 못해서 되게 무안했는데 또 다시 응원한다는 참가자가 네링. 그땐 연주에 꽂혀서 응원했던 거고 이번에는 입상 경력에 의해서 할 수 없이 어디까지 가나 봐야 하는 입장이 되었다. 네링이 없는 결선이란 상상하기가 힘들다. 폴란드 입장에서는 네링을 빼면 게임이 안 된다. 폴란드가 네링한테 이번에는 힘드니까 다음에 우승해보라고 기회를 준 건지 아니면 네링 본인이 입상자 타이틀을 갖고 싶어서 재도전한 건지는 대회가 끝나고 시간이 흐르면 인터뷰에서 말해주겠지...... 폴란드가 지메르만 이후 블레하치가 우승하기까지 30년을 기다려줬는데 이번에는 20년도 기다리기 싫은 걸 수도.


네링은 협주곡 1번, 가지예프는 2번이 유력하다. 그런데 가지예프의 지난 연주 기록을 정리하다가 마주르카 Op. 56을 알게 되었다. 몇몇 참가자들이 이게 21세기 마주르카 특별상의 공통점이란 걸 간파한 건지? 그걸 들고 나올 가능성이 다른 참가자들에게도 있다. 이게 3위를 보장해줄 수도 있거든. 블레하치가 모든 특별상을 휩쓸고 나서 2010년과 2015년 대회에서 4위부터는 특별상이 나오지 않았다. 2021년에도 금은동만 줄 가능성이 농후하다. 순위나 결선 진출 여부를 떠나 특별상만큼은 공정했으면 좋겠는데 그건 20세기에서나 가능했던 이야기.


쇼팽 콩쿠르에는 내가 볼 때 이 나라 저 나라 돌아가면서 우승한다는 암묵적인 룰이 있다. 그래서 난 앞으로 조성진 이후로 우리나라에서 최소 60년 동안 안 나올 거란 추측으로다가 안심하고 평생 외국인 응원 모드가 되었다. 히히히~ 우승을 또 할 수 있다면 그건 러시아와 폴란드가 유이하다. 폴란드와 역사적으로 사이가 좋지 않은 러시아는 실력으로 우승을 몇 번 해먹었다. 그런데 멀리 떨어져 있고 아시아에서 최초로 폴란드와 수교를 맺은 일본은 아무리 쇼팽이란 작곡가를 짝사랑해도 안 들어주고 있는 중. 일본은 1위를 못할 거면 1위 없는 2위라도 해봐야 하는데 1970년과 1990년의 사례를 보면 일본 위에 다른 나라가 있었다. 그렇게 사람이라도 1인자가 되어보지 못했다. 섬나라는 우승한 역사가 없는데 아시아에서 안 해본 나라의 대표는 일본이고 유럽에서는 쇼팽이 인생의 후반을 보낸 프랑스. 둘 다 3대 콩쿠르에서 나머지 2개는 우승해봤다. 프랑스는 1위 없는 2위도 해보고 특별상도 받았는데 일본은 특별상(마주르카, 폴로네즈, 협주곡, 소나타 부문)이라도 1등을 하지 못했다. 꼭 우승이나 입상이 아니더라도 쇼팽 스페셜리스트라고 불릴 만한 연주자들이 프랑스에도 있고 우리나라에도 있는데 일본은 입상자만 있고 그렇게 불릴 만한 사람이 내가 볼 때 없다. 그저 쇼팽 음반을 낸 사람들이 넘쳐날 따름. 아메리카에서는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우승했는데 나머지는 캐나다와 브라질이 될까?


여기에서 끝내려고 했는데 차이코프스키 콩쿠르가 서운하게 여길 것 같아서 계속...

댓글 없음:

댓글 쓰기

Google Drive / 2024. 11. Geneva Competition Winners 6

1957년 공동 2위 Maurizio Pollini (Italy) /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 01 Maurizio Pollini - Beethoven Complete Piano Sonatas 마우리치오 폴리니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 8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