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1년 12월 29일 수요일

DVD / The Goldberg Variations from Glenn Gould Plays Bach 2007


https://www.youtube.com/watch?v=4CT86b_k56I&t=6s

https://www.youtube.com/watch?v=w72ZcLFDs6M&list=PL96A0B1C04B23E491


바흐 골드베르크 명연, 글렌 굴드의 연주 영상!!


수년 동안 절판되어 시중에서 만날 수 없었던, 글렌 굴드의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1981년 녹음 관련 DVD가 탄생 75주년, 서거 25주년을 기념하는 2007 글렌 굴드의 해(글렌 굴드 재단 선포)를 맞아 새롭게 재발매되었다. 연주 및 녹음장면, 인터뷰(인터뷰어 : 브뤼노 몽생종), 연주자/작곡가/곡에 관한 해설, 글렌 굴드 사진 등 수록.


20세기의 모든 연주자 가운데 가장 강한 개성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는 아무래도 글렌 굴드를 꼽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는 연주 외적인 면에서도 많은 기행을 보여주었고 연주 자체에 있어서도 다른 연주자들은 상상할 수도 없었던 표현을 자유롭게 보여준 피아니스트가 바로 그였다. 본 앨범은 1981년 4월 뉴욕에서 제작된 것이며 그의 브뤼노 몽생종과의 대화와 대표적인 연주인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이 수록된 앨범으로 그의 예술세계의 모든 면을 보여주는 귀중한 앨범이다.


Introduction / 소개

Das Geschichtsbuch der Interpreten verzeichnet nur wenige Fälle, in denen ein Künstler praktisch über Nacht berühmt wurde. Nach einem einzigen Konzert Mitte de 50er jahre in Washington ging der Name eines jungen Pianisten um die Welt, der ein einmaliges, wegweisendes Kapitel in diesem Buch aufschlug: Glenn Gould. Wenige Monate später nahm Gould seine erste Pltte auf. Er enschied sich dabei für Bachs Goldberg-Variationen, eines de bedeutendsten Werke de Klavierliteratur. Für Gould bietet dieses Stück 30 außergewöhnliche Ansichten eines ganz gewöhnlichen Ostinato-Themas. Ansichten, die wie ungeordnete Schnappschüsse quer durch die Zeit springen und Jahrzehnte überbrücken. Sie vereinen den soliden Kontrapunkt des reifen Meisters mit der Selbstverliebtheit de jungen Virtuosen. Und in ihren stärksten Momenten sogar mit dem leidenschaftlichen Ästhetizismus des späten Bach. Durch Konzentration auf die musikalische Struktur wird das Instrument, das Gould perfekt beherrscht, zur Nebensache. Beim Spielen wirkt er wie besessen, als befinde er sich in einer Ekstase des reinen Geistes. Er denkt we ein komponist und identifiziert sich schöpferisch mit der Musik. So kann er sich eine kristische Distnz zur Partitur erlauben. Selbt ganz im Werk aufgehend, möchte er auch den Zuhörer am kreativen Prozess teilhaben lassen. Sobald man den Begriff der individuellen Identität weniger betont, können Komponist, Interpret, Hörer wieder zu der Einheit verschmelzen, die durch die romantische Kunstauffassung zerstört wurde. Einer inneren Berufung folgend, verabschiedete sich Glenn Gould nach acht glanzvollen Jahren aus dem internationalen Konzertbetrieb. Freiwillig und endgültig. Geistig gestärkt durch seine Abgeschiedenheit von der Welt, entfaltete er eine rege Aktivität als Pianist, Komponist und Autor. Eine Art gelebte Meditation über die Kommunikation im Zeitalter moderner Technik und maschineller Segnungen. Der flüchtige Moment wird nun in harte Rillen graviert. Seine musikalische Produktivität beschränkte sich seitdem auf das Aufnahmestudio. Wir trafen ihn, als er ein Vierteljahrhundert nach seinem Debüt zum zweiten Mal Bachs Goldberg-Variationen einspielte.


Rares sont les exemples, dans l’histoire de l’interprétation, de réputations qui se font littéralement du jour au lendemain. Il a suffi d’un concert, au milieu des années 50 à Washington, pour faire la renommée d’un jeune pianiste destiné à écrire une page unique et décisive de cetete histoire de l’interprétation : Glenn Gould. Quelques mois plus tard, Glenn Gould gravait son premier disque. Il avait choisi les Varations Goldberg de Johann Sebastian Bach, l’un des monuments les plus imposants de la musique de clavier. Une musique, dit-il, qui propose trente visions remarquables d’un théme de basse obstinée qui n’a rien de remarquable. Des visions qui, comme des clichés rangés au hasard, avancent et reculent dans le temps. Elles révèlent la parfaite maîtrise contrapuntique de la maturité et l’exubérance de la jeunesse de Bach. Et, dans les meilleurs moments, l’esthétisme passionné de sa viellesse. Immergé dans la structure de la musique, détaché de l’instrument qu’il maîtrisait à la perfection, Glenn Gould semble en proie, losqu’il joue, à une espèce d’extase. Il pense en compositeur, et c’est en créateur qu’il s’identifie à l’œuvre qu’il joue. Il peut se permetre une attitude critique face à la partition. Plongé dans l’œuvre, il souhaite que l’auditeur prenne part au processus de création. Car si on oublie un peu la notion d’identité individuelle, compositeur, interprète et auditeur devraient pouvoir retrouver l’unité brisée par l’époque romantique. Poursuivant une plus haute vocation, après huit années d’une carrière sans précédent, Glenn Gould décida de se retirer définitivement du circuit international des concerts. Grâce à la force intellectuelle que seule peut donner la solitude, à la fois en pianiste, compositeur et écrivain, il se livra à un genre de méditation en action sur le concept de communication à l’ère de la technique et des bienfaits de la machine. Il renonça au croquis pour l’eau-forte. Toute sa production musicale depuis lors provient exclusivement du studio d’enregistrement. Nous l’avons retrové lorsque, un quart de siècle après ses débuts, il enregistra une nouvelle version des Variations Goldberg.


말 그대로 예술가가 하룻밤 사이에 유명해진 사례가 몇 명 있다. 1950년대 중반 워싱턴에서 한 번의 콘서트를 마친 후, 이 책에서 독특하고 획기적인 장을 연 글렌 굴드라는 젊은 피아니스트의 이름이 전 세계에 퍼졌다. 몇 달 후 굴드는 그의 첫 번째 녹음을 기록했다. 그는 피아노 문헌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인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선택했다. 굴드에게 이 곡은 매우 일반적인 오스티나토 주제에 대한 30가지 특별한 견해를 제공한다. 무질서한 스냅샷처럼 시간을 뛰어넘고 수십 년에 걸친 관점들이다. 이 변주들은 바흐의 젊음의 충만함과 성숙함의 완벽한 대조적 숙달을 드러낸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순간들에도 바흐의 열정적인 미학과 함께 한다. 글렌 굴드는 그가 완전히 익힌 악기에서 분리되어 음악의 구조에 빠져 연주할 때 일종의 황홀경에 빠진 것 같다. 그는 작곡가처럼 생각하고 자신을 창의적으로 음악과 동일시한다. 이런 식으로 그는 악보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허용할 수 있다. 온전히 자신의 작업에 몰두한 그는 또한 청취자가 창작 과정에 참여하기를 원한다.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개념을 조금만 잊어버리면 작곡가, 해석자, 청취자는 낭만주의 시대가 무너진 통일성을 재발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8년 동안 전례 없는 경력을 쌓은 후 더 높은 직업을 추구한 글렌 굴드는 국제 콘서트 무대에서 영구적으로 은퇴하기로 했다. 자발적이고 최종적이었다. 세상과의 고립으로 정신적으로 강화된 그는 피아니스트, 작곡가, 작가로서 활발한 활동을 발전시켰다. 현대 기술과 기계의 축복 시대에 의사소통에 대한 일종의 살아있는 명상이었다. 덧없는 순간은 이제 단단한 리듬들에 새겨져 있다. (그는 에칭을 위해 스케치를 포기했다.) 그 이후로 그의 모든 음악 제작은 녹음 스튜디오에 국한되었다. 데뷔 25년 만에 두 번째로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녹음했을 때 우리는 그를 다시 찾았다.


Glenn Gould in Conversation with Bruno Monsaingeon / 브뤼노 몽생종과의 대화

Glenn Gould: Das klingt etwas nach einem Schluckauf. Jetzt ist es besser. Marty, kannst du bitte zu Take 10 vorspulen? Bei Nr. 9 stört mich, dass sich mit dem Beginn der Wiederholung – ich dachte, ich hätte das verbessert –, dass sich hier nichts Grundlegendes ändert. Sie klingt wie ein blasser Schatten des ersten Teils. Bei Nr. 10 schien die Unterstimme irgendwie zu leuchten. Da pasierte etwas. Das rechtfertigte die Wiederholung. Den fehlstart schneiden wir raus. Das ist sehr schön. Klingt ein bisschen wie Dixieland. Der schluckauf ist auch weg. Ja, das klingt völlig anders. So ist die Wiederholung wirklich berechtigt. Danke, Marty. Den nehmen wir. Das ist er. Absolut.


Glenn Gould: Il y a une sorte de hoquet. Très bien, Marty, pourrais-tu passer à la prise 10 ? Ce qu’il y a avec la 9, quand on arrive à la reprise – et c’est ce que je pensais avoir fait – c’est que ce n’est pas vraiment très différent. Ça sonne comme une sorte de pâle reflet de la première fois. La 10 avait une espèce d’éclat à la voix grave. Il se passait quelque chose qui justifiait la reprise. Coupons le faux départ. C’est très bien. Une sorte de Dixieland. On n’a pas de hoquet, ici. Qui, c’est complètement diffèrent. Qui, ça justifie de faire la reprise. Merci, Marty. C’est bonne. C’est celle-là qu’il faut garder. Absolument.


글렌 굴드 : 딸꾹질 같은 소리네요. 이제 더 좋아졌어요. 마티, 10번째 변주로 빨리 감아 주시겠어요? 9번째 변주에 대해 저를 괴롭히는 것이 반복될 때 – 저는 제가 그것을 개선했다고 생각했는데 – 여기서 근본적인 변화는 아무것도 없네요. (별로 다르지 않군요.) 첫 부분부터 창백한 그림자처럼 들립니다. 10번째 변주에서 낮은 성부는 어쩐지 빛이 나는 것 같아요. 문제가 발생했군요. 그것은 반복을 정당화했네요. 우리는 잘못된 시작을 잘라냈어요. (잘못된 시작을 차단합시다.) 아주 좋군요. 약간 딕실랜드(재즈의 장르 중 하나)와 비슷해요. 딸꾹질도 사라졌어요. 그래요, 완전히 다르게 들려요. 따라서 반복은 정말 정당해요. 고마워요, 마티. 우리가 가져갈게요. (좋아요.) 이것은 지켜야 할 거예요. 전적으로.


Bruno Monsaingeon: Sie haben die Goldberg-Variationen schon einmal aufgenommen. Das ist Ewigkeiten her. Es scheint gegen Ihre Gewohnheit zu sein, Stücke dieser Größenordnung zweimal aufzunehmen.


Bruno Monsaingeon: Vous avez enregistré les Variations Goldberg il y a pas mal d’années. Oui, il y a pas mal d’années... Et il ne semble pas dans vos habitudes de réenregistrer des œuvre de cette importance.


브뤼노 몽생종 : 당신은 이전에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녹음했습니다. 오래전 일이군요. 그리고 이렇게 중요한 작품을 다시 녹음하는 것이 당신의 습관은 아닌 것 같은데요.


Glenn Gould: Stimmt. Aber das gilt für jedes Stück. In 26 oder 27 Jahren habe ich nur 2, 3 Stücke zweimal aufgenommen. Ein paar Jahre nach meiner ersten Aufnahme von 1955 enfand jemand etwas, das Stereo hieß. Damit war meine erste Aufnahme technisch überholt. Wieder ein paar jahre später kam jemand anders und erfand das DolbyⓇ-Verfahren. Damit war auch das Klangbild meiner früheren Aufnahme überholt. Doch all das reichte noch nicht für eine neue Aufnahme. Der eigentliche Anstoß kam erst vor kurzem, als ich mir diee alte aufnahme wieder anhörte und feststellte, dass sie zwar shr nett klingt, aber aus 30 hochinteressanten Einzelstücken zu bestehen scheint, die alle ihrer eigenen Wege gehen. Wie einzelne kommentare zu dem Ostinato, das ihnen zugrunde liegt und dem sie angepasst sind. Da ich das Stück seit meinem Rückzug vom Konzertpodium 20 Jahre lang nicht gespielt hatte, wurde ich vielleicht nicht durch Abnutzungserscheinungen eingeschränkt. Ich dachte, wenn ich mich jetzt wieder damit befasen würde, könnte ich vielleicht Zahlenbeziehungen aufbauen zwischen dem Thema und den nachfolgenden Variationen. Daraus ergäben sich dann auch gewisse Tempo-Relationen. Nicht unbedingt wie 2, 4, 8, 16, 32. Doch man könnte sie spürbar machen, quasi zum Ausgleich dafür, dass bei Bach nie die Melodie für den Zusammenhang sorgt, sondern der Bass und die Harmoniefortschreitungen. Es gäbe dann zumindest ein rhythmisches Grundgerüst und das Gefühl eines durchlaufenden Metrums. Und das schien mir Grund genug, neben DolbyⓇ und Stereo, das Ganze zu wiederholen. Da wären wir also. 25, 26 Jahre später versuchen wir’s noch mal.


Glenn Gould: De réenregistrer n’importe quelle œuvre ! Oui, c’est vrai. Je n’ai réenregistré que deux ou trois pièces en 26 ou 27 ans. Quelques années après la premier enregistrement de 1955 quelqu’un a eu le culot d’inventer une chose appelée stéréo qui rendait caduque la technique de cet enregistrement. Quelques années plus tard, quelqu’un d’autre a eu l’audace d’inventer un procédé appelé DolbyⓇ qui rendait à peu près caduque le son de cet enregistrement. Mais tout cela ne suffisait pas comme prétexte. Je n’ai vraiment été motivé que récemment. J’ai eu l’impression, l’une des rares fois oû je l’ai réécouté, que cet ancien enregistrement était très joli, mais qu’il sonnait un peu comme trente pièces très intéressantes, mais un peu trop indépendantes, qui suivaient toutes leur propre voie, ayant chacune leur mot à dire sur la basse dont elles sont issues, et à laquelle elles se conforment toutes. Comme je ne les avais pas jouées depuis que j’ai arrêté les concerts, depuis vingt ans, je ne souffrais pas de les avoir trop fréquentées. Si je les reprenais, je pourrais peut-être trouver comme une correspondance arithmétique entre le thème et les variations. Pour qu’il y ait une relation de tempo. Nos pas exactement 2, 4, 8, 16, 32. Mais quelque chose qui la fasse sentir – pour pallier le fait que Bach n’a absolument aucun dessin mélodique continu, mais juste un dessin harmonique continu. Ainsi, il y aurait au moins un dessin rythmique continu, et on sentirait la pulsation qui traverse le tout. Et cela m’a paru une justification suffisante, avec le DolbyⓇ et avec le stéréo, pour tout recommencer. Alors voilà : 25 ou 26 ans plus tard, on va essayer.


그렌 굴드 : 맞아요. 그러나 그건 모든 곡에 적용됩니다. (모든 작품을 다시 녹음하려면! 그래, 그건 사실이에요.) 26~27년 동안 겨우 2~3곡만 다시 녹음했어요. 1955년에 제가 첫 녹음을 하고 몇 년 후 누군가 스테레오라는 것을 발명했어요. 이것은 제 첫 번째 녹음을 기술적으로 쓸모없게 만들었죠. 몇 년 후 다른 사람이 와서 돌비Ⓡ 프로세스를 발명했어요. 이것도 이전 녹음의 소리를 쓸모없게 만들었죠.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새로운 녹음에 충분하지 않았어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의욕이 없었어요. 이 오래된 녹음을 다시 듣고 최근에야 와서 정말 좋은 소리가 나지만, 30개의 매우 흥미로운 개별 곡으로 구성되어 각자의 길을 가는 것 같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이 변주들이 기반을 두고 적용되는 오스티나토에 대한 개별 의견과 같아요. 콘서트 무대에서 은퇴한 후 20년 동안 그 곡을 연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너무 많이 가도 부담이 없었어요. 다시 가져오면 주제와 뒤따르는 변주 사이에 수치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그래서 템포와 관계가 있는데요. 반드시 2, 4, 8, 16, 32와 같은 것이 아니거든요. 그러나 바흐에서 연결을 제공하는 것은 선율이 아니라 베이스와 화성의 진행이라는 사실을 보상하기 위해 눈에 띄게 만들 수 있죠. 그러면 최소한의 기본적인 리듬 구조와 연속적인 박자의 느낌이 있을 거예요. 그리고 그것은 돌비Ⓡ와 스테레오 외에 모든 것을 반복하기에 충분한 이유처럼 보였어요. 그래서 여기 있습니다. 25년 또는 26년 후에 우리는 다시 시도할 것입니다.


J.S. Bach Goldberg Variations, BWV 988 /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Prepared, sot and edited over a period of five years from 1976 to 1981, the three-part series ‘Glenn Gould Plays Bach’ has so far only seen via the limited parameters of television transmission. Now, for the first time, this testament is made available with a sound and picture reproduction faithful to our original conception. Glenn Gould's first recording of Bach’s ‘Goldberg Variations’ in 1955 had made his name legendary. This film, shot in New York in April and May 1981, marks his life- as if interpolated between the two peaceful Arias and the two recordings, the one opening, the other closing his career - with a symbol of cyclic perfection.” - Bruno Monsaingeon


“1976년부터 1981년까지 5년 동안 준비 및 편집된 3부작 시리즈 ‘글렌 굴드가 연주하는 바흐’는 지금까지 제한된 TV 전송의 한도를 통해서만 볼 수 있었다. 이제 처음으로 이 증거는 우리의 원래 개념에 충실한 사운드 및 영상 재생으로 제공된다. 1955년 글렌 굴드의 첫 번째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녹음은 그의 이름을 전설적으로 만들었다. 1981년 4월과 5월 뉴욕에서 촬영된 이 필름은 마치 그의 생애를 마치 평화로운 두 아리아와 두 녹음, 즉 하나는 시작하고 다른 하나는 그의 경력을 마감하는 두 개의 녹음 사이에 삽입된 것처럼 순환적 완벽함의 상징으로 표시한다.” - 브뤼노 몽생종



영어 자막이 없어서 만들려다가 말고 독일어와 프랑스어 자막만 받아쓰기하여 번역했다.

2021년 12월 27일 월요일

DG / Daniil Trifonov Plays Scriabin, Stravinsky & Prokofiev - Silver Age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eBiaPtL_3Gk&list=OLAK5uy_mLwYzGY4fNlqn6fF4Ck-iZbftDVzZ655k

https://www.youtube.com/watch?v=8VZ0pnrzMu0&list=OLAK5uy_ljwZog_Qy36Ia5Q2hERQHyMUq29G_20A8

https://www.youtube.com/watch?v=xg44oZxwELw

https://www.youtube.com/watch?v=sYeO9cAZAZQ

https://www.youtube.com/watch?v=wD8k-qrzvcA

https://www.youtube.com/watch?v=Q8rtB4yB-ck

https://www.youtube.com/watch?v=vn9a4eUwa7k


다닐 트리포노프의 새 음반은 러시아의 작곡가들이 가장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꽃피웠던 시대를 재조명한다. 러시아 역사상 가장 창조적인 작곡가 3인의 걸작으로, 스트라빈스키의 [세레나데] A장조를 시작으로, [불새] 모음곡, [페트루슈카]로부터의 3개 악장, 그리고 프로코피에프 [풍자] op.17, 피아노 소나타 8번, [신데렐라]로부터의 3개의 소품 2번 "가보트"가 담겨 있다. 또한 발레리 게르기에프가 이끄는 마린스키 오케스트라와 함께한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번, 스크리아빈 피아노 협주곡을 만나게 된다.


CD1

01 Stravinsky Serenade in A: I. Hymn / 스트라빈스키 세레나데

02 Stravinsky Serenade in A: II. Romanza

03 Stravinsky Serenade in A: III. Rondoletto

04 Stravinsky Serenade in A: IV. Cadenza finala

05 Prokofiev Sarcasms, Op. 17: I. Tempestoso / 프로코피에프 풍자

06 Prokofiev Sarcasms, Op. 17: II. Allegro rubato

07 Prokofiev Sarcasms, Op. 17: III. Allegro precipitato

08 Prokofiev Sarcasms, Op. 17: IV. Smanioso - Poco piu sostenuto

09 Prokofiev Sarcasms, Op. 17: V. Precipitosissimo - Andantino - L'istesso tempo

10 Prokofiev Piano Sonata No. 8 in Bb, Op. 84: I. Andante dolce - Allegro moderato - Andante - Andante dolce, come prima – Allegro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8번

11 Prokofiev Piano Sonata No. 8 in Bb, Op. 84: II. Andante sognando

12 Prokofiev Piano Sonata No. 8 in Bb, Op. 84: III. Vivace - Allegro ben marcato - Andantino - Vivace

13 Prokofiev 3 Pieces from 'Cinderella', Op. 95: II. Gavotte. Allegretto / 프로코피에프 <신데렐라>로부터의 3개의 소품 중 2번 <가보트>

14 Stravinsky/Agosti: The Firebird - I. Infernal Dance of All of Kashchei's Subjects. Allegro feroce / 스트라빈스키 불새 중 <마왕 카슈체이 일당의 사악한 춤> (귀도 아고스티 편곡)

15 Stravinsky/Agosti: The Firebird - II. Lullaby. Andante / 스트라빈스키 불새 중 <자장가> (귀도 아고스티 편곡)

16 Stravinsky/Agosti: The Firebird - III. Finale / 스트라빈스키 불새 중 <피날레> (귀도 아고스티 편곡)


CD2

01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in g, Op. 16: I. Andantino – Allegretto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번

02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in g, Op. 16: II. Scherzo. Vivace

03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in g, Op. 16: III. Intermezzo. Allegro moderato

04 Prokofiev Piano Concerto No. 2 in g, Op. 16: IV. Finale. Allegro tempestoso

05 Stravinsky 3 Movements from 'Petrushka': I. Russian Dance. Allegro giusto /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에 의한 3개의 악장> 중 1번 <러시아의 춤>

06 Stravinsky 3 Movements from 'Petrushka': II. Petrushka's Room. Stringendo - Molto meno - Allegro - Furioso - Adagietto - Andantino - Meno mosso - Allegro - Cadenza - Vivo-stringendo - Lento - Piu mosso, risoluto /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에 의한 3개의 악장> 중 2번 <페트루슈카의 방>

07 Stravinsky 3 Movements from 'Petrushka': III. The Shrovetide Fair. Con moto - Allegretto - Tempo giusto – Agitato /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에 의한 3개의 악장> 중 3번 <사육제의 시장>

08 Scriabin Piano Concerto in f#, Op. 20: I. Allegro / 스크리아빈 피아노 협주곡

09 Scriabin Piano Concerto in f#, Op. 20: IIa. Andante -

10 Scriabin Piano Concerto in f#, Op. 20: IIb. Variation I -

11 Scriabin Piano Concerto in f#, Op. 20: IIc. Variation II. Allegro scherzando -

12 Scriabin Piano Concerto in f#, Op. 20: IId. Variation III. Adagio -

13 Scriabin Piano Concerto in f#, Op. 20: IIe. Variation IV. Allegretto - Tempo I (Andante)

14 Scriabin Piano Concerto in f#, Op. 20: III. Allegro moderato

... Mariinsky Orchestra /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 Valery Gergiev, conductor / 발레리 게르기에프 지휘



“The Silver Age period of art in Russian history is not a single aesthetic, but describes an increasingly fractured social, political and intellectual environment – a cocktail of different artistic expressions, in agitated interaction.” - Daniil Trifonov


»Das Silberne Zeitalter als Epoche der russischen Kunst- und Musikgeschichte folgte keiner einheitlichen Ästhetik, sondern widerspiegelt eine immer weiter zersplitterte politisch-intellektuelle Umgebung – einen Cocktail diverser künstlerischer Ausdrucksformen in reger Interaktion.« - Daniil Trifonov


“러시아 예술과 음악 역사의 한 시대인 은의 시대는 획일적인 미학을 따르지 않고 점점 더 분열되는 사회적, 정치적, 지적 환경을 묘사(반영)하는데, 동요된 상호 작용에서 서로 다른(생동감 넘치는 상호 작용 속에서 다양한) 예술적 표현의 칵테일이다.” - 다닐 트리포노프



A Silver Synthesis / 은의 통합

In late May 1907 the cultural circles of Paris were abuzz. The enterprising Russian impresario Sergei Diaghilev and his French business associates had secured the magnificent Palais Garnier opera house in the French capital to present a five-evening programme of “Historic Russian Concerts” (Concerts Historiques Russes).


1907년 5월 말, 파리의 문화계는 떠들썩했다. 분주한 러시아 발레 프로듀서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와 그의 프랑스 사업 동료들은 프랑스 수도에 있는 웅장한 팔레 가르니에 오페라 하우스를 확보하여 5일간의 저녁 프로그램인 <역사적인 러시아 연주회>를 발표했다.


A cultural diplomat of vision, cunning and irresistible charm, Diaghilev’s ambitious goal was twofold. Firstly, his intention was to boost his country’s international image, which was waning in the wake of Tsar Nicholas II’s heavy defeat in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5 and the subsequent series of strikes and violent uprisings across the Russian kingdom (later known as the 1905 Revolution). His second aim was the introduction of Russia’s most original creative voices to the European artistic avant-garde congregated in the French capital.


비전과 함께 영리하고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지닌 문화 외교관인 디아길레프의 야심 찬 목표는 두 가지였다. 첫째, 그의 의도는 1904~1905년 러일 전쟁에서 차르 니콜라이 2세가 참패를 당하고 러시아 왕국 전역에서 일련의 파업과 폭력적인(유혈) 봉기(후에 1905년 러시아 혁명으로 알려짐)의 여파로 쇠퇴하고 있던(심하게 훼손된) 조국의 국제적 명성을 회복하는 것이었다. 그의 두 번째 목표는 프랑스 수도에 모인 유럽의 아방가르드(전위주의) 예술가들에게 러시아의 가장 독창적인 창조적인 인물들을 소개하는 것이었다.


With the crème of Parisian society in attendance (including Claude Debussy and Maurice Ravel, with Richard Strauss sitting in Diaghilev’s personal box), and no less a conductor than Arthur Nikisch leading the famed Orchestre Lamoureux, the opening concerts at the Opéra presented mainly Russian “nationalist” composers familiar to Western European ears – Glinka, Borodin, Balakirev, Taneyev, Rimsky-Korsakov and the inevitable Tchaikovsky. Those evenings caused their greatest sensation by introducing the legendary bass Feodor Chaliapin for the first time outside Russia, performing operatic excerpts from Borodin’s “Prince Igor” and Mussorgsky’s “Boris Godunov”.


가장 엄선된 파리 사교계(디아길레프의 면전에 앉았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함께 클로드 드뷔시, 모리스 라벨 등), (아르투르 니클리쉬의 지휘로) 역시 유명한 라무뢰 유케스트라와 함께 오페라 하우스 개막 연주회들은 주로 서유럽 청중에게 익숙한 러시아의 “민족주의” 작곡가들(글린카, 보로딘, 발라키레프, 타네예프, 림스키코르사코프, 물론 차이코프스키)을 선사했다. 연주회들에서 가장 큰 열풍은 보로딘 <이고르 공> 및 무소르그스키 <보리스 고두노프>의 오페라에서 발췌한 곡들과 함께 러시아 밖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전설적인 베이스 페오도르 샬리아핀의 데뷔였다.


Yet, as Diaghilev’s series progressed, so too did the sophistication of the musical and cultural portrait of Russia. This was always the wily impresario’s plan. If the period of time from Alexander Pushkin’s first major poems in the 1820s, through Gogol, Lermontov, Turgenev and the young Tolstoy to Dostoyevsky’s death in 1881, was considered the Golden Age of Russian literature, then Diaghilev was announcing to the world a new age in Russian culture – a Silver Age – defined by music.


그러나 디아길레프의 시리즈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러시아의 음악적, 문화적 초상화의 세련미도 높아졌다. 이것이 바로 영리한 집권자가 계획한 방식이었다. 1820년대 알렉산더 푸시킨의 첫 번째 위대한 시부터 고골, 레르몬토프, 투르게네프, 젊은 톨스토이를 거쳐 1881년 도스토예프스키가 사망할 때까지의 기간을 일반적으로 러시아 문학의 황금기로 간주했다면, 이제 디아길레프는 음악으로 정의되는 러시아 문화의 새로운 시대인 <은의 시대>를 세계에 알렸다.


Unlike the roots of the literary Golden Age, and the musical parallel it found in the works of Glinka, the Mighty Fistful and Tchaikovsky, the Silver Age was not defined by an inherited set of nationalist cultural values. Rather, it was defined by a dynamic collision of diverse aesthetic and philosophical impulses including Expressionism, Impressionism, Futurism, Fauvism, Symbolism, Spiritualism, Perspectivism, Syndicalism, Occultism, Orientalism, Mystical Anarchism, and numerous other –isms. “The Silver Age period of art in Russian history”, says Daniil Trifonov, “is not a single aesthetic, but describes an increasingly fractured social, political and intellectual environment – a cocktail of different artistic expressions, in agitated interaction.”


문학적 황금기의 뿌리(그리고 글린카, 러시아 5인조, 차이코프스키의 작품들에서 이에 상응하는 음악적 유사성)와 대조적으로, 은의 시대는 문화적 가치를 승계한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정의되지 않았다. 오히려 표현주의, 인상주의, 미래주의, 야수파, 상징주의, 강신론, 원근법주의, 생디칼리즘(공장 · 사업체 등은 그 속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이 소유하고 경영해야 한다는 주의), 신비주의, 오리엔탈리즘(동양 사상), 신비주의적 무정부주의 등 미학적, 철학적 충동의 충돌 동역학으로 정의되었다. 다닐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러시아 예술과 음악 역사의 한 시대인 은의 시대는 획일적인 미학을 따르지 않고 점점 더 분열되는 사회적, 정치적, 지적 환경을 묘사(반영)하는데, 동요된 상호 작용에서 서로 다른(생동감 넘치는 상호 작용 속에서 다양한) 예술적 표현의 칵테일입니다.”


The crowning night of Diaghilev’s Parisian series, on 29 May 1907, featured the premiere of a new symphony by Alexander Scriabin: his Symphony No. 3 op. 43, entitled “Le Divin Poème” (The Divine Poem) – a massive, post-Wagnerian work of strange form and experimental harmonic language. The composer, largely unknown in France, had been introduced to the public one week earlier in a performance of his Piano Concerto featuring the great Polish virtuoso Josef Hofmann at the keyboard. Coincidentally, in between, at the penultimate concert of the series, Hofmann also gave the French premiere of another concerto – the Second Piano Concerto by Sergei Rachmaninov. “Though both Rachmaninov and Scriabin represented the younger generation of Russian composer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rifonov explains, “if Rachmaninov can be thought of as a composer staring longingly towards the horizon, then Scriabin was the one imagining the world beyond it.”


1907년 5월 29일 디아길레프의 파리 시리즈의 절정은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의 새로운 교향곡 3번 <신성한 시>의 초연이었는데, 기이한(독특한) 형식과 실험적인 화성 언어를 지닌 방대한 후기 바그너 같은 작품이다. 프랑스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이 작곡가는 일주일 전 폴란드의 거장 요제프 호프만의 스크리아빈 피아노 협주곡 연주에서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공교롭게도 그사이에 시리즈의 두 번째 연주회에서 호프만은 또 다른 협주곡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을 프랑스 초연하기도 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라흐마니노프와 스크리아빈은 모두 20세기 전환기의 젊은 세대 러시아 작곡가들을 대표하지만, 라흐마니노프는 지평선을 간절히 바라봤고, 스크리아빈은 저 너머의 세계를 상상했죠.”


Scriabin’s Piano Concerto op. 20 was written in 1896 by the then 24-year-old composer in just one week. It is a dense, compact work, full of melodic, harmonic and motivic invention. Stylistically, the concerto represents a turning point in Scriabin’s output, away from the wholly tonal, affective influence of Chopin’s Romanticism, echoed principally in the theme and variations of the concerto’s second movement, and towards a texturally richer and harmonically more adventurous associative stream of consciousness, influenced by Wagner or late Liszt, as can be heard in the introduction and patches throughout the finale. “It is composed like an improvisation,” says Trifonov, “in one breath – the music flows from the page just as it would have appeared in the composer’s mind.”


스크리아빈 피아노 협주곡은 1896년 당시 24세의 작곡가가 단 일주일 만에 작곡한 것이다. 조밀한 작품으로 선율, 화성, 동기 부여가 가득한 작품이다. 양식적으로 이 협주곡은 2악장의 주제와 변주에 주로 되풀이되는 쇼팽의 낭만주의의 완전한 음조의 정서적 영향에서 벗어나 조직적으로 더 풍부하고 화성적으로 더 모험적인 연상 의식의 흐름으로 향하는 스크리아빈의 작품에서 전환점을 나타내는데, 도입부와 피날레 전반에 걸친 부분들에서 들을 수 있는 바와 같이 바그너 또는 후기 리스트의 영향을 받았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스크리아빈은 마치 즉흥 연주를 한 번에 하는 것처럼 작곡합니다. – 작곡가의 머릿속에 떠오른 것처럼(마치 작곡가에게 방금 일어난 것처럼) 음악이 악보 밖으로 흘러나옵니다.”


Indeed, with its uniquely complex orchestration, combined with whimsical changes in tempo and character, from driving abstraction to sublime pathos, the concerto encapsulates the fragile nervousness of its creator and the unstable cultural currents of his age. As Trifonov says, “Scriabin’s concept of motion is very free, full of extreme spontaneity.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for conductor, orchestra and soloist to align. But the way his music breathes is very similar to how the Russian language behaves in poetic setting. Unlike the Romanticized rubato of Chopin or Rachmaninov, timing in Scriabin functions not as an expression of melancholy, but as a reflection on the caprice of Fate – like a wind that never blows the same speed.”


실제로 이 협주곡은 강력한 추상화 개념(먼 민첩성)에서 숭고한 파토스(연민을 자아내는 힘)에 이르기까지 템포와 성격의 기발한 변화와 결합된 독특하고 복잡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창작자의 불안정하고 긴장된 성격과 그 시대의 불안정한 문화적 흐름을 압축(포착)한다. 트리포노프가 말하듯이 “스크리아빈의 움직임 개념은 매우 자유로운, 극단적인 즉흥성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것은 지휘자, 오케스트라, 독주자가 조절하기 매우 어렵게 만들죠. 그러나 그의 음악이 호흡하는 방식은 러시아 언어가 시적 환경에서 취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합니다. 쇼팽이나 라흐마니노프의 낭만적인 루바토와 달리, 스크리아빈의 타이밍(템포)은 우울함의 표현이 아니라 운명의 변덕에 대한 반영(상징)으로 기능합니다. – 같은 속도로 불지 않는 바람처럼요.”


For Diaghilev, the inclusion of Scriabin was key to the musical essay that was his 1907 Historic Russian Concerts project. The two were near-contemporaries (born, in Novgorod and Moscow respectively, within twelve weeks of each other in early 1872) and, though a study in personal contrasts – Diaghilev was keen, rotund and cosmopolitan; Scriabin was dour, thin and ascetic – they were linked by their common desire to bridge deep roots in Russian cultural heritage with the progressive aesthetics of the West and by their holistic approaches to art.


스크리아빈은 1907년 디아길레프의 역사적인 러시아 콘서트 프로젝트의 중심이었다. 두 사람은 거의 동시대인(각각 노브고로드와 모스크바에서 1872년 초에 서로 12주 간격으로 출생)이었고 서로 반대되는 성격의 전형으로 볼 수 있지만 – 디아길레프는 정열적이고, 건장하고, 국제적이었으며, 스크리아빈은 음침하고, 수척하고, 금욕적이었는데 – 러시아 문화유산의 깊은 뿌리와 전체론적 예술적 접근을 통해 진보적인 서구 미학을 결합하려는 열망으로 뭉쳤기 때문이다.


Scriabin’s moody sense of colour, harmonic audacity and systematic use of intervals for programmatic effect made him one of the foremost exponents of avant-garde musical Symbolism. His philosophical dabbling in Nietzsche and Theosophy, meanwhile, led the composer to a compulsive fixation – verging on mania – on a celestial symbiosis of light, colour, movement and sound. An enigmatic, Rasputin-like spectre in the Russian music of his time, Scriabin composed a body of work that documents a rapacious quest for spiritual transcendence.


스크리아빈의 변덕스러운 색채 감각, 화성적 대담함(화려한 화성), 계획에 따른 효과를 위한 음정들의 체계적인 사용은 그를 전위음악적 상징주의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로 만들었다. 한편 니체와 신지학(神智學 : 보통의 신앙이나 추론으로는 알 수 없는 신의 심오한 본질이나 행위에 관한 지식을, 신비적인 체험이나 특별한 계시에 의하여 알게 되는 철학적 · 종교적 지혜 및 지식)에 동시에 몰두했다는 사실은 – 거의 광기에 가까운 – 작곡가를 빛, 색, 움직임, 소리의 비현실적인 상호 작용에 대한 강박적인 집착으로 이끌었다. 당대의 러시아 음악에서 수수께끼 같은 라스푸틴 유령이었던 스크리아빈은 초월적인 영성에 대한 끝없는 갈망을 기록하는 작품들을 썼다.


Of less mystical mind, and much more modest musical gifts, Diaghilev nevertheless also embraced the spirit of artistic progressivism, and revered both the creative and the mercantile genius of Richard Wagner. Diaghilev idolized the Bayreuth composer and his concept of “Gesamtkunstwerk” – the total art work – as the highest form of creativity. Yet, in contrast to Wagner, for Diaghilev that supreme integration of art forms was not opera, but what he called the “liturgical ritual” of ballet.


디아길레프는 신비주의가 훨씬 덜하고 음악적으로 재능이 덜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적으로 진보적인 정신에 마음을 열었고 바그너의 창의적이고 상업적인 천재성에 대한 존경심을 품고 있었다. 디아길레프는 바이로이트 작곡가와 그의 전체 예술 작품인 <총체예술>의 개념을 가장 숭고한 형태의 창의성으로 우상화했다. 그러나 바그너와 달리 디아길레프는 오페라를 예술 형식의 가장 높은 융합으로 간주하지 않고 발레의 “전례 의식”이라고 불렀다.


A year after the triumph of the Concerts Historiques in 1907, Diaghilev returned to the Palais Garnier with a full staging of “Boris Godunov”, featuring a Russian orchestra and chorus, and Chaliapin in the title role. This set the Parisian stage for the following spring, when Diaghilev unveiled his newly formed Ballets Russes company and its star, a 21-year-old dancer named Vaslav Nijinsky. Nijinsky’s visceral perfection – together with sensual choreography by Mikhail Fokine, exotic, Symbolist designs by Léon Bakst and Vsevolod Meyerhold, and scenic painting by the leading Russian Impressionist Konstantin Korovin and Scriabin’s fellow Theosophist Nicholas Roerich – caused an absolute sensation. Brought together by Diaghilev’s persuasive vision, Russia’s Silver Age had arrived on the world stage.


1907년 <역사적인 러시아 연주회>가 성공한 지 1년 후, 디아길레프는 러시아 오케스트라와 합창단, 그리고 주인공 역할에 샬리아핀이 등장하는 <보리스 고두노프>의 전체 상연과 함께 팔레 가르니에로 돌아왔다. 이것은 디아길레프가 새로 세운 <발레 뤼스> 발레단과 그 스타인 21세 무용수 바슬라프 니진스키를 공개했을 때, 다음 봄을 위한 파리의 무대(진로)를 설정했다. 니진스키의 본능적 완벽함은 – 미하일 포킨의 관능적인 안무, 레온 박스트와 브세볼로드 메이어홀드의 이국적인 상징주의 디자인, 러시아를 대표하는 인상파 화가 콘스탄틴 코로빈과 스크리아빈의 동료 신지학자 니콜라스 로에리치의 배경 그림과 함께 – 절대적인 열풍을 일으켰다. 디아길레프의 설득력 있는 비전에 힘입어 러시아의 은의 시대가 세계 무대에 도래했다.


Yet, for all the wealth of avant-gardist Russian talent on display in the Ballets Russes’ 1909 season, for Diaghilev one thing was missing: an authentically Russian ballet score. Diaghilev had already selected the theme, choreographer (Fokine), designer (Modernist painter Alexander Golovin) and lead dancer (Nijinsky), before he approached a lean, bespectacled 28-year-old composition student of the recently deceased Rimsky-Korsakov to join his creative team. The vibrant, daring score to “The Firebird”, based on the famous Russian fairy tale, took Paris by storm, launched the composer’s international career and solidified Igor Stravinsky’s status as heir to Scriabin in the musical expression of the Russian Silver Age.


그러나 발레 뤼스가 1909년 시즌에 보여준 전위주의적인 러시아의 풍부한 창의성에도 불구하고 디아길레프는 한 가지가 여전히 빠져 있음을 발견했는데, 정통 러시아 발레 음악이었다. 디아길레프는 이미 주제, 안무가(미하엘 포킨), 세트 디자이너(모더니스트 화가 알렉산더 골로빈), 리드 댄서(바슬라프 니진스키)를 선택했고, 최근 사망한 림스키코르사코프의 마른 안경을 쓴 28세 작곡과 학생에게 다가가 그의 창작 팀에 합류했다. 러시아의 유명한 동화를 바탕으로 한 화려하고 대담한 음악 <불새>는 파리를 휩쓸었고,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국제적 경력을 확립했으며, 러시아의 은의 시대의 음악적 표현 면에서 스크리아빈의 후계자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했다.


“The Firebird character”, explains Trifonov, “is iconic in Russian culture, a mythological motif recurring in countless folk legends and fairy tales. Her appearance, blending naturalism, paganism and spiritualism, symbolizes the theme of rebirth. ‘The Firebird’ score,” the pianist continues, “certainly owes a lot to Rimsky, but clearly also pays homage to the influence of Stravinsky’s more experimental Russian predecessors. The work’s final climax does not even try to conceal its debt to Mussorgsky. The transitions, orchestral colours and seductive lyricism of the Berceuse and Danse infernale, meanwhile, are pure Scriabin.”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불새의 형상은 러시아 문화의 상징이며, 수많은 민속 전설과 동화에서 반복되는 신화적 모티브입니다. 자연주의, 이교도, 영성을 결합한 그 본질은 중생의 사상을 상징하죠.” 피아니스트는 계속한다. “불새를 위한 음악은 의심할 여지 없이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지만, 분명히 스트라빈스키의 실험적인 러시아 전임자들의 영향에 경의를 표하기도 합니다. 이 작품의 위대한 마지막 절정은 이 작품이 무소르그스키에게 얼마나 큰 빚을 지고 있는지를 감출 수 없는데요. 반면에 ‘자장가’ 및 ‘마왕 카슈체이 일당의 사악한 춤’의 전환, 오케스트라 색채, 매혹적인 서정성은 순수한 스크리아빈입니다.”


The original aspect of Stravinsky that so immediately fascinated audiences was his rhythmical daring. As Trifonov details: “Stravinsky’s briskness and efficiency of expression contrasted with the more Epicurean aesthetics of many of his Silver Age contemporaries. Yet the rhythmical interplay, drawing upon the uneven metres of traditional Russian folk music, gave the ballet art form a fresh, new impetus.”


스트라빈스키가 즉시 청중을 사로잡은 한 가지 특징은 그의 대담한 리듬이었다. 트리포노프가 다음과 같이 설명하듯이 “스트라빈스키의 활기차고 효율적인(신선하고 정확한) 표현은 은의 시대의 많은 동시대 사람의 보다 쾌락주의적인 미학과 대조됩니다. 그러나 고르지 못한 전통 러시아 민속 음악을 활용한 리듬의 상호 작용은 발레에 예술 형식으로서 완전히 새로운 자극을 주었죠.”


Jagged rhythms and rustic Russian folk sounds further electrified Diaghilev and Stravinsky’s successor to “The Firebird”, Petrushka, presented by the Ballets Russes in Paris in 1911. “Like The Firebird,” says Trifonov, “Petrushka is based on a familiar trope in Russian culture – the celebration marking the arrival of the Spring Fair, which dates back to pagan times. Yet Petrushka is a more philosophical work. Unlike ‘The Firebird’, which ends in triumph, Petrushka is a tragic story, dealing with innocence, brutality, fate and despair – complex emotional themes resonating deep in the Russian psyche – reflected upon by Stravinsky in a rational, modern light.”


들쭉날쭉한 리듬과 소박한 러시아 민속 음악 사운드는 1911년 발레 뤼스가 파리에서 상연한 디아길레프와 스트라빈스키의 <불새>의 후속작인 <페트루슈카>를 짜릿한 방식으로 특징짓는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불새처럼 페트루슈카는 이교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봄 축제의 도착을 기념하는(이교도 시대에 존재했던 봄 축제가 시작될 때의) 축하 행사입니다. 그러나 페트루슈카는 다소 철학적인 작품인데요. 승리로 끝나는 불새와 달리 페트루슈카는 순수함, 잔혹함, 운명, 절망을 다루는 비극적 이야기로 – 러시아 정신 깊숙이 공명하는 복잡한 감정적 주제들로 – 스트라빈스키는 이를 합리적이고 현대적인 관점에서 반영합니다.”


This fusion of the ancient with the new, typical of Silver Age heterodoxy, remained core to Stravinsky’s artistic ethos throughout his long, prodigious career. His later experiments in the aesthetics of Neo-classicism, typified by the “Serenade in A” (1925) – which is in fact in neither A major nor A minor – continued to toy with modern perspectives on old forms. According to Trifonov, “Stravinsky was a kind of anti-Romantic – the second-movement Romanza of the Serenade, dedicated to his wife, could not be less sentimental. He was like a chameleon. From his Russian style to Neo-classicism, through his later experiments in serialism, jazz and many others, it is music written in playful abstraction. The composer’s personal feelings remain hidden, but his artistic signature is always apparent.”


이러한 옛것과 새것의 융합은 은의 시대의 이단의 전형으로, 스트라빈스키의 길고 인상적인 경력을 통해 그의 예술적 정신의 핵심으로 남아 있다. 실제로 장조도 단조도 아닌 <세레나데 A조>(1925)로 대표되는 신고전주의 미학에 대한 그의 후기 실험들은 오래된 형식들에 대한 현대적인 관점들을 지니고 있었다. 트리포노프에 따르면 “스트라빈스키는 일종의 반낭만주의자였는데, 그의 아내에게 헌정된 세레나데의 2악장 로만차 역시 감상적이었죠. 그는 카멜레온 같았어요. 러시아 스타일에서 신고전주의에 이르기까지 연속주의, 재즈 및 기타 여러 분야에 대한 후기 실험들에 이르기까지 그는 장난기 가득한 추상화로 작곡했죠. 작곡가의 개인적 감정은 숨겨져 있지만, 그의 예술적 서명은 언제나 틀림없어요.”


Maintaining the successful signature of aestheticized folkloric ritual established by “The Firebird” and “Petrushka”, Stravinsky completed a trilogy of ground-breaking Silver Age ballets for Diaghilev, Nijinsky and the Ballets Russes in 1913 with “The Rite of Spring”. The premiere of this Modernist masterpiece changed music for ever.


<불새>와 <페트루슈카>에 의해 확립된 미학적 민속 의식의 성공적인 서명(모델)을 유지하면서 스트라빈스키는 <봄의 제전>으로 1913년 디아길레프, 니진스키, 발레 뤼스를 위한 획기적인 은의 시대 발레 3부작을 완성했다. 이 모더니스트 걸작의 초연은 음악계를 영원히 바꾸어 놓았다.


By that time, Stravinsky was himself an international star, and Diaghilev, ever the prescient promoter, recognized the need for fresh musical impetus to propel the artistic innovation of his troupe. It was in London in 1914, with Europe teetering on the precipice of the First World War, that Diaghilev met the 23-year-old Sergei Prokofiev.


그 당시 스트라빈스키는 이미 국제적인 스타였으며, 항상 선견지명을 가진 기획자인(후원자로서 앞장서고 있던) 디아길레프는 자신의 극단의 예술적 혁신을 추진(혁신적인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해 신선한 음악적 추진력의 필요성(새로운 음악적 충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유럽에서 1차 세계대전이 한창으로 요동치기 직전인 1914년, 디아길레프는 런던에서 23세의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를 만났다.


The dapper young musician from the Donetsk region of Ukraine had already built an impressive reputation for himself as a formidable pianist and something of an enfant terrible amongst composers in his adopted home of St. Petersburg. Prokofiev’s five-movement character suite for solo piano entitled “Sarcasms” op. 17, completed around the time of the Diaghilev encounter, captures the haughty, daring genius of its author. It is a work full of self-conscious misdirection and dissonance. As the title suggests, “Sarcasms” is bitter, ironic, playful and goading. “Young Prokofiev liked to provoke his public,” explains Trifonov. “In his personal demeanour and in his music, he was always seeking to tease and shock. Like Stravinsky, he enjoyed playing with masks, but always with a penetrating core of emotion behind.”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지역 출신의 늠름한(잘생긴) 젊은 음악가는 이미 자신이 고향으로 삼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작곡가들 사이에서 무시무시한 피아니스트이자 앙팡 테리블이라는 인상적인 명성을 얻었다. 프로코피에프의 독주 피아노를 위한 5악장의 성격 모음곡인 <풍자>는 디아길레프와 만날 즈음에 작곡되었으며, 작곡가의 자신감 있고 대담한 천재성을 포착(반영)한다. 이 곡은 남의 시선을 의식하는 의도적으로 잘못된 지시와 불협화음이 가득한 작품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풍자>는 씁쓸하고, 반어적이고, 장난스러우며, 도발적이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젊은 프로코피에프는 청중을 자극하는 것을 좋아했어요. 그의 태도와 음악에는 항상 도발적이고 충격적인 것이 있었죠. 스트라빈스키처럼 그는 가면 쓰고 노는 것을 즐겼지만, 그와 함께라면 결정적으로 감정적인 핵심은 언제나 알아볼 수 있어요.”


At his first encounter with Diaghilev, Prokofiev chose to play excerpts from his Second Piano Concerto in G minor op. 16. The work, completed the year before, was dedicated to Maximilian Schmidthof, a friend of Prokofiev’s who had committed suicide during their studies together. It was an audacious gambit for the young composer. “The concerto is a challenging work,” Trifonov describes. “The first movement and lyrical parts of the third movement, full of painful searching and questioning, owe much to Scriabin, with their dark, dissonant, existential brooding upon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The second movement, if rearranged into more irregular rhythmical patterns, could have been by Stravinsky.” Indeed, Prokofiev looked to his Silver Age predecessors (Scriabin was 20 years his senior, Stravinsky nine) for models to stir and surprise. “The concerto’s ending, full of resolve,” in Trifonov’s view, “is an energetic expression of this rebellious era – a gesture of emancipation from the past, like tearing papers and throwing them into the air.”


디아길레프와의 첫 만남에서 프로코피에프는 피아노 협주곡 2번의 일부를 연주하기로 했다. 1년 전에 완성된 이 작품은 함께 공부하던 중 자살한 프로코피에프의 친구 막시밀리안 슈미트호프에게 헌정되었다. 이 곡은 젊은 작곡가에게 대담한 도박(과감한 선택)이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이 협주곡은 도전적인(어려운) 작품입니다. 고뇌에 찬 탐구와 질문으로 가득 찬 1악장 그리고 3악장의 서정적인 부분들은 우주의 신비(비밀)에 대한 어두운, 불협화음의, 실존적으로 음울함을 지닌 스크리아빈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죠. 2악장은 좀 더 불규칙한 리듬 패턴으로 재편곡된다면 스크리아빈의 작품일 것입니다.” 실제로 프로코피에프는 흥미로운 놀라운 아이디어를 찾을 때 은의 시대의 전임자들(스크리아빈은 그보다 20세 연상, 스트라빈스키는 9세 연상)을 찾았다. 트리포노프의 견해에 따르면 “이 협주곡의 결의로 가득 찬 결말(모든 것이 마침내 녹는 이 협주곡의 끝)은 이 반항적 시대의 활기찬 표현입니다. – 마치 누군가가 종이를 찢고 그 조각을 공중에 던지는 것과 같은, 과거로부터의 해방의 몸짓이죠.”


Diaghilev, unlike many of his bourgeois counterparts, was not scandalized by Prokofiev’s iconoclasm. Rather, he recognized the gifted composer’s truly original synthesis of the contemporary Russian composers he most admired (including Rachmaninov, whose massive cadenza in his Third Piano Concerto provided the example for Prokofiev’s stormy, extemporized recapitulation in his own G minor concerto) and heard the sounds of the future. Immediately, Prokofiev was engaged to write a new piece for the Ballets Russes.


디아길레프는 그의 여러 부르주아 동료들과 달리 프로코피에프의 인습 타파를 비난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자신이 가장 존경하는 현대 러시아 작곡가 중에서 재능 있는 작곡가의 진정으로 독창적인 집대성을 인정하고(피아노 협주곡 3번의 방대한 카덴차를 지닌 라흐마니노프를 포함하여 프로코피에프가 자신의 피아노 협주곡 2번에서 격렬하고 즉흥적으로 반복하는 예를 제공) 그 안에서 미래의 소리를 들었다. 즉시 프로코피에프는 발레 뤼스를 위한 새로운 작품을 쓰기로 계약했다.


The chemistry of Prokofiev’s energy and audacity with Diaghilev’s circle of “fin de siècle” painters, designers, dancers and choreographers resulted in a string of masterworks including “Ala and Lolli” (later reduced into the “Scythian Suite”), “Chout” (The Buffoon) and “Le Pas d’acier” (The Age of Steel). Prokofiev’s later ballets, including his famous scores to “Romeo and Juliet” (1935) and “Cinderella” (1944), relinquished the cultural-anthropological focus of his Ballets Russes collaborations, but always retained the distinctively bold, inquisitive character cultivated through these early collaborations.


프로코피에프의 에너지(충동성)와 대담함 및 디아길레프의 (19세기의) “세기말적인” 화가, 디자이너, 무용수, 안무가의 조합(시너지 효과)은 발레 모음곡 <알라와 롤리>(나중에 <스키타이 모음곡>으로 축소), <어릿광대>, <강철의 춤>을 포함한 많은 걸작을 낳았다. <로미오와 줄리엣>(1935), <신데렐라>(1944)의 유명한 음악들을 포함하는 프로코피에프의 후기 발레는 발레 뤼스와의 공동 프로젝트의 문화적-인류학적 초점을 포기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공동 작업을 통해 구축된 특유의 대담하고 탐구심이 강한 성격을 항상 유지했다.


Under Diaghilev’s tutelage, Stravinsky and Prokofiev became the two most important composers of ballet of the 20th century. The men were acquainted, and developed a degree of mutual respect for one another, even if their temperaments were opposites and a sense of professional rivalry was inevitable. According to Trifonov, “As near-contemporaries, Stravinsky and Prokofiev each expressed a deeply authentic, yet distinctive kind of Russian musical voice, and reflected a different kind of cosmopolitanism in their philosophies and aesthetics.” The composers were joined in grief upon learning of Scriabin’s untimely death, by blood poisoning, in Moscow in 1915.


디아길레프의 후원하에 스트라빈스키와 프로코피에프는 20세기 발레의 가장 중요한 두 작곡가가 되었다. 그들은 서로 반대되는 기질을 가지고 있었고 어떤 직업적 경쟁력이 불가피해 보였지만 서로를 알고 어느 정도 상호 존중을 발전시켰다. 트리포노프에 따르면 “스트라빈스키와 프로코피에프는 거의 동시대인으로서 매우 정통하면서도 독특한 러시아의 음악적 목소리를 가졌으며, 각자의 철학과 미학에서 자신만의 세계주의를 보여주었죠.” 두 사람은 1915년 모스크바에서 스크리아빈이 패혈증으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슬픔에 잠겼다.


The Bolshevik Revolution of 1917 effectively ended the Russian Silver Age. The volatile “cocktail” of contrasting schools of radical social, spiritual and aesthetic thought, which had been coursing through Moscow and St. Petersburg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crumbled under the pressures of Leninist dogma. The Soviet Revolution severed the bridge between Russian culture and the European avantgarde. Diaghilev, Stravinsky, Bakst, Nijinsky, Roerich and Rachmaninov, among countless others, found themselves in foreign exile. Other children of the Silver Age, such as Prokofiev and Meyerhold, maintained close ties to their homeland, hoping to influence history’s course.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은 러시아의 은의 시대를 사실상 끝냈다.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은 본질적으로 러시아의 은의 시대의 종말을 의미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형성한 과격한 사회적, 정신적, 미학적 사상의 대조적인 학파들의 불안정한 “칵테일”(단기적 혼합)은 레닌주의 독단의 압력으로 무너졌다. 소비에트 혁명은 러시아 문화와 유럽 아방가르드 사이의 유대를 끊었다. 디아길레프, 스트라빈스키, 박스트, 니진스키, 로에리치, 라흐마니노프 등 셀 수 없이 많은 사람이 (강제 추방되어) 망명 생활을 하고 있었다. 프로코피에프와 메이어홀드 같은 은의 시대의 다른 후예들은 계속해서 그들의 고향에서 고국과 긴밀한 유대를 유지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역사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기를 희망했다.


Diaghilev died in 1929, like his idol Wagner in Venice. Yet the sweeping creative spirit of the Silver Age he curated continued to resonate. While Stravinsky probed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theatricality in opera, oratorio and dance for the rest of his life, Prokofiev discovered a new symbiotic artistic medium: film. As Trifonov describes: “Scriabin wished to combine all aesthetic experience in a single, mystical, musical vision; Stravinsky unified the arts through a radical reinterpretation of ballet; Prokofiev, meanwhile, embraced cinema as the most complete and modern synthesis of the senses.”


디아길레프는 그의 우상인(그가 존경했던) 바그너처럼 1929년 베네치아에서 사망했다. 그러나 그가 준비한 은의 시대의 광범위한 창조 정신은 계속 울려 퍼졌다. (물론 그가 은의 시대에 만들어내고 길러낸 고무적인 창조 정신은 계속해서 작용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여생 동안 오페라, 오라토리오, 무용에서 연극성의 한계와 가능성을 탐구한 반면, 프로코피에프는 자신과 음악을 위한 새로운 예술 매체인 영화를 발견했다. 트리포노프가 다음과 같이 묘사하듯이 “스크리아빈은 모든 미학적 경험을 하나의 신비로운 음악적 비전으로 결합하기를 원했고, 스트라빈스키는 발레의 급진적 재해석을 통해 예술을 통합했으며, 반면에 프로코피에프는 가장 포괄적이고 현대적인 감각의 종합으로서 영화에 의존했죠.”


Discovering cinema in the mid-1930s, Prokofiev’s most celebrated post-Diaghilev creative partnership was with the brilliant Soviet film director Sergei Eisenstein. Their work together on the cinematic masterpieces “Alexander Nevsky” (1938) and “Ivan the Terrible” (1944), both of whose scores are considered among the finest in the history of the genre, reflected an integrated approach to image, movement, text and sound similar to the holistic collaborations of the Ballets Russes.


프로코피에프는 1930년대 중반에 영화로 눈을 돌린 후 뛰어난 러시아 영화감독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과 함께 작업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디아길레프 이후 그의 가장 중요한 예술적 동반자 관계였다. 그들이 공동으로 만든 걸작 영화 <알렉산더 네프스키>(1938) 및 <바보 이반>(1944)은 양쪽 음악 모두 이 장르 역사상 최고로 꼽히며, 발레 뤼스의 전체론적 공동 프로젝트와 유사한 이미지, 움직임, 본문, 소리를 포괄하는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Ivan the Terrible”, based on the life of the 16th-century Russian tsar, was made at the height of the Second World War. In parallel, Prokofiev was working on his Fifth Symphony, the ballet “Cinderella” and three concurrent Piano Sonatas, his so-called “War Sonatas”, Nos. 6, 7 and 8. “The Eighth Sonata in particular,” says Trifonov, “illustrates Prokofiev’s cinematographic imagination.” Indeed, the whimsical first themes of the sonata’s first and second movements are both borrowed from Prokofiev’s own score for an abandoned film project based on “The Queen of Spades”. “The sonata,” Trifonov continues, “is intensely polyphonic, yet tangibly illustrative. Prokofiev is a great storyteller. Bass glissandi in the first movement evoke the sound of an air-raid siren; the music achingly traces the ravages of war on country and common people.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vement is epic, like an Eisenstein tableau; the lyrical second movement is like wandering through a strange flower garden; the third movement is a cityscape full of ghosts.”


16세기 러시아 황제의 삶을 바탕으로 한 <바보 이반>은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일 때 만들어졌다. 이와 동시에 프로코피에프는 교향곡 5번, 발레곡 <신데렐라>, 이른바 <전쟁 소나타>라고 불리는 3개의 피아노 소나타 6, 7, 8번에 착수하고 있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특히 소나타 8번은 프로코피에프의 영화적 상상력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1악장과 2악장의 기발한 제1주제들은 모두 <스페이드의 여왕>을 영화화하기 위해 프로코피에프 자신의 악보에서 차용된 것들이다. 트리포노프는 계속한다. “이 소나타는 매우 다성적이지만, 설명적인 요소가 분명합니다. 프로코피에프는 훌륭한 이야기꾼입니다. 1악장의 베이스 글리산도들은 공습 사이렌 소리를 암시하는데, 음악은 전쟁이 조국과 민중에 미친 참화를 애처롭게 추적하죠. 1악장의 구조는 예이젠시타인의 회화처럼 서사적입니다. 서정적인 2악장은 낯선 꽃밭을 헤매는 것 같아요. 3악장은 유령으로 가득 찬 도시 풍경을 연상시킵니다.”


Prokofiev’s Eighth Sonata is a poignant synthesis of styles, atmospheres and expressions, and is considered one of his greatest works – a lament for his people and for his tragic times, echoing with the memory of the glorious, long-gone Silver Age.


다양한 스타일, 분위기, 표현을 신랄하게 통합한 프로코피에프의 소나타 8번은 그의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 – 그의 사람들과 그의 비극적인 시대에 대한 애도로, 오래전에 없어진 영광스러운(빛나는) 은의 시대에 대한 회상으로 울려 퍼진다.


Misha Aster / 미샤 애스터 글






영어와 독어를 절충하여 번역했다. 음반 정보에는 <노년의 시대>로 나와 있는데 그렇게 해석할 때마다 매번 문맥에 맞지 않아서 어떤 뜻인지 찾아봤다. 인간의 다섯 시대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인간의 다섯 시기를 가리키는 말로, 헤시오도스의 <일과 나날>에 나온다. 다섯 시대의 종족들은 각자의 시대와 동일하게 황금의 종족, 은의 종족, 청동의 종족, 영웅의 종족, 그리고 철의 종족으로 불린다. 은의 시대(백은시대)는 신화상 또는 문예상 최전성기에 버금가는 시대를 말한다. 한편 디지털 음원으로 나온 확장판(Extended Edition)에서는 스크리아빈의 시곡과 연습곡이 추가되었다. 그 외에 디지털 싱글에는 스크리아빈 소나타 9번 <흑미사>가 있다.


Scriabin 2 Poemes, Op. 32 - I. Andante cantabile

Scriabin 2 Poemes, Op. 32 - II. Allegro, con eleganzza, con fiducia

Scriabin 8 Etudes, Op. 42 No. 4 in F# (Andante)

Scriabin 8 Etudes, Op. 42 No. 5 in c# (Affannato)

2021년 12월 26일 일요일

DG / Daniil Trifonov - Destination Rachmaninov-Arrival 2019



https://www.youtube.com/watch?v=thCOvMnJHNw&list=OLAK5uy_mqCt_HWdnJlWvTpcG2tXzipIoeZKFsOAU

https://www.youtube.com/watch?v=RaxobguQzM4

https://www.youtube.com/watch?v=JDW0zfQxpJw

https://www.youtube.com/watch?v=G1DxriNSTRA

https://www.youtube.com/watch?v=S2DvyjpFqG0

https://www.youtube.com/watch?v=OueKUIseVDQ

https://www.youtube.com/watch?v=nYvlYCuVIjE

https://www.youtube.com/watch?v=knSEVx-TDyg

https://www.youtube.com/watch?v=ON_69k644Tg&t=12s

https://www.youtube.com/watch?v=cMHyxHwhFYk

https://www.youtube.com/watch?v=KJB2oEywboU


다닐 트리포노프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번 & 3번]

러시아를 대표하는 젊은 피아니스트 다닐 트리포노프,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을 완성시키다!


“눈부신 섬세함이 깃든 기교” - 선데이 타임스


찬사를 쏟아내며 각종 음반상을 휩쓴 지난 앨범 [Destination(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 4번)]에 이어 [Arrival] 발매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 3번


다닐 트리포노프는 이번 앨범에서 뛰어난 기교와 더불어 복잡한 감정 묘사가 요구되는 라흐마니노프 작품을 소화하며 러시아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로서 다시 한번 입지를 굳힌다. 피아노 작품의 계보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 3번을 촉망받는 음악 감독 야니크 네제-세갱이 이끄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했으며 자신이 직접 편곡한 ‘보칼리제’와 ‘은종’도 함께 수록했다.


BBC 뮤직 매거진 2019 교향곡 부문 음반상

가디언 ‘2018 올해의 클래식 음반상’

타임스 ‘2018 올해의 베스트 음반상’

선데이 타임스 ‘이 주의 음반상’


BBC 뮤직매거진 협주곡 상을 비롯해 지난해 많은 평론가가 2018년 최고의 음반으로 꼽았던 2, 4번에 이어서, 트리포노프와 네제-세갱이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 3번을 통해 전곡 녹음을 마무리한다. 첫 곡은 <종> 가운데 첫 악장을 트리포노프가 직접 피아노 편곡한 것으로 그의 환상적 명인기를 확인하게 될 압도적 인트로이다. 또한 1, 3번 사이에는 <보칼리제>가 역시 트리포노프의 편곡으로 수록된다. 라흐마니노프와의 깊은 인연을 갖고 있는 필라델피아 사운드의 절묘한 조합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Track

01 Rachmaninov/Daniil Trifonov: The Silver Sleigh Bells - 1. Allegro ma non tanto [Live at Philharmonie, Berlin 2019] / 라흐마니노프 은종 (트리포노프 편곡) [2019년 베를린 필하모니 라이브]

02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1 in f#, Op. 1: 1. Vivace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번

03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1 in f#, Op. 1: 2. Andante

04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1 in f#, Op. 1: 3. Allegro vivace

05 Rachmaninov/Daniil Trifonov: Vocalise, Op. 34 No. 14

06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in d, Op. 30: 1. Allegro ma non tanto [Live at Verizon Hall, Philadelphia 2018]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2018년 필라델피아 베리존 홀 라이브]

07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in d, Op. 30: 2. Intermezzo (Adagio)

08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3 in d, Op. 30: 3. Finale (Alla breve)



Webisode #1 Silver Sleigh Bells / 은종

Daniil Trifonov: When I heard for the first time "Silver Bells" many years ago, I thought, that would work so nice on a piano because, just with the beginning itself, the piano is the instrument that can imitate "Glockenspiel" or bells very well. It's such a giant score. It is already like transcribing an opera and, of course, this being one of the most beloved works by Rachmaninov himself, there is so much detail in it and every voice has something to say. Of course, one has to find a way how to transcribe it for piano - it would be silly to try to fit everything on a piano. So I had to find some workarounds and even invoke some of the music from other music of Rachmaninov. Some short snippets of different themes from different Rachmaninov works make appearances in this transcription.


다닐 트리포노프 : 몇 년 전에 “은종”을 처음 들었을 때 피아노랑 정말 잘 어울리겠다고 생각했어요. 시작 부분만 하더라도 피아노가 글로켄슈필이나 종소리를 정말 잘 표현해줘요. 정말 대단한 작품이에요. 오페라를 편곡한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라흐마니노프가 정말 사랑했던 작품 중 하나죠. 정말 세밀하고 모든 소리가 무언가를 이야기하는 것 같아요. 물론 피아노로 어떻게 편곡할지에 대해 연구해야만 했죠. 모든 것을 피아노에 맞추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기에 제2의 해결책을 찾아야 했고 라흐마니노프의 다른 작품에서 가지고 온 것도 있어요. 라흐마니노프의 여러 작품 속에 서로 다른 작은 부분들을 편곡된 버전에 가져왔습니다.



Webisode #2 Piano Concerto I / 피아노 협주곡 1번

Daniil Trifonov: What's fascinating about this concerto is that of course it's a student piece. He graduated conservatory with that work and it is quite impressive that Rachmaninov wrote so structurally mature music at such a young age. I don't think it's so surprising that Rachmaninov himself considered this to be his favourite concerto, and of course he would often be asked to play No.2 and No.3 which became quickly quite popular. But he always had a fondness for the First Concerto and he was always wondering why he's not playing more often Concerto No.1. There is so much freshness and originality in this concerto. It has seeds of so many later developments of his genius.


다닐 트리포노프 : 이 협주곡인 놀라운 이유는 라흐마니노프가 학생 때 작곡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으로 음악학교를 졸업했습니다. 구조적으로 탄탄하고 성숙한 작품을 이렇게 젊은 나이에 작곡했다는 것은 정말 놀랍습니다. 라흐마니노프 자신이 가장 좋아했던 협주곡이라는 사실이 납득가요. 2, 3번을 연주해달라는 요청을 자주 받아 짧은 시간 안에 유명해졌지만, 라흐마니노프는 협주곡 1번에 항상 애정을 느꼈습니다. 왜 1번을 더 자주 연주할 수 없는지 안타까워하기도 했습니다. 협주곡 1번에는 정말 신선하고 독창적인 무언가가 있습니다. 이후에 작곡된 천재적인 작품들의 씨앗과도 같은 요소들이 있어요.


Yannick Nézet-Séguin: It is quite compact and already says a lot about Rachmaninov's personality. It's really recognisable. But my favourite part of the First Concerto is the slow movement. For me the second movement is just in a world of its own about poetry. It is liquid. It's remarkable and actually it's not a contradiction, because if you think of Prokofiev or Stravinsky, there was also this very developed sense of colour, which was very close to French music.


야니크 네제-세갱 : 촘촘한 작품이고 라흐마니노프의 성격에 대해 많은 걸 알려줍니다.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인 것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가 가장 좋아하는 부분은 협주곡 1번의 느린 악장입니다. 저에게 2악장은 마치 자신의 세계에 있는 것과 같아요, 한 편의 시에요. 물처럼 흐르죠. 모순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프로코피에프나 스트라빈스키에게도 마찬가지로 프랑스 음악과 비슷한 극명한 색깔이 있었죠.



Webisode #3 Vocalise / 보칼리제

Daniil Trifonov: For "Vocalise" the challenge was completely different. The original, which is for soprano and piano, is in C sharp minor. When it's sung by a singer of, let's say, a violin, then this key and this particular register makes a lot of sense: it sounds very beautiful. However, if one tries to play it exactly like that on a piano, it has, at least to me, a different impression. It suddenly doesn't sound as warm as it does in the version with the singer... This is rather a thin register for piano, and the C sharp minor is a sharper key. I decided to transpose it to B flat minor, which is actually... You know, Rachmaninov himself never did a transcription of this piece, it might be surprising, but his uncle, Ziloti, he did a transcription, also in B flat minor. Well, he did it in... he still kept the soprano position of the melody. But it's already... We can hear in this key, a way more nostalgic and more gloomy atmosphere. However, I decided to move the melody to the tenor or baritone register. Because of that, I had to make the chords which are in the original... in the tight position, to rearrange them into a wide position. So, instead of this... it's... So... I find that this, what one would probably call a cello register of piano, is perhaps one of the most expressive registers of the instrument. So I think that suits that music.


다닐 트리포노프 : “보칼리제”에 대한 도전은 완전히 달랐어요. 소프라노와 피아노를 위한 원곡은 올림c단조입니다. 가수가 노래할 때, 예를 들어 바이올린을 이 조성으로 연주하면 이 특정 성부가 그럴 듯한데, 굉장히 아름답게 들려요. 하지만 피아노에서 똑같이 연주하려고 하면, 적어도 다른 인상을 받아요. 성악 버전처럼 따뜻하게 들리지 않거든요... 이건 오히려 피아노에 가느다란 성부이며, 올림c단조는 더 높은 조성이죠. 저는 내림b단조로 바꾸기로 했는데, 실제로... 아시다시피 라흐마니노프 자신은 놀랍게도 이 곡을 편곡하지 않았지만, 그의 사촌형인 질로티는 편곡했는데 역시 내림b단조였죠. 음, 그는 이렇게 했는데... 여전히 멜로디의 소프라노 위치를 유지했죠. 하지만 이미... 이 조성에서 보다 향수를 자아내면서도 보다 우울한 분위기를 들을 수 있거든요. 하지만 저는 멜로디를 테너나 바리톤 성부로 옮기기로 했어요. 그래서 저는 원래의 위치에 있는, 꽉 찬 위치에 있는 화음들을... 너른 위치로 바꿔야만 했죠. 이것 대신에... 그래서... 저는 이것이, 피아노의 첼로 성부라고 여기는 것이, 어쩌면 악기의 가장 표현적인 성부 중 하나라는 것을 알았죠. 따라서 그 음악에 어울리는 것 같아요.



Webisode #4 Piano Concerto III / 피아노 협주곡 3번

Daniil Trifonov: Sounds as if it's a more religious piece. The first movement, well, we don't know whether it was intentional, but it's extremely similar to one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hants, slightly modified.


다닐 트리포노프 : (이 곡은) 보다 종교적인 작품인 것처럼 들려요. 1악장은 의도적인 것인지 모르겠지만, 약간 수정된 러시아 정교회의 성가 중 하나랑 매우 흡사해요.


Yannick Nézet-Séguin: I mean, it gets me at every turn - every phrase, every modulation, every imagination of the harmony brings me to somewhere in my soul, or my heart, that not many pieces bring me to.


야니크 네제-세갱 : 다시 말해 언제나 알 수 없습니다. - 모든 프레이즈, 모든 전조(조바꿈), 모든 화성의 상상은 많은 곡이 제게 선사하지 못하는 것을 제 영혼이나 가슴 어딘가에 가져옵니다.


Daniil Trifonov: The Third Concerto is immense in its scale of width, of breadth, of orchestra, I think, and of thematic development - it's very symphonic.


다닐 트리포노프 : 3번 협주곡은 폭, 오케스트라의 규모, 제 생각에 주제의 전개에 있어서 엄청나요. - 굉장히 교향적이죠.


Yannick Nézet-Séguin: This is where Rachmaninov really developed to the fullest his imagination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ano and the orchestra.


야니크 네제-세갱 : 이 곡에서 라흐마니노프는 실제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자신의 상상력을 최대한 발휘했습니다.



Vibrations through Time / 시간에 따른 진동

“Bells are perhaps the central symbol of Russian culture,” Daniil Trifonov muses. Born in the fortress city of Nizhny Novgorod, 400 kilometres (or a six-hour train ride) northeast of Moscow, in 1991, Trifonov grew up surrounded by the sounds of bells – church bells, sleigh bells, train bells – echoing through his home town. “In Russia,” he explains, “bells ring for many occasions. Their vibrations carry across the great expanses of the country, connecting events, people and communities – and across time, connecting history and spirituality.”


다닐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사색한다. “종은 아마도 러시아 문화의 가장 중요한 상징일 것입니다.” 1991년 모스크바에서 북동쪽으로 400km(또는 기차로 6시간 거리) 떨어진 군사도시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태어난 트리포노프는 종소리에 둘러싸여 자랐는데, 교회 종소리, 썰매 종소리, 기차 종소리가 그의 고향에 울려 퍼진다.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러시아에서 종은 여러 번 울립니다. 종소리는 사건, 사람들, 지역 사회를 연결하면서 전국의 광대한 지역에 들립니다. - 그리고 시간을 초월하여 역사와 영성(전통과 종교)을 연결하죠.”


One such connection across time and space links Trifonov with his pianist-composer predecessor, Sergei Rachmaninov, who hailed from Russia’s other Novgorod: Novgorod District, about six hours by train north-west of Moscow. Like Trifonov, Rachmaninov identified bells as the iconic aural motif of Russian identity, their evocation throughout his compositions lending his music its unique nobility and nostalgic character, unmistakably rooted in the cultural fabric of his homeland.


시간과 공간을 가로지르는 이러한 연결 중 하나는 트리포노프에서 그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선배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로 이어지는데, 라흐마니노프는 모스크바에서 북서쪽으로 기차로 약 6시간 거리에 있는 같은 이름의 두 번째 러시아 노브고로드 출신이다. 트리포노프와 마찬가지로 라흐마니노프는 종을 러시아 정체성의 상징적인 청각적 모티프로 여겼는데, 이것은 그의 음악 어디에나 나타나며, 그의 음악에 고국의 문화적 토대에 분명히 뿌리를 둔 숭고하면서도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성격을 부여했다.


It is fitting, then, that the first part of Trifonov’s project traversing the Rachmaninov Piano Concertos – ‘Departure’ – opens with the brooding first chords of Rachmaninov’s Second Piano Concerto, the solo piano echoing the deep, resonant toll of Russian Orthodox church bells, and concludes with the Fourth Piano Concerto’s Modernist in vocation of clanging train bells, tambourine rattles and ‘Dies irae’ gongs. This second chapter of Trifonov’s journey with Rachmaninov sustains that motif, opening with chimes of a different variety: the pianist’s own bravura transcription of “Silver Sleigh Bells”. Intoning cascading peals of sleigh bells, this first movement of Rachmaninov’s four-part choral fantasy ‘The Bells’ establishes the atmosphere for Trifonov’s arrival home.


따라서 트리포노프의 프로젝트의 첫 번째 부분인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출발>은 러시아 정교회의 종소리가 깊이 울려 퍼지는 것을 모방하는 독주 피아노인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의 우울한 첫 화음들로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며, 기차 종소리, 탬버린이 딸랑거리는 소리, ‘디에스 이레’(진노의 날) 징을 울리는 피아노 협주곡 4번의 모더니스트(근대주의자)로 끝난다. 라흐마니노프와 함께한 여정의 두 번째 장은 그 모티프를 유지하며, 다양한 차임벨로 시작되는데, 피아니스트 자신의 멋진 <은종> 편곡이다. 연속적인 썰매 종소리와 함께 라흐마니노프의 4부작 합창 환상곡 <종>의 1악장은 트리포노프가 집에 도착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Silver Sleigh Bells” is a joyous, shimmering point of departure connecting the ‘Departure’ and ‘Arrival’ instalments of Trifonov’s journey, as well as bridging – both chronologically and thematically – the composition of Rachmaninov’s Third Piano Concerto in 1909 and his definitive revision of his 1891 First Concerto in 1917. Completed in 1913 and inspired by a poem of Edgar Allan Poe, ‘The Bells’ is a deceptive work, with emotional tension and extreme technical difficulty lurking beneath its dancing surface. “With prominent voices of harp, celesta and flutes emulating the bells’ colours,” Trifonov explains, “Rachmaninov’s orchestration begs for piano transcription. The work’s fluid energy is highly pianistic, even if it is challenging for the performer to sustain a legato line and soft dynamic through so much elaborate passagework.” “Silver Sleigh Bells” captures the bright, effervescent spirit of Rachmaninov’s First Concerto, while also echoing the deeply religious roots of the Third Concerto. Trifonov also identifies (and in his transcription extends) material from Rachmaninov’s Second Piano Concerto in the piece’s accompaniment, as well as fragments from the composer’s Second Suite for Two Pianos and the Prelude in G minor, all composed around 1901.


<은종>은 트리포노프의 여정의 <출발>과 <도착>을 연결하는 즐거운 빛나는 출발점이며, 1909년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의 작곡과 그의 1891년 피아노 협주곡 1번의 1917년 최종 개정판을(<은종>은 행복하고 찬란한 새로운 시작이며, 첫 번째 앨범 <출발>에서 두 번째 앨범 <도착>까지의 다리를 만드는 동시에 1909년에 작곡된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3번과 1891년에 작곡되었지만 1917년에 최종 수정된 협주곡 1번의 최종판 사이를) 연대순으로나 주제별로 이어준다. 1913년에 완성되고 에드거 앨런 포의 시에서 영감을 받은 <종>은 감정적 긴장과 극도의 기술적인 어려움이 춤추는 표면 아래에 숨어 있는, 현혹되기 쉬운 작품이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하프, 첼레스타, 플루트의 두드러진 음색으로 다채로운 종들을 모방하는 라흐마니노프의 오케스트레이션(관현악 편성법)은 피아노 편곡을 간청합니다. 연주자가 섬세한 패시지워크(작품의 주제와 관계없이 화려하고 장식적인 부차적 부분)를 통해 레가토 선율과 부드러운 다이내믹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더라도 이 작품에 극도로 피아니스틱한 느낌을 줍니다.” <은종>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번의 밝고 활기찬 특성을 포착하는 동시에 피아노 협주곡 3번의 깊은 종교적 뿌리도 불러일으킨다. 트리포노프는 또한 이 곡의 반주에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의 소재뿐만 아니라 1901년에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에서 나온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2번과 전주곡 g단조 작품 23-5를 발췌하여 확인(그리고 그의 편곡에서 확장)했다.


With its evocation of Russian nature, folk culture and spiritual life, “Silver Sleigh Bells” sets the stage for Rachmaninov’s First Piano Concerto. “The F sharp minor Piano Concerto is the work of a passionate young heart,” says Trifonov. “We meet a Rachmaninov full of aspirations and Romantic ideals.” The 1891 composition does indeed capture a moment of rare happiness in the life of the then 18-year-old. “It is a work full of fragrances,” Trifonov explains, “like smelling fresh flowers on a field after rain.” The three-movement First Concerto stems from the same period as the Romantic germ motifs for what would become the Second Piano Concerto, and is a work based in character and form on the Piano Concerto by Edvard Grieg. “Rachmaninov admired the Grieg concerto,” affirms Trifonov, “one hears it right from the first measures. But, for me, Rachmaninov’s concerto has a lot of Chopin in its relentless poetic expression too. It is impatient music, full of anticipation – a young man bursting with curiosity, tirelessly asking, ‘What’s next?’


러시아의 자연, 민속 문화, 영적인 삶을 연상시키는 <은종>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1번의 무대를 마련한다. (<은종>에서 러시아의 자연, 민속 문화, 영성을 표현하는 것은 피아노 협주곡 1번의 이상적인 도입부이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피아노 협주곡 1번은 열정적인 젊은 마음에서 우러나옵니다. 우리는 열망과 낭만적 이상으로 가득 찬 라흐마니노프를 만납니다.” 1891년의 작품은 확실히 당시 18세의 삶에서 보기 드문 행복의 순간을 포착한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비 온 뒤 들판에서 싱그러운 꽃향기를 맡는 것 같은, 향기가 가득한 작품입니다.” 3악장으로 된 피아노 협주곡 1번은 피아노 협주곡 2번에 등장하게 될 낭만적인 핵심 모티프와 같은 시기에 나온 것으로, 에드바르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의 성격(표현)과 형식을 기반(바탕)으로 한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단언한다. “라흐마니노프는 그리그 협주곡을 존경했는데, 첫 마디들부터 바로 들을 수 있죠. 그러나 제게 라흐마니노프의 협주곡은 가차 없는 시적 표현에서도 쇼팽의 영향을 많이 받았어요. (하지만 라흐마니노프의 협주곡에서 시적 표현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모습에서도 쇼팽의 감정을 많이 느낍니다.) 조바심 나는 음악, 기대가 가득하죠. - 호기심에 가득 찬 청년은 끊임없이(여행을 떠나며) 질문하는데요, ‘다음은 뭐죠?’ (지금은요?)”


“The First Concerto is music by a composer who has not yet experienced tragedy,” Trifonov summarizes. Even if performed, as here, in the extensive 1917 revision produced under the storm clouds of the Russian Revolution and after Rachmaninov’s traumatic bouts with depression, the piece still exudes an unthwarted, even naive exuberance. The melodies are fresh, the energy vivacious, like those country sleigh bells. “In its 25 minutes, the piece never succumbs to melancholy or grief,” says Trifonov, “it rather clings tightly to its original purity.” The First Concerto was, indeed, Rachmaninov’s own favourite to perform amongst his concertos. Throughout his life, he kept coming back to the First Concerto, even when his Second and Third Concertos were far more popular and he had resigned himself to a modern, cosmopolitan existence, far from his Novgorod origins. “It connected him,” Trifonov explains, “with memories of his home, his roots – of happier times.”


“피아노 협주곡 1번은 아직 비극을 경험하지 않은 작곡가의 음악입니다.” 트리포노프가 이렇게 요약한다. 여기에서처럼 러시아 혁명의 폭풍우 속에서(10월 혁명이 위협적으로 다가오는 동안) 그리고 라흐마니노프가 우울증에 걸린 충격적인 시련을 겪은 후 만들어진 광범위한 1917년 개정판으로 연주되더라도, 이 곡은 여전히 ​​방해받지(흐릿하지) 않고, 천진난만한 활기를 물씬 풍긴다. 신선한 선율, 지칠 줄 모르는 에너지는 그 시골의 썰매 종처럼 생생하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25분 동안 이 작품은 결코 우울함이나 슬픔의 순간을 허용하지 않는데, 대신 온 힘을 다해 본래의 순수함을 유지합니다.” 사실 피아노 협주곡 1번은 라흐마니노프가 자신의 협주곡 중에서 가장 즐겨 연주한 곡이었다. 일생을 통하여 그는 협주곡 2번과 3번이 훨씬 더 대중적이고 노브고로드 출신과는 거리가 먼, 현대적이고 세계적인 존재에 대해 운명이라고 체념했을 때에도(조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협주곡 1번으로 계속 돌아왔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것은 그에게 그의 고향, 즉 그의 뿌리, 즉 행복했던 시절에 대한 추억들을 떠올리게 해주었죠.”


Tragedy, however, was a defining sentiment of Rachmaninov’s life, reflecting his personal psychological and existential struggles, and the greater crisis of modernity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idyll of the First Concerto was a vanishing illusion in a world where centuries-old social orders, typified by the aristocracy (Rachmaninov came from a family of aristocrats) and the church, were crumbling under pressures of political emancipation, industrialization and civil strife. Rachmaninov’s sense of melancholy in the face of these convulsions comes to the fore in his famous ‘Vocalise’. Originally the final song of his piano and voice cycle of 14 Romances op. 34 from 1912, the ‘Vocalise’ has no words, just one long melodic line suggestive of loss or sorrow. The youthful exuberance of the First Concerto gives way to intimate reflection. “The ‘Vocalise’ is not a ‘romance’ in the sense of a romantic love poem,” says Trifonov; “it is rather an expression of spiritual longing.” The work begins with a motif prefiguring the opening solo piano statement of the Third Concerto, with tightly woven relations between notes, and close, chromatic intervallic progressions. Trifonov transcribes the work into the baritone register, heightening the poignant interiority of its feeling.


그러나 비극은 라흐마니노프의 개인적인 심리(감정), 실존 투쟁과 20세기의 전환기에 접어든 근대성의 더 큰 위기를 반영하는 삶에 결정적으로 지나친 감상이었다. 협주곡 1번의 목가는 귀족(라흐마니노프는 귀족 가문 출신)과 교회로 대표되는 수백 년 된 사회 질서가 정치적 해방, 산업화, 시민의 압력으로 무너지고 있던 세상에서 사라지는(깨지기 쉬운) 환상이었다. 이러한 격변에 직면하여 라흐마니노프가 느꼈던 우울함은 그의 유명한 <보칼리제>에서 전면에 드러난다. 원래 1912년에 작곡된 피아노와 성악을 위한 14개의 로망스 작품 34 중 마지막 노래인 <보칼리제>는 가사가 없으며, 상실이나 슬픔(고통)을 암시하는 긴 선율만 있다. 피아노 협주곡 1번의 넘치는 젊음은 개인적인 성찰로 이어진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보칼리제는 낭만적인 연애시라는 의미의 ‘로망스’가 아니라, 영적인 갈망의 표현입니다.” 이 작품은 음들 사이의 팽팽하게 짜인 관계 및 긴밀하고 반음계적인 간격의 진행으로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시작하는 솔로 피아노를 미리 보여주는 모티프로 시작된다. 트리포노프는 이 작품을 바리톤 음역으로 재배치하여 그리운 내면의 느낌을 강조한다.


The soulful, introspective aspect to Rachmaninov’s musical expression, his symbiosis of cultural nostalgia and spiritual longing, comes to its fullest expression in the Third Piano Concerto in D minor, composed in 1909. If the tolling church bells opening the Second Concerto mark the departure of Trifonov’s Rachmaninov voyage, the hymnal plainchant beginning the Third Concerto announces his arrival home. It is profoundly Russian music in character and quintessentially Rachmaninov in expression. It is a very intimate form of spiritual affirmation, and continues revealing aspects of this meditation in vast, melismatic phrases. Trifonov: “The musical exposition is very similar to Rachmaninov’s style of letter-writing – long, complex sentences of prose, seamlessly transitioning between contrasting themes and moods.”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적 표현에 대한 감정이 풍부한 내성적인 측면, 문화적 향수와 영적인 갈망의 공생(결합)은 1909년에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3번에서 가장 완벽하게 표현된다. 2번 협주곡을 여는 교회 종소리가 트리포노프의 라흐마니노프 항해의 출발을 표시한다면(트리포노프가 라흐마니노프로 여행을 떠날 때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반면),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시작하는 찬송가 합창은 그의 집에 도착했음(귀향)을 알린다. (피아노 협주곡 3번은) 성격 면에서는 완전히 러시아 음악이며 표현 면에서는 철저히 라흐마니노프이다. 이 곡은 영적인 확신의 매우 친밀한 형태이며, 광대하고 멜리스마틱한(선율이 화려하고 아름다운) 프레이즈들이 모습을 드러낸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음악이 펼쳐지는 방식은 라흐마니노프가 편지를 쓰는 스타일과 매우 유사한데, 대조되는 주제와 분위기 사이를 매끄럽게 전환하는 길고 복잡한 산문의 문장들입니다.”


“In terms of techn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mplexity,” Trifonov believes, “Rachmaninov’s Third Piano Concerto is perhaps the most substantial undertaking in the piano literature.” Trifonov also describes this gargantuan concerto as Rachmaninov’s most religious: “The concerto has a unique kind of emotion – a solemn intimacy. It is like a prayer – the composer’s inner conversation with himself, and with God.” As such, the Third Concerto is, in a sense, a paradox: a profoundly introspective and spiritual work from beginning to end, yet also in length, structure, expository technique and symphonic scale, comparable with the concertos of Brahms and Busoni in belonging to, as Trifonov terms it, the “maximalist” concerto tradition of late Romanticism.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믿는다. “기술적, 심리적, 정서적인 복잡성의 측면에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은 아마도 피아노 문헌에서 가장 크고 튼튼한(힘든) 작품일 것입니다.” 트리포노프는 이 거대한 협주곡을 가장 종교적인 것으로도 묘사한다. “이 협주곡에는 엄숙한 내면이라는 독특한 감정이 있습니다. 그것은 기도와 같은데, 작곡가는 자신과 신과의 내면의 대화를 유지합니다.” 그런 점에서 피아노 협주곡 3번은 말하자면 역설인데, 트리포노프가 일컫듯이, 후기 낭만주의의 “과격주의자”(타협을 배제하고 최대한을 요구하는 자) 협주곡 전통에 속하는 브람스와 부조니의 협주곡들에 필적할 만큼 길이, 구조, 전개 기술, 교향적 규모에서도 처음부터 끝까지 깊이 반성적이면서도 영적인 작품이다.


“The piece is a unique example of one unending melody,” the pianist explains, “one continuous flow of musical consciousness – a single, rhapsodic journey. Above all,” he continues, “there is nothing banal in the expression. Even in its heights of lyricism or virtuosity, every note is devoted to a higher purpose.”


피아니스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곡은 하나의 끝없는 선율의 놀라운 예입니다. 음악적 의식의 연속적인 흐름, 즉 하나의 서사시의 여정입니다.” 그는 계속한다. “무엇보다도 진부한 표현이 없습니다. 서정성이나 기교가 최고조에 달하더라도 모든 음이 더 높은 목적을 달성합니다.”


The structure of the concerto reflects that lofty design. The first movement has the character of questioning – “a spiritual probing of the mysteries of the soul,” as Trifonov puts it. The second movement is a nostalgic meditation on the passing of time. The third movement is “propulsive and inspirational – a glimpse of redemption.”


피아노 협주곡 3번의 구조는 그 고상한 구성을 반영한다. 1악장은 질문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트리포노프가 말하듯이 “영혼의 신비에 대한 영적인 탐구”이다. 2악장은 시간의 흐름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우울한) 명상이다. 3악장은 “앞으로 나아가고 영감을 불어넣으며 잠시 구속의 일면을 열어주는 세계”이다.


Accompanying Trifonov are The Philadelphia Orchestra and their esteemed Music Director Yannick Nézet-Séguin. An ensemble of the highest quality and renowned for its distinctive sound, The Philadelphia Orchestra boasts a Rachmaninov pedigree which is second to none. Working closely with the composer, they gave the premiere performance of works including the Fourth Piano Concerto and the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both with the composer himself at the piano. Rachmaninov played his Third Concerto with The Philadelphia Orchestra, with Leopold Stokowski conducting, in 1920 – in a concert that also included The Bells.


트리포노프의 반주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그들의 존경받는 음악 감독 야니크 네제-세갱이 맡는다. 최고급 앙상블과 독특한 사운드(특유의 소리)로 유명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라흐마니노프 혈통을 자랑한다. 작곡가와 긴밀히 협력하여 피아노 협주곡 4번,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등 그의 많은 작품을 작곡가 자신과 함께 초연했다. 라흐마니노프는 1920년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의 지휘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함께 그의 협주곡 3번을 연주했는데, 이 콘서트 프로그램에는 <종>도 포함되었다.


Performing the Third Concerto is Olympian – and solitary; the musical, technical and emotional apotheosis of a singular journey – a trip across the expanses of time, spirituality and Russian vastness, as chronicled through Rachmaninov’s four piano concertos. Their traversal is a lonely Odyssey, rich in symbols and resonant with chimes. Arriving at his destination, exhausted and gratified, Trifonov cites another great Russian émigré, the poet Joseph Brodsky, who captures Rachmaninov’s forbearance, while implac ably yearning for new horizons: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하는 것은 신과 같은 즐거운 고독(엄청난 도전이자 동시에 매우 외로운 일)으로 – 하나의 여정에 대한 음악적, 기술적, 감정적 표현으로 – 라흐마니노프의 4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통해 연대기에 따라 끝없는 시간, 영성, 러시아의 광대함을 가로지르는 여행이다. 이 곡들의 횡단은 종소리와 함께 울려 퍼지는 상징으로 가득 찬 외로운 여행이다. 지치면서도 만족스럽게(지치고 행복한 상태로) 목적지에 도착한 트리포노프는 새로운 지평을 열렬히 동경(끝없이 갈망)하면서 라흐마니노프의 인내를 포착한 또 다른 위대한 러시아의 망명 시인 조지프 브로드스키의 다음과 같은 시를 인용한다.


“O when so much has been and gone

behind you – grief, to say the least –

expect no help from anyone.

Board a train…”

Joseph Brodsky – With a View of the Sea


“오 너무나도 많이 사라졌을 때 (당신이 그렇게 많은 일을 겪었다면 –)

당신 뒤에서 – 슬픔, 한 마디로 – (슬픔만이 아니라 –)

누구의 도움도 기대하지 마라. (그렇다면 인간의 도움을 바라지 마라.)

기차를 타라…”

조지프 브로드스키 - 바다를 바라보며


Liner notes: Oscar Alan /오스카 앨런 글







라흐마니노프를 연주한 세 번째 앨범은 <목적지 라흐마니노프 도착>인데, 영어와 독어를 절충하여 번역했다. 다닐 트리포노프가 편곡한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는 디지털 싱글 음원(Long Version)으로도 나왔다. 이미 정리했던 것이지만, 웨비소드 1과 2는 한글 자막이 유튜브에 있으나 3과 4는 없어서 내가 번역했다. 은종을 연주하는 뮤직비디오에서는 뵈젠도르퍼 피아노로 연주한다. 녹음 정보를 살펴보니 이번에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에서 제공된 스타인웨이 피아노. 트리포노프는 2015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오프닝 갈라 콘서트에 이어 2019년 대회에서도 연주했다. 2015년은 그래도 2011년 우승자로서 나오니깐 그렇다 치고 2019년은 뭔가 했다. 다닐이 싫은 건 아니지만 그 자리에 2015년 우승자가 나올 줄 알았으니까. 프로그램을 뒤져보니 다닐이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에 이어 앙코르로 보칼리제와 은종을 연주했다. 일종의 음반 홍보였던 셈! 노벨문학상을 받았던 브로드스키의 시는 이리저리 찾아봐도 번역본이 나오지 않아서 내가 번역했다. 라흐마니노프가 종소리 효과를 즐겨 사용했다고 들었는데, 내지에서 종이란 단어가 많이 나왔다.

2021년 12월 25일 토요일

DG / Daniil Trifonov - Destination Rachmaninov-Departure 2018



https://www.youtube.com/watch?v=q0GaOpJl6dM&list=OLAK5uy_lq-TTb_2LDvenNkkDKn-veZZZMkDfPh44

https://www.youtube.com/watch?v=Z3dnncZKPNo

https://www.youtube.com/watch?v=Qhz0_3AhhkQ&t=1s

https://www.youtube.com/watch?v=_0EhY9z23sw

https://www.youtube.com/watch?v=B1A8K5EwY1s

https://www.youtube.com/watch?v=o8raDCkb0jQ&t=3s

https://www.youtube.com/watch?v=NCwwo_7KOYU&t=21s

https://www.youtube.com/watch?v=Ng5ALDifMm8&t=1s

https://www.youtube.com/watch?v=l7_bBvzHEJw

https://www.youtube.com/watch?v=0_FywbV1J2M

https://www.youtube.com/watch?v=rCBQBYUHnxY

https://www.youtube.com/watch?v=kAPEvEIENGo

https://www.youtube.com/watch?v=lluzyK0-cM0


도이치 그라모폰을 대표하는 젊은 피아니스트 다닐 트리포노프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 4번]


“무한한 기교와 비전으로 놀랄 만한 연주를 보여주는 젊은 러시아 대스타” - 선데이 타임스


다닐 트리포노프의 도이치 그라모폰 네 번째 스튜디오 레코딩!


다닐 트리포노프는 2010년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3위에 올랐고 2011년에는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에서 1위를 수상했다. 이후 도이치 그라모폰을 통해서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 2번],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등을 발매하며 뛰어난 기교와 음악성을 보여주며 클래식 평단에서 호평받았다.


앨범 [라흐마니노프 :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의 경우에는 BBC 뮤직 매거진과 그라모폰지 ‘이달의 음반’ 등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앨범은 3번 만에 선보이는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으로 야니크 네제-세겡이 이끄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가 함께 한다.


대중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피아노 협주곡 2번’과 함께 ‘피아노 협주곡 4번’이 수록됐으며 라흐마니노프가 피아노 독주곡으로 편곡한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이 담겼다.


BBC Music Magazine Awards 2019 Winner - Concerto / BBC 뮤직 매거진 2019 협주곡 부문 수상

Presto Recording of the Week 12th October 2018 / 2018년 10월 12일 프레스토 이주의 음반

Building a Library December 2018 Also Recommended / BBC 라디오 3 빌딩 어 라이브러리 2018년 12월도 추천

The Times Records of the Year 2018 / 더 타임스 올해의 음반 2018

The Guardian Classical Albums of the Year 2018 / 가디언지 올해의 클래식 음반 2018


BBC 뮤직 매거진 선정반, 그라모폰 이달의 음반 등 찬사가 이어졌던 다닐 트리포노프와 야니크 네제-세겡이 이끄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음반에 이어, 이들이 함께 협주곡 전곡 녹음을 향한 여정으로 출발한다.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피아노 협주곡 2번과 함께 협주곡 4번, 그리고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에서 라흐마니노프가 피아노 독주곡으로 편곡한 3곡을 담고 있다. 환상적 명인기로 무장한 트리포노프와 라흐마니노프와의 깊은 인연을 갖고 있는 필라델피아 사운드의 절묘한 조합으로 이어질 새로운 걸작 녹음을 만나게 된다.


“Trifonov is wonderfully alive to [the Fourth’s] mercurial piano writing, achieving astonishing crystalline delicacy in the elaborate filigree passage work and negotiating unexpected juxtapositions of mood…Nezet-Seguin and the superbly responsive Philadelphia Orchestra follow the soloist’s every interpretative nuance.” - BBC Music Magazine Christmas Issue 2018


“트리포노프는 [협주곡 4번의] 수줍은 피아노 작법에 놀라울 정도로 활기를 띠고, 정성을 들인 매우 가느다란 패시지워크(작품의 주제와 관계없이 화려하고 장식적인 부차적 부분)에서 놀랍게도 수정같이 맑은 섬세함을 달성하며, 예상치 못한 분위기의 병치를 지나면서… 네제-세갱과 뛰어난 반응성을 지닌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는 독주자의 모든 해석적 뉘앙스를 따른다.” - BBC 뮤직 매거진 크리스마스 이슈 2018


“Trifonov is a gifted pianist, the Philadelphians have the music in their blood and Nezet-Seguin has an eye for detail and careful phrasing…Overall, this is another fine, well-recorded addition to the lengthy discography but one which neither astonished nor moved me.” - Gramophone Magazine (November 2018)


“트리포노프는 재능 있는 피아니스트이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음악에 자부심이 있으며, 네제-세갱은 디테일과 신중한 표현에 대한 안목을 가지고 있다…전반적으로 이것은 긴 디스코그래피에 잘 녹음된 또 다른 추가 항목이지만, 나를 놀라게 하는 것도 아니고 나를 감동케 하는 것도 아니다.” - 2018년 11월 그라모폰지


“What can one say about what must be one of the more frequently performed works in the concerto repertoire? Well, if you’re Daniil Trifonov then the answer is ‘quite a lot’... both Trifonov and Nezet-Seguin seem pleasingly keen to avoid any hint of wallowing self-indulgence, and what comes across is the amount of detail there is, not just in the piano part but also in the orchestral writing.” - James Longstaffe, Presto Classical (12 October 2018)


“협주곡 레퍼토리에서 가장 자주 연주되는 작품 중 하나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 음, 당신이 다닐 트리포노프라면, 대답은 ‘꽤 많이’... 트리포노프와 네제-세갱 모두 방종에 빠지는 암시를 피하는 데 기꺼이 열심인 것처럼 보이며, 피아노 파트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작법에도 디테일이 있다.” - 2018년 10월 12일 프레스토 클래시컬에서 제임스 롱스태프


“From the huge sonority of the C minor concerto’s opening chords, the pianist shows that he means business, but it is the astounding delicacy of his virtuosity in the piu vivo section - recalling Horowitz - that marks him out as a soloist of the first rank in this work. He is no less commanding in the more ‘jazzy, mechanical’ (Trifonov’s words) G minor concerto.” - Sunday Times (21 October 2018)


“협주곡 2번을 시작하는 화음의 거대한 울림에서, 피아니스트는 그가 일을 의미한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그를 이 작품의 1순위 독주자로 표시하는 것은 호로비츠를 생각나게 하는 피우 비보(더 생기 있게) 섹션에 나타나는 그의 놀라울 정도로 섬세한 기교이다. 그는 보다 ‘재즈 같고 기계적인’(트리포노프의 말) 협주곡 4번에서 역시 장악하고 있다.” - 2018년 10월 21일 선데이 타임스


“These are performances of such musical awareness, tonal variety and dazzling virtuosity that even the Second, one of the most popular of all piano concertos, has every trace of routine and over-familiarity stripped away. Trifonov has the gift of making something compelling out of the least attention-seeking piano lines... the woodwind playing is superb, but it’s the simple eloquence of Trifonov’s playing that constantly draws the ear.” - The Guardian (25 October 2018) ★★★★★


“모든 피아노 협주곡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2번조차도 일상과 지나친 익숙함의 흔적을 모두 제거할 만큼 음악적 자각, 다양한 음색, 눈부신 기교가 돋보이는 연주이다. 트리포노프는 가장 관심을 끌지 못하는 피아노 선율들로 매력적인 뭔가를 만드는 재능이 있는데... 목관악기 연주도 훌륭하지만, 트리포노프의 쉽게 설득하는 연주가 줄곧 맘에 든다” - 2018년 10월 25일 가디언지 ★★★★★



Track

01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2 in c, Op. 18: 1. Moderato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02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2 in c, Op. 18: 2. Adagio sostenuto

03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2 in c, Op. 18: 3. Allegro scherzando

04 Bach/Rachmaninov Partita for Violin Solo No. 3 in E, BWV 1006: 1. Preludio /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 중 프렐류드 (라흐마니노프 편곡)

05 Bach/Rachmaninov Partita for Violin Solo No. 3 in E, BWV 1006: 3. Gavotte /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 중 가보트 (라흐마니노프 편곡)

06 Bach/Rachmaninov Partita for Violin Solo No. 3 in E, BWV 1006: 6. Gigue /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 중 지그 (라흐마니노프 편곡)

07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4 in g, Op. 40: 1. Allegro vivace (Alla breve)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4번

08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4 in g, Op. 40: 2. Largo

09 Rachmaninov Piano Concerto No. 4 in g, Op. 40: 3. Allegro vivace



Teaser

Hello, I'm Daniil Trifonov. I'm very happy to announce that a project of the last several years has been completed. [And] I invite you now on a journey with Rachmaninov. Rachmaninov wrote some brilliant piano transcriptions and one of them is the transcription of Bach's Violin Partita in E major. He did the transcription of three pieces from here. Sometimes in a very humorous way. So, the original... And Rachmaninov adds... playing the prelude of Rachmaninov's transcription of Bach's Partita... So there are a lot of those moments which makes this transcription very... very special.


안녕하세요, 다닐 트리포노프입니다. 수년간의 작업 끝에 드디어 완성한 프로젝트를 여러분께 발표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그리고] 라흐마니노프와의 여정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라흐마니노프는 여러 훌륭한 피아노 편곡집을 만들었는데 바흐의 바이올린 파르티타 E장조가 그중 하나입니다. 이 곡을 가지고 라흐마니노프가 총 3곡으로 편곡했는데, 어떤 건 굉장히 재치 있게 표현했어요. 이게 원곡이면... 라흐마니노프는 이런 식으로 꾸몄죠... 라흐마니노프가 편곡한 바흐의 파르티타 중 프렐류드를 연주... 이 편곡을 특별하게 만드는... 많은 부분이 있죠.



Interview

Daniil Trifonov: Hello, I'm Daniil Trifonov. I'm happy to present you my new album that comes out soon. It will have music of Rachmaninov. Concerti number 2 and number 4 and some of his transcriptions. The Fourth Concerto is... quite odd among Rachmaninov concerti, but it's actually my personal favorite.


다닐 트리포노프 : 안녕하세요, 다닐 트리포노프입니다. 곧 나오게 될 새 앨범을 소개하게 되어 기쁩니다.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이 수록될 것입니다. 협주곡 2번과 4번 그리고 몇 개의 편곡 작품입니다. 4번 협주곡은...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중에서도 매우 색다르지만, 실제로는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것입니다.


Yannick Nézet-Séguin: The Fourth Concerto I think it's still concerto that would gain to be played more often. It's, for me, just right from the opening. This first movement with the obsessive triplets of the orchestra accompanying this incredible melody. This is already really very much Rachmaninov. I hope that by having a new complete recording of these concertos, it might help that concerto getting even more in the repertoire.


야니크 네제-세갱 : 저는 아직도 협주곡 4번이 더 자주 연주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게 시작부터 딱 좋아요. 이 놀라운 멜로디를 반주하는 오케스트라의 강박적인 셋잇단음표가 있는 1악장. 이건 이미 정말 굉장히 라흐마니노프적입니다. 이 협주곡들의 새로운 전집 녹음으로 말미암아, 레퍼토리에 더 많이 들어가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Daniil Trifonov: There are quite intricate contrapuntal details. A lot of rhythmical complexities, sometimes things go against the rhythm, the piano part against the orchestral part. Briskness that's even in the beginning... It's like... illegally sneaking through the customs - some kind of... There's something... There's something very fishy going on here.


다닐 트리포노프 : 매우 복잡한 대위법적인 디테일이 있습니다. 많은 복잡한 리듬, 때로는 리듬에 대항하는 것들, 오케스트라 파트에 대항하는 피아노 파트가 있죠. 처음에도 활기찬데... 마치... 일종의... 세관을 통해 몰래 불법으로 들어가는 것 같은데... 여기에서 수상한 뭔가가 계속됩니다.



Trailer

Daniil Trifonov: Hello, I'm Daniil Trifonov. I'm very happy to announce that a project of the last several years has been completed. [And] I invite you now on a journey with Rachmaninov. Rachmaninov never really stopped searching for new ideas, and his concerto brought new views on the... genre that he was master of.


Daniil Trifonov: Hallo, ich bin Daniil Trifonov. Mit großer Freude kann ich ankündigen, dass ein Projekt der letzten Jahre abgeschloseen ist. Ich labe Sie ein zu einer Reise mit Rachmaninoff. Rachmaninoff hörte nie auf, nach neuen Ideen zu suchen, und seine Konzerte warfen neues Licht auf die... Gattung, die er meisthaft beherrschte.


다닐 트리포노프 : 안녕하세요, 다닐 트리포노프입니다. 수년간의 작업 끝에 드디어 완성한 프로젝트를 여러분께 발표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그리고] 라흐마니노프와 여정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라흐마니노프는 실제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것을 멈추지 않았으며, 그의 협주곡은... 그가 장악했던 장르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가져왔습니다. (그가 마스터한 장르에 새로운 조명을 비췄습니다.)


Yannick Nézet-Séguin: The construction of his music is what always interested me most. The harmonies are what makes my heart melt when I listen to Rachmaninov, and definitely when I conduct.


Yannick Nézet-Séguin: Die Brauweise seiner Musik hat mich immer am meisten interessiert. Die harmonien lassen mein Herz schmelzen, wenn ich Rachmaninoff höre und besonders wenn ich ihn dirigiere.


야니크 네제-세갱 : 그의 음악에 대한 구성은 항상 제게 가장 흥미로워요. 화성은 제가 라흐마니노프를 들을 때, 확실히 제가 지휘할 때 제 마음을 녹여요. (저는 그가 음악을 만드는 방식에 항상 가장 관심이 있어요. 라흐마니노프가 들릴 때, 특히 제가 지휘할 때 화성이 제 마음을 녹여요.)


Daniil Trifonov: Of course, the concerti are some of his most personal works, that share both the intimacy in his music as well as his brilliance. The wide scope of its structure and its melodies perhaps reflects the wide-ranging soul of him as a musician. In general he was a very curious and flexible person.


Daniil Trifonov: Natürlich gehören die Konzerte zu seinen persönlichsten Werken, sie haben die Intimität und die Brillanz seiner Musik. Die Vielfalt ihrer Architektur und Melodik ist vielleicht Ausdruck seiner vielschichtigen Musikerseele. Er war ein sehr wissbegieriger und flexibler Mensch.


다닐 트리포노프 : 물론 협주곡은 그의 가장 개성적인 작품 중 일부인데, 그의 음악에서 친밀감뿐만 아니라 화려함도 모두 공유해요. 그 구조와 멜로디의 넓은 범위(다양성)는 어쩌면 그의 음악가로서의 광범위한 영혼을 반영할(영혼의 표현일)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그는 매우 호기심이 많고 유연한 사람이었죠.


Yannick Nézet-Séguin: Is there any concerto more famous than the Second Concerto? I think it's just the absolute standard-bearer of what a concerto is and should be.


Yannick Nézet-Séguin: Gibt es ein berühmteres Konzert als das Konzert Nr. 2? Ich glaube, es ist das absolute Paradebeispiel dafür, was ein Konzert ist und sein sollte.


야니크 네제-세갱 : 2번 협주곡보다 더 유명한 협주곡이 있나요? 저는 이 곡이 협주곡이 무엇인지에 대한 절대적인 선두주자이자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Daniil Trifonov: Structurally, actually, it's one of the simplest concerti of Rachmaninov. It's almost bare bones in structure... in a good way. And that leads to one big dilemma. That is: Rachmaninov we perceive as a very romantic composer, but with the simplicity found in many of his works, especially in this concerto, it becomes very tricky to manage time and rhythm. One of the most important novelties in his works is that even though he's a very romantic composer in his melodies and his harmonies, he influenced, a lot, rhythm in the 20th century, and for example, Prokofiev was actually in many ways influenced by the rhythmical stability of Rachmaninov's music and how much rhythmical pulse meant, both in the faster tempi and in something like the second movement. Rhythm as the defining cage for the bird in it - that is melody.


Daniil Trifonov: Dem Aufbau nach ist es eines der einfachsten Konzerte von Rachmaninoff. Das Gerüst ist fast auf das Minimum beschränkt... auf gute Weise. Und das führt zu einem großen Dilemma. Wir sehen Rachmaninoff als sehr romantischen Komponisten, aber bei der Einfachheit vieler seiner Werke, besonders in diesem Konzert, ist es schwierig, Tempo und Rhythmus zu handhaben. Eine der wichtigsten Neuerungen in seinem Werk ist, dass er, obwohl er ein sehr romantischer Komponist ist in seiner Melodik und Harmonik, die Rhythmik im 20. Jahrhundert sehr beeinflusste. Prokofjew beispielsweise war in mancher Hinsicht von der rhythmischen Stabilität in Rachmaninoff's Musik beeinflusst, und wie wichtig rhythmischer Puls war, in schnelleren Tempi, aber auch in etwas wie dem zweiten Satz. Rhythmus als prägender Käfig für den Vogel darin - die Melodie.


다닐 트리포노프 : 구조상 실제로 이 곡은 라흐마니노프의 가장 단순한 협주곡 중의 하나입니다. 좋은 방식으로... 구조가 거의 빈약해요. (발판이 거의 최소한으로 유지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큰 딜레마로 이어집니다. 즉, 우리는 라흐마니노프를 매우 낭만적인 작곡가로 인식하지만 그의 많은 작품들, 특히 이 협주곡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함 때문에 템포와 리듬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까다로워지죠. (우리는 라흐마니노프를 매우 낭만적인 작곡가로 보고 있지만 그의 협주곡 중 많은 부분, 특히 이 협주곡에서는 단순함 때문에 템포와 리듬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요.) 그의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는 멜로디와 화성에 있어 매우 낭만적인 작곡가이지만 20세기의 리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프로코피에프는 실제로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의 리드미컬한 안정성, 강한 리듬이 얼마나 중요한지, 빠른 템포뿐만 아니라 2악장 같은 것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어요. 새를 정의하는(그 안에 새를 위해 형성된) 새장으로서의 리듬은 멜로디입니다.


Yannick Nézet-Séguin: The Fourth Concerto I think it's still concerto that would gain to be played more often. I'm conducting it more and more, and I hope that by having a new complete recording of these concertos, it might help that concerto to get even more in the repertoire.


Yannick Nézet-Séguin: Das Vierte Konzert, glaube ich es ist ein Konzert, das gewinnen würde, wenn man es öfter spielte. Ich dirigiere es immer häufiger, und ich hoffe, dass die neue Gesamtaufnahme dieser Konzerte dazu beiträgt, dass es noch mehr ins Repertoire kommt.


야니크 네제-세갱 : 저는 아직도 4번 협주곡이 더 자주 연주되리라 생각해요. 이 곡을 점점 더 많이 지휘하고 있으며, 이 협주곡의 새로운 전집 녹음이 레퍼토리에 더 많이 추가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Daniil Trifonov: The Fourth concerto is my personal favourite. It's the most original of them all, I think. I find it's the one where Rachmaninov really tried to go out of his comfort zone. He explored a variety of different styles, and language-wise, to me, it's very novel. The way the concerto begins, actually... to me it feels like train travel. It starts with this very determined momentum. Music as a motion. One of the great examples of treating music as an art that exists in time, but also in space. It's an incredible journey in this concerto, of always going towards a certain destination, and just the opening of this concerto is one of the great examples of it. Rachmaninov wrote some brilliant piano transcriptions and one of them is the transcription of Bach's Violin Partita. The Second and Fourth [concertos] are very unique; they're not like anything else Rachmaninov wrote, the second one actually has a lot of polyphony as well. So I thought of paring them with transcriptions of a Bach Partita by Rachmaninov, which is brilliant. Of course it was a great honour to record these concerti with the orchestra that recorded the same concerti with Rachmaninov. From the first note I realized how... how much respect they have for this music, and how much knowledge they have just for how to understand the idiom of Rachmaninov. And to me it was a great idea to record all the remaining concerti.


Daniil Trifonov: Das Vierte Konzert ist mein persönliches Lieblingskonzert. Ich glaube, es ist das originellste von allen, es ist das Konzert, in dem Rachmaninoff wirklich versuchte, seine Komfortzone zu verlassen. Er arbeitete mit unterschiedlichen Stilen, und die Tonsprache erscheint mir sehr neu. Den Anfang des Konzerts... empfinde ich wie eine Bahnreise. Es beginnt mit sehr entschlossenem Vorwärtsdrang. Musik als Bewegung. Eines der großen Beispiele für die Behandlung von Musik als Kunstform, die in der Zeit existiert, aber auch im Raum. Dieses Konzert ist eine unglaubliche Reise, die immer auf ein festes Ziel hinführt, und schon die Eröffnung das Konzerts ist eines der großen Beispiele dafür. Rachmaninoff schrieb brillante Klaviertranskriptionen, und eine von ihnen ist die Transkription von Bachs Violinpartita. Die Konzerte Nr. 2 und 4 sind einzigartig, anders als alles andere, das Rachmaninoff schrieb, im zweiten gibt es sogar viel Polyfonie. Deshalb wollte ich sie mit seinen Transkriptionen einer Partita von Bach koppeln, die brillant sind. Es war natürlich eine große Ehre, diese Konzerte aufzunehmen mit dem Orchester, das sie schon mit Rachmaninoff eingespielt hatte. Schon beim ersten Ton merkte ich... wie viel Respekt sie für diese Musik haben und wie viel Wissen, um Rachmaninoffs Idiom zu verstehen. Ich fand, es war eine wunderbare Idee auch die übrigen Konzerte aufzunehmen.


다닐 트리포노프 : 4번 협주곡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협주곡입니다. 가장 독창적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이 곡이 라흐마니노프가 실제로 자신의 한계를 벗어나려고 시도한 협주곡이라는 걸 알았습니다. 그는 다양한 스타일을 탐구했는데, 음색적인 언어가 제게 매우 참신해 보여요. 협주곡이 시작되는 방식은 실제로... 제게 기차 여행처럼 느껴져요. 이 지독한 추진력으로 시작해요. (앞으로 나아가려는 아주 확고한 충동으로 시작됩니다.) 모션(영화)으로서의 음악. 음악을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는 예술로 취급하는 위대한 예 중 하나입니다. 이 협주곡은 항상 고정된 목적지로 이어지는 놀라운 여행이며, 이 협주곡의 시작 부분은 그 위대한 예 중 하나입니다. 라흐마니노프는 여러 훌륭한 피아노 편곡집을 만들었는데 바흐의 바이올린 파르티타 E장조가 그중 하나입니다. 2번과 4번 협주곡은 라흐마니노프가 쓴 다른 것과는 달리 되게 독특한데요, 2번도 실제로 많은 폴리포니(다성부)를 지니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이 곡들을 라흐마니노프가 화려하게 편곡한 바흐 파르티타와 연결하고(짝을 짓고) 싶었어요. 물론 라흐마니노프 자신이 동일한 협주곡들을 녹음한 오케스트라와 이 협주곡들을 녹음하는 것은 큰 영광이었죠. 첫 음에서 이미... 그들(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이 음악에 대해 얼마나 많은 존경심을 가지고 있으며, 라흐마니노프의 작풍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많은지 알아차렸어요. 그리고 나머지 협주곡들도 모두 녹음하는 것이 제게 좋은 생각이었죠.


Yannick Nézet-Séguin: There is something in the air. It's difficult to explain, but Philadelphia musicians... it's a mixture of tradition, pride, understanding and value. Or course, when we say 'Philadelphia sound', it's all about the generosity of the sound, and that matches really well the generosity of spirit of Rachmaninov's music. Daniil knows how this music breathes. It feels like he is composing it while he's playing it. The first time I heard him, I just thought, this man is already saying more than... most pianists of any era, and yet something tells me that he has even more to say. I think this is just something that is beyond human comprehension, definitely beyond mine, and beyond all of us.


Yannick Nézet-Séguin: Es gibt eine besondere Atmosphäre. Das ist schwierig zu erklären, aber die Musiker des Philadelphia Orchestra... es ist eine Mischung aus Tradition, Stolz, Verständnis und Qualität. Wenn wir vom "Philadelphia-Klang" sprechen, meinen wir die Üppigkeit des Klangs, die wirklich gut zum üppigen Geist von Rachmaninoffs Musik passt. Daniil weiß, wie diese Musik atmet. Er scheint sie zu komponieren, während er sie spielt. Als ich ihn das erste Mal hörte, dachte ich nur, dieser Mann sagt bereits mehr als... die meisten Pianisten aller Epochen, und doch habe ich das Gefühl, dass er noch mehr zu sagen hat. Das ist für mich einfach etwas, das Menschen nicht mehr begreifen, ich bestimmt nicht und wir alle nicht.


야니크 네제-세갱 : 뭔가 특별한 분위기가 있어요. (어떤 기운이 감돌아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필라델피아 단원들에게는... 전통, 자부심, 이해, 가치가 뒤섞여 있어요. 물론 “필라델피아 사운드”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라흐마니노프 음악의 활기 넘치는 정신에 잘 어울리는 소리의 풍부함을 의미하죠. 다닐은 이 음악이 어떻게 호흡하는지 알고 있어요. 그는 연주하면서 작곡하고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처음 그를 들었을 때, 저는 이 남자가 이미 모든 연령대의 피아니스트들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는 말할 것이 훨씬 더 있다고 제게 말해요. (저는 그가 더 말할 것이 있다고 느껴요.) 저는 이것이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것, 분명히 저의 것을 넘어서는 것, 그리고 우리 모두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Destination Rachmaninov Departure / 목적지 라흐마니노프 - 출발 (라흐마니노프에게 가는 길 출발)

The journey began in June of 1890, on the bucolic country estate of Ivanovka in the Tambov region, about 500 kilometres southeast of Moscow. There, in the care of his minor aristocrat relatives, the Satin family, and his conservatory professor, Alexander Siloti, the 17-year-old Sergei Vasilyevich Rachmaninov spent his summer vacation. Siloti, himself a pianist, conductor and composer, was equal parts mentor and promoter to his prodigious, young pupil. A student of Franz Liszt and later a collaborator of Pyotr Ilyich Tchaikovsky, Siloti was also Rachmaninov’s first cousin.


여행은 1890년 6월 모스크바에서 남동쪽으로 약 500km 떨어진 탐보프 지역의 목가적인 시골에 있는 가족 별장인 이바노프카에서 시작되었다. 그곳에서 17세의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는 그의 작은 귀족 친척인 사틴 가족과 음악원 교수인 알렉산더 질로티의 보살핌을 받으면서 여름 휴가를 보냈다. 타고난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인 질로티는 그의 뛰어난 어린 제자의 멘토이자 후원자였다. 프란츠 리스트의 제자로 나중에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의 협력자가 된 질로티는 라흐마니노프의 사촌이기도 했다.


Also residing at Ivanovka that summer was the Skalon family, whose three teenaged daughters made quite an impression on the young Sergei. The pianist was captivated by Natalia, Ludmila and Vera Skalon, each in their own way. They were sensitive, flirtatious, and musical. Their heady days together consisted of walks in the surrounding fields, their evenings gathered around the piano. Flush with teenage sentiments, it was for the three sisters that Rachmaninov composed a short Valse and Romance for six hands.


그해 여름에는 스칼론 가족도 이바노프카에 머물렀는데, 그들의 세 딸인 나탈리아, 루드밀라, 베라(모두 10대)는 어린 세르게이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피아니스트는 나탈리아, 루드밀라, 베라 스칼론에게 각각 매료되었다. (그들 각각은 자신의 방식으로 그를 매료시켰다.) 그들은 예민하고, 시시덕거리며, 음악적이었다. 그들의 활기찬(마법 같은) 나날들은 주변 들판을 산책하면서 지나갔으며, 저녁에는 피아노 주위에 모였다. 10대의 감상에 젖어(젊음이 넘치는) 라흐마니노프는 세 자매를 위해 6개의 손을 위한 짧은 왈츠와 로망스를 작곡했다.


The blissful idyll, inevitably, faded when September beckoned the young people and their families back to the capital. Rachmaninov continued sending the Skalon sisters letters – frequently lengthy and elaborate in both thought and feeling – as he wrestled throughout the following year with the composition of his First Piano Concerto. He returned to Ivanovka again the next summer, but contracted malaria and, despite early successes such as the opera ‘Aleko’, his ‘Morceaux de fantaisie’ op. 3, and the two ‘Trios élégiaques’ over the following years, Rachmaninov could never recapture the weightless magic of that summer with the Skalons.


이 짧은 전원의 행복은 영원히 계속될 수 없었는데, 젊은이들과 그 가족들이 9월에 수도로 돌아가야 했을 때 끝났다. 라흐마니노프는 이듬해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작곡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 계속해서 스칼론 자매에게 길고 감동적인 편지를 썼다. 그는 이듬해 여름에 다시 이바노프카로 돌아왔지만, 말라리아에 걸렸으며, 오페라 <알레코>, 피아노곡 <환상적 소품>, 그리고 다음 몇 해에 걸쳐 2개의 <슬픔의 트리오> 같은 초기의 성공을 거둘 수 있었지만, 스칼론 가족과 함께 보냈던 여름의 가벼움과 마법을 다시는 경험하지 못했다.


In his early twenties, Rachmaninov suffered bouts of depression. His First Symphony was a critical flop; he had chronic writer’s block and his engagement to Natalia Satina (of the Ivanovka family) was scuttled. He developed a serious drinking problem. He underwent various forms of psychotherapy. It was a dark, desperate time for Rachmaninov, whose immense talents as a composer, conductor and pianist looked destined to be squandered.


20대 초반에 라흐마니노프는 우울증에 시달렸다. 그의 교향곡 1번은 결정적인 실패작이었는데, 그에게는 만성적인 절필감(작가들이 글을 쓸 내용이나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서 애를 먹는 상황)이 있었으며 (이바노프카 가족의) 나탈리아 사티나와의 약혼이 무산되었다. 그는 심각한 알코올 문제를 일으켰다. 그는 다양한 심리 치료를 받았다.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로서의 엄청난 재능이 낭비될 운명처럼 보였던 라흐마니노프에게는 어둡고 절망적인 시기였다. (그는 어둡고 절망적인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리고 모든 것이 그가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로서의 위대한 재능을 발전시킬 수 없다는 것을 나타냈다.)


Yet woven into the opening measures of that little ‘Romance’ he had written back in 1890 lay the key to Rachmaninov’s musical redemption. The same undulating arpeggios and affecting harmonic progressions composed for Natalia, Ludmila and Vera introduce the second movement of the work that, ten years later, would make him world-famous: his Second Piano Concerto op. 18.


그러나 그가 1890년에 쓴 작은 ‘로망스’의 시작하는 마디에 짜인 것은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적 구원의 열쇠이다. (라흐마니노프의 음악 경력에서 위대한 전환점의 열쇠는 1890년에 쓴 작은 ‘로망스’의 시작하는 마디에서 찾을 수 있다.) 나탈리아, 루드밀라, 베라를 위해 작곡한 것과 같은 물결 모양의 아르페지오와 깊은 슬픔(연민)을 자아내는 화성적인 진행은 10년 후 그를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작품인 피아노 협주곡 2번의 2악장을 연다.


Indeed, it was with the second movement that Rachmaninov, in 1900, began composing the concerto – from the middle, or “heart” outwards – based unmistakably on the 1890 ‘Romance’. The third movement followed shortly thereafter. Finally, Rachmaninov completed the first movement of his Second Piano Concerto, which was premiered in 1901 with the composer at the keyboard, conducted by Alexander Siloti.


사실 라흐마니노프가 1900년에 협주곡을 작곡하기 시작한 것은 2악장과 함께였는데 – 중간(2악장) 또는 “중심” 바깥쪽(1악장 및 3악장)부터 – 1890년에 쓴 ‘로망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3악장은 곧바로 이어졌다. 마침내 라흐마니노프는 피아노 협주곡 2번의 1악장을 완성했는데, 알렉산더 실로티의 지휘하에 작곡가 본인의 연주로 1901년 초연되었다.


“With his Second Piano Concerto,” says Daniil Trifonov, “Rachmaninov announced his re-invention as an artist. The piece was one of the first he composed after a long period of silence, and represents an entirely new kind of pianism. Rachmaninov requires the pianist not just to master the work’s virtuosity [Rachmaninov had notoriously large hands], but also to search for a unique combination of tonal richness and concentrated expressivity. It is unlike anything written before. When we think of Rachmaninov’s music being full of nostalgia, the Second Concerto is where idea, form, technique and lyrical inspiration find their mature balance and expression.”


다닐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피아노 협주곡 2번으로 라흐마니노프는 자신이 예술가로 거듭났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 곡은 그가 오랜 침묵 끝에 작곡한 첫 작품 중 하나로, 완전히 새로운 다양한 피아니즘을 보여줍니다. 라흐마니노프는 피아니스트에게 작품의 기교를 마스터해야 할 뿐만 아니라[라흐마니노프는 큰 손으로 유명함], 풍부한 음색과 집중된 표현력의 독특한 조합을 찾을 것을 요구합니다. 이전에 쓴 것과는 다르죠.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이 향수(과거에 대한 그리움)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믿는 사람은 피아노 협주곡 2번에서 아이디어, 형식, 테크닉, 서정적 영감이 어떻게 성숙한 균형과 표현력으로 발전하는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


“Each of Rachmaninov’s four piano concertos has a very specific musical language,” Trifonov continues, “with each representing a synthesis of his musical interests and aesthetic preoccupations at the time of its composition.” Around 1900, Rachmaninov was digging into his past. While composing the Second Piano Concerto, he was also busy with the Suite No. 2 op. 17 for two pianos. “The Second Suite,” says Trifonov, “is like a draft for many of the ideas in the concerto.” Consisting of four movements based on classical forms, the Suite’s Tarantella finale resembles the last movement of the concerto in character and rhythmic drive. The third part of the Suite is entitled “Romance”, which recalls Rachmaninov’s affection for the Skalon sisters. Rachmaninov was certainly conscious of this connotation, yet reserved the opening motif of the early ‘Romance’ for use in the Second Concerto’s irresistible middle movement.


트리포노프는 계속한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 “라흐마니노프가 쓴 4개의 피아노 협주곡은 각각 고유한 음악적 언어를 지니고 있는데, 각 작품이 작곡 당시 그의 음악적 선호도과 미학적 심취의 종합을 나타내기 때문이죠.” 1900년경, 라흐마니노프는 자신의 과거를 파헤치고(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작곡하는 동안 2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2번도 작곡하기 바빴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모음곡 2번은 협주곡의 많은 아이디어에 대한 초안(예비 연구)과 같습니다.” 고전적 형식을 기반으로 한 4악장으로 구성된 모음곡의 타란텔라 피날레는 성격과 리듬에 대한 접근 방식에서 협주곡의 마지막 3악장과 유사하다. 모음곡의 3악장에는 스칼론 자매에 대한 라흐마니노프의 애정을 떠올리게 하는 ‘로망스’라는 제목이 붙었다. 라흐마니노프는 분명히 이러한 의미를 의식했지만(그는 의심할 여지 없이 이 언급을 알고 있었지만), 초기 ‘로망스’의 시작 모티프를 피아노 협주곡 2번의 저항할 수 없는(매혹적인) 중간의 2악장에 사용하기 위해 남겨두었다.


Despite this sentimental connection, Trifonov contends that the Second Piano Concerto is in fact one of Rachmaninov’s least Romantic works. “It is more Classical,” he says. “After years of struggle, Rachmaninov rediscovered simplicity of timing. That is what I think he found so inspiring in the opening of that youthful ‘Romance’: the expression is heartfelt but transparent, there is no excess. The piece is sober, almost minimalistic in development, relying on polyphony rather than decorous embellishment. The finale contains a significant fugue. And the slow movement too is full of counterpoint.” Trifonov’s inclusion on this album of Rachmaninov’s jovial transcription of three movements from Bach’s Violin Partita in E major reflects this polyphonic inheritance.


이러한 감상적 연결에도 불구하고 트리포노프는 피아노 협주곡 2번이 사실 라흐마니노프의 가장 낭만적이지 않은 작품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훨씬 더 고전적입니다. 수년간의 투쟁 끝에 라흐마니노프는 타이밍(시기 선택)의 단순한 아름다움(에 대한 맛)을 재발견했습니다. 저는 그것이 바로 그가 어린 시절 ‘로망스’의 시작 부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생각하는데, 표현은 깊숙이 느껴지지만 약간 두껍게 도포되지 않고 침투성이 있습니다. 이 곡은 소재를 처리하는 측면에서 상당히 냉정하고, 극히 적게 사용하며, 호화로운 장식에 덜 의존하고, 다성음악에 더 많이 의존합니다. 3악장 피날레에는 거대한 푸가가 있죠. 그리고 느린 2악장 역시 대위법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트리포노프가 이 앨범에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3번 중 3개의 악장을 라흐마니노프가 유쾌하게 편곡한 작품을 포함(보완)한 것은 이러한 다성음악의 유산(다성음악과의 연관성)을 반영한다.


Whereas Rachmaninov’s Second Piano Concerto is often thought of as a lush, late-Romantic work, the piece in fact represents the young composer, at a critical juncture in his life, reaching back to old forms, exploring the very foundations of music – and synthesizing his own musical roots, in order to look forward. Like flipping through a photo album of distant memories, the Second Piano Concerto suggests Rachmaninov recalling times past as a fresh point of departure.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은 종종 풍요로운 후기 낭만주의 작품으로 여겨지나, 이 곡은 사실 젊은 작곡가가 인생의 어려운 시기에 오래된 형식으로 돌아가 음악의 진정한 토대를 찾고 자신의 음악적 뿌리를 발전시키며 미래를 내다보는 모습을 보여준다. 피아노 협주곡 2번은 아득한 추억의 사진첩을 넘기듯 지난 시간을 회상하는 라흐마니노프를 새로운 시작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By contrast, the Fourth Piano Concerto op. 40 was written at the height of the composer’s journey: in 1926, almost a decade after Rachmaninov had left Russia following the Bolshevik Revolution, at a time when he was criss-crossing the Atlantic Ocean and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as one of the world’s most celebrated piano virtuosi. This work too emerged after a period of relative compositional scarcity. The obstacle in the mid-1920s, however, was not internal struggle, but the pressures of time – Rachmaninov’s gruelling touring schedule leaving precious few moments for serious composition.


대조적으로, 피아노 협주곡 4번은 작곡가의 여정이 절정에 달했을 때 작곡되었는데, 라흐마니노프가 볼셰비키 혁명(10월 혁명) 이후 러시아를 떠난 지 거의 10년 후인 1926년이었으며, 당시 그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피아노 거장 중 한 명으로서 대서양과 북아메리카 대륙을 횡단하고 있었다. 이 작품은 또한 상대적으로 희박한 작곡 활동의 단계를 끝냈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의 장애물(문제)은 내부 투쟁이 아니라 시간의 압박(부족)이었다. – 라흐마니노프의 험난한 순회 일정은 그에게 작곡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귀중한 순간들을 주었다.


Travelling the globe, Rachmaninov nevertheless continued absorbing and synthesizing the aesthetic influences around him. He lived as a true cosmopolitan. He was in New York as George Gershwin introduced jazz to the classical concert hall. He met Debussy and Ravel in Europe. In painting and literature, he was familiar with the Futurists, the Dadaists, and the Surrealists; and he, like the rest of the world in that era, was bewitched by the comic phenomenon of Charlie Chaplin.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흐마니노프는 전 세계를 여행하면서 주변의 미학적 영향을 계속 흡수하고 새로운 것으로 결합했다. 그는 진정한 코스모폴리탄(세계인)으로 살았다. 그는 조지 거슈윈이 클래식 콘서트홀에 재즈를 소개할 때 뉴욕에 있었다. 유럽에서는 드뷔시와 라벨을 만났다. 회화와 문학에서는 미래파, 다다이스트(전위주의자), 초현실주의자들에 친숙했는데, 라흐마니노프는 당시 세계의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찰리 채플린의 경이로운 코미디에 매료되었다.


And so, when he was finally able to write a new concerto to perform with Leopold Stokowski and the Philadelphia Orchestra, Rachmaninov did not look back to the forms and styles of his earlier successes; rather, he turned to the topical musical material of his day. As Trifonov explains: “With the Fourth Concerto, Rachmaninov pushes musical language in a new direction – and succeeds! The spirit is very much of its time. The feeling is jazzy, mechanical – almost engine-like – you hear the influence of film music, of industry. There are of course glimpses of Rachmaninov’s cantabile melodies in that characteristic Russian idiom, but the harmonies are more risky, the music is edgy.”


마침내 레오폴트 스토코프스키의 지휘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할 새로운 협주곡을 쓸 수 있게 되었을 때, 라흐마니노프는 이전의 성공적인 작품의 형식과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오히려 당시에 화제가 된 음악 소재에 집중했다. 트리포노프가 다음과 같이 설명하듯이 “4번 협주곡을 통해 라흐마니노프는 음악적 언어에 완전히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고 성공했죠! 이 작품은 당시의 정신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어요. 그 느낌은 재즈 같고 기계적이며 거의 엔진과 비슷한데, 영화 음악과 산업 시대의 영향을 느낄 수 있죠. 물론 그 러시아 특유의 표현 양식에서 라흐마니노프의 칸타빌레(노래하듯이) 멜로디를 엿볼 수 있지만(라흐마니노프는 전형적인 러시아 방식에서 자신의 노래하기 알맞은 선율로 가끔 우회하지만), 화성은 더 대담하고 음악은 전체적으로 더 불안해요.”


“From a technical point of view,” he continues, “the piano playing must be extremely light and explosive – as must the orchestra's, too. Rachmaninov treats the orchestra almost like a second soloist. The writing is very virtuosic. There is a momentum and drive to the piece. The first movement is like a train accelerating down the tracks, and during the piece you see stations and cities and scenes of nature all flashing by out the window. The Fourth Concerto is like sharing a journey with Rachmaninov through the musical mosaic of his world.”


그는 계속한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피아노 연주는 극도로 가볍고 폭발적이어야(피아니스트는 매우 쉽게, 거의 폭발적으로 연주해야) 합니다. - 오케스트라도 마찬가지죠. 라흐마니노프는 오케스트라를 거의 두 번째 독주자처럼 취급하는데요. 매우 기교적인 작품이죠. 이 곡은 활기가 있고 추진력이 있습니다. 1악장은 선로를 따라가는(점점 더 빨라지는) 기차와 같으며, 곡이 진행되는 동안 창밖으로 스쳐 지나가는 기차역과 도시, 자연의 풍경을 볼 수 있습니다. 피아노 협주곡 4번은 라흐마니노프가 속한 세계의 음악적 모자이크를 통해 그와 함께 여행하는 것처럼 들립니다.”


Critical reception of Rachmaninov’s Fourth Concerto was mixed, in large part owing to the success of works such as his Second Concerto, which had become a repertoire staple and audience favourite. The earlier piece elicited expectations of more of the same deep, lyrical introspection. Yet the later concerto carved a path to the future, musically paving the way for Rachmaninov’s final masterpieces, the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op. 43 and the “Symphonic Dances” op. 45, and establishing new standards in the technical and expressive capacities of the piano, as well as in the intricate dialogue between soloist and orchestra within the concerto genre.


라흐마니노프의 협주곡 4번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는 그의 주된 레퍼토리이면서도 청중의 사랑을 받은 협주곡 2번 같은 작품의 성공으로 인해 엇갈렸다. 초기작들은 마찬가지로 더 깊고 서정적인 자기 성찰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후기 협주곡은 미래로 가는 길을 개척했는데, 라흐마니노프의 마지막 걸작들인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및 <교향적 무곡>의 초석을 다졌으며, 협주곡 장르에서 독주자와 오케스트라 사이의 복잡한 대화뿐만 아니라 피아노의 기술 및 표현 능력에서 새로운 표준을 수립했다.


From the pastoral purity of late-19th-century Ivanovka to the bustling eclecticism of the American and European metropolises of the 20th century, the bridge linking Rachmaninov’s Second and Fourth Piano Concertos offers a chronicle of a life transformed by history and music, and, with each work’s creation, it transformed the course of music history too. As Trifonov aptly concludes: “Rachmaninov’s concertos represent a journey – and a destination!”


19세기 후반 이바노프카의 목가적 순수함에서 20세기 미국과 유럽 대도시의 고동치는 절충주의에 이르기까지,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과 4번을 연결하는 다리는 역사와 음악으로 변해온 삶의 연대기를 제공하며, 각 작품의 창작은 음악사의 흐름도 바꾸어 놓았다. 트리포노프가 적절하게 다음과 같이 결론짓듯이 “라흐마니노프의 협주곡들은 여행 그리고 목적지(길이자 목표)를 나타냅니다!”


Oscar Alan / 오스카 앨런 글




영어와 독어를 절충하여 번역했다. 알고 보니 티저는 유튜브에 한글 자막으로 있는 걸 그대로 옮겼고 인터뷰와 트레일러는 내가 번역해서 가지고 있었다. 정확한 스토리를 파악하려고 내지를 정리한 것이기도 한데, 인터뷰를 훑어보니 다닐 본인이 연기한 뮤직비디오의 내용이 암시되어 있었다. 세관을 통해 몰래 불법으로 들어가는 다닐의 모습? 기차 안에서 피아노를 치고... 그러다가 걸리는 바람에 밖으로 쫓겨나는 게 결말? 히히히! 협주곡 4번 1악장을 치는 영상에서는 파치올리 피아노로 나오는데 어떤 피아노로 녹음되었는지 음반 내지를 살펴보니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에서 제공된 스타인웨이 피아노. 실제로 다닐은 파치올리 피아노를 좋아한다.

Google Drive / 2024. 04.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dilia Alieva”

프랑스의 아딜리아 알리예바 국제피아노콩쿠르는 아제르바이잔 피아니스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대회이다. 2014년까지 가야르에서 열리다가 2016년부터 안마스에서 열린다. 제3회 2002 Gaillard 비르투오시티 특별상 Ekaterina Avde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