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0년 10월 4일 일요일

Dux / Szymon Nehring & Sinfonietta Cracovia - Chopin Piano Concertos 2017





"I invite you to listen to the CD which I just recorded with Maestro Krzysztof Penderecki, Maestro Jurek Dybał and Sinfonietta Cracovia. The album will include Fryderyk chopin concertos. I think, the album recorded in such an acoustics, special atmosphere and on a wonderful instrument will make you a lot of joy." - Szymon Nehring


Track

01 Piano Concerto No. 1 in e, Op. 11: I. Allegro maestoso

02 Piano Concerto No. 1 in e, Op. 11: II. Romance. Larghetto

03 Piano Concerto No. 1 in e, Op. 11: III. Rondo. Vivace

... Krzysztof Penderecki, conductor /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 지휘


04 Piano Concerto No. 2 in f, Op. 21: I. Maestoso

05 Piano Concerto No. 2 in f, Op. 21: II. Larghetto

06 Piano Concerto No. 2 in f, Op. 21: III. Allegro vivace

... Jurek Dybał, conductor / 유레크 디바우 지휘


Szymon Nehring, piano / 시몬 네링, 피아노

Sinfonietta Cracovia /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


Liner Note

It was March 17, 1830. Fryderyk Chopin (1810-1949), one of a few composers who acquired the reputation of musical genius among his contemporaries, had just finished his first concert for a broader audience in Warsaw. He had years of intense work, artistic development, travels, and varied life experiences about of him. On that day, he could not know that his current stay in Poland would come to an end and that he would never come back from the planned trip. Despite his young age, he had already had a compositional output worthy of a true composer. It was not numerous as far as the number of opuses is connected, yet its artistic quality was extremely valuable, as it contained sparks of his outstanding talent. The Piano Concerto in F minor, Op. 21 belongs, without a doubt, to the group of the most sophisticated works composed during the last stage of the composer's life in Poland. He worked on it from the autumn 1829 to the early spring 1830. It was the piece that was listened to by the Warsaw audiences in March 1830. It was published as the second concerto, yet it was actually hir first. Beforehand, the closest circle of friends and Chopin's family had an opportunity to get to know the piece; on February 7 during a performance in a chamber setting. The composer was fond of such musical encounters held in smaller groups, maybe that is why his new work sounded perfectly in a modest space of a salon. The next performance, this time also with the presence of Józef Elsner, was celebrated one month later. It is claimed that Wojciech Żywny, the first Chopin's teacher how was also present, had tears of emotions in his eyes. The audience of the next, this time already public performance held on March 17 was enthusiastic. "The fate gave to the Poles Mr. Chopin, as he gave Mozart to the Germans," wrote an anonymous listener hiding beneath the initials J.C. in a review of the concert in the Popular National Journal. "This adagio in Mr. Chopin's concert is an original work of an outstanding musical genius. Indeed! The one who begins in such fashion in his youth will win fame all over the world!" - this is an enthusiastic opinion of Maurycy Mochnacki published in the Polish Courier from March 18, 1830. "His Concerto can be compared with the life of a just men: no ambiguity, falseness, exaggeration [...] it is entirely dedicated to the genius of music which it breathes and inspires [...] it is always new, fresh; in short, inspired" - he added in the next review from March 24, 1830.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reserved comments among those who did not manage to capture the spirit of this composition. For Chopin, though he was still speaking the language of his contemporary composers, had something to tell, contrary to many of them, as Mieczysław Tomaszewski had written; something personal, poetic, profound, which had already overpassed his epoch back then. Therefore, his first concerto, yet strongly rooted in the classical models, announced a completely new quality in music; renouncement of shallow sentimentalism for a deeper romanticism understood as freedom of expression of both individual spiritual experiences and the spirit of time, place and fate on a more universal ground using the musical language.


1830년 3월 17일이었다. 동시대 사람들 사이에서 음악 천재의 명성을 얻은 몇 안 되는 작곡가들 중의 한 명인 프리데리크 쇼팽(1810~1849)은 바르샤바에서 보다 많은 청중을 위한 첫 콘서트를 막 마쳤다. 그는 수년간의 강렬한 작품, 예술적 발전, 여행, 다양한 삶의 경험을 가졌다. 그날 그는 현재의 폴란드 체류가 끝나고 계획된 여행에서 돌아오지 못할 것임을 알 수 없었다. 어린 나이였음에도 그는 이미 진정한 작곡가에 걸맞은 작곡의 결과물을 가지고 있었다. 작품 개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그리 많지 않았지만, 그의 뛰어난 재능의 불꽃이 담겨있듯이, 그 예술적인 자질은 매우 귀중했다. 피아노 협주곡 2번 f단조는 의심할 여지없이 작곡가의 폴란드 시절 마지막 단계에서 작곡된 가장 정교한 작품에 속한다. 그는 1829년 가을부터 1830년 초봄까지 작업했다. 1830년 3월에 바르샤바 청중이 들은 곡이었다. 두 번째 협주곡으로 출판되었지만, 실제로는 첫 번째 협주곡이었다. 앞서 가장 가까운 친구들과 쇼팽의 가족은 이 곡을 알 수 있는 기회를 가졌는데, 2월 7일 실내악 무대에서였다. 작곡가는 소규모 그룹에서 열리는 그러한 만남을 좋아했기 때문에, 그의 새로운 작품이 어쩌면 그런 크기의 살롱에서 완벽하게 들리는 이유일 것이다. 이번에도 유제프 엘스네르와 함께 했던 다음 공연은 한 달 후에 높은 명성을 얻었다. 이 자리에 참석했던 쇼팽의 첫 스승인 보이체흐 지브니도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다음 공연의 청중은 3월 17일 공개 연주에서 열광적으로 반응했다. “게르만 사람들이 모차르트와 함께 하는 것처럼, 운명은 폴란드인들에게 쇼팽을 선사했다.” J.C. 약자를 쓴 익명의 청취자는 폴란드 대중 저널의 콘서트 리뷰에서 이렇게 썼다. “쇼팽의 콘서트에서 이 아다지오는 뛰어난 음악 천재의 독창적인 작품이다. 그야말로! 젊었을 때 그런 방식으로 시작하는 사람은 전 세계에서 명성을 얻을 것이다!” - 이것은 1830년 3월 18일부터 폴리시 쿠리에에 실린 마우리치 모흐나츠키의 열렬한 의견이다. “그의 협주곡은 남자들의 삶과 비교할 수 없다. - 모호함, 허위, 과장이 없다. [...] 전적으로 숨 쉬고 영감을 주는 음악의 천재성에 몰두하고 있다. [...] 항상 새롭고 신선한데, 간단히 말해서 탁월하다.” - 그는 1830년 3월 24일의 다음 리뷰에서 이렇게 추가했다. 한편, 이 작품의 정신을 포착하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판단을 보류하는 언급들이 있었다. 쇼팽은 여전히 그와 동시대 사람들의 음악적 언어를 말했지만, 미에치스와프 토마셰프스키가 그것에 대해 썼던 것처럼, 많은 사람들과 달리 분명히 말할 것이 있었기 때문에 개성적이고 시적이고 깊이가 있었으며 이미 그의 시대를 넘어섰다. 따라서 그의 첫 번째 협주곡은 고전주의 모델에 강하게 뿌리를 두고 있으며, 완전히 새로운 특성의 음악을 발표했는데, 음악적 언어를 사용하여 보다 보편적인 장소에서 개인의 영적 경험과 시대정신, 장소, 운명의 정신을 표현하는 자유로 이해되는 더 깊은 낭만주의에 대한 얕은 감상주의를 부정한다.


Chopin had already dealt with the classical sonata form during his studies at the High School of Music with Professor Elsner, where he made his first steps in learning the form and instrumentation. The presentation of the concerto with orchestra to the public was certainly a good way of introducing himself to the artistic world. After having graduated with honours in 1829, Chopin was urgently looking for further possibilities of artistic development. Composing a piano concerto with orchestra resulted to be a challenge which he was already able to accept. He was probably inspired by a Mozart concerto with elements of the "brilliant" style, similar to those created by Johann Nepomuk Hummel. The scheme of the movements was preserved: fast - slow - fast, yet the typical for the concerto brillant "allegro - adagio - presto" was substituted with another structure: "maestoso - larghetto - allegro vivace". What is particularly characteristic of this concerto are its lyricism and cantabile, dominating also in the outer movements of the cycle. In the opening "maestoso" based on the scheme of the sonata allegro, the first theme with rhythmic accents, which sometimes give it a march-like character, was contrasted with the lyrical, romance-and-nocturne-like second theme. The cantilena fragments of the both themes are accompanied by contrasting with them spectacular figurations and elaborated linking sections. The middle "Larghetto" is also poetic and melodic. In fact, it is a nocturne, one of the favourite lyrical forms of the composer. Jarosław Iwaszkiewicz, a connoisseur and admirer of Chopin's music, wrote about this fragment in his unique style: "[the entrance of the piano part] sounds as if someone would open the gate to a place of love and calmness." In a letter to his friend from October 3, 1829 the composer wrote: "Maybe I unfortunately already have my ideal, to whom I serve faithfully, though not having exchanged a word with it. I dream of it and the adagio of my concerto is meant to remember it." This fragment is usually related to the figure of Konstancja Gładkowska, a singer with whom Chopin had a platonic relationship.


쇼팽은 형식과 기악 편성법을 배우는 첫 걸음을 내디뎠던 음악고등학교에서 엘스네르 교수를 사사하는 동안 이미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을 다루었다.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는 협주곡을 대중에 공개하는 것은 확실히 예술계에 자신을 소개하는 좋은 방법이었다. 1829년 우등으로 졸업한 후, 쇼팽은 예술적 발전의 더 많은 가능성을 시급히 찾고 있었다.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는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하는 것은 그가 이미 받아들일 수 있는 도전이었다. 그는 아마도 요한 네포무크 훔멜이 만든 것과 비슷한 “화려한” 스타일의 요소를 가진 모차르트 협주곡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다. 악장들에 대한 구조(빠름 - 느림 - 빠름)는 보존되었지만, 화려한 협주곡에 전형적인 “알레그로(빠르게) - 라르게토(약간 느리게) - 알레그로 비바체(매우 빠르고 생기 있게)”는 또 다른 구조 “마에스토소(장엄하게) - 라르게토 - 알레그로 비바체”로 대체되었다. 이 협주곡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그 서정성과 칸타빌레(노래하듯이)로, 외부 악장들(1악장과 3악장)에서도 지배적이다.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성악의 칸타타와 대비되는 기악곡 양식인 소나타 형식은 소나타나 교향곡, 협주곡 등의 1악장에 주로 쓰인 작곡 양식으로, 제시부-발전부-재현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시부에는 조성면에서 대조되는 2개의 주제가 있다. 반면에 소나타는 빠르기의 대조를 가진 여러 개의 악장을 가진 기악곡이다. 대부분의 1악장은 소나타 형식, 2악장은 가곡 형식, 3악장은 미뉴에트나 스케르초 형식, 4악장은 론도 형식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 악장은 대부분 론도 형식이다.)을 바탕으로 한 1악장 “마에스토소”에서 리드미컬한 악센트가 있는 제1주제는 때때로 행진 같은 성격을 띠며, 서정적이고 낭만적이며 녹턴 같은 제2주제와 대조를 이룬다. 두 주제의 칸틸레나(서정적 선율) 조각은 화려한 형상 및 정교한 연결 섹션과 대조를 이뤄 반주된다. 중간의 2악장 “라르게토”도 시적이면서 선율적이다. 사실, 그것은 작곡가가 가장 좋아하는 서정적 형식들 중 하나인 녹턴이다. 쇼팽 음악의 전문가이자 추종자인 야로스와프 이바슈키에비치는 이 단편에 대해 자신의 독특한 스타일로 다음과 같이 썼다. “[피아노 파트로 들어가는 부분은] 누군가가 사랑과 평화의 사원으로 가는 문을 여는 것처럼 들린다.” 작곡가는 1829년 10월 3일 친구 티투스 보이체호프스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슬프게도 난 내 이상형을 발견했어. 최근 반년 동안 매일 밤 그녀 꿈을 꾸었지만, 난 아직 그녀에게 단 한 마디도 건네지 못했어. 그리고 그녀를 그리워하면서 협주곡의 아다지오(=라르게토)를 작곡했어.” 이 단편은 대개 쇼팽이 플라토닉(정신적인 사랑의) 관계를 맺은 소프라노 콘스탄차 그와드코프스카라는 인물과 관련이 있다.


1st theme of Chopin Piano Concerto No. 2 Mov. 1 /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 1악장 제1주제


2nd theme of Chopin Piano Concerto No. 2 Mov. 1 /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 1악장 제2주제


The third movement of the concerto was written as a rondo, with a vivid refrain and dance couplets referring to kujawiak, as far as the rhythm and the motifs are concerned. Chopin had an opportunity to listen to dances at village festivities; he must have written down in his memory the melodies he had heard on a number of occasions and it is in this music, vivid and at the same time slightly melancholic, where he found an inspiration while composing the final movement of the Concerto in F minor. The references to the folk music can also be heard in the instrumentation of the couplets ("pizzicato" of strings, empty fifths, "col legno"). The whole piece ends with an optimistic accent in the key of the same name, F major.


이 협주곡의 3악장은 리듬과 모티프에 관한 한, 쿠야비아크(폴란드 쿠야비 지방의 무곡)를 나타내는 생생한 반복구와 댄스 쿠플레[17세기의 기악형식 론도(ABACAD…A)에서 후렴(A) 사이에 놓이는 각기 별개의 주제, 또는 하나의 주제의 변주로 이루어지는 각 부분(BCD…)을 이르는 말]가 있는 론도로 작곡되었다. 쇼팽은 마을 축제에서 춤곡을 들을 기회를 가졌는데, 여러 번 들은 멜로디들을 기억 속에 적어놓았을 것이며, 이 음악에서는 생생한 동시에 약간 우울한데, 민속 음악에 대한 참고는 쿠플레[현악기의 피치카토, 공허한 5도, 콜레뇨(현악기 연주 때의 지시로서, ‘나무로써’(with the wood)라는 뜻; 활 등부분의 나무로 현을 두드리는 것처럼 해서 목금음(木琴音)의 효과를 낸다.)]의 기악 편성에서도 들을 수 있다. 전체의 곡은 같은 으뜸음조인 F장조의 낙관적인 악센트로 끝난다.


Chopin started composing the Piano Concerto in E minor, Op. 11 the same spring 1830. The restless time before the planned trip to Europe urged him to hurry. "I am still sitting. I do not have strength to decide the day... I think that I am going there to die" - he confided in a letter to his friend. Before leaving the country, he wanted to finished his new composition and present it to the Warsaw audience, bearing in mind the warm reception of the Piano Concerto in F minor. It may be due to the short break between the two pieces that their forms are very similar. Both of them are situated in the youth period of Chopin's works, yet at the same time they are mature pieces, closing symbolically the "Warsaw" chapter of his output.


쇼팽은 같은 해인 1830년 봄에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를 작곡하기 시작했다. 계획된 유럽 여행 전의 불안한 시간은 그에게 서두르도록 재촉했다. “나는 아직도 앉아있어. 하루를 결정할 힘이 없어... 죽기 위해 떠나는 것 같은 기분이다.” 그는 친구에게 편지에서 이렇게 털어놓았다. 출국하기 전에 그는 피아노 협주곡 2번의 환대를 염두에 둔 채, 새로운 작품을 완성하여 바르샤바 청중에게 발표하고 싶었다. 형식이 매우 유사한 두 곡 사이의 짧은 휴식 때문일 수도 있다. 둘 다 쇼팽의 청년 시절 작품에 속하지만, 동시에 그의 작품의 “바르샤바” 시기를 상징적으로 마감하는 성숙한 작품이다.


The Piano Concerto in E minor represents a classical model in the "brilliant" style with three-movement structure, where the first movement is a sonata form, the second one is slow, and the closing movement is a rondo. The orchestra has an accompanying role, the lead is taken by the main protagonist - the piano, which, according to the virtuoso aesthetics of the "brilliant" style, has to play a spectacular role. The "brilliant" style found its peak and also the end in Chopin's Piano Concerto in E minor. Figurative passages, although stunning, would no longer serve the display of technical dexterity and salon effects, but reveal totally modern and breakthrough approach to the sound colour in the times when no one could even think of impressionism in music. The classically built concerto is fulfilled with details of the construction which are a preview of an innovative approach and individual artistic language of Chopin. Appreciation of the linking sections, development of the cantilena parts, renouncement of the sentimental value and expanding the expression of the lyrical parts are only a few indicators of a new, integrated style of the composer.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는 3악장 구조의 “화려한” 스타일을 지닌 고전주의 모델을 대표하는데,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이고, 2악장은 느리며, 마지막 3악장은 론도이다. 오케스트라는 주인공인 피아노를 반주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피아노는 “화려한” 스타일의 비르투오소 미학에 의하면 화려한 역할이어야 한다. “화려한” 스타일은 그 절정에 달했으며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의 끝에서도 발견된다. 비유적인 패시지들은 멋지지만 더 이상 기술적인 손재주와 살롱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에서 인상주의를 생각조차 할 수 없었던 시대에 완전히 현대적이고 획기적인 색채를 지닌 소리에 대한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고전적으로 지어진 이 협주곡은 혁신적인 접근 방식과 쇼팽의 개성적인 예술 언어를 미리 보여주는 구성의 디테일로 완성된다. 연결 섹션에 대한 감탄, 칸틸레나 파트의 발전, 감상적인 가치에 대한 거부, 서정적인 파트의 표현 확장은 작곡가의 새롭게 통합된 스타일의 몇 가지 지표일 뿐이다.


The first movement, "Allegro maestoso", was ready for Easter 1830. It is said that Chopin was more satisfied with it than with the "Allegro" from the previous concerto. The term "maestoso", often used in e.g., polonaises, adequately transfers the solemn and proud character of the music. The opening theme introduced by "tutti" is characterized by power, dramatism, and slightly polonaise-like solemn character. It is developed by wind instruments, while the piano treats it with utmost delicacy. "Chopin's concertos are above all a field of playing between the themes revealed in their pure and impeccably beautiful form and sound waves of pianistic figurations, sometimes breath-taking and developed from the figurations" - wrote Mieczysław Tomaszewski.


1악장 “알레그로 마에스토소”(빠르고 경쾌하고 장엄하게)는 1830년 부활절을 맞아 준비되었다. 쇼팽은 이전 협주곡의 1악장 “알레그로”보다 더 만족했다고 한다. 예를 들어 폴로네즈에서 자주 사용되는 “마에스토소”라는 용어는 이 음악의 엄숙하고 자랑스러운 성격을 적절하게 전달한다. “투티”(모든 악기)로 시작되는 주제는 힘, 극적 성격, 약간 폴로네즈 같은 엄숙한 성격이 특징이다. 이 제1주제는 관악기로 전개되는 반면, 피아노는 그것을 극도로 섬세하게 다룬다. “쇼팽의 협주곡들은 무엇보다도 순수하고 흠잡을 데 없는 아름다운 형식과, 때로는 숨이 멎을 듯하며 비유적 표현에서 발전된, 피아니스틱한 비유적 표현 사이의 연주의 장이다.” 미에치스와프 토마셰프스키가 이렇게 썼다.


1st theme of Chopin Piano Concerto No. 1 Mov. 1: Tutti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제1주제 전반부 - 투티


1st theme of Chopin Piano Concerto No. 1 Mov. 1: Piano 1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제1주제 전반부 - 피아노


1st theme of Chopin Piano Concerto No. 1 Mov. 1: Violin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제1주제 후반부 - 바이올린


1st theme of Chopin Piano Concerto No. 1 Mov. 1: Piano 2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제1주제 후반부 - 피아노


2nd theme of Chopin Piano Concerto No. 1 Mov. 1: Violin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1악장 제2주제 - 바이올린


The second movement, "Larghetto", was finished in May. At that time, the composer was still enchanted with the singer Konstancja Gładkowska. A specific atmosphere of lyricism, thoughtfulness, and dreams may have had its origin in this platonic feeling. "Despite my will - through my eyes - something got into my head and I like to caress it" - wrote the composer in a letter to his friend, Tytus Woyciechowski. The music was an expression of this caress: "Adagio has to be in E major. It does not have to be strong, it is more romance-like, calm, melancholic, it should make an impression of a nice glance at the place where thousands of favourite memories appear."


2악장 “라르게토”(약간 느리게)는 5월에 완성되었다. 당시에 작곡가는 여전히 가수 콘스탄차 그와드코프스카에게 빠져있었다. 서정적인 표현, 깊은 배려, 꿈꾸는 특정한 분위기는 이 플라토닉(정신적 사랑의) 느낌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내 의지와는 달리 - 내 눈을 통해 - 뭔가가 내 머릿속에 들어갔고 나는 그걸 어루만지고 싶어.” 작곡가는 친구 티투스 보이체호프스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썼다. 이 음악은 이런 애정을 나타내는 표현이었다. “새 협주곡의 아다지오는 E장조야. 이 작품에서는 강렬함 같은 것을 추구하려고 하지는 않았어. 오히려 낭만적이고 조용하며, 반쯤 우울한 마음으로 즐거웠던 무수한 추억들을 상기시키는 장소를 바라보는 듯한 인상을 일으키게 하려고 했어.”


He also added: "It is an act of thinking during a beautiful spring, but at the moonlight." The ethereal lunar effect was reached by Chopin by using the "con sordino" technique ("by the string play, which sound was muffled (...) with a kind of combs that by surrounding the strings give them a new, silver tone" - as he patiently and innovatively explained it to Woyciechowski).


그는 또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아름다운 봄의 달빛이 어려 있는 것처럼.” 쇼팽은 “콘소르디노”(약음기를 달고) 테크닉을 사용하여[그가 끈기 있게 혁신적으로 보이체호프스키에게 설명한 것처럼 “약음기를 단 현악기들의 연주로 (...) 현악기들을 둘러싸서 일종의 빗질이 새로운 은빛 분위기를 제공하는] 천상의 달 같은 느낌에 닿았다.


Dreaminess and melancholy of the middle "Romanza" disappear without leaving a trace when the third movement begins attacca, a dance and vivid "Rondo". Krakowiak rhythms shape its dance character, which perfectly combines with the showy figuration - a gem of the "brilliant" style - the coda which ends the work. Chopin ended "Rondo", and the whole concerto, in August, at the time when he had the major number of doubts concerning his trip to Europe and the journey during which he had to prove himself as an artist. The vivacity and energy of the music could be an expression of his inner strength he found in order to face the unknown and new.


중간에 있는 2악장 “로만차”의 꿈같은 나른함과 우울함은 3악장이 아타카(악장의 마지막 또는 박자가 변하는 곳에서 다음 악장 또는 부분으로 중단 없이 계속 연주하라는 뜻), 춤, 생생한 “론도”를 시작할 때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크라코비아크(4분의2 박자로 된 폴란드 민속 춤곡 혹은 그러한 춤으로, 경쾌한 리듬에 맞춰 발뒤꿈치로 바닥을 치면서 춤을 춘다.) 리듬은 댄스 캐릭터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화려한 형상(“화려한” 스타일의 보석)을 작품을 코다와 완벽하게 마무리하여 작품을 마무리한다. 쇼팽은 아티스트로서의 자신을 증명해야 하는 유럽 여행과 여정에 대한 의구심이 많았던 때인 8월에 3악장 “론도”와 함께 협주곡 전체를 끝냈다. 음악에 대한 활력과 에너지는 그가 미지의 새로운 것에 마주하기 위해 찾은 내면의 힘의 표현일 수도 있다.


Soon afterwards, in September, the composer had an opportunity to listen to his Concerto performed during a private hearing in the circle of close friends; at first with a string quartet, then with a small orchestra. "Rondo - impressive, Allegro - strong" - he could confirm it after listening to the performance. On October 11, a concert with an extensive participation of audience was held in Warsaw; later it would be called "the farewell concert," as it was three weeks before Chopin's departure from the homeland. The new composition met with an enthusiastic reception. "The yesterday's concert was a huge success" - Chopin mentioned in a letter to Woyciechowski. Soon afterwards he set off from Warsaw, where he would never come back.


얼마 지나지 않아 9월에 작곡가는 친한 친구들 모임에서 사적으로 연주한 자신의 협주곡을 들을 기회를 가졌는데, 처음에는 현악 4중주단이었다가 소규모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론도는 인상적이고, 알레그로는 강하다.” 그는 공연을 들은 후 이렇게 확인할 수 있었다. 1월 11일 바르샤바에서 많은 관중이 참석하는 콘서트가 열렸는데, 나중에 쇼팽이 조국을 떠나기 3주 전이었으므로 “고별 연주회”라 불릴 것이다. 이 새로운 작품은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어제 내 연주회는 대성공이었어.” 쇼팽이 보이체호프스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말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바르샤바에서 출발하여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Written by Agnieszka Jeż / Translated by Żaneta Pniewska


아그니에쉬카 예즈 글 / 자네타 프니에프스카 번역


Szymon Nehring is one of the most gifted and promising pianist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Poland. Thanks to his remarkable performances at the 17th Fryderyk Chop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Warsaw, he was the only Pole to have reached the finals, which led to many invitations for concerts from Poland and abroad.


시몬 네링은 폴란드의 젊은 세대에서 가장 재능 있고 유망한 피아니스트들 중의 한 명이다.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17회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주목할 만한 연주로 결선에 진출한 유일한 폴란드 참가자였으며, 폴란드와 해외의 많은 콘서트에서 초청받았다.


Currently a student of Professor Stefan Wojtas at the Academy of Music in Bydgoszcz, he studied piano in the class of Olga Łazarska at the Mieczysław Karłowicz Primary Music School in Kraków and at the Fryderyk Chopin Secondary Music School in Kraków for 11 years.


현재 비드고슈치 음악원에서 스테판 보이타스 교수의 제자인 그는 크라쿠프의 미에치스와프 카르워비치 초등음악학교와 프리데리크 쇼팽 중등음악학교에서 11년 동안 올가 와자르스카를 사사했다.


Nehring regularly participates in competitions and festivals. His recent achievements include First Prize and six Special Prizes at the Halina Czerny-Stefańska in Memoriam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Poznań (2014) and First Prize at the Arthur Rubinstein in Memoriam Competition in Bydgoszcz (2014). In October 2015 he performed in the finals of the 17th Fryderyk Chopi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to win an Honourable Mention, the Audience Prize as well as a number of extra prizes, including awards for outstanding artistic creation and for his contribution to Polish music.


네링은 콩쿠르와 페스티벌에 정기적으로 참가한다. 최근의 성과로는 2014년 포즈난 제3회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기념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및 (쇼팽 녹턴 최우수 연주 포함) 6개 특별상, 2014년 비드고슈치 제10회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기념 청소년 국제피아노콩쿠르 1위 및 쇼팽 작품 최우수 연주 특별상이 있다. 2015년 10월에는 제17회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 파이널리스트가 되었으며 청중상뿐만 아니라 폴란드 음악에 대한 공헌으로 뛰어난 예술적 창조에 대한 상들을 포함하여 여러 번외 상들을 받았다.


His debut CD with music by Polish composers was released in November 2015 and received the Fryderyk Award 2016 from the Polish Phonographic Academy (in the category Album of the Year - Solo Recital), the Joker from Crescendo magazine, and the Supersonic Award from Pizzicato magazine.


폴란드 작곡가들의 음악을 수록한 그의 데뷔 음반은 2015년 11월에 발매되었으며 2016년 폴란드 음반 아카데미(클래식 음악 부문 올해의 앨범 솔로 리사이틀 부문)에서 프리데리크 어워드(4월), 크레셴도 매거진에서 조커 상(7월), 피치카토 매거진에서 슈퍼소닉 어워드(3월)를 받았다.


In December 2015 Nehring made a concert tour with the Santander Orchestra, playing Chopin's Piano Concerto in E minor in Poland's best concert halls in Lusławice, Katowice, Warsaw, and Szczecin. He performed with the same orchestra during the 20th Ludwig van Beethoven Easter Festival in Warsaw in March 2016, playing Rachmaninoff's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Op. 43.


2015년 12월에는 루스와비체, 카토비체, 브로츠와프, 바르샤바, 슈체친에 있는 폴란드 최고의 콘서트홀들에서 산탄데르 오케스트라와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을 협연하는 콘서트 투어를 가졌다. 그는 이 오케스트라와 2016년 3월 바르샤바 제20회 베토벤 부활절 페스티벌 동안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랩소디>를 협연했다.


In August 2016 during 12th Chopin and his Europe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he performed Fryderyk Chopin's Piano Concerto in F minor for the first time on a period instrument with the Orchestra of the Eighteenth Century.


2016년 8월에는 제12회 <쇼팽과 그의 유럽> 국제 음악제에서 18세기 오케스트라와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처음으로 시대악기(에라르 피아노)에서 협연했다.


The artist has given concerts in Russia, Ukraine, Estonia, Hungary, Romania, Austria, Germany, France, Norway, Italy, Argentine, Brazil,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이 아티스트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에스토니아, 헝가리, 루마니아, 오스트리아, 독일, 프랑스, 노르웨이,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미국에서 콘서트를 가졌다.


His upcoming concert plans include performances in Chile, China, United Arab Emirates, and in many cities of Poland.


그의 다가오는 콘서트 계획에는 칠레, 중국, 아랍에미리트 연합, 폴란드의 여러 도시 공연이 포함된다.


Szymon Nehring is a recipient of scholarships from the Pro Musica Bona Foundation (since 2010)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National Heritage (2010). In 2015 he received a Krystian Zimerman scholarship.


시몬 네링은 프로 무지카 보나 재단(2010년부터) 및 국립 문화유산부 장관(2010년) 장학금 수상자이다. 2015년에는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장학금을 받았다.


Szymon Nehring is represented by the Ludwig van Beethoven Association.


시몬 네링은 베토벤 협회 소속이다.


Krzysztof Penderecki, born in Dębica on 23 November 1933, he studied composition with Artur Malawski and Stanisław Wiechowicz at the State Higher School of Music in Kraków (1954-58). Earlier he took lessons from Franciszek Skołyszewski. In 1959 three of his works ("Strophes", "Emanations" and "Psalms of David") won him the top prizes at the Young Composers' Competition of the Polish Composers' Union. A year later, he captured the attention of Western critics with "Anaklasis", performed at the Donaueschingen Festeival. Penderecki's international position was consolidated in the 1960s thanks to such pieces as "Threnody for the Victims of Hiroshima" (UNESCO Award, 1961), the "St Luke Passion" (the Grand Arts Award of the Land of North Rhine-Westphalia, 1966, and the Prix Italia, 1967) and "Dies irae" (Prix Italia, 1968). His first opera, "The Devils of Loudun" (after Aldous Huxley), was premiered at the Hamburg Staatsoper in 1969 and in later years successfully performed at theatres throughout the world, as were the composer's three successive operas: "Paradise Lost" (premiered in Chicago, 1978), "Die Schwarze Maske" (Salzburg, 1986) and "Ubu Rex" (Munich, 1991). His other major pieces include "Sinfonietta", Benedicamus Domino", Symphony No. 5, the Flute Concerto, "Seven Gates of Jerusalem" (written for the 3000th anniversary of the city of Jerusalem), "Hymne an den heiligen Daniel" (for the 850th anniversary of Moscow), "Credo", "Sonata" for violin and piano, "Concerto Grosso" (premiered in Tokyo in 2001 under Charles Dutoit), "Piano Concerto 'Ressurection'" (premiered at Carnegie Hall in 2002), "Largo" for cello and orchestra, "Symphony" No. 8 'Lieder der Vergänglichkeit' and "Chaconne" in memory of Pope John Paul II.


1933년 11월 23일 뎅비차에서 태어난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는 1954~1958년 크라쿠프 국립고등음악원에서 아르투르 말라프스키 및 스타니스와프 비에호비치와 함께 작곡을 공부했다. 이전에는 프란치셰크 스코우이셰프스키의 레슨을 받았다. 1959년 폴란드 작곡가 협회 주최 제2회 젊은 폴란드 작곡가 콩쿠르에서는 소프라노, 암송, 열 가지 악기를 위한 <연>으로 1위, 두 현악 합주를 위한 <발산>으로 2위, 혼성 합창단, 현악기, 타악기를 위한 <다윗의 시편>으로 3위를 차지했다. 1년 후에는 도나우에싱엔 페스티발에서 연주된 (남서독일 방송국의 위촉 작품인) <아나클라시스>(박자 바꾸기)로 서방 평론가들의 관심을 끌었다. 펜데레츠키의 국제적 입지는 1960년대에 <히로시마 희생자를 위한 애가>(1961년 유네스코 상), <성 누가 수난곡>(1966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대상 및 1967년 이탈리아 상), <진노의 날>(1968년 이탈리아 상) 같은 곡들로 견고해졌다. 그의 첫 번째 오페라 <루덩의 악마들>(올더스 헉슬리의 동명 소설이 원작)은 1969년 함부르크 슈타츠오퍼에서 초연되었으며 1년 후에는 작곡가의 3연속 오페라 <실낙원>(존 밀턴의 서사시 원작, 1978년 시카고에서 초연), <검은 가면>(게르하르트 하웁트만의 원작, 1986년 잘츠부르크에서 초연), <우부 왕>(알프레드 자리의 원작, 1991년 뮌헨에서 초연)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극장들에서 성공적으로 공연되었다. 그의 다른 주요 작품들로는 <신포니에타>, <주를 축복하라>, 교향곡 5번 <대한민국>(1991년 광복 50주년 위촉 작품), 플루트 협주곡, 교향곡 7번 <예루살렘의 7개의 성문>(예루살렘 시 수도 지정 3000주년 기념 위촉 오라토리오), 혼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성 다니엘 찬가>(1997년 모스크바 설립 850주년 기념), <크레도>(사도신경),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콘체르토 그로소>(2001년 도쿄에서 샤를 뒤투아의 지휘로 초연), 피아노 협주곡 <부활>(2001년 9.11 테러 추모곡으로 2002년 카네기홀에서 초연),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라르고>, 교향곡 8번 <덧없음의 노래>, <샤콘느>(2005년 자국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추모하기 위해 헌정한 곡)가 있다.


Krzysztof Penderecki served as Rector of the Music Academy in Kraków (1972-87) and lectured at Yale University in New Haven (1973-1978). He has also developed a successful career as a conductor, serving as Principal Guest Conductor of the Norddeutscher Rundfunk Orchester in Hamburg, the Mitteldeutscher Rundfunk Sinfonie Orchester in Leipzig and as Artistic Director of the Kraków Philharmonic Orchestra (1987-90). In 1997 he became Music Director of Sinfonia Varsovia and a year later a music adviser tot he Beijing Music Festival. In 2000 he became Guest Conductor of the newly-formed China Philharmonic. He appears regularly with leading symphony orchestra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는 1972~1987년 크라쿠프 음악원 총장을 역임했으며 1973~1978년에는 뉴헤이븐에 있는 예일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함부르크 북독일 방송 엘프필하모니 관현악단과 라이프치히 중부독일 방송 교향악단의 수석 객원 지휘자, 크라쿠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예술 감독(1987~1990년)을 역임하여 성공적인 지휘자로서의 경력도 쌓았다. 1997년에는 신포니아 바르소비아의 음악 감독이 되었으며, 1년 후에는 베이징 음악제의 음악 고문이 되었다. 2000년에는 새로 편성된 차이나 필하모닉의 객원 지휘자가 되었다. 그는 유럽과 미국의 주요 심포니 오케스트라들과 함께 정기적으로 출연한다.


Penderecki's long list of honours, distinctions, medals and honorary doctorates received in Europe, the two Americas and Asia testifies to his position as one of the greatest living composers. It includes the Polish State Prize (1968, 1983), the Award of the Polish Composers' Union (1970), the Commander's Cross with Star of the Order of Polonia Restituta (1993) and the Order of the White Eagle, the highest Polish state distinction (2005).


펜데레츠키가 유럽, 남북 아메리카, 아시아에서 받은 여러 명예, 훈장, 명예박사 학위는 자신이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작곡가들 중의 한 명이라는 위상을 증명한다. 1968년과 1983년 폴란드 1등급 문화 포장(褒章), 1970년 폴란드 작곡가 연합상, 1993년 폴란드 사령관 십자가 부활 훈장, 2005년 폴란드 최고의 명예인 폴란드 흰독수리 훈장 등을 받았다.


He is also the recipient of the State Prizes of Germany, Austria, France and Monaco, Gottfried von Herder Award (1977), the Sibelius Prize (1983), the Premio Lorenzo Magnifico (1985), the Award of the Karl Wolff Foundation in Israel (1987), Grammy Award (1998, 1999, 2001) and the Grawemeyer Award from the University of Louisville (1992). He also received the Cannes Classical Award as 'The Best Living Composer' (2000), the Romano Guardini Award of the Bavarian Catholic Academy (2002), the Award of the European Church Music Festival in Schwäbisch-Gmünd (2003), the State Award of the Land of North Rhine-Westphalia (2002), the Praemium Imperiale of the Japan Art Association (2004). He is the holder of the Grand Cross of the Order of Meri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1990) and of the Chevalier de Saint Georges (1990), the Ordre de Mérite du Grand-Duché de Luxemburg (2009) and the Honorary Order from the President of Armenia (2009).


그는 독일 뒤스부르크 음악상(1999), 오스트리아 명예 포장(褒章) 학술 및 예술 부문(1994), 프랑스 코망되르(Commandeur) 문화 예술 공로 훈장(1996), 모나코 공국 문화 공로장(1993), 함부르크의 요한 고트프리트 폰 헤르더 상(1977), 헬싱키의 장 시벨리우스 상(1983), 피렌체의 로렌초 마니피코 상(1985), 이스라엘의 카를 볼프 재단상(1987), 그래미상(1998, 1999, 2001), 루이스빌 대학교 그라베마이어 상(1992) 수상자이기도 하다. 그는 최우수 현존 작곡가에게 수여하는 칸 클래시컬 어워드(2000), 뮌헨의 바이에른 신학교 로마노 과르디니 사제 어워드(2002), 슈베비슈-그뮌트 교회 음악제 어워드(2003),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연방정부상(2002), 일본예술협회 프리미엄 임페리얼 상(2004)도 받았다. 그는 독일연방공화국 대십자 공로훈장(1990), 생조르주 기사(슈발리에) 작위(1990), 룩셈부르크 대공국 공로장(2009), 아르메니아 대통령 명예 훈장(2009) 보유자이다.


Penderecki has received honorary doctorates or professorships from the universities in Belgrade, Bordeaux, Glasgow, Leuven, Madrid, Leipzig,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Rocheser, Washington (Georgetown University), St Petersburg, Beijing, Warsaw, Poznań, the Tchaikovsky Conservatory in Moscow, the Hong Kong Academy for Performing Arts and the Rimsky-Korsakov Conservatory in St Petersburg. He is an honorary member of the Royal Academy of Music in London, the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in Rome, the Kungliga Musikaliska Akademien in Stockholm, the Akademie der Künste in Berlin, the Academia Nacional de Bellas Artes in Buenos Aires, the Royal Academy of Music in Dublin and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펜데레츠키는 베오그라드, 보르도, 글래스고, 루벤, 마드리드, 라이프치히, 피츠버그(듀케인 대학교), 로체스터, 워싱턴(조지타운 대학교), 상트페테르부르크, 베이징, 바르샤바, 포즈난의 대학교들,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음악원, 홍콩 연예예술대학교, 상트페테르부르크 림스키코르사코프 음악원에서 명예박사 학위 또는 명예 교수직을 받았다. 그는 런던 왕립 음악원,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 음악원, 스톡홀름 왕립 음악원, 베를린 국립 예술원(베를린 국립예술대학교의 전신),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 예술 아카데미, 더블린 왕립 음악원,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이다.


He was a member of the Honorary Committees of Chopin Years 2010 at the Polish Embassies in Rome, Lisbon and Tokyo. His composition - "A sea of dreams did breathe on me... Songs of reflection and nostalgia" for soprano, mezzo-soprano, baritone, choir and orchestra (commissioned by the National Chopin Institute) - was premiered in Warsaw on 14 January 2011 at the closing concert of Chopin's birth bicentenary celebrations.


그는 로마, 리스본, 도쿄에 있는 폴란드 대사관들에서 <2010 쇼팽의 해> 명예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그의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바리톤,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꿈의 바다가 내게 입김을 뿜었네(꿈의 바다가 나에게 왔다)... 반성과 향수의 노래>(국립 쇼팽 협회 위촉)는 2011년 1월 14일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 탄생 200주년 기념 폐막 콘서트에서 초연되었다.


Jurek Dybał - Director of the Orchestra of the Royal Capital City of Kraków Sinfonietta Cracovia.


유레크 디바우는 크라쿠프 왕립 수도 오케스트라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의 감독이다.


A respected conductor, animator of cultural life, and musician of the famous Vienna Philharmonic. He captivates European audiences with his dynamic presence on the podium, conducting such orchestras as: the Wiener KammerOrchester, the Wiener Concert-Verein, the Bayerische Kammerphilharmonie, the Monte Carlo Philharmonic Orchestra, the Prague Radio Symphony Orchestra, the Sinfonia Varsovia, the Polish National Radio Symphony Orchestra, the Polish Radio Orchestra, the Silesian Chamber Orchestra, the Leopoldinum and the NFM Shymphony Orchestra, as well as philharmonic orchestras in Poznań, Kraków, Łódź and Gdańsk. In the field of early music, he works with, e.g., the famous ensemble Concerto Köln. He is an author of multimedial performances, promoting the 20th and 21st century music in an unconventional way. He conducted, among others, the first Polish performance of the "Adagio" for strings by Krzysztof Penderecki and he participated in the world premiere of the quartet "Pages of an unwritten diary" and the "Duo concertante" by the composer. He also made possible the Viennese premiere of Franciszek Lessel's Overture with the Wiener KammerOrchester; moreover, he convinced the Concerto Köln to include into their repertoire Grzegorz Gerwazy Gorczycki's music. He has worked with such outstanding artists as: Yuri Bashmet, Gidon Kremer, Julian Rachlin, Gábor Boldoczki, Angela Hewitt, Mihaela Ursuleasa, Michel Lethiec, Georgijs Osokins, Martin Grubinger, Paul Meyer, Arto Noras, Erwin Schrott, Konstanty Andrzej Kulka, and Xavier de Maistre. He has won the Fryderyk Music Award twice.


그는 존경받는 지휘자이자 문화생활 동영상 제작자이며 비엔나 필하모닉의 더블베이스 주자로 유명하다. 그는 비엔나 실내 오케스트라, 비엔나 음악 협회, 바이에른 실내 필하모니, 몬테카를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라하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신포니아 바르소비아, 폴란드 국립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폴란드 라디오 오케스트라, 실레지아 실내 오케스트라, 브로츠와프 내셔널 오브 포럼 레오폴디눔 심포니 오케스트라, 포즈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크라쿠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우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그단스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같은 오케스트라들을 지휘하면서 지휘대에서의 역동적인 존재감(카리스마 넘치는 성격)으로 유럽의 청중들을 사로잡는다. 고음악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유명한 앙상블 콘체르토 쾰른과 함께 일한다. 그는 20세기와 21세기 음악을 색다른 방식으로 홍보하는 멀티미디어 공연의 작가이다. 그는 무엇보다도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의 폴란드 초연을 지휘했으며 이 작곡가의 4중주곡인 신포니에타 3번 <쓰지 않은 일기의 잎사귀들> 및 <듀오 콩세르탕>의 세계 초연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비엔나 캄머 오케스트라와 함께 프란치셰크 레셀이 쓴 서곡의 비엔나 초연을 가능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콘체르토 쾰른이 그제고즈 게르바지 고르치츠키의 음악을 레퍼토리에 포함하도록 설득했다. 그는 유리 바쉬메트(비올라), 기돈 크레머, 율리안 라흘린(바이올린), 가보르 볼도츠키(트럼펫), 안젤라 휴이트, 미하엘라 우르술레아사, 미셸 레티크(클라리넷), 게오르기스 오소킨스, 마르틴 그루빙어(퍼커션), 폴 메이에(클라리넷), 아르토 노라스(첼로), 어윈 슈로트(베이스), 콘스탄티 안제이 쿨카(바이올린), 자비에 드 메스트르(하프) 같은 뛰어난 아티스트들과 협연했다. 그는 프리데리크 음악상을 두 번 받았다.


Jurek Dybał is a founder and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Krzysztof Penderecki Festival - Level 320, which is held in the underground of the historic Guido Mine in Zabrze. During the third edition of the festival, Dybał conducted the Polish premiere (in the series of world premieres) of the "concertino per tromba e orchestra" by Krzysztof Penderecki co-commissioned by the Sinfonietta Cracovia. The soloist of that concert - recorded on a CD released by the prestigious Sony Classical record label was Gábor Boldoczki, an outstanding trumpet player.


유레크 디바우는 자브제에 있는 귀도 광산의 역사적인 장소에서 만들어진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 국제 음악제 <레벨 320>의 창립자이자 감독이다. 제3회 페스티벌에서 디바우는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가 공동 위촉한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의 작품 <트럼펫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의 (세계 초연 시리즈의) 폴란드 초연을 지휘했다. 유명한 소니 클래시컬 음반사에서 발매한 CD에 녹음된 그 콘서트의 독주자는 뛰어난 트럼펫 연주자인 가보르 볼도츠키였다.


The director of the Sinfonietta has also assumed the position of musical director of the stage adaptation of the opera "Ubu Rex" by Penderecki in the Silesian Opera. The performance directed by Waldemar Zawodziński' was highly acclaimed by the audience and collected a number of enthusiastic reviews.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의 총감독인 그는 실레지아 오페라 극장에서 펜데레츠키의 오페라 <우부 왕>의 무대 각색에서 음악 감독의 지위도 맡았다. 발데마르 자보진스키가 감독한 이 공연은 관객의 호평을 받았으며 많은 열렬한 리뷰를 모았다.


Sinfonietta Cracovia. The Orchestra of the Royal Capital City of Kraków is a high profile ensemble, which is famous for its precision and flexibility of a chamber orchestra also in the symphonic set. The beginnings of the Sinfonietta Cracovia are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the ensemble Young Kraków Chamber Players. Remarkable skills, musician's engagement, and original interpretations resulted in being bestowed the status of a city orchestra and the new name in 1994: the Orchestra of the Royal Capital City of Kraków Sinfonietta Cracovia, under which it has been operating until today. Since its very beginnings, the ensemble has been supported by Elżbieta and Krzysztof Pendereckis.


크라쿠프 왕립 수도 오케스트라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는 교향곡 작품에서도 실내악단의 정확성과 유연함으로 유명한, 높은 관심을 받는 앙상블이다.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의 시작은 영 크라쿠프 챔버 플레이어스 앙상블의 창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뛰어난 재주, 음악가의 참여, 독창적인 해석으로 1994년에 시립 오케스트라의 지위와 새로운 이름이 주어졌는데, 오늘날까지 운영되고 있는 크라쿠프 왕립 수도 오케스트라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이다. 초창기부터 엘즈비에타와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 부부가 이 앙상블을 지원했다.


The Sinfonietta has worked with a number of excellent artist from all over the world, among whom there are, e.g., Krzysztof Penderecki, Antoni Wit, Jerzy Maksymiuk, Lorin Maazel, Valery Gergiev, Rudolf Buchbinder, Gidon Kremer, Maxim Vengerov, Rafael Payare, Gábor Boldoczki, Ilya Gringolts, Mischa Maisky, Xavier de Maistre, Tabea Zimmermann, Grigory Zhislin, Richard Galliano and others.


이 신포니에타는 예를 들어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 안토니 비트, 예지 막시미우크, 로린 마젤, 발레리 게르기에프, 루돌프 부흐빈더, 기돈 크레머, 막심 벵게로프, 라파엘 파야레(지휘자), 가보르 볼도츠키, 일리야 그린골츠(바이올린), 미샤 마이스키, 자비에 드 메스트르, 타베아 침머만(비올라), 그리고리 지슬린(바이올린), 리처드 갈리아노(아코디언) 등 전 세계의 뛰어난 아티스트들과 협연해왔다.


For 20 years, the image of the Orchestra was created by an outstanding violinist, violist, and teacher, Robert Kabara. In 2001-2009, its first visiting conductor was John Axelrod. In July 2014, the next chapter in the history of the ensemble has been started by an acclaimed conductor, musician of the Vienna Philharmonic, and animator of musical life, Jurek Dybał. Thanks to the new director's efforts the Orchestra has engaged in a series of innovative projects promoting the new music and not only, gradually becoming one of the most dynamic European ensembles, particularly valued for its masterful performances of the contemporary music.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 ensemble organizes original concert series such as the experimental "Music without applause" or very popular "Sinfonietka", dedicated to the youngest music lovers. Recently, the Orchestra has extended its concert activity, e.g.,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erformances abroad. The ensemble has given concerts in e.g., China, the Netherlands, Finland, Germany, the Czech Republic, and Vienna.


오케스트라의 이미지는 20년 동안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 비올리스트, 교육자인 로베르트 카바라에 의해 만들어졌다. 2001~2009년 첫 초빙 지휘자는 존 악셀로드였다. 2014년 7월, 이 앙상블 역사의 다음 장은 저명한 지휘자, 비엔나 필하모닉 단원, 문화생활 동영상 제작자인 유레크 디바우에 의해 시작되었다. 새로운 감독의 노력으로 이 오케스트라는 새로운 음악을 홍보하는 일련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에 참여했고, 점차 가장 역동적인 유럽 앙상블들 중 하나가 되었으며, 특히 현대 음악의 뛰어난 연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 앙상블이 실험적인 <박수 없는 음악> 또는 가장 어린 음악 애호가들을 위한 매우 인기 있는 <신포니에트카> 같은 독창적인 콘서트 시리즈를 조직한다는 것은 특기할 만하다. 최근에는 예를 들어 해외 공연 수를 늘려 콘서트 활동을 확대했다. 예를 들어 중국, 네덜란드, 핀란드, 독일, 체코, 비엔나에서 콘서트를 가졌다.


One of the most recent achievements of the Sinfonietta Cracovia has been the recording of the Polish premiere of Krzysztof Penderecki's new "Concertino per tromba e orchestra" in the series of the world premieres with the participation of Gábor Boldoczki and the recording of the CD "Oriental Trumpet Concertos" (Sony Classical) in cooperation with the Hungarian trumpet player.


신포니아 크라코비아의 가장 최근 성과 중 하나는 가보르 볼도츠키의 참여로 세계 초연 시리즈에서의 크시쉬토프 펜데레츠키의 새로운 <트럼펫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의 폴란드 초연 녹음으로, 헝가리 트럼펫 연주자와의 협연으로 소니 클래시컬에서 <오리엔탈 트럼펫 협주곡들> 음반을 발매했다.



워낙 비싸서 사길 주저했던 음반... 그런데 외국 분이 나보고 네링 연주 좋아하지 않느냐고 하시면서 음반을 선물로 립해서 주셨다. 해외 커뮤니티에서 교류하는 몇몇 분들한테 네링이 이번 대회에서 우승할 것 같다고 설레발 쳤다가 무안해서 다신 네링 얘기를 안 꺼냈다. 그런데 멕시코 사람한테도 얘기했는지는 도무지 기억나지 않는다는... 그렇게 말한 경우가 5명도 안 된다는 게 그저 다행. 히히히~ 그분은 그걸 기억하고 계셨다. 이후 네링이 쇼팽 콩쿠르에 재도전한다는 말도 하고 그 대회를 직접 보러 간다고 덧붙였다. 코로나 19 때문에 현재는 무산된 상태.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티켓을 반환하진 않았다. 코로나19가 종식되면 꼭 갈 거니까! 단지 음원만 건네받은 건 아니고 내지 스캔도 부탁했다. 그렇게 해서 협주곡을 공부할 수 있었다. 작품 설명을 찾다 보면 내용이 제각각인데 그 다양함이 음반 내지의 매력이랄까? 물론 작품 설명이 여기저기 널린 경우에는 인터넷 서핑으로 이것저것 모아서 비교해볼 수도 있다. 1집 음반과 달리 2집 음반은 영어로 해결이 안 되는 해석만 폴란드어를 들여다봤다. 그럼에도 몇몇 문장은 정확한 해석이 안 되었다. 내지를 타이핑하면서 네링과 펜데레츠키가 어떤 인연인지 확인했다. 동향 크라쿠프 출신에 펜데레츠키는 예일대에서 한때 교육자로 활동했고 네링은 거기에서 공부했다. 이 음반은 네링이 루빈스타인 콩쿠르에 참가하기 전인 2017년 3월에 발매되었다. 우승 이후 네링은 예일대로 유학 가서 작년까지 공부했다. 예일대는 학생 시절 레슨 강사님이 공부했던 학교이기도 한데 그 선생님이 입학하기 전까지 10년 넘게 한국인 학생이 없었다고 들었다.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에서 제1주제가 2개인 이유는 문헌에 2악절로 구성되어 있다고 해서 그렇게 발췌한 것이다. 제2주제는 설명에 없으나 2번 협주곡에서 발췌한 김에 넣어준 것이다. 협주곡 1번에서 필요한 악보들을 발췌하면서 내 자신을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는데, 그동안 협주곡에서 오케스트라 선율이 피아노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생각을 별로 하지 않고 있었다. 몇 번 생각해봤다면 구체적인 것이 아니고 막연하게 스쳤을 거다.

댓글 1개:

  1. https://sanet.ws/blogs/all4share/szymon_nehring_sinfonietta_cracovia_krzysztof_penderecki__jurek_dybal_chopin_piano_concertos_opp_.2227652.html

    답글삭제

Google Drive / 2024. 08. Geneva Competition Winners 3

1947년 공동 2위 Sergio Fiorentino (Italy) / 세르조 피오렌티노 (이탈리아) 01 Sergio Fiorentino - Chopin Mazurkas 1958 세르조 피오렌티노 - 쇼팽 마주르카 발췌 02 Sergio Fio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