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4월 25일 수요일
Melodiya / Vladimir Ashkenazy - Russian Piano School, Vol. 17
Track
01 Chopin 12 Etudes, Op. 10 No. 1 in C (Allegro) / 쇼팽 24개 에튀드
02 Chopin 12 Etudes, Op. 10 No. 2 in a (Allegro)
03 Chopin 12 Etudes, Op. 10 No. 3 in E (Lento ma non troppo)
04 Chopin 12 Etudes, Op. 10 No. 4 in c# (Presto)
05 Chopin 12 Etudes, Op. 10 No. 5 in Gb (Vivace)
06 Chopin 12 Etudes, Op. 10 No. 6 in e flat (Andante)
07 Chopin 12 Etudes, Op. 10 No. 7 in C (Vivace)
08 Chopin 12 Etudes, Op. 10 No. 8 in F (Allegro)
09 Chopin 12 Etudes, Op. 10 No. 9 in f (Allegro, molto agitato)
10 Chopin 12 Etudes, Op. 10 No. 10 in Ab (Vivace assai)
11 Chopin 12 Etudes, Op. 10 No. 11 in Eb (Allegretto)
12 Chopin 12 Etudes, Op. 10 No. 12 in c (Allegro con fuoco)
13 Chopin 12 Etudes, Op. 25 No. 1 in Ab (Allegro sostenuto)
14 Chopin 12 Etudes, Op. 25 No. 2 in f (Presto)
15 Chopin 12 Etudes, Op. 25 No. 3 in F (Allegro)
16 Chopin 12 Etudes, Op. 25 No. 4 in a (Agitato)
17 Chopin 12 Etudes, Op. 25 No. 5 in e (Vivace)
18 Chopin 12 Etudes, Op. 25 No. 6 in g# (Allegro)
19 Chopin 12 Etudes, Op. 25 No. 7 in c# (Lento)
20 Chopin 12 Etudes, Op. 25 No. 8 in Db (Vivace)
21 Chopin 12 Etudes, Op. 25 No. 9 in Gb (Allegro assai)
22 Chopin 12 Etudes, Op. 25 No. 10 in b (Allegro con fuoco)
23 Chopin 12 Etudes, Op. 25 No. 11 in a (Lento - Allegro con brio)
24 Chopin 12 Etudes, Op. 25 No. 12 in c (Molto allegro con fuoco)
25 Liszt Mephisto Walz No. 1 Episode: The Dance in the Inn (from Lenau's Faust, G 514) / 리스트 메피스토 왈츠 1번 <마을 선술집에서의 무도>
The Cosmopolitan: Vladimir Ashkenazy (born 1937) / 코스모폴리탄(세계인)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In 1937, just one year after Zhukov and in the very same town, Nizhni Novgorod, Vladimir Davicovich Ashkenazy was born into a musical Jewish family.
이고르 주코프가 출생한지 1년 후인 1937년, 주코프와 같은 마을인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는 유대계 음악 가정에서 태어났다.
An Ideal Father / 이상적인 아버지
There are pianists who are true soloists, not predestined to accompany other musicians, and there are excellent chamber pianists (or "emsemblists" as they are called in Russian) - pianists who perform with the greatest sensitively together with chamber musicians or singers, not merely as accompanist but on a par, the one enhancing the other. Vladimir Ashkenazy's father was just such an "ensemble pianist"; but what is more, his interest did not end with merely making music for entertainment purposes.
피아니스트들 중에는 다른 음악가들을 반주하지 않는 것이 예정된 진정한 독주자들이 있는가 하면, 실내악 연주자들 또는 가수들과 함께 가장 감동적으로 협연하는 챔버 피아니스트들(또는 러시아에서 그들이 불리는 것처럼 “앙상블리스트”)이 있는데, 단지 반주자로서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동등하게 높여준다.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의 아버지는 그런 “앙상블 피아니스트”였으나, 게다가 그의 관심은 단순히 오락 목적으로 음악을 만드는 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Privileges and Prizes as a Boy-Wonder / 신동으로서의 특전과 입상
In 1945, at the age of eight, Vladimir entered the Moscow Central School of Music where his teacher was the Armenian Anaida Sumbatyan for the next decade. While in the tenth grade he gave his first concert in the Great Hall of the Conservatory in April 1955. The programming was dedicated to works by Chopin. That same year he gained second prize at the International Chopin Competition in Warsaw. The following year, now a pupil of Oborin at the Conservatory he was first prize at the Concours Reine Elisabeth in Brussels. As early as 1957 he went on his first concert tour abroad which took him to the West - to both East and West Germany. A member of the press enthused that Beethoven's late sonatas did not sound as though they were being performed by Ashkenazy but by the Classical master himself. Ashkenazy was said to possess the three virtues of a great performer: musicianship, intellectual perception and technical perfection. And the same critic writing in the "Kolner Rundschau" in October 1957 about the concert stated that the "great art of piano performance will never die out", and that "all that he touches turns to gold - a chosen man blessed with ability". High praise indeed!
1945년 8세 때, 블라디미르는 모스크바 중앙음악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다음 10년 동안 아르메니아인 아나이다 숨바티안을 사사했다. 10학년이었던 1955년 4월, 그는 음악원 대강당에서 첫 콘서트를 가졌다. 프로그램 구성은 쇼팽의 작품들에 전념한 것이었다. 같은 해에 그는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준우승했다. 이듬해에는 음악원에서 레프 오보린의 제자였는데, 브뤼셀에서 열린 퀸엘리자베스 국제음악콩쿠르에서 우승했다. 1957년 초에 그는 처음으로 서방에서 콘서트 투어를 시작했는데, 동독과 서독 모두 방문했다. 한 기자는 베토벤 후기 소나타들이 아쉬케나지가 연주한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이 고전음악 마스터인 것처럼 들렸다고 열광했다. 아쉬케나지는 음악성, 지적 감각, 기술적인 완벽함이라는 위대한 연주자의 세 가지 덕목을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1957년 10월 가진 콘서트에 대하여 <쾰르너 룬트샤우> 지에서 같은 비평가가 “피아노 연주의 위대한 예술은 절대로 죽지 않을 것”이며 “그는 터치하는 것이 모두 금으로 변하는 축복받은 능력을 선택받은 사람”이라고 언급했다. 그야말로 아낌없는 찬사!
The renowned American critic and music publisher Harold C. Schonberg said in amazement: "He is one of the most brilliant representatives of the new generation of pianists."
유명한 미국 비평가이자 음악 발행인인 해럴드 숀버그는 깜짝 놀라 말했다. - “그는 신세대 피아니스트들 중에서 가장 훌륭한 대표자들 중의 한 명이다.”
Chopin Anew / 새로운 쇼팽
Ashkenazy had not even completed his studies when he was lavished with this praise. In 1960 he hot only graduated the Conservatory with a gold medal but also made a recording of Chopin's "24 Preludes" which brought him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France he was compared with the great Alfred Cortot and some even rated him higher. In November 1961 the "Patriote de Nice et Sud-Est" wrote of his Chopin Etudes: "Just listen to Ashkenazy and you will hear Chopin anew - powerful but not pompous, tender - but never tearful: music in its purest form from beginning to end."
아쉬케나지가 이런 아낌없는 찬사를 받았을 때에는 그가 공부를 아직 마치지 않았을 때였다. 1960년 그는 음악원을 금메달(수석)로 졸업했을 뿐만 아니라 쇼팽 24개 프렐류드를 녹음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프랑스에서 그는 위대한 알프레드 코르토와 비교되었고 심지어 일부는 그를 더 높게 평가했다. 1961년 11월, <파트리오트 드 니스 에 쉬데스트>(니스와 동남부의 애국자?) 지는 그의 쇼팽 에튀드에 대해서 “아쉬케나지를 잠깐 들으면 새로운 쇼팽을 듣게 된다. - 강력하지만 거만하지 않고 부드럽지만 결코 눈물겹지 않을 것이다. - 처음부터 끝까지 가장 순수한 형태의 음악“이라고 썼다.
After the Tchaikovsky Competition in Moscow in 1962 where he shared first prize with John Ogdon, Yakov Flier called Ashkenazy a "pianist of a colossal order" and Emil Gilels spoke of his "enormous technical prowess".
196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존 오그던과 공동 우승한 이후, 야코프 플리에르는 아쉬케나지를 “거대한 규모의 피아니스트”라고 불렀고 에밀 길렐스는 그에 대해서 “엄청난 테크닉”이라고 말했다.
All the World's a Stage / 전 세계를 무대로
In almost every artist's life there comes a time of crisis - a time of change. 1963 was Ashkenazy's year of decision. He was then married to Sofia Johannesdottir, an Icelandic pianist whom he had got to know at the Moscow Conservatory. The couple moved with their son to England. Four other children were born. The two boys became musicians: Vladimir, nicknamed Vovka, is a talented pianist, and his younger brother Dmitri plays the clarinet. On occasion they perform together with their father. The year 1963 was one in which Vladimir undertook numerous concert tours, similar to Franz Liszt's decade of touring throughout Europe which the "virtuoso assoluto" had undertaken more than a century before. The difference was that Ashkenazy travelled the globe thanks to modern transport and that the decade had now become extended to almost a quarter of a century. Ashkenazy's wide repertory covers the complete concerto of Mozart, Prokofiev and Bartok (among others), and the complete sonatas of Beethoven and Scriabin - all of which he has, of course, recorded. The pianist gradually developed an interest in chamber music and has performed with such great virtuosos as Natalia Gutman and Itzhak Perlman, to name but two.
거의 모든 아티스트의 삶에서 위기의 시기가 오는데, 변화의 시기이다. 1963년은 아쉬케나지가 결정한 해였다. 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알게 된 아이슬란드 피아니스트 소피아 요하네스도티르와 결혼하였다. 부부는 아들과 함께 영국으로 이주했다. 4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 두 아들은 음악가가 되었는데, 보브카라는 닉네임의 블라디미르는 재능 있는 피아니스트이고 동생인 드미트리는 클라리넷을 연주한다. 때때로 그들은 아버지와 협연한다. 1963년은 “절대적인 거장”인 리스트가 한 세기 이상 전에 착수했던 유럽 전역을 여행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콘서트에 착수했던 해였다. 차이점은 아쉬케나지는 현대의 교통수단 덕분에 세계를 여행했고 10년은 이제 거의 25년을 확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아쉬케나지의 광범위한 레퍼토리는 모차르트, 프로코피에프, 버르토크 등의 협주곡 전곡, 베토벤과 스크리아빈 소나타 전곡을 아우르는데, 물론 그가 보유한 레퍼토리 모두 녹음했다. 피아니스트는 실내악에 대한 관심을 점차적으로 발전시켰고 두 사람만 이름을 들자면 나탈리아 구트만(첼로), 이작 펄만(바이올린) 같은 훌륭한 거장들과 협연해왔다.
A true musician, Ashkenazy felt himself increasingly drawn to the conductor's podium. In the meantime he has joined the throng of internationally renowned conductors and holds the position of principal conductor of the Berlin Radio Symphony Orchestra since 1989.
진정한 음악가인 아쉬케나지는 점점 지휘자 연단에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 그동안 그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지휘자들의 인파 속에 있었으며 1989년부터 베를린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를 역임하고 있다.
25 Years Later / 25년 후
The political changes in the former Soviet Union prompted the artist to visit his native land in 1989, after a 26-year absence, where he gave several performances - both as soloist and conductor of London's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He returned in 1990 and performed works by Brahms and Chopin, "his" composer. In 1992 he took the European Community Youth Orchestra on a tour of East Russia and Siberia where they gave concerts in Chabarovsk, Vladivostok, Irkutsk and Nizhni Novgorod.
옛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적 변화로 인해 아티스트는 26년 만인 1989년에 런던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독주자이자 지휘자로서 여러 차례 공연을 가졌던 그의 조국을 방문했다. 그는 1990년에 재방문하여 “그의” 작곡가들인 브람스와 쇼팽의 작품을 연주했다. 1992년에 그는 러시아 동부와 시베리아를 방문하여 유럽공동체 청소년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바롭스크, 블라디보스토크, 이르쿠츠크,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콘서트 투어를 가졌다.
Chopin Etudes - Poetic Studies for the Keyboard / 쇼팽 에튀드 - 건반을 위한 시적인 연습곡들
It is to Frederic CHOPIN (or more precisely the competition held in his honour) that the 16-years-old Ashkenazy owed his first international prize and his recording career. And it was with Chopin that he presented himself to the public in his first concert just one year later. It is certainly not surprising that the pianist has the Polish composer who became a Frenchman by choice.
16세의 아쉬케나지가 그의 첫 국제적인 상을 받고 녹음 경력을 가지게 된 것은 프레데릭 쇼팽(또는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의 명예로 된 콩쿠르) 덕분이다. 그리고 그가 1년 만에 첫 콘서트에서 대중에게 자신을 소개했던 것은 쇼팽과 함께 했다. 피아니스트가 선택에 의해 프랑스인이 된 폴란드 작곡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Chopin's Etudes constitute an "encyclopaedia" of the new style of pianism conceived and presented to the 19th century by the trio Schumann, Chopin and Liszt. Chopin even prescribed them as preparatory pieces for those who wished to attempt his two piano concertos. The term "Etudes-tableaux" ("picture studies") invented by Rachmaninov years later could well be applied to Chopin's 24 studies.
쇼팽 에튀드는 슈만, 쇼팽, 리스트 3인방이 19세기에 새로운 피아니즘 양식을 창조하고 제시한 “백과사전”을 나타낸다. 쇼팽은 그의 두 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예비곡으로 에튀드를 지시하기도 했다. 라흐마니노프가 나중에 만든 “회화적 연습곡”이라는 용어는 쇼팽의 24개 연습곡에 잘 적용될 수 있다.
At a first glance one might well think that the composer had had Bach's "Well-tempered Clavier" in mind when planning and actually composing his 24 etudes. Like Bach he divided the pieces into two books each containing 12 pieces; but he did not follow Bach's use of keys - some he did not use at all, others were used twice, and the relationship within pairs of works differ. Chopin pairs works in their relative keys (e.g. C major with A minor), or keys a fifth apart (e.g. F major with C major), as well as enharmonic variants (e.g. C sharp minor with D flat major). That the pieces were not conceived as a cycle is indicat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composed over a number of years - from 1829 to 1836. Thus the first etudes were written in Poland when Chopin was in love with the beautiful singer Konstancja Gladkowska, while the last pieces were composed in the year of his fateful meeting with Aurore Dudevant, a Parisian femme fatale and novelist with the penname of George Sand. Because the Etudes were published in two books of 12 pieces, it has become practice to perform them one after the other in concert - but this was certainly not intended nor done so by Chopin. It is best to listen to one individual piece, be it exciting or moving, and then listen to it over and over again - thanks to modern technology.
언뜻 보기에 작곡가가 그의 24개 에튀드를 계획하고 실제로 작곡할 때 바흐 평균율을 염두에 두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바흐처럼 그는 곡들을 12곡으로 구성된 두 권으로 나누었다. - 그러나 그는 바흐의 조성 사용을 따르지 않았는데,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도 있고, 두 번 사용한 것도 있으며, 두 작품의 관계는 다르다. 쇼팽은 이명동음(딴 이름 한 소리)의 변조(예를 들면 올림c단조와 내림D장조)일 뿐만 아니라 관계조로 작품을 짝짓거나(예를 들면 C장조와 a단조) 5도 음정 간격의 조성(예를 들면 F장조와 C장조)으로 작품들을 짝짓는다. 곡들이 순환으로 구상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1829년부터 1836년까지 수년에 걸쳐 작곡되었다는 사실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초기 연습곡들은 폴란드에서 쇼팽이 아름다운 가수 콘스탄차 그와드코프스카와 사랑에 빠졌을 때 작곡된 것인 반면, 후기 연습곡들은 필명이 조르쥬 상이라는 필명을 가진 파리의 팜므 파탈이자 소설가인 오로르 뒤드방과의 운명적인 만남을 가졌던 해에 작곡되었다. 에튀드는 12곡씩 두 권으로 나뉘어 출판되었기 때문에, 콘서트에서 그것들을 차례차례 연주하는 연습곡이 되었다. - 그러나 이것은 확실히 쇼팽이 의도한 것도 아니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현대 기술 덕분에 개인적으로 흥분되거나 감동적인 곡을 듣기에 최고이고, 반복적으로 들을 수 있다.
Chopin dedicated the first of the two books (Op. 10) to his contemporary Franz Liszt, and the second (Op. 25) to Liszt's mistress, the Countess Marie d'Agoult, who later abandoned her husband and children in Paris to live with the Hungarian composer and pianist.
쇼팽은 두 권의 에튀드 중 첫 에튀드(작품 10)를 그와 동시대의 프란츠 리스트에게 헌정했고, 두 번째 에튀드(작품 25)는 리스트의 연인인 마리 다구 백작부인에게 헌정되었는데, 그녀는 나중에 헝가리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인 리스트와 살기 위해 파리에서 남편과 아이들을 버렸다.
Just how far Chopin extended the limits of what was once a mere finger exercise is shown by the genial E major Etude Op. 10 No. 3: for Chopin it evoked feelings of his homeland while countless later generations have heard it arranged for various ensembles and even as the basis of a pop song! A dramatic contrast in mood to this extremely melodic work (with its middle section of dazzling, scurrying chords) is offered by the no less popular "Revolutionary" Etude. Written in Beethoven's "defiant" key of C minor, stormy semiquavers swell and subside to train the highly important but often neglected left hand - the study has become a "must" for every aspiring pianist. But Chopin's Etudes go further - they improve the spiritual and poetical aspects of physical training!
쇼팽이 손가락 연습에 지나지 않았던 것의 한계를 얼마나 확장했는지는 쇼팽의 다정한 에튀드 작품 10-3에서 보인다. - 쇼팽에게 그것은 수많은 향수를 불러일으켰는데 후대에 다양한 앙상블로 편곡되었으며 팝송에서도 드물게 들린다! (눈부신, 급히 달리는 화음이 나오는 중간부와 함께) 이 심각한 선율의 작품에 대한 분위기에서 극적인 대조는 역시 인기 있는 <혁명> 에튀드에 의해 제공된다. 베토벤에 “도전적인” c단조로 쓰인 이 곡은 매우 중요하지만 종종 소홀히 하게 되는 왼손을 훈련하기 위해 쓰인 것으로, 폭풍 같은 16분음표들이 부풀어 오르다가 가라앉는다. - 이 연습곡은 피아니스트가 되려는 모든 사람에게 “필수곡”이 되었다. 그러나 쇼팽 에튀드는 더 나아가 신체 훈련의 정신적이고 시적인 측면을 향상시킨다!
Chopin Etude in E, Op. 10 No. 3 Middle Section / 쇼팽 에튀드 작품 10-3 중간부
Chopin Etude in c, Op. 10 No. 12 Left Hand / 쇼팽 에튀드 작품 10-12에서 부풀어 오르다가 가라앉는 왼손
Devil on the Table / 테이블 위의 악마
The undeniable temperament of the highly versatile Ashkenazy can be perceived from a recording of a composition by Franz LISZT which is often considered as one of the less important works in his oeuvre, namely the "Tanz in der Dorfschenke" (First Mephisto Waltz). Ashkenazy can be likened to Liszt, the "Paganini of the keyboard", in two ways: both men wanted, gypsy-like, from country to country as a performing artist for a period of time, and both possessed compelling personal magnetism capable of enrapturing an audience. The latter attribute is precisely what Liszt wanted to express in a composition inspired by Lenau's "Faust" (but whose poem is very different from Goethe's classic play). Similar to Goethe's setting of Auerbach's Keller, the action takes place in an inn, but in this case it is not filled with students but ordinary people who are, of course, a far easier game for Mephistopheles. He leaps onto an enormous table and plays his devilish violin, bewitching his audience until every one of them has abandoned all sense of modesty and debauchery rules supreme. "... and ever more fierily rushing, furious, like a man's cry of exultation, or a maiden's whimper, the fiddle pours out seductive tunes, and all are seized in bacchantic extasy ..."
고도로 다재다능한 아쉬케나지의 부인할 수 없는 기질은 프란츠 리스트의 작품들 중에서 덜 중요한 작품들 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마을 선술집에서의 무도>라는 제목을 가족 있는 <메피스토 왈츠 1번>을 녹음한 것에서 추측될 수 있다. 아쉬케나지는 두 가지 방식으로 “건반의 파가니니”인 리스트에 비유될 수 있다. - 둘 다 일정 기간 동안 공연 아티스트로서 나라마다 다니는 집시 같은 사람이 되길 원했고, 둘 다 청중을 사로잡을 수 있는 강렬한 개성을 소유했다. 후자의 속성은 바로 리스트가 레나우의 서사시 <파우스트>에서 영감을 얻어 쓴 작품에서 표현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러나 레나우의 시는 괴테의 고전 연극과는 매우 다르다.) 괴테의 <파우스트>의 무대가 되었던 지하 술집 “아우어바흐 켈러”와 비슷하게 사건은 선술집(여관)에서 일어나지만, 이 경우에 학생들로 가득 찬 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지만, 물론 메피스토펠레스에게는 훨씬 쉬운 게임이다. 메피스토는 파우스트를 데리고 선술집에 나타나 악사의 바이올린을 집어 들고 테이블 위로 뛰어올라 좌중을 야릇한 환락의 경지로 유혹하면서 악마 같은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방탕함이 지배한다. “... 그리고 항상 불같이 서두르고, 맹렬하며, 격렬한 환호의 외침 같거나 소녀의 변덕, 피들(바이올린)은 매혹적인 곡들을 쏟아내고, 모두 술을 좋아하는 황홀감에 매료된다...”
Thus Satan tempts the aging scholar and philosopher Faust, offering him "youth and eternal love in return for his soul". And as is well known, Faust cannot resist temptation and makes a pact with the devil. But even Satan must tend to his violin - just listen to him tuning up in fifths!
그러므로 사탄은 노학자이자 철학자인 파우스트를 유혹하여 “그의 영혼을 파는 대신 젊음과 영원한 사랑”을 제공한다. 그리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우스트는 유혹에 빠져들어 악마와 계약을 맺는다. 그러나 사탄조차도 그의 바이올린을 좋아해야 한다. - 완전 5도로 조율하면서 그의 연주를 들어라!
[colossal order (= giant order) : (건축) 통기둥식(式): 건조물의 바깥벽을 따라 토대(土臺)에서 맨 위층 처마 끝까지 닿는 기둥을 세우는 양식 (파사드를 분절하고 2개 층 혹은 그 이상을 걸치는데 사용되는 벽기둥이나 반기둥의 채택)]
소나타 B단조와 더불어 리스트의 악마적인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낸 명곡으로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고 있는 메피스토 왈츠 1번은 레나우의 서사시에 나오는 장면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처럼 일종의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메피스토펠레스와 동행했던 파우스트가 어느 시골 선술집으로 들어가 거기서 메피스토펠레스가 켜는 바이올린에 이끌려 검은 눈의 미인과 사랑에 빠진다는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
그 악마적인 힘과 특유의 광란적인 무곡 리듬, 미스터리하고 세속적이며 드라마틱한 전개를 갖추고 있는 이 메피스토 왈츠 1번 피아노 버전은 피아노 연주사에 있어서 대단히 특징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연주자로 하여금 무한한 체력과 강인한 집중력, 고도의 비르투오시티, 상상력 풍부한 극적 감수성을 요구하는 만큼 피아노 레퍼토리에 있어서 난곡중의 난곡으로 손꼽히며, 대단히 특별한 능력을 부여받은 극소수의 연주자만이 성공적으로 연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임스 후네커는 이 작품에 대해 “트리스탄 스코어 가운데 가장 육욕적인 에피소드들을 연상케 하는 나른한 싱코페이션 멜로디를 갖고 있다”라고 이 작품만의 독특한 음악적 특성을 극명하게 설명한 바 있다.
전체적으로 A-B-A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은 온전하지는 않지만 하나의 주제를 제시하고 이를 변형, 대비시킨 뒤 다시금 제시한다는 면에 있어서 3부 형식의 기본을 갖추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맨 처음에 등장하는 첫 번째 부분은 향응이 벌어지고 있는 시골 마을의 한 선술집에 드리워진 메피스토펠레스의 그로테스크한 분위기가 압도적인 힘과 격정적인 리듬을 통해 묘사된다.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했던 만큼 확장된 스케일과 압도적인 다이내믹, 다채로운 표현력, 복잡한 세부 디테일과 내선율들이 피아노 건반을 통해 웅장하게 표현된다. 도입부부터 악마적인 스타카토와 디오니소스적인 옥타브, 종횡무진하는 스케일의 향연이 펼쳐지며 술집의 쾌락적인 분위기와 메피스토펠레스의 그림자를 강렬하게 내비치고, 뒤이어 메피스토펠레스를 상징하는 왼손의 반복되는 음형과 오른손의 도약이 심한 동형진행 리듬을 통해 그로테스크한 왈츠가 전개된다.
두 번째 부분은 파우스트의 구애를 담고 있다. 사랑스럽고 표정을 담아 연주하라는 Un poco meno mosso로서 파우스트를 상징하는 주제는 리듬과 음정, 템포, 다이내믹이 조금씩 변형되며 다양한 모습으로 펼쳐진다. 바그너가 발전시킨 이 리스트의 주제 변형 기법은 헝가리적인 집시 음계와 동형 진행과 반복, 음역을 넘나드는 확장된 스케일을 통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마지막 세 번째 부분에서는 메피스토펠레스의 기묘한 피들 연주가 다시 등장하여 조소하는 듯 혹은 음모를 꾸미는 듯한 분위기를 고조시킨 뒤 음악이 클라이맥스를 향해 돌진하며 광적인 트릴과 스펙터클한 옥타브 연타 및 상하 스케일이 쏟아지는 격정적인 코다로 끝을 맺는다.
- 네이버캐스트에서 발췌
러시안 피아노 스쿨 20장 중에서 한글 부클릿을 안 가지고 있는 음반 3개 중에 하나라서 영어 정보를 발췌한 다음 번역한 것이다. 늘 그렇듯이 번역이 잘 안 되는 문장들이 있었지만 러시안 피아니즘을 워낙 사랑해서 그런지 알아가는 재미가 있었다. mp3 시절에 다른 음반들이랑 중복 관계로 지웠는데 귀한 정보를 스스로가 삭제하다니... 옛날에 속지 읽어보면서 러시안 피아노 스쿨을 대강이라도 공부했는데 지금은 내용을 대부분 까먹었다. 내가 중복 음원이 있으면 해당 음원을 지워도 앨범 표지 같은 건 남겨놓는데 통째로 지웠나보다. 그나마 3개만 없어서 감지덕지~ 그게 어디야... 그래도 나중에 외국 분들한테서 고음질도 구하고 영어 부클릿이라도 구해서 다행이긴 하다. 평소에 음반을 모을 때 앞표지랑 뒤표지를 구하는데 속지까지 있으면 좋겠지만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고음질 음원이니까! 번역자가 영어로 옮길 때 무지 힘들었을 것 같다. 아쉬케나지는 속지가 복사 가능한 pdf 파일이 아닌 관계로 이미지 파일을 보면서 타이핑했다. 영타를 외국 사람들과의 채팅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외웠다지만 이게 뭔 고생이람... 거기에다가 설명도 잔뜩~ 러시안 피아니즘은 공부할 거리를 푸짐하게 제공하니 어쩔 수 없다. 쇼팽 에튀드 Op. 10 No. 3을 팝송으로 편곡한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니 <Careless Love>란 노래가 유튜브에서 나왔다. 해석이 잘 안 되는 부분은 부클릿에서 독일어로도 찾아봤다. 녹음 연도 같은 것을 면밀히 살펴보니 러시안 피아노 스쿨 세 장을 지우지 말고 가지고 있어야 하는 거였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Google Drive / 2024. 11. Geneva Competition Winners 6
1957년 공동 2위 Maurizio Pollini (Italy) /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 01 Maurizio Pollini - Beethoven Complete Piano Sonatas 마우리치오 폴리니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집 8C...
https://classicalpippo9.com/2017/10/24/russian-pianist-school-vol-1-20/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