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31일 일요일
DVD / Andras Schiff, Daniel Barenboim & Yefim Bronfman Play Bach, Beethoven & Brahms 2011
https://www.youtube.com/watch?v=whSrjAwCykc
거장 피아니스트들의 유명 변주곡 실황 공연
EuroArts 직수입 디스크 (오스트리아 SONY DADC 제작) + 한글 번역 내지
Program
Opening
J.S. Bach Goldberg Variations, BWV 988 /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Aria
Variatio 1. a 1 Clav.
Variatio 2. a 1 Clav.
Variatio 3. Canone all’Unisono. a 1 Clav.
Variatio 4. a 1 Clav.
Variatio 5. a 1 ô vero 2 Clav.
Variatio 6. Canone alla Seconda. a 1 Clav.
Variatio 7. a 1 ô vero 2 Clav. al tempo di Giga
Variatio 8. a 2 Clav.
Variatio 9. Canone alla Terza. a 1 Clav.
Variatio 10. Fughetta. a 1 Clav.
Variatio 11. a 2 Clav.
Variatio 12. a 1 Clav. Canone alla Quarta in moto contrario
Variatio 13. a 2 Clav.
Variatio 14. a 2 Clav.
Variatio 15. Canone alla Quinta. a 1 Clav.: Andante
Variatio 16. Ouverture. a 1 Clav.
Variatio 17. a 2 Clav.
Variatio 18. Canone alla Sesta. a 1 Clav.
Variatio 19. a 1 Clav.
Variatio 20. a 2 Clav.
Variatio 21. Canone alla Settima
Variatio 22. a 1 Clav. alla breve
Variatio 23. a 2 Clav.
Variatio 24. Canone all'Ottava. a 1 Clav.
Variatio 25. a 2 Clav.: Adagio
Variatio 26. a 2 Clav.
Variatio 27. Canone alla Nona. a 2 Clav.
Variatio 28. a 2 Clav.
Variatio 29. a 1 ô vero 2 Clav.
Variatio 30. a 1 Clav. Quodlibet
Aria da Capo
... Andras Schiff / 안드라스 쉬프
Beethoven 33 Variations on a waltz by Diabelli, Op. 120 / 베토벤 <디아벨리의 왈츠에 의한 33개 변주곡>
Tema. Vivace
Variations I-XXXIII
... Daniel Barenboim / 다니엘 바렌보임
Brahms Variations &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 브람스 <헨델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Aria
Variation 1
Variation 2 Animato
Variation 3 Dolce
Variation 4 Risoluto
Variation 5 Espressivo
Variation 6
Variation 7 Con vivacita
Variation 8
Variation 9 Poco sostenuto
Variation 10 Energico
Variation 11 Dolce
Variation 12 Soave
Variation 13 Largamente, ma non più
Variation 14 Sciolto
Variation 15
Variation 16 Ma marcato
Variation 17 Più mosso
Variation 18 Grazioso
Variation 19 Leggiero und vivace
Variation 20 Legato
Variation 21 Dolce
Variation 22
Variation 23 Vivace e staccato
Variation 24
Variation 25
Fuga
... Yefim Bronfman / 예핌 브론프만
Bach, Beethoven, Brahms: Keyboard Variations - Written by Anthony Short / 바흐, 베토벤, 브람스 키보드 변주곡 - 앤서니 쇼트의 글
"Cabbage and turnips have driven me away, had my mother cooked meet, I'd have opted to stay." Bach was quite capable of injecting a dose of the seemingly mundane into his music, even when he was at his most cerebral, as in the 'Goldberg' Variations. If his early biographer, Johann Forkel, is to be believed, whenever Bach's extended family got together, they seldom waited long before decorously striking up a chorale: many of the assembled gentleman were, after all, professional church musicians. After a while, however, gentility yielded to joking and jesting, and the men would start singing comic and scabrous popular songs, mixing things together on the spur of the moment, and improvising harmonies to produce what they called a 'quodlibet', which loosely translated from Latin means 'whatever'.
바흐는 흔한 재료를 어머니의 요리 솜씨처럼 자신의 음악 속에 집어넣어 얼마든지 뛰어난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 <골드베르크 변주곡> 같이 매우 지적인 작품을 작곡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바흐의 전기를 처음으로 저술한 요한 포르켈의 기록에 따르면, 대가족이었던 바흐 가족은 식구들이 모두 모여 가족 파티를 열 때마다 언제나 예의를 갖추고 찬송가 합창부터 시작했다. 사실, 바흐의 가족 중에는 교회에 소속된 전문 음악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점잖게 시작된 파티는 잠시 뒤 유쾌한 농담과 장난기 넘치는 분위기로 바뀌고, 남자들이 흥에 취해 여러 가지 선율을 섞어 익살스럽고 세속적인 노래들을 부르기 시작한다. 이른바 ‘쿼들리벳(quodlibet)’이라고 하는 유머러스한 혼성곡인데 즉흥적으로 화성을 만들어 부르는 노래이다. 쿼들리벳이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좋을 대로(whatever)’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In essence, a quodlibet is no more than several different popular tunes combined contrapuntally in a light-hearted manner. This is exactly what Bach provides at the end of his 'Goldberg' Variations when, after more than an hour of serious fare, he alludes to a family quodlibet featuring a selection of lowly brassicas. The title-page of the original score, published in 1741 by Bach's friend Balthasar Schmid in Nuremberg, gives a clear explanation both of the work's contents and its didactic purpose: "Keyboard exercise, consisting of an ARIA with diverse variations for harpsichord with two manuals. Composed for connoisseurs, for the refreshment of their spirits, by Johann Sebastian Bach, composer for the royal court of Poland and the Electoral court of Saxony, Kapellmeister and Director of Choral Music in Leipzig."
쿼들리벳은 원래 두 개 이상의 두루 알려진 곡조를 대위법적으로 교묘하게 짜 맞추어 만든 가벼운 느낌의 작품을 가리킨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에서 마지막 30번 변주는 바로 이 기법으로 작곡되었다. 뉘른베르크에서 바흐의 친구인 발타자르 슈미트가 1741년에 출판한 원래 악보의 속표지는 이 작품의 내용과 그 교훈적인 목적 모두 명확하게 설명한다. “건반 연습, 2개의 매뉴얼이 있는 하프시코드를 위한 다양한 변주곡과 함께 아리아로 구성된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폴란드 왕 겸 작센 선거후 궁정작곡가 겸 라이프치히 카펠마이스터 및 합창 음악 감독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그들의 정신을 회복하기 위해 감정가들을 위해 작곡했다.”
According to Forkel, the work was called 'Goldberg' Variations because it was written for the entertainment of Bach's insomniac patron Court Keyserlingk, who wanted his harpsichordiest Johann Gottlieb Goldberg to play him something 'soothing and cheerful'. Given that Goldberg would only have been fourteen at the time, this story seems decidedly dubious. Furthermore, this monumental set of contrasting variations, which are by turn witty, dance-like and exhilarating, is so brilliant that it surely serves better as a daytime stimulant than as a nocturnal soporific.
포르켈에 따르면, 이 곡이 ‘골드베르크’ 변주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까닭은 불면증으로 고생하고 있던 바흐의 후원자 카이제를링크 백작의 요청에 의해 이 곡을 작곡했고, 백작의 전속 쳄발로 연주자이자 바흐의 제자였던 고틀리프 골드베르크에게 상쾌한 곡을 연주하도록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당시 골드베르크의 나이가 14세에 불과했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신빙성이 떨어진다. 그뿐만 아니라, 대비감이 뛰어난 기념비적인 이 작품은 유머와 재치가 넘치고, 때로는 환희에 찬 춤곡처럼 신나는 곡이기 때문에 한밤에 수면을 위해서라기보다는 한낮에 활력을 얻기 위한 음악으로 알맞다.
In terms of scale and duration, the 'Goldberg' Variations had no rival until Beethoven composed his 'Diabelli' Variations about eighty years later, between 1819 and 1823. Schoenberg argued that in respect of its harmony 'this work deserves to be called the most adventurous work by Beethoven.'
거대한 구성과 긴 연주시간으로 볼 때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18세기에 그 어떤 작품과도 비교 불가였지만, 80년 뒤 1819년에서 1823년 사이에 베토벤이 이에 견줄만한 작품으로서 ‘디아벨리’ 변주곡을 발표했다. 쇤베르크는 ‘디아벨리’ 변주곡이 담고 있는 변화무쌍한 화음과 관련해서 ‘이 곡은 베토벤의 전 작품 중에서도 가장 모험적인 작품’이라고 평했다.
Certainly, Diabelli's original material, which is little more than an innocent waltz theme, is mined so ingeniously that through constant alteration of harmonic and rhythmic elements Beethoven extracts a magnum opus of incredible profundity.
확실히, 베토벤은 디아벨리라고 하는 출판업자의 보잘것없는 짤막한 왈츠를 주제로 하여 리듬과 화음을 놀랍도록 심오하게 확장시켜 33개의 거대한 변주곡을 작곡했다.
The late Michael Steinberg remarked that Diabelli's original waltz 'is almost tuneless, as though both hands were playing accompaniments'. It was this theme that Diabelli sent to dozens of composers working in Austria, possibly as an act of self-promotion for his publishing house. He urged each of them to contribute a single variation to his anthology "Vaterländischer Künstlerverein" (Patriotic Artists' Association). Schubert, Hummel, Czerny, Moscheles and the young Liszt (who was still only twelve when the publication appeared) were among those who obliged.
故 마이클 스타인버그는 디아벨리의 원래의 왈츠는 ‘양손이 반주를 연주하고 있었던 것처럼 거의 변칙이 없다’고 말했다. 디아벨리가 오스트리아에서 일하는 수십 명의 작곡가들에게 보내준 이 주제는 아마도 자신이 1824년 설립한 카피디아벨리출판사의 자체 판촉 행위일 수도 있다. 그는 이 출판사를 통하여 자신이 작곡한 왈츠를 주제로 하여 베토벤이 작곡한 디아벨리 변주곡이 포함된 <조국의 예술가 동맹>도 간행하였다. 슈베르트, 훔멜, 체르니, 모셸레스, (출판물에 등장했을 때 아직도 불과 14세였던) 어린 리스트 등의 작품을 많이 출판하여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Beethoven, however, seems to have got carried away, for he ended up by writing thirty-three variations. One of his more unexpected interventions in the 'Diabelli' Variations is the humorous Variation 22, which he calls 'Allegro molto, alla Notte e giorno faticar di Mozart', a reference to Leporello's aria at the beginning of "Don Giovanni". Was Beethoven grumbling that he too had been working night and day, like Leporello? Who knows!
그러나 베토벤은 33개의 변주곡을 썼기 때문에 흥분한 것 같다. ‘디아벨리’ 변주곡에서 예기치 못한 개입 중 하나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에 처음 나오는 레포렐로의 아리아를 참고한 ‘알레그로 몰토, 밤낮으로 힘들게 일하고’라고 불리는 유머러스한 변주곡 22번이다. 베토벤은 레포렐로처럼 그도 밤낮으로 일하고 있다는 것을 불평하고 있었을까? 아무도 모른다!
In Variation 32 Beethoven builds a powerful triple fugue from Diabelli's unpromising material. The unusual and magical linking passage from this variation to the finial minuet has attracted plenty of critical comment over the course of almost two centuries. Donald Tovey, for instance, wrote how 'the storm of sound melts away, and, through one of the most ethereal and - I am amply justified in saying - appallingly impressive passages ever written, we pass quietly to the last variation.'
변주 32에서는 베토벤이 디아벨리의 보잘것없는 소재에서 강력한 3성부 푸가를 만든다. 이 변주에서 마지막 미뉴에트까지 특이하면서도 신비한 연결 패시지는 거의 2세기 동안 많은 논평을 불러일으켰다. 예를 들어 도널드 토베이는 어땠는지 다음과 같이 썼다. ‘소리의 폭풍이 차츰 사라지고, 가장 미묘한 것 중의 하나를 통해 - 말하기에 충분히 정당화된 - 우리는 소름끼치게 인상적인 패시지가 쓰인 마지막 변주에 조용히 빠져든다.’
In 1856 Brahms wrote to his friend, the violinist Joseph Joachim, decrying the efforts of his fellow composers at writing variations. He said that they would cling nervously to the theme and overload it without making anything new out of it. By contrast, 'Beethoven varies the melody, harmony and rhythms so beautifully.' Five years later, Brahms produced his own 'Handel' Variations, a large-scale piano masterpiece, which he presented to Clara Schumann on her forty-second birthday.
1856년에 브람스는 그의 친구인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아힘에게, 변주곡을 쓰는 것에 있어 동료 작곡가들의 수고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 비난하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 그는 그들이 주제를 신경질적으로 고수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지 않고 과부하 상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조적으로 ‘베토벤은 멜로디, 화성, 리듬을 정말 아름답게 변화시킨다’고 썼다. 5년 후, 브람스는 대형 피아노 걸작 ‘헨델’ 변주곡을 만들었는데, 클라라 슈만을 위해 작곡한 것으로, 그녀의 42번째 생일선물로 보냈다.
Eminent musicians of the day, such as Carl Reinecke, were inclined to remark on the physical strength and mental stamina that are required to perform this work. Even Clara Schumann herself admitted to friends in London how sorry she was that these variations 'about which I am so enthusiastic, are beyond my strength.'
카를 라이네케 같은 당대의 저명한 음악가들은 이 작품을 연주하기 위해 필요한 체력과 정신력에 대해 언급하고 싶어 했다. 클라라 슈만 그녀 자신도 ‘내가 매우 열정적이어서 내 힘을 초월한다는 것에 대해’ 이 변주곡에 얼마나 유감인지 런던에 있는 친구들에게 고백했다.
One suspects that Brahms may have been thinking orchestrally as he composed them.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Walter Niemann, an influential German music critic and pupil of Reinecke, wrote that it is really not too difficult to hear suggestions of woodwind timbres in the second variation, or a resounding horn quartet in the seventh. He outlines numerous other pianistic approximations to instrumental effects and tone colours such as pizzicato and double stopping.
브람스는 그가 작곡한 대로 관현악적으로 생각해왔을 수도 있다. 21세기 초에 영향력 있는 독일의 음악평론가이자 라이네케의 제자인 발터 니만은 변주 2에서 목관악기 음색에 대한 암시 또는 변주 7에서 호른 콰르텟이 울려 퍼지는 것을 듣는 게 실제로 그리 어렵지 않다고 썼다. 그는 피치카토와 더블 스토핑(현악기의 두 현을 동시에 연주하는 것) 같은 기악 효과 및 음색에 대한 수많은 다른 피아니스틱한 것에 가까운 것들을 설명한다.
Malcolm MacDonald writes that "some of Brahms's models in this monumental work are easy enough to identify. In the scale and ambition of his conception both Bach's 'Goldberg' and Beethoven's 'Diabelli' Variations must have exercised a powerful if generalized influence." The theme that Brahms uses is taken from "Trois Leçons", the concluding aria in Handel's keyboard suite in B flat major (HWV 434), which his London publisher issued as one of his "Suites de pièces pour le clavecin". Brahms was a keen antiquarian, and he actually owned a first edition of the Handel suite, which was published in 1733. Doubtless it was the apparent simplicity of the aria that appealed to Brahms, who could emulate the techniques of his revered predecessor, Beethoven, by varying the melody, harmony and rhythms. With these thoughts in mind, there is no question that Handel's theme makes an ideal starting point.
맬컴 맥도널드는 다음과 같이 쓴다. “이 기념비적인 작품에 나오는 브람스의 모델 중 일부는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그의 개념의 규모와 야망에서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베토벤의 ‘디아벨리’ 변주곡 모두 일반화된 영향력을 행사할 때 강력한 힘을 발휘했음에 틀림없다.” 브람스가 사용하는 주제는 헨델의 건반 모음곡 내림B장조(HWV 434)의 마지막 아리아인 <독서 세 편>에서 가져온 것으로, 헨델의 런던 출판사는 그의 <클라브생 모음곡> 중의 하나를 발행했다. 브람스는 열렬한 고서 수집가였으며, 실제로 1733년에 출판된 헨델 모음곡의 초판을 소유했다. 의심할 여지없이 브람스에게 호소한 것은 아리아의 뚜렷한 단순함이었는데, 그는 멜로디, 화성, 리듬을 변화시켜 존경받는 전임자인 베토벤의 테크닉을 모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각들을 염두에 두고, 헨델의 주제가 이상적인 출발점이 된다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내지 번역본이 일부 있으므로 먼저 영어를 타이핑한 다음 집어넣었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Google Drive / 2024. 12. Geneva Competition Winners 7
1961년 1위 Désiré N'Kaoua (France) / 데지레 은카우아 (프랑스) Desire N’Kaoua - Chopin Nocturnes 2022 데지레 은카우아 - 쇼팽 녹턴 전집 2CD Desire N'Kaoua - Ro...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