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2년 2월 13일 일요일

DG / Daniil Trifonov Plays Bach - The Art of Life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ztdlzh2WQbA&list=OLAK5uy_l_sXUk3E-34zHb55yoxYA4Fn6gXKj7a5I

https://www.youtube.com/watch?v=LrEKm3m5tmw

https://www.youtube.com/watch?v=bLRHf_j1dLI

https://www.youtube.com/watch?v=lDAqyl6C-Do

https://www.youtube.com/watch?v=wEJruV9SPao


바흐 푸가의 기법,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 수첩 외

섬세한 터치와 함께 초절기교를 선보이며 평단의 절찬과 대중적 인기를 한 번에 끌어모으고 있는 다닐 트리포노프가 바흐를 연주한다! 우선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소나타,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의 폴로네즈,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의 론도,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의 변주곡과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 수첩>, 그리고 브람스 편곡의 "샤콘느 D단조"를 통해 바흐 일가가 이루어낸 위대한 음악 유산을 전체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무엇보다 바흐의 미완성 <푸가의 기법>을 트리포노프가 새롭게 마지막 푸가를 완성한 연주를 놓쳐서는 안 되며,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으로 위대한 거목 바흐, 그 뒤를 이은 수많은 나무와 숲, 그리고 그 밑에 앉은 트리포노프의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오푸스 클래식 어워드 2021 올해의 연주자

다닐 트리포노프가 연주하는 바흐


"이 앨범은 사랑에 대한 헌사입니다." - 다닐 트리포노프


다닐 트리포노프는 이번 앨범에서 바흐의 가족, 사랑, 상실, 신앙을 통해 ‘인간 바흐’의 삶을 조명한다. 앨범은 바흐가 남긴 위대한 유산, 그의 아들들이 작곡한 곡들로 시작한다.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소나타,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의 폴로네즈,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의 론도,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의 변주를 수록했다.


이어지는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 수첩’은 바흐가 두 번째 아내에게 바치는 소품 모음집으로, 가족을 향한 바흐의 깊은 사랑을 조명한다. 한편 함께 수록된 ‘샤콘느 D단조’ 브람스 편곡 버전을 통해 첫 번째 부인의 죽음 이후 바흐가 느꼈던 애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앨범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푸가의 기법’에 대해 트리포노프는 “바흐가 쌓아온 개인적, 영적, 과학적, 인문학적 지식을 고스란히 음악으로 담아낸 지극히 귀중한 보물”이라고 설명하며 섬세한 연주로 보여준다. 미완성인 이 작품에 직접 작곡한 마지막 푸가를 추가하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푸가를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트리포노프는 마이라 헤스가 편곡한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을 담아 앨범을 끝맺는다.



CD1

01 Johann Christian Bach Sonata No. 5 in A, Op. 17/5: I. Allegro /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소나타 5번

02 Johann Christian Bach Sonata No. 5 in A, Op. 17/5: II. Presto

03 Wilhelm Friedemann Bach Polonaise No. 8 in e, Fk 12/8 /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폴로네즈 8번

04 Carl Philipp Emanuel Bach Clavier-Sonaten und freye Fantasien nebst einigen Rondos fur Kenner und Liebhaber, Vol. 5: IV. Rondo in c, Wq 59/4 (H. 283) /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론도

05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Thema (Allegretto) /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 <아, 어머니 당신께 말씀드릴게요>에 의한 변주곡

06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

07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2

08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3

09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4 Minore

10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5 Maggiore

11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6 Tempo di minuetto

12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7

13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8 Schwabisch (non allegro)

14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9 Minore (tranquillo)

15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0 Maggiore (Tempo I)

16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1

17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2 Alla Siciliano

18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3

19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4

20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5 (piu andante)

21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6 (Tempo I)

22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7 Minore

23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Allegretto con variazioni ('Ah, vous dirai-je, maman'), Wf 12/2: Var. 18 Maggiore (allegro)

24 Johann Sebastian Bach Musette in D, BWV Anh. 126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뮈제트

25 Johann Sebastian Bach Aria 'Gedenke doch, mein Geist, zurucke', BWV 509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기억하라, 나의 영혼이여, 돌아가라>

26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a, BWV Anh. 120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a단조

27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F, BWV Anh. 113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F장조

28 Johann Sebastian Bach Polonaise in F, BWV Anh. 117b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폴로네즈 F장조

29 Johann Sebastian Bach (Polonaise) in d, BWV Anh. 128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폴로네즈) d단조

30 Johann Sebastian Bach Choral 'Gib dich zufrieden und sei stille', BWV 511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코랄 <자족하고 신 안에서 잠잠하라>

31 Christian Petzold Minuet in G, BWV Anh. 114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크리스티안 페촐트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G장조

32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G, BWV Anh. 116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G장조

33 Carl Philipp Emanuel Bach Polonaise in g, BWV Anh. 125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폴로네즈 g단조

34 Johann Sebastian Bach Minuet in c, BWV Anh. 121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미뉴에트 c단조

35 Gottfried Heinrich Stolzel: Bist du bei mir (Formerly Attrib. J.S. Bach as BWV 508, Notebook for Anna Magdalena Bach 1725)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슈퇼첼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중 <당신이 내 곁에 계신다면>

36 Brahms 5 Studies, Anh. 1a/1: V. Chaconne for the Left Hand (after Violin Partita No. 2 in d, BWV 1004 by J.S. Bach) / 브람스 왼손을 위한 샤콘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2번 5악장 편곡)

37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푸가의 기법>

38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2

39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3

40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4

41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5


CD2

01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6 [per Diminutionem] in Stylo Francese

02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7 per Augmentationem et Diminutionem

03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8

04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9 alla Duodecima

05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0 alla Decima

06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1

07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2] [rectus]

08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2 inversus

09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3] [rectus]

10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3] inversus

11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in Hypodiatessaron] per Augmentationem in Contrario Motu

12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in Hypodiapason (Canon alla Ottava)

13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alla Decima in Contrapunto alla Terza

14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anon alla Duodecima in Contrapunto alla Quinta

15 Johann Sebastian Bach: The Art of Fugue, BWV 1080 - [Contrapunctus 14] (Fuga a 3 Soggetti) [fragment, completed by Daniil Trifonov] / (다닐 트리포노프 완성)

16 Johann Sebastian Bach/Myra Hess: Jesu, Joy of Man's Desiring (Chorale from the Cantata 'Herz und Mund und Tat und Leben', BWV 147)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 (마이라 헤스 편곡)



Bach – a Life in Polyphony / 바흐 – 다성음악의 삶

Daniil Trifonov’s new album, “Bach: The Art of Life”, explores the scientific, emotional and spiritual dimensions of Johann Sebastian Bach’s cosmos. Centred around Bach’s late, mystical masterpiece, “The Art of Fugue”, Trifonov’s project investigates the man behind the myth – a genius of humility and humour, whose family, loves, losses, and devotion inspired what Daniil Trifonov calls “some of humanity’s most emotionally rich and fascinatingly sophisticated expressions in music”.


다닐 트리포노프의 새로운 앨범 <바흐 : 삶의 예술>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세계에 대한 과학적, 정서적, 영적 차원을 탐구한다. 바흐 후기의 신비로운 걸작 <푸가의 예술>에 초점을 맞추는 트리포노프의 프로젝트는 신화 뒤에 숨은 사람들을 조사한다. 가족, 사랑(연애), 상실, 헌신(믿음)에 영감을 받은 겸손과 유머의 천재는 다닐 트리포노프가 “음악에서 인류의 가장 감동적이고 매력적인 작품 중 일부”라고 부르는 것에 영감을 주었다.


“Bach is of course a legend, an icon, a musical brand,” says Trifonov. “History sets him, like many geniuses, on a pedestal – untouchable and unmoving, like a sculpture.” He continues: “We know Bach was a pious man, and that he worked very hard. Yet we also know that Bach was a family man, and that he fell in love (more than once); his music tells us he had a sense of humour, a sense of melancholy, and a sense of pride. He knew how to have fun. There are many indications of a real, personal biography to a composer whose creativity was fired by a passionate soul.” The repertoire selected for this album is arranged to enrich that human appreciation.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흐는 물론 전설이자 우상이자 음악 브랜드입니다. 많은 천재처럼 역사는 그를 받침대로 끌어올렸는데, 그는 조각품처럼 만질 수 없고 움직일 수 없는 곳에 서 있죠.” 그는 계속한다. “우리는 바흐가 경건한 사람이었으며 매우 열심히 일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바흐가 가장이었으며, 그가 (한 번 이상) 사랑에 빠졌다는 것도 알고 있는데, 그의 음악은 그의 유머 감각, 우울함, 자부심을 보여줍니다. 그는 즐기는 방법을 알고 있었죠. 정열적인 영혼으로 창조성을 발휘한 작곡가에 대한 실제로 개인적인 전기에 대한 언급이 많이 있어요.” 이 앨범에 수록된 레퍼토리는 바흐의 인간적인 면이 강조되도록 의도적으로 짜였다.


“At the same time,” Trifonov explains, “in Bach’s pre-Enlightenment era composing music was not considered an expression of individual imagination, it was rather an act of devotion – of revelation.” The dominant philosophy of Bach’s age indeed regarded music as equivalent to mathematics and science as a means of uncovering the laws of nature, or, in the language of the day, revealing God’s plan of the universe – “Complex structural relationships in music,” says Trifonov, “in particular those expressed through polyphony, were seen as a miracle of the universe, and a means to help us understand it.”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동시에 바흐의 계몽 시대 이전의 작곡은 개인적인 상상의 표현이 아니라 오히려 헌신의 표시, 즉 계시로 이해되었어요.” 바흐 시대의 지배적인 철학은 참으로 음악을 수학과 과학에 해당하는 자연법칙을 밝히는 수단으로, 또는 당시의 언어로 우주에 대한 신의 계획을 계시하는 수단으로 간주했다. (현대의 견해에 따르면 당시의 음악은 수학과 과학과 대등한 수준으로, 그것들은 자연법칙을 이해하거나 당시의 언어로 신의 계획을 계시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 “음악에서 복잡한 구조적 관계, 특히 다성음악을 통해 표현되는 관계는 우주의 기적이자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 여겨졌죠.” 트리포노프가 말한다.


Similar to Johannes Kepler’s celestial physics and Isaac Newton’s calculus, Bach musical polyphony was for Bach and his German Baroque contemporaries the tool of logic by which to construct, in Trifonov’s words, “a sonic image of God’s natural laws, in all their complexity. Music’s purpose was in that sense the same as that of religion: to explain and exalt the mysterious, divine order of nature.”


요하네스 케플러의 천체 물리학 및 아이작 뉴턴의 미적분학과 유사하게, 바흐의 다성음악은 바흐와 그의 독일 바로크 동시대인들에게 있어서, 트리포노프의 말에 따르면 “모든 복잡성 속에서, 신의 자연법칙의 음향적 이미지”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논리적 도구였다. “그런 의미에서 음악은 종교와 같은 목적을 지니고 있는데, 신비하고 신성한 자연의 질서를 설명하고 찬양하기 위해서요.”


Because of Bach’s incomparable intellectual mastery of western music’s formal and harmonic possibilities, his art offers the most comprehensive synthesis of this purpose. As Trifonov puts it, “Bach’s music combines compelling logical depictions of the mechanics of nature with an intensity of human emotion unique for his age.” The result provides a glimpse of a flesh-and-blood Bach, a timeless study in the Art of Life.


서양 음악의 형식적, 화성적 가능성에 대한 바흐의 비할 데 없는 지적인 장악 덕분에, 그의 예술은 이러한 목적을 가장 포괄적으로 종합한다. 트리포노프가 말하듯이 “바흐의 음악은 자연의 역학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리적 묘사와 그의 시대에 독특했던 인간의 강렬한 감정을 결합합니다.” 그 결과 <삶의 예술>에 대한 시대를 초월한 연구를 제공하는, 평범한 인간 바흐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Trifonov’s album locates Bach firmly in the midst of his sprawling family. The youngest of eight children, Johann Sebastian was born in 1685 into a musical dynasty in Eisenach, a prosperous, medieval German town on the Hörsel river between the Thuringian forests and the Hainich mountains. For Bach, the sense of growing up in a bustling home, full of music and musicians, was natural. After marrying Maria Barbara Bach (1684–1720) in 1707, Johann Sebastian continued this tradition, fathering seven children with Maria Barbara, and, following her untimely death in 1720, another thirteen with his second wife, Anna Magdalena (born Wilcke, 1701–1760). “We think of Bach as a deeply serious, Protestant man dedicated only to his music,” says Trifonov, “but Bach was also clearly a devoted husband and father. The Bach home was certainly a boisterous place, full of love and laughter.”


트리포노프의 앨범에서 바흐는 그의 대가족에 확고하게 뿌리를 두고 있다. 8형제 중 막내인 요한 제바스티안은 1685년 튀링겐 숲과 하이니히 산맥 사이의 회르젤 강변에 있는 번영한(부유한) 중세 독일 마을인 아이제나흐의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바흐가 음악과 음악가로 가득한 활기찬 가정에서 자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1707년에 마리아 바르바라 바흐(1684~1720)와 결혼한 후 요한 제바스티안은 이 전통을 이어받아 그녀와 함께 7명의 자녀를 두었고, 1720년 그녀가 사망하자 두 번째 부인인 안나 막달레나(빌케 출생, 1701~1760)와 함께 또 다른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는 바흐를 자신의 음악에만 전념하는 매우 진지한 개신교 신자라고 생각하지만, 바흐는 분명히 헌신적인 남편이자 아버지이기도 했죠. 바흐의 집은 확실히 사랑과 웃음이 가득한 떠들썩한 곳이었어요.”


Thirty-four years separated the births of Johann Sebastian’s eldest child, Catharina Dorothea (1708–1774) and his youngest, Regina Susanna (1742–1809). With father Bach working prodigiously as organist, Kapellmeister and composer in the ducal courts of Weimar and Köthen, and later as cantor at the Thomas kirche in Leipzig, the eldest children helped their parents raise the youngest. Both the boys and the girls received musical instruction, and the album that Johann Sebastian compiled to that end, the so-called “Anna Magdalena Bach Notebook” is a deeply personal album of musical vignettes that, like a scrapbook, brings together family favourites, tokens of affection, inside jokes, and pieces evidently from the children’s studies.


요한 제바스티안의 장녀 카타리나 도로테아(1708~1774)와 막내 레기나 주잔나(1742~1809) 사이에는 34년의 세월이 있다. 아버지 바흐와 함께 바이마르와 쾨텐의 공국 궁정에서 오르간 연주자, 악장, 작곡가로 훌륭하게 일했으며, 나중에는 라이프치히의 토마스 교회에서 성가대의 선창가로 일했으므로, 큰아이들은 부모님이 어린아이들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했다. 소년과 소녀 모두 음악적 지도를 받았고, 이를 위해 요한 제바스티안이 편찬한, 이른바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은 스크랩북처럼 가족이 좋아하는 음악, 애정의 표시, 내면의 농담, 분명히 아이들의 수업에서 나온 곡들이 하나의 앨범처럼 뭉쳐서 구성되어 있다.


Anna Magdalena was herself an accomplished singer and keyboard player and had a significant hand in the musical education of the Bach children. There has been musicological speculation that some anonymous pieces in the “Anna Magdalena Bach Notebook” (not all the works are by Johann Sebastian) could have actually been by Anna Magdalena herself. “The fact of the matter is,” as Trifonov says, “that between them, Johann Sebastian and Anna Magdalena must have been phenomenal teachers and have nurtured the family musical tradition. Together, they influenced more than a century of music to come: 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Mozart. Carl Philipp Emanuel Bach’s (1714–1788) musical language, in conscious opposition to the style of his father, jumps directly to the world of Beethoven. In his tender vulnerability, Wilhelm Friedemann Bach (1710–1784) is a precursor to Chopin. And lastly, the music of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1732–1795) bears infectious playfulness that we can hear later in the music of Rossini.”


안나 막달레나는 그녀 자신이 뛰어난 가수이자 건반악기 연주자였으며 바흐 아이들의 음악 교육에 중요한 역할(지대한 공헌)을 했다.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모든 작품이 요한 제바스티안의 작품은 아님)에 있는 익명의 일부 곡들이 실제로 안나 막달레나 자신의 작품일 수 있다는 음악학적 추측(가정)이 있었다. 트리포노프가 말하듯이 “사실상 요한 제바스티안과 안나 막달레나는 훌륭한 교육자였으며 가족의 음악적 전통을 키웠음이 틀림없어요. 그들은 함께 한 세기가 넘는 음악에 영향을 미쳤는데,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1735~1782)는 모차르트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1714~1788)의 음악적 언어는 그의 아버지 스타일에 의식적(의도적)으로 반대되는 방식으로 우리를 베토벤의 세계로 직접 안내합니다.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1710~1784)는 그의 섬세한 취약성에서 쇼팽의 선구자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1732~1795)의 음악은 우리가 훗날 로시니의 음악에서 들을 수 있는 전염성 있는 장난기를 담고 있죠.”


In recognition of Anna Magdalena’s unmistakable imprint on Johann Sebastian’s life and legacy, Trifonov includes in this album the playful variations on “Ah, vous dirai-je, maman” by 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placed between characteristic compositions by the aforementioned sons and extracts from the “Anna Magdalena Notebook”. “Interestingly,” observes Trifonov, “the aria ‘Bist du bei mir’ (No. 25 in the ‘Notebook’) was composed by Gottfried Heinrich Stölzel. Johann Sebastian and Anna Magdalena’s first son was named Gottfried Heinrich. It is possible to speculate that this piece was their love song, making its inclusion in the Notebook (and the heart of this album) particularly poignant.”


안나 막달레나가 요한 제바스티안의 삶과 유산에 미친 영향을 인정하여, 트리포노프는 이 앨범에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의 <아, 어머니 당신께 말씀드릴게요>에 의한 장난스러운 변주곡을, 앞서 언급한 아들들의 특징적인 작품들과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의 발췌곡들 사이에 넣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관찰한다. “흥미롭게도 아리아 ‘당신이 내 곁에 계신다면’(‘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 25번)은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슈퇼첼이 작곡했는데요. 요한 제바스티안과 안나 막달레나의 첫째 아들의 이름이 고트프리트 하인리히였죠. 이 곡이 그들의 사랑 노래였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는데,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 수첩’(그리고 이 앨범의 핵심)에 수록되어 특히 감동적입니다.”


Anna Magdalena was not Bach’s only love. Little is known about Bach’s first wife (and second cousin), Maria Barbara, or the life they shared. The cause of her premature death is not recorded. Yet we know Johann Sebastian was away at the time and that his grief upon learning of her passing was immense. Bach’s Chaconne (from the D minor Partita for solo violin), which Trifonov describes as “one of the most powerful, sorrowful and tragic pieces ever written”, was composed very shortly after Maria Barbara’s death, and is credibly thought to be a widower’s brooding lament.


안나 막달레나는 바흐의 유일한 사랑이 아니었다. 바흐의 첫 번째 아내(그리고 육촌)인 마리아 바르바라나 그들이 함께 살았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녀의 조기 사망 원인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요한 제바스티안이 그 당시에 자리를 비웠고(여행 중이었고) 그녀의 죽음을 알게 된 그의 슬픔이 엄청났다는 것을 알고 있다. 트리포노프가 “지금까지 쓰인 가장 강렬하고 슬프며 비극적인 곡 중 하나”라고 묘사한 바흐의 샤콘느(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 2번 d단조)는 마리아 바르바라가 죽은 직후에 작곡되었으며 깊이 슬퍼하는 남편의 한탄으로 설득력 있게 묘사된다.


Against this anguished personal backdrop, the Chaconne provides an illustration of “the confluence of Bach’s inner and outer worlds”, as Trifonov calls it, “a moment of profound personal introspection expressed in a language of divine veneration and penetrating logical rigour. In other words, a polyphonic prayer.”


이 고통스러운 개인적 배경에서 샤콘느는 “바흐의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의 합류점(내부 세계와 외부 세계가 함께 성장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트리포노프가 부르듯이 “신의 숭배와 설득력 있는 논리적 엄밀함의 언어로 표현된 심오한 개인적인 성찰의 순간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다성부의 기도입니다.”


Such confluence and spiritual meditation also form the basis for Bach’s late masterpiece, “The Art of Fugue”. “For Bach,” Trifonov states, “polyphony was the most powerful tool to both describe and express nature. And Bach’s favourite form of polyphony was the fugue.” Written in sequence during the last decade of the composer’s life, ‘The Art of Fugue’ “represents the seminal musical expression of Bach’s personal, spiritual, scientific and humanistic knowledge”.


이러한 합류(세계의 동반성장)와 영적 명상은 바흐의 후기 걸작 <푸가의 예술>의 기초이기도 하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흐에게 다성음악은 자연을 묘사하고 표현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효과적인 수단)였어요. 그리고 바흐가 가장 좋아하는(선호한) 다성음악 형식은 푸가였죠. 작곡가의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순서대로 작곡된 ‘푸가의 예술’은 바흐가 쌓아온 개인적, 영적, 과학적, 인문학적 지식을 고스란히 음악으로 담아낸 지극히 귀중한 보물입니다.”


An extended set of fourteen fugues of increasing polyphonic complexity, and four related canons, all in a single key based on the same four-bar theme, “The Art of Fugue” is a masterful study that reaches into the furthest dimensions of polyphony within the strictest possible formal parameters. “As with many of Bach’s greatest works,” Trifonov explains, “the piece can be understood as both architecture and allegory, on both physical and metaphysical planes – appreciable in this life and the next.”


다성부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14개의 푸가와 4개의 관련된 카논으로 구성된 확장된 모음집인 <푸가의 예술>은 모든 곡이 동일한 4마디 주제를 기반으로 하는 단일 조성이므로, 가장 엄격한 형식의 가능한 한도 내에서 다성음악의 모든 차원에 도달하는 거장다운 연구를 형성한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바흐의 많은 위대한 작품과 마찬가지로 이 곡은 형이상학적 수준뿐 아니라 물리적 수준에서도 구조적으로나 비유적으로나 이해될 수 있는데, 내세와 마찬가지로 이 세상에서도 중요합니다.”


“The Art of Fugue” is partly an exploration of the application of various sophisticated mathematical principles and other scientific concepts to techniques of musical development. “As a description of time through space,” Trifonov argues, “the vision and insight is extraordinary. The canons can be seen as a masterful artistic illustration of quantum entanglement; the mirror fugues are a musical description of matter-anti-matter theory, the diminished fugues as an analogy of gravitational time bending, and so on.”


<푸가의 예술>은 부분적으로 복잡한 수학적 원리와 기타 과학적 개념을 대위법 기법에 적용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공간을 통한 시간의 묘사로서 비전과 통찰력이 비범해요. 카논은 양자 얽힘에 대한 뛰어난 예시로 볼 수 있는데, 물질-반물질 이론에 대한 음악적 묘사인 반사(거울) 푸가, 중력의 시간 확장과 유사한 반음 줄인 푸가 등이 있죠.”


“At the same time,” maintains Trifonov, “Bach understood that purely polyphonic music can lack a certain emotional magnetism. And it is not”, he continues, “simply abstract. ‘The Art of Fugue’ was written to be played and heard. For an interpreter, the music is of such emotional power and indescribable beauty, that one is compelled to imagine each piece in sequence as a response to its predecessor.” As a cohesive narrative, the cycle can be an expression of theological exegesis. According to Trifonov, “The first seven fugues recall the seven days of Creation. Then on the eighth (day/fugue) Bach introduces a new theme – with a tritone, which was of course a symbol of the Devil. The ninth fugue is the most angry and conflicted one, telling the story of the banishing from Eden.” Another theory suggests the first twelve fugues as portraits of the twelve Apostles, with Jesus and perhaps Mary, or even God himself completing the set.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동시에 바흐는 순수한 다성음악에는 감정적 호소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했어요.” 그는 계속한다. “그리고 그건 단순히 추상적이지 않아요. ‘푸가의 예술’은 연주하고 듣기 위해 작곡되었는데요. 해석자에게 이 음악은 감정의 힘과 형언할 수 없는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어서 이전 것에 대한 반응으로 각각의 곡을 순서대로 상상할 수밖에 없죠.” 응집력 있는 묘사(서술)로서 이 전곡은 신학적 주석의 표현이 될 수 있다. 트리포노프에 따르면 “첫 7개의 푸가는 창조의 7일을 회상(의미)합니다. 그런 다음 8번째(날/푸가)에서 바흐는 새로운 주제를 소개하죠. – 물론 악마의 상징인 3온음으로요. 9번째 푸가는 가장 멀고도 갈등적인 곡으로, 에덴에서 추방된 이야기를 담고 있죠.” 또 다른 이론에 따르면, 처음 12개의 푸가는 열두 사도를 묘사하며 예수와 아마도 마리아, 또는 신 자신이 이 시리즈를 완성한다.


The cycle can also be interpreted in a broader sense of spiritual devotion. “After listening to the work at home and in concert for more than two years,” Trifonov says, “my wife suggested another narrative: each fugue can be a different person entering a church, each a complex psychological emotional portrait of that person and their individual motivation for being drawn to prayer.” One fugue after another offers a window into the pilgrim’s soul. “Especially in slow, soft fugues,” he continues, “we can hear how vulnerable, sensitive, nostalgic and even wounded these humans are. There is fear and insecurity about one’s forgiveness in front of God. Seen in this way, ‘The Art of Fugue’ is a deeply psychological work.”


이 전곡은 또한 더 넓은 의미의 영적 헌신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2년 넘게 집과 콘서트에서 작품을 들은 후, 아내가 또 다른 이야기를 제안했는데, 따라서 모든 푸가는 교회에 들어가는 사람을 나타내며, 각각 그 사람의 복잡한 심리의 정서적 초상화와 기도하고 싶은 개인적인 이유를 그리죠.” 따라서 각각의 푸가는 순례자의 영혼을 들여다볼 수 있는 새로운 창을 제공한다. 그는 계속한다. “특히 느리고 부드러운 푸가들에서 우리는 이 사람들이 얼마나 취약하고 민감하며 향수를 불러일으키거나 심지어 상처를 입기까지 하는지 들을 수 있습니다. 그들에게는 신 앞에서의 용서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있죠. 이런 의미에서 ‘푸가의 예술’은 심오한 심리적 작품입니다.”


Through whichever prism one interprets the first thirteen fugues and their corresponding canons, there is no mistaking the act of breathtaking audacity and gripping humanity embedded in the culminating fourteenth fugue. There, this most perfectly scientific manifestation of sacred iconography and devotional narrative coalesces in autobiographical form – with the composer self-consciously transforming the theme into an inscription of his own name. The final revelation of Bach’s polyphonic mastery is B – A – C – H (B flat – A – C – B natural), deliberately and repeatedly intoned in the final fugue, one that Bach left unfinished at his death.


어떤 프리즘을 사용하여 첫 13개의 푸가와 이에 관련된 카논을 해석하든지, 절정을 이루는 14번째 푸가의 숨 막힐 듯한 대담함과 감동적인 인간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인상적이다. 여기에서 신성한 도해법과 경건한 이야기의 가장 완벽하게 과학적인 표현이 자전적 형식으로 합쳐진다. – 작곡가는 자신의 이름을 자신 있게 새겨서 주제를 바꾼다. 바흐의 다성부 장악에 대한 마지막 계시는 B – A – C – H(B플랫 – A – C - B내추럴)이며, 바흐가 죽을 때 미완성으로 남겨둔 마지막 푸가에서 의도적으로 반복하여 불린다.


Is Bach, at the end of “The Art of Fugue”, at the end of his life, the final pilgrim to enter the church, approaching the altar to plead for his eternal soul? Or are each of the preceding fugal variations manifestations of different aspects of the composer’s own nature, in all its human complexity? Is it Bach’s pious confession or an act of defiance? Is the fugue’s unfinished nature indicative of Bach succumbing to mortal frailty, a commentary on our imperfect nature as a species, or the composer, as in the Garden of Eden, recoiling upon recognizing his own naked image? The mystery magnifies the work’s fascination.


바흐는 <푸가의 예술>의 끝자락, 삶의 마지막에 교회에 입성하는 마지막 순례자이며, 자신의 영원한 영혼을 위해 제단에 다가가는 것일까? 아니면 이전의 각각의 푸가 변주는 모든 인간의 복잡성 속에서 작곡가 자신의 본성의 다양한 측면을 나타내는 것일까? 바흐의 경건한 고백인가 아니면 반항의 행동인가? 푸가의 미완성인 성격은 바흐가 인간의 불완전한 본성에 대한 흔적인 필멸의 나약함에 굴복하고 있음(바흐의 나약함과 임박한 죽음)을 나타내는 것인가 아니면 에덴동산에서처럼 작곡가가 자신의 벌거벗은 이미지를 인식하고 움츠러드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가? 신비로움이 작품의 매력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그 비밀은 이 작품에서 흘러나오는 매력을 높인다.)


Trifonov completes Bach’s last fugue applying the same logic and mechanical dexterity to the thematic material Bach prescribes throughout the cycle, then offers “Jesu, Joy of Man’s Desiring” as an epilogue, dissolving worldly polyphonic structures with a cathartic chorale depicting Bach’s eternal deliverance on wings of love.


트리포노프는 이 전곡에 걸쳐 바흐가 규정하는 것과 같은 논리와 장인 정신으로 주제의 소재를 처리하여 바흐의 마지막 푸가를 완성하고 나서 에필로그로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을 연주하는데, 사랑의 날개 위에서 바흐의 영원한 구원을 묘사하는 카타르시스의 코랄(정화의 합창)로 세속적인 다성부의 구조를 녹인다.


Indeed, Trifonov concludes, “This album is, in many ways, about love: the romantic love between husband and wife; familial love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love for the Creator.” At the conclusion of “The Art of Fugue”, at the climax of this infinitely sophisticated composition and emotional journey, at the destination of this album, those loves are united in an outpouring of boundless passion. With the B – A – C – H motif (which is subtly prefigured in the eleventh fugue), Bach breaks free of the self-effacing Platonic shackles of his age and, if not for the first time, then in the most bold and bare form, locates the artist himself as the thematic subject of his art.


실제로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 “이 앨범은 여러 면에서 사랑에 관해 이야기하는데, 남편과 아내 사이의 낭만적인 사랑, 부모와 자녀 사이의 가족적인 사랑, 그리고 창조주에 대한 사랑입니다.” <푸가의 예술>의 끝자락에서, 이 정교한 작품과 감성적 여정의 절정에서, 이 앨범의 목적지에서, 그 사랑들이 하나로 뭉쳐 무한한 열정이 솟구친다. B – A – C – H 모티프(11번째 푸가에서 미묘하게 미리 형상화)를 통해 바흐는 자기 시대의 정신적인 사랑의 족쇄를 풀고, 처음이 아니더라도, 그런 다음 가장 대담하면서도 벌거벗은(가장 과감하게 그리고 가장 직접적인) 형식으로 예술가 자신을 그의 예술의 주제와 관련된 대상으로 놓는다.


In so doing, Johann Sebastian carves his mark on the tree-trunk of humanity, not just in his own name, but that of all the Bachs – immortalized in the Art of Life.


그렇게 함으로써 요한 제바스티안은 인류의 나무줄기에 자신의 이름뿐만 아니라 바흐의 모든 작품에 “삶의 예술”에 의한 불후의 명성을 새겼다.


Oscar Alan / 오스카 앨런 글







Daniil Trifonov Plays Bach - The Art of Life [Encore Edition] 2022

Daniil Trifonov - Canon (Counter-Retrograde, based on Bach's 'The Art of Fugue') [bonus track] / 다닐 트리포노프 - 카논


영어와 독어를 절충하여 번역했다. 뮤직비디오에서는 파치올리 피아노로 연주하는데 나머지 다른 맛보기 동영상에서는 스타인웨이 피아노로 연주한다. <기억하라, 나의 영혼이여, 돌아가라>라는 제목은 정확한 뜻을 찾지 못해서 내가 번역한 것이다. 앙코르 에디션을 받게 되어 음반을 하나 더 가지게 되었는데, 이전에 작성했던 포스팅을 지우고 다시 만들었다. 디지털 음원으로 보너스 트랙이 하나 더 있다.

댓글 2개:

  1. Neige눈사람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drive/u/0/folders/1wpfdQBgpLO2L-FFwchXvfngzHkuX1Yxh

    You have to download until 28 February 2022.

    2022년 2월 28일까지 받으세요.

    답글삭제
  2. https://rutracker.org/forum/viewtopic.php?t=6120649

    답글삭제

Google Drive / 2025. 01. Geneva Competition Winners 8

1986년 1, 2위 없는 공동 3위 Aleksandar Madžar (Serbia) / 알렉산다르 마자르 (세르비아) Aleksander Madzar, Dmitri Kitaenko & Frankfurt Radio Symphony Orch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