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k
01 Belle of the Ball / 무도회의 여왕
02 Horse & Buggy / 말과 마차
03 The Waltzing Cat / 왈츠를 추는 고양이
04 Blue Tango / 우울한 탱고
05 Summer Skies / 여름날의 하늘
06 Song of the Bells / 종의 노래
07 The Typewriter / 타자기
08 The Syncopated Clock / 고장 난 시계
09 The Girl in Satin / 공단옷 입은 소녀
10 China Doll / 중국 인형
11 Saraband / 사라방드
12 Fiddle-Faddle / 실없는 짓거리
13 Sleigh Ride / 썰매 타기
14 Serenata / 세레나타
15 Promenade / 산책
16 Chicken Reel / 비틀비틀 병아리걸음
17 The Phantom Regiment / 도깨비 연대
18 Jazz Legato / 재즈 레가토
19 Jazz Pizzicato / 재즈 피치카토
20 Plink, Plank, Plunk! / 플링크, 플랭크, 플렁크!
21 The Bluebells of Scotland / 스코틀랜드의 푸른 종
22 The First Day of Spring / 봄의 첫날
23 Song of Jupiter / 주피터의 노래
Frederick Fennell conducts Music of Leroy Anderson
That Leroy Anderson (1908-1975) made his unique musical bed and lay in it so conspicuously well affords defensible proof, once more, for the logic that light symphonic music is in its own way as sought after and personal an expression of the taste of the times that engender it as are the elegant musical counterpanes embroidered for those same times by more earnest composers. To express accurately this always-changing taste is praiseworthy; to do so with true stylistic clarity and forthrightness is better and rarer.
르로이 앤더슨(1908~1975)이 자신의 독특한 음악적 침대를 만들고 그 위에 눈에 띄게 잘 눕혔다는 것은 변호할 수 있는 증거를 다시 한번 제공하는데, 가벼운 교향악은 그 자체로 추구하는 바이며, 더 진지한 작곡가들이 같은 시대를 위해 수놓은 우아한 음악적 침대보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낳는 시대의 취향을 개성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논리 때문이다. 시시각각 변하는 이 취향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칭찬할 만한데, 진정한 양식의 분명함과 솔직함으로 그렇게 하는 것이 더 좋으면서도 드물다.
There are many evidences of the individuality of Anderson’s work: his apparently effortless way with melodies and syncopated rhythms, for instance; his imaginative use of percussion instruments and his broadly humorous experiments with sound effects; the remarkable ease of his music forms; and, less positively, the indifferent success of his many imitators, whose last thought, probably, is sincere flattery, and whose first thought, certainly, is the garnering of a share of Anderson’s wide and loyal following. This following was loyal since the first of his pieces began to be played, and it grew increasingly wide with every new publication. The reasons for such good-humored appreciation are as many as the kinds of listeners who enjoy him. Children like the wryly explicit portrait of a cat’s monstrously vocal encounter with the neighborhood dogs; the trained musical ear may prefer the subtler incongruity of a stately saraband’s being interrupted at intervals by an impudently jazzy rhythmic figure. The shower singer is provided with an easily remembered melody; the parade enthusiast recognizes a good brisk tempo when he hears one. The sentimental soul recalls with pleasure the days of horse and buggy; while the office worker is soothed by the efficient sound of a typewriter as an obbligato “musical” instrument. The tango dancer has his tango; the waltzer, his waltz ... there is something personal for everyone.
앤더슨이 쓴 작품의 개성에 대한 많은 증거가 있다. 예를 들면 멜로디와 당김음 리듬을 사용하는 그의 겉보기에 수월해 보이는 방식, 타악기의 상상력 넘치는 사용과 음향 효과에 대한 폭넓은 유머러스한 실험, 그의 음악 형식들의 놀라운 편안함, 그리고 덜 긍정적으로, 그의 많은 모방자의 무관심한 성공은 아마도 그들의 마지막 생각은 진심 어린 아첨이며 앤더슨의 첫 번째 생각은 확실히 그의 광범위하고 충성스러운 추종자들의 몫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추종자는 그의 작품 중 첫 곡이 연주되기 시작했을 때부터 충성스러웠으며, 새로운 출판물이 나올 때마다 그 폭이 점점 넓어졌다. 좋은 유머로 감상하는 이유는 그를 즐기는 청취자의 종류만큼이나 많다. 아이들은 고양이가 이웃 개들과 괴물같이 소리 내는 모습을 쓴 듯한 노골적인 초상화를 좋아하는데, 훈련된 음악적 귀는 위엄 있는 사라방드의 더 미묘한 부조화가 뻔뻔스럽게 재즈 같은 리드미컬한 형태에 의해 중단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샤워 가수는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멜로디로 제공되는데, 행진을 좋아하는 사람은 좋은 빠른 템포를 들을 때 이를 알아차린다. 감상적인 영혼은 말과 마차의 시대를 즐겁게 회상하는 반면, 사무직 직원은 의무적인 “음악적” 도구로 타자기의 효율적인 소리에 마음이 진정된다. 탱고 무용수는 자신의 탱고를 가지고 있는데, 왈츠 무용수, 그의 왈츠 ... 모든 사람에게는 개인적인 것이 있다.
The twenty-three of Anderson’s amiable and inventive pieces on this SACD exhibit the pervading stylistic tendencies of the composer, and at the same time they point up the canny ingeniousness which enables each work to maintain an independence of its own.
이 SACD에 수록된 앤더슨의 다정하면서도 독창적인 23개의 곡은 작곡가에게 스며든 양식의 경향을 보여줌과 동시에 각 작품이 고유한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발한 독창성을 강조한다.
“Belle of the Ball” is a brilliant fast waltz which re-creates the atmosphere of the Viennese grand ballroom. The sophisticated lilt of the main theme is complemented by a closely related section accented by the tinkling sound of bells, and both motifs are ebulliently combined in the abandon of a breathless coda.
<무도회의 여왕>은 비엔나 그랜드 볼룸의 분위기를 재현한 화려한 빠른 왈츠이다. 메인 테마의 세련된 리듬은 종소리로 강조된 밀접하게 관련된 섹션으로 보완되며, 두 모티프는 숨 막히는 코다의 포기에서 활기차게 결합된다.
In “Horse and Buggy” we are shown an elaborate vignette of the courting vehicle so popular at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After a short introduction, the dawdling horse is aroused to a trot with a single crack of the whip, and its tuneful careering is punctuated with the brisk clip-clop of hooves until a romantic view distracts its driver and his lady and affords the horse a chance to resume its leisurely gait, while the French horn plays a theme reminiscent, possibly, of Rachmaninoff. After a genteelly abbreviated interlude, another whip crack starts the obedient horse on its homeward route, and a mild whinny announces, at the conclusion, that the destination has been reached.
<말과 마차>에서 우리는 세기 초에 매우 인기가 있었던 결혼할 것 같은 차량의 정교한 삽화로 증명된다. 짧은 도입부 이후, 멍하니 있는 말은 채찍을 한 번 톡톡 치면 속력을 내고, 낭만적인 전망이 마부와 부인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말이 여유롭게 걸음을 재개할 기회를 줄 때까지 말발굽의 따가닥따가닥 소리와 함께 경쾌한 경력을 마무리하며, 반면에 프렌치 호른은 어쩌면 라흐마니노프를 연상시키는 주제를 연주한다. 부드럽게 축약된 간주 이후, 또 다른 채찍 소리가 순종적인 말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시작하게 하고, 부드럽게 히힝 우는 소리가 마지막에 목적지 도착을 알린다.
Another domesticated associate of mankind, this time a rather giddy feline, is the subject of “The Waltzing Cat”. Lifting its incredible voice in repellent song, the cat capers through an entrancing dance – now slow, now fast – full of impressive “ritardandos” and fetching pauses which allow him to keep an eye out for unwanted canine spectators. Just as the waltz reaches its climactic moment, there is indeed heard the clamor of dogs in full cry; and the cat, outnumbered and outraged, pierces the air with an ominous snarl and departs, “prestissimo”.
이번에는 다소 현기증이 나는 고양이와 같이 길들여진 또 다른 인류 집단으로 <왈츠를 추는 고양이>의 주제이다. 혐오스러운 노래로 놀라운 목소리를 내면서 고양이는 황홀한 춤을 추면서 뛰어다니는데 – 이제 천천히, 이제 빠르게 – 인상적인 “리타르단도”(점점 느리게)로 가득 차 있으며 원치 않는 개 무리를 주시할 수 있도록 잠시 멈추게 한다. 왈츠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개들이 짖는 소리가 들리며, 수적인 열세에 몰려 화가 난 고양이는 불길한 으르렁 소리를 내고 적막을 깨면서 “프레스티시모”(아주 빠르게)로 벗어난다.
“Blue Tango” is a characteristic example of Anderson’s use of classic dance forms in a manner which is immediately and unmistakably his own. This setting is richly orchestrated and luxuriantly melodic; the addition of a silvery rhythmical counterpoint gives a final sheen.
<우울한 탱고>는 앤더슨이 즉시 그리고 틀림없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고전 무용 형식을 사용하는 특징적인 예이다. 이 설정은 풍부한 관현악 편성으로 풍성한 선율인데, 낭랑한 리드미컬한 대위법을 추가하면 마침내 빛난다.
“Summer Skies” is a kind of modern pastorale. Glistening strings unite in a suave triplet-meter theme which is lent additional charm by chromatic ornaments in the woodwinds. Anderson’s willingness to let his melody take its own course without obvious attempts to elaborate meaninglessly is well illustrated here, and the piece ends with the quiet flow of its beginning.
<여름날의 하늘>은 일종의 현대 목가이다. 반짝이는 현악기들은 목관악기의 반음계 장식으로 추가적인 매력을 더해주는 부드러운 3박자 주제로 결합된다. 무의미하게 정교화하려는 명백한 시도 없이 자신의 멜로디가 저절로 흘러가도록 내버려 두려는 앤더슨의 의지가 여기에 잘 나타나 있으며, 이 곡은 시작의 조용한 흐름으로 끝난다.
The “Song of the Bells”, another whirling, infectious fast waltz, is highlighted by the sonorous addition of orchestral bells and chime. In the first appearance of the chief theme, in fact, the chimes play the solo part, supported by violins. Soon the woodwinds assume the melody, to be followed by a kind of duet between chimes and bells, surely a unique experiment and just as surely an effective one. Following another exposition of the main theme, a brilliant and vividly hued coda brings the dance to an end.
또 하나의 빙빙 도는 전염성 있는 빠른 왈츠인 <종의 노래>는 오케스트라의 종과 차임이 더해져 더욱 돋보인다. 메인 테마의 첫 등장에서 실제로 차임은 바이올린들에 의해 지원되는 독주 파트를 연주한다. 곧 목관악기가 멜로디를 가정하고 차임과 종 사이에서 일종의 듀엣이 뒤따를 것으로 여겨지는데, 확실히 독특한 실험이며 확실히 효과적인 것이다. 메인 테마의 또 다른 제시부에 이어 현란하고 생동감 넘치는 코다가 춤을 끝맺는다.
A typewriter was actually used in the recording of “The Typewriter”, and Frederick Fennell himself addressed both hands to the keyboard, a bobbing head to the orchestra, and his subconscious to the score, which he had memorized – with special attention to his “solo” passages. At the end of the session, Dr. Fennell was exhausted but satisfied, and the typewriter was returned to its original desk, as good as ever in spite of the probability of more carriage returns in one afternoon than in the course of its entire history as a non-musical office machine.
타자기는 실제로 <타자기>의 녹음에 사용되었으며, 프레더릭 페넬 자신은 양손을 건반에 놓고, 오케스트라에 고개를 까딱거리며, “독주” 소절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그가 외운 악보에 대한 잠재의식에 몰두했다. 세션이 끝날 무렵, 페넬 박사는 지쳤으나 만족스러웠고, 타자기는 원래 책상으로 돌아왔는데, 음악이 아닌 사무용 기계로서의 전체 역사 과정에서보다는 어느 날 오후에 더 많은 복귀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그 어느 때보다 좋다.
The timepiece pictured in “The Syncopated Clock” seems almost to develop a tentative but winning personality as he strives to emulate the elementary syncopation of the obviously more learned violin. Just as he gets it right at last, his preceptor wanders off, and the music is dominated by the more niggardly psyche of a common alarm clock. Soon the violin returns and student’s rhythmic attempts begin afresh. He has no sooner succeeded once more in matching the syncopation of the strings than, it is sad to report, his mainspring flies into pieces, and time – for him – stops forever.
<고장 난 시계>에 묘사된 시계는 확실히 더 많이 배운 바이올린의 기본 당김음을 모방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잠정적이지만 성공적인 개성을 거의 발전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그가 마침내 제대로 이해했을 때, 그의 교사는 방황하며, 음악은 일반적인 알람 시계의 더 인색한 정신에 의해 지배된다. 곧 바이올린이 돌아오고 학생의 리드미컬한 시도가 새롭게 시작된다. 그가 다시 한번 현악기들의 당김음을 맞추는 데에 성공하자마자 안타깝게도 그의 큰 태엽이 산산조각이 나고 시간은 – 그를 위해 – 영원히 멈춘다.
Castanets, Latin rhythms, and a seductive manner distinguish “The Girl in Satin” as she executes a warm-blooded tango. The mood, growing more and more “appassionato”, is reflected in the increasing richness of the orchestral sweep. Once again, the composer shows his adroitness in the managing of two themes conjointly, and the coda displays an unobtrusive but skillful handling of dissonance to great atmospheric effect.
캐스터네츠, 라틴 리듬, 매혹적인 매너는 그녀가 따뜻한 피가 흐르는 탱고를 추듯이 <공단옷 입은 소녀>를 구별 짓는다. 점점 더 “아파시오나토”(열정적으로)로 커지는 분위기는 점점 더 풍부해지는 오케스트라가 휩쓰는 것에 반영된다. 다시 한번, 작곡가는 2개의 주제를 동시에 관리하는 데에 능숙함을 보여주며, 코다는 큰 분위기 효과에 대해 눈에 띄지 않으나 능숙하게 불협화음을 처리한다.
The theme of the “China Doll” is of special interest. It appears first in a rather plaintive fashion, played by the solo oboe; next the violins and flutes combine with the oboe to give it more assertion; then the entire woodwind choir takes up, this time forcing it into a jaunty syncopation of the original statement. Finally the solo oboe plays it once more, and the accompanying “wa-wa”’s reminds us that bedtime for tired little girls and their playthings has come.
<중국 인형>의 주제는 특히 흥미롭다. 오보에 독주가 연주하는 다소 애처로운 방식으로 처음에 나타나고, 다음으로 바이올린과 플루트가 오보에와 결합하여 더 많은 주장을 하며, 그런 다음 목관악기 전체의 합창단이 이어지며, 이번에는 원래 상태의 경쾌한 당김음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오보에 독주가 다시 한번 연주하며, “와우와우 페달” 반주는 우리에게 피곤한 소녀들과 장난감이 잘 시간이 왔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One of the most cleverly written works of this explorative composer is the “Saraband” that follows. The sedate tempo, the elegant ornaments, the traditional form of the antique saraband are all here in a dignified array. To them has been added the piquancy of impish counterpoints, frankly jazzy interpolations, and unctuous orchestral colorings. The result – much better entertainment than mere parody – is well-achieved satire.
이 탐구적인 작곡가의 가장 영리하게 쓰인 작품 중 하나는 뒤따르는 <사라방드>이다. 차분한 템포, 우아한 장식음, 고대 사라방드의 전통적인 형식이 모두 여기에 위엄 있게 배치되어 있다. 그것들에 장난스러운 대위법, 솔직히 재즈적인 삽입, 유려하지 않은 오케스트라 색채의 묘미가 더해졌다. 그 결과 단순한 패러디보다 훨씬 더 나은 오락물로 잘 만들어진 풍자가 탄생했다.
“Fiddle-Faddle” is modeled on the classical bravura display piece for solo violin, the “moto perpetuo”, and utilizes such devices customary to that genre piece as the rapid and constant tempo, the alternation repetition of short virtuosic sections. Since this is a freely paraphrased example, however, such an innovation as a fragmented “tap dance accompaniment” diversion is not only admitted but admired briefly before the violins enter again in fanciful roulades above the original melodic pattern. This melody attenuates into staccato mutterings before a swaggering recapitulation brings the piece to a brilliant conclusion.
<실없는 짓거리>는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고전적인 고도의 예술적 기교의 곡인 “무궁동”을 모델로 하며 빠르고 지속적인 템포, 짧은 기교가 나오는 섹션의 교대 반복과 같은 장르의 곡에 관례적인 장치를 활용한다. 그러나 이것은 자유롭게 다른 것으로 바꾸어 표현한 예이기 때문에 조각난 "탭 댄스 반주" 전환과 같은 혁신이 허용될 뿐만 아니라 바이올린이 원래의 멜로디 패턴 위에 공상적인 룰라드(장식음으로서 삽입된 신속한 연속음)로 다시 들어가기 전에 잠시 감탄한다. 이 멜로디는 중얼거리는 스타카토로 약해지고 으스대는 재현부는 곡을 화려하게 마무리한다.
Next come the whirling measures of Anderson’s very popular “Sleigh Ride”, conveying a vivid picture of a crisp winter day on a snowy country road, complete with trotting horse, whip, and sleigh bells.
다음으로 앤더슨의 매우 인기 있는 <썰매 타기>의 빙그르르 도는 마디들이 나오며, 달리는 말, 채찍, 썰매의 종들로 완성되어 눈 덮인 시골길에서 상쾌한 겨울날의 생생한 그림을 전달한다.
To the accompaniment of castanets comes the throbbing rhythm of a Spanish dance. It develops into a very pretty and lyrical middle section which undoubtedly inspired the title of “Serenata”.
캐스터네츠의 반주에 스페인 춤의 고동치는 리듬이 따라온다. 의심할 여지 없이 <세레나타>라는 제목에 영감을 준 매우 예쁘고 서정적인 중간 섹션으로 발전한다.
“Promenade” contrasts a brisk walking theme, first heard on solo trumpet, with a flowing middle theme carried by the strings. The piece was written in 1944, while Capt. Anderson was stationed at the Pentagon. He conducted its first performance that year at an “Army Night” concert given in Boston.
<산책>은 트럼펫 독주에서 처음 들리는 활기차게 걷는 주제와 현악기가 전달하는 거침없이 이어지는 중간 주제와 대조된다. 이 곡은 앤더슨 대위가 펜타곤에 주둔하고 있을 때 쓰였다. 그는 그해 보스턴에서 열린 <육군의 밤> 콘서트에서 첫 공연을 지휘했다.
“Chicken Reel” is a perfect example of Anderson’s special gifts. Painting a merry “turkey-in-the-straw” picture of a farm, it makes especially effective use of both syncopation and augmentation (the doubling of the value of the notes). It also contains one of the composer’s signature devices, the incorporation of a non-musical sound. In this case, it’s the cock-a-doodle-doo at the end, performed here by no less a virtuoso than Gervase de Peyer, first clarinetist of the London Symphony Orchestra.
<비틀비틀 병아리걸음>은 앤더슨의 특별한 재능의 완벽한 예이다. 농장의 유쾌한 <짚 속의 칠면조> 그림을 그리면 당김음과 확대(음표의 길이를 두 배로 늘리는 것)를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작곡가의 특징을 나타내는 장치 중 하나인 비음악적 소리도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제1클라리넷 주자인 저베이스 드 파이어 못지않은 거장이 여기에서 연주하는 마지막 부분의 꼬끼오(수탉 울음소리)이다.
Although Anderson insists that Kipling had nothing to do with it, “The Phantom Regiment” certainly does its bit to conjure up the ghostly spirit of colonial England. The stately work is touchingly evocative of all the regiments that ever set foot into the valley of death; though the upper lip is kept musically stiff, there is a wisp of wistfulness in the melody that gives it a rare emotional quality.
앤더슨은 키플링이 <도깨비 연대>와 아무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것은 확실히 식민지 영국의 유령 같은 정신을 불러일으키려고 한다. 장엄한 작품은 죽음의 계곡에 발을 디딘 모든 연대를 감동적으로 연상시키는데, 윗입술은 음악적으로 뻣뻣하게 유지되지만, 멜로디에는 드문 감정적 특성을 제공하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다.
“Jazz Legato” and “Jazz Pizzicato” are companion pieces that have the distinction of being the first of Anderson’s compositions to be written and recorded. Already highly regarded as an arranger, he wrote “Jazz Pizzicato” in 1937 as an encore piece for the Boston “Pops” Orchestra. It turned out to be an immediate success. When it was to be recorded two years later, however, its brief length proved to be a bit too skimpy for one side of the then-common 78-rpm record, and the composer was forced to create a “Jazz Legato” of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to fill out the space. These contrasting but companionable works have been almost inseparable ever since.
<재즈 레가토>와 <재즈 피치카토>는 앤더슨이 작곡하고 녹음한 첫 번째라는 특징을 지닌 동반자 곡들이다. 이미 편곡가로 높은 평가를 받는 그는 1937년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의 앙코르곡으로 <재즈 피치카토>를 썼다. 그것은 즉각적인 성공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2년 후 녹음되었을 때 그 짧은 길이는 당시 일반적이었던 78rpm 레코드의 한 면에 비해 너무 빈약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작곡가는 공간을 채우기 위해 대략 같은 길이의 <재즈 레가토>를 만들어야 했다. 이 대조적이지만 친근한 작품들은 그 이후로 거의 분리할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Plink Plank Plunk” is, like “Jazz Pizzicato”, played by the string section plucking the strings rather than by using the bow. The perky number, which was written in 1951, has been one of the composer’s most frequently performed works ever since.
<플링크, 플랭크, 플렁크!>는 <재즈 피치카토>와 마찬가지로 활을 사용하지 않고 현을 뜯는 현악 세션에서 연주된다. 1951년에 작곡된 활기찬 넘버는 그 이후로 작곡가가 가장 자주 연주하는 작품 중 하나이다.
“The Bluebells of Scotland” is part of Anderson’s “Scottish Suite”. The familiar air takes on new freshness as a result of the composer’s remarkable use of tonal color, sense of humor (the bells and chimes to suggest the flower), and arranging skill (the canon form is employed with striking effectiveness).
<스코틀랜드의 푸른 종>은 앤더슨의 <스코틀랜드 모음곡> 중 3악장이다. 친숙한 노래는 작곡가의 뛰어난 음색 사용, 유머 감각(꽃을 암시하는 종과 차임), 편곡 솜씨(놀라운 솜씨로 카논 형식 사용)의 결과로 새로운 신선함을 얻는다.
The happy expectation of the joys of spring is captured perfectly in “The First Day of Spring”. Be that as it may, however, the melody was created “before” it was given the title, which had originally been intended for a waltz. But the lush strings and the pastoral oboe gave the unnamed piece an even more springlike sound, and the switched title proved to be even more appropriate.
봄의 기쁨에 대한 행복한 기대는 <봄의 첫날>에 완벽하게 담겨 있다. 하지만 그 멜로디는 원래 왈츠를 위한 제목이 붙기 “전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멋진 현악기들과 목가적인 오보에가 이름 없는 곡에 훨씬 더 봄 같은 소리를 선사했으며, 바뀐 제목이 훨씬 더 적절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The “Song of Jupiter” received its first recording in this collection. Anderson considered Jupiter’s aria, “Where’er you walk,” from Handel’s opera “Semele”, to be one of the composer’s most beautiful but least familiar creations. His inspired arrangement of this affecting piece features a trumpet solo first heard “singing” the aria.
<주피터의 노래>는 이 컬렉션에서 처음 녹음된 것이다. 앤더슨은 헨델의 오페라 <세멜레>에 나오는 주피터의 아리아 <그대가 걷는 곳마다>를 작곡가의 가장 아름답지만 가장 친숙하지 않은 작품 중 하나로 간주했다. 이 영향을 주는 곡에 대해 그의 영감을 받은 편곡은 아리아를 “노래하는” 처음 듣는 트럼펫 독주를 특징으로 한다.
To these compositions Leroy Anderson brought innate musical fecundity and a carefully trained craftsmanship that was a product of his years at Harvard University, from which he was graduated with honors in 1929. Not only his proximity to this institution – he was born in Cambridge, Massachusetts – dictated his choice of schools; at Harvard he was able to study with such eminent men as Walter Piston, Walter Spalding, and Edward Ballantine. Even with this impressive background, Anderson spent another four years in preparation for a career in languages before he finally decided to make music the source of his livelihood. Up until the end of his career, he w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and knowledgeable practitioners in the happy art of writing truly “popular” music.
르로이 앤더슨은 이러한 작품들에 타고난 음악적 다산성과 신중하게 훈련된 장인 정신을 가져왔는데, 이것은 1929년에 우등으로 졸업한 하버드 대학교에서 보낸 그의 세월의 산물이었다. 이 기관과의 근접성만이 –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에서 출생하여 – 그의 학교 선택에 영향을 미쳤는데, 하버드에서 그는 월터 피스턴, 월터 스팰딩, 에드워드 밸런타인 같은 저명한 사람들과 함께 공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상적인 배경에도 불구하고 앤더슨은 음악을 생계의 원천으로 삼으려고 하기 전에 언어 분야에서 경력을 쌓기 위해 4년을 더 보냈다. 그의 경력이 끝날 때까지 그는 진정으로 “대중적인” 음악을 쓰는 행복한 예술 분야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지식이 풍부한 현역 중 한 명이었다.
Adapted from notes by Clair W. Van Ausdall, Alfred E. Simon (tracks 13 and 14), and Stanley Green (15-23)
클레어 W. 판 아우스달과 알프레드 E. 사이먼 (13~14번 트랙) 및 스탠리 그린(15~23번 트랙) 글
About Frederick Fennell
Long recognized as a pre-eminent conductor of the finest wind and percussion music, Frederick Fennell was no stranger to the symphonic “pops” repertory. For years he was an annual guest conductor of the Boston “Pops,” where his performances were characterized, in the words of a newspaper reviewer, “by a rare combination of wit, vivaciousness, and musical sensitivity.”
최고의 관악기와 타악기 음악 공연의 저명한 지휘자로 오랫동안 인정받은 프레더릭 페넬은 교향악 “팝스” 레퍼토리에 익숙했다. 수년 동안 그는 보스턴 “팝스”의 연례 객원 지휘자였는데, 신문 평론가의 말에 따르면 그의 공연은 “재치, 발랄함, 음악적 감수성의 보기 드문 조합”으로 특징지어졌다.
In 1952 Frederick Fennell organized the Eastman Symphonic Wind Ensemble in Rochester, New York, and until his departure in 1962 he unceasingly dedicated himself to the exploration of musical works originally scored for winds and brasses, and to the stimulating of interest on the part of contemporary composers in writing works for his particular instrumentation.
1952년 프레더릭 페넬은 뉴욕 로체스터에서 이스트만 심포닉 윈드 앙상블을 조직했으며, 1962년 떠날 때까지 원래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를 위해 작곡된 음악 작품들을 탐구하고 특정 기악 편성에 대한 작품들을 쓰는 것에 대한 동시대 연주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끊임없이 헌신했다.
Less than a year after its establishment, the Eastman Symphonic Wind Ensemble made its first appearance on Mercury Living Presence recordings, and the ensemble produced a series of discs that have won critical acclaim everywhere. In such recordings as Holst’s Suites and Sousa’s Marches, Dr. Fennell demonstrated that his musical tastes are refreshingly broad. Yet another facet of this conductor’s versatile talent was revealed in this full symphony-orchestra recording of music by Leroy Anderson.
설립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이스트만 심포닉 윈드 앙상블은 머큐리 LP 녹음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 앙상블은 모든 곳에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은 일련의 디스크를 제작했다. 홀스트의 모음곡 및 수자의 행진곡 같은 녹음에서 페넬 박사는 그의 음악적 취향이 신선할 정도로 광범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지휘자의 다재다능한 재능의 또 다른 측면은 르로이 앤더슨이 작곡한 전체 심포니-오케스트라 음악 녹음에서 드러났다.
About This Recording
The “élan” of Anderon’s orchestrations, and his frequent use of unusual sound effects, make these pieces especially effective and exciting when they are recorded stereophonically with Mercury’s Living Presence lifelike imaging and full dynamic range. In the several waltzes, for instance, the melodic line is often given to the violins in their beautifully shining upper register; in some of the quicker pieces the brightness and crispness of the entire woodwind section is called for. Most of the sound effects – wind whistles, woodblocks representing clocks, and the like – originate in the percussion section, rear stage right, but the typewriter, in the piece named after it, was placed on a stand directly to the right of the conductor’s podium in order that it might successfully dominate the music in spirit and sound. Thus, the exciting dimensions of depth and direction are shown most impressively on this disc.
앤더슨의 관현악 편곡의 “엘랑”(약동)과 특이한 음향 효과의 빈번한 사용은 이러한 곡을 머큐리 LP의 생생한 영상화 및 전체 다이내믹 범위로 입체적인 음향의 녹음에서 특히 효과적이고 흥미진진하게 만든다. 예를 들면 여러 왈츠에서 멜로디 라인은 종종 아름답게 빛나는 고음역에서 바이올린에 주어지는데, 더 빠른 곡 중 일부에서는 전체 목관악기 섹션의 밝기와 상쾌함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음향 효과(바람 새는 소리, 시계를 나타내는 우드블록 등)는 무대 뒤 오른쪽의 타악기 부분에서 유래했지만, 그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곡에서 타자기는 정신과 소리로 음악을 성공적으로 지배할 수 있도록 지휘자 연단의 바로 오른쪽 스탠드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깊이와 방향의 흥미로운 차원이 이 디스크에서 가장 인상적으로 표시된다.
https://rutracker.org/forum/viewtopic.php?t=5069968
답글삭제https://rutracker.org/forum/viewtopic.php?t=4194808
Neige눈사람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drive/u/0/folders/1wpfdQBgpLO2L-FFwchXvfngzHkuX1Yxh
You have to download until 31 December 2022.
2022년 12월 31일까지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