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VC72CqPsI7o
Live at the Moscow Conservatory / 모스크바 음악원 실황
Maxim Vengerov, violin / 막심 벤게로프, 바이올린
Ian Brown, piano / 이언 브라운, 피아노
Brahms Violin Sonata No. 1 in G, Op. 78 /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1번
I. Vivace, ma non troppo
II. Adagio
III. Allegro molto moderato
Il serait bon d’évoquer Wieniawski, mon maître spirituel, quand j’entrerai sur scène. Il se trouve que Wieniawski a enseigné ici, au Conservatoire, durant 3 ans. Il y était invité par un grand musicien de notre histoire, un musicien russe, Anton Rubinstein. Henryk Wieniawski est né le 10 juillet 1835, en Pologne, dans une famille d’illustres musiciens. Il commence à apprendre le violon à l’âge de 5 ans. Trois ans plaus tard, il est admis au Conservatoire de Paris, où il commence à composer. Il se lance alors dans une série de tournées épuisantes et acquiert une réputation de grand virtuose. On lui a souvent prêté le talent diabolique de Paganini. Son “Thème original varié” fourmille de merveilleuses mélodies. Ce sont des variations acrobatiques, pour un violoniste, qui doit évoluer à la manière d’un trapéziste, sauter, plonger, s’accommoder des dangers de l’accompagnement, en l’occurrence, celui de mon formidable pianiste, Ian Brown.
무대에 오를 때 나의 영적 스승인 비에니아프스키를 언급하면 좋을 것 같은데요. 알고 보니 비에니아프스키는 이곳 음악원에서 3년 동안 가르쳤더군요. 우리 역사상 위대한 음악가인 러시아 음악가 안톤 루빈스타인의 초대를 받았죠.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는 1835년 7월 10일 폴란드의 저명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5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고요. 3년 후에는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작곡을 시작했죠. 그 후 일련의 힘든 여행을 시작했고 위대한 거장이라는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는 파가니니처럼 악마 같은 재능을 지녔다고 종종 평가를 받았죠. “자작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멋진 멜로디로 가득 차 있어요. 공중그네 곡예사처럼 점프하고, 다이빙하고, 반주의 위험에 적응해야 하는 바이올리니스트를 위한 곡예적인(아크로바틱한) 변주곡인데요. 이 경우에는 저의 강력한 피아니스트인 이언 브라운의 위험에 적응해야 합니다.
Wieniawski Variations on an original theme, Op. 15 / 비에니아프스키 <자작 주제에 의한 변주곡>
“La Polonaise brillante” nous raconte des histoires très intéressantes sur la Pologne. A l’origine, on jouait la Polonaise à l’issue d’une victoire, après la conquête d’un territoire ou à l’occasion de défilés triomphants. C’était au 15e siècle. Au 17e siècle, la Polonaise est devenue une danse pour les nobles. On entrait dans le château, on se présentait à la reine, on s’agenouillait et on laissait le suivant en faire autant... La musique était une sorte de complément, elle contribuait à cette atmosphère raffinée.
“화려한 폴로네즈”는 우리에게 폴란드에 관한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원래 폴로네즈는 승리 후, 영토 정복 후 또는 승리 퍼레이드 중에 연주되었습니다. 이건 15세기였고요. 17세기에 폴로네즈는 귀족들의 춤이 되었죠. 사람들이 궁전에 들어가서 여왕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무릎을 꿇고 다음 사람도 똑같이 하도록 했는데요... 음악은 일종의 곁들여주는 것이었고, 이 세련된 분위기에 한몫했죠.
Wieniawski Polonaise brillante in A, Op. 21 / 비에니아프스키 <화려한 폴로네즈>
Fritz Kreisler est né à né à Vienne en 1875, où il a étudié au Conservatoire. A l’âge de 14 ans, il effectue sa première tournée aux Etats-Unis. Son incroyable technique le fait connaître comme l’un des violonistes les plus accomplis de son époque. Il abandonne la musique à plusieurs reprises pour étudier la médecine et l’art, et sert même comme officier dans l’armée autrichienne. Son splendide “Liebesfreud”, littéralement “joie de l’amour”, s’inscrit dans la merveilleuse tradition viennoise et ses célèbres valses. Moi-même, j’aime beucoup jouer cette œuvre qui m’emmène dans un monde à part, le monde de Kreisler, un monde d’élégance et de beauté.
프리츠 크라이슬러는 1875년 비엔나에서 태어나 음악원에서 공부했는데요. 14세 때 처음으로 미국 투어를 가졌죠. 놀라운 테크닉으로 인해 당시 가장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 명으로 알려졌는데요. 의학과 미술을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차례 음악을 포기했고, 심지어 오스트리아 군대에서 장교로 복무하기도 했죠. 그의 화려한 “리베스프로이트”는 말 그대로 “사랑의 기쁨”을 의미하며, 비엔나의 훌륭한 전통과 유명한 왈츠의 일부입니다. 나 자신도 나를 다른 세계, 우아함과 아름다움의 세계인 크라이슬러의 세계로 데려가는 이 작품 연주를 정말 좋아해요.
Kreisler 3 Old Viennese Dances for Violin & Piano No. 1 Liebesfreud / 크라이슬러 3개의 오래된 비엔나 춤곡 1번 <사랑의 기쁨>
Voici mainitenant une autre œuvre d’Henryk Wieniawski, son très célèbre “Scherzo-tarentelle”. Il est connu pour son caractère théâtral et son style très dansant. D’une certaine manière, “Tarentelle” a un double sens. C’est d’abord le nom d’une danse, mais c’est aussi, si on veut... La tarentelle, c’est une bestiole qui finit toujours sur votre épaule, il faut s’en débarrasser. Ce double sens crée un effet malicieux.
여기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의 또 다른 작품으로, 그의 매우 유명한 “스케르초 타란텔라”가 있습니다. 그는 연극적인 성격과 매우 춤추는 스타일로 유명합니다. 어떤 의미에서 “타란텔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요. 우선 춤의 이름(독거미에 물려 독을 빼내기 위해 추는 춤)이지만, 원한다면 그럴 수도 있는데... 타란텔라는 항상 어깨 위에 올라오는 생물(독거미 타란툴라)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이 이중 의미는 장난스러운 효과를 만들죠.
Wieniawski Scherzo-Tarentelle in g, Op. 16 / 비에니아프스키 스케르초-타란텔라
Sergueï Vassilievitch Rachmaninov est né en 1873 près de la ville russe de Novgorod. Il est le représentant d’une merveilleuse famille de compositeurs et de pianistes romantiques. A mes yeux, c’est un musicien parfait. Il est le plus grand pianiste de tous les temps, et excelle également comme compositeur, chef d’orchestre et professeur.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는 1873년 러시아 노브고로드시 근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낭만주의 작곡가와 피아니스트로 구성된 훌륭한 가문의 대표자인데요. 제 눈에는 완벽한 음악가죠. 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로서 작곡가, 지휘자, 교육자로서도 탁월합니다.
Rachmaninoff/Michel Press: Vocalise Op. 34 No. 14 / 라흐마니노프 보칼리제 (미셸 프레스 편곡)
En Russie, il est fréquent d’entendre une femme à la voix spécialement entraînée annoncer les œuvres. Elle apparaî et, sur un ton très sentencieux, elle annonce : “Le concerto de Tchaïkovski” ou “La sonate de Beethoven sera interprétée par le musicien” et ainsi de suite. J’ai l’intention de proposer un concept très inattendu, aujourd’hui, peut-même très inhabituel pour le public russe. J’ignore s’ils vont aimer.
러시아에서는 특별히 훈련받은 목소리로 작품들을 발표하는 여성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흔한 일입니다. 여성이 나타나서 매우 무게를 잡는 어조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연주자가 “차이코프스키 협주곡을 연주합니다.” 또는 “베토벤 소나타를 연주합니다.” 등등이죠. 저는 오늘 매우 예상치 못한 개념, 아마도 러시아 대중에게는 매우 특이한 개념을 제안하려고 하는데요. 그들이 좋아할지는 모르겠네요.
Kreisler et Rachmaninov jouaient souvent en duo. Alors qu’ils préparaient un concert pour le Carnegie Hall de New York, ils ont pris la décision de jouer sans avoir répété. Il se retrouvent, ils commencent, le concert progresse, et soudain, Kreisler se perd. Il ne sait plus ce qu’il doit jouer. Il se tourne vers Rachmaninov et demande, dans un murmure : “Sergueï, on est où ?” Sans s’arrêter, Rachmaninov lui répond : “Au Carnegie Hall !”
크라이슬러와 라흐마니노프는 종종 듀오로 연주했는데요. 그들은 뉴욕 카네기홀 콘서트를 준비하던 중, 리허설도 없이 공연하기로 했죠. 그들은 다시 만나고, 시작하고, 콘서트가 진행되고, 갑자기 크라이슬러는 길을 잃습니다. 그는 더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릅니다. 그는 라흐마니노프를 돌아보면서 속삭이듯이 묻습니다. “세르게이, 우리 어디서 연주하지?” 라흐마니노프는 멈추지 않고 이렇게 대답합니다. “카네기홀에서!”
Après la Révolution de 1917, Rachmaninov s’installe aux Etats-Unis. Pendant de nombreuses années, il n’écrit quasiment rien. Puis vient son œuvre miraculeuse, “Rhapsodie sur un thème de Paganini”. La 18e variation de cette rhapsodie, transcrite par Fritz Kreisler, associe les trois mondes merveilleux de Paganini, Rachmaninov et Kreisler. Trois de mes compositeurs préférés.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라흐마니노프는 미국에 정착했는데요. 수년 동안 거의 아무것도 작곡하지 않았죠. 그러고 나서 그의 기적적인 작품인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가 나옵니다. 프리츠 크라이슬러가 편곡한 이 랩소디의 18번째 변주는 파가니니, 라흐마니노프, 크라이슬러의 놀라운 3가지 세계를 결합합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곡가 3인이군요.
Rachmaninoff/Kreisler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in a, Op. 43: Variation 18. Andante cantabile /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중 18번째 변주 (크라이슬러 편곡)
Niccolò Paganini est né à Gênes en 1782. Son talent prodigieux est vite remarqué, et il débute les tournées très jeune. Il rencontre Liszt à Paris et l’incite à développer sa technique au piano. Atteint d’hyperlaxité, il jouait des œuvres complexes en n’utilisant qu’une seule des quatre cordes de son violin. Il limait souvent les trois autres cordes pour qu’elles cassent pendant ses concerts. Voici une œuvre de Paganini à l’atmosphère lyrique et très romantique. Il s’agit d’une chanson, “Cantabile”, mais elle n’a pas de paroles.
니콜로 파가니니는 1782년 제노바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놀라운 재능은 금세 눈에 띄었고 아주 어린 나이에 투어를 시작했는데요. 파리에서 리스트를 만나 피아노 테크닉을 발전시키도록 격려했죠. 관절 탈구가 자주 있었던 그는 바이올린의 네 현 중 하나만을 사용하여 복잡한 작품을 연주했는데요. 종종 콘서트 중에 끊어질 수 있도록 나머지 세 개의 현을 정리했죠. 여기 서정적이고 매우 낭만적인 분위기를 지닌 파가니니의 작품이 있습니다. “칸타빌레”(노래하듯이)라는 노래인데 가사가 없네요.
Paganini Cantabile in D, Op. 17 / 파가니니 칸타빌레
Eugène Ysaÿe est né en Belgique, à Liège, en 1858. Ses pères musicaux sont aussi ses mentors, tous deux violonistes de légende, Henryk Wieniawski et Henri Vieuxtemps. Ysaÿe se lie d’amitié avec César Franck, qui écrit pour lui sa célèbre “Sonate pour violon” en 1886. De nombreux violonistes, y compris moi-même, considèrent Ysaÿe comme le plus grand violoniste de tous les temps. Ce charmant “Caprice d’après l’Etude en forme de valse” montre qu’Eugène Ysaÿe était aussi un incroyable compositeur. Il fait ici la preuve d’une étonnante virtuosité associée à une formidable musique de chambre. C’est un défi pour le violoniste comme pour le pianiste.
외젠 이자이는 1858년 벨기에 리에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음악적 아버지는 전설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인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와 앙리 비외탕으로, 그의 멘토이기도 합니다. 이자이는 1886년에 그를 위해 유명한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한 세자르 프랑크와 친구가 되었습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바이올리니스트는 이자이를 역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라고 생각합니다. 이 매력적인 “왈츠 형식 연습곡에 의한 카프리스”는 외젠 이자이 역시 뛰어난 작곡가였음을 보여줍니다. 여기에서 그는 강력한 실내악과 결합된 놀라운 기교를 보여줍니다. 이는 바이올리니스트와 피아니스트 모두에게 어려운 일입니다.
Ysaÿe Caprice d’après l’étude en forme de valse de Saint-Saëns / 이자이 <생상스의 왈츠 형식 연습곡에 의한 카프리스>
막심 벤게로프의 워너 전집(Maxim Vengerov - Complete Recordings 1991-2007)을 살펴보다가 알게 된 보너스 DVD. 유튜브에서도 <꿈을 이루다> 다큐멘터리를 볼 수 있다. 39분대와 73분대에 버퍼링이 있다. 성 바실리 성당, 스케이트 타는 사람들, 크리스마스트리, 성탄절의 밤 등 모스크바의 겨울 풍경이 드문드문 나온다. 마지막 이자이의 곡에서는 끝난 줄 알고 박수가 잠시 터져 나온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