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18년 6월 15일 금요일

Brilliant Classics / Legendary Russian Pianists CD16-18 Emil Gilels



CD16 Emil Gilels / 에밀 길렐스
01 Chopin Nocturne No. 13 in c, Op. 48 No. 1 / 쇼팽 녹턴 13번
02 Chopin Sonata No. 2 in b flat, Op. 35: I. Grave - Doppio movimento / 쇼팽 소나타 2번
03 Chopin Sonata No. 2 in b flat, Op. 35: II. Scherzo
04 Chopin Sonata No. 2 in b flat, Op. 35: III. Marche funebre
05 Chopin Sonata No. 2 in b flat, Op. 35: IV. Presto
06 Chopin Polonaise No. 6 in Ab, Op. 53 'Heroic' / 쇼팽 폴로네즈 6번 <영웅>
07 Chopin Impromptu No. 2 in F#, Op. 36 / 쇼팽 즉흥곡 2번
08 Chopin Sonata No. 3 in b, Op. 58: I. Allegro maestoso / 쇼팽 소나타 3번
09 Chopin Sonata No. 3 in b, Op. 58: II. Scherzo. Molto vivace
10 Chopin Sonata No. 3 in b, Op. 58: III. Largo
11 Chopin Sonata No. 3 in b, Op. 58: IV. Finale



CD17 Emil Gilels / 에밀 길렐스
01 Prokofiev Sonata No. 2 in d, Op. 14: I. Allegro ma non troppo /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2번
02 Prokofiev Sonata No. 2 in d, Op. 14: II. Scherzo. Allegro marcato
03 Prokofiev Sonata No. 2 in d, Op. 14: III. Andante
04 Prokofiev Sonata No. 2 in d, Op. 14: IV. Vivace
05 Prokofiev Sonata No. 3 in a, Op. 28 /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3번
06 Prokofiev Sonata No. 8 in Bb, Op. 84: I. Andante dolce /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8번
07 Prokofiev Sonata No. 8 in Bb, Op. 84: II. Andante sognando
08 Prokofiev Sonata No. 8 in Bb, Op. 84: III. Vivace
09 Prokofiev Visions fugitives, Op. 22 Nos. 1, 2, 3, 5, 6, 7, 11, 18, 14 & 17 / 프로코피에프 <덧없는 환영> 중 1, 2, 3, 5, 6, 7, 11, 18, 14, 17번
10 Prokofiev Toccata in d, Op. 11 / 프로코피에프 토카타
11 Prokofiev March from 'Love for Three Oranges' / 프로코피에프 3개의 오렌지에 대한 사랑 중 행진곡



CD18 Emil Gilels / 에밀 길렐스
01 Beethoven Sonata No. 29 in Bb, Op. 106 'Hammerklavier': I. Allegro / 베토벤 소나타 29번 <함머클라비어>
02 Beethoven Sonata No. 29 in Bb, Op. 106 'Hammerklavier': II. Scherzo. Assai vivace
03 Beethoven Sonata No. 29 in Bb, Op. 106 'Hammerklavier': III. Adagio sostenuto
04 Beethoven Sonata No. 29 in Bb, Op. 106 'Hammerklavier': IV. Introduzione. Largo - Fuga. Allegro risoluto

Emil Gilels (1916-85) / 에밀 길렐스
Principal Teachers: Yakov Tkach, Berta Reingbald, Heinrich Neuhaus / 야코프 트카흐, 베르타 라인크발트, 하인리히 네이가우스 사사

Prizes:
1933 - All-Union Competition in Moscow, 1st / 모스크바 제1회 전소련 콩쿠르 1위
1936 - Vienna Competition, 2nd / 비엔나 음대 콩쿠르 2위
1938 - Ysaye Competition in Brussels, 1st / 브뤼셀 이자이(현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1위
1973 - Robert Schumann Prize / 로베르트 슈만 상

'If I could be born a second time, I would do the same again - but better.' Half Lithuanian (his father was an accountant from Vilnius), 'devoured by music', Emil Gilels personified the unapproachable, Jovian-toned, Russian super-pianist: Straight back, stout chest, edge-of-the-stool seat, legs angled precisely to the pedals, faded sandy hair brushed severely back, tails arranged sweepingly and Jewish eyes staring expressionlessly from a broad Odessa face; his hands positioned quietly, firm, bony fingers doing just the necessary. He was a Soviet "grand seigneur" with the stage-walk of a general. The artist within - the man of sculpted climaxes and husky poetry, of chords and melodies shaped by life-experience - sent different message: mortal, understanding, communicative, 'bleeding with inner expression'.

‘내가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나는 같은 것을 할 것이다. - 그러나 더 좋게 할 것이다.’ 반 리투아니아인(그의 아버지는 빌뉴스 출신 회계사)으로 ‘음악에 사로잡힌’ 에밀 길렐스는 접근할 수 없는 주피터 신의 음색을 지닌 러시아의 슈퍼 피아니스트를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 곧은 등, 튼튼한 가슴, 의자의 가장자리, 페달에 정확하게 기울어진 다리, 뒤로 엄격하게 빗어 넘긴 희미해진 갈색 머리, 일률적으로 배열된 연미복, 넓은 오데사 얼굴에서 무표정하게 응하는 유태인의 눈 - 그의 손은 필요한 것을 하면서 단단하고 앙상한 손가락들을 조용하게 만들었다. 그는 일반적으로 무대를 거니는 소비에트의 “귀하신 분”(비꼬는 표현)이었다. 조각된 클라이맥스와 당찬 시, 인생 경험으로 형성된 화음과 멜로디의 남자인 아티스트는 인간, 이해, 의사소통, ‘내면의 표현으로 인한 출혈’ 등 다양한 메시지를 보냈다.

He made slips, and had his memory lapses, but at full throttle, his playing defined might and passion, the instrument powered into a jangling, roaring, heroic titan while still capable of lyric gear and the most rarefied of dynamics and pedallings. Gilels was a pianist of unique sound-print, rooted, through Russia's teaching lines, in a tradition reaching back to Chopin and Clementi.

그는 실수로 기억력을 잃어버렸지만, 전속력으로 그의 연주는 힘과 열정, 신경이 곤두선 으르렁거리는 영웅적인 티탄에 집중된 악기를 정의한 반면 여전히 서정적인 장치, 가장 특별한 다이내믹과 페달링이 가능했다. 길렐스는 쇼팽과 클레멘티에게 전해지는 전통에서 러시아의 가르침을 통해 뿌리내린 독특한 소리를 남긴 피아니스트이다.

In a striking epitaph from November 2003, Valery Afanassiev turns to Beckett: 'Not one person in a hundred knows how to be silent and listen, no, nor even to conceive what such a thing means. Yes, only then can you detect, beyond the fatuous clamour, the silence of which the universe is made'. 'Silence,' Afanassiev continues (the English is his), 'is out of our reach because we have forgotten how to listen to it. As if brushing it aside, we fill in the pauses that turn up here and there. Silence withdraws into itself, punishing us for our nonchalant scorn [...] Like nobody else, Emil Grigorievich knew how to worship and handle silence. Even his way of speaking testified to this knowledge, for he often interrupted his speech to let the people around him meditate on what had been said and also listen to silence.

2003년 11월의 빼어난 비문에서, 발레리 아파나시에프가 극작가 베케트에게 의지한다. - ‘100명 중 한 명도 침묵하고 듣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아니, 그런 의미가 무엇인지를 생각조차 못한다. 그렇다, 그때만 끔찍한 울부짖음을 넘어 우주가 만들어지는 침묵을 감지할 수 있다.’ (영어를 잘 하는) 아파나시예프가 계속한다. ‘침묵은 우리가 듣는 방법을 잊어버렸기 때문에 도달 범위를 벗어났다. 따로 닦는 것처럼, 우리는 여기저기서 멈추는 것을 채운다. 침묵은 그 자체로 침잠하여 우리의 무심한 경멸로 우리를 처벌한다. [...] 다른 어느 누구처럼 에밀 그리고리에비치는 침묵을 경외하여 다루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그의 말하는 방식조차도 이 지식에 대해 증명했는데, 그가 주변 사람들이 말한 것을 생각하게 하고 침묵도 듣게 하기 위해 그의 말을 종종 중단했기 때문이다.

'Not only did he speak musically but music literally spoke through his voice, his manners, his thoughts, it never forsook him, not for an instant - a beautiful example of requited love. Even in his jokes one could hear music - something akin to the technique "perle" which was one of his numerous fortes [...] I once asked Emil Grigorievich how to play trills. He said they should be played slowly: even in trills one should be able to hear silence, its serene, unruffled presence. Garrulous trills are obnoxious.'

‘그는 음악적으로 말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목소리, 그의 방식, 그의 생각을 통해 완전히 말했으며 잠깐 동안이 아니라 절대 버리지 않았는데, 상대방의 마음을 얻게 된 사랑의 아름다운 예가 되었다. 그의 농담에서조차도 음악을 들을 수 있었는데, 그의 수많은 포르테(세게) 중 하나였던 “완벽한” 테크닉에 가까운 것이었다. [...] 나는 에밀 그리고리에비치에게 트릴(떤꾸밈음)을 연주하는 방법을 한 번 물어봤다. 그는 트릴이란 천천히 연주되어야 하는데 트릴에서조차도 침묵, 그 고요하면서도 침착한 존재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다스러운 트릴은 불쾌하다.’

The way Emil Grigorievch practised the instrument also reveals his intimate bond with silence. In contrast to Richter, who repeated the same passage over and over again, he never made his neighbours wonder 'Will he ever drop with exhaustion?' [...] He taught me to hear not only music but also life itself; or rather, he taught me to hear music in life [...] Several times a year, Emil Grigorievich asked [his son-in-law, Peter] to depose flowers on the tombs of the composers buried at the Novodevichye Cemetery in Moscow. I know several people who, upon arriving in a city they have never visited, rush towards the nearest cemetery: they are tomb collectors. But those who can hear cemeteries, their silence and music, are few and far between.'

‘에밀 그리고리에비치가 악기를 연습하는 방식도 침묵과의 친밀한 관계를 드러낸다. 같은 패시지를 몇 번이고 반복했던 리히터와는 달리, 그는 이웃들이 ‘그가 피로로 쓰러질 것인가?’ 궁금하게 했다. [...] 그는 내게 음악뿐만 아니라 인생 자체도 듣도록 가르쳐주었는데, 더 정확히 그는 내게 인생에서 음악을 듣도록 가르쳤다. [...] 1년에 몇 번씩이나 에밀 그리고리에비치는 [그의 사위 페테르에게] 모스크바의 노보데비치 묘지에 묻힌 작곡가들의 무덤에서 꽃을 빼라고 요청했다. 나는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는 도시에 도착했을 때 가장 가까운 공동묘지로 달려드는 여러 사람들을 알고 있는데, 그들은 무덤 수집가이다. 그러나 공동묘지, 그들의 침묵과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사람들은 흔치 않다.’

Gilels gave his public debut in Odessa in May 1929, with a recital programme including Beethoven's "Pathetique". His great competition wins of the 30s attracted the notice of Stalin - and spotlit the kind of music he was to make his own. Not Mussorgsky's "Pictures" (he left that to Richter and Yudina) but epic warhorses such as Brahms' "Handel" and "Paganini Variations", and the Liszt-Busoni "Figaro Fantasy" (which he learnt in 40 days and recorded in 1935). To go and win before the 28-strong jury of the 1938 Ysaye Competition (in which Michelangeli was placed seventh) was to take on the world. The peerage of the age was there to judge: Sir Arthur Bliss, Jean-Claude Casadesus, Samuil Feinberg, Ignaz Friedman, Walter Gieseking, Raoul Koczalski, Vladimir Orloff, Arthur Rubinstein, Olga Samaroff-Stokowski, Emil von Sauer and Carlo Zecchi. Only Hofmann and Rachmaninoff (who considered Gilels his 'disciple in piano art') were absent.

길렐스는 베토벤 소나타 8번 <비창>을 포함한 리사이틀 프로그램으로 1929년 5월 오데사에서 공개 데뷔했다. 그의 30년대 대형 콩쿠르 우승들은 스탈린의 주목을 끌었으며, 그가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던 음악의 일종을 주목했다. (그가 리히터와 유디나에게 남겼던)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이 아니라 브람스의 <헨델 변주곡>과 <파가니니 변주곡>, (그가 40일 만에 익혀 1935년에 녹음했던) 리스트 <피가로 환상곡>(부조니 편곡)처럼 서사시의 노병들이었다. 1938 이자이 콩쿠르(현재 퀸엘리자베스 콩쿠르로 당시에 미켈란젤리는 7위에 입상)에서 28명의 강력한 심사위원들 앞에 나가 우승하는 것은 세계를 지배하는 것이었다. 그 시대의 귀족으로는 아서 블리스, 장-클로드 카사드쉬, 사무일 파인베르크, 이그나츠 프리드만, 발터 기제킹, 라울 코찰스키, 블라디미르 오를로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올가 사마로프-스토코프스키, 에밀 폰 자우어, 카를로 제키 등의 심사위원들이 있었다. 호프만과 (길렐스를 그의 ‘피아노 예술의 사도’로 여겼던) 라흐마니노프만이 불참했다.

Gilels' repertoire embraced more than 400 works, from the Baroque to the modern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e played Stravinsky's "Petrushka" transcription in Leningrad, and premiered Prokofiev's Eighth Sonata in Moscow). He appeared in the USA in 1955, and in the UK four years later. Both were politically charged Cold War tours. At the end of the American visit he taped the Tchaikovsky B flat minor with Fritz Reiner in Chicago, an account of visceral theatre, leonine attack and flying fingers, plunging deep into the keyboard: 33 minutes of history in the shops within a month. In his youth, despite wonderfully tender cantos, Gilels had the reputation of an athletic speed-merchant. 'When I played it felt like a gust of fresh air.' Later his passion gave way to pathos, most clearly apparent from his handling of Brahms' Second Concerto - 45 minutes with Fritz Reiner (1958), 52 with Eugen Jochum (1972).

길렐스의 레퍼토리는 바로크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400개 이상의 작품들을 수용했다. (2차 세계대전 동안 그는 레닌그라드에서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 편곡을 연주했으며 모스크바에서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8번을 초연했다.) 그는 1955년에 미국에 등장했으며 4년 후 영국 투어를 가졌다. 둘 다 정치적으로 냉전 시대의 투어였다. 미국 방문이 끝나고 그는 시카고의 프리츠 라이너와 함께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녹음했는데, 본능적인 연극, 사자 같은 공격, 손가락이 날아다니는 연주로 건반에 깊숙이 빠져들었다. - 한 달 이내에 상점에 나왔는데 (연주 시간이) 역사적인 33분이었다. 어린 시절에 놀랍도록 부드러운 노래였음에도, 길렐스는 탄탄한 스피드광으로 명성을 얻었다. ‘내가 연주했을 때 휙 부는 신선한 공기가 느껴졌다.’ 나중에 그의 열정은 파토스(연민을 자아내는 힘)에 무너졌는데, 그의 브람스 협주곡 2번 연주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 프리츠 라이너와의 녹음(1958)은 45분, 오이겐 요훔과의 녹음(1972)은 52분이다.

Lending weight to the Western conception of him as a 'socialist symbol', the political decorations were many: Stalin Prize (1946), People's Artist of the USSR (1954), Order of Lenin (1961, 1966), Lenin Prize (1962). In 1958 he chaired the first International Tchaikovsky Competition (won by Van Cliburn), likewise the next three, presiding over a jury including Sir Arthur Bliss, Dmitri Kabalevsky, Heinrich Neuhaus, Lev Oborin, Sviatoslav Richter, Pavel Serebryakov and Carlo Zecchi. He taught at the Moscow Conservatory from 1938 until his death, accepting a professorship in 1959. 'Gilels [...] loudly and imperiously proclaims "Yes!" to life. His voice is clear to anyone [... his art] helps us to live' (Heinrich Neuhaus).

그에 대한 서방의 이해를 ‘사회주의 상징’으로 입증하는 그의 정치적인 장식들로는 스탈린 상(1946), 소련 인민에술가(1954), 레닌 훈장(1961, 1966), 레닌 상(1962) 등 많이 있다. 1958년에 그는 (밴 클라이번이 우승했던) 초대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의 심사위원장이었는데, 다음 세 개의 대회들과 마찬가지로 아서 블리스 경,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하인리히 네이가우스, 레프 오보린,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파벨 세레브리야코프, 카를로 제키 등의 심사위원들을 주재했다. 그는 1938년부터 죽을 때까지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가르쳤으며, 1959년에는 교수직을 수락했다. ‘길렐스는 [...] 인생에 큰소리로 도도하게 “그렇다!”고 선언한다. 그의 목소리는 누구에게나 분명하다. [...그의 예술은] 우리가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하인리히 네이가우스).’

Chopin Nocturne in c, Op. 48 No. 1 (1841) / 쇼팽 녹턴 13번
A fantasy-ballade drawing together slow march, "maggiore" chorale, "doppio movimento", and miraculous die-away: the grandest, most imposing and theatrical of the nocturnes.

느린 행진곡, “장조의” 코랄, “도피오 모비멘토”(앞의 빠르기보다 2배의 속도로), 녹턴의 가장 위대하고 가장 인상적이며 연극조인 것들이 기적적으로 점점 소멸하는 것을 함께 그리는 발라드풍의 환상곡.

Chopin Sonata No. 2 in b flat, Op. 35 "Funeral March" (1837/39) / 쇼팽 소나타 2번 <장송 행진곡>
'When I play the music of earlier composers, I want to breathe the same air they breathed in those days; I imagine very vividly how these composers lived at that time, and I live in these flights of my imagination. This makes it easier for me to find the correct musical idiom for the performance of their works' ("Recorded Sound", July 1981).

‘이전 작곡가들의 음악을 연주할 때, 나는 그들이 그 당시 숨을 쉴 때와 같은 공기를 마시고 싶다. 나는 이 작곡가들이 그 당시 어떻게 살았는지 매우 생생하게 상상하며, 나는 이 상상의 비행에 산다. 이것은 내가 그들의 작품을 연주하기 위한 올바른 음악적 작풍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 (1981년 7월 <레코디드 사운드>)

Chopin Polonaise in Ab, Op. 53 (1842-43) / 쇼팽 폴로네즈 6번 <영웅>
Martial, majestic, poetic. 'The possibilities of the polonaise as a "genre" are exhausted in this grandiose tone-poem' (Arthur Hedley).

호전적이고 위풍당당하며 시적이다. ‘폴로네즈의 “장르”로서의 가능성들이 이 웅대한 음시(시적 내용을 음악화한 곡)에서 소진된다(아서 헤들리).’

Chopin Impromptu No. 2 in F#, Op. 36 (1839) / 쇼팽 즉흥곡 2번
'The fresh atmosphere of a Sunday morning rather than the dusky mystery of evening' (Alfred Cortot).

‘어스름한 저녁의 신비라기보다는 일요일 아침의 신선한 분위기(알프레드 코르토).’

Chopin Sonata No. 3 in b, Op. 58 (1844) / 쇼팽 소나타 3번
The first great B minor sonata of the High Romantics, embracing the proud, the mercurial, the hallowed, the volcanic. 'Colour, grace, passion, reverie - all are here at the command of a composer who had reached the heights of his powers' (Arthur Hedley).

자랑스러움, 활달함, 신성함, 화산 작용을 받아들이는 낭만파 절정기의 첫 위대한 b단조 소나타. ‘색채, 우아함, 열정, 꿈 - 여기 모든 것이 엄청난 힘에 이른 작곡가의 명령에 있다(아서 헤들리).’

Prokofiev Sonatas / 프로코피에프의 소나타들
'Without being presumptuous, I may say that I never follow anyone else's ideas. In everything I write, I follow two major principles: clarity and brevity, avoiding everything superfluous in the expression of my ideas.'

‘나는 예상하지 못한 채 다른 사람의 생각을 절대 따르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내가 쓰는 모든 것에 나는 두 가지 주요 원칙, 즉 명확성과 간결성을 따르며 내 생각의 표현에 불필요한 모든 것을 피한다.’

Prokofiev Sonata No. 2 in d, Op. 14 (1912) /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2번
Premiered by the composer in the Small Hall of the Moscow Conservatoire, 23 January/5 February 1914. Crude thought the critics, a 'true picture of the modern "football" generation.' Worse was to come in New York (Aeolian Hall, 20 November 1918). 'Russian chaos in music,' 'a herd of mammoths charging across an Asiatic plateau.'

1914년 1월 23일/2월 5일 모스크바 음악원 소강당에서 작곡가가 초연. 비평가들은 그저 ‘현대 “축구” 세대의 진정한 그림’이라고 생각했다. 뉴욕(애올리언 홀, 1918년 11월 20일)에서는 ‘러시아의 혼돈의 음악’, ‘아시아 대륙을 가로지르는 매머드 떼’로 표현하는 등 더 심했다.

Prokofiev Sonata No. 3 in a, Op. 28 "From Old Notebooks" (1907-17) /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3번 <옛 노트에서>
A re-working of earlier materials, dedicated to the dilettante poet Boris Verin (Dmitri Bashkirov), and premiered by the composer in Petrograd, 15 April 1918.

구작을 개정하였는데 발전부와 재현부를 약간 변경했을 뿐 구상은 그대로 하고, 피아노에 적합한 알맞고 세련된 기법으로 손질하여 딜레탕트(호사가) 시인 보리스 베린에게 헌정했으며(드미트리 바쉬키로프), 1918년 4월 15일 페트로그라드에서 작곡가 자신이 초연했다.

Prokofiev Sonata No. 8 in Bb, Op. 84 (1939-44) /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8번
Third of the 'war sonatas', premiered by Emil Gilels in Moscow, 30 December 1944. 'Of all Prokofiev's sonatas, this is the richest. It has a complex inner life, profound and full of contrasts. At times it seems to grow numb, as if abandoning itself to the relentless march of time. If is sometimes inaccessible, this is because of its richness, like a tree that is heavy with fruit' (Sviatoslav Richter).

1944년 12월 30일 모스크바에서 에밀 길렐스가 초연한 <전쟁 소나타> 중 세 번째 곡. ‘이 곡은 프로코피에프의 모든 소나타들 중에서 가장 풍요롭다. 복잡한 내면의 삶을 가지고 있으며 심오하고 대조적이다. 시간의 가차 없는 흐름에 그 자체를 버리는 것처럼 때로는 무감각해지는 것처럼 보인다. 때로는 접근하기 어렵다면, 풍요로움으로 인해 열매의 무게를 견뎌야 하는 나무와도 같기 때문이다(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이 곡은 프로코피에프의 모든 소나타 중에서 가장 풍요롭다. 대단히 복잡하고 심오하며 대조가 강한 생명력을 지닌 작품인 것이다. 어떤 대목에서는 마치 시간의 가차없는 흐름에 몸을 내맡기기라도 하듯 음악이 둔해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할 것이다. 또 어떤 대목은 접근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곡의 풍요로움에 기인하는 것이다. 마치 나무가 열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쓰러지듯이 말이다.)]

Prokofiev Toccata in d, Op. 11 (1912) / 프로코피에프 토카타
Premiered by Prokofiev in Petrograd, 10 December 1916.

1916년 12월 10일 페트로그라드에서 프로코피에프가 초연하였다.

Prokofiev: The Love of Three Oranges, Op. 33 Act II - March (1919) / 프로코피에프 오페라 <3개의 오렌지에 대한 사랑> 2막 중 행진곡
Premiered under the composer's direction in Chicago, 30 December 1921. 'The Chicago audience was both proud and bewildered. Proud of having first attended a "modern opera", but bewildered by the unusual music, and by the fact that this enterprise coast some $250,000, as reported in the newspapers. "Those oranges," someone said, "were the most expensive in the world!"' The critics were hostile. 'God's sake, what reviews! I felt as if a pack of mad hounds had been let loose and torn my pants to shreds.'

1921년 12월 30일 시카고에서 작곡가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시카고 청중은 자랑스러우면서도 어리둥절했다. “현대 오페라”에 처음 참석한 것은 자랑스러웠지만, 특이한 음악인 데다가 신문에서 보도된 대로 25만 달러를 상회한다는 사실로 인해 어리둥절했다. “그 오렌지들은 세계에서 가장 비쌌다!” 누군가가 말했다.’ 비평가들은 적대적이었다. ‘맙소사, 리뷰는 무슨! 미친 사냥개 무리가 내 바지를 헐렁하게 해서 갈가리 찢어버린 것처럼 느껴졌다고.’

Beethoven Sonata No. 29 in Bb, Op. 106 "Hammerklavier" (1817-18) / 베토벤 소나타 29번 <함머클라비어>
'In this work, in one creation of the spirit, a mortal man has portrayed and sublimated all the facts of life, its rigours, injustices, joys, its heavenly consolations, the temporal and the eternal, the conceivable and the inconceivable' (Edwin Fischer). This performance comes from Gilels' last concert in Moscow, on 26 January 1984. A year later in Helsinki, 12 September 1985, it signed off his career. 'The most powerful composition for the pianoforte of all time' (Ferruccio Busoni).

‘이 작품의 영혼 창조에서 언젠가는 반드시 죽는 남자는 인생의 사실들, 그 엄격함, 불의, 기쁨, 천상의 위안, 현세와 영원, 생각할 수도 없고 상상할 수도 없는 모든 것을 묘사하고 승화시켰다(에트빈 피셔).’ 이 연주는 길렐스가 1984년 1월 26일에 가졌던 마지막 모스크바 콘서트에서 나온다. 1년 후인 1985년 9월 12일, 헬싱키에서 그의 경력이 끝났다. ‘모든 시대의 피아노포르테를 위한 가장 강력한 작품(페루치오 부조니).’

(리히터의 프로코피에프 소나타 8번 설명은 전에 번역했던 <러시안 피아노 스쿨> 음반을 참고한 것으로 번역을 그대로 여기로 옮긴 것이 아니라 약간 다르게 수정했다.)

댓글 1개:

  1. https://cloud.mail.ru/public/3bzF/bzUJsGjXH

    https://cloud.mail.ru/public/Cvpd/UEz2G5ShQ

    답글삭제

Google Drive / 2024. 04.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dilia Alieva”

프랑스의 아딜리아 알리예바 국제피아노콩쿠르는 아제르바이잔 피아니스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대회이다. 2014년까지 가야르에서 열리다가 2016년부터 안마스에서 열린다. 제3회 2002 Gaillard 비르투오시티 특별상 Ekaterina Avde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