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31일 일요일
DVD / Andras Schiff, Daniel Barenboim & Yefim Bronfman Play Bach, Beethoven & Brahms 2011
https://www.youtube.com/watch?v=whSrjAwCykc
거장 피아니스트들의 유명 변주곡 실황 공연
EuroArts 직수입 디스크 (오스트리아 SONY DADC 제작) + 한글 번역 내지
Program
Opening
J.S. Bach Goldberg Variations, BWV 988 /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Aria
Variatio 1. a 1 Clav.
Variatio 2. a 1 Clav.
Variatio 3. Canone all’Unisono. a 1 Clav.
Variatio 4. a 1 Clav.
Variatio 5. a 1 ô vero 2 Clav.
Variatio 6. Canone alla Seconda. a 1 Clav.
Variatio 7. a 1 ô vero 2 Clav. al tempo di Giga
Variatio 8. a 2 Clav.
Variatio 9. Canone alla Terza. a 1 Clav.
Variatio 10. Fughetta. a 1 Clav.
Variatio 11. a 2 Clav.
Variatio 12. a 1 Clav. Canone alla Quarta in moto contrario
Variatio 13. a 2 Clav.
Variatio 14. a 2 Clav.
Variatio 15. Canone alla Quinta. a 1 Clav.: Andante
Variatio 16. Ouverture. a 1 Clav.
Variatio 17. a 2 Clav.
Variatio 18. Canone alla Sesta. a 1 Clav.
Variatio 19. a 1 Clav.
Variatio 20. a 2 Clav.
Variatio 21. Canone alla Settima
Variatio 22. a 1 Clav. alla breve
Variatio 23. a 2 Clav.
Variatio 24. Canone all'Ottava. a 1 Clav.
Variatio 25. a 2 Clav.: Adagio
Variatio 26. a 2 Clav.
Variatio 27. Canone alla Nona. a 2 Clav.
Variatio 28. a 2 Clav.
Variatio 29. a 1 ô vero 2 Clav.
Variatio 30. a 1 Clav. Quodlibet
Aria da Capo
... Andras Schiff / 안드라스 쉬프
Beethoven 33 Variations on a waltz by Diabelli, Op. 120 / 베토벤 <디아벨리의 왈츠에 의한 33개 변주곡>
Tema. Vivace
Variations I-XXXIII
... Daniel Barenboim / 다니엘 바렌보임
Brahms Variations &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 브람스 <헨델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Aria
Variation 1
Variation 2 Animato
Variation 3 Dolce
Variation 4 Risoluto
Variation 5 Espressivo
Variation 6
Variation 7 Con vivacita
Variation 8
Variation 9 Poco sostenuto
Variation 10 Energico
Variation 11 Dolce
Variation 12 Soave
Variation 13 Largamente, ma non più
Variation 14 Sciolto
Variation 15
Variation 16 Ma marcato
Variation 17 Più mosso
Variation 18 Grazioso
Variation 19 Leggiero und vivace
Variation 20 Legato
Variation 21 Dolce
Variation 22
Variation 23 Vivace e staccato
Variation 24
Variation 25
Fuga
... Yefim Bronfman / 예핌 브론프만
Bach, Beethoven, Brahms: Keyboard Variations - Written by Anthony Short / 바흐, 베토벤, 브람스 키보드 변주곡 - 앤서니 쇼트의 글
"Cabbage and turnips have driven me away, had my mother cooked meet, I'd have opted to stay." Bach was quite capable of injecting a dose of the seemingly mundane into his music, even when he was at his most cerebral, as in the 'Goldberg' Variations. If his early biographer, Johann Forkel, is to be believed, whenever Bach's extended family got together, they seldom waited long before decorously striking up a chorale: many of the assembled gentleman were, after all, professional church musicians. After a while, however, gentility yielded to joking and jesting, and the men would start singing comic and scabrous popular songs, mixing things together on the spur of the moment, and improvising harmonies to produce what they called a 'quodlibet', which loosely translated from Latin means 'whatever'.
바흐는 흔한 재료를 어머니의 요리 솜씨처럼 자신의 음악 속에 집어넣어 얼마든지 뛰어난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 <골드베르크 변주곡> 같이 매우 지적인 작품을 작곡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바흐의 전기를 처음으로 저술한 요한 포르켈의 기록에 따르면, 대가족이었던 바흐 가족은 식구들이 모두 모여 가족 파티를 열 때마다 언제나 예의를 갖추고 찬송가 합창부터 시작했다. 사실, 바흐의 가족 중에는 교회에 소속된 전문 음악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점잖게 시작된 파티는 잠시 뒤 유쾌한 농담과 장난기 넘치는 분위기로 바뀌고, 남자들이 흥에 취해 여러 가지 선율을 섞어 익살스럽고 세속적인 노래들을 부르기 시작한다. 이른바 ‘쿼들리벳(quodlibet)’이라고 하는 유머러스한 혼성곡인데 즉흥적으로 화성을 만들어 부르는 노래이다. 쿼들리벳이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좋을 대로(whatever)’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In essence, a quodlibet is no more than several different popular tunes combined contrapuntally in a light-hearted manner. This is exactly what Bach provides at the end of his 'Goldberg' Variations when, after more than an hour of serious fare, he alludes to a family quodlibet featuring a selection of lowly brassicas. The title-page of the original score, published in 1741 by Bach's friend Balthasar Schmid in Nuremberg, gives a clear explanation both of the work's contents and its didactic purpose: "Keyboard exercise, consisting of an ARIA with diverse variations for harpsichord with two manuals. Composed for connoisseurs, for the refreshment of their spirits, by Johann Sebastian Bach, composer for the royal court of Poland and the Electoral court of Saxony, Kapellmeister and Director of Choral Music in Leipzig."
쿼들리벳은 원래 두 개 이상의 두루 알려진 곡조를 대위법적으로 교묘하게 짜 맞추어 만든 가벼운 느낌의 작품을 가리킨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에서 마지막 30번 변주는 바로 이 기법으로 작곡되었다. 뉘른베르크에서 바흐의 친구인 발타자르 슈미트가 1741년에 출판한 원래 악보의 속표지는 이 작품의 내용과 그 교훈적인 목적 모두 명확하게 설명한다. “건반 연습, 2개의 매뉴얼이 있는 하프시코드를 위한 다양한 변주곡과 함께 아리아로 구성된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폴란드 왕 겸 작센 선거후 궁정작곡가 겸 라이프치히 카펠마이스터 및 합창 음악 감독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그들의 정신을 회복하기 위해 감정가들을 위해 작곡했다.”
According to Forkel, the work was called 'Goldberg' Variations because it was written for the entertainment of Bach's insomniac patron Court Keyserlingk, who wanted his harpsichordiest Johann Gottlieb Goldberg to play him something 'soothing and cheerful'. Given that Goldberg would only have been fourteen at the time, this story seems decidedly dubious. Furthermore, this monumental set of contrasting variations, which are by turn witty, dance-like and exhilarating, is so brilliant that it surely serves better as a daytime stimulant than as a nocturnal soporific.
포르켈에 따르면, 이 곡이 ‘골드베르크’ 변주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까닭은 불면증으로 고생하고 있던 바흐의 후원자 카이제를링크 백작의 요청에 의해 이 곡을 작곡했고, 백작의 전속 쳄발로 연주자이자 바흐의 제자였던 고틀리프 골드베르크에게 상쾌한 곡을 연주하도록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당시 골드베르크의 나이가 14세에 불과했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신빙성이 떨어진다. 그뿐만 아니라, 대비감이 뛰어난 기념비적인 이 작품은 유머와 재치가 넘치고, 때로는 환희에 찬 춤곡처럼 신나는 곡이기 때문에 한밤에 수면을 위해서라기보다는 한낮에 활력을 얻기 위한 음악으로 알맞다.
In terms of scale and duration, the 'Goldberg' Variations had no rival until Beethoven composed his 'Diabelli' Variations about eighty years later, between 1819 and 1823. Schoenberg argued that in respect of its harmony 'this work deserves to be called the most adventurous work by Beethoven.'
거대한 구성과 긴 연주시간으로 볼 때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18세기에 그 어떤 작품과도 비교 불가였지만, 80년 뒤 1819년에서 1823년 사이에 베토벤이 이에 견줄만한 작품으로서 ‘디아벨리’ 변주곡을 발표했다. 쇤베르크는 ‘디아벨리’ 변주곡이 담고 있는 변화무쌍한 화음과 관련해서 ‘이 곡은 베토벤의 전 작품 중에서도 가장 모험적인 작품’이라고 평했다.
Certainly, Diabelli's original material, which is little more than an innocent waltz theme, is mined so ingeniously that through constant alteration of harmonic and rhythmic elements Beethoven extracts a magnum opus of incredible profundity.
확실히, 베토벤은 디아벨리라고 하는 출판업자의 보잘것없는 짤막한 왈츠를 주제로 하여 리듬과 화음을 놀랍도록 심오하게 확장시켜 33개의 거대한 변주곡을 작곡했다.
The late Michael Steinberg remarked that Diabelli's original waltz 'is almost tuneless, as though both hands were playing accompaniments'. It was this theme that Diabelli sent to dozens of composers working in Austria, possibly as an act of self-promotion for his publishing house. He urged each of them to contribute a single variation to his anthology "Vaterländischer Künstlerverein" (Patriotic Artists' Association). Schubert, Hummel, Czerny, Moscheles and the young Liszt (who was still only twelve when the publication appeared) were among those who obliged.
故 마이클 스타인버그는 디아벨리의 원래의 왈츠는 ‘양손이 반주를 연주하고 있었던 것처럼 거의 변칙이 없다’고 말했다. 디아벨리가 오스트리아에서 일하는 수십 명의 작곡가들에게 보내준 이 주제는 아마도 자신이 1824년 설립한 카피디아벨리출판사의 자체 판촉 행위일 수도 있다. 그는 이 출판사를 통하여 자신이 작곡한 왈츠를 주제로 하여 베토벤이 작곡한 디아벨리 변주곡이 포함된 <조국의 예술가 동맹>도 간행하였다. 슈베르트, 훔멜, 체르니, 모셸레스, (출판물에 등장했을 때 아직도 불과 14세였던) 어린 리스트 등의 작품을 많이 출판하여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Beethoven, however, seems to have got carried away, for he ended up by writing thirty-three variations. One of his more unexpected interventions in the 'Diabelli' Variations is the humorous Variation 22, which he calls 'Allegro molto, alla Notte e giorno faticar di Mozart', a reference to Leporello's aria at the beginning of "Don Giovanni". Was Beethoven grumbling that he too had been working night and day, like Leporello? Who knows!
그러나 베토벤은 33개의 변주곡을 썼기 때문에 흥분한 것 같다. ‘디아벨리’ 변주곡에서 예기치 못한 개입 중 하나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에 처음 나오는 레포렐로의 아리아를 참고한 ‘알레그로 몰토, 밤낮으로 힘들게 일하고’라고 불리는 유머러스한 변주곡 22번이다. 베토벤은 레포렐로처럼 그도 밤낮으로 일하고 있다는 것을 불평하고 있었을까? 아무도 모른다!
In Variation 32 Beethoven builds a powerful triple fugue from Diabelli's unpromising material. The unusual and magical linking passage from this variation to the finial minuet has attracted plenty of critical comment over the course of almost two centuries. Donald Tovey, for instance, wrote how 'the storm of sound melts away, and, through one of the most ethereal and - I am amply justified in saying - appallingly impressive passages ever written, we pass quietly to the last variation.'
변주 32에서는 베토벤이 디아벨리의 보잘것없는 소재에서 강력한 3성부 푸가를 만든다. 이 변주에서 마지막 미뉴에트까지 특이하면서도 신비한 연결 패시지는 거의 2세기 동안 많은 논평을 불러일으켰다. 예를 들어 도널드 토베이는 어땠는지 다음과 같이 썼다. ‘소리의 폭풍이 차츰 사라지고, 가장 미묘한 것 중의 하나를 통해 - 말하기에 충분히 정당화된 - 우리는 소름끼치게 인상적인 패시지가 쓰인 마지막 변주에 조용히 빠져든다.’
In 1856 Brahms wrote to his friend, the violinist Joseph Joachim, decrying the efforts of his fellow composers at writing variations. He said that they would cling nervously to the theme and overload it without making anything new out of it. By contrast, 'Beethoven varies the melody, harmony and rhythms so beautifully.' Five years later, Brahms produced his own 'Handel' Variations, a large-scale piano masterpiece, which he presented to Clara Schumann on her forty-second birthday.
1856년에 브람스는 그의 친구인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아힘에게, 변주곡을 쓰는 것에 있어 동료 작곡가들의 수고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 비난하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 그는 그들이 주제를 신경질적으로 고수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지 않고 과부하 상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조적으로 ‘베토벤은 멜로디, 화성, 리듬을 정말 아름답게 변화시킨다’고 썼다. 5년 후, 브람스는 대형 피아노 걸작 ‘헨델’ 변주곡을 만들었는데, 클라라 슈만을 위해 작곡한 것으로, 그녀의 42번째 생일선물로 보냈다.
Eminent musicians of the day, such as Carl Reinecke, were inclined to remark on the physical strength and mental stamina that are required to perform this work. Even Clara Schumann herself admitted to friends in London how sorry she was that these variations 'about which I am so enthusiastic, are beyond my strength.'
카를 라이네케 같은 당대의 저명한 음악가들은 이 작품을 연주하기 위해 필요한 체력과 정신력에 대해 언급하고 싶어 했다. 클라라 슈만 그녀 자신도 ‘내가 매우 열정적이어서 내 힘을 초월한다는 것에 대해’ 이 변주곡에 얼마나 유감인지 런던에 있는 친구들에게 고백했다.
One suspects that Brahms may have been thinking orchestrally as he composed them.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Walter Niemann, an influential German music critic and pupil of Reinecke, wrote that it is really not too difficult to hear suggestions of woodwind timbres in the second variation, or a resounding horn quartet in the seventh. He outlines numerous other pianistic approximations to instrumental effects and tone colours such as pizzicato and double stopping.
브람스는 그가 작곡한 대로 관현악적으로 생각해왔을 수도 있다. 21세기 초에 영향력 있는 독일의 음악평론가이자 라이네케의 제자인 발터 니만은 변주 2에서 목관악기 음색에 대한 암시 또는 변주 7에서 호른 콰르텟이 울려 퍼지는 것을 듣는 게 실제로 그리 어렵지 않다고 썼다. 그는 피치카토와 더블 스토핑(현악기의 두 현을 동시에 연주하는 것) 같은 기악 효과 및 음색에 대한 수많은 다른 피아니스틱한 것에 가까운 것들을 설명한다.
Malcolm MacDonald writes that "some of Brahms's models in this monumental work are easy enough to identify. In the scale and ambition of his conception both Bach's 'Goldberg' and Beethoven's 'Diabelli' Variations must have exercised a powerful if generalized influence." The theme that Brahms uses is taken from "Trois Leçons", the concluding aria in Handel's keyboard suite in B flat major (HWV 434), which his London publisher issued as one of his "Suites de pièces pour le clavecin". Brahms was a keen antiquarian, and he actually owned a first edition of the Handel suite, which was published in 1733. Doubtless it was the apparent simplicity of the aria that appealed to Brahms, who could emulate the techniques of his revered predecessor, Beethoven, by varying the melody, harmony and rhythms. With these thoughts in mind, there is no question that Handel's theme makes an ideal starting point.
맬컴 맥도널드는 다음과 같이 쓴다. “이 기념비적인 작품에 나오는 브람스의 모델 중 일부는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그의 개념의 규모와 야망에서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베토벤의 ‘디아벨리’ 변주곡 모두 일반화된 영향력을 행사할 때 강력한 힘을 발휘했음에 틀림없다.” 브람스가 사용하는 주제는 헨델의 건반 모음곡 내림B장조(HWV 434)의 마지막 아리아인 <독서 세 편>에서 가져온 것으로, 헨델의 런던 출판사는 그의 <클라브생 모음곡> 중의 하나를 발행했다. 브람스는 열렬한 고서 수집가였으며, 실제로 1733년에 출판된 헨델 모음곡의 초판을 소유했다. 의심할 여지없이 브람스에게 호소한 것은 아리아의 뚜렷한 단순함이었는데, 그는 멜로디, 화성, 리듬을 변화시켜 존경받는 전임자인 베토벤의 테크닉을 모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각들을 염두에 두고, 헨델의 주제가 이상적인 출발점이 된다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내지 번역본이 일부 있으므로 먼저 영어를 타이핑한 다음 집어넣었다.
DVD / Andras Schiff Plays Bach French Suites 2010
https://www.youtube.com/watch?v=aTnN5rPpdwE
https://www.youtube.com/watch?v=FU0jr1obOao
https://www.youtube.com/watch?v=Q4t1TVxL9sg
https://www.youtube.com/watch?v=Z1fZ54Ho1nw
https://www.youtube.com/watch?v=f_U0lm6HZMk
https://www.youtube.com/watch?v=kkNPezHTWzU
https://www.youtube.com/watch?v=hFD-weffFpo
https://www.youtube.com/watch?v=ghTitIMtTCM
https://www.youtube.com/watch?v=0SclAUqaj2Q
안드라스 쉬프가 연주하는 바흐 프랑스 모음곡
보너스 영상 : 바흐 스페셜리스트 안드라스 쉬프가 해설하는 바흐 (34분)
EuroArts 직수입 디스크 (오스트리아 SONY DADC 제작) + 한글 번역 내지
헝가리 태생의 유명한 피아니스트 안드라스 쉬프는 2010년 라이프치히 페스티벌에 참가해서 스타인웨이 그랜드피아노로 ‘프랑스 모음곡’과 ‘프랑스풍의 서곡’, ‘이탈리아 협주곡’을 연주했다. 쉬프는 쳄발로 연주에 통달한 사람처럼 학구적인 기량을 발휘하며, 바흐에 관한 자신의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사려 깊고 호소력 있는 연주를 확연하게 보여준다.
본 디스크에는 라이프치히 성 토마스 교회에서 촬영한 쉬프와의 인터뷰가 34분 분량의 추가 영상으로 수록되어 있다. 쉬프는 인터뷰에서 바흐의 라이프치히 시대의 생애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 (내지 발췌)
Program
French Suite No. 1 in d, BWV 812 / 프랑스 모음곡 1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Menuet I/II / 미뉴에트
V.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2 in c, BWV 813 / 프랑스 모음곡 2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Air / 아리아
V. Menuet I/II (in BWV 813a) / 미뉴에트
VI.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3 in b, BWV 814 / 프랑스 모음곡 3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Air / 아리아
V.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4 in Eb, BWV 815 / 프랑스 모음곡 4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Menuet / 미뉴에트
VI. Air / 아리아
VII.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5 in G, BWV 816 / 프랑스 모음곡 5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Bourrée / 부레
VI. Loure / 루르
VII. Gigue / 지그
French Suite No. 6 in E, BWV 817 / 프랑스 모음곡 6번
I. Allemande / 알르망드
II. Courante / 쿠랑트
III. Sarabande / 사라방드
IV. Gavotte / 가보트
V. Polonaise (Menuet polonais) / 폴로네즈
VI. Bourrée / 부레
VII. Gigue / 지그
VIII. Menuet (Petit Menuet) / 미뉴에트
Overture in the French style in b, BWV 831 / 프랑스풍의 서곡
I. Overture / 서곡
II. Courante / 쿠랑트
III. Gavotte / 가보트
IV. Passepied / 파스피에
V. Sarabande / 사라방드
VI. Bourée I/II / 부레
VII. Gigue / 지그
VIII. Echo / 에코
Encore
Italian Concerto in F, BWV 971 / 이탈리아 협주곡
I. (Allegro)
II. Andante
III. Presto
Special Features / 보너스 영상
- Andras Schiff Explains Bach / 안드라스 쉬프가 해설하는 바흐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자막)
2010년 6월 11일 라이프치히 라이브 레코딩
We know incredibly little about Bach and maybe that's a good thing. I find that the biographical details we know about Beethoven or Schubert for example don't alway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Bach's works exist independently of his life. But what we do know is incredibly interesting and exciting. People try to imagine what he was like as a man but I don't really feel this works. I can't imagine how anyone could work so concentratedly with such a large family and with so many children. There's never any peace and quiet. Bach had a home, but he always worked elsewhere. There's no doubt that he had a study or something similar at St. Thomas's or St. Nicholas's, something like a miniature abbey, where he could work in peace. One thing is certain: whatever we do we need peace and quiet for music. Bach simply couldn't exist today with this constant bustle and noise. The other thing I really don't understand is the sheer quantity of music. People have calculated that if someone were to copy out all Bach's works, purely mechanically, it would take several decades. He wrote an incredible amount of music! Each Sunday he had to write a new cantata in Leipzig as well as music for various feast days and other occasions. These are large-scale works and he had to compose them, prepare the score and write out the parts. In this he may have been helped by Anna Magdalena and by pupils or assistants. Even so, it was a huge amount of work. It's wonderful that we still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manuscripts. There's no more beautiful musical calligraphy than Bach's. I understand his music best of all when I study these manuscripts because you can see these wonderful waves, like flowing water. He never writes a straight line but only waves. And so you can imagine how this music flows along. And you rarely find any corrections in these manuscripts. Of course, they're fair copies but you really get the impression that this music flowed from his mind.
우리는 바흐에 대해 거의 모르는데 그게 좋은 거예요. 예를 들어 베토벤이나 슈베르트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전기적인 내용이 항상 더 나은 이해에 기여하는 것은 아닙니다. 바흐의 작품들은 그의 삶과 별개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놀랍도록 흥미롭지요.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상상해보려고 하지만, 실제로 저는 그렇게 느끼지 않습니다. 저는 그런 대가족 속에서 많은 아이들과 함께 어떻게 그렇게 집중적으로 일할 수 있었는지 상상할 수 없습니다. 평화와 조용함이 절대로 없죠. 바흐는 집이 있었지만, 항상 다른 곳에서 일했죠. 그가 성 토마스나 성 니콜라스 같이 그가 조용히 일할 수 있었던 소형 수도원에서 뭔가를 연구하거나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죠. 한 가지는 확실한데,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음악을 위해서는 평화와 조용함이 필요합니다. 오늘날이라면 이 끊임없는 소란과 소음으로 인해 바흐가 그야말로 존재할 수 없었겠죠. 제가 정말로 이해할 수 없는 다른 것은 엄청난 양의 음악입니다. 사람들은 바흐의 모든 작품을 순전히 기계적으로 복사한다면,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고 계산했는데요. 그가 엄청난 양의 음악을 쓴 거죠! 매주 일요일에는 라이프치히에서 새로운 칸타타뿐만 아니라 다양한 축제 일정 및 기타 행사를 위해 음악을 써야 했죠. 이것들은 대규모 작품이며, 작곡을 하고, 악보를 준비하며, 각 성부를 써야 했죠. 이것에서 그는 안나 막달레나, 제자들이나 조수들의 도움을 받았음에 틀림없죠. 그렇더라도 엄청난 작업이었거든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원고가 아직도 있다는 것이 대단해요. 바흐의 작품보다 더 아름다운 음악적인 필적은 없거든요. 저는 이 원고들을 연구할 때 그의 음악을 가장 잘 이해하는데, 흐르는 물과 같은 멋진 파도를 볼 수 있기 때문이죠. 그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도 씁니다. 그래서 이 음악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상상할 수 있죠. 그리고 이 원고에서는 어떤 수정도 거의 없습니다. 물론, 공정한 사본이지만, 이 음악이 그의 마음에서 흘렀다는 인상을 실제로 받게 됩니다.
Like all children, I played Bach from the very beginning. Many children don't like this. I always liked it, I loved it from the very beginning. This became very important when I was about thirteen or fourteen and I was introduced to the great harpsichordist George Malcolm in London. He added greatly to my understanding of Bach. I never studied formally with him, it was more of a friendly relationship. Of course, he was decades older than me but he taught me a lot, I learnt a lot from him: things about Bach, about the Baroque style, the way music written for the harpsichord or clavichord can be adapted to a modern concert grand. This instrument I'm playing on now didn't exist in Bach's day. I owe this to George Malcolm. I then know that for em Bach is the greatest and most important composer. He's remained so and will always remain so. It's almost a ritual: every day when I get up - and if there's a piano available - I have to play Bach for an hour, that's how my day begins. I've never enjoyed playing piano exercises - studies and scales. I've always found this very mechanical, terribly boring and a bit undignified. A bit like chopping wood. Of course, young students have to do this. You have to have the scales in your hands and the fingering for the different scales. But I don't think you need this later. I discovered that Bach's music gives me all I need.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of course, musically and emotionally, but also purely physically. As I said earlier: there's this volatility and playfulness. There are lots of these elements in the French Suites but you find these from the outset, even in the Inventions. To be able to start a day like this cleanses the soul. It's also very satisfying from an intellectual point of view. You're always playing polyphony - music in several parts - in which all the voices are independent and of equal value. It's like a society in which everyone is equally important.
모든 아이들처럼, 저는 바흐를 일찍 연주했는데요. 많은 아이들은 이것을 좋아하지 않죠. 저는 항상 좋아했는데요, 일찍이 정말 좋아했죠. 이것은 제가 13세나 14세 때 런던에서 위대한 하프시코드 연주자 조지 맬컴에게 소개되었을 때 매우 중요해졌죠. 그는 제가 바흐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많이 주셨죠. 저는 그와 함께 정식으로 공부한 적이 없었지만, 보다 우호적인 관계였죠. 물론 그는 저보다 수십 살 더 많았지만, 많이 가르쳐 주었으므로, 그에게서 많은 것을 배웠죠. - 바흐에 대한 것들, 바로크 스타일에 대한 것들, 하프시코드나 클라비코드를 위해 쓰인 음악이 현대 콘서트그랜드피아노에 적용되는 방식. 지금 제가 연주하고 있는 이 악기는 바흐 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조지 맬컴 덕분에 저는 그러고 나서 바흐가 가장 위대하면서 가장 중요한 작곡가라는 것을 알죠. 그는 여전히 그렇게 남아있으며 항상 그렇게 남아있을 것입니다. 거의 의식인데, 저는 매일 일어나서 - 그리고 이용 가능한 피아노가 있다면 - 한 시간 동안 바흐를 연주해야 하는데, 그것이 제 하루가 시작되는 방식이죠. 저는 피아노 연습, 연습곡과 스케일을 즐긴 적이 없었는데요. 항상 이것을 정말 기계적으로, 지독하게 지루하면서 조금은 품위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죠. 다소 나무를 자르는 것 같죠. 물론 어린 학생들은 이것을 해야만 하죠. 손에 스케일이 배어야 하며 다른 스케일에 대한 운지법을 익혀야 하죠. 하지만 저는 이것이 나중에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바흐의 음악이 제가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거든요. 정신적으로나 영적으로, 물론 음악적이면서 감정적일 뿐만 아니라 순전히 육체적으로요. 앞서 말했듯이, 이 변동성과 장난기가 있습니다. 프랑스 모음곡들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많이 있지만, 인벤션에서도 처음부터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루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영혼이 깨끗해지죠. 지적 관점에서 볼 때에도 매우 만족스러워요. 여러 성부의 음악인 폴리포니(다성음악)을 항상 연주하고 있는데, 모든 성부들이 독립적이며 동등한 가치가 있습니다. 그것은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와 같습니다.
I didn't play the French Suites when I was a child, perhaps only a few movements from the Notenbüchlein from Anna Magdalena Bach. This is a very affectionate collection of shorter pieces, dance numbers, but also arias and chorales that Bach wrote for his beloved wife. Bach wasn't only the greatest composer of all time, that's perfectly clear to me. He was also a distinguished teacher. His work as a teacher shouldn't be underestimated. He had a lot of children. They were all very musical. In a family like that this really goes without saying. He also wrote didactic pieces for his children. When you reach the end of this Notenbüchlein for Anna Magdalena Bach there are Two- an Three-Part Inventions. These lead on to the Well-Tempered Clavier and then to the Clavier-Übung and finally to the Musical Offering and the Art of Fugue. In short, there's a straight line that leads to these final works, an evolution you have to go through. I don't understand today's young pianists who play the Goldberg Variations when they're only twelve or thirteen. This is wonderful work but they've played practically nothing else by Bach. You can't start at the top. The French Suites... Let's try to define what this means. They're "French" because this genre comes from France. The French clavecinistes, above all Lully, Couperin and Rameau, who were a little older than Bach - Rameau was in fact the same age - they all used this suite form. What is a suite? It's a collection of pieces. Imagine a bouquet of flowers, for example, a bouquet made up of various flowers, roses, carnations and all manner of other flowers, but all of the same colour. In music this colour is the equivalent of the key or tonality. In other words, all the movements are in the same key. There are various dance movements, not only ones that are French in origin. Each suite includes an allemande. As its name indicates, this is a German dance. Then there's the courante, a French dance. Then comes the solemn sarabande, which is at the heart of the suite, a festive, ceremonial dance from Spain. For a time this dance was banned in Spain because it was felt to be too erotic. Then come other "galanteries", as Bach calls them: minuets, passepieds and gavottes, all of them in pairs. First there's Menuetto 1, then Menuetto 2 and then da capo - Menueto 1 is repeated from the beginning. And every suite ends with a gigue. This is a Scottish or Irish sailor's dance, very lively. In terms of their origin or character some dances are slow and flowing, others very lively. As I say, the sarabande is solemn and festive.
저는 어렸을 때 프랑스 모음곡들을 연주하지 않았는데, 어쩌면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수첩>에 나오는 몇몇 악장들을 연주했겠죠. 이것은 짤막한 곡들과 춤곡뿐만 아니라 바흐가 자신의 사랑하는 아내를 위해 쓴 아리아와 코랄의 매우 애정 어린 모음곡입니다. 바흐는 모든 시대의 가장 위대한 작곡가일 뿐만 아니라 제게 더할 나위 없이 분명해요. 그는 뛰어난 교육자이기도 했는데요. 교육자로서의 그의 일이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에게는 많은 자식들이 있었는데요. 그들 모두 정말 음악적이었죠. 그런 가정에서 이것은 정말 (아주 분명하므로) 말할 필요도 없죠. 그는 아이들을 위해 교훈적인 곡들도 썼는데요.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음악수첩>의 끝에 보면 2성부 및 3성부 인벤션이 있어요. 이것들은 평균율, 다음으로 클라비어 연습곡, 그리고 마침내 음악의 헌정, 푸가의 기법으로 이어지죠. 즉, 최종 작품들로 이어지는 직선, 통과해야 할 발전이 있어야 합니다. 저는 불과 12세나 13세일 때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연주하는 오늘날의 젊은 피아니스트들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멋진 작품이지만 그들은 바흐의 그 밖의 곡들을 아무것도 연습해본 적이 없죠. 맨 위에서 시작할 수는 없습니다. 프랑스 모음곡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의해봅시다. 이 장르는 프랑스에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이 모음곡들은 “프렌치”입니다. 프랑스 클라브생 연주자들, 특히 륄리, 쿠프랭, 라모는 바흐보다 나이가 조금 많았는데 - 라모는 바흐와 같은 나이 - 그들 모두 이 모음곡 형식을 썼죠. 모음곡이란 무엇일까요? 곡들의 모음입니다. 꽃다발, 예를 들어 다양한 꽃들, 장미, 카네이션, 온갖 종류의 다른 꽃들로 구성되었지만, 모두 같은 색으로 구성된 꽃다발을 상상해보세요. 음악에서 이 색은 음정이나 조성과 동일합니다. 즉, 모든 악장들이 동일한 조성에 있습니다. 프랑스에서 유래된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곡 악장들이 있습니다. 각 모음곡에는 알르망드가 있죠.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것은 독일 무곡입니다. 그러고 나서 쿠랑트가 나오는데, 프랑스 무곡입니다. 그런 다음 모음곡의 중심에는 엄숙한 사라방드가 나오는데, 스페인 중심부에 있는 축제 의식의 무곡이죠. 한동안 이 춤은 스페인에서 금지되었는데, 너무나 에로틱하게 느껴졌기 때문이죠. 이어서 바흐가 다음과 같이 부르는 임의의 종속 악장인 “갈랑트리”가 나옵니다. - 미뉴에트, 파스피에, 가보트 모두 한 쌍으로 되어있죠. 먼저 미뉴에트 1, 다음으로 미뉴에트 2, 그러고 나서 다 카포가 나온 다음 미뉴에트 1이 처음부터 반복됩니다. 그리고 모든 모음곡은 지그로 끝납니다. 지그는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 선원의 무곡으로, 매우 활기차죠. 이 무곡들의 기원이나 성격 면에서 말하자면, 어떤 무곡은 느리게 흐르는 반면, 어떤 무곡은 매우 활기차죠. 제가 말했듯이, 사라방드는 엄숙한 축제입니다.
The result is a wonderful series of dances. This is playful music in the best sense. Let's not forget that in every language we talk about "playing" an instrument: "On joue le clavecin. We play an instrument." Only the Italians say "suonare", in other words, they "create a sound". But this playful element, when we play an instrument, must always be present. It's this that's so great about Bach: he has the wisdom that comes with old age. He'd already turned forty when he wrote these Suites. In Bach's day this was a ripe old age. Such an old master, endowed with a certain wisdom, looks back, as it were, on his own childhood and writes playful pieces for his own children too but on the highest level. There's nothing cheap here. It's also an introduction to the style of composition, a kind of teaching manual - how to compose and how to play the instrument. What kind of instruments did Bach have? Above all the clavichord, which was his favourite instrument, and then the clavicembalo with two manuals. I'm fairly certain that the French Suites are clavichord music. They're very intimate, very introvert. And the clavichord was ideal for the living room. We simply can't appreciate this in a larger room today. It really is something very private, just for the performer and three of four listeners at the most. On the clavichord he could create a slight vibration, a trembling effect caused when the finger moves vertically over a key. It produces a vibrato effect. That's why the clavichord is a much more sensitive instrument than the harpsichord, which is much more brilliant and hence more suited to a concerto, at that time too. But I think of the French Suites as domestic music. Why are these six French Suites? It was a custom at this time. If a composer had written a collection of pieces, it was the custom or, rather, the fashion. It made sense to publish them in groups of six and Bach did so frequently. There are six Brandenburg Concertos, six English Suites, six Partita, six Suites for unaccompanied violin, six Cello Suites and so on. Bach's contemporaries did the same, even the Italians, Vivaldi, Corelli and the others. But Bach was unique as a composer to the extent that he never left Germany. This is very important.
그 결과는 놀라운 무곡 시리즈입니다. 이것은 가장 좋은 의미에서 장난기 있는 음악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모든 언어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것”에 대해 잊지 마세요. - “우리는 클라브생을 연주합니다. 우리는 악기를 연주합니다.” 이탈리아인들만 “수오나레”라고 말하는데, 즉, 그들은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우리가 악기를 연주할 때, 이 장난기 있는 요소는 항상 존재해야 합니다. 바흐에 대해서는 이 점이 정말 좋아요. - 그에게는 노년의 지혜가 있거든요. 그가 이 모음곡들을 썼을 때는 이미 40세가 되었죠. 바흐의 시대에 이건 원숙한 노년기였죠. 그런 지혜로운 옛 거장은, 이를테면, 그 자신의 어린 시절을 되돌아보면서 그 자신의 아이들을 위한 장난기 있는 곡들을 최고 수준으로 씁니다. 여기에 저렴한 것은 없습니다. 작곡 스타일, 일종의 교습 설명서 - 작곡법 및 악기 연주법에 대한 입문서이기도 하죠. 바흐는 어떤 악기들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무엇보다도 그가 가장 좋아하는 악기인 클라브생, 다음으로 2개의 매뉴얼이 있는 클라비쳄발로입니다. 저는 프랑스 모음곡들이 클라비코드 음악이라는 것을 상당히 확신합니다. 매우 친밀하고 매우 내향적이거든요. 그리고 클라비코드는 거실에 적합했거든요. 우리는 오늘날 더 큰 방에서 그저 이것을 고마워하지 않을 수 없죠. 실제로 매우 사적인 것이었고, 단지 연주자를 위한 것이었으며, 대부분 서너 명만 들었죠. 클라비코드에서 그는 약간의 진동을 만들 수 있었는데, 손가락이 건반 위로 수직으로 움직일 때 떨리는 현상이죠. 비브라토 효과를 냅니다. 그래서 클라비코드는 하프시코드보다 훨씬 민감한 악기입니다. 이 악기는 훨씬 더 훌륭한데 이때에도 협주곡에 더욱 적합하죠. 하지만 저는 프랑스 모음곡들이 국내용 음악이라고 생각해요. 왜 프랑스 모음곡은 6개일까요? 이때는 관습이었거든요. 작곡가가 곡들의 모음을 썼다면, 관습이거나 오히려 유행이었죠. 6개를 묶어서 발표하는 것이 통했는데 바흐는 자주 그렇게 했거든요. 6개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6개의 영국 모음곡, 6개의 파르티타, 6개의 무반주 바이올린 모음곡, 6개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등이 있죠. 바흐의 동시대인들, 심지어는 이탈리아인들인 비발디, 코렐리 등도 마찬가지였죠. 그러나 바흐는 결코 독일을 떠난 적이 없는 작곡가로서 독특했죠. 이건 매우 중요합니다.
Leipzig, where we are now, was the last stage in his life but he also had other appointments and positions where he worked, all of them fairly close to here - in Saxony and Thuringia, in Arnstadt, Weimar and Köthen. Leipzig was perhaps the most important of them. But for instrumental music Köthen too was very important. These keyboard compositions, the French and English Suites, were mostly written in Köthen. And so there are six French Suites: the first three are in minor keys and the last three are in major keys. This is odd. I don't really know why this is so. When Bach wrote them he certainly never imagined that a madman like me would come along and play them all at once. That was never his intention. Even so, I find today that this music by Bach has a wonderful universal message. It creates a sense of community with its listeners. No other composer does this, in my opinion. I act as an interpreter between Bach and his listeners and I try to convey this message. And when it works, a wonderful sense of community is created between us.
우리가 현재 있는 라이프치히는 그의 인생의 마지막 무대였지만, 그는 그가 일했던 곳들에서도 다른 임명과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모두 여기와 상당히 가까운 곳들이었죠. - 작센과 튀링겐, 아른슈타트, 바이마르, 쾨텐. 그중에서도 라이프치히가 아마도 가장 중요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악 음악에 대해서는 쾨텐도 매우 중요했죠. 이 건반 작품들, 프랑스 모음곡들과 영국 모음곡들 대부분 쾨텐에서 작곡되었거든요. 그리하여 6개의 프랑스 모음곡들이 있는데, 앞의 3개는 단조, 뒤의 3개는 장조입니다. 이건 이상한데요. 이것이 왜 그런지는 정말로 모릅니다. 바흐가 이 곡들을 썼을 때 그는 저 같은 미치광이가 모든 곡을 한꺼번에 다루리라고는 결코 상상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건 결코 그의 의도가 아니었으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바흐의 이 음악이 훌륭한 보편적 메시지를 가지고 있음을 오늘날 발견합니다. 이 곡은 청취자들과 공동체 의식을 형성합니다. 제 생각에 다른 작곡가는 이렇게 하지 않았죠. 저는 바흐와 그의 청취자들 사이에서 해석자로 행동하며 이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효과가 있을 때, 우리 사이에는 훌륭한 공동체 의식이 형성됩니다.
How does this message aries? This is very important. Even when we're sitting in a church, as we are now, in a very plain and simple church: this is secular music, it's not sacred music. Even so, Bach was a believer, you can hear this in every bar he wrote. This isn't the music of an atheist. And even when he writes such dancelike, playful and secular music his faith still shines through. Conversely, his Masses, Passions and cantatas, which are beyond question sacred works, contain these same dancelike elements. With Bach the sacred and the secular coexist harmoniously. I think this implies a unique message that young people are happy to accept even today. Rhythmically, too. This is very rhythmic music and with today's associations of jazz and other kinds of music... I think this is why young people like listening to Bach. Perhaps they're less fond of Mozart and Beethoven. But they should like them, too.
이 메시지는 어떻게 울릴까요? 이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가 교회, 지금처럼 매우 평범하고 소박한 교회에 앉아있을 때조차도 이것은 세속적인 음악이지 신성한 음악이 아닙니다. 그렇기는 하지만, 바흐는 신자였으므로, 그가 쓴 모든 마디에서 이것을 들을 수 있죠. 이것은 무신론자의 음악이 아닙니다. 그가 무곡 같은, 활기차고 세속적인 음악을 쓸 때조차 그의 믿음은 여전히 빛납니다. 반대로, 신성한 작품에 의문의 여지가 없는 그의 미사곡, 수난곡, 칸타타에는 이런 동일한 무곡 같은 요소가 있습니다. 바흐와 함께 신성한 것과 세속적인 것이 조화롭게 공존하죠. 저는 이것이 젊은 사람들이 오늘날에도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독특한 메시지를 의미한다고 생각해요. 리드미컬한 것도요. 이것은 매우 리드미컬한 음악이며 오늘날의 재즈 및 다른 종류의 음악과 함께 하죠... 저는 이것이 젊은이들이 바흐 듣는 것을 좋아하는 이유라고 생각해요. 아마도 그들은 모차르트와 베토벤을 별로 좋아하지 않을 것 같네요. 그러나 그들은 모차르트와 베토벤도 좋아해야 합니다.
It's something of a mystery how Bach achieved this. Take Handel, for example, his great contemporary. They were both born in 1685. He was a man of the world, a cosmopolitan. He travelled a lot and he spent the best part of his life in England, where he was incredibly successful. Even at this date, then, there were musicians who travelled abroad and who became cosmopolitan. Bach was something of a hermit. In spite of this, he was hugely cultured and took an interest in everything. Even at that time it was possible to read and study music and Bach had access to these scores. He spent his whole life studying them and copying them out. He went blind, working in poor light, by candlelight or torchlight, writing out countless scores, his own as well as other composers'. He transcribed works by Italian composers - Vivaldi, Marcello, Geminiani - Italian concertos. His wonderful Italian Concerto in the Italian style is a tribute to these Italian composers. Bach knew everything that was being written at this time in France, Italy and England, even though he never went there. It's a miracle.
바흐가 이걸 어떻게 달성했는지는 수수께끼 같아요. 헨델을 예로 들면, 그의 위대한 동시대인입니다. 둘 다 1685년에 태어났죠. 그는 세계인, 코스모폴리탄이었습니다. 그는 여행을 많이 했으며 잉글랜드에서 인생의 최고의 시기를 보냈는데, 잉글랜드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죠. 이 당시에도 해외를 여행하면서 국제화된 음악가들이 있었습니다. 바흐는 은둔자였죠. 이것에도 불구하고, 그는 엄청나게 세련되었으며,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죠. 그 당시에도 악보를 읽고 공부할 수 있었으며 바흐는 이러한 악보들에 접근할 수 있었거든요. 그는 평생을 이런 악보들을 연구하고 복사하는 데에 보냈죠. 그는 어두운 등불, 촛불이나 횃불 속에서 일하고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작곡가들의 악보들을 셀 수 없이 써내면서 앞이 안 보이게 되었습니다. 그는 이탈리아 작곡가 비발디, 마르첼로, 제미니아니의 작품들인 이탈리아 협주곡들을 편곡했죠. 그의 훌륭한 이탈리아풍의 <이탈리아 협주곡>은 이런 이탈리아 작곡가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바흐는 가본 적이 없는 프랑스, 이탈리아, 잉글랜드에서 이 당시에 쓰인 모든 것을 알고 있었죠. 그건 기적입니다.
I think that western music reached its peak with Bach. It's not the same with the other arts. In painting it was a couple of centuries earlier, let's say the Florentine Renaissance. Bach was in fact forgotten by the 19th century. By then people were no longer interested in early music. This is remarkable but understandable when we think that there was then a knowledgeable and sympathetic audience for contemporary music. People only wanted to hear the latest works, and works of early music were museum pieces. People knew about them but in Beethoven's day no one wanted to hear Bach's music in the concert hall. It was inconceivable. Mendelssohn was the one... Even if he'd done nothing else, he'd have been assured of immortality for this reason alone. In 1829 he was only nineteen and he gave what was effectively the première of the St Matthew Passion or at least the first modern performance. It's believed that the St Matthew Passion had already been heard in Bach's day. But the work then disappeared and was forgotten until Mendelssohn revived it in Berlin. With that, the Bach Renaissance began, and - thank God - it has never ended.
서양 음악은 바흐와 함께 절정에 이른 것 같아요. 다른 예술 분야와는 비교가 안 되죠. 회화에서는 수세기 전이었던, 피렌체의 르네상스를 생각해봅시다. 바흐는 사실 19세기에 잊혔는데요. 그때까지는 사람들이 더 이상 고음악에 관심이 없었죠. 이것은 현대 음악에 대해 지식 있고 공감하는 청중이 이후에 있었다고 우리가 생각할 때, 현저하지만 이해할 수 있죠. 사람들은 최신 작품들만 듣고 싶어 했으며, 고음악 작품들은 더 이상 쓸모없는 것이었죠. 사람들은 고음악 작품들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베토벤 시절에는 아무도 바흐의 음악을 콘서트홀에서 듣고 싶지 않아 했죠. 상상도 할 수 없었죠. 멘델스존은 그 중 하나였죠... 비록 그가 아무것도 하지 않았더라도, 혼자서 이런 이유로 불멸을 확신했을 것입니다. 1829년에 그는 불과 19세였으며 마테 수난곡이나 적어도 첫 현대 작품 연주의 초연을 효과적으로 가졌죠. 바흐 시절에 이미 들렸던 것은 마테 수난곡이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고 나서 이 작품은 사라졌으며 멘델스존이 베를린에서 그것을 되살리기 전까지 잊혔죠. 그것으로 바흐 르네상스가 시작되었으며 - 정말 다행인데 - 끝나지 않았습니다.
A French Overture is a genre, a musical form that composers wrote at the time of Louis XIV, above all Lully. It's pomp and circumstance music for orchestra with brass instruments, horns, trumpets, timpani. It was very festive music for the court of the French kings. Bach takes this orchestral music and adapts it for a single instrument, a two-manual clavicembalo. I've adapted it a second time to play it on a modern concert grand. It's a very, very lavish orchestral work. It's a bravura solution on Bach's part: you can really hear where the whole orchestra is playing and where it's only smaller groups. Here, for example, I seem to hear flutes, this is a solo passage...
프랑스 서곡은 작곡가가 루이 14세, 특히 륄리 시절에 쓴 장르, 음악 형식입니다. 관악기들, 호른, 트럼펫, 팀파니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위한 위풍당당한 음악이죠. 프랑스 왕들의 궁정에서 매우 축제적인 음악이었죠. 바흐는 이 오케스트라 음악을 취하여 하나의 악기인 2개의 매뉴얼이 있는 클라비쳄발로에 적용합니다. 저는 현대 콘서트그랜드피아노로 두 번 적용했죠. 매우, 매우 호화로운 관현악 작품입니다. 바흐의 파트에서 고도의 예술적 기교를 해결하는 것으로, 오케스트라 전체가 연주되는 곳과 소규모 그룹이 있는 곳을 실제로 들을 수 있죠. 여기를 예로 들면, 저는 플루트를 듣는 것 같은데, 이것은 솔로 패시지입니다...
And here the whole orchestra enters again. In other words, tutti passages keep alternating with solo passages.
그리고 여기 전체 오케스트라가 다시 들어갑니다. 다시 말해, 투티 패시지들은 솔로 패시지들과 번갈아가며 유지됩니다.
A French Overture is an opening movement in two sections. First you have very festive music with dotted rhythms. Here this sounds like this:
프랑스 서곡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먼저 점음표 리듬으로 축제 음악이 나옵니다. 여기는 이렇게 들립니다.
This double dotting... is the music's basic rhythm. Then comes a quick section...
이 점음표는... 이 음악의 기본 리듬입니다. 그러고 나서 빠른 섹션이 나옵니다...
It's very fugal, like a kind of fugato. Bach was the greatest contrapuntalist and polyphonist of his age and he combines these elements of the French style with all his own polyphonic mastery. And after this Allegro section the festive dotted section returns...
정말 푸가 같은, 일종의 푸가토 같아요. 바흐는 자신의 시대에서 가장 위대한, 대위법에 능한 작곡가이자 다성음악 작곡가였으며 그는 이런 프랑스풍의 요소들을 그 자신의 다성음악적인 성숙함과 결합하죠. 그리고 이 알레그로(빠르게) 섹션이 나온 후 축제의 점음표 섹션이 되돌아옵니다...
This is an example of A-B-A form, a variant of A-B-A form. This monumental opening movement is followed by the galanteries, the dance movements, and this links this work with the French Suites. But everything here is much grander, and there are several dance movements, again with a solemn sarabande in central position...
이것은 A-B-A 형식, 변형된 A-B-A 형식의 예입니다. 이 기념비적인 1악장에 이어 갈랑트리, 무곡 악장들이 뒤따르며, 이것은 이 작품을 프랑스 모음곡과 연결하죠. 그러나 여기 있는 모든 것이 훨씬 더 웅장하며, 다시 중간에 있는 엄숙한 사라방드와 함께 몇 가지 무곡 악장들이 있습니다.
And then come Bourrée 1 and 2 and the gigue. The difference is that the Overture doesn't end with a gigue. Instead the work ends with some very remarkable music. The final movement is headed "Echo" and, as far as I know, this is unique in Bach's output: it's found only here. It's also very witty. As the title suggests, there are melodies and fragments of these melodies are repeated very quietly, like an echo:
그리고 부레 1과 2, 지그가 나옵니다. 차이점은 서곡이 지그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죠. 대신에 이 작품은 매우 주목할 만한 음악으로 끝납니다. 마지막 악장은 “에코”라고 불리며, 제가 아는 한, 이것은 바흐가 내놓은 결과물에서 독특한데, 여기에서만 발견되죠. 매우 재치 있기도 하고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멜로디들과 이 멜로디들의 단편은 매우 조용하게 메아리처럼 반복됩니다.
There's a loud passage... and it's repeated like an echo. It's music that mimics nature, and that's very rare with Bach. Otherwise we find these natural elements only with Beethoven and Schubert and much later. And there's something else that needs to be mentioned: this French Overture is B minor, a very dark key. Even so, it's a secular, very worldly composition. Whenever I hear a piece in B minor I naturally think of the B minor Mass...
시끄러운 패시지가 있는데... 마치 메아리처럼 반복됩니다. 자연을 모방한 음악이므로, 바흐에게는 드물죠.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베토벤, 슈베르트만으로 그리고 훨씬 나중에 이 자연적인 요소들만 발견하죠. 그리고 언급해야 할 다른 것이 있는데, 이 프랑스 모음곡은 매우 어두운 조성인 b단조입니다. 그렇기는 하지만, 세속적인, 매우 속된 작품이죠. 저는 b단조인 곡을 들을 때마다 자연스럽게 b단조의 미사곡을 생각합니다...
With Bach, every key is symbolic and B minor is somehow associated with death. All the pieces in B minor - a fugue in the Well-Tempered Clavier, for example...
바흐와 함께, 모든 조성은 상징적이며, b단조는 어떻게든 죽음과 관련이 있습니다. b단조의 모든 곡들 - 바흐 평균율에 있는 푸가를 예로 들면...
They're very chromatic and very anguished. And elements of this are also found in the French Overture. It all hangs together.
매우 반음계적으로 매우 고뇌에 차 있죠. 그리고 이것의 요소들은 프랑스 서곡에서도 발견됩니다. 모두 일치하죠.
2019년 3월 30일 토요일
DVD / Andras Schiff Plays Bach English Suites 2003
https://www.youtube.com/watch?v=ZhKHMGOlsCE
https://www.youtube.com/watch?v=xS0lss7ogNI
https://www.youtube.com/watch?v=_Fg2RvcVhIw
https://www.youtube.com/watch?v=dTEYwfgWFD0
https://www.youtube.com/watch?v=mhfh9j7Pmkw
https://www.youtube.com/watch?v=H9gzsY9jIx4
https://www.youtube.com/watch?v=s6JbItZjLCc
https://www.youtube.com/watch?v=pc_d5jnk-Yw
https://www.youtube.com/watch?v=bTvaYrryyGk&t=203s
https://www.youtube.com/watch?v=_HKagOA4SFM
https://www.youtube.com/watch?v=5sN2KmGleSI&t=3s
https://www.youtube.com/watch?v=IY0KTBQD3bQ
https://www.youtube.com/watch?v=WfdjHyciN3E
우리 시대의 진정한 바흐 스페셜리스트 안드라스 쉬프가 20여 년 만에 새롭게 선보인 바흐 영국 조곡 전곡 녹음. 이전 녹음에서는 기대하기 힘들었던 한 예술가의 참된 연륜과 예술에 대한 넓어진 이해를 바로 이 DVD를 통해 만날 수 있다. 바흐의 엄격함과 낭만성, 넘치는 휴머니티와 긴장감 넘치는 구성력이 조화를 이루는 저 숭고한 경지를, 지성과 감성을 겸비한 쉬프의 진실된 손끝을 통해서 체험할 수 있다.
각 조곡마다 안드라스 쉬프가 피아노 앞에서 직접 해설을 곁들이며 음악의 흐름과 자신의 관점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Introduction 삽입. 라이브 콘서트인 만큼 스튜디오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그의 뜨거운 열정과 집중력을 감상할 수 있다.
English Suite No. 1 in A, BWV 806 / 영국 모음곡 1번
I. Prélude / 프렐류드
II. Allemande / 알르망드
III. Courante I & II / 쿠랑트
IV. Double I & II / 더블
V. Sarabande / 사라방드
VI. Bourée I & II / 부레
VII. Gigue / 지그
Les Suites anglaises font partie des compositions de Jean-Sébastien Bach qu'on entend rarement. Nous savons qu'elles datent de la période entre 1717 et 1725, mais nous savons très peu sur l'histoire et le contexte de leur genèse. Forkel, le premier biographe de Bach en rend compte en 1802 et précise qu'elles sont nées sur la demande d'un "gentleman" anglais. Sinon, nous n'y trouvons rien d'anglais. Alors que dans d'autres suites de Bach, nous rencontrons des danses intitulées "anglaises", dans les suites en question, ce n'est pas le cas.
영국 모음곡은 거의 듣지 못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가장 화려한 작품들 중의 일부입니다. 우리는 이 모음곡이 1717~1725년의 시기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 기원의 역사와 맥락에 대해서는 거의 모르죠. 바흐의 첫 번째 전기를 쓴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은 1802년에 이 사실을 보고했으며 어느 영국 귀족의 요청에 의해 작곡되었다고 말합니다. 그것이 아니라도 우리는 영국인을 찾지 못하죠. 바흐의 다른 모음곡들에서 우리는 영어로 제목이 붙은 무곡들을 만나는 반면, 문제의 이 모음곡들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Il faut que je définisse un peu un peu le genre de la suite. La suite baroque est une série, un bouquet, une couronne de danses. Pensons à un bouquet de fleurs où nous n'avons pas que des roses ou des œillets ou des cyclamens, mais toutes sortes de fleurs, qu'on rassemble à l'aide d'un ruban. Dans le domaine de la musique, ce ruban est la tonalité, donc chaque suite a sa tonalité, et tous les mouvements sont dans cette même tonalité, à très peu d'exceptions près, et même ces exceptions entretiennent une relation étroite avec la tonalité fondamentale.
모음곡의 종류를 조금 정의해볼게요. 바로크 시대의 모음곡은 무곡의 시리즈, 부케, 왕관입니다. 장미꽃이나 카네이션이나 시클라멘(흰색 · 보라색 · 분홍색의 꽃이 피는 앵초과 식물)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꽃이 리본의 도움으로 수집되는 꽃다발을 생각해보세요. 음악 분야에서 이 리본은 조성이므로, 각 모음곡은 조성이 있고, 모든 악장들이 거의 예외가 없는 동일한 조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예외조차도 근본적인 조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합니다.
La série dont on parle en l'occurence contient six suites. Dans le temps, les compositeurs avaient une prédilection pour les cycles de six. C'est d'ailleurs également ce qu'attendait d'eux le public, mais personnellement, je pense que dans le chiffre six, il faut aussi voir le multiple de trois, dont l'importance symbolique dans le domaine musical comme dans tout domaine culturel ne laisse aucun doute.
여기서 말하는 시리즈에는 6개의 모음곡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곡가들은 6개의 순환에 대한 선호도를 보였죠. 이것은 청중이 이 곡에 기대했던 것이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 저는 문화적 배경에서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우리도 6번째 곡에서 음악 분야에서 상징적인 중요성을 지닌 3의 배수를 보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1ère Suite en la majeur Contrairement aux Suites françaises, composées plus tard et bien plus simples, commence par un prélude, et c'est ce mouvement initial qui sera le seul mouvement à ne pas être une danse. Le prélude est une introduction, comme un mouvement d'improvisation. Dans cette première suite en la majeur, ce prélude me rappelle une musique de luth, j'ai l'impression d'entendre un instrument à cordes pincées.
A장조의 모음곡 1번은 나중에 작곡된 훨씬 더 간단한 프랑스 모음곡과 달리, 무곡이 아닌 유일한 악장이 되는 1악장을 프렐류드로 시작합니다. 프렐류드는 즉흥 연주 같은 도입부입니다. A장조의 첫 번째 모음곡에서 이 프렐류드는 제게 류트 음악을 연상케 하는데, 발현악기(손가락이나 다른 기물로 퉁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를 듣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C'était les quatre mesures d'introduction, exécutées par le luthiste, suit une section lyrique pastorale: Donc une des parties a interprété la pastorale et l'autre l'imite. Cette technique d'imitation sera très typique de ces suites et aussi de toute la musique de Bach en général. Après le prélude suivent les danses. Ces danses out un mètre, un caractère, un genre et un tempo différents.
이 부분들은 다음의 목가풍의 서정적인 섹션을 따라 류트 연주자가 연주하는 4개의 도입부 마디입니다. - 그래서 한쪽이 목가를 해석하면 다른 쪽이 그것을 모방하죠. 모방 기법은 이 모음곡 그리고 매우 일반적으로 바흐의 모든 음악 중에서도 매우 전형적일 것입니다. 프렐류드 다음으로는 무곡들이 나옵니다. 이 무곡들은 리듬의 규칙적 배치, 성격, 장르, 다른 템포를 벗어납니다.
Voyons premièrement l'allemande: L'allemande est - comme son nom l'indique - une danse d'origine allemande. Vient ensuite une courante, danse française plus vive:
먼저 알르망드를 봅시다. - 알르망드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독일 무곡입니다. 그러고 나서 보다 활발한 프랑스 무곡 쿠랑트가 나옵니다.
Nous trouvons dans cette première suite plusieurs courantes, c'était la première, voilà la deuxième: Elle est plus vigoureuse, plus énergique que la première, et Bach l'a enrichie de deux doubles, des variations, pour montrer comment il imaginait l'ornementation. Nous disons que la répétition engendre le savoir, eh bien, ces mouvements de danse comportent une répétition, chaque danse ayant une partie A et une partie B, chacune devant être répétée en temps voulu. Évidemment pas telle quelle, l'auditeur ainsi que le compositeur ont des attentes: peux varier et orner je peux varier et orner la deuxième interprétation, ou la jouer plus doucement ou plus fort, ou encore la phraser ou l'articuler différemment, j'ai donc quantité de possibilités, je ne ferais pas deux fois la même chose. Ce serait trop monotone. Toute la spécificité des suites vient de leur variabilité. Vient maintenant la sarabande, une danse espagnole. Il s'agit du centre émotionnel des suites en général, c'est la plus sereine, la plus majestueuse des danses.
우리는 이 첫 번째 모음곡에서 몇 가지 쿠랑트를 발견합니다. 첫 번째였는데 여기 두 번째가 있습니다. 후자는 전자보다 더 강하며, 바흐는 그가 장식음을 어떻게 상상했는지 보여주기 위해 2개의 더블, 즉 변주로 풍부하게 했죠. 우리는 반복이 지식을 생산한다고 말하는데, 이 무곡 악장은 반복을 포함합니다. 각 무곡은 A 부분과 B 부분을 가지며, 때가 되면 반복해야 하죠. 분명히 그렇듯이 작곡가뿐만 아니라 청취자도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 달라질 수 있고 장식할 수 있으며 두 번째 해석을 장식할 수 있거나, 더 부드럽거나 더 크게 연주할 수 있거나, 프레이즈를 나누거나 다르게 연결되므로, 저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데, 같은 것을 두 번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너무 단조롭거든요. 모음곡들의 모든 특수성은 가변성에서 비롯됩니다. 이제 스페인 무곡 사라방드가 나옵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모음곡의 감정적인 중심입니다. 가장 고요하면서 가장 장엄한 무곡이죠.
On dit toujours: un-deux-trois, un-deux. Souvent, la sarabande se calme dès le deuxième pas et s'arrête. Il est intéressant qu'au XVIIe siècle, la cour royale espagnole a interdit la sarabande, disant qu'elle ètait trop érotique. Il est difficile de savoir aujourd'hui ce qu'ils entendaient par là. Voilà les trois sortes de danse qui apparaissent dans chaque suite: allemande, courante et sarabande, enfin la gigue, venant terminer toute suite. Il y a aussi toujours des "galanteries" parmi les mouvements, dans cette première suite, ce sont deux bourrées, danses françaises rapides d'origine populaire.
우리는 항상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1-2-3, 1-2. 흔히 사라방드는 두 번째 단계에서 조용히 멈춥니다. 17세기 스페인 왕실이 사라방드를 너무 에로틱하다면서 금지했던 사실이 흥미롭네요. 오늘날 무슨 뜻인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각 모음곡에는 3가지 종류의 무곡이 나타납니다. -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마지막으로 모든 연속을 끝내는 지그가 나옵니다. 이 첫 번째 모음곡에는 항상 “갈랑트리” 악장이 있는데, 2개의 부레로 프랑스의 인기 있는 빠른 무곡입니다.
De manière extrêmement simple, Bach n'utilise que deux voix, mais il le fait avec un tel génie qu'il nous donne l'impression d'en entendre quatre ou encore davantage. La gigue finale arrive, encore une innocente invention à deux voix, où nous rencontrons une structure proche du canon. Écoutons donc le thème: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바흐는 단지 2개의 성부만 사용하지만, 그는 천재성을 가지고 이렇게 함으로써 4개 이상의 성부가 들리게 합니다. 마지막 지그가 나오면, 또 다른 순수한 인벤션이 2개의 성부로 나오는데, 여기에서 우리는 카논(음악에서 가장 엄격한 모방대위법에 의한 작곡기법과 그 기법에 의한 악곡 이름)에 가까운 구조를 만납니다. 주제를 들어봅시다.
Une mesure plus loin, il est imité par la voix inférieure: Dans la deuxième partie de la gigue, la situation est renversée, ainsi nous retrouvons le thème en miroir. Et voilà, Bach a présenté un thème, il l'a renversé, puis l'a retourné à nouveau, en rétablissant ainsi l'équilibre. De cette manière, nous percevons l'œuvre dans l'harmonie de son intégralité.
한 걸음 더 나아가, 그것은 더 낮은 성부에 의해 모방됩니다. - 지그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상황이 바뀌므로, 우리는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반대의 주제를 발견합니다. 그게 바로 바흐가 주제를 도입하여 뒤바꾼 다음 되돌려서 균형을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이 방법으로, 우리는 이 작품 전체의 화성을 느낍니다.
English Suite No. 2 in a, BWV 807 / 영국 모음곡 2번
I. Prélude / 프렐류드
II. Allemande / 알르망드
III. Courante / 쿠랑트
IV. Sarabande / 사라방드
V. Bourée I & II / 부레
VI. Gigue / 지그
Après l'univers lyrique de la première suite anglaise, cette deuxième suite en la mineur constitue un immense contraste avec son univers tumultueux d'une puissance extrême. Si je devais l'exprimer en couleurs, je dirais que je vois la suite en la majeur comme une aurore rose, tandis qu'ici, je vois des couleurs foncées pourpres, voire bordeaux.
첫 번째 영국 모음곡의 서정적인 세계 이후, 이 두 번째 모음곡 a단조는 그 격렬한 극한의 힘의 세계와 큰 대조를 이룹니다. 색으로 표현해야 한다면, A장조의 모음곡은 분홍빛 새벽으로 보이는 반면, 여기에서는 어두운 보라색, 심지어는 와인색을 보게 됩니다.
C'est une musique très italienne. C'est de nouveau un phénomène européen. La musique italienne a toujours fortement influencé les autres tendances européennes, et à cette époque, Bach a déjà très certainement étudié les œuvres de Vivaldi, Corelli et Albinoni - évidemment uniquement dans les bibliothèques, car il n'a jamais mis les pieds en Italie. L'introduction est de nouveau un prélude (que j'ai illustré tout à l'heure), on dirait une composition orchestrale. On doit penser aux concerti grossi baroques: d'abord l'unité orchestrale, puis les passages solo. Donc ici, c'est l'orchestre entier qui joue.
아주 이탈리아적인 음악입니다. 이것은 다시 유럽의 현상이죠. 이탈리아 음악은 항상 유럽의 다른 트렌드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당시 바흐는 이미 비발디, 코렐리, 알비노니의 작품을 연구했죠. - 분명히 도서관에서만 있었는데, 그가 결코 이탈리아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기 때문이죠. 도입부는 다시 (앞에서 설명했던) 전주곡이며, 오케스트라 작품처럼 보입니다. 우리는 바로크 시대 특유의 기악협주곡인 “콘체르토 그로소”를 생각해야 하는데, 먼저 오케스트라 전체가 연주된 다음, 솔로 패시지가 나옵니다. 따라서 여기에서 오케스트라 전체가 연주되는 거죠.
Suivent maintenant les épisodes plus personnels: puis revoilà l'orchestre. C'est le sens du concerto grosso, la combinaison et l'alternance de l'individuel et du collectif, et du collectif, aux mouvements de danse habituels, en premier, l'allemande, où l'auditeur doit toujours faire attention à la polyphonie, car ici, il n'y a pas que la mélodie qui compte, mais également la basse - moi, en tant qu'interprète, je suis maniaque, je me concentre toujours sur la basse. C'est comme en architecture, s'il n'y pas de base, la coupole a beau être magnifique, le bâtiment va s'écrouler; il en va de même pour les structures imitatives. Comme dans cette simple allemande: ce que la voix supérieure, disons la femme, a chanté sera ensuite imité par le chanteur masculin une mesure plus loin. Après l'allemande, voilà notre autre habituée, la courante, qui est elle aussi construite sur une technique d'imitation. Maintenant, comme dans toutes les suites, arrive la sarabande espagnole, point central émotionnel de la suite. Elle est d'autant plus importante dans cette suite que Bach y a joint un Double, une variation qui nous est chère, à nous, exécutants, parce qu'elle dévoile en quelque sorte les idéaux de Bach en matière de technique d'ornementation et de variation. Donc en nous offrant modèle un modèle auquel on pourra se conformer plus tard dans les mouvements où il n'indique pas les ornements, Bach nous donne la direction générale à prendre quand il s'agit d'improviser.
이제 보다 개별적인 에피소드들이 나오는데, 그러고 나서 오케스트라가 돌아오죠. 이것이 “콘체르토 그로소”의 의미이며, 개인과 무리의 결합과 교대, 그리고 보통의 무곡 악장들과 함께 하는 무리인데, 먼저 청중이 항상 폴리포니(다성음악)에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는 알르망드의 경우, 여기에서 그것은 중요한 멜로디일 뿐만 아니라 베이스이기 때문이죠. - 해석자로서 저는 미치광이인데, 항상 베이스에 집중하죠. 그것은 건축물과 같습니다. 기초가 없다면 돔이 아름다울지라도 건물이 무너지는데, 모방적인 구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간단한 알르망드에서와 같이, 여성이 노래하는 윗성부는 남성 가수에 의해 한 단계 더 모방될 것입니다. 알르망드 이후, 이것은 다른 손님으로, 모방 기법도 기반을 두고 있는 쿠랑트입니다. 이제 모든 모음곡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모음곡의 중심점인 스페인의 사라방드가 등장합니다. 이 모음곡에서 바흐가 우리 연주자들에게 사랑스런 변주곡인 더블에 합류했다는 사실은 더욱 중요합니다. 어떤 면에서 보면 바흐의 이상들을 장식 기법과 변주 기법으로 드러내기 때문이죠. 따라서 우리가 나중에 장식음들을 표현하지 않는 악장들에서 일치시킬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바흐는 즉흥 연주에 관해서 우리에게 일반적인 방향을 제시합니다.
Voilà avec quelle majesté ces passages progressent. C'était donc la sarabande et son ornementation:
이것은 위와 같은 패시지들이 얼마나 장엄하게 진행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그것은 사라방드와 그 장식음이었죠.
Ici, la structure harmonique est la même, avec des accords brisés, des arpèges:
여기에서 화성 구조는 부서진 화음, 아르페지오(펼침화음)와 동일합니다.
Ces accords brisés et ces arpèges étaient encore beaucoup plus beaux sur les anciens instruments à clavier, mais j'estime que si l'on accepte de jouer Bach dans le cadres qui nous sont donnés aujourd'hui - en je crois en cela dur comme fer, car il me serait sinon difficile de vivre - , eh bien, si l'on accepte cela, alors on essaye de transposer la magie de ces anciens instruments sur les instruments d'aujourd'hui. Après la sarabande viennent les deux nts relativement moins fréquents, de nouveau des bourrées, et comme la tonalité fondamentale de cette suite est la mineur, la première bourrée est également en mode mineur, et c'est la seconde qui apportera l'éclaircie, avec le mode majeur:
이 부서진 화음들과 아르페지오들은 오래된 건반악기들에서 여전히 훨씬 더 아름답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프레임에서 바흐를 연주하는 것에 동의한다면 - 쇠처럼 단단한데, 제게 살기 어려울 것이므로 - 음, 우리가 받아들이면, 우리는 이 고대 악기의 마법을 오늘날의 악기로 바꾸려고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라방드 이후 상대적으로 빈도가 덜한 2개의 악장들이 나오는데, 다시 부레가 나오며, 이 모음곡의 본래 조성은 a단조로, 첫 번째 부레도 단조이며, 두 번째 부레는 장조로 잠시 변합니다.
Ce mouvement est extrêment virtuose et spirituel, et ce que j'adore, ce sont ces mordants, qui donnent le sel et le piment de la musique. Il faut épicer, sinon, ça n'a pas de goût. La seconde bourrée évoque un peu la musique des cours médiévales:
이 악장은 대단히 기교적이고 영적이며, 제가 좋아하는 것은 이 신랄함으로, 이것은 음악에 소금과 향신료를 제공합니다. 양념을 칠 필요가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맛이 없죠. 두 번째 부레는 중세 궁정의 작은 음악을 연상시킵니다.
Je continue bien sûr sur mon piano, mais dans ma tête, j'entends ici constamment des instruments à vent, comme des hautbois et des bassons. Voilà enfin la déferlante gigue, qui est une danse de marins écossaise ou irlandaise, et, nous le savons, les marins ne crachent pas sur l'alcool, ce qui donne à cette musique un caractère irrésistible. Je ne connais d'ailleurs pas d'autre exemple dans tout l'œuvres de Bach où il répète une chose trois fois. En général, il le fait deux fois. Mais ici, il a expressément composé une troisième version:
저는 물론 제 피아노를 계속 연주하지만, 제 머릿속에는 오보에와 바순 같은 관악기들이 끊임없이 들립니다. 여기 마지막으로 스코틀랜드 또는 아일랜드 선원들의 춤인, 파도가 부서지는 “지그”가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선원들이 이 음악에 불가항력적인 성격을 제공하는 술에 침을 뱉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바흐의 작품들에서 그가 뭔가 세 번 반복하는 다른 예를 모릅니다. 일반적으로 그는 두 번 반복합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는 명시적으로 세 번째 버전을 작곡했죠.
Voilà c'est une danse entraînante à laquelle il est difficile de résister.
이것은 변형되지 않는 활기찬 무곡입니다.
English Suite No. 3 in g, BWV 808 / 영국 모음곡 3번
I. Prélude / 프렐류드
II. Allemande / 알르망드
III. Courante / 쿠랑트
IV. Sarabande / 사라방드
V. Gavotte I & II / 가보트
VI. Gigue / 지그
La troisième suite est également une magnifique composition, en sol mineur:
세 번째 모음곡 역시 아름다운 작품으로 g단조입니다.
Pour l'exprimer en couleurs - c'est évidemment très subjectif - , pour moi, cette musique est bleu marine, et chez Bach, les tonalités ont une grande importance, une importance symbolique, le premier choral de la Passion selon saint Jean est en sol mineur, et ce n'est hasard ni dans ce cas, ni dans la Passion.
색으로 표현하는 것은 분명히 매우 주관적인데, 제게 이 음악은 남색이며, 바흐에서는 조성이 매우 중요한데, 상징적 중요성이죠. 먼저 요한 수난곡의 첫 코랄은 g단조이며, 이것은 이 경우에도 수난곡에서도 우연이 아닙니다.
Le prélude est de nouveau un mouvement orchestral. Tout comme pour la deuxième suite, ici aussi, nous devons penser au concerto grosso baroque, sauf que celui-ci est de mesure ternaire, à 3/8, ce qui donne: un-deux-trois, un-deux-trois. Mais la première note est un silence, donc voilà ce que ça donne:
프렐류드는 다시 오케스트라적인 악장입니다. 두 번째 모음곡에 대해서도 우리는 1-2-3, 1-2-3 이렇게 세는 3/8박자를 제외하고 바로크식 콘체르토 그로소를 생각해야 합니다. 그러나 첫 번째 음은 침묵이므로, 그것은 다음과 같이 주는 것이죠.
C'est un orchestre entier qui joue cela, puis viennent les parties de concertino, avec des iinstruments solistes:
오케스트라 전체가 그것을 연주하고 나서 독주 악기들과 함께 콘체르티노 부분이 나옵니다.
Là nous avions deux solistes, ici de nouveau tout un orchestre:
거기에서 우리는 두 명의 독주자, 여기에도 전체 오케스트라를 가지고 있습니다.
Ce qui est tout à fait remarquable chez Bach, c'est que bien que les instruments de son époque étaient assez limités au niveau de la dynamique, c'est à dire qu'ils ne s'apprêtaient pas vraiment à une différenciation de dynamique subtile, Bach parvient quand même, grâce à sa technique de composition, à créer l'illusion d'un crescendo, au moyen des entrées successives des voix, car il ne fait entrer d'abord qu'une seule voix, puis il multiplie par la suite le nombre des voix à trois, quatre, cinq voix.
바흐에서 꽤 놀라운 것은, 그의 시대의 악기들이 다이내믹 면에서 상당히 제한적이었지만, 즉, 이 악기들이 실제로 미묘한 다이내믹 차이를 갖추지 못했지만, 바흐는 성부의 성공적인 도입 수단에 의해 환상적인 크레셴도를 창조하기 위해 자신의 작곡 기법 덕분에 여전히 관리하고 있는데, 먼저 한 성부만 제공한 다음 3, 4, 5성부 이렇게 숫자를 늘리기 때문이죠.
Nous avons donc vu la tendance d'amplification. Vient maintenant une allemande sereine, puis la courante à 3/4 qu'on retrouve dans chaque suite.
따라서 우리는 확대되는 경향을 보았죠. 이제 고요한 알르망드가 나온 다음, 각 모음곡에서 3/4박자의 쿠랑트가 나옵니다.
Mais tous ces mouvements sont imprégnés par la tonalité sombre, dramatique et pathétique du sol mineur. La sarabande est exceptionnelle par sa force dramatique et son chromatisme.
그러나 이 모든 악장들은 g단조의 어둡고 극적이며 애처로운 조성에 흠뻑 빠져듭니다. 사라방드는 그 극적인 힘과 반음계에서 탁월합니다.
Là aussi, Bach l'a enrichie de cette fameuse variation appelée Double:
거기에서도 바흐는 더블이라고 불리는 이 유명한 변주로 그것을 풍성하게 했습니다.
Cette variation me rappellera toujours la manière dont Aladár Rácz jouait du cymbalum, et que Bach n'a pas pu connaître, à moins qu'ils ne soient rencontrés au Paradis, idée assez plaisante, je dois l'admettre... En tous cas, il y a cette force primaire, cette façon d'improviser tout à fait inhabituelle. Ensuite, deux danses françaises inhabituelles elles aussi dans ce contexte: une gavotte et une musette; la gavotte débute par une anacrouse: donc trois-quatre-un:
이 변주는 제게 항상 알다르 라치가 침발롬(헝가리의 민속 음악에 쓰이는 현악기)을 연주하는 방식을 생각나게 할 것이며, 바흐가 파라다이스에서 만나지 않는 한 알 수 없었을 것입니다. 저는 꽤 유쾌한 생각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어쨌든, 이 일차적인 힘, 이 매우 특이한 즉흥적인 방식이 있습니다. 그런 다음 두 개의 특이한 프랑스 무곡도 이 상황에 있는데, 가보트와 뮈제트죠. 가보트는 못갖춘마디로 시작합니다. 따라서 3-4-1이죠.
C'est une danse très élégante bien sûr, puisqu'il s'agit ici de danses de cour, et pas de danses paysannes; voilà maintenant la musette en mode majeur.
물론 그것은 궁정 무용이므로 매우 우아한 춤이며, 농민은 춤을 추지 않는데, 여기에서는 장조의 뮈제트입니다.
La musette est caractérisée par cette musique de cornemuse; cette note de la basse (comme une bagpipe) vibre de façon permanente, comme d'ailleurs dans la musique populaire hongroise aussi:
뮈제트는 이 백파이프 음악이 특징입니다. - 이 (백파이프 같은) 베이스음은 끊임없이 진동하는데, 그 밖의 헝가리 민속 음악에서도 그렇습니다.
Ce sol grave revient encore et encore. Voilà enfin notre chère gigue, elle aussi dans cette tonalité dramatique de sol mineur:
이 낮은 g음은 몇 번이고 다시 나옵니다. 여기에서 결국 우리의 사랑스런 지그가 나오는데, 이것도 g단조의 극적인 조성이죠.
Elle aussi est bâtie sur la technique d'imitation, et une fois qu'on a entendu le thème dans la première partie, dans la seconde partie, il est renversé, on le retrouve en miroir.
그것도 모방 기법에 기초하여 만들어졌으며, 일단 우리가 첫 번째 부분에서 주제를 들었을 때, 두 번째 부분에서는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반대로 나옵니다.
Mais il ne s'agit pas ici uniquement de gymnastique cérébrale ou d'exercices purement intellectuels, ces techniques ont une importance de poids au niveau structurel, car chez Bach, l'intellect et les émotions sont toujours en parfait équilibre. Voilà pourquoi Bach est le plus grand de tous les compositeurs.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지적인 운동 또는 순전히 지적인 연습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이러한 기법들은 구조적 수준에서 매우 중요하며, 바흐에서는 지성과 감정이 언제나 완벽한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바흐는 모든 작곡가들 중에서 가장 위대한 분입니다.
English Suite No. 4 in F, BWV 809 / 영국 모음곡 4번
I. Prélude / 프렐류드
II. Allemande / 알르망드
III. Courante / 쿠랑트
IV. Sarabande / 사라방드
V. Menuet I & II / 미뉴에트
VI. Gigue / 지그
Quatre des six Suites anglaises ont été composées en mode mineur, seules deux sont en majeur. C'est le cas de cette quatrième suite en fa majeur. On l'entend très rarement dans les récitals, je ne sais pas pour quelle raison, et personnellement, c'est la première que j'aie apprise, elle me tient donc à cœur. Elle débute également avec un prélude de caractère très orchestral, rappelant beaucoup les Concertos brandebourgeois. Au départ il n'y a qu'une seule voix:
6개의 영국 모음곡 중 4개는 단조이며, 2개만 장조로 작곡되었습니다. 이것은 이 네 번째 F장조의 모음곡인 경우입니다. 리사이틀에서 거의 들리지 않는데(잘 연주되지 않는데), 왜 그런지는 모르겠고, 개인적으로 이것은 제가 배운 첫 번째 곡이므로, 제 마음에 가깝죠. 이 곡은 또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들을 연상케 하는 오케스트라적인 프렐류드로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단 하나의 성부만 있습니다.
C'est un mouvement au battlement binaire, en 4/4, et si vous connaissez un peu les Concertos brandebourgeois, eh bien, la manière dont la trompette doit entonner ce passage me rappelle beaucoup ce prélude, et non seulement parce que celui-ci est également en fa majeur, mais surtout parce que j'y perçois le même caractère. Bref, c'est une musique très solennelle, limpide et joyeuse. Les mouvements habituels: l'allemande, la courante, la sarabande, se syccéderont dans cette suite comme d'ordinaire. La sarabande est cette fois encore extrêmement belle.
이 곡은 4/4박자의 2박자를 가진 악장이며, 브란덴부르크 협주곡들에 대해 조금 안다면, 이 패시지를 트럼펫이 들려주는 방식은 제게 많은 프렐류드를 연상케 하며, 또한 이것은 F장조이기도 하지만, 대부분 같은 성격으로 여기기 때문이죠. 요컨대, 이 곡은 맑고 즐거운, 매우 엄숙한 음악입니다. 이 보통의 악장들인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는 이 모음곡에서 평소대로 이어질 것입니다. 사라방드는 이번에도 매우 아름답죠.
La variabilité est fondamentale dans les suites, donc bien que les mouvements soient dans la même tonalitè, ils ont chacun leur caractère, leur tempo, leur mètre; un mouvement vif est suivi par un mouvement tranquille. La sarabande est toujours le point de repos émotionnel des suites, place maintenant aux deux galanteries, les menuets.
변동성은 모음곡들에서 기본적이므로, 동일한 조성에 있더라도 각각의 성격, 템포, 음의 강약 · 장단에 의한 리듬의 규칙적 배치가 있습니다. 빠른 악장 다음으로는 고요한 악장이 나타납니다. 사라방드는 항상 모음곡들의 감정적인 휴식의 지점으로, 이제 두 개의 갈랑트리인 미뉴에트를 배치합니다.
La menuet est une danse qui a gardé sa place dans la culture musicale jusqu'à ce jour. Tandis que l'allemande et la courante sont devenus des "objets archéologiques", le menuet a survécu à l'époque baroque grâce aux classiques de Vienne, Haydn, Mozart et Beethoven, qui l'ont perpétué. Mais le menuet était beaucoup plus rapide du temps de Bach qu'il ne le deviendra par la suite. On n'a qu'a penser au Don Giovanni de Mozart, ce menuet est déjà beaucoup plus tranquille et épuré qu'il ne l'était chez Bach. Le second menuet est dans la tonalité relative en mineur. Toute la suite est en fa majeur, et c'est assez insolite que ce menuet soit en ré mineur, tonalité relative du fa majeur.
미뉴에트는 오늘날까지 음악 문화에 자리 잡은 무곡입니다. 알르망드와 쿠랑트는 “고고학 대상”이 된 반면, 미뉴에트는 빈 악파인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이 이어나간 덕분에 바로크 시대부터 살아남았죠. 그러나 미뉴에트는 나중에 그렇게 되지 않았을 바흐의 시대보다 훨씬 빨랐죠.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만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 미뉴에트는 바흐 시절에 있었던 것보다 훨씬 조용하고 세련된 분위기입니다. 두 번째 미뉴에트는 단조의 관계조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F장조이며, 이 미뉴에트는 F장조의 나란한조인 d단조입니다.
Nous avons ici un da capo, après le second menuet, il faut donc reprendre le premier. A la fin, voilà une gigue merveilleusement entraînante, à nouveau en fa majeur: On dirait une musique de trompettes, on'ne peut pas s'empêcher de penser à une chasse. C'est donc une scène de chasse, accompagnée d'une musique de trompettes et de cors.
여기에서 두 번째 미뉴에트 이후에 다 카포(처음부터 다시)가 나오므로 첫 번째 미뉴에트로 돌아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여기 F장조의 기억하기 쉬운 지그가 다시 나옵니다. 트럼펫 음악처럼 들리는데, 사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죠. 그러므로 지그는 트럼펫과 호른의 음악이 동반되는 사냥 음악입니다.
English Suite No. 5 in e, BWV 810 / 영국 모음곡 5번
I. Prélude / 프렐류드
II. Allemande / 알르망드
III. Courante / 쿠랑트
IV. Sarabande / 사라방드
V. Passepied I & II / 파스피에
VI. Gigue / 지그
C'est pour la première fois en 1802 que Forkel, le premier biographe de Bach attire l'attention sur les Suites anglaises, en précisant que Bach les a composées à la demande d'un noble anglais. Autrement, nous ne disposons d'aucune preuve ou de témoignage renvoyant à leur caractère anglais. Forkel déjà met en relief les cinquième et sixième suites qu'il juge exceptionnelles, et il souligne particulièrement les gigues, extrêmement brillantes et compliquées dans l'une comme dans l'autre. En effet, si nous considérons les Suites anglaises comme un cycle, nous constatons qu'en approchant de la fin, ce cycle gagne en intensité, et la cinquième suite en mi mineur ouvre en quelque sorte la voie à cette intensification. De nouveau, c'est un grandiose prélude qui débute l'œuvre, mais en fait, ce pourrait tout aussi bien être une fugue, avec ce thème de fugue extrêmement compliqué joué par la partie de l'alto, auquel la partie supérieure, le soprano donne une réponse tonale:
바흐의 첫 전기 작가 포르켈은 영국인 귀족의 요청에 따라 바흐가 영국 모음곡들을 작곡했다고 언급하면서 1802년에 처음으로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영국의 특징에 대한 증거나 증언을 가지고 있지 않죠. 포르켈은 그가 탁월하다고 여기는 모음곡 5번과 6번을 이미 강조하며, 그는 특히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매우 화려하고 복잡한 지그를 강조합니다. 사실 우리가 영국 모음곡을 전곡으로 간주하면, 우리는 끝에 가까워지고, 이 전곡은 강도가 증가하며, e단조의 모음곡 5번은 이 강화를 위한 길을 열어줍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 작품을 시작하는 것은 그랜드 프렐류드지만, 사실 소프라노가 조성에 응답하는 윗성부에 알토 파트로 연주되는 매우 복잡한 이 푸가의 주제일 수도 있죠.
Je parle de réponse tonale car là nous avions un intervalle de quinte, et ici, c'est une quarte qui répond.
저는 여기에 다섯 번째 간격이 있기 때문에 조성의 반응에 대해서 말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네 번째 응답입니다.
Nous entendons ici un mélange de fugue et de concerto grosso, avec de nouveau l'alternance des passages orchestraux et solistes. Ce mi mineur... eh bien, si tout à l'heure, je comparais la suite en sol mineur à la Passion selon saint Jean, nous avons ici la Passion selon saint Mathieu; le choral initial "Kommt, ihr Töchter, helft mir Klagen"... est également en mi mineur, et l'exaltation qu'il traduit me fait tout de suite penser à l'univers de cette suite. Après le prélude viennent comme de coutume l'allemande et la courante, que je ne veux plus maintenant illustrer séparément. La sarabande est toujours extrêmement chère à Bach comme elle me l'est d'ailleurs à moi aussi, puisque avec si peu de notes, Bach parvient à un résultat si surprenant.
우리는 여기에서 다시 오케스트라 패시지와 독주자의 교대와 함께, 푸가와 콘체르토 그로소가 섞여 있는 것을 듣죠. 이 e단조... 음, 이전에 저는 <요한 수난곡>의 g단조와 비교했는데, 여기에서는 <마테 수난곡>을 비교해볼게요. 첫 합창곡인 <오라 딸들이여, 저를 슬픔에서 구하소서!>도 e단조이며, 그것이 승화되면서 이 모음곡의 우주를 즉시 생각하게 하죠. 프렐류드가 나온 후 평소처럼 알르망드와 쿠랑트가 오는데, 이제는 별도로 설명하고 싶지 않네요. 사라방드는 항상 제게도 마찬가지인 것처럼 바흐에게 매우 귀중한데, 아주 적은 음으로 바흐가 놀라운 결과에 도달하기 때문이죠.
La simplicité est un des grands secrets de la grandeur. Après ces trois mouvements réguliers, voilà de nouveau deux galanteries: un premier passepied, danse française, lui aussi. (Now we have a pair of new dances, not heard before passepied. This is quick version of the minuet or also in triple time, but we only count one in a bar, because the dancer is passing his or feet very quickly. The first passepied in E major and the second is the tonic major. And there we also hear wind instruments.
단순함은 위대함의 위대한 비밀 중 하나입니다. 이 세 가지 정기적인 악장들이 나온 후, 여기에 두 개의 갈랑트리가 더 있습니다. 먼저 파스피에도 프랑스 무곡입니다. 이제 파스피에가 나오기 전에 듣지 않았던 새로운 무곡들을 얘기할게요. 이것은 미뉴에트나 3박자의 빠른 버전이지만, 우리는 한 마디에 한 박자만 세는데, 무용수가 발을 매우 빨리 움직이기 때문이죠. 첫 번째 파스피에는 e단조이며 두 번째 파스피에는 같은 으뜸음조인 E장조이죠. 그리고 우리는 거기에서 관악기 소리도 듣죠.
On compte en fait chacun des trois pas comme: un, un, un...
우리는 실제로 세 단계를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하나, 하나, 하나...
Bach écrit ici Passepied en rondeau, cette danse est donc écrite en forme rondeau, ce qui renvoie une nouvelle fois aux suites françaises, à l'art de ses grands contemporains, Jean-Philippe Rameau ou François Couperin, musiciens éminents de la cour de Louis XIV et de ses successeurs. C'est une nouvelle preuve que Bach, qui n'a jamais mis les pieds en France, savait pourtant pertinemment ce qui s'y passait, et rendait ainsi hommage au pays et à la musique de ce pays. Le second passepied est en majeur.
바흐는 여기에서 “론도 풍의 파스피에”를 쓰는데, 이 무곡은 론도 형식으로 쓰였으며, 루이 14세의 저명한 궁정 음악가이자 그의 후계자인 장-필리프 라모나 프랑수아 쿠프랭 같은 그의 위대한 동시대의 예술인 프랑스 모음곡으로 다시 돌아오죠. 이것은 바흐가 결코 프랑스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고, 그곳에서 일어난 일을 정확히 알고 있으며, 그 나라와 이 나라의 음악에 대한 경의를 표한 새로운 증거입니다. 두 번째 파스피에는 장조입니다.
Ici aussi, on croirait entendre des instruments à vent, moi, en tous cas. On doit toujours essayer de dépasser le premier degré quand on écoute de la musique. Essayons de ne pas entendre ici un piano, essayons de lui associer autre chose, et c'est complètement égal que cette association soit d'ordre musical ou pas. Ce qui compte, c'est que la musique éveille une pensée différente en chacun, c'est ce qui fait sa beauté. Voilà pour finir la fameuse gigue si prisée par Forkel. Ce n'est plus de la simple musique de danse, c'est bien plus. Écoutons-en le thème: où nous avons un passage agité en double-croches, puis un passage chromatique, que dans la musique baroque, on appelait "passus duriusculus" - c'est donc un passage difficile, une strette pour laquelle il faut se battre - et que Bach élabore dans la suite comme une fugue. La partie supérieure a donc interprété cela... et maintenant... Ce passage me donne toujours la chair de poule, tellement il est passionné, et cette chromatique extraordinaire, n'est-ce pas que cette musique est moderne, aujourd'hui encore, si dissonante. Si on repense à la sarabande, si consonante, où il n'y a aucune dissonance, et là...
어쨌든 여기에서도 관현악을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음악을 들을 때 항상 첫 계단을 넘어야합니다. 여기에서 피아노를 들으려 하지 말고, 다른 것을 연결하려 시도하며, 이 관계가 음악적이든지 아니든지 완전히 동일합니다. 중요한 것은 음악이 모든 사람에게 다양한 생각을 일깨운다는 것으로, 그것이 그토록 아름답게 만들죠. 이것은 유명한 지그를 끝내는 것이므로 포르켈과 함께 인기가 있죠. 더 이상 무곡만은 아닙니다. 주제를 들어봅시다. - 16분음표에 있는 동요된 패시지에 이어 “파수스 두리우스쿨루스”(고통의 걸음)이라고 부르는 바로크 음악의 반음계적 패시지가 나옵니다. - 따라서 그것은 어려운 패시지로, 당신이 싸워야만 하는 스트레타(긴장감을 높이기 위해, 빠른 템포로 연주되는 악곡의 종결부)이며 - 바흐는 푸가로서 다음과 같이 전개하죠. 윗성부는 그렇게 해석되고... 그리고 지금은... 이 패시지는 항상 제게 소름끼치게 하므로, 그는 정열적이며, 이 특별한 반음계는 이 음악이 오늘날에도 현대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불협화음이죠. 우리가 사라방드를 다시 생각한다면, 협화음이므로 불협화음이 없고 거기에는...
Dans la deuxième partie, le thème est renversé, et tout est retourné, tout se retrouve sens dessus-dessous! Dans la première partie, c'est la partie supérieure qui débutait et l'inférieure qui imitait, eh bien, dans la deuxième, c'est l'inférieure qui commence, donc nous avons une situation inverse, mais finalement les deux parties s'unissent et la structure et l'ordre tonal du tout laisse prévoir en quelque sorte la musique des temps futurs. Ce n'est donc pas un hasard si Haydn, Mozart, Beethoven sont nés de Bach et que son influence se voit jusqu'a Bartók ou plus loin encore.
두 번째 부분에서는 주제가 바뀌고 모든 것이 반대로 나오며, 모든 것이 거꾸로 되어있죠! 첫 번째 부분에서는 윗성부가 시작하는 부분이며 두 번째 부분에서는 마찬가지로 모방하는 아랫성부인데, 시작하는 부분이 낮으므로, 우리는 반대 상황을 맞지만, 마침내 두 개의 부분이 단결하여 구조와 조성의 순서가 어떤 면에서 미래 시대의 음악을 암시하죠. 따라서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음악)이 바흐(의 음악)에서 나왔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며, 그의 영향력은 버르토크나 그 이후까지 볼 수 있죠.
English Suite No. 6 in d, BWV 811 / 영국 모음곡 6번
I. Prélude / 프렐류드
II. Allemande / 알르망드
III. Courante / 쿠랑트
IV. Sarabande / 사라방드
V. Double / 더블
VI. Gavotte I & II (Musette) / 가보트
VII. Gigue / 지그
La sixième suite en ré mineur est un des sommets de ce cycle, et à mon avis, de tout l'œuvre de Bach. C'est l'œuvre la plus grandiose, la plus monumentale, une gigantesque composition, on a peine à croire que Bach ait composé une œuvre d'une telle envergure pour un seul instrument à clavier et déjà à cette époque. Le prélude de la suite en ré mineur est encore plus compliqué et monumental que les préludes des suites précédentes, car on peut lui-même le diviser en deux parties, ce prélude a donc sa propre introduction et sa propre partie centrale. Son introduction eset un mouvement plus lent, c'est une musique extrêmement passionnée et ondoyante, qui...
d단조의 여섯 번째 모음곡은 이 전곡(영국 모음곡)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이며, 제 생각에 바흐 작품의 모든 것입니다. 이 곡은 가장 장대하고 가장 기념비적인 작품, 거대한 작품으로, 바흐가 단 하나의 건반 악기를 위해 그리고 이미 당시에 그런 규모의 작품을 작곡했다고 믿기 어렵죠. d단조 모음곡의 프렐류드는 이전의 모음곡들보다 더욱 복잡하고 기념비적인데,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으므로, 이 프렐류드는 그 자체의 도입부와 그 자체의 중간부를 가지고 있죠. 그 도입부는 더 느린 악장인데, 매우 정열적이면서도 변덕스런 음악이죠...
Impossible de ne pas penser à un orgue, car Bach a été le plus grand organiste de tous les temps, et ce point d'orgue qu'on entend perpétuellement, comme si quelqu'un actionnait la pédale de ré et qu'elle vibrait sans jamais s'arrêter.
바흐는 모든 시대의 가장 훌륭한 오르간 연주자이기 때문에 오르간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 불가능하며, 우리가 끊임없이 듣는 이 절정은 마치 누군가가 멈추지 않고 d음을 페달을 누르고 울리는 것 같죠.
Voilà donc ce ré, la tonique de ce morceau, son fondement, sa note fondamentale, la pierre angulaire sur laquelle toute la construction est bâtie, puis vient la partie Allegro, où subsiste ce mouvement ternaire, la mesure est donc de 9/8, mais nous la percevons par trois, soit un-deux-trois, un-deux-trois.
따라서 이것은 이 곡의 조성, 그 기초, 그 기초가 되는 음, 전체적인 건축물이 세워진 초석입니다. 그러고 나서 이 세 번째 악장이 남아있는 곳에서 알레그로(빠르게) 부분이 나오므로, 박자는 9/8박자이지만, 우리는 그것을 3박자로 인식하죠. 1-2-3, 1-2-3.
Et ici, comme dans les suites précédentes, pensons de nouveau au concerto grosso baroque, où après la partie orchestrale vient un solo.
그리고 여기에서 이전의 모음곡들과 마찬가지로, 오케스트라 파트가 솔로로 나온 후에 있는 바로크 콘체르토 크로소를 다시 생각해봅시다.
Et ces parties vont s'alternant jusqu'à ce que le prélude grandisse à n'en plus pouvoir et qu'il atteigne son sommet glorieux avec la fin du mouvement. Ce qui suit reflète un univers plus intime: l'allemande, dans laquelle, derrière la voix lyrique et résignée, on sent toujours le point d'orgue en ré, ne l'oublions pas.
그리고 이 부분들이 프렐류드가 더 이상 힘이 없을 때까지 계속 번갈아 나오며 이 악장이 끝나면 영광스러운 절정에 이르죠. 이어지는 것은 보다 친밀한 우주를 반영합니다. - 서정적이면서도 체념한 성부 뒤에 있는 알르망드는 항상 d음에서 절정을 느끼는데, 그것을 잊지 마세요.
Vient maintenant la courante, là, par contre, nous avons une partie qui bouge comme le mercure et imprègne tout le mouvement. Le mouvement Sarabande est également composée de deux sarabandes. Là aussi, Bach nous laisse deux doubles, c'est à dire deux variations. La première est accordique, et la deuxième remplit ce cadre harmonique avec des frises arabesque:
이제 쿠랑트가 오는 반면, 수은처럼 움직이면서 모든 악장에 침투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사라방드 악장도 2개의 사라방드로 구성됩니다. 여기에서도 바흐는 우리에게 2개의 더블, 즉, 2개의 변주곡을 남기죠. 첫 번째는 조화이며, 두 번째는 이 화성적인 틀을 아라베스크 프리즈[그림이나 조각으로 장식된 건축물의 외면이나 내면, 기구(器具)의 외면의 연속적인 띠 모양의 부분]로 채웁니다.
La fantaisie de Bach est incommensurable, il nous donne ces exemples et nous, le commun des mortels, nous tentons d'improviser de manière semblable, mais il n'y a rien à faire, car Bach était unique. Suivent maintenant mes deux mouvements préférés, les deux gavottes. Ce sont des mouvements féeriques. La première débute à nouveau par une anacrouse.
바흐의 환상은 헤아릴 수 없고, 그는 우리에게 이러한 예들을 보여주며, 우리 평범한 사람은 비슷한 방식으로 즉흥 연주하려고 하나, 바흐는 독특하므로 할 것이 없죠. 이제 다음으로 제가 좋아하는 2개의 악장, 2개의 가보트가 나옵니다. 가보트는 요정의 움직임입니다. 첫 번째는 못갖춘마디로 시작하죠.
Et puis voilà la deuxième gavotte, et ré majeur, donc elle aussi dans la tonalité de la tonique où on trouve aussi une sorte de musique de cornemuse, comme si on écoutait, une horloge à carillon ou une boîte à musique.
그리고 여기 두 번째 가보트가 있는데 D장조이므로, 이 곡도 우리가 뻐꾸기시계나 오르골을 듣고 있는 것처럼, 일종의 백파이프 음악을 발견할 수 있는 같은 으뜸음조입니다.
Ensuite da capo, donc retour au début, et nous entendons à nouveau la première gavotte.
다음으로 다 카포가 나오므로 처음으로 돌아가면 우리는 첫 번째 가보트를 다시 듣게 되죠.
La gigue qui vient maintenant est l'apothéose de toute la sixième suite, c'est une composition époustouflante!
이제 나오는 지그는 모든 모음곡의 절정이며, 굉장한 작품이죠!
C'est une musique incroyablement moderne, n'est-ce pas, pleine d'accents, de chromatisme, des trilles les plus osées, et dans le tout il y a comme un goût d'apocalypse, de dernier jugement. Dans sa deuxième partie, voici le thème:
엄청나게 현대적인 음악인데, 악센트, 반음계, 가장 대담한 트릴(떤꾸밈음)로 가득 차 있으며, 전체적으로 마지막 판단의 묵시록 같은 맛이 있습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가 있습니다.
Comme dans les suites précédentes, il est renversé, et les rôles aussi sont inversés, ici, c'est la voix inférieure qui débute le renversement et la voix supérieure qui lui répond, et même la trille, qui jusqu'ici était ainsi: eh bien, même elle, elle est renversée.
앞의 모음곡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은 반대로 되고, 역할도 반대가 되며, 여기에서 반전을 시작하는 낮은 성부와 그것에 반응하는 높은 성부, 그리고 지금까지 다음과 같은 트릴이 있습니다. - 음, 심지어는 화가 났네요.
Donc on regarde tout dans des lunettes retournées. Une dernière chose importante dans cette gigue, c'est l'apparition de ces quatre notes:
그래서 우리는 망원경으로 모든 것을 돌아봅니다. 이 지그에서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4개의 음들이 나오는 것이죠.
B-A-C-H (si bémol-la-ut-si) ce sont les lettres qui composent le nom du compositeur, exprimées en notes musicales, et c'est comme un auto-portait, une signature, pensons par exemple à la peinture de la Renaissance: les visages de Masaccio, Ghirlandaio ou même de Michel-Ange apparaissent dans les endroits les plus cachés des tableaux et des fresques, mais on les reconnaît. Bref, en plein milieu du tourbillon le plus sauvage apparaît de la manière la plus simple qui soit cet auto-portrait, mais comme s'il était gravé dans du marbre; pour moi, Bach, c'est bien plus que de la peinture, c'est de la sculpture ou de l'architecture. Écouez donc attentivement, voilà le motif B-A-C-H et Bach ne l'a pas souvent utilisé, car il n'était pas égocentrique, ce n'est pas à lui-même qu'il pensait, mais au message destiné à Dieu, dont il avait fait son devoir.
B-A-C-H(시 플랫-라-도-시, 독일어로 “베-아-체-하”로 발음)는 음악의 음들로 표현된, 작곡가의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로, 자화상, 서명과 같죠. 르네상스 그림의 예를 생각해보세요. 마사초, 기를란다요 또는 미켈란젤로의 얼굴은 회화와 벽화의 가장 숨겨진 곳들에 나타나지만, 눈에 띄죠. 간단히 말해, 야생의 회오리바람의 한가운데에서, 이 자화상은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나타나지만, 마치 대리석으로 조각된 것으로 보이죠. 제게 바흐는 그림 그 이상으로, 조각이나 건축물입니다. 따라서 신중하게 들어보세요. BACH 패턴과 바흐는 그것을 자주 사용하지 않았는데, 그는 자기중심적이지 않았으므로, 자신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의무를 다했던 신의 메시지를 가지고 있었죠.
프랑스어 자막만 정리했는데 DVD를 구했으나 자막이 역시 5번 모음곡에서 먹통이라서 결국 프랑스어 자막이 먹통인 부분은 유튜브로 받아쓰기해서 정리했다. 프랑스어 자막이라도 받아쓰기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라틴어라든지 독일어, 이탈리아어가 튀어나와서 그런 것도 있다. 번역이 어려운 데가 다행히 별로 없었다. 동영상만 얼마든지 공유해도 되는데 쉬프의 설명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서 올린 것이다. 번역하면서 지그가 영국의 춤곡이라는 것 정도만 알았던 내 자신을 반성했다. 그동안 알르망드가 뭔지, 사라방드가 뭔지 이름만 알고 살았다. 내가 레슨 시간에 배운 건 이탈리아 협주곡이다. 외국 독자들에겐 정보 제공이 쉽다. 영어나 프랑스어를 안다면 무슨 내용인지 그냥 듣거나 읽으면 되니까. 하지만 내가 아무리 그걸 받아먹었어도 번역해서 내 걸로 만들어서 습득하면 곤란해진다. 하지만 그런 곤란함은 내년이면 끝이다. 유튜브에서 영어 자막을 받아쓰기해서 외국 분한테 다듬는 것을 부탁드리려다가 귀찮아서 결국 하지 않았다. 1번 모음곡에서 받아쓰기하다 말았다. 이런 걸 몇 번 겪어보니 때로는 번역된 자막이 보다 정확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영어 문법이 맞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
2019년 3월 28일 목요일
Samson François - Chopin Concerto No. 2 (1966)
Chopin Concerto No. 2 in f, Op. 21 /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
Samson François, piano / 상송 프랑수아, 피아노
Grand Orchestre de Radio-Luxembourg / 라디오-룩셈부르크 그랜드 오케스트라
Louis de Froment, conductor / 루이 드 프로망 지휘
작년인가 상송 프랑수아에 대한 정보를 찾다가 어떤 일본인 블로그에 들어가게 되었다. 거기에서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이 LD 버전으로 있다는 정보를 접했다. 난 1번 협주곡 DVD만 있어도 감지덕지인데... 나보다 정보가 더 많은 상송의 팬을 접했다. 상송은 나한테 흥미가 꽤나 있는 모양. 이런저런 정보 찾는 걸 즐기게 만드니까. 어쩌다 보니 오랜만에 상송의 연주가 듣고 싶었는데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것이었다. 내가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보니깐 지휘자, 연주자, 성악가 통틀어서 상송보다 잘 생긴 사람은 못 봤다고 하더라고... ㅋㅋㅋㅋㅋ 오마 샤리프 닮은 외모로 인기 좀 얻었다는 소리도 있다. 이 동영상이 혹시나 없어질까봐 며칠 전에 냉큼 받았다.
2019년 3월 27일 수요일
DG / Seong-Jin Cho, Myung-Whun Chung, One Korea Orchestra - Beethoven Piano Concerto & Symphony Nos. 5 (2017)
롯데 콘서트홀 개관 1주년 기념 공연(2017년 8월 18일) 실황 녹음 음반
정명훈 · 조성진 베토벤 “황제”
화제의 그 공연! 실황 음반으로 나온다!
*5,000장 넘버링 한정 판매*
지난 해 지휘자 정명훈과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함께 공연을 하며 화제를 모았던 공연이 실황 음반으로 나온다.
티켓 예매 오픈 1분 만에 매진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던 이 공연은 한국인 최초의 쇼팽 콩쿠르 우승자 피아니스트 조성진과 프랑스 르몽드지가 ‘영적인 지휘자’라고 극찬한 바 있는 지휘자 정명훈과의 만남으로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연령, 성별, 소속 등을 초월하여 전 세계에서 다채로운 활동으로 인정받고 있는 재능 있는 유수의 음악가들이 함께 모여 함께 한 ‘원 코리아 오케스트라’가 이번 공연을 위해 한시적으로 모여 연주했다.
특별히 이 앨범은 디지털로 발매되지 않고 국내에서 하드커버 북 사양의 음반으로만 발매되며 5,000장 넘버링 한정 판매될 예정이다. 수익금 일부는 국내 어린이들을 위한 자선기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Track
01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in Eb, Op. 73 'Emperor': I. Allegro
02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in Eb, Op. 73 'Emperor': II. Adagio un poco mosso
03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in Eb, Op. 73 'Emperor': III. Rondo. Allegro
04 Beethoven Symphony No. 5 in c, Op. 67: I. Allegro con brio
05 Beethoven Symphony No. 5 in c, Op. 67: II. Andante con moto
06 Beethoven Symphony No. 5 in c, Op. 67: III. Scherzo. Allegro
07 Beethoven Symphony No. 5 in c, Op. 67: IV. Allegro
외국 분들이랑 외국에서는 구해지지 않는 우리나라 공연을 포함해서 조성진의 여러 음원들을 공유했는데 이 음반은 구매하지 않았으므로 실황 녹음 파일과 동영상으로 가지고 있다.
You can buy this album in Korea only.
DG / Seong-Jin Cho Plays Debussy 2017
https://www.youtube.com/watch?v=U3u4pQ4WKOk
https://www.classicalmpr.org/story/2018/03/21/new-classical-tracks-seong-jin-cho
피아노로 그리는 한 폭의 수채화
피아니스트 조성진
[ 드 뷔 시 ]
한국인 최초의 쇼팽 콩쿠르 우승자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첫 스튜디오 레코딩 앨범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과 발라드](2016)에 이어 11월 17일(금)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의 시조인 [드뷔시] 앨범으로 돌아온다. 2018년 후기 낭만파의 멋진 도전자였던 작곡가 드뷔시 사후 100주년을 기념하여 발매되는 이번 앨범에는 드뷔시 영상 1, 2집, 어린이 차지, 세계적인 사랑받는 드뷔시의 곡 '달빛'이 포함된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기쁨의 섬 등이 수록되었다. 지난 6월 베를린 Siemensvilla(지멘스빌라)에서 녹음한 이번 앨범은 조성진 특유의 서정성과 다채로운 음색이 드뷔시의 인상주의 작품들과 만나 마치 피아노로 표현되는 한 폭의 수채화를 감상할 수 있다.
New Classical Tracks: Seong-Jin Cho brings Debussy to life in new album - Classical Music Features Interview with Julie Amacher on the Classical MPR (21 March 2018) / 뉴 클래시컬 트랙 : 조성진이 새로운 앨범에서 드뷔시에 생명을 불어넣다 - 2018년 3월 21일 클래시컬 MPR에서 줄리 아마커와의 클래식 음악 특집 인터뷰
Before he won the gold medal at the International Chopin Competition in 2015, South Korean pianist Seong-Jin Cho lived and studied in Paris. He studied with Michel Béroff who was a Debussy specialist and on his days off when he wasn't busy studying he would wander through the museums and he'd admire the paintings of artists like Monet - the very artists who inspired Debussy so he said he's well prepared to play the music of Debussy which is what we hear on his brand-new recording. Enjoy this new episode of New Classical Tracks. I'm Julie Amacher.
2015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 금메달리스트가 되기 전, 한국인 피아니스트 조성진은 파리에서 살면서 공부했다. 그는 드뷔시 스페셜리스트인 미셸 베로프와 공부했고, 공부하기 바쁘지 않은 휴일이면 미술관을 돌아다니며, 드뷔시에 매우 영향을 미친 모네 같은 화가의 그림들을 존경하므로 그는 자신의 새로운 음반에서 우리가 듣는 드뷔시의 음악을 연주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뉴 클래시컬 트랙스의 이 새로운 에피소드를 즐기라. 저는 줄리 아마커입니다.
I want to just kind of dive right in to your life which, of course, was really launched when you won the Chopin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Warsaw. How has your life changed since winning that competition in 2015?
저는 당신의 인생에 바로 뛰어들고 싶은데요, 물론 당신이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우승했을 때 정말로 경력이 시작되었죠. 2015년에 그 콩쿠르에서 우승한 이후로 인생이 어떻게 바뀌었나요?
Well, before the Chopin Competition, I just played like 20 or 30 concerts a year and since I won the Chopin, I started to play around 100 concerts a year. So there is a huge change I guess and I could build up my career in Europe and in Asia and also in the States, so, yeah, the Chopin Competition gave me a lot of opportunities for sure.
음, 쇼팽 콩쿠르 전에는 20~30회 정도 연주했는데,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한 이후에는 1년에 100회 정도 연주하기 시작했죠. 그래서 제가 생각하기에 거대한 변화가 있었고 유럽, 아시아, 미국에서도 경력을 쌓을 수 있었으므로 쇼팽 콩쿠르는 제게 많은 기회를 제공했죠.
One, of course, made you really popular especially in your homeland. Do you feel like, perhaps, you know, because now you're sort of a pop star in your homeland. Do you feel a responsibility to I don't know maybe younger musicians who are looking to you?
물론 특히 당신은 조국에서 정말로 유명해졌죠. 그렇게 느끼시나요? 당신은 이제 어쩌면 조국에서 일종의 팝스타이기 때문이죠. 당신을 보는 더 어린 음악가들을 제가 모른다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시나요?
Well, a little bit, but not that much because I couldn't feel that much because I was not in Korea and I just I lived in Paris at that time and I couldn't feel that popularity in Korea. So I could just concentrate my performances and my music. So I thought I was pretty calm at that time.
음, 조금은 그렇지만 그렇게 많이 느끼지는 않아요. 제가 한국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다지 느낄 수 없었거든요. 그리고 저는 그 당시 파리에 살았고 한국에서 그 인기를 느낄 수 없었죠. 그래서 연주와 음악에 집중할 수 있었죠. 그래서 저는 당시에 꽤 침착했다고 생각했네요.
So I see that you've been doing some feeling in for a Lang Lang in a few performances this season. How did that come about?
그래서 저는 이번 시즌에 몇 번의 공연에서 당신이 랑랑에 대해서 어떤 느낌인지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바뀌게 되었나요?
I was so lucky and so honored that I could play. I could replace Lang Lang and I could play with the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last November and also in one week, I'm going to play in Ottawa and I will replace Lang Lang again and personally I am so happy and so honored and also I really hope pianist Lang Lang will recover very soon.
제가 연주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행운이자 영광입니다. 저는 랑랑을 대신하여 작년 11월에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연주할 수 있었고 1주일 내에 또 연주할 수 있었으며, 오타와에서 연주할 예정인데 다시 랑랑을 대체하며 개인적으로 정말 행복하고 정말 영광이며 피아니스트 랑랑이 곧 회복되길 바랍니다.
Now is he still battling an injury or what's, what's caused his cancellations do you know?
지금도 그는 여전히 부상과 싸우고 있나요, 아니면 무엇 때문에 그의 취소 사실을 알았나요?
I heard he has some problem in his hands, so that's why he cancelled.
저는 그의 손에 문제가 있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그가 취소한 것입니다.
Yeah, well, you spent some time studying in Paris with Michel Béroff at the Paris Conservatory and that was before you went on to win the Chopin International Competition, so it almost seems like it makes sense after a couple of Chopin recordings that you would step into the music of Debussy which is your new release. And Michel Béroff, Debussy is one of his specialties, so I'm curious what you may have learned from him? One of the things that I read in another interview that you did is you talked about how when the two of you would discuss or work on Debussy, it was really more of a conversation. He didn't tell you what to do, he kind of… you guys had a conversation about it. Is there anything you could add to that? How one of those conversations may have gone?
그렇군요. 음, 당신은 쇼팽 국제피아노콩쿠르에서 우승하기 전에는 파리 음악원에서 미셸 베로프와 함께 공부했는데요, 따라서 쇼팽 음반을 두 장 발매한 후에 새로운 음반으로 드뷔시의 음악을 시작한 게 이해가 되는 것 같네요. 그리고 미셸 베로프는 드뷔시 스페셜리스트이므로, 당신이 그에게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당신이 가졌던 다른 인터뷰에서 읽은 것 중 하나는 두 분이 드뷔시에 대해서 논의하거나 공들일 때 대화의 의미가 더 커졌다는 것입니다. 그는 당신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말하지 않았는데… 당신과 선생님은 그것에 대한 대화를 나누었죠. 거기에 더할 수 있는 게 있나요? 어떻게 그 대화 중 하나가 사라졌을까요?
Maybe this was because of me, because I asked so many questions every time to Michel and for instance very detailed things like pedal and tempo or rubato. So I always curious about pedal because many pianists or many musicians put a lot of pedal when they play Debussy's music. Like very so-called impressionistic style. But Michel does not agree, didn't agree to put too much pedal. And he showed me some article which, which showed that Debussy didn't like who put too much pedal. And he, when some people play his music, so it was quite amazing to see that article in French and it was his collection. And there are some kind of this historical statement by Debussy also helped me to interpret his music. And Michel always introduce me some kind of book or article about the music and it was really helpful. He inspired me a lot of French music, especially Debussy and Ravel. And also living in Paris helped me to interpret the music by Debussy because there were, there are a lot of museum and a lot of paintings in Paris which inspired Debussy at his time. And it was so natural for me to experience and to see the French or European culture in European painting in Paris. So, unconsciously it helped me to interpret and it became very natural for me, the French music, so, yeah.
아마도 이것은 저 때문에, 제가 미셸에게 매번 많은 질문을 던졌는데, 템포나 루바토 같은 매우 상세한 것들을 물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페달에 대해서 궁금한데 많은 피아니스트나 뮤지션이 드뷔시의 음악을 연주할 때 많은 페달을 밟기 때문이죠. 정말 이른바 인상주의처럼 말이죠. 그러나 미셸은 너무 많은 페달을 밟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죠. 그리고 제게 드뷔시가 너무 많은 페달을 쓰는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몇 가지 기사를 보여주셨어요. 그리고 몇몇 사람들이 그의 음악을 연주하므로, 프랑스어로 된 기사를 보게 되어 정말 놀라웠는데 선생님이 모으신 거였죠. 그리고 드뷔시의 역사적인 진술도 제게 그의 음악을 해석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어요. 그리고 미셸은 항상 제게 음악에 대한 책이나 기사를 소개하는데 정말 도움이 되었어요. 제게 프랑스 음악, 특히 드뷔시와 라벨에 대한 영감을 많이 주셨죠. 그리고 파리에 사는 것도 드뷔시의 음악을 해석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는데, 파리에는 많은 박물관과 많은 그림이 있으며 드뷔시가 살던 시절에 영감을 주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파리에 있는 유럽 회화에서 프랑스 문화나 유럽 문화를 경험해보는 것은 제게 정말 자연스러웠거든요. 그래서 무의식적으로 제가 해석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는데, 프랑스 음악이 제게 매우 자연스러워졌네요.
I was imagining perhaps Debussy, of course, doing the same thing. He was inspired by the impressionists' artwork of his day. Did that ever occur to you, like that you were almost seeing it, kind of experiencing it the way he did perhaps?
저는 물론 드뷔시가 같은 일을 할 것이라 상상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이 살던 시대에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죠. 그가 어쩌면 경험했던 방식을 당신이 거의 보고 있는 것처럼 그것이 당신에게 일어난 것이 아닐까요?
Yeah, in the spare time I went to the museum like every week because I bought annual membership card. It's for students, so it was not that expensive, so and I used to live a near Musée de l'Orangerie which has a lot of painting of Monet, so I, when I visited there very many, many times, so, yeah.
예, 여가 시간에 매주 박물관에 갔는데 연간 회원 카드를 구매했기 때문이죠. 학생용이라서 비싸지 않았으므로 모네의 그림이 많은 오랑주리 미술관 근처에서 지내곤 했는데, 정말 여러 번 방문했어요.
Well, let's dive into the music that's featured on your new recording. You have the Images I and II featured on this release and each of these little movements is kind of like a masterpiece in and of itself. What do you love about these two suites? Is there a particular movement that really, just tickles your fancy or…? Tell me a little bit about Images I.
음, 새로운 음반에 수록된 음악을 들여다봅시다. 이 음반에는 영상 1집과 2집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 작은 악장들은 각각 그 자체로 걸작과 같습니다. 이 두 개의 모음곡에 대해서 어떤 걸 좋아하시나요? 정말로, 당신의 상상을 근질거리게 하는 특별한 악장이나 뭔가가 있나요? 영상 1집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Personally I found Images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iano piece written by Debussy. Technically and musically, both are really demanding, and I found it's very poetic and there is a lot of color and sometimes it's abstract some kind of title like "Hommage à Rameau". It's quite abstract but somehow we could feel dignity and homage from the music. This is like a longer version of prelude for me. It's very… it's very difficult to interpret.
개인적으로 저는 영상이 드뷔시가 쓴 가장 어려운 피아노곡 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술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정말 까다로우며, 저는 그것이 매우 시적이고 여러 가지 색채를 띠며 때때로 <라모를 예찬하며> 같은 제목처럼 추상적인 것을 발견했죠. 꽤 추상적이지만 어쨌든 우리는 음악으로부터 위엄과 존경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제게 프렐류드의 긴 버전인 것 같아요. 정말… 정말 해석하기 어렵네요.
His music sounds like it's sort of free-flowing but he really had very specific intentions and he makes note of that in the music, doesn't he?
그의 음악은 마치 자유롭게 흐르는 것 같은 느낌을 주지만 실제로는 매우 구체적인 의도가 있으며 그는 음악에서 그 것을 기록합니다. 그렇지 않나요?
Yeah, for sure, yeah.
네, 맞아요.
Does that make it more challenging for you?
그게 당신에게 더 어렵나요?
Yes, the difficulty is, is, his imagination is limitless… and we have to produce a variety of sound and color and at the same time we have, we have to make a good balance. Because Debussy, of course he is romantic, but at the same time he was rational. He knew what he wants. So I think that we have to make a good balance between very poetic and colorful and sometimes romantic and also very academic at the same time.
네, 어려운 것이 뭐냐면 그의 상상력이 무한하므로… 우리는 다양한 소리와 색채를 만들어야 하며 동시에 균형을 잘 맞춰야 합니다. 왜냐 하면 드뷔시, 물론 그는 낭만적이지만 동시에 이성적이었거든요. 그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있었죠. 그래서 저는 우리가 매우 시적이고 다채로우며 때로는 낭만적인 동시에 매우 학구적으로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생각해요.
Children's Corner Suite was written for his daughter, but this piece is actually very much an adult piece even though you started to learn it when you were, what, 11 years old?
<어린이 차지> 모음곡은 드뷔시의 딸을 위해 작곡되었지만, 이 곡은 실제로 성인을 위한 곡입니다. 당신은 이 곡을 11세 때부터 배우셨네요?
Yeah.
예.
So your impression of this work, how has it changed over the years since you've known it for quite a while?
그래서 이 작품에 대한 당신의 인상은, 당신이 꽤 오랫동안 이 곡을 알고 나서 수년 동안 어떻게 변했나요?
Well, I don't remember how I played when I was 11 years old, but I'm sure it has, has been changed. And actually this "Children's Corner" in Debussy just wanted to entertain her daughter, Chouchou. That's why he composed this piece and maybe, probably technically it's not that difficult but to get the feeling of the music. It is quite demanding. For instance, like a fourth piece is really difficult for me, "The Snow is Dancing". We really need to make sounds like snow, very icy, sometimes regular, sometimes irregular and make a good balance and not aggressive. And it is very delicate piece so we have to control the piano so well.
음, 제가 11세였을 때 어떻게 연주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그게 변한 것이 있다고 확신해요. 그리고 이 <어린이 차지>에서 드뷔시는 딸 슈슈를 즐겁게 해주길 원했죠. 그래서 이 곡을 썼는데, 어쩌면 기술적으로 어려운 게 아니라 음악에 대한 느낌을 익히는 것이 어려울 거예요. 아주 까다롭거든요. 예를 들어 4번 <눈송이는 춤춘다>는 제게 정말 어려워요. 우리는 실제로 눈, 매우 얼음같이 차가운, 때로는 규칙적이고, 때로는 불규칙적인 소리를 만들어야 하며 균형을 잘 맞추면서 공격적이면 안 됩니다. 그리고 이 곡은 매우 섬세한 작품이므로 우리는 피아노를 잘 컨트롤해야 합니다.
The "Suite Bergamasque" includes the very familiar "Clair de lune". And your interpretation of it is perhaps a little more slow. The tempo is taken more slowly than, than some interpreters. Why do you choose to do that?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에는 매우 친숙한 <달빛>이 있죠. 그리고 이 곡에 대한 당신의 해석은 아마도 조금 더 느릴 것입니다. 템포가 몇몇 연주자들보다 느리네요. 왜 그렇게 선택했나요?
The tempo marking is "andante" and is walking tempo, like people walking. And for me "andante" is very free compared to "adagio". "Andante" is, have to flow, so well - probably I even play a little bit too slowly - but that's the "andante," what I think.
템포 표시는 “안단테”(느리게)이며 사람들이 걷는 것처럼, 걷는 속도입니다. 그리고 제게 “안단테”는 “아다지오”(느리게)와 비교해서 매우 자유롭죠. “안단테”는 잘 흘러야 하지만, 어쩌면 저는 심지어 너무 느리게 연주할 수도 있지만, 그것이 제가 생각하는 “안단테”입니다.
Well, I also read that you felt like it fit the mood the day you were recording it and you were able to do it all in one take. So there was something about the way you were feeling about that piece when this was recorded that just seemed right for you?
음, 저는 당신이 그것을 녹음한 날에 분위기가 맞았다고 느껴서 원 테이크로(단번에) 모든 곡을 녹음할 수 있었다는 것도 읽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이 당신에게 맞는 것처럼 녹음되었을 때 이 곡에 대해서 느끼는 방식에 뭔가가 있었나요?
Oh, yeah, actually I listen again after I played it and my producer said: "Oh, you play a little bit slower than the others," and then I still felt this is the right tempo for me. And it was still walking tempo for me so that's why I chose this tempo and it was quite natural tempo for me. Perhaps I will play differently in 10 years, but for now I think this is the right tempo.
아, 예, 실제로 저는 그것을 연주한 후 다시 들었으며 제 프로듀서가 다음과 같이 말했죠. “오, 당신은 다른 사람들보다 조금 느리게 연주하시네요!” 그러고 나서 저는 아직도 이것이 제게 맞는 템포라고 느꼈죠. 그리고 여전히 제게 걷는 속도라서 이 템포를 선택한 것이며 제게 아주 자연스러운 템포였죠. 아마도 저는 10년 동안 다르게 연주할 것이지만, 지금은 이것이 올바른 템포라고 생각해요.
You close out this recording with "L'isle joyeuse" and this is a piece that the composer had thought about including in that "Suite Bergamasque". Tell me a little bit about this piece and what you love about it.
당신은 <기쁨의 섬>으로 이 녹음을 마무리하는데요, 이 곡은 작곡가가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고려했던 작품입니다. 이 곡에 대해 그리고 이 곡의 어떤 것을 사랑하는지 말씀해주세요.
It's really brilliant and very lovely, and delicate also, and dramatic piece… What… I think the most dramatic piece by Debussy. And I'd like to just conclude this album with "L'isle joyeuse" with very happy, happy emotion and very, very positive.
이 곡은 정말 화려하고 매우 사랑스럽고 섬세하면서 극적이기도 한 작품입니다. 드뷔시 작품들 중에서 가장 극적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이 앨범을 매우 행복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지닌 <기쁨의 섬>으로 마무리하고 싶어요.
That's New Classical Tracks from American Public Media with special thanks to Valerie Kahler for producing this episode. I'm Julie Amacher.
이 에피소드를 제작하는 데에 도움을 주신 발레리 케일러에게 특별한 고마움을 보내며 어메리칸 퍼블릭 미디어의 뉴 클래시컬 트랙스였습니다. 저는 줄리 아마커입니다.
"Claude Debussy was a revolutionary composer, unconventional and limitless." - Seong-Jin Cho
“클로드 드뷔시는 자유롭고 무한한, 혁명적인 작곡가였습니다.” - 조성진
Track
01 Images I, L. 110 - 1. Reflets dans l'eau / 영상 1집 1번 물 위의 그림자
02 Images I, L. 110 - 2. Hommage a Rameau / 영상 1집 2번 라모를 예찬하며
03 Images I, L. 110 - 3. Mouvement / 영상 1집 3번 움직임
04 Images II, L. 111 - 1. Cloches a travers les feuilles / 영상 2집 1번 잎새를 흐르는 종
05 Images II, L. 111 - 2. Et la lune descend sur le temple qui fut / 영상 2집 2번 달은 황폐한 절에 걸려
06 Images II, L. 111 - 3. Poissons d'or / 영상 2집 3번 금빛 고기
07 Children's Corner, L. 113 - 1. Doctor Gradus ad Parnassum / 어린이 차지 1번 닥터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
08 Children's Corner, L. 113 - 2. Jimbo's Lullaby / 어린이 차지 2번 코끼리의 자장가
09 Children's Corner, L. 113 - 3. Serenade for the Doll / 어린이 차지 3번 인형을 위한 세레나데
10 Children's Corner, L. 113 - 4. The Snow is Dancing / 어린이 차지 4번 눈송이가 춤춘다
11 Children's Corner, L. 113 - 5. The Little Shepherd / 어린이 차지 5번 어린 양치기
12 Children's Corner, L. 113 - 6. Golliwog's Cakewalk / 어린이 차지 6번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
13 Suite bergamasque, L. 75 - 1. Prelude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1번 전주곡
14 Suite bergamasque, L. 75 - 2. Menuet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2번 미뉴에트
15 Suite bergamasque, L. 75 - 3. Clair de lune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3번 달빛
16 Suite bergamasque, L. 75 - 4. Passepied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4번 파스피에
17 L'isle joyeuse, L. 106 / 기쁨의 섬
A South Korean in Paris
Seong-Jin Cho has always loved French music - Debussy's "Children's Corner" was on the programme of his very first public recital, which he gave when he was only eleven. When, in 2012, he decided to continue his musical studies in the West, his choice fell on Paris. "It was heaven for me!" the South Korean pianist cannot conceal his enthusiasm. Cho is a fan of all classical genres. "France is a centralized country, which means that all the leading orchestras and performers come to Paris," he explains. "Also, ticket prices are much lower than in Seoul. As a result I was able to go to three concerts or operas a week."
Seong-Jin Cho attended Michel Béroff's class at the Paris Conservatoire, having already got to know the French pianist when Béroff sat on the jury at the Tchaikovsky Competition in Moscow. Cho was particularly impressed by the pride that Béroff evinced in introducing him to France's national musical legacy. Béroff is regarded as an outstanding exponent of the piano music of Debussy in particular - and so Cho worked intensively with his former teacher when preparing his own Debussy album. The two are now close friends.
After five years in Paris Seong-Jin Cho felt that he was ready for the composer whose piano music counts among the most sophisticated and exquisite ever written for the instrument. "Debussy was inspired by the most disparate aesthetic impressions," says Cho. "Take, for example, his fascination with Indonesian gamelan music, which he got to know at the Paris World Fair in 1889. He also loved Japanese art, in which perspective is treated completely differently from the way it is treated in Western art and where the areas of the canvas that have not been painted over but have been left blank have an important significance – much like the rests in Debussy’s music."
Debussy wa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avant-garde painters of his day, namely the Impressionists. Cho found himself drawn into their sway in 2014, when he bought a season ticket for the Musée d’Orsay and the Musée de l'Orangerie. "I went there practically every day and often spent half an hour just sitting in front of one of Monet's water-lilies, soaking up its atmosphere."
The way in which artists sought to capture the reflection of light on the surface of water is one with which Seong-Jin Cho is very familiar. And he rediscovered in Debussy's music this same attempt to sublimate natural phenomena through art. Nowhere is this more apparent than in the piano cycle "Images" that dates from 1905 to 1907. "It's an absolute masterpiece," says Cho, his eyes sparkling with pleasure, "incredibly atmospheric and highly poetic."
As a result Seong-Jin Cho gave great thought to the instrument that he would use for this recording. True, it would be a Steinway, but one with a bright and lighter tone, less reverberant and less brilliantly metallic than listeners have come to expect from a Steinway concert grand. "It was important for me to be able to produce very delicate and quiet sounds that retain their delicacy and range of colour even when played 'pianississimo'."
"Children's Corner" may have been Cho's first encounter with Debussy, but he naturally approaches it in a very different way from the one he adopted when he was eleven. It is only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in the light of the knowledge that Debussy was an anti-Wagnerian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appearance of the "Tristan chord" between the ragtime syncopations of "Golliwogg's Cake-walk" becomes clear. Even though Debussy dedicated the cycle to his three-year-old daughter Chouchou, "Children's Corner" is in Cho's opinion "grown-up music" that clearly resonates with melancholic memories of the composer’s own childhood, and so Cho's favourite numbers are two that are atmospherically muted: "Serenade for the Doll" and "The Snow is Dancing".
Debussy's forward-looking music is practically unthinkable without a knowledge of the context of Paris, since the French capital was indisputably the hub of the world of modern art in the years around 1900. And yet, like Faust, Debussy found two souls contending within his breast, inasmuch as he felt a constant yearning to escape from Paris and enjoy the world of nature. His famous "Clair de lune" from his "Suite bergamasque", for example, is clearly part of the tradition of Romantic nocturnes. Seong-Jin Cho justifies his decision to perform it extremely slowly by explaining that "the tempo marking is Andante - in other words, at a walking pace. But the speed always depends on the person in question. On the day of the recording I felt that this was exactly the right tempo for me personally." As a result he was able to record "Clair de lune" in a single take without any need for editing.
Seong-Jin Cho follows up the "Suite bergamasque" with "L'Isle joyeuse" (The Joyous Isle) "because Debussy toyed with the idea of integrating this piece into the suite". Of all Debussy's piano pieces, "L'Isle joyeuse" is the most brilliant and the liveliest, making it the ideal finale for this Debussy album.
이 음반을 이벤트가 한참 지나고 나서 샀기 때문에 달력은 없다. 구매하면 내지에 있는 내용의 한글 번역을 볼 수 있다. 유튜브에 있는 자막을 받아쓰기한 다음 외국 분한테 수정을 부탁했는데 그분이 다듬어주신 것도 정확한 건 아니라서 내가 문법을 좀 따져봐야 했다. 조성진이 드뷔시에 대해서 careful이라고 했다고 캐나다 사이트에 잘못 나왔는데 외국 분은 colorful로 적었다. 이건 내가 다시 확인해봤는데 문맥상 colorful이 맞고 이미 언급한 단어이기도 하다. one take란 재즈 음반 정리하면서 본 단어인데 take one, take two 이런 단어가 뭔가 했다. 조성진이 말하는 걸 통해서 한 번에 녹음하는 걸 원 테이크라고 한다는 걸 알게 되었다. (재즈에서는 첫 번째 녹음, 두 번째 녹음이 맞겠다.) 고1 때 영어 잘 하는 걸 get이랑 take 두 단어로 따진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었는데 정말 둘 중에 하나만 만나도 해석에 애를 먹는다. get의 용법만 해도 100가지가 넘으니까. 영어권 사람들이야 이 두 단어를 편하게 쓴다지만 받아들이는 나는 무슨 뜻인지 골치 아프다고~ get이랑 take는 그나마 이 단어들과 관련된 숙어 몇 가지 외우는 정도. get은 얻다, take는 사다, 이렇게만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유튜브에서 이 인터뷰 전체가 사라지기 전에 자막 기능을 활용하여 받아쓰기할 수 있었는데, 이걸 번역하면서 조성진에 대해서 스스로가 점점 곤란해지고 있다는 게 느껴졌다. 다른 외국 피아니스트들의 인터뷰를 번역할 때와 마찬가지로 조성진한테 드뷔시에 대해서 레슨 받는 마음으로 임했다. 어차피 2020년부터는 곤란할 일이 없다. 곤란한 공부조차 그만둘 거니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Google Drive / 2024. 12. Geneva Competition Winners 7
1961년 1위 Désiré N'Kaoua (France) / 데지레 은카우아 (프랑스) Desire N’Kaoua - Chopin Nocturnes 2022 데지레 은카우아 - 쇼팽 녹턴 전집 2CD Desire N'Kaoua - 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