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1년 1월 16일 토요일

Seong-Jin Cho Recital at Warsaw Philharmonic Concert Hall (1 October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4nITlRKS91A&t=37s

https://www.youtube.com/watch?v=yg4sTJPjRyg&t=245s


조성진 리사이틀 - 2020년 10월 1일 19시 30분 바르샤바 필하모닉 콘서트홀

Before the Grand Competition Master Recitals

2020년 10월 15일 19시 30분 Dwójka 라디오 중계


Program

Schumann Humoresque in Bb, Op. 20 / 슈만 위모레스크


Chopin Scherzo No. 1 in b, Op. 20 / 쇼팽 스케르초 1번


Chopin Scherzo No. 2 in b flat, Op. 31 / 쇼팽 스케르초 2번


Intermission


Berg Sonata, Op. 1 / 베르크 소나타


Liszt Sonata in b / 리스트 소나타


Encore

Liszt Consolation in Db, S. 172 No. 3 / 리스트 위안 3번



An Interview with Seong-Jin Cho: Chopin is timeless (2 October 2020)

2020년 10월 2일 조성진과의 인터뷰 - 쇼팽은 영원하다


Mówiąc szczerze, czuję się bardzo komfortowo, kiedy gram muzykę Chopina, że ośmielę się tak powiedzieć, czuję się komfortowo i naturalnie, kiedy gram jego muzykę. Nawet jeśli Chopin zmarł bardzo młodo, to jego muzyka pozostaje ponadczasowa. Możemy znaleźć w niej tyle i tak bardzo nie mogę się doczekać, aż będę mieć 60 czy 70 lat i będę ją grać, ponieważ zastanawiam się, na ile inne to będzie doświadczenie.


To be honest, I feel comfortable when I play Chopin's music, I dare to say that I feel very, very comfortable and I feel very natural to play his music. But even though Chopin died very young, but his work is timeless. You can just find so many things and I'm very much looking forward to my playing and I get 60 or 70 years old because I wonder how it is going to be changed from now.


솔직히 말해서 쇼팽의 음악을 연주할 때 편안함을 느끼는데, 그의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정말 매우 편안하고 자연스럽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쇼팽이 일찍 사망했지만, 그의 음악(작품)은 시대를 초월한다. 우리는 쇼팽의 음악에서 많은 것을 찾을 수 있으며, 지금부터 (내 연주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 궁금해서 60대나 70대가 될 때까지 기다릴 수 없다. (60~70세가 기대된다.)


Mówiąc szczerze, kocham tę salę i jednocześnie jej nienawidzę. Kocham tę salę, ponieważ to takie wyjątkowe miejsce. Widziałem tyle filmów, zwłszcza z Konkursu Chopinowskiego, kiedy byłem dzieckiem... praktycznie wszystko: Krystiana Zimermana, Dong Thai Sona, Marthę Argerich, ostatnio [Konkursu Chopinowski] w 2010 roku... byłem w Korei w 2010 roku i była transmisja iinternetowa. Oglądałem ją o trzeciej rano koreańskiego czasu, więc ę salę znałem już dobrze, kiedy przyjechałem po raz pierwszy, chociaż nigdy wcześniej w niej nie grałem.


To be honest, I love this hall and at the same time I hate this hall. I love this hall because it is so special place. I've, I have watched so many videos especially Chopin Competition videos since when I was a child... like... everything: Krystian Zimerman, Dang Thai Son edition, Martha Argerich and recently, like 2010... so I was in Korea in 2010 and it was purchased on the internet. And I just watched like at 3 a.m. in Korean time. So this hall was very familiar to me when I visited for the first time, even though I've never played in this hall.


솔직히 나는 이 홀을 좋아하지만 동시에 싫어한다. 이 홀이 매우 각별한 장소이기 때문에 좋아한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특히 쇼팽 콩쿠르에서 많은 동영상들을 봤다. -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당 타이 손, 마르타 아르헤리치, 가장 최근의 2010 [쇼팽 콩쿠르] 같은... 나는 2010년에 한국에 있었는데 인터넷 스트리밍이 있었다. 한국 시간으로 새벽 3시에 봤다. 그래서 이 홀에서 연주한 적이 없지만, 처음 방문했을 때 내게 매우 친숙했다.


A granie muzyki Chopina w tej sali to dla mnie zaszczyt, ale równocześnie stresujące przeżycie. To trudno wytłumaczyć, ale w tej sali jest coś wyjątkowego. Wtedy był wybór fortepianu, tuż przed Konkursem, i wypróbowywałem instrument. Akustyka była bardzo dobra, to było moje pierwsze wrażenie. Wcześniej tak bardzo podziwiałem te konkursy i tych zawodników, więc czułem się, jakdy spełniły się moje marzenia, po prostu tam byłem. Nie zależało mi na wygranej, byłem tak bardzo szczęśliwy i równocześnie prdenerwowany zdenerwowany, że jestem na tej scenie, że to ten Konkurs.


Playing the Chopin's music in this hall is my honor, but at the same time it gives a lot of stress. It's hard to explain, but something is very special about this hall. So there was a piano selection, like a few days before the competition and I tried the piano. And the acoustic was really good. That was my first impression during the competition on the stage. I would say I admire so much this competition and competitors, before. I felt like, just I felt like my dream came true just being on this, this stage. I didn't care that I just, I can win the first prize or not. I was so happy and at the same nervous being on the stage for this competition.


그리고 이 홀에서 쇼팽의 음악을 연주하는 것은 내게 영광이지만, 스트레스를 주는 경험이기도 하다. 설명하기 어렵지만, 이 홀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그리고 대회 직전에 피아노를 선택했고, 악기를 테스트해봤다. 음향은 아주 좋았는데, 그게 (콩쿠르 무대에 대한) 첫 인상이었다. 전에는 이 콩쿠르와 참가자들을 되게 존경한다고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 무대에 있는 것만으로도 꿈이 이뤄진 것 같은 느낌이었다. 우승 여부에 신경 쓰지 않았다. 매우 행복한 동시에 긴장한 나머지 내가 이 무대에 있고 이것이 이 대회라는 게 느껴졌다. (이 대회의 무대에 선 게 정말 기뻤고 동시에 긴장했다.)


Wciąż pamiętam swoje uczucia z Konkursu, zwłaszcza ze sceny. Byłem tak zdenerwowany, ponieważ granie Chopin w Warszawie dużo dla mnie znaczyło. To było bardzo wyjątkowe miejsce, mam na myśli Filharmonię, i wiedziałem, że to nie koncert, to konkurs. Atmosfera znacznie się więc rożniła od sali koncertowej i bardzo mi zależało, żeby dobrze wypaść, myślę, że to dlatego było takie stresujące.


I still remember my feeling during the competition, especially on the stage. I was so nervous because playing the Chopin in Warsaw meant to me a lot. It was very special place, I mean the Philharmonie and I knew that it was not a concert, it was a competition. So the atmosphere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concert [hall] and I really wanted to do well, that's why I think I was very stressed.


나는 아직도 콩쿠르, 특히 무대에서의 내 느낌을 기억한다. 바르샤바에서 쇼팽을 연주하는 것은 내게 많은 의미가 있었기 때문에 너무 긴장했다. 매우 특별한 장소(필하모니를 의미)에 있었는데, 콘서트가 아니라 경쟁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콘서트홀과는 분위기가 아주 달랐고 정말 잘하고 싶었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았던 것 같다.


Nie miałem strategii, po prostu starałem się tym cieszyć, to nie wyszło, starałem się grać, jakby to był koncert... Prawda jest taka, że nie możemy uszczęśliwić wszystkich, na przykład widowni albo jury. Dziewięćdziesiąt procent może być zadowolone z wykonania, ale jestem przekonany, że reszta... może ma innego ulubionego uczestnika konkursu. Dlatego nie próbowałem uszczęśliwiać członków jury. Po prostu starałem się zrozumieć muzykę Chopina: bardzo uważnie studiowałem nuty, pedalizację, frazowanie, artykulację, rozkład rubato, tempo... Każdy uważa co innego, ale ja po prostu studiowałem dokładnie nuty i starałem się przekazać Chopina, jego myśl, może pomysł czy inspirację widowni.


I had no strategy, I just tried to enjoy, but I failed. I tried to play like as a concert... You know, you cannot satisfy everyone, for example, audience or jury members. 90% might like your performance, but I'm sure the rest, maybe they have another their favorite competitor. So I didn't try to please the jury members. So what I did was, I just tried to understand the Chopin's music. I studied the score really carefully: pedaling, phrasing, sound, articulation, rubato, timing (tempo)... Everyone has a different opinion, but I just really studied the score carefully and tried to convey Chopin's, I mean, thought, maybe idea or inspiration to the audience.


나는 전략이 없었고, 즐기려고 노력했지만, 잘 풀리지 않았다. 콘서트인 것처럼 연주하려고 했는데... 진실은 예를 들어 청중이나 심사위원 같은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90%가 연주에 만족한다고 해도 나머지는... 어쩌면 그들이 좋아하는 참가자가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심사위원들을 기쁘게 만들려고 하지 않았다. 나는 쇼팽의 음악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실제로 악보를 매우 주의 깊게 공부했는데 페달링, 프레이징, 사운드, 아티큘레이션, 루바토, 템포... 모두가 다른 생각을 하지만(모든 사람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지만), 그저 실제로 악보를 꼼꼼히 공부하고 쇼팽의 생각, 아마도 아이디어나 영감을 청중에게 전달하려고 노력했다.


Chodziłem do akademii, instytutu, kiedy miałem sześć lat i w ogóle wtedy nie ćwiczyłem. Po prostu chodziłem tam raz w tygodniu i grałem, tyle. Ale polubiłem muzykę klasyczną, zwłaszcza fortepian, więc chciałem zostać profesjonalnym muzykiem i odkryłem, że muszę jakoś ćwiczynć. Więc kiedy miałem dziesięć lat, ćwiczyłem - może nie każdego dnia, ale godzinę czy dwie dziennie. Moi rodzice nie są muzykami, więc nie mieli pojęcia, jak wygląda ten świat. Nie widziałem, że ten świat jest taki pełny współzawodnictwa i że moi koledzy w tym czasie ćwiczyli pięć godzin dziennie. Wziąłem udział w jednym konkursie, kiedy miałem dziewięć czy dziesięć lat, i oczywiście nie mogłem wygrać, wszyscy grail scherzo Chopina w wieku dziesięciu lat, a ja grałem "sonatinę" Clementiego, więc ta przepaść była olbrzymia. Grałem muzykę Chopina od kiedy miałem dziesięć czy jedenaście lat. Pierwszym utworem Chopina, który grałem, był "Walc" op. 18. Nie wiedziałem wtedy zbyt dużo o muzyce klasycznej, ponieważ dopiero zaczynałem grę na fortepianie, ale muzyka Chopina była dla mnie wyjątkowa. Bardzo lubiłem grać Chopina jako dziecko. Ogólnie lubiłem grać repertuar romantyczny. Pierwszą płytą, którą kupiłem, były Ballady Chopina w wykonaniu Krystiana Zimermana. O ile pamiętam, wszedłem do sklepu płytowego w Korei, spytałem: „które nagranie Chopina jest najlepsze?” i pan szy pani polecili mi ten album. Przede wszyatkim byłem zafascynowany jego dźwiękiem. Jako dziesięciolatek nie mogłem wiele wiedzieć o interpretacji, ale dźwięk był wyjątkowy. Był zupełnie inny niż... mój. Od wtedy stałem się fanem Krystiana Zimermana i od wtedy chyba kolekcjonowałem płyty. Wciąż czasami gram Michelowi Béroffowi. On był dla mnie jak mentor. On sam był świetnym pianistą, wciąż zresztą jest, ma też ogromne doświadczenie jako koncertujący pianista. Zwłaszcza po Konkursie dał mi dobre rady dotyczące zarządzania planem koncertowym, co zrobić, czego nie zrobić, a jako nauczyciel nigdy do niczego mnie nie zmusił. Zawsze proponował jakieś pomysły, ale nigdy nie kazał mi zrobić nic w proponowany przez niego sposób. Jest przyjacielski. To bardzo miła osoba i wiele się od niego nauczyłem, nie tylko jako muzyk, ale też jako człowiek.


I went to some academy or institute when I was six years old and I didn't practice at all at the time. I just go there once a week and I just play there, that's all. I started [to] like the classical music, especially the piano, so I just wanted to become a professional musician and I realized that I have to practice somehow. So when I was 10, I think, I practiced not every day perhaps - but maybe one or two hours a day. My parents are not musicians, they had no idea about this world, so I didn't know that this world was so competitive and my, all my colleague at the time just practiced like five hours every day. So I participated in one competition when I was a child, maybe 9 or 10 years old and of course I didn't, I couldn't win, everyone played the Chopin's Scherzo when they were 10, but I played the Clementi's Sonatine, so the gap was huge. But I've been playing Chopin's music since when I was 10 or 11 years old. The first piece I played was Chopin Waltz, Op. 18. And, ummm, at that time I didn't know so much about classical music in general, because I just started playing the piano, but the Chopin's music was very special for me. I really enjoyed playing Chopin's music when I was a child. Especially I like to play the romantic period repertoire. The first CD I bought by myself was Krystian Zimerman's Chopin Ballades album. And I think I visited the one recording shop in Korea and I just asked, "Which one is the best Chopin's recording?" and he or she recommended this album. And first of all I was so fascinated by his sound. As a 10 years old, I couldn't say about the interpretation, but the sound was so special. It was totally different sound from... mine. So, yeah, since then I became a fan of Krystian Zimerman and since then I think I collected the CD. I still play for Michél. He was like a mentor. He was a great pianist by himself and he is still, and he has so much experience as a concert pianist. So especially after the competition, he gave me such a good advices like management or the concert schedule, what to do, what not to do, and as a teacher, he has never forced me to do something. He always suggested some ideas, but he never forced me to do something like his way. So, yeah, and he's so friendly. And he's so, such a nice person, so I learned so many things from him, also not only as a musician but as a human being.


나는 6세에 학원에 갔는데 전혀 연습하지 않았다. 일주일에 한 번 거기에 가서 치는 게 전부였다. 하지만 클래식 음악, 특히 피아노를 좋아해서 전문 음악가가 되고 싶었으며 어떻게든 연습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10세에는 연습했지만, 매일이 아니라 하루에 한두 시간 정도였다. 부모님은 음악가가 아니라서 이 세계가 어떤지 모르셨다. 나는 이 세계가 경쟁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과 그 당시의 또래 연주자들이 하루에 5시간씩 연습하는 것을 몰랐다. 나는 9세나 10세에 한 대회에 참가했는데 물론 입상하진 못했고 모두 10세에 쇼팽의 스케르초를 연주했지만 나는 클레멘티의 소나티네를 연주했기 때문에 격차가 컸다. 나는 10세나 11세부터 쇼팽의 음악을 연주해왔다. 내가 연주한 첫 곡은 쇼팽의 왈츠 1번이었다. 피아노를 막 시작해서 클래식 음악에 대해 잘 몰랐지만, 쇼팽의 음악은 내게 특별했다. 어렸을 때 쇼팽 연주를 정말 좋아했다. 특히(전반적으로) 낭만파 레퍼토리 연주를 좋아했다. 내가 구매한 첫 CD는 크리스티안 지메르만의 쇼팽 발라드 앨범이었다. 내가 기억하기로는 한국의 음반 가게에 들어가서 이렇게 질문했다. “어떤 쇼팽 음반이 가장 좋아요?” 점원은 이 앨범을 추천해줬다. 무엇보다도 그가 내는 소리에 매료되었다. 10세였을 때에는 해석에 대해 잘 몰랐지만, 소리가 예외적으로 특별했다. 나와는... 완전히 달랐다. 그때부터 나는 크리스티안 지메르만의 팬이 되었으며, 그 이후로 음반을 수집하고 있는 것 같다. 나는 아직도 때때로 미셸 베로프를 위해 연주한다. 그는 내게 멘토와도 같았다. 그 자신이 위대한 피아니스트였으며 여전히 콘서트 피아니스트로서 폭넓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특히 콩쿠르가 끝난 후에는 콘서트 일정 관리, 해야 할 일, 하지 말아야 할 일에 대해 좋은 조언을 해주셨으며, 선생님으로서 아무것도 강요하지 않으셨다. 그는 항상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했지만, 그가 제안한 방식으로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했다. (내게 뭔가를 제안하여 강요하지 않았다.) 그는 매우 친절하다. 아주 좋은 사람이며 그분으로부터 음악가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서 많은 것을 배웠다.


Mogę powiedzieć, że interpretacja zmienia się naturalnie. Na przykład grałem "Scherzo" nr 2 Chopina na Konkursie Chopinowskim i prawdopodobnie grałem je wtedy trochę inaczej, ale nigdy nie próbowałem grać go inaczej. Po prostu... czuję, jakbym grał tak samo, ale to brzmi inaczej. Trudno powiedzieć, dlaczego to się zmienia, ale w jakiś sposób to się ciągle dzieje. Moje prodejście do muzyki jest chyba takie samo. Może poczułem się trochę uwolniony po Konkursie, ale moje podejście do muzyki to wciąż dbanie o nuty, dbanie o to, co napisał kompozytor, frazowanie, i oczywiście na scenie, kiedy gram koncert, zapominam o wszystkim i staram się być sam dla siebie publicznością, i słuchać obiektywnie mojej muzyki, co jest bardzo trudne.


Well, I'll say the interpretation is changing just naturally. For example, I play this Chopin's scherzo No. 2 [at] the Chopin Competition and probably I play a little bit differently, but I've never tried to play differently. Um... I just... I feel like I'm playing the same, but it sounds different. So it's hard to say why is changing and um... but somehow is changing constantly. My approach to music, I think, is the same. Maybe I became more free than the competition, but my approach to music means I will still care about the score or care about what the composer wrote phrasing, and of course on the stage, when I play the concert, I forget everything and try to become an audience, and try to listen to my music very objectively, which is hard.


음, 해석이 자연스럽게 변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팽 콩쿠르에서 쇼팽의 스케르초 2번을 연주했는데, 그때는 조금 다르게 연주했겠지만, 다르게 연주하려고 한 적은 없었다. 음... 그저... 똑같이 연주하는 것 같지만, 소리가 다르다. 이것이 왜 변하는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음... 어떻게든 계속 일어나고(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음악에 대한 나의 접근 방식은 어쩌면 동일할 것이다. 콩쿠르가 끝나고 나서 좀 더 풀려나가는(보다 자유로워지는) 느낌이 들었을지도 모르지만, 음악에 대한 접근 방식은 여전히 악보나 작곡가가 쓴 프레이징에 대해 신경을 쓴다는 것을 의미하고, 물론 무대에서 콘서트를 가질 때 모든 것을 잊고 스스로가 청중이 되려고 노력하며, 내 음악을 매우 객관적으로 들으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어렵다.



Memo 2020

이 공연은 DG와의 독점 계약 때문에 유튜브로 중계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라디오로 중계된 지 이틀 지나서 알게 되었는데 스케르초 1번은 빠져 있다. 올해에는 조성진이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과 스케르초 전곡을 커플링해서 음반 내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었다는... 하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쇼팽 콩쿠르가 연기되었고, 쇼팽과 슈만의 탄생 210주년일 뿐만 아니라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기도 하다. 내년에는 리스트 탄생 210주년. 코로나19의 여파 때문인지 올해에는 음반 작업했다는 소식이 들리지 않았다. 2020년에도 해외에서는 음반이 계속 쏟아져 나오고 있었다.


폴란드어랑 영어 자막을 받아쓴 다음 외국 분한테 부탁해서 다듬은 거니까 번역본 도둑은 남이 정확도를 높이려고 애쓴 인터뷰 넘보지 말라고! 정 갖고 싶으면 개인적인 용도로 컴퓨터에 저장해놓고 보면 된다. 내가 어디서 보니깐 덕질하려면 외국어 공부도 해야 된다고 하던데... 이 사람은 포기 상태가 맞다. 번역기로 돌린 것을 조금이라도 다듬지 않은 흔적들이 포스팅 곳곳에 나타난다. 본인이 그렇게도 사랑하는 조성진에 대해서 알려면 남한테 빌붙지만 말고 본인이 갖고 싶은 평론가들의 리뷰를 번역할 때 (구글 번역기만 돌리지 말고) 외국어 사전에서 단어 및 숙어를 찾아보고 적절한 의미를 고르는 게 필요하다. 그게 만족이 안 되면 의역으로 가는 거고. 남한테 그런 쪽으로 빈대 붙는 인생이려니 생각해야지 별 수 없다. (불완전한 번역이라지만) 남이 지적으로 애쓴 것들을 부당하게 얻으려고 하지만 않았어도 나한테 음악 파일 달라고 굽신거릴 수 있었을 거다... 18회 쇼팽 콩쿠르가 끝날 때까지 내가 외국인 응원하는 게 불편한 사람을 한 명 걸렀다고 생각하는 편이 차라리 낫다.


인터뷰 날짜는 동영상을 보니 공연 다음 날인 10월 2일. 들으면서 또 다시 매너리즘에 빠졌다. 옛날에 많이 본 내용이라 지금은 의역이 다 될 정도. 조성진이 영어를 말하는 속도가 빠른 것도 아니고 발음을 알아듣지 못할 정도도 아니다. 여태까지 많이 들어봐서 그런지 내 귀에 익숙한 편이다. 먼저 폴란드어를 번역하고 나서 영어를 봤는데 어디에서 마침표를 써야 될지 모르면 폴란드어 문장이 어디에서 끊어졌는지 봤다. 외국 분이 보기 편하게 쉼표, 마침표, 세미콜론 부호를 배려한 다음 메일로 자막을 보내서 영어 문장을 최종적으로 다듬었다. 단락을 끊는 건 음악이 흐르면서 인터뷰가 잠시 멈추는 타이밍을 봤다. 조성진의 영어 인터뷰를 보면 자주 쓰는 단어가 딱 보이는데 and, but, so. 말을 계속 이어갈 때 튀어나오는 단어들. 사실 조성진이 하는 말을 받아 적을 때 문장 처음에는 그 단어들을 생략해도 될 때가 있다. 그것 말고도 조성진이 구사하는 영어가 다소 문법에 맞지 않는 것도 있어서 고생해가면서 폴란드어를 받아 적었다. 영어만 보고 번역해도 되는데 음반 속지를 번역하던 경험을 적용해서 정확성을 높이고 싶은 욕심도 있었고. 폴란드어에 이어 영어를 받아쓰면서 두 번 다 속으로 조금씩 번역했는데 폴란드어까지 동원해야 한다는 생각이 옳았다는 느낌이 왔다. 폴란드어는 문장에 특수 부호가 있는 단어가 흔해서 영타를 외운다고 해도 정확하게 적으려면 프랑스어나 독일어보다도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말투는 일기장 비슷하게 번역했다. 푸하하! 정작 영어는 번역기로 별로 안 돌렸다. 그래도 외국 분한테 자막 수정본을 받고 나서 다시 번역기로 돌려봐서 다듬었다.


번역본 도둑이 내 포스팅을 보든지 말든지 외국어 번역 강좌를 조금씩 했다. 외국어에 약한 사람들을 아주 조금은 생각해야 할 것 같아서. 아무튼 조성진에 대한 간절함을 알고 나서 배려해줬더니 결국 나한테 배신으로 돌아왔다. 한 치 앞도 모르는 게 사람이다, 사람 일은 어떻게 될 지 알 수 없다, 이런 말들이 있는데 본인도 안티맨처럼 뭘 좀 달라고 말할 염치가 없게 될 줄은 몰랐겠지... 내가 그런 굽신거림을 여러 번 당해줬는데 이 사람한테는 그럴 일이 없어졌다. 외국 커뮤니티처럼 서로에게 필요한 보석(음원)을 교류하는 관계라면 나한테 미운 털이 박히더라도 쉽사리 이웃을 못 끊는다. 하지만 그 사람은 나한테 베푼 것이 하나도 없었다. 내 바람은 조성진 음원은 될 수 있으면 해당 팬들한테 떨어지는 것. 그런데 그 필요한 떡이 어쩔 땐 나한테 생겨가지고... 히히히~ 내가 깨달은 건 때로는 누구한테 그게 떨어지는가가 중요하다. 저만 알고 싶은 사람한테 생기면 묻히는 거고 그래도 나눌 줄 아는 사람한테 생기면 유튜브에서라도 빛을 보는 거고. 이 사람은 내가 조성진 정리를 관두고 외국인 팬질로 향하는 게 서운했나보다. 그 사람한테는 이해가 되지 않겠지만 정말로 내가 생각하는 좋은 정보로 나아가는 것이 맞다. 그게 바로 내가 좋아하는 해외 연주자들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다. 그러니깐 그런 정보를 향해서 꽃길 걷는 사람의 발목을 잡지 말라고! 그 좋은 정보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다.


지메르만은 내 구글 드라이브에서 인기 만점! 지메르만 달라는 굽신거림을 한 4번은 당한 듯. 지나간 음원들 중에서 꼭 구해야겠다는 사람이 지메르만. 조성진이 수집해왔다는 지메르만의 음반들을 내가 거의 다 가진 것 같다. 내가 이런 식으로 도와준다는 게 번역본 도둑한테는 만족이 안 되는 모양인데 조성진만 맨날 판다고 떡이 나오는 게 아니다. 조성진이 좋아하거나 조성진과 관련된 연주자들 쪽으로 도움을 주겠다는 게 성에 안 차면 할 수 없지...


즐겁게 외국인 팬질하다가 네이버 블로그를 그만 두게 내버려둘 것이지 내가 올해 말까지 조성진 리뷰/인터뷰를 번역해줄 거라는 바람(믿음)이 작년부터 완전히 틀어지니까 그게 못내 아쉬웠던 모양. 그 사람의 입장에선 그런 쪽으로 믿을 구석이라곤 나뿐이었고 내가 순순히 들어줄 줄 알았나봐... 나한테 정말 중요하지 않은(쓸데없는) 거라고 해도 리뷰 사랑을 평생 존중해줄 테니 그것 한 가지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 인터뷰는 내 유튜브 채널에 있는 커뮤니티에도 공유했다. 다른 유튜버들을 보면 커뮤니티는 주로 간단한 공지로 활용하는 정도인데 나는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동영상의 자막을 번역해서 올려주는 기능으로 쓴다. 그게 너무 길면 때로는 글이 늦게 올라간다. 전에 그랬다가 멈춰서 순간 글자 수 초과했다고 뜨는 줄 알았다. 커뮤니티에는 외국인 팬질이 들어가는데 갑자기 즉흥적인 결정으로다가 조성진이 거기에 꼈다. 크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보는 아닌데 전문 연주자들의 쇼팽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들여다보는 차원에서. 마침 커뮤니티에 쇼팽에 대한 정보를 이어나가고 있었던 참이었다.


커뮤니티에 올리기도 전에 동영상 링크를 찾아보니 댓글로 번역본이 있었다. 전에 번역본을 퍼가려다가 내가 알아서 자막을 받아쓴 다음에 외국 분한테 부탁한 적이 있었는데 그 내용을 그대로 믿었으면 작곡가 이름이 틀릴 뻔했다. 난 내 번역이 불완전해도 다른 데에 나오지 않는 뭔가를 새롭게 안다는 것이 좋아서 그런지 여기저기 한글로 좋은 정보가 널렸음에도 별로 안 찾아보고 오히려 외국어로 된 정보들을 취하려 든다. 물론 제대로 된 번역이 있으면 당연히 그걸로 취하는 편이다. 그걸 보면서 어떻게 번역했는지 공부도 해보고. 이런 식으로라도 해봐야 외국어가 는다.


한편 스케르초 1번은 중계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뭔가 낌새를 느꼈는데 조성진의 새로운 레퍼토리에 대해서는 DG 측에서 바로 공개하는 걸 꺼려하는 눈치가 보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Google Drive / 2024. 04. Concours International de Piano “Adilia Alieva”

프랑스의 아딜리아 알리예바 국제피아노콩쿠르는 아제르바이잔 피아니스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대회이다. 2014년까지 가야르에서 열리다가 2016년부터 안마스에서 열린다. 제3회 2002 Gaillard 비르투오시티 특별상 Ekaterina Avde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