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2년 7월 29일 금요일

The Language of the New Music - Arnold Schönberg & Ludwig Wittgenstein 1985


https://www.youtube.com/watch?v=DRI_ZSh6iF4

https://search.alexanderstreet.com/preview/work/bibliographic_entity%7Cvideo_work%7C2370545


새로운 음악의 언어 - 아르놀트 쇤베르크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At the close of the 19th century, Vienna presented to the world a picture of ordered elegance and dignified gaiety, but beneath the surface the corruption and hollowness of the late Hapsburg Empire produced widespread and deep-seated confusion and so set the stage for some of the profoundest meditations on the nature of human experience that this century has yet produced. This was the scene of the intellectual and artistic struggles of many of the seminal minds of the 20th century; among them, the writers Karl Kraus and Robert Musil, the poet Georg Trakl, the architects Otto Wagner and Adolf Loos, the painters Gustav Klimt, Egon Schiele and Oscar Kokoshka, the psychoanalyst Sigmund Freud, the musicians Gustav Mahler and Arnold Schönberg, and the philosopher Ludwig Wittgenstein.


19세기 말에 비엔나는 질서정연한 우아함과 위엄 있는 화려함의 그림을 세상에 선보였으나 표면 아래에는 후기 합스부르크 제국의 부패와 공허함이 만연하고 뿌리 깊은 혼란을 일으켰으며, 금세기가 이제까지 만들어낸 인간 경험의 본성에 대한 심오한 명상을 위한 무대를 마련했는데요. 이곳은 20세기 많은 선구자의 지적, 예술적 투쟁의 현장이었죠. 그들 중에는 작가 카를 크라우스와 로베르트 무질, 시인 게오르크 트라클, 건축가 오토 바그너와 아돌프 로스,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에곤 쉴레, 오스카르 코코슈카,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 음악가 구스타프 말러, 아르놀트 쇤베르크,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있었습니다.


[Music]


This is a film about the work of two of these men whose lives and ideas run parallel in the development of Viennese radicalism, and in a most striking way: Ludwig Wittgenstein and Arnold Schönberg.


이것은 비엔나 급진주의의 발전과 평행을 이루는 삶과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두 남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작품에 관한 필름입니다.


The Language of the New Music with Vladimir Ashkenazy and the Allegri String Quartet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및 알레그리 스트링 콰르텟과 함께하는 새로운 음악의 언어


[Music]


I said once, perhaps rightly, the earlier culture will become a heap of rubble and finally a heap of ashes, but spirits will hover over the ashes. - Ludwig Wittgenstein


이전의 문화는 폐허로, 마침내는 잿더미가 되겠지만, 그 정신들은 그 재 위에서 떠돌 것이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Music]


Both men emerged from the turmoil of the Habsburg Empire in its closing days with the idea of analyzing language and purging it with critical intent, believing that in the analysis and purification of language lies the greatest hope that we have. They never met and might never have fully understood one another, because by the nature of their genius they found themselves alone breaking new ground of the very frontiers of their respective disciplines. But their work springs from the same soil and shares a common ethical purpose, so that their ideas and methods echo and illuminate those of each other to a remarkable degree.


두 사람은 언어를 분석하고 비판적인 의도로 언어를 정화한다는 아이디어로 말기의 합스부르크 제국의 혼란에서 벗어났는데, 언어의 분석과 정화에 우리가 가진 가장 큰 희망이 있다고 믿는 것이죠. 그들은 만난 적이 없으며 서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을 수도 있어요. 그들의 천재성은 그들이 각자의 분야의 최전선에서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고 있음을 스스로 발견했기 때문이죠. 그러나 그들의 작품은 같은 토양에서 시작되고 공통의 윤리적 목적을 공유하므로 그들의 아이디어와 방법이 서로의 아이디어와 방법을 현저하게 반영하고 조명합니다.


[Music]


Around the turn of the century, a sense of impending disaster and a growing awareness of the ideological and moral confusions of the time, produced in the work of all of the Viennese modernists a common quest for a new honesty and authenticity of communication and a vital concern with language as the vehicle of human expression.


세기가 바뀔 무렵, 임박한 재난에 대한 감각과 당시의 사상적, 도덕적 혼란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모든 비엔나 모더니스트의 작품에서 의사소통의 새로운 정직성과 진정성에 관한 공통의 탐구, 인간 표현의 수단으로서의 언어에 대한 중요한 관심이 생겨났습니다.


[Music]


The limits of my language are the limits of my world. - Ludwig Wittgenstein


언어의 한계는 세계의 한계이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Music]


And so the nature of language in life and in art became the prime concern of a whole generation of critical artists and thinkers in the movement that became known as Viennese modernism. The progress of the movement is clearly reflected in the changing face of contemporary Vienna, in particular in the buildings of Adolph Loos, which broke so dramatically with the past and caused such major social uproar.


그래서 삶과 예술에서 언어의 본질은 비엔나 모더니즘으로 알려지게 된 운동에서 비판적 예술가와 사상가의 전체 세대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운동의 진보는 현대 비엔나의 변화하는 얼굴, 특히 과거와 극적으로 단절되고 큰 사회적 소란을 일으킨 아돌프 로스의 건물에 명확하게 반영됩니다.


Motto: “Ein Scheusal von einam Haus” (aus einer Wiener Gemeinderatssitzung) im Sophiensaal Montag, den 11 Dezember 1911 um halb 8 uhr Abends vortrag des Architekten Adolf Loos Mein⦁Haus⦁Am Michaelerplatz mit Skioptikonbildern Karten bei Kehlendorfer, I, Krugerstr, 3 zu K 4,3, 2, 1 -.50


표어 : 1911년 12월 11일 월요일 8시 30분 건축가 아돌프 로스의 저녁 강의 <집안의 야수> (비엔나 시의회 회의에서)


A Monster of a House


집안의 야수


The central ring in Vienna had long reflected in its architectural style the attitudes of Viennese culture. So much so, that by the turn of the century opposition to Ringstraßenstil as it was known, had made architecture the focal point of an entire critical movement. In the words of Hermann Broch, director of the Burgtheater, “Just walk across the ring and you will have the impression of being in the midst of a cheap carnival. Everything masked, everything disguised. But life has become too serious for that sort of thing. A building should not conceal its intended purpose but serve and express that purpose clearly. To disguise it behind borrowed forms seems to us both silly and ugly. In earlier times people used to require that a building should looked like something. We demand that it should be something.”


비엔나의 중앙 고리는 비엔나 문화의 태도를 건축 스타일에 오랫동안 반영되었는데요. 세기가 바뀌면서 링슈트라세(비엔나 중심부에 있는 순환 도로) 스타일로 알려진 반대파가 건축을 전체 비판 운동의 초점으로 만들었죠. 부르크 극장의 감독인 헤르만 브로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고리를 가로질러 걸으면 싸구려 사육제 한가운데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다. 모든 것이 가면을 쓰고, 모든 것을 위장한다. 그러나 인생은 그런 종류의 일에 너무 심각해졌다. 건물은 의도된 목적을 숨기지 않고 그 목적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표현해야 한다. 빌린 형식 뒤에 숨기는 것은 어리석고 추한 것 같다. 예전에 사람들은 건물이 무언가와 같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우리는 그것이 무언가가 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Music]


The work of the architect and town planner Otto Wagner, who designed this building for the Austrian Postal Savings Bank shortly after the turn of the century, soon came to be seen as the antithesis of ring of Ringstraßenstil and established him as one of the fathers of modern architecture. And he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work of Adolf Loos.


세기가 바뀐 직후 오스트리아 우체국저축은행을 위해 이 건물을 설계한 건축가이자 도시 계획가인 오토 바그너의 작품은 곧 링슈트라세 스타일의 고리와 대조되는 것으로 여겨져서 그를 현대 건축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확립했죠. 그리고 그는 아돌프 로스의 작품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Music]


In painting, the compelling need for change expressed itself even more dramatically as a movement of protest. The work of Gustav Klimt and the painters of the secession is deliberately and unmistakably a protest against the pervading spirit of historicism. The Secession Building where they exhibited boldly states the aims of the movement. To the age its own art, and to art its freedom. The paintings of Gustav Klimt demonstrate an energetic search for a new language and a new message in art leading towards the exploration of psychic states and away from representation. This heralded a fundamental change in the function of art, a new concern with instinctual life, the wish to penetrate the façade in search of the psyche, a movement that was to become increasing radical in the paintings of Egon Schiele and Oskar Kokoschka, and was to manifest itself with such startling force in both painting and the music of Arnold Schönberg between 1908 and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회화에서 변화에 대한 강력한 요구는 항의의 움직임으로 훨씬 더 극적으로 표현되었습니다. 구스타프 클림트와 분리파(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세기말인 1890년대 이후 유행한 미술 사조) 화가들의 작품은 만연한 역사주의 정신에 대한 고의적이고 틀림없는 항의입니다. 빈 분리파 전시관은 전시 여부와 상관없이 운동의 목적을 과감하게 나타냅니다. 시대에 따라 자신의 예술이 되고, 예술에 자유가 있게 됩니다. 구스타프 클림트의 그림들은 심령 상태를 탐구하고 재현에서 벗어나도록 이끄는 예술의 새로운 언어와 메시지에 대한 열정적인 탐색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예술 기능의 근본적인 변화, 본능적 삶에 대한 새로운 관심, 정신을 찾아 정면을 관통하려는 욕망, 에곤 쉴레와 오스카르 코코쉬카의 그림에서 점점 더 급진적으로 될 운동을 예고했으며, 1908년과 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사이에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그림과 음악 모두에서 놀라운 힘 그 자체로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Music]


In his music, Schönberg set himself a task that echoed the spirit of the whole of Viennese modernism: to purify music of ornamentation and the inherited meaning of tonality and to create a new music in which the absolute logic of composition would become pure expression. For Schönberg, as for so many of the Viennese artists, cultural crisis made the purification of language a cultural and artistic necessity. In this way, the critique of language lies at the very heart of Viennese modernism. And these concerns with the logic and the limits of language were to find their supreme philosophical expression in the work of Ludwig Wittgenstein.


쇤베르크는 그의 음악에서 비엔나 모더니즘 전체의 정신을 반영하는 과제를 수행했는데요. 장식의 음악과 계승된 음조의 의미를 정화하고, 작곡의 절대 논리가 순수한 표현이 되는 새로운 음악을 창조했죠. 많은 비엔나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쇤베르크에게도 문화적 위기는 언어의 정화를 문화적이면서도 예술적인 필요로 만들었는데요. 이처럼 언어에 대한 비판은 비엔나 모더니즘의 핵심입니다. 그리고 논리 및 언어의 한계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작품에서 최고의 철학적 표현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Music]


He was born in 1889 into a Viennese family of Jewish extraction and one of the wealthiest families in Austria. His father, Karl Wittgenstein, had built up the Austrian steel industry with exceptional success and patronized the arts in a grand manner, but with a very rare degree of commitment and intelligence. He was on intimate terms with most of the leading artists and intellectuals of his time, including Joseph Joachim and Johannes Brahms, and he contributed massively to the Viennese Secession in its earliest revolutionary years. He even paid for the building itself. In time, however, his son Ludwig was to give his entire fortune away. Part of it to the leading painters and poets of the day and in such absolute anonymity that they themselves never knew that Ludwig Wittgenstein was their benefactor; among them, Trakl and Rilke, Schiele, and Kokoschka. A man of astounding asceticism, he built himself the remotest retreat conceivable. High on an isolated rock face at the end of Snorre Field in Norway. A hut, accessible only by rowing boat and an arduous climb. Here he would remain alone for weeks at a time, struggling with the ideas that were later to appear in his astonishing philosophical work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그는 1889년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부유한 가정 중 하나인 비엔나 출신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 카를 비트겐슈타인은 오스트리아 철강 산업을 독점하여 막대한 부를 쌓았으며 예술을 웅장하게, 그러나 매우 드물 정도의 헌신과 지성으로 후원했죠. 그는 요제프 요아힘, 요하네스 브람스 등 당대의 주요 예술가 및 지식인 대부분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혁명 초기에는 빈 분리파에 막대한 공헌도 했죠. 심지어는 건물 자체에 대한 비용도 지불했고요.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아들 루트비히는 전 재산을 포기해야 했는데요. 그 일부는 당대의 주요 화가와 시인에게 절대적으로 익명으로 제공되어 그들 자신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그들의 후원자라는 사실을 결코 알지 못했으며, 그들 중에는 게오르크 트라클, 라이너 마리아 릴케, 에곤 쉴레, 오스카르 코코슈카가 있었죠. 놀라운 금욕주의를 지닌 그는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먼 은신처를 스스로 지었는데요. 노르웨이 스노레 들판 끝의 외딴 바위 면에 높이 솟아 있고요. 노 젓는 배와 험난한 등반으로만 갈 수 있는 오두막이죠. 여기서 그는 몇 주 동안 혼자 남아 나중에 그의 놀라운 철학서인 <논리-철학 논고>에 등장할 아이디어들과 씨름했습니다.


[Music]


When he finally came to write the work, he did so under even stranger circumstances. It was written under fire in the tranches on the eastern front during the First World War.


마침내 작품을 쓰게 되었을 때 그는 훨씬 더 낯선 상황에서도 그렇게 했는데요. 1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전선 일부분에 불을 지르면서 썼죠.


[Music]


He set out to define the limits of the intelligible, not by discussive or sequential argument but by a series of propositions designed to map precisely the limits of linguistic expression. He sought a way in which to see the world aright, as if from a point in eternity. And the work is a dream of total clarity in which all philosophical problems are dissolved.


그는 토론이나 연속적인 논증이 아니라 언어 표현의 한계를 정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명제에 의해 지성의 한계를 정의하기 시작했는데요. 마치 영원의 한 지점에서 온 것처럼 세상을 올바르게 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죠. 그리고 그 작품은 모든 철학적 문제가 해결되는 완전한 명확성의 꿈입니다.


[Music]


Philosophy must set limits to what can be thought; and in so doing, to what cannot be thought. It will signify what cannot be said, by presenting clearly what can be said. - Ludwig Wittgenstein


철학은 생각할 수 있는 것에 한계를 긋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생각할 수 없는 것의 한계를 긋는다. 말할 수 있는 것을 명백히 나타냄으로써 말할 수 없는 것을 알려주게 된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Music]


In November 1918, he was taken prisoner with the manuscript of the Tractatus in his pocket. It had accompanied him throughout the war. And in March of the following year, he wrote to Bertrand Russell with whom he had worked in Cambridge from a prisoner of war camp at Monte Cassino in Italy. “I have written a book containing all my work of the last six years. I believe that I have solved all our problems finally. This may sound arrogant but I can’t help believing it. I finished the book in August 1918, and two months after that was made prisoner. I wish I could send it to you but you would not understand it without a previous explanation, as it is written in quite short remarks. This, of course, means that nobody will understand it, although I believe it is as clear as crystal. But it upsets all our theories of truth, of classes, of numbers, and all the rest. I can hardly imagine seeing you again. It will be too much. I suppose that it will be impossible for you to come and see me here or perhaps you think it’s a colossal cheat for me to even to think of such a thing. But if you were on the other end of the world and I could come to you, I would do it. Think of me often. Ever yours, Ludwig Wittgenstein.


1918년 11월, 그는 주머니에 있는 <논리-철학 논고>의 원고와 함께 포로로 잡혔는데요. 전쟁 내내 억류되었죠. 그리고 이듬해 3월에는 이탈리아 몬테 카시노에 있는 포로수용소에서 케임브리지 동료 버트런드 러셀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나는 지난 6년간 내가 작업한 모든 것을 담고 있는 ‘논리-철학 논고’라 불리는 책을 썼습니다. 나는 마침내 우리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했다고 믿습니다. 어쩌면 건방지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나는 그렇게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1918년에 나는 이 책을 완성했습니다. 나는 그 책을 1918년 8월에 완성하고 그로부터 두 달 후 포로가 되었습니다. 보내드리고 싶지만, 이 책은 상당히 짧은 문장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먼저 듣지 않고서는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수정처럼 분명하다고 생각하지만, 아무도 그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계급, 수, 그리고 그 외의 모든 진리에 대한 우리의 모든 이론을 뒤엎습니다. 나는 당신을 다시 보는 것을 거의 상상할 수 없습니다. 너무 많을 것입니다. 당신이 여기 와서 나를 보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거나 그런 생각을 하는 것조차 나에게 엄청난 속임수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세상의 반대편에 있고 내가 당신에게 갈 수 있다면 나는 그렇게 할 것입니다. 저를 자주 생각해주세요. 당신의 벗,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Music]


In its form, the Tractatus is unlike that of any other work in Western philosophy. The writing is oracular and extremely dense. It is presented as a series of 7 propositions with numbered subdivisions and the extraordinary combination of brevity and breadth of scope has made the Tractatus at once the most difficult, the most misunderstood and perhaps the most influential philosophical work of the 20th century. Wittgenstein had attempted to define the limits of the sayable in the conviction that everything that can be said, can be said clearly. He was concerned to dispel the belief that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life could be captured in language.


형식 면에서 <논리-철학 논고>는 서양 철학의 다른 어떤 작품과도 다릅니다. 글은 신랄하고 극도로 조밀한 글이죠. 그것은 번호가 매겨진 일련의 7개 명제로 제시되며 범위의 간결함과 폭의 놀라운 조합은 <논리-철학 논고>를 20세기의 가장 어렵고 가장 오해를 많이 받고 어쩌면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 작품으로 만들었는데요. 비트겐슈타인은 말해질 수 있는 것은 모두 명료하게 말해질 수 있다는 확신 속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의 한계를 정의하려고 시도했죠. 그는 삶의 의미에 대한 질문이 언어로 포착될 수 있다는 믿음을 불식시키는 데 관심을 가졌습니다.


[Music]


If only one does not try to utter the unutterable, then nothing will be lost. - Ludwig Wittgenstein


만일 당신이 말해질 수 없는 것을 말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잃지 않는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Music]


Language he said, could only depict states of affairs in the world. It could not express ultimate meaning, for that lies outside the facts and so, outside the world. He had proposed the idea that the limits of our language define the limits of our world, but that the meaning of the world or of life lies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and therefore is expressible in words. This was the realm which Wittgenstein called the mystical and the Tractatus ends with the demanding proposition that in the face of the inexpressible we should remain silent.


그가 말한 언어는 세상의 상황을 묘사할 수 있을 뿐입니다. 궁극적 의미를 표현할 수 없었죠. 사실 밖에 있고 따라서 세상 밖에 있으니까요. 그는 우리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를 규정하지만, 세계 또는 삶의 의미는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서 말로 표현할 수 있다는 생각을 제안했죠. 이것은 비트겐슈타인이 신비하다고 불렀던 영역이었으며, <논리-철학 논고>는 표현할 수 없는 것에 직면하여 우리는 침묵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명제로 끝납니다.


[Music]


Whereof one cannot speak, one must be silent. - Ludwig Wittgenstein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Music]


While fighting in a war that was to end a long phase of European culture, Wittgenstein had written a work which absconded from history and sought life in eternity, not in time. The book appears to deal solely with symbolic logic and the nature of the linguistic proposition, and was understood by Bertrand Russell in just that way. But its fundamental concern is with ethics and aesthetics, as Wittgenstein himself pointed out when trying to get the work published.


유럽 문화의 긴 국면을 끝내기 위한 전쟁에서 싸우는 동안 비트겐슈타인은 역사에서 도피하고 시간이 아닌 영원 속에서 삶을 추구하는 작품을 썼는데요. 이 책은 오로지 상징적 논리와 언어적 명제의 본질만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버트런드 러셀도 그렇게 이해했죠. 그러나 비트겐슈타인 자신이 작품을 출판하려고 할 때 지적했듯이 그것의 근본적인 관심은 윤리와 미학에 있습니다.


[Music]


The point of the book is an ethical one. - Ludwig Wittgenstein


이 책의 요점은 윤리적인 것이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It does not deal expressly with ethical questions, however, because for Wittgenstein at this period there can be no sentences about ethics. Ethics and aesthetics, just as the meaning of the world and of art, are beyond the reach of language. Art, on the other hand, is a way of capturing the world and revealing something of its meaning. In this way art can force us to a right perspective.


그러나 이 시기의 비트겐슈타인에게는 윤리에 관한 문장이 있을 수 없으므로 윤리적 문제를 명시적으로 다루지는 않는데요. 윤리와 미학은 세계와 예술의 의미와 마찬가지로 언어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반면에 예술은 세계를 포착하여 그 의미를 드러내는 방법이죠. 이런 식으로 예술은 우리를 올바른 관점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In accord with the whole thrust of the Viennese modernist movement, Wittgenstein believed that the artwork should not depict anything or be an expression of subjective intention. What the artwork should do is to exhibit a meaning that is not expressible in words. And he shared with Arnold Schönberg the conviction that art should not be decoration or entertainment but the profoundest form of knowledge that we have.


비엔나 모더니즘 운동의 전체적인 흐름에 따라 비트겐슈타인은 예술 작품이 어떤 것도 묘사하거나 주관적인 의도의 표현이어서는 안 된다고 믿었습니다. 예술 작품이 해야 할 일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의미를 보여주는 것이었죠. 그리고 그는 예술이란 장식이나 오락이 아니라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가장 심오한 형태의 지식이어야 한다는 신념을 아르놀트 쇤베르크와 공유했습니다.


[Music]


Music is not merely another kind of amusement, but a musical thinker’s representation of musical ideas; and these ideas must correspond to the laws of human logic. - Arnold Schönberg


음악은 단순히 또 다른 류의 오락이 아니라 음악 사상가가 음악적 생각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인간 논리의 법칙과 일치해야 한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Music]


The parallels between Schönberg’s thinking and the ideas expressed in the Tractatus are both striking and illuminating. Just as Wittgenstein sought the logic inherent in ordinary language, so Schönberg sought the essence of music in the logic of composition. Both men are radical innovators in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language; seeking a meaning in art, beyond subjective intention generated by the language of the artwork itself. From this, Schönberg created a new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its language which brought about a fundamental change in the function of musical expression. His achievements are prodigious. He was largely self taught, which in music is unusual enough on its own. But very soon the rigorous logic of his thinking and his extraordinary understanding of compositional procedures which will make him the most influential musician and teacher of the 20th century; the autodidact who became the most inspired pedagogue of his time.


쇤베르크의 생각과 책자에 표현된 아이디어 사이의 유사점은 놀랍고도 분명합니다. 비트겐슈타인이 일상 언어에 내재한 논리를 추구했듯이 쇤베르크는 작곡 논리에서 음악의 본질을 추구했죠. 두 사람 모두 언어의 이해와 사용에 있어 급진적인 혁신가입니다. 예술 작품 자체의 언어가 만들어내는 주관적인 의도를 넘어 예술에서 의미를 찾는 것이죠. 이를 바탕으로 쇤베르크는 예술과 그 언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음악적 표현의 기능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는데요. 그의 업적은 대단합니다. 그는 음악에서 그 자체로 충분히 이례적인 것을 대부분 독학으로 익혔거든요. 그러나 곧 그의 엄격한 사고 논리와 작곡 체계에 대한 비범한 이해는 그를 20세기의 영향력 있는 음악가이자 교사로 만들었는데요. 당대 가장 탁월한 교육자가 된 독학자였죠.


[Music]


He was born on the 13th of September, 1874 to parents of no particular musical interests or talent who ran a small shoe shop in Vienna. But he began nevertheless to learn the violin at the age of 8 and to listen intently to violin duets and to military bands in the public gardens.


그는 1874년 9월 13일 비엔나에서 작은 신발 가게를 운영하던, 특별한 음악적 관심이나 재능이 없는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러나 그는 8세에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하여 공공농원에서 바이올린 듀오와 군악대의 연주를 열심히 듣기 시작했죠.


[Music]


Soon he began to imitate them in compositions of his own. And by his early 20s, he was writing chamber music with a strong contrapuntal character and an advanced and daring use of chromatic harmony, most notably his sextet “Transfigured Night” which he wrote in 1899.


곧 그는 자신의 작품에서 그것들을 모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대 초반까지 강한 대위법적 성격과 진보된 대담한 반음계 화성의 사용으로 실내악을 작곡했는데, 특히 1899년에 쓴 그의 6중주 <정화된 밤>이 대표적입니다.


[Music]


But after the turn of the century, Schönberg moved steadily away from the romantic aesthetic in a search for a new authenticity in music which would dispense with decoration and conventional rhetoric in an absolute unity of sound and expression. Here Schönberg and Wittgenstein echo each other to a remarkable degree, each of them trusting in the revelations of language. In the Tractatus, Wittgenstein had written, “What expresses itself in language we cannot express by means of language.”


그러나 세기가 바뀐 후 쇤베르크는 소리와 표현의 절대적인 단일성에서 장식과 관습적인 수사학을 생략할 음악의 새로운 진정성을 찾기 위해 낭만적인 미학에서 서서히 멀어졌습니다. 여기서 쇤베르크와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계시를 신뢰하며 놀라운 정도로 서로 공명합니다. <논리-철학 논고>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다음과 같이 썼죠. “언어에서 표현되는 것을 우리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다.”


[Music]


How words are understood is not told by words alone. - Arnold Schönberg


언어가 어떻게 이해되는가는 언어로만 말해지는 것이 아니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This captures precisely the aesthetic program of the music that Arnold Schönberg was writing in 1909. It has come to be known as his atonal music although he himself disliked the term and showed quite clearly that it could never serve as an adequate description of what he was doing. The new music is, like the Tractatus, a dream of absolute communication. A music in which passions are no longer simulated or represented but genuine expressions of the unconscious. In the words of the painter Wassily Kandinsky, “A new realm in which musical experience is a matter not of sound but of the soul alone. From this point,” says Kandinsky, “begins the music of the future.”


이것은 아르놀트 쇤베르크가 1909년에 작곡한 음악의 미학적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포착합니다. 비록 그 자신이 그 용어를 싫어했고 그것이 그가 하고 있었던 것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아주 분명히 보여주었지만, 그것은 그의 무조성 음악으로 알려지게 되었죠. 새로운 음악은 <논리-철학 논고>처럼 절대적인 의사소통의 꿈입니다. 열정이 더 이상 거짓으로 꾸며지거나 표현되지 않고 무의식의 진정한 표현인 음악이었죠. 화가 바실리 칸딘스키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음악적 경험은 소리가 아니라 영혼의 문제인 새로운 영역입니다. 이 시점에서 미래의 음악이 시작됩니다.”


[Vladimir Ashkenazy: Schönberg Piano Piece, Op. 11 No. 3 (1909)]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 쇤베르크 피아노 소품 작품 11-3]


I am conscious of having broken through all the fetters of a bygone aesthetic. - Arnold Schönberg


나는 과거의 미학의 모든 족쇄를 깨뜨렸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The third of the Opus 11 Piano Pieces was completed on the 7th of August 1909, a significant date in the history of music. This was the first instrumental composition to dispense entirely with the total means of organization. And in abandoning the use of the tonal center, Schönberg had dissolved the structures from which Western music had derived much of its sense of shape and order for 400 years. However, he said again and again, that he had not gone willingly or easily into the unknown. He had felt himself under the command of higher powers in a natural historical process. By freeing himself from the key system and convention of resolving dissonance, he felt that he had taken the next logical step in a long progression of harmonic developments, a process that been accelerated in the music of Wagner, Debussy, Richard Strauss, Mussorgsky and Mahler, until finally Schönberg himself set the seal on what he called the ‘emancipation of dissonance’ and so, brought to an end an epoch in European music. In a brief and extraordinarily productive period marking the highest point in musical expressionism and his own creativity, Schönberg produced a series of masterpieces which signal the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피아노 소품 작품 11-3은 음악사에서 중요한 날짜인 1909년 8월 7일에 완성되었습니다. 이 곡은 구성의 총체적 수단을 완전히 배제한 최초의 기악 작품이었죠. 그리고 조성 중심의 사용을 포기함으로써 쇤베르크는 400년 동안 서양 음악이 형태 감각과 질서에 대한 많은 부분을 끌어낸 구조를 해체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미지의 세계로 가거나 쉽사리 가보지 않았다고 거듭 말했죠. 그는 자연적인 역사적 과정에서 자신이 더 높은 권력의 지휘 아래 있다고 느꼈습니다. 불협화음을 해결하는 핵심 체계와 관습에서 벗어난 그는 바그너, 드뷔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무소르그스키, 말러의 음악에서 가속화된 과정인 화성 전개의 긴 진행에서 다음 논리적 단계를 밟았다고 느꼈는데요. 마침내 쇤베르크는 자신이 ‘불협화음의 해방’이라고 부른 것을 완성하였으며, 그리하여 유럽 음악의 한 시대를 종식했습니다. 음악적 표현주의와 자신의 창의성의 정점을 찍은 짧고도 특별한 창작 기간에 쇤베르크는 서양 음악사의 전환점을 알리는 일련의 걸작들을 만들었죠.


[Music]


But the expressions to dream were soon to fade. In the desolation of war torn Europe, the heroic attempt at a new beginning seemed to Schönberg to lose much of its relevance. The order which he had so effectively challenged had suddenly been swept away forever, and the preoccupations with self and the direct expressions of the subconscious began to give way to a search for something of a higher order. In a letter to Kandinsky, he later recalled the beginnings of this new quest. “I expect you know that we have had our trials here too. Famine, it was appalling. But perhaps the worst was the overturning of everything that one has believed in. That was probably the most grievous thing of all. For a man to whom ideas have always been everything this means nothing less than the total collapse of things unless he has come to find support in a belief in something higher, something beyond.”


그러나 꿈꾸는 표정은 곧 시들기 시작했는데요. 전쟁으로 황폐해진 유럽에서 새로운 시작을 향한 영웅적인 시도는 쇤베르크에게 그 의미를 상실한 것처럼 보였죠. 그가 그토록 효과적으로 도전했던 질서는 갑자기 영원히 휩쓸려 버렸고, 자아에 대한 집착과 잠재의식의 직접적인 표현은 더 높은 질서의 무언가를 찾는 데 자리를 내주기 시작했죠. 칸딘스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나중에 이 새로운 탐구의 시작을 회상했습니다. “여기에서도 우리가 시련을 겪었다는 것을 알고 계실 거라 기대합니다. 기근, 그것은 끔찍했죠. 아마도 최악의 상황은 자신이 믿었던 모든 것이 무너지는 일일 것입니다. 어쩌면 가장 괴로운 일이었을 것입니다. 생각이 항상 모든 것이었던 사람에게 이것은 더 높은 것, 그 너머에 있는 것에 대한 믿음을 지지하지 않는 한 모든 것의 완전한 붕괴에 지나지 않아요.”


[Music]


During the war and in the five years following, Schönberg published nothing at all and Wittgenstein after the Tractatus abandoned philosophy for more than a decade. Both men had fallen silent. There is no parallel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with Ludwig Wittgenstein, no other philosopher who has lived out the terms of his own philosophy to the same degree. Because with Wittgenstein, his life and thought are in a very real sense one and the same. Certainly there is no philosopher of such accomplishment who could have given up philosophy completely through the conviction that he had solved all the problems with which he was concerned. But that is what happened. The author of the Tractatus fell silent and lived out his silence as a primary school teacher in Lower Austria, and in extremely simple conditions.


전쟁 기간과 그 후 5년 동안 쇤베르크는 아무것도 출판하지 않았으며 <논리-철학 논고> 이후 비트겐슈타인은 10년 이상 철학을 포기했는데요. 두 사람 모두 침묵했던 거죠. 서양 철학사에서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의 유사점은 없으며, 자신의 철학을 같은 정도로 실천한 철학자는 없죠. 비트겐슈타인에게 그의 삶과 사상은 매우 실제적인 의미에서 같으니까요. 확실히 그가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했다는 확신으로 철학을 완전히 포기할 수 있었던 그러한 성취의 철학자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일어났는데요. <논리-철학 논고>의 저자는 니더외스터라이히에서 초등학교 교사로서 침묵을 지켰으며, 지극히 단순한 상태에 있었죠.


[Music]


It was not until he began to look at the same problems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t he would take up philosophy again, apparently with an entirely new idea. His silence was to last for 10 years. But during this period, he worked between 1926 and 1928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house in Vienna for his sister Margaret Stonborough. Believing her brother to have been in personal crisis since the end of the war and yet believing that he could achieve anything to which he applied himself, his sister had suggested the idea as a form of therapy. Although the project began in association with the architect Paul Engelmann, Wittgenstein soon took it over entirely and began to sign himself “Wittgenstein, architect”.


그가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로 철학을 다시 시작한 것은 같은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보기 시작할 때부터였는데요. 그의 침묵은 10년 동안 계속되어야 했죠. 그러나 이 기간에 그는 1926~1928년 비엔나에서 누나인 마르가레트 스톤보로를 위해 집을 설계하고 건설하는 일을 했는데, 그녀의 남동생이 전쟁이 끝난 후 개인적인 위기에 처해 있다고 믿으면서도 그가 자신에게 적용하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던 그의 여동생은 이 아이디어를 치료의 한 형태로 제안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건축가 파울 엥겔만과 함께 시작되었지만, 비트겐슈타인은 곧 전체를 인수하여 “건축가 비트겐슈타인”이라고 서명하기 시작했죠.


[Music]


Remember the impression one gets from good architecture; that it expresses a thought. It makes one want to respond with a gesture. - Ludwig Wittgenstein


좋은 건축에서 얻는 인상을 기억하라. 생각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몸짓으로 대답하고 싶게 만든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Music]


Once again, he had broken new groun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unique in 20th century architecture. Nothing is taken from established architectural theories or forms. It was described by his sister as “house embodied logic”. But even this apt, if startling, description does less than justice to Wittgenstein’s achievement. He gave himself entirely in his customary way to the design of every detail as much as to the whole and every aspect of the house embodies his logical and rigorous thinking.


다시 한번 그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는데요. 건물의 내부는 20세기 건축 양식에서 독특합니다. 확립된 건축 이론이나 형식에서 아무것도 취하지 않거든요. 그의 누나는 그것을 “집에 구현된 논리”로 묘사했죠. 그러나 이 적절한 것조차도 비트겐슈타인의 업적을 정당화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아요. 그는 집 전체뿐만 아니라 모든 세부 사항의 설계에 자신의 관습적인 방식으로 전적으로 몰두했으며 집의 모든 측면은 그의 논리적이고 엄격한 사고를 구현합니다.


[Music]


He had again set out to criticize that degenerate form of expression and to give shape and form to his ideas in the logic and the language of construction. And once again, he had succeeded. The result is one of the notable monuments to the 20th century.


그는 그 퇴보적인 표현 형식을 비판하고 논리와 구성 언어에서 그의 생각에 형태와 형식을 부여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리고 또다시 성공했죠. 그 결과 20세기의 주목할만한 기념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In 1929, the year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house in Vienna, Wittgenstein returned to the University of Cambridge to work on the development of his new philosophical ideas. He had studied here with Bertrand Russell between 1911 and 1913, and within a year had had a decisive impact on Russell’s work in logic. As Russell himself was later to put it, “Wittgenstein persuaded me that what one wanted to do in logic was too difficult for me and philosophy lost its hold on me.” Now Wittgenstein himself was to move away from formal logic as a means of explaining the significance and scope of language.


1929년, 비엔나에 집을 지은 이듬해에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새로운 철학적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돌아왔는데요. 1911~1913년 여기에서 버트런드 러셀과 함께 공부했으며, 1년 이내에 러셀의 논리학 작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러셀 자신이 나중에 말했듯이, “비트겐슈타인은 논리학에서 하고 싶은 것이 내게 너무 어렵고 철학이 나를 지배하지 못한다고 설득했습니다.” 이제 비트겐슈타인 자신은 언어의 의미와 범위를 설명하는 수단으로써 형식적인 논리학에서 벗어나야 했습니다.


I was unclear in the Tractatus about logical analysis and the clarification which it gives. I used to think that there wa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language and reality. - Ludwig Wittgenstein


나는 <논리-철학 논고>에서 논리적 분석과 그것이 제공하는 설명에 대해 명확하지 않았다. 나는 언어와 현실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이 있다고 생각했었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The Tratatus had embodied a fundamental idea that all languages have an underlying and uniform logical structure which might be discovered by philosophical and logical inquiry. And Wittgenstein had proposed the thought that the structure of language pictures the structure of reality. But this conviction had begun to wane during his 10 years away from formal philosophy. He began to feel now that the reverse was true, that our language actually determines our view of reality. And he began to see the importance of language in its very diversity as the bearer of tradition and custom.


<논리-철학 논고>는 모든 언어가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탐구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 기본적이고 균일한 논리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근본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했습니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구조가 현실의 구조를 묘사한다는 사상을 제안했죠. 그러나 이러한 확신은 형식적인 철학을 떠나 10년 동안 쇠퇴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는 이제 그 반대가 사실이며 우리의 언어가 실제로 현실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결정한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죠. 그리고 그는 전통과 관습의 전달자로서 언어의 다양성에서 언어의 중요성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His prime concern was still with the limits of language. But instead of deducing his conclusions by logic from a single theory as he had done in the Tractatus, he now set out to discover those limits by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way in which language functions in society as a part of human life.


그의 주요 관심사는 여전히 언어의 한계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논리-철학 논고>에서 했던 것처럼 단일 이론에서 논리적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대신, 이제 언어가 인간 생활의 일부로서 사회에서 기능하는 방식에 대한 경험적 조사를 통해 그러한 한계를 발견하기 시작했죠.


To imagine a language is to imagine a form of life. - Ludwig Wittgenstein


하나의 언어를 상상한다는 것은 하나의 생태형식을 상상한다는 뜻이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In the Tractatus he had sought a common essence in all languages. But now he speaks of countless forms of language which he describes as language games and which we use as tools for apprehending the world. In this way, he sees the philosophical grammar of language as the grammar of the life of humanity. The change in perspective is significant but subtle, and he felt strongly that the second philosophy should be printed together with the first because he believed that it could only be intelligible as an extension of his earlier work. He remained true to the conviction expressed in the Tractatus that philosophy is an activity, not a doctrine. But he comes now to stress its critical and therapeutic intent.


<논리-철학 논고>에서 그는 모든 언어에서 공통된 본질을 추구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는 그가 언어 게임으로 묘사하고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했던 수많은 형태의 언어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이런 식으로 그는 언어의 철학적 문법을 인류의 삶의 문법으로 봅니다. 관점의 변화는 의미심장하지만 미묘하며, 그는 제2의 철학을 전작의 연장선으로만 이해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제1의 철학과 함께 인쇄되어야 한다고 강하게 느꼈죠. 그는 철학은 교리가 아니라 활동이라는 <논리-철학 논고>에 표현된 확신의 진리에 충실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제 그것의 비판적이고 치료적인 의도를 강조하게 되었죠.


Philosophy, as we use the word, is a fight against the fascination which forms of expression exert upon us. - Ludwig Wittgenstein


철학은 언어라는 수단을 통해 지성의 마법에 대항하는(우리 지성에 걸린 주술과 벌이는) 싸움이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He felt himself at odds with the spirit of contemporary European and American civilization and he saw the task of the new philosophy as one of exposing the disorder in language and hence, in the life of the community. He was deeply disturbed by what he felt to be the decline in European culture. Passing a bookshop one day he saw in the window portraits of Russell, Einstein and Freud. And shortly afterwards, in a music shop, portraits of Beethoven, Schubert and Chopin. And he said that he felt intensely the degeneration of the human spirit that had taken place in only one hundred years. His sense of alienation flowed primarily from the belief that Western civilization had accepted a general faith in scienc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life. People nowadays think that scientists exist to instruct them while poets and musicians exist to give them pleasure; the idea that the latter have something to teach them: that does not occur to them.


그는 자신이 현대 유럽과 미국 문명의 정신과 동떨어져 있다고 느꼈고, 새로운 철학의 임무는 언어의 무질서를, 따라서 공동체의 삶에서 폭로하는 것 중 하나로 보았습니다. 그는 유럽 문화의 쇠퇴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깊이 동요했는데요. 어느 날 그는 서점을 지나다가 창가에서 러셀, 아인슈타인, 프로이트의 초상화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음악 상점에는 베토벤, 슈베르트, 쇼팽의 초상화가 있었죠. 그리고 그는 불과 100년 만에 일어난 인간 정신의 퇴화를 뼈저리게 느꼈다고 말했는데요. 그의 소외감은 주로 서구 문명이 과학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을 삶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받아들였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죠. 오늘날 사람들은 과학자란 그들을 가르치기 위해 존재하는 반면 시인과 음악가는 즐거움을 주기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데, 후자는 그들에게 일어나지 않는 무언가를 가르칠 것이 있다는 아이디어입니다.


[Music]


It is striking how often Wittgenstein turns to music when investigating the functioning of language in the conviction that understanding a musical phrase is akin to understanding a language. “What happens,” Wittgenstein asks, “when we learn to feel the ending of a church mode as an ending?” And he invites the answer, “The historical practice of European music has codified itself in rules with which we had grown familiar.” And so music is the expression of its own history and of the life of mankind.


비트겐슈타인이 음악적 표현을 이해하는 것이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라는 신념으로 언어의 기능을 조사할 때 얼마나 자주 음악으로 눈을 돌렸는지 놀라운데요. 비트겐슈타인은 다음과 같이 질문합니다. “우리가 교회 선법으로 마무리하는 것을 끝으로 느끼는 법을 배우면 어떻게 될까요?” 그러면 그는 다음과 같이 대답합니다. “유럽 음악의 역사적 관행은 우리가 익숙해진 규칙에 따라 체계화(성문화)되었습니다.” 따라서 음악은 그 자체의 역사와 인류의 삶을 표현하는 것이죠.


[Music]


Wittgenstein’s new perspective and his new focus on cultural history has strong parallels once again with the developing work and ideas of Arnold Schönberg. Just as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quiry had shifted from the idea of a given logic in language to an investigation of the way in which language functions in everyday use, so Schönberg turned from the search for direct expressions for the logic of composition, to the idea of a new and better musical order that would give a new relevance to music in the 20th century. On a walk with his pupil, Josef Rufer, in 1921, he announced that he had made a discovery which would assure the pre-eminence of German music for the next 100 years – a statement not so much of national pride as of artistic aspiration. He had been working on the idea since 1917 and in the summer of 1921, on holiday on the Traunsee, in the Austrian Salzkammergut, he composed the Prelude to the Opus 25 Piano Suite – the first composition in what has come to be known as serial technique or composition with 12 tones.


비트겐슈타인의 새로운 관점과 문화사에 대한 새로운 초점은 아르놀트 쇤베르크가 발전시킨 작품 및 아이디어와 다시 한번 강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가 언어에 주어진 논리라는 관념에서 언어가 일상적인 사용에서 기능하는 방식에 대한 조사로 옮겨갔듯이 쇤베르크는 직접적인 표현을 찾는 것에서 작곡의 논리로 방향을 틀었고, 20세기 음악에 새로운 관련성을 부여할 새롭고 더 나은 음악적 질서에 대한 아이디어로 눈을 돌렸죠. 1921년에는 자신의 제자인 음악학자 요제프 루퍼와 함께 산책하면서 다음 100년 동안 독일 음악의 탁월함을 보장할 발견을 했다고 발표했는데, 국가적 자부심이라기보다는 예술적 열망을 담은 성명이었죠. 그는 1917년부터 그 아이디어에 착수해왔으며, 1921년 여름에는 오스트리아 잘츠카머구트의 트라운제 호수에서 휴가를 보내면서 작품 25 피아노 모음곡 중에서 전주곡을 작곡했는데, 음렬 기법 또는 12음 기법으로 알려지게 된 곡의 첫 작품입니다.


[Vladimir Ashkenazy: Schönberg Piano Suites, Op. 25: I. Prelude]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 쇤베르크 피아노 모음곡 작품 25 중 전주곡]


I called this procedure Method of Composing with 12 Tones which are Related Only to One Another. - Arnold Schönberg


나는 이 방법을 12개의 서로 연관된 음만을 사용한 작곡 방법이라고 명명하였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He had come to recognize that the compositions of the atonal period, while freeing music from its inherited limitations had, by the very process of innovation, destroyed much as well. New and colorful harmony had been won but much had been lost in the process. And in particular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 had been sacrificed. The 12 notes of the chromatic scale had, of course, always been their internal music. It was th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key system that had been broken down by the process of increasing dissonance. And so now he set out in serialism to replace the 7 notes of the diatonic scale with all 12 notes of the chromatic scale but in a prearranged order. He hoped by this to guarantee both unity and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development within the structure of the piece. Apart from that, he felt that composition should proceed along the same lines as it had always done and pursue the same ends. The same impulse which lay behind the music of the brave atonal period is still there: to free music from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s that had lost their meaning in a changed world. But in place of the defiant, heroic gesture of the artist trusting in the force of his own unconscious, Schönberg had now taken on the even more heroic task of finding and codifying a new language from music which aspired to a higher order.


그는 무조성 시대의 작곡이 음악의 유전적 한계에서 해방되는 동시에 혁신의 과정에서 많은 것을 파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요. 새롭고 다채로운 화성을 얻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것을 잃었죠. 그리고 특히 발전할 가능성이 희생되었습니다. 반음계 스케일의 12음 기법은 물론 항상 내부 음악이었는데요. 불협화음이 증가하는 과정에 의해 무너진 것은 조성 체계의 구성 원리였죠. 그래서 이제 그는 온음계 스케일의 7개 음을 반음계의 모든 12개 음으로 대체하기 위해 음렬주의(12음 기법)에 착수했는데요. 그는 이것을 통해 곡의 구조 내에서 통일성과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모두 보장하기를 희망했습니다. 그와 별개로, 그는 작곡이 늘 그래왔듯이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같은 목적을 추구해야 한다고 느꼈죠. 용감한 무조음 시대의 음악 뒤에 숨겨진 동일한 충동이 여전히 존재하는데요. 변화된 세계에서 의미를 잃은 관습의 한계로부터 음악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죠. 그러나 그 자신의 무의식의 힘을 믿는 예술가의 도전적이고 영웅적인 몸짓 대신, 쇤베르크는 이제 더 높은 질서를 갈망하는 음악에서 새로운 언어를 찾아 체계화하는 훨씬 더 영웅적인 임무를 떠맡게 되었습니다.


This music was distinctly a product of evolution, and no more revolutionary than any other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music. - Arnold Schönberg


이 음악은 분명히 진화의 산물이었고, 음악 역사상 다른 어떤 발전보다 더 혁명적이지 않았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Vladimir Ashkenazy: Schönberg Piano Suites, Op. 25: I. Prelude (1921)]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 쇤베르크 피아노 모음곡 작품 25 중 전주곡]


Composition with 12 Tones has no other aim than comprehensibility. - Arnold Schönberg


12음 기법으로 쓴 작품은 이해력 외에 다른 목적이 없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If people speak of me, they at once connect me in horror with atonality and with composition with 12 tones. Perhaps they do not sufficiently consider that I am trying to say something which cannot be so easily or immediately grasped. By the most advanced analysis of Western music ever undertaken, Schönberg had showed why the compositional procedures of the past had lost their power and relevance for the 20th century composer. But now, like Wittgenstein, he too, directed a new attention to tradition and custom and he set out to integrate the advances of his early work with the inheritance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He saw in this the possibility of preserving the integrity of the great central tradition of Western European music. And it became his most pressing concern.


사람들이 저에 대해 말한다면, 그들은 한때 저를 무조와 12음 기법으로 된 작품으로 공포에 빠뜨렸는데요. 어쩌면 그들은 제가 그렇게 쉽게 또는 즉시 이해할 수 없는 것을 말하려고 한다는 것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연구된 서양 음악에 대한 가장 진보된 분석을 통해 쇤베르크는 과거의 작곡 체계가 20세기 작곡가에 대한 영향력과 관련성을 상실한 이유를 보여주었죠. 그러나 이제 비트겐슈타인처럼 그도 전통과 관습에 새로운 관심을 기울였으며, 초기 작품의 발전을 18세기 및 19세기의 유산과 통합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는 여기서 서유럽 음악의 위대한 중심 전통의 완전성을 보존할 가능성을 보았죠. 그리고 그것은 그의 가장 시급한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Others conserve bad things. I am conservative, too. But I, I conserve the progress. - Arnold Schönberg


다른 사람들은 나쁜 것들을 보존한다. 나도 보수적이다. 그러나 나, 나는 진보를 보존한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He felt intensely the need to contribute both to the development and to the continuity of the European musical tradition. And he saw serialism as the most effective way possible of continuing the exploration of musical ideas within that tradition from Bach to the present day.


그는 유럽 음악전통의 발전과 지속성에 기여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그리고 그는 음렬주의(12음 기법)가 바흐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 전통 내에서 음악적 아이디어의 탐구를 계속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보았죠.


I do not attach so much importance to being a musical bogeyman as to being a natural continuer of properly understood good old tradition. - Ludwig Wittgenstein


제대로 이해된 오랜 전통의 자연스러운 계승자가 되는 것처럼 음악의 귀신이 되는 것이 내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But at the same time he foresaw with disturbing clarity the hostility that his work would provoke and it made him fiercely defensive. Hearing one day that the famous conductor did not conduct his music because he did not understand it, he responded, “Why did he have to become me in this sudden burst of wanting to understand? He’s been conducting classics for years without understanding.” Schönberg and the Viennese modernists had attacked the bogus traditionalism of a society doomed to extinction. But when destruction came so irrevocably and so soon, the greatest revolutionary mind in 20th century music came to seek ways of preserving tradition in a new context, with music that is radically new in its language but organically linked to the past in its content; that is the delicate synthesis that constitute Arnold Schönberg’s conservative revolution.


그러나 동시에 그는 자신의 작품이 불러일으킬 적대감을 혼란스러울 정도로 명확하게 예견했고, 그것이 그를 맹렬하게 방어적으로 만들었는데요. 어느 날 유명한 지휘자가 자신의 음악을 이해하지 못해서 지휘하지 않는다는 말을 들은 그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그를 갑자기 이해하고 싶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는 이해하지 못한 채 몇 년 동안 클래식을 지휘하고 있거든요.” 쇤베르크와 비엔나의 모더니스트들은 사라질 위기에 처한 사회의 가짜 전통주의를 공격했습니다. 그러나 파괴가 돌이킬 수 없이 너무 빨리 닥치자 20세기 음악의 가장 위대한 혁명가 정신은 새로운 맥락에서 전통을 보존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을 때, 언어 면에서 근본적으로 새로우나 내용 면에서 과거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음악과 함께, 그것은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보수적 혁명을 구성하는 보수적인 결합입니다.


I was a conservative who was forced to become a revolutionary; but what I did was neither revolution nor anarchy. - Arnold Schönberg


나는 혁명적으로 되기를 강요당한 보수주의자이다. 그러나 내가 한 것은 혁명도 무질서도 아니었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He began even to see the role of the composer in a different light, as much prophet as artist – an attitude conditioned in part by the First World War and then by the rise of Nazism which cost him his post at the Berlin Academy and finally forced him to flee for his life. For some years he had been exploring Jewish themes in his work and in Paris in 1933, already in exile, he returned to the faith of his fathers and rejoined the Jewish religious community. He had embarked on an immense spiritual quest to reinterpret in a higher and better order not only his own previous experience but the very course of musical history itself as he knew and profoundly understood it. He declared his teachers in this to have been Bach and Mozart in the first place and Beethoven, Wagner, and Brahms in the second.


그는 작곡가의 역할을 예술가 못지않게 예언자적 관점으로 보기 시작했는데요. 이러한 태도는 부분적으로는 1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부상으로 인해 결정되었고, 그로 인해 베를린 아카데미에서 해임되었으며, 마침내는 목숨을 위해 도피해야만 했죠. 몇 년 동안 그는 작품에서 유대인 주제를 탐구해 왔으며 이미 망명 생활을 하고 있던 1933년 파리에서 아버지의 신앙으로 돌아가 유대인 종교 공동체에 다시 합류했는데요. 그는 자신의 이전 경험뿐만 아니라 자신이 알고 깊이 이해했던 음악사 자체의 과정 그 자체를 더 높고 더 나은 질서로 재해석하려는 엄청난 영적 탐구에 착수했죠. 그는 이 부분에서 자신의 스승들을 1위는 바흐와 모차르트, 2위는 베토벤, 바그너, 브람스라고 선언했습니다.


I venture to credit myself with truly new music which, being based on tradition, is destined to become tradition. - Arnold Schönberg


나는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전통이 될 진정으로 새로운 음악에 대해 감히 나 자신을 인정한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And so the birth of serialism was both a reintegration of history and a development from Schönberg’s atonal music, not a retreat from it. It is in this that the true measure of his greatness lies and if in the opening bars of the Largo from his last Quartet there are unmistakable echoes from the Jewish liturgy, they represent not, as some have suggested, the retreat of a failing spirit from the brave gestures of 1909, but a statement of faith in our creative traditions and a courageous cry from the heart of this most passionate of musicians.


따라서 음렬주의(12음 기법)의 탄생은 역사의 재통합이자 쇤베르크의 무조성 음악이지, 후퇴가 아니었죠. 그의 위대함의 진정한 척도는 바로 이것에 있으며, 그의 마지막 4중주에서 3악장 라르고가 시작되는 마디들에 유대인 전례(예배식)의 명백한 메아리가 있다면, 그것은 일부 사람들이 제안한 것처럼 쇠약해진 영혼이 교회에서 퇴각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1909년의 용감한 몸짓이지만, 우리의 창조적 전통에 대한 믿음의 상태이자 가장 열정적인 음악가들의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용감한 외침입니다.


[Allegri String Quartet: Schönberg String Quartet No. 4, Op. 37: III. Largo (1936)


[알레그리 스트링 콰르텟 - 쇤베르크 스트링 콰르텟 4번 3악장]


The Method of Composing with 12 Notes grew out of necessity. - Arnold Schönberg


12음 작곡 기법은 필연적으로 발생하였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And although the goal towards which I’m striving appears to me a certain one, I’m nonetheless already feeling the resistance that I should have to overcome. I feel how passionately even the meanest of temperaments will rise in revolt against me. And I suspect that even those who have so far believed in me will not want to acknowledge the necessary nature of this development.” And so it happened that the state in which nobody ever said what they meant (to use the words of Robert Musil) produced in time a generation of critical artists and thinkers determined to say clearly exactly what they meant and to find new ways in which to say it; among them, two astonishingly creative temperaments whose courageous efforts to contribute to European culture have altered the course of that culture forever. As young men, both made bold strides into the unknown and with lasting effect. The languages of the new philosophy and the new music reflected a world transformed almost beyond recognition. But at the same time they embodied a sharply critical intention and paved the way for a new epoch in European history.


“그리고 제가 추구하는 목표가 확실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극복해야 할 저항을 이미 느끼고 있습니다. 아무리 천박한 기질이라도 제게 반기를 들게 되면 얼마나 격렬하게 일어날지 실감이 납니다. 그리고 나는 지금까지 저를 믿어주신 분들도 이러한 발전의 필연성을 인정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 여겨집니다.” 따라서 (로베르트 무질의 말을 빌리자면) 아무도 그 말의 의미를 말한 적이 없는 상태에서 한 세대의 비판적 예술가들과 사상가들은 그들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말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기로 했는데, 그중에는 유럽 문화에 기여하려는 용감한 노력이 그 문화의 흐름을 영원히 바꿔놓은, 놀랍도록 창의적인 기질을 지닌 두 사람이 있었는데요. 젊은 남성으로서 두 사람은 미지의 세계로 대담한 발걸음을 내디뎠죠. 새로운 철학과 새로운 음악의 언어는 거의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모한 세계를 반영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들은 날카로운 비판적 의도를 구현하여 유럽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위한 길을 닦았죠.


Perhaps, one day, this civilization will produce a culture. When that happens there will be a real history of the discoveries of the 18th, 19th and 20th centuries. - Ludwig Wittgenstein


언젠가는 이 문명이 문화를 낳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되면 18, 19, 20세기의 발견에 대한 실제 역사가 있게 될 것이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But both men then found themselves at odds with the spirit of contemporary European civilization. And for a time, both fell silent. Their work then became a struggle against what Wittgenstein called the darkness of this time, critical of the present, but in deep awe of the achievements of the past. Both men sought to define a spiritual attitude which would reanimate those achievements in order to give sense and purpose to the present. They lived out the terms of their own philosophies to a degree that few have ever achieved. Both struggled for a lifetime without fear or compromise to answer the questions which they found before them. And in so doing, they changed the course of European thought. Both then died in exile: Ludwig Wittgenstein in Cambridge and Arnold Schönberg in Los Angeles, and both in the same year, 1951. They are without question among the principal architects of the imagination of our time. Although it is arguable that to this day the real meaning of their work has not yet been fully comprehended – certainly, both are more imitated for their technical innovations than understood in the spirit of their work – it is nevertheless true that Arnold Schönberg shaped the evolution of modern music more decisively than any other modern musician. It may even be said that without Schönberg most of modern music as we know it would not have come into being. And similarly, Ludwig Wittgenstein’s conviction that all philosophy is a critique of language has dominated the philosophical consciousness of the Western world in the 20th century.


그러나 두 사람은 현대 유럽 문명의 정신과 모순되는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한동안 둘 다 침묵했죠. 그 후 그들의 작품은 비트겐슈타인이 이 시대의 어둠, 현재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지만 과거의 성취에 대한 깊은 경외심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투쟁이 되었습니다. 두 사람은 현재에 의미와 목적을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성취를 되살릴 영적 태도를 정의하려고 했는데요. 거의 달성하지 못한 정도로 자신들의 철학을 실천했죠. 둘 다 평생 두려움이나 타협 없이 자신이 발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유럽 사상의 방향을 바꾸었죠. 그 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케임브리지에서, 아르놀트 쇤베르크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망명 중에 사망했는데, 같은 해인 1951년이었습니다. 그들은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 시대 상상력의 주요 건축가 중 하나입니다. 오늘날까지 그들의 작품의 진정한 의미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확실히 둘 다 작품의 정신으로 이해되는 것보다 기술적인 혁신을 위해 더 많이 모방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르놀트 쇤베르크가 다른 어떤 현대 음악가보다 더 결정적으로 현대 음악의 진화를 형성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쇤베르크가 없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현대 음악이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죠. 그리고 마찬가지로 모든 철학은 언어에 대한 비판이라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신념은 20세기 서구 세계의 철학적 의식을 지배해 왔습니다.


Philosophy is a battle against the bewitchment of our intelligence by language. - Ludwig Wittgenstein


철학은 언어라는 수단을 통해 지성의 마법에 대항하는(우리 지성에 걸린 주술과 벌이는) 싸움이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Allegri String Quartet: Excerpts from Schönberg String Trio Op. 45]


[알레그리 스트링 콰르텟 - 쇤베르크 스트링 트리오 발췌]


Silver Medal (Music), New York International Film and Television Festival 1985


1985 뉴욕 필름 & 텔레비전 페스티벌 음악 부문 은상



자막 정리한 것을 찾아서 받아쓰기한 다음 외국 분한테 수정을 부탁해서 다듬었다. 내가 듣고 나서 다듬긴 했지만 번역하면서 다시 다듬어야 했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쓴 <논리-철학 논고>는 철학서 중에서도 엄청 어렵다는 책이라고 했다. 그의 책에서 인용한 구절들에 대한 번역을 가능하면 구글링을 동원하여 찾았다. 번역을 다 구하진 못했다. 책 전체를 찾았으면 모를까. 이럴 땐 도서관에 가봐야 하나 고민해보기도 하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어쩔 수 없다. 1차 세계 대전 때 오른팔을 잃은 피아니스트 파울 비트겐슈타인은 알고 보니 루트비히의 형! 성이 같아서 관련 인물인지 아닌지 의아했다. 파울을 위해 라벨을 비롯한 몇몇 작곡가들이 왼손을 위한 곡들을 써줬다. 그중 하나가 라벨의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이다.

댓글 1개:

  1. 눈사람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0B4QbexMaD9S8MXBDWjhUb1E5SmM

    Neige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0B9PSN3c1KZtEUGN2THlRcDJJcXM

    눈사람2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0B83HU4qshzJWZEN2R0pxUE5wdWs?resourcekey=0-YFW_K8TPeHBTZhTWkX6gyg

    Neige2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0BwzTfO581R_eaFBBQm1MQ2M2VGs?resourcekey=0-d0QVR2QwxYVtuhnrDfar3A

    Neige눈사람 드라이브
    https://drive.google.com/drive/u/0/folders/1wpfdQBgpLO2L-FFwchXvfngzHkuX1Yxh

    You have to download until 31 August 2022.

    2022년 8월 31일까지 받으세요.

    답글삭제

Google Drive / 2025. 01. Geneva Competition Winners 8

1986년 1, 2위 없는 공동 3위 Aleksandar Madžar (Serbia) / 알렉산다르 마자르 (세르비아) Aleksander Madzar, Dmitri Kitaenko & Frankfurt Radio Symphony Orch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