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내 사진
I'm piano bachelor, piano music lover, CD collector and classical music information's translator. Also KakaoTalk character Tube mania! Naver Blog: http://blog.naver.com/snowseo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channel/UCDPYLTc4mK7dOXYTQEOiPew?view_as=subscriber

2021년 12월 21일 화요일

DG / Daniil Trifonov Plays Liszt - Transcendental 2016



https://www.youtube.com/watch?v=GyFmvXaj1Rk&list=OLAK5uy_mn_tVMtQAV2Vz4EaMMeVzBk4gN5O9muMs

https://www.youtube.com/watch?v=CXGeOHdiHrE

https://www.youtube.com/watch?v=8Oy7lebHkDU&list=PLcSkPXginhQey6twDOq4Qr_GTA0PBny3x


다닐 트리포노프, 광기 어린 연주의 천재 피아니스트! [리스트 초절기교 연습곡]


“Without question the most astounding pianist of our age.” - The Times (27 July 2015)


“이 시대의 가장 뛰어난 피아니스트라는 점에서 의심할 여지가 없다.” - 2015년 7월 27일 더 타임스


“He has everything and more... never heard anything like that.” - Martha Argeirch


“그는 모든 것을 혹은 그 이상을 다 갖춘 피아니스트다... 그와 같은 소리를 들어본 바가 없다.” - 마르타 아르헤리치


“A pianist for the rest of our lives.” - Norman Lebrecht


“우리 삶의 휴식이 되는 피아니스트” - 노먼 레브레히트


“He is a sensation.” - Los Angeles Times (28 February 2016)


“그는 선풍적이다.” - 2016년 2월 28일 LA 타임스


“Simply electrifying.” - The New York Times (27 November 2015)


“그저 열광시킨다.” - 2015년 11월 27일 뉴욕 타임스


“A pianist ahead of his time.” - Washington Post (3 April 2015)


"시대를 앞서나가는 피아니스트." - 2015년 4월 3일 워싱턴 포스트


“Daniil Trifonov proves himself an heir to Liszt” - Washington Post (20 January 2013)


“그는 자신이 리스트의 후계자인 것을 스스로 입증하였다.” - 2013년 1월 20일 워싱턴 포스트


“Trifonov is already an exceptionally thoughtful interpreter, with musicianship that more than matches his technical gifts...while there is never any doubting the brilliance of Trifonov’s playing, that is only the starting point; the delicacy and transparency of his performances are often more striking than their moments of rampaging virtuosity.” - The Guardian (21 September 2016) ★★★★★


“트리포노프는 이미 그의 기술적 재능에 필적하는 음악적 재능을 지닌 매우 사려 깊은 해석자이다...트리프노프 연주의 탁월함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것은 시작점일 뿐인데, 그의 섬세하고 투명한 연주는 광란하는 기교의 순간들보다 더 인상적이다.” - 2016년 9월 21일 가디언지 ★★★★★


다닐 트리포노프는 2011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음악콩쿠르에서 우승을 거둔 후,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천재 피아니스트이다. 특히나, 그는 초절정 기교를 특기로 하여 많은 사람을 매료시키고 있다. 이번 앨범에는 진정한 비르투오소로 평가받는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과 2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그리고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대연습곡이 수록되었다. DG에서조차 리스트 연습곡을 모두 담은 음반이 최초일 정도로 이를 한 음반에 담는 것조차 어려운 작업인데, 다닐 트리포노프는 전체 녹음을 단 5일 만에 완성하여 더욱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CD1

01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1 Prelude (Prest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1번 <프렐류드>

02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2 Molto vivace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2번 <도화선>

03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3 Paysage (Poco adagi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3번 <풍경>

04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4 Mazeppa (Prest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4번 <마제파>

05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5 Feux follets (Allegrett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5번 <도깨비불>

06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6 Vision (Lent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6번 <환영>

07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7 Eroica (Allegr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7번 <영웅>

08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8 Wilde Jagd (Presto furios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8번 <사냥>

09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9 Ricordanza (Andantin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9번 <회상>

10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10 Allegro agitato molt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10번 <열정>

11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11 Harmonies du soir (Andantin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11번 <밤의 선율>

12 12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S. 139 No. 12 Chasse neige (Andante con moto) / 12개의 초절기교 연습곡 12번 <눈치우기>


CD2

01 2 Etudes de Concert, S. 145 No. 1 Waldesrauschen / 2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1번 <숲의 속삭임>

02 2 Etudes de Concert, S. 145 No. 2 Gnomenreigen / 2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2번 <난쟁이의 춤>

03 3 Etudes de Concert, S. 144 No. 1 in Ab: 'Il lamento' (A capriccio - Allegro cantabile) / 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1번 <슬픔>

04 3 Etudes de Concert, S. 144 No. 2 in f: 'La leggierezza' (A capriccio - Quasi allegretto)/ 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2번 <가벼움>

05 3 Etudes de Concert, S. 144 No. 3 in Db: 'Un sospiro' (Allegro affettuoso)/ 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3번 <탄식>

06 Grandes Etudes de Paganini, S. 141 No. 1 in g /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1번

07 Grandes Etudes de Paganini, S. 141 No. 2 in Eb /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1번

08 Grandes Etudes de Paganini, S. 141 No. 3 in g# ('La Campanella') /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3번 <라 캄파넬라>

09 Grandes Etudes de Paganini, S. 141 No. 4 in E /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4번

10 Grandes Etudes de Paganini, S. 141 No. 5 in E /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5번

11 Grandes Etudes de Paganini, S. 141 No. 6 in a /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6번



Webisode #1: 15 Questions to Daniil Trifonov / 다닐 트리포노프에 대한 15가지 질문

01. Where are you from?


출신지는?


Nizhny Novgorod.


니즈니노브고로드.


02. What do you miss about Nizhny Novgorod?


니즈니노브고로드에 대해 그리운 것은?


It has a great audience.


좋은 청중.


03. What was the first piece you ever played on stage?


무대에서 가장 먼저 연주했던 곡은?


I think it was one of my own pieces.


자작곡 중 하나였던 것 같다.


04. Favorite place to travel for work?


일하기 가장 좋아하는 여행지는?


Santo Domingo.


산토도밍고.


05. First thing you pack?


가장 먼저 싸는 짐은?


Shoes! Once I went on stage in sneakers. So that’s probably why I always remember them.


신발! 한 번은 운동화를 신고 무대에 올랐다. 그래서인지 항상 기억하고 있는 것 같다.


06. What was the first album you ever bought?


가장 먼저 샀던 앨범은?


It was the complete Bach Cantatas.


바흐 칸타타 전집.


07. What was your most exciting musical experience so far?


지금까지 가장 흥미진진한 음악적 경험은?


Well one time the lights went out!


글쎄, 한 번 불이 꺼졌다!


08. Is there a composer of the past whom you would have loved to ask to write a piece for you?


작곡을 정말 부탁하고 싶었던 과거의 작곡가가 있는지?


Probably Chopin.


아마도 쇼팽.


09. What piece brings sweat to your forehead?


이마에 땀이 나게 하는 곡은?


Currently I’m learning Shostakovich’s Prleudes and Fugues. Besides the sweat, patience is also required.


현재 쇼스타코비치의 전주곡과 푸가를 배우고 있다. 땀 외에 인내심도 필요하다.


10. What piece of any genre takes your breath away?


깜짝 놀라게 하는(너무 놀랍거나 아름다워서 숨이 멎을 정도인) 다른 장르의 곡은?


Opera. Maybe Boris Godunov.


오페라. 아마도 <보리스 고두노프>.


11. If you could choose, which musical era would you have liked to live in?


선택할 수 있다면 어떤 음악 시대에 살고 싶은지?


I like the current era.


현재의 시대를 좋아한다.


12. Are there any over- or under-valued composers or pieces?


과대평가되거나 저평가된 작곡가들이나 곡들이 있는지?


I don’t think there are any over-valued composers. But there are some quite definitely under-valued. In fact some of Liszt’s works are, in my opinion, under-valued.


과대평가된 작곡가는 없는 것 같다. 그러나 확실히 저평가된 사람들이 있다. 사실 리스트의 작품 중 일부는 내 생각에 저평가된 것 같다.


13. What should those new to Liszt hear first?


리스트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무엇을 먼저 들어야 하는지?


I think his symphonic poems and Les Préludes.


교향시와 프렐류드라고 생각한다.


14. What should those new to classical music hear fist?


클래식 음악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무엇을 먼저 들어야 하는지?


To avoid the cliché about classical music, something from the 20th-century composers.


클래식 음악에 대한 진부한 표현을 피하려면, 20세기 작곡가들의 것.


15. Do you have a musical credo?


음악적 신념이 있는지?


I always try to find something new when I practice. That’s what helps my development.


연습할 때 항상 새로운 것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그게 내 발전에 도움이 된다.



Webisode #2: Transcendental Études - An Overview / 초절기교 연습곡 - 개요

It’s fascinating how differently Liszt treated the genre of études from many other composers. Where in the case of some the focus can be very specific, targeting a certain technical problem, in the case of Liszt it’s more of a rhapsodical free poem. In some cases the études build a cycle – for example the ‘Transcendental Études’. There, there is a t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ieces and its structure has a certain dramaturgy. In this cycle there is a great range of emotional aspects. For example it can go from the very pastoral...


리스트가 에튀드 장르를 다른 많은 작곡가와 얼마나 다르게 취급했는지는 흥미로운데요. 일부의 경우 매우 구체적이어서 초점이 특정한 기술적인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리스트의 경우에는 거창한 자유로운 시곡에 더 가까워요. 어떤 경우에는 연습곡들이 전곡을 구축하는데, 예를 들면 <초절기교 연습곡>이죠. 곡들 사이에 조성 관계가 있으며 그 구조에는 틀림없는 연출법이 있어요. 이 전곡에는 다양한 감정적 측면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 매우 목가적인 곳에서 갈 수 있는데...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3 Paysage]


In Paysage.


풍경에서요.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8 Wilde Jagd]


And after all the madness of Wilde Jagd comes...


그리고 결국 사냥의 광기가 찾아오고...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9 Ricordanza]


(회상이 나오죠.)



Webisode #3: Transcendental Études - Vision, Mazeppa & Harmonies du Soir / 초절기교 연습곡 - 환영, 마제파, 밤의 선율

To me Visions paints a picture of Walpurgis Night.


제게 환영은 <발푸르기스의 밤> 축제를 그립니다.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6 Vision]


Very like Berlioz! It’s as if demons and angels are tearing apart the soul of the composer. This fight only ever increases. They are the struggles of Liszt.


베를리오즈랑 아주 비슷하죠! 마치 악마와 천사가 작곡가의 영혼을 갈기갈기 찢어놓는 것 같아요. 이 싸움은 점점 증가하죠. 그들은 리스트의 몸부림입니다.


Mazeppa in this context is one of most intense and dramatic études. It’s built in an interesting form. Each repetition of the main theme is set as a variation. The first variation start...


이 맥락에서 마제파는 가장 강렬하고 극적인 연습곡 중 하나입니다. 흥미진진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주요 주제의 각 반복은 변주로 설정됩니다. 첫 변주는 이렇게 시작하는데...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4 Mazeppa]


Then goes to...


그런 다음 이렇게 가는데...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4 Mazeppa]


Then...


그러고 나서...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4 Mazeppa]


There is also a lyrical culmination of the cycle which is Harmonies du soir. In a way it’s a love letter. A man opens up his soul and tells a woman of his love for her


밤의 선율에는 이 전곡의 서정적인 정점도 있는데요. 어떻게 보면 러브레터죠. 한 남자가 마음을 터놓고 여자에게 사랑을 전하는데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11 Harmonies du soir]


... and then she answers ‘yes’!


... 그리고 그녀는 ‘그래요’라고 대답하죠!



Webisode #4: Further Études - La Campanella, Waldesrauschen, Gnomenreigen & La Leggierezza / 추가 연습곡 - 라 캄파넬라, 숲의 속삭임, 난쟁이의 춤, 가벼움

La Campanella

[Grandes Études de Paganini No. 3 La Campanella]


There is a lot of capriciousness in the way that La Campanella starts. Then very gradually it unrolls its drama, but it never loses its humour.


라 캄파넬라(종)가 시작되는 방식에는 많은 변덕이 있는데요. 그런 다음 매우 점진적으로 드라마를 펼치지만, 유머를 잃지 않죠.


[Grandes Études de Paganini No. 3 La Campanella]


It’s a piece that I first played a long time ago, when I was 15. After so many years I now see it differently.


오래전 15살 때 처음 연주한 곡인데요.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은 다르게 보이네요.


Waldesrauschen und Gnomenreigen

Both pieces are images of fantastical creatures.


두 곡(숲의 속삭임 및 난쟁이의 춤) 모두 환상적인 존재에 대한 이미지입니다.


[2 Études de Concert No. 1 Waldesrauschen]


Magic that is happening in the forest. Then the Gnomenreigen...


숲에서 일어나는 마법. 그런 다음 난쟁이의 춤...


[2 Études de Concert No. 2 Gnomenreigen]


La Leggierezza

I find the three Italian études to be the most intimate, especially the 2nd one, La Leggierezza.


저는 3개의 이탈리아풍 에튀드가 가장 친밀하다고 생각하는데, 특히 두 번째 곡인 <가벼움>이 그래요.


[3 Études de Concert No. 2 La Leggierezza]


It has almost a Chopinian feel.


쇼팽 같은 느낌에 가까워요.


[3 Études de Concert No. 2 La Leggierezza]


Very mercurial shifts of harmony in combination with soft expression create an intimate atmosphere.


부드러운 표현과 함께 매우 변덕스러운 화성의 변화가 친밀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Webisode #5: Impressionism - Liszt, Debussy & Ravel / 인상주의 - 리스트, 드뷔시, 라벨

Debussy

Liszt greatly influenced the later development of impressionism. In his lyrical études such as Paysage,


리스트는 인상주의의 후기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요. <풍경> 같은 그의 서정적인 연습곡에서,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3 Paysage]


or even more so in Harmonies du soir,


또는 <밤의 선율>에서조차 더더욱 그런데,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11 Harmonies du soir]


there is a lot of playing with shades and harmonies.


미묘함과 화성을 지닌 많은 연주가 있죠.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11 Harmonies du soir]


And then we compare it...


그런 다음 우리는 이 곡과 비교하는데...


[Liszt Transcendental Étude No. 11 Harmonies du soir]


[Debussy Images pour Piano: 1. Reflest dans l’eau]


[드뷔시 영상 1집 1번 <물 위의 그림자>]


... with the dancing reflections of the water from Debussy’s Images.


... 드뷔시의 영상에 나오는 물의 춤추는 반영을 지니고 있죠.


Ravel

[2 Études de Concert No. 1 Waldesrauschen]


A very simple figuration.


매우 간단한 형태죠.


[2 Études de Concert No. 1 Waldesrauschen]


[리스트 2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1번 <숲의 속삭임>]


[Ravel Miroirs No. 3 Une Barque sur l’Ocean]


[라벨 모음곡 거울 3번 <대양 위의 조각배>]


A lot of coloristic effects were explored by Liszt, which later inspired the impressionists.


리스트는 많은 색채 효과를 탐구했는데, 이는 나중에 인상주의자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A Romantic Soul / 낭만적인 영혼

Crowned one of history’s greatest pianists while still a teenager, Franz Liszt was an artistic visionary, an entrepreneur, a philanthropist, a pedagogue, a socialite, a showman. “He was a phenomenon,” exclaims pianist Daniil Trifonov, who dedicates the current album of concert etudes, Transcendental, to his illustrious pianist-composer predecessor. “Liszt changed music for ever: how it was heard, how it was performed, what music could express – what it meant to be an artist. He was the grandfather of us all!”


아직 10대일 때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선정된 프란츠 리스트는 예술적 선구자, (모험적인) 사업가, 자선가, 교육자, 사교계 명사, 쇼맨(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그들을 즐겁게 하는 재능이 있는 사람)이었다. (젊은 시절에도 프란츠 리스트는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여겨졌는데, 그는 혁신적인 예술가, 기업가, 자선가, 교육자, 사교계 인사, 엔터테이너였다.) 연주회용 연습곡들의 현재 앨범인 <초절기교>를 (그의 저명한 전임자이자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에게) 헌정하는 피아니스트 다닐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외친다. “그는 하나의 현상이었어요. 리스트는 음악을 영원히 바꿨습니다. - 어떻게 들리는지, 어떻게 연주되는지, 음악이 무엇을 표현할 수 있는지 – 예술가가 된다는 것을 의미했죠. (그는 음악에서 표현의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예술가의 완전히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었죠.) 그는 우리 모두의 할아버지(조상)였어요!”


Indeed, Liszt was among the first pianists to play entire solo recitals from memory and, with a combination of theatrical flair, technical audacity and handsome elegance, defined the image of the modern touring virtuoso. But it was not only as a pianist that Liszt left his mark. He composed piano solo, vocal and orchestral music of astonishing boldness, and conducted, transcribed and arranged music prodigiously, using his fame to champion the art of similarly inventive colleagues, including Berlioz, Schumann, Saint-Saëns and Wagner.


실제로 리스트는 독주회 전체를 암보하여 연주한 최초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이었으며, 연극적 재능(무대에 서는 감각), 기술적 대담함, 멋진(세련된) 우아함의 조합으로 현대 여행 거장의 이미지를 정의했다. 그러나 리스트가 그의 흔적을 남긴 것은 피아니스트로서만이 아니었다. 그는 피아노 독주곡, 성악, 관현악을 놀랍도록 대담하게 작곡했으며, 베를리오즈, 슈만, 생상스, 바그너 등 자신만큼 독창적인 동료들의 예술을 옹호하기 위해 자신의 명성을 활용하여 엄청난 양의 음악을 지휘, 필사, 편곡했다. (그러나 리스트는 피아니스트뿐 아니라 작곡가이자 지휘자로서도 자신의 흔적을 남겼는데, 놀랍도록 대담한 피아노, 성악, 관현악 작품들을 썼으며 수많은 음악을 지휘, 필사, 편곡했다. 그리고 그는 베를리오즈, 슈만, 생상스, 바그너 등 유사하게 독창적인 동료들의 예술을 위한 캠페인에 스타로서의 지위를 활용했다.)


Liszt was also one of the great polyglots of his era. He was at home across Europe, travelling thousands of kilometres each year, transitioning effortlessly between languages, cultures, musical idioms and social classes. An entertainer to the masses who dined with royalty, a sophisticated man of letters brought up on Romani folk tunes, a veritable Don Juan who later in life joined the Franciscan order, Liszt’s immense gifts and insatiable appetite for experience bridged worlds and philosophies. “He was a very modern man,” says Trifonov, “conscious of the extreme complexities – even contradictions – of his own life and experiences.”


리스트는 그 시대의 위대한 세계 시민이기도 했다. 그는 유럽 전역의 집에서 매년 수천 킬로미터를 여행하면서 언어, 문화, 음악적 표현 양식, 사회 계층 사이를 쉽게 전환했다. (그는 매년 수천 킬로미터를 여행하면서 한 언어, 문화, 음악적 언어, 사회적 배경에서 다른 언어로 자연스럽게 전환하면서 유럽 전역에서 집과 같은 편안함을 느꼈다.) 왕족과 함께 식사했던 대중의 엔터테이너, 헝가리 민속 음악을 주입한(인기 있는 집시의 아리아르 들으면서 자란) 세련된 문필가, 훗날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합류한 진정한 돈 후안으로 알려진 리스트의 엄청난 재능과 경험에 대한 끝없는 욕구는 세계와 철학을 연결한다. [그는 대중의 연예인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왕자와 왕도 그를 저녁 식사에 초대했는데, 그는 헝가리 민속 음악과 함께 자란 교육받은 사람이었고 리스트도 진정한 바람둥이로 여겨졌지만, 프란체스코 수도회와 연결되어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말년에 사제직은 아닐지라도 영적인 자리에 들어갈 수 있었다. 뛰어난 재능과 지칠 줄 모르는 지식에 대한 갈망(만족할 줄 모르는 경험)으로 리스트는 서로 다른 세계와 철학 사이에 다리를 놓았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는 매우 현대적인 남자였어요. 그는 자신의 삶과 경험의 극도의 복잡성과 심지어 모순까지도 알고 있었죠.”


This autobiographical reflection formed not only the theme of Liszt’s music, but accompanied his lifelong search for musical innovations to give expression to these experiential extremes. “Liszt’s technical virtuosity”, Trifonov explains, “is just a means to evoke extremes of emotion. His daring harmonic and structural innovations revealed new horizons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pression in music. His compositions”, Trifonov concludes, “can be described as dynamic depictions of the spiritual experiences of a Romantic soul.”


이 자서전적 성찰은 리스트 음악의 주제를 형성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험적 극단을 표현하기 위한 음악적 혁신(새로운 음악적 수단)에 대한 그의 일생의 탐구를 동반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리스트의 기술적 기교는 극도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일 뿐입니다. (리스트는 극단적인 감정을 특히 명확하게 강조하기 위해 자신의 기술적 기교를 사용했습니다.) 그의 과감한(대담한) 화성적, 구조적 혁신은 음악에서 감정적, 심리적 감수성을 표현하는 새로운 지평(가능성)을 열었죠.”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 “그의 작품들은 낭만적인 영혼의 영적 경험을 역동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Of Liszt’s concert etudes, the most personal are undoubtedly the Transcendental Etudes S 139 (1852). This set of twelve tonally interconnected works occupies a central place in Liszt’s oeuvre, indeed in the history of piano music: the composer revisited and revised the structure, harmonic language and pianism of the cycle several times throughout his life. Although technically highly developed, each of the Transcendental Etudes has a profoundly poetic theme. Trifonov: “The cycle reflects the journey of a hero (let us call him ‘Liszt’). Each etude represents a particular stage in the hero’s spiritual evolution, progressing from explosions of youthful energy (No. 1), growing increasingly complex through ‘Eroica’ (No. 7) and wild, as in ‘Mazeppa’ (No. 4), reaching a turbulent climax in the ’Wilde Jagd’ (No. 8). That is the cycle’s turning point. From the realization of the futility of the chase, the narrative arc moves from a state of nostalgic longing in ‘Ricordanza’ (No. 9) to the meditative denouement of ‘Chasse-neige’ (No. 12).”


리스트의 연주회용 연습곡 중에서 가장 개성적인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초절기교 연습곡(1852)이다. 조성적으로 서로 연결된 이 12개의 작품 세트는 실제로 리스트의 작품과 피아노 음악 전체의 역사에서도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데, 작곡가는 전 생애에 걸쳐 전곡의 구조, 화성적 언어, 피아니즘을 여러 번 재고하고 수정했다. 기술적으로 고도로 발전되어 있지만(매우 복잡한 작품이지만), 각각의 초절기교 연습곡은 매우 시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전곡은 (여기서 ‘리스트’라고 부르고 싶은) 영웅의 여정을 반영합니다. 각각의 연습곡은 영웅의 영적 진화의 특정 단계를 나타냅니다. 출발점은 젊음이 넘치는 에너지(1번)이며, ‘영웅’(7번)과 ‘마제파’(4번) 같은 야생을 거쳐 점점 더 복잡해지며, ‘사냥’(8번)에서 격렬한 클라이맥스에 도달합니다. 이것이 전곡의 전환점입니다. 추격의 무의미함을 깨달은 뒤, 서사적 흐름은 ‘회상’(9번)에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갈망의 상태를 넘어 ‘눈치우기’(12번)의 명상적 결말로 이동합니다.”


Some of the Transcendental Etudes are more atmospheric and abstract, others more programmatic, “but none of them are really etudes,” Trifonov concedes. “If they had been written by Scriabin, they would have been called poems. In the language of Liszt’s time they were called etudes because they are technically so extreme, but they are actually technically challenging poems – existential meditations.” Trifonov, who practises yoga and a variety of meditation techniques, continues: “The essence of meditation is to step away from yourself and to reflect on nature and your actions with honesty. This is not always a peaceful process. The ability to achieve such a degree of honest selfconsciousness, and to reveal with such clarity doubts and fears alongside passions bordering on madness, shows Liszt’s great intuition and potent need for introspection.”


초절기교 연습곡 중 일부는 더 분위기 있고 추상적이며, 다른 일부는 더 계획에 따른 것이지만, “그 중 어느 것도 진정한 연습곡이 아닙니다.”라고 트리포노프가 강조한다. “만약 이 곡들이 스크리아빈에 의해 작곡되었다면, 시곡이라고 불렸을 것입니다. 리스트 시대의 언어로 에튀드라고 불리는 이유는 기술적으로 너무 극단적이기 때문이나, 실제로는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시곡으로, 실존적 명상을 요구합니다.” 요가와 다양한 명상 기법을 실천(스스로 연습)하는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명상의 본질(목적)은 자신에게서 한 발짝 물러나(자신과의 거리를 두고) 자연과 자신의 행동을 정직하게 성찰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항상 평화로운 과정은 아닙니다. 그러한 정도의 정직한 자의식을 달성하는(이처럼 솔직한 자기관을 가지고 있는) 능력, 광기에 가까운 열정 외에 의심과 두려움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능력은 리스트의 위대한 직관력, 자기 관찰 및 성찰에 대한 강한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By contrast with the Transcendental Etudes, the six Grandes Études de Paganini S 141 (1851) are not introspective works, but no less personal as Liszt’s intimate homage to his greatest role-model. Nicolò Paganini was the arch-Romantic, combining classical elegance with seductive suggestion of the supernatural, and was the singl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Liszt’s early career. Liszt’s reverence for Paganini and intense identification with the spirit of his music inspired this set of etudes, based on themes from several of Paganini’s most famous violin pieces, including “La campanella” and the Caprice No. 24. “The etudes”, Trifonov notes, “are neither technical exercises nor transcriptions, but original, lyrical works. Liszt honours Paganini in the highest possible way by rethinking his melodic material and reimagining it from inside the structure. The virtuosity is inspired by Paganini’s example, but the sense of time in the etudes (through extension of line and liberal rubato) is non-classical, and use of advanced chromaticism accentuates the seductive, ‘demonic’ side of Paganini’s genius.”


초절기교 연습곡과는 대조적으로 6개의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1851)은 내향적인 작품이 아니라(자기 성찰이 덜한 것처럼 보이지만) 리스트가 자신의 가장 위대한 롤 모델에 대한 친밀한 경의를 표하는 만큼 역시 개인적이다. 니콜로 파가니니는 고전적인 우아함과 초자연적인 것에 대한 매혹적인 암시를 결합한 탁월한 낭만주의자였으며, 리스트의 초기 경력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파가니니에 대한 리스트의 깊은 존경심과 그의 음악 정신에 대한 강렬한 동일시는 <라 캄파넬라>, 카프리스 24번 등 파가니니의 가장 유명한 바이올린곡들의 주제를 기반으로 한 이 연습곡 세트에 영감을 주었다. 이에 대해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주목한다. “이 연습곡들은 기술적인 연습이나 편곡이 아닌, 독창적이고 서정적인 작품들입니다. 리스트는 파가니니의 선율 소재를 재고하고 구조 내에서 이를 재구성하여 가능하면 최고의(가장 고상한) 방식으로 파가니니에 대한 경의를 표합니다. 기교면에서는 파가니니의 예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이 연습곡들의 시간 감각은 (긴 선과 자유로운 루바토의 확장을 통해) 고전적인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며, 복잡한 반음계의 사용은 파가니니의 천재성에 대한 매혹적인 ‘악마적인’ 면을 강조합니다.”


The sense of subtle Italianate lyricism is also found in the Three Concert Etudes S 144 (1849). “These are arias”, Trifonov contends. Liszt, of course, never wrote an opera, but loved the poetics of Italian melodrama and immersed himself in the pure theatricality of the bel canto masters Donizetti, Bellini and the young Verdi. “In spirit,” Trifonov suggests, “‘Il lamento’, ‘La leggierezza’ and ‘Un sospiro’ are Liszt’s tribute to his beloved Italy, to the language of opera, and a case for piano as a singing instrument.” Indeed, in their phrasing and breadth, the etudes recall the melodious Chopin. “Yet, whereas Chopin modulates,” says Trifonov, “Liszt contrasts. Always an innovator, in these etudes, Liszt creates drama in and through harmony – leading the way to Wagner, and later to Impressionism.”


미묘한 이탈리아 스타일의 서정성(에 대한 이러한 인상)은 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1849)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이 곡들은 아리아입니다.” 물론 리스트는 오페라를 쓴 적이 없었지만, 이탈리아 멜로드라마(비현실적일 정도로 과장된 사건 · 인물들을 그린 이야기 · 연극 · 소설)의 시학을 사랑했으며 벨칸토의 거장(대가)인 도니체티, 벨리니, 젊은 베르디의 순수한 연극성에 빠져들었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마음속으로 ‘슬픔’, ‘가벼움’, ‘탄식’은 리스트가 사랑하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언어에 대한 경의(찬사)이며, 여기에서 노래하는 악기로서의 피아노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실제로 이 연습곡들은 그 표현과 폭에서 선율적인 쇼팽을 연상시킨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러나 쇼팽은 변조(조바꿈)하는 반면, 리스트는 대조에 의존합니다. 항상 혁신가였던 리스트는 이 연습곡들에서 화성을 통해 드라마(극적인 구조)를 만듭니다. - 바그너, 나중에는 인상주의로 이어지죠.”


The reference to Impressionism is apt in relation to the Two Concert Etudes S 145 (1863). If the Italian etudes are poems, then the German-titled “Waldesrauschen” and “Gnomenreigen”, Liszt’s final concert etudes, are paintings. “They are not verbal but depictive works,” Trifonov elaborates, “atmospheric, like paintings by Caspar David Friedrich.” These two late etudes describe natural environments and supernatural occurrences. In their philosophical complexity and depth of expressivity they are less decorative than earlier etudes, relying instead upon a lifetime’s experience pushing the boundaries of musical expression.


인상주의에 대한 언급은 2개의 연주회용 연습곡(1863)과 관련하여 매우 적합하다. 이탈리아어로 된 연습곡들(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이 시라면, 독일어로 된 마지막 연주회용 연습곡 ‘숲의 속삭임’과 ‘난쟁이의 춤’은 그야말로 그림이다. 트리포노프는 다음과 같이 자세히 말한다. “이 곡들은 언어가 아닌 묘사적인 작품들로,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그림들처럼 분위기 있어요.” 이 2개의 후기 연습곡들은 자연환경과 초자연적 현상을 묘사한다. 이 곡들의 철학적 복잡성과 표현의 깊이는 초기 연습곡들보다 덜 장식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대신 음악적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는 일생의 경험(음악적 표현 가능성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평생의 노력에서 얻은 풍부한 경험)에 의존한다.


In a life so rich, of course, not every work could encompass the totality of the composer’s experience. Yet, as linked series of concentrated tableaux, each of Liszt’s four distinct sets of concert etudes offers fascinating, insightful reflections on various aspects of his identity. Meanwhile, the spectrum of spiritual experience, wisdom, pain, passion and curiosity expressed across Liszt’s complete concert etudes reveals the composer’s insatiable quest for ever-new means of giving expression to the powers of nature and the depths of the human soul – a quest that is, as Trifonov sums up, “at the core of our evolution as creative beings”. Meanwhile, the spectrum of spiritual experience, wisdom, pain, passion and curiosity expressed across Liszt’s complete concert etudes reveals the composer’s insatiable quest for ever-new means of giving expression to the powers of nature and the depths of the human soul – a quest that is, as Trifonov sums up, “at the core of our evolution as creative beings”.


물론 그렇게 풍요로운 삶에서 모든 작품이 작곡가의 경험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작곡가의 모든 작품이 자신의 풍부한 경험을 모두 반영할 수는 없다.) 그러나 연결된 일련의 집중된 회화로서, 리스트의 4가지 뚜렷한 연주회용 연습곡 세트 각각은 그의 정체성(성격)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매혹적인, 통찰력 있는 성찰을 제공한다. 한편 리스트의 모든 연주회용 연습곡에 나타나는 영적 경험, 지혜, 고통, 열정, 호기심의 영역은 자연의 힘과 인간 영혼의 깊이를 표현하는 끊임없이 새로운 수단에 대한 작곡가의 끝없는 탐구(갈망)를 보여준다. - 즉 탐구는, 트리포노프가 요약하는 것처럼, “창조적인 존재로서의 우리의 진화(발전)의 핵심”에서 원초적 본능처럼 작용한다.


Misha Aster / 미샤 애스터 글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절충하여 음반 내지를 번역했다. 유튜브로 동영상들을 더 찾았는데 자막을 받아쓰기하여 다닐의 레슨을 정리하면서 잘 모르던 것들을 배웠다. 물론 다닐의 견해이긴 하지만... 산토도밍고가 혹시 다닐의 미래의 배우자가 된 주디스 라미레스의 나라인 도미니카 공화국의 수도인지 찾아보니 맞았다. 다닐의 다큐멘터리에 보면 둘이 자전거 타고 클리블랜드 음악원 다니는 모습이 나오곤 했다. 다닐의 리뷰 발췌는 한글로 가지고 있으면 영어를 찾아주고 영어로 가지고 있으면 한글 번역을 찾든지 아니면 내가 알아서 번역했다.

댓글 2개:

  1. https://rutracker.org/forum/viewtopic.php?t=5524642

    답글삭제
  2. https://drive.google.com/drive/u/4/folders/1wpfdQBgpLO2L-FFwchXvfngzHkuX1Yxh

    You have to download until 31 January 2022.

    답글삭제

Google Drive / 2024. 08. Geneva Competition Winners 3

1947년 공동 2위 Sergio Fiorentino (Italy) / 세르조 피오렌티노 (이탈리아) 01 Sergio Fiorentino - Chopin Mazurkas 1958 세르조 피오렌티노 - 쇼팽 마주르카 발췌 02 Sergio Fioren...